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36223A -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6223A
KR20190136223A KR1020180061618A KR20180061618A KR20190136223A KR 20190136223 A KR20190136223 A KR 20190136223A KR 1020180061618 A KR1020180061618 A KR 1020180061618A KR 20180061618 A KR20180061618 A KR 20180061618A KR 20190136223 A KR20190136223 A KR 2019013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auxiliary device
terminal
digital auxiliary
calling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0580B1 (en
Inventor
김남훈
정진승
강현영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1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580B1/en
Publication of KR2019013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223A/en
Priority to KR1020200107382A priority patent/KR1023994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58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ssistance device, a method thereof, and a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When a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digital assistance device and a called terminal under the overall control of a service server, a calling terminal is utilized and the actual call is not allowed to go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By performing a call between the digital assistance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through a voice command of a caller, the caller can freely perform a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assistance device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or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is unnecessar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Description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approximately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본 발명은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하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발신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발신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서비스 서버의 중개에 의해서 발신 단말은 미리 설정된 특번으로 착신 단말에 전화를 걸지만 착신 단말에서는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자로 확인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a method and a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In particular, a digital auxiliary device performs a call between a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called terminal through a voice command of a caller. When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the calling terminal is used, but the actual call does not go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ing terminal makes a call to the called terminal with a preset number by intermediary of the service server, but the called terminal calls the calling terminal.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ssistant for identifying a number as a caller, a method thereof, and a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 지능) 스피커 등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이 일반화되고, 디지털 보조 장치가 AI 스피커라는 새로운 가전제품처럼 보급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대상과 음성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As home automation using digital auxiliary devices such as AI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is becoming more common and digital auxiliary devices are becoming more popular as new home appliances called AI speakers, digital assistants can be used to make voice calls with the targets. The need to perform is increasing.

기존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의 경우,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가 전화 기능을 구비하고, 음성 통화 서비스에 가입하면 실제 전화기로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In the case of a voice call using an existing digital auxiliary device, a method of performing a voice call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as a real phone wh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has a telephone function and subscribes to a voice call service is known.

하지만, 이를 위해서 디지털 보조 장치에 전화기 기능을 구성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지속적으로 높은 비용이 발생하고 가입이 번거로운 음성 통화 서비스에 가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a telephone function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subscribe to a voice call service which is continuously incurred high cost and cumbersome subscription.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를 제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경우에도 음성 통화를 위한 기기로 인증받거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 사업자로 인증받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manufacturer of a digital auxiliary device or providing a service, there is a problem that a user must be authenticated as a device for voice call or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for providing a service.

다른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보유한 음성 통화 단말기를 활용하는 방식으로서, 디지털 보조 장치와 음성 통화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음성의 입력과 출력만을 인터페이스하는 경우도 알려져 있다.As another method, a method of utilizing a voice call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is also known, in which a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voice call terminal are connected in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to interface only an input and an output of a voice.

즉,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한 디지털 보조 장치가 음성 통화 단말기와 블루투스 등의 알려진 음성 통화용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후, 실제 음성 통화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의 통화가 연결되면 음성 통화 단말기의 마이크와 스피커 대신 디지털 보조 장치의 마이크와 스피커가 대신하는 방식으로, 반드시 음성 통화 단말기와 디지털 보조 장치가 근접해야만 하는 제한이 있고, 통화나 종료 등의 작업 주체가 음성통화 단말이 되므로 해당 단말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해당 음성 통화 내용을 기반으로 디지털 보조 장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가 관리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That is, after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including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voice call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and the call of the actual voice call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is connected, the microphone and speaker of the voice call terminal are replaced. In the way that the microphone and speaker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replaces, the voice call terminal and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must b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operation subject such as a call or termination becomes a voice call terminal, so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terminal. There is a limit that cannot be managed by a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digital auxiliary service based on the voice call contents.

한국등록특허 제10-1824815호 [명칭: 앱 사용자 간 안심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Korean Patent No. 10-1824815 [Name: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call connection between users of the app]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발신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발신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발신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call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under the overall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 or the service server, the actual call does not go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and through the caller's voice command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for performing a call between a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called terminal, a method thereof, and a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신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을 유지하며, 서비스 서버 및/또는 통신사 서버에서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여 착신 단말에 착신 알림을 제공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intai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in parallel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by the overall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 or service server, the service server and / or the carri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that provides a call notification to a called terminal by using a telephone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as a calling number,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in which a server program is recor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은 발신 단말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 단말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해서 상기 특수번호,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특수번호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수번호, 상기 음성 명령 및 상기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특수번호 및 발신자 정보와 관련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착신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착신 통화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형성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call service method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receives a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a digital auxiliar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by a calling terminal, Transmitting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pecial num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ting terminal, and the voice command using a corresponding preset special number; Confirming,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the special number and the caller information based on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ting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pecial number, the voice command, and the caller information; Identifying, by a service server,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related to a special number and caller information included in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and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function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The service server confirms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a voice command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and establishes an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a calle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the confirmed called party information; Requesting to; And maintaining, by the service server, a call path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in response to the requested incoming call connec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의해,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수신될 때,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미리 등록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의해, 상기 확인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발신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하는 과정; 및 상기 발신 단말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성 명령,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may include receiving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by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When identify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Calling, by the digital assistant,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on the call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nd receiving, by the calling terminal, the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while the dedicated app is running in the calling terminal. Can b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비스 서버와 상기 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가 형성될 때,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다른 통화로를 병렬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path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is formed via the service server and the communication server, another call path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is establish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forming in paralle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화가 종료될 때,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다른 통화로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is terminate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leasing, by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to another call.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은 수신된 발신자의 음성 명령이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일 때, 상기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해서 상기 특수번호,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 상기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특수번호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수번호, 상기 음성 명령 및 상기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사 서버;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특수번호 및 발신자 정보와 관련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착신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통신사 서버의 중개에 의해,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 제 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발신 단말과 제 2 통화로를 형성하는 상기 착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The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voice comm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when the received caller's voice command is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A digital auxiliary device; A calling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pecial num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voice command using a preset special number;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confirming the special number and caller information based on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ting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pecial number, the voice command, and the caller information; Identify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related to the special number and call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perform a call connection function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caller information based on a voice command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A service server requesting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for an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a calle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the checked called party information; And the called terminal, which forms the first call path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by the medi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and forms the second call path with the calling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는, 미리 등록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발신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하고,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발신 단말에 상기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calls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in the call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ing device is executed while the dedicated app is running in the calling terminal. The voice comm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사 서버는,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통화 연결 요청을 근거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상기 제 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상기 제 2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forms the first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based on an incoming call connec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server in response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The second call path may be formed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사 서버는,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화가 종료될 때,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제 2 통화로의 연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is terminated,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may release the connection state of the second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발신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발신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발신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발신자는 발신 단말의 조작이나 제어가 불필요한 상태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 착신 단말과 자유롭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by the overall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 or the service server, but does not allow the actual call to go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digital auxiliary through the caller's voice command. By performing a cal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the caller can freely make a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in an unnecessary state of operation or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또한,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을 유지하며, 서비스 서버 및/또는 통신사 서버에서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여 착신 단말에 착신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에서는 상대방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서 통화를 하면서도 발신 번호 등의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발신 단말의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을 발신 단말이 사용자의 근처에 없더라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마치 동일한 발신 단말이 하나 이상의 디지털 보조 장치가 위치한 곳에 존재하는 것처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in parallel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by the overall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 or the service server, the service server and / or carrier server By providing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to the called terminal with the calling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calling number, the calling terminal checks information on the called party, such as the calling number while making a call through the other party's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Based on this, various services can be used even when the calling terminal is not near the user, so that the same calling terminal can be utilized as if the same calling terminal exists in the location of one or more digital auxiliary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ll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nother type of digital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call service method using a digital assist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nless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in any other mea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 sense of or in the sense of being excessively reduced.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defined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steps may not be in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r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call service system 10 using a digital assist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10)은 디지털 보조 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발신 단말(300), 통신사 서버(400) 및 착신 단말(5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the voice call service system 10 includes a digital assistant device 100, a service server 200, a calling terminal 300,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a called terminal 500. Not all components of the voice call service system 10 shown in FIG. 1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voice call service system 1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shown in FIG. 1, The voice call service system 10 may also be implemented by fewer components.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서 수신된 발신자의 음성 명령이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발신 단말(300)에 전송한다. 이후, 발신 단말(300)은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해서 통신사 서버(400)에 통화 발신을 요청한다. 이후,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발신 단말(300)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서비스 서버(200)에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하고,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발신 단말(300)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서비스 서버(200)와 디지털 보조 장치(1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앞서 확인된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통신사 서버(400)에 요청한다. 이후, 통신사 서버(4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근거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신로(또는 통화로)를 연결하고, 요금 부과를 위해서 독립적이며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신로를 연결한다.When the voice command of the caller receiv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s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rresponds to a voice comm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he like. It transmits to the calling terminal 300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reafter, the calling terminal 300 requests a call origination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using a preset special number. Thereafter,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hecks the call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and transmits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to the service server 200 to confirm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500. Thereafter, the service server 200 checks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checks the caller information on the calling terminal 300 based on the voice command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Performs a call connection function between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requests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for an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identified above in response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Subsequently,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based on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reques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service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A communication path (or a call path) between the 500 is connected, and an independent and parallel 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for charge.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 지능) 스피커/마이크, 마이크로컨트롤러(또는 제어부)(미도시), 통신부(미도시), 저장부(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ncludes an AI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 microphone, a microcontroller (or a controller) (not shown),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 storage unit (not shown), and the like.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 미리 설정된 발신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300)은 사전에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로그인하여,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정보(또는 발신자 정보)를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등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server 200, the preset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lik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Here, the calling terminal 300 may log in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n advance and register information (or ca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lling terminal 300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서 수신된 발신자의 음성 명령(또는 음성)이 착신 단말(500)과의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하여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발신 단말(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IP, 모바일 MAC,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voice command (or voice) of the caller received by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s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for the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may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voice comm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300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ncludes a mobile IP, a mobile MAC, a serial number, and the like.

