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824A - Apparatus for orthodontic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rthodontic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0824A KR20190110824A KR1020180032749A KR20180032749A KR20190110824A KR 20190110824 A KR20190110824 A KR 20190110824A KR 1020180032749 A KR1020180032749 A KR 1020180032749A KR 20180032749 A KR20180032749 A KR 20180032749A KR 20190110824 A KR20190110824 A KR 201901108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nitube
- frame
- tooth
- tooth surface
- attach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6—Positioning or placement of brackets; Tool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교정을 위한 와이어가 통과하는 미니튜브를 치면에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orthodontic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orthodontic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 of the minitube through which the wire for orthodontics passes to the tooth surface simply and stably.
많은 환자들이 교정치료시 치료에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뿐만 아니라, 브라켓 부착에 따른 비심미성 및 불편감으로 치료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는 다양한 치료방법이 모색되어 왔는데, 그 중 하나인 미니튜브(mini-tube) 장치가 전치부 부분 교정과 재발 증례의 치료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장치는 낮은 프로필(profile)과 작은 부피감으로 환자의 불편감이 적고 위생관리가 용이하며, 보다 심미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Many patients are burdened with treatment because of the aesthetics and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e attachment of the bracket, as well as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ly, various treatment methods without using brackets have been sought, and one of them, a mini-tube device, is widely used for anterior partial correction and treatment of recurrent cases. The device has the advantage of low profile, small volume, less discomfort, easier hygiene, and more aesthetic.
그러나, 미니튜브는 여전히 많은 한계점이 존재하는데, 디지털 셋업을 통해 미니튜브의 이상적인 위치를 설정했다고 하더라도 복잡한 기공과정 및 간접부착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셋업부터 커스터마이즈드 레진 돔(customized resin dome)의 걸계, 간접부착을 위한 술식까지 준비 과정에 소요되는 시관과 노력이 적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minitubes still have many limitations, and even if the ideal position of the minitubes is set via digital setup, errors can occur in complex pore and indirect attachment processe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t much view and effort required for the preparation process from the digital setup to the customized resin dome base, and the procedure for indirect attachment.
또한, 종래의 미니튜브는 의사가 미니튜브를 집은 상태로 수작업을 통해 치면의 위치에 부착하는 방식을 취하였기 때문에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고도의 집중이 요구될 수 밖에 없어 시술 작업에 따른 의사의 피로도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initube has a method of attaching to the position of the tooth surface by hand while the doctor picks up the minitube, so the procedure takes a long time and high concentration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tigue is large.
이에 본 발명자는 새로운 치아 교정용 장치를 제공하여 원하는 치면의 위치에 정확하면서도 쉽게 미니튜브를 부착하여 치아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vided a new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to develop a device that enables orthodontics by easily and easily attaching a minitube to a desired tooth posi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면에 미니튜브를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고, 치아의 높낮이 조절, 치아에 가해지는 토크, 치아 뿌리쪽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mini-tube on the tooth surface easily and stably in the correct position,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oth, the torque applied to the tooth,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tooth root side To provide a devic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는 치아의 설측(舌側) 치면에 부착되는 제1 미니튜브; 상기 제1 미니튜브를 둘러싸고, 하부로 갈수록 설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제1 미니튜브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initube attached to the lingual tooth surface of the tooth; A first frame surrounding the first minitube, the first frame having a shape that is bent lingually toward the bottom; First and second connection wires connecting the inner ends of the first frame and both ends of the first minitube, respectively; And it may include a handl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일 예로 제1 미니튜브는 길이가 3㎜이고, 외경이 0.71㎜, 내경이 0.46㎜인 라운드 튜브(round tube)이다. 