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36389A -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389A
KR20180036389A KR1020160126934A KR20160126934A KR20180036389A KR 20180036389 A KR20180036389 A KR 20180036389A KR 1020160126934 A KR1020160126934 A KR 1020160126934A KR 20160126934 A KR20160126934 A KR 20160126934A KR 20180036389 A KR20180036389 A KR 20180036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im
carbon
molded article
bipola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강태혁
장우인
신동명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6389A/ko
Publication of KR2018003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38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29C69/004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making articles by 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said parts being in said separate cavities during sai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02Combined thermoform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0Indirect fuel cells, e.g. fuel cells with redox couple being irrever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3/189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parts being joi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5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30중량% 이하 및 탄소 화합물 70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제1컴파운딩물을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 형성 단계; 폴리올레핀계 수지 50중량% 이상 및 탄소 화합물 50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제2컴파운딩물을 소정의 형상을 갖는 성형틀에서 가열 압착하여 상기 제1성형품이 설치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프레임 형상의 제2성형품 형성 단계; 및 상기 제1성형품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2성형품의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접한 상태에서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PREPARATION METHOD OF BIPOLAR PLATE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본 발명은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과 상기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이용한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플로우 프레임 복합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대량의 온실 가스 및 환경 오염 문제를 야기하는 화력 발전이나 시설 자체의 안정성이나 폐기물 처리의 문제점을 갖는 원자력 발전 등의 기존 발전 시스템들이 다양한 한계점을 들어내면서 보다 친환경적이고 높은 효율을 갖는 에너지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전력 공급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력 저장 기술은 외부 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 재생 에너지를 보다 다양하고 넓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 이용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어서, 이러한 기술 분야에 대한 개발이 집중되고 있으며, 이들 중 2차 전지에 대한 관심 및 연구 개발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레독스 흐름 전지는 활성 물질의 화학적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산화/환원 전지를 의미하며, 태양광, 풍력등 외부 환경에 따라 출력변동성이 심한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여 고품질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레독스 흐름 전지에서는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키는 활물질을 포함한 전해액이 반대 전극과 저장 탱크 사이를 순환하며 충방전이 진행된다.
레독스 흐름 전지 중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섞임을 방지하면서 충방전 중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이온교환막과 활물질이 산화화원을 하는 카본 펠트 전극, 각 단위셀을 나누어 주며 각각 다른면에 서로 다른 극이 형성될 수 있게 해주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전해액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소재의 틀인 플로우 프레임, 그리고 소재 및 플로우 프레임의 전해액 누액을 방지하는 가스켓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는 특성상 낮은 저항의 물질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이온교환막에는 Nafion계 분리막을 사용하며, 바이폴라플레이트는 수지가 5%정도 함침되는 그라파이트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기존에 알려진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플레이트는 흐름 전지의 스택에 적용시 전해액 누액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을 덧대어 삽입 후 스택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가스켓,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는 등의 체결 방식은 가스켓의 수명 및 복원력이 반영구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가스켓의 복원력이 감소되어 스택 외부로 전해액이 누액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지속적으로 성능 및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를 야기 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체결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 생산 공정에 수작업이 동원되거나 자동화 생산 공정 도입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 플레이트에 고분자 수지를 함침시켜서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으나, 기존에 알려진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플로우 프레임에 용융 압착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전해액 누액 문제를 해결하기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플로우 프레임과 보다 용이하고 강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접촉 저항 또는 내부 저항을 가져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성능, 장기 내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이용한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플로우 프레임 복합체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30중량% 이하 및 탄소 화합물 70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제1컴파운딩물을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 형성 단계; 폴리올레핀계 수지 50중량% 이상 및 탄소 화합물 50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제2컴파운딩물을 소정의 형상을 갖는 성형틀에서 가열 압착하여 상기 제1성형품이 설치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프레임 형상의 제2성형품 형성 단계; 및 상기 제1성형품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2성형품의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접한 