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40947A -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및 관련 제품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및 관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947A
KR20190140947A KR1020197032584A KR20197032584A KR20190140947A KR 20190140947 A KR20190140947 A KR 20190140947A KR 1020197032584 A KR1020197032584 A KR 1020197032584A KR 20197032584 A KR20197032584 A KR 20197032584A KR 20190140947 A KR20190140947 A KR 20190140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device
network connection
connection
config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40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94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및 관련 제품을 제공하는 바, 방법에는,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사용하면 Relay UE가 Remote UE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및 관련 제품
본 출원은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및 관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장치 대 장치(Device-to-Device, D2D)의 통신 방식은 송신단이 직접 데이터를 수신단으로 송신하고, 기지국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을 진행할 필요가 없는 통신 방식을 말한다. D2D 통신 방식 중의 한 가지 비교적 특수한 방식은 하나의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가 릴레이 기능이 구비된 다른 하나의 사용자 장치를 통하여 네트워크와 연결을 진행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를 원격 사용자 장치(즉 Remote UE)라 칭하고, 후자를 릴레이 사용자 장치(즉 Relay UE)라 칭한다.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Rel-13에서는 IP 계층(또는 Layer 3이라 칭함)을 기반으로 하는 Relay 매커니즘, 즉 Remote UE가 하나의 Relay UE를 통하여 네트워크와 연결 및 통신을 진행하고, Relay UE가 IP 계층을 통하여 Remote UE와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 데이터에 대하여 전달을 진행하는 것을 정의하였다.
D2D 기술을 기반으로 FeD2D는 더욱 종래의 Rel-13UE로부터 네트워크까지의 relay 능력, 예를 들면 Layer 3 Relay로부터 Layer 2 Relay (Relay UE의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프로토콜 계층 이상,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이하에서 데이터 전달을 진행하는 이러한 방식을 Layer 2 Relay라 칭함)로 전환되는 능력을 확장하였다. 아울러, Uu 링크를 거쳐 직접 연결하는 전통적인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 연결은 더욱 Pc5를 통하여 릴레이하는 RRC 연결로 확장되었다. Layer 3 Relay로부터 Layer 2 Relay로 전환되는 것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통적인 RRC 연결은 더욱 증강되어야 한다.
Relay UE와 Remote UE로 말하면, 이가 수요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은 각각 독립적이고, 하기 몇 가지 상황의 연결 유형이 있을 수 있는 바, 1) 연결 요구 없음(즉 RRC 아이들 상태); 2) 단지 SRB의 연결 요구만 존재; 3)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SRB)와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의 연결 요구가 존재. Relay UE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Remote UE를 만족시킬 수 없을 때, Relay UE는 Remote UE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하거나, 또는 Remote UE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정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Relay UE가 어떻게 Remote UE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인가 하는 것은 해결하여야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및 관련 제품을 제공하여, Relay UE가 Remote UE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도록 한다.
제1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바,
제2 사용자 장치가 제1 사용자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에는 제1 사용자 장치, 제2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되는 사용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이고,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락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제6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에는 제1 사용자 장치, 제2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되는 사용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이고,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하여야 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한다.
제7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제1 방면의 상기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된다.
제8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제2 방면의 상기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된다.
제9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제3 방면의 상기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된다.
제10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 방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1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2 방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2 방면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3 방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3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제1 방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4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제2 방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5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제3 방면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방안에서,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제1 사용자 장치는 하나의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고, 그리고 이 메시지는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은 기타 장치를 서비스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통지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장치는 상기 방식을 통하여 Remote UE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방면 또는 기타 방면은 하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욱 간단 명료해질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더욱 명확한 설명을 진행하기 위하여, 아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될 도면에 대하여 간략한 설명을 진행하는 바, 하기 설명 중의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의 기술자로 말하면 창조성적인 노력이 필요없이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기타 도면을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네트워크 구조의 도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Discovery message의 메시지 유형의 포맷 도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의 구조도.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사용자 장치의 구조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사용자 장치의 구조도.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도.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사용자 장치의 구조도.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일 사용자 장치의 구조도.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본 출원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이고 전부가 아님은 물론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아래, 각각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및 상기 도면 중의 용어 “제1”, 제2”, “제3”과 “제4” 등은 서로 다른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용어 “포함하다”와 “구비하다” 및 이들의 어떠한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예하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장치는 이미 나열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선택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또한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대한 고유의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한다.
본문에 언급된 “실시예”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특정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뜻한다. 본 명세서 중의 각 위치에 해당 어구가 나타나는 것은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또한 기타 실시예와 상호 배척되는 독립적인 또는 예비 실시예도 아니다. 당업계 기술자들이 명시적으로 묵시적으로 이해할 것은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는 기타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네트워크 구조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조에는 제1 사용자 장치(110), 제2 사용자 장치(120)와 네트워크 장치(130)가 포함되고, 제1 사용자 장치(110)는 Relay UE이고, 제2 사용자 장치(120)는 Remote UE이며, 제1 사용자 장치(110)와 제2 사용자 장치(120) 사이의 통신은 3GPP Sidelink/PC5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장치 대 장치 사이의 통신 매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비3GPP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WLAN과 블루투스 매커니즘이다.
