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0406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062A
KR20180104062A KR1020187023918A KR20187023918A KR20180104062A KR 20180104062 A KR20180104062 A KR 20180104062A KR 1020187023918 A KR1020187023918 A KR 1020187023918A KR 20187023918 A KR20187023918 A KR 20187023918A KR 20180104062 A KR20180104062 A KR 20180104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te matching
mapped
control
control resou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200B1 (ko
Inventor
황대성
이윤정
서인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0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2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3Rate matching, e.g. puncturing or repetition of code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llocation of payload; Allocation of data channels, e.g. PDSCH or PUS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히,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CORESET)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 레이트 매칭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영역 및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중,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내에 매핑되되,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를 제어 자원 집합에 레이트 매칭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트래픽을 요구하게 되면서, 기존 LTE 시스템보다 향상된 무선 광대역 통신인 차세대 5G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NewRAT이라고 명칭되는, 이러한 차세대 5G 시스템에서는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Ultra-reliability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URLL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 등으로 통신 시나리오가 구분된다.
여기서, eMBB는 High Spectrum Efficiency, High User Experienced Data Rate, High Peak Data Rate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고, URLLC는 Ultra Reliable, Ultra Low Latency, Ultra High Availability 등의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며 (e.g., V2X, Emergency Service, Remote Control), mMTC는 Low Cost, Low Energy, Short Packet, Massive Connectivity 특성을 갖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나리오이다. (e.g., Io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에 대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CORESET)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 레이트 매칭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영역 및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중,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내에 매핑되되,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원 집합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따라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자원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에 포함된 자원 요소들에는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 맵핑되는 자원 요소들에는 맵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는 자원 구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는 자원 구간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이 지시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단말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며,
공통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통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특정 자원 영역 내에,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가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특정 단말 전용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단말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모듈; 및 상기 RF 모듈과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CORESET) 영역을 수신하고, 레이트 매칭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영역 및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중,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내에 매핑되되,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자원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에 포함된 자원 요소들에는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 맵핑되는 자원 요소들에는 맵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이 지시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단말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며, 공통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통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특정 자원 영역 내에,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가 매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특정 단말 전용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단말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자원과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에 대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TXRU와 안테나 엘리먼트의 연결 방식의 일례들을 나타낸다.
도 7은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기지국의 명칭은 RRH(remote radio head), eNB, TP(transmission point), RP(reception point), 중계기(relay)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송신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송신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송신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송신채널(Trans포트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신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신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송신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베어러(Radio Bearer)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송신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 사이에 RRC 연결(RRC Connected)이 있을 경우, 단말은 RRC 연결 상태(Connected Mode)에 있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 RRC 휴지 상태(Idle Mode)에 있게 된다.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하향 송신채널은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하향 SCH(Shared Channel) 등이 있다. 하향 멀티캐스트 또는 방송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 SCH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 MCH(Multicast Channel)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향 송신채널로는 초기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상향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송신채널의 상위에 있으며, 송신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2는 3GPP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은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S201).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및 부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ownlink Reference Signal; DL RS)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상기 PDCCH에 실린 정보에 따라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을 수신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2).
한편, 기지국에 최초로 접속하거나 신호 송신을 위한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단말은 기지국에 대해 임의 접속 과정(Random Access Procedure; RACH)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03 내지 단계 S206).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임의 접속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을 통해 특정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송신하고(S203 및 S205), PDCCH 및 대응하는 PDSCH를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204 및 S206). 경쟁 기반 RACH의 경우, 추가적으로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송신 절차로서 PDCCH/PDSCH 수신(S2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송신(S208)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은 PDCCH를 통하여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한다. 여기서 DCI는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하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포맷이 서로 다르다.
한편, 단말이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송신하는 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상향링크 ACK/NACK 신호, CQI(Channel Quality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인덱스), RI(Rank Indicator) 등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술한 CQI/PMI/RI 등의 제어 정보를 PUSCH 및/또는 PUCCH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ms(327200ХTs)의 길이를 가지며 10개의 균등한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1ms의 길이를 가지며 2개의 슬롯(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롯은 0.5ms(15360ХT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에서, Ts 는 샘플링 시간을 나타내고, Ts=1/(15kHzХ2048)=3.2552Х10-8(약 33ns)로 표시된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자원블록은 12개의 부반송파Х7(6)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데이터가 송신되는 단위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단위로 정해질 수 있다. 상술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에 포함되는 제어 채널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에 따라 처음 1 내지 3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영역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13~11개의 OFDM 심볼은 데이터 영역으로 사용된다. 도면에서 R1 내지 R4는 안테나 0 내지 3에 대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RS) 또는 Pilot Signal)를 나타낸다. RS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과 상관없이 서브프레임 내에 일정한 패턴으로 고정된다. 제어 채널은 제어 영역 중에서 RS가 할당되지 않은 자원에 할당되고, 트래픽 채널도 데이터 영역 중에서 RS가 할당되지 않은 자원에 할당된다. 제어 영역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로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이 있다.
PCFICH는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로서 매 서브프레임 마다 PDCCH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를 단말에게 알려준다. PCFICH는 첫 번째 OFDM 심볼에 위치하며 PHICH 및 PDCCH에 우선하여 설정된다. PCFICH는 4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되고, 각각의 REG는 셀 ID(Cell IDentity)에 기초하여 제어 영역 내에 분산된다. 하나의 REG는 4개의 RE(Resource Element)로 구성된다. RE는 하나의 부반송파Х하나의 OFDM 심볼로 정의되는 최소 물리 자원을 나타낸다. PCFICH 값은 대역폭에 따라 1 내지 3 또는 2 내지 4의 값을 지시하며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로 변조된다.
PHICH는 물리 HARQ(Hybrid -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지시자 채널로서 상향링크 송신에 대한 HARQ ACK/NACK을 나르는데 사용된다. 즉, PHICH는 UL HARQ를 위한 DL ACK/NACK 정보가 송신되는 채널을 나타낸다. PHICH는 1개의 REG로 구성되고,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스크램블(scrambling) 된다. ACK/NACK은 1 비트로 지시되며,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로 변조된다. 변조된 ACK/NACK은 확산인자(Spreading Factor; SF) = 2 또는 4로 확산된다. 동일한 자원에 매핑되는 복수의 PHICH는 PHICH 그룹을 구성한다. PHICH 그룹에 다중화되는 PHICH의 개수는 확산 코드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PHICH (그룹)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3번 반복(repetition)된다.