상태에서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30중량% 이하 및 탄소 화합물 70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제1컴파운딩물을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 형성 단계; 폴리올레핀계 수지 50중량% 이상 및 탄소 화합물 50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제2컴파운딩물을 소정의 형상을 갖는 성형틀에서 가열 압착하여 상기 제1성형품이 설치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프레임 형상의 제2성형품 형성 단계; 및 상기 제1성형품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2성형품의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접한 상태에서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 및 이에 적용 가능한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상술한 특정 조성의 제1컴파운딩물 및 제2컴파운딩물 각각을 이용하여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과 상기 제1성형품이 설치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프레임 형상의 제2성형품을 형성하고 이들을 가열 압착하여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플로우 프레임과 보다 용이하고 강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접촉 저항 또는 내부 저항을 가져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성능, 장기 내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은 상기 프레임 형상의 제2성형품의 개구부에 접하면서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2성형품을 형성하는 제2컴파운딩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50중량% 이상 및 탄소 화합물 50중량% 이하를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제조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플로우 프레임과 보다 용이하고 강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성형품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2성형품의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접하는 형태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제조되는데, 이때 상기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을 형성하는 제1컴파운딩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30중량% 이하 및 탄소 화합물 70중량% 이상을 포함하여, 보다 낮은 접촉 저항 또는 내부 저항을 가져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성능, 장기 내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컴파운딩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 내지 30중량%; 및 탄소 화합물 70중량% 내지 9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컴파운딩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70중량% 내지 90중량%; 및 탄소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컴파운딩물 및 제2컴파운딩물 각각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컴파운딩물 및 제2컴파운딩물 각각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일 중합체는 ASTM 1238에 따라 19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지수(MI)가 4 내지 80, 0.850 내지 0.950 g/cc의 밀도 및 20만 내지 40만의 중량평균분자량(GPC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컴파운딩물 및 제2컴파운딩물 각각에 포함되는 탄소 화합물은 카본 펠트, 천연 흑연(graphite), 인조 흑연(graphite), 팽창 흑연(graphite), 탄소 섬유, 난흑연화성 탄소, 카본 블랙, 탄소 나노 튜브, 플러렌, 활성탄 및 기공의 직경의 평균이 3 nm 내지 4 nm인 규칙성 메조포러스 탄소(ordered mesoporous carbo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 화합물은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보다 균일하게 분산되고 보다 향상된 물성 및 전기 전도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5㎛ 내지 100㎛의 최대 직경을 갖는 탄소 화합물의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제1컴파운딩물 및 제2컴파운딩물 각각에 포함되는 탄소 화합물은 기공의 직경의 평균이 3 nm 내지 4 nm인 규칙성 메조포러스 탄소(ordered mesoporous carb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칙성 메조포러스 탄소(ordered mesoporous carbon)'란, 3차원적으로 규칙적이면서 상호 연결되는 기공(직경 약 2 nm 내지 50 nm) 배열을 가지는 탄소를 의미하며, 영문 약자로 'OMC'로도 알려져 있다. 상기 규칙성 메조포러스 탄소는, 일반적으로 메조포러스 물질(일례로, SBA-15, MCM-41 및 MCM-48와 같은 실리카 물질)의 기공에 탄소 전구체를 충진하고 탄소화한 후 상기 메조포러스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공의 직경의 평균이 3 nm 내지 4 nm인 규칙성 메조포러스 탄소는 균일하게 기공이 분포된 구조를 제공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플로우 프레임과 보다 용이하고 강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접촉 저항 또는 내부 저항을 가져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성능, 장기 내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컴파운딩물 및 제2컴파운딩물 각각을 가열 압착하는 단계는 200 내지 300의 온도 및 10 kg/㎠ 내지 20 kg/㎠의 압력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은 0.5mm 내지 1.5mm, 또는 0.6mm 내지 1.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형상의 제2성형품은 0.5mm 내지 1.5mm, 또는 0.6mm 내지 1.2m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형상은 내부에 다각형, 구형 또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개구부가 존재하고, 이러한 개구부를 감싸는 테두리가 존재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제1성형품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2성형품의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접한 상태에서 가열 압착하는 단계;는 200 내지 300의 온도 및 10 kg/㎠ 내지 20 kg/㎠의 압력 하에서, 상기 제1성형품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2성형품의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접하도록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조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인서트 사출을 하여 일체형의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플로우 프레임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로우 프레임과 보다 용이하고 강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접촉 저항 또는 내부 저항을 가져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성능, 장기 내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이용한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플로우 프레임 복합체가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1)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 제조
하기 표1의 조성을 제1컴파운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컴파운딩물을 핫프레스와 몰딩을 적용한 장치를 이용하여 220의 온도 및 15 kg/㎠ 의 압력을 적용하여 1.0mm 두께의 시트(크기: 65mm 가로 * 45mm 세로)를 제조하였다.
