[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13276A - 건강상태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상태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276A
KR20170013276A KR1020167034360A KR20167034360A KR20170013276A KR 20170013276 A KR20170013276 A KR 20170013276A KR 1020167034360 A KR1020167034360 A KR 1020167034360A KR 20167034360 A KR20167034360 A KR 20167034360A KR 20170013276 A KR20170013276 A KR 20170013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data
user
medical information
improvement pl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쥔 리우
밍 천
Original Assignee
런치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런치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런치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1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27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06F19/322
    • G06F19/3431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9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alternative medicines, e.g. homeopathy or oriental medici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건강상태의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의료 정보 기술 분야에 활용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1);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하는 단계(S10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건강상태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체계적이고 전면적으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관리하고 과학적인 약 처방과 합리적인 식이요법, 정확한 운동, 우수한 심리상태, 아름다운 환경 등의 건강 촉진방안을 모든 개인의 생활방식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건강상태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MPROVING HEALTH CONDITION}
본 발명은 의료 정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상태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생활리듬이 빨라지면서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 수준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간단하고 신속하며 효과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추적하고 관리함으로써 질환을 미연에 방지하고 스스로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를 원하고 있다.
스마트폰, iPad, 노트북 등 모바일 기기 보급이 확산되면서 사람들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개인의 건강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수시로 건강 지식을 조회하고 자신의 신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건강에 대한 체험 등을 수시로 기록할 수 있다. 이는 사람들이 질환을 예방하고 자신의 건강을 체크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여기에 소요되는 대량의 시간과 의료비용도 효과적으로 절감시켜 준다.
시중에는 이미 많은 건강 관련 응용 소프트웨어가 있지만 대부분이 건강과 관련한 특정 부분 또는 몇 가지 부분에 치중되어 개인의 건강을 관리해 준다. 일부는 보양, 식이요법, 다이어트, 보건 또는 민간 처방, 자주 사용하는 처방전 등과 같은 건강 지식의 조회와 읽기 기능에 편중해 있다. 또 다른 일부는 특정 사람들의 특정한 건강 문제에만 치중하고 있는데, 다이어트의 경우 사용자에 맞춤형 다이어트 방법과 참고 식단 등을 제공한다. 그 외에도 상업적 마케팅에만 치중해 건강 관련 기능은 적고 광고만 많아 사용자를 불편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중요한 것은 대부분의 응용 소프트웨어로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수시로 획득할 수 없으며,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건강 개선방안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개선하게 만들 수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상태의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수시로 획득할 수 없으며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건강 개선방안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개선시킬 수 없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강상태의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한 후,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기반으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실시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건강 데이터는 중의(中醫) 신체검사 데이터, 심리상태 데이터, 건강지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의 건강 데이터 획득은,
중의 신체검사를 진행하여 중의 신체검사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또는
다수 개 버전의 심리 테스트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또는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와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에서 측정해 얻은 건강지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방법은,
맞춤제작 건강 지식의 요청을 의료정보서버로 발송하는 단계;
의료정보서버가 푸시한 건강 지식을 수신하는 단계; 및/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를 통해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건강 데이터 획득 유닛;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하는 개선방안 생성 유닛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장치는,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기반으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실시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알림 실행 유닛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건강 데이터는 중의 신체검사 데이터, 심리상태 데이터, 건강지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데이터 획득 유닛은,
중의 신체검사를 진행하여 중의 신체검사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중의 신체검사 모듈; 및/또는
다수 개 버전의 심리 테스트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 데이터를 획득하는 심리 테스트 모듈; 및/또는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와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에서 측정해 얻은 건강지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건강지표 획득 모듈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장치는,
맞춤제작 건강 지식의 요청을 의료정보서버로 발송하는 맞춤제작 요청 발송 유닛;
의료정보서버가 푸시한 건강지식을 수신하는 건강지식 수신 유닛; 및/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를 통해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하는 건강 교류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강상태의 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의료정보서버;
