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79903A - 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 - Google Patents

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903A
KR20190079903A KR1020170181984A KR20170181984A KR20190079903A KR 20190079903 A KR20190079903 A KR 20190079903A KR 1020170181984 A KR1020170181984 A KR 1020170181984A KR 20170181984 A KR20170181984 A KR 20170181984A KR 20190079903 A KR20190079903 A KR 20190079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ell
cell
control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9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2961B1 (en
Inventor
홍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라이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라이브
Priority to KR102017018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961B1/en
Publication of KR2019007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96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f pneumatic type
    • A47C27/082Fluid mattresses of pneumatic type with non-manual inflation, e.g. with electric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vaginal muscles or other sphincter-type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괄약근이라 불리는 골반저근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스마트방석으로서 사용자가 제1에어셀에 착석 후 척추를 기준으로 둔부에 가해지는 압력조절에 의해 바른자세로 교정한 상태에서 골반저근에 위치한 제2에어셀의 공기압 조절로 수축 및 팽창의 반복적인 수행으로 골반저근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에어셀, 상기 제1에어셀의 일면에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위치하도록 요입부가 마련되어 상기 요입부에 수용되어 제1에어셀 상부로 돌출되는 제2에어셀, 상기 제1에어셀의 후단에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에어셀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진공압모터와 상기 진공압모터에 작동으로 제1에어셀 내부의 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을 제어하는 제1공기배출밸브 및 상기 제1에어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진공압센서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제2에어셀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제1공압모터와 상기 제1공압모터에 작동으로 제2에어셀 내부의 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을 제어하는 제2공기배출밸브 및 상기 제2에어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공압센서로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ushion for enhancing the strength of a pelvic floor muscle called a sphincter muscle. The smart cushion is a smart cushion for a user to sit on a first air cell and calibrate the right posture by adjus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ips on the basis of the vertebrae, A first air cell that can be seated by the user to reinforce the pelvic floor by repeatedly perform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pelvic floor; a recessed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air cell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s pelvic floor, A second air cell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ir cell, a casing form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air cell to form a space therein, a vacuum motor provided inside the casing for pressurizing or reduc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first air cell, And a first air discharge valve for controlling discharge or inflow of air inside the first air cell by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motor And a vacuum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inside the first air cell, and a first pneumatic motor for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second air cell and a second pneumatic motor for operating the first pneumatic motor, A second air discharge valve for controlling discharge or inflow of air, and a pneumatic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inside the second air cell, and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Description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ushion,

본 발명은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면, 괄약근이라 불리는 골반저근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스마트방석으로서 사용자가 제1에어셀에 착석 후 척추를 기준으로 둔부에 가해지는 압력조절에 의해 바른자세로 교정한 상태에서 골반저근에 위치한 제2에어셀의 공기압 조절로 수축 및 팽창의 반복적인 수행으로 골반저근을 강화하기 위한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a proper posture and a Kegel exercise, and more specifically, a smart cushion for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a pelvic floor muscle called a sphinc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a proper posture for strengthening the pelvic floor muscle by repeatedly perform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second air cell located at the pelvic floor muscle in a correct posture by correcting the posture .

일반적으로 골반저근의 근력과 용량을 강화하는 운동이라고 알려진 케겔운동(Kegel's exercise)은 1948년 미국의 산부인과 전문의인 아놀드 케겔 박사가 임산부의 수월한 출산을 위해 창안한 임산부 출산 준비 운동으로서, 여성의 골반저근의 수축 및 이완운동을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하여 골반저근의 근육을 탄탄하고 강하게 강화하면 출산 시 원활하게 출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임산부 전용 운동이었으나, 현재 일반 여성 또는 노인 등에 적용되어 골반저근은 꼬리뼈에서 음부 부위의 뼈인 치골에 이르는 근육으로 자궁, 방광, 대장을 받쳐 주며 요도, 질, 항문의 수축운동을 담당한다. 골반저근을 정확하게 이완 및 수축운동하는 것이 케겔운동의 중요한 핵심이며, 대퇴부, 엉덩이, 복부 근육 등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Kegel's exercise, commonly known as exercise to strengthen the strength and capacity of pelvic floor muscles, is a prenatal preparation for the birth of pregnant women in 1948 by Dr. Arnold Kegel, an American obstetrician, The pelvic floor muscles of the pelvic floor muscles are strengthened and strengthened, and it is a special exercise for the pregnant women who can give birth smoothly when giving birth. However, The muscles that reach the pubic bone, which is the bone of the site, support the uterus, bladder, and large intestine, and are responsible for the contraction of the urethra, vagina, and anus. Accurate relaxation and contraction of the pelvic floor is an important part of the Kegel movement, and it is important not to use the thighs, buttocks, abdominal muscles, and the like.

이러한 케겔운동의 효과로서, 남성의 경우 조루 및 발기부전과 전립선 비대를 예방하고 정력 증진에 도움이 되며, 여성의 경우 성적 불감증과 복압성 요실금 예방에 필수적으로 도움이 되는 비수술적 치료 요법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우울증과 조급함, 허약체질, 갱년기 증세, 편두통, 만성 변비의 치료와 체중감량의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남성과 여성 공히 골반저근의 근력과 용량이 강화되면 성 기능의 효율성이 높아진다고 한다.As a result of this Kegel exercise, males are prevented from premature ejaculation and erectile dysfunction and prostate hypertrophy, and they are helpful in improving their energetic ability. In case of women, they are reported to the academy as non-surgical therapy which is essential for prevention of sexual insufficiency and stress incontinence. It is also known that depression, impatience, frailty, menopausal symptoms, migraine, chronic constipation treatment and weight loss effects are also known. Both male and female pelvic floor muscle strength and capacity is enhanced, the efficiency of sexual function is said to increase.

상기 케겔 운동은 치골미골근(pubococcygeus muscle)에 힘을 주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운동을 의미하는데, 치골미골근은 평소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 부위이며 해부학적으로 인체 깊은 곳에 숨어져 있는 부위이기에 타인에 의한 마사지가 어려운바, 의식적으로 그 수축과 이완을 마음 먹어야만 그 운동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Kegel movement refers to a movement that repeatedly shrinks and relaxes by applying a force to the pubococcygeus muscle. The pubis ossicularis muscle is an area that is not frequently used and is an anatomically hidden part in the human body. It is difficult to massage by, and it is known that exercise can be done only if you consciously consciate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케겔 운동 자체는 많은 힘이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요실금 치료 내지 성기능 장애 개선에도 효과적이어서 권장되는 운동 중 하나이나, 의식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마음 먹어야만 운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운동의 지속성이 부족한바, 보조 기구 등을 통하여 강제적으로 또는 반-강제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The Kegel exercise itself is not only very effective but also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and sexual dysfunction, and is one of the recommended exercises. However, since the exercise can be performed only if one consciously contemplates contraction and relaxation,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forcefully or semi-enforced through mechanisms, for example.

한국등록특허 제0816847호는 침습적으로 치골미골근에 전극을 삽입하여 전류를 흘림으로써 케겔 운동을 강제하는 의료기구이다. 침습적인 삽입이 필요하기에 의사의 집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Korean Patent No. 0816847 is a medical device forcing Kegel movement by injecting an electric current through an electrode inserted into the pubic ossicular muscle invasively. It is disadvantageous that a doctor's home is needed because invasive insertion is needed.

