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258A - Sensing circuit and databus circuit for eeprom - Google Patents
Sensing circuit and databus circuit for eepr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8258A KR20170038258A KR1020150137362A KR20150137362A KR20170038258A KR 20170038258 A KR20170038258 A KR 20170038258A KR 1020150137362 A KR1020150137362 A KR 1020150137362A KR 20150137362 A KR20150137362 A KR 20150137362A KR 20170038258 A KR20170038258 A KR 201700382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e amplifier
- data bus
- terminal
- voltage
- transis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700032832 MP-3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G11C16/28—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using differential sensing or reference cells, e.g. dummy cel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62—Differential amplifiers of non-latching type, e.g. comparators, long-tailed pairs
Landscapes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CU용 이이피롬(EEPROM)에 적용되는 센스앰프 및 데이터 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동증폭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센싱속도를 향상시키고, 분산된 데이터버스 구조를 적용하여 데이터버스의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키며, 리드 데이터 스위치 회로에서 비트라인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ense amplifier and a data bus applied to an EEPROM for an MCU.
For this purpose, a differential amplifier is used to improve the data sensing speed, a distributed data bus structure is applied to improve the switching speed of the data bus, and the bit line switching speed can be improved in the read data switch circu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엠씨유(MCU: Micro Controller Unit)용 이이피롬(EEPROM)에 적용되는 센스앰프 및 데이터 버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동증폭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센싱속도를 향상시키고, 분산된 데이터버스 구조를 적용하여 데이터버스의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키며, 리드 데이터 스위치 회로에서 비트라인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이피롬의 센싱 회로 및 데이터버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설계자산(NVM IP: Non-Volatile Memory Intellectual Property)은 스마트 카드와 비접촉 카드, 모바일 통신, 자동화 응용제품의 MCU 등의 SOC(System On Chip)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고속의 읽기와 쓰기동작 및 저 전력 소비의 특성을 가진 비휘발성 메모리가 요구되고 있다. 실시간으로 정보를 갱신하거나, 보안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명령코드를 저장 등의 기능을 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용 내장형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명령 코드 저장용인 OTP(One-Time Programmable) 메모리와 사용자 데이터 저장을 위한 내장형 EEPROM 메모리가 사용되고 있으며 1Mb 이하의 비휘발성 메모리로는 EEPROM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non-volatile memory intellectual property (NVM IP) is used in SOC (System On Chip) field of smart card, non-contact card, mobile communication, And a nonvolatile memory having characteristics of a write operation and a low power consumption. It is an embedded non-volatile memory for microcontroller unit (MCU) that performs functions such as updating information in real time, storing security data, and storing instruction code. It is composed of OTP (One-Time Programmable) EEPROM memory is used for non-volatile memory of 1Mb or less.
근래 들어, EEPROM의 저면적화, 저전력화 및 고속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EEPROM의 저면적화를 위해 SSTC 방식의 EEPROM 셀이 제안되었고, EEPROM 셀 어레이(cell array)에서 매 워드(word) 단위로 분리되었던 HPW(High-Voltage P-Well)를 동작 모드별로 동일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인접한 2 워드 단위로 HPW를 공유하여 EEPROM 셀 어레이의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EEPROM의 저전력화를 위한 일환으로써 대기(Stand-by) 전류를 줄이기 위해 기준전압 발생회로가 필요 없는 디지털 센싱 방식의 DB(Data Bus) 센싱 회로 및 저전력 DC-DC 변환 회로가 제안되었다. 또한, EEPROM의 고속화를 위해 분할된 DB 방식의 회로가 제안되었다. 그리고, EEPROM의 기능을 테스트할 때 테스트 시간을 줄이기 위해 32 워드(512bit)의 페이지 버퍼 회로를 사용하였다. 이밖에, EEPROM 셀의 드레쉬홀드 전압 가변을 보증하기 위해 웨이퍼 테스트 시 드레쉬홀드전압이 시프트되는 것을 감안하여 외부의 VRD 전압으로 EEPROM 셀을 리드(read)하는 라이트 확인을 위한 리드모드(Write-Verify-Read mode)가 제안되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lowering of the EEPROM, lower power consumption, and higher speed. An SSTC-type EEPROM cell has been proposed to reduce the size of the EEPROM. A high-voltage P-well (HPW), which has been separated in word units in an EEPROM cell arra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rea of the EEPROM cell array by sharing the HPW in units of two adjacent words. In order to reduce the stand-by current, a digital sensing DB (Data Bus) sensing circuit and a low-power DC-DC conversion circuit which do not require a reference voltage generating circuit have been proposed as part of the EEPROM power saving. Also, a divided DB type circuit has been proposed for the EEPROM speed up. To test the EEPROM function, a 32-word (512-bit) page buffer circuit was used to reduce the test time. In addition, in order to guarantee the variable voltage of the EEPROM cell, the drain voltage is shifted during the wafer test, and the read mode for reading the EEPROM cell with the external VRD voltage is used. Verify-Read mode) has been proposed.
