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979A - 당화알부민의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당화알부민의 측정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7979A KR20190017979A KR1020197001184A KR20197001184A KR20190017979A KR 20190017979 A KR20190017979 A KR 20190017979A KR 1020197001184 A KR1020197001184 A KR 1020197001184A KR 20197001184 A KR20197001184 A KR 20197001184A KR 20190017979 A KR20190017979 A KR 201900179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entration
- albumin
- value
- absorbance
- equ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03—General methods of protein analysis not limited to specific proteins or families of proteins
- G01N33/6827—Total protein determination, e.g. albumin in ur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26—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oxidoreductas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4—Measuring or testing with condition measuring or sensing means, e.g. colony coun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G01N27/622—Ion mobility spectrometry
- G01N27/623—Ion mobility spectrometry combined with mass spectrometr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1—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solving equations, e.g. nonlinear equations, general mathematical optimization probl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6—Assays involving albumins other than in routine use for blocking surfaces or for anchoring haptens during immunisation
- G01N2333/765—Serum albumin, e.g. HS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40/00—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 in 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2440/38—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 in 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addition of carbohydrates, e.g. glycosylation, gly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58/00—Labels used in 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2458/15—Non-radioactive isotope labels, e.g. for detection by mass spectrometry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odelling or simulations in systems biology, e.g. gene-regulatory networks, protein interaction networks or metabolic network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50/00—ICT programming tools or databas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bioinforma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chemistr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단위 환산 후의 알부민 몰 인증치(L)을 횡축,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M)를 종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식 5)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 농도[L](A)를 횡축, 당화알부민 유래의 흡광도(D)를 종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이다.
도 4는 실시예 2에 있어서 회귀직선식(I)을 절편이 0이 되도록 평행 이동한 직선식(II)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있어서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 인증치(B)를 종축, 당화알부민치(F)를 횡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II)이다.
도 6은 실시예 3에 있어서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C)를 횡축, 알부민 흡광도(K)를 종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식 3)이다.
도 7은 실시예 6에 있어서 회귀직선식(I)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 HH의 당화알부민 농도[L](A) 330.0 μmol/L을 기준으로 절편이 0이 되도록 기울기를 변경한 직선식(II(d))이다.
도 8은 실시예 6에 있어서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 인증치(B)를 종축, 당화알부민치(F(d))를 횡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II(d))이다.
도 9는 실시예 9에 있어서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 농도[L](A)를 종축, 당화알부민 농도[P](E)를 횡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V)이다.
도 10은 실시예 10에 있어서 피험재료의 당화알부민치(W)(설정치)를 종축, 당화알부민치(Y)를 횡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V)이다.
도 11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피험재료의 당화알부민 농도[L](T)를 종축, 당화알부민 농도[P](X)를 횡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VI)이다.
도 12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저값(L) 및 고값(H)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 농도[L](T-2)를 횡축, 당화알부민 유래의 흡광도(S-2)를 종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2)이다.
도 13은 실시예 12에 있어서 회귀직선식(I-2)을 절편이 0이 되도록 평행 이동한 직선식(II-2)이다.
도 14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저값(L) 및 고값(H)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치(W-2)(설정치)를 종축, 당화알부민치(Y-2)(측정치)를 횡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II-2)이다.
도 15는 실시예 13에 있어서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 농도[L](A(a))를 횡축, 당화알부민 유래의 흡광도(D(a))를 종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a))이다.
도 16은 실시예 13에 있어서 회귀직선식(I(a))을 절편이 0이 되도록 평행 이동한 직선식(II(a))이다.
도 17은 실시예 13에 있어서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 인증치(B)를 종축, 당화알부민치(F(a))를 횡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II(a))이다.
도 18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 농도[L](A(b))를 횡축, 당화알부민 유래의 흡광도(D(b))를 종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b))이다.
도 19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회귀직선식(I(b))을 절편이 0이 되도록 평행 이동한 직선식(II(b))이다.
도 20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당화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당화알부민 인증치(B)를 종축, 당화알부민치(F(b))를 횡축에 플롯한 회귀직선식(III(b))이다.
