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61472A -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472A
KR20190061472A KR1020170159899A KR20170159899A KR20190061472A KR 20190061472 A KR20190061472 A KR 20190061472A KR 1020170159899 A KR1020170159899 A KR 1020170159899A KR 20170159899 A KR20170159899 A KR 20170159899A KR 20190061472 A KR20190061472 A KR 2019006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amp
output
switching transistor
communicatio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314B1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5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3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3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살균겸용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살균겸용 조명장치는,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조작력을 받는 스위치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는 조명램프; 상기 조명램프의 소등 상태를 감지하는 조명감지부 및 이 상기 조명램프의 소등시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 및 상기 조명감지부와 동작감지부에 회로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것으로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그 출력단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일측에 배치되어 100nm~280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장실용 살균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화장실 및 욕실을 이용함에 있어 별도의 스위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실내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외선램프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실내 공기에 포함된 각종 오염균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므로 세균과 곰팡이를 비롯한 각종 오염원 증식을 억제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의 유지가 가능한 이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화장실용 조명장치에 별도의 전원 또는 스위치 배선이나 추가 설치구조물의 증설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자외선램프가 외부에 노출 구비됨에 따라 자외선의 유효방출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lighting equipment sterilization}
본 발명은 화장실이나 욕실 등과 같이 자연환기가 곤란한 밀폐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소한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화장실이나 욕실 등과 같은 밀폐실의 이용 중에는 조명기능을 수행하고 퇴실 후 소등신호가 입력되면 화장실 내부에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살균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화장실 사용후의 악취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고 내부오염을 방지하도록 하여 청결한 상태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화장실용 살균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집합건물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는 화장실 겸 욕실이 대부분 밀폐 구조로 구획 구비되어 있으며, 화장실의 특성상 차얀 채광을 크게 만들 수 없으므로 대부분 창호가 없거나 있더라도 협소한 작은 크기의 창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창호가 설치되지 않거나 또는 설치되는 경우라도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창고나 비품실 등의 경우에는 자연환기가 구조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사용 중 발생하는 각종 냄새나 세면대나 욕조 이용에 따른 물기(수증기)로 인해 환풍기가 설치된다.
한편, 화장실용 조명장치는 별도의 전원스위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점등되도록 구성되고, 환풍기 역시 별도의 전원스위치에 연결되어 동작이 제어되거나 또는 조명장치용 전원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 경우 조명등의 점등과 동시에 환풍기가 동작되는 경우 화장실 내부에 오염된 공기가 잔존하거나 습기가 제거되지 못하고 잔류됨에 따라 충분한 환기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환기를 위해 어느정도 시간을 지체하였다가 환풍기 구동을 중지시켜야 하지만, 환풍기 구동을 위해 스위치를 일일이 켰다가 꺼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환풍기 스위치가 켜진 것을 잊고 방치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구동되어 불필요한 전력낭비는 물론 환풍기의 수명도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화장실, 욕실 사용 이후 충분한 냄새 제거, 제습을 위하여 기존의 작동시간보다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1분, 3분, 5분 등) 동안 강제로 환풍기를 추가로 작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정해진 시간 동안 환풍기를 추가로 구동시키기 때문에 샤워 등의 다습한 환경에서는 환기시간이 충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풍기의 추가 가동방식 이외에 기존의 환풍기 보다 2~3배 이송의 배풍능력이 있는 고정압 환풍기를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화장실이나 욕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부족하여 실제 배풍능력이 저하되고 소음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과 화장실을 포함하는 통합형 환기 방식을 적용하는 방식과, 온도 및 습도 등의 각종 센서를 사용하여 환풍기를 제어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조리시 발생하는 유증기와 화장실 내부의 습기 등으로 인해 환기장치의 훼손이 유발되고, 시설추가로 인한 배선 등으로 인해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화장실 및 욕실의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마땅한 대안이 없으므로 별도의 공기청정기 등을 설치하여 운영하거나 또는 향이나 살균물질을 주기적으로 발산시키는 발향기기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화장실 및 욕실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오염균을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2799호를 통해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함체형 구조로 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재결합된 채로, 원적외선의 발생 및 음이온의 방출을 위한 청정부재와; 상기 본체의 양단과 전면에 구비조립됨으로써, 오염기체를 흡입하고 청정공기를 배출과 동시에 음이온 방출을 가능케 한 환풍장치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상태로, 무드등이나 취침등으로 병행 사용하게 된 조명장치와; 그리고, 상기 청정부재와 상기 환풍장치 및 상기 조명장치 작동에 필요한 외부전력의 공급과 제어를 위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청정부재로는 필터와, UV램프, 광촉매, 참숯, 동판으로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조명장치에 공기청정을 위한 청정부재를 부가 설치한 구성으로, 실제로 공기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오염균을 제거하기 위한 UV램프 즉, 자외선램프에서 방출되는 빛(자외선)을 직접 육안으로 바라보는 경우 급성결막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닿게 되는 경우에는 피부노화와 착색 등의 부작용을 초래함에 따라 인체에 유해하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는 UV램프인 자외선램프의 빛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되어 