그 중에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연결성을 제공하는 장치인 바, 예를 들면 무선 연결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차량용 장치 등이다. 일반적인 사용자 장치에는 예를 들면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이동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 와치, 스마트 밴드, 계보기 등이다.
그 중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네트워크 측의 노드 장치인 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는 셀룰러 네트워크 중의 접속 네트워크 측의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장치이고, 소위 말하는 RAN 장치는 바로 사용자 장치를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하는 장치이며, 여기에는 향상된 노드 B(evolved Node B, eN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노드 B(Node B, NB),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기지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홈 기지국(예를 들면 Home evolved NodeB, 또는 Home Node B, HNB), 기저대역 유닛(BaseBand Unit, BBU), 이동성 관리 실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중의 노드 장치, 예를 들면 접속 제어기(access controller, AC), 게이트웨이 또는 WIFI 접속점(Access Point, AP) 등이다.
아래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구조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의 흐름도로서, 그 중에서, 제1 사용자 장치는 Relay UE이고, 제2 사용자 장치는 Remote UE이며,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S201: Remote UE가 Relay UE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SRB 및/또는 DRB가 포함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Sidelink 기술 또는 PC5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상의 장치 대 장치 사이의 발견 메시지(Discovery message)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발견 메시지에는 메시지 유형이 포함되며, 상기 메시지 유형의 내용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나아가, 상기 발견 메시지의 내용 유형이 제1 사전 설정된 값일 때,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로 지시하고, 상기 발견 메시지의 내용 유형이 제2 사전 설정된 값일 때,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와 DRB로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Discovery message에 포함된 메시지 유형(Message Type)의 포맷은 아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현재, Message Type 중의 내용 유형(Content Type)의 값 및 대응되는 뜻은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다.
Content Type 값 대응되는 뜻
0000 announce/response(선언/응답)
0001 Query(질의)
0010 application-controlled extension enabled(어플리케이션이 제어하는 확장을 인에이블)
0011 Reserved(예비)
0100 UE-to-Network Relay Discovery Announcement or UE-to-Network Relay Discovery Response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로의 발견 선언 또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로의 발견 응답)
0101 UE-to-Network Relay Discovery Solicitation(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로의 발견 요청)
0110 Group Member Discovery Announcement or Group Member Discovery Response(그룹 맴버 발견 선언 또는 그룹 맴버 발견 응답)
0111 Group Member Discovery Solicitation(그룹 맴버 발견 요청)
1000 Relay discovery additional information(릴레이 발견 추가 정보)
1001 Reserved(예비값)
1010 Reserved
1011 Reserved
1100 Reserved
1101 Reserved
1110 Reserved
1111 Reserved
예를 들면, Remote UE는 현재 Content Type 중의 예비값(예를 들면 표 1 중의 0011, 1001~1111) 중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ontent Type가 1001이라면,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연결 유형을 SRB로 지시하고, Content Type가 1010이라면,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와 DRB로 지시한다.일 예시에서, 상기 발견 메시지에는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구체적으로 말하면, Discovery message에 하나의 1bit의 정보(즉 제1 지시 정보)를 설정(또는 새로 추가)할 수 있는 바, 해당 1bit의 정보는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제1 지시 정보의 값이 “1”일 때,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로 지시하고, 예를 들면, 제1 지시 정보의 값이 “0”일 때,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와 DRB로 지시한다.
또는 Discovery message 중의 Spare을 이용하여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Spare 중의 1비트를 차지하는 것을 통하여 하나의 새로운 정보(즉 제1 지시 정보)를 정의하는 바, 새로 정의된 정보는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만일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이 SRB라면, Remote UE가 송신하는 Discovery message 중에 새로 정의된 정보 비트의 값은 “1”이고, 만일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이 SRB와 DRB라면, Remote UE가 송신하는 Discovery message 중에 새로 정의된 정보 비트의 값은 “0”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C5의 시그널링이고, 상기 PC5의 시그널링의 메시지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나아가, 상기 PC5의 시그널링의 메시지 유형이 제3 사전 설정된 값일 때,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로 지시하고, 상기 발견 메시지의 내용 유형이 제4 사전 설정된 값일 때,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와 DRB로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PC5의 시그널링은 (직접 통신 요청) Direct_communication_request이고, Direct_communication_request에 PC5-SP Message Type가 포함된다. 현재, PC5-SP Message Type의 값 및 대응되는 뜻은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다.
