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03542A -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542A
KR20190103542A KR1020180023145A KR20180023145A KR20190103542A KR 20190103542 A KR20190103542 A KR 20190103542A KR 1020180023145 A KR1020180023145 A KR 1020180023145A KR 20180023145 A KR20180023145 A KR 20180023145A KR 20190103542 A KR20190103542 A KR 20190103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cement
styrofoam
water
admix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석
Original Assignee
윤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석 filed Critical 윤기석
Priority to KR102018002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3542A/ko
Publication of KR2019010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54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B28C7/0481Plant for proportioning, supplying or b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61Storage contain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46Storage or weighing apparatus for supplying ingredients
    • B28C7/0053Storage containers, e.g. hoppers, silos, bins
    • B28C7/0076Parts or details thereof, e.g. opening, closing or unload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은, 상기 건축용 블록의 재료가 되는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가 각각 시멘트 호퍼, 물 호퍼, 스티로폼 호퍼 및 혼화재 호퍼에 제공되는 제1 단계; 상기 시멘트 호퍼, 상기 물 호퍼, 상기 스티로폼 호퍼, 상기 혼화재 호퍼로부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교반기에 투입되고, 서로 교반되어 제1 교반물이 되도록 하는 제2 단계; 상기 교반기에 저장된 상기 제1 교반물이 교반물 호퍼에 투입되는 제3 단계; 상기 교반물 호퍼에 투입된 상기 제1 교반물이 내부공간 -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건축용 블록의 형상과 대응됨 - 을 제공하는 제1 블록지그에 투입되는 제4 단계; 상기 제1 블록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교반물이 양생되도록 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지그로부터 양생된 상기 제1 교반물을 분리하여, 제1 건축용 블록이 제조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교반물 호퍼가 상기 제1 교반물을 상기 교반기로부터 투입받기 위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교반물을 상기 블록지그에 투입되기 위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Construction block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대한 것으로, 불연의 경량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용 블록은 스티로폼 블록 및 적벽돌 등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블록들은 건축물의 내부 및 외부 벽체에 적층되어 시공될 때, 외부 벽체에는 별도의 단열재를 중공벽으로 설치하여야 하고 내측 및 외측으로는 마감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적용되는 종래에 스티로폼 블록 및 적벽돌은 시공성이 저하되고 재질이 스티로폼 모르타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시멘트 입자를 콘크리트와 혼합하여 블록 자체의 무게를 줄이고 단열효과를 제공하는 경량의 단열블록이 제공되고 있으며, 경량 단열블록은 콘크리트와 시멘트 입자가 상호간의 친화력이 약하므로 시멘트 입자에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혼합하는 방식을 통해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량 단열블록은 우수한 단열효과를 나타내지만 내충격성이 약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콘크리트와 시멘트 입자를 결속시키기 위해 별도의 접착제 성분이 사용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경량 단열블록은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어야 제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나, 종래의 제조장치는 하나의 단열블록을 제조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제조 효율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이면서 우수한 단열효과를 가진 건축용 블록을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도록 하여 제조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은, 상기 건축용 블록의 재료가 되는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가 각각 시멘트 호퍼, 물 호퍼, 스티로폼 호퍼 및 혼화재 호퍼에 제공되는 제1 단계; 상기 시멘트 호퍼, 상기 물 호퍼, 상기 스티로폼 호퍼, 상기 혼화재 호퍼로부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교반기에 투입되고, 서로 교반되어 제1 교반물이 되도록 하는 제2 단계; 상기 교반기에 저장된 상기 제1 교반물이 교반물 호퍼에 투입되는 제3 단계; 상기 교반물 호퍼에 투입된 상기 제1 교반물이 내부공간 -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건축용 블록의 형상과 대응됨 - 을 제공하는 제1 블록지그에 투입되는 제4 단계; 상기 제1 블록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교반물이 양생되도록 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지그로부터 양생된 상기 제1 교반물을 분리하여, 제1 건축용 블록이 제조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교반물 호퍼가 상기 제1 교반물을 상기 교반기로부터 투입받기 위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교반물을 상기 제1 블록지그에 투입되기 위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4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제2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제2 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1 교반물 및 상기 제2 교반물을 제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교반 공정을 진행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교반기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는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기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기 이전에, 상기 교반물 호퍼가 내부공간이 비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상기 제1 블록지그는, 상기 교반물 