있어야 하므로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9-0022921호, '발열램프가 구비된 욕실등 매트 살균장치' 공개특허 제10-2011-0042799호,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이나 욕실 등과 같이 환기가 곤란한 폐쇄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실시에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퇴실하면서 조명을 끄면 자외선램프를 점등시켜 살균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화장실 살균겸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화장실이나 욕실의 이용 후 조명을 소등시키면 실내 움직임을 감지하여 선택적으로 자외선램프를 일정시간 구동시킴으로써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오염균을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화장실 살균겸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실 및 욕실에 설치되는 조명장치의 구조를 개량하여 기존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별도의 배선이나 설치구조물의 증설없이 간소한 구조에 의해 쉽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인 시공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실용 살균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를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외선의 유효 방출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균에 대한 효과적인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실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없을 시에만 자외선램프를 구동시킴에 따라 자외선 노출에 따른 인체의 유해를 안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실용 살균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조작력을 받는 스위치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조명램프와; 상기 조명램프의 소등 상태를 감지하는 조명감지부 및 이 상기 조명램프의 소등시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 및 상기 조명감지부와 동작감지부에 회로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것으로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그 출력단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일측에 배치되어 100nm~28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조명램프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조명감지부는 상기 스위치에 연결되게 회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의 오프시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로 인가하도록 회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면서 일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내벽면은 살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난반사를 유도하도록 요철 또는 엠보싱이 형성된 난반사판이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 일측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마이콤으로 인가하는 적외선센서 또는 열감지센서로 된 동작감지부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조명램프는 형광등 또는 삼파장 램프 또는 엘이디 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균램프는 자외선과 오존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살균램프의 동작시간을 설정시간 동안 점등시키기 위하여 타이머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살균램프는 자외선과 오존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이며;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상기 살균램프에서 발생시킨 오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화장실 및 욕실을 이용함에 있어 별도의 스위치 조작을 하지 않아도 실내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외선램프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실내 공기에 포함된 각종 오염균에 대한 살균을 수행하므로 세균과 곰팡이를 비롯한 각종 오염원 증식을 억제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의 유지가 가능한 이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화장실용 조명장치에 별도의 전원 또는 스위치 배선이나 추가 설치구조물의 증설을 필요로 하지 않음에 따라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특히 자외선램프가 외부에 노출 구비됨에 따라 자외선의 유효방출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자외선에 의한 살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난반사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난반사판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7은 도 16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로서,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구성품이 설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12)을 제공하는 본체(11) 및 이 본체(11)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된 투과커버(13)로 이루어진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스위치(3) 조작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조명램프(20)와, 상기 조명램프(20)의 소등시 동작되는 동작감지부(33) 및 이 동작감지부(33)의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조명램프(20)가 소등된 상태에서 동작이 감지되지 않았을 때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컨트롤러(30)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것에 의해 자외선과 오존을 방출하는 살균램프(40) 및 이 살균램프(40)에서 방출되는 오존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50)으로 이루어진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난반사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0)의 본체(11) 내벽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본체(11)의 내부벽면은 살균램프(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외부로 난반사시킬 수 있도록 요철 또는 엠보싱이 형성된 난반사판(11a)으로 제공되는 구성을 포함한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1)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조작신호를 입력받은 스위치(3)와, 이 스위치(3)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온(ON) 신호 조작시 점등되어 그 주변을 조명하는 것으로 삼파장 램프나 엘이디 램프로 이루어진 조명램프(20)와, 상기 스위치(3)에 연결되어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조작시 이를 감지하는 조명감지부(31) 및 이 조명감지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램프(20)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33) 그리고 상기 조명감지부(31)와 동작감지부(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것으로 조명램프(20)가 꺼진 상태에서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그 출력단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콤(37)을 구비한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30)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자외선 또는 오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방출하는 살균램프(40) 및 이 살균램프(40)와 함께 일체로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살균램프(40)에서 방출되는 오존을 케이스(10)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팬(50)으로 이루어진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 겸용 조명장치의 동작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에는 사용자가 스위치(3)를 온(ON)으로 조작하면 형광등, 삼파장램프, 엘이디 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조합된 조명램프(20)가 점등되어 실내를 조명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3)를 오프(OFF)로 조작하고 퇴실하게 되면, 상기 조명램프(20)의 소등상태를 조명감지부(31)가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감지부(31)는 상기 스위치(3)의 오프(OFF) 상태를 감지하는 특징을 갖는다면 감지센서나 릴레이 등 공지의 다양한 기술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조명감지부(31)가 스위치(3)의 오프(OFF) 상태를 감지하면, 그 출력단에 연결된 동작감지부(33)를 동작시킨다. 