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84789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789A
KR20190084789A KR1020180002931A KR20180002931A KR20190084789A KR 20190084789 A KR20190084789 A KR 20190084789A KR 1020180002931 A KR1020180002931 A KR 1020180002931A KR 20180002931 A KR20180002931 A KR 20180002931A KR 20190084789 A KR20190084789 A KR 20190084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formation
voice information
receive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용
김수미
황보민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4789A/ko
Priority to US16/007,700 priority patent/US10964319B2/en
Priority to EP18187759.8A priority patent/EP3509061B1/en
Publication of KR20190084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78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10L2015/088Word spot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음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ELECTRIC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드웨어의 발전과 함께, 인간의 사고 과정, 즉 인지, 추론, 학습 등을 컴퓨팅 기술로 구현하는 인공 지능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인공 지능 기술은 그 자체로 연구 대상이 될 뿐만 아니라, 컴퓨터 과학의 다른 분야와 직간접으로 결합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정보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인공지능적 요소를 도입하여, 그 분야의 문제 풀이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인공 지능 기술은 강한 인공지능과 약한 인공지능으로 구분된다. 강한 인공지능은 인간과 유사한 사고 및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술 방식으로, 스스로 학습하여, 스스로 판단을 내리는 수준의 기술이다. 약한 인공지능은 계산 모델을 통하여, 지각, 추론 등의 인지 과정을 수행하여,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수준의 기술이다.
인공 지능 분야는 학습 및 추론 기술, 상황이해 기술, 언어이해 기술, 시각이해 기술, 인식 및 인지 기술 등 5가지 핵심 기술로 분류될 수 있다. 최근에는 언어이해 기술에 해당하는 음성 인식 기능이 적용된 인공 지능 스피커가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 정보에 따라 동작 하는 스피커 형태의 전자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인공 지능 기술이 접목되면서, 사용자의 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이러한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니즈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에 맞추어, 전자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이 개발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동어 이전에 발화된 음성 정보의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동어 없이도 음성 인식이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음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동어와 관련된 주파수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시동어를 나타내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어를 나타내는 음성 정보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가 일치 여부에 근거하여, 시동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를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음성 정보만을 상기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동어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및 음성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어가 감지된 이후,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와 상기 시동어가 감지된 이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를 기준으로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어의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와 상기 시동어가 감지된 이후 수신된 음성 정보를 하나의 음성 정보로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하나의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이 실행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서버에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여부를 선택하도록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음성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카테고리가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음성 정보를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에는,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서로 다른 키워드 정보 및 상기 서로 다른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와, 상기 서로 다른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비교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정보의 인식 수행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 판단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로부터 자주 발화한 음성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주 사용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되는 카테고리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발화자의 목소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와 상기 기 설정된 발화자의 목소리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음성 정보의 음성 인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로부터 맥락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맥락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음성 인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음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마이크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정보의 수신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시동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되기 전, 상기 시동어가 먼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시동어의 감지 이후,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동어의 감지 이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음성 정보에 대해서만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동어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및 음성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성 정보의 발화 후, 시동어가 감지된 경우, 시동어 감지 전 발화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시동어 발화 이후에 음성 정보를 재입력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항시 구동 마이크를 통하여 감지된 음성 정보 중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의 제어 명령 없이도 사용자가 자주 언급하는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를 일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음성인식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제2음성인식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음성인식모드를 실행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음성 정보 및 시동어의 수신 시점에 따른 음성 인식 대상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6은 시동어의 감지 전후에 음성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시동어 없이도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러닝 데이터부(130)는,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데이터 분석, 지능형 의사결정 및 머신 러닝 알고리즘 및 기술을 위해 이용될 정보를 수신, 분류, 저장 및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러닝 데이터 부(130)는 단말기를 통해 수신, 검출, 감지, 생성, 사전 정의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다른 방식으로 출력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다른 구성, 장치 및 단말기에 의하여 수신, 검출, 감지, 생성, 사전 정의 또는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 할 수 있다.
