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392A - 전자 장치, 음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음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1392A KR20170031392A KR1020150128847A KR20150128847A KR20170031392A KR 20170031392 A KR20170031392 A KR 20170031392A KR 1020150128847 A KR1020150128847 A KR 1020150128847A KR 20150128847 A KR20150128847 A KR 20150128847A KR 20170031392 A KR20170031392 A KR 2017003139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speaker
- signal
- audio output
- audi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8—Electronic adaptation dependent on speaker or headphone conn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05—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ive- or more-channel type, e.g. virtual surrou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5—Generation or adaptation of centre channel in multi-channel au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할당하여 서로 다른 채널 신호가 서로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장치, 음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을 위한 전자 장치, 음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멀티 채널 음향 출력 장치는 다양한 방향에서 음향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다만, 종래의 음향 출력 장치에서는 음향 출력 장치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따라 음향을 재생하였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가 스테레오 출력 타입인 경우 스테레오 음향을 재생하고, 음향 출력 장치가 5.1 채널 출력 타입인 경우 5.1 채널 음향을 재생하였다.
따라서, 전자 장치에 음향 출력 장치가 연결되더라도, 음향 출력 장치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따라서만 음향을 재생할 수 있을 뿐, 좀 더 많은 채널의 음향을 제공할 수는 없었다. 예를 들어, 스테레오 출력 타입의 전자 장치와 2.1 채널의 음향 출력 장치가 연결되더라도, 4.1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전자 장치와 음향 출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와 음향 출력 장치에서 동일한 사운드가 중복되어 재생되므로, 사용자는 전자 장치 및 음향 출력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사운드를 턴오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멀티 채널을 지원하지 못하는 전자 장치에 음향 출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멀티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에서 구현할 수 있는 음향채널보다 더 많은 채널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서로 다른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음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할당하여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가 서로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전자 장치는,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고, 상기 UI 상에서 선택된 오디오 출력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는, 프론트(front) 채널, 센터(center) 채널 및 리어(rear)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 스피커에 상기 프론트 채널 신호 및 상기 센터 채널 신호를 할당하고, 상기 외부 스피커에 상기 리어 채널 신호 및 상기 센터 채널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상기 내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각각 할당하고,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상기 외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무선 신호 출력 시간을 동기화하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단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스피커에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할당하여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가 서로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은,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할당하여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서로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오디오 출력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오디오 출력 방법은, 상기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UI 상에서 선택된 오디오 출력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는, 프론트(front) 채널, 센터(center) 채널 및 리어(rear)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스피커에 상기 프론트 채널 신호 및 상기 센터 채널 신호를 할당하고, 상기 외부 스피커에 상기 리어 채널 신호 및 상기 센터 채널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상기 내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각각 할당하고,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상기 외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신호 출력 시간을 동기화하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단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스피커에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채널을 지원하지 못하는 전자 장치에 음향 출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에도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테레오 출력 타입의 전자 장치 및 2.1 채널 음향 출력 장치에서 5.1 채널 음향 출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의 스피커에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공 가능한 오디오 출력 환경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테레오 출력 타입의 전자 장치 및 2.1 채널 음향 출력 장치에서 5.1 채널 음향 출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의 스피커에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공 가능한 오디오 출력 환경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 및 음향 출력 장치(200-1, 200-2)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도 1과 같이 TV로 구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전자 장치(100)는 미디어 재생기, 사운드 바, HTS 등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써,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각 스피커에 할당하여 각 스피커에서 서로 다른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음향 출력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에서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의 신호 중 리어(rear) 채널 신호 및 센터(center) 채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좌측 스피커에서 출력하고,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우측 스피커에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음향 출력 장치(200)의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각 스피커에 믹싱된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 및 음향 출력 장치(200)에 구비된 외부 스피커 각각에서 서로 다른 믹싱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어,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시스템(1000)은 