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911A -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9911A KR20170069911A KR1020160138668A KR20160138668A KR20170069911A KR 20170069911 A KR20170069911 A KR 20170069911A KR 1020160138668 A KR1020160138668 A KR 1020160138668A KR 20160138668 A KR20160138668 A KR 20160138668A KR 20170069911 A KR20170069911 A KR 201700699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danger signal
- state
- pedestrian
- signal recei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차량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가 객체를 감지하여 제2 차량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보행자 추돌을 방지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은 상기 제1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객체 감지 장치 및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자 존재 알림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주정차 차량의 이동 수단이 주변에 보행자가 있음을 사전에 알아 조심하여 운전하도록 함으로써 주정차 차량 사이에서 튀어나오는 보행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preventing a pedestrian collision by providing a danger signal to a danger signal receiving apparatus located in a second vehicle by sensing an object located in a firs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checking whether the state of the first vehicle is in a stop stat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first vehicle, and if the movement of the object passing around the first vehicle is detected in a state where the state of the first vehicle is stopped An object detection device for generating a danger signal and outputting the danger signal through the risk notification module of the first vehicle or providing the danger signal to the danger signal reception device, And a danger signal receiv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second vehicle according to the danger sig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passing around the circumstance vehicle and outputs the pedestrian presence notification data, so that the moving means of the preliminary vehicle can know that there is a pedestrian around beforeh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edestrian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현대 사회에서 차량이 증가하면서 길가, 도로변 등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보행자들이 빠른 길로 가기 위해 주정차 되어 있는 차량 사이로 보행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As the number of vehicles increases in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vehicles parked on roadsides and roads is increasing. Therefore, pedestrians are often walking between vehicles that are parked on the road to go fast.
특히 어린 아이들이 주정차된 차량 근처에서 놀거나 보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린 아이들의 경우 차량보다 키가 작아 주정차된 차량 사이에서 보행하는 경우 주정차 차량의 옆도로로 주행하는 주행차량의 운전자가 주정차된 차량 사이의 어린 아이들을 인지하기 어렵다.In particular, young children often play or walk around a parked car. In case of young children, they are taller than those of the vehicle. If they walk between vehicles with parked vehicles, the drivers of vehicles driving on the side roads Children are hard to recognize.
예를 들어, 차량이 일렬주차되어 있는 장소에서 주정차 차량 사이에 보행자가 갑자기 튀어나오는 경우 주행차량이 이를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에, 주정차 차량 사이를 지나다니는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 pedestrian suddenly pops out of the parking space at a place where the vehicle is parked in a row, the driving vehicle sometimes fails to recognize the accident and an accident often occur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ensuring the safety of a pedestrian passing through a parking space vehicle.
본 발명은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자 존재 알림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주정차 차량의 이동 수단이 주변에 보행자가 있음을 사전에 알아 조심하여 운전하도록 함으로써 주정차 차량 사이에서 튀어나오는 보행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movement of a pedestrian passing around a parking space vehicle and outputs pedestrian presence notification data so that the moving means of the parking space vehicle can know that there is a pedestrian in the vicinity, And a method for executing the collision avoidance system.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의 진입유무를 표시하는 LED 점멸등을 운전석 빽미러안 또는 지지대에 설치하여 출발 전 운전석 백미러 확인으로 운전자의 차량 앞·뒤의 보행자 출현 유무 상태를 확인하고 운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LED blinker indicating whether or not a pedestrian has entered the vehicle in a driver's cab or in a support frame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destrian before and after the driver's operation by confirming the rearview mirror A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preventing pedestrian collis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들 중에서, 제1 차량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가 객체를 감지하여 제2 차량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보행자 추돌을 방지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객체 감지 장치; 및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감지 장치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면 상기 영상 촬영 기기를 동작시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차량의 좌측 백미러 및 우측 백미러 각각에 설치된 LED를 점멸시키고,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신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preventing a pedestrian collision by providing a danger signal to a danger signal receiving device located in a second vehicle by detecting an object located at a first vehicle, The control unit checks whether the state of the first vehicle is in a stop stat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if the movement of the object passi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vehicle is detected in the state where the state of the first vehicle is stopped, An object detection device for generating a signal, outputting the danger signal through the danger notification module of the first vehicle, or providing the danger signal to the danger signal reception device; And a danger signal receiving device for outputting the danger signal 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second vehicle according to the danger signal upon receiving a danger signal from the object sensing devic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to generate vehicle periphery image data and blinks LED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rearview mirrors of the first vehicle to extract object image data of the vehicle periphery image data, Object image data, and