호퍼가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완료와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물 호퍼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제2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상기 제1 블록지그 및 상기 제1 블록지그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블록지그는, 지그 이동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2 블록지그가 상기 지그 이동부 상에서 상기 제2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시멘트 호퍼, 물 호퍼, 스티로폼 호퍼 및 혼화재 호퍼의 배출구에는 각각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지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시멘트 호퍼 밸브, 물 호퍼 밸브,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혼화재 호퍼 밸브가 위치하며, 시멘트 호퍼 밸브, 물 호퍼 밸브,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혼화재 호퍼 밸브는, 각각 시멘트 로드셀, 물 로드셀, 스티로폼 로드셀 및 혼화재 로드셀에 의해 자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상기 교반기의 유입구에는 상기 시멘트 호퍼, 상기 물 호퍼,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및 상기 혼화재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의 양을 각각 감지하는 시멘트 투입 감지부, 물 투입 감지부,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혼화재 투입 감지부가 위치하며,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 상기 물 호퍼 밸브,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상기 혼화재 호퍼 밸브는, 각각 상기 시멘트 투입 감지부, 상기 물 투입 감지부, 상기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상기 혼화재 투입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건축용 블록의 재료가 되는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시멘트 호퍼, 물 호퍼, 스티로폼 호퍼 및 혼화재 호퍼; 상기 시멘트 호퍼, 상기 물 호퍼, 상기 스티로폼 호퍼, 상기 혼화재 호퍼로부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투입되며, 상기 투입된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를 교반하여 제1 교반물이 되도록 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로부터 교반되어 제조되는 상기 제1 교반물을 제1 위치에서 상기 교반부로부터 제공받는 교반물 호퍼; 및 상기 교반물 호퍼를 지지하며, 상기 교반물 호퍼를 상기 건축용 블록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제1 블록지그가 위치한 위치인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교반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투입되어 양생에 의해 상기 제1 교반물이 제1 건축용 블록이 제조되도록 하는 교반물 호퍼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의 상기 교반기는, 상기 교반물 호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투입되는 도중, 제2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제2 교반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의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1 교반물 및 상기 제2 교반물을 제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교반 공정을 진행하며, 상기 교반물 호퍼 이동부는, 상기 교반기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는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기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기 이전에, 상기 교반물 호퍼가 내부공간이 비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는, 시멘트 호퍼, 물 호퍼, 스티로폼 호퍼 및 혼화재 호퍼의 배출구에 각각 위치하여,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가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지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시멘트 호퍼 밸브, 물 호퍼 밸브,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혼화재 호퍼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 상기 물 호퍼 밸브,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상기 혼화재 호퍼 밸브는, 각각 시멘트 로드셀, 물 로드셀, 스티로폼 로드셀 및 혼화재 로드셀에 의해 자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교반기의 유입구에 위치하여 상기 시멘트 호퍼, 상기 물 호퍼,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및 상기 혼화재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의 양을 각각 감지하는 시멘트 투입 감지부, 물 투입 감지부,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혼화재 투입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 상기 물 호퍼 밸브,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상기 혼화재 호퍼 밸브는, 각각 상기 시멘트 투입 감지부, 상기 물 투입 감지부, 상기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상기 혼화재 투입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하면, 경량이면서 우수한 단열효과를 가진 건축용 블록을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도록 하여 제조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제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제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제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제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은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가 각각 시멘트 호퍼(110), 물 호퍼(120), 스티로폼 호퍼(130) 및 혼화재 호퍼(140)에 제공되는 제1 단계(S110), 제1 교반물을 제조하는 제2 단계(S120), 상기 제1 교반물이 교반물 호퍼(160)에 투입되는 제3 단계(S130), 상기 제1 교반물이 제1 블록지그(Z1)에 투입되는 제4 단계(S140), 상기 제1 교반물이 양생되는 제5 단계(S150) 및 상기 제1 교반물을 제1 블록지그(Z1)로부터 분리하여, 제1 건축용 블록이 제조되는 제6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단계(S110)는 상기 건축용 블록의 재료가 되는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가 각각 시멘트 호퍼(110), 물 호퍼(120), 스티로폼 호퍼(130) 및 혼화재 호퍼(140)에 제공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시멘트 호퍼(110) 및 상기 스티로폼 호퍼(130)는 각각 외부로부터 입자형태의시멘트 