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268A -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involving design creator and prosumer - Google Patents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involving design creator and prosum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1268A KR20190131268A KR1020180055926A KR20180055926A KR20190131268A KR 20190131268 A KR20190131268 A KR 20190131268A KR 1020180055926 A KR1020180055926 A KR 1020180055926A KR 20180055926 A KR20180055926 A KR 20180055926A KR 20190131268 A KR20190131268 A KR 201901312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user
- unit
- fash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by configuring or customising goods or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creation or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utilising 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디자인 크리에이터와 프로슈머가 참여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패션 의류제품 아이템을 선택 입력받고 선택된 패션 의류제품 아이템에 적용될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검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선택받는 이미지 검색부와, 패턴 및 프린트 이미지를 스타일 트렌드에 따라 분류한 스타일 트렌드 키워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타일 트렌드가 반영된 프린트 및 패턴을 선택하게 하는 스타일 트렌드 제공부와,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와 조합 가능한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들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조합하여 사용자 자신만의 맞춤형 패션 디자인을 제작하는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와,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 제품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뷰어를 포함한다.A fashion design customization system will be launched, involving design creators and prosumers. The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image search unit configured to select and input a fashion clothing product item from a user online and to select a print and pattern imag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a print and pattern image search to be applied to the selected fashion clothing product item. And a style trend provider that provides a style trend keyword that classifies patterns and print images according to style trends so that users can select prints and patterns that reflect the style trends, artwork image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selected print and pattern images, and Simulates an image orchestration product and image orchestration product that provides text and combines print and pattern images, artwork images, and text selected from users to create your own custom fashion designs It includes a simulation view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의 패션 관련 디지털 정보 제공 및 패션상품 주문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hion-related digital information providing and fashion goods order service technology online.
패션 소비재 제품을 중심으로 개인화 서비스 동향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패션상품 소비자의 개성화와 차별화 욕구로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개인 맞춤화된 디자인 니즈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패션의류제품의 디자인 및 패턴 라인업은 소비자 트렌드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나, 생산자 및 생산 시스템 중심으로 마켓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소비자 니즈 및 트렌드에 관한 이머징 이슈에 빠르게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Personalized service trends are spreading around fashion consumer products. In particular, personalized design needs are gradually increasing to convey their messages with the desire for person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However, the design and pattern lineup of existing fashion apparel products is based on consumer trends, but it is not responding rapidly to emerging issues related to consumer needs and trends because it forms a market around producers and production systems.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자인 크리에이터와 프로슈머가 참여하여 나만의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아징이 가능한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을 제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sign creator and a prosumer participate in a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capable of customizing their own fashion design.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패션 의류제품 아이템을 선택 입력받고 선택된 패션 의류제품 아이템에 적용될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검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선택받는 이미지 검색부와, 패턴 및 프린트 이미지를 스타일 트렌드에 따라 분류한 스타일 트렌드 키워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타일 트렌드가 반영된 프린트 및 패턴을 선택하게 하는 스타일 트렌드 제공부와,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와 조합 가능한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들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조합하여 사용자 자신만의 맞춤형 패션 디자인을 제작하는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와,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 제품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뷰어를 포함한다.The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image search unit configured to select and input a fashion clothing product item from a user online and to select a print and pattern imag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a print and pattern image search to be applied to the selected fashion clothing product item. And a style trend provider that provides a style trend keyword that classifies patterns and print images according to style trends so that users can select prints and patterns that reflect the style trends, artwork image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selected print and pattern images, and Simulates an image orchestration product and image orchestration product that provides text and combines print and pattern images, artwork images, and text selected from users to create your own custom fashion designs It includes a simulation viewer.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에 적용 가능한 컬러,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제공하여 선택받는 이미지 선택부와,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이미지를 조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디자인을 생성하며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자유롭게 조합 및 변형하되 의류 별 분할 패턴에 반영 위치를 적용하고 사이즈를 변경하는 이미지 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orchestration unit combines the image selection unit selected by providing color, artwork image, and text applicable to the print and pattern images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to create a customized design. The image image and text may be freely combined and deformed, but may include an image combination unit for applying a reflection position and changing a size of the divided pattern for each clothing.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업로드한 창작 이미지 또는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를 통해 조합된 이미지가 심사기준에 적합한지를 심사하는 이미지 심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review unit for judging whether the image combined by the user or the image orchestration unit uploaded directly by the user meets the screening criteria.
