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708A -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7708A KR20170077708A KR1020150187907A KR20150187907A KR20170077708A KR 20170077708 A KR20170077708 A KR 20170077708A KR 1020150187907 A KR1020150187907 A KR 1020150187907A KR 20150187907 A KR20150187907 A KR 20150187907A KR 20170077708 A KR20170077708 A KR 201700777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ity
- analysis
- monitoring system
- data
- elder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A43B3/0005—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해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발에 탑재되어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 센싱 모듈;데이터 센싱 모듈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으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한 모니터링을 위한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정보 제공, 충격 데이터 분석 및 응급상황 알림, 위치정보 분석 및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는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령자의 안전 및 건강관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해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품은 스마트워치와 같은 손목시계 형태나 손목 밴드를 중심으로 피트니스와 활동 추적기 등 모바일 헬스관련 제품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체에 부착하거나 입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당분간 건강관리 제품 들이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현재 스마트 폰을 이어 IT산업을 이어나갈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대부분 대규모의 자본과 기술력을 가지는 대기업 위주로 산업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특화되는 산업과 융합할 수 있는 기술의 연구와 개발 여건의 마련이 필요하다.
국내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2000년도 이전 전체 인구의 7%를 차지하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2018년 고령사회,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고령인구는 사회구조와 부모부양의 인식변화 등으로 인해 단독 거주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사회활동과 참여 및 여가 등의 범위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 순기능을 가지기도 하지만 독거노인 문제 및 안전사고 등에 대해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지며 이러한 인구를 관리할 수 있는 복지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고령인구의 건강을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유케어(U-Care)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유케어(U-Care) 서비스의 하나로는 원격 전자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독거노인들의 가정에 설치한 고정 부착형 센서를 통하여 안전을 확인하고,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응급구조 활동을 하는 노인복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다른 하나로는 독거노인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는 활동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통하여 활동이 전혀 감지되지 않거나 평소에 비해 뚜렷하게 낮아진 경우 생활 관리사가 전화로 안부를 확인하거나 직접 방문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 응급 상황 때 자동으로 스피커폰이 작동하는 전화기, 연기가 조금이라도 날 경우에 작동하는 화재 감지센서와 가스유출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버턴을 눌러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 있도록 무선 호출기가 지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령인구 및 독거노인 등을 보호해야 하는 자녀 및 관련 복지센터 등은 24시간 보호를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노인 돌보미 서비스 등과 같은 복지 정책이 마련되어 있지만 비용 및 인력 등의 문제와 서비스 영역의 한계를 갖는다.
특히 고령자는 활동성 및 신체기능 저하 등으로 인해 많은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 쉬우며 실제로 노인의 안전사고 및 활동상의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위험은 각 지자체 복지관련 기관과 센터 등이 안전과 관리에 힘쓰고 있지만 이와 같은 인구 전체를 관리하기에는 역부족이며 일정 시간 외에는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환경에서 고령화 인구의 안전한 활동성을 지원하고 보호자를 안심 시킬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고령 인구의 건강 및 안전 모니터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해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센서신발을 매개로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 등을 신발을 통해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응급 및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운동량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활동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개인별 활동량을 체크하고 평균 연령대의 권장 활동량과 매칭 및 분석을 통해 권장활동정보를 산출하고, 권장활동량을 토대로 활동에 대한 일일 체크 기능을 제공하고 활동량의 달성율을 제공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강도의 충격이 신발에 전해질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고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1차 관리자에게 전달 후 응급 상황 확인 시 연계된 응급구조 기관에게 연락 및 조치를 요청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치매노인이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노인에 대해 GPS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활동량 분석을 통해 주요 활동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이탈이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하여 안전성을 높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계별 설정을 통해 사용자 알람, 관리자 알람, 연계된 응급구조기관 등 순차적인 알람이 갈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발에 탑재되어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 센싱 모듈;데이터 센싱 모듈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으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한 모니터링을 위한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정보 제공, 충격 데이터 분석 및 응급상황 알림, 위치정보 분석 및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는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하여 지자체, 노인 복지 시설 및 사설 케어 업체에 구비되어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는 서브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및 일반관리를 하는 시스템 운용 및 일반관리 모듈과,운동량 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 정보 제공 모듈과,신발의 강한 충격이 전해지면 센서를 통해 관리자와 연계된 응급기관으로 연결되어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충격 