Message Type 값 대응되는 뜻
00000001 DIRECT_COMMUNICATION_REQUEST(직접 통신 요청)
00000010 DIRECT_COMMUNICATION_ACCEPT(직접 통신 수락)
00000011 DIRECT_COMMUNICATION_REJECT(직접 통신 거절)
00000100 DIRECT_COMMUNICATION_KEEPALIVE(직접 통신 유지)
00000101 DIRECT_COMMUNICATION_KEEPALIVE_ACK(직접 통신 유지 확인)
00000111 DIRECT_COMMUNICATION_RELEASE(직접 통신 해제)
00001000 DIRECT_COMMUNICATION_RELEASE_ACCEPT(직접 통신 해제 수락)
00001001 TMGI_MONITORING_REQUEST(TMGI 모니터링 요청)
00001011 TMGI_MONITORING_RESPONSE(TMGI 모니터링 응답)
00001111 CELL_ID_ANNOUNCEMENT_REQUEST(셀 아이디 선언 요청)
00010000 CELL_ID_ANNOUNCEMENT_RESPONSE(셀 아이디 선언 응답)
00010001 DIRECT_SECURITY_MODE_COMMAND(직접 보안 모드 제어)
00010011 DIRECT_SECURITY_MODE_COMPLETE(직접 보안 모드 완성)
00010111 DIRECT_SECURITY_MODE_REJECT(직접 보안 모드 거절)
00011111 DIRECT_REKEYING_REQUEST(직접 리키잉 요청)
00100000 DIRECT_REKEYING_RESPONSE(직접 리키잉 응답)
00010001 DIRECT_REKEYING_TRIGGER(직접 리키잉 트리거)
00010011 REMOTE_UE_INFO_REQUEST(원격 UE INFO 요청)
00010111 REMOTE_UE_INFO_RESPONSE(원격 UE INFO 응답)
00011111 Reserved(예비값)
00100000 Reserved
…… ……
11111111 Reserved
예를 들면, Remote UE는 현재 PC5-SP Message Type 중의 예비값(예를 들면 표 2 중의 00011111~11111111) 중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5-SP Message Type가 00011111이라면,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로 지시하고, PC5-SP Message Type 가 00100000이라면,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와 DRB로 지시한다.일 예시에서, 상기 PC5 메시지에는 제2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구체적으로 말하면, PC5의 시그널링에 하나의 1bit의 정보(즉 제2 지시 정보)를 설정(또는 새로 추가)할 수 있는 바, 해당 1bit의 정보는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제2 지시 정보의 값이 “1”일 때,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로 지시하고, 예를 들면, 제2 지시 정보의 값이 “0”일 때,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SRB와 DRB로 지시한다.
또는 PC5 시그널링 중의 Spare을 이용하여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Spare 중의 1비트를 차지하는 것을 통하여 하나의 새로운 정보(즉 제2 지시 정보)를 정의하는 바, 새로 정의된 정보는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예를 들면, 만일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이 SRB라면, Remote UE가 송신하는 PC5 시그널링 중에 새로 정의된 정보 비트의 값은 “1”이고, 만일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이 SRB와 DRB라면, Remote UE가 송신하는 PC5 신호 중에 새로 정의된 정보 비트의 값은 “0”이다.
S202: 상기 Relay UE가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Relay UE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Relay UE가 상기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Relay UE는 상기 제2 메시지에 의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하여야 할지 여부를 확정하고,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상기 Relay UE가 구성하지 않았을 때, 상기 Relay UE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하여야 한다고 확정하고,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상기 Relay UE가 이미 구성하지 않았을 때, 상기 Relay UE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필요가 없다고 확정한다. 예를 들면, Relay UE는 현재 단지 SRB만 갖고 있고, Remote UE는 SRB와 DRB의 연결 수요가 갖고 있다면, 이러한 상황 하에서, Relay UE는 추가로 연결을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만일 Relay UE가 최초로 구성한 네트워크 연결이 Remote UE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았고, 구성한 네트워크 연결에 릴레이 전달 능력이 없다면, Relay UE가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만일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Relay UE가 이미 구성하였다면, Relay UE는 자신이 이전에 구성한 네트워크 연결이 릴레이 전달 능력을 갖고 있는지 판단하여야 하며, 만일 Relay UE가 자신이 이전에 구성한 네트워크 연결이 릴레이 전달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Relay UE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정하여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Relay UE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S203: Relay UE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상기 Relay UE는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Relay UE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Relay UE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elay UE가 현재 아이들 상태에 처하고, Remote UE가 단지 SRB의 연결 수요만 있다고 가정하면, Relay UE가 제1 메시지를 통하여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단지 SRB만 있거나, 또는 Relay UE가 제1 메시지를 통하여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SRB와 DRB가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RRC 메시지이고, 상기 RRC 메시지에는 마크가 포함되며, 상기 마크는 상기 Relay UE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Relay UE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현재 Relay UE가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SRB는 어떤 목적을 위하여 구성하는 것인지 구분하게 하기 위하여, Relay UE는 RRC 메시지에 마크를 설정하여, 상기 Relay UE가 현재 요청하는 SRB가 서비스하는 장치는 Remote UE를 위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RRC 메시지를 수신한 후, 만일 RRC 메시지에 마크가 포함되면, 네트워크 장치는 Relay UE가 현재 요청한 SRB는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알 수 있고, 만일 RRC 메시지에 마크가 포함되지 않으면, 네트워크 장치는 Relay UE가 현재 요청한 SRB는 자신을 위한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에 새로 추가된 구성 원인(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거나, 또는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의 고정적인 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에서 마킹을 진행하는 바, 예를 들면, 하나의 establishmentCause의 도메인 값을 추가하여 현재 Relay UE가 구성할 것을 요청한 SRB는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표시하며; 또는 고정적인 하나의 establishmentCause의 도메인 값을 사용하여 현재 Relay UE가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SRB는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표시한다.
