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96540A - 원자층 증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층 증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540A
KR20190096540A KR1020180016116A KR20180016116A KR20190096540A KR 20190096540 A KR20190096540 A KR 20190096540A KR 1020180016116 A KR1020180016116 A KR 1020180016116A KR 20180016116 A KR20180016116 A KR 20180016116A KR 20190096540 A KR20190096540 A KR 20190096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supply
supply
atomic layer
layer de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창길
공대영
Original Assignee
(주)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울텍 filed Critical (주)울텍
Priority to KR102018001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6540A/ko
Publication of KR2019009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54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23Pulsed gas flow or change of composition over time
    • C23C16/45525Atomic layer deposition [ALD]
    • C23C16/45544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 C23C16/45548Atomic layer deposition [ALD]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having arrangements for gas injection at different locations of the reactor for each ALD half-rea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12Details relating to the exhausts, e.g. pumps, filters, scrubbers, particle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02Flow conditions in reaction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55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introducing gases into reaction chamber or for modifying gas flow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02Flow conditions in reaction chamber
    • C23C16/45504Laminar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52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층 증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 공정가스의 혼합(예를 들어, 소스가스 A 및 소스가스 B의 혼합)에 의해, 예측하지 못한 화학기상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피하면서도(즉, 원자층 증착공정을 정상적으로 진행시키면서도),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증가에 맞추어,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의 시간 소요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공정시간 지연에 따른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자층 증착 시스템{Atomic layer deposition system}
본 발명은 원자층 증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 공정가스의 혼합(예를 들어, 소스가스 A 및 소스가스 B의 혼합)에 의해, 예측하지 못한 화학기상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피하면서도(즉, 원자층 증착공정을 정상적으로 진행시키면서도),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증가에 맞추어,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의 시간 소요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공정시간 지연에 따른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다양한 유형의 원자층 증착 시스템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13282호(명칭: 공정 가스 배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자층 적층 방법 및 원자층 적층 장치)(2006.2.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21210호(명칭: 대체적 ALD 반응기들 내에서 에지 균일도 조정을 위한 조성 매칭된 커튼 가스 혼합물들)(2017.2.27.자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795487호(명칭: 층류유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학기상증착반응기)(2008.1.16.자 공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6257호(명칭: 수평 흐름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2015.7.13.자 공고), 미국등록특허 제5711811호(명칭: 박막 성장용 장치 및 방법)(1998.1.27.자 등록) 등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원자층 증착 시스템들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층 증착 시스템(1)은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W), 가스 공급 포트(7), 가스 펌핑 포트(3) 등을 구비하는 공정챔버(C), 공정가스, 예를 들어,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G3) 등을 보관하는 가스 보관용기(5), 가스공급 개폐밸브(6)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보관용기(5)와 가스 공급 포트(7)를 연결하면서, 가스공급 개폐밸브(6)의 개폐상태에 따라, 가스 보관용기(5)에 보관되어 있던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G3) 등을 공정챔버(C) 측으로 공급하는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9), 상기 가스 펌핑 포트(3)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9)을 통해 공급된 상기 공정챔버(C) 내부의 공정가스, 즉,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G3) 등을 외부로 펌핑하는 진공펌프(4), 가스공급 개폐밸브(6) 및 진공펌프(4)와 