(2) 개구부를 구비한 프레임 형상의 제2성형품 제조
하기 표2의 조성을 제1컴파운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2컴파운딩물을 핫프레스와 몰딩을 적용한 장치를 이용하여 220의 온도 및 15 kg/㎠ 의 압력을 적용하여 1.0mm 두께의 프레임 형상 시트 (크기: 75mm 가로 * 55mm 세로 / 중앙에 70mm가로 * 50mm세로의 개구부 형성) 를 제조하였다.
(3) 제1성형품 및 제2성형품 간의 인서트 사출
성형품1과 성형품2를 겹쳐서 220의 온도 및 15 kg/㎠ 의 압력을 적용하여 핫프레스몰딩하여 75mm가로*55mm세로 크기의 바이폴라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사출기 내 평균온도를 270이며, 금형 온도는 100로 셋팅하여 금형을 닫는 압력은 500 MT로 한 조건을 적용하여 상기 제조된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폴리올레핀 수지를 인서트 사출 하여 105mm가로*105mm세로 크기를 가지는 바이폴라플레이트 일체형 플로우프레임을 제조하였다.
탄소화합물(wt%) 폴리프로필렌 수지(wt%) 첨가제 (wt%)
CNT Carbon Black Graphite Carbon Fiber
성형품 1 10 20 12 8 40 10
성형품 2 5 15 6 4 60 10
폴리프로피렌 수지: ASTM 1238에 따라 19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지수(MI)가 20, 0.900 g/cc의 밀도 및 25만의 중량평균분자량
CNT: 탄소나노튜브 (Nanocyl사, PP2001)
Carbon Black: 카본 블랙 (Mitsubishi사 300J)
Graphite: 흑연 (SGL사 , GHG5)
Carbon Fiber: 탄소섬유 (Toho사, Panex80-0150)
[ 비교예 : 전극 및 바이폴라 플레이트 결합체의 제조]
비교예의 바이폴라플레이트로는 폴리프로피렌 수지가 9%함침된 그라파이트 플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그라파이트 플레이트는 카본 함량이 매우 높아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결합이 용이하지 않았다.
[ 실험예 : 레독스 흐름 전지의 제조 및 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하기 표2의 조건을 적용하여 레독스 흐름 전지를 제조하였다.
내용 규격/제품명
전극(Electrode ) 재질(Material) SGL GFD 5
면적 (cm2) 35 (7㎝ x 5㎝)
두께(mm) 5
분리막 재질(Material) GEFC 104
면적 (cm2) 35 (7㎝ x 5㎝)
두께(mm) 100
플로우 프레임(frame material) PVC (두께 3 mm)
전해질 (ml) GEFC V(III)/V(IV), 각 100 ml
개스킷 PVC
작동 온도 Room temp.
Charge/discharge Current density (mA/cm2) 50
Limit voltage range (V) 1.0 ~ 1.6
Flow Rate (ml/min) 40
(1) 내부 저항의 측정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복합체와 비교예의 결합체를 각각 적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에 대하여 상기 표1의 충전/방전 조건 및 플로우 레이트를 적용하여 30회 구동하고 Hioki사의 BT3563 장치로 내부 저항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복합체를 적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가 40 mΩ의 내부 저항을 나타내며, 비교예의 결합체를 적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에 비하여 보다 낮은 내부 저항을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2) 전해액 누액의 발생 여부 확인
단전지 실험시 최초로 전해액을 셀 내부로 순환시킬 때 육안으로 전해액의 셀 외부로 나오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최종 내부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1시간을 전해액 순환을 실시하는데 그 이후에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3) 충전/방전 성능의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복합체와 비교예의 결합체를 각각 적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에 대하여 상기 표1의 충전/방전 조건 및 플로우 레이트를 적용하여 30회 구동하고 Battery tester 장치로 1.75A에서 1.6V까지 진행한 충전시간과 1.75A에서 1V까지 진행한 방전시간을 나눈 값으로 전류 효율[Current Efficiency, CE, 계산방법은 방전Capacity(Ah)/충전 Capacity(Ah)]을 측정하였다.