position data of the first vehicl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자 존재 알림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주정차 차량의 이동 수단이 주변에 보행자가 있음을 사전에 알아 조심하여 운전하도록 함으로써 주정차 차량 사이에서 튀어나오는 보행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edestrian passing around the circumstance vehicle and outputting the pedestrian presence notification data, the moving means of the preliminary vehicle can recognize that there is a pedestrian in the vicini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edestrian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자의 진입유무를 표시하는 LED 점멸등을 운전석 빽미러안 또는 지지대에 설치하여 출발 전 운전석 백미러 확인으로 운전자의 차량 앞·뒤의 보행자 출현 유무 상태를 확인하고 운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LED blinking light indicating whether or not a pedestrian has entered the vehicle can be installed in a cabin or in a support frame to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edestrian in front of and behind the driver's vehicle by checking the rearview mirro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장치가 주정차 차량에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신호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network diagram illustrating a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vehicl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object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anger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of the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객체”는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는 유동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객체는 사람, 자동차, 자전거, 오토바이,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이동하는 모든 물체를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object " refers to a fluid passing around the periphery of a motor vehicle. For example, the object may include a person, an automobile, a bicycle, a motorcycle, an animal, and the like, but includes all objects moving around the car in various ways without limi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가 주정차 차량에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신호 수신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network diagram illustrating a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bject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vehicle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object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risk signal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을 참조하면,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은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를 포함한다.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차량(10, 20) 각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차량의 상황에 따라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includes an
예를 들어, 차량의 상태가 정지상태이면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동작하지 않고 객체 감지 장치(100)가 동작하여 차량 주변의 객체를 감지하여 다른 차량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위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의 상태가 이동상태이면 객체 감지 장치(100)는 동작하지 않고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가 동작하여 다른 차량으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in a stop state, the risk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객체 감지 장치(100) 및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어 차량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Although the object sensing
이하에서는, 주정차하고 있는 제1 차량(10)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100)이 동작하여 객체 감지 시 제2 차량(20)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roviding a danger signal to the danger
제1 차량(10)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100)는 제1 차량(10)의 속도에 따라 제1 차량(10)의 상태가 정지 상태이면 동작하게 된다. 객체 감지 장치(100)는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고, 위험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거나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한다. 이때, 위험 신호는 경고 정보,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객체 감지 장치(100)는 제1 차량(10)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후술할 영상 촬영 기기(120)를 동작시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왼쪽 백미러 및 오른쪽 백미러 각각에 설치된 LED(131, 132)를 점멸하여 상기 경고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제1 차량(10)의 LED(131, 132)의 점멸 상태를 통해 객체의 존재를 인지하고, 객체와의 거리를 육안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object sensing
그런 다음, 객체 감지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120)에 의해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에서 객체 영상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하고,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화면에 표시된 객체 영상 데이터를 통해 객체의 존재를 알 수 있어 정지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차량(20)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제1 차량(10) 및 상기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를 표시함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정지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제2 차량(20)은 주정차되어 있는 제1 차량(10)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으로, 제1 차량(10)의 주변에 객체가 존재하여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차량(10)의 객체 감지 장치(100)는 제2 차량(20)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객체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The
제2 차량(20)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객체 감지 장치(100)로부터 위험 신호가 수신되면 경고 화면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이때,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제1 차량(10) 및 상기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The danger
여기에서, 제1 차량(10) 및 상기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는 위험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차량(10)의 위치 데이터 및 제2 차량(20)의 위치 산출 모듈(예를 들어, GPS)을 통해 결정된 제2 차량(20)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차량(10) 및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제1 차량(10) 및 제2 차량(20) 사이의 거리가 제한 거리 이하이면 제2 차량(20)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제2 차량(2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거리가 제2 제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을 긴급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제한 거리 및 제2 제한 거리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제2 제한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dang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가 주정차 차량에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감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bject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vehicle,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object s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객체 감지 장치(100)는 모션 센서(110), 영상 촬영 기기(120), 출력부(130), 배터리(140), 충전부(145), 속도 계측부(150), 위험 신호 송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2 and 3, the
