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101A - 최대 우도로의, 메시지/라벨 연관들 및 라벨/메시지 연관들의 비휘발성 저장, 취출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 방법 및 연관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최대 우도로의, 메시지/라벨 연관들 및 라벨/메시지 연관들의 비휘발성 저장, 취출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 방법 및 연관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26101A KR20190126101A KR1020197028749A KR20197028749A KR20190126101A KR 20190126101 A KR20190126101 A KR 20190126101A KR 1020197028749 A KR1020197028749 A KR 1020197028749A KR 20197028749 A KR20197028749 A KR 20197028749A KR 20190126101 A KR20190126101 A KR 201901261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y
- unit
- input
- output
- bin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6—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 G06N3/063—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using 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6—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 G06N3/063—Physical realisation, i.e. hardware implementation of neural networks, neurons or parts of neurons using electronic means
- G06N3/065—Analogu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4—Recurrent networks, e.g. Hopfield networks
-
- G06N3/0445—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95—Quantised networks; Sparse networks; Compressed network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23—Address circuits or decoders
- G11C13/0026—Bit-line or column 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upgrading existing storage systems, e.g.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host and storag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Neur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은 일반적으로 연관 메모리 서브 유닛 (1_1) 을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복수의 연관 메모리 서브 유닛 (1_i) 을 통합하는 연관 메모리 유닛 (10) 의 기입 모드의 예시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판독 모드에서 2 개의 연관 메모리 서브 유닛을 함께 그룹화하는 예이다.
도 4 는 2 초과의 서브-유닛들로 확장되고 최대 우도 및 루프된 동작 모드, (Cor) = 1 를 계산하기 위한 유닛을 통합하는 도 3 의 동작 모드의 예시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화 모드에서의 연관 메모리 유닛의 예이다.
도 6 은 지식 전달 모드에서의 연관 메모리 유닛 (10) 의 동작 모드의 예시이다.
도 7 은 2 개의 연관 메모리 유닛 (10_1) 및 (10_2) 간의 지식 전달의 예이다.
도 8 은 최대 우도에 의한 입력 메시지의 정정 모드의 예시이다.
도 9 는 연관 메모리 유닛 (10) 의 그 전체의 예시이다.
도 10 은 동적-어트랙터 유닛들 (80_i) 과 결합된 연관 메모리 (10) 의 사용의 예이다.
도 11 은 언어-번역 유닛 (70) 의 전송 함수의 예시이다.
도 12 는 동적-어트랙터 유닛 (80_i) 의 이선형 히스토그램 (bilinear histogram) 의 계산의 구성의 예시이다.
도 13 은 계위적-그래프 범용-생성기 기본 유닛 (60) 을 생성하는 3 개의 연관 메모리 유닛 ((10_1) 내지 (10_3)) 의 피라미드 모드에서의 레이아웃의 예이다.
도 14 는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들의 프로세싱에 기초하여 라벨을 생성하는 그래프의 구성의 예시이다.
도 15 는 자극에 대한 응답을 커맨딩하는 연관 메모리 유닛 (10) 의 사용의 예이다.
도 16 은 연관 메모리 유닛 (10) 이 일반적인 전자 컴포넌트에 통합되는 실시형태이다.
도 17 은 연관 메모리 유닛 (10) 이 웨이퍼에 통합되는 실시형태이다.
2 v 비트들의 2v 워드의 연관 메모리 서브-유닛
3 제로화 입력 (R) 및 카운트 제한 출력 (F) 을 갖는, (Cpt) 의 2v 값을 카운팅하기 위한 유닛
4 최대 우도를 선택하기 위한 유닛
5 v 비트 2 대 1 멀티플렉싱 유닛
6 메모리 서브-유닛들을 초기화하기 위한 유닛
7 2 개의 입력을 갖는 부울 OR 부울 유닛
7’ 2 개의 입력을 갖는 부울 AND-OR 부울 유닛
8 2 개의 입력을 갖는 부울 OR 부울 유닛
9 하나가 반전된 v 비트 입력인 2 개의 입력을 갖는 부울 AND 부울 유닛
10 연관 메모리 유닛
11_ i 하나가 반전된 w 비트 입력인 2 개의 입력을 갖는 부울 AND 부울 유닛 (i)
12 v 비트 2 대 1 멀티플렉싱 유닛
13 2 개의 입력을 갖는 부울 OR 부울 유닛
14 1 비트 2 대 1 멀티플렉싱 유닛
15 2 개의 입력을 갖는 부울 OR 부울 유닛
16 2 개의 입력을 갖는 부울 AND 부울 유닛
17 입력 메시지 (RSin_i) 의 일 부분에 적용되는 비트 필드의 마스크
20 연관 메모리 (10) 를 통합한 전자 컴포넌트
21 연관 메모리 (10) 의 입력/출력들 (Lin/Lout) 과 전자 컴포넌트 (20) 사이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22 연관 메모리 (10) 의 입력/출력들 (RSin_i/RSout_i) 과 전자 컴포넌트 (20) 의 RSin/RSout 사이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30 실리콘 웨이퍼
41 가장 대표적인 데이텀에 대한 검색으로 데이터를 시퀀싱하고 정량화하기 위한 유닛
42 가장 대표적인 데이터를 정량화하기 위한 레지스터
43 최대 우도를 선택하기 위한 유닛의 출력 값
50 포지션을 선택하기 위한 유닛
51 시퀀싱 유닛
52 w 비트의 n 개의 입력을 갖는 멀티플렉싱 유닛
60 범용 계위 그래프 생성기
70 공간-시간 입력 데이텀
71 언어 번역 전송 유닛
72 G 버스
73 D 버스
74 S 버스
75 P 버스
76 출력 레지스터 유닛
77 입력 레지스터 유닛
78 이진 히스토그램 계산 유효화 신호
80 동적 어트랙터 유닛
81_G, 81_D, 81_S, 및 81_P 통계 프로세싱 유닛들
82 이선형 히스토그램 계산 유닛
83 자동 분류 유닛들
84 요청 기반 분류 유닛들
85 분류를 유효화하기 위한 부울 유닛
86 공간-시간 분류를 위한 부울 유닛
87 히스토그램 계산 유효화 유닛
91 자극
92 수신기
93 구심성 채널
94 인지된 라벨
95 커맨드 라벨
96 원심성 채널
97 이펙터
98 응답
AB 공통 v 비트 버스
Adr 메모리 서브-유닛들 ((1_1) 내지 (1_n) 및 (2)) 의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