Claims (19)
-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당화알부민(GA) 인증치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의 측정 방법:
A0)
피험재료의 GA값의 실측치를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인증치로,
피험재료의 GA 농도[P]의 실측치를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농도[L]로,
피험재료의 GA값의 실측치를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인증치로부터 피험재료에 설정한 GA값으로, 또는
피험재료의 GA 농도[P]의 실측치를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농도[L]로부터 피험재료에 설정한 GA 농도[L]로,
환산하기 위한 식을 결정하는 공정; 및
F0)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농도[L]로부터 환산한 GA 농도[P] 및 GA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로부터 환산한 알부민 농도를 설정한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피험재료의 GA 농도[P] 및 알부민 농도를 측정하고, 공정 A0)에서 결정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GA 인증치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을 결정하는 공정
(상기 각 공정에 있어서, GA 농도[L]는 글루코오스가 결합한 리신 잔기(DOF-Lys)의 농도이고, GA 농도[P]는 당화아미노산 또는 당화펩티드의 농도이다). -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당화알부민(GA) 인증치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의 측정 방법:
A1) 이하의 b), c) 및 e0)∼h)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회귀식 III을 결정하는 공정;
b) 이하의 식 1:
GA 농도[L](A)
=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인증치(B)×GA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C) (식 1)
을 이용하여, 다른 GA 인증치를 갖는 2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농도[L](A)를 결정하는 공정;
c) 2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D)를 측정하는 공정;
e0) 절편을 제로로 하는 이하의 직선의 식 II0:
D =α0E (식 II0)
을 작성하는 공정
(여기서, α0은 임의의 플러스의 값이고, E는 GA 유래의 흡광도(D)와 비례하는 GA 농도[P](E)이다);
f) 식 II0을 이용하여, GA 유래의 흡광도(D)와 비례하는 GA 농도[P](E)를 2종 이상 결정하는 공정;
g) 이하의 식 2:
GA값(F) = GA 농도[P](E)/알부민 농도(C) (식 2)
를 이용하여, GA값(F)을 2종 이상 결정하는 공정; 및
h) 2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인증치(B)와, 대응하는 2종 이상의 GA값(F)으로부터 회귀식 III:
B=γF+δ (회귀식 III)
을 작성하는 공정
(상기 각 공정에 있어서, GA 농도[L]는 글루코오스가 결합한 리신 잔기(DOF-Lys)의 농도이고, GA 농도[P]는 당화아미노산 또는 당화펩티드의 농도이다). -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B) 표준물질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G)를 측정하고, 식 II0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P](H)를 결정하는 공정; 및
C)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I)를 측정함으로써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J)를 결정하는 공정. - 제3항에 있어서, 공정 C)가 이하의 공정 C1)∼C3)을 포함하는 방법:
C1) GA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K)와 GA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C)로부터 하기 식 3:
K=εC (식 3)
을 만족하는 ε를 결정하는 공정;
C2)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I)를 측정하는 공정; 및
C3) 흡광도(I)로부터 식 3':
I =εJ (식 3')
을 이용하여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J)를 결정하는 공정. - 제3항에 있어서, 공정 b)에 앞서서, 이하의 공정 a1)∼a3):
a1) 이하의 식 4:
알부민 몰 인증치(L)
= 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인증치/알부민의 분자량 (식 4)
를 이용하여 알부민 몰 인증치(L)을 결정하는 공정;
a2) 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M)를 측정하는 공정; 및
a3) 알부민 몰 인증치(L)과 흡광도(M)로부터 하기 식 5:
M = θL (식 5)
를 만족하는 θ를 결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공정 C)가 이하의 공정 C2) 및 C4):
C2)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I)를 측정하는 공정; 및
C4) 흡광도(I)로부터 식 5':
I = θJ (식 5')
을 이용하여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J)를 결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이하의 공정 F1)∼F4)를 포함하는 방법:
F1)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유래의 흡광도(D)로부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P](N)를 결정하는 공정;
F2) 공정 F1)에서 이용한 GA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K)로부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알부민 농도(O)를 결정하는 공정;
F3) 하기 식 6:
GA 인증 표준물질의 GA값(P) = GA 농도[P](N)/알부민 농도(O) (식 6)
을 이용하여 GA값(p)를 결정하는 공정; 및
F4) GA값(P)과 상기 회귀식 III을 이용하여, 공정 F1)에서 이용한 GA 인증 표준물질의 인증치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Q)을 결정하는 공정. -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당화알부민(GA) 인증치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의 측정 방법:
A2) 이하의 b), c), e0), f) 및 i)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회귀식 IV를 결정하는 공정;