이미지 심사부는, 창작 이미지 또는 조합 이미지의 규격, 인쇄 조건(해상도: dpi) 적합 여부, 프린트 및 패턴 반복 시에 윤곽선이 생성되지 않는지를 심사하는 제1 심사부와, 창작 이미지 또는 조합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여부, 저작권 허용 범위, 연령 제한 여부 및 노출 제한 여부를 심사하는 제2 심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judging unit includes a first judging unit which examines whether a standard of a creative image or a combination image is suitable, a printing condition (resolution: dpi) is satisfied, and whether the outline is not generated when printing and pattern is repeated, and whether the original image or the combination image is infringed on copyright. , A second review unit that examines copyright allowances, age restrictions, and exposure restrictions.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에 추천하며 랭킹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이미지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recommending unit which recommends an image uploaded by the user to another user and provides a ranking service together.
이미지 추천부는, 사용자가 업로드하거나 선택한 이미지의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태깅정보 획득부와, 사용자의 시스템 가입 시 사용자가 작성한 개인정보를 획득하는 개인정보 획득부와, 획득된 태그정보 및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이미지를 추천하며 랭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추천 및 랭킹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recommending unit may include a tagg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tag information of an image uploaded or selected by the user, a person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personal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when the user joins the system, and obtained tag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By identifying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information may recommend an image suitable for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and may include an image recommendation and ranking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ranking service.
이미지 추천부는, 패션 상품의 판매 스케쥴 정보를 획득하는 판매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며, 이미지 추천 및 랭킹 제공부는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을, 판매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패션 상품 판매 스케쥴과 연동하여 이미지를 추천할 수 있다.The image recommend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ale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sales schedule information of the fashion product, and the image recommendation and ranking provider provides an image by linking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with the fashion product sales schedule acquired through the sale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I can recommend it.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자인 크리에이터나 소비자 등의 사용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창작 또는 조합함으로써 나만의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아징이 가능하다. 사용자, 예를 들어, 그래픽 디자이너 또는 주문자가 새로운 창작물을 직접 게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니즈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사용자는 창작물에 대한 신규 수입원을 창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ustomizing a fashion design may be possible by creating or combining a print and a pattern image suitable for a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 design creator or a consumer. Users, for example, graphic designers or orderers, can post new creations directly, so that they can respond quickly to user needs and create new revenue streams for the creations.
나아가, 창작 이미지 또는 조합 이미지를 대상으로 미리 설정된 심사기준에 적합한지를 심사할 수 있어서, 창작 이미지 또는 조합 이미지의 품질을 높이고 해당 이미지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주문하는 패션상품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creative image or the combination image meets the predetermined criteria for examination,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reative image or the combination image and customizing the imag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the ordered fashion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를 통한 디자인 맞춤 서비스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심사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추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조합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뷰어를 통해 보이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깅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추천 시 반영되는 패션상품 판매 스케쥴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outline of a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sign customization service process through the image orchestration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mage orchestration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mage examination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mage recommendation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an image combination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imulation result seen through the image vie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illustrate tag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fashion product sales schedule information reflected when an image is recomme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following terms are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Combinations of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s and respective steps of the flowchart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xecutable engines), which may be executed o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s such, instructions executed through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create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nd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can b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implemented process that can be executed by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Instructions for performing data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n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or step may represent a portion of a module, segment or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c logical functions, and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referred to in blocks or step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unction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he two blocks or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blocks or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as requir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the following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outline of a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패션 소비재 제품을 중심으로 현재 확산되고 있는 개인화 서비스 동향을 바탕으로 사용자 자신만의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커스터마이징 서비스는 생산업체나 수공업자들이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제품을 만들어주는 일종의 맞춤제작 서비스를 말한다.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예를 들면,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패션 의류제품 아이템을 선택하고,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선택 및 조정하며,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에 아트워크 이미지/텍스트 등을 조합함으로써 사용자 자신만의 맞춤형 패션 디자인을 제작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만의 창작 이미지를 직접 업로드할 수 있는 개인 맞춤화(Personalized) 디자인 제작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 the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provides a user's own fashion design customizing service based on a trend of personalized service that is currently spreading around fashion consumer products. Customization service is a kind of customized service where producers or craftsmen make products according to customer's needs. Customizing fashion designs For example, users can customize their own fashion by selecting fashion apparel items online, selecting and adjusting print and pattern images, and combining artwork images / text with selected print and pattern images. Create a desig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personalized design that allows users to directly upload their own creative images.
소비자가 온라인 상에서 패션 의류제품 아이템을 선택하고, 패션의류 제품 아이템에 다양한 프린트 및 패턴을 선택 및 조합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크리에이션을 적용한 개인화 제품을 주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사용자가 주문한 개인화 제품을 제작, 배송하여 소비자에게 이르게 하는 총체적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해당 시스템은 단지 필요한 기술개발, 제품개발에 국한하지 않으며, 최종적으로 [디자인-패션-의류제조-ICT]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한다.We propose a system that allows consumers to select fashion apparel items on-line and to select and combine various prints and patterns on fashion apparel product items to order personalized products applied with image crea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mprehensive system for producing and delivering personalized products ordered by a user to a consumer. The system is not just limited to the necessary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duct development, but finally, the [Design-Fashion-Clothing Manufacturing-ICT] ecosystem will be established.
