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6358A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6358A KR20180046358A KR1020170130023A KR20170130023A KR20180046358A KR 20180046358 A KR20180046358 A KR 20180046358A KR 1020170130023 A KR1020170130023 A KR 1020170130023A KR 20170130023 A KR20170130023 A KR 20170130023A KR 20180046358 A KR20180046358 A KR 201800463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slot
- time
- data
- dci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7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50069124 RAN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100355633 Salmo salar ran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402 cel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 H04W72/1289—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GPP에서 논의가 시작된 차세대/5G 무선 액세스망(NR[New Radio])을 위한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특히 NR에서 논의 중인 mulitplie numerology 기반의 frame structure를 데이터 스케줄링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들은 3GPP에서 논의가 시작된 차세대/5G 무선 액세스망(이하, "NR[New Radio]"라 함)을 위한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Component Carrier 간에 서로 다른 numerology 또는 서로 다른 scheduling interval을 설정하는 단계와, Data 또는 DCI 전송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Component Carrier 간의 timing relationship을 정의하는 단계와, timing relationship을 단말로 indic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OFDM symbol alignment among different SCS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CA between NR CC #1 with 15kHz SCS and NR CC#2 with 60kHz SC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CA between NR CC #1 with 15kHz SCS and NR CC#2 with 60kHz SC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NR
(New Radio)
3GPP는 최근 차세대/5G 무선 액세스 기술에 대한 연구를 위한 study item인 "Study on New Radio Access Technology"를 승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RAN WG1에서는 각각 NR(New Radio)를 위한 frame structure, channel coding & modulation, waveform & multiple access scheme 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R은 LTE 대비 향상된 데이터 전송율 뿐 아니라, 세분화되고 구체화된 usage scenario 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requirements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요구되고 있다. 특히 NR의 대표적 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ment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TC) 및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가 제기되었으며, 각각의 usage scenario별 requirements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LTE 대비 flexible한 frame structure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3GPP에서 논의 중인 NR의 대표적 usage scenario로서 eMBB, mMTC, URLLC가 고려되고 있다. 각각의 usage scenario는 data rates, latency, coverage 등에 대한 requirements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임의의 NR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각각의 usage scenario 별 requirements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numerology(e.g. subcarrier spacing, subframe, TTI, etc.) 기반의 무선 자원 유닛(unit)을 효율적으로 multiplexing하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를 위한 한 방법으로서, 서로 다른 subcarrier spacing값을 갖는 numerology에 대해 하나의 NR carrier를 통해 TDM, FDM 혹은 TDM/FDM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지원하는 방법 및 time domain에서의 스케줄링 단위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time unit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와 관련하여 NR에서는 time domain structure의 한 종류로서 subframe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졌으며, 해당 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 위한 reference numerology로서 LTE와 동일한 15kHz SCS(Sub-Carrier Spacing) 기반 normal CP overhead의 14개의 OFDM symbols로 구성된 단일한 subframe duration을 정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NR에서 subframe은 1ms의 time duration을 가진다. 단, LTE와 달리 NR의 subframe은 절대적인 reference time duration으로서, 실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의 기반의 되는 time unit으로서 slot 및 mini-slot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slot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값은 up to 60kHz의 SCS값을 갖는 numerology에 대해 y=7 and 14으로 정의되고, 60kHz보다 큰 SCS값을 갖는 numerology의 경우 y=14의 값을 갖도록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slot은 7개 혹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slot의 transmission direction에 따라 모든 심볼이 D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혹은 모든 심볼이 UL transmission을 위해 이용되거나, 혹은 DL portion + (gap) + UL portion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numerology(혹은 SCS)에서 해당 slot보다 적은 수의 심볼로 구성된 mini-slot이 정의되어 이를 기반으로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짧은 길이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거나, 혹은 slot aggregation을 통해 상/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긴 길이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구성될 수 있다.