PDCCH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서 서브프레임의 처음 n개의 OFDM 심볼에 할당된다. 여기에서, n은 1 이상의 정수로서 PCFICH에 의해 지시된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CCE로 구성된다. PDCCH는 송신 채널인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할당과 관련된 정보,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 HARQ 정보 등을 각 단말 또는 단말 그룹에게 알려준다.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shared channel)는 PDSCH를 통해 송신된다. 따라서, 기지국과 단말은 일반적으로 특정한 제어 정보 또는 특정한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PDSCH를 통해서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한다.
PDSCH의 데이터가 어떤 단말(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에게 송신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decoding)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 등은 PDCCH에 포함되어 송신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가 "A"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마스킹(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DCI 포맷 즉, 송신 형식 정보(예, 송신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송신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셀 내의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영역에서 PDCCH를 모니터링, 즉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A" RNTI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이 있다면, 상기 단말들은 PDCCH를 수신하고, 수신한 PDCCH의 정보를 통해 "B"와 "C"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도 5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제어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과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중간 부분이 PUSCH에 할당되고, 주파수 영역에서 데이터 영역의 양측 부분이 PUCCH에 할당된다. PUCCH 상에 송신되는 제어정보는 HARQ에 사용되는 ACK/NACK,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Indicator), MIMO를 위한 RI(Rank Indicator), 상향링크 자원 할당 요청인 SR(Scheduling Request) 등이 있다. 한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 내의 각 슬롯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를 차지하는 하나의 자원블록을 사용한다. 즉, PUCCH에 할당되는 2개의 자원블록은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된다. 특히 도 6은 m=0인 PUCCH, m=1인 PUCCH, m=2인 PUCCH, m=3인 PUCCH가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하,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보고에 관하여 설명한다. 현재 LTE 표준에서는 채널 상태 정보 없이 운용되는 개루프(open-loop) MIMO와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운용되는 폐루프(closed-loop) MIMO 두 가지 송신 방식이 존재한다. 특히, 폐루프 MIMO 에서는 MIMO 안테나의 다중화 이득(다중화 gain)을 얻기 위해 기지국 및 단말 각각은 채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은 채널 상태 정보를 단말로부터 얻기 위해, 단말에게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할당하여 하향링크 신호에 대한채널 상태 정보(CSI)를 피드백 하도록 명령한다.
CSI는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인덱스), CQI(Channel QualityIndication) 세가지 정보로 크게 분류된다. 우선, RI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의 랭크 정보를 나타내며, 단말이 동일 주파수-시간 자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는 스트림의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RI는 채널의 롱텀 페이딩(long term fading)에 의해 결정되므로 PMI, CQI 값 보다 통상 더 긴 주기로 기지국으로 피드백 된다.
두 번째로, PMI는 채널의 공간 특성을 반영한 값으로 SINR 등의 메트릭(metric)을 기준으로 단말이 선호하는 기지국의 프리코딩 행렬 인덱스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CQI는 채널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통상 기지국이 PMI를 이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신 SINR을 의미한다.
3GPP LTE-A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다수의 CSI 프로세스를 UE에게 설정하고, 각 CSI 프로세스에 대한 CSI를 보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CSI 프로세스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품질 특정을 위한 CSI-RS 자원과 간섭 측정을 위한 CSI-IM (interference measurement) 자원, 즉 IMR (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로 구성된다.
Millimeter Wave (mmW)에서는 파장이 짧아져서 동일 면적에 다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의 설치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30GHz 대역에서 파장은 1cm로써 4 by 4 cm의 패널(panel)에 0.5 lambda(파장) 간격으로 2D (dimension) 배열 형태인 총 64(8x8)의 안테나 엘리먼트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mmW 분야에서의 최근 동향에서는 다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BF (beamforming) 이득을 높여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쓰루풋 (throughput)의 증대를 시도하고 있다.
이 경우에 안테나 엘리먼트 별로 송신 파워 및 위상 조절이 가능하도록 TXRU (Transceiver Unit)을 구비한다면, 주파수 자원 별로 독립적인 빔포밍이 가능하다. 그러나 100여개의 안테나 엘리먼트 모두에 TXRU를 설치하기에는 가격측면에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TXRU에 다수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를 매핑하고 아날로그 위상 천이기 (analog phase shifter)로 빔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은 전 대역에 있어서 하나의 빔 방향만을 만들 수 있어 주파수 선택적 빔포밍을 해줄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디지털 BF와 아날로그 BF의 중간 형태로 Q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보다 적은 개수인 B개의 TXRU를 갖는 hybrid BF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B개의 TXRU와 Q개의 안테나 엘리먼트의 연결 방식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빔 방향은 B개 이하로 제한되게 된다.
도 6은 TXRU와 안테나 엘리먼트의 연결 방식의 일례들을 나타낸다.
도 6의 (a)은 TXRU가 서브-어레이(sub-array)에 연결된 방식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안테나 엘리먼트는 하나의 TXRU에만 연결된다. 이와 달리 도 6의 (b)는 TXRU가 모든 안테나 엘리먼트에 연결된 방식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안테나 엘리먼트는 모든 TXRU에 연결된다. 도 6에서 W는 아날로그 위상 천이기에 의해 곱해지는 위상 벡터를 나타낸다. 즉, W에 의해 아날로그 빔포밍의 방향이 결정된다. 여기서 CSI-RS 안테나 포트와 TXRU들과의 매핑은 1-to-1 또는 1-to-多 일 수 있다.