다양한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내부 스피커(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음향 출력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향 출력 장치(200)와의 기정의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전자 장치(100)와 음향 출력 장치(200) 간에 통신이 초기화되는 동작,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동작, 기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동작 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모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 장치(200)의 기기 식별 정보가 전자 장치(100)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양 기기 간의 페어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또는 음향 출력 장치(200)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 신호 출력 시간을 동기화하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시분할 다중화 방식은 여러 무선 채널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각 무선 채널에 차례로 분배하여 이용하는 방식이다. 즉, 시분할 다중화 방식은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전송하므로 데이터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통신부(110)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므로, 무선 채널이 서로 겹치지 않아서 무선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시분할 다중화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 이외에 다른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유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내부 스피커(12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분리된 신호 중 프론트(front) 채널 신호 및 센터(center) 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스피커(120) 중 좌측 스피커는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출력하고, 우측 스피커는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스피커(120)는 좌우 스피커 및 센터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측 스피커는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신호를 출력하고, 우측 스피커는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신호를 출력하며, 센터 스피커는 센터(center) 채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내부 스피커(120)를 두 개 또는 세 개의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스피커(120)는 네 개 이상의 스피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내부 스피커(120) 및 외부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분리하고,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내부 스피커 및 외부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내부 스피커(120) 및 외부 스피커의 개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스피커(120)가 두 개이고, 외부 스피커가 두 개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내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할당하고,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외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스피커(120) 및 외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각각의 좌우 스피커에서 서로 다른 믹싱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므로 5.1 채널의 오디오 출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120)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내부 스피커(120) 및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 가능한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UI의 구성에 대하여는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내부 스피커(120), 프로세서(130), 오디오 처리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제n 인터페이스(134-1 ~ 134-n) 및 버스(135)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메인 CPU(133), 제1 내지 제n 인터페이스(134-1 ~ 134-n) 등은 버스(135)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4-1 내지 134-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처리부(140)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음향 출력 장치(200)는 통신부(210), 외부 스피커(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전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 장치(100)로부터 할당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외부 스피커(22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할당된 신호 중 리어(rear) 채널 신호 및 센터(center) 채널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스피커(220) 중 좌측 스피커는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출력하고, 우측 스피커는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스피커(120)는 좌우 스피커 및 센터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측 스피커는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신호를 출력하고, 우측 스피커는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신호를 출력하며, 센터 스피커는 센터(center) 채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로부터 할당된 오디오 신호를 외부 스피커(22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외부 스피커(220)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할당하여 서로 다른 채널 신호가 좌우 스피커 각각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테레오 출력 타입의 전자 장치 및 2.1 채널 음향 출력 장치에서 5.1 채널 음향 출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 100-2)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도 5a와 같이 두 개의 장치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1, 100-2)는 스테레오 출력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갖고, 음향 출력 장치(200-1, 200-2)는 2.1 채널 출력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1, 100-2)에 5.1 채널의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1, 100-2)는 전자 장치(100-1, 100-2)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및 음향 출력 장치(200-1, 200-2)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채널의 신호를 믹싱하여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1, 100-2)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는 스테레오 출력의 오디오 타입을 가지므로,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할당하고, 음향 출력 장치(200-1, 200-2)에 구비된 외부 스피커는 2.1 채널의 오디오 타입을 가지므로,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및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및 우퍼 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0-1, 100-2)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 및 음향 출력 장치(200-1, 200-2)에 구비된 외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 우퍼 스피커에서 각각 