[timing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and data for
NR
]
지난 3GPP RAN1 회의 결정 사항에 따르면, NR에서는 단말의 하향 링크 데이터 수신에 따른 HARQ ACK/NACK 피드백 timing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L1 signalling(e.g. DCI)에 의해 dynamically 설정되거나, 혹은 higher layer에 의해 semi-statically 설정되거나, 혹은 higher layer와 dynamic L1 signaling의 조합으로 설정하는 방법들에 대해 고려가 되고 있다.
또한 UL assignment와 그에 따른 UL data 전송 간의 timing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역시, L1 signalling(e.g. DCI)에 의해 dynamically 설정되거나, 혹은 higher layer에 의해 semi-statically 설정되거나, 혹은 higher layer와 dynamic L1 signaling의 조합으로 설정하는 방법들에 대해 고려가 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3GPP 회의를 통해 논의가 이루어지진 않았으나, DL assignment와 그에 따른 DL data 수신 timing 역시 기지국에 의해 L1 signalling(e.g. DCI)에 의해 dynamically 설정되거나, 혹은 higher layer에 의해 semi-statically 설정되거나, 혹은 higher layer와 dynamic L1 signaling의 조합으로 설정하는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다.
아래는 그와 관련한 86bis 의장 노트의 내용이다.
Agreements:
Timing relationship between DL data reception and corresponding acknowledgement can be (one or more of, FFS which ones)
dynamically indicated by L1 signaling (e.g., DCI)
semi-statically indicated to a UE via higher layer
a combination of indication by higher layers and dynamic L1 signaling (e.g., DCI)
Agreements:
Timing relationship between UL assignment and corresponding UL data transmission can be (one or more of, FFS which ones)
dynamically indicated by L1 signaling (e.g., DCI)
semi-statically indicated to a UE via higher layer
a combination of indication by higher layers and dynamic L1 signaling (e.g., DCI)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NR에서 복수의 numerology 지원 및 서로 다른 scheduling time interval(즉, slot or mini-slot 혹은 slot-aggregation) 지원으로 인해 DCI와 그에 따른 DL/UL data 및 DL data 수신과 HARQ ACK/NACK 피드백 timing과 관련된 상기의 timing relationship을 정의함에 있어서 단말과 기지국 간의 ambiguity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NR 단말을 위한 데이터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i.e. NR PDCCH)와 그에 따른 상기의 DL 혹은 UL data 수신 timing 및 DL data 수신에 따른 단말의 HARQ ACK/NACK 피드백 timing을 기지국에서 지시하고, 단말에서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안하도록 한다.
NR에서는 서로 다른 subcarrier spacing 값을 갖는 복수의 numerology를 지원하기 위한 frame structure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NR에서는 15kHz * 2^n 기반의 subcarrier spacing 값을 갖는 numerology family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논의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의 n값에 대해 n=0,1,2,3,4,5의 SCS case에 대한 지원을 고려한다. 이처럼 NR에서 복수의 numerology를 지원함으로써 각각의 numerology 별로 SCS값에 따른 OFDM 심볼 길이가 도 1과 같이 차이 나게 되고, 상기의 동일한 y값으로 구성된 slot의 길이 역시 SCS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SCS 값이 각각 15kHz와 30kHz로 구성된 numerology N1, N2에 대해 해당 N1에서 하나의 slot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가 7로 설정되고, N2에서 역시 하나의 slot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 y=7로 설정된 경우에도 각각 해당 slot의 길이는 0.5ms, 및 약 0.25ms로서 차이가 나게 된다.
