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27911A -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7911A
KR20190127911A KR1020197031130A KR20197031130A KR20190127911A KR 20190127911 A KR20190127911 A KR 20190127911A KR 1020197031130 A KR1020197031130 A KR 1020197031130A KR 20197031130 A KR20197031130 A KR 20197031130A KR 20190127911 A KR20190127911 A KR 20190127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rs
terminal
information
arrangemen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히로 하세가와
아키노리 다이라
히로키 이우라
시게루 우치다
미츠루 모치즈키
다다히로 시모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27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91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7Inter-user or inter-termin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대의 단말에 대해서 1개 이상의 송신 레이어를 할당함과 함께, 각 송신 레이어에 있어서 통신 리소스의 최소 할당 단위인 리소스 블록을 1개 이상 할당해서 단말에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1)으로서, 복수의 송신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송신 레이어와 대응지어진 처리부(12-1, 12-2, 12-3,…)를 송신 레이어와 동일한 수만큼 구비하고, 처리부의 각각은, 단말이 수신 신호의 복조 처리에서 사용하는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 참조 신호 생성부(126)와, 단말 사이의 전송로 상태, 및, 인접하는 셀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의 송신에서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의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기초해서, 단말에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의 배치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부(12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 블록 전송에 대응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신호가 건물 등에 반사되어서 일어나는 멀티패스 페이딩(multipath fading) 또는 통신 장치의 이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도플러 변동에 의해서, 전송로의 주파수 선택성 및 시간 변동이 발생한다. 멀티패스 페이딩이 발생하는 멀티패스 환경에 있어서, 통신 장치가 수신하는 신호는, 송신원의 통신 장치로부터 직접 도달하는 송신 심벌과 건물 등에서 반사되고 나서 늦게 도달하는 심벌이 간섭한 신호가 된다.
이와 같은 주파수 선택성이 있는 전송로에 있어서는, 최선의 수신 특성을 얻기 위해, 멀티 캐리어(Multiple Carrier: MC) 블록 전송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多重)) 전송 방식(예를 들어, 하기 비특허문헌 1 참조)이 이용된다.
또한, 통신 용량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로서,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무선 전송 방식이 존재한다. MIMO 통신에 있어서는 통신 용량 개선을 위해 송신 레이어를 다중하는 방식과, 복수 유저의 각각에의 신호를 병렬로 송신하기 위해서 송신 레이어를 다중하는 방식이 있다. 후자는 멀티유저 MIMO라고 불린다. 멀티유저 MIMO에 있어서는, 복수 유저로의 복수의 송신 레이어를 송신측에서 다중한다. 멀티유저 MIMO에 있어서도 1유저당 복수의 송신 레이어를 다중해서 통신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송신 레이어란, 공간 다중되는 신호의 단위로, 스트림이라고도 불린다. 이하, 복수의 송신 레이어의 신호가 다중되는 것을 레이어 다중이라고 한다.
레이어 다중은 일반적으로 송신측에서 프리코딩을 이용해서 실시된다. 프리코딩은,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을 향한 전송로의 전송로 추정값을 사용해서 행한다. 그 때문에, 송신측의 통신 장치는, 수신측의 통신 장치가 전송로의 추정, 및, 송신측에의 피드백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전송로 추정에 사용 가능한 참조 신호가 삽입된 신호를 생성해서 송신한다. 또한, 참조 신호는, 다중된 신호를 복조할 때에도 사용된다. 참조 신호에는 몇 개의 종류가 있다. 표준화 단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도 복수의 참조 신호가 정해져 있고, 그의 하나인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는 프리코딩 처리가 실시되고 나서 송신된다. 그 때문에, 수신측의 통신 장치는, DMRS를 사용해서, 송신측에서 실시된 프리코딩 처리 및 전송로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DMRS는 복조용 참조 신호라고도 불린다.
또한, 일반적으로, 멀티유저 MIMO에 있어서는, 각 송신 레이어 및 각 유저에게 독자의 참조 신호가 할당된다. 이 경우, 수신측의 통신 장치는, 자(自)장치를 향해 신호가 송신되는 송신 레이어에 할당되었던 참조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당해 송신 레이어의 전송로 추정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W. Y. Zou and Y. Wu, "COFDM: An overview", IEEE Trans. on Broadcasting, vol. 41, no. 1, March 1995, pp. 1-8.
OFDM 전송 방식에 있어서는, 주파수에 있어서의 서브 캐리어, 또는 3GPP에 있어서의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RE)를 단위로서, 참조 신호를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리소스 엘리먼트는, 3GPP에 있어서 규정되는 리소스의 할당 단위이다. 참조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수신측의 통신 장치가 전송로 추정 및 복조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송로 추정을 고(高)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 배치하는 참조 신호의 수를 많게 함으로써 전송로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 배치하는 참조 신호의 수가 증가하면 데이터 전송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가 감소하고, 전송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주파수마다 전송로 상태가 크게 상이한 경우는 참조 신호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전송로의 추정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지만, 주파수마다의 전송로 상태에 큰 차이가 없는 경우, 참조 신호의 수를 증가시켜도 전송로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키지 못하고 전송 효율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참조 신호의 적절한 수, 즉 일정한 영역 내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의 적절한 밀도는, 전송로 상태에 의존한다. 또한, 참조 신호의 밀도를 필요 이상으로 높게 하면 전송 효율이 저하되고, 필요 이상으로 낮게 하면 통신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신 품질 및 전송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송신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1대의 단말에 대해서 1개 이상의 송신 레이어를 할당함과 함께, 각 송신 레이어에 있어서 통신 리소스의 최소 할당 단위인 리소스 블록을 1개 이상 할당해서 단말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복수의 송신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송신 레이어와 대응지어진 처리부를 송신 레이어와 동일한 수만큼 구비한다. 또한, 처리부의 각각은, 단말이 수신 신호의 복조 처리에서 사용하는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 참조 신호 생성부와, 단말 사이의 전송로 상태, 및, 인접하는 셀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의 송신에서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의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기초해서, 단말에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의 배치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는, 통신 품질 및 전송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참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파라미터 신호를 배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정하는 DMRS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이 포트 번호를 단말에 통지할 때에 사용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이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이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5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RB 내의 DMRS의 배치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RB 내의 DMRS의 배치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DMRS를 2개의 OFDM 심벌에 배치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기지국의 구성 요소를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경우의 제어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기지국의 구성 요소를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하는 경우의 전용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도면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과, 1개 이상의 단말의 일례인 단말(2-1∼2-n)을 구비한다.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2-1∼2-n)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2-1∼2-n)의 각각을 단말(2)로 기재한다. 또한, 단말(2-1∼2-n)을 통틀어서 복수의 단말(2)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단말(2)은, 유저 단말 또는 UE(User Equipment)라고도 불리는 통신 장치로,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의 복조 처리를, 참조 신호를 사용해서 행한다.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2)을 향한 전송로는 다운링크라고 불리고, 단말(2)로부터 기지국(1)을 향한 전송로는 업링크라고 불린다. 다운링크의 통신에 있어서는, 기지국(1)은 송신 장치이고, 단말(2)은 수신 장치이다. 업링크의 통신에 있어서는, 단말(2)은 송신 장치이고, 기지국(1)은 수신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운링크의 통신에서 OFDM 방식을 이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에 있어서의 심벌은 OFDM 심벌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다운링크의 통신에서는 멀티유저 MIMO 방식을 이용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1)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 신호에 대해서 프리코딩을 실시해서, 복수의 단말(2)을 지향하는 빔을 형성 가능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통신 시스템이 멀티유저 MIMO 방식을 이용해서 레이어 다중을 행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멀티유저 MIMO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레이어 다중이 가능한 다른 방식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운링크의 통신, 즉, 기지국(1)이 송신 장치로서 동작하고, 단말(2)이 수신 장치로서 동작하는 통신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업링크의 통신에 대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1)은, 수신부(11), 처리부(12-1, 12-2,…), 프리코딩부(13) 및 송신부(14)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처리부(12-1, 12-2,…)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 각각을 처리부(12)로 기재한다. 처리부(12)의 수는 2 이상이고, 처리부(12)의 수는 송신 레이어의 수와 일치한다. 즉, 기지국(1)은 송신 레이어 수 정도의 처리부(12)를 구비한다. 각 처리부(12)는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수신부(11)는, 업링크의 통신에 의해 각 단말(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면 이것을 복조하고, 복조 후의 수신 신호를 처리부(12)의 각각에 건네준다.
처리부(12)는, 대응하는 단말(2)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대한 수신 처리를 행함과 함께, 대응하는 단말(2)에 송신하는 신호를 생성해서 프리코딩부(13)에 출력한다. 수신 처리에는, 수신 신호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처리, 추출한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위 레이어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에 패스(pass)하는 처리 등이 포함된다. 한편, 상위 레이어는, 전술한 송신 레이어와는 달리,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에 있어서의 상위 레이어, 즉, OSI 참조 모델에 있어서 처리부(12-i)(i=1, 2, 3,…)가 속하는 레이어보다도 상위의 레이어이다. 또한, 대응하는 단말(2)이란, 처리부(12)가 대응지어져 있는 송신 레이어에 할당되어 있는 단말(2)로, 예를 들어, 처리부(12-1)에 대응하는 단말(2)은, 송신 레이어 1에 할당되어 있는 단말(2)이 해당한다.
처리부(12)는, 정보 처리부(121),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 참조 신호 생성부(126), 데이터 생성부(127) 및 다중부(128)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부(121)는, 수신부(11)를 통해서 단말(2)로부터 수신한 신호와, 후술하는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 및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의 각각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송신 레이어의 처리부(12)가 정보 처리부(121)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각 송신 레이어에 공통의 단일 정보 처리부(12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각 송신 레이어의 처리부(12)의 정보 처리부(121)가 행하는 처리를 통틀어서 행하는 정보 처리부를 각 처리부(12)의 외부에 구비하고, 이 정보 처리부가, 각 처리부(12)의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 및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를 향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는, 정보 처리부(121)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다중부(128)를 향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는, 단말(2)이 다운링크에서의 신호를 수신할 때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포함한 제어 신호인 파라미터 신호를 생성해서 다중부(128)에 출력한다. 파라미터 신호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참조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배치 즉 참조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어떤 주파수에 있어서 어떤 타이밍에 송신되는지를 나타낸다.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는, 단말(2)에 송신하는 참조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해서 참조 신호 생성부(126)에 출력한다.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는, 데이터 생성부(127)가 생성하는 데이터 신호의 심벌 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생성해서 데이터 생성부(127)에 출력한다.
참조 신호 생성부(126)는, 단말(2)이 수신 신호의 복조 처리에서 사용하는 참조 신호로서 DMRS를 생성하여, 다중부(128)에 출력한다.
데이터 생성부(127)는, 단말(2)에 송신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해서 다중부(128)에 출력한다.