러닝 데이터부(130)는 이동 단말기에 통합되거나, 구비된 메모리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러닝 데이터부(130)는 메모리(17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러닝 데이터부(130)는 이동 단말기(100) 와 관련된 메모리(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된(유선으로(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메모리)에 구현되거나,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포함된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러닝 데이터부(130)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유지되는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방식을 통해 단말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다른 원격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러닝 데이터부(130)는 일반적으로 감독 또는 감독되지 않은 학습, 데이터 마이닝, 예측 분석 또는 다른 머신 러닝 기술에서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식별, 색인화, 분류, 조작, 저장, 검색 및 출력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러닝 데이터부(130)에 저장된 정보는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분석, 기계 학습 알고리즘 및 기계 학습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제어부(180) 또는 이동 단말기에 포함된 복수의 제어부들에 의하여 이용 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 및 기법의 예로는 K 최근접 이웃 시스템(k-Nearest neighbor system), 퍼지 논리(fuzzy logic)(예를 들어, 가능성 이론(possibility theory)), 신경 회로망(neural networks), 볼츠만 머신(Boltzmann machines), 벡터 양자화, 펄스 신경망(pulsed neural nets),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s), 최대-마진 분류기(maximum margin classifiers), 힐 클라이밍(hill-climbing), 유도 논리 시스템(inductive logic systems), 베이지안 네트워크(baysian networks), 페트리 네트(petri nets) (예를 들어, 유한 상태 기계(finite state machines), 밀리 머신(mealy machines), 무어 유한 상태 머신(moore finite state machines)), 분류 트리(classifier trees)(예를 들어, 퍼셉트론 트리(perceptron trees), 서포트 벡터 트리(support vector trees), 마코브 트리(markov trees), 트리-숲 결정(decision tree forests), 랜덤 숲(random forests)), 목마전 모형 및 시스템(pandemonium models and systems), 클러스터링(clustering), 인공 지능 플래닝(artificially intelligent planning), 인공 지능 예측(artificially intelligent forecasting), 데이터 퓨전(data fusion), 센서 퓨전(sensor fusion), 이미지 퓨전(image fusion),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자동 플래닝(automated planning) 등이 있다.
제어부(180)는 데이터 분석, 머신 러닝 알고리즘 및 머신 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결정 또는 생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가능한 동작을 결정 또는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러닝 데이터부(130)의 데이터를 요청, 검색, 수신 또는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 (180)는 지식 기반 시스템, 추론 시스템 및 지식 획득 시스템 등을 구현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불확실한 추론을 위한 시스템(예를 들어, 퍼지 논리 시스템), 적응 시스템, 기계 학습 시스템, 인공 신경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I/O 처리 모듈, 환경 조건 모듈, 음성-텍스트(STT) 처리 모듈, 자연 언어 처리 모듈, 작업 흐름 처리 모듈 및 서비스 처리 모듈 등과 같은 음성 및 자연 언어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서브 모듈들을 포함 할 수 있다. 서브 모듈들 각각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또는 데이터 및 모델, 또는 이들의 서브셋 또는 수퍼셋에 대한 접근권한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모듈들 각각이 접근권한을 가지는 대상은 스케줄링, 어휘 인덱스, 사용자 데이터, 태스크 플로우 모델, 서비스 모델 및 자동 음성 인식(ASR)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 또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브 모듈, 시스템, 또는 데이터 및 모델로 구현 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러닝 데이터부(130)에서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 또는 자연 언어 입력으로 표현된 문맥 조건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것을 검출하고 감지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문맥 조건이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것을 완전히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이끌어 내거나, 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과거 입력 및 출력, 패턴 매칭, 모호하지 않은 단어, 입력 의도 등을 포함하는 과거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것을 검출하고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문맥 조건이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 흐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문맥 조건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것을 충족시키기 위한 작업 흐름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memistor, memristors, 상호 컨덕턴스 증폭기, 펄스 형 신경 회로, 인공지능형 나노 기술 시스템(예를 들어, 자율 나노머신) 또는 인공지능형 양자 기계 시스템(예를 들어, 양자 신경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러닝 데이터 프로세스를 위한 전용 하드웨어 요소를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머신 비전 시스템, 음향 인식 시스템, 필기 인식 시스템, 데이터 융합 시스템, 센서 융합 시스템 및 소프트 센서와 같은 패턴 인식 시스템을 포함 할 수 있다. 머신 비전 시스템은 컨텐츠 기반 이미지 검색, 광학 문자 인식, 증강 현실, 자체 운동(egomotion), 트래킹 및 광학 흐름(optical flow)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센싱부(140)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또는 다른 정보를 감지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 무선 신호, 무선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입력부로부터 영상 정보(또는 해당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해당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를 처리 또는 분류(예를 들어, 지식 그래프, 명령어 정책, 개인화 데이터베이스, 대화 엔진 등)하고, 상기 처리 또는 분류된 정보를 메모리(170) 또는 러닝 데이터 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러닝 데이터부(130)는 데이터 분석, 머신 러닝 알고리즘 및 머신 러닝기술을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이 결정되면, 제어부(180)는 이러한 결정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어 명령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결정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특정 동작이 수행되면, 데이터 분석, 머신 러닝 알고리즘 및 머신 러닝기술을 통하여, 특정 동작의 수행을 나타내는 이력 정보를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의 학습된 정보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80)는 러닝 데이터 부(130)와 함께, 업데이트 된 정보에 기반한 데이터 분석, 머신 러닝 알고리즘 및 머신 러닝 기술의 미래 성능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를 일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바디부(200)의 외측면에 사용자 입력부(123), 음향 출력부(152) 및 광 출력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사용자 입력부에 대하여, 각각 제1사용자 입력부(123a), 제2사용자 입력부(123b) 및 제3사용자 입력부(123c)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광 출력부(154)도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 제1광출력부(154a) 및 제2광출력부(154b)라고 명명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부 및 