한국등록특허 제1075114호는 둔부의 압력이 가해지는 의자 중심 영역을 움직이게 하여 사용자의 케겔 운동을 강제하는 의자를 개시한다. 그러나, 단지 의자 중심 부분이 단순히 압력을 가한다는 것만으로 케겔 운동이 이루어지기 쉽지 않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No. 1075114 discloses a chair that moves a center-of-the-chair area where the pressure of the buttocks is applied, thereby forcing the user's Kegel movement. However, there is a fundamental problem that it is not easy for the Kegel exercise to be performed simply by the fact that the center of the chair simply pressurizes.

한국등록특허 제1416611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75114호는 사람이 앉는 패드 등의 형상으로서 전기 자극을 둔부에 가할 수 있는 의료 기기를 개시한다. 그러나, 둔부 전체에 가해지는 전기적 자극은 케겔 운동 외에도 사용자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No. 1416611 and Korean Patent No. 1075114 disclose a medical device in which an electric stimulus is applied to the buttocks as a shape of a pad on which a person sit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electric stimulation applied to the entire buttocks may adversely affect users other than the Kegel exercise.

한국등록특허 제1436752호는 언제 어디에서나 손쉽게 케겔운동을 할 수있는 골반저근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케겔운동을 통해 골반저근의 근력을 강화하면서도 동시에 필요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음이온과 원적외선과 온열을 방출하여 좌온(坐溫) 효과도 발휘할 수 있는 좌온 기능을 겸비한 골반저근 강화용 운동기구를 개시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둔부 신체부위의 적합한 교정없이 사용됨에 따라 골반저근 부위가 협소한 사용자의 경우 강제적으로 착석함에 따라 골반과 관계된 근육 또는 골근의 근력 저하를 초해할 뿐만 아니라 반대의 경우 아무런 효과를 도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Korean Patent No. 1436752 relates to a pelvic floo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device capable of easily exercising a pelvic floor muscle at any time and anywhere. The Kegel exercise strengthens the strength of the pelvic floor muscle, while at the same time enhancing the anion, far infrared ray, Which is capable of exercising a sitting effect by releasing a pelvic floor muscl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having a narrow pelvic floor region is forced to sit thereon, resulting in a reduction in muscle strength of the muscles or the back muscles associated with the pelvis, and in addition, There is no problem.

또한, 사용자의 착석 후 안정된 자세 즉, 신체의 균형상태를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의 움직임 및 비균형자세를 유지함에 따라 둔부 및 골근 운동의 효과가 떨어지게 됨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stable posture of the user, i.e., the balance state of the body, is not taken into account, it is obvious that the effect of the buttocks and the sock muscles is deteriorated due to the user's motion and unbalanced posture.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16847호(발명의 명칭 : 요·변실금 치료기)1. Korean Patent No. 0816847 (entitled "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114호(발명의 명칭 : 코어무빙 건강의자)2. Korean Patent No. 1075114 entitled "Core Moving Health Chair"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36752호(발명의 명칭 : 좌온 기능을 겸비한 골반저근 강화용 운동기구)3. Korean Patent No. 1436752 (entitled " Pelvic floo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having a cold temperature function "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방석의 상부에 구획된 제1에어셀과 제2에어셀의 공기압 조절로 제1에어셀은 사용자의 바른자세를 유도하여 사용자 맞춤형 자세교정을 수행하면서 제2에어셀의 공기압 조절에 의해 사용자의 골반저근을 수축 및 이완운동으로 강화하도록 운동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djusting a user's personal posture by guiding the user's right posture by controlling the air pressure of the first air cell and the second air cell, While the pelvic floor muscle of the user is strengthened by contraction and relaxation b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second air cell.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에어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first air cell,

상기 제1에어셀의 일면에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위치하도록 요입부가 마련되어 상기 요입부에 수용되어 제1에어셀 상부로 돌출되는 제2에어셀,A second air cell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ir cell and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at a root of the user's pelvis,

상기 제1에어셀의 후단에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A casing form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air cell to form a space therein,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에어셀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진공압모터와 상기 진공압모터에 작동으로 제1에어셀 내부의 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을 제어하는 제1공기배출밸브 및 상기 제1에어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진공압센서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제2에어셀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제1공압모터와 상기 제1공압모터에 작동으로 제2에어셀 내부의 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을 제어하는 제2공기배출밸브 및 상기 제2에어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공압센서로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을 제공한다.A first air discharge valve provided inside the casing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r inflow of air inside the first air cell by operation of the vacuum air pressure motor, A first pneumatic motor for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second air cell and a second pneumatic motor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second air cell by operating the first pneumatic motor, And a control means composed of a second air discharge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air or the air and a pneumatic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air cell.

한편, 상기 제1에어셀의 내부에는 미세입자형의 에어볼이 충진되어 판재형의 제1에어셀을 형성하고,On the other hand, the first air cell is filled with a fine particle-shaped air ball to form a plate-like first air cell,

상기 제2에어셀 내부에는 스폰지형 에어필터가 밀집되어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방향을 가진 막대형의 제2에어셀로 형성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을 제공한다.The second air cell is provided with a smart cushion for holding a proper posture and a Kegel movement, the sponge type air filter being densely packed and formed of a second air cel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상기 제2에어셀은 내부의 제어에어셀과 상기 제어에어셀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측면을 이격되게 감싸는 외피에어셀로 구획되되, 상기 제어에어셀의 내부에는 스폰지형 에어필터가 밀집되어 제1공압모터와 제2공기배출밸브에 연계되어 제어되고,Meanwhile, the second air cell is divided into a control air cell and a sheath air cell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excep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air cell. The sponge type air filter is densely packed in the control air cell, And is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상기 외피에어셀은 스폰지형 에어필터 또는 에어볼이 충진되어 제2공압모터와 제3공기배출밸브에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을 제공한다.The shell air cell is filled with a sponge type air filter or an air ball to provide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linked to the second pneumatic motor and the third air discharge valve.

한편, 상기 제어에어셀의 내부 중앙에 제어에어셀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 차단되는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제어에어셀의 내부가 제1제어실과 제2제어실로 구분되어 각각의 제2공기배출밸브에 연계되면서 상기 각각의 제2공기배출밸브를 통합 연계되어 제어하는 제1공압모터가 구비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을 제공한다.Meanwhile, a partition wall which is vertically cut in the horizontal length direction of the control air cell is formed at an inner center of the control air cell, so that the inside of the control air cell is divided into a first control chamber and a second control chamber based on the partition, And a first pneumatic motor for controlling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s in coordination with the valves so as to integrally control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s, thereby providing a smart cushion for proper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movement.

