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99A - Modularized auxiliary contact and current circuit breaker having simple structure - Google Patents
Modularized auxiliary contact and current circuit breaker having simple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0199A KR20200000199A KR1020180072188A KR20180072188A KR20200000199A KR 20200000199 A KR20200000199 A KR 20200000199A KR 1020180072188 A KR1020180072188 A KR 1020180072188A KR 20180072188 A KR20180072188 A KR 20180072188A KR 20200000199 A KR20200000199 A KR 202000001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mover
- contact
- counter
- break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화된 보조접점 및 이를 구비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auxiliary contact and a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있어서, 부하를 개폐하거나 접지,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전류를 차단시키는 기기를 말한다. 또한, 차단기는 정상사용 상태의 선로를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금속용기 외부의 전기조작장치 등에 의하여 원거리에서 개폐할 수 있고, 과부하 및 단락시 자동적으로 선로를 차단하여 전력계통과 부하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In general, a circuit breaker refers to a device that cuts off a current in a transmission / transmission system or an electric circuit in the event of opening / closing a load or an accident such as grounding or short circuit. In addition, the breaker can manually open and close the line in normal use, or can be opened and closed at a long distance by an electric operation device outside the metal container, and can protect the power system and the load by automatically blocking the line in case of overload and short circuit. .
선로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기에는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구비된다.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정상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접촉하여 차단기를 통해 전류가 흐른다.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고장이 발생하여 고장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어 고장전류를 차단한다.In order to block the line, the breaker is provided with a fixed contactor and a movable contactor. When a normal current flows because a failure does not occur in a transmission transformer system or an electric circuit, the fixed contactor and the movable contacto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breaker. When a fault occurs in a transmission transformer system or an electric circuit and a fault current flows, the movable contact is disconnected from the fixed contact to block the fault current.
이러한 차단기에는 별도의 보조접점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접점은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연결 및 분리에 따라 가동되어 차단기의 개폐여부를 외부로 알려준다.These breakers are equipped with a separate auxiliary contact. The auxiliary contac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the fixed contactor and the movable contactor to inform the outsid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breaker.
즉, 정상사용 상태의 선로가 통전중인 때에는 상기 보조접점과 연결된 표시기를 통해 차단기가 연결상태임을 표시하며(이 경우 고정접촉자에 가동접촉자가 연결됨), 접지나 단락 등의 사고 발생시에도 상기 보조접점과 연결된 표시기를 통해 차단기가 차단상태임을 알려준다.That is, when the line in the normal use state is energized, the breaker is connected through the indicator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act point (in this case, the movable contact point is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point), and the auxiliary contact point may be Connected indicators indicate that the breaker is in a blocked state.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차단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the following problem occurs with the circuit breaker of this structure.
일반적으로 차단기에는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와 작동횟수를 표시하는 카운터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는 보조접점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접점의 구동에 따라 차단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반면에, 카운터는 보조접점과 연결되지 않고 가동접촉자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가동접촉자가 구동함에 따라 차단기의 작동횟수를 표시한다.In general, the breaker is provided with a display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eaker and a counter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operations.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act to indicate an operat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uxiliary contact. On the other hand, the counter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act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or to display the number of times of operation of the breaker as the movable contactor is driven.
다시 말해서, 일반적인 차단기에서는 표시부와 카운터가 다른 매커니즘으로 차단기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므로 차단기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이러한 매커니즘의 차이로 인해 표시부와 카운터가 다른 위치에 배치되므로 차단기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In other words, in the general circuit breaker, the display unit and the counter display the driv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by different mechanisms, which complicates the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there was.