이때, 충전 평균 전압과 방전 평균 전압을 나눈값으로 전압효율[Voltage Efficiency, VE, 계산방법은 방전평균전압(V)/충전 평균전압(V)]을 측정하고, 충전 출력량 및 방전 출력량을 나눈 값으로 에너지 효율(Energy Efficiency, EE, 계산방법은 충전 출력량(Wh)/방전 출력량(Wh))을 측정하였다.
충전/방전 운전 특성
CE
(%)
VE
(%)
EE
(%)
실시예 94.8 84.9 80.5
비교예 94.2 85.4 80.4
상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복합체를 이용한 레독스 흐림 전지가 보다 얇은 두께에서도 비교예와 동등 수준 이상의 전류 효율, 전압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실시예의 복합체는 전극과 바이폴라 플레이트 간의 체결 압력을 낮추면서도 높은 결합 강도를 나타내어 보다 낮은 접촉 저항 또는 내부 저항을 가질 수 있어서, 레독스 흐름 전지의 성능, 장기 내구성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폴리올레핀계 수지 30중량% 이하 및 탄소 화합물 70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제1컴파운딩물을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 형성 단계;
    폴리올레핀계 수지 50중량% 이상 및 탄소 화합물 50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제2컴파운딩물을 소정의 형상을 갖는 성형틀에서 가열 압착하여 상기 제1성형품이 설치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프레임 형상의 제2성형품 형성 단계; 및
    상기 제1성형품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2성형품의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접한 상태에서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컴파운딩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10 내지 30중량%; 및 탄소 화합물 70중량% 내지 90중량%;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컴파운딩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70중량% 내지 90중량%; 및 탄소 화합물 10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컴파운딩물 및 제2컴파운딩물 각각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ASTM 1238에 따라 19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 흐름 지수(MI)가 4 내지 80, 0.850 내지 0.950 g/cc의 밀도 및 20만 내지 40만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컴파운딩물 및 제2컴파운딩물 각각에 포함되는 탄소 화합물은 카본 펠트, 천연 흑연(graphite), 인조 흑연(graphite), 팽창 흑연(graphite), 탄소 섬유, 난흑연화성 탄소, 카본 블랙, 탄소 나노 튜브, 플러렌, 활성탄 및 기공의 직경의 평균이 3 nm 내지 4 nm인 규칙성 메조포러스 탄소(ordered mesoporous carbo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컴파운딩물 및 제2컴파운딩물 각각을 가열 압착하는 단계는 200 내지 300의 온도 및 10 kg/㎠ 내지 20 kg/㎠의 압력을 적용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의 제1성형품은 0.5mm 내지 1.5mm 의 두께를 가지면,
    상기 프레임 형상의 제2성형품은 0.5mm 내지 1.5mm 의 두께를 갖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형품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2성형품의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접한 상태에서 가열 압착하는 단계;는
    200 내지 300의 온도 및 10 kg/㎠ 내지 20 kg/㎠의 압력 하에서, 상기 제1성형품의 테두리부가 상기 제2성형품의 개구부의 테두리부에 접하도록 가열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KR1020160126934A 2016-09-30 2016-09-30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Ceased KR20180036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934A KR20180036389A (ko) 2016-09-30 2016-09-30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934A KR20180036389A (ko) 2016-09-30 2016-09-30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389A true KR20180036389A (ko) 2018-04-09

Family

ID=6197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934A Ceased KR20180036389A (ko) 2016-09-30 2016-09-30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63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2231A (zh) * 2020-03-24 2020-05-01 杭州德海艾科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子树脂乳液制备的钒电池一体化电极
EP3838986A1 (en) * 2019-12-20 2021-06-23 Total Research & Technology Feluy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atactic polypropylene as additive and conductive article made of
WO2023150416A1 (en) * 2022-02-04 2023-08-10 Ess Tech, Inc. Method for bipolar plate fabrication
WO2025128328A1 (en) * 2023-12-14 2025-06-19 Ess Tech, Inc. Thermoplastic welded flow battery power modul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214A (ja) * 1995-04-20 1998-02-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ュール セ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 炭素−繊維−強化炭素の黒鉛化複合材
WO2004047122A1 (ja) * 2002-11-18 2004-06-03 Sony Corporation プロトン伝導体、シングルイオン伝導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キャパシタ
