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445A - Automatic apparatus for assemblying of o-ring - Google Patents
Automatic apparatus for assemblying of o-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7445A KR20170077445A KR1020150187331A KR20150187331A KR20170077445A KR 20170077445 A KR20170077445 A KR 20170077445A KR 1020150187331 A KR1020150187331 A KR 1020150187331A KR 20150187331 A KR20150187331 A KR 20150187331A KR 20170077445 A KR20170077445 A KR 201700774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p
- cylinder
- expansion
- tube
- pi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028—Tools for removing or installing se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링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링을 파지하여 축부재의 외경에 자동으로 끼울 수 있음은 물론, 오링에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도록 된 오링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1000)는, 픽업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실린더블록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은 물론, 픽업챔버와 익스펜션챔버를 구분하도록 실린더블록에 구비된 제1구획부재의 축중심에서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방향의 프레임으로 돌출되도록 픽업봉(1320)이 설치되며, 픽업봉의 단부쪽에 오링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픽업수단(1300)과, 픽업봉(1320)에 축중심이 끼워지면서 익스펜션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익스펜션챔버에 익스펜션실린더(1410)가 설치되고, 익스펜션튜브(1420)의 선단이 픽업수단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익스펜션수단(1400)과, 스트립실린더가 스트립챔버에 설치되어 스트립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스트립실린더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트립실린더에 조립됨과 더불어 익스펜션튜브에 축중심이 끼워져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프레임으로 스트립튜브(1520)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스트립튜브의 단부쪽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익스펜션수단에 끼워진 오링을 밀어내어 축부재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수단(150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securing an O-ring to an outer diameter of a shaft member and preventing the O-ring from being damaged.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ove the cylinder block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fluid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pick-up chamber, A pick-up rod 1320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shaft of the membe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ick-up cylinder, a pick-up means 1300 capable of holding an O-ring on the end of the pick- The expansion cylinder 1410 is installed in the expansion chamber so as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fluid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expansion chamber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xpansion chamber 1420. The tip of the expansion tube 1420 surroun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means, The strip cylinder is provided in the strip chamber and the strip cylinder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fluid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strip chamber. The strip tube 1520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opposite frame of the pick-up cylinder, and the end portion of the strip tube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O-ring inserted into the expansion means And strip means 1500 that can be pushed and assembled to the shaft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링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링을 파지하여 축부재의 외경에 자동으로 끼울 수 있음은 물론, 오링에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불량 발생이 없고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도록 된 오링자동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gripping an O-ring so as to be automatically fitted to an outer diameter of a shaft member, To an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냉동사이클에서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가변용량압축기에 축부재가 취부되고, 이러한 축부재의 외주면에는 여러개의 오링이 설치된다.In general, a shaft member is attached to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gas in a refrigeration cycle of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and a plurality of O-rings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member.
종래 축부재의 외주면에 오링이 커플러에 수작업으로 조립됨에 따라, 작업자는 오링 삽입작업시 힘든 노동을 필요로 한다. 그 결과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고, 생산성이 저하된다.Conventionally, since the O-ring is manually assemb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member by the coupler, the operator needs labor hard to perform the O-ring insertion operation.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work is lowered an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한편, 이러한 오링을 자동으로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7-0020295호로 "오링류 자동조립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바, 복수개로 분할된 체크조를 확개 또는 협소되어지도록 되어 오링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7-0020295 discloses an automatic o-ring assembly device for automatically assembling such o-rings, and a plurality of divided check boxes are expanded or narrowed, .
그러나 이러한 오링류 자동조립장치는 분할된 체크조가 벌어지면서 오링을 파지하여 조립하게 되므로 체크조가 벌어지면서 오링을 파지할 때 오링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불량율이 높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축부재의 끝단에서 깊이 삽입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has a problem in that the O-ring is broken when the O-ring is gripped due to the O-ring being assembled by grasping the O-ring as the split check bar is opened, the defect rate is high and the productivity is de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pth insertion can not be performed.