전기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면서,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6), 진공펌프(4) 등을 제어하는 공정 컨트롤러(8)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공정 컨트롤러(8) 측에서는 가스공급 개폐밸브(6)의 개폐상태, 진공펌프(4)의 펌핑상태 등을 제어하면서, 예를 들어, <소스가스 A(G1)를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하여, 해당 소스가스 A(G1)를 기판(W)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스텝>, <퍼지가스 P(G3)를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하여, 소스가스 A(G1)의 불필요한 반응 잔여물, 불필요한 물리적 결합물질 등을 제거하는 스텝>, <소스가스 B(G2)를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하여, 해당 소스가스 B(G2)를 기판(W)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스텝>, <퍼지가스 P(G3)를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하여, 소스가스 B(G2)의 불필요한 반응 잔여물, 불필요한 물리적 결합물질 등을 제거하는 스텝> 등으로 이루어진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을 복수 회(예컨대, 10 단위사이클~1000 단위사이클) 반복 진행시킴으로써, 원자층 증착대상 기판(W) 상에 원하는 두께의 원자층 증착막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 컨트롤러(8) 측에서는 일정 시간(예컨대, 10초~20초)이 불가피하게 소요되는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소스가스 A 공급→퍼지가스 P 공급→소스가스 B 공급→퍼지가스 P 공급)을 복수 회(예컨대, 10 단위사이클~1000 단위사이클) 반복 진행시켜, 기판(W) 상에 원자층 증착막을 형성시키게 되는 바, 이 경우,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전체적인 공정시간이 길어지고, 그 여파로, 전체적인 제품 생산량이 대폭 저하되는 피해, 전체적인 제품 양산 수율이 대폭 저하되는 피해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은 기판(W)의 사이즈가 대면적화 될수록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방안이 모색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다른 조치 없이, 공정가스, 즉,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등의 공급속도(V2)를 빠르게 조절할 경우, 진공펌프(4)에 의한 공정가스 펌핑속도(V1)가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 P 등의 공급속도(V2)를 감당할 수 없게 됨으로써, 결국,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측에서는 공정챔버(C) 내에 정체되어, 서로 섞이는(서로 혼합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물론,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등이 공정챔버(C) 내에 정체되어, 서로 섞이게 되는 경우, 기판(W) 측에서는 원자층 증착공정(ALD 공정)이 아니라, 화학적기상증착 공정(CVD 공정)을 엉뚱하게 겪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기판(W) 상에 자신이 원하는 원자층을 전혀 형성시킬 수 없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배경 하에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105497호(명칭: 공간적인 원자 층 증착 또는 펄스형 화학 기상 증착을 사용하는 필름 증착)(2016.9.6.자 공개)에서는 <각각의 소스가스 공급 노즐을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이를 병렬로 나열한 후, 연속적으로 소스가스 및 퍼지가스를 공급하면서, 병렬 노즐 하부에 기판을 위치시킨 후, 병렬 노즐을 이동시키거나, 기판을 이동시켜, 각 공정스탭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105497호에서 제안한 기술은 예를 들어, <공정챔버 내부에서, 노즐 또는 기판을 공정사이클 수만큼 왕복이동 및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파티클 발생을 불가피하게 허용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최종 생성되는 박막의 품질/특성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점>, <노즐/기판을 회전/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공정속도가 기구물들의 기계적/물리적 조건에 맞추어 제한될 수밖에 없게되는 문제점>, <노즐 또는 기판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용 사각 기판에는 적용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 <노즐을 이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시스템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 <양쪽 끝 부분에서 한가지 소스가스만 공급되기 때문에, 기판 전체에 걸친 균일한 박막형성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 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두루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105497호를 별다른 조치 없이, 현실 공정에 곧 바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게 된다.
요컨대, 종래의 체제 하에서,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의 시간 소요 문제가 순조롭게 해결되지 아니하는 한,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그에 기인한 각종 피해(예컨대,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를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105497호(명칭: 공간적인 원자 층 증착 또는 펄스형 화학 기상 증착을 사용하는 필름 증착)(2016.9.6.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13282호(명칭: 공정 가스 배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자층 적층 방법 및 원자층 적층 장치)(2006.2.9.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21210호(명칭: 대체적 ALD 반응기들 내에서 에지 균일도 조정을 위한 조성 매칭된 커튼 가스 혼합물들)(2017.2.27.자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795487호(명칭: 층류유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학기상증착반응기)(2008.1.16.자 공고)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36257호(명칭: 수평 흐름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2015.7.13.