제1 미니튜브를 원하는 치면의 위치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통법과 같이 엣칭을 하고 광중합 레진을 사용할 수 있다. 엣칭 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광중합 한 후 소량의 페이스트(paste) 레진을 치면에 올려놓은 다음 제1 미니튜브를 위치시킨다. 코튼 파일러(Cotton piler)를 이용하여 높낮이(height), 앵귤레이션(angulation) 등을 조정한 다음 광중합을 하고 제1 미니튜브를 감싸는 식으로 레진을 추가하여 제1 미니튜브를 치면에 부착시킨다. For example, the first minitube is a round tube having a length of 3 mm, an outer diameter of 0.71 mm, and an inner diameter of 0.46 mm. In order to attach the first minitube to the desired tooth surface position, etching may be performed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and photopolymerization resin may be used. After etching, primer is applied, photopolymerized, a small amount of paste resin is placed on the tooth surface, and then the first minitube is placed. A cotton piler is used to adjust height, angulation, and the like, and then add resin in such a manner as to photopolymerize and surround the first minitube to attach the first minitube to the tooth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는 상기 치아의 순측(脣側) 치면에 부착되는 제2 미니튜브; 상기 제1 프레임의 상측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미니튜브를 둘러싸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제2 미니튜브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3 및 제4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minitube attached to the labial tooth surface of the tooth; A second fram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frame and surrounding the second minitube; And third and fourth connection wires connecting inner ends of the second frame and both ends of the second minitube,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하여 둘러쌓여진 형태로 상기 제2 미니튜브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치아의 순측 치면에 부착되는 제3 미니튜브;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제3 미니튜브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5 및 제6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device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rd minitube disposed below the second minitube in a form surrounded by the second frame and attached to a labial tooth surface of the tooth; And fifth and sixth connection wires connecting the inner ends of the second frame and the both ends of the third minitube, respectively.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연결 와이어는 각각 설측 방향으로 돌출된 굽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 내지 제6 연결 와이어는 각각 순측 방향으로 돌출된 굽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wires may have a curved shape protruding in the lingual direction, and the third to sixth connection wires may each have a curved shape protruding in the forward direc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치면의 원하는 위치에 미니 튜브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ccurately and easily attached to the mini tube in the desired position of the tooth surface.
본 발명은 설측 치면과 순측 치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미니튜브를 부착할 수 있어 치아의 레벨링, 치아각도, 치아의 뿌리쪽 각도 조절 등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ingual tooth surface and the lingual tooth surface, respectively,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control the leveling of teeth, tooth angle, the root angle of the teeth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figur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1000)는 제1 미니튜브(10), 삽입부(20), 제1 프레임(30), 제1 연결 와이어(40), 제2 연결 와이어(50) 및 손잡이(6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제1 미니튜브(10)는 치아의 설측 치면에 부착될 수 있고, 제1 미니튜브(10)의 중축을 따라 중곡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을 통해 치아 교정을 위한 와이어가 삽입된다. 일 예로 사용되는 와이어는 0.012인치 NiT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제1 미니튜브(10)를 치면의 원하는 위치에 접촉시킨 후 제1 미니튜브(10)를 감싸는 식으로 레진을 주입함으로써 치면과 제1 미니튜브(10)를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레진이 과다하게 주입됨으로써 제1 미니튜브(10) 내에 형성되어 있는 중곡에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After contacting the
삽입부(20)는 치아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홈 형상으로 공간(22)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일 예로는 치아의 설측과 순측 치면만을 감싸는 형태로도 상기 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치아의 상부가 삽입부(20)에 삽입되면, 치아 교정용 장치(1000)가 치아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치면의 정확한 위치 상에 제1 미니튜브(10)를 배치시킬 수 있다.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toot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제1 프레임(30)은 삽입부(20)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1 미니튜브(1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레임(30)은 제1 미니튜브(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긴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긴 바(bar)의 양 끝단이 또 다른 긴 바(bar)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The
