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66790A -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방법과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방법과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790A
KR20170066790A KR1020150172879A KR20150172879A KR20170066790A KR 20170066790 A KR20170066790 A KR 20170066790A KR 1020150172879 A KR1020150172879 A KR 1020150172879A KR 20150172879 A KR20150172879 A KR 20150172879A KR 20170066790 A KR20170066790 A KR 20170066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ry
supplier
data
consumer
negoti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훈
Original Assignee
성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훈 filed Critical 성낙훈
Priority to KR102015017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6790A/ko
Priority to PCT/KR2016/009818 priority patent/WO2017039367A1/ko
Publication of KR2017006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79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using intermediat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의 중개 방법과 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품 또는 용역의 공급자 및 수요자가 인터넷상에서 그룹핑 방법에 의한 중개하는 웹사이트에 사용자로 연결되며, 상기 웹사이트는 그룹핑 방법에 의한 중개를 운영하는 중개기관이 운영한다.
상기 웹사이트는 [회원가입창]과 [중개입력창]과 [중개출력창]을 포함하며;
[중개입력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료를 입력하면, 공개자료는 [중개출력창]에서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및/또는 부속자료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웹사이트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실감나게 느끼게 된다.
중개기관은 [중개출력창]의 내용을 바탕으로 공급자 테이블과 수요자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공급자 테이블에 절충범위를 세팅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 테이블과 상기 협상폭 테이블을 탐색하여 서로 부합되는 자료만 골라 내어 매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그룹핑 과정을 실행한다. 중개기관은 매칭 테이블을 바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 및/또는 연결하며, 중개기관은 중개료를 수익으로 창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방법과 그 시스템{The method and system of brokering suppliers and consumers by way of grouping}
본 발명은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방법과 그 시스템그룹핑 중개방법과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를 중개하는 방법에 일반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인터넷상에서 그룹핑 방법으로 중개 시스템을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사용자로 연결된다. 상기 웹사이트는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시스템을 구축한 중개기관에 의하여 운영된다. 본 발명은 중개기관과 사용자에 의하여 활용된다. 사용자는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와 수요자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인 공급자와 수요자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상품 또는 용역과 서비스에 대한 공급자 정보와 수요자 정보를 직접 입력한다. 중개기관은 웹사이트에 입력된 정보에 대해 그룹핑 과정을 거쳐,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 및/또는 연결한다. 중개기관은 공급자와 수요자를 직접실행법 또는 공동실행법으로 중개 및/또는 연결하며, 연결한 댓가로 중개료를 공급자 및/또는 수요자에게 청구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영역의 상품, 용역, 서비스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품 분야로는, 전자제품, 일반 상품, 가구, 콤퓨터, 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의 일반적인 상품과 제품을 포함한다. 지하자원, 광물, 석탄, 석유, 가스, 철광석 등도 포함된다. 철, 비철금속, 금, 은, 동, 주석 등의 소재도 포함된다. 물론 각종 형태의 부동산도 포함된다.
서비스 및 용역부분으로는 일반 영역과 전문 영역이 있다. 전문 용역 분야로는 변호사, 변리사, 세무사, 회계사 등의 전문 직종에 대한 용역의 공급과 수요가 대표적인 예이다. 물론 기타의 다른 용역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건설 인력중개, 전문 인력의 중개, 일반 인력의 중개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양한 영역의 용역과 상품과 서비스의 중개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상품이나 용역이나 서비스를 중개하는 중개 방법과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작동이 되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지역, 국가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전 세계를 중개 영역으로 포함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상에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기술로서는 대표적인 것으로 부동산 중개 사이트가 있다.
종래의 부동산 중개 웹사이트는 많은 부동산 정보를 한눈에 볼 수가 있도록 정리하여 둔 형태이다. 부동산을 구입하거나 렌트하기를 희망하는 수요자는 중개 웹사이트에 연결하여 원하는 지역과 원하는 규모의 부동산의 자료를 검색한다. 자세한 자료를 보기 위하여 해당 자료를 클릭하여 더욱 정밀한 자료를 보고 상품을 선택을 할 수가 있다. 선택 후에는 이를 중개하고 있는 부동산이나 건물주에게 연락을 하여 중개를 받는다.
또한, 다른 예로는 중고 자동차 매매를 위한 중개 웹사이트가 있다. 이 역시 많은 중고자동차에 대한 자료를 입력하여 나열하여 두고, 사용자는 나열된 자료 중에서 원하는 것이 있으면 클릭하여 자세히 정보에 접근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구매의사를 가질 경우, 웹사이트의 운영자에게 문의하여 중고 자동차를 구매한다. 이러한 기술들이 종래의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웹사이트를 통한 중개기술의 주류였다.
종래의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웹사이트를 통한 중개기술은 단순한 형태이다. 본 발명은 공급자와 수요자의 양쪽의 정확한 의사를 전달받아 중개자가 잘 정리하여 실제로 부합되는 내용만을 그룹핑하여, 최적화된 정보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적극적으로 중개하는 중개 시스템이다. 종래에 사용되어진 중개를 위한 웹사이트는 공급자와 수요자인 의사를 동시에 반영시켜 중개하는 적극적인 양방향 중개 능력은 취약하다.
본 발명의 중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보호하며, 공개자료와 비공개자료를 분류하여 관리를 한다. 탁월한 비밀보호 기능을 본 발명의 핵심기술로 한다. 사용자에게서 제공되는 자료는 개인의 신상과 관련된 비공개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공개하여도 되는 특정되지 않은 일반적인 정보는 [중개출력창]에 공개되게 하여 웹사이트의 활동성을 느끼게 한다. 사용자가 공개 자료와 비공개 자료를 구분하여 입력을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시스템 내에서 정보를 분류하여 비밀유지와 프라이버시 정확히 지켜 질 수가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본 발명은 비밀유지를 원칙으로 한다. 공개자료와 비공개 자료는 모두 공급자와 수요자가 직접 입력하는 형태로 하며, 웹사이트는 입력된 자료의 특성을 잘 분류하여 비공개 자료는 비밀유지를 철저히 한다. 본 발명은 공급자와 수요자 양자의 다양한 요구조건을 그룹핑 방법을 통하여 정리하여, 매칭 테이블을 만들어 중개를 하는 첨단 중개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그룹핑 방법을 채택하여 자동으로 시스템이 운영되게 하여, 전 세계의 사용자가 동시에 웹사이트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얼마든지 대응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백만 수천만 건의 정보가 세계 각국으로부터 입력이 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자료를 전산에 의하여 자동으로 정리, 분류, 필터링 할 수가 있는 시스템으로 구축이 된다. 아무리 많은 정보가 동시에 입력되더라도 본 발명의 웹사이트는 공급자의 자료와 수요자의 자료가 신속히 정리되고 분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 그룹핑 과정이 수행된다. 중개기관이 공급자와 수요자의 정보를 잘 정리하여 서로 중개가 가능한 고객끼리만 그룹핑 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실제 중개가 성립될 가능성이 있는 고객들만 매칭 테이블로 만들어 중개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장 효율적인 중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의 중개 방법과 시스템에 있어서 , 그룹핑 과정을 도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중개입력창]을 통 여, 상품 또는 용역과 서비스에 대한 공급자 정보와 수요자 정보를 입력하면, [중개출력창]에는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및/또는 부속자료의 형태로 자료가 실시간으로 디스플 레이되어, 웹사이트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실감나게 전달되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은 중개시스템은 인터넷상에서 중개기관이 중개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상기 웹사이트에는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의 공급자와 수요자가 사용자로 연결된다. 상기 웹사이트에는 [회원가입창]과 [중개입력창]을 포함하고 있어서, 공급자는 웹사이트를 통해, 자신이 제공하고 하는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공급자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수요자는 웹사이트를 통해,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자 정보를 입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적인 요소가 배제된 일부 자료만 공개자료로서 [중개출력창]을 통하여 제공을 한다. 중개기관은 [중개출력창]의 내용을 바탕으로 공급자 테이블과 수요자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공급자 테이블에 절충범위를 세팅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 테이블과 상기 협상폭 테이블을 탐색하여 서로 부합되는 자료만 골라 내어 매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그룹핑 과정을 실행하여 입력된 모든 자료를 가공하며 정리한다.