시스템 사용자는 패션 의류제품을 주문하는 소비자일 수 있고, 패션 의류제품 디자이너, 새로운 이미지를 창작하는 이미지 크리에이터(image creator)일 수 있다. 또한, 주문 제품 제조자, 수공업자, 배달업자 등의 생산자일 수 있다. 소비자는 직접 패션 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프로슈머(prosumer)라 할 수 있다. 프로슈머는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를 합성한 말이다. 소비자가 소비는 물론 제품개발, 유통과정에까지 직접 참여하는 ‘생산적 소비자’로 거듭나는 의미다.The system user may be a consumer ordering fashion apparel, a fashion apparel designer, an image creator creating a new image. It can also be a producer of custom product manufacturers, crafters, deliverers, and the like. Consumers can be called prosumers in that they can produce fashion designs directly. Prosumer is a combination of producer and consumer. It means that the consumer is born again as a 'productive consumer' who directly participates in not only consumption but also product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소비자 및 디자이너 및 생산자가 모두 참여 가능한 디자인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상은 프린트 앤 패턴 이미지를 취급하는 각종 패션 의류 디자인이 될 수 있다.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design customization service that can be participated by both consumers, designers and producers. Subjects can be various fashion apparel designs that handle print and pattern images.
패션상품 소비자의 개성화와 차별화 욕구로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개인 맞춤화된 디자인 니즈가 확산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맞춤 디자인-맞춤 생산에 이르는 선 주문-후 생산의 ‘재고 zero’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한다. 소비자가 직접 디자인한 제품을 주문-생산하는 글로벌 시스템을 제공하며,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개발자 및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고자 한다. 나아가, 사용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컬러, 프린트 및 패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여 맞춤 디자인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Personalized design needs to spread their messages through the person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desire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are spreading. Accordingly, the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proposes a “stock zero” business model of pre-order post-production from custom design to custom production. It provides a global system for custom-producing consumer-designed products and aims to meet the needs of print and pattern image developers and users. Furthermore, by providing color, print, and pattern recommendation service suitable for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ustomized design can be done easily and conveniently.
이하, 도 1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특징을 가진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을 주체에 따라 설명하고자 한다.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을 주체에 따라 분류하면, 사용자 창작 패션-정보통신기술(User Created Fashion-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CFI, 이하 'UCFI'라 칭함) 웹사이트 제공자(1), 시스템 제공자(2), 컨텐츠 제공자(3), 제조자(manufacturer)(4), 이미지 크리에이터(5), 관리자(6) 및 웹 서비스 제공자(7)로 구분될 수 있다.Hereinafter, a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having the aforementioned featur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f the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User Created Fashion-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CFI) is referred to as the website provider (1), system provider (2), It may be divided into a
UCFI 웹사이트 제공자(1)는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스템 사용정보(11)를 제공하고, 이미지가 적용된 옷본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한다(12). 사용자의 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브라우징(browsing)(13)하고 검색된 이미지를 적용하여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한다(14). 오케스트레이션 제품에 스타일 트렌드를 적용(15)하고 오케스트레이션 제품을 시뮬레이션한다(16). 나아가, 사용자에게 해당 제품에 대한 주문 및 결제 서비스를 처리한다(17).The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제공자(2)는 이미지 심사부(21), 이미지 추천부(22), 이미지 검색부(23), 스타일 트렌드 제공부(24),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25), 시뮬레이션 뷰어(26) 및 옷본 매핑부(27)를 포함한다.The
이미지 심사부(21)는 사용자(이미지 크리에이터, 디자이너, 소비자 등)가 창작하거나 사용자가 선택을 통해 조합한 이미지를 심사한다. 기존의 패션의류 제품의 디자인 및 패턴 라인업은 소비자 트렌드를 바탕으로 하되, 생산자 및 생산 시스템 중심으로 마켓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소비자 니즈 및 트렌드에 관한 이머징 이슈에 빠르게 부응하지 못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사용자(예를 들어, 그래픽 디자이너 또는 주문자)가 새로운 창작물을 직접 게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니즈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사용자는 창작물에 대한 신규 수입원을 창출할 수 있다.The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심사부(21)는 창작 이미지 또는 조합 이미지를 대상으로 미리 설정된 심사기준에 적합한지를 심사하고 심사에 합격한 이미지를 심사 DB(32)에 저장한다. 디자이너 또는 소비자가 시스템에 창작 이미지를 업로드하거나, 이미지 심사부(21)는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25)를 통해 소비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조합하면, 창작 이미지 또는 조합 이미지를 대상으로 심사를 수행하여 적합 여부를 판별한다. 이미지 심사부(21)의 세부 구성은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이미지 추천부(22)는 사용자(예를 들어, 이미지 크리에이터)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소비자)에 추천하며 랭킹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추천부(22)는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사용 상황에 따른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추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 취향과 사용 상황에 맞추어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 등을 추천한다. 