즉,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발신자(또는 사용자)를 통한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인지 여부(또는 사용자 인증)를 확인하고, 수신된 음성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기능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digital assistant 100 receives a voice through the caller (or the user) and perform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for the received voice. At this time, the digital assistant 100 checks whether the received voice is a voice of a pre-registered user (or user authentication), and if the received voice corresponds to a voice of a pre-registered user,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Here, the speech recogni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using various known techniques.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assistant 100 determines whether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다른 제어 기능 수행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다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ncludes a voice command for performing another control function related to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Perform another control function with respect to 100.

예를 들어,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NUGU야, 볼륨 한 단계 높여줘"라는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스피커 출력을 미리 설정된 1단계만큼 높여 출력한다. 여기서, "NUGU"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한 식별 정보(또는 식별 명칭)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cludes the voice command “NUGU, increase the volume one step”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speech recognition functio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outputs the speaker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o increase by 1 preset level. Here, "NUGU"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name) for the corresponding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또한,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300)로 해당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전송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dentifies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information is checked and the corresponding voice comm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to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300 includes a mobile directory number (MDN), a mobile IP, a mobile MAC,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card unique information, a serial number, and the like.

이때,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서 발신 단말(300)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가 발신 단말(3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한 후,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발신 단말(300)에서 해당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해당 발신 단말(300)에 호 발신을 요청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requests a call origination from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alls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i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dicated app is running on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calling terminal 300 may request a call.

또한, 호 발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특정 착신 단말(500)과의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호 연결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a call connection with a specific called terminal 500 fails in response to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the digital assistant 100 receiv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call connec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has failed.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수신된 호 연결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assistant 100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ceived call connection failed.

이와 같이, 호 연결이 실패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추가 음성 명령의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추가 입력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다시 호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As such, when the call connection fails,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may request input of an additional voice command from the user, and may attempt to connect the call again based on the additional voice command input from the user.

또한,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되어 통화 연결(또는 호 연결)이 필요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발신 단말(300)의 제어에 의해 통화 연결(또는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a voice connection for call connection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call connection (or call connection) is required, the digital assistant 100 connects the call (or call) under the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300. Connection) function.

또한, 발신 단말(300)의 제어에 의해 착신 단말(500)과의 통신로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신 연결된 착신 단말(500)과 통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communication path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is normally conn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s a called terminal connected to communicate via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Perform a call function with 500.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발신 단말(300)(또는 서비스 서버(200)/통신사 서버(400))의 제어에 의해 앞서 형성된 착신 단말(500)과의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In addition, when the call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ends,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ntrols the caller terminal 300 (or the service server 200 /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erminates the call connection with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previously formed.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 발신 단말(300), 통신사 서버(400), 착신 단말(500) 등과 통신한다.The service server 200 communicates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e called terminal 500, and the like.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단말(예를 들어 발신 단말(300) 등 포함)의 식별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또는 관리)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matches (or manag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for example,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etc.) related to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do.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발신 단말(300)에 호 발신(또는 통화 연결)을 위한 전용 앱을 제공(또는 설치)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or installs) a dedicated app for call origination (or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terminal 300.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착신자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착신자 정보(또는 수신자 정보)는 이름(또는 닉네임/애칭),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stores a plurality of called par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alling terminal 300. Here,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or recipient information) includes a name (or nickname / nickname), a tele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social network acc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특수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를 통해, 통신사 서버(400)에서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특수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특수번호와 관련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하고, 확인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된 음성 명령을 이용해서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number associated with the calling terminal 300. Through this, when the carrier server 400 wants to check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500 by using the special number transmitted from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service server 200 is a digital auxiliary device associated with the special number. In operation 100, the 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500 may be confirmed by using a voice command related to the confirmed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특수번호, 음성 명령,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receives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ncluding a special number, a voice command, caller information, and the like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특수번호, 발신자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특수번호 및/또는 발신자 정보와 관련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checks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related to the special number and / or caller information based on the special number and call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즉, 서비스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발신자 정보별(또는 복수의 특수번호별)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중에서 앞서 수신된 발신자 정보(또는 특수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That is, the service server 200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caller information (or special number) previously received amo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for each caller information (or for each special number) stored in advance. Check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착신자 정보는 이름(또는 닉네임/애칭),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confirms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the voice command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Here,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includes a name (or nickname / nickname), a tele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social network acc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즉,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발신 단말(300)과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이름/닉네임/애칭, 전화번호 등 포함) 중에서 앞서 수신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음성 명령에 포함된 이름/닉네임/애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인 착신자 정보를 확인한다.That is, the service server 200 is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previously received amo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eg, name / nickname / nickname, phone number, etc.) register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Check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the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ame / nickname / nickname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확인 결과, 해당 발신 단말(300)과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앞서 수신된 음성 명령에 포함된 이름/닉네임/애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또는 착신자 정보)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착신자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하고, 호 연결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전송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phone number (or called par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ame / nickname / nickname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received earlier among the plurality of phone numbers register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calling terminal 300 is not confirmed, the service The server 200 transmit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is not confirmed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ll connection has failed to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또한, 확인 결과, 해당 발신 단말(300)과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앞서 수신된 음성 명령에 포함된 이름/닉네임/애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확인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서비스 서버(200)를 경유하여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비스 서버(200)와 디지털 보조 장치(100) 간의 통화 연결(또는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heck, when the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ame / nickname / nickname included in the previously received voice command among the plurality of phone numbers register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calling terminal 300 is confirmed, the service server 200 The call performs a call connection (or call connection) function between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o perform a call connection func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service server 200.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앞선 통신사 서버(400)의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앞서 확인된 착신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또는 착신 통화 연결 신호)을 통신사 서버(400)에 요청(또는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is an incoming call connection (or incoming call) with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previously identified in response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of the preceding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onnection signal) to the carrier server 400 (or transmitted).

