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32A - Lever type connector - Google Patents
Lever typ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0032A KR20200000032A KR1020180071791A KR20180071791A KR20200000032A KR 20200000032 A KR20200000032 A KR 20200000032A KR 1020180071791 A KR1020180071791 A KR 1020180071791A KR 20180071791 A KR20180071791 A KR 20180071791A KR 20200000032 A KR20200000032 A KR 202000000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sion
- lever
- cover
- housing
- sli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100), 슬라이더(200), 커버(300) 및 레버(400)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400)는 상기 커버(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면 상기 슬라이더(200)와 결합한다. 상기 레버(300)의 회전력이 상기 슬라이더(200)의 직선운동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슬라이더(200)에 형성된 가이드채널(216)에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가 안내되면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400)에는 상기 하우징(100)에 있는 제1간섭돌기(118)를 탄성변형시키는 간섭회피돌기(420)가 있어서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에 대해 특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400)와 슬라이더(200)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레버타입 커넥터의 동작특성이 좋아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type connecto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slider 200, a cover 300, and a lever 400. The lever 400 is coupled to the slider 200 when the cover 300 is mounted to the housing 100 while being rotatably mounted to the cover 300.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300 is made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slider 200 and the linking projection of the mating connector is guided to the guide channel 216 formed on the slider 200, thereby engaging and separating the mating connector. The lever 400 has an interference avoiding protrusion 420 elastically deforms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118 in the housing 100 so that the lever 400 is mounted at a specific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over 300. Function in th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ver 400 and the slider 200 are precisely coupled to improve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ever type connec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와 슬라이더가 기어부를 통해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함에 의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typ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r type connector that is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by the lever and the slider is coupled through the gear portion to transmit power.
커넥터 어셈블리는 한 쌍의 커넥터가 서로 결합하여 각각의 하우징 내부에 있는 터미널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터미널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커넥터간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힘의 크기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터미널이 설치되는 커넥터에는 레버를 이용하여 커넥터들이 지렛대의 원리로 결합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되었다.A connector assembly is a pair of connectors that join togethe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terminals inside each housing. As the number of terminals installed in the housing increases, the amount of force required to perform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also increases. Therefore, a lever type connector in which connectors are coupled on the principle of lever using a lever is used for a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installed.
도 1에는 일반적인 레버타입 커넥터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에는 슬라이더(2)가 입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더(2)는 상기 커넥터하우징(1)의 내부를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상기 하우징(1) 방향으로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Figure 1 is a sid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lever type connecto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슬라이더(2)에는 가이드채널(3)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더(2)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직선운동하면, 상대 커넥터의 가이드보스가 상기 가이드채널(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 전체가 도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는 것이다.More precisely, the
상기 하우징(1)에는 커넥터커버(5)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커버(5)에는 레버(7)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레버(7)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2)를 직선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슬라이더(2)와 레버(7)에는 서로 대응되는 기어부(4,8)가 구비되는데, 이들 기어부(4,8)는 각각 래크와 피니언으로 구성되어, 레버(7)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2)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주게 된다.The
상기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작동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레버(7)가 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레버(7)의 기어부(8)는 화살표②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레버(7)의 기어부(8)에 맞물린 상기 슬라이더(2)의 기어부(4)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는 화살표 ③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Briefly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type connector, first, when the lever 7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의 가이드채널(3)에 삽입되어 있던 상대 커넥터의 가이드보스는 상기 가이드채널(3)을 따라 이동하면서, 결과적으로 상대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1)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Accordingly, the guide boss of the mating connector inserted into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슬라이더(2)의 기어부(4)와 레버(7)의 기어부(8)는 기어치의 위치가 맞으면 어느 위치에서도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슬라이더(2)의 운동이 정확하게 일어나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완성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더(2)는 상기 하우징(1)의 내부와 완전하게 수납되어야 한다.The gear portion 4 of the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레버(7)가 상기 커넥터커버(5)에 대해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상기 슬라이더(2)와의 기어부(4,8) 결합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7)는 상기 커넥터커버(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커버(5)가 상기 하우징(1)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7)와 결합된다. 이때, 도 1에서 상기 레버(7)가 도면의 좌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슬라이더(7)에 결합되어야 만 슬라이더(7)의 동작이 일어날 수 있다. 