나아가,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RC 연결 구성 완성(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서 마킹을 진행하는 바,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된 지시 정보를 통하여 현재 Relay UE가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SRB는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표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RRC 메시지가 사이드 링크 UE 정보(sidelink UE Information)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사이드 링크 UE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지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연결 구성 완성 후, 만일 Relay UE가 네트워크 연결을 수정하여야 한다면, sidelink UE Information 메시지에서 마킹을 진행하는 바, 예를 들면, sidelink UE 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된 지시 정보를 통하여 현재 Relay UE가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SRB는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표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NAS 메시지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elay UE가 하나의 향상된 NAS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바, 예를 들면 Relay UE가 네트워크 장치로 하나의 향상된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나, 해당 향상된 서비스 요청은 전통적인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메시지와 구분되고,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향상된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장치는 Relay UE가 현재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즉 SRB와 DRB)는 기타 장치를 위한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향상된 service request 메시지는 전통적인 service request 메시지에 비하여 전통적인 service request 메시지의 기초 상에 하나의 1bit의 정보를 새로 추가한 것일 수 있으며, 새로 추가된 1bit의 정보는 상기 Relay UE가 현재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은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며; 또는 향상된 service request 메시지는 전통적인 service request 메시지에 비하여 전통적인 service request 메시지 중의 나머지 비트를 사전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여, Relay UE가 현재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은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표시하는 등, 향상된 service request 메시지에 대하여 본 출원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RRC 메시지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elay UE가 하나의 향상된 RRC 메시지를 네트워크 장치로 송신하는 바, 예를 들면 Relay UE가 네트워크 장치로 하나의 향상된 RRC Connection Request를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향상된 RRC 메시지(예를 들면, 향상된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 또는 향상된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하는 바, 해당 향상된 RRC 메시지는 전통적인 RRC 메시지와 구분되고,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향상된 RRC 메시지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 장치는 Relay UE가 현재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즉 SRB와 DRB)는 기타 장치를 위한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향상된 RRC 메시지에는 제3 마크가 포함되고, 상기 제3 마크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현재 Relay UE가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SRB와 DRB는 어떤 목적을 위하여 구성하는 것인지 구분하게 하기 위하여, 향상된 RRC 메시지에는 제3 마크가 포함되어, 상기 Relay UE가 현재 요청하는 SRB와 DRB가 서비스하는 장치는 Remote UE를 위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가 향상된 RRC 메시지를 수신한 후, 만일 RRC 메시지에 제3 마크가 포함되면, 네트워크 장치는 Relay UE가 현재 요청한 SRB와 DRB는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알 수 있고, 만일 RRC 메시지에 제3 마크가 포함되지 않으면, 네트워크 장치는 Relay UE가 현재 요청한 SRB와 DRB는 자신을 위한 것인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향상된 RRC 메시지가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일 때, 상기 제3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에 새로 추가된 구성 원인(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거나, 또는 상기 제3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의 고정적인 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RC 연결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에서 마킹을 진행하는 바, 예를 들면, 하나의 establishmentCause의 도메인 값을 추가하여 현재 Relay UE가 구성할 것을 요청한 SRB와 DRB는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표시하며; 또는 고정적인 하나의 establishmentCause의 도메인 값을 사용하여 현재 Relay UE가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SRB와 DRB는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표시한다.
나아가, 상기 향상된 RRC 메시지가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일 때, 상기 제3마크는 상기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RRC 연결 구성 완성(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서 마킹을 진행하는 바, 예를 들면,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에 포함된 지시 정보를 통하여 현재 Relay UE가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SRB와 DRB는 Remote UE를 위한 것인 것을 표시한다.