다른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5.1 채널의 오디오 출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5.1 채널의 인코딩된 영화 소스(510)가 입력되면 전자 장치(100)의 비디오/사운드 프로세서(520)는 TV 및 사운드 장치에 기초하여 영화 소스의 채널을 분리 및 믹싱하여 믹싱된 신호를 각각 TV 및 사운드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AV 출력 단자(530-1, 530-2)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TV에는 비디오 신호 및 프론트 3채널 소스(left, right, center)를 전송하고, 사운드 장치에는 리어 3채널 소스(surround L, surround R, center)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의 스피커에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DSP/BF(610), SRC(620), DP/Mixer(630), S/PDIF Formatter(640-1), S/PDIF Formatter for HDMI(640-2), DACs(651), I2S Outputs(652), S/PDIF Tx(653), HDMI Tx(654), S/PDIF Rs (ARC)(655), I2S input(656) 및 HDMI Rx(65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DSP/BF(610)에 5.1 채널 오디오 소스가 입력되고, 전자 장치(100)에 2.1 채널의 음향 출력 장치(200)가 입력된 경우로 가정한다. 이 경우, DSP(610)에서 5.1 채널 오디오 소스는 디코딩되어 각각의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이후, DP/Mixer(630)에서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및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각각을 센터(center) 채널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 중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 센터(center) 채널 및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 센터(center) 채널을 내부 스피커(120)가 연결된 DAC 단자로 출력하고,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 센터(center) 채널 및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 센터(center) 채널을 음향 출력 장치(200)가 연결된 SPDIF 출력단으로 출력하여, 5.1 채널의 오디오 출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120)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는 모노 스피커(801), 스테레오 스피커(802), 2.1 채널 스피커(803), 3.1 채널 스피커(804), 5.1 채널 스피커(805) 및 스피커 없음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스피커(120)의 오디오 출력 타입이 스테레오 출력인 경우, 사용자는 스테레오 스피커(802)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내부 스피커(120)가 스테레오 출력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갖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음향 출력 장치(200)의 외부 스피커(220)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는 모노 스피커(801), 스테레오 스피커(802), 2.1 채널 스피커(803), 3.1 채널 스피커(804), 5.1 채널 스피커(805) 및 스피커 없음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스피커(220)의 오디오 출력 타입이 2.1 채널 오디오 출력인 경우, 사용자는 2.1 채널 스피커(803)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스피커(220)가 2.1 채널 출력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갖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내부 스피커(120) 및 외부 스피커(220)의 오디오 출력 타입이 인식되면, 인식된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설명하면서, 내부 스피커(120) 및 외부 스피커(220)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UI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고, 선택된 오디오 출력 타입을 내부 스피커(120) 및 외부 스피커(220)의 오디오 출력 타입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가 직접 내부 스피커(120) 및 외부 스피커(220)의 오디오 출력 타입을 인식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외부 스피커(220)와 유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외부 스피커(220)가 연결된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는 DAC(1001), HDMI(1002) 및 SPDIF(1003)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외부 스피커(220)와 SPDIF 단자로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SPDIF(1003)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외부 스피커(220)와 SPDIF 단자로 연결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설명하면서, 전자 장치(100)와 외부 스피커(220)가 연결된 단자를 사용자가 UI를 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단자를 전자 장치(100)와 외부 스피커(220)가 연결된 단자로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가 직접 외부 스피커(220)와 연결된 단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공 가능한 오디오 출력 환경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출력 환경을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내부 스피커(120) 및 외부 스피커(220)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한 오디오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UI는 모노 사운드(1101), 스테레오 사운드(1102), 2.1 채널 사운드(1103), 3.1 채널 사운드(1104), 4.1 채널 사운드(1105), 5.1 채널 사운드(1106), 6.1 채널 사운드(1107) 및 7.1 채널 사운드(1108)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UI는 8.1 채널 이상의 채널 사운드 아이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출력 환경이 5.1 채널 사운드인 경우, 사용자는 5.1 채널 사운드(1106)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5.1 채널 사운드의 오디오 출력 환경을 구현하도록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고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설명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출력 환경을 UI를 통하여 선택하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오디오 출력 환경을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장치(100)가 스스로 오디오 출력 환경을 결정하고 결정된 오디오 출력 환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스피커(120)가 스테레오 오디오 출력이고, 외부 스피커(220)가 2.1 채널 오디오 출력인 경우, 5.1 채널 오디오 출력 환경을 자동으로 구현하여, 구현 가능한 오디오 출력 환경 중 가장 다채널의 오디오 출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에 따르면, 우선 전자 장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1210). 여기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는 서로 다른 채널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에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한다(S1220). 여기서, 각 스피커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음향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우선 전자 장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1310). 여기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는 서로 다른 채널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분리한다(S1320).
이어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한다(S1330). 이 경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 및 음향 출력 장치에 구비된 외부 스피커의 개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는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한다(S1340).