만약 상기 레버(7)가 우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커버(5)가 하우징(1)에 결합되어 레버(7)의 기어부(4)가 상기 슬라이더(2)의 기어부(8)에 결합된다면, 상기 레버(7)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가 하우징(1)의 외부로 이동되어 버려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However, in the prior art, even if the lever 7 is at any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타입 커넥터에서 하우징에 커넥터커버가 장착될 때 레버가 특정한 위치에 있어야만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to ensure that the lever must be in a specific position when the connector cover is mounted on the housing in the lever-type connector can be combin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간섭돌기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제1기어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이동공간의 내외부로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간섭돌기와 간섭되는 제2간섭돌기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간섭돌기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제1간섭돌기와 제2간섭돌기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돌기가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having a moving space is op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and at least one first interference projec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A cover including a slider having a first gear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slider for moving the mating connector while moving in and out of the moving space, and a second interference protrusion mounted on the housing body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terfering with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And a lever rotatably mounted to the cover, the lever having an interference avoiding protrusion 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r to move the slider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terference protrusions. Include.
상기 레버는 상기 간섭회피돌기가 상기 제1간섭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도록 상기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커버와 하우징이 결합된다.The lever is mounted on the cover such that the interference avoiding protrusion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and the cover and the hous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간섭돌기는 연동경사면을 가지는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first interfering protrusion is formed by a protrusion having an interlocking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양단에 상기 돌출부가 마주보게 형성된다.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is formed to face the protrud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부에는 소정의 구간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회전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된다.The guide portion of the slider is formed with a first gear portion in a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rotation plate of the lever is formed with a second gear portion mesh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to transmit power.
상기 제1기어부는 소정의 직선구간에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소정의 원호구간에 형성된다.The first gear por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traight section and the second gear por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c section.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일측 양단에는 제1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타측 양단에는 제2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걸이공에 걸어지는 제1걸이돌기와 상기 제2걸이공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가 형성된다.A first hook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a second hook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the cover has a first hoo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hooking hole which are hooked to the first hooking hole. A second hooking protrusion is formed.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걸이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이동공간과 연통되는 해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체결레버가 걸어져 슬라이더가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해제공에 걸어진 체결레버를 분리시키는 해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하우징에서 해제되어 이동가능하게 된다.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releas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moving spac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hook hole so that the locking lever of the slider is engaged to fix the slider to the housing, and the cover separates the locking lever from the release hole. The release protrusion is provided so that the slider is released from the housing and is movable by mounting the cover to the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몸체의 외면으로 개방되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제1기어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이동공간의 내외부로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간섭돌기와 간섭되는 제2간섭돌기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상에 설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가 하우징몸체에 장착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in which a moving space is op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is formed, a slider for moving the mating connector while the guide portion form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moves in and out of the moving space, A cover having a second interference protrusion mounted on the housing body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terfering with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cover to move the slider in association with the slider, wherein the cover is moved to the housing. In the process of mounting to the body includes a lever that allows the cover to be mounted and fastened to the housing body according to the position installed on the cover.
상기 하우징몸체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간섭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2간섭돌기와 간섭되어 커버가 하우징몸체에 장착되는 것을 방해하고 상기 레버가 상기 커버에 장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1간섭돌기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제1간섭돌기와 제2간섭돌기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돌기가 상기 레버에 구비된다.At least one first interfer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to interfere with a second interfer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cover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mounted on the housing body, and the lever is mounted on the cover according to a position where the lever is mounted on the cover. The lever has an interference avoiding protrusion to elastically deform one interfering protrusion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interfer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interfering protrusion.