한편, 상기 제2에어셀 양측면 각각의 일면에 제2에어셀의 수평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이 형성되고,On the other hand,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inward along the horizont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air cell is formed on one side of each side of the second air cell,

상기 제2에어셀 내부의 양측 단턱 하부에 양측단이 밀착되어 제2에어셀의 내부를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구획되면서 관통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구획판이 구비되고,And a parti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ir cell at both side end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artition the interior of the second air cell into an upper air space and a lower space,

상기 하부공간부의 양측면 각각의 일면에 제2에어셀의 수평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측은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사선으로 절곡되는 하부의 경사면으로 연결되는 절첩부가 형성되고,The lower space portion being protruded inward along the horizont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air cell on one side of each side of the lower space portion, the upper side being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ide and the lower side slop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ne,

상기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에 각각 스폰지형 에어필터가 밀집되어 이루어지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을 제공한다.And a smart cushion for holding the right posture and the Kegel movement in which the sponge type air filter is densely packed i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respective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은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먼저 사용자의 자세교정을 한 후 바른자세로 골반저근을 운동하고자 하며, 이때 골반저근에 위치한 에어셀이 수축 및 팽창을 통해 골반저근을 자극하여 수축 및 이완운동을 하게 되며, 게다가 골반저근에 위치한 에어셀의 공기압을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맞춤작용하여 공기압의 정량적 공급조절로 인해 정확한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가능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the proper posture and the Kegel movement is intended to exercise the pelvic floor muscle in the correct posture after first calibrating the posture of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eated. At this time,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pelvic floor muscles stimulates the pelvic floor muscles to contract and relax. In addition, the pneumatic pressure of the pelvic floor air pressure to the user's pelvic floor muscles to work b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pressure due to accurate biofeedback training is possible .

또한 본 발명은 착석한 상태에서의 둔부자극에 대한 압력 및 골반저근에 대한 정량적 압력을 동시에 측정하면서 사용자의 상태에 맞게 적응적으로 운동이 가능한 스마트 방석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mart cushion capable of adaptively exercising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while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pressure on the buttocks stimulation in the seated state and the quantitative pressure on the pelvic floor muscl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압력을 직접 확인하고 이에 따라 능동적 케겔 운동을 하는 바이오피드백 또는 골반저근 및 항문괄약근으로의 직접적인 수축 및 이완운동을 통해 효율적인 운동치료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ective exercise therapy through biofeedback, in which the user directly confirms his / her own pressure and accordingly performs active Kegel exercise, or through direct contraction and relaxation exercises to the pelvic floor muscle and anal sphincter mus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을 나타낸 사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에서 제1에어셀과 제2에어셀의 조립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에서 제1에어셀의 내부에 에어볼이 충진된 단면도면(a)과 제2에어셀의 내부에 에어필터가 충진된 단면도면(b).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에서 케이싱 내부에 제어수단이 설치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에서 제2에어셀이 외피에어셀과 제어에어셀로 구분된 단면도면(a)과 제어에어셀이 제1제어실과 제2제어실로 구분된 제2에어셀의 단면도면(b).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에서 제2에어셀이 구획판을 기준으로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구분되는 단면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의 시스템을 설명한 블록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y drawing of a first air cell and a second air cell in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smart cushion for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st air cell is filled with an air ball and a second air cell is filled with an air filter Sectional view (b).
5 is a view showing a control unit installed in a casing of a smart cushion for proper posture maintaining and Kege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a) of a second air cell divided into a shell air cell and a control air cell in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b) of the second air cell divided into two sections.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cond air cell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portion and a lower space portion with respect to a partition plate.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cushion system for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following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에어셀(100), 상기 제1에어셀(100)의 일면에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위치하도록 요입부(101)가 마련되어 상기 요입부(101)에 수용되어 제1에어셀(100) 상부로 돌출되는 제2에어셀(200a), 상기 제1에어셀(200a)의 후단에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300), 상기 케이싱(30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에어셀(100)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진공압모터(410)와 상기 진공압모터(410)에 작동으로 제1에어셀(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을 제어하는 제1공기배출밸브(411) 및 상기 제1에어셀(1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진공압센서(412)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제2에어셀(200a)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제1공압모터(420)와 상기 제1공압모터(420)에 작동으로 제2에어셀(200a) 내부의 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을 제어하는 제2공기배출밸브(421) 및 상기 제2에어셀(200a)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공압센서(422)로 구성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10, 이하, ‘스마트 방석’으로 칭함.)을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1 to 5,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ir cell 100 on which a user can sit, a second air cell 100 on one side of the first air cell 100, A second air cell 200a accommodated in the incision 101 and protruding above the first air cell 100, a casing 300 form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air cell 200a to form a space therein, A vacuum air pressure motor 410 provided inside the casing 300 to pressurize or depressurize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first air cell 100 and an internal A first air discharge valve 411 for controlling discharge or inflow of air from the first air cell 200 and a vacuum pressure sensor 412 for sensing the pressure inside the first air cell 100, A first pneumatic motor 420 for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A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for controlling discharge or inflow of air inside the second air cell 200a by operation and a pneumatic sensor 422 for sensing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air cell 200a, And a smart cushion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proper posture and Kegel movement,

본 발명의 스마트 방석(10)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판재형의 제1에어셀(100)과, 상기 제1에어셀(100)의 중앙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앉았을 때 골반저근에 위치하는 제2에어셀(200a)과, 상기 제1에어셀(1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구비된 케이싱(300) 및, 상기 케이싱(300) 내부에 상기 제1, 2에어셀(100)(2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이 포함되는 구조를 가진다.1 to 5, a smart cush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ir cell 100 of a plate-like shape so as to be seated by a user, a second air cell 100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air cell 100, A casing 300 provided at a front end or a rear end of the first air cell 100 and a second air cell 200 disposed inside the casing 300. The first and second air cells 200a, (400)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00).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의 (a),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셀(100)은 수평의 판재형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밀폐형을 가지면서 내부 공간에 미세입자형의 에어볼(110)이 충진되어 수평의 판재형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2 to 4 (a), 5 and 8, the first air cell 100 is a horizontal plate-like material having a closed form for forming a space therein, The air ball 110 is filled to form a horizontal plate shape.

상기 제1에어셀(100)은 사용자가 착석시 둔부가 밀착되면서 사용자의 바른 자세를 유도한 후 진공압모터(410)의 작동으로 진공압모터(410)와 제1에어셀(100) 사이에 상호 연결된 제1공기관(120)을 통해 제1에어셀(100)의 내부 및 에어볼(110)에 충진된 공기를 흡착시켜 제1에어셀(100) 내부를 가압 또는 제1에어셀(100)의 내부 및 에어볼(110)로 공기를 충진시켜 제1에어셀(100) 내부를 감압하게 되며, 이때 제1에어셀(100) 내부의 가압 또는 감압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제1공기배출밸브(411)의 개폐를 통해 제어되며, 이때 제1에어셀(100)의 가압과정으로 제1에어셀(100)의 상면은 바른 자세로 착석한 사용자의 둔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성형되며, 이때 제1에어셀(100) 내부의 에어볼(110) 흡착 및 내부 진공상태로 인해 경질화된 제1에어셀(100)로 변형된다.The first air cell 100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cell 100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neumatic motor 410 after inducing the user's right posture while the buttock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during sitting The inside of the first air cell 100 and the air filled in the air ball 110 are adsorbed through the first air pipe 120 so that the inside of the first air cell 100 is pressurized or the inside of the first air cell 100 and the air ball 110 The air in the first air cell 100 is depressurized by filling the first air discharge valve 411 with air by flowing air into the first air cell 100. At this time,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ir cell 1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uttocks of the user who is seated in a correct posture due to the pressing process of the first air cell 100. At this time, The first air cell 100 is deformed due to the adsorption of the ball 110 and the internal vacuum state.