본 발명은 보조접점과 표시부 및 카운터를 모듈화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보조접점 및 이를 구비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contact and a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in which the auxiliary contact, the display unit, and the counter can be modulariz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more clearly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는, 서로 접촉하고 분리되어 전류를 도통하고 차단하는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 일측에 상기 가동접촉자가 형성되는 제1 가동자, 상기 제1 가동자와 연결되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가동자, 일단이 상기 제2 가동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가동자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회전 운동하는 래치, 상기 래치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래치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의 접촉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래치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래치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의 접촉 횟수 및 분리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한다.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contactor and a movable contactor which are in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conduct and cut off a current, a first mover having the movable contactor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first mover. A second mover that rotates about a second move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er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mover, and the other end of the latch is connected to the latch A display unit indicating whether the fixed contactor and the movable contactor are in contact, and a count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and counting at least one of a contact number and a disconnection time of the fixed contactor and the movable contactor according 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latch. do.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와 카운터가 보조접점과 모듈화되어 구동됨에 따라 차단기의 구동여부의 표시와 구동의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단기의 표시와 구동의 카운팅을 별개의 매커니즘에 의해 실행되던 종래에 비해, 차단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isplay unit and the counter are driven in a modular manner with the auxiliary contact, it is possible to count whether the breaker is driven and the number of times of driving. Thus, the structure of the circuit breaker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display of the circuit breaker and the counting of the drive are performed by separate mechanism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와 카운터 및 보조접점의 모듈화에 따라 차단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modularization of the display unit, the counter and the auxiliary conta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에 포함된 보조접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보조접점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동작에 따라서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상태 식별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동작에 따른 카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동작에 따라서 카운터에 표시되는 카운팅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contact included in th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show the operation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6a and 6b show the driving of the auxiliary contact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shows a display portion of a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dentifier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un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unting result displayed on the coun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100)는 케이스(104)의 내부에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104)의 외부에 표시부(152) 및 카운터(154)가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in the
이후 설명되지만, 상기 케이스(104) 내부에 배치된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는 서로 접촉함으로써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의 전류를 도통하고,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분리됨으로써 전류의 흐름을 차단한다. 상기 케이스(104) 내부에는 사고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검출부에 의해 사고전류가 발생하지 않고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정상전류가 흐른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계속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또한,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고장이 발생하여 검출부에 고장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가동접촉자가 구동하여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됨으로써 고장전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described later, the fixed contactor and the movable contact disposed inside the
상기 표시부(152)에는 차단기(100)의 구동상태가 표시된다. 즉, 상기 표시부(152)에는 전류의 도통 및 차단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152)는 가동접촉자와 연결된 보조접점의 작동에 의해 전류의 도통 및 차단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됨에 따라 보조접점이 구동하게 되며, 이 구동에 의해 상기 표시부(152)에 전류의 도통상태 및 차단상태가 표시된다.The
상기 카운터(154)는 차단기(100)의 구동횟수, 즉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접촉 횟수 및 분리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여 표시한다. 즉, 상기 카운터(154)는 가동접촉자가 구동하여 고정접촉자와 접촉 및 분리할 때마다 이를 카운팅하여 상기 카운터(154)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상기 카운터(154)는 가동접촉자와 연결되는 보조접점의 구동에 의해 차단기(100)의 구동을 카운팅한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152)와 카운터(154)가 보조접점과 모듈화되어 상기 보조접점이 구동함에 따라 차단기(100)의 구동여부의 표시와 구동의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단기(100)의 표시와 구동의 카운팅을 별개의 매커니즘에 의해 실행하던 종래에 비해, 차단기(100)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152)와 카운터(154) 및 보조접점의 모듈화에 따라 차단기(1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100)의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상기 차단기(100)에 포함된 보조접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100)는 케이스(104) 내부에 배치된 브라켓(118)과, 상기 브라켓(118)에 의해 케이스(104) 내부에 고정되어 전류를 도통하고 차단하는 고정접촉자(160) 및 가동접촉자(170)와, 상기 가동접촉자(170)와 연결되어 상기 가동접촉자(170)가 작동함에 따라 구동하는 보조접점(190)과, 상기 보조접점(190)과 연결되어 가동접촉자(170)의 작동을 표시하는 표시부(152)와, 차단기(100)의 작동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154)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고정접촉자(160)는 케이스(104) 내부에 배치된 브라켓(118)에 고정된다. 상기 가동접촉자(170)는 제1 가동자(18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1 가동자(180)는 제2 가동자(182)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제2 가동자(182)는 브라켓(118)에 고정된 가동자 구동축(172)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 가동자(182)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도면표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변경(즉, 고장전류의 발생 등)이 발생하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가동자 구동축(17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The fixed
