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727A - portabl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Google Patents
portabl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9727A KR20170059727A KR1020150164038A KR20150164038A KR20170059727A KR 20170059727 A KR20170059727 A KR 20170059727A KR 1020150164038 A KR1020150164038 A KR 1020150164038A KR 20150164038 A KR20150164038 A KR 20150164038A KR 20170059727 A KR20170059727 A KR 201700597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exhaust port
- heat
- whale
- ov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이 필요한 곳에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이동식 구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은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후측 둘레면에 각각 아궁이(23)와 배기구(24)가 형성된 벽체(20)와,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고래둑(30)과, 상기 배기구(24)에 연결된 굴뚝(40)과, 상기 고래둑(30)의 상면에 올려지며 둘레면이 상기 벽체(20)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구들장(50)과, 상기 구들장(50)의 상측에 적층된 자갈층(61)과 황토층(62)으로 구성되어, 제작한 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글램핑장의 텐트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이 매우 간편하며, 글램핑장의 텐트 등에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structure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and used as needed in a place where heating is required.
The movabl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10, a wall body 2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and having an oven 23 and an exhaust opening 24 on front and rea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reof, A chimney 40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24 and a chimney 4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imney 30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20, A gravel layer 61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ough 50 and an earth loam layer 62. The troughs of the glaming tent are formed by using a forklift or the like, It can be installed inside.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construct, and it is advantageous to be installed in a tent or the like of a glaming plant to be heated eff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난방이 필요한 곳에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이동식 구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structure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and used as needed in a place where heating is required.
최근 들어, 사이즈가 큰 텐트의 내부에 캠핑에 필요한 각종 기구를 구비하여 편리하게 캠핑할 수 있도록 된 글램핑장이 개설되어 큰 인기를 끌고 있다.In recent years, a large-sized tent has been provided with a variety of equipment necessary for camping, and a glaming pavilion has been opened to facilitate camping.
그런데, 이러한 글램핑장의 경우, 텐트의 내부에서 생활을 함으로 기온이 떨어지면 난방을 하여야 하는데, 화재의 위험성 때문에 내부에 난로 등과 같은 인화성 시설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glazing furn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flammable facility such as a hearth in the inside due to the risk of fire because the inside of the tent needs to be heated when the temperature falls.
한편, 최근에는 이와 같이 글램핑장에서, 전통적인 구들을 이용하여 난방을 하는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구들은 건물의 벽면을 형성한 후, 그 내부에 시공을 하여야 함으로, 시공에 시간이 많이 걸릴 뿐 아니라, 시공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of heating using conventional spheres in a glazing furnace, but since the ordinary spheres have to be formed inside the wall of the building, it takes much time to construct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was high.
특히, 이러한 글램핑장의 경우, 텐트는 일반적인 건축물과 같은 견고한 벽면이 없음으로, 전통적인 구들을 시공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such a glazing furn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nt is not suitable for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sphere because there is no solid wall such as a general building.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글램핑장 등과 같이 난방이 필요한 곳에 필요에 따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이동식 구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unit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and used as needed, such as a glazing unit, in a place where heating is requir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후측 둘레면에 각각 아궁이(23)와 배기구(24)가 형성된 벽체(20)와,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아궁이(23)에서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된 열이 통과하는 고래둑(30)을 형성하는 고래둑(30)과, 상기 배기구(24)에 연결된 굴뚝(40)과, 상기 고래둑(30)의 상면에 올려지며 둘레면이 상기 벽체(20)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구들장(50)과, 상기 구들장(50)의 상측에 적층된 마감층(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이 제공된다.A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벽체(20)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된 외벽(21)과, 상기 외벽(21)의 내측면에 내열벽돌을 조적하여 구성된 내열벽(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아궁이(23)는 벽체(20)의 전면에 개구부(25)를 형성하고, 상단에 화구(26a)가 형성된 칸막이(26)를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상기 개구부(25)의 내측을 감싸도록 배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벽(21)은 상면이 상기 내열벽(22)의 상면에 비해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열벽(22)의 상면과 상기 고래둑(30)의 상면은 상기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내열벽(22)과 고래둑(30)의 상면에 올려진 구들장(50)이 상기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마감층(60)은 상면이 상기 외벽(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고래둑(30)의 사이에 형성된 고래(31)의 바닥면에는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32)이 형성되며, 상기 고래(31)의 경사면(32)은 상기 구들장(50)의 경사각에 비해 큰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래(31)의 상하방향 폭이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벽체(20)의 일측에는 계단(70)이 구비되고, 상기 벽체(20)의 상면 둘레부에는 글램핑용 텐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은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후측 둘레면에 각각 아궁이(23)와 배기구(24)가 형성된 