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70092969A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969A
KR20170092969A KR1020160014310A KR20160014310A KR20170092969A KR 20170092969 A KR20170092969 A KR 20170092969A KR 1020160014310 A KR1020160014310 A KR 1020160014310A KR 20160014310 A KR20160014310 A KR 20160014310A KR 20170092969 A KR20170092969 A KR 20170092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display area
character display
character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숙
Original Assignee
이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숙 filed Critical 이명숙
Priority to KR102016001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969A/en
Publication of KR2017009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96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04M1/725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 개의 키패드들을 포함한다. 제1 키패드는 한글 자음들 중 'ㄱ' 및 'ㅋ'을 입력한다. 제2 키패드는 한글 자음들 중 'ㅁ', 'ㅂ', 및 'ㅍ'을 입력한다. 제3 키패드는 한글 자음들 중 'ㅇ' 및 'ㅎ'을 입력한다. 제4 키패드는 한글 자음들 중 'ㄴ', 'ㄷ', 및 'ㅌ'을 입력한다. 제5 키패드는 한글 자음들 중 'ㅅ', 'ㅈ', 및 'ㅊ'을 입력한다. 제6 키패드는 한글 자음들 중 'ㄹ'을 입력한다.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keypads. The first keypad inputs 'a' and 'k' among the Korean consonants. The second keypad inputs '?', '?', And '?' Among the Korean consonants. The third keypad inputs 'o' and 'heh' among the Korean consonants. The fourth keypad inputs 'b', 'c', and 'ese' among the Korean consonants. The fifth keypad inputs 'g', 'g', and 'g' among the Korean consonants. The sixth keypad inputs 'd' among the Korean consonants.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0001]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문자 입력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키패드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keypads for efficiently inputting characters.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게임기, 휴대형 POS(point-of-sale) 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은 손으로 접촉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 장치를 장착한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들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가상키패드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터치 또는 드래그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Recently,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game machines, and point-of-sale (POS)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Such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ouch screen in order to improve a user's operational convenience. The touch screen is a display panel equipped with a special input device for inputting its position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hand. These portable terminals can input data through a touch or drag operation u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on a virtual keypad displayed on a display panel.

