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765A - The method for being recommended entertainment information based on gps and bigdata - Google Patents
The method for being recommended entertainment information based on gps and bigdat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6765A KR20170086765A KR1020160006168A KR20160006168A KR20170086765A KR 20170086765 A KR20170086765 A KR 20170086765A KR 1020160006168 A KR1020160006168 A KR 1020160006168A KR 20160006168 A KR20160006168 A KR 20160006168A KR 20170086765 A KR20170086765 A KR 201700867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user
- store
- user device
- big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 G06Q50/3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현재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게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이고,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와 연관하여 기 구축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tertain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includes: acquiring a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hrough a user device;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tore located within the at least one store, and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store through a user device, wherein the at least one store is a store providing entertainment services, Can be selectively collec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liminarily constructed big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tertain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스마트 폰 등 개인용 휴대 단말기기의 폭발적인 보급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스마트 폰 등의 검색을 통하여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Due to the explosion of personal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users can easily acquire the information they want by searching through a smart phone or the like.
그러나 이러한 정보의 검색은 키워드 등의 선정 문제, 검색 데이터 활용 문제 등으로 인하여 검색의 정확도 및 검색 효율에서 천차만별의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검색 희망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획득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1회 또는 그 이상의 키워드 입력을 요구 받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검색 키워드를 잘못 선정하였다면, 검색 희망 정보를 찾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비될 수 있다. However, the search of such information shows differences in search accuracy and search efficiency due to problems such as selection of keywords and utilization of search data. For example, in order to quickly and accurately acquire user's desired search information, the user is required to input one or more keywords. If the user incorrectly selects a search keyword, a large amount of time may be spent to search for the search target information.
또한, 검색 데이터 범위가 지나치게 협소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검색 희망 정보가 온전하게 검색되지 않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arch data range is too narrow, the search request information of the user may not be completely retrieved.
따라서,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기 구축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에 부합하는 정보를 빠르고 손쉽게 검색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 필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velop a method for quickly and easily searching for information that meets the user's interest, us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pre-established big data.
본 발명의 전술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안으로써,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정보와 기 구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엔터테인먼트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추천해주고자 한다. As a respons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ed to quickly and accurately recommend entertain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established big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tertain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현재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게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이고,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와 연관하여 기 구축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tertain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includes: acquiring a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hrough a user device;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tore located within the at least one store, and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store through a user device, wherein the at least one store is a store providing entertainment services, Can be selectively collec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preliminarily constructed big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반경은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가된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radi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nlarged or reduc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may be changed based on the first signal applied by the user via the user device.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는 가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업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수집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가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가 필터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store may be col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provided by the store, and information about the stores collected based on the second signal a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is filter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가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가게에 대한 세부 정보를 더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store through the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tore based on the third signal a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causing the computer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주변에 있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가게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장소 검색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onveniently search for and confirm information on an entertainment service providing shop in the vicinity of the user,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the place search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검색 조건을 한정(예컨대, 가게 종류 한정 등)하여 검색해볼 수 있으므로, 방대한 검색 결과를 불필요하게 모두 살펴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검색 결과 확인 피로도 등을 대폭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restrict the search conditions (for example, store type limitation, etc.) as desired, the user does not have to check all the unnecessary search resul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fatigue and the like of the search result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기존에는 가보지 못했을 이색 가게 등에 대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제공받아볼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에 대한 체험 기회가 증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unrealized shops that he has not previously experienced, the experience opportunities for various kinds of entertainment services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추가 정보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커뮤니티 화면 예시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tertain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tore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3 shows additional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store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a community screen that may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par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In addi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connected with other part in betw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tertain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 획득된 현재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20) 및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게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이고,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와 연관하여 기 구축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tertain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includes: acquiring a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hrough a user device (S10) (S20)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hop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nd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shop through a user device (S30), wherein at least one store provides an entertainment service And th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store can be collected selective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pre-established big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10)에 포함된 GPS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획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10)의 GPS 위치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can be acquired in real time using a GPS sensor or the like included in the
사용자 디바이스(1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디바이스(10)는 타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이미지, 사운드 등을 재생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는 오락, 레져 등과 같은 재미와 활동성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지칭할 수 있다. Entertainment services can refer to services that require fun and activity such as entertainment, leisure, and the like.
사용자 디바이스(10)를 통하여 획득된 현재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to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예를 들어, 소정의 반경은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1 킬로미터(km), 3 km, 5km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반경은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를 통하여 인가된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제 1 신호는 줌-인 또는 줌-아웃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0)의 터치 패드 등을 이용하여 줌-인 입력을 인가할 수 있고, 줌-인 입력이 인가됨에 따라 소정의 반경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를 통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로 줌-아웃 입력을 인가할 수 있고, 줌-아웃 입력이 인가됨에 따라 소정의 반경이 점차 커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줌-인 또는 줌-아웃으로 검색은 위한 반경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에 매립되어 있을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radius may be one kilometer (km), three kilometers, five kilometers, etc. based on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radi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nlarged or reduc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may be changed based on the first signal applied by the user via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와 연관하여 기 구축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대 여성인 경우, 20대 여성의 시간대별, 계절별 선호도, 관심도 등이 반영된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주변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가게에 대한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예컨대, 서버, 인터넷 등)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at least one store can be selectively collected based on analysis results of previously constructed big data in association with a user. For example, when a user is a woman in her twenties, information on an entertainment service providing shop around the user can be collected based on a result of a big data analysis that reflects the time of the twenties, the seasonal preference, and the interest. Such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from an external device (e.g., a server, the Internet, etc.) connected to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추가 정보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커뮤니티 화면 예시이다. FIG. 2 shows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tore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tore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ample of a community screen that may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는 가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업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수집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가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가 필터링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store may be col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provided by the store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stores collected based on the second signal a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may be filtered .