더욱 많은 통신 기기들이 더욱 큰 통신 용량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기존의 RAT (radio access technology)에 비해 향상된 무선 광대역 통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기기 및 사물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브 (massive)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역시 차세대 통신에서 고려될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신뢰도 (reliability) 및 레이턴시 (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UE를 고려한 통신 시스템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차세대 RAT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NewRAT 이라고 지칭한다.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신 레이턴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5세대 NewRAT에서는 도 7과 같은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를 고려하고 있다. 도 7은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의 일 예이다.
도 7에서 빗금 영역은 하향링크 제어 영역을 나타내고, 검정색 부분은 상향링크 제어 영역을 나타낸다.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특징은 한 개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송신과 상향링크 송신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서브프레임 내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보내고, 상향링크 ACK/NACK도 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송신 에러 발생시에 데이터 재송신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이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 데이터 전달의 레이턴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기지국과 UE가 송신 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 과정 또는 수신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전환 과정을 위한 시간 간극 (time gap)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의 일부 OFDM 심볼 (OFDM 심볼; OS)이 GP (guard period)로 설정되게 된다.
NewRAT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구성/설정 가능한 상기 self-contained 서브프레임 타입의 일례로, 적어도 다음과 같은 4가지 서브프레임 타입을 고려할 수 있다.
- 하향링크 제어 구간 + 하향링크 데이터 구간 + GP + 상향링크 제어 구간
- 하향링크 제어 구간 + 하향링크 데이터 구간
- 하향링크 제어 구간 + GP + 상향링크 데이터 구간 + 상향링크 제어 구간
- 하향링크 제어 구간 + GP + 상향링크 데이터 구간
5세대 NewRAT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제어 지시자(Downlink Control Indicator; DCI)를 전송/검출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검색 공간(search space; SS) 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5세대 NewRAT 시스템에서는 자원 사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데이터와 제어 정보 간 효율적인 자원 공유(resource sharing)를 고려할 수 있다.
한편, 5세대 NewRAT 시스템에서는,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과 UE 특정 검색 공간 (UE-specific search space; USS)이 동일한 제어 자원 집합에 대응될 수 있다. 반면,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이 서로 다른 제어 자원 집합에 대응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어 자원 집합(control resource set; CORESET)이 설정되면, 데이터 전송은 상기 제어 자원 집합이 설정된 영역을 고려하여 레이트 매칭(rate-matching)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자원 집합이 설정된 영역과 중첩을 피하는 방향으로 레이트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자원 집합의 경우, 다수 PDCCH 후보들 간 중첩 및 간섭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경우, 다수의 PDCCH 후보들 간 블록킹 현상(blocking)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 크기가 상당히 클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데이터 자원의 감소로 인한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 자원 집합, 검색 공간, 제어 정보 및 데이터 간의 관계 등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제어 정보와 데이터가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설명하였으나,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해서도 확장 적용 가능하다.
데이터 맵핑에 있어서, 제어 자원 집합에 대한 레이트 매칭 여부 및 방법은 제어 자원 집합 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네트워크가 UE 특정 검색 공간, 하향링크 검색 공간 또는 상향링크 검색 공간과 같은, 특정 검색 공간이나, 검색 공간의 일부에 대하여, 데이터와의 자원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단순히 검색 공간의 종류, 즉, 공통 검색 공간인지, 아니면 UE 특정 검색 공간인지에 따라, 레이트 매칭 여부 및 방법을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해서는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지 않고, UE 특정 검색 공간에 대해서는 데이터 공유를 좀 더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해서는 공통 검색 공간 내의 PDCCH 존재 여부와 관계 없이 PDSCH를 매핑하지 않으나, UE 특정 검색 공간에 대해서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제외한 UE 특정 검색 공간 내의 자원 요소에 PDSCH를 매핑할 수 있다.
다음은 특정 제어 자원 집합 또는 검색 공간에 데이터를 매핑할 때, 해당 영역에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이다.
실시 예 1-1
데이터를 매핑할 때, 전체 제어 자원 집합 또는 전체 검색 공간에 대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 1-2
데이터를 매핑할 때, 제어 자원 집합 또는 검색 공간 중에서,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에 대해서만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정보는 매핑되는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제어 정보를 위한 자원 이외의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데이터 스케줄링 시에, 기지국(gNB)이 데이터를 위한 자원 할당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 1-3
데이터를 매핑할 때, 해당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자원은 제어 영역의 맨 끝 CCE 혹은 맨 끝 PRB라고 가정하고,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그 외의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그 외의 제어 정보를 자원 영역에 별도로 배치하거나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와의 중첩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 1-4
DCI를 통해서 해당 제어 자원 집합에 대한 레이트 매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CI를 통해서, 레이트 매칭의 대상이 되는 처음 CCE 및/또는 마지막 CCE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레이트 매칭의 대상이 되는 처음 PRB 및/또는 마지막 PRB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DCI는 레이트 매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DCI일 수도 있고, 각 제어 자원 집합을 통해서 전송되는 그룹 공통 DCI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DCI를 통해 지시된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의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실시 예 1-5
특정 제어 자원 집합의 그룹 공통 DCI를 통해서 레이트 매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공통 DCI를 통해서, 레이트 매칭의 대상이 되는 처음 CCE 및/또는 마지막 CCE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레이트 매칭의 대상이 되는 처음 PRB 및/또는 마지막 PRB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그룹 공통 DCI를 통해서 지시된 레이트 매칭 정보는 모든 제어 자원 집합에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공통 DCI를 통해 지시된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의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실시 예 1-6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모든 혹은 각각의 제어 자원 집합 에 대한 레이트 매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레이트 매칭의 대상이 되는 처음 CCE 및/또는 마지막 CCE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거나, 레이트 매칭의 대상이 되는 처음 PRB 및/또는 마지막 PRB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된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의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은 제어 자원 집합 별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실시 예들이 조합되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어 자원 집합에 대해서는 '실시 예 1-6'을 적용하면서, 동시에 '실시 예 1-2'를 적용하여 지시된 레이트 매칭 정보 외에도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제어 정보에 대해서도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실시 예가 설정된 상태에서 스케줄링 DCI에 포함된 지시 필드(indication field)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레이트 매칭 방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아니면, RNTI 및/또는 스크램블링 및/또는 CRC 마스킹을 통해서 동적으로 레이트 매칭 방법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링의 대상이 되는 자원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옵션을 설정할 수도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해당 제어 정보는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아래의 설명에서, OFDM 심볼은 동적 또는 정적인 자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옵션 1)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PRB 그룹의 PRB 내에서,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옵션 2)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PRB 그룹의 PRB 내에서,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OFDM 심볼에서만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옵션 3)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PRB 그룹의 PRB 내에서, 제어 영역의 첫번째 심볼부터,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OFDM 심볼에서만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옵션 4)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PRB 그룹의 PRB 내에서, 제어 영역에 포함된 OFDM 심볼들 내에서만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옵션 5)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PRB 내에서, 데이터는 매핑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옵션 6)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PRB 내에서,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OFDM 심볼에서만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옵션 7)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PRB 내에서, 제어 영역의 첫번째 심볼부터,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OFDM 심볼에서만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옵션 8)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PRB 내에서, 제어 영역에 포함된 OFDM 심볼들 내에서만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옵션 9) 해당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어 자원 집합에는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 자원 집합은 공통 검색 공간을 포함하는 자원 집합으로 한정할 수 있다.