이미지 추천부(22)의 세부 구성은 도 5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이미지 검색부(23)는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패션 의류제품 아이템을 선택 입력받고 선택된 패션 의류제품 아이템을 대상으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검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선택받는다. 패션 의류제품 아이템은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적용할 옷본일 수 있다. 이미지 검색부(23)는 사용자에게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DB(33)에 저장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린트는 물방울, 격자, 지그재그 등과 같은 고유의 무늬를 의미하고, 패턴은 프린트가 반복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옷에 출력된 것을 프린트 및 패턴이라 한다. 프린트 및 패턴은 그 예로서는 솔리드(무지), 스트라이프, 체크, 도트, 플로럴(꽃무늬), 애니멀 패턴, 밀리터리(카무플라주), 에스닉, 엔틱, 레터링 등 다양하며, 패션 이미지에 적용될 수 있다.The image searcher 23 selects and inputs a fashion clothing product item desired by the user online, and receives a print and pattern imag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a print and pattern image search for the selected fashion clothing product item. The fashion apparel item may be a garment to which the print and pattern image will be applied. The image retrieval unit 23 provides a service for retrieving print and pattern images stored in the print and
스타일 트렌드 제공부(24)는 패턴 및 프린트 이미지를 스타일 트렌드에 따라 분류한 스타일 트렌드 키워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타일 트렌드가 반영된 프린트 및 패턴을 선택하게 한다. 이를 위해, 프린트 및 패턴 분류 기준이 되는 프린트 및 패턴 트렌드 어휘 데이터를 생성한다. 각종 수집 데이터로부터 유효 어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유효 어휘 데이터를 다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어휘 데이터 사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어휘 데이터를 새로 개발된 패턴 및 프린트 이미지에 태깅하여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분류된 패턴 및 프린트 이미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프린트 및 패턴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 트렌드 제공부(24)는 스타일 키워드 DB/CMF(Color Material Finishing) 트렌드 DB(34)에 저장된 키워드 풀(Pool)에서 어휘매칭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스타일 트렌드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25)는 이미지 검색부(2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와 조합 가능한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들을 제공하고,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조합하여 사용자 자신만의 맞춤형 패션 디자인을 제작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25)는 옷본 및 작업지시서 DB(35)에 저장된 옷본에 스타일 트렌드를 적용하여 조합함에 따라 오케스트레이션 제품을 크리에이션한다.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25)의 세부 구성은 도 3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The
시뮬레이션 뷰어(26)는 오케스트레이션 제품을 사용자에 시뮬레이션한다. 옷본 매핑부(27)는 시뮬레이션한 오케스트레이션 제품을 실제 제품에 매핑한다.The
컨텐츠 제공자(3)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컨텐츠는 DB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DB는 회원정보 DB(31), 심사 DB(32),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DB(33), 스타일 키워드 DB/CMF 트렌드 DB(34), 옷본 DB(35), 제조협력업체 DB(36)를 포함 한다. 심사 DB(32)에는 이미지 심사기준 정보가 저장된다.The
제조자(4)는 제조협력업체 DB(36)를 기반으로 옷본의 프린트 및 패턴을 원단에 디지털 프린팅(DTP)(41)하고 생성된 작업지시서에 따라 봉제 및 가공(42)하며, 배송 시스템(43)을 통해 배송한다(44).The manufacturer (4) digitally prints and prints the pattern on the fabric based on the manufacturing partner DB (36) (DTP) 41, sewing and processing (42) according to the work orders created, and the delivery system (43). (44).
이미지 크리에이터(5)는 UCFI 웹사이트(1)에 회원가입하고,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이때, 빌링(billing) 시스템을 통해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DB(33)와 연계되어, 업로드한 이미지에 대한 수익금을 받을 수 있다.The
관리자(6)는 회원관리, 패턴 이미지 입력관리, 옷본 데이터 입력 관리, 이미지 랭킹 및 추천 관리, 패턴 매칭 제품 DB 관리 등 각종 관리를 수행하며, 웹 서비스 제공자(7)와 연계하여 웹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manager 6 performs various management such as member management, pattern image input management, clothing data input management, image ranking and recommendation management, pattern matching product DB management, and provides web-based services in connection with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를 통한 디자인 맞춤 서비스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sign customization service process through the image orchestration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소비자는 시스템에서 주문을 위한 패션 의류 아이템, 컬러,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를 선택한다(201). 또는 자신이 직접 창작한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사용자는 선택한 이미지를 오케스트레이션(수정 및 조합) 하여 자신만의 제품을 크리에이션한다(202). 오케스트레이션된 가상 제품이 완성되면, 사용자는 가상제품 시뮬레이션을 검토하고, 검토된 제품을 시스템에서 주문 및 결제한다(203).Referring to FIG. 2, a consumer selects a fashion clothing item, color, print and pattern image, artwork image for an order in a system (201). Or upload your own image. The user orchestrates (modifies and combines) the selected images to create their own product (202). Once the orchestrated virtual product is complete, the user reviews the virtual product simulation and orders and pays for the reviewed product in the system (203).