자 공고) 미국등록특허 제5711811호(명칭: 박막 성장용 장치 및 방법)(1998.1.27.자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 공정가스의 혼합(예를 들어, 소스가스 A 및 소스가스 B의 혼합)에 의해, 예측하지 못한 화학기상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피하면서도(즉, 원자층 증착공정을 정상적으로 진행시키면서도),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증가에 맞추어,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의 시간 소요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공정시간 지연에 따른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 및 가스 공급 포트, 그리고, 가스 펌핑 포트를 구비하는 공정챔버와; 공정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보관용기와; 가스공급 개폐밸브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보관용기와 상기 가스 공급 포트를 연결하는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과; 상기 가스 펌핑 포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을 통해 공급된 상기 공정챔버 내부의 공정가스를 외부로 펌핑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및 펌핑속도를 제어하는 공정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공정가스의 펌핑속도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 및 가스 공급 포트, 그리고, 가스 펌핑 포트를 각기 구비하는 독립된 공정챔버가 복층으로 적층된 공정챔버 플랫폼과; 공정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보관용기와; 가스공급 개폐밸브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보관용기와 각 공정챔버 측 가스 공급 포트를 연결하는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과; 각 공정챔버 측 가스 펌핑 포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을 통해 공급된 각 공정챔버 내부의 공정가스를 외부로 펌핑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및 펌핑속도를 제어하는 공정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공정가스의 펌핑속도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을 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단일 챔버공간 내에 다수의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을 복층으로 적층시킨 상태로, 각 원자층 증착대상 기판에 상응하는 각각의 가스 공급 포트 및 가스 펌핑 포트를 구비하는 공정챔버와; 공정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보관용기와; 가스공급 개폐밸브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보관용기와 각 가스 공급 포트를 연결하는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과; 각 가스 펌핑 포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을 통해 공급된 상기 공정챔버 내부의 공정가스를 외부로 펌핑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및 펌핑속도를 제어하는 공정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공정가스의 펌핑속도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혼합(예를 들어, 소스가스 A 및 소스가스 B의 혼합)에 의해, 예측하지 못한 화학기상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피하면서도(즉, 원자층 증착공정을 정상적으로 진행시키면서도),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증가에 맞추어,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의 시간 소요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공정시간 지연에 따른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원자층 증착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정가스의 공급흐름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원자층 층착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공정가스의 공급/펌핑 흐름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원자층 증착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공정가스의 공급/펌핑 흐름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원자층 증착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공정가스의 공급/펌핑 흐름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에 따른 가스 공급 포트 및 가스 펌핑 포트의 배치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에 따른 공정챔버의 내부 폭 변화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자층 증착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원자층 증착 시스템(100)은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W), 가스 공급 포트(107), 가스 펌핑 포트(103) 등을 구비하는 공정챔버(C), 공정가스, 예를 들어,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G3) 등을 보관하는 가스 보관용기(105), 가스공급 개폐밸브(106)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보관용기(105)와 가스 공급 포트(107)를 연결하면서, 가스공급 개폐밸브(106)의 개폐상태에 따라, 가스 보관용기(105)에 보관되어 있던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G3) 등을 공정챔버(C) 측으로 공급하는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109), 상기 가스 펌핑 포트(103)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109)을 통해 공급된 상기 공정챔버(C) 내부의 공정가스, 즉,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G3) 등을 외부로 펌핑하는 진공펌프(104), 가스공급 개폐밸브(106) 및 진공펌프(104)와 전기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면서,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106), 진공펌프(104) 등을 제어하는 공정 컨트롤러(108)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도, 공정 컨트롤러(108) 측에서는 가스공급 개폐밸브(106)의 