Cadr 서브-유닛들 ((1_1) 내지 (1_n) 및 (2)) 의 입력 포트 (In) 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 콘텐츠에 대한 어드레스 출력 포트
Cin 동적 금지 입력 커맨드
Cout 동적 금지 출력 커맨드
Ck 시퀀싱 클록
Cor 입력 메시지 (RSin_i) 의 정정을 위한 커맨드 신호 입력
Cpt 카운팅 유닛 (3) 의 출력 포트
Cpt[v-1 :0] 카운팅 유닛 (3) 의 이진 출력 값
D 동적 기본 시맨틱 표현
En 연관 메모리 서브-유닛들 ((1_i) 및 (2)) 의 유효화 입력 함수
F 카운트 제한 출력 신호
G 글로벌 기본 시맨틱 표현
In 메모리 서브-유닛들 ((1_1) 내지 (1_n) 및 (2)) 의 입력 포트
L_ i 메모리들 ((1) 및 (2)) 사이의 링크 값
L_ AB 입력 및 출력 라벨
L_ CD 입력 및 출력 라벨
Lout_i 출력으로서의 라벨
Lin _ j 입력으로서의 라벨
M 연관 출력 포트 (Cadr) 의 이진 값을 유효화하는 출력 신호
MA, MB, MC, MD, ME 입력 및 출력 메시지들
MEin _i n 개의 서브-메시지 ((RSin_1) 내지 (RSin_n)) 을 함께 그룹화한 입력 메시지
MEout _j n 개의 서브-메시지 ((RSout_1) 내지 (RSout_n)) 을 함께 그룹화한 출력 메시지
n 입력 또는 출력 서브-메시지들 ((RSin_i) 또는 (RSout_i)) 의 수
Ob 오브젝트의 에지 세그먼트
Out 메모리 서브-유닛들 ((1_1) 내지 (1_n) 및 (2)) 의 출력 포트
P 기본 시맨틱 표현들 (G, D 및 S) 의 포지션
q 서브-메시지를 형성하는 엘리먼트들의 수
R 카운팅 유닛 (3) 을 제로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
S 구조적 기본 시맨틱 표현
Wr 메모리 서브-유닛들 ((1) 및 (2)) 으로의 기입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Wre 기입될 연관 메모리 유닛 (10) 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RSi _ x z 비트들의 입력 서브-메시지 (RSin_i) 의 엘리먼트
RSo - x z 비트들의 출력 서브-메시지 (RSout_i) 의 엘리먼트
RSin _i 메모리 입력에서의 서브-메시지 (i)
RSout _i 메모리 출력에서의 서브-메시지
V_ i (L_i) 의 값의 유효화를 위한 입력
Wr 메모리 기입 제어 신호 ((1) 및 (2))
/ 1 1 비트 이진 신호
/ v v 비트 이진 신호 버스
/ w w 비트 이진 신호 버스, w = z.q
/ z z 비트 이진 신호 버스
Claims (52)
-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으로서,
- w 비트의 2v 워드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은 n 개의 메모리 서브 유닛의 제 1 세트 (n≥1) 를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 제 2 세트를 형성하는 v 비트의 2v 워드를 포함하는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을 포함하고;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은,
- 상기 워드들을 저장하기 위한 2v 메모리 포지션으로서, 각각의 포지션은 v 비트를 통해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2v 메모리 포지션;
- v 비트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 v 또는 w 비트 데이터 입력 포트 (In);
- v 또는 w 비트 데이터 출력 포트 (Out);
- v 비트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 (Cadr); 및
- 콘텐츠를 유효화하기 위한 이진 출력 (M) 을 포함하며;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은,
- 기입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를 통해 수신된 상기 어드레스에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 (In) 를 통해 수신된 상기 워드를 저장하고;
- 판독 모드에서:
- 상기 2v 메모리 포지션 중 하나가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 (In) 를 통해 수신된 상기 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현재 콘텐츠를 유효화하기 위한 이진 출력 신호 (M) 를 유효화하고, 상기 포지션의 어드레스를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 (Cadr) 로 전달하고;
- 그렇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를 유효화하기 위한 상기 이진 출력 신호 (M) 를 유효화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은 상기 메모리 서브 유닛들 모두에 공통인 시퀀싱 이진 입력 클록 (Ck),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및 기입 이진 입력 신호 (Wr) 을 수신하는 커맨드 포트를 포함하고,
- 상기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및 기입 이진 입력 신호 (Wr) 가 활성화될 때 상기 기입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 상기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가 활성화되고 상기 기입 이진 입력 신호 (Wr) 가 비활성화일 때 상기 판독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판독 및 기입 모드에서 활성인, 제 1 버스 (AB);
- 상기 제 1 버스와 독립적이고, 판독 모드에서 활성인, 제 2 버스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4 항에 있어서,
판독 모드에서,
- 상기 제 2 버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들 (Cadr) 과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사이에 접속되고;
- 상기 제 1 버스 (AB) 는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 (Cadr)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들 (Adr) 사이에 접속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5 항에 종속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모드에서, 상기 제 1 버스 (AB) 는 2v 값의 카운트를 생성하는 v 비트 이진 카운터 (3) 의 출력에 접속되고,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및 2)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에 접속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카운터 (3) 는 비휘발성 메모리 스토리지를 채용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2 항에 종속하는,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 상기 메모리 서브 유닛들을 초기화하기 위한 유닛 (6);
- 초기화 입력 이진 신호 (Ini) 및 상기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는 커맨드 포트를 포함하고;