또는 동일한 numerology 내에서도 각각의 단말 별로 time-domain에서의 scheduling 단위로서 7 symbol 혹은 14 symbol로 구성된 slot이 정의되거나, 혹은 slot보다 적은 수의 심볼로 구성된 mini-slot이 구성되거나, 혹은 복수의 slot aggregation을 통한 time-domain scheduling unit을 정의하는 등 서로 다른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정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에 대한 설정이 가능할 경우, 임의의 NR 단말에서 단일한 NR 주파수 대역을 통한 복수의 numerology 지원이 설정되거나, 혹은 DL/UL 간 서로 다른 numerology 혹은 scheduling interval(e.g. DL은 slot 기반, UL은 mini-slot 기반)이 설정된 경우, 혹은 CA(Carrier Aggregation) 지원 시 서로 다른 CC(Component Carrier) 간 서로 다른 numerology 혹은 scheduling interval(e.g. CC #1은 slot 기반, CC #2는 mini-slot 기반)이 설정된 경우, 해당 NR 단말을 위해 DCI 혹은 higher layer에 의해 설정되는 상기의 timing relationship 관련 정보를 해석하는데 있어 기지국과 단말 간의 synchronization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SCS이 15kHz인 CC #1과 SCS이 60kHz인 CC#2에 대한 CA이 설정된 임의의 NR 단말에 대해, 각각 CC #1에서 y=7의 slot을 기반으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고, CC #2에서도 y=7의 slot 기반으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경우, 각각의 CC에서 스케줄링 단위 및 그에 따른 하향 링크 제어 채널 모니터링 단위는 각각 CC #1에서는 0.5ms 및 CC #2에서는 약 0.125ms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DCI와 그에 상응하는 data 혹은 data와 그에 상응하는 ACK/NACK 피드백 간의 timing relationship이 임의의 k값으로 설정된 경우, 해당 k의 기준이 되는 timing length를 0.5ms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0.125ms으로 할 것인지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UL assignment와 그에 상응하는 UL data 전송 간의 timing relationship 관련 정보(e.g. timing gap 정보)가 해당 scheduling interval 단위로 L1 signalling, 즉, 해당 UL assignment DCI를 통해 dynamic하게 설정되도록 정의된 경우, 해당 단말에서 UL assignment DCI를 통해 설정된 timing gap, k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scheduling interval을 CC #1의 scheduling interval인 15kHz 기반의 7 심볼로 구성된 slot(즉, 0.5ms)으로 할지, 혹은 CC #2의 scheduling interval인 60kHz 기반의 7 심볼로 구성된 slot(즉, 약 0.125ms)으로 할지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cross-carrier scheduling이 적용된 경우, 해당 DCI가 전송되는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과 그에 따른 data 전송이 이루어지는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간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석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단, 상기에서는 CA 시, DCI와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 송수신 간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 차이가 발생하는 case를 기술했으나, 아래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내용은 DCI와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 송수신 간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의 차이가 발생하는 모든 case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assignment DCI 전송이 이루어지는 DL의 numerology와 그에 따른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UL의 numerology가 달리 설정되거나, 혹은 UL assignment DCI 전송이 이루어지는 DL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은 slot으로 설정되고, 그에 따른 UL data 전송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은 mini-slot으로 설정된 경우가 또 다른 case가 될 수 있다.
그 외의 DCI와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다른 모든 경우, 또는 DL data 수신과 그에 따른 HARQ ACK/NACK 피드백 UCI 전송을 위한 NR PUCCH 구성을 위한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다른 모든 경우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방법 1. Data transmission numerology/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 기반 timing relation indication
UL assignment 혹은 DL assignment DCI 송수신을 위한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에 관계 없이 실제 해당 DCI에 상응하는 UL data 전송 혹은 DL data 수신이 이루어지는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기반으로 상기의 timing relationship 관련 정보가 기지국에 의해 설정/단말에 의해 해석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서술한 SCS이 15kHz인 CC #1과 SCS이 60kHz인 CC#2에 대한 CA이 설정된 임의의 NR 단말을 가정하자. 이 경우 각각의 CC 별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각 CC #1에서 y=7의 slot 기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고, CC #2에서도 역시 y=7의 slot 기반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된 경우, 각각 CC #1에서는 0.5ms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가 구성되고, CC #2에서는 약 0.125ms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가 구성된다. 