종래 기술에 의한 0.18㎛ EEPROM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된 256Kb EEPROM IP의 주요 특징은 아래의 표와 같다. 상기 EEPROM은 SSTC(Side-wall Selective Transistor Cell) 구조의 EEPROM Cell이 사용되었으며, 여기서, VDD 전압은 1.8V이고, 온도 범위는 -40℃ ~ 85℃ 이다. 상기 EEPROM의 동작 모드는 page erase, page buffer load, page program, normal read, write-verify-read mode가 있다. 여기서, Page erase와 page program은 32 word 단위로 수행되며, page buffer load와 read 동작은 word 단위로 수행된다. The main features of the 256 Kb EEPROM IP designed using the conventional 0.18 탆 EEPROM proces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An EEPROM cell having a SSTC (Side-wall Selective Transistor Cell) structure is used as the EEPROM, where the VDD voltage is 1.8V and the temperature range is -40 ° C to 85 ° C. The operation modes of the EEPROM include a page erase, a page buffer load, a page program, a normal read, and a write-verify-read mode. Here, page erase and page program are performed in 32 word units, and page buffer load and read operations are performed in word unit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EEPROM IP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이피롬 셀 어레이(EEPROM Cell Array)(110), 로우 디코더(Row Decoder)(120), 페이지 버퍼(130), 데이터출력 버퍼(140), 컨트롤 로직부(150) 및 DC-DC 컨버터(160)를 포함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EEPROM IP. As shown in FIG. 1, an
이이피롬 셀 어레이(110)는 옵션 메모리(111), 데이터 메모리(112) 및 프로그램 메모리(113)를 구비한다. The
로우 디코더(120)는 로우 어드레스 A[15:6]를 디코딩하여 옵션 메모리(111)의 워드라인 WL_OM[1:0], 데이터 메모리(112)의 워드라인 WL_DM[3:0] 및 프로그램 메모리(113)의 워드라인 WL_PM[255:0] 중에서 하나의 워드라인을 활성화(activation)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페이지 버퍼(130)는 상기 이이롬 셀 어레이(110)에 대한 라이트 테스트 시간(Write test time)을 줄이기 위해 32워드(word)의 페이지 버퍼로 구현되며, 라이트 데이터 스위치를 구비한다.The
데이터출력 버퍼(140)는 RD(Read Data) S/A(Sense Amplifier)와 출력데이터 버퍼(Dout buffer)로 구성되며, 리드 데이터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이이롬 셀 어레이(110)에서 선택된 워드 셀(word cell)의 데이터는 상기 RD S/A를 통해 센싱된 후 상기 출력데이터 버퍼를 통해 DOUT[15:0] 포트로 출력된다. The
컨트롤 로직부(150)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이이롬 셀 어레이(110)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페이지 버퍼 로드 모드에서 컬럼 어드레스 A[4:0]를 이용하여 입력된 워드 데이터 DIN[15:0]을 상기 페이지 버퍼(130)에 로드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로직부(150)는 리드 모드(Read mode)에서 상기 데이터 출력버퍼(140)에 컬럼 어드레스 A[5:0]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출력버퍼(140)는 내부의 RD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워드라인(WL)에 연결된 64개의 워드 셀(word cell) 중에서 선택된 워드 셀의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The
DC-DC 컨버터(160)는 상기 이이롬 셀 어레이(110)에 대한 리드 모드에서 필요로 하는 VRD(read voltage) 전압 및 라이트 모드(Write mode)에서 필요로 하는 VPP와 VPPL 전압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DC-
상기 도 1의 EEPROM IP에 적용되는 인터페이스 신호로서 제어 신호(RSTb, PWRDN, RD, ERS, PGM, LOAD와 WVRb), 어드레스 신호 A[15:0], 입력데이터 신호 DIN[15:0] 및 출력데이터 신호 DOUT[15:0]가 있다. The address signal A [15: 0], the input data signal DIN [15: 0], and the output signal DIN [15: 0] as the interface signals applied to the EEPROM IP of FIG. 1 as control signals RSTb, PWRDN, RD, ERS, PGM, LOAD and WVRb, And data signal DOUT [15: 0].
도 2는 EEPROM IP에 적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버스 센싱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풀업 트랜지스터부(210), 제2 풀업 트랜지스터부(220) 및 센싱앰프부(230)를 포함한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ventional digital data bus sensing applied to the EEPROM IP. As shown in FIG. 2, a first pull-
제1 풀업 트랜지스터부(210)는 EEPROM IP의 EEPROM 셀에 대한 읽기 동작을 수행할 때, 데이터버스(DB)를 전원전압(VDD)으로 프리차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pull-
제2 풀업 트랜지스터부(220)는 상기 EEPROM 셀로부터 '1'로 프로그램된 데이터를 읽어낼 때 발생하는 데이터버스(DB)의 리퀴지(Leakage) 현상에 의한 전압 강하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pull-
센싱앰프부(230)는 상기 데이터버스(DB)로 전달된 데이터를 증폭 및 래치하여 데이터출력단자에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버스 센싱 회로는 별도의 기준전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전력소모가 적고 회로구성이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저면적을 필요로 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digital data bus sensing circu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reference voltage, it consumes less power and has a relatively simple circuit configuration,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requires a small area.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데이터버스 센싱 회로는 데이터 센싱 방식이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으로서 인버터의 VIH(Input High Voltage) 및 VIL(Input Low Voltage) 전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버스 전압이 VIH 이상으로 상승되거나 VIL 이하로 하강되어야만 정확하게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igital data bus sensing circuit, since the data sensing method uses V IH (Input High Voltage) and V IL (Input Low Voltage) of the inverter as a method of outputting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a clock signal, Data can be accurately sensed only when the bus voltage rises above V IH or falls below V IL .