기존의 키패드, 특히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는 서로 관련성이 없는 자음끼리 한키에 배치된 경우가 많다.Conventional keypads, particularly keypads for inputting consonants, often have non-related consonants arranged in one key.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한글 입력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user's Hangul input convenience is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문자표시영역 및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3X3 행렬로 배열된 9개의 키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9개의 키패드들은 제1 내지 제9 키패드로 구분된다. 상기 제1 키패드는 1행 1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ㄱ' 및 'ㅋ'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키패드는 2행 1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ㅁ', 'ㅂ', 및 'ㅍ'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 키패드는 3행 1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ㅇ' 및 'ㅎ'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4 키패드는 1행 2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ㄴ', 'ㄷ', 및 'ㅌ'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5 키패드는 2행 2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ㅅ', 'ㅈ', 및 'ㅊ'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6 키패드는 3행 2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7 키패드는 1행 3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3요소 중 하나인 'ㅡ'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8 키패드는 2행 3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3요소 중 하나인 '·'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9 키패드는 3행 3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3요소 중 하나인 'ㅣ'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acter display area and a character input area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character input area includes nine keypads arranged in a 3X3 matrix. The nine keypads are divided into first to ninth keypads. The first keypad is disposed in a first row and a first column, and is used to input 'a' and 'k' among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second keypad is disposed in a second row and one column, and is for inputting 'ㅁ', 'ㅂ', and 'ィ' among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third keypad is disposed in a third row and one column, and is for inputting 'o' and 'heh' among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fourth keypad is disposed in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column for inputting 'b', 'c', and 'ese' among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fifth keypad is disposed in a second row and a second column for inputting 'g', 'g', and 'g' among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sixth keypad is disposed in the third row and the second column for inputting 'd' among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seventh keypad is disposed in the first row and third column, and is for inputting one of the three elements constituting the Korean vowel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eighth keypad is disposed in the second row and third column, and is for inputting '·', which is one of the three elements constituting the Korean vowel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ninth keypad is disposed in a third row and a third column for inputting '?', Which is one of the three elements constituting a Korean vowel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ㄱ'을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ㅋ'을 표시한다.The portable terminal senses the first touch applied to the first keypad and displays the letter 'A'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a second touch applied to the first keypad and displays the 'K'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2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ㅁ'을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2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ㅂ'을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2 키패드에 인가되는 세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ㅍ'을 표시한다.The portable terminal senses the first touch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and displays the first character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a second touch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and displays the letter 'F'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a third touch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and displays the 't'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3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ㅇ'을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3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ㅎ'을 표시한다.The portable terminal senses the first touch applied to the third keypad and displays the letter 'o'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a second touch applied to the third keypad and displays the 'H'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4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ㄴ'을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4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ㄷ'을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4 키패드에 인가되는 세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ㅌ'을 표시한다.The portable terminal senses the first touch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and displays the letter 'b'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the second touch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and displays the 'c'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portable terminal detects the third touch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and displays the 'i'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ㅅ'을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ㅈ'을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세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ㅊ'을 표시한다.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the first touch applied to the fifth keypad and displays the 'g'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a second touch applied to the fifth keypad, and displays the 'C'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portable terminal senses a third touch applied to the fifth keypad, and displays the 't'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된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제10 키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1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ㄲ'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2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ㅃ'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4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ㄸ'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ㅆ'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의 연속적인 터치들을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ㅉ'을 표시할 수 있다. The character input area may further include a tenth keypad for inputting a soun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portable terminal can display 't' of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by sensing a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a touch applied to the first keypad. The portable terminal can display 't' of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by sensing a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a touch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The portable terminal can display 't' of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by sensing a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a touch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The portable terminal can display 't' of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by sensing a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a touch applied to the fifth keypad. The portable terminal can display 'ㅉ' of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by sensing a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two consecutive touches applied to the fifth keypa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휴대용 단말기는 문자표시영역 및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제1 영역 내지 제9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역은 3X3 행렬 중 1행 1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기역 및 키읔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3X3 행렬 중 2행 1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미음, 비읍, 및 피읖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3X3 행렬 중 3행 1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이응 및 히읗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3X3 행렬 중 1행 2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니은, 디귿, 및 티읕을 포함한다. 상기 제5 영역은 상기 3X3 행렬 중 2행 2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시옷, 지읒, 및 치읓을 포함한다. 상기 제6 영역은 상기 3X3 행렬 중 3행 2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리을을 포함한다. 상기 제7 영역은 상기 3X3 행렬 중 1행 3열에 대응되며,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천(·), 지(ㅡ), 및 인(ㅣ) 중 지(ㅡ)를 포함한다. 상기 제8 영역은 상기 3X3 행렬 중 2행 3열에 대응되며,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천(·), 지(ㅡ), 및 인(ㅣ) 중 천(·)를 포함한다. 상기 제9 영역은 상기 3X3 행렬 중 3행 3열에 대응되며,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천(·), 지(ㅡ), 및 인(ㅣ) 중 인(ㅣ)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haracter display area and a character input area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character input area includes a first area to a ninth area. The first area corresponds to the first row and the first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es the base station and the key of the Korean consonants. The second area corresponds to the second row and the first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es mute, eclipsed, and phonemes among Korean consonants. The third region corresponds to the third row and the first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es the hapiness and the hiragana among the Korean consonants. The fourth area corresponds to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es ni, decipher, and ti in the Korean consonants. The fifth area corresponds to the second row and the second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es a chin, a chin, and a chin among the Hangul consonants. The sixth area corresponds to the third row and the second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es the remainder of the Korean consonants. The seventh area corresponds to the first row and third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es a center, a center, and a center of a Korean vowel. The eighth area corresponds to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es a cloth among the cloths that make up the Hangul collection, the cloth, and the cloth. The ninth region corresponds to the third row and third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es a (), a (), and (), which constitute a Hangul vowe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영역에 한글 자음을 훈민정음 창제원리에 따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데 편의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ngul consonants can be inputted to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Hunminjeongun guiding principle. Accordingly, convenience in inputting Hangul in the portable terminal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부품에 대응하는 블록도이다.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문자입력영역 중 제1 문자입력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문자입력영역 중 제2 문자입력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FIG. 3A shows a character input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FIG.
FIG. 3B shows a first character input area of the character input area shown in FIG. 3A.
3C shows a second character input area of the character input area shown in FIG. 3A.
FIG. 4 illustrates a character inpu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를 포함한다. 표시영역(DA)은 문자표시영역(TDA)과 문자입력영역(TIA)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The display area DA may include a character display area TDA and a character input area TIA.

문자표시영역(TDA)은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문자표시영역(TDA)은 SMS(short message service)와 같은 문자메시지 입력하는 영역 또는 인터넷 검색창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can display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For example, the text display area TDA may be a text message input area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an area corresponding to an Internet search window.

문자입력영역(TIA)은 문자표시영역(TDA)에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영역이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손가락 터치, 손가락 압력,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터치,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압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문자입력영역(TIA)은 표시영역(DA)에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별도의 입력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문자입력영역(TIA)은 표시영역(DA)이 아닌 별도의 키보드, 버튼식 자판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character input area TIA is an area for receiving a user's input to display a character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The input of the user may include a finger touch, a finger pressure, a touch by a stylus pen, or a pressure by a stylus pen. In FIG. 1, the character input area (TIA) is implemented in the display area DA in a touch screen mann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realized by a separate input means. For example, the character input area TIA may be implemented by a separate keyboard, a button-type keyboard, etc. instead of the display area DA.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일 예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게임기, 또는 휴대형 POS(point-of-sale) 단말기일 수 있다.1 illustrates a smart phone as an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game machine, or a portable POS (point-of-sale) termina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의 내부 부품(100)에 대응하는 블록도이다. 내부 부품(100)은 RF부(110), 데이터 처리부(120),2 is a block diagram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component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10 shown in FIG. The internal component 100 includes an RF unit 110, a data processing unit 120,

도 2를 참조하면, RF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RF unit 11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110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noise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received signal.

데이터 처리부(120)는 송신기 및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송신기는 송신되는 신호의 부호화하고 변조한다. 수신기는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를 포함할 수 있다.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e transmitter encodes and modulates the transmitted signal. The receiver demodulates and decodes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may include a modem and a CO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the like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such as voice.

오디오 처리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dio processing unit 130 performs a function of reproduc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or transmitting a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ing unit 120.

