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11840A - 피부 유래 유산균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유래 유산균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840A
KR20190111840A KR1020190033152A KR20190033152A KR20190111840A KR 20190111840 A KR20190111840 A KR 20190111840A KR 1020190033152 A KR1020190033152 A KR 1020190033152A KR 20190033152 A KR20190033152 A KR 20190033152A KR 20190111840 A KR20190111840 A KR 2019011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strain
sbc
lo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3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139B1 (ko
Inventor
임혜원
임창진
조용완
황옥화
제한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박순희
임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박순희, 임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Publication of KR2019011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1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12R1/0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로부터 분리 및 동정된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 이의 배양물, 세포 파쇄물 또는 추출물은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또는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유래 유산균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Skin derived novel lactic acid bacteria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피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상기 신규 유산균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경제수준이 향상되고 사회생활의 참여도가 높아지면서 피부 미용 건강에 대한 관심이 다양한 연령층에서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피부노화 방지 및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많은 미용 관련 화장품 및 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자유라디칼이나 활성산소는 미토콘드리아, 식세포 또는 세포질 중 크산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나 글루타티온 환원 효소(glutathion reductase)에 의한 정상적인 대사 과정 또는 자외선, 외부자극에 의한 염증 반응 등 여러 가지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이렇게 반응성이 큰 활성산소와 자유라디칼, 특히 그 중에서도 반응성과 파괴성이 매우 큰 과산화물(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이 인체 내에 과량으로 축적되면, 염증 반응 이외에도 세포의 노화를 비롯하여 뇌졸중, 심근경색, 당뇨병성 혈관 장애, 고지혈증, 당뇨병, 신경퇴행성 질환 등 각종 인체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활성산소 또는 자유라디칼을 제거할 수 있는 소거물질은 이들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미생물 및 식물체로부터 다양한 활성산소(또는 자유라디칼) 소거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또한, 자유라디칼이나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도 이어지고 있는데, 합성화합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낮은 기호도로 인해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제품들은 천연물을 소재로 하여 기능성 화장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유산균은 인체 내에서 유익한 역할을 하는 세균으로서 탄수화물과 같은 당을 이용하여 유산(젖산)을 생성하는 균이다. 지금까지 400여종이 발견되었으며 화장품의 제조에도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산균들을 일반적인 배양액, 예를 들어 스킴밀크, 웨이, 당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 중에서 배양하여 얻어지는 발효액은, 미백, 보습, 각질층의 턴오버(turn over) 속도 증가에 의한 피부의 소프트닝(skin softning), 피부 주름 완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실제 이들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이러한 기능성 효과는 발효액 중의 유효성분에 의하기 보다는 화장품에 첨가된 다른 원료를 통하여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피부개선 및 피부건강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으로서 주원료를 유산균으로 하여 개발된 예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 특히 사람의 피부로부터 유래된 신규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고, 상기 균주를 주원료로 하여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0250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3의 16s rRNA를 가지며,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또는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으로 제형화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로부터 분리 및 동정된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 이의 배양물, 세포 파쇄물 또는 추출물은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또는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의 파쇄물이 ABTS 소거능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의 파쇄물이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 자체를 주요성분으로 하며,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화장품 제조의 원료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유산균을 동정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인간의 피부 유래 신규 균주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고 이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균주를 항산화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수득한 인체의 피부시료로부터 피부에 존재하는 신규 미생물을 분리하였고, 동정된 균주들의 16s rRNA 서열을 분석한 결과, 종래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한 유산균을 동정하였고 이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라 명명하였으며, 한국생명공학연구원(KCTC)에 2018년 03월 21일자로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 13499BP를 부여받았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신균주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의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상기 균주의 세포 파쇄물을 수득하여 세포 파쇄물 내에 함유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다량의 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 활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의 파쇄물에 대한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ABTS 라디칼 및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에 대한 우수한 소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는 다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균주들에 비해서도 월등히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래 알려진 유산균들에 비해 더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제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균주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를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를 제공하며,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3의 16s rRNA를 가지며, 항산화 활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피부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특히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또는 ABTS 라디칼에 대한 우수한 소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이란, 미생물을 적당히 인공적으로 조절한 환경 조건에서 생육시키기 위하여 수행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배양물은 배양 배지로부터 수득된 생균 그 자체뿐만 아니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유산균에 대한 임의의 가공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균체 파쇄물, 건조물, 동결물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신규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1-1> 시료 채취 및 유산균 분리
23세에서 58세 사이의 여성 피험자들의 동의하에 온도와 습도가 일정한 상태에서(온도 22 ± 2℃. 습도 50 ± 5%) 안면의 양쪽 볼 부분, 이마 부분 및 손바닥 부분의 피부 표면 미생물을 스왑하였다. 스왑은 Quick Swab kit를(3M Microbiology, USA) 이용하였고, swab 방법은 swab kit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검사대상의 표면적 약 12 cm2를 기준으로 채취하였다. 스왑된 각 샘플들은 한천이 함유된 고형 EM 배지에 화염멸균한 백금이를 이용하여 획선 도말하여 접종하였고 싱글 콜로니가 확인될 때까지 3일간 37℃의 호기 조건에서 배양한 뒤 다시 독립된 집락인 싱글 콜로니를 새로운 플레이트에 획선 도말하는 방법으로 3회 계대배양하여 균주의 생육 활성을 높였으며, 상기 과정으로 배양된 싱글 콜로니를 분리하여 분리된 균주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참고로, 상기 시료 채취를 위한 샘플수의 취득은 하기 표와 같다.