그런데, 만약, 공통 검색 공간을 위한 제어 자원 집합의 제어 영역 이전 시점에서, 데이터 매핑의 시작점을 설정받은 경우, 상기 공통 검색 공간과 겹치거나, 공통 검색 공간 내에서 제어 정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자원 집합 모두가 레이트 매칭에 사용될 수 있음을 가정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자원 집합은 오직 데이터 매핑에 사용됨을 가정한다.
즉, 공통 검색 공간 내에서 제어 정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자원 집합이 제어 자원 집합이라고 가정하고, 제어 자원 집합 내에서 데이터가 레이트 매칭될 수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반면, 제어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다면, 상기 자원 집합을 제어 자원 집합으로 가정하지 않고, 상기 자원 집합이 오직 데이터 매핑에 사용되는 자원 집합인 것으로 가정한다.
한편, 동일 제어 자원 집합에 대해서 복수의 검색 공간이 설정될 수 있다. 즉,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이, 특정 제어 자원 집합에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에 대한 레이트 매칭 방법이 동일한 제어 자원 집합 내에서도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검색 공간에 대응되는 서브 영역(sub-region)의 경우, 전체 제어 자원 집합 또는 검색 공간에 대해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거나, DCI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지시되는 레이트 매칭 영역에 따라,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UE 특정 검색 공간에 대응되는 서브 영역의 경우, 데이터를 매핑할 때, 제어 자원 집합 또는 검색 공간 내에서, 상기 매핑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에 대해서만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거나, DCI 혹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지시되는 레이트 매칭 영역에 따라,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UE 특정 검색 공간은 특정 UE 전용 검색 공간일 수도 있고, 특정 UE Group용 검색 공간일 수도 있다.
이 때, 지시되는 레이트 매칭 영역은 공통 검색 공간과 UE 특정 검색 공간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통 검색 공간에 대한 PDCCH 후보가 적기 때문에, 스케줄링을 통한 레이트 매칭 방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복수의 방식이 설정된 상태에서는, 스케줄링 DCI내의 지시 필드(indication field)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레이트 매칭 방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제어 자원 집합(Control resource set)은 전체 혹은 일부가 UE 특정 한 것일 수 있고, UE 그룹 공통(UE-group common)되게 지정될 수도 있다. 이 때, 특정 UE에게 모든 제어 자원 집합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가 알려주는 것은 시그널링 오버헤드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특정 UE 또는 UE 그룹 공통을 위해 설정된 제어 자원 집합을 제외한 나머지 제어 자원 집합에 대해서는 별도의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지 않고, 오직 스케줄링 기반으로 제어 정보와 데이터 간 자원 할당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도 8을 기반으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상위 계층을 통해 제어 자원 집합을 위한 영역을 설정하고(S801), 레이트 매칭 정보를 DCI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수신한다(S803). 이 때, S803은 상술한 실시 예 1-4 내지 실시 예 1-6에 따를 때, 수행될 수 있으며, 실시 예 1-1 내지 실시 예 1-3을 따를 때는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자원 집합 및 레이트 매칭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각각의 자원 요소에 매핑하고(S805), 매핑된 데이터를 전송한다(S807).
한편, 5세대 NewRAT 시스템에서는 단일 PDSCH 혹은 PUSCH에 대한 복수의 PDCCH를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PDCCH 전송 형태는 국부적(localized)일 수도 있으나,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획득을 위하여, 분산된 (distributed) 형태일 수도 있다. 다음은 복수의 PDCCH에 대한 레이트 매칭 방법에 대한 실시 예이다. 특히, 아래의 실시 예들은, 스케줄링 DCI에 대한 레이트 매칭 방법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 예 2-1
처음 CCE와 마지막 CCE 사이에 포함된 모든 CCE, 즉, 검출된 상기 스케줄링 DCI가 매핑된 첫 CCE와 마지막 CCE에 사이에 포함된 모든 CCE가 레이트 매칭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첫 CCE와 마지막 CCE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의 CCE를 통해, 상기 스케줄링 DCI 이외의 다른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 예 2-2
복수의 DCI가 매핑된 CCE들에 대해서만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자원의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실시 예 2-3
스케줄링 정보가 복수의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것이 허용된 (enabled) 경우, 전체 제어 자원 집합이 레이트 매칭에 사용되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한편, 레이트 매칭이 되는 자원 요소를 지시하여, 이를 기반으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는, 지시 기반의 레이트 매칭 방식의 경우에도 상기 실시 예 2-1 내지 실시 예 2-3이 확장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대표 PDCCH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여, 상기 대표 PDCCH를 기반으로 상기 실시 예 2-1 내지 실시 예 2-3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 2-1에서, 처음 CCE를 상기 대표 PDCCH의 처음 CCE로 간주하여, 상기 대표 PDCCH의 처음 CCE를 기준으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를 제어 자원 영역 내에 매핑하는 것을 지원함에 있어서, 제어 정보의 매핑 방식이 국부적인지 또는 분산적인지에 따라서도 레이트 매칭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핑 방식은 REG가 CCE로 매핑되는 것 및/또는 CCE가 PDCCH로 맵핑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가 주파수 도메인 영역에서 분산적으로 매핑되는 경우에는, 데이터와의 자원 공유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전체 제어 자원 집합에 대하여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정보가 주파수 도메인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매핑되는 경우에는, 데이터와 제어 정보 간 FDM이 용이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옵션 1 내지 6에서와 같이, 설정 기반으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거나, 해당 UE의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자원에 대해서만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제어 정보의 매핑 방식은 시간 우선 맵핑 방식과 주파수 우선 맵핑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시간 우선 맵핑 방식에서는, 상술한 옵션 1 내지 6들과 같이 설정 기반으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거나 해당 UE의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자원에 대해서만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주파수 우선 매핑 방식은, 전체 제어 자원 집합에 대하여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거나, 상술한 옵션 1 내지 6들과 같이, 설정 기반으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5세대 NewRAT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와 제어 정보 간 뉴머롤로지가 상이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제어 정보 및 데이터의 조합 간에 상이한 뉴머롤로지 및/또는 TTI 타입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 자원 집합 내에서 제어 자원 집합 일부에 데이터를 레이트 매칭하여, 전송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은 경우에는, 제어 자원 집합 전체에 대해서, 데이터의 레이트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지시된 레이트 매칭 정보에 따라서,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자원과 일부라도 겹치는 자원은 레이트 매칭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이트 매칭에 대한 정보는 뉴머롤로지 별로 및/또는 TTI 타입 별로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뉴머롤로지는 제어 정보에 대한 뉴머롤로지일 수도 있고, 혹은 데이터에 대한 뉴머롤로지일 수도 있다. 