벽체(20)와,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고래둑(30)과, 상기 배기구(24)에 연결된 굴뚝(40)과, 상기 고래둑(30)의 상면에 올려지며 둘레면이 상기 벽체(20)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구들장(50)과, 상기 구들장(50)의 상측에 적층된 자갈층(61)과 황토층(62)으로 구성되어, 제작한 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글램핑장의 텐트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The movabl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따라서, 시공이 매우 간편하며, 글램핑장의 텐트 등에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construct, and it is advantageous to be installed in a tent or the like of a glaming plant to be heated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의 구들장과 마감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의 제작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mobile too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lan view of a mobi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ovable tab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allets and the finish layer of the mobile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removed,
FIGS. 5 to 9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movable sphe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referenc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movable too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을 도시한 것으로, 글램핑장에 구비된 텐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FIGS. 1 to 9 illustrate mobile too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installed inside a tent provided in a glaming plan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식 구들은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후측 둘레면에 각각 아궁이(23)와 배기구(24)가 형성된 벽체(20)와,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고래둑(30)과, 상기 배기구(24)에 연결된 굴뚝(40)과, 상기 고래둑(30)의 상면에 올려지며 둘레면이 상기 벽체(20)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구들장(50)과, 상기 구들장(50)의 상측에 적층된 마감층(60)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means include a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바닥판(10)은 강도가 높으면서 열에 강한 콘크리트 재질의 사각 패널형태로 구성된다.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벽체(20)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된 외벽(21)과, 상기 외벽(21)의 내측면에 구비된 내열벽(22)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외벽(21)은 일정한 높이를 갖는 사각의 테두리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으로, 강도가 높은 벽돌을 조적하거나, 콘크리트재질의 패널을 조립하거나,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켜 구성된다.The
상기 내열벽(22)은 상기 외벽(21)의 내측면에 내화벽돌을 조적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아궁이(23)에서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상기 외벽(21)을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구들장(50)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heat
이때, 상기 외벽(21)은 상면이 상기 내열벽(22)의 상면에 비해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아궁이(23)는 벽체(20)의 전면에 개구부(25)를 형성하고, 상단에 화구(26a)가 형성된 칸막이(26)를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상기 개구부(25)의 내측을 감싸도록 배치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칸막이(26)는 내화벽돌이나 콘크리트재질로 높은 열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내열벽(22)과 동일한 높이로 구성되어 상기 구들장(50)을 설치하면, 구들장(50)이 상기 칸막이(26)의 상면을 막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화구(26a)는 상기 내열벽(22)의 상단에 내외측으로 관통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아궁이(23)의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기 화구(26a)를 통해 후술하는 고래(31)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When the fuel is burned in the interior of the
상기 배기구(24)는 상기 벽체(20)의 후측면에 내외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exhaust port (24)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wall body (20).
상기 고래둑(30)은 상기 벽체(2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벽면의 형태로 내화벽돌을 조적하여 구성된 것으로, 복수개가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벽체(20)의 내부에 상기 아궁이(23)에서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된 열이 통과하는 고래(31)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들장(5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상기 굴뚝(40)은 상기 벽체(20)의 외측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하단이 상기 배기구(24)에 연결된다. The
상기 구들장(50)은 넓은 사각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석판을 상기 고래둑(30)과 내열벽(2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넓은 판형태로 조립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래둑(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래(31)의 상측을 밀폐하여 상기 고래(31)를 통과하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기능을 한다.The
이때, 상기 구들장(50)을 구성하는 각각 석판 사이의 틈은 황토 등에 의해 기밀하게 밀폐된다.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slabs constituting the canopy (50) is hermetically sealed by yellow soil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내열벽(22)과 고래둑(30)의 상면은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내열벽(22)과 고래둑(30)의 상면에 구들장(50)을 설치하면, 상기 구들장(50)은 상기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지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고래둑(30)의 사이에 형성된 고래(31)의 상하방향 폭은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된다.The width of the
이를 위해, 상기 고래둑(30)의 사이에 형성된 고래(31)의 바닥면에는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32)이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a
상기 경사면(32)은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황토나 시멘트와 같은 내열재를 도포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경사면(32)의 경사각은 상기 구들장(50)의 경사각에 비해 큰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기구(24)쪽으로 갈수록, 경사면(32)과 구들장(50)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마감층(60)은 상기 구들장(50)의 상면에 적층된 자갈층(61)과, 상기 자갈층(61)의 상측에 적층된 황토층(62)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자갈층(61)은 상기 구들장(50)의 상면에 적절한 크기의 콩자갈을 일정한 두께로 깔아서 구성된다.The