참조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7-0020295호로 "오링류 자동조립장치".Reference Documen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7-0020295 entitled "Automatic O-ring Assembly Devic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링을 파지하여 축부재의 외경에 자동으로 끼울 수 있음은 물론, 오링에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도록 된 오링자동조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which are capable of automatically gripping an 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링자동조립장치는, 기계 장치의 스탠드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여 안내되면서 유체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픽업챔버와 익스펜션챔버 및 스트립챔버로 구획되도록 조립된 실린더블록과; 상기 픽업챔버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어 픽업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실린더블록을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픽업실린더와, 상기 픽업챔버와 익스펜션챔버를 구분하는 제1구획부재의 축중심에서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방향의 프레임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 픽업봉이 설치되며, 이 픽업봉의 단부쪽에 오링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픽업수단과; 상기 픽업봉에 축중심이 끼워지면서 익스펜션챔버에 설치되어 익스펜션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익스펜션실린더와, 이 익스펜션실린더의 축중심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픽업실린더가 설치된 반대쪽 방향으로 픽업봉에 축중심이 끼워져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프레임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익스펜션튜브의 선단이 픽업수단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익스펜션수단과; 상기 익스펜션튜브에 축중심이 끼워지면서 스트립챔버에 설치되어 스트립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스트립실린더와, 상기 스트립실린더의 축중심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픽업실린더가 설치된 반대쪽 방향으로 익스펜션튜브에 축중심이 끼워져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프레임으로 돌출되도록 스트립튜브가 설치되어, 이 스트립튜브의 단부쪽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익스펜션수단에 끼워진 오링을 밀어내어 축부재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O-ring assembly apparatus including: a frame mounted on a stand of a mechanical device; A cylinder block assembled so as to be partitioned into a pickup chamber, an expansion chamber and a strip chamber, in which fluid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while being guided and positioned inside the frame; A pick-up cylinder installed in the pick-up chamber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rame to move the cylinder block in the axial direction by a fluid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pick-up chamber; A pick-up rod fixed to be projected from a center of the partition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ick-up cylinder, pickup means for holding an O-ring on the end of the pick-up rod; An expansion cylinder installed in the expansion chamber in such a manner that the center of the shaft is fitted to the pickup rod and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by a fluid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expansion chamber, The tip of the expansion tu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ame opposite to the pick-up cylinder with the axis of the shaft inserted into the pickup ro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ylinder is installed can be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up means; A strip cylinder installed in the strip chamber so as to be axially centered on the expansion tube and adapted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by a fluid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strip chamber; The strip tube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ame opposite to the pick-up cylind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expansion tub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strip tube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to push the O-ring fitted into the expansion means, And a stripping means adapted to allow the stripping of the strip.
여기서 상기 픽업수단은, 상기 픽업봉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오링의 내주면으로 끼워지도록 단부가 직경이 작고 후방이 직경이 크게 이루어진 픽업가이드팁을 포함한다.The pick-up means includes a pickup guide tip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to an end portion of the pickup rod and whose end portion has a small diameter and the rear portion has a large diameter so as to be 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ing.
그리고 상기 익스펜션수단은, 상기 익스펜션튜브의 선단에 조립되어 상기 픽업가이드팁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더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을 포함한다.The expansion means includes an expansion cylinder tube tip which is assembled at the tip of the expansion tube and can move a certain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ckup guide tip.
또한 상기 스트립수단은, 상기 스트립튜브의 단부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하여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에 끼워진 오링을 밀어내어 축부재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튜브팁을 포함한다.The stripping means is assembled to the end of the strip tube, and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tip of the expansion cylinder, thereby pushing the O-ring fitted to the tip of the tube of the expansion cylinder, And includes a strip tube tip.
한편, 상기 프레임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스트립수단의 스트립튜브가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져 상기 스트립실린더가 유체에 의해 이동할 때 스트립튜브를 안내하도록 스트립튜브안내부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trip tube guiding bush is further provided for guiding the strip tube when the strip cylinder of the strip means is fitted in the center of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trip cylinder is moved by the fluid, in addition to being fixed to the end of the fra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링자동조립장치에 의하면, 오링을 기계화된 장치로 파지하여 축부재의 외경에 자동으로 끼울 수 있음은 물론, 오링에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ring can be automatically fitt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ft member by grasping the O-ring with a mechanized device, no damage is caused to the O-ring, have.