광 출력부를 총칭하는 경우, 도면 부호 123 및 15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디부(200)는 원통형일 수 있으며, 그 자체가 울림통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200)는 디자인을 고려하여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2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200)는 원통의 측면을 이루는 제1영역(210), 원통의 밑면을 이루는 제2영역(220) 및 상기 2영역(220)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통의 또 다른 밑면을 이루는 제3영역(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20)과 상기 제3영역(230)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을 외측면, 상기 제2영역(220) 및 제3영역(230)을 외측 상면 및 외측 하면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제1, 제2 및 제3영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영역(210)에는, 제3사용자 입력부(123c), 제2광 출력부, 적외선 출력부 및 음향 출력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광 출력부 및 음향 출력부(152)는 서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광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는 음향 출력부(152)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며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설계자의 설계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광 출력부 및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부(200)의 제1영역(2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부(200)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소리가 출력되도록 형성되고, 제2광 출력부는 바디부(200)를 기준으로 사방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사용자 입력부(123c)는 제1영역(2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사용자 입력부(123c)는 바디부(200)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사용자 입력부(123c)를 회전시켜, 오디오 장치(100)의 음량을 크게하거나, 작게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출력부는 적외선 신호가 사방으로 출력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역(210)의 상단에 적외선 출력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b와 같이, 제1영역(210)의 상단 중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외선 출력부는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 외부 기기에 적외선 신호가 도달하도록 적외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출력부의 배치 위치는 당업자의 설계에 의하여 적외선 신호가 사방으로 출력될 수 있는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2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사용자 입력부(123a, 123b), 제1광출력부 및 온도/습도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의 시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2영역(22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주변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부(123a, 123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눌림 조작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버튼식으로 형성되거나, 터치 조작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터치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사용자 입력부(123a, 123b)는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사용자 입력부(123a)는 음성 인식을 중단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이고, 상기 제2사용자 입력부(123b)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일 수 있다.
상기 제1광출력부(154a)는 상기 제2영역(220)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광출력부(154a)는 제2영역(200)의 외곽을 둘러싸는 띠(band)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광출력부는 제2영역(200)이 원형인 경우, 원을 둘러싸는 띠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광출력부는 광원에서 빛이 방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으로 LED(light emitted diode)가 이용될 수 있다. 광원은 광 출력부의 내주면에 위치하고, 광원에서 출력된 빛은 광출력부를 통과하여 외부를 비추게 된다. 이러한 광 출력부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출력부는 오디오 장치(100)에서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광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에서 음성 인식이 수행되는 중인 경우, 적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00)에서 수정 명령을 대기 중인 경우, 노란색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온도/습도 센서는 외부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외부와 직접 닿을 수 있는 제2영역(220)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영역(23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수신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및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160), 음향 수신을 위한 오디오 입력부(마이크) 등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기 설명은 오디오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들의 배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100)에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음성인식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100)는 일반적인 마이크 또는 항시 구동 마이크(always on microphone)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항시 구동 마이크는 전자 장치의 전원이 공급되면, 저전력으로 항상 음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마이크이다. 상기 전자 장치(100)는 항시 구동 마이크(122)를 통하여 언제든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항시 구동 마이크 이외에도 일반적인 마이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항시 구동 마이크(122)를 마이크(122)라는 용어로 설명하며,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마이크(122)는 항시 구동 마이크(122)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장치(100)는 음성 인식을 통하여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은 마이크 등의 소리 센서를 통하여 수신한 음향 신호를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하고, 상기 단어나 문장으로 변환된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음성 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음성 인식을 진행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음성 인식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대상이 되는 음성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인식 서버는,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음성 인식 서버는 생성된 음성 명령을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음성 인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음성 명령에 근거하여, 음성 정보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80)가 음성 인식 서버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진행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어부가 자체적으로 구비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음성을 인식할 수 있음도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음성 인식 기능이 실행된 상태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제1음성인식모드 및 제2음성인식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음성인식모드는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상태를 음성 인식 기능의 시작을 위하여, 시작 신호를 감지하는 대기 상태와 음성 정보를 분석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대기 상태는 음성 인식 기능의 시작을 위한 시작 신호를 감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대기 상태에서는, 항시 구동 마이크(122)를 통하여,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시작 신호는 전자 장치(100) 마다 또는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마다 서로 다른 음성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신호는 “하니야”라는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일 수 있다. 