또한,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통신사 서버(400)에 의해 착신 단말(500)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로를 형성(또는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all connection function between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is normally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ccording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e service server 200. May form (or configure) a call path between the digital assistant 100 and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via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또한,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에 형성된 통화로에 대해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에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해당 통화로(또는 통화 연결 상태)는 종료(또는 해제/해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l is terminated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with respect to the call path formed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via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If so, the call (or call connection state) may be terminated (or released / terminated).

발신 단말(또는 송신 단말)(300) 및 착신 단말(또는 수신 단말)(5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calling terminal (or sending terminal) 300 and the called terminal (or receiving terminal) 500 are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Notebook Computer, Slate PC, Tablet PC,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 (e.g.,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Wibro terminal,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 Smart TV,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Television, 3D Television, Home Theater System, AVN (Audio Video Navigation) Terminal, A / V (Audio / Video) System, Flexible Terminal Such a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300)은 통신부(310), 저장부(320), 표시부(330), 음성 출력부(340) 및 제어부(35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발신 단말(3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발신 단말(3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발신 단말(300)이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alling terminal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storage unit 320, a display unit 330, a voice output unit 340, and a controller 350. Not all components of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illustrated in FIG. 2 are essential components, and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by more components than those illustrated in FIG. 2, and fewer components are provided. The calling terminal 300 may also be implemented.

통신부(3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통신사 서버(400), 착신 단말(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통신부(3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communicates with any component inside or any at least one terminal outsid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any external terminal may include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service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e called terminal 500, and the like. Here,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etc. The communication unit 3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 a range including the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In addi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ltra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Wi-Fi Direc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y may includ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serial communication, optical / coaxial cable, and the like.

또한, 통신부(3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mutually transmit information with any terminal through a universal serial bus (USB).

또한, 통신부(3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디지털 보조 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통신사 서버(400), 착신 단말(500)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schemes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and EV-) for mobile communication.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 Long Term Evolution-Advanced) and the like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to the base statio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service server 200, the carrier server 400,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and the like.

또한, 통신부(31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착신 단말(500)과의 호 발신(또는 통화 연결)을 위한 전용 앱을 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a dedicated app for call origination (or call connection) with any destination terminal 500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저장부(320)(또는 메모리)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320 (or a memory) stores various user interfaces (UIs),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and the like.

또한, 저장부(320)는 발신 단말(3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stores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to operate.

즉, 저장부(320)는 발신 단말(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발신 기능, 메시지 송신/수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발신 단말(300)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부(320)에 저장되고, 발신 단말(300)에 설치되어, 제어부(350)에 의하여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at is, the storage unit 32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ata for operation, and instructions that are driven in the calling terminal 300.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in the calling terminal 3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for example, a call receiving / outgoing function and a message sending / receiving function).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320 and installed in the calling terminal 300 to be driven by the controller 350 to perform an operation (or a function).

또한, 저장부(3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3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3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2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M), PROM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of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In addition,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320 on the Internet, or may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web storage.

또한, 저장부(32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착신 단말(500)과의 호 발신(또는 통화 연결)을 위한 전용 앱을 설치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320 installs a dedicated app for call origination (or call connection) with any destination terminal 50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50.

표시부(33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3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3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33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by using a user interface and / or a graphic user interface stored in the storage 3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30 includes a menu screen including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data) and data such as icons, list menus, combo boxe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30 may be a touch screen.

또한, 표시부(3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3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 e-ink display,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또한, 표시부(330)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30 may be configured as a stereoscopic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may be a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such as a stereoscopic method (glasses method), an auto stereoscopic method (glasses-free method), a projection method (holographic method).

또한, 표시부(33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의해 발신 단말(300)에 설치된 전용 앱의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30 displays an execution result screen of the dedicated app installed in the calling terminal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50.

음성 출력부(340)는 제어부(35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음성 출력부(3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voice output unit 340 outputs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350 by a predetermined signal. Here, the voice output unit 340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또한, 음성 출력부(340)는 제어부(35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In addition, the voice output unit 340 outputs the guide voice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350.

또한, 음성 출력부(340)는 제어부(350)에 의해 발신 단말(300)에 설치된 전용 앱의 실행 결과 화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voice output unit 340 outputs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result screen of the dedicated app installed in the calling terminal 300 by the control unit 350.

제어부(350)는 발신 단말(3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제어부(350)는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엔진(engine)일 수 있다.The controller 350 executes an overall control function of the calling terminal 3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50 may be a processor or an engine.

또한, 제어부(35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제어부(3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32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3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부(3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executes an overall control function by using the program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320. The controller 350 may include a RAM, a ROM, a CPU, a GPU, a bus, and the RAM, a ROM, a CPU, a GPU, and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bus. The CPU may access the storage 320 to perform booting using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320, and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programs, contents,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320 may be performed. Can be performed.

또한, 제어부(350)는 통신부(310)를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접속한다. 이때, 제어부(35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로그인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 비밀번호 등 포함)를 근거로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한 로그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accesses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50 may perform a login function for the corresponding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based on login information (eg, ID, password, etc.) according to a user input.