다중부(128)는,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로부터 입력된 파라미터 신호, 참조 신호 생성부(126)로부터 입력된 참조 신호 및 데이터 생성부(127)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를 시간 및 주파수 상에서 다중해서 송신 신호를 생성하여, 프리코딩부(13)에 출력한다. 여기에서의 다중이란, 시간 및 주파수로 정의되는 특정의 영역 내에 파라미터 신호, 참조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시간 및 주파수로 정의되는 특정의 영역은, 예를 들어, 3GPP에 있어서 규정된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이다. 1RB는, 12의 주파수 즉 12캐리어와 7심벌로 성립되는 그룹이다. 또한, RB는, 단말(2)에 대한 통신 리소스의 최소 할당 단위로, 기지국(1)은, 자기 셀 내의 각 단말(2)에 대해서 1개 이상의 RB를 할당하고, 할당한 RB를 사용해서 각 단말(2)에 다운링크의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RB를 단말(2)에 할당하는 스케줄은 기존의 어떤 방법으로 행해도 되고,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프리코딩부(13)는, 각 송신 레이어의 처리부(12)에서 생성된 송신 신호에 대해서 프리코딩 처리를 행하고, 프리코딩 처리 후의 신호를 송신부(14)에 건네준다. 프리코딩 처리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복수의 신호에 가중치 부여(weighting), 위상 회전 및 가산 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빔을 형성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프리코딩부(13)는, 1개 이상의 단말(2)을 향해 송신하는 신호가 공간 다중될 때의 간섭을 억제한다. 한편, 기지국(1)과 통신을 행하는 단말(2)이 일시적으로 1개밖에 없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도 레이어 다중에 포함시킨다.
송신부(14)는, 도시를 생략한 복수의 안테나를 갖는다. 송신부(14)는, 프리코딩부(13)로부터 수취한 신호에 대해서, 멀티 안테나 송신 처리 및 파형 생성 처리와 같은 송신 처리를 행하고, 단말(2)에 송신한다. 파형 정형 처리의 예로서, OFDM 처리가 있다. OFDM 처리에 있어서, 송신부(14)는,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및 CP(Cyclic Prefix) 부가를 실시한다.
계속해서, 도 2에 나타낸 기지국(1)이 단말(2)에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2)에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에 있어서, 참조 신호 생성부(126)는,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가 나타내는 종류의 참조 신호를 생성한다. 참조 신호의 종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데이터 생성부(127)는,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가 나타내는 심벌 수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는, 정보 처리부(121)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파라미터 신호를 생성한다. 참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파라미터 신호는 다중부(128)에 입력되고, 다중부(128)는, 입력된 이들 신호를,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RB 내에 배치한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1)이 단말(2)에 송신하는 참조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로 정의되는 어느 영역 내에 있어서의 배치 및 이 영역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의 심벌 수가 참조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하다. 이에 수반하여, 시간 및 주파수로 정의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데이터 심벌의 수도 상이하다. 그 때문에, 기지국(1)에 있어서,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는, 참조 신호 생성부(126)에 대해서, 참조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는, 데이터 생성부(127)에 대해서, 작성하는 데이터 심벌의 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단말(2)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참조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배치를 알 필요가 있기 때문에,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는, 참조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배치를 단말(2)에 통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파라미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는, 다중부(128)에 대해서, 참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파라미터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 상의 배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 및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가 출력하는 상기의 각 제어 신호는, 정보 처리부(121)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해서 생성된다. 정보 처리부(121)는, 단말(2)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 및 상위 레이어로부터 수취하는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에 기초해서,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 및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의 각각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정보 처리부(121)는, 단말(2)에 송신하는 참조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 상의 배치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 즉 각 신호의 배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 및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에 출력한다. 또한, 정보 처리부(121)는, 데이터 신호의 심벌 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에 출력한다. 또한, 정보 처리부(121)는, 참조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단말(2)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는, 각 송신 레이어의 전송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고,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는, 기지국(1)이 담당하는 셀 이외의 다른 셀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 등이다.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는, 정보 처리부(121)로부터 입력된, 참조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 상의 배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다중부(128)가 해독 가능한 형식의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는, 정보 처리부(121)로부터 입력된, 참조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시간 및 주파수 상의 배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단말(2)이 해독 가능한 형식의 제어 신호 즉 파라미터 신호로 변환한다.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는, 정보 처리부(121)로부터 입력된, 참조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참조 신호 생성부(126)가 해독 가능한 형식의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는, 정보 처리부(1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신호의 심벌 수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생성부(127)가 해독 가능한 형식의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의 기능, 즉 정보 처리부(121)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를 해독하는 기능을 다중부(128)가 갖도록 해서, 다중용 제어 신호 생성부(122)가 삭제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의 기능을 참조 신호 생성부(126)가 갖고,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의 기능을 데이터 생성부(127)가 갖도록 해서,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4) 및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125)가 삭제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3은, 참조 신호, 데이터 신호 및 파라미터 신호를 배치하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영역은, 시간 및 주파수로 정의된다. 또한, 도 3은, 시간 방향으로 2개의 RB를 배치해서 구성된 영역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작은 사각형은 1개의 리소스 엘리먼트(RE)를 나타내고, 각 RE에 심벌이 할당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1RB는 12캐리어와 7심벌로 성립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RE의 배치를 설명하는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좌표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좌표는 (주파수, 시간)의 순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3에 있어서 "Resource Element"라고 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는 (0,1)이 된다. 또한, 7심벌로 성립되는 유닛을 슬롯이라고 부른다. 상기의 스케줄을 행하는 단위를 스케줄 단위라고 부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케줄 단위를 슬롯 단위로 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이 단말(2)에 송신하는 참조 신호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참조 신호가 DMRS인 것으로 해서 설명을 행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정하는 DMRS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주파수 방향으로 3개의 RB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1RB 내에서 4개의 검은 칠한 부분에 최대로 4개의 DMRS가 다중되는 것을 나타낸다. 검은 칠한 부분에 배치되는 DMRS의 심벌로서는, PN(Pseudo Noise) 계열 또는 ZC(Zadoff Chu) 계열 등이 이용된다. PN 계열이 배치되는 경우는 서로 직교하는 코드를 이용해서 4포트 다중을 실시한다. 한편, 포트는 각 송신 레이어에 연결되고, 각각의 송신 레이어로는, 다른 송신 레이어로 DMRS이 할당되어 있는 포트와는 상이한 포트에 DMRS를 할당한다. 즉, DMRS가 할당되는 포트는 송신 레이어마다 상이하다. DMRS끼리가 직교한 관계가 되므로, 수신측에서는 송신 레이어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한편, 통상은 각 단말에 복수의 포트가 할당되어, 복수 레이어의 다중이 가능해진다. 문헌 "D.C.Chu, "Polyphase codes with good periodic correlation propertie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 18, no. 4, Jul. 1972, pp. 531-532."에 기재되어 있는 ZC 계열을 DMRS의 심벌에 이용하는 경우, 1RB 내에서 다중되는 각 DMRS는, ZC 계열을 순회 시프트시켜서 얻어지는 계열을 각 DMRS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다중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제 k 리소스 블록인 제 k번째의 RB에 있어서의 (0,2), (3,2), (6,2), (9,2)에 배치되는 심벌을 q0, q1, q2, q3으로 한다. DMRS의 심벌이 PN 계열인 경우, 4포트가 다중된다고 상정하면, 제 1 포트에 대응하는 DMRS는 +q0, +q1, +q2, +q3, 제 2 포트에 대응하는 DMRS는 +q0, -q1, +q2, -q3, 제 3 포트에 대응하는 DMRS는 +q0, +q1, -q2, -q3, 제 4 포트에 대응하는 DMRS는 +q0, -q1, -q2, +q3이 된다. 한편, ZC 계열을 이용하는 경우, q0, q1, q2, q3이 ZC 계열로 하면, 제 1 포트에 대한 DMRS는 q0, q1, q2, q3, 제 2 포트에 대한 DMRS는 q1, q2, q3, q0, 제 3 포트에 대한 DMRS는 q2, q3, q0, q1, 제 4 포트에 대한 DMRS는 q3, q0, q1, q2가 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검은 칠한 부분에 DMRS를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부분, 구체적으로는, (1,2), (4,2), (7,2), (10,2) 및 (2,2), (5,2), (8,2), (11,2)에 DMRS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각 단말(2)에 할당되는 포트 번호는 OSI 참조 모델의 레이어 1(Layer 1)에 있어서 단말(2)에 전달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테이블 등을 이용해서 단말(2)에 통지된다. DCI 테이블은, 문헌 「3GPP TS 36.212 V14.0.0」에서 규정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낸 구성이 된다. 각 단말(2)에 할당되는 포트 번호는,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DCI 테이블의 각 포트 번호에 대한 값(value)으로 기지국(1)으로부터 각 단말(2)에 통지된다.
또한, DMRS를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위치는 슬롯의 처음부터 3심벌째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DMRS를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슬롯 내에서의 위치는 네트워크 내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단말(2)측에서는 슬롯 내의 미리 결정된 위치 즉 처음부터 3심벌째를 조사함으로써, DMRS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DMRS를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슬롯 내에서의 위치를 고정으로 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고, 위치를 변동시켜도 된다. 그 경우, 기지국(1)의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123)는, DMRS를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위치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한 파라미터 신호를 생성하여, 다중부(128)에 출력한다. 위치에 관한 파라미터는, 단말(2)이 DMRS를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위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이면 된다. 즉, 위치에 관한 파라미터는, 위치를 직접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슬롯 내의 기준이 되는 위치와의 어긋남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 등이어도 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슬롯의 처음부터 1심벌째 및 2심벌째에는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삽입된다. 파라미터 신호는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2)을 향해 송신되는 제어 신호의 일종으로, 슬롯의 처음부터 1심벌째 또는 2심벌째에 배치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DMRS의 배치는 RB 단위로 빗 형상의 배치가 된다. 도 6에서는, 4RB분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 k 리소스 블록을 k번째의 리소스 블록이라고 칭한다. 제 k+1 리소스 블록∼제 k+3 리소스 블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또한 k는 규정된 대역 내에 들어가는 정수로 한다. 예를 들면 1에서 100 사이의 정수로 해도 된다.
기지국(1)은, 각 단말(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사용하는 RB의 수를 결정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지국(1)이 하향 송신 대상으로 하는 단말(2)을 선택 후, 이용하는 DMRS를 선택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지국(1)이, 각 단말(2)로부터의 요구를 받으면, 도 4에 나타내는 배치로 DMRS를 각 단말(2)에 할당한다.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k번째의 RB 및 k+2번째의 RB에 DMRS를 배치하고 있다. 한편, 도시한 k번째∼k+3번째의 RB가 1대의 단말(2)에 확보되었다고 상정한다. 예를 들어, k번째부터 k+3번째의 RB가 도 1에 나타낸 단말(2-1)로의 신호 송신에서 사용된다고 한 경우, 단말(2-1)은, k번째부터 k+3번째의 RB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 구체적으로는 k번째 및 k+2번째의 RB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를 이용해서 전송로 추정을 행하고, k번째∼k+3번째의 RB에 포함된 데이터 신호를 복조한다. 한편, DMRS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k+1번째 및 k+3번째의 RB의 선두부터 3심벌째에는 데이터 심벌, 간섭 측정용의 제로 심벌, 전송로 추정용의 참조 신호인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또는 위상 보정용 참조 신호인 PTRS(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등을 배치해도 된다. CSI-RS 및 PTRS는, 3GPP에서 규정되어 있는 신호이다.