이렇게 시작 신호를 단어 형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시동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면, 대기 상태에서 음성 인식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하니야”라는 음성과 기 설정된 시작 신호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경우, 대기 상태에서 음성 인식 상태로 전환하고,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기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하니야”라는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하니야”라는 음성 신호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하니야”라는 음성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음성이 기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기 저장된 음성 정보에는, 시동어와 관련된 주파수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기 저장된 음성 정보의 주파수 및 파형과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된 “하니야”를 나타내는 음성 정보의 주파수 및 파형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기저장된 음성 정보와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시동어가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기 상태에서는 음성 인식이 수행되지 않고, 음성 인식 상태에서만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성을 인식한다’ 또는 ‘음성을 분석한다’라는 용어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음성 정보의 의미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음성 명령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음성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음성을 감지한다’라는 용어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음성이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동작 및 기 저장된 음성 정보(주파수 또는 파형)와 수신된 음성의 음성 정보(주파수 또는 파형)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에 수신된 음성 정보는, 음성 정보에 대한 의미 분석이 진행되지 않고, 주파수 또는 파형의 일치 여부만이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음성에 대한 의미 분석을 수행하지 아니함으로써,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상태에서,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상태에서 “오늘 날씨가 어때?”라는 음성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음성 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 “오늘 날씨는 맑음 입니다”라는 음성 정보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생성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시동어가 감지된 이후에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만을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한다. 즉,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이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해서만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80)는 대기 상태, 즉,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음성인식모드에서는 시동어가 수신되기 전 마이크(122)를 통하여 감지된 음성 정보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았다. 이하에서는, 시동어가 수신되기 전 마이크(122)를 통하여 감지된 음성 정보를 인식하는 제2음성인식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2음성인식모드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음성인식모드를 실행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제2음성인식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성 인식 기능이 제2음성인식모드로 동작함을 가정하고, 제2음성인식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음성인식모드로 동작 중, 상기 제어부(180)는 시동어가 수신되기 전, 대기 상태에서 마이크(122)를 통하여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0).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하여 곧바로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가 기 저장된 음성 정보(주파수 또는 파형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에 시동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에 시동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의 수신 이후, 시동어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의 수신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실행할 수 있다(S330). 즉,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은 전자 장치의 공장 출고 시 미리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 설정된 시간은 2~3초 정도의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의 수신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면, 음성 인식을 위하여, 시동어의 감지 전 수신된 음성 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를 특정 버퍼에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시동어가 감지된 이후에 상기 음성 정보를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70)에는 항시 구동 마이크(122)에서 수신된 음성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특정 버퍼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특정 버퍼에 저장된 음성 정보는, 음성 정보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음성 정보의 수신 시간이 오래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버퍼에 저장된 불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삭제함으로써, 메모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인식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응답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 장치(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와 같이, 제어부(180)는 대기 상태에서 ‘오늘 날씨 어때?’라는 음성 정보를 수신한 후, 도 4의 (b)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인 ‘하니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오늘 날씨 어때?’라는 음성의 음성 인식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c)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의 분석 결과 정보로 ‘오늘 날씨는 맑음 입니다’라는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시동어를 먼저 입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도,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수신 이전에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경우, 시동어의 수신 이전에 수신된 모든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음성 정보에 대해서만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동어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및 음성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동어의 수신 시점에서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된 음성 정보일 조건이 될 수 있다. 