본 발명에서 핵심이 되는 그룹핑 과정은 프로그램으로 자동적으로 운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를 신속히 사용자에게 일일보고, 주간보고, 월간보고로 리포팅을 하여 신뢰감을 더욱 높이도록 한다. 상기 중개기관은 그룹핑 과정을 거쳐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 및/또는 연결하고, 연결한 댓가로 중개료를 공급자 및/또는 수요자에게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된 정보는 기본적으로 비밀유지를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비밀유지가 본 발명의 핵심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는 개인적인 요소가 배제된 일부 자료만 공개자료로서 [중개출력창]을 통하여 제공을 한다. 사용자는 비밀유지를 전제로 하여 본인의 희망 사항을 솔직하게 청구를 할 수가 있다. 공급자 및 사용자는 이러한 희망사항을 솔직히 기록하고, 이에 부응되는 상품, 서비스, 용역을 제공하거나 받을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큰 특징이다.
익명성과 비밀보장이 중요한 핵심사항이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적이고 신속한 그룹핑 과정을 통하여,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요구를 정확히 분석하여 연결 및/또는 중개를 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살아서 움직이는 생동감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중개입력창]을 통하여, 상품 또는 용역과 서비스에 대한 공급자 정보와 수요자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 즉시 [중개출력창]에서 반응을 하게 한다. 최신 자료는 가장 상부에 눈에 띄게 드러나게 출력되게 하므로, 사용자가 방금 입력한 자료는 출력창의 가장 눈에 띄는 곳에 최상부로 등재가 되게 한다. 이러한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웹사이트가 실제로 살아서 움직이는 느낌을 주며, 웹사이트에 대한 신뢰성을 갖게 한다.
또한, 이러한 웹사이트의 사용자가 국내 및 해외에 걸쳐서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 세계적 규모로 사용자의 활동상황이 실시간으로 표출되게 함으로서 공간과 시간을 초월하는 비지니스가 진행되는 것을 실감을 할 수가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중개출력창에는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및/또는 부속자료의 형태로 자료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터 되어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및/또는 부속자료가 정지되어 있지 않고 실시간으로 반응을 하며, 그래프가 움직이도록 한다. 물론 반응하는 소리를 공급할 수가 있다.
도 1은 중개기관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연결된 사용자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중개기관은 글로벌한 비지니스를 전개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그룹핑 중개시스템의 회원 가입창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4은 그룹핑 중개시스템의 중개입력창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입력사항의 재확인창이다.
도 6은 중개출력창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7은 그룹핑 과정의 기초인 공급자 수요자 정리 테이블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그룹핑 과정 중의 데이터의 분석 및 필터링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9는 그룹핑 과정에서 수요자 테이블과 공급자 테이블을 작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그룹핑 협상폭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매칭 테이블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협상가격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협상폭 테이블 작성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필터링과 보고 및 협상과 실행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개괄적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의 중개 방법과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핑 과정을 도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중개입력창]을 통하여, 상품 또는 용역과 서비스에 대한 공급자 정보와 수요자 정보를 입력하면, [중개출력창]에는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및/또는 부속자료의 형태로 자료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웹사이트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실감나게 전달되는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서 사용되는 웹사이트는 메인페이지에는 관리창과 컨택창이 포함되게 한다. 상기 관리창을 통하여 회원가입이 가능토록 한다. 회원가입을 위한 [회원가입창]을 형성한다. 회원가입이 되면 아이디, 패스워드가 사용자에게 주어지도록 한다.
상기 컨택창은 사용자가 중개기관과 질문 또는 정보를 주고받거나, 중개기관에 중개를 요청하거나, 중개기관에 사업제안 하는 [중개입력창]에서 실시할 수 없는 항목을 실현토록 한다. 또한, 메인 페이지에는 다양한 형태의 전환버턴을 구성하여, 전환버턴을 클릭하면, 전화버턴에서 이루고자 하는 창이 새로 형성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가 있도록 할 수가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중개기관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연결된 사용자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중개기관은 서버를 운영하여 인터넷상에서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상기 웹사이트에 서비스 또는 용역 또는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와 서비스 또는 용역 또는 상품을 원하는 수요자가 연결되어 진다. 본 발명에서 공급자 및 수요자를 모두 사용자라 정의한다.
도 2는 중개기관은 글로벌한 비지니스를 전개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중개기관은 국경을 초월하여 수많은 사용자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다. 중개기관은 각 국가의 자원이나 용역이나 상품을 국경을 초월하여 중개한다. 각 국가에는 업무의 편의를 위하여 지사를 형성한다. 세계 각 나라의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중개기관의 웹사이트에 연결된다. 웹사이트를 통하여 사용자는 중개기관에게 중개를 요청하는 실행 협약을 맺고, 중개가 실행된다.
사용자는 중개기관의 웹사이트의 각종 전환버턴을 클릭하여 전환버턴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체험한다. 중개를 요청하거나 정보 요청를 요청하거나 하는 다양한 전환버턴을 클릭할 수가 있다.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도 한다. 중개기관은 중개를 요청받을 경우, 최초사용자에게는 중개요청의 진실성을 먼저 파악한다. 진실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최소자료를 사용자에게 요청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검토한다. 진실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중개실행 협약을 맺는다.
실행 협약은 각각의 건별로 진행이 원칙이나, 포괄적인 협약도 가능하다. 기존 사용자의 경우는 기존에 실행한 것에 대하여 이력관리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신뢰지수를 만든다. 사용자 신뢰지수는 사용자가 협약이행을 성실하게 하였는지를 감안하여 만든다. 신뢰지수가 높은 사용자는 중개기관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추가 서비스는 중개료를 낮추어 주거나, 포인트를 주거나, 여행 상품권을 및 기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만약 신뢰지수가 현저히 낮을 경우에는, 실행 협약을 체결할 때, 사용자에게 강화된 기준을 제시하여 실행에 차질이 없도록 제약을 한다. 실행 협약은, 사용자의 요청과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 직접실행법으로 할 것인가 공동실행법으로 진행을 할 것인가도 정한다. 협상 및 중개과정은 표준양식으로 진행한다. 대금의 지불방법, 지불시기도 약정한다.