도 6에 나타낸 DMRS의 배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동일 슬롯 내의 일부의 RB에 DMRS가 배치되고, 나머지의 RB에는 DMRS가 배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DMRS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의 수를 삭감할 수 있어, 주파수 이용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다른 셀로부터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인접하는 2개의 셀의 각각에 단말이 존재하고, 그들 단말이 물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 인접하는 셀로부터 각 단말에 도달하는 신호가 간섭이 된다. 도 7은,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셀(B)에 있어서 기지국(B)이 단말(B)을 향해 송신한 신호는, 인접하는 셀(A)에 있어서 기지국(A)과 통신하고 있는 단말(A)에 대한 간섭파가 된다. 마찬가지로, 셀(A)에 있어서 기지국(A)이 단말(A)을 향해 송신한 신호는, 인접하는 셀(B)에 있어서 기지국(B)과 통신하고 있는 단말(B)에 대한 간섭파가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인접하는 셀끼리에서 DMRS를 포함하는 RB가 겹치지 않도록 설정하면, 셀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기지국(A)이 도 6에 나타낸 배치로 DMRS를 송신하고, 기지국(B)이 도 8에 나타낸 배치로 DMRS를 송신하도록 설정하면, 셀(A)과 셀(B)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배치와 도 8에 나타낸 배치를 비교하면, DMRS가 존재하는 RB가 상이하다. 기지국(A)이 단말(A)에 송신하는 DMRS가 존재하는 RB와, 기지국(B)이 단말(B)에 송신하는 DMRS가 존재하는 RB가 겹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말(A) 및 단말(B)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라미터 신호가 나타내는 RB로부터 DMRS를 추출하여, 전송로 추정 및 데이터 신호의 복조를 행할 수 있으면 된다.
한편,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2RB 간격으로 DMRS를 배치하는 것으로 했지만, DMRS를 배치하는 간격 즉 DMRS의 밀도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RB 간격으로 DMRS를 배치하도록 해서 DMRS의 밀도를 낮춰도 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k번째 및 k+3번째의 RB에 DMRS가 존재하고, 다른 RB에는 DMRS가 존재하지 않는 배치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DMRS의 배치는, 적응적으로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은, 도 6에 나타낸 배치와 도 8에 나타낸 배치를 적응적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한, 도 6 또는 도 8에 나타낸 배치와 도 9에 나타낸 배치를 적응적으로 전환하여, DMRS의 배치 및 밀도를 변경해도 된다. 기지국(1)은, DMRS의 배치를 적응적으로 전환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전술한 파라미터 신호를 이용해서, DMRS의 배치를 단말(2)에 통지한다.
기지국(1)은, DMRS의 배치를 상위 레이어 또는 하위 레이어를 이용해서 단말(2)에 통지해도 된다. 상위 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3GPP에서 규정되어 있는, 레이어 3(Layer 3)의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사용한 정보 전달이 해당한다. 즉, 기지국(1)은, DMRS의 배치의 정보를 RRC의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단말(2)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하위 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로서는, 3GPP에서 규정되어 있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사용이 해당한다. PDCCH를 사용하는 경우, DMRS의 배치의 정보를 파라미터 정보로서 정의하고, 기지국(1)은, DMRS의 배치의 정보를 파라미터 정보로서 PDCCH에 포함시켜서 단말(2)에 송신한다. PDCCH는 레이어 1(Layer 1)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채널이다. 또한, 기지국(1)은, MAC(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 등을 이용해서, 즉, 레이어 2(Layer 2)에서 전송되는, 3GPP에 있어서의 MAC CE(Control Element)를 이용해서, DMRS의 배치의 정보를 단말(2)에 전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DMRS의 배치의 정보가 장기간 달라지지 않는 파라미터이면, 3GPP에 있어서의 레이어 3 또는 레이어 2의 제어 신호로서, DMRS의 배치의 정보가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2)에 송신되어도 된다. DMRS의 배치의 정보가 단기간에 달라지는 파라미터이면, 3GPP에 있어서의 레이어 1의 제어 신호를 이용해서 전달하면 된다. 전술한 대로, 포트 번호의 통지를 위해서, 도 5에 나타낸 DCI 테이블 등이 이용되고, DCI 테이블에 기재된 포트 번호에 대한 번호가 레이어 1의 송신 신호에 포함된다.
기지국(1)이 DMRS의 배치를 단말(2)에 통지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2)에의 DMRS의 배치의 통지는, 예를 들어, 상위 레이어 또는 하위 레이어로 송신하는 제어 신호의 특정의 메시지 내에 DMRS_RB_DENSITY라는 필드를 설정하여, DMRS_RB_DENSITY={0,1,2}와 같이 정의한 정보를 사용해서 행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DMRS_RB_DENSITY=0이면 모든 RB에 DMRS가 배치되고, DMRS_RB_DENSITY=1이면 도 6과 같이 2심벌 간격으로 DMRS가 배치되며, DMRS_RB_DENSITY=2이면 도 9와 같이 3심벌 간격으로 DMRS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오프셋을 사용해서 DMRS의 배치를 지시하도록 해도 된다. 오프셋을 사용하는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 6에 나타낸 배치와 비교해서 1RB만큼 어긋난 배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된다.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2)에의 DMRS의 배치의 통지는, 예를 들어, 상위 레이어 또는 하위 레이어로 송신하는 제어 신호의 특정의 메시지 내에, 상기의 DMRS_RB_DENSITY라는 필드에 더하여, 추가로 DMRS_RB_OFFSET라는 필드를 설정하여, DMRS_RB_OFFSET={0,1}과 같이 정의한 정보를 사용해서 행한다. 이 경우, DMRS_RB_DENSITY=1로 하고, 또한 DMRS_RB_OFFSET=0이면 도 6에 나타낸 DMRS의 배치를 나타내고, DMRS_RB_DENSITY=1로 하고, 또한 DMRS_RB_OFFSET=1이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 6에 나타낸 배치와 비교해서 1RB만큼 어긋난 배치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A)이, RRC를 사용해서, 전술한 DMRS_RB_DENSITY=1, DMRS_RB_OFFSET=0을 단말(A)에 통지하고, 기지국(B)이, 전술한 DMRS_RB_DENSITY=1, DMRS_RB_OFFSET=1을 단말(B)에 통지한다. DMRS_RB_DENSITY라는 파라미터의 명칭은 임시의 명칭으로, 파라미터의 명칭을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DMRS의 배치의 설정에서 사용하는 상기의 오프셋은, 짝수 또는 홀수와 같은, RB의 배치에 관련되는 정보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DMRS_RB_TYPE={0,1}로 정의하여, DMRS_RB_TYPE=0이면 RB 번호가 홀수인 위치에 DMRS가 배치되고, DMRS_RB_TYPE=1이면 RB 번호가 짝수인 위치에 DMRS가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의 RB 번호란, 도 4에 나타낸 k, k+1, k+2가 해당한다.
예를 들어, m을 주파수 상의 위치로 하면, 도 4에 나타낸 DMRS 배치의 검은 칠한 DMRS 심벌은, 이하와 같이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m'는, 제 k번째의 리소스 블록의 선두의 주파수 인덱스로 한다.
Figure pct00001
오프셋을 부여하는 경우는, 이하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12*vshift」가 오프셋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한편, 도 6과 같이 2RB에 DMRS를 배치하는 경우는 vshift={0, 1}이 된다. 또한, vshift는 상위 레이어에 의해서 설정되는 셀 ID 등에 의해 도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N_cellID를 셀 ID이고 정수로 하면, 「vshift=N_cellID mod 2」와 같이 도출되어도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셀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으로서, 인접하는 셀에서 상이한 DMRS의 배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각 셀에서 DMRS의 배치를 동일하게 해도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셀에서 DMRS의 배치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셀(A)에서 사용하는 ZC 계열과 셀(B)에서 사용하는 ZC 계열로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N을 짝수로 하면, N 심벌 길이의 ZC 계열은 이하의 식(1)에 의해서 정의된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3
그리고 k=0, 1,…, N-1로 한다. M은 N에 대해서 서로소(disjoint)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N=10의 경우 M은 1, 3, 5, 7, 9가 된다.
또한, N을 홀수로 하면, N 심벌 길이의 ZC 계열은 이하의 식(2)에 의해서 정의된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4
또한, ZC 계열의 계열수를 N, DMRS를 배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RB에 있어서 DMRS가 배치되는 RE의 수를 X로 하고, N<X인 경우, 부족분의 X-N개의 ZC 계열을 rn으로 하면, 「rn=an mod N」으로서 구한다. 즉, ak를 순회 시프트시켜서 부족분의 계열을 생성해도 된다.
M이 상이한 ak의 계열은 직교 관계는 아니지만, 상관값이 낮은 성질이 있다. 그 때문에, 상이한 셀의 기지국이 상이한 M을 이용해서 식(1)에 따라서 ZC 계열을 생성하고, 이것을 DMRS로서 사용하면, 인접하는 셀에 있어서 동일한 DMRS의 배치를 사용했다고 해도, 서로 간섭 요소로는 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대로, 동일한 M을 사용하는 계열에서도, 서로 상이한 순회 시프트가 부여되면 직교 관계가 되므로, 순회 시프트 파라미터를 셀 사이에서 변경해도 된다. 시간 상의 순회 시프트는 주파수 상에 있어서의 위상 회전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셀 사이에서 순회 시프트 파라미터를 교환할 때,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위상 회전량을 통지해서 행해도 된다. 3GPP가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서는, 업링크 통신에서 ZC 계열이 이용되지만, 주파수 영역에서 위상 회전이 부여된다. 또한, ZC 계열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의 식(1) 또는 식(2)를 이용해서 ZC 계열을 생성할 때에 필요한 상기의 M을, 셀 ID에 기초해서 도출해도 된다.
한편, 인접하는 셀 사이에서 DMRS의 위치가 동일한 경우에 ZC 계열을 DMRS로서 사용해서 셀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PN 계열을 DMRS로서 사용해서 셀 사이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인접하는 셀 사이에서 동일한 RB의 동일한 위치에 직교 관계에 있는 PN 계열을 배치하면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PN 계열 생성용의 파라미터 및 ZC 계열 생성용의 파라미터는 단말(2)마다 설정할 수 있는 것을 상정했지만, 참조 신호 생성부(126)가 PN 계열의 생성으로 사용하는 시프트 레지스터에 부여하는 파라미터를 셀마다 변경해도 된다. 그 경우, 셀 ID를 이용해서 PN 계열 생성용의 파라미터를 도출해도 된다. PN 계열 생성용의 파라미터의 예는, PN 계열 생성용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초기값이다. 셀 ID를 이용해서 시프트 레지스터의 초기값을 도출하면 셀 사이의 PN 계열의 상관이 낮아진다. 또한, PN 계열을 이용하는 경우, PN 계열에 순회 시프트를 부여해서 생성한 계열을 각 포트에서 사용해도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DMRS를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수가 1RB당 1심벌인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1RB당 DMRS를 포함하는 OFDM 심벌의 수를 복수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RS가 배치되는 RB는, 시간 영역에 분산한 DMRS를 포함해도 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계속해서, 기지국(1)이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기지국(1)이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1)은, 우선, 다운링크의 전송로 상태를 나타내는 전송로 정보의 통지를 단말(2)로부터 받고(스텝(S11)), 전송로 정보를, 도 2에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는 기억부에 보존한다(스텝(S12)). 기지국(1)은, 다음으로, 단말(2)로부터 통지된 전송로 정보에 기초해서 DMRS의 배치를 결정한다(스텝(S13)). DMRS의 배치는 기지국(1)의 정보 처리부(121)가 결정한다. 기지국(1)의 정보 처리부(121)는, 예를 들어, 단말(2)에 할당한 각 RB의 사이에서 전송로 상태의 차가 작은 경우, 구체적으로는, 주파수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RB의 각각에 있어서의 전송로 상태에 큰 차가 없는 경우, DMRS를 배치하는 RB의 수가 적게 되도록, DMRS의 배치를 결정한다. DMRS의 배치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복수의 배치 패턴 중에서 선택한다. 또한, 정보 처리부(121)는, 일부의 RB에 DMRS를 배치하고 있는 상태,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2RB 간격으로 DMRS를 배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DMRS가 배치되어 있는 각 RB의 전송로 상태의 차가 큰 경우, DMRS를 배치하는 RB의 수가 많아지도록, DMRS의 배치를 결정한다. 이 경우, 정보 처리부(121)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배치로 결정한다. 미리 결정되어 있는 복수의 배치 패턴은, 단말(2)마다 상이해도 된다.