상기 제2 가동자(18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동접촉자(170)가 고정접촉자(160)와 접촉하거나 분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동자(182)가 가동자 구동축(17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가동자(182)와 연결된 상기 제1 가동자(180)가 상기 고정 접촉자(16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동접촉자(170)가 고정접촉자(160)와 접촉할 수 있다(전류의 흐름). 반대로 상기 제2 가동자(182)가 가동자 구동축(17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가동자(182)와 연결된 상기 제1 가동자(180)가 상기 고정 접촉자(1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동접촉자(170)가 고정접촉자(160)와 분리될 수 있다(전류의 차단).As the
상기 제1 가동자(180)에는 연결바(174)가 구비된다. 연결바(174)의 일단은 제1 가동자(180)와 연결되고, 연결바(174)의 타단은 연결바 구동축(140)에 의해서 래치(120)의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174)는 제2 가동자(182)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1 가동자(180)와 연결된 연결바(174)가 회전운동한다. 이에 따라서 연결바 구동축(140)에 의해 연결된 래치(120)가 회전 운동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동자(18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전류의 흐름)하면 상기 연결바(174)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가동자(18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전류의 차단)하면 상기 연결바(174)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상기 보조접점(190)은 표시부(152) 및 카운터(154)와 제1 가동자(18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가동자(180)의 구동력을 상기 표시부(152) 및 카운터(154)에 전달하여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접촉여부 및 접촉횟수를 표시한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접점은 래치(120)와, 상기 래치(120)의 일단에 구비되어 표시부(152)와 결합되는 결합핀(125)과, 상기 래치(120)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접촉자(170)의 연결바(174)와 결합되는 연결축(122)과, 상기 래치(120)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어 래치(120) 회전의 중심이 되는 래치핀(132)과, 상기 래치핀(132)과 연결축(122) 사이에 배치되어 래치(12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2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contact is disposed at the
상기 래치(120)는 얇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가동자(182)의 구동력을 표시부(152) 및 카운터(154)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서 제2 가동자(182)의 구동, 즉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접촉여부가 표시부(152)를 통해 표시되고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접촉횟수가 카운터(154)를 통해 카운팅된다.The
연결축(122)은 가동접촉자(170)에 구비된 연결바(174)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축(122)은 래치(120)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므로, 상기 연결축(122)의 운동이 래치(12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래치핀(132)은 래치(120)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래치(120)가 래치핀(13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2 가동자(18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래치(120) 역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가동자(18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전류의 흐름)하면 제1 가동자(180)와 결합된 연결바(174) 및 연결축(122)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120)가 래치핀(13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가동자(18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전류의 차단)하면 상기 연결바(174) 및 연결축(122)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래치(120)가 래치핀(13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상기 래치핀(132)은 래치(120)의 중간부분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래치(120)는 결합핀(125)으로부터 연결축(122)까지의 거리의 1/3 또는 1/4 이나 2/3 또는 1/4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래치(12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래치(120)와 연결된 표시부(152)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류의 흐름과 차단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As the
상기 가이드홈(124)은 가동접촉자(170)의 회전운동을 래치(12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할 때, 래치(120)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한다. 이후 설명되지만, 상기 가이드홈(124)은 래치(12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길게 형성되고 가이드바가 삽입된다. 상기 래치(120)가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바가 가이드홈(12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가동자(182)의 회전운동이 래치(12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될 때 래치(120)의 길이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또한, 일단이 상기 래치(120)에 부착되는 제1 결합핀(125)은 래치핀(132)을 중심으로 래치(120)가 회전할 때 움직여 표시부(152)의 표시판(도면표시하지 않음)을 이동시킴으로써 차단기(100)의 구동여부, 즉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접촉여부를 표시한다. 이처럼 제2 가동자(182)가 구동함에 따라, 제2 가동자(182)의 구동력이 상기 표시부(152)로 전달됨으로써 차단기(100)의 구동여부를 신속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 가동자(182)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 예를 들면 전기배선과 스위치 등이 필요 없으므로, 보조접점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 결합핀(125)의 타단부에는 제1 카운터바(126)가 연결된다. 상기 제1 카운터바(126)의 일단은 상기 제1 결합핀(125)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결합핀(127)을 통해 제2 카운터바(128)와 연결된다. A