모션 센서(1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움직임 감지 정보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이러한 모션 센서(110)는 주정차 차량의 일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110)는 도 2와 같이 주정차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 주정차 차량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 이동 중인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The
영상 촬영 기기(120)는 주정차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주정차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여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촬영 기기(12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기기(120)는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에 동작하여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출력부(13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위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30)는 위험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미도시) 및 위험 신호를 점등을 하는 LED(도 2,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30)는 모니터로 구현되어 위험 신호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고, 출력부(130)는 스피커로 구현되어 "삐삐 보행자가 있습니다."와 같은 경고 음성을 출력할 수도 있다. The
배터리(140)는 보행자 추돌 방지 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각각에 전원을 제공하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지만, 주차 시에도 전원을 제공하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기본 장착 배터리가 아닌 별도의 보조적인 배터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배터리(140)는 충전부(145)에 의해 충전되며, 충전부(145)는 차량이 이동 시 충전되거나 태양열을 이용해 충전하는 태양광 충전모듈(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The
속도 계측부(150)는 차량의 속도 센서(미도시됨)로부터 수신된 속도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산출 모듈(예를 들어, GPS. 미도시됨)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속도를 계측하고, 계측된 속도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The
제어부(170)는 속도 계측부(150)에 의해 계측된 속도에 따라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 또는 운행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이면 모션 센서(110)가 동작되도록 하여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모션 센서(110)로부터 움직임 감지 정보가 수신되면 출력부(130)를 통해 경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며, 영상 촬영 기기(120)를 동작시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The
그런 다음, 제어부(170)는 영상 촬영 기기(120)에 의해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에서 객체 영상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하고, 제1 차량(10)의 위치 데이터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화면에 표시된 객체 영상 데이터를 통해 객체의 존재를 알 수 있어 정지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차량(20)의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객체 영상 데이터 및 1 차량과 상기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표시함에 따라 제2 차량(20)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제2 차량(20)을 정지 또는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제2 차량(20)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가 제1 차량(10)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100)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One embodiment disclosed in FIG. 4 is one in which the hazard
도 4를 참조하면,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위험 신호 수신부(210), 경고 제어부(220), 거리 계측부(230) 및 운행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4, the danger
위험 신호 수신부(210)는 객체 감지 장치(100)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여 경고 제어부(22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위험 신호는 경고 정보,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차량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anger
경고 제어부(220)는 위험 신호 수신부(210)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경고 화면 및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경고 제어부(220)는 위험 신호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위험 신호 중 객체 영상 데이터 및 거리 계측부(230)에 의해 계측된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고 제어부(220)는 위험 신호를 거리 계측부(230)에 제공하며, 거리 계측부(230)는 위험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danger signal is received from the danger
또한, 경고 제어부(220)는 거리 계측부(230)에 의해 계측된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에 따라 운행 제어부(240)가 동작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고 제어부(220)는 거리 계측부(230)에 의해 계측된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제한 거리 이내이면 운행 제어부(240)가 동작되도록 한다. Also, the
이와 같은 경고 제어부(220)는 위험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위험 신호를 점등을 하는 LED(도 2, 131, 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제어부(220)는 모니터와 구현되어 위험 신호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경고 제어부(220)는 스피커로 구현되어 "삐삐 보행자가 있습니다." 또는 "전방 몇 미터 앞에 보행자가 있습니다."와 같은 경고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보행자를 포함한 객체까지의 거리는 거리 계측부(230)를 통해 산출된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이용할 수 있다. 경고 음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경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거리 계측부(230)는 경고 제어부(220)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위험 신호 중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및 위치 산출 모듈을 통해 결정된 제2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경고 제어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danger signal from the
운행 제어부(240)는 경고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제2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제2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운행 제어부(240)는 거리 계측부(230)에 의해 계측된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거리가 제2 제한 거리 이내이면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제한 거리 및 제2 제한 거리는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제2 제한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For example, if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제1 차량에 위치하는 객체 감지 장치가 객체를 감지하여 제2 차량에 위치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위험 신호를 제공하여 보행자 추돌을 방지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of the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disclosed in FIG. 5 relates to an embodiment in which an object sensing apparatus located in a first vehicle detects an object and provides a danger signal to a danger signal receiving apparatus located in a second vehicle to prevent a pedestrian collision will be.