또한, 제어부(35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연동하여,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정보(또는 발신자 정보)를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등록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interoperates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registers information (or ca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lling terminal 300 to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또한, 제어부(350)는 통신부(310)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0 accesses the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또한, 제어부(35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착신 단말(500)과의 호 발신(또는 통화 연결)을 위한 전용 앱을 수신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310 to receive a dedicated app for call origination (or call connection) with any destination terminal 500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또한, 제어부(350)는 수신된 전용 앱을 해당 발신 단말(300)에 설치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installs the received dedicated app in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또한, 제어부(35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중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하나 이상의 착신자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에 등록한다. 여기서, 착신자 정보는 이름(또는 닉네임/애칭),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registers one or more called par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phone book stored in the storage 320 in the service server 200. Here,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includes a name (or nickname / nickname), a tele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social network acc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제어부(350)는 해당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특수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대한 정보(또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에 등록한다. 이를 통해, 통신부(310)에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호 발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350)는 착신 단말(500)과 관련한 착신자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해당 특수번호를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서버(200)가 해당 서비스 서버(200)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특수번호별 디지털 보조 장치에 대한 정보 중에서 해당 특수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하고, 확인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하여,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registers information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number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to the service server 200. . Through this, when the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from the service server 200, even if the control unit 350 does not know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By transmitting to the service server 200 via the service, the service server 200 is a digital auxiliar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pecial number among the information o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for each special number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service server 200 ( 100, the caller information may be checked based on the confirmed voice command related to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o perform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또한, 제어부(35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수신하도록 통신부(310)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5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310 to receive a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he like.

이때, 제어부(35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해당 발신 단말(3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 호출 신호를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전용 앱 호출 신호를 근거로 해당 발신 단말(3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실행한 후, 해당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50 receives a dedicated app call signal pre-installed in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and based on the received dedicated app calling signal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 After executing the dedicated app pre-installed at 300, the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etc., can be received while the dedicated app is running. It may be.

또한, 제어부(350)는 수신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호 발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발신 단말(300)에서 실행 중인 전용 앱을 통해 해당 발신 단말(300)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또는 특번)를 이용해서 통신사 서버(400)에 통화 발신을 요청(또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50 in response to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of the received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rough a dedicated app running on the call originating terminal 300 in response to the call originating terminal 300, the preset special number ( Or a special number) to request a call origination (or transmit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즉, 제어부(35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호 발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발신 단말(300)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해서 특수번호,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또는 발신 단말(300)의 전화번호), 음성 명령 등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통신부(310)를 통해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특수번호는 해당 발신 단말(300)을 이용해서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고유 번호일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350 in response to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using the special number preset in correspondence to the call originating terminal 3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 originating terminal 300 ( Alternatively,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a call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300, a voice command, etc.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Here, the special number may be a unique number set in advance in order to attempt a call connection using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또한, 통신사 서버(400)의 중개(또는 중계)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로가 형성되는 경우, 통신부(310)는 통신사 서버(400)의 중개에 의해 앞선 통화로와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다른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때,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 간의 다른 통화로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에 따른 비용을 결제하기 위해서 형성된 상태일 수 있으며,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해당 다른 통화로도 종료되며,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에 따른 비용 정산이 통신사 서버(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by mediation (or relay)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e communication unit 310. ) Forms another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in parallel with the preceding communication path by the medi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In this case, another cal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may be in a state formed to pay a cost according to a call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When the call between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ends, the call is terminated with another call, and the cost settlement according to the call between the corresponding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is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an be performed.

통신사 서버(400)는 서비스 서버(200), 발신 단말(300), 착신 단말(500) 등과 통신한다.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server 200,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called terminal 500, and the like.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에 포함된 통신부(310), 저장부(320), 표시부(330), 음성 출력부(340) 및 제어부(350)에 대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storage unit 320, the display unit 330, the voice output unit 340, and the control unit 350 included in the calling terminal 300. have.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통신사 서버(400)에 회원으로 가입한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발신자 정보를 저장(또는 관리)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stores (or manages) call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lling terminal 300 which is registered as a member of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receives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즉,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특수번호,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또는 발신 단말(300)의 전화번호), 음성 명령 등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That is,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ransmits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a special number transmitted from the calling terminal 3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300 (or a phone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300), a voice command, and the like. Receive.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수신된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근거로 특수번호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hecks the special number and the caller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즉, 통신사 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 중에서 앞서 수신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또는 송신자 정보)는 이름(또는 닉네임/애칭),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That is,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hecks the call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300 previously received among the call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stored in advance. Here, the sender information (or sender information) includes a name (or nickname / nickname), a tele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social network acc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과의 호 연결을 위한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특수번호, 음성 명령, 확인된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is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ncluding a special number, a voice command, confirmed caller information,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500 for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ing terminal 300. To the service server 200.

또한, 앞서 전송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200)에서 착신자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통신사 서버(4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착신자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when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is not confirmed in the service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previously transmitte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may indicate that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is not confirmed. Receive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된 착신자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수신된 착신자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발신 단말(300)에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out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ceived called party information is not confirmed, and provides the calling terminal 300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received called party information is not confirmed.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앞서 전송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또는 착신 통화 연결 요청)을 근거로 해당 착신 단말(500)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통신사 서버(400)에 의해 착신 단말(500)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착신 단말(5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서비스 서버(200)와 디지털 보조 장치(100) 간의 통화로가 정상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based on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or incoming call connection request)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reques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previously (the called terminal ( 500 to perform a call connection function between the service server 200. As such,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is normally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are digitally assisted. The call path between the devices 100 may be normally connected.

여기서, 통신사 서버(400)에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근거로 해당 착신 단말(500)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할 때, 통신사 서버(400)(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앞서 확인된 발신자 정보를 근거로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발신자 정보(예를 들어 발신 단말(300)의 전화번호 등 포함)를 착신 단말(500)에 제공하여, 착신 단말(500)에서는 통화 연결 전에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Here, whe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performs a call connection function between the called terminal 5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on the basis of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reques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or the service server 200) receives the caller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of the caller terminal 300, etc.) related to the caller terminal 300 based on the caller information identified above. 500,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may check the caller information before the call connection.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이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통신사 서버(400)는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이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 중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 단말(300)은 착신 단말(500)과 관련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 단말(500)과 통화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발신 단말(300)에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 단말(500)과 통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are connect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receives the call with the calling terminal 300 in parallel. The terminal 500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connection st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Here, the caller terminal 300 is not connected to the caller terminal 500 by using the telephone number associated with the caller terminal 500, the caller terminal by using a special number preset in the caller terminal 300 It may stay connected to the call 500.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이 서로 다른 통신사에 가입된 상태인 경우,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 사이에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사 서버(400)가 각각 구성되며,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사 서버(400)의 상호 연동(또는 상호 통신 연결)에 의해, 발신 단말(300)과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사이의 통화 연결이 유지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whe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are subscribed to different communication companies,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companies are connected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Each of the servers 400 is configured, and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and the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company servers 400 and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are interlocked (or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company servers 400. May be maintained.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400)는 병렬적으로 연결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신로와,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신로의 연결을 각각 종료한다.In addition,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is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is connected to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in parallel.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called terminal 500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respectively.

즉,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4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해당 통화 연결 종료 후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That is,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is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may include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service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 End the call connection between 500, and terminates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after the call connection ends.