및 스티로폼을 소정량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는 호퍼일 수 있으며, 상기 물 호퍼(120) 및 상기 혼화재 호퍼(140)는 각각 외부로부터 소정량의 물 및 소정량의 혼화재가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는 호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멘트 호퍼(110), 상기 물 호퍼(120), 상기 스티로폼 호퍼(130) 및 상기 혼화재 호퍼(140)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혼화재 호퍼(140)의 경우,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혼화재의 수가 복수인 경우에는 서로 구분하여 복수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건축용 블록의 제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혼화재가 스티로폼의유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유동화제,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경량화 및 단열효과를 위한 발포제, 급결 및 접착효과를 위한 규산소다 등을 포함하는 경우, 각각 별개의 호퍼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혼화재는 전술한 소재 중 적어도 하나 이외에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경량화 및 단열효과를 위한 공기연행제,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경량화 및 단열효과를 위한 기포제, 블록의 방수율을 증대시키는 방수제, 블록의 강도상승효과를 위한 고성능감수제, 유동성을 증대시키고 블록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포졸란, 고강도 효과 및 투수성을 낮게 하기 위한 실리카흄, 공기층을 형성하고, 단열 및 방음을 위한 에어로겔, 균열발생을 억제하고 투수성을 낮게 하기 위한 플라이애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120)는 상기 시멘트 호퍼(110), 상기 물 호퍼(120), 상기 스티로폼 호퍼(130), 상기 혼화재 호퍼(140)로부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교반기(150)에 투입되고, 서로 교반되어 제1 교반물이 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교반기(150)는 상기 시멘트 호퍼(110), 상기 물 호퍼(120), 상기 스티로폼 호퍼(130), 상기 혼화재 호퍼(140) 각각으로부터 투입된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를 교반하여 제1 교반물이 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내부에 교반을 위해 회전하는 임펠러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교반기(150)는 임펠러가 구비되는 교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로 투입된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를 교반할 수 있는 장치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2 단계(S120)는 도 4를 참조하면,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가 교반기(150)에 투입되는 단계(S122)와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가 교반되는 단계(S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상기 교반기(150)에 투입되는 단계(S122)에서 상기 교반기(150)에 투입되는 각각의 양은 미리 정해진 양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양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제1 단계(S110) 내지 제6 단계(S160)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건축용 블록의 개수와 관련되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제1 단계(S110) 내지 제6 단계(S160)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건축용 블록의 개수가 1개라면,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상기 교반기(150)에 투입되는 양은 1개의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양과 대응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의 제1 단계(S110) 내지 제6 단계(S160)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건축용 블록의 개수가 2개라면,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상기 교반기(150)에 투입되는 양은 2개의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양과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교반기(150)에 투입되는 각각의 양은 로드셀 및 밸브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멘트 호퍼(110), 물 호퍼(120), 스티로폼 호퍼(130) 및 혼화재 호퍼(140)의 배출구에는 각각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상기 교반기(150)에 투입되는지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시멘트 호퍼 밸브(112), 물 호퍼 밸브(122), 스티로폼 호퍼 밸브(132) 및 혼화재 호퍼 밸브(142)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112), 상기 물 호퍼 밸브(122),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밸브(132) 및 상기 혼화재 호퍼 밸브(142)는 각각 시멘트 로드셀, 물 로드셀, 스티로폼 로드셀 및 혼화재 로드셀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시멘트 로드셀은 상기 시멘트 호퍼(110)에 남아 있는 시멘트의 잔류양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미도시된 제어부가 상기 시멘트 호퍼(110)로부터 상기 교반기(150)에 투입되는 시멘트의 양을 산출하며, 상기 교반기(150)에 투입되는 시멘트의 양이 미리 정해진 양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112)를 폐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물 호퍼 밸브(122), 스티로폼 호퍼 밸브(132) 및 혼화재 호퍼 밸브(142)도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112)와 마찬가지의 원리에 의해 미리 정해진 양을 위한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멘트 로드셀, 물 로드셀, 스티로폼 로드셀 및 혼화재 로드셀에 의해 각각 자동적으로 상기 시멘트 호퍼(110), 상기 물 호퍼(120), 상기 스티로폼 호퍼(130) 및 상기 혼화재 호퍼(140)로부터 상기 교반기(150)로 투입되는 양이 제어될 수 있으나, 의도하지 않은 상황(예를 들어, 로드셀 파손 등)에 의해 부정확한 양이 상기 교반기(150)로 투입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본 발명은 상기 교반기(150)의 유입구에 상기 교반기(150)로 투입되는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의 양을 감지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교반기(150)의 유입구에는 상기 시멘트 호퍼(110), 상기 물 호퍼(120), 상기 스티로폼 호퍼(130) 및 상기 혼화재 호퍼(140)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의 양을 각각 감지하는 시멘트 투입 감지부, 물 투입 감지부,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혼화재 