이때, 상기 사용자의 둔부와 대응된 형태를 가진 제1에어셀(100)의 변형형태를 지속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에어셀(100)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진공압센서(412)로 인해 제1에어셀(100)의 압력변화에 진공압모터(410) 및 제1공기배출밸브(411)를 제어하게 되며, 상기 제1공기배출밸브(411)와 후술되는 제2공기배출밸브(421) 및 3공기배출밸브(미도시)는 공기의 유입과 차단의 역할을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At this time, due to the vacuum pressure sensor 412 that detect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air cell 100 to maintain the deformed shape of the first air cell 100 having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user's hips, The first air discharge valve 41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the vacuum motor 410 and the first air discharge valve 411, 3 The air discharge valve (not shown) is a solenoid valve that serves as an inflow and outflow of air.

상기 진공압센서(412)는 제1에어셀(100)의 내부와 연계되어 상호 연결되는 제1공기관(120)을 통해 제1에어셀(100)의 내부 공기압을 감지하며, 또한 진공압센서(412)와 제1공기배출밸브(411)를 상호 연결하는 제1공기관(120)을 통해 제1공기배출밸브(412)의 흐르는 공기압을 측정하며, 이때 제1에어셀(100)의 가압 또는 감압시 소정 공기압 이상일 경우는 제1공기배출밸브(411)를 차단시키고, 소정 공기압 미만일 경우는 제1공기배출밸브(411)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공기배출밸브(411)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역할로도 수행할 수 있다.The vacuum pressure sensor 412 senses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first air cell 100 through the first air pipe 120 connected to the interior of the first air cell 100 and is connected to the vacuum pressure sensor 412, The first air discharge valve 412 and the first air discharge valve 4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irst air pipe 120 to measure the air pressure of the first air discharge valve 412. When the first air cell 100 is depressurized or depressurized, The first air discharge valve 411 may be shut off and the first air discharge valve 411 may be opened if the air pressur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ir pressure. In addition, the first air discharge valve 411 may be operated to detect a malfunction.

그리고, 상기 제1에어셀(100)에 사용자가 착석시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위치하는 제1에어셀(100)의 중앙에 소정의 수평 길이로 함입된 요입부(101)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요입부(101)는 제1에어셀(100)의 내부와 차단되어 제1에어셀(100)의 내부에 공기의 유입 및 차단될 때 미세입자형의 에어볼(110) 공기충진 또는 흡착에 따른 공기이동이 완전 차단되는 형태를 가져 제1에어셀(100)의 내부와 격리된 요입부(101)를 가진다.A recessed portion 10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air cell 100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user's pelvic floor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first air cell 100 at a predetermined horizontal length, (101) is block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air cell (100), so that when the air is inflowed or interrupted into the first air cell (100), the inflation of the air ball (110) And has a recessed portion 101 that is isolat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air cell 100 because of its shape.

그리고, 도 2, 도 4의 (b),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에어셀(200a)은 제1에어셀(100)의 요입부(101)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수평 길이로 연장된 막대형태를 가지되,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밀착되도록 상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면서 상부는 곡면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밀폐된 형태를 가진다.As shown in Figs. 2, 4 (b), 5 and 8, the second air cell 200a is seated on the incision 101 of the first air cell 100, The upper part has a curved shape and the upper part has a curved shape. The upper part has a hollow shape and has a hollow shape, while the lower part has a curved shape.

상기 제2에어셀(200a)의 내부 빈 공간에는 상술한 제2에어셀(200a)의 외형에 대응되는 스폰지형 에어필터(210)가 충진 및 밀착되어 제2에어셀(200a)의 외형을 긴밀히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제2에어셀(200a)의 내부 공기량을 조절하여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해 제1공압모터(420)가 제2공기관(220a)을 통해 연결되며, 이때 제2에어셀(200a)의 내부 공기를 감압할 때에는 제2공기배출밸브(421)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며, 이때 제1공압모터(420)와 제2공기관(220a)으로 연계되어 있다.The sponge type air filter 2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is filled and adhered 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to closely maintain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air pipe 220a in order to adjust the internal air volum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so as to pressurize or depressurize the internal air of the second air cell 200a, The control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and the first air pressure motor 4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ipe 220a.

즉, 상기 제2에어셀(200a)을 가압할 때 제1공압모터(420)의 가압작동으로 제2에어셀(200a)의 내부에 충진된 에어필터(210)를 수축되면서 제2에어셀(200a) 전체 형태가 수축형태를 가지며, 이때 제2에어셀(200a) 내부가 설정된 공기압에 도달하면 제2공기배출밸브(421)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econd air cell 200a is pressed, the air filter 210 filled in the second air cell 200a is contracted by the pressurizing operation of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Whe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second air cell 200a reaches the predetermined air pressure,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is maintained in a blocked state.

반대로, 상기 제2에어셀(200a)을 감압할 때 제2공기배출밸브(421)가 개방되어 제1공압모터(420)의 감압작동으로 제1공압모터(420)와 연계된 제2공기관(210)을 통해 제2에어셀(200a)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이때 제2에어셀(200a) 내부의 공기압은 설정된 공기압에 도달되면 제2공기배출밸브(421)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is opened when the second air cell 200a is depressurized and the second air pipe 210 connected to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by the depressurizing operation of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is kept shut off whe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second air cell 200a reaches the set air pressure.

상기 제2공기배출밸브(421)는 제2에어셀(200a)의 내부 공기를 감압시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며, 제1공압모터(420)의 작동으로 제2에어셀(200a)의 공기를 가압 및 감압의 반복적인 수행으로 제2에어셀(200a)의 팽창과 수축에 대응되는 골반저근의 수축과 이완의 근력작용으로 제2에어셀(200a)의 반복적인 변화형태를 통해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위치한 제2에어셀(200a)의 공기압 변화에 따라 케겔운동 및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골반저근의 근력 강화와 근육 용량의 증대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may be a solenoid valve that performs the pressure reduction of the internal air of the second air cell 200a. When the air of the second air cell 200a is pressuriz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The second air cell 200a is repeatedly operated to perform a repulsive force of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pelvic floor muscle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econd air cell 200a, 2 Performs a Kegel exercise and a massag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air pressure of the air cell 200a to perform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pelvic floor muscle and increasing the muscle capacity to the user.

그리고, 상기 제2에어셀(200a) 내부의 공기압 변화를 감지하는 공압센서(422)로 인해 사용자의 골반저근의 근력운동에 대한 사용자에 적합한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맞는 공기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일률적인 공기압 변화를 지속적으로 반복수행하는 근력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게다가 운동지료 중 근력변화과정 및 효과에 따라 제2에어셀(200a)의 공기압 변화를 주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골반저근의 근력강화를 시간결과에 따른 순차적이고 계획적인 운동치료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체계적인 케겔운동을 지향하여 골반저근의 근력 강화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pneumatic sensor 422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second air cell 200a measures the change in the air pressure suitable for the user so as to adjust the amount of exercise suitable for the user to the strength of the pelvic floor muscle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eriodically control the air pressure chang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according to the process and effect of the muscle force change in the exercise stock,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uscle force of the user's pelvic floor muscle The strengthening effect can be achieved by strengthening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pelvic floor muscles by aiming at a systematic Kegel exercise that can maximize the sequential and planned exercise treatment according to the time result.