제1 프레임(30)은 삽입부(20)의 하부로부터 연장될수록 설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윗니나, 아랫니의 앞니의 경우 설측으로 굽어진 형상을 갖기 때문에 윗니나 아랫니의 앞니의 설측 치면 상에 제1 미니튜브(10)를 배치하기 위하여는 제1 프레임(30)이 굽어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1 프레임(30)의 굽어진 정도나 굽어지는 방향 등은 제1 미니튜브(10)를 부착시킬 치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The degree of bending or the direction of bending of the
제1 및 제2 연결 와이어(40, 50)는 제1 프레임(30)의 내측과 제1 미니튜브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 와이어(40)와 제2 연결 와이어(50)는 각각 설측 방향으로 돌출된 굽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1 미니튜브(10)를 치면에 부착시킨 후 제1 및 제2 연결 와이어(40, 50)를 제1 미니튜브(10)로부터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함이다. The first and
절단 부위는 제1 연결 와이어(40)와 제1 미니튜브(10)가 서로 결합된 지점, 제2 연결 와이어(50)와 제1 미니튜브(10)가 서로 결합된 지점이며, 절단 부위가 매끄럽게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ut portion is a point at which the
손잡이(60) 제1 프레임(30)의 상부에 결합된다. 손잡이(60)를 통해 의사가 치아 교정용 장치(1000)를 잡은 상태에서 원하는 치면 상의 위치에 제1 미니튜브(10)를 배치시킨 후 제1 미니튜브(10)를 치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The
치아 교정용 장치(1000)는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설계된 후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환자의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치아 상태를 파악한 후 디지털 셋업을 통해 제1 미니튜브(10)가 부착될 이상적인 위치에 맞게 치아 교정용 장치(100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orthodont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too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calibration devic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2000)는 제1 미니튜브(10), 삽입부(20), 제1 프레임(30), 제1 연결 와이어(40), 제2 연결 와이어(50), 손잡이(60), 제2 미니튜브(70), 제2 프레임(80), 제3 연결 와이어(90), 제4 연결 와이어(100), 제3 미니튜브(110), 제5 연결 와이어(120) 및 제6 연결 와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6, the
제1 미니튜브(10), 삽입부(20), 제1 프레임(30), 제1 연결 와이어(40), 제2 연결 와이어(50) 및 손잡이(6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제2 미니튜브(70)는 치아의 순측 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미니튜브(70)는 상기 순측 치면 중 상부 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다. The
제2 프레임(80)은 삽입부(20)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2 미니튜브(7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갖을 수 있다. 일 예로 제2 프레임(80)은 제2 미니튜브(70)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긴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긴 바(bar)의 양 끝단이 또 다른 긴 바(bar)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The
일 예로 제2 프레임(80)은 삽입부(20)의 하부로부터 연장될수록 설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윗니나, 아랫니의 앞니의 경우 설측으로 굽어진 형상을 갖기 때문에 윗니나 아랫니의 앞니의 설측 치면 상에 제2 미니튜브(70)를 배치하기 위하여는 제2 프레임(80)이 굽어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치아의 형상에 따라 제2 프레임(80)의 굽어지는 정도 및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제3 및 제4 연결 와이어(90, 100)는 제2 프레임(80)의 내측과 제2 미니튜브(70)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 와이어(90)와 제4 연결 와이어(100)는 각각 순측 방향으로 돌출된 굽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2 미니튜브(70)를 치면에 부착시킨 후 제3 및 제4 연결 와이어(90, 100)를 제2 미니튜브(70)로부터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함이다. The third and
절단 부위는 제3 연결 와이어(90)와 제2 미니튜브(70)가 서로 결합된 지점, 제4 연결 와이어(100)와 제2 미니튜브(70)가 서로 결합된 지점이며, 절단 부위가 매끄럽게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ut portion is a point at which the
일 예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2000)는 제1 미니튜브(10), 삽입부(20), 제1 프레임(30), 제1 연결 와이어(40), 제2 연결 와이어(50), 손잡이(60), 제2 미니튜브(70), 제2 프레임(80), 제3 연결 와이어(90) 및 제4 연결 와이어(1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device for
제1 프레임(30)과 제2 프레임(80) 사아에 치아가 삽입된 상태로 치아의 상부가 상기 공간(22)에 삽입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2000)가 치아 상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As the upper part of the tooth is inserted into the
제3 미니튜브(110)는 제2 프레임(80)에 의하여 둘러쌓여진 형태로 상기 제2 미니튜브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치아의 순측 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정면상에서 치아 교정용 장치(2000)를 보았을 때 제1 미니튜브(10)를 기준으로 상부에는 제2 미니튜브(70)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제3 미니튜브(110)가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The