도 3은 그룹핑 중개시스템의 회원 가입창에 대한 설명도이다. 웹사이트에 연결된 사용자는 웹사이트에 있는 회원가입창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한다. 이름, 이메일, 주소, 핸드폰, 회사명, 홈페이지 등의 개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웹사이트의 운영자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받는다.
다국적 중개인 경우에는 소속국가를 클릭하도록 한다. 공급자와 수요자의 기록란에 각각 해당되는 정보를 입력한다. 공급자의 경우에 개인인지 회사인지, 회사는 어떠한 형태인지를 입력하게 하며, 상품의 특성과 공급에 대한 특성을 입력케 한다. 수요자의 경우에도 개인인지 회사인지, 회사는 어떠한 형태인지를 입력하게 하며, 필요로 하는 상품의 특성과 수요에 대한 특성을 입력케 한다. 기타의 추가기록란에는 특별기록사항, 거래의 강조점, 장점, 구체적 조건제시, 비밀유지사항, 대금조건, 중개료 조건 등 필요한 내용은 기록을 할 수가 있도록 한다.
회원가입은 사용자의 신청으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연결되어 자료를 입력하므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직접 입력을 하는 것보다 클릭을 하는 것이 편리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개인정보는 어쩔 수 없이 입력하지만 공통적인 사항으로 클릭으로 정보를 입력토록 한다. 회원 가입창을 통하여 입력된 자료는 개인의 신상과 관련된 자료가 많다. 국가만 공개하고, 이메일 주소나 구체적인 내용을 비공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비공개로 인해 안심하고 주저함이 없이 입력할 수 있다. 회원 가입창을 통하여 입력된 자료는, 중개할 때, 협상할 때, 상대방에게 꼭 알릴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제한적인 방법으로 제공된다.
도 4은 그룹핑 중개시스템의 중개입력창에 대한 설명도이다. 웹사이트에 연결된 사용자는 웹사이트에 있는 중개입력창을 통하여 필요한 자료를 입력한다. 입력사항을 입력하고 클릭을 하면, 실시간으로 중개출력창의 최상단부에 입력된 자료들이 등재된다. 또한, 자동으로 중개가 시작된다. 즉 중개기관의 전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그룹핑 분석작업이 시작되며, 일간 주간 월간 리포트가 만들어져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중개입력창]은 사용자인 공급자 및 수요자가 각각 자기의 정보를 입력하는 창이다. 공급자 입력란과 수요자 입력란으로 구분된 곳도 있지만, 공통으로 자료를 입력하는 곳도 있다. 공급자와 수요자는 먼저 상품, 용역, 서비스 등의 아이템을 결정한다. 특화된 상품이나 용역 및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웹사이트를 만들면 이 작업은 간단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금거래를 중개하는 웹사이트, 부동산의 전세만을 중개하는 웹사이트, 변호사의 용역의뢰에 대한 것만 전문으로 하는 웹사이트, 노동인력을 중개하는 웹사이트, 강사인력을 중개하는 웹사이트, 석유 거래만을 전문으로 중개하는 웹사이트 등으로 변형시켜서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의 웹사이트를 운영을 할 수가 있다. 금속을 전문중개하는 웹사이트, 비철만을 전문중개하는 웹사이트, 전자제품만을 중개하는 웹사이트, 광물을 중개하는 웹사이트 등도 가능하다.
중개의 내용이 상품이 되는 경우에는 기준 시가표가 필요하다. 금의 경우, 오늘의 국제시세가 기준 시가표가 될 수 있다. 철이나 비철 등의 자재에 대하여 기준시가는 인터넷을 통하여 그때그때 제공해 줄 수가 있다. 중개에서, 기준시가에 비하여 얼마만큼 할인된 가격으로 공급을 할 것인지를 공급자는 제시한다. 물론 수요자도 기준시가에 비하여 얼마만큼 할인된 가격으로 사고자 하는 지를 제시한다. 이러한 기준이 되는 기준 시가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시가표는 가격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가격에 대한 기준 제시 뿐만 아니라 상품의 경우, 해당 상품의 인식 또는 상품의 선별을 가능케 하며, 상품의 종류가 많을 때에는 구체적으로 구별을 하도록 하는 이미지를 제공한다. 상품의 고유 모델번호를 입력하여 수많은 상품 중에서 해당 상품을 인식하게 할 수가 있다. 물론 상품의 종류별로, 특성별로, 알파벳 순으로, 제품군으로, 다양한 형태로 분류하여 쉽게 찾을 수가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각 상품에 대하여 기준가격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준 가격은 포장지에 표시된 가격으로 설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공급자와 수요자에 대한 가격 기준을 제시하거나, 기준가격에 대비한 할인율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준 시가표를 누르면 다양한 상품일 경우에는 새로운 상품창이 열려서, 수백 가지, 수천 가지, 수만 가지의 상품이 용이하게 검색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급자 또는 수요자가 쉽고 편리하게 원하는 상품으로 접근하게 하며, 공급자 또는 수요자가 직접 이러한 상품을 웹사이트에 입력을 할 수가 있도록 한다. 물론 중개기관 또는 상품과 관련된 입력 파트에서 입력을 시킬 수도 있다. 검색된 상품에 대하여 사용자가 인식한 뒤에, 중개입력창에서 자료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때 기준시가표 또는 상품창에서 선택한 상품이 중개출력창에서 거래상품으로 인식되어 출력이 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거래상품이 중개기관에서 충분히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거래에 대한 희망 가격을 공급자나 수요자가 모두 제시를 한다. 구체적인 가격을 기록하여 제시를 할 수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기준가격에 대한 할인율을 표기하여 제시를 할 수가 있다. 거래에 대한 물량을 제시할 필요도 있다. 얼마의 물량을 공급하고자 하는지, 얼마의 물량을 사고자 하는지가 제시된다. 그리고 거래에 대한 희망 기간이 제시되어야 한다. 거래 기간을 자료입력일로부터 일주일 이내에 한정을 하거나, 한 달 이내로 한정을 하는 등의 형태로 거래의 완료기간을 제시하도록 한다.