Figure pat00001
<1-2>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신규유산균의 동정
상기 <1-1>의 과정에서 순수 분리된 총 124개의 균주에 대한 동정을 위해 16S rRNA의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은 염색체 DNA 추출키트를 이용하여 게놈 DNA를 분리하였고 얻어진 gDNA로부터 유니버설 프라이머인 서열번호 1: 27F(5' AGA GTT TGA TCM TGG CTC AG 3')과 서열번호 2: 1492R(5' GGT TAC CTT GTT ACG ACT TC 3')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16s rRNA 시퀀싱 수행으로 얻어진 결과에 대한 상동성 검사는 NCBI에서 제공하는 BLAST 서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행하였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본 발명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신규 유산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염기서열 상동분석 결과 본 발명의 신규 유산균은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genus)에 속하는 메센테로이드(mesenteroide)와 99%의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신규 유산균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Leuconostoc mesenteroide SBC-4401) 라고 명명하였고, 이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KCTC)에 2018년 03월 21일자로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 13499BP를 부여받았다. 또한, 분석한 신균주 SBC-4401의 16s rRNA 서열은 서열번호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신규 유산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의 항산화 활성분석
<2-1>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의 배양물 제조
상기 본 발명에서 분리한 신규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MRS 브로스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48 시간 동안 호기성 조건으로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3,000g, 10분)하여 펠렛을 회수하였고, 이를 PBS로 3회 세척 후 다시 PBS에 재현탁 하였다. 3회 세척한 세포현탁액을 Ice bath상에서 10분간 초음파로 파쇄한 후 10,000g,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파편을 제거하고 상등액만을 회수한 다음, 막필터(filter (0.45 μm))로 여과하여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균주의 배양물인 세포 파쇄물을 얻었다.
<2-2>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상기 <2-1>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신균주의 세포 파쇄물(시료) 10 μL를 취해 증류수 90 μL를 첨가한 후, 1 N Folin-Ciocalteu 시약 10 μL를 넣고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7% Na2CO3 용액 100 μL 을 첨가하고 10분간 반응시킨 후에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을 갈릭산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위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작성한 표준 검량선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2-3>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상기 <2-1>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신균주의 세포 파쇄물(시료) 25 μL에 1 N NaOH 25 μL를 가하고 혼합 후, diethylene glycol을 250 μL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에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 naringin을 사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고,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g naringin equivalent로 표기하였다.
Figure pat00002
분석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 유산균의 배양물은 총 페놀은 7.9 ± 0.7 mg gallic acid equivalent/g mixture, 총 플라보노이드는 5.6 ± 0.2 mg naringin equivalent/g mixture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다양한 향장 효능을 보유하는 성분들로 알려지는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가 고농도로 함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ABTS 소거능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2-1> 및 <2-2>의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유산균 배양물, 특히 유산균의 세포 파쇄물이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함에 따라 실제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7.4 mM ABTS와 2.6 mM potassium persulfate를 암소에서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96-웰 플레이트의 웰 당 10 μL의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 세포 파쇄물을 넣고 희석한 ABTS 용액 290 μL를 가하여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75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에 의하여 라디칼 소거되는 만큼의 흡광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였고 이때 활성 비교를 위하여 양성대조군으로는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인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활성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아스코르빅산과 거의 유사한 활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2-4>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 측정
312 μM NADH (60 μL), 200 μM nitroblue tetrazolium (60 μL), 40 μM phenazine methosulfate (60 μL) 혼합 용액에 본 발명에 따른 신균주 세포 파쇄물 20 μL 를 첨가한 후 5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활성 비교를 위하여 양성대조군으로는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적 활성산소종인 슈퍼옥사이드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유산균 파쇄액이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을 34.32±1.4% 소거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유산균 파쇄액은 피부 조직에서 광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효능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신규 유산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을 함유한 화장품의 제조
<3-1> 토너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유산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의 파쇄물을 함유한 토너를 하기 표에 기재된 종류의 성분을 각 첨가량으로 혼합하여 종래 토너제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능성 화장품인 토너를 제조하였다. 이때 유상과 수상부분을 각각 계량하여 80℃까지 가온을 한 후 혼합하여 유화를 유도하여 제조 하였으며, 본 발명의 유산균 파쇄액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색상이 진해지고 약간의 특이한 냄새가 나긴 했지만 pH, 점도 등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특히, 제형의 변화가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산균 파쇄액의 함량을 최대 5%로 결정하였다.