개폐상태, 진공펌프(104)의 펌핑상태 등을 제어하면서, 예를 들어, <소스가스 A(G1)를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하여, 해당 소스가스 A(G1)를 기판(W)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스텝>, <퍼지가스 P(G3)를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하여, 소스가스 A(G1)의 불필요한 반응 잔여물, 불필요한 물리적 결합물질 등을 제거하는 스텝>, <소스가스 B(G2)를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하여, 해당 소스가스 B(G2)를 기판(W)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스텝>, <퍼지가스 P(G3)를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하여, 소스가스 B(G2)의 불필요한 반응 잔여물, 불필요한 물리적 결합물질 등을 제거하는 스텝> 등으로 이루어진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을 복수 회(예컨대, 10 단위사이클~1000 단위사이클) 반복 진행시킴으로써, 원자층 증착대상 기판(W) 상에 원하는 두께의 원자층 증착막을 형성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도,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소스가스 A 공급→퍼지가스 P 공급→소스가스 B 공급→퍼지가스 P 공급)을 복수 회(예컨대, 10 단위사이클~1000 단위사이클) 반복 진행시켜, 기판(W) 상에 원자층 증착막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전체적인 공정시간이 길어지고, 그 여파로, 전체적인 제품 생산량이 대폭 저하되는 피해, 전체적인 제품 양산 수율이 대폭 저하되는 피해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예를 들어,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를 수십 msec 이하로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등을 독특하게 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치 하에서, 공정 컨트롤러(108) 측에서는 가스공급 개폐밸브(106)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를 수십 msec 이하로 빠르게 조절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진공펌프(104)의 펌핑상태를 제어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공정 컨트롤러(108)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10배~100000배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106) 및 진공펌프(104)를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10배~100000배의 속도차이 배율은 예를 들어, <공정가스 공급 시작지점의 압력>, <공정챔버(C) 내부의 초기 압력>, <공정가스의 공급량>, <공정가스의 종류>, <공정챔버(C) 내부의 공정가스가 진공펌프(104) 쪽으로 빠져나가기 직전 위치에서의 압력> 등에 따라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치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정가스가 층류(laminar flow) 또는 크누센 플로우(knudsen flow)로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W)의 표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공정챔버(C)의 내부 폭(H)을 1mm~10mm로 좁게 설정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조치를 통해,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10배~100000배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106) 및 진공펌프(104)가 제어되면, 3차원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공정챔버(C)의 X축 및 Y축 공간(참고로, 공정챔버(C)의 Z축 공간은 공정챔버(C) 측 내부 폭(H)을 정의하는 내부 벽에 의해 막혀있음)은 진공펌프(104)의 펌핑 동작시간에 따라 대폭 확장될 수 있게 되며(참고로, 진공계 하에서, 진공펌프(104)의 펌핑속도(V1)가 증가하게 되면, 그에 비례하여 공정챔버(C) 측에서는 자가 공간이 확장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결국,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된 공정가스, 즉,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 P(G3) 측에서는, 픽(Fick)의 제2 확산법칙(즉, 시간에 따른 입자의 농도변화는 거리에 따른 입자의 농도변화의 2차 도함수로 나타난다는 법칙,
Figure pat00001
)에 맞추어, 시간에 따른 농도의 변화를 전혀 겪지 않으면서(즉, 시간이 지나도, 서로 섞이거나 혼합되지 않으면서), 가스 펌핑 포트(103) 쪽을 향해 빠른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이 경우,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된 공정가스 측에서는,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등이 퍼지가스 P(G3)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는 안정적인 모습을 취하면서(즉, 안정적인 비 혼합 상태를 이루면서), 일련의 횡 방향 층류(laminar flow)를 이루어, 가스 펌핑 포트(103) 쪽으로 신속하게 흐르게 된다(도 4 참조).
요컨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예를 들어,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를 수십 msec 이하로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를 독특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 증가에 맞추어,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의 시간 소요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공정시간 지연에 따른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를 독특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가 대폭 증가하는 민감한 국면 하에서도, <공정가스의 혼합(예를 들어, 소스가스 A 및 소스가스 B의 혼합)에 의해, 예측하지 못한 화학기상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문제점>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하에서,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가 대폭 증가하는 민감한 국면 하에서도, 원자층 증착공정을 정상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서는 노즐/기판의 회전/왕복이동 등을 전혀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예를 들어, <파티클 발생에 따른 박막의 품질/특성 저하 