S204: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수락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SRB의 구성 요청에 대하여, 기지국은 RRC 메시지에 의하여, SRB의 구성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할 것인지를 확정하며; DRB의 구성 요청에 대하여, MME는 NAS 메시지에 의하여, DRB의 구성 요청을 수락 또는 거절할 것인지를 확정한다. 네트워크 장치가 베어링하는 장치가 비교적 많고, Relay UE가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은 Remote UE를 위한 것이라고 가정하면, 해당 상황 하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Relay UE의 요청을 거절할 수 있고, 또 네트워크 장치가 충분한 베어링 공간을 확보하고 있고, Relay UE가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은 Remote UE를 위한 것이라고 가정하면, 해당 상황 하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Relay UE의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본 방안에서,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제1 사용자 장치는 하나의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고, 그리고 이 메시지는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은 기타 장치를 서비스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통지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장치는 상기 방식을 통하여 Remote UE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하게,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의 구조도로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에는 제1 사용자 장치, 제2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되며, 도4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 장치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하기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바, 즉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락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한다.
일 예시에서,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하기 전, 상기 프로그램에는 또한 하기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바, 즉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지 않았을 때, 제1 사용자 장치는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확정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이 포함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C5의 시그널링이고, 상기 PC5의 시그널링의 메시지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장치 대 장치 사이의 발견 메시지이고, 상기 발견 메시지에는 메시지 유형이 포함되며, 상기 메시지 유형의 내용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RRC 메시지이고, 상기 RRC 메시지에는 마크가 포함되며, 상기 마크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에 새로 추가된 구성 원인(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거나, 또는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의 고정적인 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1 지시 정보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RRC 메시지가 사이드 링크 UE 정보(sidelink UE Information)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사이드 링크 UE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지시 정보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NAS 메시지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RRC 메시지이다.
본 방안에서,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제1 사용자 장치는 하나의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고, 그리고 이 메시지는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은 기타 장치를 서비스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통지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장치는 상기 방식을 통하여 Remote UE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하게,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의 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 장치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하기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바, 즉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락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RRC 메시지이고, 상기 RRC 메시지에는 마크가 포함되며, 상기 마크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에 새로 추가된 구성 원인(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거나, 또는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의 고정적인 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RRC 메시지가 사이드 링크 UE 정보(sidelink UE Information)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사이드 링크 UE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지시 정보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NAS 메시지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RRC 메시지이다.
본 방안에서,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제1 사용자 장치는 하나의 메시지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고, 그리고 이 메시지는 네트워크 장치로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은 기타 장치를 서비스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을 통지한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장치는 상기 방식을 통하여 Remote UE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하게,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의 구조도로서,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에는 제1 사용자 장치, 제2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되며,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이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 장치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하기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바, 즉
제1 사용자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C5의 시그널링이고, 상기 PC5의 시그널링의 메시지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장치 대 장치 사이의 발견 메시지이고, 상기 발견 메시지에는 메시지 유형이 포함되며, 상기 메시지 유형의 내용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한다.
본 방안에서, 제1 사용자 장치가 제2 사용자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사용자 장치는 제2 메시지에 의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아 할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사용자 장치가 제2 사용자 장치를 위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위에서는 주요하게 각 네트워크 요소 간의 상호작용의 각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였다. 제1 사용자 장치, 제2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각 기능을 실행하는 상응한 하드웨어 구조와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였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본 발명을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어느 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확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방법 예시에 의하여 제1 사용자 장치, 제2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측 장치에 대하여 기능 유닛의 구분을 진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각 기능에 대응되게 각 기능 유닛을 구분할 수도 있고, 또한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기능을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직접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모듈의 형식으로도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닛에 대한 구분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단지 한 가지 논리적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집적된 유닛을 사용하는 상황 하에서, 도 7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언급된 제1 사용자 장치의 일 가능한 기능 유닛 조성 블럭도를 표시한다. 제1 사용자 장치(700)에는 처리 유닛(701)과 통신 유닛(702)이 포함된다. 처리 유닛(701)은 제1 사용자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제어 관리를 진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처리 유닛(701)은 제1 사용자 장치가 도 2 중의 202, 203 단계를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및/또는 본문에 언급된 기술의 기타 과정에 사용된다. 통신 유닛(702)은 제1 사용자 장치와 기타 장치의 통신을 지원하는 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통신 및/또는 도 6에 도시된 제2 사용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지원한다. 제1 사용자 장치에는 또한 저장 유닛(703)이 포함되어, 제1 사용자 장치의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처리 유닛(701)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Pu),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하드웨어 부품 또는 기타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공개된 내용을 참조하여 언급된 각 예시적 논리 블럭, 모듈과 회로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계산 기능을 구현하는 조합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조합,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등이 포함된다. 통신 유닛(702)은 송수신기, 송수신 회로, 무선 주파수 칩 등일 수 있고, 저장 유닛(703)은 기억장치일 수 있다.