또한, 전체 통화 연결 종류 후에,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통화 연결과 관련한 통화 요금을 해당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에 부과한다.In addition, after the entire call connection type,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harges the call charges related to the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착신 단말(500)은 디지털 보조 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발신 단말(300), 통신사 서버(400) 등과 통신한다.The called terminal 500 communicates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service server 200,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또한, 착신 단말(500)은 발신 단말(300)에 포함된 통신부(310), 저장부(320), 표시부(330), 음성 출력부(340) 및 제어부(350)에 대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led terminal 500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storage unit 320, the display unit 330, the voice output unit 340 and the control unit 350 included in the calling terminal 300. have.

또한, 착신 단말(500)은 통신사 서버(400)의 중개에 의해 서비스 서버(200)와 연동하여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통신로를 형성하고, 해당 통신로와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300)과 다른 통신로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terminal 500 forms a communication path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by interworking with the service server 200 by intermedi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in parallel wit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ath,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other communication paths.

이때, 통신사 서버(400)의 중개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통신로를 형성하기 전에, 착신 단말(500)은 통신사 서버(400)(또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발신 단말(300)에 대한 발신자 정보를 출력하여, 해당 착신 단말(500)의 착신자가 호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before forming the communication path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by the medi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is the corresponding digital auxiliary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or service server 200). By outputting caller information about the calling terminal 300 associated with the device 100, the called party of the called terminal 500 may be configured to check the caller information requested to call.

또한, 착신 단말(500)은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실제 음성 통화 기능을 수행하고,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의 통화 기능 수행이 유지되는 동안 발신 단말(300)과는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다른 통신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lled terminal 500 performs an actual voice call function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performs other corresponding communication in the background state with the calling terminal 300 while the call function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s maintained. You can keep the furnace.

또한, 착신 단말(500)과 디지털 보조 장치(100) 간의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 착신 단말(500)은 통신사 서버(400)의 제어에 의해 발신 단말(300)과의 통화를 종료한다.In addition, when the call between the called terminal 500 and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ends, the called terminal 500 terminates the call with the calling terminal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 시, 음성 통화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 통화 이외에도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된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에는 화상 통화(또는 영상 통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ll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a voice call is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o the voice call,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When the display unit (not shown) is provided, a video call (or video call)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digital assistant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또한, 음성 통화 및/또는 화상 통화 이외에도,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이메일 서버(미도시) 간에 이메일 보내기 기능,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소셜 네트워크 서버(미도시) 간에 해당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소셜 네트워크 계정에 게시글/댓글 등록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a voice call and / or a video call, an e-mail sending fun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an e-mail server (not shown), and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a social network server (not shown) are provided. You can also perform post / comment registration functions on social network accounts related to this.

또한,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은 해당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발신 단말(3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t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Also,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not shown) which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It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 Input / Output) port, video I / O (Input / Output) port, earphone port, and the like. Her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and includes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nd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And a modul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In addition, the device equipped with the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mart card.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through the port. Such an interface unit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or inside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Data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또한, 인터페이스부는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해당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해당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해당 전원은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이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urce terminal 300 and / or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has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source terminal 300 and / or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Alternatively, the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from the cradle by the user may be a passage for transmitting to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Various command signals or corresponding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are correctly mounted in the cradle.

또한,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은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may be a command generated by an operation such as receiving a signal according to a button operation or a function selection by a user, or touching / scrolling a displayed screen, or 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is a means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user's command, selection, data, and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text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또한,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조그 휠, 조그 스위치, 조그 셔틀(Jog Shuttle),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표시부(33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입력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표시부(33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includes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touch screen, a jog wheel, a jog switch, a jog shuttle, and a mouse. Various devices such as a stylus pen, a touch pen, and the like may be used. In particular, when the display unit 3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some or all of the input function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display unit 330.

또한, 발신 단말(300)의 각각의 구성부(또는 모듈)는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의 메모리(또는 저장부)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메모리는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의 내부 메모리 일 수 있으며, 외장형 메모리 또는 다른 형태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 상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 시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로 하여금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mponent (or module) of the calling terminal 300 may be software stored in the memory (or storage) of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The memory may be an internal memory of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and may be an external memory or another type of storage device. The memory may also be a nonvolatile memory. Software stored on the memory may include a set of instructions that, when executed, cause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and / or the terminating terminal 500 to perform a particular operation.

또한,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에는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와,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분산 데이터베이스 서버 아키텍처를 비롯한 임의의 유형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와 별도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b server, a database server, a proxy server.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arrier server 400 may be equipped with a network load balancing mechanism, or one or more of various software for allowing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arrier server 400 to operate on the Internet or another network.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ized system through this. The network may also be an http network, and may be a private line, an intranet, or any other network. Fur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ommunication server server 400 and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and / or the terminating terminal 500 is connected to a secure network so that data is not attacked by any hacker or another third party. Can be connected.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arrier server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atabase servers, which may be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arrier server through any type of network connection, including a distributed database server architecture. It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that is connected separately from the (40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100), 서비스 서버(200), 발신 단말(300), 통신사 서버(400) 및 착신 단말(50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ounted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service server 200,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the telecommunications company server 400 and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gram instructions can be processed. In one implementation, this processor may be a single-threaded processor, and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processor may be a multi-threaded processor. Furthermore, the processor is capable of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in memory or storage devices.

이와 같이, 발신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발신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발신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발신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by the overall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 or the service server, the calling terminal is utilized, but the actual call is not passed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digital auxiliary is transmitted through the caller's voice command. A cal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can be performed.

또한, 이와 같이, 발신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을 유지하며, 서비스 서버 및/또는 통신사 서버에서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여 착신 단말에 착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is controlled by the overall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 or the service server,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is maintained in parallel, and the service server and / or the communication server In the call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as the calling number can provide the call notification to the called termin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voice call service method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ice call service method using a digital assist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서 수신된 발신자의 음성 명령(또는 음성)이 착신 단말(500)과의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하여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발신 단말(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는 모바일 IP, 모바일 MAC,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First, when the voice command (or voice) of the caller receiv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s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for a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may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voice comm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300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ncludes a mobile IP, a mobile MAC, a serial number, and the like.

즉,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발신자(또는 사용자)를 통한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수신된 음성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인지 여부(또는 사용자 인증)를 확인하고, 수신된 음성이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하는 경우에 해당 수신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at is, the digital assistant 100 receives a voice through the caller (or the user) and perform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for the received voice. At this time, the digital assistant 100 checks whether the received voice is a voice of a pre-registered user (or user authentication), and if the received voice corresponds to a voice of a pre-registered user,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may be performed.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assistant 100 determines whether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 단말(300)로 호 발신을 요청한다. 여기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As a result of determination, when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speech recognition functio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receiv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300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 call is requested to the calling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ecked calling terminal 300.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300 includes MDN, mobile IP, mobile MAC,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 unique information, serial number and the like.

이때, 디지털 보조 장치(100)에서 발신 단말(300)로 호 발신을 요청하는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가 발신 단말(300)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한 후,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발신 단말(300)에서 해당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해당 발신 단말(300)에 호 발신을 요청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requests a call origination from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alls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i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dedicated app is running on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calling terminal 300 may request a call.

또한,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다른 제어 기능 수행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해당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다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 voice command for performing another control function related to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rresponds to a digita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Other control functions related to the auxiliary device 100 are performed.