문제점>, <노즐/기판의 회전/왕복이동에 따른 공정속도의 기계적/물리적 한계 문제점>, <디스플레이용 사각 기판에는 시스템을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 <노즐/기판의 회전/이동을 위한 복잡한 시스템을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 <균일한 박막형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공정챔버의 구조를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W) 및 가스 공급 포트(107), 그리고, 가스 펌핑 포트(103)를 각기 구비하는 독립된 공정챔버(C1,C2,‥‥)가 복층으로 적층된 공정챔버 플랫폼(P)>(즉, 상황에 따라, 각 공정챔버(C1,C2,‥‥)를 동일조건 또는 개별적인 조건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구성)로 변경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예를 들어,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를 수십 msec 이하로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등을 독특하게 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치 하에서도, 공정 컨트롤러(108) 측에서는 가스공급 개폐밸브(106)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를 수십 msec 이하로 빠르게 조절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진공펌프(104)의 펌핑상태를 제어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도, 공정 컨트롤러(108)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10배~100000배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106) 및 진공펌프(104)를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10배~100000배의 속도차이 배율은 예를 들어, <공정가스 공급 시작지점의 압력>, <공정챔버(C1,C2,‥‥) 내부의 초기 압력>, <공정가스의 공급량>, <공정가스의 종류>, <공정챔버(C1,C2,‥‥) 내부의 공정가스가 진공펌프(104) 쪽으로 빠져나가기 직전 위치에서의 압력> 등에 따라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치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정챔버(C1,C2,‥‥)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정가스가 층류(laminar flow) 또는 크누센 플로우(knudsen flow)로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W)의 표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공정챔버(C1,C2,‥‥)의 내부 폭(H)을 1mm~10mm로 좁게 설정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조치를 통해,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10배~100000배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106) 및 진공펌프(104)가 제어되면, 3차원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공정챔버(C1,C2,‥‥)의 X축 및 Y축 공간(참고로, 공정챔버(C1,C2,‥‥)의 Z축 공간은 공정챔버(C1,C2,‥‥) 측 내부 폭(H)을 정의하는 내부 벽에 의해 막혀있음)은 진공펌프(104)의 펌핑 동작시간에 따라 대폭 확장될 수 있게 되며(참고로, 진공계 하에서, 진공펌프(104)의 펌핑속도(V1)가 증가하게 되면, 그에 비례하여 공정챔버(C1,C2,‥‥) 측에서는 자가 공간이 확장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결국, 공정챔버(C1,C2,‥‥)의 내부로 공급된 공정가스, 즉,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 P(G3) 측에서는, 픽(Fick)의 제2 확산법칙(즉, 시간에 따른 입자의 농도변화는 거리에 따른 입자의 농도변화의 2차 도함수로 나타난다는 법칙,
Figure pat00002
)에 맞추어, 시간에 따른 농도의 변화를 전혀 겪지 않으면서(즉, 시간이 지나도, 서로 섞이거나 혼합되지 않으면서), 가스 펌핑 포트(103) 쪽을 향해 빠른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이 경우에도, 공정챔버(C1,C2,‥‥)의 내부로 공급된 공정가스 측에서는,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등이 퍼지가스 P(G3)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는 안정적인 모습을 취하면서(즉, 안정적인 비 혼합 상태를 이루면서), 일련의 횡 방향 층류(laminar flow)를 이루어, 가스 펌핑 포트(103) 쪽으로 신속하게 흐르게 된다.
요컨대,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예를 들어,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를 수십 msec 이하로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를 독특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 증가에 맞추어,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의 시간 소요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공정시간 지연에 따른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를 독특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가 대폭 증가하는 민감한 국면 하에서도, <공정가스의 혼합(예를 들어, 소스가스 A 및 소스가스 B의 혼합)에 의해, 예측하지 못한 화학기상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문제점>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가 대폭 증가하는 민감한 국면 하에서도, 원자층 증착공정을 정상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노즐/기판의 회전/왕복이동 등을 전혀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예를 들어, <파티클 발생에 따른 박막의 품질/특성 저하 문제점>, <노즐/기판의 회전/왕복이동에 따른 공정속도의 기계적/물리적 한계 문제점>, <디스플레이용 사각 기판에는 시스템을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 <노즐/기판의 회전/이동을 위한 복잡한 시스템을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 <균일한 박막형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는 공정챔버의 구조를 <단일 챔버공간(S) 내에 다수의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W1,W2,W3‥‥)을 각 기판 격리영역에 맞추어 복층으로 적층시킨 상태로, 각 원자층 증착대상 기판(W1,W2,W3‥‥)에 상응하는 각각의 가스 공급 포트(107) 및 가스 펌핑 포트(103)를 구비하는 공정챔버(C)>(즉, 상황에 따라, 다수의 기판(W1,W2,W3‥‥)을 대상으로 하여 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는 