또한, 레이트 매칭에 대한 정보는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 간 뉴머롤로지 및/또는 TTI 타입 조합 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뉴머롤로지를 가정하는 데이터가 제 2 뉴머롤로지를 가정하는 제어 영역에서 수행되는 레이트 매칭 방법과 제 1 뉴머롤로지를 가정하는 제어 영역에서 수행하는 레이트 매칭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즉, 데이터와 동일한 뉴머롤로지를 가정하는 제어 영역에서의 레이트 매칭 방법과 상이한 뉴머롤로지를 가정하는 제어 영역에서의 레이트 매칭 방법이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른, 명시적인 레이트 매칭 방법의 일례로는, RRC를 통해 레이트 매칭 방법을 설정하거나, 스케줄링 DCI를 통해 레이트 매칭 방법을 지시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뉴머롤로지에 대한 레이트 매칭 방법을 설정하거나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이트 매칭 방법이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에 대한 뉴머롤로지 혹은 그 조합에 대해서 각각 지시 필드(indication field)가 존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법과는 상이하게, 제어 자원 집합 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어 정보와 동일한 뉴머롤로지로 변환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데이터의 뉴머롤로지와 제어 정보의 뉴머롤로지가 상이한 경우, PDSCH의 시작 지점이 설정이 될 수 있으며, 만약, PDSCH의 시작 지점이 제어 영역을 포함하면, 비록, 해당 제어 영역에 대해 모니터링 하도록 설정 받은 경우더라도, 상기 제어 정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술한 설정은 데이터의 뉴머롤로지와 제어 정보의 뉴머롤로지가 상이한 경우에 한정하여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일례들과는 상이하게, PDSCH 시작 지점이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UE의 제어 정보가 매핑된 OFDM 심볼 인덱스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정보가 매핑된 심볼 들, 즉, 제어 자원 집합 전체에 대해 레이트 매칭이 수행되었음을 가정한다.
한편,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함에 있어서 멀티 슬롯 집합(multi-slotaggregation)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이 때, 제 1 TTI 타입과 제 2 TTI 타입은 서로 상이한 타입을 가지며, 제 2 TTI 타입의 상대적인 길이가 제 1 TTI 타입에 비해 짧은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슬롯에 대하여, 제어 자원 집합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때의 레이트 매칭 방식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각 슬롯 별 PDSCH 시작점을 반 정적(semi-static) 또는 동적(dynamic)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동적으로 설정하는 방식은 슬롯 집합(slot-aggregation)의 첫 DCI에서 PDSCH 시작점을 지시할 수도 있고, 각 슬롯 마다 해당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링 정보를 지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인코딩 시간을 고려하여 처음 슬롯을 제외하고, 나머지 슬롯의 제어 자원 집합 내의 PDSCH전송에 대하여 펑처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니면, 각 슬롯 별로 레이트 매칭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고, UE는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트 매칭 정보를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경우는 CSI-RS에 대한 정보를 지시하는 것과 같이, 제어 정보를 레이트 매칭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이유로 레이트 매칭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명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또는, 각 슬롯 별로, 각 슬롯의 시작 지점 및 마지막 지점을 반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지시해줄 수 있다.
한편, 제어 정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고려하여,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링 정보를 복수의 슬롯에 대해서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 언급한, 데이터 매핑이 가능한 슬롯의 시작 지점 및/또는 마지막 지점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슬롯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고려하여 복수의 슬롯/슬롯 그룹에 대한 레이트 매칭 정보를 제공하고, 첫번째 슬롯에 대한 레이트 매칭 패턴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I-RS 레이트 매칭 등이 복수의 슬롯/슬롯 그룹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복수의 슬롯들 중, 첫번째 슬롯과 나머지 슬롯들에 다른 레이트 매칭 설정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슬롯은 특정 UE에 대한 제어 정보에 대해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고, 나머지 슬롯들은 제어 자원 집합들 전체에 대하여 레이트 매칭을 수행하거나, 펑처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기본적으로 멀티 슬롯은 항상 시간-주파수 자원이 동시에 지시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한 레이트 매칭 또는 펑처링에 대한 방법은 PDSCH 또는 PUSCH 맵핑 시, PDCCH 뿐만 아니라 CSI-RS, UCI, PDSCH 매핑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UL 전송, PUSCH 매핑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DL 전송에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UE에게 지시하는 것에 대한 내용은 실시 예에 불과하며, 그 반대의 경우, 즉, UE가 기지국에게 지시하는 방식도 본 발명의 사상을 확장하여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또한, 멀티 슬롯에 대해서 PDSCH 또는 PUSCH가 스케줄링 된 이후에 중간 슬롯에서 또 다른 PDCCH가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경우, 혹은 단일 슬롯에 대하여 PDSCH 또는 PUSCH가 스케줄링된 이후에, 상기 단일 슬롯 내의 특정 미니 슬롯에서 또 다른 PDCCH가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중간에 전송될 필요가 있는 PDCCH는 이미 할당(assigned)된 하향링크 자원을 선점(pre-emption)하거나 혹은 중첩(superposition)하는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점된 자원에 대한 지시 신호를 기지국인 UE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심볼의 개수가 작은 경우와 같이, 데이터 전송 구간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PDCCH와 PDSCH 간 본 발명에 따른, 자원 공유 방법이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PDCCH와 PDSCH 간 자원 공유의 경우라도, PDSCH의 복조 및 디코딩을 위해서 DMRS는 레이트 매칭 되거나 하면 안되므로, DMRS 를 전송하는 위치를 별도로 정의될 필요가 있다.