b) 이하의 식 1:
GA 농도[L](A)
=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인증치(B)×GA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C) (식 1)
을 이용하여, 다른 GA 인증치를 갖는 2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농도[L](A)를 결정하는 공정;
c) 2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D)를 측정하는 공정;
e0) 절편을 제로로 하는 이하의 직선의 식 II0:
D =α0E (식 II0)
을 작성하는 공정
(여기서, α0은 임의의 플러스의 값이고, E는 GA 유래의 흡광도(D)와 비례하는 GA 농도[P](E)이다);
f) 식 II0를 이용하여, GA 유래의 흡광도(D)와 비례하는 GA 농도[P](E)를 2종 이상 결정하는 공정;
i) 2종 이상의 GA 농도[L](A)와 GA 농도[P](E)로부터 회귀식 IV:
A = κE+λ (회귀식 IV)
를 작성하는 공정
(상기 각 공정 중, GA 농도[L]는 글루코오스가 결합한 리신 잔기(DOF-Lys)의 농도이고, GA 농도[P]는 당화아미노산 또는 당화펩티드의 농도이다). - 제7항에 있어서, 추가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B) 표준물질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G)를 측정하고, 식 II0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P](H)를 결정하는 공정;
C)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I)를 측정함으로써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J)를 결정하는 공정.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추가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F1)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유래의 흡광도(D)로부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효소법에 의한 GA 농도[P](N)를 결정하는 공정;
F2) 공정 F1)에서 이용한 GA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K)로부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알부민 농도(O)를 결정하는 공정;
F5) GA 농도[P](N)로부터 회귀식 IV를 이용하여,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농도[L](R)를 결정하는 공정; 및
F6) 하기 식 7:
GA 인증 표준물질의 GA값(Q1') = GA 농도[L](R)/알부민 농도(O) (식 7)
을 이용하여, 공정 F1)에서 이용한 GA 인증 표준물질의 인증치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Q1')을 결정하는 공정. -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당화알부민(GA) 인증치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의 측정 방법:
A3) 이하의 b)∼e0) 및 j)∼o)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회귀식 V를 결정하는 공정;
b) 이하의 식 1:
GA 농도[L](A)
=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인증치(B)×GA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C) (식 1)
을 이용하여, 다른 GA 인증치를 갖는 2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농도[L](A)를 결정하는 공정;
c) 2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D)를 측정하는 공정;
d) 2종 이상의 GA 유래의 흡광도(D)와 2종 이상의 GA 농도[L](A)로부터 회귀식 I:
D=αA+β (회귀식 I)
을 작성하는 공정;
e0) 절편을 제로로 하는 이하의 직선의 식 II0:
D=α0E (식 II0)
을 작성하는 공정
(여기서, α0은 임의의 플러스의 값이고, E는 GA 유래의 흡광도(D)와 비례하는 GA 농도[P](E)이다);
j) 2종 이상의 피험재료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S)를 측정하고, 회귀식 I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L](T)를 결정하는 공정;
k) 2종 이상의 피험재료에 있어서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U)를 측정하여, 알부민 농도(V)를 결정하는 공정;
l) 이하의 식 8:
GA값1(W) = GA 농도[L](T)/알부민 농도(V) (식 8)
을 이용하여, 2종 이상의 피험재료의 GA값1(W)을 GA 농도[L](T)로부터 결정하는 공정;
m) 2종 이상의 피험재료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S)로부터, 식 II0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P](X)를 결정하는 공정;
n) 이하의 식 9:
GA값2(Y) = GA 농도[P](X)/알부민 농도(V) (식 9)
를 이용하여, 2종 이상의 피험재료의 GA값2(Y)를 GA 농도[P](X)로부터 결정하는 공정;
o) 2종 이상의 피험재료의 GA값1(W)과, 대응하는 2종 이상의 GA값2(Y)로부터 회귀식 V:
W = πY+φ (회귀식 V)
를 작성하는 공정
(상기 각 공정 중, GA 농도[L]는 글루코오스가 결합한 리신 잔기(DOF-Lys)의 농도이고, GA 농도[P]는 당화아미노산 또는 당화펩티드의 농도이다). - 제10항에 있어서, 추가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B) 표준물질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G)를 측정하고, 식 II0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P](H)를 결정하는 공정;
C)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I)를 측정함으로써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J)를 결정하는 공정.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추가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F1') 피험재료의 GA 유래의 흡광도(S)로부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P](N')를 결정하는 공정;
F2') 공정 F1')에서 이용한 피험재료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U)로부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알부민 농도(O')를 결정하는 공정; 및
F3') 하기 식 6':
피험재료의 GA값(P')=GA 농도[P](N')/알부민 농도(O') (식 6')
을 이용하여 GA값(P')을 결정하는 공정.