생산자는 주문 내역을 수령하여, 주문 제품에 대해 원단 프린트(DTP) 맞춤 생산을 수행한다(204). 그리고 DTP된 원단을 작업지시서에 따라 재단, 봉제 및 가공하여 완제품인 UCFI 서비스 제품을 제공한다(205). 이후 판매 수익금을 정산 받는다.The producer receives the order details and performs a fabric print (DTP) custom production for the ordered product (204). And the DTP fabric is cut, sewn and processed according to the work order to provide the UCFI service product as a finished product (205). After that, the sales proceeds are settled.
디자이너가 새로운 창작 그래픽 이미지 콘텐츠를 업로드하면, 이미지 심사부(21)는 디자이너의 창작 이미지를 심사하고 심사가 완료되면 이를 DB에 등록한다. 디자이너는 자신이 만든 이미지에 대한 판매 수익금을 받을 수 있다.When the designer uploads a new creative graphic image content, the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디자이너로부터 개발된 그래픽 이미지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201). 사용자가 주문하면, 사용자의 주문 내역을 검토하여, 주문 승인/반려를 하며, 주문 승인된 디자인에 대한 DTP 인쇄용 원본 패턴 및 작업지시서를 자동 생성한다. 그리고 DTP 생산 공장에 패턴 및 작업 지시서 전달하여 알린다. 시스템은 디자이너가 창작한 이미지를 심사하며, 판매가 이루어진 디자이너 창작 이미지의 판매 수익금을 정산한다.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ovides a graphic image content developed by a designer to a user (201). When a user places an order, the user's order history is reviewed, the order is approved / returned, and the DTP printing original pattern and work order are automatically generated for the order approved design. Inform and communicate the pattern and work order to the DTP production plant. The system examines the image created by the designer and settles the proceeds from the sale of the designer's original imag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mage orchestration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25)는 이미지 선택부(250), 이미지 조합부(252) 및 이미지 뷰어(25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이미지 선택부(250)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컬러 이미지,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및 아트워크 이미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받는다. 이때, 컬러/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아트워크 이미지 필터링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받을 수 있다.The
이미지 조합부(252)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이미지를 조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디자인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조합한다. 이때, 운영자가 제공하는 한정된 이미지, 한정된 위치에만 적용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자유롭게 조합 및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별 분할 패턴에 반영 위치를 적용하고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다. 적용된 이미지는 내 팔렛트(my pallete)에 저장된다.The
이미지 뷰어(254)는 이미지 조합부(252)를 통해 조합된 가상 제품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360도 회전으로 미리 보기 기능을 제공한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심사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mage review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심사부(21)는 제1 심사부(210)와 제2 심사부(2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제1 심사부(210)는 창작 또는 조합한 이미지의 규격(가로 사이즈, 세로 사이즈), 인쇄 조건(해상도: dpi)이 적합한지 여부, 프린트 및 패턴 반복 시에 윤곽선이 생성되지 않는지를 심사한다. 이때, 심사기준의 예는 표 1과 같다.The
예를 들어, 표 1에서와 같이 이미지가 50cm, 50cm, 200dpi를 만족하는지, 프린트 및 패턴 반복시 윤곽선이 생성되지 않는지를 심사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Table 1, it is judged whether the image satisfies 50 cm, 50 cm, 200 dpi, and no contour is generated during printing and pattern repetition.
제2 심사부(212)는 창작 또는 조합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여부, 저작권 허용 범위, 연령 제한 여부, 노출 제한 여부를 심사한다. 이때 심사기준의 예는 표 2와 같다.The
◎ 저작권 보호 방침에 동의하였으며, 해당 이미지는 저작권에 위배되지 않음“Be sure to read our Copyright Protection Policy before uploading an image so that you do not violate copyright.”