이하, 이에 따른 DMRS 를 전송하는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상기 DMRS를 전송하는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PDCCH와 PDSCH에 대한 자원 배치는 케이스들에 대해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케이스 1
PDCCH와 PDSCH에 대한 자원이 중첩되지 않는 경우, 즉, PDCCH와 PDSCH가 완전히 FDM되는 경우가 있다.
케이스 2
PDCCH와 PDSCH에 대한 자원이 주파수 축으로 일부 중첩된 경우. 상기 중첩된 PDSCH에 대한 일부 주파수 영역, 즉, RB 영역에 대해서는 PDCCH와 TDM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에 대하여 wideband RS가 사용되고, PDCCH가 전송되는 CORESET의 서브 셋과 PDSCH에 대한 자원이 주파수 축으로 일부 중첩된 경우, 일부 중첩된 PDSCH에 대한 주파수 영역은 CORESET의 서브 셋과 TDM될 수 있다.
이 때, CORESET의 서브셋에 대한 세그먼트(segment)에서 상기 세그먼트는 연속된 RB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세그먼트 영역 내에서는 동일한 프리코딩 및/또는 채널 추정을 가정할 수 있다.
케이스 3
PDCCH와 PDSCH에 대한 자원이 주파수 축으로 완전히 중첩된 경우에는, PDSCH에 대한 전체 스케줄링 주파수 자원 (scheduled frequency resource) 영역에 대하여 PDCCH와 TDM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3은 PDCCH에 대한 주파수 자원 영역이 PDSCH에 대한 주파수 자원 영역보다 더 큰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에 대하여 wideband RS가 사용되고, PDCCH가 전송되는 CORESET의 서브 셋과 PDSCH에 대한 자원이 주파수 축으로 완전히 중첩된 경우, 상기 CORESET의 서브 셋과 전체 PDSCH에 대한 주파수 영역이 TDM될 수 있다. 이 때, CORESET의 서브셋에 대한 세그먼트(segment)에서 상기 세그먼트는 연속된 RB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세그먼트 영역 내에서는 동일한 프리코딩 및/또는 채널 추정을 가정할 수 있다.
한편, PDCCH에 대한 영역은 PDSCH에 대한 레이트 매칭 패턴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PDCCH에 대한 영역은 상기 PDCCH에 대응되는 RS가 맵핑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DMRS 를 전송하는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DMRS의 위치는 프로세싱 타임을 고려할 때, 데이터가 매핑되는 위치보다 앞서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PDSCH/PUSCH에 대한 데이터 심볼 인덱스가 스케줄링 DCI로 지시되는 경우에는 지시된 심볼 혹은 지시된 심볼의 이전 심볼에서 DMRS가 매핑될 수 있다. 반면에, 스케줄링 DCI에서 PDSCH/PUSCH에 대한 첫번째 심볼 인덱스를 지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케줄링 DCI에 대한 CORESET의 마지막 심볼 이후의 다음 심볼 또는, 스케줄링 DCI를 포함하는 PDCCH의 시작 또는 마지막 심볼의 다음 심볼에서 DMRS가 매핑될 수 있다. 한편, PUSCH의 경우에는 기 정의되거나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된 오프셋만큼 이후에 DMRS가 매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줄링 DCI를 포함하는 PDCCH의 시작 또는 마지막 심볼로부터 상기 오프셋 간격 이후의 심볼부터 DMRS가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해당 TTI의 첫 번째 심볼 혹은 CORESET 이후의 처음 심볼을 지시할 수도 있고, 이를 기반으로 DMRS를 매핑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DMRS 매핑은 케이스 1 또는 케이스 3인 경우에는 명확히 표현될 수 있지만, 만약, 케이스 2와 같이 PDSCH에 대한 첫번째 심볼 인덱스가 RB 또는 주파수 자원마다 상이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작업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 2와 같이, PDSCH와 PDCCH에 대한 자원이 주파수 축으로 일부 중첩되는 경우의 DMRS 전송 위치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실시 예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 3-1
DMRS를 전송할 심볼 인덱스는 해당 PDSCH의 RB 별 혹은 주파수 자원 별 첫번째 심볼 인덱스의 최대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의 첫번째 심볼 인덱스가 1이고, 다른 주파수 영역에서의 첫번째 심볼 인덱스가 2인 경우, DMRS는 인덱스 번호 2를 가지는 심볼에서 매핑될 수 있다.