상기 가동접촉자(170)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핀(125)이 이동하면, 제1 카운터바(126)가 상하로 이동한다. 제1 카운터바(126)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1 카운터바(126)와 연결된 제2 카운터바(128)가 이동하여 제2 카운터바(128)의 타단에 연결된 카운터가 동작한다. 카운터의 동작에 의해 가동접촉자(170)의 구동횟수, 즉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접촉 횟수 및 분리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카운팅된다.When the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100)의 구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of th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100)의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차단기(100)에 구비된 보조접점의 구동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A and 5B are views showing the driving of th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제2 가동자(182)와 연결된 구동수단이 구동되어 제2 가동자(182)가 가동자 구동축(17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2 가동자(182)과 연결된 제1 가동자(18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가동자(18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동접촉자(170)가 고정접촉자(160)와 분리되어, 부하 등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된다.As shown in FIG. 5A, when an error occurs in a transmission transformer system or an electric circuit and a fault current occurs, the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이상이 없어 정상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2 가동자(182)와 연결된 구동수단이 구동되어 제2 가동자(182)가 가동자 구동축(17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2 가동자(182)과 연결된 제1 가동자(18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가동자(18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동접촉자(170)가 고정접촉자(160)와 접촉하여 상기 차단기(100)가 도통상태를 유지하여 정상전류가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에 공급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when a normal current flows due to no abnormality in the transmission transformer system or the electric circuit, the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의 이상은 차단기(100)에 구비된 전류측정기나 전압측정기 등과 같은 검출부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고, 차단기(100)의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신호가 차단기(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bnormalities in the transmission transformer system or the electric circuit may be detected by a detector such as a current meter or a voltage meter included in the
상기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의 상태변경(정상상태에서 고장상태로의 변경 또는 고장상태에서 정상상태로의 변경)이 발생하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2 가동자(182)가 회전한다. 이때, 구동수단의 구동은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의 상태변경을 인식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검출부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When a state change (change from the normal state to the fault state or from the fault state to the normal state) of the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system or the electric circuit occurs, the
상기 제2 가동자(182)가 회전하면, 상기 제1 가동자(180)와 연결된 연결바(174)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연결바(174)와 연결된 래치(120)의 일단이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When the
상기 래치(120)에는 홀(도면표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는 보조박스(110)에 고정된 래치핀(132)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120)의 일단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래치핀(132)을 중심으로 래치(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120)의 타단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상기 래치(120)의 일단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래치핀(132)을 중심으로 래치(120)가 반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래치(120)의 타단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상기 래치핀(132)은 래치핀(132)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보조박스(11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A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한편, 제2 가동자(182)의 회전시 연결바(17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상기 연결바(174)가 지면과 수직한 직선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곡선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122)을 통해 상기 연결바(174)와 결합된 래치(120)의 단부도 직선이 아닌 곡선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바(174)의 상하운동이 래치(12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될 때 래치(120)의 위치변경에 따른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Meanwhile, although the connecting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래치핀(132)과 연결축(122) 사이 영역의 래치(120)에 가이드홈(124)을 형성한다(도 6a 및 도 6b 참조). 또한, 한쌍의 보조박스(110)에는 가이드회전축(11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각 플레이트(112)에 구비되며,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 연장된 가이드회전축(114)의 타단에는 가이드바(134)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바(134)가 래치(120)의 가이드홈(124)에 삽입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such interference, the
상기 래치(120)의 가이드홈(124)은 래치(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124)의 폭은 가이드바(134)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가이드바(134)가 회전 운동할 때 가이드바(134)가 가이드홈(124)의 길이방향(즉, 래치(120)의 길이방항)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
상기 래치(120)의 일단(연결축(174)이 연결된 단부)이 곡선을 따라 이동하므로, 래치(120)가 래치핀(132)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래치(120)의 위치 차이에 의한 간섭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치(120)가 회전할 때 가이드바(134)가 가이드홈(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래치(120)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위치 차이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one end of the latch 120 (the end to which the connecting
상기 래치(120)가 회전할 때, 가이드홈(124)에 삽입된 상기 가이드바(134) 역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바(134)는 가이드회전축(114)을 중심으로 설정된 원주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바(134)가 삽입된 가이드홈(124)은 래치핀(13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래치(120) 및 가이드회전축(114)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바(134)는 가이드홈(124)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치(120)의 위치변경에 따른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상기 래치(120)의 회전에 따라 결합핀(125)을 통해 래치(120)의 타단과 연결된 표시부(152)의 표시판(152a)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판(152a)의 표면에는 차단기(100)의 도통 상태(예를 들어, "O") 및 차단 상태(예를 들어, "I")를 각각 나타내는 상태 식별자가 표시된다. 상기 래치(120)가 회전함에 따라 표시판(152a)이 상하로 이동하여 도통 및 차단이 표시된 영역의 위치가 변경된다.As the