기지국(1)은, DMRS의 배치를 결정하면, DMRS의 배치를 단말(2)에 통지한다(스텝(S14)). DMRS의 배치의 통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DMRS를 송신하는 RB의 위치를 직접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행해도 되고, DMRS를 송신하는 RB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행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1)은, 전술한, 레이어 1, 레이어 2 또는 레이어 3을 사용한 방법에 의해, DMRS의 배치를 단말(2)에 통지한다.
도 11에 나타낸 시퀀스에서는, 기지국(1)은 단말(2)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사용해서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기지국(1)은, 단말(2)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더하여,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도 사용해서 DMRS의 배치를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의 시퀀스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는, 기지국(1)이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2에서는, 도 7에 나타낸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A)이, 단말(A)로부터 취득한 정보 및 기지국(B)으로부터 취득한 정보에 기초해서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의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시퀀스에 따라서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경우, 기지국(A)은, 우선, 다운링크의 전송로 상태를 나타내는 전송로 정보의 통지를 단말(A)로부터 받고(스텝(S21)), 전송로 정보를, 도 2에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는 기억부에 보존한다(스텝(S22)). 이들 스텝(S21, S22)의 동작은 도 11에 나타낸 스텝(S11, S12)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기지국(A)은, 다음으로, 기지국(B)에 대해서 DMRS 정보를 리퀘스트한다(스텝(S23)). DMRS 정보란, DMRS가 송신되는 RB의 배치의 정보로, 여기에서는, 기지국(B)이 셀(B) 내의 단말(B)을 향해 DMRS를 송신하는 RB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즉, DMRS 정보는, 인접하는 셀(B)에 있어서의 DMRS의 송신에서 사용되는 RB의 정보이다.
기지국(A)으로부터 DMRS 정보의 리퀘스트를 받은 기지국(B)은, DMRS 정보를 기지국(A)에 송신한다(스텝(S24)). 한편, 셀(B)에 복수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B)은, 셀(A)과의 경계에 차이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DMRS 정보만을 송신해도 되고, 셀(B)에 존재하고 있는 모든 단말에 대한 DMRS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기지국(B)은, 셀(A)과의 경계에 차이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단말에 대한 DMRS 정보만을 송신하는 경우, 각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해서 해당하는 단말을 특정하고, 특정한 단말에의 DMRS의 송신에서 사용하고 있는 RB의 배치를 나타내는 DMRS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B)은, 모든 단말에 대한 DMRS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각 단말의 DMRS 정보에 더하여, 각 단말의 위치 정보도 함께 송신한다.
기지국(A)은, 기지국(B)으로부터 DMRS 정보를 수신하면, 스텝(S21)에서 단말(A)로부터 취득한 전송로 정보와, 기지국(B)으로부터 취득한 DMRS 정보에 기초해서, DMRS의 배치를 결정한다(스텝(S25)). 예를 들어, 기지국(A)은, 도 11에 나타낸 스텝(S13)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DMRS를 배치하는 RB의 수를 결정하고, 나아가 기지국(B)으로부터 취득한 DMRS 정보가 나타내는 DMRS의 배치와 겹치지 않도록, 단말(A)에 DMRS를 송신하는 RB의 배치를 결정한다.
기지국(A)은, DMRS의 배치를 결정하면, DMRS의 배치를 단말(A)에 통지한다(스텝(S26)). 이 스텝(S26)의 처리는, 도 11에 나타낸 스텝(S14)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한편, 기지국(A)이 스텝(S24)에서 취득하는 DMRS 정보는, 셀(B)에서 DMRS로서 사용되고 있는 계열, 즉 PN 계열, ZC 계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DMRS 정보가, DMRS로서 사용되고 있는 계열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A)은, 셀(B)에서 DMRS로서 사용되고 있는 계열과 간섭하지 않는 계열을 생성하고, 단말(A)에 송신하는 DMRS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시퀀스에 따라서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동작에서는, 단말(A)로부터 취득한 전송로 정보 및 기지국(B)으로부터 취득한 DMRS 정보에 기초해서 기지국(A)이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DMRS 정보에만 기초해서 DMRS의 배치를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A)은, 기지국(B)으로부터 단말(B)에의 DMRS의 송신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은 RB를 사용해서 단말(A)에 DMRS가 송신되도록, DMRS의 배치를 결정한다. 또는, 기지국(A)은, 기지국(B)이 단말(B)에 송신하는 DMRS와의 상관이 낮은 계열을 DMRS로서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전송로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DMRS의 배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S21 및 S22를 생략해도 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DMRS의 배치의 베리에이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DMRS의 RB 내에서의 배치 패턴을 고정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배치 패턴은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MRS의 배치 패턴을 RB마다 변경해도 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DMRS의 배치의 제 5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k번째의 RB에서는 4개의 DMRS를 3주파수 간격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패턴으로 하고, k+2번째의 RB에서는 4개의 DMRS를 2개씩으로 나누어, 각각을 5주파수 간격으로 배치하는 패턴으로 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배치 패턴은 일례로, 다른 배치 패턴으로 해도 된다. 다른 배치 패턴의 예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는, RB 내의 DMRS의 배치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다른 배치 패턴으로서 도 15에 나타낸 것을 사용해도 된다. 한편, 도 14는, 1OFDM 심벌 내로 설정되는 DMRS의 배치 패턴만을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MRS가 배치되는 OFDM 심벌 내의 RE를 전부 사용할 필요는 없고, DMRS를 OFDM 심벌 내의 일부의 RE에 배치하는 패턴을 준비해도 된다. 또한, 도 14의 상단의 한가운데의 DMRS 배치예에서, PN 계열을 이용한 경우,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벡터를 이용해서, 다중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0, 2), (4, 2), (8, 2)에 있어서 배치되는 심벌을 q0, q1, q2로 한다. DFT 벡터의 요소를 각 심벌에 곱셈함으로써, 최대 3송신 레이어 다중이 가능해진다. WN=ej2π/N로 한다. 그리고, WN mk=ej2πmk/N로 한다. 전술한 예에 있어서, 제 1 포트에 대응하는 DMRS는 q0, q1, q2가 된다. 제 2 포트에 대응하는 DMRS는 q0, W3 -1*q1, W3 -2*q2가 된다. 그리고, 제 3 포트에 대응하는 DMRS는 q0, W3 -2*q1, W3 -4*q2가 된다. DFT 벡터는 직교 관계가 되므로, 각 포트의 DMRS 심벌도 직교한다. 일반적으로, M개의 RE가 이용되는 경우, 최대 M개의 송신 레이어가 다중이 되므로, 제 m번째의 포트의 k번째의 DMRS 심벌에 대한 처리는 WM -k(m-1)*qk가 되어, 0≤k≤M-1, 1≤m≤M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DMRS를 포함하는 1OFDM 심벌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포트를 12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포트수는 12일 필요는 없고, 2개의 OFDM 심벌을 이용해서 12포트를 서포트해도 된다. 예를 들어, DMRS가 배치되어 있는 2개의 OFDM 심벌 중, 최초의 OFMD 심벌로 포트 번호(0∼5)를 서포트하고, 2번째의 OFDM 심벌로 포트 번호(6∼11)을 서포트해도 된다. 즉, 최초의 OFDM 심벌에 포트 번호(0∼5)의 각각에 대응하는 DMRS를 배치하고, 2번째의 OFDM 심벌에 포트 번호(6∼11)의 각각에 대응하는 DMRS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포트 번호(0∼11)의 각각에 대응하는 DMRS를 2개의 OFDM 심벌에 배치하는 경우의 예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3번째의 OFDM 심벌에 대해서 포트 번호(0∼5)의 DMRS가 배치되고, 4번째의 OFDM 심벌에 대해서 포트 번호(6∼11)의 DMRS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3번째의 OFDM 심벌의 검은 칠 부분의 RE에 대해서, 포트 번호(0∼2)의 DMRS가 배치되고, 사선 부분의 RE에 대해서, 포트 번호(3∼5)의 DMRS가 배치된다. 또한, 3번째의 OFDM 심벌의 검은 칠 부분의 RE에 대해서, 포트 번호(6∼8)의 DMRS가 배치되고, 사선 부분의 RE에 대해서, 포트 번호(9∼11)의 DMRS가 배치된다.
또한, 1슬롯 내에서 복수의 OFDM 심벌에 DMRS가 배치되는 경우, OFDM 심벌마다 DMRS의 배치 패턴을 변경해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1)은, 배치 패턴의 설정 정보를 레이어 1로 단말(2)에 통지한다.
계속해서, 프리코딩부(13)가 실행하는 프리코딩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리코딩 처리에서는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하지만, 프리코딩 행렬은 다운링크의 전송로에 의존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1)은, 단말(2)에 있어서의 전송로의 추정 결과를 나타내는 전송로 정보를 단말(2)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전송로 정보를 사용해서 프리코딩 행렬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단말(2)에 복수의 RB가 할당되는 경우, 각 RB에 있어서의 전송로의 주파수 선택성이 상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지국(1)은, RB마다 상이한 프리코딩 행렬을 산출한다. 그러나, 복수 RB에 걸쳐서, 주파수에 있어서의 전송로의 상황이 달라지지 않는 경우, 즉, 전송로의 주파수 선택성이 복수의 RB에 걸쳐서 달라지지 않는 경우, 3GPP에서 규정되어 있는 physical RB(PRB) bundling이라고 불리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이 PRB bundling에서는, 복수의 RB 사이에서 동일한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서 프리코딩을 행한다. PRB bundling에서 동일한 프리코딩이 이용되면 상정되는 RB의 수는, 3GPP에 있어서 PRGs(Precoding Resource block Groups)라고 불리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DMRS를 송신하는 RB의 배치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제어는, PRB bundling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PRB bundling을 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 제어 신호에 의해, PRB bundling이 ON 즉 PRB bundling을 행하는 것이 기지국(1)의 정보 처리부(121)에 통지된다. 정보 처리부(121)는, PRB bundling을 행하는 것이 통지된 경우, DMRS의 배치를, 미리 결정되어 있는 복수의 배치 중 하나로 설정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PRB bundling을 행하는 경우, 전술한 파라미터 중, DMRS_RB_DENSITY는, PRGs가 2의 배수 시에는 DMRS_RB_DENSITY=1이 선택 가능하고, PRGs가 3의 배수 시에는 DMRS_RB_DENSITY=2가 선택 가능하다.
