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74496A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496A
KR20170074496A KR1020150183842A KR20150183842A KR20170074496A KR 20170074496 A KR20170074496 A KR 20170074496A KR 1020150183842 A KR1020150183842 A KR 1020150183842A KR 20150183842 A KR20150183842 A KR 20150183842A KR 20170074496 A KR20170074496 A KR 20170074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ser
main body
seated
auxiliary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경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이엠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8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4496A/ko
Publication of KR2017007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49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5Cervical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누운 자세 변화에 대하여 머리와 목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돌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누웠을 때 본체의 머리안착부에 사용자의 머리가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돌출부에 사용자의 머리가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누운 자세 변화에 대하여 머리와 목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수면은 깨어있는 동안 축적된 정신적,육체적 피로를 제거하고 새로운 활동력을 제공하는 휴식활동이다. 수면활동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면 심신의 휴식 효과가 제공되지만 반대로,충분한 수면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피로를 제거하지 못하여 주의력,집중력 및 업무 수행도가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게 된다.
정상적인 수면활동을 위해서는 적정 수면시간과 수면환경을 만족해야 한다. 적정 수면시간은 개인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약 7시간 정도로 권고한다. 수면 환경은 외부적으로 침실의 온도,습도, 침구 등으로 적정 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숙면을 위한 침실의 환경은 실내온도는 24±2℃의 범위이며,습도는 60-70%의 범위이다. 침구는 대표적으로 침대와 이불,베개 등이 있으며, 수면 시 적정 체온의 유지와, 신체가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그중 베개는 수면 중에 발생하는 움직임에 대해서 목을 지지하여 편안한 수면 자세를 유지하는 침구로서, 예전부터 형태와 재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져 왔다. 또한 베개의 높이도 매우 중요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적합한 높이의 베개 사용은 목 부위의 혈관을 굴곡시켜 혈액순환 장애를 일으켜 장기간 사용 시 뇌출혈 또는 뇌졸중의 위험성이 있으며 경추의 이상과 목 부위 근육을 긴장시키게 된다. 이처럼 베개의 높이는 자연스러운 목 각도를 유지하여 원활한 혈액순환과 신경의 압박을 해소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베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베개(10)는 머리 받침부(12) 및 목 받침부(14)를 포함한다. 머리 받침부(12) 및 목 받침부(14)는 사용자가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바닥면에서 신체의 머리 부분과 목 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장기간 정 자세로 숙면을 취하는 사람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옆으로 누워 수면을 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머리 받침부(12)는 바른 자세로 누웠을 때 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받치도록 형성되는바, 옆으로 눕는 경우 머리 부분을 제대로 받칠 수 없게 되어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0885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83583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누운 자세 변화에 대하여 머리와 목을 편안하게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머리안착부와,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도록 상기 머리안착부의 가장자리에 만곡하게 형성되는 경추지지부를 갖는 본체; 및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본체보다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귀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귀눌림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머리안착부의 표면은 올록볼록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면에 상기 머리안착부를 향하도록 오목하게 보조쿠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통기홀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머리안착부에 수용되는 보조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패드의 하면은 상기 머리안착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패드의 상면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베개는 본체와 돌출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누웠을 때 본체의 머리안착부에 사용자의 머리가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돌출부에 사용자의 머리가 편안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는 목을 받쳐주는 경추지지부를 구비하므로, 거북목 또는 일자목 증후군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자는 동안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추지지부는 목을 펴줌으로써 기도를 확충하여 코골이 및 호흡장애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하면에는 보조쿠션홈이 형성되어, 머리안착부가 머리를 받치는 각도가 머리 크기와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비슷해지게 되어, 머리를 신체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받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귀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귀눌림방지홈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돌출부에 안착될 때, 귀가 눌리지 않게 되어, 자는 동안 귀 눌림으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머리안착부에 보조패드가 탈부착 되도록 구성되므어, 머리안착부가 너무 오목하게 형성되어 본인의 머리에 맞지 않는 경우, 머리안착부에 보조패드를 부착하고, 보조패드의 지지부에 머리가 지지되도록 하여 머리의 높이를 본인 체형에 알맞게 조절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패드는 평평한 형태의 지지부를 포함하므로, 납작한 형태의 머리 두상을 가진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베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C-C'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통기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보조패드가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보조패드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사용자의 머리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0) 및 돌출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것으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는 머리안착부(112) 및 경추지지부(114)를 포함하며, 보조쿠션홈(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쿠션홈(116)은 후술하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머리안착부(112)는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본체(110)의 상면에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머리가 머리안착부(112)에 안착되면, 사용자의 머리와 연결된 목이 꺾이거나 눌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머리안착부(112)의 표면은 올록볼록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112a)를 구비할 수 있다. 요철부(112a)는 통풍 역할을 하는 것으로 머리가 머리안착부(112)에 안착될 때 공기가 통하도록 하여 땀이 차지 않도록 하여 편안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경추지지부(114)는 사용자의 경추가 지지되는 머리안착부(112)의 가장자리에 경추의 형태를 'C' 자로 자연스럽게 받쳐주도록 만곡하게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경추지지부(114)는 목을 편안하게 받쳐주어 거북목 또는 일자목 증후군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자는 동안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추지지부(114)는 목을 펴줌으로써 기도를 확충하여 코골이 및 호흡장애 개선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돌출부(120)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것으로 본체(110)의 양 측면에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120)는 본체(110)보다 높도록 형성되며, 그 상면에는 사용자의 귀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귀눌림방지홈(122)이 형성된다. 이처럼 귀눌림방지홈(122)에 귀가 안착되므로 귀가 눌리지 않게 되어, 자는 동안 귀 눌림으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본체(110) 및 돌출부(120)를 커버하도록 별도의 커버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베개(100)의 오염을 방지하고, 각종 캐릭터, 패턴 등이 형성되어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C-C'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쿠션홈(116)은 본체(110)의 하면에 머리안착부(112)를 향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쿠션홈(116)은 외부 가압력이 클수록 하방으로 눌리는 정도가 커지게 되어, 중량이 많이 나가는 큰 머리가 머리안착부(112)에 안착되면 보조쿠션홈(116)이 그만큼 많이 눌리게 되고, 중량이 적게 나가는 작은 머리가 머리안착부(112)에 안착되면 보조쿠션홈(116)은 그만큼 조금 눌리게 된다. 이처럼 머리의 중량에 따라 보조쿠션홈(116)이 가변적으로 이동되므로, 머리안착부(112)가 머리를 받치는 각도는 머리 크기와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비슷해지게 되어, 머리를 신체의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받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통기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본체(110)에 통기홀(11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통기홀(118)은 본체(1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홀(118)은 공기가 지나다니는 통로 역할을 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머리안착부(112)에 안착된 후, 외부 공기가 통기홀(118)을 통하여 머리 방향으로 통풍되도록 하여 머리에 땀이 차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기홀(118)이 많을수록 본체(110)의 탄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보조패드가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에 보조패드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00)는 본체(110)에 보조패드(130)가 더 삽입될 수 있다. 보조패드(130)는 본체(110)의 머리안착부(112)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보조패드(130)의 하면은 머리안착부(112)에 수용되도록 호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132)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패드(130)의 상면은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패드(130)는 머리안착부(112)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머리안착부(112)가 너무 오목하게 형성되어 본인의 머리에 맞지 않는 경우, 머리안착부(112)에 보조패드(130)를 부착하고, 보조패드(130)의 지지부(134)에 머리가 지지되도록 하여 머리의 높이를 본인 체형에 알맞게 조절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패드(130)는 평평한 형태의 지지부(134)를 포함하므로, 납작한 형태의 머리 두상을 가진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부(134)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베개 110: 본체
112: 머리안착부 112a: 요철부
114: 경추지지부 116: 보조쿠션홈
118: 통기홀 120: 돌출부
122: 귀눌림방지홈 130: 보조패드
132: 볼록부 134: 지지부