메모리(14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Memory 140 may include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용 단말기(10)의 표시영역(DA)에 문자입력영역(TIA)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s for controlling general oper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rea DA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o display a character input area (TIA).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제어부(15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휴대용 단말기(10)의 사용 형태에 따라 표시영역(DA)에 문자입력영역(TIA)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display area DA to display the character input area TIA according to the usage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카메라부(16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및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일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일 수 있다.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camera unit 160 includes a camera sensor that captures image data, converts the captur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that converts an analog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For example, the camera sensor may be a CCD or a CMOS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be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or separately.

영상처리부(170)는 카메라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8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할 수 있다.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 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영상처리부(170)는 카메라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8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영상처리부(170)는 영상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70)는 표시부(18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7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어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may perform an image signal processing (ISP) for displaying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60 on the display unit 180. The ISP performs functions such as gamma correction, interpolation, spatial changes, image effects, image scaling, AWB, AE, and AF. Accordingly,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60 on a frame-by-frame basi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80.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may include an image codec.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compresses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a predetermined manner or restores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into original frame image data. For example,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The image processing unit 170 is assumed to have an OSD (On Screen Display) function and can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0. [

표시부(180)는 영상처리부(17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15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80)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되어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부로 동작하는 상기 표시부(180)에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표시할 수 있는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부(180)에 의해 구현되는 입력부가 문자입력영역(TIA)에 대응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a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processor 170 on the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50. The display unit 180 may be implemented by a touch screen method and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80 operating as an input unit may display a keypad for displaying numbers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a function key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Referring to FIG. 1, an input unit implemented by the display unit 180 may correspond to a character input area (TIA).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의 문자입력영역(TIA)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문자입력영역(TIA) 중 제1 문자입력영역(TIA1)을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문자입력영역(TIA) 중 제2 문자입력영역(TIA2)을 도시한 것이다.FIG. 3A shows a character input area (TIA) of the portable terminal 10 shown in FIG. FIG. 3B shows a first character input area TIA1 of the character input area TIA shown in FIG. 3A. FIG. 3C shows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TIA2 of the character input area TIA shown in FIG. 3A.

도 3a를 참조하면, 문자입력영역(TIA)은 제1 문자입력영역(TIA1) 및 제2 문자입력영역(TIA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the character input area TIA may include a first character input area TIA1 and a second character input area TIA2.

제1 문자입력영역(TIA1)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및 한글 모음들을 입력 또는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제2 문자입력영역(TIA2)은 제1 문자입력영역(TIA1)에 의해 표시되는 글자들을 변경, 한글이 아닌 다른 나라 문자 입력, 또는 특수 문자입력 등을 위한 영역이다.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TIA1 is an area for inputting or displaying Hangul consonants and Hangul vowel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sensing a user's input.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TIA2 is an area for changing characters displayed by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TIA1, inputting a country character other than Hangul, or inputting special characters.

도 3b를 참조하면 제1 문자입력영역(TIA1)은 복수 개의 키패드들(KP1~KP9)을 포함한다. 키패드들(KP1~KP9)의 개수는 9개 일 수 있다. 9개의 키패드들(KP1~KP9)은 3X3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다. Referring to FIG. 3B,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TIA1 includes a plurality of keypads KP1 to KP9. The number of keypads KP1 to KP9 may be nine. The nine keypads KP1 to KP9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3X3 matrix.

9개의 키패드들(KP1~KP9)은 제1 내지 제9 키패드로 구분된다. 제1 문자입력영역(TIA1)은 제1 내지 제9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9 키패드는 제1 내지 제9 영역과 각각 대응된다.The nine keypads KP1 to KP9 are divided into first to ninth keypads.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TIA1 includes first to ninth areas. Here, the first to ninth keypads correspond to the first to ninth regions, respectively.

제1 키패드(KP1, 또는 제1 영역)는 상기 3X3 행렬 중 1행 1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키패드(KP1)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기역(ㄱ)' 및 '키읔(ㅋ)'을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keypad (KP1, or first region) is disposed in the first row and first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input of a user applied to the first keypad KP1 and displays a character string ' Can be displayed.

예를들어,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키패드(KP1)에 인가되는 첫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ㄱ'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A'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detect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pplied to the first keypad KP1.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키패드(KP1)에 인가되는 두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ㅋ'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 키패드(KP1)에 연속적으로 두 번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ㅋ'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k'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detecting the input of the second user applied to the first keypad KP1.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the 'K'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sensing the input of the user twice consecutively to the first keypad KP1.

제2 키패드(KP2, 또는 제2 영역)는 상기 3X3 행렬 중 2행 1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2 키패드(KP2)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미음(ㅁ)', '비읍(ㅂ)', 및 '피읖(ㅍ)'을 표시할 수 있다.A second keypad (KP2, or second area) is disposed in the second row and the first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input of a user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KP2 and displays a list of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예를들어, 휴대용 단말기(10)는 제2 키패드(KP2)에 인가되는 첫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ㅁ'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ㅁ'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detecting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KP2.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제2 키패드(KP2)에 인가되는 두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ㅂ'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는 제2 키패드(KP2)에 연속적으로 두 번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ㅂ'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etect the input of the second user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KP2 and display 'F'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F'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sensing the input of the user twice consecutively to the second keypad KP2.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제2 키패드(KP2)에 인가되는 세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ㅍ'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는 제2 키패드(KP2)에 연속적으로 세 번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ㅍ'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the 'TYPE'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detecting the input of the third user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KP2.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the 'TYPE'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sensing a user's input three times successively to the second keypad KP2.