상기 제1간섭돌기는 연동경사면을 가지는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first interfering protrusion is formed by a protrusion having an interlocking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상기 제1간섭돌기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양단에 상기 돌출부가 마주보게 형성된다.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is formed to face the protruding portion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일측 양단에는 제1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후면 타측 양단에는 제2걸이공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제1걸이공에 걸어지는 제1걸이돌기와 상기 제2걸이공에 걸어지는 제2걸이돌기가 형성된다.A first hook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a second hooking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the cover has a first hoo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hooking hole which are hooked to the first hooking hole. A second hooking protrusion is formed.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걸이공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이동공간과 연통되는 해제공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체결레버가 걸어져 슬라이더가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해제공에 걸어진 체결레버를 분리시키는 해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됨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하우징에서 해제되어 이동가능하게 된다.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release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moving space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hook hole so that the engaging lever of the slider is fixed so that the slider is fixed to the housing, and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lever engaged with the release hole. The release protrusion is provided so that the slider is released from the housing and is movable by mounting the cover to the housing.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레버가 하우징에 있는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것이 커버 상의 특정한 위치에 레버가 장착되었을 때에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즉, 레버에 있는 간섭회피돌기가 하우징의 제1간섭돌기의 돌출부를 탄성변형시켜서 커버의 제2간섭돌기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 레버가 슬라이더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레버와 슬라이더의 결합이 다음 동작이 정확하게 일어날 수 있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어 레버타입 커넥터의 동작특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rotatably mounted to the cover is engaged with the slider in the housing only when the lever is mount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cover. That is, the interference avoiding protrusion in the lever elastically deforms the protrusion of the first interfering protrus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lever can be engaged with the slider while not interfering with the second interfering protrusion of the cover. By such a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of the lever and the slider can be combined in a state where the next operation can be precisely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ever type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개략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와 레버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2간섭돌기와 간섭회피돌기의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간섭돌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간섭돌기가 간섭회피돌기에 의해 탄성변형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1 is a sid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and the le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interference protrusion and the interference avoiding proj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interference avoiding proj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s to interfer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explaining the component of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이하 본 발명 실시례의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레버타입 커넥터는 크게 하우징(100), 슬라이더(200), 커버(300) 그리고 레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버(400)는 상기 커버(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아래에서는 레버타입 커넥터의 구성요소들을 차례로 설명한다.The lever ty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하우징(100)은 커넥터의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우징몸체(1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는 터미널이 위치된다. 참고로 본 실시례의 도면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단부 양측에는 제1걸이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공(112)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단부 양측에 하나씩 2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공(1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0)의 제1걸이돌기(314)가 걸어진다.The
상기 제1걸이공(112)에 인접한 위치에는 해제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해제공(1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공간(120)과 연통된다. 상기 해제공(114)에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체결레버(220)가 걸어진다.A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단에서 상기 제1걸이공(112)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제2걸이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공(116)도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공(116)에는 상기 커버(300)의 제2걸이돌기(316)가 걸어진다.At the rear end of the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단에는 제1간섭돌기(118)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간섭돌기(118)가 하우징몸체(110)의 후단 양측에 하나씩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간섭돌기(118)에는 돌출부(1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19)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119)는 하우징몸체(110)의 후면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119)는 상기 커버(300)의 일측과 간섭될 수 있다.At least one