또한, S1340 단계에서는, 전자 장치가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방법은,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및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방법은,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및 음향 출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 및 음향 출력 장치에서 지원되지 않는 채널의 오디오 출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출력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할당하여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서로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부
120: 내부 스피커 130: 프로세서
200: 음향 출력 장치 1000: 음향 시스템
120: 내부 스피커 130: 프로세서
200: 음향 출력 장치 1000: 음향 시스템
Claims (20)
-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할당하여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가 서로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고, 상기 UI 상에서 선택된 오디오 출력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는,
프론트(front) 채널, 센터(center) 채널 및 리어(rear)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내부 스피커에 상기 프론트 채널 신호 및 상기 센터 채널 신호를 할당하고, 상기 외부 스피커에 상기 리어 채널 신호 및 상기 센터 채널 신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상기 내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각각 할당하고,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상기 외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신호 출력 시간을 동기화하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단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스피커에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 및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장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 할당하여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가 서로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음향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에 있어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각각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할당하여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서로 다른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출력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스피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스피커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출력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UI 상에서 선택된 오디오 출력 환경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서로 다른 채널 신호 중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 신호를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각 스피커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는,
프론트(front) 채널, 센터(center) 채널 및 리어(rear)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내부 스피커에 상기 프론트 채널 신호 및 상기 센터 채널 신호를 할당하고, 상기 외부 스피커에 상기 리어 채널 신호 및 상기 센터 채널 신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레프트-프론트(left-front)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프론트(right-front)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상기 내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각각 할당하고,
레프트-리어(left-rear)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 라이트-리어(right-rear) 채널 및 상기 센터(center) 채널을 믹싱한 신호를 상기 외부 스피커를 구성하는 좌우 스피커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신호 출력 시간을 동기화하는 시분할 다중화(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스피커가 연결된 단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스피커에 상기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8847A KR20170031392A (ko) | 2015-09-11 | 2015-09-11 | 전자 장치, 음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 |
| US15/233,191 US20170078824A1 (en) | 2015-09-11 | 2016-08-10 | Electronic apparatus, audio system and audio output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8847A KR20170031392A (ko) | 2015-09-11 | 2015-09-11 | 전자 장치, 음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31392A true KR20170031392A (ko) | 2017-03-21 |
Family
ID=5823755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28847A Withdrawn KR20170031392A (ko) | 2015-09-11 | 2015-09-11 | 전자 장치, 음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70078824A1 (ko) |
| KR (1) | KR20170031392A (ko)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768791A (zh) * | 2020-06-28 | 2020-10-13 | 广州小鹏车联网科技有限公司 | 一种音频播放方法、装置和车辆 |