상기 공압센서(422)는 제2에어셀(200a)의 내부와 연계되도록 제2공기관(220a)이 상호 연결되어 제2에어셀(200a)의 내부 공기압을 측정하게 되며, 이때 제1공압모터(420)의 가압 또는 감압시 제2에어셀(200a)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게 된다.The second air pipe 220a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to measure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The air pressure inside the second air cell 200a is measured.

그리고, 상기 공압센서(422)는 제2공기배출밸브(421)와 제2공기관(220a)을 통해 연계되어 제2공기배출밸브(421)로 흐르는 공기압을 감지하며, 이때 제2에어셀(200a)의 가압 또는 감압시 소정 공기압 이상일 경우는 제2공기배출밸브(421)를 차단시키고, 소정 공기압 미만일 경우는 제2공기배출밸브(421)를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공기배출밸브(421)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역할로도 수행할 수 있다.The air pressure sensor 4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through the second air pipe 220a to sense the air pressure flowing into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At this time,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is shut off when the air pressur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air pressure or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is opened when the air pressure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air pressure. Also,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may be operated to detect a malfunction of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또한,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에어셀(200a)은 내부의 제어에어셀(230a)과 상기 제어에어셀(230a)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측면을 이격되게 감싸는 외피에어셀(230b)로 구획되되, 상기 제어에어셀(230a)의 내부에는 스폰지형 에어필터(210)가 밀집되어 제1공압모터(420)와 제2공기배출밸브(421)에 연계되어 제어되고,6 (a), the second air cell 200a includes a control air cell 230a and a sheath air cell 230b that surrounds the outer side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except for the bottom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A sponge type air filter 210 is densely packed in the control air cell 230a and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상기 외피에어셀(230b)은 스폰지형 에어필터(210)이 충진되어 제2공압모터(미도시)와 제3공기배출밸브(미도시)에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스마트 방석(10)을 제공한다.The jacket air cell 230b provides a smart cushion 10 filled with a sponge type air filter 210 and linked to a second pneumatic motor (not shown) and a third air discharge valve (not shown).

상기 제어에어셀(230a)은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면서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이때 밀폐된 공간에 스폰지형 에이필터(210)를 수용하여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어에어셀(230a)의 내부와 연계되어 제1공압모터(420) 및 제2공기배출밸브(421)와 연계되는 제2공기관(220a)이 형성되어 제1공압모터(420)의 작동으로 제어에어셀(230a) 내부의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을 하며, 이때 제어에어셀(230a)의 공기 배출 또는 유입은 제2공기배출밸브(421)를 통해 제어토록 한다.The control air cell 230a has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part and forms a closed space inside the control air cell 230a. At this time, the control air cell 230a receives the sponge type A- A second air pipe 220a connected to the first air pressure motor 420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is formed in association with the inside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air cell 42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trol air cell 230a is pressurized or depressurized.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 or the inflow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is controlled through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그리고, 상기 외피에어셀(230b)은 제어에어셀(230a)의 외부를 감싸지되, 제어에어셀(230a)의 외주면과 외피에어셀(230b)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하면서 제어에어셀(230a)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서 밀폐된 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외피에어셀(230b)의 바닥면은 제어에어셀(230a)의 바닥면과 연결되어 제어에어셀(230a)과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The outer shell 230b is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ensur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air cell 230b while the shape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ll air cell 230b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and has a structure integral with the control air cell 230a.

상기 외피에어셀(230b)의 내주면과 제어에어셀(230a)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스폰지형 에어필터(210)가 충진되어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외피에어셀(230b)의 내부로 연계되면서 제2공압모터(미도시) 및 제3공기배출밸브(미도시)와 연계되는 제3공기관(220b)이 형성되어 제2공압모터(미도시)의 작동으로 외피에어셀(230b) 내부 공기압의 가압 또는 감압을 하며, 이때 외피에어셀(230b)의 공기 배출 또는 유입은 제3공기배출밸브(미도시)를 통해 제어토록 한다.The sponge type air filter 210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ath air cell 230b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to maintain its shape and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heath air cell 230b, A third air pipe 220b linked to a third air discharge valve (not shown) is formed to pressurize or reduce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shell air cell 230b by the operation of a second pneumatic motor (not shown) At this time, air discharge or inflow of the shell air cell 230b is controlled through a third air discharge valve (not shown).

또한, 상기 외피에어셀(230b)의 내부 공기를 제어하는 제2공압모터 대신에 제어에어셀(230a)의 내부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1공압모터(420)가 외피에어셀(230b)의 내부 공기압을 함께 제어하도록 하며, 이때 제1공압모터(420)에 연계되어 제2공기관(220a) 및 제3공기관(220b) 각각을 연계하는 개별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제1공압모터(420)와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를 통해 제어에어셀(230a)과 외피에어셀(230b)의 내부 공기압을 각각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제2공기배출밸브(421)에 각각 제2, 3공기관(220a)(220b)이 연결되되, 각각의 제2, 3공기관(220a)(220b)에 개별적인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각각의 제2, 3공기관(220a)(220b)을 통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을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제어하도록 한다.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may control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external air cell 230b to be controlled in place of the second air pressure motor for controlling the internal air of the shell air cell 230b A separate solenoid valve (not shown) connected to the second air pipe 220a and the third air pipe 220b is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so that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and the solenoid The second and third air pipes 220a and 220b are connected to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through the control of the valves so that the internal air pressures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and the shell air cell 230b can be respectively controlled. An individual solenoid valve (not shown) is installed in each of the second and third air pipes 220a and 220b to allow the inflow or outflow of air through each of the second and third air pipes 220a and 220b to the solenoid valve .

따라서, 상기 제2에어셀(200a)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외피에어셀(230b)의 외주면에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위치하여 외피에어셀(230b)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시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어에어셀(230a)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및 감압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수축된 외피에어셀(230b)의 단면이 좁힘과 펼침의 반복적인 형태 변화를 가져와 사용자의 괄약근 및 골반저근을 수축 및 이완시켜 근력강화운동을 하게 된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ir cell 200a will be described. First, the inner air pressure of the shell air cell 230b is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air cylinder 230b, The inner air pressure of the sphygmomanometer 230a is repeatedly depressurized and depressurized to repeatedly change the shape of the contracted cosmetic air cell 230b so that the sphincter and pelvic floor muscles of the user are contracted and relaxed, .

또한, 외피에어셀(230b)과 제어에어셀(230a) 각각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및 감압과정을 동시에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골반저근의 수축 및 이완시키게 한다.Also, the inner air pressure of each of the shell air cell 230b and the control air cell 230a is repeatedly depressurized and depressurized to shrink and relax the pelvic floor muscle.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에어셀(230a)의 내부 중앙에 제어에어셀(230a)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 차단되는 격벽(232)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232)을 기준으로 제어에어셀(230a)의 내부가 제1제어실(231a)과 제2제어실(231b)로 구분되어 각각의 제2공기배출밸브(421)에 연계되면서 상기 각각의 제2공기배출밸브(421)를 통합 연계되어 제어하는 제1공압모터(420)가 구비되는 스마트 방석(100)을 제공한다.6 (b), a partition wall 2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so as to be vertically cut off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The inside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is divided into a first control chamber 231a and a second control chamber 231b and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econd air discharge valves 421 so that the respective second air discharge valves 421 The smart cushion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pneumatic motor 420 that is integrally linked and controlled.