도 5를 참조하면, 객체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10). 객체 감지 장치(100)는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단계 S520), LED를 점멸한다(단계 S530). 그런 다음, 객체 감지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생성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고(단계 S540), 제1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550). 객체 감지 장치(100)는 경고 정보,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험 신호를 생성하여(단계 S560)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에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위험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단계 S570),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제한 거리 이내이면(단계 S580) 경고 정보를 출력하고(단계 S590) 제2 차량(20)의 운행을 제어한다(단계 S600).The danger
이때, 위험 신호 수신 장치(200)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이내이면 제2 차량(20)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제1 차량 및 제2 차량 사이의 거리가 제2 제한 거리 이내이면 제2 차량(20)을 긴급 제동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anger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Modific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객체 감지 장치
110: 모션 센서
120: 영상 촬영 기기
130: 출력부
140: 배터리
145: 충전부
150: 속도 계측부
160: 위험 신호 송신부
170: 제어부
200: 위험 신호 수신 장치100: object detection device
110: Motion sensor
120: Video shooting device
130:
140: Battery
145:
150: speed measuring section
160: danger signal transmitter
170:
200: Hazardous Signal Receiver
Claims (1)
상기 제1 차량의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차량의 상태가 정지 상태인 상황에서 상기 제1 차량의 주변을 지나가는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면 위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차량의 위험 알림 모듈을 통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를 위험 신호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객체 감지 장치; 및
상기 객체 감지 장치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위험 신호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차량의 상태를 제어하는 위험 신호 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감지 장치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되면 상기 영상 촬영 기기를 동작시켜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차량의 좌측 백미러 및 우측 백미러 각각에 설치된 LED를 점멸시키고, 상기 차량 주변 영상 데이터 중 객체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객체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차량의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험 신호를 제공하는 보행자 추돌 방지 시스템.A pedestrian collision avoidance system for preventing a pedestrian collision by providing a danger signal to a danger signal receiving device located in a second vehicle by detecting an object located at a first vehicle,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of the first vehicle is in a stop state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first vehicle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object passing around the first vehicle in a state where the state of the first vehicle is stopped, An object detecting device for generating a danger signal when it is sensed and outputting the danger signal through the risk notification module of the first vehicle or providing the danger signal to the danger signal receiving device; And
And a danger signal receiving device for outputting the danger signal upon receipt of the danger signal from the object detection device or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second vehicle according to the danger signal,
The object sensing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to generate vehicle periphery image data when the movement of the object is sensed and blinks an LED install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rearview mirrors of the first vehicle, And provides the danger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object image data and the position data of the first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38668A KR20170069911A (en) | 2016-10-24 | 2016-10-24 |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38668A KR20170069911A (en) | 2016-10-24 | 2016-10-24 |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77115A Division KR20170069645A (en) | 2015-12-11 | 2015-12-11 |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69911A true KR20170069911A (en) | 2017-06-21 |
Family
ID=592817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38668A Withdrawn KR20170069911A (en) | 2016-10-24 | 2016-10-24 |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69911A (en) |
-
2016
- 2016-10-24 KR KR1020160138668A patent/KR20170069911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148669B2 (en) |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lane change for a vehicle | |
| CN104724125B (en) | Controller of vehicle | |
| JP7047763B2 (en) | Driving assistance devices and methods, mobiles, and programs | |
| KR10198452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vehicle collision | |
| CN112534487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oving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JP5751423B2 (en) | Driving assistance device | |
| KR20180065527A (en) | Vehicle side-rear warn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 |
| JP6063319B2 (en) | Lane change support device | |
| KR20170079096A (en) | Intelligent black-box for vehicle | |
| WO201711537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ing vehicular accidents | |
| CN106218644A (en) | Doubling auxiliary device based on automobile, method and automobile | |
| JP4255880B2 (en) | Inter-vehicle collision prevention support system and inter-vehicle collision prevention support device | |
| KR20170069645A (en) | System of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 |
| CN110626259A (en) | Triangular warning frame and collision early warning method thereof | |
| JP2009151566A (en) | Vehicle display device | |
| JP2008052320A (en) | Surround monitoring system | |
| KR2020008245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larm output of ADAS | |
| JP2010039933A (en) | Inattentive driving determination device | |
| KR101574010B1 (en) | Image Display Device for using a Safety Car-Drive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
| KR102616203B1 (en) | Alarm controlling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 KR10209440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ccident using an image | |
| KR20240124570A (en) | Method or apparatus for collision avoidance or impulse reduction | |
| US11195029B2 (en) | Driver assistance system | |
| JP2007133644A (en) | Pedestrian recognition device | |
| JP4900146B2 (en) | Obstacle detection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121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17711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