또는 기 설정된 조건은 시동어가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수신된 문장에 해당하는 음성일 조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수신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 시간 구간 이전에 발화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수신 시점 이전에 수신된 음성 정보 중 가장 최근에 수신된 문장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에 대해서만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시동어 발화 직전에 발화된 문장만을 선택적으로 음성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항시 구동 마이크(122)를 통하여 수신된 모든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음성에 대해서만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의 수신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으면, 특정 버퍼에 저장된 음성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음성 정보의 수신 이후에 시동어가 수신된 경우, 음성 정보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동어를 발화하지 않고, 음성 명령의 입력을 시도한 후, 시동어를 나중에 발화하는 경우에도 음성 명령의 재입력 없이도,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음성 인식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시동어의 감지 전후에 음성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음성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음성 정보 및 시동어의 수신 시점에 따른 음성 인식 대상을 나타낸 개념도들이다. 도 6은 시동어의 감지 전후에 음성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대기 상태에서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후에 음성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시동어가 감지된 시점인 t0를 기준으로 t0보다 이전 시점인 t1에 제1음성정보의 수신 시작을 감지하고, 시동어가 감지된 시점인 t0보다 이후 시점인 t3에 제2음성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t1시점부터 t2시점까지 “오늘 날씨는 어때?”라는 제1음성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80)는 제1음성정보의 수신 종료 시점인 t2 이후 제1시간구간(S)인 t0 시점에 시동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t0 시점에 “하니야”라는 시동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시간구간(S)은, 전자 장치에서 구동되는 음성 인식 기능마다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시동어를 감지한 t0 시점을 기준으로, t0 시점 이전의 기 설정된 시간 구간(T) 동안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구간(T)은 전자 장치(1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시동어가 감지되면, 시동어의 감지 시점인 t0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 구간(T) 내에서 감지된 제1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80)는 제1음성정보의 수신 종료 시점인 t2 이후 제1시간구간(S) 경과 후, 시동어가 감지되는 경우, 제1음성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제어부(180)는 제1음성정보의 수신 종료 시점인 t2를 기준으로, 제1시간구간(S)이 경과된 이후, t0 시점에 시동어가 감지되는 경우, 제1음성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시동어 감지 시점(t0) 이후에 수신된 제2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인식 만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구간(T)에서 복수의 음성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T) 이내에 “오늘 날씨 어때?” 및 “그리고 비도 오나?”라는 두 개의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T) 이전에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이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시점(t0) 이후, 제2시간(K) 이내에 첫음절이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해서만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시간(K)은 제1시간(S)과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에서 구동되는 음성 인식 기능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시점(t0)을 기준으로 제2시간구간(K) 이내인 t3 시점에 제2음성정보의 수신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2음성정보는, t3시점에서 시작되어 t4시점 사이에 수신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이후에 수신된 모든 음성 정보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시동어의 감지 이후, 제2시간구간(K) 이내에 음성 정보의 수신이 시작된 음성 정보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제어부(180)는 제2시간구간(K) 이내에 음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다시 대기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와 같이,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시점(t0)을 기준으로 제2시간구간(K) 경과된 이후, 제2음성 정보를 수신한 경우, 시동어의 감지 시점(t0) 이전에 감지된 제1음성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시점인 t0를 기준으로 t2 이전에 가장 최근에 수신된 음성 정보 및 t2 이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 전부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시점인 t0 시점 이전에 제1음성 정보와 제2음성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t0 시점을 기준으로, 각각의 음성 정보를 문장으로 구분하고, 가장 최근에 수신된 음성 정보인 제2음성정보에 대해서만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다양한 조건들에 따라 음성 인식의 대상이 되는 음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동어의 감지 시점 이전에 수신된 음성 정보들 중 어떠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조건은 전자 장치의 공장 출고 시 설정된 값을 따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t0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 구간(T) 이내에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조건으로 설정된 것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시점 전후에 음성 정보가 각각 수신되는 경우, 시동어의 감지 시점 전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하여 각각 별개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시점 전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를 단어 단위로 실시간으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음성 인식 서버는 각 단어 단위의 음성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시점 전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를 하나의 음성 정보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감지 시점 전후 소정 시간 구간(예를 들어, 한 문장을 발화하는데 소요되는 일반적인 시간) 동안에 수신된 음성 정보를 하나의 음성 정보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오늘’이라는 음성을 발화한 이후, 시동어인 ‘하니야’를 발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c)와 같이, 사용자는 시동어의 발화 이후 연속적으로 ‘날씨 어때?’라는 음성을 발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시동어의 발화 시점 전후에 소정 시간 구간 내에 발화된 ‘오늘’ 및 ‘날씨 어때?’라는 문장을 하나의 문장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음성 인식 서버는 ‘오늘 날씨 어때?’