F4') GA값(P')과 상기 회귀식 V를 이용하여, 공정 F1')에서 이용한 피험재료에 값 부여한 인증 GA값1(W)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Q2')을 결정하는 공정. -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당화알부민(GA) 인증치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의 측정 방법:
A4) 이하의 b)∼e0), j), m) 및 p)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회귀식 VI을 결정하는 공정;
b) 이하의 식 1:
GA 농도[L](A)
=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인증치(B)×GA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C) (식 1)
을 이용하여, 다른 GA 인증치를 갖는 2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의 GA 농도[L](A)를 결정하는 공정;
c) 2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D)를 측정하는 공정;
d) 2종 이상의 GA 유래의 흡광도(D)와 2종 이상의 GA 농도[L](A)로부터 회귀식 I:
D =αA+β (회귀식 I)
을 작성하는 공정;
e0) 절편을 제로로 하는 이하의 직선의 식 II0:
D =α0E (식 II0)
을 작성하는 공정
(여기서, α0은 임의의 플러스의 값이고, E는 GA 유래의 흡광도(D)와 비례하는 GA 농도[P](E)이다);
j) 2종 이상의 피험재료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S)를 측정하고, 회귀식 I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L](T)를 결정하는 공정;
m) 2종 이상의 피험재료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S)로부터, 식 II0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P](X)를 결정하는 공정; 및
p) 2종 이상의 피험재료의 GA 농도[L](T)와 GA 농도[P](X)로부터 회귀식 VI:
T = ψX+ω (회귀식 VI)
을 작성하는 공정
(상기 각 공정 중, GA 농도[L]는 글루코오스가 결합한 리신 잔기(DOF-Lys)의 농도이고, GA 농도[P]는 당화아미노산 또는 당화펩티드의 농도이다). - 제13항에 있어서, 추가로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B) 표준물질에 있어서의 GA 유래의 흡광도(G)를 측정하고, 식 II0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GA 농도[P](H)를 결정하는 공정; 및
C)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I)를 측정함으로써 표준물질의 알부민 농도(J)를 결정하는 공정.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공정 b)에 앞서서, 추가로 이하의 공정 a1)∼a3):
a1) 하기 식 4:
알부민 몰 인증치(L)
= 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인증치/알부민의 분자량 (식 4)
을 이용하여 알부민 몰 인증치(L)을 결정하는 공정;
a2) 알부민 인증 표준물질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M)를 측정하는 공정;
a3) 알부민 몰 인증치(L)과 흡광도(M)로부터 하기 식 5:
M = θL (식 5)
를 만족하는 θ를 결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공정 A4)가 추가로 이하의 공정 k):
k) 2종 이상의 피험재료에 있어서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U)를 측정하여 알부민 농도(V)를 결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공정 A4)가 공정 j) 및 k)보다 후에 추가로 이하의 공정 l):
l) 이하의 식 8:
GA값1(W) = GA 농도[L](T)/알부민 농도(V) (식 8)
을 이용하여, 2종 이상의 피험재료에 있어서의 GA값1(W)을 GA 농도[L](T)로부터 결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고, 방법이 추가로 이하의 공정:
F1') 피험재료의 GA 유래의 흡광도(S)로부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효소법에 의한 GA 농도[P](N')를 결정하는 공정;
F2') 공정 F1')에서 이용한 피험재료의 알부민 유래의 흡광도(U)로부터,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대응하는 알부민 농도(O')를 결정하는 공정;
F5') GA 농도[P](N')로부터 회귀식 VI을 이용하여 피험재료의 GA 농도[L](R')를 결정하는 공정; 및
F6') 하기 식 7':
피험재료의 GA값(Q3')=GA 농도[L](R')/알부민 농도(O') (식 7')
을 이용하여, 공정 F1')에서 이용한 피험재료에 설정한 GA 인증치1(W)로 트레이스할 수 있는 GA값(Q3')을 결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종 이상의 GA 인증 표준물질을 이용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A 인증치가 동위체 희석 질량 분석(ID-MS)법에 의한 GA 인증치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GA 인증치가 동위체 희석 질량 분석(ID-MS)법에 의한 GA 인증치이고, 상기 GA 인증 표준물질이 JCCRM 611인 방법.