종래 기술에 의한 리드데이터 센스앰프에서 클럭 인버터의 정규화(Normalize)된 VIL과 VIH 값은 각각 0.417, 0.687이며, '0'으로 프로그램된 EEPROM 셀의 경우 정규화된 데이터버스 전압이 0.417 이하로 떨어져야만 센싱이 가능하고 여기에 센싱 마진을 고려할 경우 더 낮은 전압에서 센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버스 전압이 충분히 방전 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므로 억세스 타임이 50ns 이하의 고속 동작을 요구하는 EEPROM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e normalized V IL and V IH of the clock inverter in the prior art read data sense amplifier Values are 0.417 and 0.687, respectively. In the case of an EEPROM cell programmed with '0', sensing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normalized data bus voltage falls below 0.417, and sensing is performed at a lower voltage when the sensing margin is considered. In this case, since it takes time until the data bus voltage is sufficiently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used in an EEPROM requiring a high-speed operation with an access time of 50 ns or les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엠씨유(MCU)를 위한 이이피롬(EEPROM)에서 차동증폭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버스의 센싱속도를 향상시키고, 분산된 데이터버스 구조를 적용하여 데이터버스의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키며, 리드 데이터 스위치 회로에서 비트라인 스위칭 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ensing speed of a data bus using a differential amplifier in an EEPROM for an MCU and to improve the switching speed of the data bus by applying a distributed data bus structure And to improve the bit line switching speed in the read data switch circuit.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이피롬의 센싱회로는, 이피롬 셀의 읽기 모드에서 데이터버스를 전원전압으로 프리차지시키는 제1 풀업 트랜지스터부; 상기 이이피롬 셀로부터 프로그램된 데이터를 읽어낼 때 발생하는 데이터버스의 리퀴지(Leakage) 현상에 의한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한 제2 풀업 트랜지스터부; 및 상기 이이피롬 셀에 연결된 데이터버스의 전압과 기준전압의 차전압을 차동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센스 앰프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nsing circuit of an i-ropolumn including a first pull-up transistor unit for precharging a data bus to a power supply voltage in a reading mode of an epromascent cell; A second pull-up transistor unit for preventing a voltage drop due to a leaking phenomenon of a data bus occurring when data programmed from the dipole cell is read; And a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unit for differentially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difference voltage between the voltage of the data bus connected to the dipole cell and the reference voltag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이피롬의 데이터버스 회로는, 이이피롬 셀 어레이; 상기 이이피롬 셀 어레이에 대하여 8개로 분할된 차동센스앰프를 구비하는 차동센스앰프부; 상기 이이피롬 셀 어레이의 8개로 분할된 복수 개의 비트라인과 상기 차동센스앰프부의 8개로 분할된 복수 개의 데이터버스를 각기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차동센스앰프부와 데이터출력단자의 사이에 8개로 분할된 출력버퍼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bus circuit of an I-Pillar, including: an I-PIL cell array; A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unit including a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divided into eight for the i-pill cell array;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each of a plurality of bit lines divided into eight parts of the i-pill cell array and a plurality of data buses divided into eight parts of th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part; And an output buffer divided into eight sections between th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section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본 발명은 차동증폭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버스의 센싱속도를 향상시켜 그만큼 억세스 시간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ensing speed of the data bus using a differential amplifier, thereby improving the access time.
또한, 본 발명은 리드 데이터 스위치 회로에서 센스라인 스위치부에 직렬 연결된 구조의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스위치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억세스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access time is shortened by adopting one switch structure without using a switch connected in series to the sense line switch unit in the read data switch circuit.
또한, 본 발명은 분산된 데이터버스 구조를 적용하여 데이터 버스의 기생 커패시턴스 성분이 줄임으로써, 그만큼 스위칭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parasitic capacitance component of the data bus by applying a distributed data bus structure, thereby improving the switching spe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EEPROM IP의 블록도이다.
도 2는 EEPROM IP에 적용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버스 센싱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이피롬의 센싱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이피롬의 데이터버스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위치부에 구비된 리드 데이터 스위치회로도이다.
도 6은 8개와 4개로 분할된 데이터 버스 구조에 대한 실험 결과의 그래프이다.
도 7은 비트라인 스위치부의 스위치 구조에 따른 비트라인 프리차징의 실험결과 그래프이다.
도 8의 (a),(b)는 데이터버스의 센싱전압과 기준전압의 전압 차에 대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EEPROM IP에 대한 실험 결과의 파형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EPROM IP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onventional digital data bus sensing circuit diagram applied to EEPROM IP.
3 is a sensing circuit diagram of the i-p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the data bus circuit of the I-pi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of a read data switch included in the switch unit of FIG.
6 is a graph of experimental results for a data bus structure divided into eight and four.
FIG. 7 is a graph of bit line precharging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switch structure of the bit line switch part.
8A and 8B are graphs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voltage of the data bus and the reference voltage.