제3 키패드(KP3, 또는 제3 영역)는 상기 3X3 행렬 중 3행 1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3 키패드(KP3)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이응(ㅇ)' 및 '히읗(ㅎ)'을 표시할 수 있다.The third keypad (KP3, or third region) is disposed in the third row and the first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input of a user applied to the third keypad KP3 and displays a character string ' Can be displayed.

예를들어, 휴대용 단말기(10)는 제3 키패드(KP3)에 인가되는 첫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ㅇ'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etec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pplied to the third keypad KP3 and display 'o'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제3 키패드(KP3)에 인가되는 두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ㅎ'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는 제3 키패드(KP3)에 연속적으로 두 번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ㅎ'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H'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detecting the input of the second user applied to the third keypad KP3.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H'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detecting the input of the user who is consecutively twice applied to the third keypad KP3.

제4 키패드(KP4, 또는 제4 영역)는 상기 3X3 행렬 중 1행 2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4 키패드(KP4)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니은(ㄴ)', '디귿(ㄷ)', 및 '티읕(ㅌ)'을 표시할 수 있다.A fourth keypad (KP4, or fourth region) is disposed in the first row and secon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input of a user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KP4 and displays a list of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Quot ;, and " T (t) ".

예를들어, 휴대용 단말기(10)는 제4 키패드(KP4)에 인가되는 첫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ㄴ'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detec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KP4 and display 'b'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제4 키패드(KP4)에 인가되는 두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ㄷ'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는 제4 키패드(KP4)에 연속적으로 두 번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ㄷ'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c'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detecting the input of the second user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KP4.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c'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sensing the input of the user twice consecutively to the fourth keypad KP4.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제4 키패드(KP4)에 인가되는 세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ㅌ'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는 제4 키패드(KP4)에 연속적으로 세 번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ㅌ'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etect the input of the third user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KP4 and display 'ㅌ'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ㅌ'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sensing the input of the user three times consecutively to the fourth keypad KP4.

제5 키패드(KP5, 또는 제5 영역)는 상기 3X3 행렬 중 2행 2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5 키패드(KP5)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시옷(ㅅ)', '지읒(ㅈ)', 및 '치읓(ㅊ)'을 표시할 수 있다.The fifth keypad (KP5, or fifth area) is disposed in the second row and secon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input of a user applied to the fifth keypad KP5 and displays a character string of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예를들어, 휴대용 단말기(10)는 제5 키패드(KP5)에 인가되는 첫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ㅅ'을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etect the input of the first user applied to the fifth keypad KP5 and display 'g'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제5 키패드(KP5)에 인가되는 두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ㅈ'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는 제5 키패드(KP5)에 연속적으로 두 번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ㅈ'을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etect the input of the second user applied to the fifth keypad KP5, and display 'X'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etect the input of the user who is consecutively applied twice to the fifth keypad KP5, and display 'X'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또한, 휴대용 단말기(10)는 제5 키패드(KP5)에 인가되는 세 번째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ㅊ'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10)는 제5 키패드(KP5)에 연속적으로 세 번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ㅊ'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etect the input of the third user applied to the fifth keypad KP5 and display 'C'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display the character 'T'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sensing the user's input three times successively to the fifth keypad KP5.

제6 키패드(KP6, 또는 제6 영역)는 상기 3X3 행렬 중 3행 2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6 키패드(KP6)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리을(ㄹ)'을 표시할 수 있다.The sixth keypad (KP6, or sixth region) is disposed in the third row and the secon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input of the user applied to the sixth keypad KP6 and display one of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have.

제7 키패드(KP7, 또는 제7 영역)는 상기 3X3 행렬 중 1행 3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7 키패드(KP7)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3요소 '천지인' 중 하나인 'ㅡ'을 표시할 수 있다.The seventh keypad (KP7, or seventh region) is disposed in the first row and thir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put of the user applied to the seventh keypad KP7 and selects one of the three elements' Can be displayed.

제8 키패드(KP8, 또는 제8 영역)는 상기 3X3 행렬 중 2행 3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8 키패드(KP8)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3요소 '천지인' 중 하나인 '·'을 표시할 수 있다. The eighth keypad (KP8, or eighth area) is disposed in the second row and thir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put of the user applied to the eighth keypad KP8 and detects the input of the user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Can be displayed.

제9 키패드(KP9, 또는 제9 영역)는 상기 3X3 행렬 중 3행 3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9 키패드(KP9)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3요소 '천지인' 중 하나인 'ㅡ'을 표시할 수 있다. The ninth keypad (KP9, or ninth region) is disposed in the third row and thir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put of the user applied to the ninth keypad KP9 and selects one of the three elements' Can be displayed.