초기화 입력 이진 입력 신호 (Ini) 의 활성화는 초기화 유닛 (6) 으로 송신되고, 상기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의 활성화와 함께, 초기화 페이즈를 생성하며, 상기 초기화 페이즈에서, 상기 초기화 유닛 (6) 은,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의 메모리 포지션들 모두를 0 으로 초기화하기 위해,
- 상기 이진 카운터 (3) 를 0 으로 초기화하고;
- 상기 기입 모드를 유효화하기 위해 상기 기입 이진 입력 신호 (Wr) 를 활성화시키고;
-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의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 (In) 를 0 으로 강제하고;
- 2v + 1 사이클 동안 시퀀싱 이진 입력 클록 (Ck) 의 각각의 사이클에 대해 일 유닛만큼 상기 이진 카운터 (3) 를 증분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페이즈의 외부에서, 상기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가 유효화되는 경우, 상기 이진 카운터 (3) 는 메모리 기입 신호 (Wr) 의 각각의 유효화에 대해 증분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카운터 (3) 는 상기 카운터의 이진 값이 2v - 1 와 동일할 때 카운트-제한 신호 (F) 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카운터 (3) 는 0 으로 초기화된 다음, 전송 사이클을 정의하는 전송 이진 신호 (T) 에 의한 커맨드에 대해 일 유닛만큼 증분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은 상기 카운터의 값 (i) 과 연관되는 메시지 (MEout_i) 및 라벨 (Lout_i) 을 출력으로서 전달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4 항에 종속하는,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대 우도를 선택하기 위한 유닛 (4) 을 포함하고,
판독 모드에서:
- 상기 제 1 버스 (AB) 는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 (Cadr) 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세트의 상기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들 (1_1 내지 1_n) 각각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들 (Adr) 에 접속되고;
- 상기 제 2 버스는 상기 최대 우도를 선택하기 위한 유닛 (4) 의 입력에, 상기 제 1 세트의 상기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들 (1_1 내지 1_n) 각각의 콘텐츠를 유효화하기 위한 이진 출력 신호들 (M) 및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들 (Cadr) 각각의 출력을 접속시키며;
- 상기 최대 우도를 선택하기 위한 유닛 (4) 은 입력 값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값 (L_i) 을 출력으로서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값은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의 상기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에 도입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12 항에 있어서,
판독 모드 정정 이진 입력 신호 (Cor) 가 유효화될 때, 상기 제 1 버스 (AB) 로 송신된 정보 아이템들은 상기 최대 우도의 값을 선택하기 위한 유닛 (4) 의 출력 (L_i)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6 항에 종속하는,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입 모드에서, 상기 이진 카운터 (3) 의 값은 상기 제 1 버스 (AB) 를 통해 새로운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값을 전달하기 위해 기입 동작의 시작에서 일 유닛만큼 증분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6 항, 제 8 항 및 제 12 항에 종속하는, 제 6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함께 그룹화된 제 1 세트의 메모리 서브 유닛들 (1_1 내지 1_n), 제 2 세트의 메모리 서브 유닛들 (2), 상기 이진 카운터 (3), 최대 우도를 계산하기 위한 유닛 (4), 상기 초기화 유닛 (6), 및 논리 제어 엘리먼트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제어 유닛은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의 기본 유닛을 형성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15 항에 있어서,
판독 모드에서, w 입력 비트의 n 개의 독립적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1 내지 RSin_n) 로 구성되는 입력 메시지 (MEin_i) 를 v 출력 비트의 출력 라벨 (Lout_j) 과 연관시키고, v 비트 입력 라벨 (Lin_i) 을 n 개의 w 비트 독립적인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1 내지 RSout_n) 로 구성되는 출력 메시지 (MEout_j) 와 연관시키고;
- 제 1 세트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들의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들 (In) 각각이 w 비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1 내지 RSin_n) 를 각각 수신하고;
- 상기 제 1 세트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들의 출력 입력 포트들 (Out) 각각이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1 내지 RSout_n) 를 각각 방출하고;
-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의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는 상기 입력 라벨 (Lin_i) 을 수신하고;
-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의 출력 데이터 포트는 상기 출력 라벨 (Lout_i) 을 방출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w 비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x) 및 w 비트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x) 는 각각의 엘리먼트에 대해, 그 위치에 특정되는 정의를 갖는 w/p 비트의 p 개의 엘리먼트로 구조화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17 항에 있어서,
w/p 비트의 각각의 엘리먼트는 TCAM (Ternary-content-addressable-memory) 모드에서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18 항에 있어서,
w/p 비트의 엘리먼트는, 저조하게 참조되거나 부재인 경우, TCAM (Ternary-content-addressable-memory) 모드에서 배치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을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
- 제 20 항에 있어서,