상기 동작감지부(33)는 상기 케이스(10)를 구성하는 본체(11)의 일측에 설치되어 그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요소로 적외선센서, 열감지센서, 음향센서 등 공지의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동작감지부(33)가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움직임 감지모드로 운영되고, 주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출력단에 연결된 마이콤(37)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감지부(33)는 일정시간 즉, 조명램프(20)가 소등된 후 지속적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운영되며, 후술할 살균램프(40)가 점등된 상태에서도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즉시 마이콤(37)을 포함한 컨트롤러(30)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살균램프(40)를 소등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컨트롤러(30)는 조명램프(20)가 소등된 상태에서 동작감지부(33)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그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살균램프(40)를 일정시간 동작시킨다.
한편, 살균램프(40)는 상기 조명램프의 일측에 배치되어 100nm~28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 또는 오존을 같이 방출하는 오존램프가 사용되며, 이러한 자외선램프 또는 오존 램프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기 살균램프(40)가 오존을 방출하는 오존램프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10)를 구성하는 본체(11)의 일측에는 송풍팬(50)이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40)와 함께 동작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살균램프(40)에서 방출된 오존이 송풍팬(50)에 의해 실내로 강제 확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살균겸용 조명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살균겸용 조명장치(1)는 케이스(10)와, 조명램프(20)의 소등상태를 감지하는 조명감지부(31) 및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33) 및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37)을 포함하는 컨트롤러(30)와, 상기 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 및 소등되는 살균램프(40) 그리고 상기 살균램프(40)와 함께 동작되는 송풍팬(5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2)이 마련된 통체 형상의 본체(11)와, 이 본체(11)의 개방된 일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빛과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커버(1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는 그 내부의 수용공간(12)에 설치될 살균램프(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조사효율을 높이도록 난반사판(11a)이 부착되고, 이때의 상기 난반사판(11a)은 요철 또는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11)의 내벽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가공하여 부착구성된다.
상기 투과커버(13)는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램프(20)와 살균램프(40)의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불투명한 유리나 합성수지재로 제공되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조명램프(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스위치(3) 조작신호를 받아 점등 또는 소등되는 조명요소로, 공지의 삼파장램프, 형광등, 엘이디 램프 등 다양한 조명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램프(2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30)는 상기 조명램프(20)의 소등 상태를 감지하는 조명감지부(31)와, 이 조명감지부(31)의 소등시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감지부(31)에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받아 조명램프(20)가 설치된 주변 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33)와, 상기 조명감지부(31)와 동작감지부(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것으로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그 출력단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37)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감지부(31)는 상기 스위치(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3)가 온(ON) 조작된 상태에서 오프(OFF) 조작을 받게 되면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3)의 오프(OFF) 상태를 감지하여 마이콤(37)으로 감지정보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명감지부(31)는 후술할 살균램프(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요소로, 상기 스위치(3)가 오프(OFF) 조작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실하였을 때 그 즉시, 살균램프(40)를 소등시켜 자외선 노출로 인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한 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조명감지부(31)는 살균램프(40)가 동작되는 동안 그 주변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감지하도록 동작되도록 운영되며 상기 살균램프(40)가 소등된 상태에서는 동작감지부(33) 역시 동작이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감지부(33)는 상기 케이스(10)를 구성하는 본체(11)의 외부 일측에 노출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공지의 적외선센서, 열감지센서, 음향센서 등 실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사용된다. 이러한 동작감지부(33)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그 감지정보를 마이콤(37)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이콤(37)은 일종의 제어요소로 상기 조명감지부(31)와 동작감지부(33)에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그 출력단에 연결된 후술할 살균램프(40)와 송풍팬(50)에 동작신호를 출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30)를 구성하는 마이콤(37)은 상기 살균램프(40)의 동작시간을 설정시간 동안 점등시킨 뒤 소등되도록 하기 위하여 타이머부(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살균램프(40)는 상기 컨트롤러(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20)의 일측에 배치되어 100nm~28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요소이다.