'천지인'은 천(·), 지(ㅡ), 및 인(ㅣ)을 포함한다. 천(·)과 지(ㅡ)의 조합에 의해, ㅗ, ㅛ, ㅜ, 또는 ㅠ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천(·)과 인(ㅣ)의 조합에 의해, ㅏ, ㅑ, ㅓ, 또는 ㅕ등을 구현할 수 있다. 지(ㅡ)와 인(ㅣ)의 조합에 의해 ㅢ를 구현할 수 있다. 천(·), 지(ㅡ), 및 인(ㅣ)의 조합에 의해, ㅚ, ㅟ, ㅘ, 또는 ㅝ 등을 구현할 수 있다.'Heaven and earth' includes cloth, ㅡ, and phosphorus. You can implement ㅗ, ㅛ, ㅜ, or ㅠ by combination of cloth (.) And cloth (ㅡ). A, ㅑ, ㅓ, or ㅕ can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cloth (.) And cloth (ㅣ). You can implement ㅢ by combining) and.. ㅚ, ㅟ, ㅘ, or ㅝ can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cloth (), cloth () and cloth ().

한글 자음들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들(KP1~KP6)은 제1 문자입력영역(TIA1) 중 왼쪽에 모여서 배치되고, 한글 모음들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들(KP7~KP12)은 제2 문자입력영역(TIA2) 중 오른쪽에 모여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양손 엄지손가락등을 활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부딪치거나 꼬이지 않을 수 있다.Keypads KP1 to KP6 for inputting Korean consonants ar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character input area TIA1 and keypads KP7 to KP12 for inputting Hangul vowels are arranged in a second character input area TIA2 ). Accordingly, characters can be input by utilizing the thumb of both hands and the finger may not be hit or kinked.

도 3c를 참조하면 제2 문자입력영역(TIA2)은 복수 개의 키패드들(KP10~KP1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C,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TIA2 includes a plurality of keypads KP10 to KP16.

제2 문자입력영역(TIA2)의 키패드들(KP10~KP16)은 제10 내지 제16 키패드로 구분된다. 제2 문자입력영역(TIA2)은 제10 내지 제16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0 내지 제16 키패드(KP10~KP16)는 제10 내지 제16 영역과 각각 대응된다.The keypads KP10 to KP16 of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TIA2 are divided into tenth to sixteenth keypads. And the second character input area TIA2 includes the 10th to 16th areas. Here, the tenth to sixteenth keypads KP10 to KP16 correspond to the tenth to sixteenth regions, respectively.

제10 키패드(KP10, 또는 제10 영역)는 문자표시영역(TDA)에 된소리(또는, 쌍자음)을 표시하기 위한 키패드이다. 제1 키패드(KP1), 제2 키패드(KP2), 제4 키패드(KP4), 및 제5 키패드(KP5) 각각은 제10 키패드(KP10)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tenth keypad (KP10 or the tenth area) is a keypad for displaying a sound (or a double consonant)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Each of the first keypad KP1, the second keypad KP2, the fourth keypad KP4 and the fifth keypad KP5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tenth keypad KP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0 키패드(KP1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 및 제1 키패드(KP1)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된소리에 해당하는 'ㄲ'을 표시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input of a user applied to the tenth keypad KP10 and input of a user applied to the first keypad KP1, It is possible to display 'ㄲ' corresponding to the loudness among the consonants.

예를들어, 제10 키패드(KP10)를 누르고 이어서 제1 키패드(KP1)를 누르는 경우 또는 제10 키패드(KP10)와 동시에 제1 키패드(KP1)를 누르는 경우에, 문자표시영역(TDA)에 'ㄲ'이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tenth keypad KP10 is pressed and then the first keypad KP1 is pressed, or when the first keypad KP1 is pressed simultaneously with the tenth keypad KP10, ㄲ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0 키패드(KP1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 및 제2 키패드(KP2)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된소리에 해당하는 'ㅃ'을 표시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input of a user applied to the tenth keypad KP10 and input of a user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KP2, It is possible to display 'ㅃ' corresponding to the loudness among the consonants.

예를들어, 제10 키패드(KP10)를 누르고 이어서 제2 키패드(KP2)를 누르는 경우 또는 제10 키패드(KP10)와 동시에 제2 키패드(KP2)를 누르는 경우에, 문자표시영역(TDA)에 'ㅃ'이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tenth keypad KP10 is pressed and then the second keypad KP2 is pressed, or when the second keypad KP2 is pressed simultaneously with the tenth keypad KP10, ㅃ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0 키패드(KP1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 및 제4 키패드(KP4)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된소리에 해당하는 'ㄸ'을 표시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input of a user applied to a tenth keypad KP10 and a user input of a user applied to a fourth keypad KP4, It is possible to display 'ㄸ' corresponding to the loudness among the consonants.

예를들어, 제10 키패드(KP10)를 누르고 이어서 제4 키패드(KP4)를 누르는 경우 또는 제10 키패드(KP10)와 동시에 제4 키패드(KP4)를 누르는 경우에, 문자표시영역(TDA)에 'ㄸ'이 표시된다.For example, when the tenth keypad KP10 is pressed and then the fourth keypad KP4 is pressed, or when the fourth keypad KP4 is pressed simultaneously with the tenth keypad KP10,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is set to ' ㄸ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0 키패드(KP10)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 및 제5 키패드(KP5)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한글 자음들 중 된소리에 해당하는 'ㅆ' 또는 'ㅉ'을 표시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an input of a user applied to a tenth keypad KP10 and a user input of a user applied to a fifth keypad KP5, It is possible to display 'ㅆ' or 'ㅉ' corresponding to the loudness among the consonants.