Claims (6)

  1.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머리안착부와, 사용자의 경추를 지지하도록 상기 머리안착부의 가장자리에 만곡하게 형성되는 경추지지부를 갖는 본체; 및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본체보다 높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귀가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귀눌림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안착부의 표면은 올록볼록하게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 상기 머리안착부를 향하도록 오목하게 보조쿠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통기홀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안착부에 수용되는 보조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패드의 하면은 상기 머리안착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조패드의 상면은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150183842A 2015-12-22 2015-12-22 기능성 베개 Ceased KR201700744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42A KR20170074496A (ko) 2015-12-22 2015-12-22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42A KR20170074496A (ko) 2015-12-22 2015-12-22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96A true KR20170074496A (ko) 2017-06-30

Family

ID=5927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842A Ceased KR20170074496A (ko) 2015-12-22 2015-12-22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44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686A (ko) *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베딩나라 에어압축팩이 구비된 경추베개
KR20230018081A (ko) * 2021-07-29 2023-02-07 신우열 베개
KR20230018164A (ko) * 2021-07-29 2023-02-07 신우열 베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686A (ko) *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베딩나라 에어압축팩이 구비된 경추베개
KR20230018081A (ko) * 2021-07-29 2023-02-07 신우열 베개
KR20230018164A (ko) * 2021-07-29 2023-02-07 신우열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18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US20190069698A1 (en) Pillow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US8997285B2 (en) Arm protector head rest
US20130298333A1 (en) Balance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20210235900A1 (en) Pillow for relieving sleep apnea and preventing snoring
KR101966297B1 (ko) 라운드형 베개
KR101635472B1 (ko) 기능성 베개
KR20200073815A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KR20180031098A (ko) 경추 지압 베개
KR102109986B1 (ko) 기능성 날개 베개
CN103844744B (zh) 枕头
KR20170074496A (ko) 기능성 베개
KR101864769B1 (ko) 메모리 폼 베개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KR101784975B1 (ko) 서로 다른 사이즈의 체형에 사용될 수 있는 듀얼 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KR102123260B1 (ko) 기능성 베개
KR101835987B1 (ko) 목 디스크 예방용 베개
KR20150038795A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US7594289B1 (en) Pillow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101768611B1 (ko) 체압 분산형 인체공학 베개
KR200475488Y1 (ko) 엎드린 자세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