토너제조
성분 토너 처방 (%)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유산균의 파쇄액 5
카보머 0.7
부틸렌글라이콜 2.5
글리세린 4
다이글리세린 0.5
나이아신아마이드 4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츠 캐스터 오일 1
트리데세스-9 0.6
Expert Gel EG56 4
마카다미아넛 오일 0.5
세틸알코올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1
시어버터 0.1
올레스-10 0.1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to be 100)
<3-2> 크림 제조
본 발명의 유산균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의 파쇄물을 함유한 토너를 하기 표에 기재된 종류의 성분을 각 첨가량으로 혼합하여 종래 크림 제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능성 화장품인 크림을 제조하였다.
크림제조
성분 크림 처방 (%)
본 발명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 유산균의 파쇄액 5
카보머 1
부틸렌글라이콜 2.5
글리세린 4
다이글리세린 0.3
헥산디올 2
나이아신아마이드 2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츠 캐스터 오일 1
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 2
폴리소르베이트80 2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
마카다미아씨 오일 1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1
세테아릴알코올 1
트리에칠헥사노인 0.5
디메치콘 0.5
시어버터 0.5
다이글리세린 0.5
카보머 0.3
올레스-10 0.3
세틸알코올 0.1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5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to be 100)
<실시예 4>
기호도 평가
20명의 20~50대 여성 패널들에게 본 발명의 신규 유산균이 함유된 크림과 에센스 제품의 샘플을 제공하고 2주간 사용하게 한 후 선호도를 각 항목에 대해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Figure pat00003
평가 결과,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된 토너 및 크림 화장품 모두 대체적으로 기호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균 점수를 고려했을 때 토너에서는 흡수성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크림제품에서는 향취와 끈적임이 적은 부분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분리 및 동정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을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13499BP 20180321
<110> Shebah biotech Inc <120> Skin derived novel lactic acid bacteria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130> NPDC67966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iversal primer 1 <400> 1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universal primer 2 <400> 2 ggttaccttg ttacgacttc 20 <210> 3 <211> 14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B44CD strain 16s rRNA sequence <400> 3 gctatacatg cagtcgaacg cacagcgaaa ggtgcttgca cctttcaagt gagtggcgaa 60 cgggtgagta acacgtggac aacctgcctc aaggctgggg ataacatttg gaaacagatg 120 ctaataccga ataaaactta gtgtcgcatg acaaaaagtt aaaaggcgct tcggcgtcac 180 ctagagatgg atccgcggtg cattagttag ttggtggggt aaaggcctac caagacaatg 240 atgcatagcc gagttgagag actgatcggc cacattggga ctgagacacg gcccaaactc 300 ctacgggagg ctgcagtagg gaatcttcca caatgggcga aagcctgatg gagcaacgcc 360 gcgtgtgtga tgaaggcttt cgggtcgtaa agcactgttg tatgggaaga acagctagaa 420 taggaaatga ttttagtttg acggtaccat accagaaagg gacggctaaa tacgtgccag 480 cagccgcggt aatacgtatg tcccgagcgt tatccggatt tattgggcgt aaagcgagcg 540 cagacggttt attaagtctg atgtgaaagc ccggagctca actccggaaa tggcattgga 600 aactggttaa cttgagtgca gtagaggtaa gtggaactcc atgtgtagcg gtggaatgcg 660 tagatatatg gaagaacacc agtggcgaag gcggcttact ggactgcaac tgacgttgag 720 gctcgaaagt gtgggtagca aacaggatta gataccctgg tagtccacac cgtaaacgat 780 gaacactagg tgttaggagg tttccgcctc ttagtgccga agctaacgca ttaagtgttc 840 cgcctgggga gtacgaccgc aaggttgaaa ctcaaaggaa ttgacgggga cccgcacaag 900 cggtggagca tgtggtttaa ttcgaagcaa cgcgaagaac cttaccaggt cttgacatcc 960 tttgaagctt ttagagatag aagtgttctc ttcggagaca aagtgacagg tggtgcatgg 1020 tcgtcgtcag ctcgtgtcgt gagatgttgg gttaagtccc gcaacgagcg caacccttat 1080 tgttagttgc cagcattcag atgggcactc tagcgagact gccggtgaca aaccggagga 1140 aggcggggac gacgtcagat catcatgccc cttatgacct gggctacaca cgtgctacaa 1200 tggcgtatac aacgagttgc caacccgcga gggtgagcta atctcttaaa gtacgtctca 1260 gttcggattg tagtctgcaa ctcgactaca tgaagtcgga atcgctagta atcgcggatc 1320 agcacgccgc ggtgaatacg ttcccgggtc ttgtacacac cgcccgtcac accatgggag 1380 tttgtaatgc ccaaagccgg tggcctaacc tataggaagg agccgtctaa 1430

Claims (6)

  1.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제1항의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SBC-4401(기탁번호: KCTC13499BP) 균주,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또는 ABTS 라디칼 소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으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33152A 2018-03-22 2019-03-22 피부 유래 유산균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140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998 2018-03-22
KR20180032998 2018-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840A true KR20190111840A (ko) 2019-10-02
KR102140139B1 KR102140139B1 (ko) 2020-07-31

Family