구성)로 변경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예를 들어,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를 수십 msec 이하로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등을 독특하게 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 하에서도, 공정 컨트롤러(108) 측에서는 가스공급 개폐밸브(106)의 개폐상태를 제어하여,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를 수십 msec 이하로 빠르게 조절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진공펌프(104)의 펌핑상태를 제어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공정 컨트롤러(108)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10배~100000배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106) 및 진공펌프(104)를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10배~100000배의 속도차이 배율은 예를 들어, <공정가스 공급 시작지점의 압력>, <공정챔버(C) 측 단일 챔버공간(S)의 초기 압력>, <공정가스의 공급량>, <공정가스의 종류>, <공정챔버(C) 측 단일 챔버공간(S) 내부의 공정가스가 진공펌프(104) 쪽으로 빠져나가기 직전 위치에서의 압력> 등에 따라 융통성 있게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치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정챔버(C)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정가스가 층류(laminar flow) 또는 크누센 플로우(knudsen flow)로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W1,W2,W3‥‥)의 표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기판(W1,W2,W3‥‥)을 격리하고 있는 공정챔버(C)의 각 내부 폭(H)을 1mm~10mm로 좁게 설정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조치를 통해,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10배~100000배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106) 및 진공펌프(104)가 제어되면, 3차원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공정챔버(C) 측 각 기판 격리영역의 X축 및 Y축 공간(참고로, 공정챔버(C) 측 각 기판 격리영역의 Z축 공간은 내부 폭(H)을 정의하는 내부 벽에 의해 막혀있음)은 진공펌프(104)의 펌핑 동작시간에 따라 대폭 확장될 수 있게 되며(참고로, 진공계 하에서, 진공펌프(104)의 펌핑속도(V1)가 증가하게 되면, 그에 비례하여 공정챔버(C)의 각 기판 격리영역 측에서는 자가 공간이 확장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결국, 공정챔버(C) 측 각 기판 격리영역의 내부로 공급된 공정가스, 즉,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퍼지가스 P(G3) 측에서는, 픽(Fick)의 제2 확산법칙(즉, 시간에 따른 입자의 농도변화는 거리에 따른 입자의 농도변화의 2차 도함수로 나타난다는 법칙,
Figure pat00003
)에 맞추어, 시간에 따른 농도의 변화를 전혀 겪지 않으면서(즉, 시간이 지나도, 서로 섞이거나 혼합되지 않으면서), 가스 펌핑 포트(103) 쪽을 향해 빠른 흐름을 보일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이 경우, 공정챔버(C) 측 각 기판 격리영역의 내부로 공급된 공정가스 측에서는, 소스가스 A(G1), 소스가스 B(G2) 등이 퍼지가스 P(G3)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는 안정적인 모습을 취하면서(즉, 안정적인 비 혼합 상태를 이루면서), 일련의 횡 방향 층류(laminar flow)를 이루어, 가스 펌핑 포트(103) 쪽으로 신속하게 흐르게 된다.
요컨대,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예를 들어,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를 수십 msec 이하로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를 독특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 증가에 맞추어,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의 시간 소요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공정시간 지연에 따른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V2)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V1)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2)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를 독특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가 대폭 증가하는 민감한 국면 하에서도, <공정가스의 혼합(예를 들어, 소스가스 A 및 소스가스 B의 혼합)에 의해, 예측하지 못한 화학기상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문제점>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하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공급속도(V)가 대폭 증가하는 민감한 국면 하에서도, 원자층 증착공정을 정상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노즐/기판의 회전/왕복이동 등을 전혀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예를 들어, <파티클 발생에 따른 박막의 품질/특성 저하 문제점>, <노즐/기판의 회전/왕복이동에 따른 공정속도의 기계적/물리적 한계 문제점>, <디스플레이용 사각 기판에는 시스템을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 <노즐/기판의 회전/이동을 위한 복잡한 시스템을 추가하여야 하는 문제점>, <균일한 박막형성이 어려워지는 문제점> 등까지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스 공급 포트(107) 및 가스 펌핑 포트(103)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거나, 서로 마주 보지 않도록 비대칭적으로 배치시키는 변화된 조치를 유연하게 취할 수도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상황에 따라, <공정가스의 공급방향과 펌핑방향을 바꾸는 변화된 조치>, <가스 공급 포트(107) 및 가스 펌핑 포트(103)를 다수개 설치하는 변화된 조치>, <공정챔버(C)와 기판(W)의 모양을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변경하는 변화된 조치>, <기판(W)을 공정챔버(C)의 상부면 또는 상/하부면 전부에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 <기판(W)의 주변에 기판(W)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추가 설치하는 