처리 유닛(701)이 프로세서, 통신 유닛(702)이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 유닛(703)이 기억장치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제1 사용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집적된 유닛을 사용하는 상황 하에서, 도8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언급된 네트워크 장치의 일 가능한 기능 유닛 조성 블럭도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장치(800)에는 처리 유닛(801)과 통신 유닛(802)이 포함된다. 처리 유닛(801)은 네트워크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제어 관리를 진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처리 유닛(801)은 네트워크 장치가 도 2 중의 204 단계를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및/또는 본문에 언급된 기술의 기타 과정에 사용된다. 통신 유닛(802)은 네트워크 장치와 기타 장치의 통신을 지원하는 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저장 유닛(703)이 포함되어, 네트워크 장치의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처리 유닛(801)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CPU, DSP, ASIC,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하드웨어 부품 또는 기타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공개된 내용을 참조하여 언급된 각 예시적 논리 블럭, 모듈과 회로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계산 기능을 구현하는 조합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조합,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등이 포함된다. 통신 유닛(802)은 송수신기, 송수신 회로 등일 수 있고, 저장 유닛(803)은 기억장치일 수 있다.
처리 유닛(801)이 프로세서, 통신 유닛(802)이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 유닛(803)이 기억장치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네트워크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집적된 유닛을 사용하는 상황 하에서, 도 9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언급된 제2 사용자 장치의 일 가능한 기능 유닛 조성 블럭도를 표시한다. 제2 사용자 장치(900)에는 처리 유닛(901)과 통신 유닛(902)이 포함된다. 처리 유닛(901)은 제2 사용자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제어 관리를 진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처리 유닛(901)은 제2 사용자 장치가 도 2 중의 201 단계를 실행하도록 지원하며, 및/또는 본문에 언급된 기술의 기타 과정에 사용된다. 통신 유닛(902)은 제2 사용자 장치와 기타 장치의 통신을 지원하는 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제1 사용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한 저장 유닛(903)이 포함되어, 제2 사용자 장치의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처리 유닛(901)은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CPU, DSP, ASIC,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하드웨어 부품 또는 기타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공개된 내용을 참조하여 언급된 각 예시적 논리 블럭, 모듈과 회로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계산 기능을 구현하는 조합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하나 또는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조합,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등이 포함된다. 통신 유닛(902)은 송수신기, 송수신 회로 등일 수 있고, 저장 유닛(903)은 기억장치일 수 있다.
처리 유닛(901)이 프로세서, 통신 유닛(902)이 통신 인터페이스, 저장 유닛(903)이 기억장치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제2 사용자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제2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다른 일 사용자 장치를 제공하는 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만 도시하고, 구체적인 기술 세부 사항은 공개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해당 사용자 장치는 핸드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정보 단말기), POS(Point of Sales, 판매 단말), 차량용 컴퓨터 등 임의의 사용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가 핸드폰인 것을 예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핸드폰의 부분 구조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핸드폰에는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910), 기억장치(920), 입력 유닛(930), 디스플레이 유닛(940), 센서(950), 오디오 회로(960),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모듈(970) 및 전원(990) 등 부품이 포함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도 10에 도시된 핸드폰 구조가 핸드폰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도시된 것보다 더욱 많거나 더욱 적은 부품이 포함되거나, 또는 일부 부품 또는 서로 다른 부품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아래 도 10을 참조하여 핸드폰의 각 구성 부품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RF 회로(910)는 정보의 수신과 송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RF 회로(910)에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소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듀플렉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RF 회로(910)는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하여 네트워크 및 기타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어떠한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이든 사용가능한 바, 글로벌 이동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전자 메일, 단문자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등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억장치(92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980)는 기억장치(9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하는 것을 통하여, 핸드폰의 여러 가지 기능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장치(920)에는 주요하게 프로그램 저장 구역과 데이터 저장 구역이 포함될 수 있고, 그 중에서, 프로그램 저장 구역에는 운영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구역에는 핸드폰의 사용에 따라 구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기억장치(920)에는 고속 무작위 접속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기억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기타 휘발성 고체 기억 소자이다.