상기 제어에어셀(230a)의 내부를 이등분하도록 중앙에 수직으로 차단하는 격벽(232)이 형성되어 제1제어실(231a)과 제2제어실(231b)로 구획하게 되며, 이때 제1, 2제어실(231a)(231b)은 각각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내부공간에 스폰지형 에어필터(210)가 수용되어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A partition wall 232 for vertically blocking the interior of the control air cell 230a vertically is formed to divide the control air cell 230a into a first control chamber 231a and a second control chamber 231b. ) 231b form a sealed inner space, and the sponge type air filter 21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to maintain its shape.

그리고, 상기 제1, 2제어실(231a)(231b)의 각각 내부를 연계하는 개별적인 제2공기관(220a)이 연결되어 제1공압모터(420) 및 제2공기배출밸브(421)로 연계되며, 이때 상기 제1공압모터(420)에서 각각의 제2공기관(220a)을 연계되어 공기 배출 또는 유입을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제2공기배출밸브(421)도 제1, 2제어실(231a)(231b)에 각각 연결되는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제1, 2제어실(231a)(231b)의 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하게 된다.An individual second air pipe 220a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chambers 231a and 231b is connected to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A solenoid valve (not shown)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econd air pipes 220a in the first pneumatic motor 420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discharge or inflow.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chambers 231a and 231b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chambers 231a and 231b to discharge or introduce air in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chambers 231a and 231b.

이에, 상기 외피에어셀(230b) 내부 공기압을 가압한 상태에서 제1, 2제어실(231a)(231b)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및 감압의 반복적인 수행을 통해 외피에어셀(230b)의 외주면에 면접된 괄약근 및 골반저근을 수축 및 이완시켜 근력운동을 하게 되며, 이때 제1제어실(231a)이 가압일 때 제2제어실(231b)은 감압상태로서 제1, 2제어실(231a)(231b)의 내부 공기압 상태를 서로 반대로 작용시켜 반복적인 수행을 하게 된다.The sphygmomanometer 231a and the sphygmomanometer 231b ar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kin air cell 230b through repeated pressurization and depressurization of the inner air pressur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chambers 231a and 231b, When the first control chamber 231a is pressurized, the second control chamber 231b is in the depressurized state and the internal air pressure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chambers 231a and 231b So as to perform repetitive operations.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에어셀(200a) 양측면 각각의 일면에 제2에어셀(200a)의 수평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2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에어셀(200a) 내부의 양측 단턱(241) 하부에 양측단이 밀착되어 제2에어셀(200a)의 내부를 상부공간부(240a)와 하부공간부(240b)로 구획되면서 관통된 다수 개의 통공(243-1)이 형성되는 구획판(243)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공간부(240b)의 양측면 각각의 일면에 제2에어셀(200a)의 수평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측은 수평면(242-1)과 상기 수평면(242-1)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사선으로 절곡되는 하부의 경사면(242-2)으로 연결되는 절첩부(24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간부(240a)와 하부공간부(240b)에 각각 스폰지형 에어필터(210)가 밀집되어 이루어지는 스마트 방석(10)을 제공한다.7, a step 241 protruding inward along the horizont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air cell 200a is formed on one side of each of both sides of the second air cell 200a, and the second air cell 200a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43-1 penetrat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are divided into an upper hollow portion 240a and a lower space portion 240b, And the lower space portion 240b is protruded inward along the horizont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air cell 200a on one side of each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space portion 240b and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horizontal surface 242-1, A folded portion 242 connected to the lower inclined surface 242-2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surface 242-1 and bent in an oblique direction is formed and the upper space 240a and the lower space 240b And a sponge type air filter (210) are closely packed.

상기 제2에어셀(200a)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부(240a)와 하부공간부(240b)로 구획되도록 수평판재형의 구획판(243)을 내부에 설치하며, 이때 구획판(243)이 상부공간부(240a)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기 위해 제2에어셀(200a)의 상부공간부(240a) 하단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241)이 형성된다.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air hole 240a and the lower space 240b so that the partition plate 243 is resiliently deformed. A step 241 protruding i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upper hollow portion 240a of the second air cell 200a is formed to prevent the second air cell 200a from moving to the second air cell 240a.

그리고, 상기 제2에어셀(200a)의 상/하부공간부(240a)(240b) 내부에 각각 개별적인 스폰지형 에어필터(210)가 수용되어 형태를 유지하며, 이때 상기 하부공간부(240b)에 충진된 에어필터(210)의 상면에 구획판(243) 하면이 면접되며, 이때 제2에어셀(200a)의 내부 공기압은 감압된 팽창상태이다.A separate sponge type air filter 21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and lower space portions 240a and 240b of the second air cell 200a to maintain its shape.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24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filter 210. At this time,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is in a decompressed expanded state.

그리고, 상기 하부공간부(240b)의 내부를 연계하여 제1공압모터(420) 및 제2공기배출밸브(421)를 연계하는 제2공기관(220a)이 연결되며, 이들의 작동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되어 제2에어셀(200a)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시켜 제2에어셀(200a)의 팽창 및 수축을 하게 된다.A second air pipe 220a connecting the first air pressure motor 420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space 240b.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second air cell 200a is pressurized or depressurized to expand and contract the second air cell 200a.

그리고, 상기 구획판(243)은 관통된 다수 개의 통공(243-1)이 형성되어 가압 또는 감압시 공기가 상/하부공간부(240a)(240b)로 이동하게 되며, 또한 가압시 구획판(243)이 휘어지거나 복원가능한 탄성을 가진 재질일 수 있다.The partition plate 243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43-1 through which the air moves to the upper and lower space portions 240a and 240b during the pressurization or decompression, 243 may b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at can be bent or restored.

그리고, 상기 제2에어셀(200a)의 하부공간부(240b) 양측에 수평면(242-1)과 경사면(242-2)으로 연결되는 절첩부(242)가 형성되어 하부공간부(240b)의 가압 또는 감압시 하부공간부(240b)가 상하이동을 하여 동시에 상부공간부(240a)가 상하이동을 수행 및 좌우이동을 함께 수행하여 사용자의 골반저근을 수축 및 이완시켜 근력강화운동을 하게 된다.A folded portion 24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pace 240b of the second air cell 200a by a horizontal plane 242-1 and an inclined plane 242-2, Or the lower space portion 240b moves up and down when the pressure is reduced. At the same time, the upper hollow portion 240a carries out the up-and-down movement and the left-right movement together to contract and relax the user's pelvic floor muscle.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진공압모터(410), 제1, 2공압모터(420)(미도시), 제1, 2, 3공기배출밸브(411)(421)(미도시), 진공압센서(412) 및 공압센서(422)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충전단자(441), 충전회로(442), AC/DC 변환기(443), 과충전 방지회로(444), 배터리(445)를 포함하는 충전모듈부(440)가 메인기판(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런 연결 상태에서 충전 전원이 배터리(445)로 공급됨에 따라 스마트 방석(10)의 배터리(445)가 충전된다. 이에, 충전모듈부(440)의 상호 연계 및 작용으로 충전된 배터리(445)를 통해 상기 제어수단(400)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작동하도록 하며, 그리고 이때, 상기 메인기판(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신 단자(460)는 상기 스마트 방석(10)의 메인기판(4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앙처리장치(450)에 입력된 모터 및 밸브들의 작동제어방법 및 센서들의 입력값 등이 저장된 메모리를 외부기기(500)로 전달하거나 수신받게 된다.8, the first and second pneumatic motors 410, first and second pneumatic motors 420 (not shown), first and second and third air discharge valves 411 and 421 (not shown) A charging circuit 442, an AC / DC converter 443, an overcharge prevention circuit 444, and a battery 445 to apply power to the vacuum pressure sensor 412 and the air pressure sensor 422 And the battery 445 of the smart cushion 10 is charged as the charging power is supplied to the battery 445 in such a connected state. The controller module 400 is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430 through the charging module 440. The main module 4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430 through the charging module 440, The communication terminal 4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430 of the smart cushion 10 and stores a memory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method of the motors and valves inputted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50 and the input values of the sensors, And transmitted to or received by the device 500. [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450)에 입력된 진공압모터(410), 제1, 2공압모터(420)(미도시), 제1, 2, 3공기배출밸브(411)(421)(미도시), 진공압센서(412) 및 공압센서(422)의 제어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착석 후 자동 실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상기 제어수단(400)의 제어신호가 중앙처리장치(450)에 입력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pneumatic motors 410 and 421 (not shown), the first and second air vent valves 411 and 421 (not shown) in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50,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eans 400 is subjected to central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user at the time of seating by the user by means of the control signals of the vacuum pressure sensor 412, the vacuum pressure sensor 412 and the air pressure sensor 422. [ Is input to the device 450.