할인율(가격), 물량, 기간을 표시하고 공급자는 공급자 입력란을 클릭하며, 수요자는 수요자 입력란을 클릭한다. 자판을 쳐서 입력하는 것보다는, 클릭하여 입력하는 것이 편리하다. 공개를 하는 것에 전혀 부담이 없는 자료는 [중개출력창]에서 공개로 보이도록 한다. 개인적인 사항이 포함된 내용은 가급적 [중개출력창]에서도 비공개로 한다. 상품명 용역명이나 희망기간 등은 전혀 개인적인 성향이 나타나지 아니하는 항목이므로 이 부분을 [중개출력창]에서 공개로 보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자료는 개인의 신상에 관한 특정의 정보라기보다 비지니스에 관련된 정보의 성격이 가까우므로 사용자도 공개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사용자가 기타정보를 굳이 입력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기타정보를 입력한다. 기타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사항으로 하고, 필수사항으로는 하지 않는다. 기타 정보는 [중개출력창]에 공개되지 않고, 중개와 협상 시에 활용된다. 사용자의 자료가 입력되도, 엔터를 치면, [중개출력창]에 자신의 자료가 바로 반영되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도록 한다.
도 5는 입력사항의 재확인창이다. 사용자가 [중개입력창]에 입력하면, 입력된 자료는 웹사이트의 [중개출력창]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기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을 신중히 하도록 재확인창을 구성한다. 사용자는 재확인 과정을 통하여 실수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6은 중개출력창에 대한 실시예이다. [중개입력창]에서 입력을 하면, [중개출력창]에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입력된 자료 중 공개자료가 출력된다. [중개출력창]은 모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창이다. [중개출력창]에 기록되는 순간부터, 중개기관에 의한 중개는 전산에 의하여 자동 시작된다. [중개출력창]은 일련번호, 공개자료, 비공개자료로 구성된다. 일련번호는 자동으로 프로그램에서 부여한다. 공개자료에는 실시예로서 상품과 거래기간이 될 수가 있다. 사용자의 개인적인 정보자료는 비공개 됨을 원칙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중개출력창]의 기술은 중개의 효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중개입력창]에서 사용자가 데이타를 입력하면, [중개출력창]에는 실시간으로 자료가 업데이트되어 기록된다. 그 중에서 공개자료는 그대로 출력창에 공개되어 모든 사용자가 함께 최신 자료를 볼 수가 있다. 이것은 중요한 기술이다. 입력창에 자료를 입력함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중개출력창에서는 최신자료가 가장 상부에 위치되어 나타나도록 한다. 이 방법은 입력자가 자신의 입력자료가 바로 출력창에 반영되어 전 세계에 중개자료로 나타나는 것을 느낄 수가 있게 하는 실감자료가 된다. [중개출력창]은 공개자료와 비공개자료로 구성이 된다. 중개출력창에서 가장 최신 자료는, 가장 잘 눈에 띄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대원칙이다. 생동감 있고, 다이나믹하게, 실시간으로, 파워풀하게 최신자료가 나타나도록 그래프가 순간 순간 재 작성되어 실제 상황을 반영토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원가입 시에 입력하였던 개인신상에 대한 자료는 대부분 비공개로 한다. 비공개 자료는 비밀보장이 되도록 프로그램한다. 사용자의 소속국가,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사용자의 직위, 거래물량/년, 사무소의 직원수, 기타정보 등이 비공개 자료가 된다. [중개입력창]에서 사용자가 자료를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중개출력창]에 그 자료들이 나타난다. 입력창에서 사용자가 자료를 클릭하거나 입력을 하면, 출력창에서는 그 사실이 실시간으로 보인다. 가장 최신의 자료는 출력창의 가장 상부에 보이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을 진행하면, 출력창에서 바로 보이게 되므로 생동감 있게 자료가 된다.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실시간의 생동감 있는 자료를 공유하게 된다.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자료를 입력하거나 보고 있음으로, 순간순간 자료들이 흥미진진한 상태이다. 실시간 업데이트되는 것은 마치 주식시장에서 주식 거래 상황판 자료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사용자들이, 전 세계의 국가들에 걸쳐서 활발하게 입력하는 것이 출력창을 통하여 생생하게 실시간으로 한눈에 볼 수 있다. 이는 마치 주식시장에서 주식거래 상황판의 수치가 수시로 달라지면서 현재의 상황을 보면서 거래를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든다. 그러나 주식시장은 실시간으로 거래의 결과치가 중개 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은 중개가 시작되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출력창에 자료들이 보이는 이면에는 실제적으로 그룹핑과 중개와 협상과정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생동감 있는 [중개출력창]을 형성한 것이 큰 특징이다. [중개입력창]에 사용자가 자료를 입력함과 동시에, [중개출력창]에는 실시간으로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및/또는 부속자료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모든 사용자는 현재의 중개 상황을 실감으로 느낄 수가 있다. [중개입력창]에 사용자가 자료를 입력함과 동시에, 그룹핑(GROUPING) 작업은 전산에 의하여 자동으로 진행되며, 중개기관에 의한 중개절차가 함께 진행된다.
[중개출력창]에는 일련번호, 공개자료, 비공개자료로 구성이 된다. 일련번호는 자동으로 번호가 부여된다. 공개자료는 경우에 따라서 더 많은 자료가 공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공개자료는 공개되더라도 사용자의 개인신분을 알 수가 없음으로 심리적 부담은 없다. 사용자들은 [중개출력창]을 통하여, 자료를 보고 중개에 대한 흐름을 파악한다. 거래 희망일이란, 거래가 그날까지 진행되기를 원하는 날짜이다. 이러한 거래 희망일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드러내는 것이 아니므로 자유롭게 공개를 할 수가 있다.
공개자료는 모든 사용자가 볼 수 있지만, 비공개자료는 사용자들은 볼 수가 없다. 비공개자료는 거래에 있어서 실질적인 역할을 하는 자료들이다. 이러한 자료는 [중개출력창]에서도 비공개 상태로 유지된다. 회원가입시의 자료가 자동으로 인식되어 중개출력창의 비공개란에 기록된다. 사용자가 [중개입력창]에서 본인의 자료를 입력할 때, 입력의 항목으로는 필수항목과 선택항목으로 구분된다. 필수항목은 공개자료를 포함한다. 선택항목은 비공개자료를 포함한다. 비공개자료로는, 회원가입 자료에서 입력한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전화번호, 소속국가, 기타 정보가 해당 된다.
회원가입 자료에서 필수항목으로는 사용자의 소속국가와 이메일이 있다. 선택항목으로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홈페이지, 전화번호, 직위, 직원수, 물량/년 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입력된다. [중개입력창]의 입력에 의하여, [중개출력창]에는 그 자료들이 실시간으로 나타난다. 입력창에서 사용자가 자료를 클릭하거나 입력하면, 출력창에서 실시간으로 보이는 것이다. 가장 최신 입력자료가 출력창의 가장 상부에 보이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하면 바로, 출력창에서 보이게 되므로 생동감 있는 자료를 볼 수 있다.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에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자료를 입력하게 되므로, 순간순간 자료들의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사용자들이 활발하게 여러 국가에서 걸쳐서 동시에 입력을 진행하는 것이 한눈에 출력창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이러한 자료는 테이블로서 표시할 수가 있으며, 그래프로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상품이나 해당 용역 또는 해당 국가의 국기가 반짝이게 할 수도 있다. 해당 자료가 입력될 때마다, 그래프가 오르락내리락하거나, 반짝거림을 한번 또는 수회 반짝이거나 음이 들리게 할 수가 있다. 그래프도 막대그래프, 원형 그래프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이는 마치 주식시장에서 주식거래 상황판에서, 거래 상황에 맞추어 수시로 수치가 달라지면서 현재의 상황을 보이게 하는 것과 같다. 생동감 있는 중개신청의 현장이 보이게 된다.