이러한 살균램프(40)는 대부분 자외선 조사시 오존을 함께 방출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오존을 소량 발생시키는 자프가 사용되거나 또는 자외선 조사와 함께 오존 발생량이 높은 오존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송풍팬(50)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램프(40)에서 발생시킨 오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구성된 송풍요소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 및 이 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동회전을 함으로써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송풍팬(50)은 상기 살균램프(40)에서 자외선 조사와 함께 소량의 오존을 발생시키면, 이를 케이스의 외부로 강제 배기시켜 실내로 오존을 방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실내로 방출된 오존은 탈취와 살균작용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존은 0.5ppm에서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상기 살균램프에서 방출되는 오존농도는 0.05ppm~1.0pp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1)는 자연환기가 곤란하거나 부족한 화장실(욕실)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영된다.
먼저, 사용자가 실외에 구비된 스위치(3)를 온(ON)으로 조작하면, 실내에 설치된 조명램프(20)가 점등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퇴실하면서 스위치(3)를 오프(OFF)로 조작하면 조명램프(20)가 소등됨과 동시에 조명감지부(31)가 스위치(3)의 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그 출력단에 연결된 동작감지부(33)와 마이콤(37)으로 감지신호를 인가한다.
이어서, 상기 동작감지부(33)는 상기 조명램프(20)가 소등된 상태에서의 실내 움직임을 감지하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출력단에 연결된 마이콤(37)으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모드로 운영된다.
한편, 상기 마이콤(37)은 상기 조명감지부(31)를 통해 스위치(3)의 오프(OFF) 상태의 감지정보를 인가받음과 동시에 상기 동작감지부(33)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정보를 인가받게 되면 그 출력단에 연결된 살균램프(40)를 구동시킨다.
이어서, 상기 살균램프(40)는 상기 마이콤(37)의 제어신호를 받아 점등되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화장실 사용 후의 악취나 세균에 대한 살균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살균램프(40)는 오존을 방출하는 오존방출이 가능한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존을 방출하는 살균램프(4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10)는 일측에 송풍팬(50)이 설치되며, 이때의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마이콤(37)의 제어신호를 받는 살균램프(40)의 동작시 일체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살균램프(40)에서 방출된 오존을 실내로 강제로 송풍작용을 통해 확산시킴으로써 오존에 의한 탈취 및 살균작을 수행하게 된다.
끝으로, 상기 살균램프(40)는 상기 컨트롤러(30)를 구성하는 타이머부(35)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점등된 후 소등되며, 상기 송풍팬(50) 역시 상기 살균램프(40)와 마찬가지로 설정된 시간 동안 점등된 후 소등된다.
한편, 상기 살균램프(40)가 점등된 상태에서 실내로 사람이 들어오는 경우 상기 동작감지부(33)는 이를 감지하여 그 즉시 감지정보를 마이콤(37)으로 인가하고, 상기 마이콤(37)은 상기 살균램프(4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소등 상태로 전환한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3)를 온(ON)으로 조작하지 않아 조명램프(20)가 꺼진 상태에서 실내로 진입하는 경우라도 살균램프(40)를 점등상태에서 강제로 소등되게 함으로써 자외선과 오존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살균겸용 조명장치의 몸체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경보신호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빠른 속도로 먼지 구역을 벗어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먼지 측정수단(2000)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3000)로 전송되며, 제어부(3000)는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400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1)에서 이를 인지하여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을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으로 이루어져,
송신 제어부(1)의 신호가 인가되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가 흘러 자성이 형성되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이 발생하여 액추에이터(3)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엑츄에이터(3)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의 유동에 의해서 적외선 출력을 제한하기 위한 오목렌즈군이 다수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수행하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엑츄에이터(3)의 이동시 솔레노이드(4c)에 제공되는 전원인가에 의해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4a)가 좌우로 유동된다.
상기 적외선 송신용 렌즈군(5)은 작동봉에 다수개 배열되어 이루어지되,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5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 3 오목렌즈(5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5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5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5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적외선의 광을 높여야할 경우 엑츄에이터(3)을 상승시키고 적외선 광을 줄여야 할 경우 엑츄에이터(3)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실시한다.