투입 감지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투입 감지부, 상기 물 투입 감지부, 상기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상기 혼화재 투입 감지부는 일종의 센서로 투입양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112), 상기 물 호퍼 밸브(122), 스티로폼 호퍼 밸브(132) 및 혼화재 호퍼 밸브(142)는 각각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시멘트 투입 감지부, 상기 물 투입 감지부, 상기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상기 혼화재 투입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시멘트 로드셀, 물 로드셀, 스티로폼 로드셀 및 혼화재 로드셀에 의해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112), 상기 물 호퍼 밸브(122), 스티로폼 호퍼 밸브(132) 및 혼화재 호퍼 밸브(142)가 폐쇄된 경우라도 상기 시멘트 투입 감지부, 상기 물 투입 감지부, 상기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상기 혼화재 투입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가 미리 정해진 양에 미달하게 되면, 다시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112), 상기 물 호퍼 밸브(122), 스티로폼 호퍼 밸브(132) 및 혼화재 호퍼 밸브(142)를 개방하여 부족한 양이 상기 교반기(150)로 더 투입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어느 하나의 투입양이 부족한 경우라면 그에 해당되는 밸브만 개방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교반기(150)는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상기 제1 교반물이 되도록 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교반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130)는 상기 교반기(150)에 저장된 상기 제1 교반물이 교반물 호퍼(160)에 투입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S140)는 상기 교반물 호퍼(160)에 투입된 상기 제1 교반물이 제1 위치에 위치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제1 블록지그(Z1)에 투입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건축용 블록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반물 호퍼(160)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교반기(150)로부터 상기 제1 교반물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교반기(150)로부터의 상기 제1 교반물의 제공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5 단계(S150)는 상기 제1 블록지그(Z1)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공간에 투입된 상기 제1 교반물이 양생되도록 하는 단계일 수 있으며, 상기 제6 단계(S160)는 상기 제1 블록지그(Z1)로부터 양생된 상기 제1 교반물을 분리하여 제1 건축용 블록이 제조되는 단계일 있다.
한편, 상기 제4 단계(S140)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상기 제1 교반물을 상기 교반기(150)로부터 투입받기 위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교반물을 상기 제1 블록지그(Z1)에 투입되기 위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S142),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교반물 호퍼(160)로부터 제1 교반물이 상기 제1 블록지그(Z1)에 투입되는 단계(S144) 및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교반물 호퍼(160)가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단계(S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물 호퍼(160)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및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이동은 교반물 호퍼 이동부(17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교반물 호퍼 이동부(170)는 상기 교반물 호퍼(16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교반물 호퍼(160)를 상기 제1 블록지그(Z1)가 위치한 위치인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교반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투입되어 양생에 의해 상기 제1 교반물이 제1 건축용 블록이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반물 호퍼 이동부(170)는 일종의 이동 레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교반물 호퍼(16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상기 교반기(15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기(150)로부터 제1 교반물을 수용할 수 있는 도면 상에서의 A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블록지그(Z1)를 위치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S18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물 호퍼(160)로부터 상기 제1 교반물이 상기 제1 블록지그(Z1)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도면 상에서의 B위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그 이동부(S180)는 복수의 블록지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일종의 이동 레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의 블록지그의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그 이동부(S18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또한 공간 상의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대적으로 직선 상에서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그 이동부(S180)는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완료와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제2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제1 블록지그(Z1)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간차를 최소화하면서 건축용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지그 이동부(S180)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블록지그는, 예를 들면, 제1 블록지그(Z1) 및 상기 제1 블록지그(Z1)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블록지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블록지그는 상기 제1 블록지그(Z1)에 제1 교반물이 투입되면 이후에 제2 교반물이 투입될 수 있는 지그일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100)는 건축용 블록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인 것이다.
