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715A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Google Patents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9715A KR20180069715A KR1020170170434A KR20170170434A KR20180069715A KR 20180069715 A KR20180069715 A KR 20180069715A KR 1020170170434 A KR1020170170434 A KR 1020170170434A KR 20170170434 A KR20170170434 A KR 20170170434A KR 20180069715 A KR20180069715 A KR 201800697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nanofiber
- silver
- filter
- filter medi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27—Metallic material
- B01D39/2031—Metallic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1—Manufactur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33—Fibre diame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8—Antimicrobi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여재를 합지시키는 모식도로써, 도 2a는 나노섬유웹과 제2지지체를 합지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합지된 나노섬유웹과 제2지지체를 제1지지체의 양면에 배치하여 합지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웹의 표면을 나타낸 SEM 이미지, 그리고,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평판형 필터유닛의 도면으로써, 도 4a는 필터유닛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X-X' 경계선의 단면도를 기준으로 한 여과흐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 구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
| 은 항균층 형성방법 | 증착 | 도금 | 도금 | 도금 | 도금 | 도금 | |
| 은 항균층 두께(㎚) | 50 | 50 | 2 | 10 | 100 | 150 | |
| 나노섬유 중량대비 은 항균층 중량(%) | 60 | 133 | 12 | 88 | 189 | 276 | |
| 나노섬유웹 평균 공경(㎛) | 0.8 | 0.75 | 1.5 | 1.1 | 0.53 | 0.28 | |
| 나노섬유웹 기공도(%) | 70 | 67 | 82 | 77 | 58 | 53 | |
| 제1지지체 포함여부 | ○ | ○ | ○ | ○ | ○ | ○ | |
| 제2지지체 포함여부 | ○ | ○ | ○ | ○ | ○ | ○ | |
| 상대적 수투과도(%) | 100 | 98 | 133 | 105 | 82 | 54 | |
| 정균감소율 (항균성) |
포도상 구균(%) | 99.9 | 99.9 | 99.9 | 99.9 | 99.9 | 99.9 |
| 폐렴간균(%) | 99.9 | 99.9 | 99.9 | 99.9 | 99.9 | 99.9 | |
| 역세척 내구성 | ○ | ○ | × | ○ | ○ | ○ | |
| 역세척 후 정균감소율 (항균성) |
포도상 구균(%) | 99.9 | 99.9 | 78.2 | 97.7 | 99.9 | 99.9 |
| 폐렴간균(%) | 99.9 | 99.9 | 81.7 | 98.2 | 99.9 | 99.9 | |
| 구분 | 실시예 7 |
실시예 8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 은 항균층 형성방법 | 증착 | 도금 | - | 도금 | 도금 | |
| 은 항균층 두께(㎚) | 5 | 280 | - | 50 | 50 | |
| 나노섬유 중량대비 은 항균층 중량(%) | 10 | 550 | - | 30 | 30 | |
| 나노섬유웹 평균 공경(㎛) | 1.5 | 0.12 | 1 | 1 | 1 | |
| 나노섬유웹 기공도(%) | 85 | 43 | 70 | 70 | 70 | |
| 제1지지체 포함여부 | ○ | ○ | ○ | ○ | × | |
| 제2지지체 포함여부 | ○ | ○ | ○ | × | ○ | |
| 상대적 수투과도(%) | 141 | 37 | 100 | 117 | 110 | |
| 정균감소율 (항균성) |
포도상 구균(%) | 99.9 | 99.9 | 0 | 99.9 | 99.9 |
| 폐렴간균(%) | 99.9 | 99.9 | 0 | 99.9 | 99.9 | |
| 역세척 내구성 | × | ○ | ○ | × | × | |
| 역세척 후 정균감소율 (항균성) |
포도상 구균(%) | 86.7 | 99.9 | 0 | 72 | 54.2 |
| 폐렴간균(%) | 85.1 | 99.9 | 0 | 67.9 | 48.8 | |
130: 제1지지체 1000: 필터여재
2000,2000': 필터유닛
Claims (18)
- 다수의 기공을 가지는 제1지지체;
상기 제1지지체의 상,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 나노섬유와 상기 나노섬유의 외부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은(Ag) 항균층을 포함하는 나노섬유웹; 및
상기 제1지지체 및 나노섬유웹 사이에 각각 개재된 다수의 기공을 가지는 제2지지체;를 포함하는 필터여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항균층은 나노섬유의 외부면 일부를 피복하도록 증착되거나 전체를 피복하도록 도금되어 형성된 필터여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은 항균층은 평균두께가 5 ~ 120㎚인 필터여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은 항균층의 중량은 전체 나노섬유의 중량 대비 30 ~ 500%인 필터여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은 평균공경이 0.1 ~ 3㎛이고, 기공도가 50 ~ 90%인 필터여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 평균직경이 50 ~ 450㎚인 필터여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는 부직포, 직물 및 편물 중 어느 하나인 필터여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는
지지성분 및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저융점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제1복합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제1복합섬유의 저융점 성분 및 제2복합섬유의 저융점 성분 간 융착으로 제1지지체 및 제2지지체가 결착된 필터여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는,
두께가 상기 필터여재 전체 두께의 90% 이상이고,
평량은 250 ~ 800 g/㎡인 필터여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는,
지지성분 및 저융점 성분을 포함하여 상기 저융점 성분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된 제2복합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제2복합섬유의 저융점 성분이 상기 나노섬유웹에 융착된 필터여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체의 평량은 35 ~ 80g/㎡이며, 두께는 150 ~ 250㎛인 필터여재. - (1)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형성한 나노섬유로 섬유웹을 형성시키는 단계;
(2) 상기 나노섬유의 외부면 적어도 일부에 은(Ag) 항균층을 구비시켜서 나노섬유웹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나노섬유웹 및 제2지지체를 합지하는 단계; 및
(4) 상기 제2지지체가 제1지지체와 맞닿도록 제1지지체의 양면에 각각 합지된 나노섬유웹 및 제2지지체를 배치시켜 합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터여재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무전해 도금법을 이용하는 필터여재 제조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전에 나노섬유에 대한 은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나노섬유 표면을 전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촉매 처리 단계 또는 나노섬유 에칭 단계인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스퍼터링(sputtering), 이온플레이팅(ion plating), 아크증착(Arc deposition), 이온빔보조증착(Ion beam assisted deposition) 및 저항가열식 진공증착(evaporatio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필터여재 제조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전에,
나노섬유웹을 세척하는 단계; 및
세척된 나노섬유웹 표면에 비휘발성의 극성을 지닌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필터여재; 및