및 응급상황 알림 모듈과,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노인의 경우 일정 시간 별 위치정보를 체크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안정적인 관리가 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위치정보 분석 모듈과,분석된 정보 및 현재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 정보 제공 모듈은, 각 개인별 활동량을 체크하고 평균 연령대의 권장 활동량과 매칭 및 분석을 통해 권장활동정보를 산출하고, 권장활동량을 토대로 활동에 대한 일일 체크 기능을 제공하고 활동량의 달성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충격 및 응급상황 알림 모듈은, 일정강도의 충격이 신발에 전해질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고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1차 관리자에게 전달 후 응급 상황 확인 시 연계된 응급구조 기관에게 연락 및 조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위치정보 분석 모듈은, 치매노인이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노인에 대해 GPS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활동량 분석을 통해 주요 활동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이탈이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계별 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알람, 관리자 알람, 연계된 응급구조기관의 순서로 순차적인 알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방법은 신발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 및 위치에 관한 신호를 측정하는 데이터 측정 단계;사용자의 활동 및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 단계;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각 개인별 활동량을 체크하고 권장활동정보를 산출하고, 충격 및 응급상황에 관한 정보, 위치정보를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제공된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응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정보 제공 단계 및 대응 요청 단계는, 활동량 정보와 권장활동량(운동량)을 제공하고, 일정강도의 충격이 신발에 전해질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고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1차 관리자에게 전달 후 응급 상황 확인 시 연계된 응급구조 기관에게 연락 및 조치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 단계 및 대응 요청 단계는, 치매노인이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노인에 대해 GPS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활동량 분석을 통해 주요 활동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이탈이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해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센서신발을 매개로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 등을 신발을 통해 측정하는 것에 의해 지비용으로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 등을 신발을 통해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응급 및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넷째, 운동량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활동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개인별 활동량을 체크하고 평균 연령대의 권장 활동량과 매칭 및 분석을 통해 권장활동정보를 산출하고, 권장활동량을 토대로 활동에 대한 일일 체크 기능을 제공하여 고령 인구의 건강 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일정강도의 충격이 신발에 전해질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고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1차 관리자에게 전달 후 응급 상황 확인 시 연계된 응급구조 기관에게 연락 및 조치를 요청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여섯째, 치매노인이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노인에 대해 GPS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활동량 분석을 통해 주요 활동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이탈이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일곱째, 단계별 설정을 통해 사용자 알람, 관리자 알람, 연계된 응급구조기관 등 순차적인 알람이 갈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사회 안전망 구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고령 인구 모니터링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사회 안전망 구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고령 인구 모니터링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사회 안전망 구축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센서가 탑재된 신발을 매개로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응급 및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치매노인이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노인에 대해 GPS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활동량 분석을 통해 주요 활동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이탈이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고, 단계별 설정을 통해 사용자 알람, 관리자 알람, 연계된 응급구조기관 등 순차적인 알람이 갈 수 있도록 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센서가 탑재된 신발을 매개로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 등을 측정하고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AHRS(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 센서 기반의 블루투스 4.0 BLE로 모바일기기와 통신하는 구성, 센서 부착이 가능한 노인 기능성 신발에 관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시스템 운용 및 일반관리 모듈,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정보 제공 모듈, 충격 및 응급상황 알림 모듈, 위치정보 분석 모듈, 데이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모바일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관리자 모바일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발에 탑재되어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 센싱 모듈(10)과, 데이터 센싱 모듈(10)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30)으로 전송하고,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으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20)과, 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및 일반관리를 하고,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정보 제공, 충격 데이터 분석 및 응급상황 알림, 위치정보 분석 및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30)과,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30)과 연계하여 노인 복지 시설 및 사설 케어 업체에 구비되어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는 서브 모니터링 시스템(40)과,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는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30)을 통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50)을 포함한다.