상기 돌출부(119)에는 연동경사(119')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연동경사(119')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경사(119')는 상기 레버(400)의 간섭제거돌기(420)와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119)의 선단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는 상기 돌출부(119)가 어느 정도만 탄성변형되더라도, 커버(200)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형상은 반드시 도시된 것과 같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레버(400)의 간섭제거돌기(420)에 의한 탄성변형이 잘 이루어지면서도, 상기 레버(400)가 정위치에 있지 않을 때, 상기 커버(300)의 제2간섭돌기(332)와 잘 간섭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The shape of the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일측면으로 개방되게 이동공간(120)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공간(120)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내부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공간(120)은 상기 슬라이더(300)가 위치되고 이동하는 공간이다. 상기 이동공간(120)의 입구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일측면 양단으로 각각 개구된다. 상기 이동공간(120)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면으로도 개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120) 내에 있는 슬라이더(200)와 커버(300)에 있는 레버(400)가 결합될 수 있다.A moving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이동공간(120)에 위치되어 이동공간(120)의 내외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슬라이더몸체(2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더몸체(210)는 상기 이동공간(120) 내에 위치되고 이동공간(120)의 내외부로 이동되는 가이드부(212)가 양측에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212)의 단부는 연결부(21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가이드부(212)와 연결부(214)를 평면도로 보면 'ㄷ' 자 형상으로 된다.The
상기 슬라이더(200)의 가이드부(212)에는 제1기어부(215)가 소정 구간에 형성된다. 상기 제1기어부(215)는 상기 레버(400)와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기어부(215)는 각각의 가이드부(212)에 소정의 직선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The
상기 가이드부(212)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가이드채널(21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216)은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채널(215)은 소정의 경사가 지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더(200)의 이동에 따라 상대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100)쪽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부(212)의 일측 끝부분에는 체결레버(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레버(220)는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체결레버(220)의 자유단부에는 걸림턱(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하우징(100)의 해제공(114)에 걸어지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이 상기 해제공(114)에 걸어져 있으면 상기 슬라이더(200)가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이동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커버(3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하면서, 상기 커버(300)의 해제돌기(318)에 의해 걸림턱이 눌러지면 상기 체결레버(220)가 해제공(114)에서 빠지면서 슬라이더(200)가 이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슬라이더(200)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A
상기 커버(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터미널에 연결된 전선이 하우징(10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300)의 골격을 커버몸체(310)가 형성한다.The
상기 커버몸체(310)는 전선을 안내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최소한 상기 하우징(100)의 하우징몸체(110) 후단을 덮도록 만들어지고 전선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만들어진다.The
상기 커버몸체(310)의 양단 외측에는 회전중심축(312)이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312)은 상기 레버(40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커버몸체(310)의 일측 단부 양측에는 제1걸이돌기(3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걸이돌기(314)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1걸이공(112)에 걸어져 커버몸체(310)가 하우징몸체(110)와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몸체(310)에는 제2걸이돌기(316)가 있다. 상기 제2걸이돌기(316)는 상기 제1걸이돌기(314)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걸이돌기(314)가 형성된 반대쪽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돌기(316)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2걸이공(116)에 걸어질 수 있다.Both ends of the
상기 제1걸이돌기(314)와 인접한 위치에는 해제돌기(318)가 있다. 상기 해제돌기(318)는 상기 커버몸체(310)에서 상기 하우징몸체(110)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해제돌기(318)는 상기 해제공(114)에 걸어진 상기 체결레버(220)를 밀어 걸림이 해제되도록 한다.There is a
상기 커버몸체(310)에는 제2간섭돌기(320)가 있다. 상기 제2간섭돌기(320)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걸이돌기(316)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2간섭돌기(320)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1간섭돌기(1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상기 제2간섭돌기(320)와 제1간섭돌기(118)는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에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장착되어 있더라도 특정한 위치(도 1에 도시된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서로 간섭되어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레버(400)와 슬라이더(200)의 기어부(416,215)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만약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정위치에 장착되어 있게 되면 상기 레버(400)의 아래에서 설명될 간섭제거돌기(420)에 의해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돌출부(119)가 밀리게 되어 상기 제2간섭돌기(320)와 제1간섭돌기(118)가 간섭되지 않으므로 커버(3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레버(400)의 골격을 레버몸체(410)가 형성한다. 상기 레버몸체(410)는 2개의 회전플레이트(412)와 상기 회전플레이트(412)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41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12)에는 회전중심공(4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중심공(415)에는 상기 회전중심축(312)가 위치된다. 상기 회전플레이트(412)에서 상기 회전중심공(415)을 중심으로 소정 구간의 원호상에는 제2기어부(4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기어부(416)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제1기어부(215)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The