예를들어, 제10 키패드(KP10)를 누르고 이어서 제5 키패드(KP5)를 한번 누르는 경우 또는 제10 키패드(KP10)와 동시에 제5 키패드(KP5)를 누르는 경우에, 문자표시영역(TDA)에 'ㅆ'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제10 키패드(KP10)를 누르고 이어서 제5 키패드(KP5)를 두번 누르는 경우 문자표시영역(TDA)에 'ㅉ'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nth keypad KP10 is pressed and then the fifth keypad KP5 is pressed once, or when the fifth keypad KP5 is pressed simultaneously with the tenth keypad KP10, 'ㅆ' can be displayed. If the tenth keypad KP10 is pressed and then the fifth keypad KP5 is pressed twice, 'ㅉ' may be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단, 제1 키패드(KP1), 제2 키패드(KP2), 제4 키패드(KP4), 및 제5 키패드(KP5) 각각이 제10 키패드(KP10)와 조합되어 표시할 수 있는 문자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0 키패드(KP10)는 제3 키패드(KP3) 또는 제6 키패드(KP6)와 조합되어 특정 문자들을 표시할 수 있다.However, the characters that can be displayed by combining the first keypad KP1, the second keypad KP2, the fourth keypad KP4, and the fifth keypad KP5 in combination with the tenth keypad KP10 are not limited thereto Do not. The tenth keypad KP10 may be combined with the third keypad KP3 or the sixth keypad KP6 to display specific characters.

제11 키패드(KP11, 또는 제11 영역)는 문자표시영역(TDA)에 표시되는 문자들 사이에 빈 여백을 삽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1 키패드(KP11)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띄어쓰기를 위한 빈 여백을 삽입할 수 있다. The eleventh keypad (KP11 or eleventh area) can insert a blank space between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user's input to the eleventh keypad KP11 and inserts a blank space for spacing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제12 키패드(KP12, 또는 제12 영역)는 문자표시영역(TDA)에 표시되는 문자를 한글에서 영어로 변경하거나 영어에서 한글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2 키패드(KP12)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표시되는 문자의 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The twelfth keypad (KP12 or the twelfth area) can change th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from Hangul to English or change it from English to Hangul.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language of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by sensing the input of the user applied to the twelfth keypad KP12.

제13 키패드(KP13, 또는 제13 영역)는 문자표시영역(TDA)에 표시되는 문자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3 키패드(KP13)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표시되는 문자를 삭제할 수 있다.The thirteenth keypad (KP13, or thirteenth area) can delet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user input to the 13th keypad KP13 and delete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제14 키패드(KP14, 또는 제14 영역)는 문자표시영역(TDA)에 표시되는 문자들 간에 줄 바꿈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4 키패드(KP14)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표시되는 문자들 간에 줄 바꿈을 할 수 있으며, 일반 컴퓨터용 키보드에서의 "엔터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ourteenth keypad (KP 14, or the fourteenth area) can switch between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user's input to the 14th keypad KP14 and switches between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It can act like the "enter key" on a regular computer keyboard.

제15 키패드(KP15, 또는 제15 영역)는 문자표시영역(TDA)에 마침표, 쉽표, 물음표, 및 느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5 키패드(KP15)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첫번째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마침표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두번째 입력을 감지하여 쉼표를 표시하며, 사용자의 세번째 입력을 감지하여 물음표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네번째 입력을 감지하여 느낌표를 표시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5 키패드(KP15)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들에 따라 표시되는 문자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The fifteenth keypad (KP15 or fifteenth area) can display at least one of a period, an e-mail mark, a question mark, and an exclamation mark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first input of the user applied to the fifteenth keypad KP15 to display a perio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 A comma is displayed, a third input of the user is detected to display a question mark, and a fourth input of the user is sensed to display an exclamation mar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rder of the characters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o the fifteenth keypad KP15 may be changed.

제16 키패드(KP16, 또는 제16 영역)는 문자표시영역(TDA)에 특수기호입력화면 및 숫자입력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예를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는 제16 키패드(KP16)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문자표시영역(TDA)에 숫자들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 또는 특수기호들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숫자들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은 0부터 9까지의 숫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수기호들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은 하트, 클로버 모양, 또는 로마자 등과 같은 특수기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xteenth keypad (KP16 or the sixteenth area) can display at least one of a special symbol input screen and a number input screen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That is,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user's input to the 16th keypad KP16 and displays a screen for inputting numbers in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Or a screen where you can enter special symbols. The screen for entering numbers can include numbers from 0 to 9, and the screen for entering special symbols can include special symbols such as heart, clover shape, or roma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영역(TIA-1)을 도시한 것이다. 문자입력영역(TIA-1)은 복수 개의 키패드들(KP1-1~KP16)을 포함한다. 제6 키패드(KP6) 내지 제16 키패드(KP16)에 대한 설명은 도 3c에서 설명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생략한다.FIG. 4 shows a character input area TIA-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input area TIA-1 includes a plurality of keypads KP1-1 to KP16. The description of the sixth keypad KP6 through the sixteenth keypad KP16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C.