실시 예 3-2
DMRS가 매핑되는 심볼 인덱스는 해당 PDSCH의 RB 별 혹은 주파수 자원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즉, 각 주파수 자원에 대한 첫번째 심볼 인덱스에서 DMRS가 전송된다. 한편, 상기 주파수 자원은 RE 단위, RB 단위 또는 RBG 단위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 3-3
DMRS는 주파수 축으로 PDCCH, CORESET 또는 레이트 매칭 자원(rate-matching resource; RMR)과 중첩되지 않은 영역에서만 전송되며, 이 때의 PDSCH에 대한 첫번째 심볼 인덱스에서 매핑된다. 이러한 경우, PDCCH 또는 CORESET과 주파수 축으로 중첩되는 부분의 자원에 대한 채널 추정은 PDCCH와 PDSCH간 DMRS 공유를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이 때, PDSCH에 대한 첫번째 심볼 인덱스는 레이트 매칭 자원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파수 자원은 PDSCH/PUSCH에 대한 매핑을 고려하여 해당 PDSCH/PUSCH에 대한 RBG 단위로 결정될 수도 있고, 또는 PDCCH에 대한 매핑을 고려하여 REG 또는 REG 번들 단위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채널 추정 단위를 고려하여, PRB 번들 단위로 결정될 수도 있다. 즉, DMRS에 대한 매핑 단위는 상기의 주파수 자원 단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900)는 프로세서(910), 메모리(920), RF 모듈(930), 디스플레이 모듈(9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950)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9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일부 모듈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900)는 필요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900)에서 일부 모듈은 보다 세분화된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10)의 자세한 동작은 도 1 내지 도 8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메모리(920)는 프로세서(910)에 연결되며 오퍼레이팅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RF 모듈(930)은 프로세서(910)에 연결되며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신호를 변환하거나 무선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F 모듈(930)은 아날로그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 변환 또는 이들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모듈(940)은 프로세서(910)에 연결되며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모듈(940)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950)은 프로세서(910)와 연결되며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선점된 자원 정보를 지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5세대 NewRAT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5세대 NewRAT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CORESET) 영역을 수신하는 단계;
    레이트 매칭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영역 및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중,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내에 매핑되되,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의 주파수 도메인 자원에 따라 매핑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자원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에 포함된 자원 요소들에는,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
    데이터 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내에 매핑되는 경우,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이후의 다음 심볼에 매핑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는 자원 구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 공간을 기반으로 결정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는 자원 구간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슬롯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이 지시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단말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며,
    공통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통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특정 자원 영역 내에,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특정 단말 전용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단말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인,
    데이터 수신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모듈; 및
    상기 RF 모듈과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CORESET) 영역을 수신하고,
    레이트 매칭 정보를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영역 및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자원 집합 중, 상위 계층에 의해 지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내에 매핑되되,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되는,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는,
    상기 데이터를 스케줄링 하기 위한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자원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에 포함된 자원 요소들에는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지 않는,
    단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내에 매핑되는 경우,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 이후의 다음 심볼에 매핑되는 단말.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자원 집합이 지시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단말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며,
    공통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통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지시된 특정 자원 영역 내에, 상기 레이트 매칭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가 매핑되는,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특정 단말 전용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단말 그룹 특정 상위 계층 시그널링인,
    단말.
KR1020187023918A 2017-02-14 2018-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ctive KR101992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8591P 2017-02-14 2017-02-14
US62/458,591 2017-02-14
US201762492903P 2017-05-01 2017-05-01
US62/492,903 2017-05-01
US201762576583P 2017-10-24 2017-10-24
US62/576,583 2017-10-24
PCT/KR2018/001942 WO2018151533A1 (ko) 2017-02-14 2018-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062A true KR20180104062A (ko) 2018-09-19
KR101992200B1 KR101992200B1 (ko) 2019-06-24

Family

ID=6316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918A Active KR101992200B1 (ko) 2017-02-14 2018-0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716105B2 (ko)
EP (1) EP3471319B1 (ko)
JP (1) JP6870094B2 (ko)
KR (1) KR101992200B1 (ko)
CN (1) CN110268671B (ko)
WO (1) WO20181515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537A1 (ko) * 2019-01-08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 신호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6105B2 (en) * 2017-02-14 2020-07-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nd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0887842B2 (en) * 2017-04-17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power control
WO2018194352A1 (en) 2017-04-17 2018-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uplink power control
KR102318438B1 (ko) 2017-04-26 202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dmrs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FI3549380T3 (fi) * 2017-06-16 2024-06-17 Zte Corp Järjestelmä ja menetelmä resurssilohkojen allokoimiseksi
US20180368116A1 (en) * 2017-06-16 2018-12-20 Mediatek Inc. Design of coreset configurations
US11251924B2 (en) * 2017-07-25 2022-02-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CK/NACK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91567B2 (en) * 2017-07-28 2020-09-29 Qualcomm Incorporated Overlapping control resource sets with different priority levels
US20190052414A1 (en) * 2017-08-10 2019-02-14 Alireza Babaei Multiplexing mechanism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US10873415B2 (en) 2017-08-10 2020-12-22 Ofinno, Llc Uplink control information multiplexing
KR102547263B1 (ko) 2018-01-12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채널 및 제어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84832B1 (ko) * 2018-03-26 2023-0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39429B2 (en) * 2018-04-04 2021-06-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nterpretation
US11438117B2 (en) * 2018-04-04 2022-09-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reference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method
US11737081B2 (en) * 2018-05-11 2023-08-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for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S11051327B2 (en) 2018-08-10 2021-06-29 Qualcomm Incorporated Rate-matching around CRS for NR-TDD
CN111586857B (zh) 2019-02-15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通信装置
CN113748729A (zh) 2019-08-27 2021-12-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0993264B1 (en) * 2019-10-15 2021-04-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s in multiple transmit-receive point (TRP) scenarios
US11617163B2 (en) 2019-10-23 2023-03-28 Qualcomm Incorporated Avoiding collisions with reference signals
WO2021227958A1 (en) * 2020-05-11 2021-11-1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multi-transmission/reception point operations
EP4170955A3 (en) * 2021-10-19 2023-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equipment in communication with serving cell, and operating methods of user equipment in communication with serving cell