상기 레버몸체(410)의 회전플레이트(412)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간섭돌기(118)와 대응되는 위치에 간섭제거돌기(420)가 있다. 상기 간섭제거돌기(420)는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가 있다. 상기 간섭제거돌기(420)에는 안내경사면(4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422)은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연동경사면(119')에 안내되면서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돌출부(119)가 탄성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돌출부(119)와 커버몸체(31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us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이동공간(120)에는 상기 슬라이더(200)가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체결레버(220)가 상기 해제공(114)에 걸어져서 임의로 이동되지 않도록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으로, 상기 커버(300)에는 상기 레버(40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커버(300)의 회전중심축(312)이 상기 레버(400)의 회전중심공(415)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40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414)가 상기 커버(300)의 제1걸이돌기(314) 반대쪽으로 가도록 된다. 즉, 상기 간섭제거돌기(420)가 상기 커버(300)의 제2간섭돌기(320)에 인접하여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레버(400)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300)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커버(300)의 일측에 상기 레버(400)의 대응되는 위치가 걸어지고, 이 걸어진 상태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짐에 의해 해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Next, the
이와 같이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특정 위치에 있도록 장착된 상태로 상기 커버(3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한다. 먼저, 상기 제1걸이돌기(314)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1걸이공(112)에 걸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걸이돌기(314)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300) 전체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후면을 향해 가도록 회전시킨다.As such, the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300)의 제2걸이돌기(316)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2걸이공(116)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2걸이돌기(316)가 상기 제2걸이공(116)에 걸어진다. 상기 제1걸이돌기(314)와 제2걸이돌기(316)가 각각 하우징몸체(110)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커버(300)는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어 체결된다.By this operation, the
한편,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제돌기(318)는 상기 해제공(114)에서 상기 체결레버(220)가 빠지도록 눌러준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이동공간(12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the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00)의 제2기어부(416)는 상기 슬라이더(200)의 제1기어부(215)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00)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200)가 이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정위치(도 1에 도시된)에 장착되어 있다면, 상기 레버(400)의 간섭제거돌기(42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의 제1간섭돌기(118)의 돌출부(119)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상기 제1간섭돌기(118)의 돌출부(119)가 탄성변형되어 밀어지면 상기 커버(300)의 제2간섭돌기(320)와 제1간섭돌기(118)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If the
상기 돌출부(119)의 연동경사면(119')과 상기 레버(400)에 있는 간섭제거돌기(420)의 안내경사면(422)은 서로 안내되어 상기 돌출부(119)의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interlocking
혹시라도,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정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300)가 상기 하우징몸체(110)에 장착되지 않게 된다. 이는 커버(300)가 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상기 제1간섭돌기(118)가 탄성변형되지 않아 상기 돌출부(119) 선단에 상기 커버(300)의 제2간섭돌기(320)가 간섭되어 하우징(100)의 제2걸이공(116)에 상기 커버(300)의 제2걸이돌기(316)가 걸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커버(300)가 장착되지 않게 되면, 상기 레버(400)와 슬라이더(200)의 결합도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In any case, when the
상기 레버(400)가 상기 커버(300)의 정위치에 있어서, 커버(300)와 하우징(10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상기 레버(400)와 슬라이더(200)의 결합도 이루어지면서, 상기 레버(400)가 회전하면 상기 슬라이더(200)의 직선운동이 일어난다.상기 하우징(100)에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이 삽입되고 상대 커넥터의 연동돌기가 상기 슬라이더(200)의 가이드채널(216)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00)의 직선운동이 일어나면 상기 연동돌기가 가이드채널(2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가 하우징(100)으로 이동하게 하여 터미널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과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이 분리되는 것은 상기 레버(400)를 위에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stea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하우징
110: 하우징몸체
112: 제1걸이공
114: 해제공
116: 제2걸이공
118: 제1간섭돌기
119: 돌출부
119': 연동경사
120: 이동공간
200: 슬라이더
210: 슬라이더몸체
212: 가이드부
214: 연결부
215: 제1기어부
216: 가이드채널
220: 체결레버
300: 커버
310: 커버몸체
312: 회전중심축
314: 제1걸이돌기
316: 제2걸이돌기
318: 해제돌기
320: 제2간섭돌기
400: 레버
410: 레버몸체
412: 회전플레이트
414: 연결플레이트
415: 회전중심공
416: 제2기어부
420: 간섭제거돌기
422: 안내경사면100: housing 110: housing body
112: first hanging ball 114: release ball
116: second hook ball 118: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119: protrusion 119 ': interlocking slope
120: moving space 200: slider
210: slider body 212: guide portion
214: connecting portion 215: first gear
216: guide channel 220: tightening lever
300: cover 310: cover body
312: rotation axis 314: first hook projection
316: second hook protrusion 318: release protrusion
320: second interference protrusion 400: lever
410: lever body 412: rotating plate
414: connection plate 415: rotation center hole
416: second gear unit 420: interference canceling projection
422: guide slope
Claims (14)