- 입력 레지스터 유닛 (77) 및 결과 레지스터 유닛 (76)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동적 어트랙터 (80_x) 를 포함하고,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의 w 비트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x) 는 상기 동적 어트랙터의 상기 입력-레지스터 유닛 (77) 으로 전달되고, 상기 연관 메모리 유닛 (10) 의 w 비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x) 는 상기 동적 어트랙터의 상기 결과 레지스터 유닛 (76) 에 의해 전달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 -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w 비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x) 및 w 비트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x) 의 상기 w/p 비트의 p 개의 엘리먼트는, 그 개개의 위치들에 특정되는 정의로서, 글로벌, 동적 또는 구조적 유형의 기본적인 시맨틱 표현을 갖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어트랙터 (80_x) 는, 입력 데이터 스트림 (70) 을 변환하기 위한 유닛 (71) 으로부터 출력된 서브 시퀀스-포함 시퀀싱된 데이터 (sub-sequence-containing sequenced data) 의 스트림들로부터, 포지션 (75) 에 의해 참조되고 서브 메시지에 대응하는 글로벌 유형 (72), 동적 유형 (73) 또는 구조적 유형 (74) 의 기본적인 시맨틱 표현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 - 제 23 항에 있어서,
동적 어트랙터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동적 어트랙터 (80_x) 는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의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x) 를 정의하고, 입력 이진 신호 (Cin) 를 수신하고, 다음의 동적 어트랙터 (80_x + 1) 에 입력으로서 전달되는, 출력 이진 신호 (Cout) 를 전달하며, 상기 세트의 동적 어트랙터들은 반복적으로 채용되고, 새로운 동적 어트랙터는 상기 세트의 동적 어트랙터들 모두가 록킹될 때 그리고 최대 수의 동적 어트랙터들에 도달되지 않고, 마지막 동적 어트랙터에 의해 식별된 유사도의 수가 미리정의된 임계치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세트에 채용되고 부가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 - 제 20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트의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들은 양방향 피라미드 모드로 접속되고, 그리고
- 일 방향에서, 제 1 레벨은 p 개의 입력 메시지를 각각 수신하고 제 2 레벨의 연관 메모리 유닛의 입력 서브 메시지에 의해서 각각 접속되는 p 개의 출력 라벨을 각각 생성하는 다수 (p) 의 연관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벨의 연관 메모리 유닛은 상기 입력 서브 메시지들을 요약하는 출력 라벨을 생성하고;
- 반대 방향에서, 제 2 요약 라벨은 p 개의 출력 메시지의 세트를 각각 전달하는, 상기 제 1 레벨의 p 개의 연관 메모리 유닛의 세트의 입력 라벨들에 의해서 각각 접속되는 p 개의 출력 서브 메시지의 세트를 생성하는, 상기 제 2 레벨의 연관 메모리 유닛에 입력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 -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 1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및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 2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정보 아이템들의 분배에 관하여, 제 1 유닛의 출력 포트들을 제 2 유닛의 입력 포트들에 접속시키고, 제 1 유닛의 판독 사이클의 제 2 유닛의 기입 사이클과 동기화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내지 제 2 유닛의 취득된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로부터 지식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부품에 통합된,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을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 - 제 20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 칩에 적층된,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을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디바이스. -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에 의한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은,
- w 비트의 2v 워드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은 n 개의 메모리 서브 유닛의 제 1 세트 (n≥1) 를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 제 2 세트를 형성하는 v 비트의 2v 워드를 포함하는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을 포함하고;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은,
- 상기 워드들을 저장하기 위한 2v 메모리 포지션으로서, 각각의 포지션은 v 비트를 통해 메모리 어드레스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2v 메모리 포지션;
- v 비트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 v 또는 w 비트 데이터 입력 포트 (In);
- v 또는 w 비트 데이터 출력 포트 (Out);
- v 비트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 (Cadr); 및
- 콘텐츠를 유효화하기 위한 이진 출력 (M) 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기입 모드에서,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를 통해 수신된 상기 어드레스에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 (In) 를 통해 수신된 상기 워드를 저장하는 단계;
- 판독 모드에서:
- 상기 2v 메모리 포지션 중 하나가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 (In) 를 통해 수신된 상기 워드를 포함하는 경우, 현재 콘텐츠를 유효화하기 위한 이진 출력 신호 (M) 를 유효화하고, 상기 포지션의 어드레스를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 (Cadr) 로 전달하고;