라는 음성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응답 정보로 ‘오늘 날씨는 맑음 입니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의 (d)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오늘 날씨는 맑음 입니다’라는 응답 정보가 수신되면,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동어를 발화하지 않고, 음성 명령의 입력을 시도하는 중 시동어를 발화하고, 이어서 문장을 계속 발화하는 경우, 시동어의 발화 전후의 음성 정보를 하나의 음성 정보로 인식함으로써, 음성 정보의 의미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음성인식모드에서 음성 인식의 수행 결과를 출력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제2음성인식모드에서 음성 인식이 수행되는 경우, 음성 출력부를 통하여 음성 인식의 수행 결과 정보인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음성을 발화하지 않는 시점에 상기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응답 정보가 생성되면, 사용자가 음성을 발화하는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음성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음성 발화를 종료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음성 발화의 종료 시점에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오늘 날씨 어때? 하니야’라는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생성하고, 응답 정보의 생성 이후, 사용자의 음성 발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음성 발화가 종료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오늘 날씨는 맑음입니다’라는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 수신 후, 새로운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응답 정보를 출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오늘 날씨 어때? 하니야’라는 음성 정보의 수신 이후, 곧바로 ‘그리고 날씨랑 옷차림 정보도 알려줘’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그리고 날씨랑 옷차림 정보도 알려줘’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된 후, ‘오늘 날씨 어때?’ 및 ‘그리고 날씨랑 옷차림 정보도 알려줘’에 대한 각각의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음성 발화와 전자 장치(100)의 응답 정보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응답 정보의 출력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음성으로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정보의 수신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는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곧바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오늘 날씨 어때? 하니야’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제2음성인식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오늘 날씨 어때?’ 에 대한 음성 인식을 곧바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음성 인식의 실행 여부를 묻는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곧바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의도를 한번 더 파악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알림 정보의 출력 후, 음성 인식을 시작하기 위한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예를 들어 ‘응’)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음성 인식을 시작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로 ‘오늘 날씨는 맑음입니다’라는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음성인식모드에서 음성 인식 수행 후, 음성 인식의 수행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제2음성인식모드에서 시동어 없이도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시동어 없이도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 없이도, 사용자가 자주 언급하는 주제와 관련된 음성과 관련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9와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대기 상태에서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10).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에는, 시동어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하여,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가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20).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70)에는 음성 정보의 주제별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날씨 카테고리, 여행 카테고리, 쇼핑 카테고리 등 음성 정보의 주제별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이러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에 대하여 시동어 없이도 곧바로 음성 인식을 시작할 수 있는 카테고리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정보를 음성 인식을 시작할 수 있는 카테고리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고, 자주 발화한 카테고리 정보를 음성 인식을 시작할 수 있는 카테고리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관심 있게 생각하는 카테고리에 대하여, 사용자의 별도의 제어 명령 없이도, 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에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식별할 수 있는 키워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 카테고리에는, 점심, 저녁, 식사 등의 키워드 정보가 설정되어 있고, 여행 카테고리에는, 여행, 기차, 비행기 등의 키워드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에는 이러한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주파수 또는 파형)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와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음성 정보가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임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에 카테고리가 기 설정된 카테고리인 경우, 상기 음성 정보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S930). 상기 제어부(180)는 대기 상태에서 음성 정보에 대한 카테고리가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면, 음성 인식을 위하여, 상기 음성 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음성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와 같이, 제어부(180)는 ‘오늘 날씨 어때?’라는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가 기 설정된 카테고리인 날씨에 해당하는 경우, 시동어의 감지 없이도, 곧바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8의 (b)와 같이, 제어부(180)는 음성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로 ‘오늘 날씨는 맑음 입니다’라는 응답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시동어 없이도 자주 발화하는 주제와 관련된 음성이나,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음성이 감지되면,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음성의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시동어 없이도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목소리에 따라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특정 사용자의 목소리로 발화된 음성에 대해서만, 시동어 없이도 음성 인식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70)에는 특정 사용자의 목소리 정보, 예를 들어, 음의 높이, 음의 세기, 음색, 주파수 등 목소리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대기 상태에서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음성 정보의 목소리 정보가 기 저장된 목소리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정보의 목소리 정보와 기 저장된 목소리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시동어의 감지 없이도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도 상기 제어부(180)는 음성 정보의 목소리 정보와 기 저장된 목소리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의 제어부(180)는 특정 사용자의 목소리 및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에 근거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대기 상태에서 수신된 음성 정보가 기 저장된 목소리 정보와 일치하고,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가 기 설정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100)는 전자 장치(100)가 비인증된 사용자의 음성에 의하여 동작하지 않게 함으로써, 전자장치(100)의 보안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인증된 