제1기어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이동공간의 내외부로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간섭돌기와 간섭되는 제2간섭돌기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1간섭돌기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제1간섭돌기와 제2간섭돌기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회피돌기가 형성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A housing having a moving space open to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and having at least on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at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A slider configured to move the mating connector while the guide portion having the first gear portion is moved into and out of the moving space;
A cover mounted to the housing body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second interference protrusion interfering with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And a lever rotatably mounted to the cover, the lever having an interference avoiding protrusion 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slider to move the slider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and the second interference protrusion. Lever type connector.
The lever type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lever is mounted to the cover such that the interference avoiding protrusion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The lever type connector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is formed by a protrusion having an interlocking slope extending into an inner side of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The lever type connector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to face the protrusion.
The lever type connector of claim 4, wherein a first gear par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guide part of the slider, and a second gear part is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of the lever to engage the first gear part to transmit power.
6. The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gear por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traight section and the second gear por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c sec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first hook hole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The second hook hole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The cover is the first hook hole Lever type connector is formed with a first hook projection to be hooked on the second hook projection to be hooked on the second hook hole.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ousing has a release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moving space is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hook hole to the engaging lever of the slider is fixed to the slider fixed to the housing, the cover in the release hole And a release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engaged fastening lever, wherein the slider is released from the housing and movable by the cover being mounted to the housing.
제1기어부가 형성된 가이드부가 상기 이동공간의 내외부로 이동하면서 상대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덮도록 하우징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간섭돌기와 간섭되는 제2간섭돌기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연동되어 슬라이더를 이동시키고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몸체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상에 설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가 하우징몸체에 장착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A housing having a moving space open to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A slider configured to move the mating connector while the guide portion having the first gear portion is moved into and out of the moving space;
A cover mounted to the housing body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second interference protrusion interfering with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A lever rotatably mounted to the cover to move the slider in association with the slider and to allow the cover to be mounted and fastened to the housing body according to a position installed on the cover while the cover is mounted to the housing body. Lever type connector comprising a.
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first interfer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body to interfere with a second interfer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cover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mounted on the housing body, and the lever is mounted to the cover. The lever-typ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avoiding projection on the lever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and the second interference protrusion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The lever type connector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is formed by a protrusion having an interlocking slope extending into an inner side of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The lever type connector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interference protrus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to face the protrusion.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2, wherein a first hook hol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a second hook hole is formed at the opposite ends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the first hook hole is formed at the cover. Lever type connector is formed with a first hook projection to be hooked on the second hook projection to be hooked on the second hook hole.