KR20070049917A (ko) * 2005-11-09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KR101073208B1 (ko) * 2009-09-29 2011-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의 제조방법
KR20140134559A (ko) * 2013-05-14 2014-1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전도도가 향상된 전극
KR20150088549A (ko) * 2014-01-24 2015-08-03 (주)하남정밀 바이폴라 플레이트용 수지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에 의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20160026796A (ko) * 2014-09-01 2016-03-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2214A (ja) * 1995-04-20 1998-02-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ュール セルズ コーポレイション 炭素−繊維−強化炭素の黒鉛化複合材
WO2004047122A1 (ja) * 2002-11-18 2004-06-03 Sony Corporation プロトン伝導体、シングルイオン伝導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化学キャパシタ
KR20070049917A (ko) * 2005-11-09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KR101073208B1 (ko) * 2009-09-29 2011-10-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의 제조방법
KR20140134559A (ko) * 2013-05-14 2014-1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전도도가 향상된 전극
KR20150088549A (ko) * 2014-01-24 2015-08-03 (주)하남정밀 바이폴라 플레이트용 수지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에 의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20160026796A (ko) * 2014-09-01 2016-03-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8986A1 (en) * 2019-12-20 2021-06-23 Total Research & Technology Feluy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atactic polypropylene as additive and conductive article made of
CN111092231A (zh) * 2020-03-24 2020-05-01 杭州德海艾科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子树脂乳液制备的钒电池一体化电极
WO2023150416A1 (en) * 2022-02-04 2023-08-10 Ess Tech, Inc. Method for bipolar plate fabrication
WO2025128328A1 (en) * 2023-12-14 2025-06-19 Ess Tech, Inc. Thermoplastic welded flow battery power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33336B (zh) 一种液流储能电池用双极板及其制备方法
CN101308923B (zh) 一种液流储能电池用碳塑导电复合双极板及其制备
CN101308924A (zh) 一种用于液流储能电池的增强柔性石墨双极板及其制备
KR101498597B1 (ko) 일체화된 전극-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6389A (ko)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CN101567452A (zh) 一种液流电池的复合材料双极板制备方法
CN101814605A (zh) 一种含氟树脂的导电塑料双极板制备方法
Loktionov et al. Fluoropolymer impregnated graphite foil as a bipolar plates of vanadium flow battery
KR101586455B1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 집전체,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 집전체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Kaur et al. Electrode-integrated bipolar plate structure for multi-cells in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KR102000658B1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KR101743924B1 (ko) 탄소섬유 펠트 일체형 전지용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8918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355433B1 (ko) 표면 개질된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CN108129747B (zh) 一种液流电池用双极板及其制备和应用
KR102066239B1 (ko) 분리막 복합체 및 레독스 흐름 전지
KR101262665B1 (ko) 카본-흑연 복합계 바이폴라 플레이트 및 그를 갖는 레독스 플로우 이차전지
KR101796305B1 (ko)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용 전극 집전체의 제조 방법
CN115101770A (zh) 一种液流电池复合双极板及其加工工艺
KR101316006B1 (ko) 연료전지용 망사형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CN101635358A (zh) 直接甲醇燃料电池复合双极板的制备方法
KR20150059985A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JP4725872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KR101764383B1 (ko) 유리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박판형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92859B1 (ko) 적층형 연료 전지 분리판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연료 전지용 분리판과 연료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612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71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