일 예로,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100)는 발신자를 통한 제 1 음성(예를 들어 "NUGU야, 아들에게 전화걸어줘")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 1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 기능을 수행한다.For example,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receives a first voice (eg, “NUGU, call my son”) through the caller and performs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on the received first voice. .

또한,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는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해당 음성 인식 기능 수행 결과에 아들이 소유한 제 1 착신 단말(500)과의 통화를 위한 호 연결을 위한 제 1 음성 명령(예를 들어 "아들에게 전화걸어줘")이 포함된 상태로 판단될 때,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에 미리 등록된 제 1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determines whether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is included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first called terminal 500 owned by the son in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voice recognition function is determi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voice command (for example, "call the son") for the call connection for the call with the call), the first calling terminal 300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300) Check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또한,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는 확인된 제 1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발신 단말과 연동하여 해당 제 1 발신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하고, 제 1 발신 단말에서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해당 제 1 발신 단말로 제 1 음성 명령,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제 1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전송한다(S410).In addition,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calls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on the first calling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all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calling terminal, and runs the dedicated app on the first calling terminal. The first voice comm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the first call request signal, etc. ar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first call terminal in a state of being in operation (S410).

이후, 발신 단말(300)은 디지털 보조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수신한다.Thereafter, the calling terminal 300 receives a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he like.

또한, 발신 단말(300)은 수신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호 발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발신 단말(300)에서 실행 중인 전용 앱을 통해 해당 발신 단말(300)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또는 특번)를 이용해서 통신사 서버(400)에 통화 발신을 요청(또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alling terminal 300 in response to the call originating request signal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received a special number preset in response to the calling terminal 300 through the dedicated app running in the calling terminal 300 (Or a special number) is used to request a call origination (or transmit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즉, 발신 단말(300)은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호 발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발신 단말(300)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해서 특수번호,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또는 발신 단말(300)의 전화번호), 음성 명령 등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특수번호는 해당 발신 단말(300)을 이용해서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고유 번호일 수 있다.That is, in response to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uses a special number pre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rresponding originating terminal 30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Or a telephone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300),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a voice command and the lik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Here, the special number may be a unique number set in advance in order to attempt a call connection using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일 예로, 제 1 발신 단말은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음성 명령,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제 1 호 발신 요청 신호 등을 수신하고, 호 연결을 시도하기 위해서 미리 설정된 제 1 특수번호(예를 들어 "010-9999-8888"), 제 1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234-5678"), 제 1 음성 명령(예를 들어 "아들에게 전화걸어줘") 등을 포함하는 제 1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통신사 서버(400)에 전송한다(S420).For example, the first originating terminal receives a first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a first call request signal, and the like, and is configured in advance to attempt to connect the call. 1 special number (e.g. "010-9999-8888"), the telephone number of the first calling terminal (e.g. "010-1234-5678"), the first voice command (e.g. "Call your son" The first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S420).

이후,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근거로 특수번호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Thereafter,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receives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and checks the special number and the caller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즉,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특수번호,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 음성 명령 등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That is,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receives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a special number transmitted from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iginating terminal 300, and a voice command.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미리 저장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 중에서 앞서 수신된 발신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는 이름(또는 닉네임/애칭),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hecks the call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r terminal 300 previously received from the call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r terminal previously stored. Here, the sender information includes a name (or nickname / nickname), a tele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social network acc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발신 단말(300)과의 호 연결을 위한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 특수번호, 음성 명령, 확인된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is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ncluding a special number, a voice command, confirmed caller information, etc., in order to confirm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ed terminal 500 for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ing terminal 300. To the service server 200.

일 예로, 통신사 서버(400)는 제 1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특수번호(예를 들어 "010-9999-8888"), 제 1 음성 명령(예를 들어 "아들에게 전화걸어줘"), 제 1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010-1234-5678") 등을 포함하는 제 1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 중에서 제 1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발신자 정보(예를 들어 홍길동, 제 1 발신 단말에 대응하는 전화번호(010-1234-5678) 등 포함)를 확인한다.For example, the carrier server 400 may include a first special number (for example, "010-9999-8888") transmitted from the first calling terminal, a first voice command (for example, "call the son"), Receiving a first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a telephone number of the first originating terminal (for example, "010-1234-5678") and the like, and among the call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stored originating terminal, the first originating terminal. First caller information (eg, Hong-gil-dong,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ller terminal (010-1234-5678), etc.)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is checked.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제 1 특수번호(예를 들어 "010-9999-8888"), 제 1 음성 명령(예를 들어 "아들에게 전화걸어줘"), 확인된 제 1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1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서비스 서버(200)에 전송한다(S430).In addition, the carrier server 400 may include the first special number (for example, "010-9999-8888"), the first voice command (for example, "Call a son"), the confirmed first caller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first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S430).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특수번호, 음성 명령,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Thereafter, the service server 200 receives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ncluding a special number, a voice command, caller information, and the like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특수번호, 발신자 정보 등을 근거로 해당 특수번호 및/또는 발신자 정보와 관련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checks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related to the special number and / or caller information based on the special number and call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즉, 서비스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발신자 정보별(또는 복수의 특수번호별)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중에서 앞서 수신된 발신자 정보(또는 특수번호)에 대응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That is, the service server 200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caller information (or special number) previously received amo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for each caller information (or for each special number) stored in advance. Check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착신자 정보는 이름(또는 닉네임/애칭),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소셜 네트워크 계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confirms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the voice command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Here,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includes a name (or nickname / nickname), a telephone number, an email address, social network acc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즉,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발신 단말(300)과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이름/닉네임/애칭, 전화번호 등 포함) 중에서 앞서 수신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음성 명령에 포함된 이름/닉네임/애칭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인 착신자 정보를 확인한다.That is, the service server 200 is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previously received amo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eg, name / nickname / nickname, phone number, etc.) register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alling terminal 300. Check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the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ame / nickname / nickname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서비스 서버(200)를 경유하여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비스 서버(200)와 디지털 보조 장치(100) 간의 통화 연결(또는 호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performs a call connection (or call connection) function between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o perform a call connection func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service server 200.

일 예로,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사 서버(4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특수번호(예를 들어 "010-9999-8888"), 제 1 음성 명령(예를 들어 "아들에게 전화걸어줘"), 제 1 발신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제 1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200 may include a first special number (for example, "010-9999-8888") and a first voice command (for example, "call the son") transmitted from the carrier server 400. Receive a first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ncluding a first caller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된 제 1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 1 특수번호, 제 1 발신자 정보 등을 근거로 제 1 발신 단말과 관련한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identifies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related to the first calling terminal based on the first special number, the first calling party information, etc. included in the received first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제 1 발신 단말과 관련하여 미리 등록된 복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앞서 수신된 제 1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제 1 음성 명령(예를 들어 "아들에게 전화걸어줘")에 포함된 "아들"에 대응하는 제 1 착신자 정보(예를 들어 아들, 아들과 관련한 제 1 착신 단말에 대응하는 전화번호(010-7777-1234) 등 포함)를 확인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may include a first voice command (for example, "call the son") included in the first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previously received among a plurality of phone numbers register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first calling terminal. The first called par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 son " (including, for example, son, telephone number (010-7777-1234), etc.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lled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son).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확인된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S440).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200 performs a call connection function with the identified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S440).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앞선 통신사 서버(400)의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앞서 확인된 착신자 정보를 근거로 해당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또는 착신 통화 연결 신호)을 통신사 서버(400)에 요청(또는 전송)한다.Subsequently, the service server 200 connects the incoming call (or the incoming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previously identified in response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of the preceding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onnection signal) to the carrier server 400 (or transmitted).