이러한 생동감을 잘 표현하기 위하여, 테이블이나 그래프를 칼라를 달리하거나, 그래프가 움직이게 하거나, 음향을 넣거나, 음악을 들을 때 음의 소리를 이퀄라이즈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과 같이 테이블이나 그래프를 다이나믹하게 움직이는 그래픽 효과를 준다. 자료가 입력되는 순간 해당국가의 그래프는 춤을 추듯 움직이게 하여 생생한 생동감을 표현하게 한다. 그리고 각 국가의 국기 또는 국가가 표시되는 부분에는, 해당 국가의 자료가 입력되는 순간에 반짝반짝 빛을 내도록 하여 생동감이 넘치게 한다. 각 국가에 따라서 글자의 색을 달리 배정하거나, 글자의 크기를 달리하게 할 수도 있다. [중개입출력창]이라고 표현될 때에는 [중개입력창]과 [중개출력창]을 함께 설명을 하는 경우이다.
도 7, 8, 9, 10, 11, 12는 그룹핑에 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 그룹핑은 [중개출력창]의 자료를 바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의 자료정리와 정리된 자료의 데이터 분석 및 필터링을 실행함으로 시작이 된다. 그 후 수요자 테이블과 공급자 테이블을 제작한다. 수요자 테이블과 공급자 테이블의 어느 한 테이블에 협상폭 테이블을 만든다. 협상폭 테이블은 공급자 테이블 또는 수요자 테이블을 기반으로 만든다.
공급자의 제시조건 또는 수요자의 제시조건과 상기의 협상폭 테이블을 바탕으로 조건이 부합되는 것을 전산으로 탐색하여 매칭 테이블을 제작한다. 상기 매칭 테이블을 바탕으로 수요자 또는 공급자에게 중개기관이 중개 및/또는 연결 시킨다.
공개자료와 비공개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그룹핑 과정이 이루어진다. [중개출력창]에서, 일정기간에 대한 자료들을 그룹핑의 대상으로 먼저 선정을 한다. 그룹핑에서는 기간선정도 중요하다. 짧은 기간으로 여러 번 그룹핑을 실시할 수가 있다. 날짜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수회 그룹핑에 동참을 시킨다. 결론이 얻어질 때까지 전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그룹핑을 수행할 수가 있다. 선정된 대상 전체에 대하여 그룹핑을 한다.
중개형태에서, 그룹핑이 성립되어 공급자와 수요자의 중개가 직접 성립되는 것을 직접실행법이라 정의한다. 직접실행법이 가장 이상적 형태이다. 차선으로, 공동실행법이 있다. 그룹핑 자체가 성립이 되지 아니한 경우와 그룹핑이 성립되었으나 공급자와 수요자가 협상이 성립되지 않아 직접실행법이 성립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중개기관이 개입하여 중개를 시키는 경우를 공동실행법이라 정의한다. 이 경우에는 중개기관이 공급자와 수요자의 역할을 먼저 행한 뒤, 시간을 두고 중개기관이 공급자의 위치에서 수용자를 찾아서 중개를 실행시킨다.
그룹핑에는 필터링이 중요하다. 다음은 필터링에 대한 설명을 한다. 웹사이트에 입력된 다양한 정보는 필터링 할 필요가 있다. 신규고객이냐, 기존고객이냐에 따라서 필터링 기준은 다르다. 필터링은 사용자에 대한 신뢰지수를 바탕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신뢰지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신뢰지수는 항상 고려된다. 사용자의 진실성, 협약 이행 이력, 공급자 또는 수요자의 환경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신뢰지수가 결정된다.
사용자 중에는 웹사이트를 테스트해 보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다른 사용자에게 피해가 된다. 이러한 거짓 사용자는 발견하여 제거를 한다. 필터링의 방법으로, 사용자와 의사교환을 하여 진실성을 파악하거나, 입력된 자료를 검증하여 진실성을 파악한다. 필터링은 사람이 할 수도 있지만, 전산작업으로 자동수행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산에 의하여 자동진행되는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전 세계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데이타 베이스의 용량이 크므로 전산을 통하여 자동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산을 통하여 자동으로 그룹핑(GROUPING)이 실시되며, 자동으로 정리, 분석, 필터링이 진행된다. 분석과 필터링에는 신뢰지수 반영하여 자동실시 한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중개기관은 일간, 주간, 월간 보고를 행한다. 보고의 양식과 형태는 전산으로 자동보고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고와 더불어 사용자에게 중개에 대한 계획을 제안하며, 장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직접실행만을 고집하지 않고 공동실행법의 유익도 숙지하게 된다. 사용자는 일간, 주간, 월간 보고서를 통하여 중개기관과 충분한 의사교환을 한다. 회원가입을 통하여 확보된 이메일을 통하여 계속적인 정보를 주고받는다.
그룹핑은 본 발명의 목표인 중개에 이르기 위한 하나의 중요한 과정이다.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자료를 입력한 것에 대하여, 중개기관은 중개의 가능성을 분석한다. 그룹핑으로 중개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도, 실질적으로 성공하기 위하여서는 협의와 협약의 단계가 남아 있다. 공급자와 수요자의 스타일과 목적이 다를 수 있으므로 그룹핑이 성립되면 반드시 중개가 성립된다고는 말하지 못한다. 그룹핑이 충족된 이후에는 다시 각 사용자의 구체적인 계약조건에 또 합치되어야만 한다.
다음은 중개 및 협상에 대한 설명이다. 사용자에게 중개는 그룹핑 작업을 바탕으로 시작된다. 중개기관은 그룹핑 결과를 분류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협상창]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며, 상대방의 정보를 제공하며, 협상을 진행시킨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웹사이트에 [협상창]을 형성한다. 상기 [협상창]에는 관련된 사용자만이 들어와서 정확한 자료를 공개하고 협상한다. 협상결과, 직접실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공동실행을 할 수가 있다. 협상에서, 사용자들끼리 이메일로 협상을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들은 상호 간에 의견을 교환하며, 협상을 진행한다.
도 7은 그룹핑 과정의 기초인 공급자 수요자 정리 테이블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중개출력창]의 내용으로부터 공급자에 대한 자료가 일련번호와 함께 정리되며, 수요자에 대한 자료가 일련번호와 함께 정리된다. [중개출력창]의 내용이 전산으로 자동실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웹사이트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든 자료는 서버에 자동분류 및 저장된다. [회원가입자료], [중개 입출력창]의 자료, [그룹핑자료], [협상창]자료, 신뢰성 자료 등의 모든 자료는 서버에 자동 분류되어 저장된다. 이들 자료는 자동가공되어 필요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보고된다. 이러한 자료들은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일일 보고, 주간보고, 월간보고로 보고가 진행된다. [중개출력창]의 내용은 공개 및 비공개를 포함하여 모두 저장되며, 이 저장된 자료는 자동으로 그룹핑 과정이 실행된다.