제5 및 제6 연결 와이어(120, 130)는 제2 프레임(80)의 내측과 제3 미니튜브(130)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제5 연결 와이어(120)와 제6 연결 와이어(130)는 각각 순측 방향으로 돌출된 굽은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3 미니튜브(110)를 치면에 부착시킨 후 제3 및 제4 연결 와이어(120, 130)를 제3 미니튜브(110)로부터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함이다.The fifth and
절단 부위는 제5 연결 와이어(120)와 제3 미니튜브(110)가 서로 결합된 지점, 제6 연결 와이어(130)와 제3 미니튜브(110)가 서로 결합된 지점이며, 절단 부위가 매끄럽게 절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ut portion is a point at which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2000)는 하나의 치아의 설측 치면과 순측 치면에 복수 개의 미니튜브를 부착시킬 수 있어 교정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 The device for
또한, 미용을 위한 교정 치료를 위하여는 치아의 설측 치면에만 미니튜브를 부착되도록 할 수 있고, 미용 보다는 교정이 더욱 중요시되는 환자에게는 순측 치면에도 미니튜브를 부착시켜 교정함으로써 미용적인 측면과 교정의 측면을 동시에 만족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minitubes can be attached only to the lingual teeth of the teeth for orthodontic treatment for beauty, and for patients in whom correction is more important than cosmetics, minitubes are also attached to the labial tooth and corrected for cosmetic and side effects. Can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장치(2000)는 치아의 순측 하부에도 미니튜브를 부착시킬 수 있어, 기존 MTA 교정에서 레벨링, 치아각도 조절외에도 치아 뿌리쪽의 각도 또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교정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vice for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0, 2000: 치아 교정용 장치 10: 제1 미니튜브
20: 삽입부 30: 제1 프레임
40: 제1 연결 와이어 50: 제2 연결 와이어
60: 손잡이 70: 제2 미니튜브
80: 제2 프레임 90: 제3 연결 와이어
100: 제4 연결 와이어 110: 제3 미니튜브
120: 제5 연결 와이어 130: 제6 연결 와이어 1000, 2000: Orthodontic device 10: First minitube
20: inserting portion 30: first frame
40: first connection wire 50: second connection wire
60: handle 70: second minitube
80: second frame 90: third connection wire
100: fourth connection wire 110: third minitube
120: fifth connection wire 130: sixth connection wire
Claims (4)
상기 치아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미니튜브를 둘러싸며, 상기 삽입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될수록 설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제1 미니튜브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장치.
A first minitube attached to the lingual tooth surface of the tooth;
An insertion unit having a space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tooth can be inserted;
A first frame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surrounding the first minitube, and having a shape that is bent toward the lingual side as it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First and second connection wires connecting the inner ends of the first frame and both ends of the first minitube, respectively; And
And a handle coupled to the top of the first frame.
상기 치아의 순측 치면에 부착되는 제2 미니튜브;
상기 삽입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미니튜브를 둘러싸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제2 미니튜브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3 및 제4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minitube attached to the labial tooth surface of the tooth;
A second fram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art and surrounding the second minitube; And
The orthodontic device further comprises third and fourth connecting wires connecting the inner ends of the second frame and both ends of the second minitube, respectively.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하여 둘러쌓여진 형태로 상기 제2 미니튜브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치아의 순측 치면에 부착되는 제3 미니튜브;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과 상기 제3 미니튜브의 양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5 및 제6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third minitube disposed below the second minitube in a form surrounded by the second frame and attached to a labial tooth surface of the tooth; And
And orth and fifth connecting wires respectively connecting the inner ends of the second frame and the both ends of the third minitube.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연결 와이어는 각각 설측 방향으로 돌출된 굽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 내지 제6 연결 와이어는 각각 순측 방향으로 돌출된 굽은 형상을 가지는, 치아 교정용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wires each have a curved shape protruding in the lingual direction,