| WO2022119194A1 (ko) * | 2020-12-03 | 2022-06-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9947316B2 (en) | 2016-02-22 | 2018-04-17 | Sonos, Inc. | Voice control of a media playback system |
| US9772817B2 (en) | 2016-02-22 | 2017-09-26 | Sonos, Inc. | Room-corrected voice detection |
| US10264030B2 (en) | 2016-02-22 | 2019-04-16 | Sonos, Inc. | Networked microphone device control |
| US9965247B2 (en) | 2016-02-22 | 2018-05-08 | Sonos, Inc. | Voice controlled media playback system based on user profile |
| US9811314B2 (en) | 2016-02-22 | 2017-11-07 | Sonos, Inc. | Metadata exchange involving a networked playback system and a networked microphone system |
| US10142754B2 (en) | 2016-02-22 | 2018-11-27 | Sonos, Inc. | Sensor on moving component of transducer |
| US10095470B2 (en) | 2016-02-22 | 2018-10-09 | Sonos, Inc. | Audio response playback |
| US20180098150A1 (en) * | 2016-10-03 | 2018-04-05 | Blackfire Research Corporation | Multichannel audio interception and redirection for multimedia devices |
| US9978390B2 (en) | 2016-06-09 | 2018-05-22 | Sonos, Inc. | Dynamic player selection for audio signal processing |
| US10152969B2 (en) | 2016-07-15 | 2018-12-11 | Sonos, Inc. | Voice detection by multiple devices |
| US10134399B2 (en) | 2016-07-15 | 2018-11-20 | Sonos, Inc. | Contextualization of voice inputs |
| US10115400B2 (en) | 2016-08-05 | 2018-10-30 | Sonos, Inc. | Multiple voice services |
| US9693164B1 (en) | 2016-08-05 | 2017-06-27 | Sonos, Inc. | Determining direction of networked microphone device relative to audio playback device |
| US9794720B1 (en) | 2016-09-22 | 2017-10-17 | Sonos, Inc. | Acoustic position measurement |
| US9942678B1 (en) | 2016-09-27 | 2018-04-10 | Sonos, Inc. | Audio playback settings for voice interaction |
| US9743204B1 (en) | 2016-09-30 | 2017-08-22 | Sonos, Inc. | Multi-orientation playback device microphones |
| US10181323B2 (en) | 2016-10-19 | 2019-01-15 | Sonos, Inc. | Arbitration-based voice recognition |
| KR102340127B1 (ko) * | 2017-03-24 | 2021-12-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외부 장치들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
| US11183181B2 (en) | 2017-03-27 | 2021-11-23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of multiple voice services |
| US11356729B2 (en) * | 2017-05-03 | 2022-06-07 | Roku, Inc. | Cross-platform media redirection and interoperability |
| US10475449B2 (en) | 2017-08-07 | 2019-11-12 | Sonos, Inc. | Wake-word detection suppression |
| US10048930B1 (en) | 2017-09-08 | 2018-08-14 | Sonos, Inc. | Dynamic computation of system response volume |
| US10446165B2 (en) | 2017-09-27 | 2019-10-15 | Sonos, Inc. | Robust short-time fourier transform acoustic echo cancellation during audio playback |
| US10051366B1 (en) | 2017-09-28 | 2018-08-14 | Sonos, Inc. | Three-dimensional beam forming with a microphone array |
| US10482868B2 (en) | 2017-09-28 | 2019-11-19 | Sonos, Inc. | Multi-channel acoustic echo cancellation |
| US10621981B2 (en) | 2017-09-28 | 2020-04-14 | Sonos, Inc. | Tone interference cancellation |
| US10466962B2 (en) | 2017-09-29 | 2019-11-05 | Sonos, Inc. | Media playback system with voice assistance |
| US10880650B2 (en) | 2017-12-10 | 2020-12-29 | Sonos, Inc. | Network microphone devices with automatic do not disturb actuation capabilities |
| US10818290B2 (en) | 2017-12-11 | 2020-10-27 | Sonos, Inc. | Home graph |
| US11343614B2 (en) | 2018-01-31 | 2022-05-24 | Sonos, Inc. | Device designation of playback and network microphone device arrangements |
| US11175880B2 (en) | 2018-05-10 | 2021-11-16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voice-assisted media content selection |
| US10847178B2 (en) | 2018-05-18 | 2020-11-24 | Sonos, Inc. |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
| US10959029B2 (en) | 2018-05-25 | 2021-03-23 | Sonos, Inc. | Determining and adapting to changes in microphone performance of playback devices |
| US10681460B2 (en) | 2018-06-28 | 2020-06-09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with voice assistant services |
| US11076035B2 (en) | 2018-08-28 | 2021-07-27 | Sonos, Inc. | Do not disturb feature for audio notifications |
| US10461710B1 (en) | 2018-08-28 | 2019-10-29 | Sonos, Inc. | Media playback system with maximum volume setting |