변화된 조치>, <기판(W)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전극을 추가 설치하는 조치>, <공정가스가 공정챔버(C) 내부의 플라즈마 형성영역을 통과하도록 하는 변화된 조치>, <공정가스가 공정챔버(C)의 외부의 플라즈마 형성영역을 통과한 후, 공정챔버(C)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변화된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참고로, 구조적 특징을 강조하기 위하여 도면을 과장되게 표현 함), <가스 공급 포트(107)가 배치된 쪽이 가스 펌핑 포트(103)가 배치된 쪽보다 더 좁아지도록 공정챔버(C)의 내부 폭을 설계하는 변화된 조치>, <가스 펌핑 포트(103)가 배치된 쪽이 가스 공급 포트(107)가 배치된 쪽보다 더 좁아지도록 공정챔버(C)의 내부 폭을 설계하는 변화된 조치>, <공정챔버(c)의 가운데 쪽이 가스 공급 포트(107) 및 가스 펌핑 포트(103)가 배치된 쪽보다 더 좁거나 넓어지도록 공정챔버(C)의 내부 폭을 설계하는 변화된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각 변화된 조치 하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공정시간 소요(공정시간 지체)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를 좀더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공정가스(소스가스 A, 소스가스 B, 퍼지가스 P)의 공급속도 증가에 의해 해당 공정가스가 불필요하게 섞이는(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정가스의 펌핑속도를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빠르게 조절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각 구현환경 하에서, 제품 생산주체 측에서는, 공정가스의 혼합(예를 들어, 소스가스 A 및 소스가스 B의 혼합)에 의해, 예측하지 못한 화학기상증착 공정이 진행되는 것을 피하면서도(즉, 원자층 증착공정을 정상적으로 진행시키면서도),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증가에 맞추어, 원자층 증착공정 단위사이클의 시간 소요 문제를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공정시간 지연에 따른 제품 생산량 저하 피해, 제품 양산 수율 저하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종류의 박막 제조공정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W: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
C: 공정챔버
1,100: 원자층 증착 시스템
2,102: 가스 펌핑 라인
3,103: 가스 펌핑 포트
4,104: 진공펌프
5,105: 가스 보관용기
6,106: 가스공급 개폐밸브
7,107: 가스 공급 포트
8,108: 공정 컨트롤러
9,109: 가스 공급 라인

Claims (7)

  1.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 및 가스 공급 포트, 그리고, 가스 펌핑 포트를 구비하는 공정챔버와;
    공정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보관용기와;
    가스공급 개폐밸브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보관용기와 상기 가스 공급 포트를 연결하는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과;
    상기 가스 펌핑 포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을 통해 공급된 상기 공정챔버 내부의 공정가스를 외부로 펌핑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및 펌핑속도를 제어하는 공정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공정가스의 펌핑속도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
  2.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 및 가스 공급 포트, 그리고, 가스 펌핑 포트를 각기 구비하는 독립된 공정챔버가 복층으로 적층된 공정챔버 플랫폼과;
    공정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보관용기와;
    가스공급 개폐밸브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보관용기와 각 공정챔버 측 가스 공급 포트를 연결하는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과;
    각 공정챔버 측 가스 펌핑 포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을 통해 공급된 각 공정챔버 내부의 공정가스를 외부로 펌핑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및 펌핑속도를 제어하는 공정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공정가스의 펌핑속도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
  3. 단일 챔버공간 내에 다수의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을 복층으로 적층시킨 상태로, 각 원자층 증착대상 기판에 상응하는 각각의 가스 공급 포트 및 가스 펌핑 포트를 구비하는 공정챔버와;
    공정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보관용기와;
    가스공급 개폐밸브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가스 보관용기와 각 가스 공급 포트를 연결하는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과;
    각 가스 펌핑 포트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 가이드 라인을 통해 공급된 상기 공정챔버 내부의 공정가스를 외부로 펌핑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 및 펌핑속도를 제어하는 공정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공정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공정가스의 펌핑속도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컨트롤러 측에서는 상기 공정가스의 펌핑속도가 상기 공정가스의 공급속도보다 10배~100000배 빨라지도록 상기 가스공급 개폐밸브 및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 측에서는 상기 공정가스가 층류(laminar flow) 또는 크누센 플로우(knudsen flow)로 상기 원자층 증착 대상 기판의 표면을 통과할 수 있도록 1mm~10mm의 내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의 내부 폭은 상기 가스 공급 포트가 배치된 쪽이 상기 가스 펌핑 포트가 배치된 쪽보다 더 좁거나, 상기 가스 펌핑 포트가 배치된 쪽이 상기 가스 공급 포트가 배치된 쪽보다 더 좁거나, 상기 공정챔버의 가운데 쪽이 상기 가스 공급 포트 및 가스 펌핑 포트가 배치된 쪽보다 더 좁거나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 포트 및 가스 펌핑 포트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거나, 서로 마주 보지 않도록 비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층 증착 시스템.