도 8은 그룹핑 과정 중의 데이터의 분석 및 필터링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의 정리된 자료에 대하여 분석 및 필터링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룹핑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자료의 정리와 분류 및 분석는 전산에 의하여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링 역시 자동 프로그램으로 실행된다. 자체자료로 점검 가능한 항목은 자체 필터링하고, 부가 자료가 필요할 경우에는 메타 검색을 통하여 부가자료를 입수하여 자동 필터링을 행한다. 사용자에게 질문하여 그 결과를 피이드백 하여 필터링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자료뿐만 아니라, 메타검색을 통하여 필요한 부가자료를 검색하여 비공개 자료로 저장하며 중개에 활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산작업은 프로그램화되어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할 때마다 수행된다. 사용자에게 일간, 주간, 월간의 보고가 진행되며, 이는 웹사이트의 자료를 바탕으로 가공되어 자동으로 이메일로 발송된다. 그룹핑의 분석 및 필터링 과정에서, 필요시 메타검색을 통하여 자동으로 부가자료가 인터넷으로 조사된다. 조사된 자료는 분석과 필터링에 활용된다. 홈페이지, 직원 수, 회사의 역사와 이력, 회사의 저명도, 주의의 평가, 물량/년, 실적, 기술 정도, 경영상태, 설립년도, 인지도, 정확도, 신뢰지수 등이 참고로 활용된다. 본 발명의 웹사이트를 처음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는 구별한다. 처음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는 진실성의 확인이 필요하다. 웹사이트는 진실성을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도 9는 그룹핑 과정에서 수요자 테이블과 공급자 테이블을 작성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수요자 테이블에는 상품, 수요자 할인율(가격), 수요자 물량, 수요자 시간, 수요자 정보 등의 자료가 테이블로 정리된다. 공급자 테이블에는 상품, 공급자 할인율(가격), 공급자 물량, 공급자 시간, 공급자 정보 등의 자료가 테이블로 정리된다. 공급자 또는 수요자 정보에는 이메일 등의 비공개의 개인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입력하는 자료는, 공개자료와 비공개자료, 필수항목과 선택항목으로 구분된다. 공개자료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공개되는 자료이며, 비공개 자료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공개되지 않는 자료이며, 필수항목은 반드시 사용자가 입력해야만 하는 항목이며, 선택항목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는 항목이다.
공개자료에는 상품, 용역, 서비스의 종류와 거래기간을 포함하며; 비공개자료에는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전화번호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필수항목으로는 사용자의 이메일을 포함하며; 선택항목으로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홈페이지, 전화번호, 직위, 직원수, 거래물량/년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중개출력창]의 공개 및 비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중개기관은 수요자 테이블과 공급자 테이블을 제작한다. 상기 공급자 테이블에서 공급자의 제시조건에 절충 가능한 범주의 영역을 계산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만든다. 그 후, 수요자 테이블의 제시조건과 협상폭 테이블의 조건이 부합되는 것을 전산으로 탐색하여 그룹핑한다. 협상폭 테이블에 대하여 공급자에게 중개의 성립을 위하여 절충범위의 설정에 대하여 협의하며, 공급자가 승낙할 경우, 협상폭 테이블은 유효화하게 된다.
[중개출력창]의 공개 및 비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중개기관은 수요자 테이블과 공급자 테이블을 제작한다. 상기 수요자 테이블에서 수요자의 제시조건에 절충 가능한 범주의 영역을 계산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만든다. 그 후, 공급자 테이블의 제시조건과 협상폭 테이블의 조건이 부합되는 것을 전산으로 탐색하여 그룹핑 자료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그룹핑을 실행하는 동안 그룹핑 결과를 분류 및 분석할 때, 공급자 또는 수요자의 제시조건과 협상폭 테이블이 부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중개될 수가 없다. 이 경우에는 중개기관이 공동실행법으로 중개 및/또는 연결 시킨다.
그룹핑을 실행하고, 그룹핑 결과를 분류 및 분석하는 것은 전산을 통하여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개기관은 사용자에게 일간 또는 주간 또는 월간으로 보고서를 전산에 의하여 자동 리포팅 한다. 그룹핑을 실행하고, 그룹핑 결과를 분류 및 분석한 다음 원활한 중개를 위하여 중개기관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사용자 간에 협상을 진행시킨다.
도 10은 그룹핑 협상폭에 대한 설명도이다. 공급자 테이블 또는 수요자 테이블의 2가지 중에 어느 한 테이블에는 절충범위를 설정한다. 통상 공급자 테이블에 절충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공급자의 할인율(가격)에 일정 비율을 더하고, 일정비율을 빼서 절충범주를 세팅한다. 예를 들면 + 5%, - 5%를 적용시킨다. 수요자의 테이블에서 할인율(가격)이 상기 공급자 테이블의 절충범위에 속하게 되는 지를 전산으로 계산하여 그룹핑을 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그룹핑 과정의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중개출력창]의 내용을 바탕으로 공급자 테이블과 수요자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공급자 테이블에 절충범위를 세팅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 테이블과 상기 협상폭 테이블을 탐색하여 서로 부합되는 자료만 골라 내어 매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를 그룹핑 과정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요자 테이블과 상기 협상폭 테이블을 탐색하여 서로 부합되는 자료만 골라 내어 만든 자료를 매칭 테이블이라 정의한다. 매칭 테이블이 작성되지 못하는 수요자 테이블과 상기 협상폭 테이블은 다시 기간을 달리 설정한 그룹핑에서 재활용을 할 수가 있다. 매칭 테이블이 작성되지 못한 자료들은 공동실행법으로 중개를 실행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개에 있어서, 직접실행법과 공동실행법을 실시한다. 직접실행법이란 공급자와 수요자의 중개가 성립되어 공급자의 상품, 용역, 서비스가 수요자에게 직접 거래가 성립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공동실행법이란 직접실행법이 수행되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중개기관이 공급자의 상품, 용역, 서비스를 이관받은 후, 시간과 환경을 달리하여 중개기관이 수요자에게 상기 상품, 용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한다.
공급자 테이블과 수요자 테이블은 중개출력창의 공개자료와 비공개자료를 모두 활용하며, 회원 가입창을 통한 모든 자료를 활용하며, 기타 자체 보유중인 신뢰지수 자료와 인터넷을 통하여 새로인 검색한 객관적인 자료를 모두 활용한다. 이러한 자료를 공급자와 수요자에 대하여 정리하고 분석하고 필터링 하여 공급자 테이블과 수요자 테이블이 작성된다.