| US10587430B1 (en) | 2018-09-14 | 2020-03-10 | Sonos, Inc. |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ssociating playback devices based on sound codes |
| US10878811B2 (en) | 2018-09-14 | 2020-12-29 | Sonos, Inc. | Network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ly deactivating wake-word engines |
| US11024331B2 (en) | 2018-09-21 | 2021-06-01 | Sonos, Inc. |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using sound metadata |
| US10811015B2 (en) | 2018-09-25 | 2020-10-20 | Sonos, Inc. | Voice detection optimization based on selected voice assistant service |
| US11100923B2 (en) | 2018-09-28 | 2021-08-24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ake word detection using neural network models |
| US10692518B2 (en) | 2018-09-29 | 2020-06-23 | Sonos, Inc. | Linear filtering for noise-suppressed speech detection via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
| US11899519B2 (en) | 2018-10-23 | 2024-02-13 | Sonos, Inc. | Multiple stage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processing load |
| EP3654249A1 (en) | 2018-11-15 | 2020-05-20 | Snips | Dilated convolutions and gating for efficient keyword spotting |
| US11183183B2 (en) | 2018-12-07 | 2021-11-23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ng media playback systems having multiple voice assistant services |
| US11132989B2 (en) | 2018-12-13 | 2021-09-28 | Sonos, Inc. | Networked microphon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localized arbitration |
| US10602268B1 (en) | 2018-12-20 | 2020-03-24 | Sonos, Inc. | Optimization of network microphone devices using noise classification |
| US11315556B2 (en) | 2019-02-08 | 2022-04-26 | Sonos, Inc.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by transmitting sound data associated with a wake word to an appropriate device for identification |
| US10867604B2 (en) | 2019-02-08 | 2020-12-15 | Sonos, Inc.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voice processing |
| US11120794B2 (en) | 2019-05-03 | 2021-09-14 | Sonos, Inc. | Voice assistant persistence across multiple network microphone devices |
| US10586540B1 (en) | 2019-06-12 | 2020-03-10 | Sonos, Inc. |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conditioning |
| US11200894B2 (en) | 2019-06-12 | 2021-12-14 | Sonos, Inc. | Network microphone device with command keyword eventing |
| US11361756B2 (en) | 2019-06-12 | 2022-06-14 | Sonos, Inc. | Conditional wake word eventing based on environment |
| US11138975B2 (en) | 2019-07-31 | 2021-10-05 | Sonos, Inc. |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
| US11138969B2 (en) | 2019-07-31 | 2021-10-05 | Sonos, Inc. | Locally distributed keyword detection |
| US10871943B1 (en) | 2019-07-31 | 2020-12-22 | Sonos, Inc. | Noise classification for event detection |
| US11189286B2 (en) | 2019-10-22 | 2021-11-30 | Sonos, Inc. | VAS toggle based on device orientation |
| US11200900B2 (en) | 2019-12-20 | 2021-12-14 | Sonos, Inc. | Offline voice control |
| US11562740B2 (en) | 2020-01-07 | 2023-01-24 | Sonos, Inc. | Voice verification for media playback |
| US11556307B2 (en) | 2020-01-31 | 2023-01-17 | Sonos, Inc. | Local voice data processing |
| US11308958B2 (en) | 2020-02-07 | 2022-04-19 | Sonos, Inc. | Localized wakeword verification |
| US11308962B2 (en) | 2020-05-20 | 2022-04-19 | Sonos, Inc. | Input detection windowing |
| US11482224B2 (en) | 2020-05-20 | 2022-10-25 | Sonos, Inc. | Command keywords with input detection windowing |
| US11727919B2 (en) | 2020-05-20 | 2023-08-15 | Sonos, Inc. | Memory allocation for keyword spotting engines |
| US12387716B2 (en) | 2020-06-08 | 2025-08-12 | Sonos, Inc. | Wakewordless voice quickstarts |
| US11698771B2 (en) | 2020-08-25 | 2023-07-11 | Sonos, Inc. | Vocal guidance engines for playback devices |
| CN112181353B (zh) * | 2020-10-15 | 2022-05-2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音频播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US12283269B2 (en) | 2020-10-16 | 2025-04-22 | Sonos, Inc. | Intent inference in audiovisual communication sessions |