ID=6842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3152A Active KR102140139B1 (ko) 2018-03-22 2019-03-22 피부 유래 유산균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39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510688B1 (ko) * 2022-06-15 2023-03-17 아스티스(주) 야로위아 리폴리티카 변이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505B1 (ko) 1999-03-11 2001-09-22 이세복 유산균 발효액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9031099A2 (en) * 2007-09-04 2009-03-12 L'oreal Cosmetic use of microorganisms
KR20100037310A (ko) *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비티엠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액상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10125930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웰빙엘에스 식물성유산균을 이용한 효모추출물 및 미네랄을 함유하는 발효흑마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133373A (ko) * 2009-12-08 2012-12-10 네스텍 에스.아. 피부색의 광채를 개선하기 위한 활성제인 프로바이오틱 미생물
KR20160110744A (ko) * 2015-03-11 2016-09-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락티스 efel005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505B1 (ko) 1999-03-11 2001-09-22 이세복 유산균 발효액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9031099A2 (en) * 2007-09-04 2009-03-12 L'oreal Cosmetic use of microorganisms
KR20100037310A (ko) * 2008-10-01 2010-04-09 주식회사 비티엠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액상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20133373A (ko) * 2009-12-08 2012-12-10 네스텍 에스.아. 피부색의 광채를 개선하기 위한 활성제인 프로바이오틱 미생물
KR20110125930A (ko) *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웰빙엘에스 식물성유산균을 이용한 효모추출물 및 미네랄을 함유하는 발효흑마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10744A (ko) * 2015-03-11 2016-09-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 활성을 갖는 류코노스톡 락티스 efel005 균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Sci. Biotechnol., Vol.25, pp.1719-1726(Epub.2016.12.31.)*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39A1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20220049069A (ko) * 2020-10-13 2022-04-21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510688B1 (ko) * 2022-06-15 2023-03-17 아스티스(주) 야로위아 리폴리티카 변이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139B1 (ko)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3646B1 (ko)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1388402B (zh) 一种对皮肤有益的含有高浓度益生菌的组合物
KR101770140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튬 hk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라케케 발효 추출물
KR102553057B1 (ko)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389753B1 (ko) 피부장벽강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갖는 피부 유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세바­20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94315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7584B1 (ko) 금은화 유래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또는 그 배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75188B1 (ko) 등차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US20240207169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moisturizing, strengthening skin barrier, and promoting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mixed lactic acid bacteria as active ingredient
KR102389749B1 (ko) 피부장벽강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갖는 피부 유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아종 세바­1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10037153A (ko) 새싹삼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4668B1 (ko) 겨우살이의 발효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759587B1 (ko) 유산균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보습, 장벽강화, 각질 제거 및 가려움증 개선용 조성물
KR102263454B1 (ko) 피부장벽강화 및 항주름 활성을 갖는 피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224481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아종 플란타룸 sdcm 1002 및 사카로마에세스 세르비지에 sdcm 3017의 혼합 균주, 그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40139B1 (ko) 피부 유래 유산균 및 그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0508B1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6597B1 (ko) 유산균 배양물 혼합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014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k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와라타 발효 추출물
KR102668617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6955B1 (ko) 유산균을 이용한 지유 및 필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4644B1 (ko) 케라틴 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미생물 크리세오박테리움 카멜리아에 돌송이-ht1 및 이의 용도
KR102744767B1 (ko) 유산균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피부 재생 및 모공수축용 조성물
KR102395984B1 (ko) 슈도알터로모나스 카라기노보라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315638B1 (ko) 벼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