협상폭 테이블은 공급자 테이블 또는 수요자 테이블의 어느 하나에 적용을 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공급자 테이블에 절충범위를 세팅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작성한다. 이 경우 협상폭은 공급자가 제시한 가격 또는 할인율에 대하여 협상폭을 설정한다. 협상폭은 프로그램에 의하여 적절한 수치로 조정이 되나, 실시예로서 플러스 5%, 마이너스 5%의 정도의 범주를 세팅한다.
도 11은 매칭 테이블에 대한 설명도이다. 그룹핑 과정 중에서 수요자 테이블과 협상폭 테이블을 탐색하여 서로 부합되는 자료만 골라 내어 매칭 테이블을 작성한다. 공급자 테이블과 수요자 테이블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형태이나, 매칭 테이블은 수요자 테이블과 협상폭 테이블이 함께 조화를 이루어서 존재하는 형태이다. 매칭 테이블은 수요자 테이블과 협상폭 테이블 중에서 서로 부합되지 못하는 것은 모두 배제된 테이블이다. 매칭 테이블에는 공개자료와 비공개 자료가 모두 기록이 되어져 있는 상태이다. 매칭 테이블에서도 역시 상품, 용역, 서비스에 대한 가격 또는 할인율이 핵심이 되며, 물량과 기간도 중요한 고려 영역이 된다.
이러한 주요 고려 영역을 모두 감안해 매칭 테이블을 수정한다. 이것을 수정 매칭 테이블이라 정의한다. 수정 매칭 테이블이 작성되면, 그룹핑 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그룹핑 과정이 완료되면 공급자 또는 수요자에게 보고를 한다. 이러한 보고체계는 전산에 의하여 자동으로 보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일보고, 주간보고, 월간보고의 형식으로 보고를 할 수가 있다.
그룹핑의 과정 중에, 중개기관은 공급자에게 중개의 편의를 위하여 절충범위의 세팅 시스템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다. [중개입력창]에서 절충범위의 세팅에 대하여 설명과 동의를 받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수정 매칭 테이블이 작성되면, 중개기관은 공급자와 수요자의 최종협의를 행한다. 물론 수정 매칭 테이블의 모든 내용은 수요자와 공급자의 뜻이 반영이 된 상태이다. 가격 물량 기간 등의 모든 조건은 수요자 중심으로 설계가 세팅된다. 공급자에게서는 절충범위에 대하여 동의를 얻었으므로 수요자가 제시한 모든 조건으로 최결 거래조건이 형성된다.
도 12는 협상가격에 대한 설명도이다. 수정 매칭 테이블이 작성되면, 가격 또는 할인율과 물량과 기간에 대하여 정확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주로 수요자가 제시한 조건으로 세팅이 된다. 그러나 간혹 다시 이견이 있어서 조율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격 또는 할인율에 대하여 중개기관은 협상가격을 제시한다. 협상가격은 공급자의 제시가격과 수요자의 제시가격에 대한 산술적 평균을 구하여 제시를 한다. 그룹핑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비공개자료는 비밀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룹핑의 과정을 거쳐서 수정 매칭 테이블이 작성되면 공급자와 수요자에게 중개결과를 통지하며, 거래를 하게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협상이 필요할 수도 있다. 협상은 이메일로도 할 수가 있지만 웹사이트에 협상창을 구성하여 상기 협상창에서 공급자와 중개기관, 수요자와 중개기관, 공급자와 수요자와 중개기관,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협상이 가능토록 한다.
도 13은 협상폭 테이블 작성의 설명도이다. 협상폭 테이블은 수요자 테이블을 통하여 만들 수도 있고, 공급자 테이블에서 만들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급자 테이블에 절충범위를 설정한다. 협상폭 테이블이 완성되며, 수요자 테이블과 협상폭 테이블에 대하여 전산에 의한 탐색을 실시하여 매치가 되는 자료만 그룹핑한다.
수요자 테이블이 절충범주에 들지 못하면 중개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수오자 테이블이 절충범주 이내에 들게 되면 이들은 대부분 중개가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에는 중개가 수정이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상황과 환경에 따라서 중개의 실행은 변수를 가진다. 이러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하여 [협상창]이 필요하다. 협상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웹사이트에 협상창을 구성한다. 협상창이 없으면 이메일을 통하여 협상을 진행한다.
그룹핑을 통하여 연결되는 사용자들은 정보를 보호하면서, 필요한 곳에, 필요한 정보만을 전달한다. 매칭 테이블에서 빠지는 사용자는 다음 기간의 그룹핑으로 이월시키기도 하며, 사용자에게 공동실행법을 안내하여 차선책을 선택하도록 안내를 한다. 협상을 할 때, 중개기관은 당사자를 대행하여 협상을 할 수도 있고, 당사자들 간에 협상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협상과정에는 표준적인 양식이 필요하다. 견적서와 협약서 등의 표준 양식을 준비하여 모두에게 공평하며 안정적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정확한 법적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가 있도록 법률서비스도 제공한다. 협상과 협약 기능은 본 발명의 독특한 지원책 중의 하나이다.
도 14는 필터링과 보고 및 협상과 실행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서 필터링 기능은 중요하다. 여러 가지 경험치와 설계를 통하여 부실 고객을 차단하는 것도 중요하다. 신규고객과 기존고객과의 차이점을 계산하고, 기존고객은 신뢰지수를 관리하여 필터링의 정확도를 높일 수가 있도록 한다. 그룹핑 과정을 거치어 매칭 테이블이 완성되기 이전에도 중개기관은 사용자에게 중간 보고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고는 이메일로 전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상황을 보고하거나 가능성을 보고할 수가 있다. 보고에는 일간보고 주간보고 월간보고 등의 필요한 형태로 할 수가 있다.
협상은 필요 시에 일어나는 행위이다. 이러한 협상은 웹사이트의 협상창을 통하여 진행하거나 이메일로 진행한다. 거래가 성립되었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 사실을 통보한다. 만약 거래가 성립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조건변경을 통하여 재시도를 권유를 하거나 공동실행법의 실행을 설명할 수도 있다. 공급자와 수요자가 중개를 합의하면 협약서를 체결하여 중개를 실천하게 된다.