게다가, 외부기기(500)와 접속하여 중앙처리장치(45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수단(400)의 동작신호를 수행하도록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470)를 구비하여 제어수단(400)의 제어신호 입력에 따른 케겔운동모드 선택신호 및 동작 개시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러한 무선통신부(470)는 RF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 지그(ZigBee)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무선통신부(470)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외부기기(500)는 케겔운동모드 선택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탑재되거나 또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제공하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무선통신기기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그램과 UI 화면은 당업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실시 가능한 것이다. 예컨대, PC나 노트북의 바탕화면 혹은 스마트폰이나 PDA의 위젯(widget) 화면에 설치되는 스마트 방석 제어용 아이콘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신호(제1에어셀의 동작과 제2에어셀의 동작) 출력 또는 운동신호 순차출력에 의한 운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모드 선택 신호와 동작개시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UI 화면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신호 출력모드가 생성된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손에 들고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70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500 and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o input a control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50 to perform a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400, A Kegel motion mode selection signal and an operation start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of the Kegel operation mod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70 is configured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70 through any one of an RF scheme, a bluetooth scheme, and a ZigBee scheme.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500 may include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C, a notebook, a smart phone, a PDA, or the like, which is provided with a program capable of transmitting a Kegel exercise mode selection signal or provides a UI (User Interface) desirable. These programs and UI screens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practi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by using a smart cushion control icon installed on a desktop of a PC, a notebook computer, or a widget screen of a smart phone or PDA, a user can output a motion signal (operation of the first air cell and operation of the second air cell) If the user selects one of the motion modes based on the sequential output, it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 UI screen that can transmit the mode selection signal and the operation start signal to the outsid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gram in which the motion signal output mode is generated is configured to be portable with the user's hand.

일예로서, 스마트폰(5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어할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보내는 무선통신부(470)가 포함된 스마트폰 앱으로 스마트 방석(10)의 동작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는 스마트 방석(10)을 제공한다.As an example, a smartphone application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70 that transmits a signal to be controlled by Bluetooth communication us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500 is linked with a smartphone app that controls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smart cushion 10 The smart cushion 10 is provided.

이에,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00) 내에 수용된 메인기판(4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모듈부(440), 중앙처리장치(450), 무선통신부(470) 그리고 케이싱(300) 내부에 진공압모터(410), 제1, 2공압모터(420)(미도시), 제1, 2, 3공기배출밸브(411)(421)(미도시), 진공압센서(412) 및 공압센서(422)를 구비하여, 메인기판(430)에 연결된 스위치를 이용한 직접 조작 또는 무선통신부(470)를 통한 외부기기(500)에 의한 원격 조작에 의한 운동모드의 선택과 동작 개시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운동모드에 따른 제어수단(400)으로 수집된 정보를 무선통신부(470) 또는 통신단자(460)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 및 조건 등을 산출 및 표시하게 된다.5 and 8, a charging module 4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430 housed in the casing 300, a central processing unit 45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70, and a casing 300 (Not shown), first, second and third air discharge valves 411 and 421 (not shown), a vacuum pressure sensor 412, And a pneumatic sensor 422 so as to select a motion mode by a direct operation using a switch connected to the main board 430 or a remote operation by the external device 5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70, And outputs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rol unit 400 according to the motion mod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70 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46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calculate and display the motion state and condition of the user.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스마트 방석 10 제1에어셀 100 요입부 101
에어볼 110 제1공기관 120 제2에어셀 200a
에어필터 210 제2공기관 220a 제3공기관 220b
제어에어셀 430a 외피에어셀 430b 제1제어실 231a
제2제어실 231b 격벽 232 상부공간부 240a
하부공간부 240b 단턱 241 절첩부 242
구획판 243 케이싱 300 제어수단 400
진공압모터 410 제1공기배출밸브 411 진공압센서 412
제1공압모터 420 제2공기배출밸브 421 공압센서 422
메인기판 430 충전모듈부 440 중앙처리장치 450
통신단자 460 무선통신부 470
Smart cushion 10 First air cell 100 Inflow part 101
Air ball 110 First air pipe 120 Second air cell 200a
Air filter 210 Second air pipe 220a Third air pipe 220b
Control air cell 430a Sheath air cell 430b First control chamber 231a
The second control chamber 231b, the partition wall 232, the upper hollow portion 240a
Lower space portion 240b Step 241 Attachment 242
Partition plate 243 casing 300 control means 400
Vacuum pressure motor 410 first air discharge valve 411 vacuum pressure sensor 412
First pneumatic motor 420 Second air discharge valve 421 Pneumatic sensor 422
Main board 430 charging module unit 440 central processing unit 450
Communication terminal 460 Wireless communication part 470