◎ I have agreed to the copyright protection policy and the image does not violate the copyright
◎ 공유는 가능하지만 이미지 변형 불가
◎ 상업적 이용 불가
◎ 변형이 가능하지만 원본 콘텐츠에 비용 지불
(금액: ________원)◎ All sharing and utilization
◎ Shareable but not image modified
◎ Commercial unavailable
◎ Can be modified but paid for the original content
(Amount: ________ won)
◎YES ◎NO Allow
◎ YES ◎ NO
◎YES(□테스트, □저작권자, □기타) ◎NO Restrict exposure to search results
◎ YES (□ Test, □ Copyright, □ Other) ◎ NO
저작권 보호 방침에 따르면 플랫폼의 모든 콘텐츠와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는 한국저작권법, 상표권 및 기타재산관련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다. 우리 저작권법은 저작권에 관하여 ‘무방식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며, 저작물을 창작한 순간 자동적으로 발생하며 저작권 표시 ⓒ가 없어도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다. 저작재산권 및 그밖에 이 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재산권 권리를 복제·공연·방송·전시·전송·배포·2차적 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할 경우 형사 처분의 대상이 된다. 저작권법 상의 디자인권은 설정등록한 날로부터 디자인등록출원일 후 2년이 되는 날까지(91조)이다. 디자인권자는 등록디자인 및 유사디자인을 실시할 권리를 독점할 수 있으며, 등록디자인 또는 유사디자인에 관한 물품의 생산에 사용하는 물품을 업으로 생산·양도·대여·수출 또는 수입하는 업으로 그 물품의 양도 또는 대여의 청탁을 하는 행위는 그 디자인권을 침해한 것(114조)으로 볼 수 있다. 당해 디자인 실시권자는 자신의 권리를 침해한 자 또는 침해할 우려가 있는 자에 대하여 그 침해의 금지 또는 예방을 청구(113조 1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프린트 &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는 게시자가 ‘모든 공유 및 활용 가능’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류에 커스터마이징하는 용도로만 활용할 수 있고, 이를 무단 사용 및 도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다. 인터넷에 있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업로드 하는 경우 저작권자 또는 원작자가 공공용도로 쓸 수 있는 이미지라고 명시했거나, 저작권이 만료된 이미지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그 외의 용도로 활용하는 경우 무단도용으로 간주되어 저작권법 관련 조항에 의거 처벌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pyright protection policy, all contents of the platform, print and pattern images and artwork images are protected by Korean copyright law, trademark rights and other property laws. Our copyright law adopts “informationism” in relation to copyright, which occurs automatically upon creation of a work and is protected by copyright law even without the copyright notice ⓒ.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other property rights protected by this Act shall be subject to criminal prosecution for the purpose of infringement by means of reproduction, performance, broadcasting, exhibi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creation of secondary works. The right to design under the Copyright Act extends from the date of establishment registration to the date two years after the date of application for design registration (Article 91). A design right may monopolize the right to carry out a registered design and a similar design, and is a business that produces, transfers, rents, exports or imports the goods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goods related to the registered design or similar design. The act of soliciting a lease or lease may be regarded as violating the right to design (Art. 114). The design licensee may claim (in Article 113 (1)) the prohibition or prevention of the infringement against the person who infringes on his rights or who is likely to infringe. Therefore, the print & pattern images and artwork images provided on this site may only be used by the user for customizing the apparel if the publisher is `` all shareable and available, '' and in case of unauthorized use or theft, You can take responsibility. When uploading images using the Internet, the copyright holder or original author specified that the images can be used for public use, or the copyrighted images can only be used. Any other use may be considered unauthorized and may be punished under the provisions of copyright law.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1의 이미지 추천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mage recommendation unit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추천부(22)는 태깅정보 획득부(221), 개인정보 획득부(222), 판매정보 획득부(223) 및 이미지 추천 및 랭킹 제공부(22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태깅정보 획득부(221)는 사용자가 업로드하거나 선택한 이미지의 태그정보를 획득한다. 태그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정보를 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 이미지를 선호하는 개인의 특성, 판매 시즌, 이용 상황을 제시하여 사용자 및 상황에 따른 추천을 가능하게 한다. 태깅정보의 예는 도 8 및 도 9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개인정보 획득부(222)는 시스템 가입 시 사용자가 작성한 개인정보를 획득한다. 판매정보 획득부(223)는 패션 상품의 판매 스케쥴 정보를 획득한다.The tagging
이미지 추천 및 랭킹 제공부(224)는 획득된 태그정보 및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에 맞는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추천하며 랭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이미지 추천 및 랭킹 제공부(224)는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을, 판매정보 획득부(223)를 통해 획득된 패션 상품 판매 스케쥴과 연동하여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특성에 기반한 추천 이미지를 대상으로 상품 판매 스케줄에 따라 그 추천 랭킹이 변경된다.The image recommendation and ranking providin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mbining imag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옷본에 스타일 트렌드를 적용하여 조합함에 따라 오케스트레이션 제품을 크리에이션한다. 예를 들어,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에 아트워크 이미지와 텍스트 등을 조합함으로써 사용자 자신만의 맞춤형 패션 디자인을 제작한다.Referring to FIG. 6, an orchestration product is created by applying and combining style trends to a cloth. For example, you can create your own custom fashion design by selecting print and pattern images and combining artwork and text with the selected print and pattern image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뷰어를 통해 보이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result viewed through an image view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컬러 이미지/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아트워크 이미지 필터링을 통해 이미지를 선정하면, 의류 별 분할 패턴에 반영 위치가 적용되고 사이즈 변경도 가능하다. 그리고 360도 회전으로 미리 보기 기능이 가능하다. 적용된 이미지는 my pallete에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7, when a user selects an image through color image / print and pattern image / artwork image filtering, the reflection position may be applied to the division pattern for each garment and the size may be changed. And with 360-degree rotation, you can preview. The applied image is stored on my pallet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깅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8 and 9 illustrate tag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소정의 패션상품의 태깅정보는 패션사진, 패션이미지 명칭, 카테고리, 이미지 매칭번호, 분류코드, 패션성, 계절감, 해시태그, 컬러, 소재조합, 직물, 장식성, 프린트 및 패턴 종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agging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fashion product includes a fashion photo, a fashion image name, a category, an image matching number, a classification code, a fashion, a season, a hash tag, a color, a material combination, a fabric, a decoration,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print and pattern is included.