한편, 상기 제4 단계(S140)에 의해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제1 교반물이 상기 지그 이동부(S180)에 의해 이동되어온 제1 블록지그(Z1)에 투입되는 도중에도 상기 교반기(150)는 계속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단계(S120)는 상기 제4 단계(S140)가 진행되는 도중 제2 블록지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2 건축용 블록의 제조를 위해 제2 교반물을 제조할 수 있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제1 블록지그(Z1)에 제1 교반물을 투입하는 도중에도 상기 교반기(150)는 상기 제2 교반물 제조를 위한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를 각각 시멘트 호퍼(110), 물 호퍼(120), 스티로폼 호퍼(130) 및 혼화재 호퍼(140)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제2 교반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반기(150)는 상기 제2 교반물의 제조를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교반 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물 호퍼 이동부(170)는 상기 교반기(150)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는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기(150)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기 이전에,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내부공간이 비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 단계(S140)는 상기 교반기(150)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는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기(150)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기 이전에,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내부공간이 비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위치에 위치한 상기 교반물 호퍼(160)에 상기 교반기(150)로부터 제2 교반물이 투입되고 나면, 상기 교반물 호퍼(160)는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이 완료되는 시점과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물 호퍼(160)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지그 이동부(S180)에 의해 상기 제2 블록지그는 상기 제2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5 단계(S150)는 상기 제2 블록지그가 상기 지그 이동부(S180) 상에서 상기 제2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100)에 의해 제조되는 건축용 블록은 경량이면서 우수한 단열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단계가 자동화되어 진행되므로 제조효율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
110: 시멘트 호퍼
120: 물 호퍼
130: 스티로폼 호퍼
140: 혼화재 호퍼
150: 교반기
160: 교반물 호퍼
170: 교반물 호퍼 이동부
180: 지그 이동부

Claims (12)

  1.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블록의 재료가 되는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가 각각 시멘트 호퍼, 물 호퍼, 스티로폼 호퍼 및 혼화재 호퍼에 제공되는 제1 단계;
    상기 시멘트 호퍼, 상기 물 호퍼, 상기 스티로폼 호퍼, 상기 혼화재 호퍼로부터 각각으로부터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교반기에 투입되고, 서로 교반되어 제1 교반물이 되도록 하는 제2 단계;
    상기 교반기에 저장된 상기 제1 교반물이 교반물 호퍼에 투입되는 제3 단계;
    상기 교반물 호퍼에 투입된 상기 제1 교반물이 내부공간 -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건축용 블록의 형상과 대응됨 - 을 제공하는 제1 블록지그에 투입되는 제4 단계;
    상기 제1 블록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교반물이 양생되도록 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지그로부터 양생된 상기 제1 교반물을 분리하여, 제1 건축용 블록이 제조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교반물 호퍼가 상기 제1 교반물을 상기 교반기로부터 투입받기 위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교반물을 상기 제1 블록지그에 투입되기 위한 제2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4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제2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제2 교반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1 교반물 및 상기 제2 교반물을 제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교반 공정을 진행하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교반기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는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기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기 이전에, 상기 교반물 호퍼가 내부공간이 비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지그는,
    상기 교반물 호퍼가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완료와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물 호퍼가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이 완료되기 이전에 상기 제2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지그 및 상기 제1 블록지그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블록지그는, 지그 이동부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제2 블록지그가 상기 지그 이동부 상에서 상기 제2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시멘트 호퍼, 물 호퍼, 스티로폼 호퍼 및 혼화재 호퍼의 배출구에는 각각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지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시멘트 호퍼 밸브, 물 호퍼 밸브,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혼화재 호퍼 밸브가 위치하며,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 상기 물 호퍼 밸브,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상기혼화재 호퍼 밸브는,
    각각 시멘트 로드셀, 물 로드셀, 스티로폼 로드셀 및 혼화재 로드셀에 의해 자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의 유입구에는 상기 시멘트 호퍼, 상기 물 호퍼,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및 상기 혼화재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의 양을 각각 감지하는 시멘트 투입 감지부, 물 투입 감지부,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혼화재 투입 감지부가 위치하며,