상기 의료정보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의료정보서버가 푸시하는 건강 지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푸시 서버;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건강상태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체계적이고 전면적으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관리하고 과학적인 약 처방과 합리적인 식이요법, 정확한 운동, 우수한 심리상태, 아름다운 환경 등의 건강 촉진방안을 모든 개인의 생활방식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건강상태 개선방안의 구현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건강상태 개선장치의 구조 다이어그램이고; 및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3에서 제공하는 건강상태 개선시스템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건강 상태 개선을 유도할 수 있는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한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건강 상태의 개선방법을 구현하는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단계 S101에서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라 함은 사용자가 신체검사 후 얻은 신체검사 데이터를 말하며, 사용자가 중의(中醫) 신체검사 후 얻은 중의 신체검사 데이터, 사용자의 심리상태 데이터, 사용자의 건강지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증의 신체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중의 신체검사 진행 시 사용자가 각 중의 신체검사 문제 중에서 자신에게 해당되는 답변을 선택하면, 시스템은 사용자의 답변과 사전 설정된 신체검사 결과 히스토리 데이터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대응하는 중의 신체검사 데이터를 얻는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다수 버전의 심리 테스트를 진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전면적으로 이해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를 통해 건강지표 데이터를 얻는데, 상기 건강지표 데이터는 체중, 혈압, 심박수, 운동이력 등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에는 체중계, 혈압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스마트 팔찌와 같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의 운동, 수면, 섭취 식음료 등 실시간 데이터를 기록하고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동기화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한 후 이러한 건강 데이터를 히스토리 테스트 기록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히스토리 테스트 기록 저장소에서 판독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에 이러한 건강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단계 S102에서는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의료정보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발송한 건강 데이터를 수신한 후 각기 다른 체질과 건강상태를 대상으로 약물, 식품, 운동, 심리, 환경을 포함한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에는 건강 데이터와 건강 개선방안의 대조표가 저장되어 있는데,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건강 데이터와 대조표 중의 건강 데이터를 매칭시키면 상기 건강 데이터에 대응하는 건강 개선방안을 바로 얻을 수 있으며,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통해 사용자가 더욱 건강한 생활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방법은 아래 단계도 포함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기반으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실시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건강 개선방안은 일부 시간 지점을 포함하는데, 상기 시간 지점은 사용자가 일정한 조작을 실시해야 하는 시간 지점으로, 예를 들어 매일 1시에 약을 먹어야 한다면 사용자 단말기는 시간이 1시에 도달했다는 정보를 검출하게 될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약을 먹도록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미 현재의 건강 개선방안을 실시했음을 확인한 후 사용자에게 다시 신체검사를 진행하도록 주의를 환기할 수 있으며, 다시 획득한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하고, 사용자는 상기 새로운 건강 개선방안에 따라 자신의 건강 상태를 계속하여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는 건강 지식 맞춤제작 요청을 의료정보서버에 발송할 수 있으며, 의료정보서버가 푸시하는 건강 지식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대량의 전문적 건강 지식을 읽을 수 있는데 여기에는 의약대전(大全), 식품대전, 운동대전, 심리대전, 환경대전 등과 같은 지식 저장소가 포함되어 자신의 건강 지식을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 건강 지식 읽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도에 따라 일부 관심 있는 건강 지식을 맞춤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정보서버는 푸시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호출을 통해, 실제 서비스 수요에 의거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일부 맞춤제작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건강 지식을 푸시한다. 상기 의료정보서버에서 푸시하는 건강 지식은 모두 푸시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강 지식에는 의약대전(의약 데이터베이스, 약재 데이터베이스, 처방 데이터베이스, 자주 사용하는 의약처방 데이터베이스,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증상 데이터베이스), 식품대전(식재료 데이터베이스, 식단 데이터베이스), 운동대전, 심리대전, 환경대전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를 통해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ing, IM) 서버는 socket 상시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는 상응하는 서비스 엑세스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가 호출하는 데 사용하도록 제공하고, 사용자는 웨이신, 텐센트 웨이보, 시나 웨이보, 런런왕 등과 같은 제3자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호출하고, IM 서버를 통해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에게 인스턴트 메시지를 발송하여 건강 교류를 진행한다. 상세하게는, IM 서버를 통해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심신질환에 대한 정보교류, 상호 토론, 도움 모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친구 커뮤니티와 건강 체험을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보양 체험을 기록하고 이를 지인과 공유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개인 정보와 히스토리 테스트 기록을 유지 및 보호할 수 있으며, 일부 특색 있는 기능 모듈 등을 선택해 추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표시 언어, 피부 교체, 버전 업데이트, 자신의 개인 정보와 히스토리 테스트 기록을 클라우드 단말로 전송, 또는 클라우드 단말에서 자신의 히스토리 테스트 기록을 다운로드 등의 통신 조작을 설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건강상태를 개선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체계적이고 전면적으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관리하고 과학적인 약 처방과 합리적인 식이요법, 정확한 운동, 우수한 심리상태, 아름다운 환경 등의 건강 촉진방안을 모든 개인의 생활방식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추천된 건강 개선방안을 실시할 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건강 개선방안 실시를 잊지 않도록 방지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화된 더욱 향상된 사용 체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준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의 건강 개선방안 실시를 완료한 후에는 사용자가 다시 신체검사를 진행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며, 신체 재검사에서 얻은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추적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의료정보서버에서 푸시하는 건강 지식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할 수도 있다.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로 여러 유형의 건강 관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건강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어 인터넷 사용비도 절감시켜 준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각 실시예 방법 중의 모든 또는 일부 단계가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에 지령을 내림으로써 완성될 수 있으며, 상응하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매체 내에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기억매체에는 ROM/RAM,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등이 있다.