예를 들어, 표시부(152)의 표시판(152a)이 도 5a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52)의 표시영역(152b)을 통해 차단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식별자("I")가 노출되어 차단기(100)가 전류 차단 상태임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2)의 표시판(152a)이 도 5b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 표시부(152)의 표시영역(152b)을 통해 도통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식별자("O")가 노출되어 차단기(100)가 전류 도통 상태임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동작에 따른 카운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동작에 따라서 카운터에 표시되는 카운팅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un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counting result displayed on the coun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카운터바(126)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제1 카운터바(126)와 연결된 제2 카운터바(128)의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제2 카운터바(128)의 타단에 배치된 카운터(128a)가 케이스 내부면과 접촉되어 카운팅 동작이 수행된다. 이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가 분리되므로, 카운터(128a)는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분리 횟수를 카운팅하게 된다.When the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카운터바(126)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제1 카운터바(126)와 연결된 제2 카운터바(128)의 일단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제2 카운터바(128)의 타단에 배치된 카운터(128a)가 케이스 내부면과 접촉되어 카운팅 동작이 수행된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가 접촉되므로, 카운터(128a)는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접촉 횟수를 카운팅하게 된다.Next, when the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카운터(128a)가 카운팅한 차단기의 구동횟수, 즉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분리 횟수 또는 접촉 횟수는 도 11과 같이 카운터(154)에 의해 외부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카운터(154)는 카운팅된 결과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운터(154)에는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분리 횟수 또는 접촉 횟수가 숫자로 표시될 수 있고,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분리 횟수 또는 접촉 횟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예컨대, 5회)에 도달할 때마다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함으로써 구동횟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정접촉자(160)와 가동접촉자(170)의 분리 및 접촉이 각각 1회 발생했을 때 카운터 값이 1이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By the above operation, the number of driving of the breaker counted by the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Claims (7)
일측에 상기 가동접촉자가 형성되는 제1 가동자;
상기 제1 가동자와 연결되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는 제2 가동자;
일단이 상기 제2 가동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가동자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회전 운동하는 래치;
상기 래치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래치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의 접촉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래치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래치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고정접촉자와 상기 가동접촉자의 접촉 횟수 및 분리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차단기.
A fixed contactor and a movable contactor which are in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conduct and interrupt current;
A first movable member having the movable contact formed on one side;
A second mover connected to the first mover and configured to rotate about a drive shaft;
A latch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er and which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mover;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and indicating whether the fixed contactor and the movable contacto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latch; And
A count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and counting at least one of a contact number and a disconnection time of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ccording 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latch;
breaker.
일단이 상기 제1 가동자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래치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래치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제2 가동자의 회전 운동 시 상기 래치의 회전 운동의 중심점이 되는 래치핀을 더 포함하는
차단기.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ion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mov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atch; And
And a latch pin rotatably penetrating the latch to become a center point of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atch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mover.
breaker.
일단이 상기 래치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결합핀;
일단이 상기 제1 결합핀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래치의 회전 운동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제1 카운터바; 및
일단이 제2 결합핀을 통해 상기 제1 카운터바의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카운터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카운터바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카운터를 동작시키는 제2 카운터바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coupling pi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A first counter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upling pin and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latch; And
A second counter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unter bar through a second coupling pi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unter and operating the counter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counter bar;
breaker.
상기 표시부는 상기 래치의 타단에 연결되며 상기 래치가 회전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판을 포함하는
차단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play un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and includes a display panel which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latch rotates.
breaker.
상기 래치에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래치의 양측에 배치된 보조박스;
상기 보조박스에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회전축;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
The method of claim 3,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latch;
Auxiliary box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atch;
A plate formed in the auxiliary box;
A guide rotation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plate; And
One end is further coupled to the guide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end further comprises a guide bar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breaker.
상기 가이드홈은 래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래치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바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차단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tch to move the guide bar along the guide groove as the latch rotates
breaker.