본 발명에 따른 오링자동조립장치에 의하면, 픽업수단을 구성하는 픽업봉의 단부에 픽업가이드팁과 익스펜션수단을 구성하는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 및 스트립수단을 구성하는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조립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of the pick-up guide and the tip of the expansion cylinder tube constituting the expansion means and the tip of the expansion cylinder tube constituting the strip means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d of the pick- So that the manufacturing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에 따른 오링자동조립장치에 의하면, 프레임의 단부에 스트립튜브안내부시가 설치되어 실린더블록을 상하로 안내하기 용이하고 프레임의 마모를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tube guide bush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rame, and the cylinder block can be easily guided up and down, and wear of the fram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오링자동조립장치에 의하면, 축부재의 끝단에서 오링을 깊이 삽입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O-ring assemb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ng can be inserted deeply at the end of the shaft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자동조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1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가 기계의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의 (A) ~ (D)는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픽업실린더의 설명도,
도 11의 (A),(B)는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픽업가이드팁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익스펜션실린더의 설명도,
도 13의 (A),(B)는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익스펜션실린더팁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스트립실린더의 설명도,
도 15의 (A),(B)는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스트립실린더팁의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자동조립장치가 오링이 놓인 위치로 이동한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픽업실린더가 전진하여 오링을 익스펜션실린더팁이 파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픽업실린더가 후진하여 오링을 픽업가이드팁이 파지한 상태로 축부재의 조립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익스펜션실린더가 전진하여 오링이 파지된 상태로 익스펜션실린더팁이 축부재로 끼워지도록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를 구성하는 스트립실린더가 전진하여 스트립실린더팁이 오링을 익스펜션실린더팁에서 밀어 축부재의 홈으로 끼워넣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가 피더에 의해 공급되는 오링을 파지하기 위해 대기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O-ring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3 is a rear view of Fig. 1,
Fig. 4 is a left side view of Fig. 1,
Fig. 5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
Fig. 6 is a plan view of Fig. 1,
Fig. 7 is a bottom view of Fig. 1,
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rame of the machine,
9 (A) to 9 (D) are explanatory diagrams of frames constituting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pick-up cylinder constituting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pickup guide tip constituting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xpansion cylinder constituting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and 13B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n expansion cylinder tip constituting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rip cylinder constituting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and 15B are explanatory diagrams of a strip cylinder tip constituting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O-ring is placed,
1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ck-up cylinder constituting an automatic O-ring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dvances and an O-ring is held by an expansion cylinder tip;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ck-up cylinder constituting an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versed and an O-ring is moved to an assembling position of a shaft member in a state in which a pick-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cylinder tip of the expansion ring cylinder moves forward to be fitted into the shaft member in a state where the expansion cylinder of the automatic O-
2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ip cylinder constituting the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dvances and a strip cylinder tip is pushed from the tip of an expansion cylinder into a groove of a shaft member and assembled;