    시멘트 호퍼 밸브, 물 호퍼 밸브,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혼화재 호퍼 밸브는, 각각 상기 시멘트 투입 감지부, 상기 물 투입 감지부, 상기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상기 혼화재 투입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8.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블록의 재료가 되는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시멘트 호퍼, 물 호퍼, 스티로폼 호퍼 및 혼화재 호퍼;
    상기 시멘트 호퍼, 상기 물 호퍼, 상기 스티로폼 호퍼, 상기 혼화재 호퍼 각각으로부터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가 투입되며, 상기 투입된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를 교반하여 제1 교반물이 되도록 하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로부터 교반되어 제조되는 상기 제1 교반물을 제1 위치에서 상기 교반부로부터 제공받는 교반물 호퍼; 및
    상기 교반물 호퍼를 지지하며, 상기 교반물 호퍼를 상기 건축용 블록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제1 블록지그가 위치한 위치인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제1 교반물이 상기 내부공간에 투입되어 양생에 의해 상기 제1 교반물이 제1 건축용 블록이 제조되도록 하는 교반물 호퍼 이동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교반물 호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투입되는 도중, 제2 건축용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제2 교반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제1 교반물 및 상기 제2 교반물을 제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교반 공정을 진행하며,
    상기 교반물 호퍼 이동부는,
    상기 교반기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는 동시에 또는 상기 교반기 내에서 상기 제2 교반물이 제조되기 이전에, 상기 교반물 호퍼가 내부공간이 비워진 상태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시멘트 호퍼, 물 호퍼, 스티로폼 호퍼 및 혼화재 호퍼의 배출구에 각각 위치하여, 시멘트, 물, 스티로폼 및 혼화재가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는지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시멘트 호퍼 밸브, 물 호퍼 밸브,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혼화재 호퍼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 상기 물 호퍼 밸브,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상기 혼화재 호퍼 밸브는,
    각각 시멘트 로드셀, 물 로드셀, 스티로폼 로드셀 및 혼화재 로드셀에 의해 자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의 유입구에 위치하여 상기 시멘트 호퍼, 상기 물 호퍼,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및 상기 혼화재 호퍼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시멘트, 상기 물, 상기 스티로폼 및 상기 혼화재의 양을 각각 감지하는 시멘트 투입 감지부, 물 투입 감지부,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혼화재 투입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멘트 호퍼 밸브, 상기 물 호퍼 밸브, 상기 스티로폼 호퍼 밸브 및 상기 혼화재 호퍼 밸브는,
    각각 상기 시멘트 투입 감지부, 상기 물 투입 감지부, 상기 스티로폼 투입 감지부 및 상기 혼화재 투입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블록 제조장치.
KR1020180023145A 2018-02-26 2018-02-26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ithdrawn KR20190103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45A KR20190103542A (ko) 2018-02-26 2018-02-26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45A KR20190103542A (ko) 2018-02-26 2018-02-26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542A true KR20190103542A (ko) 2019-09-05

Family

ID=6794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145A Withdrawn KR20190103542A (ko) 2018-02-26 2018-02-26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35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755B1 (ko) * 2019-12-23 2021-01-05 김주용 콘크리트블록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755B1 (ko) * 2019-12-23 2021-01-05 김주용 콘크리트블록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1396B1 (en) Lightweight compositions
WO2008139439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ntrolled process for producing mixtures of lightweight construction materials and systems for automatic production of lightweight bricks
CN105818259B (zh) 一种多容重硫氧镁发泡保温板及其生产设备和工艺
US20100088984A1 (en) Lightweight compositions and articles containing such
CN105881724A (zh) 一种多容重发泡板材及其生产设备和工艺
CN102850083B (zh) 节能型镶嵌式轻质内外墙板
US8323782B2 (en) Stratified cementitious composite
KR20190103542A (ko) 건축용 블록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U201828565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articles and structures
CN104712144B (zh) 一种防中子辐射重晶石低水化热混凝土施工方法
CN105985080A (zh) 一种住宅厨房发泡水泥共用竖烟道及其制作方法
US3228387A (en) Prefabricated fireplace using prefabricated metal firebox
AU2014101579A4 (en) Lightweight Building Member
CN110409694A (zh) 一种装饰一体化轻质外墙构件及其制备方法
JP7360136B2 (ja) 板状建築資材、積層板、および板状建築資材の製造方法
JP2008254254A (ja) クリープ歪低減型鉄筋コンクリート柱部材の製造方法
CN202787624U (zh) 轻质混凝土砌块
AU2016202071B2 (en) Stratified cementitious composite
TR201703121A2 (tr) Tuğla ve bi̇ms doldurma yöntemi̇
CN116442354A (zh) 一种轻型无机材料复合板材的生产方法及装置
EP1614667A1 (en) Cementitious composition for a cementitious end-product, cementitious end-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TR201703122U (tr) Tuğla ve bi̇ms doldurma maki̇nasi
CN109335358A (zh) 一种砂浆生产加工用的中转储存装置
THỂ KEYNOTES
HK1091465A (en) Cementitious compositions for a cementitious end-product, cementitious end-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