사용자의 음성 중 관심도 높은 카테고리와 관련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근거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대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대화 정보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음성 인식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대화 정보의 맥락 정보에 근거하여,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 가능한 기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수행 가능한 기능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대화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대화 정보의 맥락이 특정 정보의 검색에 대한 부정적인 대답으로 종료되는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제어부(180)는 대화 정보의 맥락이 특정 정보의 검색에 대한 긍정 대답으로 종료되는 경우, 시동어의 발화 없이도, 대화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성 정보의 발화 후, 시동어가 감지된 경우, 시동어 감지 전 발화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시동어 발화 이후에 음성 정보를 재입력하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더라도, 항시 구동 마이크를 통하여 감지된 음성 정보 중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의 제어 명령 없이도 사용자가 자주 언급하는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1)

  1.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
    음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마이크 ;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어와 관련된 주파수 및 파형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시동어를 나타내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어를 나타내는 음성 정보와,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가 일치 여부에 근거하여, 시동어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를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음성 정보만을 상기 기 설정된 음성 인식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동어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및 음성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어가 감지된 이후,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와 상기 시동어가 감지된 이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를 기준으로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어의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와 상기 시동어가 감지된 이후 수신된 음성 정보를 하나의 음성 정보로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하나의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이 실행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서버에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여부를 선택하도록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음성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카테고리가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음성 정보를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에는,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서로 다른 키워드 정보 및 상기 서로 다른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와, 상기 서로 다른 키워드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비교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정보의 인식 수행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의 카테고리 판단 결과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로부터 자주 발화한 음성의 카테고리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주 사용하는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되는 카테고리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발화자의 목소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정보와 상기 기 설정된 발화자의 목소리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음성 정보의 음성 인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음성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음성 정보로부터 맥락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맥락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음성 인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음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마이크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정보의 수신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시동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시동어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정보가 수신되기 전, 상기 시동어가 먼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시동어의 감지 이후,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동어의 감지 이후에 수신된 음성 정보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시동어가 감지되기 전, 수신된 음성 정보 중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음성 정보에 대해서만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시동어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및 음성의 수신 시점과 관련된 조건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0002931A 2018-01-09 2018-01-0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ithdrawn KR20190084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31A KR20190084789A (ko) 2018-01-09 2018-01-0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6/007,700 US10964319B2 (en) 2018-01-09 2018-06-13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8187759.8A EP3509061B1 (en) 2018-01-09 2018-08-07 Electronic device for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931A KR20190084789A (ko) 2018-01-09 2018-01-0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789A true KR20190084789A (ko) 2019-07-17

Family

ID=6340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931A Withdrawn KR20190084789A (ko) 2018-01-09 2018-01-09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64319B2 (ko)
EP (1) EP3509061B1 (ko)
KR (1) KR201900847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482A1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133A (ko) * 2017-12-08 2019-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음소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681870B2 (en) * 2018-01-26 2023-06-20 Ensono, Lp Reducing latency and improving accuracy of work estimates utiliz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JP7186375B2 (ja) * 2018-03-29 2022-1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音声処理装置、音声処理方法および音声処理システム
CN108600911B (zh) 2018-03-30 2021-05-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输出方法及电子设备
JP7055721B2 (ja) * 2018-08-27 2022-04-18 京セラ株式会社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その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722595B1 (ko) * 2018-10-31 2024-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16248B2 (en) * 2018-11-20 2021-02-09 Bose Corporation Wake-up word detection