이 때, CC #2의 상/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DCI)가 CC #1을 통해 전송되도록 cross-carrier scheduling 설정 된 경우, 해당 CC #2의 data 송수신 단위가 되는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 약 0.125ms과 CC #1을 통해서 DCI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 0.5ms 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DCI를 통해 전송되는 혹은 higher layer를 통해 설정된 CC #2의 데이터와 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 간의 timing relationship, k값은 해당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CC#2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단위로 기지국에서 설정/단말에서 해석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timing relationship 관련 정보가 DCI와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 송수신 간의 timing gap에 대한 indication 정보이고, 해당 timing gap이 k로 설정된 경우, 해당 DCI 전송이 이루어지는 CC #1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인 15kHz SCS의 0.5ms 길이의 slot 단위가 아닌, 해당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CC #2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인 60kHz SCS의 약 0.125ms 길이의 slot 단위로 k개의 slot 이후에(즉, k*0.125ms 이후의 첫 번째 CC #2의 slot을 통해) 해당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timing relationship을 정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 방법으로서, 상기에서 서술한 PDSCH transmission의 SCS 값 및 그에 따른 DL slot length와 단말의 HARQ ACK/NACK 피드백을 위한 PUCCH transmission의 SCS값 및 그에 따른 UL slot length의 차이에 따른 timing indication 및 해석 방법을 이하에서 제시한다. 아래의 도 2과 같이 임의의 단말에서 normal CP의 15 kHz SCS을 기반으로 구성된 NR CC #1과 normal CP의 60kHz SCS을 기반으로 구성된 NR CC #2에 대한 CA가 구성되고, normal CP case에서 1 slot = 14 OFDM symbols로 정의된 경우, 아래의 도 2와 같이 NR CC #1과 NR CC #2에서의 slot length는 각각 1ms과 0.25ms으로 서로 다른 slot length를 갖게 된다.
또한 NR CC#2의 경우, 고주파 대역에서 구성된 NR 캐리어/셀로서 DL (혹은 UL) slot이 구성되고, NR CC#1은 저주파 대역에서 구성된 SUL(Supplementary UL) 캐리어/셀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NR CC #2의 PDSCH transmission에 상응하는 단말의 HARQ ACK/NACK 피드백을 위한 PUCCH transmission이 NR CC#1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NR CC#2에서의 PDSCH transmission과 그에 상응하는 NR CC#1에서의 HARQ ACK/NACK 피드백을 위한 PUCCH transmission 간의 timing gap, k1값을 기지국에서 설정하고 단말에서 해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해당 HARQ ACK/NACK 피드백을 포함하는 PUCCH transmission이 이루어지는 NR CC#1의 slot length 기반으로 해당 k1값이 기지국에서 설정되고 단말에서 해석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의 그림 2와 같은 경우, PUCCH transmission이 이루어지는 NR CC #1의 UL slot length인 1ms 단위로 해당 k1값이 설정 및 해석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해당 k1값 적용을 위한 reference point, 즉, reference slot index에 대한 정의가 필요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NR CC #2에서의 PDSCH 전송과 그에 대한 단말의 HARQ ACK/NACK 피드백을 포함하는 NR CC#1(e.g. SUL)에서의 PUCCH 전송 간의 timing gap 정보는 해당 PUCCH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CC #1의 1 ms의 TTI 혹은 slot length 단위로 기지국에 의해 설정/단말에 의해 해석 되도록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timing gap 정보가 k1으로 설정된 경우, 해당 1ms slot 단위로 k1개의 slot에 해당하는 timing gap counting을 위한 기준점이 되는 NR CC #1에서의 reference slot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한 방법으로서, 해당 PDSCH 전송이 이루어진 SCS와 해당 PUCCH 전송이 이루어지는 SCS 간의 비율에 따라 해당 reference slot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DSCH 전송이 이루어지는 NR CC의 SCS가 A kHz(즉 상기의 경우 NR CC #2의 60kHz), 그에 상응하는 PUCCH 전송이 이루어지는 NR CC의 SCS가 B kHz(즉, 상기의 경우, NR CC #1의 15kHz)일 때, 해당 NR CC #2에서 PDSCH 전송이 이루어진 slot index가 n인 경우, 해당 PUCCH transmission을 위한 상기의 timing gap, k1 slot(s)의 counting을 위한 PUCCH transmission이 이루어지는 NR CC(즉, 상기의 경우 NR CC#1)에서의 reference slot index는 로 정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이 timing gap 정보가 k1으로 설정되고 NR CC #2에서 PDSCH가 전송된 slot index가 n일 경우, 해당 timing gap, k1값에 따라 NR CC#1에서 PUCCH 전송이 이루어지는 slot index는 +k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 는 floor 함수로서, 즉, m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 정수를 의미한다.