입력 유닛(930)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시하고, 또한 핸드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입력 유닛(930)에는 지문 식별 모듈(931) 및 기타 입력 장치(932)가 포함될 수 있다. 지문 식별 모듈(931)은 사용자의 지문 데이터를 채집할 수 있다. 지문 식별 모듈(931) 외, 입력 유닛(930)에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932)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입력 장치(932)에는 터치스크린, 물리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스틱 등 중의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94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 및 핸드폰의 여러 가지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940)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이 포함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식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을 구성할 수 있다. 도10에서 지문 식별 모듈(931)과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핸드폰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였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지문 식별 모듈(931)과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을 집적시켜 핸드폰의 입력과 플레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핸드폰에는 또한 적어도 한 가지 센서(950)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광 센서에는 환경 광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되는 바, 그 중에서, 환경 광 센서는 환경 관성의 명암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핸드폰이 귀가에 가까와질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941) 및/또는 백라이트를 닫을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 센서는 각 방향 상(일반적으로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탐지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탐지할 수 있으며, 핸드폰 자세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면 가로/세로 스크린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조절), 진동 식별 관련 기능(예를 들면 계보기, 두드림)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핸드폰에 또 포함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 기타 센서에 대해서는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오디오 회로(960), 스피커(961), 마이크(962)는 사용자와 핸드폰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96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전환 후의 전기 신호를 스피커(961)로 전송할 수 있고, 스피커(961)가 소리 신호로 전환시켜 플레이하며; 다른 일 방면으로, 마이크(962)가 수집된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시키고, 오디오 회로(960)가 수신한 후 오디오 데이터로 전환시키며, 이어 오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서(980)로 방송하여 처리한 후, RF 회로(910)를 거쳐 예를 들면 다른 하나의 핸드폰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장치(920)로 방송하여 진일보 처리하도록 한다.
WiFi 근거리 무선 전송 기술에 속하는 바, 핸드폰은 WiFi 모듈(970)을 통하여 사용자를 도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페이지에 접속하며, 스트림 미디어를 방문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게 무선의 광대역 인터넷 방문을 제공한다. 비록 도10에서 WiFi 모듈(970)을 도시하기는 하였지만, 하지만 이는 핸드폰에 반드시 필요한 구조에 속하지 않고, 완전히 수요에 의하여 발명의 본질을 개변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프로세서(980)은 핸드폰의 제어 센터로서,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와 선로를 이용하여 전체 핸드폰의 각 부분을 연결하고, 기억장치(92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작동 또는 실행하며, 기억장치(920) 내에 저장된 호출하는 것을 통하여, 핸드폰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핸드폰에 대하여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80)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처리 유닛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980)에는 응용 프로세서와 변조/복조 프로세서가 집적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응용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운영 시스템, 유저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주요하게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변조/복조 프로세서는 또한 프로세서(98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핸드폰에는 또한 각 부품을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990)(예를 들면 배터리)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980)와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모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기는 하였지만, 핸드폰에는 또한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단계 방법 중의 사용자 장치 측의 과정은 해당 핸드폰의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도 7,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유닛 기능은 해당 핸드폰의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제1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와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제2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제1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와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제2 사용자 장치와 관련된 일부 또는 전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프로세서가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은 상응한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전기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이동 하드디스크, 시디롬(CD-ROM) 또는 기술분야 내에 공지된 임의의 기타 형식의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저장 매체가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프로세서가 해당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어 들이고, 또한 해당 저장 매체로 정보를 쓰게 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또한 프로세서의 구성 부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ASIC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목표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또한 분리 모듈로서 접속 네트워크 장치, 목표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언급된 기능은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때,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명령이 포함된다. 컴퓨터 상에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로딩 및 실행할 때,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과정 또는 기능에 따른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컴퓨터 명령은 하나의 컴퓨터 스테이션,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컴퓨터 스테이션,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사용가능한 매체 집적체를 포함하는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하드웨어, 자기 테이프), 광 매체(예를 들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방안과 유익한 효과에 대하여 진일보의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는 하였지만, 상기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바탕으로 진행한 어떠한 수정, 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4)

  1.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으로서,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락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하기 전,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제2 사용자 장치가 송신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지 않았을 때,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는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확정하고, 상기 제1 메시지가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메시지는 PC5의 시그널링이고, 상기 PC5의 시그널링의 메시지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6. 제2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장치 대 장치 사이의 발견 메시지이고, 상기 발견 메시지에는 메시지 유형이 포함되며, 상기 메시지 유형의 내용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RRC 메시지이고, 상기 RRC 메시지에는 마크가 포함되며, 상기 마크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에 새로 추가된 구성 원인(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거나, 또는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의 고정적인 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제1 지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가 사이드 링크 UE 정보(sidelink UE Information)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사이드 링크 UE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지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1.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NAS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2.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RRC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3.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RRC 메시지이고, 상기 RRC 메시지에는 마크가 포함되며, 상기 마크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요청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에 새로 추가된 구성 원인(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이거나, 또는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요청 메시지 중의 고정적인 establishment Cause의 도메인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가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RRC 연결 구성 완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지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가 사이드 링크 UE 정보(sidelink UE Information) 메시지일 때, 상기 마크는 상기 사이드 링크 UE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제2 지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NAS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할 것을 요청하는 연결 유형이 SRB와 DRB일 때, 상기 제1 메시지는 향상된 RRC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20.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으로서,
    제2 사용자 장치가 제1 사용자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PC5의 시그널링이고, 상기 PC5의 시그널링의 메시지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장치 대 장치 사이의 발견 메시지이고, 상기 발견 메시지에는 메시지 유형이 포함되며, 상기 메시지 유형의 내용 유형은 상기 Remote UE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23.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에는 제1 사용자 장치, 제2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되는 사용자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제1 사용자 장치이고,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
  24. 네트워크 장치로서,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하여야 한다고 확정할 때 송신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 또는 수정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에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및/또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가 포함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이 서비스하는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인 것을 지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요청하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5.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고, 상기 통신 시스템에는 제1 사용자 장치, 제2 사용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되는 사용자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이고,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장치로 제2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가 구성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연결의 연결 유형을 지시하고, 상기 제2 메시지는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구성하여야 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사용자 장치.