도 2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는 해당 가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업의 종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씨방, 노래방, 당구장 등과 같이 해당 가게에서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업을 기준으로 가게가 분류된 후 분류 별로 가게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게 정보는 도 2에서와 같이, 지도 상의 위치 표시 등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information on at least one stor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provided by the store. For example, shop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user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fter a shop is classified based on major service businesses provided by the shop, such as a picnic room, a karaoke room, and a billiard room. Such shop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for example, a location mark on the map, as in Fig.
예컨대, 사용자가 노래방 항목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예컨대, 제 2 신호로 지칭될 수 있음)을 사용자 디바이스(10)로 인가하는 경우,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는 노래방과 관련된 가게에 대한 정보만으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applies a touch input (e.g.,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ignal) for selecting a karaoke item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가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가게에 대한 세부 정보를 더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shop through the u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outputt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hop based on the third signal a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Step < / RTI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의 가게(예컨대, 도 2의 럭셔리 수)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예컨대, 제 3 신호로 지칭될 수 있음)를 사용자 디바이스(10)로 인가하게 되면, 선택된 가게에 대한 세부 정보가 화면을 바꿔서 또는 팝업 창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선택된 가게의 영업시간, 가격, 위치, 부대시설, 타 사용자에 의한 이용 후기 등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when a user applies a touch (e.g.,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signal)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심 대상이 유사한 사람들의 친목을 위한 서비스 컨텐츠가 엔터테인먼트 정보 또는 가게 정보 등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엔터테인먼트와 관련된 정보 등을 사용자 간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예컨대, 커뮤니티 서비스)가 가게 정보 등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contents for the friendship of people with similar interest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long with entertainment information or shop information. As shown in FIG. 4, a service (e.g., a community service) for sharing information related to entertainment between users can be provided together with shop inform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being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사용자 디바이스 10: User device
Claims (5)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현재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게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게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와 연관하여 기 구축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선별적으로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
In an entertain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Obtain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stor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And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shop through the user device,
Wherein the at least one store is a store providing entertainment services,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store is selectively collected on the basis of analysis results of pre-established big data in association with a user, wherein the entertainment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i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상기 소정의 반경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가된 제 1 신호에 기초하여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radius can be enlarged or reduc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is changeable based on a first signal applied through the user device by the user, How to recommend entertainment information based 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게에 대한 정보는 가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업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수집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가된 제 2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가 필터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store can be coll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provided by the store,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llected shop is filtered based on a second signal a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ig data.
상기 수집된 가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인가된 제 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가게에 대한 세부 정보를 더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엔터테인먼트 정보 추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collected store through the us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tore based on a third signal a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device Feature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big data.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claim 1 is record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06168A KR20170086765A (en) | 2016-01-19 | 2016-01-19 | The method for being recommended entertainment information based on gps and bigdat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06168A KR20170086765A (en) | 2016-01-19 | 2016-01-19 | The method for being recommended entertainment information based on gps and bigdata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86765A true KR20170086765A (en) | 2017-07-27 |
Family
ID=5942790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06168A Ceased KR20170086765A (en) | 2016-01-19 | 2016-01-19 | The method for being recommended entertainment information based on gps and bigdata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86765A (en) |
-
2016
- 2016-01-19 KR KR1020160006168A patent/KR20170086765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Wilken | Places nearby: Facebook as a location-based social media platform | |
| US919576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 |
| TWI618015B (en) | Mobile device related measurement method, computer 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system | |
| US20120252497A1 (en) | Location-based mobile application | |
| US861192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adding related event information to social media location updates | |
| US10104024B2 (en)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user reviews | |
| CN105247555A (en) | Considering social information in generating recommendations | |
| RU2691223C2 (en) | Personal logic opportunities platform | |
| US9857177B1 (en) | Personalized points of interest for mapping applications | |
| US10609511B2 (en) | Techniques for providing meeting location suggestions | |
| JP2010009315A (en) | Recommended store presentation system | |
| JP7244458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
| KR20150011261A (en) | Apparatus for recommanding contents using hierachical context model and method thereof | |
| CN103514556A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 |
| CN111144980A (en) | Commodity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 |
| US20240324000A1 (en) |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e prioritizing and organizing of consumer goods and services | |
| US8954864B1 (en) | Contact list integrated with social network | |
| KR20120032290A (en) | Providing personalized poi information using client information and client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 |
| KR20150068760A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real estate offerings | |
| US10332154B2 (en) |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determining a match between profiles | |
| Ntawanga et al. | A context-aware model to improve usability of information display on smartphone apps for emerging users | |
| US11825014B1 (en) | Location-specific resource alert generation | |
| JP7077431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 |
| KR20170086765A (en) | The method for being recommended entertainment information based on gps and bigdata | |
| JP2023043772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07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