상기 황토층(62)은 황토와 물을 혼합하여 상기 자갈층(61)의 상면을 덮도록 적층한 후 건조시켜 구성된 것으로, 상면은 상기 외벽(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0)에 상기 외벽(21)을 시공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벽(21)의 내측에 내열벽(22)을 시공하여 벽체(20)를 완성한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고래둑(30)을 설치하여 고래(31)를 형성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굴뚝(40)과 칸막이(26)를 시공한 후, 도 9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들장(50)과 마감층(60)을 시공하여 구들의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아궁이(23)에 연로를 투입하여 연소시키면,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상기 칸막이(26)의 화구(26a)를 통해 상기 고래(31)로 공급되어 구들장(50)과 마감층(60)을 가열하여 난방을 하게 된다.When the user puts the combustion gas into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구들은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후측 둘레면에 각각 아궁이(23)와 배기구(24)가 형성된 벽체(20)와,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고래둑(30)과, 상기 배기구(24)에 연결된 굴뚝(40)과, 상기 고래둑(30)의 상면에 올려지며 둘레면이 상기 벽체(20)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구들장(50)과, 상기 구들장(50)의 상측에 적층된 자갈층(61)과 황토층(62)으로 구성되어, 제작한 후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글램핑장의 텐트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The portable unit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re comprised of a
따라서, 시공이 매우 간편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램핑장의 텐트 등에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construction is very simple, and not only the cost can be reduced, but also it is possible to install it in a tent or the like of the glaming furnace and effectively heat it.
특히, 상기 벽체(20)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된 외벽(21)과, 상기 외벽(21)의 내측면에 내열벽돌을 조적하여 구성된 내열벽(22)으로 구성됨으로, 상기 벽체(20)의 강도를 할 수 있어서, 건축물의 벽체(20)를 이용하는 종래의 구들과 달리, 단독으로 구들 부분만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작된 이동식 구들을 이용하여 텐트를 비롯한 다양한 장소를 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the
또한, 상기 아궁이(23)는 벽체(20)의 전면에 개구부(25)를 형성하고, 상단에 화구(26a)가 형성된 칸막이(26)를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상기 개구부(25)의 내측을 감싸도록 배치하여 구성됨으로, 아궁이(23)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즉, 전통적인 구들의 아궁이(23)의 경우, 바닥면을 하측으로 패내서 불고개와 부넘기 등을 형성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된 바닥판(10)의 상부에 구들을 형성함으로, 아궁이(23)가 형성되는 부위를 하측으로 파내는 대신, 상기 개구부(25)의 내부에 상단에 화구(26a)가 형성된 칸막이(26)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칸막이(26)가 불고개와 부넘기의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아궁이(23)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그리고, 상기 외벽(21)은 상면이 상기 내열벽(22)의 상면에 비해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열벽(22)의 상면과 상기 고래둑(30)의 상면은 상기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들장(50)은 상기 고래둑(30)과 내열벽(22)의 상면에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구들장(50)의 상측에는 자갈층(61)과 황토층(62)이 적층되며, 상기 황토층(62)은 상면이 상기 외벽(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heat-resisting
따라서, 상기 아궁이(23)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기 구들장(50)의 경사면(32)을 따라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연료가 효과적으로 연소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advantage that the high-temperature combustion gas generated by burning the fuel in the
특히, 상기 고래둑(30)의 사이에 형성된 고래(31)의 바닥면에는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32)이 형성되며, 상기 고래(31)의 경사면(32)은 상기 구들장(50)의 경사각에 비해 큰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래(31)의 상하방향 폭이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a
따라서, 상기 고래(31)를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속도가 배기구(24)쪽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되어, 상기 아궁이(23)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상기 고래(31)를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흐르게 되며, 상기 아궁이(23)에서 연소되는 연소가스가 더욱 원활히 연소되어 완전연소가 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speed of the combustion gas passing through the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바닥판(10)은 강도가 높으면서 열에 강한 콘크리트 재질의 사각 패널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바닥판(10)에 별도의 금속 프레임을 추가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10)을 기타 다양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외벽(21)은 사각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외벽(21)은 원형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은 글램핑장의 텐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ovable too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side the tent of the glamping field, the movable too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을 충분히 크게 제작하여, 상기 벽체(20)의 일측에 계단(70)을 구비하고, 상기 벽체(20)의 상면 둘레부에 글램핑용 텐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80)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80)에 글램핑용 텐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10, the movable mol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ade sufficiently large to have a
즉, 전술한 이동식 구들의 상부에 텐트를 설치할 경우, 텐트를 고정할 곳이 없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벽체(20)의 상면에 고정브라켓(80)을 마련하여, 상기 고정브라켓(80)에 텐트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tent on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tools, there is no place for fixing the tent, but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changed.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20)의 전방에 상기 아궁이(23)의 외측을 덮도록 별도의 커버(90)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11, a
이때, 상기 커버(9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전면에 도어(91)가 구비되고, 상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도어(91)를 통해 내부에 연료를 투입할 수 있으며,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커버(90) 전체가 가열되어, 난로와 같이 실내를 난방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면서, 상면에 음식물을 올려서 요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fuel can be inject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구들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s such, the movable sphe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10. 바닥판
20. 벽체
30. 고래둑
40. 굴뚝
50. 구들장
60. 마감층10.