Claims (6)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제1에어셀;,
상기 제1에어셀의 일면에 사용자의 골반저근에 위치하도록 요입부가 마련되어 상기 요입부에 수용되어 제1에어셀 상부로 돌출되는 제2에어셀;,
상기 제1에어셀의 후단에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에어셀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진공압모터와 상기 진공압모터에 작동으로 제1에어셀 내부의 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을 제어하는 제1공기배출밸브 및 상기 제1에어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진공압센서가 구비되며, 그리고 상기 제2에어셀의 내부 공기압을 가압 또는 감압하기 위한 제1공압모터와 상기 제1공압모터에 작동으로 제2에어셀 내부의 공기를 배출 또는 유입을 제어하는 제2공기배출밸브 및 상기 제2에어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공압센서로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
A first air cell on which a user can sit,
A second air cell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ir cell and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user's pelvis,
A casing form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air cell to form a space therein; And
A first air discharge valve provided inside the casing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r inflow of air inside the first air cell by operation of the vacuum air pressure motor, A first pneumatic motor for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second air cell and a second pneumatic motor f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second air cell by operating the first pneumatic motor, A second air discharge valve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the air, and a pneumatic sensor for sensing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air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셀의 내부에는 미세입자형의 에어볼이 충진되어 판재형의 제1에어셀을 형성하고,
상기 제2에어셀 내부에는 스폰지형 에어필터가 밀집되어 수평으로 소정의 길이방향을 가진 막대형의 제2에어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ir cell is filled with a fine particle air ball to form a first air cell of a plate-
And a sponge type air filter is formed in the second air cell so as to be horizontally formed as a second air cel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셀은 내부의 제어에어셀과 상기 제어에어셀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측면을 이격되게 감싸는 외피에어셀로 구획되되, 상기 제어에어셀의 내부에는 스폰지형 에어필터가 밀집되어 제1공압모터와 제2공기배출밸브에 연계되어 제어되고,
상기 외피에어셀은 스폰지형 에어필터가 충진되어 제2공압모터와 제3공기배출밸브에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air cell is divided into an outer control air cell and a sheath air cell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rol air cell, wherein a sponge- 1 is controlled in association with the pneumatic motor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Wherein the jacket air cell is filled with a sponge type air filter and linked to a second pneumatic motor and a third air discharge val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에어셀의 내부 중앙에 제어에어셀의 수평 길이방향으로 수직으로 차단되는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제어에어셀의 내부가 제1제어실과 제2제어실로 구분되어 각각의 제2공기배출밸브에 연계되면서 상기 각각의 제2공기배출밸브를 통합 연계되어 제어하는 제1공압모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The control air cell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a partition wall is formed vertically in the horizontal length direction of the control air cell at an inner center of the control air cell so that the interior of the control air cell is divided into a first control room and a second control room, And a first pneumatic motor connected to the second air discharge valve and integrally controlling the respective second air discharge valves. The smart cushion for a right posture maintaining and kegel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셀 양측면 각각의 일면에 제2에어셀의 수평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에어셀 내부의 양측 단턱 하부에 양측단이 밀착되어 제2에어셀의 내부를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로 구획되면서 관통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구획판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공간부의 양측면 각각의 일면에 제2에어셀의 수평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측은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어 사선으로 절곡되는 하부의 경사면으로 연결되는 절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간부와 하부공간부에 각각 스폰지형 에어필터가 밀집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inward along a horizont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air cell is form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air cell,
And a parti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ir cell at both side end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partition the interior of the second air cell into an upper air space and a lower space,
The lower space portion being protruded inward along the horizontal length direction of the second air cell on one side of each side of the lower space portion, the upper side being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ide and the lower side slop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end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ne,
And a sponge type air filter is densely packed i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충전단자, 충전회로, AC/DC 변환기, 과충전 방지회로, 배터리를 포함하는 충전모듈부가 메인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모듈부와 제어수단 사이에 상호 연계되는 중앙처리장치에 외부기기와 접속하여 중앙처리장치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수단의 동작신호를 수행하도록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harging module including a charging terminal, a charging circuit, an AC / DC converter, an overcharge prevention circuit, and a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harging module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nd in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o perform an operation signal of the control unit. Smart cushion for maintaining correct posture and exercising Kegel.
KR1020170181984A 2017-12-28 2017-12-28 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 Expired - Fee Related KR1020129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84A KR102012961B1 (en) 2017-12-28 2017-12-28 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84A KR102012961B1 (en) 2017-12-28 2017-12-28 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903A true KR20190079903A (en) 2019-07-08
KR102012961B1 KR102012961B1 (en) 2019-08-21

Family

ID=6725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984A Expired - Fee Related KR102012961B1 (en) 2017-12-28 2017-12-28 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9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153B1 (en) * 2019-08-02 2020-07-29 이관우 Lumbar protec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4740B1 (en) 2024-01-04 2025-01-22 최지헌 Chair type massage apparatus with kegel exercise and pelvis correction functio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47B1 (en) 2007-05-18 2008-03-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KR100822820B1 (en) * 2007-11-13 2008-04-18 이신형 Sphincter movemen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2010005199A (en) * 2008-06-27 2010-01-14 Yokohama Rubber Co Ltd:The Cushion and air cells
KR101075114B1 (en) 2008-01-07 2011-10-19 심재헌 Core moving fitness chair
KR101356762B1 (en) * 2013-05-03 2014-02-11 주식회사 동양기업 A chair with air cushion adjustable by air pump
KR101436752B1 (en) 2013-08-16 2014-09-02 윤종연 A exerciser for sphincter intension
US20150141881A1 (en) * 2013-11-15 2015-05-21 Gi Bum Oh Seating apparatu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agnosing and curing urinary incontinence, erectile dysfunction and defecation disorder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847B1 (en) 2007-05-18 2008-03-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KR100822820B1 (en) * 2007-11-13 2008-04-18 이신형 Sphincter movemen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075114B1 (en) 2008-01-07 2011-10-19 심재헌 Core moving fitness chair
JP2010005199A (en) * 2008-06-27 2010-01-14 Yokohama Rubber Co Ltd:The Cushion and air cells
KR101356762B1 (en) * 2013-05-03 2014-02-11 주식회사 동양기업 A chair with air cushion adjustable by air pump
KR101436752B1 (en) 2013-08-16 2014-09-02 윤종연 A exerciser for sphincter intension
US20150141881A1 (en) * 2013-11-15 2015-05-21 Gi Bum Oh Seating apparatu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agnosing and curing urinary incontinence, erectile dysfunction and defecation disord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153B1 (en) * 2019-08-02 2020-07-29 이관우 Lumbar protec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961B1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3027B2 (en) Urine incontinence test treatment and pelvic floor muscle and vaginal muscle biofeedback training device
US9149634B2 (en) Device for strengthening pelvic floor muscl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10290945A1 (en)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90133738A1 (en) Intra-Vaginal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Fecal Incontinence
JP6022710B2 (en) Biofeedback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magnetic stimulator
KR101325581B1 (en) Integrated diagnosis and treatment device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sexual dysfunction through connection to smart phone
US20120215280A1 (en) Urinary incontinence device and method
CN109512444A (en) Probe with pelvic floor muscle contraction monitoring and rehabilitation training functions
US20100174218A1 (en) Pelvic exercise systems and methods
CN108042913B (en) Wearable electronic vapour-pressure type pelvic floor myoelectricity is stimulated appearance
KR101275228B1 (en) Medical devices for strengthening sphincter and chair including the same
CN111714351A (en) A kind of control system of pneumatic massager
WO2020190243A2 (en) An exercise probe for pelvic floor muscles training
KR20190079903A (en) 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
KR101863005B1 (en) Multi-function cushion for medical use
KR102506664B1 (en) A Pelvic floor muscle care device with hemorrhoid treatment function
AU2017258873B2 (en) Expandable cushion massa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54395B1 (en) Apparatus for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having stimulation coil
JP2023529697A (en) Massage machine with perineum massage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CN114305961B (en) A massage chair assisting Kegel training and its control method
CA2350530C (en) Therapeutic sexual device for women
KR200398824Y1 (en) A apparatus for examining and curing urinary incontinence, and for excercising bio-feedback of women vagina muscles
CN219167033U (en) Breast massager
KR20170142314A (en) Urinary Incontinence Treatment and Pelvis Orthopedic Sheets Device
CN222467480U (en) Mass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8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