PRB bundling을 행하는 경우, PRB bundling에서 사용하는 RB의 위치도 상위 레이어로부터 기지국(1)의 정보 처리부(121)에 통지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100RB가 PRB bundling을 위해서 준비되어 있는 경우, RB의 위치를 0부터 99까지의 수치로 통지한다. 또한, PRB bundling을 행하지 않는 경우로 한정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DMRS의 배치, 구체적으로는 도 6, 도 8, 도 9 등에 나타낸 배치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PRB bundling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도, DMRS_RB_DENSITY 및 DMRS_RB_OFFSET과 같은 상기의 파라미터는 전술한 대로 설정된다. 그리고, PRG에 관한 제약은 없다. 한편, DMRS_RB_DENSITY 및 DMRS_RB_OFFSET은 상위 레이어로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2)에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DMRS_RB_DENSITY 및 DMRS_RB_OFFSET은, 레이어 1 또는 레이어 2로 단말(2)에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DMRS_RB_DENSITY만을 상위 레이어로 단말(2)에 통지하고, DMRS_RB_OFFSET은 레이어 1로 단말(2)에 통지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1)은, 단말(2)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의 전송로 상태를 나타내는 전송로 정보 및 인접하는 셀에서 DMRS가 송신되는 RB의 배치를 나타내는 DMRS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기초해서, DMRS를 송신하는 RB를 결정한다. 이에 의해, DMRS를 송신하는 RB의 위치와, DMRS를 송신하는 RB의 밀도를 적응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통신 품질 및 전송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1)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기지국(1)의 구성 요소 중,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내는 제어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도 17은, 기지국(1)의 구성 요소를 소프트웨어로 실현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제어 회로(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회로(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인 입력부(101)와, 프로세서(102)와, 메모리(103)와, 데이터를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인 출력부(104)를 구비한다. 입력부(101)는, 제어 회로(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해서 프로세서(102)에 부여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이고, 출력부(104)는, 프로세서(102) 또는 메모리(103)로부터의 데이터를 제어 회로(100)의 외부에 보내는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가, 도 17에 나타내는 제어 회로(100)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 프로세서(102)가, 메모리(103)에 기억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읽어내어서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메모리(103)는, 프로세서(102)가 실시하는 각 처리에 있어서의 일시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프로세서(102)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라고도 함) 등이다. 메모리(103)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이 해당한다.
또한, 기지국(1)의 구성 요소 중,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되는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도 18에 나타내는 구성의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도 18은, 기지국(1)의 구성 요소를 전용의 하드웨어로 실현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전용 회로(100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용 회로(100a)는, 도 17에 나타낸 제어 회로(100)의 프로세서(102)가 처리 회로(105)로 대체된 것이다. 처리 회로(105)는, 예를 들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다.
한편, 단말(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하드웨어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이후에 설명하는 기지국 및 단말도 마찬가지의 하드웨어로 실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19는, 실시형태 2에 따른 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낸 단말(2)은, 도 1에 나타낸 단말(2-1∼2-n)로,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기지국(1)으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 상당한다.
단말(2)은, 수신 처리부(21) 및 복조부(22)를 구비한다. 수신 처리부(21)는,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로부터 CP를 제거해서 멀티패스 간섭 제거를 행하는 처리, 주파수 영역 변환 처리로서의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등을 실시한다. 복조부(22)는, 전송로 추정 및 레이어마다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이때, 복조부(22)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DMRS를 사용해서 전송로 추정을 행하고, 전송로의 추정 결과를 사용해서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복조한다. DMRS가 배치되어 있는 RB의 정보인 참조 신호 정보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파라미터에 상당하고, 레이어 1, 레이어 2 또는 레이어 3을 사용해서 기지국(1)으로부터 단말(2)에 통지된다. 단말(2)에 통지된 참조 신호 정보는, 최종적으로 복조부(22)에 입력된다. 복조부(22)는, 참조 신호 정보에 기초해서,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DMRS의 위치를 특정한다. 참조 신호 정보는, 포트 번호, 오프셋값 및 DMRS의 밀도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수신 처리부(21)에 있어서 간섭 제거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간섭 제거를 행하는 경우, 수신 처리부(21)는, IRC(Interference Rejection Combining)법 등의 수법을 이용해서 간섭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2)은,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1)이 송신한 다운링크 신호에 포함되는 DMRS를 사용해서, 전송로의 추정 및 데이터 신호의 복조를 실시한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에서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마다 DMRS를 설정하는 방법을 개시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한편, 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기지국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DMRS를 포함하는 RB의 배치를 셀마다 설정한다. 예를 들어,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빗 형상의 배치로 설정한다. 한편, 설명을 간단화하기 위해, 1개의 기지국이 1개의 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행한다.
셀마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하는 예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6에서는, DMRS를 RB 단위로 빗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셀에서 DMRS를 배치하는 리소스, 즉 RB 및 RE를 미리 설정해 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마다 DMRS가 배치되지 않는 리소스를 마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MRS가 배치되지 않는 리소스를 다른 신호 또는 다른 채널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셀마다 DMRS 배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DMRS의 배치를 설정할 때에 사용하는 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DMRS의 배치를 설정할 때에 사용하는 정보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1-1)∼(1-4)의 4개를 예시할 수 있다.
(1-1) DMRS를 배치하는 RB의 번호(RB 번호)
(1-2)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선두의 번호
(1-3) DMRS를 배치하는 RB의 밀도(d)
(1-4) (1-1) 내지 (1-3)의 편성
한편, (1-2)에 대해서는, RB의 선두의 번호 대신에 오프셋으로 해도 된다. 또한, 오프셋을 CELL_DMRS_RB_OFFSET과 같은 필드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CELL_DMRS_RB_OFFSET={0,1}로 해서, CELL_DMRS_RB_OFFSET=0의 경우는 최소의 RB 번호인 0으로 하고, CELL_DMRS_RB_OFFSET=1의 경우는 다음의 RB 번호인 1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1-3)에 대해서는, d를 CELL_DMRS_RB_DENSITY와 같은 필드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CELL_DMRS_RB_DENSITY={0,1,2}로 해서, CELL_DMRS_RB_DENSITY=0의 경우는 빗 형상의 설정 없음, CELL_DMRS_RB_DENSITY=1의 경우는 2심벌 간격, CELL_DMRS_RB_DENSITY=2의 경우는 3심벌 간격으로 DMRS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셀마다, 상기 (1-1)의 「DMRS를 배치하는 RB 번호」를 설정함으로써, DMRS를 마련하는 RB 번호가 특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셀마다, 상기 (1-2)의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선두의 번호」 및 상기 (1-3)의 「DMRS를 배치하는 RB의 밀도」를 설정함으로써, DMRS를 마련하는 RB 번호가 특정된다.
또한, DMRS를 셀의 전체 대역에 동일한 패턴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의 대역 내에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해도 된다. 한편, 특정의 대역을 복수 세트 마련해도 된다. 특정의 대역을 이용하는 예로서, 대역마다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가 있다.
특정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2-1)∼(2-4)의 4개를 예시할 수 있다.
(2-1) 특정의 대역을 개시하는 RB의 번호
(2-2) 특정의 대역을 종료하는 RB의 번호
(2-3) 특정의 대역의 RB 수
(2-4) 특정의 대역의 수
한편, (2-4)에 대해서는, 특정의 대역 세트 수로 해도 된다. 특정의 대역 내의 설정은, 전술한 DMRS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해서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의 전체 대역이 동일한 DMRS 배치는 아니고, 상이한 DMRS 배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서비스마다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경우에, 서비스마다 상이한 DMRS 배치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는 고정으로 한다.
또한,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규격 등으로 정적으로 결정해 두어도 된다. 예를 들어, 규격 등으로 셀의 식별자와, DMRS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와 특정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관련지어서 결정해 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빗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결정해 둠으로써, 단말이 셀의 식별자를 인식한 경우, 해당 셀의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말이 셀의 식별자를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셀의 식별자와 관련지어져 있는 신호 또는 채널을 수신해서 도출해도 된다. 예를 들어, 3GPP에서 이용되는 Synchronization Signal(SS)을 수신해서 도출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단말이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말은 해당 DMRS를 데이터의 복조 시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DMRS를 배치하는 RB를 셀마다로 했지만, 전체 셀에서 동일하게 해도 된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셀을 그룹으로 하고, 그룹마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상이하게 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그룹 내에서는 셀마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상이하게 하고, 그룹 사이에서는 동일 또는 무상관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유연한 설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셀의 커버리지나, 주파수 대역, 서포트하는 서비스 등으로 적절한 RB마다의 DMRS의 배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스템으로서의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규격 등으로 정적으로 결정해 두는 것을 나타냈지만, 다른 방법으로서,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는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의 통지 방법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기지국은, 자기 셀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산하의 단말에 알린다.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로서, 전술한 DMRS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 및 특정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와 같은 정보를 단말에 알린다.
또는, 규격 등으로 RB 사이의 DMRS의 배치의 복수의 패턴을 준비해 두고, 각 패턴에 인덱스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인덱스 정보를 단말에 대해서 알린다.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로서, 인덱스 정보를 알려도 된다.
셀 산하의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알려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셀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인식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알리는 상기의 정보를, 알림 정보로서, MIB(Master Information Block)에 포함시켜도 된다. 또는, 기지국은, 단말에 알리는 상기의 각 정보를, 3GPP에서 논의되고 있는 미니멈 SI(System Information)에 포함시켜도 된다. 기지국은, 단말에 알리는 상기의 각 정보를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로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에 알리는 상기의 각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에 포함시켜서 알려도 된다.
다른 통지 방법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자기 셀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산하의 단말에 개별 시그널링으로 통지한다. 즉, 기지국은, 해당 배치 정보를 단말에 알리는 것은 아니고, 단말 개별의 시그널링으로 통지한다.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단말 개별의 정보에 포함시켜서 통지해도 된다. 이에 의해, 단말마다 필요한 정보가 개별적으로 통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서비스마다 RB 사이의 DMRS의 배치가 상이한 경우, 단말마다 서포트하는 서비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셀 공통의 정보에 포함시켜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단말 개별 SIB 정보에 포함시켜서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3GPP에서 제안되어 있는 다른 SI(other SI) 정보로서,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DMRS의 배치가 변경이 된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셀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의 수정 정보를 통지한다. DMRS의 배치가 변경이 된 셀의 기지국은, DMRS의 배치의 수정 정보로서, 새롭게 설정하는 RB 사이의 DMRS의 배치의 정보를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수정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LTE(Long Term Evolution)에서의 시스템 정보의 변경 방법을 적용해도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단말 개별 시그널링에 의해 수정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RRC 접속 재설정 메시지에 RB 사이의 DMRS의 배치의 수정 정보를 포함시켜서 통지해도 된다.
또는, RRC 접속 재설정 메시지에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가 수정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서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배치 정보가 수정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변경된 정보, 즉 셀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의 수정 정보가 통지되는 채널을 수신하도록 해서 수정 정보의 통지를 받는다.
또는, 배치 정보가 수정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배치 정보가 수정된 셀의 기지국에 대해서, 변경된 시스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시그널링을 송신해도 된다. 또는, 배치 정보가 수정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배치 정보가 수정된 셀의 기지국에 대해서, RB 사이의 DMRS의 배치의 수정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시그널링을 송신해도 된다. 배치 정보가 수정된 셀의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정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에 대해서, 변경된 시스템 정보 또는 RB 사이의 DMRS의 배치의 수정 정보를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의 변경이 적절히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변경 후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셀의 전파 전반(傳搬) 환경, 부하 상황 등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는, 셀마다 RB 사이의 DMRS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결정해 두는 것을 개시했지만, 다른 방법으로서, 셀마다의 식별자를 이용해서 RB 사이의 DMRS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도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셀의 식별자인 셀 ID를 입력 파라미터에 포함하는 함수를 마련해 두고, 해당 함수를 이용해서 정보를 도출하면 된다.
예를 들어, DMRS를 배치하는 RB의 밀도(d)를 미리 결정해 두고, 셀의 식별자를 N_cell_ID로서, DMRS를 배치하는 RB 번호 n을 이하의 식(3)으로부터 도출한다. 식(3)에 있어서, m은 0 이상의 정수이고, n은 0∼셀의 전체 대역의 RB 수-1이다. D의 값은, 예를 들어, 규격 등으로 미리 결정해 둔다.