- 제2항의 방법으로 결정된 회귀식 III, 제7항의 방법으로 결정된 회귀식 IV, 제10항의 방법으로 결정된 회귀식 V 및 제13항의 방법으로 결정된 회귀식 VI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회귀식;
GA 측정용 시약;
알부민 측정용 시약; 및
표준물질
을 포함하는 GA값 측정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JPJP-P-2016-148973 | 2016-07-28 | ||
| JP2016148973 | 2016-07-28 | ||
| PCT/JP2017/026014 WO2018021098A1 (ja) | 2016-07-28 | 2017-07-19 | 糖化アルブミンの測定方法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17979A true KR20190017979A (ko) | 2019-02-20 |
| KR102194577B1 KR102194577B1 (ko) | 2020-12-23 |
Family
ID=6101742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7001184A Active KR102194577B1 (ko) | 2016-07-28 | 2017-07-19 | 당화알부민의 측정 방법 |
Country Status (6)
| Country | Link |
|---|---|
| US (1) | US20190170762A1 (ko) |
| EP (1) | EP3492920A4 (ko) |
| JP (1) | JP6720311B2 (ko) |
| KR (1) | KR102194577B1 (ko) |
| CN (1) | CN109477839B (ko) |
| WO (1) | WO2018021098A1 (ko)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2061119A1 (fr) | 2001-01-31 | 2002-08-08 |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 Compositions pour analyse de glycoproteines |
| JP2004077457A (ja) | 2002-06-18 | 2004-03-11 | Asahi Kasei Pharma Kk | 糖化タンパク質測定用検量物質および標準測定法 |
| JP2006064706A (ja) * | 2002-06-18 | 2006-03-09 | Asahi Kasei Pharma Kk | 糖化アルブミンの測定方法 |
| JP2006149230A (ja) * | 2004-11-25 | 2006-06-15 | Asahi Kasei Pharma Kk | 糖化タンパク質割合の測定方法 |
| JP5069023B2 (ja) * | 2002-06-18 | 2012-11-07 | 旭化成ファーマ株式会社 | 糖化タンパク質測定用検量物質および標準測定法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132230A (en) * | 1989-03-28 | 1992-07-21 | Isolab, Inc. | Primary standard and method of making secondary standards for calibration of glycated protein assays |
| WO2001094618A1 (fr) * | 2000-06-07 | 2001-12-13 | Bml, Inc. | Procede de detection d'albumine saccharifiee |
| JP5858945B2 (ja) * | 2012-03-15 | 2016-02-10 | アークレイ株式会社 | 酵素を用いた測定方法 |
| CN104164473A (zh) * | 2013-05-16 | 2014-11-26 | 北京豪迈生物工程有限公司 | 糖化白蛋白酶法检测试剂盒及其检测方法 |
-
2017
- 2017-07-19 JP JP2018529795A patent/JP6720311B2/ja active Active
- 2017-07-19 US US16/320,814 patent/US2019017076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07-19 WO PCT/JP2017/026014 patent/WO2018021098A1/ja not_active Ceased
- 2017-07-19 CN CN201780043633.2A patent/CN109477839B/zh active Active
- 2017-07-19 EP EP17834106.1A patent/EP3492920A4/en active Pending
- 2017-07-19 KR KR1020197001184A patent/KR10219457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2061119A1 (fr) | 2001-01-31 | 2002-08-08 |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 Compositions pour analyse de glycoproteines |
| EP1362925A1 (en) * | 2001-01-31 | 2003-11-19 |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 Compositions for assaying glycoprotein |
| JP2004077457A (ja) | 2002-06-18 | 2004-03-11 | Asahi Kasei Pharma Kk | 糖化タンパク質測定用検量物質および標準測定法 |
| JP2006064706A (ja) * | 2002-06-18 | 2006-03-09 | Asahi Kasei Pharma Kk | 糖化アルブミンの測定方法 |
| JP5069023B2 (ja) * | 2002-06-18 | 2012-11-07 | 旭化成ファーマ株式会社 | 糖化タンパク質測定用検量物質および標準測定法 |
| JP2006149230A (ja) * | 2004-11-25 | 2006-06-15 | Asahi Kasei Pharma Kk | 糖化タンパク質割合の測定方法 |
Non-Patent Citations (2)
| Title |