작동봉의 1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2고정용전자석(2e)-제1유동용전자석(2a), 제3고정전용자석(2f)-제2유동용전자석(2b)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가 하강하여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1장착용전자석(2a)이, 제3고정용전자석(2f)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하강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2 오목렌즈(5b)에 근접하게 되어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엑츄에이터의 1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1고정용전자석(2d)-제2유동용전자석(2b), 제2고정전용자석(2d)-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이 상승하여 제1고정용전자석(2d)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3장착용전자석(2c)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상승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4 오목렌즈(5d)에 근접하게 되어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봉의 2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제3고정용전자석(2f)과 같은 위치에 제1유동용전자석(2a)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되고, 엑츄에이터(3)의 2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제1고정용전자석(2d)과 같은 위치에 제3유동용전자석(2c)이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부가 설치하는바, 엑츄에이터(3)의 하단에 돌출 성형되며, 상기 엑츄에이터(3)에 다수개의 끼움용 홀(6a)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용 홀에 엑츄에이터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용 핀(6b)을 삽입 설치하여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끼움용 홀(6a)에 무게조절핀(6b)을 삽입 설치하되, 1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가볍기 때문에 빠른 유동이 가능하고, 3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무겁기 때문에 느린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빠른게 할 것인지 느리게 할 것인지를 조절하는바, 이는 엑츄에이터(3)가 너무 빠르게 움직이면 민감도가 높아지고, 엑츄에이터(3)가 너무 느리게 움직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므로 사용자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민감도를 높이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1개만 삽입 결합시키고, 민감도를 낮추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3개까지 삽입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용 홀(6a)과 무게조절핀(6b)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끼움홀(6a)과 3개의 무게조절핀(6b)을 예시하여 설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어알림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3000)가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알림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스위치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통신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RL1)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1120)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통신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간격유지수단(1133a)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1133a)은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유지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의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유지수단(1133a)을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릴레이 스위치(RL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차단하여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통신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통신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알림 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신신호를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알림 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통신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알림 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통신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통신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통신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 : 화장실 살균겸용 조명장치 3 : 스위치
10 : 케이스 11 : 본체
11a : 난반사판 12 : 수용공간
13 : 투과커버 20 : 조명램프
30 : 컨트롤러 31 : 조명감지부
33 : 동작감지부 35 : 타이머부
37 : 마이콤 40 :살균램프
50 : 송풍팬

Claims (8)

  1. 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 및 이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조작력을 받는 스위치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조명램프와;
    상기 조명램프의 소등 상태를 감지하는 조명감지부 및 이 상기 조명램프의 소등시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부 및 상기 조명감지부와 동작감지부에 회로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인가받는 것으로 조명이 꺼진 상태에서 동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그 출력단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진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것으로 상기 조명램프의 일측에 배치되어 100nm~28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램프와;