Figure pct00005
이 방법은, 특정의 대역 내에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D의 값을 특정의 대역마다 상이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의 식별자로부터 DMRS를 배치하는 RB 번호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DMRS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셀마다 결정해 둘 필요가 없고, 셀의 식별자로부터 도출 가능해진다. 또한, 단말은 셀의 식별자를 전술한 방법으로 취득하면 되고, 이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DMRS의 배치를 통지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송신하는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셀의 식별자를 입력 파라미터에 포함하는 함수를 마련해 두고, 해당 함수를 이용해서 RB 사이의 DMRS 배치의 정보를 도출함으로써, 셀마다 상이한 RB 사이의 DMRS 배치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주변 셀 사이에서 적절한 셀 식별자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서, 단말이 다른 셀로부터 받는 간섭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단말에 있어서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DMRS를 배치하는 RB의 밀도(d)를 규격 등으로 미리 결정해 두는 것을 개시했지만, d의 값을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통지 방법은, 전술한,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 및 RB 사이의 DMRS의 배치의 수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의 전파 전반 환경, 부하 상황 등에 따라 DMRS를 배치하는 RB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RB 내의 DMRS 배치 방법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에서 개시한 방법을 적용한다. 또한, LTE에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을 적용해도 된다. 또는, 3GPP에서 제안되어 있는 방법을 적용해도 된다. 그 밖의 방법으로서, RB 내의 DMRS를 배치하는 RE를, RB 번호를 입력 파라미터로 한 함수를 이용해서 도출하도록 해도 된다. 복수의 DMRS를 배치하는 RE의 패턴을 인덱스로 나타내고, 해당 인덱스를 함수에 의해 도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DMRS를 1OFDM 심벌 상의 전체 RE에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1RB 내에서의 DMRS의 다중 수를 적게 하여, DMRS를 배치하지 않는 RE에 데이터 등을 배치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의 d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1RB 내에서의 DMRS 다중 수의 설정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는 셀의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서 사용하는 DMRS 포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해당 정보로서는, DMRS 포트 번호가 있다. 또한, DMRS의 시퀀스를 도출하기 위한 파라미터가 있다. 이 파라미터로서는, 예를 들어, 스크램블링(scrambling) 식별자 등이다.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는 셀의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서, 사용하는 DMRS 포트에 관한 정보, 상기의 파라미터를, 하향 제어 정보(DCI)에 포함시켜서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상기의 정보, 파라미터를, 레이어 1(L1) 제어 채널 또는 레이어 2(L2) 제어 채널을 사용해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상기의 정보, 파라미터를 PDCCH로 통지해도 된다. 단말은 해당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복조에 사용하는 DMRS 포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정보, 파라미터를 DCI에 포함시켜서 통지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사용하는 DMRS 포트를 스케줄 타이밍마다 변경 가능해진다. 따라서, 복수의 단말로 다중하는 경우에 유연한 스케줄이 가능해지고, 주파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시한, 셀마다 설정하는 RB 사이의 DMRS의 배치는, 시간축 방향으로 존재하는 RB가 소정 수 이상인 경우에 유효로 해도 된다. 또는, 시간축 방향으로 존재하는 RB가 소정 수 이하인 경우에 무효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RB 수의 범위와 그 범위의 경우에 있을 수 있는 d의 값을 관련지어 두어도 된다. 일례로서, RB 수가 50 이하인 경우는 d≤2, 50 이상인 경우는 d≤3 등이다. 이들은 미리 규격 등으로 결정해 두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RB 수가 적은 경우에 DMRS를 배치하는 RB 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산하의 다수의 단말에 대해서 데이터를 스케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에서는 주파수축 방향으로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음으로, 시간축 방향에서 배치를 변경하는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기지국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한다.
DMRS를 포함하는 RB의 배치를 시간축 방향에서 변경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롯 넘버, 서브 프레임 넘버, 무선 프레임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 등의 시간축 방향의 스케줄 단위를 입력 파라미터에 포함하는 함수를 마련해 두고, 해당 함수를 이용해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도출한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도출하는 값으로서는, 실시형태 3의 최초로 설명한, DMRS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정보 (1-1)∼(1-4), (2-1)∼(2-4)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DMRS를 배치하는 RB의 밀도(d)를 미리 결정해 두고, 무선 프레임 넘버를 RFN으로 해서, RFN에 있어서의 DMRS를 배치하는 RB 번호 n_RFN을 이하의 식(4)로부터 도출한다. 식(4)에 있어서, m은 0 이상의 정수이고, n_RFN는 0∼셀의 전체 대역의 RB 수-1이다. D의 값은, 예를 들어, 규격 등으로 미리 결정해 둔다.
Figure pct00006
단말은 스케줄된 리소스의 RFN으로부터 셀에 설정되어 있는 DMRS를 배치하는 RB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DMRS를 배치하는 RB를 시간축 방향에서 상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간축 방향에서 DMRS의 배치를 변경하는 형태에서는, 시간적으로 연속해서 특정의 RB의 수신 품질이 악화되는 전파 전반 환경의 경우에, 장시간 복조하지 못하고 생기는 수신 오류율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3에서 개시한 셀마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하는 방법을 아울러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셀마다의 식별자를 입력 파라미터에 포함하는 함수를 마련해 두고, 해당 함수를 이용해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도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셀마다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시간축 방향에서 상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함수에 의해 단말이 요구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DMRS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동적으로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기지국은, 시간축 방향의 스케줄 단위로 DMRS를 배치하는 RB를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 그 자체는 아니고, DMRS를 배치하는 RB를 도출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해당 정보로서는, 실시형태 1에서 개시한 DMRS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 특정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는 셀의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DCI에 포함시켜서 통지한다. 또한, 기지국은, 해당 정보를 포함시킨 DCI를 레이어 1(L1) 제어 채널 또는 레이어 2(L2) 제어 채널을 사용해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해당 정보를 PDCCH로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공통 정보용의 DCI에 포함시켜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은, 해당 공통 정보용의 DCI를 소정의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를 이용해서 특정할 수 있도록 해 두면 된다. 이에 의해, 단말은, 해당 소정의 RNTI로 해당 공통 정보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정의 RNTI는 미리 규격 등으로 결정해 두어도 되고, RRC 시그널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공통 정보로 함으로써,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통지하는 정보량을 삭감할 수 있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 개별 정보용의 DCI에 포함시켜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해당 정보를 단말에의 스케줄 정보와 함께 DCI에 포함시켜서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단말은, 스케줄 단위로 해당 정보를 수신 가능해진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스케줄 단위로 상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시간축 상에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동일한 설정이 계속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시간축 방향의 스케줄 단위의 정보로 하면 된다. 해당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해당 정보의 기간, 동일한 설정이 이루어졌다고 간주하여, DMRS를 수신해서 데이터를 복조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지국은, 동일한 설정이 계속되는 기간,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에 대해서 통지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통지하는 정보량이 삭감 가능해진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RRC 시그널링으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통지한 RB 사이의 DMRS 배치의 설정을 개시하는 타이밍 및 종료하는 타이밍의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통지한 RB 사이의 DMRS 배치의 설정을 개시하는 타이밍 및 해당 설정을 계속하는 기간의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한편, 타이밍을 나타내는 단위로서는, 슬롯 넘버, 서브 프레임 넘버, 무선 프레임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 등의 시간축 방향의 스케줄 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즉,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 그 자체를 단말에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DMRS가 배치되어 있는 RB를 단말이 도출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여기에서, RRC 시그널링으로의 통지에는 통상 복수의 서브 프레임을 필요로 한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설정 개시 타이밍 등을 통지함으로써, 기지국 및 단말은, DMRS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타이밍을 공통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단말은, 기지국이 설정한 DMRS를 정확히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해당 DMRS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의 통지에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예를 개시했지만, MAC 시그널링을 이용해서 통지를 행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 MAC CE에 포함시켜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조기에 통지 가능해진다. 즉, 설정 시 및 변경 시의 지연을 저감할 수 있다.
각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의 통지에, L1 제어 채널, L2 제어 채널, MAC CE,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는 것을 개시했지만, 이들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 중 일부를 L1 제어 채널 및 L2 제어 채널로 통지하고, 나머지를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한다.
예를 들어, 스케줄 시간 단위에서 변경하는 것은 L1 제어 채널 및 L2 제어 채널로 통지하고, 장기간에 걸쳐서 변경 불필요한 것은 RRC 시그널링으로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정보에 따른 통지 방법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1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DMRS가 배치되는 RE가 인접하는 셀 사이에서 동일하게 된 경우, 단말은 인접 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간섭을 받아서 수신 품질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셀 사이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DMRS를 배치하는 RB를 기지국간에 협조해서 DMRS의 배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셀 사이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구체적으로는, DMRS의 송신 타이밍에 대해서, 협조시키는 기지국간에 동기화(synchronized)한다. 즉, 기지국의 셀 사이에서 동기화한다. 시간축 상의 서브 프레임, 무선 프레임 등 스케줄 단위로 부여되는 번호의 동기를 기지국간에 취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협조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기지국은,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인접하는 기지국에 통지한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는, DMRS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 특정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 등, 실시형태 3 및 실시형태 4에서 셀마다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한 정보가 해당한다.
또한,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RB 사이의 DMRS 배치의 설정을 개시하는 타이밍 및 종료하는 타이밍의 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또는, RB 사이의 DMRS 배치의 설정을 개시하는 타이밍 및 해당 설정을 계속하는 기간의 정보를 사용해도 된다. 한편, 타이밍을 나타내는 단위로서는, 슬롯 넘버, 서브 프레임 넘버, 무선 프레임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 등의 시간축 방향의 스케줄 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
타이밍의 정보를 나타내는 단위로서는, 슬롯 넘버, 서브 프레임 넘버, 무선 프레임 넘버, 시스템 프레임 넘버 등의 시간축 방향의 스케줄 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단말에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즉,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 그 자체를 단말에 통지하는 것이 아니라, DMRS가 배치되어 있는 RB를 단말이 도출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셀의 식별자와 관련지어서 통지해도 된다. 셀의 식별자로서, PCI, ECGI(E-UTRAN Cell Global ID) 등을 이용해도 된다. 셀의 식별자는, RAN(Radio Access Network) 상에서 관리되는 식별자로 해도 되고, CN(Core Network) 상에서 관리되는 식별자로 해도 된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셀의 식별자와 관련지어서 통지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기지국이 어떤 기지국의 어떤 셀인지가 인식 가능해진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을 변경한 경우, 변경 후의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을, 인접하는 기지국에 통지한다. 설정을 변경한 기지국이 인접하는 기지국에 통지하는 정보는, 전술한,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기지국간의 정보 통지에는, 기지국간의 인터페이스의 시그널링을 이용하면 된다. 셀마다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새롭게 마련해도 된다. 해당 정보를 셀 식별자와 관련지어서 해당 메시지로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간의 인터페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LTE에서 규정된 X2 인터페이스가 있다. 또한, 3GPP에서 제 5 세대의 통신 규격으로서 논의되고 있는 NR(New Radio)의 Xn 인터페이스가 있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지국간의 인터페이스의 세트업을 위한 메시지로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셀 식별자와 관련짓고, 세트업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주변의 기지국에 통지한다. 해당 정보를 수신한 주변의 기지국은, 세트업 응답으로서, 자기 셀의 셀마다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셀 식별자와 관련짓고, 세트업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세트업 메시지를 송신한 기지국에 통지한다.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기지국 구성의 업데이트를 위한 메시지로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셀 식별자와 관련짓고, 기지국 구성의 업데이트를 위한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주변의 기지국에 통지한다.