실시예2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건강상태 개선 장치의 구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설명 상 편의를 위해 본 발명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만 도시하였다. 상기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유닛, 하드웨어 유닛 또는 소프트/하드웨어 결합 유닛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iPad, 노트북 등 모바일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장치(2)는 건강 데이터 획득유닛(21)과 개선방안 생성유닛(2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건강 데이터 획득유닛(21)은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개선방안 생성유닛(22)은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2)는,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기반으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알람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실시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데 사용하는 알람 실시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강 데이터는 중의 신체검사 데이터, 심리상태 데이터, 건강지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건강 데이터 획득유닛은,
중의 신체검사를 진행하여 중의 신체검사 결과 데이터를 얻는 중의 신체검사 모듈; 및/또는
다수 버전의 심리 테스트를 진행해 사용자의 심리상태 데이터를 얻는 데 사용하는 심리 테스트 모듈; 및/또는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와 통신을 진행하여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에서 테스트하여 얻은 건강 지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하는 건강지표 획득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2)는,
맞춤제작 건강 지식의 요청을 의료정보서버로 전송하는 맞춤제작 요청 발송 유닛;
의료정보서버에서 푸시하는 건강정보를 수신하는 건강정보 수신유닛; 및/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를 통해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하는 건강교류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는 전술한 내용에 대응하는 방법의 실시예 1에 응용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상기 실시예1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실시예 3
도 3은 발명 실시예 2에서 제공하는 건강상태 개선 시스템의 구조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설명 상 편의를 위해 본 발명 실시와 관련된 부분만 도시하였다. 상기 건강상태의 개선시스템(3)은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31)와 사용자 단말기(32)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32)에는 실시예 2의 건강상태 개선 장치가 포함된다.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31)는 사용자의 건강지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건강지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2)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자는 상기 건강 지표 데이터를 훑어볼 수 있으며, 상기 건강 지표 데이터에 의거해 실시간으로 심신 건강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2)는 상기 건강지표 데이터, 중의 신체검사에서 얻은 중의 신체검사 데이터, 심리상태 데이터 중 하나 또는 다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지도하고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32)는 상기 개선방안에 의거하여 알람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알람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실시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3)은 의료정보서버(33) 및 상기 의료정보서버와 연결된 푸시 서버(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 서버(34)는 상기 의료정보서버(33)가 푸시하는 건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32)에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3)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35)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2)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32)의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를 통해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시스템은 전술한 대응하는 방법 실시예 1에 응용할 수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상기 실시예 1 내용을 참조하도록 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시스템 실시예에 포함된 각 유닛은 기능 논리에 따라 구분한 것에 불과하여 상기 구분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응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또한, 각 기능 유닛의 구체적인 명칭도 상호 구분을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진행한 임의 수정, 동등한 수준의 치환과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0)

  1. 건강상태의 개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한 후,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기반으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실시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데이터는 중의(中醫) 신체검사 데이터, 심리상태 데이터, 건강지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의 건강 데이터 획득은,
    중의 신체검사를 진행하여 중의 신체검사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또는
    다수 개 버전의 심리 테스트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또는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와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에서 측정해 얻은 건강지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맞춤제작 건강 지식의 요청을 의료정보서버로 발송하는 단계;
    의료정보서버가 푸시한 건강 지식을 수신하는 단계; 및/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를 통해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방법.