여기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30)은 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및 일반관리를 하는 시스템 운용 및 일반관리 모듈과, 운동량 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 정보 제공 모듈과, 신발의 강한 충격이 전해지면 센서를 통해 관리자와 연계된 응급기관 등으로 연결되며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충격 및 응급상황 알림 모듈과,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노인의 경우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체크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안정적인 관리가 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위치정보 분석 모듈과, 분석된 정보 및 현재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도 2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30)과 연계하여 노인 복지 시설 및 사설 케어 업체에 구비되어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는 서브 모니터링 시스템(40)을 이용하여 사회 안전망을 구축한 일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신발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활동 및 위치에 관한 신호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30)의 메인서버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가공하여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즉, 운동량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활동량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활동량 정보와 권장활동량(운동량)을 제공한다.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 정보 제공 모듈에서, 각 개인별 활동량을 체크하고 평균 연령대의 권장 활동량과 매칭 및 분석을 통해 권장활동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권장활동량을 토대로 활동에 대한 일일 체크 기능을 제공하고 활동량의 달성율을 제공한다.
그리고 충격 및 응급상황 알림 모듈에서, 일정강도의 충격이 신발에 전해질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고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1차 관리자에게 전달 후 응급 상황 확인 시 연계된 응급구조 기관에게 연락 및 조치를 요청한다.
그리고 위치정보 분석 모듈에서, 치매노인이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노인에 대해 GPS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활동량 분석을 통해 주요 활동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이탈이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30)은 단계별 설정을 통해 사용자 알람, 관리자 알람, 연계된 응급구조기관 등 순차적인 알람이 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에게는 모바일 버전이, 관리자에게는 웹 버전과 모바일 버전이 제공되며 또한 서브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정부 및 지자체, 노인복지센터, 사설 케어업체 등 고령인구 관리의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고령 인구 모니터링 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및 분석 결과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신발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활동 및 위치에 관한 신호가 측정되어(S601),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30)의 메인서버에 저장되고(S602),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저장된 데이터의 분석이 이루어진다.(S603)
운동량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활동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개인별 활동량을 체크하고 평균 연령대의 권장 활동량과 매칭 및 분석을 통해 권장활동정보를 산출하고, 권장활동량을 토대로 활동에 대한 일일 체크 기능을 제공하고 활동량의 달성율을 제공하고, 충격 및 응급상황 분석, 위치정보 분석 및 처리를 한다.(S604)(S605)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활동량 정보와 권장활동량(운동량)을 제공하고, 일정강도의 충격이 신발에 전해질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고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1차 관리자에게 전달 후 응급 상황 확인 시 연계된 응급구조 기관에게 연락 및 조치를 요청한다.
또한, 치매노인이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노인에 대해 GPS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활동량 분석을 통해 주요 활동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이탈이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한다.(S606)(S607)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센서가 탑재된 신발을 매개로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응급 및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이 구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명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데이터 센싱 모듈 20. 사용자 모바일 단말
30.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40. 서브 모니터링 시스템
50. 관리자 모바일 단말
30.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40. 서브 모니터링 시스템
50. 관리자 모바일 단말
Claims (10)
- 사용자의 신발에 탑재되어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데이터 센싱 모듈;
데이터 센싱 모듈에 의해 센싱된 사용자의 활동량,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으로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
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한 모니터링을 위한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정보 제공, 충격 데이터 분석 및 응급상황 알림, 위치정보 분석 및 데이터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는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되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관리자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하여 노인 복지 시설 및 사설 케어 업체에 구비되어 노인의 생활건강과 안전한 활동을 지원하는 서브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를 탑재한 신발을 통한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운용 및 일반관리를 하는 시스템 운용 및 일반관리 모듈과,
운동량 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 정보를 제공하는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 정보 제공 모듈과,
신발의 강한 충격이 전해지면 센서를 통해 관리자와 연계된 응급기관으로 연결되어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충격 및 응급상황 알림 모듈과,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노인의 경우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체크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안정적인 관리가 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위치정보 분석 모듈과,
분석된 정보 및 현재 모니터링 대상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데이터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활동분석 및 권장활동 정보 제공 모듈은,