FIG. 9 is a waveform diagram of an experimental result on an EEPROM IP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이피롬의 센싱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풀업 트랜지스터부(310), 제2 풀업 트랜지스터부(320) 및 차동증폭기 타입의 차동센스앰프부(330)를 포함한다.FIG. 3 is a sensing circuit diagram of the eipu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pull-
제1 풀업 트랜지스터부(310)는 EEPROM IP의 셀에 대한 읽기 동작을 수행할 때, 데이터버스(DB)를 전원전압(VDD)로 프리차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pull-
이를 위해, 상기 제1 풀업 트랜지스터부(310)는
프리차지전압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I31); 및 양측 단자가 전원전압(VDD)과 데이터 버스(DB)에 각기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인버터(I31)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모스 트랜지스터(MP31)를 구비한다.To this end, the first pull-
제2 풀업 트랜지스터부(320)는 상기 EEPROM 셀로부터 '1'로 프로그램된 데이터를 읽어낼 때 발생하는 데이터버스(DB)의 리퀴지(Leakage) 현상에 의한 전압 강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pull-
이를 위해, 상기 제2 풀업 트랜지스터부는 양측 단자가 전원전압(VDD)과 데이터 버스(DB)에 각기 연결된 모스 트랜지스터(MP32); 및 접지단자와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MP32)의 사이에 연결된 저항(R31)을 구비한다. 여기서, 'MP'는 P채널 모스 트랜지스터(피모스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To this end, the second pull-up transistor unit includes a MOS transistor MP32 whose both terminals a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data bus DB, respectively; And a resistor R31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terminal and the MOS transistor MP32. Here, 'MP' means a P-channel MOS transistor (PMOS transistor).
차동센스앰프부(330)는 D형 플립플롭 타입의 차동센스앰프(331)와 래치부(332)를 구비하여 데이터버스(DB)의 전압과 기준전압(VREF_RD)의 차전압을 증폭해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The differential
이를 위해, 상기 차동센스앰프부(330)는 전원전압(VDD)과 세트노드(SN) 사이에 병렬 연결된 게이트에 센스앰프인에이블신호(SAEN)가 인가되는 모스트랜지스터(MP33) 및 게이트가 리세트노드(RN)에 연결된 모스트랜지스터(MP34); 전원전압(VDD)과 리세트노드(RN) 사이에 병렬 연결된 게이트가 세트노드(SN)에 연결된 모스트랜지스터(MP35) 및 게이트에 센스앰프인에이블신호(SAEN)가 인가되는 모스트랜지스터(MP36); 일측 단자가 상기 세트노드(SN)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리세트노드(RN)에 연결된 모스 트랜지스터(MN31); 일측 단자가 상기 리세트노드(RN)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세트노드(SN)에 연결된 모스 트랜지스터(MN32); 일측 단자가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MN31)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데이터버스(DB)에 연결된 모스 트랜지스터(MN33); 일측 단자가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MN32)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기준전압(VREF_RD)에 연결된 모스 트랜지스터(MN34); 센스앰프인에이블반전신호(SAENb)를 반전출력하는 인버터(I32); 및 일측 단자가 상기 모스 트랜지스터(MN33),(MN34)의 타측 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단자에 연결되며, 게이트가 상기 인버터(I32)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모스트랜지스터(MN35)를 구비한다. 여기서,'MP'은 P채널 모스 트랜지스터(피모스 트랜지스터)를 의미하고, 'MN'은 N채널 모스 트랜지스터(엔모스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To this end, th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unit 330 includes a MOS transistor MP33 to which a sense amplifier enable signal SAEN is applied to a gat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a set node SN, A MOS transistor MP34 connected to the node RN; A MOS transistor MP35 having a gat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reset node RN and connected to the set node SN and a MOS transistor MP36 having a gate to which a sense amplifier enable signal SAEN is applied; A MOS transistor MN31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t node SN and a gate connected to the reset node RN; A MOS transistor MN32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reset node RN and a gate connected to the set node SN; A MOS transistor MN33 whose 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MOS transistor MN31 and whose gate is connected to the data bus DB; A MOS transistor MN34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MOS transistor MN32 and a gate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_RD; An inverter I32 inverting the sense amplifier enable inversion signal SAENb; And a MOS transistor MN35 whose one terminal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MOS transistors MN33 and MN34 and whos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whose gate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I32 Respectively. Here, 'MP' means a P-channel MOS transistor (PMOS transistor), and 'MN' means an N-channel MOS transistor (NMOS transistor).