|---|
| Takei I 등, Jpn J Clin Chem, 2008, 37권, 페이지 178-191.(2008.04.30.)* * |
| 비특허문헌 1 : 다케이(武井) 등, 임상화학, 2008, 37:178-191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09477839B (zh) | 2022-06-14 |
| WO2018021098A1 (ja) | 2018-02-01 |
| EP3492920A4 (en) | 2019-07-17 |
| JPWO2018021098A1 (ja) | 2019-04-11 |
| KR102194577B1 (ko) | 2020-12-23 |
| CN109477839A (zh) | 2019-03-15 |
| EP3492920A1 (en) | 2019-06-05 |
| US20190170762A1 (en) | 2019-06-06 |
| JP6720311B2 (ja) | 2020-07-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Panteghini | Traceability as a unique tool to improve standardization in laboratory medicine | |
| Panteghini et al. | Standardization in laboratory medicine: new challenges | |
| Nikolac et al. | Heterogeneity of manufacturers' declarations for lipemia interference—an urgent call for standardization | |
| Boutten et al. | Enzymatic but not compensated Jaffe methods reach the desirable specifications of NKDEP at normal levels of creatinine. Results of the French multicentric evaluation | |
| Panteghini | Traceability, reference systems and result comparability | |
| Bodor et al. | Standardization of glycohemoglobin determinations in the clinical laboratory: three years of experience | |
| ATE350666T1 (de) | Verfahren zur analyse von proteinproben | |
| Miller et al. | The evolving role of commutability in metrological traceability | |
| Bunk | Reference materials and reference measurement procedures: an overview from a national metrology institute | |
| Hagvik | Glucose measurement: time for a gold standard | |
| Merlini et al. | Standardizing plasma protein measurements worldwide: a challenging enterprise | |
| JP5395005B2 (ja) | 糖化タンパク質の測定方法 | |
| CN106353505B (zh) | 基于催化信号放大的ApoE试剂盒 | |
| KR20190017979A (ko) | 당화알부민의 측정 방법 | |
| CN103954717A (zh) | 利用液相色谱串联质谱测定血红蛋白浓度的方法 | |
| EP2902783A1 (en) | Additive for measuring diluted sample in non-dilution-type immunochromatographic method reagent | |
| JP2003329551A (ja) | 標準試料の値付け方法 | |
| Omar | Essential laboratory knowledge for the clinician | |
| DiPasquale et al. | Equivalence between Capillary Blood and Venous Blood Test Results Using Miniaturized Assays and Novel Collection Methods to Support Routine Bloodwork | |
| Oztug et al. | Development of UME CRM 1008: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for C-reactive protein | |
| Gifford et al. | A high-throughput test for diabetes care: an evaluation of the next generation Roche Cobas c 513 hemoglobin A1C assay | |
| Yong et al. | Liquid chromatography–isotope dilu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urea in human serum and assignment of reference values to external quality assessment samples | |
| Duanginta et al. | Commutability and Uncertainty of Blood Hemoglobin A1c Testing Materials. | |
| Li et al. | A high-throughput method for measurement of glycohemoglobin in blood samples utilizing laser-accelerated proteolysis and MALDI-TOF MS | |
| Some et al. | Characteriz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s via static light scattering: reversible heteroassoci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