CN117528795A (zh) * 2022-07-28 2024-02-06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信道估计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4981B2 (en) * 2007-05-31 2011-05-17 Motorola Mobility, Inc. Data transmiss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2793420B1 (en) 2010-01-07 2019-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features of uplink reference signals
CN102823167B (zh) 2010-03-24 2015-09-09 Lg电子株式会社 无线电通信系统中减少小区间干扰的方法和设备
US9237583B2 (en) * 2010-05-03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vailability for PDSCH in relay backhaul transmissions
US8989022B2 (en) * 2010-06-16 2015-03-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control channel and device therefor
KR101846166B1 (ko) 2010-08-20 2018-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029245A1 (ja) * 2010-09-03 2012-03-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基地局及び制御情報送信方法
EP3113567B1 (en) * 2011-02-11 2018-04-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enhanced control channel
US9001756B2 (en) 2011-04-27 2015-04-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enhancements
GB2493154A (en) 2011-07-25 2013-01-30 Nec Corp Communicating control channel reference signal patterns in the control region of a sub-fram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9084238B2 (en) 2011-09-12 2015-07-14 Blackberry Limited Searching space and operation for enhanced PDCCH in LTE systems
CN103036638B (zh) * 2011-09-30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的传输方法、接收方法和装置
US9461793B2 (en) 2011-11-01 2016-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of a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EP2590350A1 (en) 2011-11-07 2013-05-08 Panasonic Corporation Enhanced PDCCH overlapping with the PDCCH region
PL2792096T3 (pl) 2012-01-13 2016-12-30 Sposób generowania i transmitowania sygnałów odniesienia demodulacji
EP2806575B1 (en) 2012-01-18 2020-04-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trol channel-base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71881B2 (en) 2012-03-23 2015-03-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adio link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an enhanced control channel
US9497756B2 (en) * 2012-03-25 2016-11-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ase station radio resource management
JP2014007670A (ja) * 2012-06-26 2014-01-16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CN103580838B (zh) 2012-08-03 2016-09-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增强的物理下行控制信道的发送及检测方法和设备
CN103686772A (zh) * 2012-09-20 2014-03-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增强型下行控制信道的配置、检测方法及装置、基站、终端
CN104662827B (zh) 2012-09-21 2017-11-1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或发送下行链路控制信号的方法和装置
US9167574B2 (en) * 2012-09-28 2015-10-20 Intel Corporation Blind decoding for an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US9839020B2 (en) 2012-10-31 2017-1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412678B (zh) 2012-11-01 2018-11-09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道的检测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9521664B2 (en) 2012-11-02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EPDCCH resource and quasi-co-location management in LTE
US11139862B2 (en) 2012-11-02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rate matching and interference measurement resource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US9979520B2 (en) 2013-01-29 2018-05-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19939A1 (ko) 2013-02-0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US10085278B2 (en) 2014-01-23 2018-09-25 Sony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US10117263B2 (en) * 2014-03-18 2018-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ata and apparatus using same
CN105007600A (zh) * 2014-04-15 2015-10-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数据速率匹配的方法和装置
KR102024609B1 (ko) 2014-10-09 201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매시브 mimo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의 생성 방법
EP3236610B1 (en) 2014-12-17 2021-04-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hannel and wireless device requiring coverage enhancement
US11818717B2 (en) 2014-12-31 2023-11-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ontrol signaling with massive Carrier Aggregation
US10091117B2 (en) 2015-07-24 2018-10-02 Qualcomm Incorporated Code block segmentation and rate matching for multiple transport block transmissions
JP7011940B2 (ja) 2015-08-05 2022-01-2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19004194A (ja) 2015-11-05 2019-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US10015776B2 (en) 2016-03-10 2018-07-03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point to multipoint communication techniques
ES2962303T3 (es) 2016-11-02 2024-03-18 Ericsson Telefon Ab L M Monitorización del espacio de búsqueda
BR112019015948A2 (pt) * 2017-02-02 2020-03-24 Ntt Docomo, Inc. Terminal e método de radiocomunicação para um terminal
WO2018143719A1 (ko) * 2017-02-05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31178B2 (en) 2017-02-06 2020-04-21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resource set group design for improved communications devices, systems, and networks
US10716105B2 (en) * 2017-02-14 2020-07-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nd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0973013B2 (en) * 2017-11-15 2021-04-06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10945251B2 (en) * 2017-11-15 2021-03-09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20190158205A1 (en) * 2017-11-17 2019-05-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11025456B2 (en) * 2018-01-12 2021-06-01 Apple Inc.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EP3537835A1 (en) * 2018-03-05 2019-09-1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beam failure re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62560B2 (en) * 2018-04-06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PDSCH rate matching for aperiodic CSI-RS
KR102723243B1 (ko) * 2018-04-13 202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11201B2 (en) * 2018-06-08 2021-02-02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lti-TRP transmission
US11122602B2 (en) * 2018-07-11 2021-09-14 QUALCMOM Incorporated Shared channel rate matching with wideba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for a control channel
US11057876B2 (en) * 2018-07-20 2021-07-06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for multiple transmit receive point configurations
US11051327B2 (en) * 2018-08-10 2021-06-29 Qualcomm Incorporated Rate-matching around CRS for NR-TD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0135* *
3gpp R1-1702562* *
3gpp R1-1703050*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537A1 (ko) * 2019-01-08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절약 신호의 송신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US12143935B2 (en) 2019-01-08 2024-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wer sa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04513A (ja) 2020-02-06
WO2018151533A1 (ko) 2018-08-23
KR101992200B1 (ko) 2019-06-24
US10716105B2 (en) 2020-07-14
CN110268671B (zh) 2022-01-07
JP6870094B2 (ja) 2021-05-12
US10568086B2 (en) 2020-02-18
EP3471319B1 (en) 2023-04-19
EP3471319A1 (en) 2019-04-17
CN110268671A (zh) 2019-09-20
US20190200332A1 (en) 2019-06-27
EP3471319A4 (en) 2020-07-22
US20190334677A1 (en)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2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677601B2 (en) Method of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US11330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preempted resource information
KR101921184B1 (ko)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92508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garding available resource, and apparatus therefor
US1062411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through sidelink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17862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device therefor
CN110249671A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物理上行共享信道的方法及其设备
US1087396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M-RS for broadcast data in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9832665B2 (en)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for alleviat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29925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41251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KR102243636B1 (ko)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84598B1 (ko) 기지국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