상기 차단기와 연결된 송변전계통이나 전기회로의 상태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제2 가동자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차단기.The method of claim 1,
And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second mover by driving according to a state of a transmission transformer system or an electric circuit connected to the breaker.
breaker.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72188A KR102121524B1 (en) | 2018-06-22 | 2018-06-22 | Modularized auxiliary contact and current circuit breaker having simple structure |
| PCT/KR2018/013119 WO2019245111A1 (en) | 2018-06-22 | 2018-10-31 | Modularized auxiliary contact and breaker includ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72188A KR102121524B1 (en) | 2018-06-22 | 2018-06-22 | Modularized auxiliary contact and current circuit breaker having simple structu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0199A true KR20200000199A (en) | 2020-01-02 |
| KR102121524B1 KR102121524B1 (en) | 2020-06-10 |
Family
ID=6898411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72188A Active KR102121524B1 (en) | 2018-06-22 | 2018-06-22 | Modularized auxiliary contact and current circuit breaker having simple structure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21524B1 (en) |
| WO (1) | WO2019245111A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03198A (en) * | 2022-06-30 | 2024-01-08 | 한국전력공사 | Counter apparatus for moving number of cut out switch |
| KR102692548B1 (en) * | 2023-04-18 | 2024-08-06 | 엘에스일렉트릭(주) | On-count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07545B1 (en) * | 2006-10-17 | 2008-02-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Counter Breaker Counter |
| KR20180011566A (en) * | 2016-07-25 | 2018-02-02 |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06453B1 (en) * | 2005-01-10 | 2007-04-10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PFC Current Circuit Breaker |
| KR101228807B1 (en) * | 2011-08-26 | 2013-01-3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Magnetic contactor control method and magnetic contactor using the same |
| JP5872388B2 (en) * | 2012-06-18 | 2016-03-0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Operating device or vacuum switch |
-
2018
- 2018-06-22 KR KR1020180072188A patent/KR102121524B1/en active Active
- 2018-10-31 WO PCT/KR2018/013119 patent/WO2019245111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07545B1 (en) * | 2006-10-17 | 2008-02-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Counter Breaker Counter |
| KR20180011566A (en) * | 2016-07-25 | 2018-02-02 |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03198A (en) * | 2022-06-30 | 2024-01-08 | 한국전력공사 | Counter apparatus for moving number of cut out switch |
| KR102692548B1 (en) * | 2023-04-18 | 2024-08-06 | 엘에스일렉트릭(주) | On-count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21524B1 (en) | 2020-06-10 |
| WO2019245111A1 (en) | 2019-12-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355121B1 (en) | Circuit breaker having trip cause indicating mechanism | |
| US7973622B2 (en) |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eaker | |
| EP1814133B1 (en) | Circuit breaking apparatus | |
| EP1612824A1 (en) | Illuminated disconnecting handle for use with CDM | |
| KR102121524B1 (en) | Modularized auxiliary contact and current circuit breaker having simple structure | |
| US7053321B2 (en) | Apparatus operating an isolation switch in coordination with a circuit breaker | |
| KR20220115910A (en) | Vacuum 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a function of realtime monitoring and the monitoring method | |
| US7227279B2 (en) | Phase deficiency display device for thermal magnetic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 CN103915297B (en) | There is the chopper of indicating fault | |
| KR20180108701A (en) | Rotary double break point switch contact system connection improvement structure | |
| EP3913648B1 (en) |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ic switching device | |
| EP3940398A1 (en) | Disconnect verification | |
| US10256052B2 (en) | Integrated interlock device of air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 EP4235728A1 (en) | Miniature circuit breaker | |
| KR101537679B1 (en) | Device for displaying of contact in circuit breaker | |
| WO2012032381A2 (en) | A tap off box (tob) arrangement for use in a bus bar trunking system (bbt) | |
| EP1612825A1 (en) | Disconnecting handle with auxiliary contacts for use with cdm | |
| JP2024076186A (en) | Circuit Breakers | |
| CN104240990A (en) | Lockout Device For Switchgear | |
| KR101748729B1 (en) | Switch Device For Indicating Status of Gas Insulated Load Break Switch | |
| CN112768319B (en) | A circuit breaker | |
| CN210489559U (en) | Circuit breaker | |
| KR200461964Y1 (en) | Household earth leakage breaker | |
| CN217740456U (en) | Operat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 |
| CN218274486U (en) | Residual current protection moulded case circuit break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2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6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