| KR20220061537A (ko) | 2020-11-06 | 2022-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복수의 오디오 출력 장치와의 연결에 따른 오디오 출력 모드 설정 방법 |
| US11984123B2 (en) | 2020-11-12 | 2024-05-14 | Sonos, Inc. | Network device interaction by range |
| US11551700B2 (en) | 2021-01-25 | 2023-01-10 | Sono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efficient keyword detection |
| US11985494B2 (en) * | 2021-04-07 | 2024-05-14 | Steelseries Aps |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data to multiple audio logical devices |
| CN117836754A (zh) * | 2021-09-07 | 2024-04-05 |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 一种音频控制方法及显示设备 |
| WO2023056026A1 (en) | 2021-09-30 | 2023-04-06 | Sonos, Inc. | Enabling and disabling microphones and voice assistants |
| US12327549B2 (en) | 2022-02-09 | 2025-06-10 | Sonos, Inc. | Gatekeeping for voice intent processing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970152A (en) * | 1996-04-30 | 1999-10-19 | Srs Labs, Inc. | Audio enhancement system for use in a surround sound environment |
| JP4946305B2 (ja) * | 2006-09-22 | 2012-06-06 | ソニー株式会社 | 音響再生システム、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方法 |
| RU2607266C2 (ru) * | 2009-10-16 | 2017-01-10 | Фраунхофер-Гезелльшафт цур Фёрдерунг дер ангевандтен Форшунг Е.Ф. |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компьютерная программ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реднего знач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сигнала, подстроенных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представления микшированного с повышением сигнала на базе представления микшированного с понижением сигнала и параметрической сторонней информации, связанной с представлением микшированного с понижением сигнала |
| JP6013918B2 (ja) * | 2010-02-02 | 2016-10-25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 空間音声再生 |
-
2015
- 2015-09-11 KR KR1020150128847A patent/KR20170031392A/ko not_active Withdrawn
-
2016
- 2016-08-10 US US15/233,191 patent/US20170078824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768791A (zh) * | 2020-06-28 | 2020-10-13 | 广州小鹏车联网科技有限公司 | 一种音频播放方法、装置和车辆 |
| CN111768791B (zh) * | 2020-06-28 | 2023-10-31 | 广州易点智慧出行科技有限公司 | 一种音频播放方法、装置和车辆 |
| WO2022119194A1 (ko) * | 2020-12-03 | 2022-06-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 방법 |
| US12375852B2 (en) | 2020-12-03 | 2025-07-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ultichannel audio output method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20170078824A1 (en) | 2017-03-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70031392A (ko) | 전자 장치, 음향 시스템 및 오디오 출력 방법 | |
| US10158946B2 (en) | Speaker discovery and assignment | |
| US9832524B2 (en) | Configuring television speakers | |
| EP2904819B1 (en) | Providing a multi-channel and a multi-zone audio environment | |
| KR102533698B1 (ko) | 음향 출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 장치, 음향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 US8457334B2 (en) | Audio apparatus, audio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udio system | |
| CN105530566A (zh) | 声音输出设备、声音输出系统及其控制方法 | |
| AU2014295217B2 (en) | Audio processor for orientation-dependent processing | |
| EP2520100A1 (en) | Self-powered audio speaker having modular components | |
| US11388543B2 (en)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configuring and routing a multichannel audio file | |
| WO2022042578A1 (zh) | 显示设备、无线发射装置及音频输出控制方法 | |
| CN105681967A (zh) |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和音频输出系统 | |
| US20130315417A1 (en) | Bluethooth-to-rf tranceiver | |
| JP2016178422A (ja) | 音声無線伝送システム、スピーカ機器、及びソース機器 | |
| JP2016174226A (ja) | 音声無線伝送システム、スピーカ機器、及びソース機器 | |
| KR100677632B1 (ko) | 멀티채널 설정장치 및 그 방법 | |
| JP2013140354A (ja) |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制御方法 | |
| KR20150079514A (ko) |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오디오 신호 전송 방법, 그리고 오디오 시스템 | |
| KR20250076899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 CN118476248A (zh) | 通过使用无线电传输来扩展7声道音频的设备和方法 | |
| JP2016178396A (ja) | 音声無線伝送システム、スピーカ機器、及びソース機器 | |
| JP2023007870A (ja) | 表示装置および音声出力方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