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0789A -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0789A KR20170030789A KR1020150128130A KR20150128130A KR20170030789A KR 20170030789 A KR20170030789 A KR 20170030789A KR 1020150128130 A KR1020150128130 A KR 1020150128130A KR 20150128130 A KR20150128130 A KR 20150128130A KR 20170030789 A KR20170030789 A KR 201700307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 device
- video
- light source
- diaphragm
- detec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5—Detection of flicker frequency or suppression of flicker wherein the flicker is caused by illumination, e.g. due to fluorescent tube illumination or pulsed LED illumin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G02F1/15165—Polym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 및 도 1c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들이다.
도 2a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 모듈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AF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들(exploded perspective views)이다.
도 3c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부품들이 서로 결합된 AF 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OIS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OIS 모듈의 작동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개략도이다.
도 6은 조리개의 기능 및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출원에 따른 조리개의 일 예의 정면 및 배면을 각각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조리개의 변형례의 정면 및 배면을 각각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9a 및 도 6b는 본 출원에 따른 조리개의 일 예의 정면 및 배면을 각각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출원에 따른 조리개의 일 예의 정면 및 배면을 각각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11은 조리개의 박막들의 배치를 보여주도록 도 8a의 A-A선을 따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조리개의 전극들의 배치를 보여주도록 도 8a의 B-B선을 따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3a-도 13d는 조리개의 작동 및 상기 작동에서 얻어지는 특성값들을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제어방법과 관련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일부 구성(partial configuration)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어방법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상기 제어방법에서 플리커를 제거하는 단계를 상세하게는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플리커 제거단계에서 광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플리커 제거단계에서 사용되는 광원이 자연광원일 때의 추가적으로 비디오의 획득조건을 조절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상기 제어방법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이를 이용하여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에서 프레임을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모식도)(schematic view or diagram)이다.
도 22는 상기 제어방법에서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 및 비디오의 획득조건을 조절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고려되는 시간에 대한 움직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연속적으로 획득되는 프레임들과 상기 측정 및 조절단계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상기 측정단계 및 조절단계의 수행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상기 비디오를 재생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300: 조리개 310: 박막
320: 전극 350: 개구부
S10: 획득단계 S20: 검출단계
S30: 조절단계 S60: 플리커 제거단계
Claims (67)
-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외부 피사체에 대한 디지털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포함되며,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입사되는 빛의 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리개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박막을 포함하며, 상기 박막에서 형성되어 상기 빛을 통과시키는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상기 박막에서 서로 다른 크기들을 갖는 개구부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상기 개구부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박막의 투명도를 부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상기 박막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박막의 색상을 전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투명한 상태에서 불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는 전기변색재료(electrochromic material)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은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또는 LiCF3SO3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부들을 각각 가지며, 동심상으로 동일 평면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박막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박막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박막들을 가지며, 상기 한쌍의 박막들중 어느 하나의 박막은 상기 어느 하나의 박막의 개구부보다 크게 형성되는 다른 하나의 박막의 개구부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상기 서로 다른 개구부들을 갖기 위해 상기 박막들의 투명도들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박막들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박막들을 전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변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일정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일정 개구부보다 작은 개구부를 갖는 박막들을 투명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상기 일정 개구부를 포함하는 박막과 상기 일정 개구부보다 큰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박막들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소정의 제 1 직경을 갖는 제 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 박막; 및
상기 제 1 박막을 감싸며, 상기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을 갖는 제 2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2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대체적으로 원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박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괄호 형상을 각각 갖는 다수개의 박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박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상기 박막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박막들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7 항 및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박막들은 이들에 전압을 인가하는 상기 전극들과 연결되도록 적어도 한 지점에서 불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동일 평면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들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상기 박막의 외주부를 감싸며, 상기 렌즈로 빛을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불투명 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는 상기 박막이 그 위에 형성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Ka: 상기 개구부의 직경;