- 그렇지 않으면, 상기 콘텐츠를 유효화하기 위한 상기 이진 출력 신호 (M) 를 유효화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29 항에 있어서,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은 상기 메모리 서브 유닛들 모두에 공통인 시퀀싱 이진 입력 클록 (Ck),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및 기입 이진 입력 신호 (Wr) 을 수신하는 커맨드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및 기입 이진 입력 신호 (Wr) 가 활성화될 때 상기 기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 상기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가 활성화되고 상기 기입 이진 입력 신호 (Wr) 가 비활성화일 때 상기 판독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2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판독 및 기입 모드에서 연관 메모리 유닛의 제 1 버스 (AB) 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 판독 모드에서, 상기 연관 메모리 유닛의 제 2 버스를 상기 제 1 버스와 독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31 항에 있어서,
판독 모드에서,
- 상기 제 2 버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들 (Cadr) 과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사이에 접속되고;
- 상기 제 1 버스는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 (Cadr)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들 (5)(Adr) 사이에 접속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 모드에서, 상기 제 1 버스 (AB) 는 2v 값의 카운트를 생성하는 v 비트 이진 카운터 (3) 의 출력에 접속되고,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 (1_1 내지 1_n 및 2)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에 접속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은,
- 상기 메모리 서브 유닛을 초기화하기 위한 유닛 (6);
- 초기화 입력 이진 신호 (Ini) 및 상기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는 커맨드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초기화 입력 이진 입력 신호 (Ini) 및 메모리들 모두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 (En) 의 활성화의 경우에, 활성화 페이즈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 페이즈는,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의 메모리 포지션들 모두를 0 으로 초기화하기 위해서,
- 초기화 유닛 (6) 으로, 상기 이진 카운터 (3) 를 0 으로 초기화하는 단계;
- 상기 초기화 유닛 (6) 으로, 상기 기입 모드를 유효화하기 위해 상기 기입 이진 입력 신호 (Wr) 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 상기 초기화 유닛 (6) 으로, 각각의 메모리 서브 유닛의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 (In) 를 0 으로 강제하는 단계;
- 상기 초기화 유닛 (6) 으로, 2v + 1 사이클 동안 시퀀싱 이진 입력 클록 (Ck) 의 각각의 사이클에 대해 일 유닛만큼 상기 이진 카운터 (3) 를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페이즈의 외부에서, 상기 메모리 선택 이진 입력 신호 (En) 가 유효화되고,
상기 메모리 기입 신호 (Wr) 의 각각의 유효화에서 상기 이진 카운터 (3) 를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3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v 비트 이진 카운터 (3) 의 값이 값 2v - 1 에 도달할 때 카운트-제한 신호 (F) 를 유효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33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 카운터 (3) 를 0 으로 초기화한 다음 이를 전송 사이클을 정의하는 전송 이진 신호 (T) 에 의해 커맨드에 대해 일 유닛만큼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은 상기 카운터의 값 (i) 과 연관되는 메시지 (MEout_i) 및 라벨 (Lout_i) 을 출력으로서 전달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32 항에 종속하는, 제 32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은 최대 우도를 선택하기 위한 유닛 (4) 을 포함하고,
판독 모드에서:
- 상기 제 1 버스 (AB) 는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 (Cadr) 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세트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들 (1_1 내지 1_n) 각각의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입력 포트들 (Adr) 에 접속되고;
- 상기 제 2 버스는 상기 최대 우도를 선택하기 위한 유닛 (4) 의 입력에, 상기 제 1 세트의 상기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들 (1_1 내지 1_n) 각각의 콘텐츠를 유효화하기 위한 이진 출력 신호들 (M) 및 상기 메모리 어드레스 출력 포트들 (Cadr) 각각의 출력을 접속시키며;
상기 방법은 :
- 상기 최대 우도를 선택하기 위한 유닛 (4) 으로부터의 출력으로서, 상기 입력 값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값 (L_i) 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장 대표적인 값 (L_i) 을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 (2) 의 상기 어드레스 입력 포트 (Adr) 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37 항에 있어서,
판독 모드 정정 이진 입력 신호 (Cor) 가 유효화될 때, 상기 최대 우도의 값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유닛 (4) 의 출력 (L_i) 으로부터의 정보 아이템들을 상기 제 1 버스 (AB) 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29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입 모드에서, 공통 버스 (AB) 를 통해 새로운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값을 전달하기 위해 기입 동작의 시작에서 일 유닛만큼 상기 이진 카운터 (3) 의 값을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32 항, 제 33 항 및 제 34 항에 종속하는, 제 34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세트의 메모리 서브 유닛들 (1_1 내지 1_n), 제 2 세트의 메모리 서브 유닛들 (2), 상기 이진 카운터 (3), 최대 우도를 계산하기 위한 유닛 (4), 상기 초기화 유닛 (6), 및 논리 제어 엘리먼트들의 세트가 함께 그룹화되고, 제어 유닛은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의 기본 유닛을 형성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1 항에 있어서,