새로 개발된 이미지에 태깅되는 필수 태깅정보는 컬러/프린트 및 패턴 트렌드 어휘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 개발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에 3단계의 추천 판매 시즌, 컬러/프린트 및 패턴 트렌드 어휘 데이터를 부착하는 태깅을 수행한다. 다른 예로, 아트워크 이미지에는 아트워크 카테고리의 모티프 말뭉치로 태깅될 수 있다.The essential tagging information tagged to the newly developed image may be color / print and pattern trend vocabulary data. For example, tagging attaches three recommended sales seasons, color / print, and pattern trend vocabulary data to newly developed print and pattern images. As another example, the artwork image may be tagged with a motif corpus of artwork categorie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추천 시 반영되는 패션상품 판매 스케쥴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fashion product sales schedule information reflected when an image is recomme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이미지 추천 시, 개인 특성에 패션 상품 판매 스케쥴과 연동하여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를 추천한다. 상품 판매 스케쥴은 월별 영업기, 이벤트 정보 등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0, when recommending an image to a user, a print and a pattern image are recommended in connection with a fashion product sales schedule in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product sales schedule includes monthly sales and event informa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패턴 및 프린트 이미지를 스타일 트렌드에 따라 분류한 스타일 트렌드 키워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스타일 트렌드가 반영된 프린트 및 패턴을 선택하게 하는 스타일 트렌드 제공부;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와 조합 가능한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들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조합하여 사용자 자신만의 맞춤형 패션 디자인을 제작하는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 및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 제품을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션 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An image search unit which selects a fashion clothing product item from a user online and receives a print and pattern imag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a print and pattern image search to be applied to the selected fashion clothing product item;
A style trend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style trend keyword that classifies patterns and print images according to style trends and allows a user to select a print and a pattern in which style trends are reflected;
An image orchestration unit that provides artwork images and text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selected print and pattern images, and combines the selected print and pattern images, artwork images and text from the user to create a customized fashion design of the user; And
A simulation viewer that simulates an image orchestration product;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comprising a.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에 적용 가능한 컬러,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제공하여 선택받는 이미지 선택부;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이미지를 조합하여 사용자 맞춤형 디자인을 생성하며 프린트 및 패턴 이미지, 아트워크 이미지 및 텍스트를 자유롭게 조합 및 변형하되 의류 별 분할 패턴에 반영 위치를 적용하고 사이즈를 변경하는 이미지 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orchestration unit
An imag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nd providing color, artwork image, and text applicable to a print and pattern image selected from a user; And
An image combination unit for generating a user-customized design by combining images selected from a user, freely combining and modifying print and pattern images, artwork images, and texts, and applying a reflection position to a split pattern for each clothing and changing a size;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comprising a.
사용자가 직접 업로드한 창작 이미지 또는 이미지 오케스트레이션부를 통해 조합된 이미지가 심사기준에 적합한지를 심사하는 이미지 심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ashion design customization system
An image review unit for judging whether an image combined by a creative image or an image orchestration unit uploaded by a user meets the review criteria;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창작 이미지 또는 조합 이미지의 규격, 인쇄 조건(해상도: dpi) 적합 여부 및 프린트 및 패턴 반복 시에 윤곽선이 생성되지 않는지를 심사하는 제1 심사부; 및
창작 이미지 또는 조합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여부, 저작권 허용 범위, 연령 제한 여부 및 노출 제한 여부를 심사하는 제2 심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mage examination unit
A first judging unit for judging a specification of a creative image or a combined image, whether a printing condition (resolution: dpi) is appropriate, and whether no outline is generated during printing and pattern repetition; And
A second review unit for judging whether the original image or the combined image is infringed on copyright, copyright allowance, age restriction, and exposure restriction;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comprising a.