이를 위해 상기 래치부(332)는 일측 단자가 상기 세트노드(SN)와 리세트노드(RN)에 각기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상대 낸드게이트의 출력단자에 각기 연결되어 래치를 구성하는 낸드게이트(ND31),(ND32); 및 상기 낸드게이트(ND31),(ND32)의 출력신호를 각기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I33),(I34)를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센스앰프인에이블신호(SAEN)가 일정 레벨 이상의'하이'로 공급되면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MP35,MP36)가 턴오프되고, 이에 의해 세트노드(SN)와 리세트노드(RN)가 '하이'가 되므로 래치부(332)의 리드데이터(RD)는 원래의 값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버스(DB)를 통해 센싱전압이 입력되고 센스앰프인에이블반전신호(SAENb)가 일정 레벨 이하의 '로우'로 천이되면 트랜지스터(MP35,MP36)는 턴오프되는 반면, 트랜지스터(MN31,MN33,MN35)가 턴온된다. 이에 따라, 세트노드(SN)는 풀다운되고, 트랜지스터(MN32)가 턴온되며, 트랜지스터(MN34)가 턴오프되는데, 이에 의해 리세트노드(RN)는 계속 '하이'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차동센스앰프(331)에서 데이터버스(DB)의 전압과 기준전압(VREF_RD)의 차전압이 증폭된 후 래치부(332)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데이터버스(DB)를 통해 전달되는 센싱전압이 상기 기준전압(VREF_RD)보다 높으면 상기 래치부(332)에서 VDD 레벨의 '하이'가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 센싱전압이 상기 기준전압(VREF_RD)보다 낮으면 상기 세트노드(SN)는 '하이'로 되고, 리세트노드(RN)는 '로우'로 되어 상기 래치부(332)에서 0V의 '로우'가 출력된다. 상기 리세트노드(RN)가 일단 풀다운되면 트랜지스터(MN32)가 턴오프되므로 상기 데이터버스(DB)의 전압이 변화되어도 출력전압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센스앰프인에이블반전신호(SAENb)가 '하이'로 천이되면 상기 세트노드(SN)와 리세트노드(RN)가 다시'하이'로 되어 상기와 같은 증폭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When the sense amplifier enable signal SAEN is supplied at a high level equal to or higher than a certain level, the transistors MP35 and MP36 are turned off thereby causing the set node SN and the reset node RN to be 'high' The read data RD of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이피롬의 데이터버스 회로에 대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이피롬 셀 어레이(110), 스위치부(410), 차동센스앰프부(420) 및 출력버퍼부(430)를 구비한다.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bus circuit of the I-pi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I-
차동센스앰프부(420)는 하나의 이이피롬 셀 어레이(110)에 대하여 8개로 분할된 차동센스앰프를 구비하며, 상기 차동센스앰프는 도 3과 같은 구조의 이이피롬 센싱회로를 16개 씩 구비한다. The differential
이와 같은 구조의 차동센스앰프부(420)에 대응하여, 상기 이이피롬 셀 어레이(110)와 상기 차동센스앰프부(420)의 사이에 스위치부(410)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부(410)는 8개로 분할된 리드데이터 스위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리드데이터 스위치부에는 128개의 리드데이터 스위치가 구비된다. A
또한, 상기 차동센스앰프부(420)에 대응하여, 상기 차동센스앰프부(420)와 데이터출력단자 DOUT[15:0]의 사이에 8개로 분할된 출력버퍼를 구비하는 출력버퍼부(430)가 구비된다. An
데이터버스(DB)에 존재하는 기생 커패시터 성분은 차동센스앰프부(420)의 동작속도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는 주로 DB의 인터커넥트(interconnect) 커패시턴스, NMOS 트랜지스터의 정션(Junction) 커패시턴스, 게이트 오버랩(Gate overlap Capacitance성)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parasitic capacitor component present in the data bus DB affects the operation speed of the differential
실험결과, 상기 차동센스앰프부(420)에 존재하는 기생 커패시턴스는 차동센스앰프부(420)의 분할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As a result of experimen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parasitic capacitance existing in the differential
실험 결과에 따르면, 상기 차동센스앰프부(420)를 4개의 차동센스 앰프로 분할하는 구조에서는 56.6fF의 인터커넥트 커패시턴스, 12.9fF의 정션 커패시턴스 및 0.817fF의 게이트 오버랩 커패시턴스를 갖는 5V NMOS 트랜지스터가 16개 씩 연결되어 있어 전체 기생 커패시턴스는 276.3fF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fferential
이에 비하여, 상기와 같이 8개로 분할된 차동센스앰프를 구비하는 차동센스앰프부(420)에서는 인터커넥트 커패시턴스가 32fF 정도로 줄어들어 전체 기생 커패시턴스 141.816fF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DB 디스차지 시간이 그만큼 감소되어 고속의 데이터 센싱이 가능하다.
In contrast, in the differential
한편, 도 5는 도 4의 스위치부에 구비된 리드 데이터 스위치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라인 스위칭 제어부(510), 비트라인 스위치부(520) 및 센스라인 스위치부(530)를 포함한다.5 is a circuit diagram of a read data switch included in the switch unit of FIG. 4, and includes a bit line
비트라인 스위칭 제어부(510)는 제어신호(RDEN, YPRE0, YPRE1)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CS)를 출력한다. 비트라인 스위치부(520)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CS)에 따라 트랜지스터(MN5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비트라인(BL)을 데이터버스(DB)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센스라인 스위치부(530)는 인에이블신호(SRC_EN)에 따라 스위치(MN55)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센스라인(SL)을 접지단자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bit line
EEPROM IP의 읽기 모드에서 동작할 때 상기 비트라인 스위치부(520)는 컬럼 어드레스에 의해 선택된 비트라인(BL)을 데이터버스(DB)에 연결시켜 이이피롬 셀 어레이의 데이터를 도 4의 차동센스앰프부(420)의 해당 센스앰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When operating in a read mode of EEPROM IP, the bit
EEPROM IP의 쓰기 모드에서 동작할 때 상기 비트라인(BL)에는 VPP(14V) 또는 VPPL(11V)과 같은 고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스위칭 트랜지스터(MN54)는 고전압에 견딜 수 있는 네이티브(Native) HV NMOS 트랜지스터가 사용되었다. 네이티브 트랜지스터의 특성상 0.3V 정도의 낮은 드레쉬홀드 전압 값을 갖기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MN54)가 VDDP(=3.15V) 전압으로 구동될 경우 최대 1.98V(VDD)의 전압이 인가되는 비트라인(BL)과 데이터버스(DB) 간에 손실없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Since the high voltage such as VPP (14V) or VPPL (11V) is applied to the bit line BL when operating in the write mode of EEPROM IP, the switching transistor MN54 is a Native HV NMOS transistor Was used. The bit line BL to which a voltage of 1.98V (VDD) is applied when the transistor MN54 is driven with a voltage of VDDP (= 3.15V) because it has a low threshold voltage of about 0.3V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ve transistor. And the data bus (DB) without loss.