TWI713016B (zh) * 2019-01-03 2020-12-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語音偵測處理系統與語音偵測方法
TWI684912B (zh) * 2019-01-08 2020-02-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語音喚醒裝置及方法
EP4187534B1 (en) * 2019-02-06 2024-07-24 Google LLC Voice query qos based on client-computed content metadata
CN109767769B (zh) * 2019-02-21 2020-1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WO2020204907A1 (en) 2019-04-01 2020-10-08 Google Llc Adaptive management of casting requests and/or user inputs at a rechargeable device
US10964324B2 (en) * 2019-04-26 2021-03-30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topic-based verbal interaction with a virtual assistant
KR102246936B1 (ko) * 2019-06-20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성 인식 방법 및 음성 인식 장치
CN112216277A (zh) * 2019-07-12 2021-01-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过耳机进行语音识别的方法、耳机、语音识别装置
CN110610710B (zh) * 2019-09-05 2022-04-01 晶晨半导体(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自学习语音识别系统的构建装置和构建方法
CN110568832A (zh) * 2019-09-27 2019-12-13 海尔优家智能科技(北京)有限公司 远程控制器、协调器、智能家居设备及远程控制系统
GB2586084B (en) 2019-09-30 2021-08-18 Kano Computing Ltd Touch sensitive audio-visual input/output device and method
US20210158803A1 (en) * 2019-11-21 2021-05-27 Lenovo (Singapore) Pte. Ltd. Determining wake word strength
KR102862238B1 (ko) * 2020-01-21 2025-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640426A (zh) * 2020-06-10 2020-09-08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CN111757301B (zh) * 2020-06-28 2024-01-09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通讯控制方法、系统以及车辆
CN111951802A (zh) * 2020-08-10 2020-11-17 山东金东数字创意股份有限公司 基于ai语音识别的可视化表现系统和方法
EP3989218A1 (de) * 2020-10-21 2022-04-27 Deutsche Telekom AG Bedienungsfreundlicher virtueller sprachassistent
US20220165263A1 (en) * 2020-11-25 2022-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2489650B (zh) * 2020-11-26 2024-06-18 北京小米松果电子有限公司 唤醒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3889116A (zh) * 2021-09-15 2022-01-04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语音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12307386B2 (en) * 2022-03-25 2025-05-20 Rockwell Collins, Inc. Voice recognition of situational awareness
CN117334182A (zh) * 2022-06-25 2024-01-02 华为技术有限公司 语音交互方法及相关装置
CN119049459B (zh) * 2024-07-09 2025-07-04 荣耀终端股份有限公司 一种语音唤醒方法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46303B1 (ko) 2013-02-07 2024-12-26 애플 인크. 디지털 어시스턴트를 위한 음성 트리거
US9703350B2 (en) 2013-03-15 2017-07-11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Always-on low-power keyword spotting
US10192546B1 (en) * 2015-03-30 2019-01-29 Amazon Technologies, Inc. Pre-wakeword speech processing
US9691378B1 (en) * 2015-11-05 2017-06-27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vely ignoring captured audio data
US10365887B1 (en) * 2016-03-25 2019-07-30 Amazon Technologies, Inc. Generating commands based on location and wakeword
US10282165B2 (en) 2016-04-06 2019-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 displaying of push notifications
WO2017197184A1 (en) 2016-05-13 2017-11-16 Google Llc Led design language for visual affordance of voice user interfaces
KR102562287B1 (ko) * 2016-10-14 202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KR102847032B1 (ko) * 2017-01-17 2025-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발화 완료 감지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10467509B2 (en) * 2017-02-14 2019-1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ationally-efficient human-identifying smart assistant computer
US20180357998A1 (en) * 2017-06-13 2018-12-13 Intel IP Corporation Wake-on-voice keyword detection with integrated language identification
US10510340B1 (en) * 2017-12-05 2019-12-17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wakeword detection
US20190295540A1 (en) * 2018-03-23 2019-09-26 Cirrus Logic International Semiconductor Ltd. Voice trigger valid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482A1 (ko) * 2020-11-25 2022-06-02 삼성전자(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64319B2 (en) 2021-03-30
EP3509061A1 (en) 2019-07-10
US20190214002A1 (en) 2019-07-11
EP3509061B1 (en) 2020-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431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89041B1 (ko) 이동단말기 및 머신 러닝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US10462568B2 (en) Terminal and vehicle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using machine learning
KR102384643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84641B1 (ko) 다국어 처리를 수행하는 인공 지능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1289074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pparatus for performing speech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US1046457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ing machine learning fo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users located within a specific space
KR102695966B1 (ko) 안내 로봇 및 안내 로봇의 동작 방법
KR102390685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8565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69309B1 (ko) 파셜 랜딩 후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7344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9016343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511517B1 (ko) 음성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210287665A1 (en) Voice recognition system
KR20190031829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6860913A (zh) 语音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11736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3274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035363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1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