2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tomatic O-ring assemb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standby position for gripping an O-ring supplied by a feed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링자동조립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O-ring assemb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even when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lso, directional terms such as "top", "bottom", "front", "back", "front", "forward", "rear", etc.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 (s). Since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not limitation.
본 발명의 오링자동조립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계 장치의 스탠드(A)에 도시되지 않은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장착되는 프레임(1100)과, 실린더블록(1200)과, 픽업수단(1300)과, 익스펜션수단(1400)과, 스트립수단(1500)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O-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0)은, 상기 스탠드(A)에 세워진 상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 2장의 측판(1110, 1120)과, 상기 픽업수단(1300)과 익스펜션수단(1400) 및 스트립수단(1500)을 가이드하도록 측판(1110, 1120)의 일측 단부에 체결나사로 조립된 가이드판(1130)과, 상기 측판(1110, 1120)의 타측 단부에 체결나사로 조립된 고정판(1140)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또 상기 가이드판(1130)에는 스트립수단(1500)을 가이드하도록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져 스트립튜브안내부시(1150)가 더 설치된다.The
또한 상기 고정판(1140)에는 상기 픽업수단(1300)의 후술하는 픽업실린더를 고정할 수 있도록 픽업실린더체결구멍(1141)이 형성됨과 더불어, 픽업실린더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픽업실린더 끼움홈(1142)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ickup
따라서 상기 프레임(1100)은 기계장치의 스탠드(A)에 고정되어 실린더블록(1200)를 내부에 위치하여 픽업수단(1300)과 익스펜션수단(1400) 및 스트립수단(1500)과 함께 견고하게 축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The
또 상기 프레임(1100)의 단부에 스트립튜브안내부시(1150)가 설치되어 실린더블록(1200)을 상하로 안내하기 용이하고 프레임(1100)의 마모를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a strip
한편, 상기 실린더블록(1200)은, 상기 고정판(1140)이 있는 쪽으로부터 픽업챔버(1210)와 익스펜션챔버(1220) 및 스트립챔버(1230)로 구획되도록 제1,2,3챔버부재(1260,1270,1280)가 제1,2구획부재(1240,1250)에 의해 구획되어 4개의 모서리에 축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체결수단이 연결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제1,3챔버부재(1260,1280)의 단부에 제1,2챔버형성부재(1291, 1292)가 조립된다.The
여기서 상기 픽업챔버(1210)와 익스펜션챔버(1220) 및 스트립챔버(1230)의 양단에는 유체가 들어오고 나가는 유체출입밸브(1201~1206)가 설치된다. Fluid inlet and
또 상기 픽업챔버(1210)와 익스펜션챔버(1220) 및 스트립챔버(1230)는 유체의 누출이 방지되도록 제1,2구획부재(1240,1250)와 제1,2챔버형성부재(1291,1292)에 복수개의 실링(1207)이 설치되며, 상기 제1,2챔버형성부재(1291,1292)는 상기 제1,3챔버부재(1260,1280)에 조립되어 빠지지 않도록 도시되지 않은 멈춤링에 의해 조립되어 있다.The pick-
따라서 상기 실린더블록(1200)은 픽업수단(1300)과 익스펜션수단(1400) 및 스트립수단(1500)을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도록 픽업챔버(1210)와 익스펜션챔버(1220) 및 스트립챔버(1230)로 구획되게 된다.The
또한 상기 픽업수단(1300)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픽업챔버(1210)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1100)의 고정판(1140)에 일단이 고정되어 픽업챔버(1210)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실린더블록(1200)을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실링된 픽업실린더(1310)와, 상기 픽업챔버(1210)와 익스펜션챔버(1220)를 구분하는 제1구획부재(1240)의 축중심에서 픽업실린더(1310)가 설치된 반대쪽 방향의 프레임(1100)인 가이드판(1130)쪽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 픽업봉(1320)과, 상기 픽업봉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오링의 내주면으로 끼워지도록 단부가 직경이 작고 후방이 직경이 크게 이루어진 픽업가이드팁(1330)을 포함한다.8-11, the
여기서 상기 픽업봉(1320)의 일단은 상기 제1구획부재(1240)의 축중심에 형성된 홈(1241)에 끼워져 체결홈(1242)으로 체결되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에 의해 제1구획부재(1240)와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의 축중심 단부에는 상기 픽업가이드팁(1330)과 체결하기 위한 나사부(1321)가 형성된다.One end of the pick-
그리고 상기 픽업가이드팁(1330)은, 상기 나사부(1321)에 체결되는 나사부(1331)와, 이 나사부(1331)의 일단에 확경된 상태로 연장되되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은 쐐기형상의 오링삽입팁(1332)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pick-
상기 오링삽입팀(1332)의 축중심에는 육각홈(1332a)이 형성되어 픽업가이드팁(1330)을 픽업봉(1320)에 조립할 때 렌치로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A
따라서 도 8과 도10 및 도11과 도 16 내지 도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16의 대기상태에서 상기 픽업수단(1300)의 유체출입밸브(1202)로 유체가 공급되면 도 17의 실린더블록(1200)이 프레임(1100)의 가이드판(1130)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픽업가이드팁(1330)의 팁(1332)으로 오링의 내경이 끼워져 파지되게 된다.Therefore, when fluid is supplied to the fluid inlet /
또 상기 픽업수단(1300)을 구성하는 픽업봉(1320)의 단부에 픽업가이드팁(1330)을 착탈가능하게 별도로 조립이 가능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익스펜션수단(1400)은 도 1 내지 도 8 및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픽업봉(1320)에 축중심이 끼워지면서 익스펜션챔버에 설치되어 익스펜션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익스펜션실린더(1410)와, 이 익스펜션실린더의 축중심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픽업실린더가 설치된 반대쪽 방향으로 픽업봉에 축중심이 끼워져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프레임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익스펜션튜브(1420)와, 이 익스펜션튜브의 선단에 조립되어 상기 픽업가이드팁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더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8, 12, and 13, the