각 개인별 활동량을 체크하고 평균 연령대의 권장 활동량과 매칭 및 분석을 통해 권장활동정보를 산출하고,
권장활동량을 토대로 활동에 대한 일일 체크 기능을 제공하고 활동량의 달성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충격 및 응급상황 알림 모듈은,
일정강도의 충격이 신발에 전해질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고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1차 관리자에게 전달 후 응급 상황 확인 시 연계된 응급구조 기관에게 연락 및 조치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위치정보 분석 모듈은,
치매노인이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노인에 대해 GPS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활동량 분석을 통해 주요 활동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이탈이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계별 설정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 알람, 관리자 알람, 연계된 응급구조기관의 순서로 순차적인 알람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신발에 탑재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 및 위치에 관한 신호를 측정하는 데이터 측정 단계;
사용자의 활동 및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 단계;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각 개인별 활동량을 체크하고 권장활동정보를 산출하고, 충격 및 응급상황에 관한 정보, 위치정보를 사용자와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
제공된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건강 및 안전 관리에 필요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응 요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정보 제공 단계 및 대응 요청 단계는,
활동량 정보와 권장활동량(운동량)을 제공하고, 일정강도의 충격이 신발에 전해질 경우 이를 관리자에 알리고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1차 관리자에게 전달 후 응급 상황 확인 시 연계된 응급구조 기관에게 연락 및 조치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정보 제공 단계 및 대응 요청 단계는,
치매노인이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노인에 대해 GPS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별 위치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활동량 분석을 통해 주요 활동지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해 이탈이 발생 시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7907A KR20170077708A (ko) | 2015-12-28 | 2015-12-28 |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7907A KR20170077708A (ko) | 2015-12-28 | 2015-12-28 |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77708A true KR20170077708A (ko) | 2017-07-06 |
Family
ID=593542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87907A Withdrawn KR20170077708A (ko) | 2015-12-28 | 2015-12-28 |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77708A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114128A (ko) | 2019-03-27 | 2020-10-07 | 주식회사 미디어인 |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210029623A (ko) * | 2019-09-06 | 2021-03-16 | 주식회사 허그케어앤테라퓨틱스 | 스마트 수제화를 이용한 치매환자 실버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
| CN119090228A (zh) * | 2024-09-04 | 2024-12-06 | 徐州医科大学 | 一种用于老人照护的智慧养老服务监管系统及方法 |
-
2015
- 2015-12-28 KR KR1020150187907A patent/KR2017007770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114128A (ko) | 2019-03-27 | 2020-10-07 | 주식회사 미디어인 | 노년층의 안전 관리를 위한 알림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210029623A (ko) * | 2019-09-06 | 2021-03-16 | 주식회사 허그케어앤테라퓨틱스 | 스마트 수제화를 이용한 치매환자 실버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
| CN119090228A (zh) * | 2024-09-04 | 2024-12-06 | 徐州医科大学 | 一种用于老人照护的智慧养老服务监管系统及方法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180333083A1 (en) | Fal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 |
| US9368013B2 (en) |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 user | |
| RU2638272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выбранному сотруднику сигнала вызова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 |
| KR100813166B1 (ko) |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
| US7652569B2 (en) | Mobile telephonic device and base station | |
| US20160260310A1 (en) | Remote monitoring system | |
| US10405072B1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uman telematic data to provide a hazard alarm/notification message to a user in a static environment such as in or around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
| US20140327540A1 (en) |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 |
| JP5877528B2 (ja) | 自動通報システム | |
| KR101897236B1 (ko) |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밴드 | |
| KR20080109371A (ko) | 응급 구조구난 시스템 | |
| KR102079924B1 (ko) |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 |
| JP6621201B2 (ja) |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 |
| US20170249823A1 (en) | System for Tracking Wellness and Scheduling of Caregiving | |
| JP6077037B2 (ja) | 見守りシステム | |
| KR20170077708A (ko) |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
| KR20200116241A (ko) | 스마트 돌보미 시스템 | |
| KR20170035459A (ko) | 생체 신호 감지 기능과 이동 통신 기능을 연동한 독거노인 및 환자 관리 시스템 | |
| Pavlakis et al. | Intelligent mobile multimedia application for the support of the elderly | |
| KR101816380B1 (ko) | 빅 데이터 및 전자 발찌를 이용한 성범죄자 감시 및 알림 시스템과 그 방법 | |
| KR102624638B1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감염병 정보 제공 및 개인 건강상태 추적 시스템 | |
| KR101894906B1 (ko) | 헬프트리거를 소지한 실버 세대를 위한 개인응급 응답시스템 | |
| JP5164771B2 (ja) | 携帯端末 | |
| WO2019158954A1 (en) | A wearable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 |
| KR102685932B1 (ko) | 원격관리와 오프라인 관리를 통합한 보호대상자의 응급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스마트 케어 서비스 시스템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