또는 NR CC#2에서 PDSCH 전송이 이루어진, 혹은 해당 PDSCH 전송이 종료된 심볼(들)과 time domain에서 overlapping되는 PUCCH 전송이 이루어지는 NR CC #1의 slot index를 해당 reference slot index로 정의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해당 NR CC#2에서 PDSCH 전송이 이루어진, 혹은 PDSCH 전송이 종료된 심볼(들)과 time domain에서 overlapping되는 PUCCH 전송이 이루어지는 NR CC #1의 slot이 복수개일 경우, 해당 slot들 중 가장 큰, 혹은 맨 나중의 slot index를 reference slot index로 정의하거나, 또는 가장 작은, 혹은 맨 처음의 slot index를 reference slot index로 정의할 수 있다.
방법 2.
DCI
transmission numerology/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 기반 timing relation indication
UL data 전송 혹은 DL data 수신이 이루어지는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에 관계 없이 해당 UL/DL data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UL assignment 혹은 DL assignment DCI의 송수신 단위가 되는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기반으로 상기의 timing relationship 관련 정보가 기지국에 의해 설정/단말에 의해 해석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서술한 SCS이 15kHz인 CC #1과 SCS이 60kHz인 CC#2에 대한 CA이 설정된 임의의 NR 단말을 가정하자. 이 경우 각각의 CC 별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을 구성함에 있어서, 각각 CC #1에서 y=7의 slot 기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되고, CC #2에서도 역시 y=7의 slot 기반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이 설정된 경우, 각각 CC #1에서는 0.5ms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가 구성되고, CC #2에서는 약 0.125ms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가 구성된다. 이 때, CC #2의 상/하향 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DCI)가 CC #1을 통해 전송되도록 cross-carrier scheduling 설정 된 경우, 해당 CC #2의 data 송수신 단위가 되는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 약 0.125ms과 CC #1을 통해서 DCI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 0.5ms 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의 방안 1과 반대로 해당 DCI를 통해 설정되거나, 혹은 higher layer를 통해 설정되는 CC #2에서의 데이터 송수신과 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DCI 간의 timing relationship, k값은 해당 DCI 전송이 이루어지는 CC#1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단위로 기지국에서 설정/단말에서 해석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해당 timing relationship 관련 정보가 DCI와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 송수신 간의 timing gap에 대한 indication 정보이고, 해당 timing gap이 k로 설정된 경우, 해당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CC #2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인 60kHz SCS의 약 0.125ms 길이의 slot 단위가 아닌, 해당 DCI 전송이 이루어지는 CC #1의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인 15kHz SCS의 0.5ms 길이의 slot 단위로 k개의 slot 이후에(즉, k * 0.5ms 이후의 첫 번째 CC #2의 slot을 통해) 해당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timing relationship을 정의할 수 있다.