Ks: 상기 렌즈를 통과한 빛의 광학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의 대각선 길이일 때,
상기 개구부의 직경과 상기 센서의 대각 길이의 비율(Ka/Ks)은
0.05 < |Ka/Ks| < 0.2 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F값은 1.4 - 3.5 인 것을 특징을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0.46mm - 1.1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들은 상기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내주부들(inner circumferences)과 상기 내주부로부터 이격되는 외주부들(outer circumferences)을 가지며, 상기 내주부들과 상기 내주부들 사이의 거리는 0.001mm - 0.27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 모듈에서 기설정된 조건들을 사용하여 피사체의 비디오를 계속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사체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조건들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단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에서 다수개의 영상들 또는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들은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에서의 노출시간, 상기 카메라 모듈의 조리개의 개구부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움직임 또는/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면,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움직임 또는/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면,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에서의 노출시간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움직임 또는/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면,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 설치된 조리개의 개구부를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및 상기 피사체의 어떠한 움직임도 검출하지 못하면, 상기 조건들의 초기 값들을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에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비디오로부터 피사체의 움직임 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움직임 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피사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및 조절단계들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가 상기 비디오를 획득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반복되며, 실시간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및 조절단계들은 상기 획득된 비디오의 각각의 프레임들에 대해 수행되며, 어느 한 프레임에 대한 상기 검출단계 및 조절단계들은 뒤따르는 프레임의 획득이 시작되기 이전에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단계에서 사용되는 광원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비디오로부터 플리커(flicker)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는:
상기 광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광원의 종류에 따라 상기 조건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광원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획득된 비디오에서 상기 플리커를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인공광원과 동기되지 않는 소정의 프레임 레이트로 이미지 센서를 상기 광원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얻어진 전기적 신호의 불연속성 또는 불규칙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비디오에서 상기 플리커가 존재하면 상기 광원을 인공광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비디오에서 상기 플리커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광원을 자연광원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전기적 신호의 파형이 불연속적이거나 불규칙적으로 변화하면, 상기 광원을 인공광원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전기적 신호의 파형이 연속적으로 규칙적으로 변화하면, 상기 광원을 자연광원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광원을 인공광원으로 검출하면,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조절단계에서 조절된 조건들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변경단계는 만일 상기 움직임 검출단계가 어떠한 움직임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획득단계에서의 상기 조건들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광원을 인공광원으로 검출하면,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를 상기 인공광원의 주파수와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단계는 상기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를 상기 인공광원의 주파수와 같은 값으로 설정, 2n배로 증가, 또는 1/2n배로 감소시키며, 여기서 n=1, 2, 3, 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광원을 자연광원으로 검출하면,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조절단계에서 조절된 상기 조건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변경단계는 만일 상기 움직임 검출단계가 어떠한 움직임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획득단계에서의 상기 조건들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광원을 자연광원으로 검출할 때, 만일 자연광원의 밝기가 소정 밝기보다 낮으면,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를 감소시키고 상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의 게인(gain)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및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을 검출하면, 상기 움직임의 검출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가 상기 조건들중 최소한 하나를 조절하면, 상기 조건의 조절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49 항 또는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단계는 상기 움직임의 검출 및 상기 조건의 조절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움직임의 검출 및 상기 조건의 조절을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텍스트를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에 의해 서로 다른 조건들을 포함하는 상기 피사체의 비디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는 서로 다른 조건들을 각각 가지며 연속적으로 획득된 다수개의 파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단일의 스팬(span)내에 상기 파트들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소정의 조건들을 갖는 비디오의 제 1 파트를 표시하는 제 1 구간; 및
상기 제 1 파트의 조건들과 다른 조건들을 갖도록 제 1 파트에 연속적으로 획득된 상기 비디오의 제 2 파트를 표시하며, 상기 제 1 구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 2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소정의 제 1 프레임레이트를 갖는 상기 비디오의 제 1 파트를 나타내는 제 1 구간; 및