여기서 상기 익스펜션실린더(1410)의 축중심에는 상기 제1구획부재(1240)와 인접한 쪽에 상기 픽업봉(1320)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411)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반대쪽으로는 상기 익스펜션튜브(1420)이 체결되는 나사부(1412)가 형성된다.A through
그리고 상기 익스펜션튜브(1420)는, 축방향 중심에 상기 픽업봉(1320)이 끼워지도록 픽업봉끼움구멍(1421)이 형성되고, 상기 익스펜션실린더(1410)의 나사부(1412)와 체결되는 쪽의 단부에는 숫나사부(1422)가 형성되며, 상기 숫나사부(1422)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을 체결하기 위한 암나사부(1423)가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익스펜션수단(1400)을 구성하는 익스펜션튜브(1420)의 단부에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을 착탈가능하게 별도로 조립이 가능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Also, since the expansion
여기서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은,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부(1423)에 체결되는 나사부(1431)와, 이 나사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확경됨과 더불어 단부가 쐐기형상으로 된 튜브팁(1432)과, 상기 나사부(1431)와 튜브팁(1432)의 축중심으로 관통형성된 픽업봉안내구멍(1433)과, 이 픽업봉안내구멍과 연통하도록 튜브팁의 중심에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픽업가이드팁(13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픽업가이드팁수용홈(1434)이 형성된다.The expansion
미설명부호 1424는 익스펜션튜브(1420)를 돌려서 조립하기 위한 조립용홀이다.Reference numeral 1424 denotes an assembly hole for assembling the
따라서 도 8 및 도 18에서 상기 오링(20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축부재와 오링을 조립할 수 있는 위치로 오링자동삽입장치(1000)가 이동한 후, 상기 익스펜션수단(1400)의 유체출입밸브(1203)로 유체가 공급되면 도 19의 상태가 되면서 상기 익스펜션실린더(1410)가 익스펜션튜브(1420)를 안내하는 관통구멍(1251)이 형성된 제2구획부재(1250)에 밀착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8 and 18, after the
이때 상기 익스펜션실린더(1410)에 조립된 익스펜션튜브(1420)가 축방향으로 전진하여 오링을 파지한 상태로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이 축부재의 상부를 파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스트립수단(1500)은 도 8과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익스펜션튜브(1420)에 축중심이 끼워지면서 스트립챔버에 설치되어 스트립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스트립실린더(1510)와, 상기 스트립실린더의 축중심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픽업실린더가 설치된 반대쪽 방향으로 익스펜션튜브에 축중심이 끼워져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프레임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스트립튜브(1520)와, 이 스트립튜브의 단부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하여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에 끼워진 오링을 밀어내어 축부재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튜브팁(1530)을 포함한다.8, 14, and 15, the
여기서 상기 스트립실린더(1510)는 일측면에서 축중심으로 익스펜션튜브(1420)를 안내하는 관통구멍(151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상기 스트립튜브(1520)와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부(1512)가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스트립튜브(1520)는 축방향으로 익스펜션튜브(1420)를 안내하는 관통구멍(1521)가 형성되고, 일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부(1512)와 체결되는 숫나사부(1522)가 형성되며, 타단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스트립튜브팁(1530)와 체결되는 숫나사부(1523)가 형성되고, 외주면 소정위치에는 축중심으로 관통되는 조립용 홀(1524)이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스트립튜브팁(1530)은, 상기 숫나사부(1523)에 체결되는 암나사(1531)가 축중심 일단에 형성되고, 축중심 타단에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을 수용하면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튜브팁수용홈(1532)이 형성된 일정한 두께의 오링스트립(1533)이 구비되며, 외주면 소정위치에서 축중심으로 관통되는 조립홀(1534)이 구비되어 있다.Further, the
따라서 도 19에서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이 오링(200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립수단(1500)의 유체출입밸브(1205)로 유체가 공급되면 도20의 상태가 되면서 상기 스트립실린더(1510)가 제2챔버형성부재(1292)에 밀착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익스펜션튜브(1420)와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을 수용하고 있던 스트립튜브(1520)와 스트립튜브팁(1530)이 축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에 있던 오링을 축부재의 홈에 밀어넣어 오링이 조립되게 된다.19, when fluid is supplied to the fluid inlet /
이후 상기 픽업수단(1300)과 익스펜션수단(1400) 및 스트립수단(1500)의 유체출입밸브(1201,1204,1206)로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실린더블록(1200)과 익스펜션실린더(1410) 및 스트립실린더(151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21의 상태로 초기화 되면서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오링을 파지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하여 대기 상태로 놓이게 된다.When fluid flows into the fluid inlet /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오링을 파지할 때 척을 사용하지 않고 균등하게 벌어지는 상기 픽업가이드팁(1330)과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을 이용하게 되므로 오링이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트립튜브팁(1530)이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에서 오링을 밀어서 축부재에 조립하게 되므로, 오링의 삽입시 불량이 적고, 축부재의 끝단에서 오링을 깊이 삽입을 할 수 있도록 기계화가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ick-up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0: 오링자동조립장치