그룹핑 과정과 협상과정을 거쳐서 중개가 성립되면, 거래가 실행되며 중개료의 지불과 사용자 간의 대금결재가 이루어지고 상품, 용역,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결론은 신뢰성 지수로 반영이 되어 지속적으로 관리가 된다. 그룹핑 과정 후 당사자 간의 협상과정을 거치면 중개협약 및/또는 실행협약을 맺는다. 협상 및 협약 과정은 각 사용자의 여건과 환경에 따라 다양하다. 그룹핑 과정과 협상과정을 통하여 거래를 직접실행을 할 것인지, 공동실행을 할 것인지도 결정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개괄적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웹사이트에 사용자가 내용을 입력하면, 중개출력창의 운영과 그룹핑과정의 실행과 협상 및 협약까지의 모든 과정이 전산과정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이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중에 정리, 분석, 필터링, 보고 등의 모든 과정도 자동으로 처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신뢰지수 관리도 자동으로 관리되도록 프로그램밍 한다. 본 발명에서 국가 또는 지역을 달리하는 중개에서 각국 중개회사 또는 지역 중개회사를 운영할 수도 있다. 각국 중개회사는 해외 공급자와 수요자에 대한 업무를 원활하게 처리를 할 수가 있게 한다. 지역 중개회사 역시 국내 공급자와 수요자에 대한 대하여 중개업무를 원활하게 하도록 기능을 감당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중개회사
2: 웹사이트
3: 사용자

Claims (18)

  1.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의 중개방법에 있어서,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시스템을 운영하는 웹사이트를 인터넷상에서 중개기관이 운영하며; 상기 웹사이트에 공급자 및 수요자가 사용자로 연결되며; 상기 웹사이트는 [회원가입창]과 [중개입력창]과 [중개출력창]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공급자 정보와 수요자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중개기관은 [중개출력창]의 내용을 바탕으로 공급자 테이블과 수요자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공급자 테이블에 절충범위를 세팅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 테이블과 상기 협상폭 테이블을 탐색하여 서로 부합되는 자료만 골라 내어 매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그룹핑 과정을 실행하며;
    상기 중개기관은 그룹핑 과정을 통하여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 및/또는 연결하고, 연결한 댓가로 중개료를 공급자 및/또는 수요자에게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는 [협상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웹사이트의 메인페이지에는 관리창과 컨택창이 포함되며; 상기 관리창에는 회원가입창과, 아이디, 패스워드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컨택창은 사용자가 중개기관과 질문 또는 정보를 주고받거나, 중개기관에 중개를 요청하거나, 중개기관에 사업제안 하는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전환버턴이 상기 웹사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수요자 테이블 또는 공급자 테이블의 어느 한쪽 테이블에서 일정 비율만큼 더하거나 뺀 협상폭을 정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만들며; 상기 협상폭 테이블과 수요자 테이블 또는 공급자 테이블의 제시조건이 부합되는 것을 전산으로 탐색하여 매칭 테이블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매칭 테이블을 바탕으로 협상을 할 때 제시되는 협상가격은 (공급자의 제시가격+수요자의 제시가격)/ 2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사이트는 [중개입력창]과 [중개출력창]을 포함하며, 상기 [중개입력창]은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의 구체항목, 가격(할인율), 거래 희망물량, 거래 희망 기간을 입력토록 하며; 상기 [중개출력창]은 공개와 비공개 자료로 구성되는 자료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중개입력창]에 자료를 입력함과 동시에, [중개 출력창]에는 관련자료들이 실시간으로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및/또는 부속자료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웹사이트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는 현재의 중개 상황을 실감으로 느낄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중개입력창]에 자료를 입력함과 동시에, 그룹핑 과정이 자동진행되면서, 중개절차가 함께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협상창]을 통하여 중개기관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사용자 간의 비공개 협의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의 [중개입력창]을 통하여, 상품 또는 용역과 서비스에 대한 공급자 정보와 수요자 정보를 입력하면, [중개출력창]에는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및/또는 부속자료의 형태로 자료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웹사이트에 연결되어진 모든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실감나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입력하는 자료는, 공개자료와 비공개자료, 필수항목과 선택항목으로 구분되며;
    공개자료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공개되는 자료이며, 비공개 자료는 웹사이트를 통하여 공개되지 않는 자료이며, 필수항목은 반드시 사용자가 입력해야만 하는 항목이며, 선택항목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는 항목이며;
    상기 공개자료에는 상품, 용역, 서비스의 종류와 거래기간을 포함하며;
    비공개자료에는 사용자 이름,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전화번호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필수항목으로는 사용자의 이메일을 포함하며;
    선택항목으로는 사용자의 이름, 주소, 홈페이지, 전화번호, 직위, 직원수, 거래물량/년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중개출력창]의 공개 및 비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중개기관은 수요자 테이블과 공급자 테이블을 제작하며; 상기 공급자 테이블에서 공급자의 제시조건에 절충범위를 계산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만들며; 수요자 테이블의 제시조건과 협상 테이블의 조건이 부합되는 것을 전산으로 탐색하여 매칭 테이블을 제작하며; 상기 매칭 테이블을 바탕으로 중개기관이 사용자들에게 중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매칭 테이블을 작성할 때 수요자 테이블과 협상폭 테이블이 부합되지 않은 경우와, 매칭 테이블이 작성된 이후 협상이 결렬될 때, 중개기관이 공동실행법으로 중개 및/또는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그룹핑 과정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동으로 실행되며; 사용자에게 일간 또는 주간 또는 월간으로 보고서도 전산에 의하여 자동 리포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그룹핑 과정을 실행하고, 원활한 중개를 위하여 중개기관과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사용자 간에 협상을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방법.
  17.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의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시스템을 운영하는 웹사이트를 인터넷상에서 중개기관이 운영하며; 상기 웹사이트에 공급자 및 수요자가 사용자로 연결되며; 상기 웹사이트는 [회원가입창]과 [중개입력창]과 [중개출력창]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웹사이트를 통해, 상품 또는 용역 또는 서비스에 대한 공급자 정보와 수요자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중개기관은 [중개출력창]의 내용을 바탕으로 공급자 테이블과 수요자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공급자 테이블에 절충범위를 세팅하여 협상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 테이블과 상기 협상폭 테이블을 탐색하여 서로 부합되는 자료만 골라 내어 매칭 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그룹핑 과정을 실행하며;
    상기 중개기관은 그룹핑 과정을 통하여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 및/또는 연결하고, 연결한 댓가로 중개료를 공급자 및/또는 수요자에게 청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의 [중개입력창]을 통하여, 상품 또는 용역과 서비스에 대한 공급자 정보와 수요자 정보를 입력하면, [중개출력창]에는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및/또는 부속자료의 형태로 자료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웹사이트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실감나게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핑 과정을 통한 중개시스템.
KR1020150172879A 2015-09-02 2015-12-07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방법과 그 시스템 Withdrawn KR201700667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879A KR20170066790A (ko) 2015-12-07 2015-12-07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방법과 그 시스템
PCT/KR2016/009818 WO2017039367A1 (ko) 2015-09-02 2016-09-02 교환출원을 증가시키는 해외 ip출원의 중개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879A KR20170066790A (ko) 2015-12-07 2015-12-07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방법과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790A true KR20170066790A (ko) 2017-06-15

Family

ID=5921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879A Withdrawn KR20170066790A (ko) 2015-09-02 2015-12-07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방법과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67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115A (ko) * 2021-01-19 2022-07-26 (주)코스모티어 광업 관리 플랫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115A (ko) * 2021-01-19 2022-07-26 (주)코스모티어 광업 관리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03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s based on channel rating
US89964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integrated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US201201308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vertical silos in an ip marketplace
EP2543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US201202657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credentialing
KR20170066790A (ko) 그룹핑 방법으로 공급자와 수요자를 중개하는 중개방법과 그 시스템
EP26749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P zone credentialing
SG1889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WO20151195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uplicating an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 deal room
WO20131035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vertical silos in an ip marketplace
SG1875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01207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