  5.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건강 데이터 획득 유닛;
    상기 건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건강 개선방안을 생성하는 개선방안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기반으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건강 개선방안을 실시하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알림 실행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데이터는 중의 신체검사 데이터, 심리상태 데이터, 건강지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데이터 획득 유닛은,
    중의 신체검사를 진행하여 중의 신체검사 결과 데이터를 획득하는 중의 신체검사 모듈; 및/또는
    다수 개 버전의 심리 테스트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심리상태 데이터를 획득하는 심리 테스트 모듈; 및/또는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와 통신을 진행하여 상기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에서 측정해 얻은 건강지표 데이터를 획득하는 건강지표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맞춤제작 건강 지식의 요청을 의료정보서버로 발송하는 맞춤제작 요청 발송 유닛;
    의료정보서버가 푸시한 건강지식을 수신하는 건강지식 수신 유닛; 및/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를 통해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하는 건강 교류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
  9. 건강상태의 개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건강지표 테스트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건강상태의 개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의료정보서버;
    상기 의료정보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의료정보서버가 푸시하는 건강 지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푸시 서버; 및/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지인, 의사 또는 전문가와 건강 교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상태의 개선 시스템.
KR1020167034360A 2014-06-05 2015-01-13 건강상태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eased KR201700132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246960.6 2014-06-05
CN201410246960.6A CN104036444A (zh) 2014-06-05 2014-06-05 一种健康状况的改善方法、装置及系统
PCT/CN2015/070640 WO2015184806A1 (zh) 2014-06-05 2015-01-13 一种健康状况的改善方法、装置及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276A true KR20170013276A (ko) 2017-02-06

Family

ID=5146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360A Ceased KR20170013276A (ko) 2014-06-05 2015-01-13 건강상태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96404A1 (ko)
EP (1) EP3154018A4 (ko)
JP (1) JP2017517088A (ko)
KR (1) KR20170013276A (ko)
CN (1) CN104036444A (ko)
WO (1) WO2015184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6444A (zh) * 2014-06-05 2014-09-10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健康状况的改善方法、装置及系统
CN104468753A (zh) * 2014-11-28 2015-03-25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云社交的方法及其系统
CN104539648A (zh) * 2014-12-01 2015-04-22 中国农业大学 一种心理感知治疗的服务器及系统
CN105005681A (zh) * 2015-06-06 2015-10-28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互联网的健康管理方法、数据终端和服务器
CN104966259A (zh) * 2015-06-06 2015-10-07 深圳市前海安测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健康管理方法和健康管理系统
CN106131338B (zh) * 2016-08-12 2020-03-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CN107085817B (zh) * 2017-05-27 2020-12-01 北京医健保健康管理有限公司 医疗系统
CN107346376A (zh) * 2017-07-05 2017-11-14 刘浩 一种健康体检项目智能推荐的方法及系统
CN109243552B (zh) * 2017-07-11 2021-06-22 北京医联蓝卡在线科技有限公司 一种健康档案的数据共享系统及方法
CN109256181B (zh) * 2017-07-11 2021-05-11 北京医联蓝卡在线科技有限公司 一种健康档案管理系统及方法
CN108922592A (zh) * 2018-05-25 2018-11-30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营养配餐方法、装置、冰箱和计算机存储介质
CN108986886A (zh) * 2018-07-12 2018-12-11 北京智吃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自动订制营养方案的健康数据推送方法及装置
CN108932977A (zh) * 2018-07-23 2018-12-04 河北省科学院应用数学研究所 健康信息管理方法和系统
CN109036555A (zh) * 2018-08-16 2018-12-18 芜湖云枫信息技术有限公司 心血管类风险人群的运动风险评估方法
CN109561149B (zh) * 2018-11-28 2019-10-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20058981A1 (en) * 2019-06-03 2022-02-24 Kpn Innov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self-fulfillment of a dietary request
CN111383734A (zh) * 2020-03-10 2020-07-07 中国医学科学院阜外医院 基于整体论指导云计算和心肺代谢参数的主动运动系统
CN111429986A (zh) * 2020-03-19 2020-07-17 马园 一种基于大数据的患者出院后病例综合反馈查询系统及方法
CN115553738A (zh) * 2022-03-28 2023-01-03 中国移动通信集团四川有限公司 家庭监护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651A (ja) * 1997-04-28 1998-11-10 N T T Data:Kk 健康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JP2001005885A (ja) * 1999-06-17 2001-01-12 Koochi Twenty One:Kk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健康状態サポートシステム
JP2002056099A (ja) * 2000-08-11 2002-02-20 Ntt Me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
JP2005011329A (ja) * 2003-05-29 2005-01-13 Sanyo Electric Co Ltd 健康管理支援装置、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健康管理支援方法および健康管理支援プログラム