판독 모드에서, w 입력 비트의 n 개의 독립적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1 내지 RSin_n) 로 구성되는 입력 메시지 (MEin_i) 를 v 출력 비트의 출력 라벨 (Lout_j) 과 연관시키고, v 비트 입력 라벨 (Lin_i) 을 w 출력 비트의 n 개의 독립적인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1 내지 RSout_n) 로 구성되는 출력 메시지 (MEout_j) 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제 1 세트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들의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들 (In) 각각으로, w 비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1 내지 RSin_n) 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세트의 제 1 메모리 서브 유닛들의 출력 입력 포트들 (Out) 각각으로,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1 내지 RSout_n) 를 각각 방출하는 단계;
-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의 상기 데이터 입력 포트로, 상기 입력 라벨 (Lin_i) 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메모리 서브 유닛의 출력 데이터 포트로, 상기 출력 라벨 (Lout_i) 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2 항에 있어서,
각각의 w 비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x) 및 w 비트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x) 를, 각각의 엘리먼트에 대해, 그 위치에 특정되는 정의를 갖는 w/p 비트의 p 개의 엘리먼트로 각각 구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3 항에 있어서,
TCAM (Ternary-content-addressable-memory) 모드에서 독립적으로 w/p 비트의 각각의 엘리먼트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4 항에 있어서,
w/p 비트의 각각의 엘리먼트는, 저조하게 참조되거나 부재인 경우, TCAM (Ternary-content-addressable-memory) 모드에서 배치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29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42 항 내지 제 4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은 디바이스에 통합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 입력 레지스터 유닛 (77) 및 결과 레지스터 유닛 (76)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동적 어트랙터 (80_x) 를 포함하고,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방법은,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의 w 비트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x) 를 상기 동적 어트랙터의 상기 입력-레지스터 유닛 (77) 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동적 어트랙터의 상기 결과 레지스터 유닛 (76) 으로 상기 연관 메모리 유닛 (10) 의 상기 w 비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x) 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3 항에 종속하는, 제 43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w 비트 출력 서브 메시지 (RSout_x) 및 상기 w 비트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x) 의 상기 w/p 비트의 p 개의 엘리먼트는, 그 개개의 위치들에 특정되는 정의로서, 글로벌, 동적 또는 구조적 유형의 기본적인 시맨틱 표현을 갖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어트랙터 (80_x) 로, 입력 데이터 스트림 (70) 을 변환하기 위한 유닛 (71) 으로부터 출력된 서브 시퀀스-포함 시퀀싱된 데이터의 스트림들로부터, 포지션 (75) 에 의해 참조되고 서브 메시지에 대응하는 글로벌 유형 (72), 동적 유형 (73) 또는 구조적 유형 (74) 의 기본적인 시맨틱 표현 (72) 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동적 어트랙터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동적 어트랙터 (80_x) 는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 (10) 의 입력 서브 메시지 (Rsin_x) 를 정의하고, 입력 이진 신호 (Cin) 를 수신하고 출력 이진 신호 (Cout) 를 전달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동적 어트랙터들 (80_x) 중 하나의 상기 출력 신호 (Cout) 를 다음의 동적 어트랙터 (80_x + 1) 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트의 동적 어트랙터들은 반복적으로 채용되고, 새로운 동적 어트랙터는 상기 세트의 동적 어트랙터들 모두가 록킹될 때 그리고 최대 수의 동적 어트랙터들에 도달되지 않고, 마지막 동적 어트랙터에 의해 식별된 유사도의 수가 미리정의된 임계치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세트에 채용되고 부가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6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트의 상기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들 (10_x) 을 양방향 피라미드 모드로 접속시키는 단계;
- 일 방향에서, 다수 (p) 의 제 1 레벨의 연관 메모리 유닛들로, p 개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레벨의 연관 메시지 유닛들로, 제 2 레벨의 연관 메모리 유닛의 입력 서브 메시지에 의해서 각각 접속되는 p 개의 출력 라벨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레벨의 연관 메모리 유닛은 상기 입력 서브 메시지를 요약하는 라벨을 생성하는, 상기 p 개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p 개의 출력 라벨을 생성하는 단계;