KR1020180016116A 2018-02-09 2018-02-09 원자층 증착 시스템 Ceased KR20190096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16A KR20190096540A (ko) 2018-02-09 2018-02-09 원자층 증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116A KR20190096540A (ko) 2018-02-09 2018-02-09 원자층 증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540A true KR20190096540A (ko) 2019-08-20

Family

ID=6780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116A Ceased KR20190096540A (ko) 2018-02-09 2018-02-09 원자층 증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654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1811A (en) 1994-11-28 1998-01-27 Mikrokemia Oy Method and equipment for growing thin films
KR20060013282A (ko) 2004-08-06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정 가스 배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자층 적층 방법 및원자층 적층 장치
KR100795487B1 (ko) 2006-09-27 2008-01-16 주식회사 실트론 층류유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학기상증착반응기
KR101536257B1 (ko) 2009-07-22 2015-07-13 한국에이에스엠지니텍 주식회사 수평 흐름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KR20160105497A (ko) 2014-01-05 2016-09-0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공간적인 원자 층 증착 또는 펄스형 화학 기상 증착을 사용하는 필름 증착
KR20170021210A (ko) 2015-08-17 2017-02-27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대체적 ald 반응기들 내에서 에지 균일도 조정을 위한 조성 매칭된 커튼 가스 혼합물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1811A (en) 1994-11-28 1998-01-27 Mikrokemia Oy Method and equipment for growing thin films
KR20060013282A (ko) 2004-08-06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정 가스 배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자층 적층 방법 및원자층 적층 장치
KR100795487B1 (ko) 2006-09-27 2008-01-16 주식회사 실트론 층류유동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학기상증착반응기
KR101536257B1 (ko) 2009-07-22 2015-07-13 한국에이에스엠지니텍 주식회사 수평 흐름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KR20160105497A (ko) 2014-01-05 2016-09-0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공간적인 원자 층 증착 또는 펄스형 화학 기상 증착을 사용하는 필름 증착
KR20170021210A (ko) 2015-08-17 2017-02-27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대체적 ald 반응기들 내에서 에지 균일도 조정을 위한 조성 매칭된 커튼 가스 혼합물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1083B2 (en) Gas separation control in spatial atomic layer deposition
US11377732B2 (en) Reactant vaporizer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1842873B (zh) 基于蒸气的组合式处理
US117252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plasma enhanced deposition of material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US20050116064A1 (en) Reactors having gas distributors and methods for depositing materials onto micro-device workpieces
JP2007247066A (ja) 回転サセプタを備える半導体処理装置
KR20210048408A (ko) 반도체 증착 반응기 매니폴드
US20170159179A1 (en) Nozzle Head, Apparatus and Method for Subjecting Surface of Substrate to Successive Surface Reactions
JP2011171566A (ja) Ald成膜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10472719B2 (en) Nozzle and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ing same
JP2021019201A (ja) 半導体処理システム用シャワーヘッドデバイス
KR20240118902A (ko) 균일한 증착
JP2015173226A (ja) 真空成膜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成膜方法
KR102070864B1 (ko) 기판처리장치의 가스공급 제어방법
JP4854794B2 (ja) 薄膜形成装置
KR20190096540A (ko) 원자층 증착 시스템
US20170207078A1 (en) Atom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and semiconductor process
KR101573687B1 (ko) 원자층 증착장치
KR20150081590A (ko) 대면적 기판 원자층 증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4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06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5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4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2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0906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