30.
50.
Claims (7)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후측 둘레면에 각각 아궁이(23)와 배기구(24)가 형성된 벽체(20)와,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아궁이(23)에서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된 열이 통과하는 고래둑(30)을 형성하는 고래둑(30)과,
상기 배기구(24)에 연결된 굴뚝(40)과,
상기 고래둑(30)의 상면에 올려지며 둘레면이 상기 벽체(20)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연결되는 구들장(50)과,
상기 구들장(50)의 상측에 적층된 마감층(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
A bottom plate 10,
A wall 20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 and having an oven 23 and an exhaust port 24 on front and rear circumferential surfaces,
A turbulator 30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side the wall 20 to form a turbulator 30 through which heat generated when the fuel is burned in the furnace 23,
A chimney 40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24,
(5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ar (30)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hermetically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wall (20)
And a finish layer (60)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nopy (50).
상기 벽체(20)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된 외벽(21)과,
상기 외벽(21)의 내측면에 내열벽돌을 조적하여 구성된 내열벽(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20)
An outer wall 21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And a heat-resistant wall (22) formed by joining heat-resistant brick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21).
상기 아궁이(23)는 벽체(20)의 전면에 개구부(25)를 형성하고, 상단에 화구(26a)가 형성된 칸막이(26)를 상기 벽체(20)의 내측에 상기 개구부(25)의 내측을 감싸도록 배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ven 23 is provided with an opening 25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ll 20 and a partition 26 having a top wall 26a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ening 25 inside the wall 20 Wherein the movable member is arranged so as to be enclosed.
상기 외벽(21)은 상면이 상기 내열벽(22)의 상면에 비해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열벽(22)의 상면과 상기 고래둑(30)의 상면은 상기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지도록 구성되어 내열벽(22)과 고래둑(30)의 상면에 올려진 구들장(50)이 상기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마감층(60)은 상면이 상기 외벽(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wall 21 is extend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resisting wall 22,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resisting wall 2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fouling wall 30 are inclined upwards from the firebox 23 toward the exhaust port 24 so that the upper wall of the antifriction wall 22 and the antifouling wall 30 50 are arranged in an upward sloping manner toward the exhaust port 24 from the firebox 2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nish layer (60) is formed to be horizontal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wall (21).
상기 고래둑(30)의 사이에 형성된 고래(31)의 바닥면에는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상향경사진 경사면(32)이 형성되며,
상기 고래(31)의 경사면(32)은 상기 구들장(50)의 경사각에 비해 큰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래(31)의 상하방향 폭이 아궁이(23)에서 배기구(24)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
5. The method of claim 4,
A slope 3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hale 31 formed between the horns 30 so as to be inclined upwards from the oven 23 toward the vent 24,
The inclined surface 32 of the whale 31 is inclined at a larger angle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anopy 50,
And the width of the whale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xhaust port (24) from the firebox (23).
상기 벽체(20)의 일측에는 계단(70)이 구비되고, 상기 벽체(20)의 상면 둘레부에는 글램핑용 텐트를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ep 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ll 20 and a fixing bracket 8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20 so as to fix the tent for glamping.