도 4를 참조하면, 제1 키패드(KP1-1, 또는 제1 영역)에는 한글 자음들 중 'ㄱ' 및 'ㅋ'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2 키패드(KP2-1, 또는 제2 영역)에는 한글 자음들 중 'ㅁ', 'ㅂ', 및 'ㅍ'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3 키패드(KP3-1, 또는 제3 영역)에는 한글 자음들 중 'ㅇ' 및 'ㅎ'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4 키패드(KP4-1, 또는 제4 영역)에는 한글 자음들 중 'ㄴ', 'ㄷ', 및 'ㅌ'이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5 키패드(KP5-1, 또는 제5 영역)에는 한글 자음들 중 'ㅅ', 'ㅈ', 및 'ㅊ'이 순서대로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A' and 'K' among Hangul consonants are arranged in order on the first keypad (KP1-1 or the first area). 'K1', 'F', and 'K' are arranged in order on the second keypad (KP2-1 or the second area). In the third keypad (KP3-1 or the third area), 'ㅇ' and 'ㅎ' among the Korean consonants are arranged in order. 'B', 'c', and 'i' among the Korean consonants are arranged in order on the fourth keypad (KP 4 - 1 or the fourth area). 'K', 'K', and 'C' among the Korean consonants are arranged in order on the fifth keypad (KP 5 - 1 or the fifth area).

도 4의 제1 내지 제5 키패드들(KP1-1~KP5-1)은, 도 3a 및 도 3b의 제1 내지 제5 키패드들(KP1~KP5)에 비해, 자신이 입력할 수 있는 문자들에 대한 정보를 좀 더 시각적으로 제공해 준다. 이에 따라, 도 4의 문자입력영역(TIA-1)의 키패드들을 이용하면, 수요자들은 좀 더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문자표시영역(TDA)에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fifth keypads KP1-1 through KP5-1 of FIG. 4 are different from the first through fifth keypads KP1 through KP5 of FIGS. 3A and 3B, To provide more visual information about Accordingly, by using the keypad of the character input area TIA-1 of FIG. 4, the user can input characters in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TDA more intuitively and effectively.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휴대용 단말기 DA: 표시영역
NDA: 비표시영역 TDA: 문자표시영역
TIA: 문자입력영역
10: Portable terminal DA: Display area
NDA: Non-display area TDA: Character display area
TIA: Character entry area

Claims (20)