EEPROM IP의 지우기 모드에서 비트라인(BL)에 14V가 인가되고 데이터버스(DB)는 VDD 전압으로 프리차지된 경우 턴오프된 상기 트랜지스터(MN54)를 통해 81nA(10pA/㎛ × 8㎛ × 1024EA) 정도의 오프 리퀴지(Off-Leakage) 전류가 흐르게 된다. (10 pA / 占 퐉 占 8 占 퐉 占 1024EA) through the transistor MN54 turned off when 14V is applied to the bit line BL in the EEPROM IP erase mode and the data bus DB is precharged to the VDD voltage, Off-leakage current flows.
저전력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프 리퀴지(Off-Leakage 전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써 비트라인 스위치부(520)에 직렬로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오프 리퀴지 전류를 9.2nA(3pA/㎛ × 3㎛ × 1024EA) 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the off-leakage current, a transistor connected in series to the bit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직렬 연결된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온(On) 전류가 줄어들게 되어 비트라인(BL)의 프리차징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요구된 프리차지 구간 내에서 비트라인(BL)의 전압이 VDD 전압까지 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1'로 프로그램 된 EEPROM 셀을 읽는 경우 데이터베이스(DB)의 전압강하로 인해 안정적인 데이터 센싱이 불가능하게 된다. However, in this case, the ON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ries-connected transistors is reduced, and the precharging time of the bit line BL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voltage of the bit line BL within the required pre- The voltage can not be reached. Due to this phenomenon, when reading the EEPROM cell programmed with '1', stable data sensing becomes impossible due to the voltage drop of the database (DB).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라인 스위치부(520)에서 하나의 트랜지스터(MN54)만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비트라인(BL)의 프리차지 시간이 단축되어 그만큼 억세스 시간이 빠르게 된다. 또한 '1'로 프로그램 된 EEPROM 셀을 읽는 경우 발생하는 데이터버스(DB)의 전압강하 현상이 제거되어 안정적인 데이터 센싱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only one transistor MN54 is used in the bit
도 6은 VDD=1.62V, VDDP=3.0V, Temp.=85℃, 슬로우 모델 파라미터(slow model parameter)의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상기 도 4와 같이 8개로 분할된 데이터 버스(DB) 구조와 4개 분할된 구조의 데이터 버스(DB)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기준전압은 0.75VDD 이며 DB 센싱 전압(ΔV)을 확보하기 위해 0.5VDD 전압에서 센스앰프인에이블반전신호(SAENb)에 의해 센싱되도록 설계하였다. 0.5VDD 전압 기준 4개로 분리된 구조와 8개로 분리된 구조의 DB 디스차징 시간은 각각 43.22ns와 40.01ns 으로 약 3.21ns 정도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 6 shows a data bus (DB) structure divided into 8 parts as shown in FIG. 4 in a simulation condition of VDD = 1.62V, VDDP = 3.0V, Temp. = 85 ° C and a slow model parameter, (DB) of the data bus structure of FIG. Here, the reference voltage is 0.75 VDD and designed to be sensed by the sense amplifier enable inversion signal (SAENb) at 0.5 VDD voltage to secure the DB sensing voltage (? V). The DB dis- charging time of the four separated structures and the eight separated structures of 0.5 VDD voltage are 43.22 ns and 40.01 ns, respectively, which is about 3.21 ns.
도 7은 상기 도 5에서와 같이 비트라인 스위치부(520)에서 직렬 연결된 두 개의 트랜지스터 중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제거한 것과 종래와 같이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경우에 대한 비트라인(BL) 프리차징 모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프리차지 시간 동안 비트라인 스위치부(520)에 직렬 연결된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그대로 사용한 경우와 하나를 제거한 경우 비트라인(BL)의 전압이 0.75VDD 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각각 10.7ns와 2.96ns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상기 도 5에서와 같이 비트라인 스위치부(520)에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경우 프리차지 시간 동안 비트라인(BL)의 전압은 거의 VDD 전압에 근접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모의실험 조건에서는 워스트 케이스(Worst Case)인 VDD=1.98V, VDDP=3.0V, Temp.=-40℃, SS 모델 파라미터를 사용하였다.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a result of removing one transistor out of two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in the bit
도 8은 상기 도 3에서 데이터버스의 센싱전압(V_DB)과 기준전압(VREF_RD)의 전압 차 ΔV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는 '0'으로 프로그램된 센싱전압(V_DB)을 나타낸 것이고, (b)는 '1'로 프로그램된 센싱전압(V_DB)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약 0.2VDD 이상의 정규화된(Normalized) ΔV 값을 획득할 수 있도록 센스앰프인에이블반전신호(SAENb)의 지연시간을 조절하였다. 삭제된 EEPROM 셀의 경우 최소 ΔV는 VDD=1.62V, VDDP=3.3V, Temp.=-40℃ 및 SF 모델 파라미터의 모의실험 조건에서 0.382V이고, 정규화된 값은 0.24 VDD로 나타났다. 프로그램된 EEPROM 셀의 경우 최소 ΔV는 VDD=1.98V, VDDP=3.0V, Temp.=25℃ 및 SF 모델 파라미터 모의실험 조건에서 0.388V이고 정규화된 값은 0.193로 나타났다.FIG. 8 shows simulation results of the voltage difference? V between the sensing voltage V_DB of the data bus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_RD in FIG. FIG. 8A shows the sensing voltage V_DB programmed to '0', and FIG. 8B shows the sensing voltage V_DB programmed to '1'. Here, the delay time of the sense amplifier enable inversion signal SAENb is adjusted so as to obtain a normalized? V value of about 0.2 VDD or more. For the removed EEPROM cell, the minimum ΔV was 0.382V for VDD = 1.62V, VDDP = 3.3V, Temp. = - 40 ° C and SF model parameters, and the normalized value was 0.24 VDD. For a programmed EEPROM cell, the minimum ΔV was 0.388V for VDD = 1.98V, VDDP = 3.0V, Temp. = 25 ° C and the SF model parameter simulation condition, and the normalized value was 0.193.