방안 3. Higher layer 혹은 L1 signaling을 통한 explicit reference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
) configuration 방법
상기의 timing relationship에 대한 기지국의 설정과 단말의 해석에 대한 synchronization을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해당 timing relationship indication의 기준이 되는 reference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를 기지국에서 higher layer signalling을 통해 semi-static하게 설정하거나, 혹은 L1 signalling(즉, L1/L2 control channel)을 통해 dynamic하게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reference time-domain scheduling interval(혹은 TTI)을 higher layer signalling을 통해 semi-static하게 설정하거나, 혹은 L1 signalling(즉, L1/L2 control channel)을 통해 dynamic하게 설정하는 실시 예로서, reference numerology 및 number of OFDM 심볼 단위로 해당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혹은 각각의 numerology 별 slot length가 되는 1ms, 0.5ms, 0.25ms, 0.125ms 등의 ms 단위의 time unit 단위로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과 송신부(1020),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에서 서로 다른 CC 간의 timing relationship을 indication함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10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및 제어부(1120), 송신부(1130)을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에서 서로 다른 CC 간의 timing relationship을 indication함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Component Carrier 간에 서로 다른 numerology 또는 서로 다른 scheduling interval을 설정하는 단계;
Data 또는 DCI 전송을 기반으로 상기 서로 다른 Component Carrier 간의 timing relationship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timing relationship을 단말로 indic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39598A KR102057127B1 (ko) | 2016-10-27 | 2017-10-25 |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0170139885A KR102162591B1 (ko) | 2016-10-27 | 2017-10-26 |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
| CN201780066539.9A CN109891988B (zh) | 2016-10-27 | 2017-10-27 | 用于在下一代无线网络中调度上行链路信号和下行链路数据信道的方法和设备 |
| PCT/KR2017/011958 WO2018080212A2 (ko) | 2016-10-27 | 2017-10-27 |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
| EP23178353.1A EP4236567A3 (en) | 2016-10-27 | 2017-10-27 |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data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
| ES17865212T ES2955001T3 (es) | 2016-10-27 | 2017-10-27 | Método y dispositivo para programar una señal de enlace ascendente y canal de datos de enlace descendente en la red inalámbrica de próxima generación |
| PCT/KR2017/011968 WO2018080217A1 (ko) | 2016-10-27 | 2017-10-27 |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6/344,947 US11115157B2 (en) | 2016-10-27 | 2017-10-27 |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
| CN201780062118.9A CN109804692B (zh) | 2016-10-27 | 2017-10-27 | 在下一代无线网络中调度上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设备 |
| EP17865477.8A EP3518601B1 (en) | 2016-10-27 | 2017-10-27 |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
| EP17865212.9A EP3518600B1 (en) | 2016-10-27 | 2017-10-27 |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data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
| US16/340,460 US10925079B2 (en) | 2016-10-27 | 2017-10-27 |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data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
| US17/379,977 US12101189B2 (en) | 2016-10-27 | 2021-07-19 |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
| US18/814,525 US20240421938A1 (en) | 2016-10-27 | 2024-08-25 |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60141451 | 2016-10-27 | ||
| KR1020160141451 | 2016-10-27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46358A true KR20180046358A (ko) | 2018-05-08 |
Family
ID=621876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30023A Pending KR20180046358A (ko) | 2016-10-27 | 2017-10-11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4)
| Country | Link |
|---|---|
| US (3) | US11115157B2 (ko) |
| EP (1) | EP3518601B1 (ko) |
| KR (1) | KR20180046358A (ko) |
| CN (1) | CN109804692B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0068346A1 (en) * | 2018-09-28 | 2020-04-02 | Qualcomm Incorporated | Cross-carrier reference signal scheduling offset and threshold determination |
| CN112385293A (zh) * | 2018-05-11 | 2021-02-19 | 株式会社Ntt都科摩 | 用户终端以及无线基站 |
| CN113287355A (zh) * | 2019-01-10 | 2021-08-20 | 夏普株式会社 | 具有子时隙结构的urllc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pucch)配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306720B (zh) * | 2017-01-13 | 2022-06-21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一种传输uci信息的方法和设备 |
| US10917278B2 (en) * | 2017-04-28 | 2021-02-09 | Nokia Technologies Oy | Frequency-domain transmitters and receivers which adapt to different subcarrier spacing configurations |