    상기 조명램프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감지부는 상기 스위치에 연결되게 회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치의 오프시 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로 인가하도록 회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면서 일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구비되되 그 내벽면은 살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난반사를 유도하도록 요철 또는 엠보싱이 형성된 난반사판이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 일측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마이콤으로 인가하는 적외선센서 또는 열감지센서로 된 동작감지부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살균겸용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램프는 형광등 또는 삼파장 램프 또는 엘이디 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균램프는 자외선과 오존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살균램프의 동작시간을 설정시간 동안 점등시키기 위하여 타이머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램프는 자외선과 오존을 발생시키는 자외선 램프이며;,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상기 살균램프에서 발생시킨 오존을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인가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KR1020170159899A 2017-11-28 2017-11-28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022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99A KR102022314B1 (ko) 2017-11-28 2017-11-28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99A KR102022314B1 (ko) 2017-11-28 2017-11-28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72A true KR20190061472A (ko) 2019-06-05
KR102022314B1 KR102022314B1 (ko) 2019-11-04

Family

ID=6684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899A Expired - Fee Related KR102022314B1 (ko) 2017-11-28 2017-11-28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3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67B1 (ko) * 2019-10-02 2020-01-15 주식회사 인터넷플러스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KR102216036B1 (ko) * 2020-07-14 2021-02-17 주식회사 자연공간가구산업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KR102276737B1 (ko) 2020-06-30 2021-07-13 주식회사 바이더엠 살균기능이 구비된 센서 조명장치
US20210283285A1 (en) * 2020-03-16 2021-09-16 UL Med Inc. Germicidal devices and applications of same
KR102523102B1 (ko) * 2023-01-26 2023-04-18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자외선 난반사 및 온풍 회전기능을 갖는 소독장치
KR102730918B1 (ko) * 2023-12-01 2024-11-15 (주)아하 살균기능이 있는 펜 트래이가 포함된 전자칠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034B1 (ko) * 2020-12-04 2023-06-22 (주) 시엘케이 센서 공유를 통한 공간 상시 방역 시스템 및 방역등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730Y1 (ko) * 2002-03-28 2002-06-24 주식회사제4기한국 살균 및 청정 기능을 갖는 복합조명기
KR20090022921A (ko) 2007-08-31 2009-03-04 김영배 발열램프가 구비된 욕실용 매트 살균장치
KR20110042799A (ko) 2009-10-20 2011-04-27 홍명기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
KR20160127469A (ko) * 2015-04-27 2016-11-04 (주)애니스마트 건조·살균·색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형 스마트 led 복합등기구
CN106641941A (zh) * 2017-01-06 2017-05-10 成都聚立汇信科技有限公司 用于路灯的故障检测及无线传输电路结构
KR101789154B1 (ko) * 2017-05-12 2017-10-23 주식회사 루피너스 조사각도가 향상된 커브형 조명기구 및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730Y1 (ko) * 2002-03-28 2002-06-24 주식회사제4기한국 살균 및 청정 기능을 갖는 복합조명기
KR20090022921A (ko) 2007-08-31 2009-03-04 김영배 발열램프가 구비된 욕실용 매트 살균장치
KR20110042799A (ko) 2009-10-20 2011-04-27 홍명기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
KR20160127469A (ko) * 2015-04-27 2016-11-04 (주)애니스마트 건조·살균·색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형 스마트 led 복합등기구
CN106641941A (zh) * 2017-01-06 2017-05-10 成都聚立汇信科技有限公司 用于路灯的故障检测及无线传输电路结构
KR101789154B1 (ko) * 2017-05-12 2017-10-23 주식회사 루피너스 조사각도가 향상된 커브형 조명기구 및 검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67B1 (ko) * 2019-10-02 2020-01-15 주식회사 인터넷플러스 자외선 led를 사용한 살균용 전구
US20210283285A1 (en) * 2020-03-16 2021-09-16 UL Med Inc. Germicidal devices and applications of same
US12109322B2 (en) * 2020-03-16 2024-10-08 UL Med Inc. Germicidal devices and applications of same
KR102276737B1 (ko) 2020-06-30 2021-07-13 주식회사 바이더엠 살균기능이 구비된 센서 조명장치
KR102216036B1 (ko) * 2020-07-14 2021-02-17 주식회사 자연공간가구산업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KR102523102B1 (ko) * 2023-01-26 2023-04-18 주식회사 선경인케이 자외선 난반사 및 온풍 회전기능을 갖는 소독장치
KR102730918B1 (ko) * 2023-12-01 2024-11-15 (주)아하 살균기능이 있는 펜 트래이가 포함된 전자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314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314B1 (ko)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KR101125750B1 (ko) 욕실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21118A (ko) 엘리베이터 버튼용 자동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95642B2 (ja) イオン発生機
KR102167155B1 (ko) 도어의 손잡이 소독장치
WO2007100537A2 (en) Air/water sterilization system for ice machine
KR20080008502A (ko) 실내 공기 살균기
KR20190065580A (ko)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KR20230038190A (ko) 오염 제어 장치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
JP3160820U (ja) 照明兼用オゾン発生器
KR20090115442A (ko) 주방용 살균장치
KR20120092465A (ko) 주방용 도마 살균기
JP4082094B2 (ja) 照明装置
KR101888192B1 (ko) 살균기능을 갖는 인체감지 감응 센서등
KR20140136779A (ko) 조명과 음향이 발생되는 탈취장치
KR20120133286A (ko) 벽걸이형 공기 살균기
KR100682476B1 (ko) 자외선 살균램프가 일체로 구성된 센서등
KR102692083B1 (ko) 화장실용 살균장치
KR100934977B1 (ko) 광촉매 램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살균기
KR20200091133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20060110025A (ko) 자외선 방사 살균을 위한 조명기구 및 컨트롤러시스템
KR200373763Y1 (ko) 침대 매트리스의 자동 크리닝 장치
KR200394702Y1 (ko) 자외선 살균램프가 일체로 구성된 센서등
KR200388920Y1 (ko) 조명등과 살균램프의 제어장치
KR200415244Y1 (ko) 현관등 공기 살균 탈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9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9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