도 9는 VDD=1.62V, VDDP=3.0V, Temp.=85℃ 및 SS 모델 파라미터의 조건의 읽기 모드에서의 크리티컬 패스(Critical Path)법에 따른 EEPROM IP의 모의실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리드데이터 신호(RD)가 리드데이터 인에이블신호(RDEN)에 의해 비트라인(BL)이 프리차징 된다. 이때 데이터버스(DB)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된 프리차지신호(PRECHARGE)에 의해 VDD로 프리차징 된다. 프리차지신호(PRECHARGE)가 디스에이블되면 XDEC_EN 신호에 의해 워드라인(WL)이 활성화 되면서 EEPROM 셀의 데이터가 비트라인 스위치부(520)의 트랜지스터(MN54)를 통해 데이터버스(DB)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가 전달된 후 내부 지연에 의해 센스앰프인에이블반전신호(SAENb)가 활성화 되면서 데이터버스 센스앰프(DB S/A)에 의해 데이터버(DB)의 데이터가 감지되어 출력단자(DOUT)로 출력된다. 모의실험 결과 억세스 타임은 삭제된 셀과 프로그램된 셀 모두 45.8ns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9 shows simulation results of EEPROM IP according to a critical path method in a reading mode of VDD = 1.62V, VDDP = 3.0V, Temp. = 85 ° C, and SS model parameter conditions. The bit line BL is precharged by the read data enable signal RDEN of the read data signal RD. At this time, the data bus DB is precharged to VDD by the precharge signal PRECHARGE activated in the standby mode. When the precharge signal PRECHARGE is disabled, the word line WL is activated by the XDEC_EN signal and the data of the EEPROM cell is transferred to the data bus DB through the transistor MN54 of the b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embodiment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이이피롬 셀 어레이
310 : 제1 풀업 트랜지스터부
320 : 제2 풀업 트랜지스터부
330 : 차동센스앰프부
410 : 스위치부
420 : 차동센스앰프부
430 : 출력버퍼부110: a dipole cell array 310: a first pull-up transistor unit
320: second pull-up transistor unit 330: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unit
410: switch section 420: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section
430: Output buffer section
Claims (10)
상기 이이피롬 셀로부터 프로그램된 데이터를 읽어낼 때 발생하는 데이터버스의 리퀴지(Leakage) 현상에 의한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한 제2 풀업 트랜지스터부; 및
상기 이이피롬 셀에 연결된 데이터버스의 전압과 기준전압의 차전압을 차동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센스 앰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센싱 회로.
A first pull-up transistor unit for precharging the data bus to a power supply voltage in a read mode of the readout cell;
A second pull-up transistor unit for preventing a voltage drop due to a leaking phenomenon of a data bus occurring when data programmed from the dipole cell is read; And
And a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unit for differentially amplifying and output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a voltage of a data bus connected to the i-focus cell and a reference voltage.
프리차지전압을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인버터; 및
양측 단자가 전원전압과 데이터 버스에 각기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제1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센싱 회로.
2.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ull-
A first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the precharge voltage; And
And a first PMOS transistor having a gat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and a gat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양측 단자가 상기 전원전압과 데이터 버스에 각기 연결된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접지단자와 상기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사이에 연결된 제1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센싱 회로.
2.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pull-
A second PMOS transistor having both terminal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data bus, respectively; And
And a first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PMOS transistor.
상기 데이터버스의 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차전압을 차동증폭하는 D형 플립플롭 타입의 차동센스앰프; 및
상기 차동센스앰프의 출력전압을 래치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센싱 회로.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section
A D-type flip-flop typ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for differentially amplify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data bus and the reference voltage; And
And a latch for latch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상기 전원전압과 세트노드 사이에 병렬 연결된 게이트에 센스앰프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는 제3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가 리세트노드에 연결된 제4 피모스 트랜지스터;
상기 전원전압과 상기 리세트노드의 사이에 병렬 연결된 게이트가 상기 세트노드에 연결된 제5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게이트에 상기 센스앰프인에이블신호가 인가되는 제6 피모스 트랜지스터;
일측 단자가 상기 세트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리세트노드에 연결된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
일측 단자가 상기 리세트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세트노드에 연결된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
일측 단자가 상기 제1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데이터버스에 연결된 제3 엔모스 트랜지스터;
일측 단자가 상기 제2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상기 기준전압에 연결된 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
센스앰프인에이블반전신호를 반전출력하는 제2 인버터; 및
일측 단자가 상기 제3 엔모스 트랜지스터 및 제4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타측 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접지단자에 연결되며, 게이트가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5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센싱 회로.