1100: 프레임
1150: 스트립튜브안내부시
1200: 실린더블록
1300: 픽업수단
1310: 픽업실린더
1320: 픽업봉
1330: 픽업가이드팁
1400: 익스펜션수단
1410: 익스펜션실린더
1420: 익스펜션튜브
1430: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
1500: 스트립수단
1510: 스트립실린더
1520: 스트립튜브
1530: 스트립튜브팁1000: O-ring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1100: Frame
1150: Strip tube guide bushing 1200: Cylinder block
1300: pickup means 1310: pickup cylinder
1320: pick-up rods 1330: pick-up guide tips
1400: Expansion means 1410: Expansion cylinder
1420: Expansion tube 1430: Expansion cylinder tube tip
1500: strip means 1510: strip cylinder
1520: Strip tube 1530: Strip tube tip
Claims (5)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여 안내되면서 유체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픽업챔버(1210)와 익스펜션챔버(1220) 및 스트립챔버(1230)로 구획되도록 조립된 실린더블록(1200)과;
상기 픽업챔버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어 픽업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실린더블록을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픽업실린더(1310)와, 상기 픽업챔버와 익스펜션챔버를 구분하는 제1구획부재의 축중심에서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방향의 프레임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된 픽업봉(1320)이 설치되며, 이 픽업봉의 단부쪽에 오링(20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픽업수단(1300)과;
상기 픽업봉(1320)에 축중심이 끼워지면서 익스펜션챔버에 설치되어 익스펜션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익스펜션실린더(1410)와, 이 익스펜션실린더의 축중심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픽업실린더가 설치된 반대쪽 방향으로 픽업봉에 축중심이 끼워져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프레임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익스펜션튜브(1420)의 선단이 픽업수단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익스펜션수단(1400)과;
상기 익스펜션튜브(1420)에 축중심이 끼워지면서 스트립챔버에 설치되어 스트립챔버의 양단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 스트립실린더(1510)와, 상기 스트립실린더의 축중심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픽업실린더가 설치된 반대쪽 방향으로 익스펜션튜브에 축중심이 끼워져 픽업실린더의 반대쪽 프레임으로 돌출되도록 스트립튜브(1520)가 설치되어, 이 스트립튜브의 단부쪽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익스펜션수단(1400)에 끼워진 오링(2000)을 밀어내어 축부재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수단(1500);을 포함하는 오링자동조립장치.A frame 1100 mounted on a stand of the machine;
A cylinder block 1200 assembled so as to be partitioned into a pickup chamber 1210 in which fluid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while being guided and positioned inside the frame, and an expansion chamber 1220 and a strip chamber 1230;
A pick-up cylinder (1310) installed in the pick-up chamber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rame to move the cylinder block in the axial direction by a fluid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pick-up chamber; A pick-up bar 1320 fixed to be protruded from a fram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ick-up cylinder at the center of the first partitioning member is installed. Pick-up means 1300 for holding an O- and;
An expansion cylinder 1410 which is installed in the expansion chamber with the shaft center inserted in the pickup rod 1320 and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by a fluid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expansion chamber, The tip of the expansion tube 1420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ame opposite to the pick-up cylinder with the center of the shaft being inserted into the pickup ro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ickup cylinder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ck- Expansion means 1400;
A strip cylinder 1510 installed in the strip chamber and axially moved by fluids supplied to both ends of the strip chamber with the shaft center inserted in the expansion tube 1420, In addition, a strip tube 1520 is provided so that the shaft center is inserted into the expansion tub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ck-up cylinder is installed and protruded to the frame opposite to the pickup cylinder. The end portion of the strip tube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strip means (1500) for pushing an O-ring (2000) sandwiched between the O-rings (1400) and assembled to the shaft member.
상기 픽업수단(1300)은,
상기 픽업봉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오링의 내주면으로 끼워지도록 단부가 직경이 작고 후방이 직경이 크게 이루어진 픽업가이드팁(1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자동조립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ckup means (1300)
And a pickup guide tip (1330) detachably attached to an end of the pickup rod and having a small diameter at an end portion and a large diameter at a rear portion so as to be 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ing.