| US12096292B2 (en) * | 2017-05-05 | 2024-09-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equipment supporting PDCP duplication functio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supplementary uplink carrier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onnection mobility adjustment |
| KR102761430B1 (ko) | 2017-05-05 | 2025-0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복제 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네트워크 장비, 및 부가적 상향링크 반송파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연결 이동성 조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09391422B (zh) * | 2017-08-11 | 2020-11-17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反馈码本确定的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
| JP2019121978A (ja) * | 2018-01-10 | 2019-07-22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
| DE102018203680A1 (de) * | 2018-03-12 | 2019-09-12 | Robert Bosch Gmbh | Teilnehmerstation für ein serielles Bussystem und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in einem seriellen Bussystem |
| KR102725228B1 (ko) * | 2018-04-06 | 2024-11-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 및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102865737B1 (ko) * | 2019-08-27 | 2025-09-2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
| US11937256B2 (en) * | 2020-04-14 | 2024-03-19 | Qualcomm Incorporated | Time gaps in multi-slot grants |
| CN113543321B (zh) * | 2020-04-15 | 2024-04-05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Harq-ack反馈时序的确定方法及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2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8134994B2 (en) | 2003-02-14 | 2012-03-13 | Alcatel Lucent | Method of scheduling on downlink and transmitting on uplink dedicated channels |
| WO2008153367A1 (en) * | 2007-06-15 | 2008-12-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acquiring ack/nack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8879479B2 (en) * | 2009-01-27 | 2014-11-04 | Motorola Solutions, Inc. | Reactive scheduling methods and apparatus to enable peer-to-peer communication links in a wireless OFDMA system |
| KR101829831B1 (ko) * | 2010-05-06 | 2018-0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101887065B1 (ko) * | 2011-04-27 | 2018-09-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101961807B1 (ko) * | 2011-05-31 | 2019-07-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 및 자원 할당을 정의하는 방법 및 장치 |
| US9826515B2 (en) | 2011-06-14 | 2017-11-21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efining and using PHICH resources for carrier aggregation |
| JP5990815B2 (ja) * | 2011-11-07 | 2016-09-14 | シャープ株式会社 | 基地局、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
| JP5990793B2 (ja) * | 2012-06-07 | 2016-09-14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
| WO2014058236A1 (ko) * | 2012-10-10 | 2014-04-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기지국 |
| KR102196316B1 (ko) * | 2012-10-18 | 2020-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102127320B1 (ko) | 2013-09-27 | 2020-06-26 | 주식회사 아이티엘 | 상향링크 스케줄링 및 harq 타이밍 방법 및 장치 |
| WO2015169359A1 (en) | 2014-05-08 | 2015-11-12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Improving communication efficiency |
| HUE043320T2 (hu) | 2015-02-26 | 2019-08-28 | Intel Ip Corp | Rendszerek, eljárások és eszközök rádiós elérési technológia koordinációjához |
| EP3128801B1 (en) | 2015-08-07 | 2019-10-02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Self- and cross-carrier scheduling |
| KR20170112945A (ko) | 2016-04-01 | 2017-10-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간 통신과 셀룰라 통신의 공존 방법 및 장치 |
| WO2018018511A1 (zh) | 2016-07-28 | 2018-02-01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
| CN119402152A (zh) | 2016-08-10 | 2025-02-07 |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 用于灵活资源使用的方法 |
| EP3518579A4 (en) | 2016-09-21 | 2020-05-27 | NTT DoCoMo, Inc. |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EP3522585B1 (en) | 2016-09-29 | 2020-09-23 | NEC Corporation |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for |
| EP3301848B1 (en) * | 2016-09-30 | 2025-04-02 | ASUSTek Computer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rol channel for multiple numerologi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 CN109891988B (zh) | 2016-10-27 | 2022-08-09 | 株式会社Kt | 用于在下一代无线网络中调度上行链路信号和下行链路数据信道的方法和设备 |
| EP3504822B1 (en) * | 2016-11-04 | 2022-05-18 | Motorola Mobility LLC | Identifying a resource for transmitting a first uplink channel |
| US10211955B2 (en) | 2017-02-02 | 2019-02-19 | Qualcomm Incorporated | Half-duplex operation in new radio systems |
| US10454659B2 (en) * | 2017-02-28 | 2019-10-22 | Qualcomm Incorporated | Narrowband time-division duplex frame structure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