상기 제 1 프레임 레이트와는 다른 제 2 프레임레이트를 갖도록 상기 제 1 파트에 연속적으로 획득된 상기 비디오의 제 2 파트를 나타내며, 상기 제 1 구간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 2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4 항 또는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간의 길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파트가 획득된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구간은 동일한 프레임들의 갯수마다 설정되는 눈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2 항 또는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비디오를 디스플레이에서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는 서로 다른 프레임 레이트들중 가장 작은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상기 비디오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는 상기 제 1 구간과 상기 제 2 구간을 상기 제 1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단계동안 상기 제 2 구간의 피사체가 상기 제 1 구간의 피사체보다 느리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는 상기 비디오의 소정 파트에서의 재생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소정 파트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의 길이를 변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화단계는 상기 제 1 구간 또는 제 2 구간의 재생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구간 또는 제 2 구간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제 1 구간 또는 제 2 구간의 재생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구간 또는 제 2 구간의 길이를 축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계는 상기 피사체가 상기 비디오의 재생동안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도록 서로 다른 프레임 레이트들을 갖는 상기 비디오의 파트들을 재생하는 속도들을 동일한 속도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비디오가 재생되는 동안 상기 비디오의 파트들의 서로 다른 프레임 레이트들을 상기 프레임 레이트들중 가장 작은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는 상기 제 2 구간의 제 2 프레임 레이트를 상기 제 1 구간의 제 1 프레임 레이트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가장 작은 프레임 레이트 보다 큰 프레임 레이트들을 갖는 상기 비디오의 파트들을 재생하는 동안 프레임들 일부를 건너뛰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소정 시간당 또는 소정 프레임당 고정된 개수의 프레임들을 건너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제 26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단계 또는 상기 변경단계에서 조절되거나 변경된 조건들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피사체의 비디오를 추가적으로 획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8130A KR20170030789A (ko) | 2015-09-10 | 2015-09-10 |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
| PCT/KR2016/000500 WO2017043710A1 (en) | 2015-09-10 | 2016-01-18 |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15/004,810 US9936113B2 (en) | 2015-09-10 | 2016-01-22 |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EP16162524.9A EP3141947B1 (en) | 2015-09-10 | 2016-03-29 | Smar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CN201610353394.8A CN106534623B (zh) | 2015-09-10 | 2016-05-25 | 智能设备及其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8130A KR20170030789A (ko) | 2015-09-10 | 2015-09-10 |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30789A true KR20170030789A (ko) | 2017-03-20 |
Family
ID=5569939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28130A Withdrawn KR20170030789A (ko) | 2015-09-10 | 2015-09-10 |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5)
| Country | Link |
|---|---|
| US (1) | US9936113B2 (ko) |
| EP (1) | EP3141947B1 (ko) |
| KR (1) | KR20170030789A (ko) |
| CN (1) | CN106534623B (ko) |
| WO (1) | WO2017043710A1 (ko)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1167342A3 (en) * | 2020-02-19 | 2021-09-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shooting through at least one portion of display device |
| WO2022030736A1 (ko) * | 2020-08-03 | 2022-02-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조도 측정 방법 및 장치 |
| KR102404860B1 (ko) * | 2020-12-17 | 2022-06-08 | (주)캠시스 |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KR20220144446A (ko) * | 2021-04-19 | 2022-10-27 | (주)캠시스 | 조리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65025B1 (ko) * | 2023-01-06 | 2023-08-08 | 구숙희 | 포커스 촬영을 위한 원형 프레임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카메라 렌즈 커버 |
| US11743568B2 (en) | 2020-09-07 | 2023-08-29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80895B1 (ko) * | 2016-02-19 | 2022-12-2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
| KR102568898B1 (ko) * | 2016-10-26 | 2023-08-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
| KR102289837B1 (ko) * | 2017-01-06 | 2021-08-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촬영 방법 및 전자 장치 |
| CN107454452B (zh) * | 2017-09-12 | 2018-03-02 | 张玉红 | 卫星接收机上盒节目推荐系统及方法 |
| WO2019062187A1 (zh) * | 2017-09-30 | 2019-04-04 |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 显示屏以及电子设备 |
| US20190258144A1 (en) * | 2018-02-22 | 2019-08-22 | Perspective Components, Inc. | Dynamic camera adjustment mechanism |
| ES2945726T3 (es) * | 2018-09-27 | 2023-07-06 | Huawei Tech Co Ltd | Cámara y terminal |
| CN109819149B (zh) * | 2019-02-13 | 2022-03-15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摄像模组及移动终端 |
| US10924690B2 (en) * | 2019-04-17 | 2021-02-16 | Google Llc | Electronically controlling optical transmission of a lens of a camera in variable lighting |
| CN109963064B (zh) * | 2019-04-29 | 2024-03-01 |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具有散热功能的智能监控终端 |
| EP3975527B1 (en) * | 2019-06-28 | 2024-05-01 |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and a cover assembly. |
| TWI701501B (zh) | 2019-07-22 | 2020-08-11 | 點晶科技股份有限公司 | 行動通訊設備、光學組件及其光圈模組 |
| CN112449084B (zh) * | 2019-08-28 | 2022-04-0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摄像头模组以及电子设备 |
| JP7407909B2 (ja) * | 2020-03-25 | 2024-01-0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像装置、撮像方法、撮像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CN116405759A (zh) * | 2021-12-22 | 2023-07-07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摄像终端、摄像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2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621114A (en) | 1979-07-27 | 1981-02-27 | Canon Inc | Control circuit of electrochromic diaphragm using electrochromic material |