Th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A third PMOS transistor to which a sense amplifier enable signal is applied to a gat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a set node, and a fourth PMOS transistor having a gate connected to a reset node;
A fifth PMOS transistor having a gat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reset node and connected to the set node, and a sixth PMOS transistor having the gate to which the sense amplifier enable signal is applied;
A first NMOS transistor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t node and a gate connected to the reset node;
A second NMOS transistor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reset node and a gate connected to the set node;
A third NMOS transistor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NMOS transistor and a gate connected to the data bus;
A fourth NMOS transistor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NMOS transistor and a gate connected to the reference voltage;
A second inverter for inverting the sense amplifier enable inverted signal; And
A fifth NMOS transistor having one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NMOS transistor and the fourth NMOS transistor,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a gat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inverter, And a sensing circuit for sens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nsing circuit.
일측 단자가 세트노드와 리세트노드에 각기 연결되고 타측 단자가 상대 낸드게이트의 출력단자에 각기 연결되어 래치를 구성하는 제1 낸드게이트 및 제2 낸드게이트; 및
상기 제1 낸드게이트 및 제2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각기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3 인버터 및 제4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센싱 회로.5. The apparatus of claim 4, wherein the latch portion
A first NAND gate and a second NAND gate each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t node and a reset node,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NAND gate to constitute a latch; And
And a third inverter and a fourth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NAND gate and the second NAND gate, respectively.
상기 이이피롬 셀 어레이에 대하여 8개로 분할된 차동센스앰프를 구비하는 차동센스앰프부;
상기 이이피롬 셀 어레이의 8개로 분할된 복수 개의 비트라인과 상기 차동센스앰프부의 8개로 분할된 복수 개의 데이터버스를 각기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차동센스앰프부와 데이터출력단자의 사이에 8개로 분할된 출력버퍼를 구비하는 출력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데이터베이스 회로.
Ion cell array;
A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unit including a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divided into eight for the i-pill cell array;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each of a plurality of bit lines divided into eight parts of the i-pill cell array and a plurality of data buses divided into eight parts of th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part; And
And an output buffer section having an output buffer divided into eight sections between the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section and the data output terminal.
제어신호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트라인 스위칭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의 스위치 동작을 제어하여 비트라인을 데이터버스에 연결하는 비트라인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데이터베이스 회로.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witch unit
A bit line switching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And a bit line switch unit for controlling an internal swit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to connect the bit line to the data bus.
상기 비트라인과 상기 데이터 버스의 사이에 양측 단자가 연결된 하나의 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데이터베이스 회로.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switch
And one of the MOS transistors connected between the bit line and the data bus.
인에이블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센스라인을 접지단자에 연결하는 센스라인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의 데이터베이스 회로.8.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data bus circuit
Further comprising a sense line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according to an enable signal to connect the sense line to the ground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37362A KR20170038258A (en) | 2015-09-30 | 2015-09-30 | Sensing circuit and databus circuit for eepr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37362A KR20170038258A (en) | 2015-09-30 | 2015-09-30 | Sensing circuit and databus circuit for eepro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38258A true KR20170038258A (en) | 2017-04-07 |
Family
ID=585836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37362A Ceased KR20170038258A (en) | 2015-09-30 | 2015-09-30 | Sensing circuit and databus circuit for eepro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38258A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02122A (en) * | 2018-06-29 | 2020-01-08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Databus circuit for eeprom |
| CN116580730A (en) * | 2023-07-12 | 2023-08-11 |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 Data transmission circuit and memory |
-
2015
- 2015-09-30 KR KR1020150137362A patent/KR2017003825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02122A (en) * | 2018-06-29 | 2020-01-08 |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Databus circuit for eeprom |
| CN116580730A (en) * | 2023-07-12 | 2023-08-11 |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 Data transmission circuit and memory |
| CN116580730B (en) * | 2023-07-12 | 2023-12-01 |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 Data transmission circuit and memor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408572B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US9190415B2 (en) | Memory having a voltage switch circuit with one bias voltage changed in each state of conditioning | |
| US7369450B2 (en) | Nonvolatile memory having latching sense amplifier and method of operation | |
| US7590003B2 (en) | Self-reference sense amplifier circuit and sensing method | |
| US8363499B2 (en) | Self-timed low power sense amplifier | |
| EP2299450A1 (en) | Sense-amplifier circuit for non-volatile memories that operates at low supply voltages | |
| KR20160045774A (en) | Semiconductor device which masks storage data of twin cells and outputs same | |
| TWI691971B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rray rows and columns for accessing flash memory units | |
| CN110574109A (en) | Sense amplifier signal enhancement | |
| US20090067273A1 (en) |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 |
| US8243528B2 (en) | Erase method of flash device | |
| US10297292B2 (en) | Sense structure based on multiple sense amplifiers with local regulation of a biasing voltage | |
| US20210050048A1 (en) | Sense amplifier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 US8908458B2 (en) | Sense amplifier circuit for nonvolatile memory | |
| US20080158977A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fuse circui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US8693260B2 (en) | Memory array with two-phase bit line precharge | |
| US9401192B2 (en) |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timing circuit to control the boost level of a word line | |
| US10366764B2 (en) | Sense amplifier for detecting data read from memory cell | |
| US8861285B2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ine charge sharing | |
| KR20170038258A (en) | Sensing circuit and databus circuit for eeprom | |
| CN104599707A (en) | SRAM with embedded ROM | |
| US9812181B2 (en) | Memory circuit with transistors having different threshold voltag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memory circuit | |
| TW512349B (en) | Method and low-power circuits used to generate accurate drain voltage for flash memory core cells in read mode | |
| US10153036B2 (en) | Method for autocorrective writing to a multiport sta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 |
| JP6069544B1 (en) | Latch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