또한, 세트업 메시지와 업데이트 메시지를 구분하여 사용해도 된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최초의 설정 즉 초기 상태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세트업 메시지로 통지하고, 변경 후의 설정을 업데이트 메시지로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업데이트 메시지는 기지국이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을 변경한 경우에만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지국은, 주변 기지국의 셀에 있어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주변 기지국의 셀에 있어서 DMRS가 배치되는 RB를 인식할 수 있다. 주변 기지국의 셀에 있어서 DMRS가 배치되는 RB를 인식한 기지국은, 주변 기지국의 셀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를 고려해서,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을 필요에 따라서 변경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은, 자기 셀 내의 단말에 있어서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이 문제가 되는 경우,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간섭을 회피시키고 수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지국은, 주변 기지국에 대해서,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의 변경을 요구해도 된다. 이 요구는, 기지국간의 인터페이스의 시그널링을 이용해서 행한다.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의 변경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이하,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로 함)를 새롭게 마련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설정 변경의 요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주변 기지국에 대해서 변경을 요구하는 기지국은,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의 변경을 요구하는 대상의 셀의 셀 식별자를,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송신한다.
또한, 주변 기지국에 대해서 변경을 요구하는 기지국은,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할 때,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보내도 된다. 또한, 해당 정보를 자기 셀의 셀 식별자와 관련지어서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에 포함시켜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 기지국의 셀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 즉 DMRS를 배치하는 RB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메시지를 송신한 기지국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를 고려해서,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요구에 응하는 것이 가능하면 설정을 변경하여, 요구해 온 기지국에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한편, 배치 설정 변경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요구에 응할 수 없는 경우도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정보로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A)∼(C)를 예시할 수 있다.
(A) 수락 또는 거부를 나타내는 정보
(B) 수락의 경우, 변경 후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
(C) 거부의 경우, 거부의 이유를 나타내는 정보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지국간에 협조해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 신호에 의해서 단말에서의 수신 품질의 악화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지국간의 협조를 다른 노드 또는 엔티티(entity)가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 노드(centralized node)를 마련하고 중앙 제어 노드가, 중앙 제어 노드에 접속하는 기지국간의 협조를 행한다. 또는, 코어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노드가,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지국간의 협조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동 관리를 행하는 노드가 각 기지국을 제어하여, 기지국간의 협조를 행해도 된다. 또는, OAM(Operating & Maintenance)이 접속하는 기지국간의 협조를 행해도 된다.
협조의 방법으로서, 전술한 방법을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협조를 행하는 노드에,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이하, 배치 결정용 정보로 함)를 셀 식별자와 관련지어서 통지한다. 협조를 행하는 노드는, 접속하는 기지국으로부터 배치 결정용 정보와 이것에 관련지어진 셀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접속하는 각 기지국의 셀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를 재설정하고, 재설정 후의 각 셀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셀 식별자와 관련지어서, 각 기지국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지국간에 협조한 설정이 가능해진다.
다른 협조의 방법으로서, 기지국은, 협조를 행하는 노드에 대해서,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의 변경 요구를, 변경 요구 대상의 셀의 식별자와 관련지어서 통지한다. 이때, 기지국은, 자기 셀에 있어서의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을 아울러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자기 셀의 식별 정보 및 자기 셀에 있어서의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을 상기의 변경 요구와 아울러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협조를 행하는 노드는, DMRS를 배치하는 RB의 설정의 변경 요구를 수신한 경우, 이 변경 요구를 송신한 기지국의 셀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와, 요구 대상의 기지국의 셀에 있어서의 DMRS의 배치를 재설정하고, 재설정 후의 DMRS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셀 식별자와 관련지어서, 각 기지국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도, 기지국간에 협조한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지국간에 협조해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 신호에 의해서 단말에서의 수신 품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간의 협조 기능을 다른 노드 또는 엔티티에 가지게 함으로써, 다수의 기지국간이 협조하는 경우도 용이하게 협조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및 실시형태 4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서 자기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했지만 일례이다.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서 다른 셀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SCell(Secondary Cell)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PCell(Primary Cell)을 이용해서 통지해도 된다. 또는, 기지국은, SCG(Secondary Cell Group)의 셀마다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MCG(Master Cell Group)를 이용해서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MCG의 셀마다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PCell을 이용해서 통지해도 된다.
또는, 기지국은, 측정용의 셀에 있어서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서빙 셀(serving cell)을 이용해서 단말에 해당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단말은, 해당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셀의 측정을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단말이 복수의 셀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경우나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셀마다의 DMRS를 배치하는 RB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해당 정보를 저(低)지연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에서 1RB당 DMRS를 포함하는 심벌의 수를 복수로 해도 되는 것을 개시했다. 1RB당 DMRS를 포함하는 심벌의 수를 복수로 하는 것을, 셀마다 설정해도 된다.
3GPP에 있어서, 셀프-컨테인드 슬롯(self-contained slot)이 검토되고 있다. 셀프-컨테인드 슬롯은, 하향 링크용의 신호 또는 채널과 상향 링크용의 신호 또는 채널이 동일 슬롯에 매핑되는 슬롯이다. 상향 링크용의 신호 또는 채널은 슬롯의 최후의 심벌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에 매핑된다. 하향용의 심벌과 상향용의 심벌 사이에 갭이 마련되어도 된다.
상향 링크나 갭용의 심벌은 고정이 아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1RB당 DMRS를 포함하는 심벌의 수를 복수로 하면, DMRS를 배치하는 심벌과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하는 심벌이 겹쳐 버리는 것이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우, 단말에서의 복조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게 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MRS를 배치하는 심벌과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하는 심벌이 겹쳐 버리는 경우, DMRS를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바꿔 말하면, 그들이 겹친 심벌을 상향 링크나 갭용에 이용한다.
예를 들어, 1슬롯이 7심벌로 구성되어 있고, DMRS가 제 3 심벌에 배치되어 있고, 나아가 부가적인 DMRS가 제 6 심벌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슬롯에 있어서,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하는 심벌을 최후의 심벌로부터 2개로 하는 셀프-컨테인드 슬롯이 설정된 경우, 슬롯의 제 6 심벌에서, DMRS와 상향 링크나 갭이 겹쳐 버린다.
이와 같은 경우, 제 6 심벌을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해서, 셀프-컨테인드 슬롯을 구성한다.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서, 셀프-컨테인드 슬롯의 구성을 통지한다. 즉, 기지국은,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하는 심벌 번호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단말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슬롯을 셀프-컨테인드 슬롯으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하는 심벌 수나 번호 등의 정보를 통지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셀프-컨테인드 슬롯의 구성의 정보를 수신하고, 셀프-컨테인드 슬롯에서 설정된 DMRS가 배치되는 심벌이,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되는 것을 인식한 경우, 해당 심벌에는 DMRS가 포함되지 않고,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된다고 인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단말은 정상적으로 다른 하향용 심벌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방법으로서, 셀프-컨테인드 슬롯에서는, 미리 DMRS를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되는 심벌과 겹치지 않는 배치로 해두어도 된다. DMRS를, 취할 수 있는 상향 링크나 갭용의 심벌을 제외한 심벌에 배치해 두면 된다. 배치하는 최후의 DMRS의 심벌 번호가,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되는 심벌 번호보다도 작아지도록 해 두면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셀프-컨테인드 슬롯에서는,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되는 심벌보다도 소정의 심벌 수 n(n=1, 2, 3··)만큼 앞의 심벌에 배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셀프-컨테인드 슬롯에 2개의 DMRS용 심벌을 배치하는 것으로 하여, 1번째의 DMRS용 심벌을 고정으로 하고, 2번째의 DMRS용 심벌을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되는 심벌보다도 소정의 심벌 수 n(n=1, 2, 3··)만큼 앞의 심벌에 배치한다.
이와 같은 경우, 1번째의 DMRS용 심벌과 2번째의 DMRS용 심벌 사이의 최솟값을 결정해 두어도 된다. 셀프-컨테인드 슬롯에서 설정된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되는 심벌 수에 의해, 최초의 DMRS용 심벌과 뒤의 DMRS용 심벌 사이가 해당 최솟값 정도 취해지지 않는 경우, 뒤의 DMRS를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미리 규격으로 결정되어도 되고,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통지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필요한 정보는, 미리 규격으로 결정되어도 되고,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정보를 통지하는 방법으로서, 시스템 정보로서 알리거나, 또는 단말에 개별적으로 통지해도 된다. 또는, 단말 개별의 정보로서 단말에 개별적으로 통지해도 된다.
또한, 해당 통지를,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L1 제어 채널, 또는 L2 제어 채널을 이용해서 행해도 된다. 정보에 따라서, 이들을 구분하여 사용해서 통지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DMRS를 배치하는 심벌과 상향 링크나 갭에 이용하는 심벌이 겹치지 않도록 해서, 단말에서의 복조를 정상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말에서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실시형태 1에서 개시한 구성과 실시형태 3에서 개시한 구성을 조합해서 실시해도 된다. 즉, 실시형태 3에서 개시한 방법으로,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결정하고, 결정한 배치, 즉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이용해서, 실시형태 1에서 개시한 단말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설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양한 RB 사이의 DMRS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고, 셀의 위치, 셀의 전파 전반 환경, 셀의 부하, 다중시키는 단말 수 등에 적합한 RB 사이의 DMRS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켜, 시스템으로서의 통신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1, 실시형태 3∼5에서는, 유니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DMRS를 설정하는 방법을 개시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니캐스트 통신 이외에 있어서의 예를 개시한다. 한편, 통신 시스템의 구성 및 기지국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도 기지국은,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빗 형상으로 배치한다. 한편, 멀티캐스트는 선택된 복수의 단말에 정보를 배포하는 통신 방식이 된다. 브로드캐스트는 셀 내의 단말 전부, 유니캐스트는 선택한 단말로의 통신 방식이 된다.
전술한 멀티캐스트 통신으로서, SC-PTM(Single Cell-Point To Multipoint)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3 등과 마찬가지로, DMRS를 포함하는 RB의 배치를 셀마다 설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DMRS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리소스 즉 RB의 RE를, 다른 신호 또는 다른 채널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셀로부터의 DMRS 신호의 간섭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의 DMRS의 계열을, 해당 멀티캐스트 통신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이하, 멀티캐스트 ID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이용해서 생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ZC 계열의 파라미터를, 멀티캐스트 ID를 이용해서 생성해도 된다. 또는, DMRS의 계열로서 PN 부호를 이용하고, PN 부호의 초기값 생성을, 멀티캐스트 ID를 이용해서 행해도 된다. 이에 의해, 멀티캐스트 통신의 DMRS와 다른 통신 사이에 있어서의 DMRS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복수의 단말이 멀티캐스트 통신의 스트림을 동시에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의 다른 통신에는, 다른 멀티캐스트 통신 및 유니캐스트 통신의 쌍방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DMRS의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실시형태 3에서 예시한 (1-1)∼(1-4)의 정보를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공통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셀에 있어서의 주파수 리소스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처리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DMRS를 셀의 전체 대역에 동일한 패턴으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의 대역 내에서 DMRS를 배치하는 RB를 설정해도 된다. 특정의 대역을 복수 세트 마련해도 된다. 특정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실시형태 3에서 예시한 (2-1)∼(2-4)의 정보를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유니캐스트 통신,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공통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셀에 있어서의 주파수 리소스 제어를 위한 기지국의 처리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고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규격 등으로 정적으로 결정해 두어도 된다. RB 사이의 DMRS의 배치로서, 실시형태 3에 나타낸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유니캐스트 통신과 멀티캐스트 통신으로 RB 사이의 DMRS의 배치가 공통이 되기 때문에, 멀티캐스트 통신과 유니캐스트 통신 사이에서 DMRS의 배치의 경합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DMRS를 배치하는 RB를 전체 셀에서 동일하게 해도 된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셀을 그룹으로 하고, 그룹마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상이하게 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그룹 내에서는 셀마다 DMRS를 배치하는 RB를 상이하게 하고, 그룹 사이에서는 동일 또는 무상관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유연한 설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셀의 커버리지나, 주파수 대역, 서포트하는 서비스 등으로 적절한 RB마다의 DMRS의 배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스템으로서의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규격 등으로 정적으로 결정해 두는 것을 나타냈지만, 다른 방법으로서, 본 실시형태를 적용하는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대해서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의 통지 방법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기지국은, 자기 셀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산하의 단말에 알린다.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로서, 실시형태 3에서 나타낸, DMRS의 배치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 (1-1)∼(1-4) 및 특정의 대역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 (2-1)∼(2-4)와 같은 정보를 단말에 알린다.