문자표시영역 및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3X3 행렬로 배열된 9개의 키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9개의 키패드들은,
1행 1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ㄱ' 및 'ㅋ'을 입력하기 위한 제1 키패드;
2행 1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ㅁ', 'ㅂ', 및 'ㅍ'을 입력하기 위한 제2 키패드;
3행 1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ㅇ' 및 'ㅎ'을 입력하기 위한 제3 키패드;
1행 2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ㄴ', 'ㄷ', 및 'ㅌ'을 입력하기 위한 제4 키패드;
2행 2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ㅅ', 'ㅈ', 및 'ㅊ'을 입력하기 위한 제5 키패드;
3행 2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ㄹ'을 입력하기 위한 제6 키패드;
1행 3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3요소 중 하나인 'ㅡ'를 입력하기 위한 제7 키패드;
2행 3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3요소 중 하나인 '·'를 입력하기 위한 제8 키패드; 및
3행 3열에 배치되며,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3요소 중 하나인 'ㅣ'를 입력하기 위한 제9 키패드로 구분되는 휴대용 단말기.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haracter display area and a character input area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Wherein the character input area includes nine keypads arranged in a 3X3 matrix,
The nine keypads,
A first keypad arranged in a first row and a first column for inputting 'a' and 'k' among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 second keypad disposed in the second row and the first column for inputting 'ㅁ', 'ㅂ', and 'ィ' among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 third keypad disposed in the third row and the first column for inputting 'o' and 'h' among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 fourth keypad disposed in the first row and second column for inputting 'b', 'c', and 't' among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 fifth keypad disposed at the second row and the second column for inputting 'g', 'i', and 'j' among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 sixth keypad disposed at the third row and the second column for inputting 'd' among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 seventh keypad disposed in a first row and third column for inputting one of three elements constituting a Hangul vowel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n eighth keypad for inputting '·' which is one of three elements constituting a Korean vowel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nd
And a ninth keypad for inputting '?', Which is one of the three elements constituting the Korean vowel,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ㄱ'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ㅋ'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touch on the first keypad is detected to display the letter 'A'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nd displays the 'ㅋ'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by sensing a second touch applied to the first keypad.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ㅂ'을 표시하며,
상기 제2 키패드에 인가되는 세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ㅍ'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touch on the second keypad is detected to display the first character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 second touch is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to display the letter 'F'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Wherein the touch panel detects the third touch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and displays the 't'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ㅇ'을 표시하고,
상기 제3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ㅎ'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touch is applied to the third keypad to display the letter 'o'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nd displays the 'H'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by sensing a second touch applied to the third keypa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ㄴ'을 표시하고,
상기 제4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ㄷ'을 표시하며,
상기 제4 키패드에 인가되는 세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ㅌ'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touch is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to display the character 'b'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A second touch is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to display the 'c'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Detecting a third touch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and displaying the 'i'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첫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ㅅ'을 표시하고,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ㅈ'을 표시하며,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세 번째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ㅊ'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touch is applied to the fifth keypad to display the 'g'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Detecting a second touch applied to the fifth keypad, displaying the 'C'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Detecting a third touch applied to the fifth keypad and displaying the 'C'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된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제10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haracter input area further comprises a tenth keypad for inputting a soun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1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ㄲ'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ouch sensor detects a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a touch applied to the first keypad, thereby displaying 'ㄲ' of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2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ㅃ'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ouch sensor detects a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a touch applied to the second keypad, thereby displaying 'ㅃ' of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4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ㄸ'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irst keypad detects a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a touch applied to the fourth keypad to display 'ㄸ' among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ㅆ'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ouch sensor detects a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a touch applied to the fifth keypad, thereby displaying 'ㅆ' of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키패드에 인가되는 터치 및 상기 제5 키패드에 인가되는 두 번의 연속적인 터치들을 감지하여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한글 자음들 중 'ㅉ'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ouch sensor detects the touch applied to the tenth keypad and the two consecutive touches applied to the fifth keypad to display 'ㅉ' of the Korean consonant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들 간에 빈 여백을 삽입할 수 있는 제11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haracter input area further comprises an eleventh keypad capable of inserting a blank space between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를 한글에서 영어로 또는 영어에서 한글로 변경할 수 있는 제12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haracter input area further comprises a twelfth keypad capable of changing a character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from Hangul to English or from English to Hangul.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를 삭제할 수 있는 제13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character input area further comprises a thirteenth keypad capable of deleting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표시되는 문자들간에 줄 바꿈을 할 수 있는 제14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haracter input area further comprises a fourteenth keypad capable of wrapping character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마침표, 쉼표, 물음표, 및 느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제15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haracter input area further comprises a fifteenth keypad capable of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period, a comma, a question mark, and an exclamation mark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특수기호입력화면 및 숫자입력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제16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haracter input area further comprises a 16th keypad capable of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special symbol input screen and a number input screen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문자표시영역 및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3X3 행렬 중 1행 1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기역 및 키읔을 포함하는 제1 영역;
상기 3X3 행렬 중 2행 1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미음, 비읍, 및 피읖을 포함하는 제2 영역;
상기 3X3 행렬 중 3행 1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이응 및 히읗을 포함하는 제3 영역;
상기 3X3 행렬 중 1행 2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니은, 디귿, 및 티읕을 포함하는 제4 영역;
상기 3X3 행렬 중 2행 2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시옷, 지읒, 및 치읓을 포함하는 제5 영역;
상기 3X3 행렬 중 3행 2열에 대응되며, 한글 자음들 중 리을을 포함하는 제6 영역;
상기 3X3 행렬 중 1행 3열에 대응되며,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천(·), 지(ㅡ), 및 인(ㅣ) 중 지(ㅡ)를 포함하는 제7 영역;
상기 3X3 행렬 중 2행 3열에 대응되며,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천(·), 지(ㅡ), 및 인(ㅣ) 중 천(·)를 포함하는 제8 영역; 및
상기 3X3 행렬 중 3행 3열에 대응되며, 한글 모음을 구성하는 천(·), 지(ㅡ), 및 인(ㅣ) 중 인(ㅣ)을 포함하는 제9 영역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haracter display area and a character input area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The character input area includes:
A first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w and the first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ing a base station and a key of the Hangul consonants;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row and a first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ing a mime, a beep, and a phoneme among Korean consonants;
A third region corresponding to a third row and a first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ing a second region and a second region among the first consonants;
A fourth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w and the secon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fourth region including Nyun, Dejik, and Tiju among the Hangeul consonants;
A fifth reg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row and a secon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fifth region including a shoe, a chin, and a chin;
A sixth region corresponding to a third row and a secon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sixth region including a second one of Korean consonants;
A seventh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w and the third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ing a center, a center, and a center of a Korean vowel;
An eighth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column of the 3X3 matrix and including a cloth among the cloth, a, and phosphorus constituting the vowel; And
And a ninth area corresponding to a third row and a third column of the 3X3 matrix, the ninth area including a line (?), A line (?), And a line (?) Constituting a Hangul vowel.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영역은,
상기 문자표시영역에 상기 제1 내지 제9 영역들에 포함된 상기 한글 자음들의 된소리를 표시하기 위한 제10 영역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character input area includes:
And a tenth area for displaying the tones of the Korean consonants included in the first to ninth areas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KR1020160014310A 2016-02-04 2016-02-04 Portable terminal Ceased KR201700929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310A KR20170092969A (en) 2016-02-04 2016-02-04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310A KR20170092969A (en) 2016-02-04 2016-02-04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969A true KR20170092969A (en) 2017-08-14

Family

ID=60142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310A Ceased KR20170092969A (en) 2016-02-04 2016-02-04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96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94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CN108121457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2009000232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Scrolling Mechanism for Touch Screen Devices
KR20100041867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facilitating data entry using an offset connection element
US20110115722A1 (en) System and method of entering symbols in a touch input device
WO20100899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KR20110104620A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in portable terminal
CN108475157B (en) Character input method, device and terminal
US20110107208A1 (en) Methods for Status Components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1243157A (en) Electronic apparatus, button siz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8008902B (en) Virtual keyboard adjusting method and device and playing method and device
KR20110003130A (en)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5159874B (en) The amending method and device of word
KR1021662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haracter in terminal
US11221757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261227B1 (en) Virtual keyboard input device, and data input method thereof
CN109683721A (en) A kind of inpu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terminal
JP3197051U (en) Key input device
US20130157727A1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KR20170092969A (en) Portable terminal
EP2604023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TWI288343B (en) Touch panel keyboard of a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06734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255801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20120124835A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