상기 벽체(20)의 전방에 상기 아궁이(23)의 외측을 덮도록 구비된 금속재의 커버(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90)는 전면에 도어(91)가 구비되고, 상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구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90 further includes a door 91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nd an upper surface of the door 90 is formed in a flat surface. Wherein the movable member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4038A KR20170059727A (en) | 2015-11-23 | 2015-11-23 | portabl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4038A KR20170059727A (en) | 2015-11-23 | 2015-11-23 | portabl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59727A true KR20170059727A (en) | 2017-05-31 |
Family
ID=590527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64038A Ceased KR20170059727A (en) | 2015-11-23 | 2015-11-23 | portabl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59727A (en) |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97245B1 (en) * | 2022-07-18 | 2023-02-07 | 주식회사 구들 | Multipurpose hypocaust |
| KR102497231B1 (en) * | 2022-06-07 | 2023-02-07 | 주식회사 구들 | Modular hypocaust |
| KR102497240B1 (en) * | 2022-06-15 | 2023-02-07 | 주식회사 구들 | Modular hypocaust with extended floor heating system |
| KR102497235B1 (en) * | 2022-06-15 | 2023-02-07 | 주식회사 구들 | Modular hypocaust with a half-body bath |
| KR102505786B1 (en) | 2022-05-10 | 2023-03-07 | (주)계림건축사사무소 | Ondol system |
| KR20230128781A (en) * | 2022-02-28 | 2023-09-05 | 차화신 | Ondol bottom form for structure |
| KR20230140622A (en) * | 2022-03-29 | 2023-10-10 | 정권 | Chair type of ondol room by using jade stone for smart hipbath |
| KR20240018994A (en) * | 2022-08-03 | 2024-02-14 | 김경환 | portabl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 KR102710626B1 (en) | 2023-11-09 | 2024-09-27 | (주)계림건축사사무소 | Ondol system |
-
2015
- 2015-11-23 KR KR1020150164038A patent/KR2017005972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128781A (en) * | 2022-02-28 | 2023-09-05 | 차화신 | Ondol bottom form for structure |
| KR20230140622A (en) * | 2022-03-29 | 2023-10-10 | 정권 | Chair type of ondol room by using jade stone for smart hipbath |
| KR102505786B1 (en) | 2022-05-10 | 2023-03-07 | (주)계림건축사사무소 | Ondol system |
| KR102497231B1 (en) * | 2022-06-07 | 2023-02-07 | 주식회사 구들 | Modular hypocaust |
| WO2023239005A1 (en) * | 2022-06-07 | 2023-12-14 | 주식회사 구들 | Modular gudeul |
| KR102497240B1 (en) * | 2022-06-15 | 2023-02-07 | 주식회사 구들 | Modular hypocaust with extended floor heating system |
| KR102497235B1 (en) * | 2022-06-15 | 2023-02-07 | 주식회사 구들 | Modular hypocaust with a half-body bath |
| KR102497245B1 (en) * | 2022-07-18 | 2023-02-07 | 주식회사 구들 | Multipurpose hypocaust |
| KR20240018994A (en) * | 2022-08-03 | 2024-02-14 | 김경환 | portabl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 KR102710626B1 (en) | 2023-11-09 | 2024-09-27 | (주)계림건축사사무소 | Ondol syste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70059727A (en) | portabl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 |
| KR101481086B1 (en) | korean hypocaust improving efficiency of heating | |
| JP2011078401A (en) | Food baking oven of prefabricated polyhedron dome shape | |
| KR102023419B1 (en) | The foundation structure of the house possible for moving | |
| KR101549142B1 (en) | Prefabricated Kiln For Ceramic Ware Firing | |
| US10480793B2 (en) | Combination outdoor fireplace and pizza oven | |
| US6951214B2 (en) | Oven top se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 KR101981004B1 (en) | Gas-fired pizza oven | |
| KR101696802B1 (en) | korean hypocaust for heating system | |
| KR101607061B1 (en) | Firewood kiln for firing ceramic ware | |
| KR101782843B1 (en) | Ondol heating system of architecture with firehole and boiler | |
| KR200495120Y1 (en) | Ondol bottom form for structure | |
| US12013124B2 (en) | Combination outdoor ventless fireplace and brick oven | |
| KR102385137B1 (en) |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Having A Double Structure | |
| JP3142404U (en) | Outdoor bread kiln | |
| KR101738410B1 (en) | Korean under floor loess room and boiler system | |
| RU2355662C2 (en) | Multipurpose manufacturing method of large-sised ceramic items such as houses or buildings from clay, large-sised blocks, bricks, and floor slabs (versions) | |
| RU2499957C2 (en) | Aquafurnace by kutsenko | |
| JP2011184480A (en) | Double kiln for production of bamboo charcoal | |
| RU2289069C1 (en) | Stove for heating room | |
| KR102842487B1 (en) | Portable wood-fired kiln structure for ceramics manufacturing | |
| US235216A (en) | Tile and brick kiln | |
| KR102134556B1 (en) | the heating system for a korean floor type heater bed | |
| KR102695550B1 (en) | Ondol bottom form for structure | |
| CA2996777A1 (en) | Combination outdoor fireplace and pizza ove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1215 |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3495 Request date: 2016061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49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16 Effective date: 20171031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10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0616 Decision date: 20171031 Appeal identifier: 20161010034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