셀 산하의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알려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셀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인식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에 알리는 상기의 각 정보를, 알림 정보로서 MIB에 포함시켜도 된다. 또는, 기지국은, 단말에 알리는 상기의 각 정보를 미니멈 SI에 포함시켜도 된다. 기지국은, 단말에 알리는 상기의 각 정보를 PBCH로 통지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에 알리는 상기의 각 정보를 SIB에 포함시켜서 알려도 된다. SIB로서는, 예를 들어, SC-PTM을 이용한 멀티캐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SIB 20을 이용해도 된다.
다른 통지 방법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자기 셀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산하의 단말에 개별 시그널링으로 통지한다. 즉, 기지국은, 해당 배치 정보를 단말에 알리는 것은 아니고, 단말 개별의 시그널링으로 통지한다.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단말 개별의 정보에 포함시켜서 통지해도 된다. 이에 의해, 단말마다 필요한 정보가 개별적으로 통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서비스마다 RB 사이의 DMRS의 배치가 상이한 경우, 단말마다 서포트하는 서비스의 RB 사이의 DMRS의 배치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셀 공통의 정보에 포함시켜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단말 개별 SIB 정보에 포함시켜서 통지해도 된다. 기지국은, 예를 들어, 3GPP에서 제안되어 있는 다른 SI 정보로서,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이 통지 방법의 경우, 멀티캐스트 수신을 필요로 하는 단말만이 해당 SI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멀티캐스트 수신을 불요로 하는 단말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다른 통지 방법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멀티캐스트용의 채널을 이용해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사용하는 멀티캐스트용의 채널은,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이어도 되고, SC-MCCH(Single Cell-Multicast Control CHannel)이어도 된다. 기지국은, 멀티캐스트용의 채널에, 멀티캐스트용의 시그널링을 포함시켜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즉, 기지국은, 멀티캐스트용의 시그널링에 RB 사이의 DMRS의 배치 정보를 포함시켜도 된다. 시그널링의 예로서, 문헌 「3GPP TS 36.331 v14.2.1」에 기재된 SCPTMConfiguration, 또는, MBSFNAreaConfiguration을 이용해도 된다. 이 통지 방법의 경우에도, 멀티캐스트 수신을 필요로 하는 단말에만 통지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멀티캐스트 수신을 불요로 하는 단말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 배치를, MCE(Multicell Coordination Entity)로부터 기지국에 통지해도 된다. 즉,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 배치를, MCE-기지국간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M2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MCE로부터 각 셀의 기지국에 통지해도 된다.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 배치를, 멀티캐스트 통신에 수반하는 다른 설정과 아울러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시그널링량의 삭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 배치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부터 MCE에 통지해도 된다. 즉, 셀마다의 RB 사이의 DMRS 배치를, MME-MCE간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M3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MME로부터 MCE에 통지해도 된다. MME는, 다른 통신(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및 다른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RB 사이의 DMRS 배치를 이용해서, 해당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RB 사이의 DMRS 배치를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 멀티캐스트와 다른 통신사이에서 RB 사이의 DMRS 배치가 경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통신으로부터의 DMRS의 간섭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 통신으로서,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RB 사이의 DMRS 배치를, MBSFN 에어리어마다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 RB 사이의 DMRS 배치의 결정에 있어서, MBSFN의 식별자(예를 들어, MBSFN 에어리어 ID)를 이용해도 된다. 기지국은, RB 사이의 DMRS 배치의 정보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금까지 들었던 방법을 이용해서 단말에 통지해도 되고, MBSFNAreaConfiguration을 이용해서 단말에 통지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SIB 20 대신에, MBFSN 에어리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SIB 13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MBSFN 에어리어의 경계 부근에 있는 단말에 있어서, 다른 셀 또는 다른 MBSFN 에어리어로부터의 DMRS의 간섭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의하면, 멀티캐스트 통신에 있어서, 주파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다른 셀, 다른 통신 등으로부터의 DMRS의 간섭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각 실시형태를, 확장 CP(Extended CP)를 이용한 통신에 적용해도 된다. 확장 CP를 이용한 통신의 예로서, 광범위를 커버하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통신이어도 되고, MBSFN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확장 CP를 이용한 통신에 있어서도, 주파수 리소스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지고, 또한, 다른 셀로부터의 DMRS의 간섭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슬롯은, 제 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의 시간 단위의 일례이다. 스케줄 단위여도 된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슬롯 단위로서 기재하고 있는 처리를,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단위, 서브 프레임 단위, 서브 슬롯 단위, 미니 슬롯 단위로서 행해도 된다.
1: 기지국, 2, 2-1, 2-2, 2-n: 단말, 11: 수신부, 12-1, 12-2, 12-3: 처리부, 13: 프리코딩부, 14: 송신부, 21: 수신 처리부, 22: 복조부, 121: 정보 처리부, 123: 파라미터 신호 생성부, 124: 참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 125: 데이터 신호용 제어 신호 생성부, 126: 참조 신호 생성부, 127: 데이터 생성부, 128: 다중부.

Claims (11)

1대의 단말에 대해서 1개 이상의 송신 레이어를 할당함과 함께, 각 송신 레이어에 있어서 통신 리소스의 최소 할당 단위인 리소스 블록을 1개 이상 할당해서 상기 단말에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송신 레이어 중, 어느 하나의 송신 레이어와 대응지어진 처리부를 상기 송신 레이어와 동일한 수만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의 각각은,
상기 단말이 수신 신호의 복조 처리에서 사용하는 참조 신호를 생성하는 참조 신호 생성부와,
상기 단말과의 사이의 전송로 상태, 및, 인접하는 셀에 있어서의 상기 참조 신호의 송신에서 사용되는 상기 리소스 블록의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기초해서, 상기 단말에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의 배치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참조 신호의 송신에서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의 배치를 미리 결정된 복수의 배치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의 배치는, 상기 리소스 블록의 할당을 행하는 단위인 스케줄 단위에 있어서의 상기 리소스 블록의 밀도가 상이한 복수의 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블록의 밀도가 상이한 복수의 배치는, 상기 스케줄 단위의 주파수축 방향의 밀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블록의 밀도가 상이한 복수의 배치는, 상기 스케줄 단위의 시간축 방향의 밀도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복수의 배치는, 상기 리소스 블록의 할당을 행하는 단위인 스케줄 단위에 있어서의 상기 리소스 블록의 밀도가 동일하고, 또한 상기 리소스 블록의 각각의 상기 스케줄 단위 내에 있어서의 위치가 겹치지 않는 복수의 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의 배치가 통신 상대의 상기 단말마다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의 배치를, 기준이 되는 배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기준이 되는 배치와의 어긋남을 나타내는 오프셋 정보를 사용해서 상기 단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의 배치를, 셀의 식별자에 기초해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의 배치를, 멀티캐스트 통신의 식별자에 기초해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장치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서,
상기 송신 장치가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는 상기 참조 신호를 이용해서 데이터 신호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KR1020197031130A 2017-04-27 2017-04-27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Ceased KR201901279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16817 WO2018198287A1 (ja) 2017-04-27 2017-04-27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911A true KR20190127911A (ko) 2019-11-13

Family

ID=6391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130A Ceased KR20190127911A (ko) 2017-04-27 2017-04-27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03406B2 (ko)
EP (1) EP3605864A4 (ko)
JP (1) JP6824394B2 (ko)
KR (1) KR20190127911A (ko)
CN (1) CN110574303B (ko)
WO (1) WO20181982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9587B (zh) * 2017-05-05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参考信号序列的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
EP3876646B1 (en) * 2018-12-21 2023-0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perat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supporting same
CN113765633B (zh) * 2020-06-03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参考信号的方法和通信装置
US12010056B2 (en) 2021-01-25 2024-06-11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sequence signaling
WO2022159206A1 (en) * 2021-01-25 2022-07-28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sequence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7810B2 (en) * 2009-03-17 201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pilot signals in multi-stream transmissions
US8693429B2 (en) * 2009-03-31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and use of reference signa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EP2456094B1 (en) 2009-07-17 2017-04-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station
PL2369775T3 (pl) * 2010-03-16 2019-08-30 Lg Electronics Inc. Sposób i stacja bazowa do przesyłania sygnałów odniesienia oraz sposób i urządzenie użytkownika do odbioru sygnałów odniesienia
US9660775B2 (en) * 2010-06-15 2017-05-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unctured pilot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9264997B2 (en) * 2012-07-03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energy efficient communication
JP5309254B2 (ja) * 2012-08-02 2013-10-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685118B (zh) * 2012-09-11 2018-04-27 株式会社Ntt都科摩 一种数据的发送方法及装置
JP6320675B2 (ja) * 2012-12-03 2018-05-09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フェージング周波数推定方法
US9369253B2 (en) * 2013-02-21 2016-06-14 Blackberry Limited Methods of interference measurement for advanced receiver in LTE/LTE-A
WO2014161141A1 (en) 2013-04-01 2014-10-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ntrol signal mapping method
US20180041995A1 (en) * 2015-02-09 2018-02-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JP2018152625A (ja) * 2015-08-05 2018-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3411960A1 (en) * 2016-02-03 2018-12-12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18027986A1 (en) * 2016-08-12 2018-02-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ference signaling in with antenna array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 Y. Zou and Y. Wu, "COFDM: An overview", IEEE Trans. on Broadcasting, vol. 41, no. 1, March 1995, pp. 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24394B2 (ja) 2021-02-03
EP3605864A4 (en) 2020-03-11
JPWO2018198287A1 (ja) 2019-11-07
CN110574303B (zh) 2021-12-31
WO2018198287A1 (ja) 2018-11-01
EP3605864A1 (en) 2020-02-05
US11303406B2 (en) 2022-04-12
CN110574303A (zh) 2019-12-13
US20200052840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314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U2018257199B2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0517081B2 (en) Initializing reference signal generation in wireless networks
EP2901607B1 (en) Csi-rs and dmrs co-location indication
US20200092740A1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201103108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control channel resour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18257334A1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08476188A (zh) 在波束形成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JP2011523246A (ja) Costasアレイを使用したパイロット設計
CN105472745A (zh) 一种探测导频信号资源的分配方法及设备
JP6824394B2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2011012705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채널 상태 측정 기준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