And the third to sixth connecting wires each have a curved shape projecting in the forward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32749A KR102050775B1 (en) | 2018-03-21 | 2018-03-21 | Apparatus for orthodontic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32749A KR102050775B1 (en) | 2018-03-21 | 2018-03-21 | Apparatus for orthodontic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10824A true KR20190110824A (en) | 2019-10-01 |
| KR102050775B1 KR102050775B1 (en) | 2019-12-02 |
Family
ID=6820750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32749A Expired - Fee Related KR102050775B1 (en) | 2018-03-21 | 2018-03-21 | Apparatus for orthodontic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50775B1 (en)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65079B1 (en) * | 2006-05-04 | 2008-10-24 | 주식회사 오라픽스 |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Jig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090015690A (en) * | 2007-08-09 | 2009-02-12 | 이준호 | Transfer jig for bracket or tube, how to make and use |
| US20100075269A1 (en) * | 2008-09-22 | 2010-03-25 | Ortho Organizers, Inc. | Accessory mounting clip for orthodontic aligner trays |
| CN101828969A (en) * | 2010-03-25 | 2010-09-15 | 杭州奥杰医疗器材有限公司 | Prepar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of personalized orthodontic material and locating support |
| KR101565802B1 (en) | 2015-03-19 | 2015-11-05 | 장상건 | Tooth correction device and tooth correction method using tooth correction device |
| US20180055605A1 (en) * | 2014-10-07 | 2018-03-01 | Orametrix, Inc. | Tooth attachment placement device |
-
2018
- 2018-03-21 KR KR1020180032749A patent/KR1020507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65079B1 (en) * | 2006-05-04 | 2008-10-24 | 주식회사 오라픽스 | Orthodontic Bracket Positioning Jig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090015690A (en) * | 2007-08-09 | 2009-02-12 | 이준호 | Transfer jig for bracket or tube, how to make and use |
| US20100075269A1 (en) * | 2008-09-22 | 2010-03-25 | Ortho Organizers, Inc. | Accessory mounting clip for orthodontic aligner trays |
| CN101828969A (en) * | 2010-03-25 | 2010-09-15 | 杭州奥杰医疗器材有限公司 | Prepar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of personalized orthodontic material and locating support |
| US20180055605A1 (en) * | 2014-10-07 | 2018-03-01 | Orametrix, Inc. | Tooth attachment placement device |
| KR101565802B1 (en) | 2015-03-19 | 2015-11-05 | 장상건 | Tooth correction device and tooth correction method using tooth correc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50775B1 (en) | 2019-12-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586791B1 (en) | Removable orthodontic device | |
| CN107405176B (en) | Orthodontic appliance including arcuate member | |
| US10278793B2 (en) | Orthodontic indirect bonding tray including stabilization features | |
| US20080311535A1 (en) | Torque Overcorrection Model | |
| US8257080B2 (en) |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 |
| JP2020520737A (en) | Orthodontic system with archwire slots of various sizes | |
| MXPA04009171A (en) | Orthodontic bracket. | |
| CN105792771B (en) | The lip side attachment device being used together with correction ancillary equipment with tongue side appliance system | |
| JP5798172B2 (en) | Dental instruments | |
| US20140272749A1 (en) | Orthodontic appliances with tapered archwire slots | |
| WO2023023417A1 (en) | Direct bonding guide systems | |
| KR20140002738A (en) | Method for design of custom composite orthodontic wires and implementation thereof | |
| KR20180103761A (en) | Jig integrated bracket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20100075269A1 (en) | Accessory mounting clip for orthodontic aligner trays | |
| KR102197877B1 (en) |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method | |
| KR102092592B1 (en) | Tube Type Orthodontic Appliance For Supporting Orthodontic Wire | |
| KR101578708B1 (en) | Orthodontic bracket | |
| KR102099449B1 (en) | Orthodontic appliance | |
| KR102050775B1 (en) | Apparatus for orthodontics | |
| KR20150134632A (en) | Orthodontic bracket | |
| US4655707A (en) | Light, continuous force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 |
| KR102370004B1 (en) | Orthodontic apparatus | |
| KR102223315B1 (en) | Tube Type Orthodontic Appliance For Supporting Orthodontic Wire | |
| US20220133439A1 (en) | Orthodontic Brackets | |
| Dedeyan et al. | Lingual Orthodontics simplified Incognito customization perfecte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1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