| US11316619B2 (en) | 2017-09-05 | 2022-04-26 | Ofinno, Llc | HARQ feedback transmission |
| CN109787720B (zh) | 2017-11-14 | 2020-11-13 | 中国信息通信研究院 | 一种混合自动重传请求传输方法、装置和系统 |
-
2017
- 2017-10-11 KR KR1020170130023A patent/KR20180046358A/ko active Pending
- 2017-10-27 EP EP17865477.8A patent/EP3518601B1/en active Active
- 2017-10-27 US US16/344,947 patent/US11115157B2/en active Active
- 2017-10-27 CN CN201780062118.9A patent/CN109804692B/zh active Active
-
2021
- 2021-07-19 US US17/379,977 patent/US12101189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8-25 US US18/814,525 patent/US20240421938A1/en active Pending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385293A (zh) * | 2018-05-11 | 2021-02-19 | 株式会社Ntt都科摩 | 用户终端以及无线基站 |
| CN112385293B (zh) * | 2018-05-11 | 2024-03-26 | 株式会社Ntt都科摩 | 终端、基站、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
| WO2020068346A1 (en) * | 2018-09-28 | 2020-04-02 | Qualcomm Incorporated | Cross-carrier reference signal scheduling offset and threshold determination |
| US10897754B2 (en) | 2018-09-28 | 2021-01-19 | Qualcomm Incorporated | Cross-carrier reference signal scheduling offset and threshold determination |
| EP4429376A3 (en) * | 2018-09-28 | 2024-12-18 | QUALCOMM Incorporated | Cross-carrier reference signal scheduling offset and threshold determination |
| US12328733B2 (en) | 2018-09-28 | 2025-06-10 | Qualcomm Incorporated | Cross-carrier reference signal scheduling offset and threshold determination |
| CN113287355A (zh) * | 2019-01-10 | 2021-08-20 | 夏普株式会社 | 具有子时隙结构的urllc物理上行链路控制信道(pucch)配置 |
| CN113287355B (zh) * | 2019-01-10 | 2024-05-14 | 夏普株式会社 | 用户设备、基站、由用户设备进行的方法以及由基站进行的方法 |
| US12003334B2 (en) | 2019-01-10 | 2024-06-04 | Sharp Kabushiki Kaisha | URLLC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configuration with sub-slot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20190268103A1 (en) | 2019-08-29 |
| US12101189B2 (en) | 2024-09-24 |
| EP3518601B1 (en) | 2023-05-24 |
| EP3518601A4 (en) | 2020-05-13 |
| CN109804692A (zh) | 2019-05-24 |
| CN109804692B (zh) | 2022-07-15 |
| US20240421938A1 (en) | 2024-12-19 |
| US20210351874A1 (en) | 2021-11-11 |
| EP3518601A2 (en) | 2019-07-31 |
| US11115157B2 (en) | 2021-09-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24042193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 |
| EP3534561B1 (en) |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 |
| US20220070913A1 (en) | Terminal,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 |
| KR102057127B1 (ko) |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 |
| KR20190038983A (ko) |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복수의 상향 링크 제어 정보 다중화 방법 및 장치 | |
| US11540272B2 (en) |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data channel resourc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access network | |
| KR20180108940A (ko) |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
| CN108702280B (zh) | 基于共享的解调参考信号来建立上行链路数据信道的方法及其装置 | |
| KR20180107417A (ko) | Nr을 위한 하향 링크 harq 동작 방법 및 장치 | |
| KR20190038279A (ko) |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채널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
| KR20190028262A (ko) |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장치 | |
| KR20180111443A (ko) | 차세대 무선망을 위한 전송 블록 구성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36909A (ko) |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45099A (ko) | 차세대 무선 통신에서 심볼 레벨 alignment를 위한 CP설정 방법 및 장치 | |
| US20180270797A1 (en) |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hannel in short tti frame structure and apparatus thereof | |
| KR20140131852A (ko) | 하향링크에서 harq-ack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 KR102121009B1 (ko) | 짧은 전송 시간 간격의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90429A (ko) | 차세대 무선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23136A (ko)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16688A (ko) | Short TTI 프레임에서 부분 중첩 참조 신호 기반 short PUCCH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 |
| KR20180026604A (ko)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다중 numerology 설정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49423A (ko)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45922A (ko)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81662A (ko)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 KR20180023137A (ko) |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전송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4 |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
Patent event date: 201710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