- 반대 방향에서, 상기 제 2 레벨의 상기 연관 메모리 유닛으로 입력된 제 2 요약 라벨로, p 개의 출력 메시지의 세트를 각각 전달하는, 상기 제 1 레벨의 p 개의 연관 메모리 유닛의 세트의 입력 라벨들에 의해서 각각 접속되는 p 개의 출력 서브 메시지의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를 위한 방법. - 제 46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나의 디바이스의 제 1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의 취득된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로부터의 지식을, 상기 디바이스의 제 2 연관 메모리 스토리지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아이템들의 분배에 관하여, 상기 제 1 유닛의 출력 포트들을 상기 제 2 유닛의 입력 포트들에 접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유닛의 판독 사이클을 상기 제 2 유닛의 기입 사이클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FR1700463A FR3065826B1 (fr) | 2017-04-28 | 2017-04-28 | Procede et dispositif associe automatises aptes a memoriser, rappeler et, de maniere non volatile des associations de messages versus labels et vice versa, avec un maximum de vraisemblance |
| FR1700463 | 2017-04-28 | ||
| PCT/EP2018/060923 WO2018197689A1 (fr) | 2017-04-28 | 2018-04-27 | Procédé et dispositif associé automatisés aptes à mémoriser, rappeler et gérer de manière non volatile des associations de messages versus label et vice versa, avec un maximum de vraisemblan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26101A true KR20190126101A (ko) | 2019-11-08 |
| KR102457546B1 KR102457546B1 (ko) | 2022-10-20 |
Family
ID=6013840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7028749A Active KR102457546B1 (ko) | 2017-04-28 | 2018-04-27 | 최대 우도로의, 메시지/라벨 연관들 및 라벨/메시지 연관들의 비휘발성 저장, 취출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 방법 및 연관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7)
| Country | Link |
|---|---|
| US (1) | US11526741B2 (ko) |
| EP (1) | EP3616131B1 (ko) |
| JP (1) | JP7075414B2 (ko) |
| KR (1) | KR102457546B1 (ko) |
| CN (1) | CN110537192B (ko) |
| FR (1) | FR3065826B1 (ko) |
| WO (1) | WO201819768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3449450B1 (en) * | 2016-04-29 | 2022-06-15 | Nchain Holdings Limited | Implementing logic gate functionality using a blockchain |
| KR102813197B1 (ko) * | 2019-10-01 | 2025-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초기화 제어 방법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
| US20250217052A1 (en) * | 2023-12-27 | 2025-07-03 | Micron Technology, Inc. | Charge Domain Compute-in-DRAM for Binary Neural Network |
Family Cites Families (2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61148547A (ja) * | 1984-12-24 | 1986-07-07 | Canon Inc | メモリ制御装置 |
| GB2176918B (en) * | 1985-06-13 | 1989-11-01 | Intel Corp | Memory management for microprocessor system |
| US7095783B1 (en) * | 1992-06-30 | 2006-08-22 | Discovision Associates | Multistandard video decoder and decompression system for processing encoded bit streams including start cod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
| US6067417A (en) * | 1992-06-30 | 2000-05-23 | Discovision Associates | Picture start token |
| JP3484093B2 (ja) | 1999-02-01 | 2004-01-06 |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 連想メモリ |
| FR2805653A1 (fr) * | 2000-02-28 | 2001-08-31 | St Microelectronics Sa | Memoire serie programmable et effacable electriquement a lecture par anticipation |
| KR100542467B1 (ko) | 2001-07-24 | 2006-01-11 | 카부시키가이샤 테르미나스 테크놀로지 | 연상 메모리 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 |
| DE10144077A1 (de) * | 2001-09-07 | 2003-03-27 |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 Binärzähler |
| JP2007280054A (ja) * | 2006-04-06 | 2007-10-25 | Sony Corp | 学習装置および学習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US7639542B2 (en) * | 2006-05-15 | 2009-12-29 | Apple Inc. | Maintenance operations for multi-level data storage cells |
| US7709359B2 (en) | 2007-09-05 | 2010-05-04 | Qimonda Ag | Integrated circuit with dielectric layer |
| US7633798B2 (en) * | 2007-11-21 | 2009-12-15 | Micron Technology, Inc. | M+N bit programming and M+L bit read for M bit memory cells |
| JP4427574B2 (ja) | 2007-11-30 | 2010-03-10 |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 連想メモ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検索システム |
| JP2010244615A (ja) * | 2009-03-19 | 2010-10-28 | Elpida Memory Inc |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書き込み制御方法 |
| FR2964222A1 (fr) | 2010-08-25 | 2012-03-02 | Inst Telecom Telecom Bretagne | Dispositif d'apprentissage et de decodage de messages, mettant en œuvre un reseau de neurones, procedes d'apprentissage et de decodage et programmes d'ordinateur correspondants. |