일 예로, 서비스 서버(200)는 확인된 제 1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착신 단말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통신사 서버(400)에 요청한다(S450).As an example, the service server 200 requests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for an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the first calle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first called party information (S450).

이후, 통신사 서버(400)는 앞서 전송된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또는 착신 통화 연결 요청)을 근거로 해당 착신 단말(500)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통신사 서버(400)에 의해 착신 단말(500)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착신 단말(5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서비스 서버(200)와 디지털 보조 장치(100) 간의 통화로가 정상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reafter,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based on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or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request)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reques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previously (the called terminal ( 500 to perform a call connection function between the service server 200. As such,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is normally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are digitally assisted. The call path between the devices 100 may be normally connected.

여기서, 통신사 서버(400)에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착신 단말(500)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근거로 해당 착신 단말(500)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할 때, 통신사 서버(400)(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앞서 확인된 발신자 정보를 근거로 발신 단말(300)과 관련한 발신자 정보(예를 들어 발신 단말(300)의 전화번호 등 포함)를 착신 단말(500)에 제공하여, 착신 단말(500)에서는 통화 연결 전에 발신자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Here, when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performs a call connection function between the called terminal 5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on the basis of the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reques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or the service server 200) receives the caller information (including a phone number of the caller terminal 300, etc.) related to the caller terminal 300 based on the caller information identified above. 500, the destination terminal 500 may check the caller information before the call connection.

또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이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된 상태에서, 통신사 서버(400)는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이 통신사 서버(400)를 경유하여 통화 연결 중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 단말(300)은 착신 단말(500)과 관련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 단말(500)과 통화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발신 단말(300)에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착신 단말(500)과 통화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are connected through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receives the call with the calling terminal 300 in parallel. The terminal 500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connection st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Here, the caller terminal 300 is not connected to the caller terminal 500 by using the telephone number associated with the caller terminal 500, the caller terminal by using a special number preset in the caller terminal 300 It may stay connected to the call 500.

이때,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이 서로 다른 통신사에 가입된 상태인 경우, 발신 단말(300)과 착신 단말(500) 사이에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사 서버(400)가 각각 구성되며,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사 서버(400)의 상호 연동(또는 상호 통신 연결)에 의해, 발신 단말(300)과 복수의 서로 다른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사이의 통화 연결이 유지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are joined to different communication companies,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company servers 400 are respectively configured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By the mutual interworking (or mutual communication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company servers 400, a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the plurality of different communication company servers 4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may be maintained. It may be.

일 예로, 통신사 서버(400)는 앞서 전송된 제 1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제 1 착신 단말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근거로 해당 제 1 착신 단말과 서비스 서버(200) 간의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 서비스 서버(200), 통신사 서버(400) 및 제 1 착신 단말 간의 제 1 통화로가 형성(또는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may transmit a corresponding first destination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based on an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the first destination terminal requested from the service server 200 in response to the first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previously. 200) performs a call connection function. Accordingly, a first call path between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the service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first destination terminal may be formed (or configured).

또한, 통신사 서버(400)는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 서비스 서버(200), 통신사 서버(400) 및 제 1 착신 단말 간의 제 1 통화로가 형성된 직후에, 병렬적으로 제 1 발신 단말과 제 1 착신 단말 간의 제 2 통화로를 형성한다(S460).In addition,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may execute the first calling terminal and the first in parallel immediately after the first call path between the first digital auxiliary apparatus, the service server 200,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first called terminal is formed. A second call path between the called terminals is formed (S460).

이후,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400)는 병렬적으로 연결된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신로와,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신로의 연결(또는 통화 연결)을 각각 종료(또는 해제)한다.Then,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is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is connected to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service server 200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in parallel. Terminates (or releases) the connection (or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500 and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respectively.

즉,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이 종료되는 경우, 통신사 서버(400)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해당 통화 연결 종료 후 발신 단말(300)과 통신사 서버(4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That is,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is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may include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the service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 End the call connection between 500, and terminates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300,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after the call connection ends.

또한, 전체 통화 연결 종류 후에,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통화 연결과 관련한 통화 요금을 해당 발신 단말(300) 및/또는 착신 단말(500)에 부과한다.In addition, after the entire call connection type,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charges the call charges related to the call connection to the calling terminal 300 and / or the called terminal 500.

일 예로,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와 제 1 착신 단말 간의 통화 연결이 종료될 때, 통신사 서버(400)는 제 1 디지털 보조 장치와 제 1 착신 단말 간의 제 1 통화로를 통한 통화 연결을 종료하고, 제 1 발신 단말과 제 1 착신 단말 간의 제 2 통화로를 통화 통화 연결을 종료한다(S470).For example,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first called terminal is terminate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terminates the call connection through the first call path between the first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first called terminal, The call connection is terminated in the second call path between the first calling terminal and the first called terminal (S470).

이와 같이, 실제 통화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에 수행되지만,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관련한 발신 단말(300)이 해당 착신 단말(500)과 통신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통신사 서버(400)는 해당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에 따른 요금 부과 기능(또는 디지털 보조 장치(100)와 착신 단말(500) 간의 통화에 따른 통화 요금 결제 기능)을 해당 발신 단말(300)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As such, although the actual call is performed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as the calling terminal 300 associated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maintains a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called terminal 500,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400 may provide a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a call between the corresponding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or a call charge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 call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100 and the called terminal 500). Thi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3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 서비스 서버, 발신 단말, 통신사 서버, 착신 단말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reated by a computer program, and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by a computer or a digital auxiliary device, a service server, a calling terminal,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a called terminal, or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oing so, the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can be implemented.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디지털 보조 장치, 서비스 서버, 발신 단말, 통신사 서버, 착신 단말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The computer program implementing the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and installed in an internal memory such as a digital auxiliary device, a service server, a calling terminal, a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a called terminal, and the like. Alternatively, an external memory such as a smart card storing and installing a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It may b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발신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발신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발신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하여, 발신자는 발신 단말의 조작이나 제어가 불필요한 상태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 착신 단말과 자유롭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by the overall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 or the service server, but does not allow the actual call to go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By making a call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through the caller's voice command, the caller can freely make a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without the need for manipulation or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It can increa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병렬적으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을 유지하며, 서비스 서버 및/또는 통신사 서버에서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여 착신 단말에 착신 알림을 제공하여, 발신 단말에서는 상대방의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서 통화를 하면서도 발신 번호 등의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발신 단말의 가입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을 발신 단말이 사용자의 근처에 없더라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마치 동일한 발신 단말이 하나 이상의 디지털 보조 장치가 위치한 곳에 존재하는 것처럼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in parallel when the call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by the overall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 or the service server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and / or the carrier server provides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to the called terminal using the caller terminal's telephone number as the calling number, the caller terminal while the call throug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of the other party information such as the calling number And, based on the subscrip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various services can be used even if the calling terminal is not in the vicinity of the user can be utilized as if the same calling terminal exists where more than one digital auxiliary device is located.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또는 서비스 서버의 전체적인 제어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호 연결 시, 발신 단말을 활용하되, 실제 통화는 발신 단말을 거치지 않도록 하며, 발신자의 음성 명령을 통해 디지털 보조 장치와 착신 단말 간의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발신자는 발신 단말의 조작이나 제어가 불필요한 상태에서 디지털 보조 장치를 통해 착신 단말과 자유롭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보조 장치 분야, 통화 분야, 단말 분야, 서버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by the overall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and / or the service server, but does not allow the actual call to go through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digital auxiliary through the caller's voice command. By performing a call between the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the caller can freely make a call with the called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or control of the calling terminal is unnecessar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It can b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telephony, terminal, server.