상기 익스펜션수단(1400)은,
상기 익스펜션튜브의 선단에 조립되어 상기 픽업가이드팁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축방향으로 일정길이 더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자동조립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expansion means 1400 includes:
And an expansion cylinder tube tip (1430) assembled at a front end of the expansion tube so as to move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axial direction while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ckup guide tip.
상기 스트립수단(1500)은,
상기 스트립튜브의 단부에 조립됨과 더불어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하여 상기 익스펜션실린더튜브팁(1430)에 끼워진 오링을 밀어내어 축부재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스트립튜브팁(1530)을 포함하는 오링자동조립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strip means (1500)
Which is assembled to the end of the strip tube and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cylinder tube tip 1430 to push the O-ring fitted into the expansion cylinder tube tip 1430 to be assembled to the shaft member And a strip tube tip (1530).
상기 프레임(1100)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스트립수단(1500)의 스트립튜브(1520)가 축방향 중심으로 끼워져 상기 스트립실린더(1510)가 유체에 의해 이동할 때 스트립튜브(1520)를 안내하도록 스트립튜브안내부시(115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자동조립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ip tube 1520 of the strip means 1500 is fitted in the axial center so as to guide the strip tube 1520 when the strip cylinder 1510 is moved by the fluid And a strip tube guide bush (1150) is further install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7331A KR101774787B1 (en) | 2015-12-28 | 2015-12-28 | Automatic apparatus for assemblying of o-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7331A KR101774787B1 (en) | 2015-12-28 | 2015-12-28 | Automatic apparatus for assemblying of o-ring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7445A true KR20170077445A (en) | 2017-07-06 |
| KR101774787B1 KR101774787B1 (en) | 2017-09-06 |
Family
ID=5935425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87331A Active KR101774787B1 (en) | 2015-12-28 | 2015-12-28 | Automatic apparatus for assemblying of o-r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74787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8081324A (en) * | 2024-04-08 | 2024-05-28 | 湖南星创智能装备有限公司 |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for sealing r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86636B1 (en) | 2018-10-15 | 2020-03-11 |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 O-ring inserting apparatus |
| KR102619185B1 (en) * | 2023-10-14 | 2023-12-29 | (주)모션텍 | Filter O-ring insert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721264B2 (en) | 1990-05-31 | 1998-03-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Elastic ring holding device |
| KR100667421B1 (en) | 2005-11-11 | 2007-01-10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Piston ring assembly device of piston |
-
2015
- 2015-12-28 KR KR1020150187331A patent/KR101774787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8081324A (en) * | 2024-04-08 | 2024-05-28 | 湖南星创智能装备有限公司 | Mounting device and mounting method for sealing ring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74787B1 (en) | 2017-09-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74787B1 (en) | Automatic apparatus for assemblying of o-ring | |
| CN106132635B (en) | clamping equipment | |
| KR102469631B1 (en) | Telescopic attachment for magnetic filters | |
| US20140020225A1 (en) | Assembly tool and method of using | |
| RU2721467C2 (en) | Ball valve with upper connector, installation device and method of its application | |
| CN104526630A (en) | Quick release level and screwdriver | |
| JP4499174B2 (en) | Valve device | |
| JP2010533360A (en) | Tool for power press of cable connector | |
| CN110657291B (en) | Safety pipe fitting connecting structure and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thereof | |
| CN105382563A (en) | Clamp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pneumatic flange | |
| CN206405306U (en) | A kind of pressing mold installs safe self-checking mechanism | |
| CN103302610B (en) | Quick manual clamp for external-thread workpiece and using method thereof | |
| US9616535B2 (en) | Positioning device and positoning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1320795B1 (en) | Automatic supplying and combining apparatus for a screw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 |
| US9943951B2 (en) | Valve core remover extension | |
| CN103522052A (en) | Full-automatic screw distributing device | |
| US20130161581A1 (en) | Flange separation apparatus | |
| KR101766205B1 (en) | Spare fin removal device | |
| KR20100008046U (en) | Portable pipe forming machine | |
| CN201366613Y (en) | Screw clamping device of automatic screw fastening machine | |
| KR20150054168A (en) | space frame | |
| US9115564B1 (en) | Loading system | |
| KR101925622B1 (en) | Operating tool for pipe connecting device | |
| CN209698986U (en) | A kind of cutting ferrule dismounting tooling | |
| CN109026899B (en) | Frock quick replacement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5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