  26. 사용자 장치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
  27. 네트워크 장치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제13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8. 사용자 장치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억장치, 하나 또는 다수의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고,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되고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에는 제20항 내지 제22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 중의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장치.
  29.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3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20항 내지 제22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3.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제13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4.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포함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제20항 내지 제22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97032584A 2017-04-28 2017-04-28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및 관련 제품 Ceased KR20190140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2456 WO2018195924A1 (zh) 2017-04-28 2017-04-28 网络连接配置方法及相关产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947A true KR20190140947A (ko) 2019-12-20

Family

ID=6391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584A Ceased KR20190140947A (ko) 2017-04-28 2017-04-28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및 관련 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29073B2 (ko)
EP (1) EP3621405A4 (ko)
JP (1) JP2020518158A (ko)
KR (1) KR20190140947A (ko)
CN (1) CN110574485B (ko)
WO (1) WO20181959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853A1 (ko) * 2021-01-05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천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0841A4 (en) * 2019-09-30 2022-09-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21147089A1 (zh) * 2020-01-23 2021-07-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Rrc消息的处理方法、装置、用户设备及网络设备
US11825330B2 (en) 2020-03-13 2023-11-2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quality of service support in sidelink communications
US11689957B2 (en) * 2020-03-13 2023-06-27 Qualcomm Incorporated Quality of service support for sidelink relay service
US20210409937A1 (en) * 2020-06-29 2021-12-30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ue) reporting sidelink ue capability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938981B (zh) * 2020-06-29 2023-11-14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中继报告侧链路用户设备能力信息的方法和设备
US20240298163A1 (en) * 2020-09-30 2024-09-05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ue) discovery
CN112333839B (zh) * 2020-10-27 2023-12-2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处理方法、装置及网络设备
JP7605990B2 (ja) * 2020-12-07 2024-12-24 北京小米移動軟件有限公司 接続確立方法及び装置
KR20230165200A (ko) * 2021-04-02 2023-12-05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릴레이 연결 구축 방법,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20157326A (ko) * 2021-05-20 2022-11-29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대-네트워크 릴레이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491055B1 (ko) * 2021-07-30 2023-01-20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e-대-네트워크 릴레잉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22B1 (ko) 2013-08-22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립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893894B2 (en) * 2015-03-13 2018-02-13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ecure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communication
CN106162929B (zh) * 2015-04-07 2021-08-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在设备直通系统中用户终端与中继节点的通信方法和装置
US10602550B2 (en) 2015-07-23 2020-03-24 Apple Inc. Layer 2 relay protocols and mobility relay method
JP6496079B2 (ja) * 2015-08-07 2019-04-03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接続制御装置及び方法
WO2017034511A1 (en) 2015-08-24 2017-03-02 Intel IP Corporation Bearer binding in the presence of a ue-to-network relay
CN106535083B (zh) * 2015-09-11 2019-07-02 阿尔卡特朗讯 一种用于为远程ue提供服务的方法与设备
US10477608B2 (en) * 2016-09-29 2019-11-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access using a relay
WO2018128519A1 (ko) 2017-01-09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모트 ue와 연결을 가진 릴레이 ue가 네트워크와 연결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8633074B (zh) * 2017-03-23 2022-05-13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报告侧链路服务的辅助信息的方法和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853A1 (ko) * 2021-01-05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태 천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9073B2 (en) 2022-01-18
JP2020518158A (ja) 2020-06-18
EP3621405A1 (en) 2020-03-11
CN110574485A (zh) 2019-12-13
US20210144783A1 (en) 2021-05-13
CN110574485B (zh) 2024-03-15
EP3621405A4 (en) 2020-04-01
WO2018195924A1 (zh)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40947A (ko) 네트워크 연결 구성 방법 및 관련 제품
CN110612735B (zh) 测量上报控制方法及相关产品
EP3611991B1 (en) Scheduling request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related product
CA3066646C (en) Data schedul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TWI678903B (zh) 一種上行資料傳輸方法及終端
KR102339951B1 (ko) 측정 방법 및 관련 제품
CN112272409B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产品
US11224090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0637450B (zh) 信息的传输方法及相关产品
US11083006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EP3618523B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0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4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