사용자가 업로드한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에 추천하며 랭킹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이미지 추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ashion design customization system
An image recommending unit for recommending an image uploaded by the user to other users and providing a ranking service together;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사용자가 업로드하거나 선택한 이미지의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태깅정보 획득부;
사용자의 시스템 가입 시 사용자가 작성한 개인정보를 획득하는 개인정보 획득부; 및
획득된 태그정보 및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이미지를 추천하며 랭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미지 추천 및 랭킹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mage recommendation unit
A tagging information obtaining unit obtaining tag information of an image uploaded or selected by a user;
A personal information obtaining unit which obtains personal information created by the user when the user joins the system; And
An image recommendation and ranking providing unit for recommending an image suitable for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by identifying the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information using the acquired tag information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providing a ranking service;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comprising a.
패션 상품의 판매 스케쥴 정보를 획득하는 판매정보 획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추천 및 랭킹 제공부는 사용자의 개인 특성 및 상황을, 판매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패션 상품 판매 스케쥴과 연동하여 이미지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image recommendation unit
A sale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sales schedule information of the fashion goods; More,
The image recommendation and ranking providing unit is a fashion design customiz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recommend the image by link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 of the user with the fashion product sales schedule obtained through the sale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55926A KR20190131268A (en) | 2018-05-16 | 2018-05-16 |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involving design creator and prosum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55926A KR20190131268A (en) | 2018-05-16 | 2018-05-16 |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involving design creator and prosum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131268A true KR20190131268A (en) | 2019-11-26 |
Family
ID=6873147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55926A Ceased KR20190131268A (en) | 2018-05-16 | 2018-05-16 |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involving design creator and prosum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90131268A (en)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215708A (en) * | 2020-10-21 | 2021-01-12 | 刘腾蛟 | Shared copyright creative design platform system, operation method and device |
| KR20220000617A (en) * | 2020-06-26 | 2022-01-04 | 주식회사 이스트엔드 | Creators and prosumers participate in the no design clothing design customizing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
| US11281365B2 (en) | 2020-04-27 | 2022-03-22 | Clo Virtual Fashion Inc. |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
| KR20220060618A (en) * | 2020-11-04 | 2022-05-12 | 주식회사 온디맨드 | Customizing Clothes DTP Online Selling Method |
| KR20220067045A (en) | 2020-11-17 | 2022-05-24 | 전재성 | Creator's goods small order sales method |
| KR20220083373A (en) * | 2020-12-11 | 2022-06-20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Fashion goods design and advertisem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fashion trends and advertisement feedback |
| US11417039B2 (en) | 2019-12-20 | 2022-08-16 | Clo Virtual Fashion Inc. |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
-
2018
- 2018-05-16 KR KR1020180055926A patent/KR2019013126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1417039B2 (en) | 2019-12-20 | 2022-08-16 | Clo Virtual Fashion Inc. |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
| US11625877B2 (en) | 2019-12-20 | 2023-04-11 | Clo Virtual Fashion Inc. |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
| US11281365B2 (en) | 2020-04-27 | 2022-03-22 | Clo Virtual Fashion Inc. |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
| US11886692B2 (en) | 2020-04-27 | 2024-01-30 | Clo Virtual Fashion Inc. |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
| KR20220000617A (en) * | 2020-06-26 | 2022-01-04 | 주식회사 이스트엔드 | Creators and prosumers participate in the no design clothing design customizing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
| CN112215708A (en) * | 2020-10-21 | 2021-01-12 | 刘腾蛟 | Shared copyright creative design platform system, operation method and device |
| KR20220060618A (en) * | 2020-11-04 | 2022-05-12 | 주식회사 온디맨드 | Customizing Clothes DTP Online Selling Method |
| KR20220067045A (en) | 2020-11-17 | 2022-05-24 | 전재성 | Creator's goods small order sales method |
| KR20220083373A (en) * | 2020-12-11 | 2022-06-20 |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 Fashion goods design and advertisemen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fashion trends and advertisement feedback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056419B2 (en) |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 |
| US12430827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creation of custom products | |
| US11580581B2 (en) |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 |
| US11030825B2 (en) |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 |
| KR20190131268A (en) | Fashion design customizing system involving design creator and prosumer | |
| US20220075845A1 (en) |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 |
| US11514203B2 (en) |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 |
| US867665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gallery of available designs for kit configuration | |
| JP2022534933A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user feedback into web building system services | |
| US20120109777A1 (en) | System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e-commerce user stores for custom and customizable products | |
| US12406290B2 (en) |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custom product options based on user actions | |
| WO2018066502A1 (en) | Content management system | |
| Yogesh et al. | Urban-Clothing Custom Clothing Websit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10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8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