| JP3194312B2 (ja) | 1993-03-19 | 2001-07-30 | ソニー株式会社 | 絞り装置 |
| US6426492B1 (en) | 1999-05-24 | 2002-07-30 | Donnelly Corporation | Electro-optic aperture for vehicular imaging system |
| JP2004274548A (ja) * | 2003-03-11 | 2004-09-30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携帯端末 |
| US20050146634A1 (en) * | 2003-12-31 | 2005-07-07 | Silverstein D. A. | Cameras, optical systems, imaging methods, and optical filter configuration methods |
| GB0407414D0 (en) * | 2004-04-01 | 2004-05-05 | 1 Ltd | Variable focal length lens |
| KR100645635B1 (ko) * | 2004-11-30 | 2006-11-15 | 삼성전기주식회사 |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이미지 픽업 모듈 |
| US20070133983A1 (en) * | 2005-12-14 | 2007-06-14 | Matilda Traff | Light-controlling element for a camera |
| US7633587B2 (en) | 2006-04-18 | 2009-12-15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Liquid crystal aperture in a camera |
| US8379115B2 (en) * | 2007-11-20 | 2013-02-19 | Motorola Mobility Llc | Image capture device with electronic focus |
| US8643748B2 (en) * | 2007-11-20 | 2014-02-04 | Motorola Mobility Llc | Compact stationary lens optical zoom image capture system |
| WO2009117506A2 (en) * | 2008-03-18 | 2009-09-24 | Pixeloptics, Inc. | Advanced electro-active optic device |
| WO2010081556A1 (en) * | 2009-01-16 | 2010-07-22 | Iplink Limited | Improving the depth of field in an imaging system |
| US20120019713A1 (en) | 2010-07-26 | 2012-01-26 |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 Mems-based aperture and shutter |
| KR101824439B1 (ko) * | 2011-02-16 | 2018-02-02 | 주식회사 스테레오피아 | 모바일 스테레오 카메라 장치 및 그 촬영방법 |
| JP5816679B2 (ja) * | 2011-03-22 | 2015-11-1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レン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5734776B2 (ja) | 2011-07-15 | 2015-06-17 | 株式会社東芝 | カメラモジュール |
| EP2829054A1 (en) * | 2012-03-19 | 2015-01-28 |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 Smart cameras |
| US8891042B1 (en) * | 2013-09-23 | 2014-11-18 | Lc-Tec Displays Ab | Electro-optic liquid crystal camera iris providing angle independent transmission for uniform gray shades |
| US9491373B2 (en) * | 2013-12-10 | 2016-11-08 | Sody Co., Ltd. | Light control apparatus for an image sensing optical device |
-
2015
- 2015-09-10 KR KR1020150128130A patent/KR20170030789A/ko not_active Withdrawn
-
2016
- 2016-01-18 WO PCT/KR2016/000500 patent/WO201704371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1-22 US US15/004,810 patent/US993611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3-29 EP EP16162524.9A patent/EP3141947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6-05-25 CN CN201610353394.8A patent/CN10653462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1167342A3 (en) * | 2020-02-19 | 2021-09-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shooting through at least one portion of display device |
| US11595586B2 (en) | 2020-02-19 | 2023-0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shooting through at least one portion of display device |
| WO2022030736A1 (ko) * | 2020-08-03 | 2022-02-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조도 측정 방법 및 장치 |
| US11929001B2 (en) | 2020-08-03 | 2024-03-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illuminance |
| US11743568B2 (en) | 2020-09-07 | 2023-08-29 | Samsung Display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 KR102404860B1 (ko) * | 2020-12-17 | 2022-06-08 | (주)캠시스 |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KR20220144446A (ko) * | 2021-04-19 | 2022-10-27 | (주)캠시스 | 조리개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65025B1 (ko) * | 2023-01-06 | 2023-08-08 | 구숙희 | 포커스 촬영을 위한 원형 프레임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용 카메라 렌즈 커버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6534623B (zh) | 2019-11-12 |
| WO2017043710A1 (en) | 2017-03-16 |
| EP3141947A1 (en) | 2017-03-15 |
| CN106534623A (zh) | 2017-03-22 |
| US9936113B2 (en) | 2018-04-03 |
| EP3141947B1 (en) | 2017-11-22 |
| US20170078543A1 (en) | 2017-03-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70030789A (ko) |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 |
| US10015383B2 (en) | Mobile terminal | |
| KR101700771B1 (ko) | 이동 단말기 | |
| KR101708320B1 (ko) | 이동 단말기 | |
| KR101748260B1 (ko) | 카메라 모듈 | |
| CN105518516B (zh) | 音频换能器的隔离 | |
| KR2017000655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US9854217B2 (en) |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150124710A (ko) |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 |
| KR2016001914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2016012760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US20200124828A1 (en) | Mobile terminal | |
| KR102446264B1 (ko) | 이동 단말기 | |
| KR20170057058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 KR20200034528A (ko) | 이동 단말기 | |
| KR20160036230A (ko) |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및 이동 단말기 | |
| KR20170088046A (ko) | 회로구조 및 이동 단말기 | |
| EP3767927A1 (en) | Optic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 KR20170037123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2016003840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 KR20150140050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2015009516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 KR102127396B1 (ko) | 이미지 획득 장치 | |
| KR101575053B1 (ko) | 이동 단말기 | |
| KR20170037462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10608 |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