10: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100: 디지털 보조 장치
200: 서비스 서버 300: 발신 단말
400: 통신사 서버 500: 착신 단말
310: 통신부 320: 저장부
330: 표시부 340: 음성 출력부
350: 제어부
10: voice call service system 100: digital auxiliary device
200: service server 300: calling terminal
400: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500: destination terminal
310: communication unit 320: storage unit
330: display unit 340: audio output unit
350: control unit

Claims (9)

발신 단말에 의해,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발신 단말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해서 상기 특수번호,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특수번호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수번호, 상기 음성 명령 및 상기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특수번호 및 발신자 정보와 관련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착신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요청된 착신 통화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형성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Receiving, by the calling terminal, a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call originating request signal, and identifying the special number and calling terminal by using a special number set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calling terminal Transmitting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nd the voice command;
Confirming,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the special number and the caller information based on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ting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pecial number, the voice command, and the caller information;
Identifying, by a service server,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related to a special number and caller information included in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and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function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The service server confirms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a voice command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and establishes an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a calle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the confirmed called party information; Requesting to; And
And maintaining, by the service server, a call path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which are 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in response to the requested incoming call conn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의해,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이 수신될 때,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미리 등록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에 의해, 상기 확인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발신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하는 과정; 및
상기 발신 단말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음성 명령,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Confirming, by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calling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when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is received;
Calling, by the digital assistant,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on the call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nd
Receiving, by the calling terminal, the voic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 originating request signal from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while the dedicated app is running in the calling terminal. Voice call service method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와 상기 통신사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가 형성될 때,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다른 통화로를 병렬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is formed via the service server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forming another call path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in parallel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Voice call service method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화가 종료될 때, 상기 통신사 서버에 의해,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다른 통화로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call between the digital assistant and the called terminal ends, disconnec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by another communication server. Voice call service method using.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A computer readable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수신된 발신자의 음성 명령이 호 연결을 위한 음성 명령일 때, 상기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
미리 설정된 특수번호를 이용해서 상기 특수번호,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음성 명령을 포함하는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
상기 통화 발신 요청 신호를 근거로 상기 특수번호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수번호, 상기 음성 명령 및 상기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호 처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사 서버;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특수번호 및 발신자 정보와 관련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를 확인하고,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음성 명령을 근거로 착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착신자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착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 단말과의 착신 통화 연결을 상기 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통신사 서버의 중개에 의해,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 제 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발신 단말과 제 2 통화로를 형성하는 상기 착신 단말을 포함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A digital auxiliary device for transmitting the voice comm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when the received voice command of the caller is a voice command for call connection;
A calling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pecial num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voice command using a preset special number;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confirming the special number and caller information based on the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ting a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special number, the voice command, and the caller information;
Identify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related to the special number and call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perform a call connection function with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caller information based on a voice command included in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A service server requesting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for an incoming call connection with a calle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alled party information based on the checked called party information; And
A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comprising the called terminal forming a first call path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by the medi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and forming a second call path with the calling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는,
미리 등록된 발신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발신 단말에 미리 설치된 전용 앱을 호출하고, 상기 발신 단말에서 상기 전용 앱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발신 단말에 상기 음성 명령, 디지털 보조 장치의 식별 정보 및 호 발신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Calling a dedicated app pre-installed on the calling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registered in advance, and identifying the voice comman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to the calling terminal while the dedicated app is running on the calling terminal;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 call origination request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는,
상기 호 처리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착신 통화 연결 요청을 근거로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상기 제 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상기 제 2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Form the first call path between the digital assistant and the called terminal based on an incoming call connection request sent from the service server in response to the call processing request signal, and the second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a digital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communication pat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사 서버는,
상기 디지털 보조 장치와 상기 착신 단말 간의 통화가 종료될 때,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 간의 제 2 통화로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When the call between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and the called terminal is terminated, the voice call service system using the digital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KR1020180061618A 2018-05-30 2018-05-30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Active KR102150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18A KR102150580B1 (en) 2018-05-30 2018-05-30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0200107382A KR102399456B1 (en) 2018-05-30 2020-08-25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618A KR102150580B1 (en) 2018-05-30 2018-05-30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382A Division KR102399456B1 (en) 2018-05-30 2020-08-25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223A true KR20190136223A (en) 2019-12-10
KR102150580B1 KR102150580B1 (en) 2020-09-01

Family

ID=6900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618A Active KR102150580B1 (en) 2018-05-30 2018-05-30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58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595A (en) * 2015-06-01 2016-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hich ouputus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24815B1 (en) 2016-10-19 2018-03-15 델피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Telephone Conversation between Application User
US9967381B1 (en) * 2017-11-03 2018-05-08 Republic Wireless, Inc. Virtual telephony assista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595A (en) * 2015-06-01 2016-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which ouputus mess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24815B1 (en) 2016-10-19 2018-03-15 델피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Telephone Conversation between Application User
US9967381B1 (en) * 2017-11-03 2018-05-08 Republic Wireless, Inc. Virtual telephony assis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580B1 (en)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4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en communication terminals
KR102145089B1 (en) Seamless call transitions with pre-escalation participation confirmation
US10958693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ssociat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chatbot capable frameworks
KR102226782B1 (en) Seamless call transitions
US11330065B2 (en) Application connection for devices in a network
CN10565348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reusing USB ports of processors thereof
CN103098452A (en) Portable terminal, remote oper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of data by portable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052699B1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act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KR102759235B1 (en) System providing recorded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JP6062293B2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102399457B1 (en)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7395661B (en) Vehicle computer system, server and telematics control unit
KR102150584B1 (en)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402412B1 (en)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399456B1 (en)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150580B1 (en)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150578B1 (en) System for voice call service using distal assistance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2054424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supporting multi-channel authentication with user equipment,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11575793B2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531828B1 (e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real time text transmission/reception and mail
KR102646692B1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call change between digital assistant device and termina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EP3657826B1 (en) Application connection for devices in a network
KR20170029975A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Voice Response Service Based on Mobile
KR102054421B1 (en)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security supporting multi-channel authentic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250039225A (en) Multi-sim terminal,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for multi-sim ope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server for multi-sim op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