15.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housing has a release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moving space is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hook hole to the engaging lever of the slider is fixed so that the slider is fixed to the housing, the cover in the release hole And a release protrusion for separating the engaged fastening lever, wherein the slider is released from the housing and movable by the cover being mounted to the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71791A KR102520914B1 (en) | 2018-06-22 | 2018-06-22 | Lever ty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71791A KR102520914B1 (en) | 2018-06-22 | 2018-06-22 | Lever type connec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0032A true KR20200000032A (en) | 2020-01-02 |
| KR102520914B1 KR102520914B1 (en) | 2023-04-13 |
Family
ID=6915522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71791A Active KR102520914B1 (en) | 2018-06-22 | 2018-06-22 | Lever typ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520914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698449A (en) * | 2020-12-25 | 2021-04-23 | 上海天诚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Dual-locking LC connector |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70844A (en) * | 2008-12-18 | 2010-06-2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
| JP2011243322A (en) * | 2010-05-14 | 2011-12-01 | Sumitomo Wiring Syst Ltd | Connector |
| KR101237114B1 (en) | 2006-03-17 | 2013-02-25 |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 Electric connector |
| KR20130037753A (en) | 2011-10-07 | 2013-04-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ever type of connector |
| KR200466962Y1 (en) | 2008-11-24 | 2013-05-2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
| KR200467488Y1 (en) | 2008-12-18 | 2013-06-1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
| JP2014099267A (en) * | 2012-11-13 | 2014-05-29 | Sumitomo Wiring Syst Ltd | Lever type connector |
| JP2015122182A (en) * | 2013-12-24 | 2015-07-02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Lever type electric connector |
-
2018
- 2018-06-22 KR KR1020180071791A patent/KR1025209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237114B1 (en) | 2006-03-17 | 2013-02-25 | 미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엘티디. | Electric connector |
| KR200466962Y1 (en) | 2008-11-24 | 2013-05-2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
| KR20100070844A (en) * | 2008-12-18 | 2010-06-2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
| KR200467488Y1 (en) | 2008-12-18 | 2013-06-1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Lever type connector |
| JP2011243322A (en) * | 2010-05-14 | 2011-12-01 | Sumitomo Wiring Syst Ltd | Connector |
| KR20130037753A (en) | 2011-10-07 | 2013-04-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Lever type of connector |
| JP2014099267A (en) * | 2012-11-13 | 2014-05-29 | Sumitomo Wiring Syst Ltd | Lever type connector |
| JP2015122182A (en) * | 2013-12-24 | 2015-07-02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Lever type electric connecto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698449A (en) * | 2020-12-25 | 2021-04-23 | 上海天诚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 Dual-locking LC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520914B1 (en) | 2023-04-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846105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 JP5945964B2 (en) | connector | |
| US20160285200A1 (en) | Dual-Motion Mating Assisted Connector | |
| JP5781846B2 (en) | Connector device | |
| KR101304942B1 (en) | Lever 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 |
| JP4247920B2 (en) | Lever connector | |
| JP2006331991A (en) | Lever-type connector | |
| US9048578B2 (en) | Lever-fitting-type connector | |
| US9065211B2 (en) | Lever-type connector | |
| JP2020027783A (en) | Lever type connector | |
| KR20200000032A (en) | Lever type connector | |
| KR20220094835A (en) | Connector assembly | |
| KR100965507B1 (en) |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 |
| KR101839388B1 (en) | Lever type connector | |
| KR200467488Y1 (en) | Lever type connector | |
| WO2013005606A1 (en) | Lever-type connector | |
| KR20100070174A (en) |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 |
| KR20090073861A (en) | Connector mating / unplugging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with same | |
| KR20230013402A (en) | Lever and lever type connector having same | |
| KR100814936B1 (en) | Lever Type Connector | |
| WO2020036152A1 (en) | Lever-type connector | |
| KR100995279B1 (en) |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 |
| JP2020027784A (en) | Lever connector | |
| JP2015220079A (en) | connector | |
| KR100995282B1 (en) | Lever Type Conn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