JP2007072540A (ja) * 2005-09-05 2007-03-22 It Products:Kk 患者の意欲を向上させる生活習慣病療養支援装置
JP2008152344A (ja) * 2006-12-14 2008-07-03 Fukuda Denshi Co Ltd 健康管理指導支援装置、健康管理指導支援方法および健康管理指導支援プログラム
US7953613B2 (en) * 2007-01-03 2011-05-31 Gizewski Theodore M Health maintenance system
JP5171316B2 (ja) * 2008-02-29 2013-03-27 株式会社日立情報制御ソリューションズ 生活習慣改善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217703A (ja) * 2008-03-12 2009-09-24 Toshiba Corp 生活習慣改善支援システム
JP2010152470A (ja) * 2008-12-24 2010-07-08 Meiden Software Corp 健康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健康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766479A (zh) * 2008-12-30 2010-07-07 上海欣唐电子有限公司 基于具有无线通信功能的随身监护终端的远程健康监护系统
US20110184247A1 (en) * 2010-01-25 2011-07-28 Contant Olivier M Comprehensive management of human health
CN102279943A (zh) * 2010-06-10 2011-12-14 杨志民 个人生命健康钟
WO2012071354A2 (en) * 2010-11-23 2012-05-31 Sanitas, Inc. Disease management system using personalized education, patient support community and telemonitoring
CN102166118A (zh) * 2011-04-08 2011-08-31 常州康新电子科技有限公司 远程健康监护系统
CN103106327A (zh) * 2011-11-15 2013-05-15 马欣 远程实时家庭健康监护系统
KR20130113893A (ko) * 2012-04-08 201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건강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CN103400332A (zh) * 2013-08-14 2013-11-20 宁波天瑞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基于实时监测的健康服务平台系统
CN103473481A (zh) * 2013-10-15 2013-12-25 宁波天瑞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个人远程健康服务系统
CN104036444A (zh) * 2014-06-05 2014-09-10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健康状况的改善方法、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4018A4 (en) 2018-04-18
CN104036444A (zh) 2014-09-10
WO2015184806A1 (zh) 2015-12-10
US20160196404A1 (en) 2016-07-07
JP2017517088A (ja) 2017-06-22
EP3154018A1 (en)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3276A (ko) 건강상태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Omboni et al. The role of telemedicine in hypertension management: focus on blood pressure telemonitoring
Salvi et al. An m-Health system for education and motivation in cardiac rehabilitation: the experience of HeartCycle guided exercise
Silva et al. SapoFitness: A mobile health application for dietary evaluation
Aguilera Digital technology and mental health intervention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EP3970161A1 (en)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spitals and cities
Schlachta-Fairchild et al. Patient safety, telenursing, and telehealth
Baniasadi et al. Study of challenges to utilise mobile-based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s: a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Spinsante et al. Clinically-validated technologies for assisted living: The vINCI project
Imteaj et al. A smartphone based application to improve the health care system of Bangladesh
KR20150112423A (ko) 가상 병원 시스템, 가상 병원 생성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842302A (zh) 身体信息的处理方法和系统、存储介质
Vaughn et al. Customization of the TRU-PBMT app (technology recordings to better understand pediatric blood and marrow transplant)
KR101228586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질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schou et al. Personalized assistant apps in healthcare: a Systematic Review
Chaisurin et al. A self-liberation intervention using a pedometer to encourage physical activity among sedentary nursing staf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 Dicastillo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elematics platform for monitoring of patients in ambulatory major surgery
CA3077420A1 (en) Method for enhancing patient compliance with a medical therapy plan and mobile device therefor
Vickey et al. A Study on Twitter Usage for Fitness Self-Reporting via Mobile Apps.
Memon et al. studying the Different Platforms for Betterment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s
Bove et al. Telehealth Technology: A Report from the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 Grant.
Malvey et al. mHealth products, markets, and trends
Turkar et al. Med Assistant Android Application
Gür et al. Internet of things based smart medicine mobile application
EP4524979A1 (en) Computer program, pain management assistance device, and pain management assistanc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1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6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7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