| EP2506265B1 (en) | 2011-03-28 | 2019-06-05 | Crocus Technology |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cell with a dual junction for ternary content addressable memory applications |
| FR2980876A1 (fr) | 2011-10-03 | 2013-04-05 | Inst Telecom Telecom Bretagne | Dispositifs d'apprentissage et/ou de decodage de messages sequentiels, mettant en oeuvre un reseau de neurones, procedes d'apprentissage et de decodage et programmes d'ordinateur correspondants |
| KR102007163B1 (ko) * | 2013-04-22 | 2019-10-01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인코더, 디코더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
| WO2014203039A1 (en) * | 2013-06-19 | 2014-12-24 | Aselsan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reservoir computing using cellular automata |
| US9299430B1 (en) | 2015-01-22 | 2016-03-29 | Nantero Inc. | Methods for reading and programming 1-R resistive change element arrays |
-
2017
- 2017-04-28 FR FR1700463A patent/FR3065826B1/fr active Active
-
2018
- 2018-04-27 WO PCT/EP2018/060923 patent/WO2018197689A1/fr not_active Ceased
- 2018-04-27 CN CN201880025964.8A patent/CN110537192B/zh active Active
- 2018-04-27 EP EP18718861.0A patent/EP3616131B1/fr active Active
- 2018-04-27 KR KR1020197028749A patent/KR102457546B1/ko active Active
- 2018-04-27 JP JP2019554640A patent/JP7075414B2/ja active Active
- 2018-04-27 US US16/499,793 patent/US11526741B2/en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P. Pirim., ‘Perceptive Invariance and Associative Memory Between Perception and Semantic Representation~’, Living Machines 2016: Biomimetic and Biohybrid Systems pp275-287 (2016.07.22.) 1부.* *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FR3065826B1 (fr) | 2024-03-15 |
| CN110537192A (zh) | 2019-12-03 |
| JP2020524317A (ja) | 2020-08-13 |
| CN110537192B (zh) | 2023-05-26 |
| EP3616131C0 (fr) | 2024-07-10 |
| EP3616131A1 (fr) | 2020-03-04 |
| KR102457546B1 (ko) | 2022-10-20 |
| US20200050930A1 (en) | 2020-02-13 |
| US11526741B2 (en) | 2022-12-13 |
| WO2018197689A1 (fr) | 2018-11-01 |
| EP3616131B1 (fr) | 2024-07-10 |
| JP7075414B2 (ja) | 2022-05-25 |
| FR3065826A1 (fr) | 2018-11-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Bian et al. | Neuromorphic computing: Devices, hardware, and system application facilitated by two-dimensional materials | |
| Chen et al. | Design and optimization of FeFET-based crossbars for binary convolution neural networks | |
| EP3432226B1 (en) | Control plane organisation for flexible digital data plane | |
| Karam et al. | Emerging trends in design and applications of memory-based computing and content-addressable memories | |
| JP6888787B2 (ja) | メモリ装置及びメモリシステム | |
| KR102457546B1 (ko) | 최대 우도로의, 메시지/라벨 연관들 및 라벨/메시지 연관들의 비휘발성 저장, 취출 및 관리를 위한 자동화 방법 및 연관 디바이스 | |
| Ma et al. | In-memory computing: The next-generation ai computing paradigm | |
| CN108154225B (zh) | 一种使用模拟计算的神经网络芯片 | |
| CN104040635B (zh) | 没有存储器瓶颈的推进存储器、双向推进存储器、复合推进存储器和计算机系统 | |
| CN108182959B (zh) | 基于阻变器件交叉阵列结构实现逻辑计算的方法 | |
| Amrouch et al. | Towards reliable in-memory computing: From emerging devices to post-von-neumann architectures | |
| Thangkhiew et al. | Scalable in-memory mapping of Boolean functions in memristive crossbar array using simulated annealing | |
| Lebdeh et al. | Memristive device based circuits for computation-in-memory architectures | |
| CN118072779B (zh) | 存算单元结构及其控制方法、阵列电路及装置、电子设备 | |
| CN119495341A (zh) | 一种基于柔性rram存算阵列的矩阵运算装置 | |
| Mehonic et al. | Emerging nonvolatile memories for machine learning | |
| Agrawal et al. | Embracing stochasticity to enable neuromorphic computing at the edge | |
| US20240005977A1 (en) | Compute-in-memory devices, neural network accelerators, and electronic devices | |
| JPWO2017170340A1 (ja) | メモリ装置 | |
| CN114333944B (zh) | 基于三值忆阻器交叉阵列的编码-存储-译码电路 | |
| CN117894350A (zh) | 一种基于2t-2c铁电存储单元的布尔逻辑存内运算电路 | |
| Lee et al. | Memory-logic hybrid gate with 3-D stackable complementary latches | |
| WO2021027354A1 (zh) | 一种基于rram忆阻器单元的集合模块及其形成方法 | |
| Danouchi et al. | Spin orbit torque-based crossbar array for error resilient binar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
| Wang et al. | TL-nvSRAM-CIM: Ultra-High-Density Three-Level ReRAM-Assisted Computing-in-nvSRAM with DC-Power Free Restore and Ternary MAC Operation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