필터여재에서 여과된 여과액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여재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평판형 필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60171452 | 2016-12-15 | ||
| KR1020160171452 | 2016-12-15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69715A true KR20180069715A (ko) | 2018-06-25 |
| KR102063675B1 KR102063675B1 (ko) | 2020-01-08 |
Family
ID=6280643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70434A Active KR102063675B1 (ko) | 2016-12-15 | 2017-12-12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63675B1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46401B1 (ko) * | 2019-11-19 | 2020-08-20 | 박영희 | 항균, 소취 필터의 제조방법, 항균, 소취 필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 소취 필터, 및 항균, 소취 필터와 플라즈마 살균, 제독장치를 결합한 자동차 에어컨디셔너 공기정화장치 |
| KR20210097465A (ko) * | 2020-01-30 | 2021-08-09 |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 항균기능을 갖는 유수분리기용 유수분리보드 |
| KR102543150B1 (ko) * | 2022-09-01 | 2023-06-13 | 김두영 | 항바이러스성 공기 정화 필터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 필터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71440B1 (ko) | 2007-07-16 | 2008-12-03 | 주식회사 에이엠오 | PAN/PVdF 복합나노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247368B1 (ko) * | 2010-05-10 | 2013-04-25 | 주식회사 아모메디 | 금속증착 나노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73346B1 (ko) * | 2012-02-13 | 2013-06-1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은도금 나노섬유 웹 및 이를 이용한 건식 전극 |
| KR20130106874A (ko) * | 2011-04-01 | 2013-09-30 |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 나노섬유 함유 복합재료 구조 |
| EP2803405A1 (en) * | 2013-05-17 | 2014-11-19 | Goodrich Corporation | Silver-coated nanofiber fabrics for pathogen removal filtration |
| KR20150017298A (ko) * | 2013-08-06 | 2015-02-16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액체 필터용 필터여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50040692A (ko) * | 2013-10-07 | 2015-04-15 | (주)에프티이앤이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와 이성분 기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7
- 2017-12-12 KR KR1020170170434A patent/KR10206367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71440B1 (ko) | 2007-07-16 | 2008-12-03 | 주식회사 에이엠오 | PAN/PVdF 복합나노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247368B1 (ko) * | 2010-05-10 | 2013-04-25 | 주식회사 아모메디 | 금속증착 나노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20130106874A (ko) * | 2011-04-01 | 2013-09-30 |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 나노섬유 함유 복합재료 구조 |
| KR101273346B1 (ko) * | 2012-02-13 | 2013-06-11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은도금 나노섬유 웹 및 이를 이용한 건식 전극 |
| EP2803405A1 (en) * | 2013-05-17 | 2014-11-19 | Goodrich Corporation | Silver-coated nanofiber fabrics for pathogen removal filtration |
| KR20150017298A (ko) * | 2013-08-06 | 2015-02-16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액체 필터용 필터여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50040692A (ko) * | 2013-10-07 | 2015-04-15 | (주)에프티이앤이 |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나노섬유와 이성분 기재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46401B1 (ko) * | 2019-11-19 | 2020-08-20 | 박영희 | 항균, 소취 필터의 제조방법, 항균, 소취 필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 소취 필터, 및 항균, 소취 필터와 플라즈마 살균, 제독장치를 결합한 자동차 에어컨디셔너 공기정화장치 |
| KR20210097465A (ko) * | 2020-01-30 | 2021-08-09 |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 항균기능을 갖는 유수분리기용 유수분리보드 |
| KR102543150B1 (ko) * | 2022-09-01 | 2023-06-13 | 김두영 | 항바이러스성 공기 정화 필터지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 필터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63675B1 (ko) | 2020-01-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89901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 |
| KR102064358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US11633701B2 (en) | Filter mediu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 |
| KR101989914B1 (ko) | 필터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 |
| KR102390788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US11364470B2 (en) | Filter mediu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ilter unit comprising same | |
| KR102064359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102576129B1 (ko) |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102055725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102063675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102751759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20180018934A (ko) |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US11839855B2 (en) | Filter mediu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ilter unit including same | |
| KR102751767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102055723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102109454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102119477B1 (ko) |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102400732B1 (ko) |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
| KR20180064706A (ko) | 필터여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5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1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0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5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