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939U - Necklace type lantern - Google Patents
Necklace type lanter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1939U KR20200001939U KR2020190000800U KR20190000800U KR20200001939U KR 20200001939 U KR20200001939 U KR 20200001939U KR 2020190000800 U KR2020190000800 U KR 2020190000800U KR 20190000800 U KR20190000800 U KR 20190000800U KR 20200001939 U KR20200001939 U KR 2020000193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ing
- lantern
- main body
- battery
-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43
- 241001465382 Physalis alkekengi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1000793686 Homo sapiens Azurocid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형 랜턴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몸체의 일부가 개구되어서 인체의 목에 걸어줄 수 있는 본체; 이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이 배터리에 각각 접속되고, 다수의 엘이디(LED)와 투광커버를 구비하는 복수의 조명헤드; 복수의 조명헤드를 본체의 양단에 각각 연결시키며, 임의의 방향으로 구부리고 펼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조명헤드는 볼록렌즈를 구비하여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광(擴光) 조명헤드와, 오목렌즈를 구비하여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集光) 조명헤드로 이루어져 원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각 조명헤드는 스위치를 각각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배터리는 충전식으로 구성되고, 본체에 충전수단을 접속시킬 수 있는 충전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랜턴을 간편하게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어 양 손의 자유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위치에 구애없이 어느 방향이든 원하는 위치로 조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정확히 비춰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necklace-type lanter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that can be hung on the neck of the human body because a part of the body is opened; A battery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lighting heads each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having a plurality of LEDs and a light-transmitting cover; And a flexible connection means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lighting heads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and can be bent and unfolded in an arbitrary direction. The lighting head consists of a diffused illumination head that has a convex lens to diffu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and a condensing illumination head that condense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with a concave lens. Can be used. Each lighting head has a switch and operates independently. The battery is configured in a rechargeable type, and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socket for connecting the charging means to the main bod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ntern can be easily hung around the user's neck, the degree of freedom of both hands can be maximized, and the irradiation direction can be adjusted freely to a desired position in any direction without regard to the position, and it can be accurately illuminated.
Description
본 고안은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랜턴을 사용자의 목에 간편하게 걸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양손의 자유도를 극대화 할 수 있음은 물론 비추고자 하는 곳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이든 원하는 곳으로 조사(照射)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정확히 비춰줄 수 있는 목걸이형 랜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tern, and more specifically, by allowing the lantern to be easily used by hanging it around the user's neck,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degree of freedom of both hands, as well as to the desired location regardless of the location to be illuminated. It relates to a necklace-type lantern that can accurately illuminate by freely adjusting the irradiation direction.
주지하다시피 랜턴은 야간이나 또는 빛이 차단된 어두운 곳을 밝게 비춰주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일상 생활은 물론이고 각종 레저활동이나 산업현장 등에 이르기까지 사회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역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As is well known, lanterns are used to brightly illuminate nighttime or dark places where light is blocked, and are widely used in a wide range of areas throughout society ranging from daily life as well as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industrial sites.
이러한 랜턴은 예컨대 일상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손전등을 비롯하여 캠핑이나 낚시 등의 야외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캠핑용 랜턴, 산업현장의 야간작업이나 화재현장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헤드 랜턴 등 그 형태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것들이 제공되어 있다.Such lanterns include, for example, flashlights mainly used in everyday life, camping lanterns for use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or fishing, head lanterns suitable for use in night work or fire sites in industrial sites, etc. There are many types and types of things available.
손전등은 비추고자 하는 곳을 어디든 자유롭게 정확히 비출 수 있는 장점에 따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 손으로 파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행동에 많은 제약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Flashlights are most commonly used because of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reely and accurately illuminate any place to be illuminated, but in order to use them, they must be held with one hand, which is not only quite inconvenient, but also causes many restrictions on the user's behavior.
특히, 야간에 야외에서 어떠한 작업을 하는 경우라면 손전등을 파지한 손을 제외하고 나머지 한 손에만 의존해야 하므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없고, 자칫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도 없지 않다.In particular, if you do any work outdoors at night, you cannot work efficiently because you have to rely only on the other hand except for the hand holding the flashlight, and there is no fear of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캠핑용 랜턴은 대부분 천정 등에 매달거나 특정 물건 위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양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비추고자 하는 곳을 확실하게 비추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해당 조명 영역을 벗어난 곳을 비추기 위해서는 반드시 새로이 거치하여야 한다.Most camping lanterns are hung on the ceiling or mounted on a specific object, so both hands can be used freely. However, it is difficult not only to reliably illuminate a place to be illuminated, but also to illuminate a place outside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area, it must be newly mounted.
또한, 예를 들어 야간 보행 시에는 손전등과 마찬가지로 손으로 파지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구조상 손전등보다 파지도 곤란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walking at night, like a flashlight,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gripped by hand, and it is difficult to grip it than a flashlight due to the structure.
한편, 헤드 랜턴은 예컨대 소방 헬멧 등에 일체적으로 고정되거나 고정밴드에 의해 헬멧 또는 두부(頭部)에 착용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바, 양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산업현장의 야간 작업이나 야간 산행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lantern is used in a way that is integrally fixed to a firefighting helmet, for example, or worn on a helmet or head by a fixed band. As both hands can be used freely, it is very suitable for night work or night hiking in industrial sites. It is being used usefully.
그렇지만, 이와 같은 헤드 랜턴은 조명이 사용자의 이마 위에서 전방으로만 비춰지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를 명확하게 비추기 곤란하고, 비추고자 하는 방향으로 몸이나 머리를 돌려 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However, in such a head lantern, it is difficult to clearly illuminate a desired position because the lighting is only illuminated from the front of the user's forehead,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body or head must be turned in the direction to be illuminated.
특히 지근거리의 하부를 비추기 위해서는 고개를 숙이더라도 인체 특성상 원하는 곳을 정확히 비춰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부득이 헬멧을 벗거나 랜턴을 탈착하여 손으로 파지한 채 비춰줄 수밖에 없다.In particular, in order to illuminate the lower part of a short distance, even if the head is lowered, there may be cases where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illuminate the desired place due to the nature of the human body.
특허문헌 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랜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면에 엘이디(LED)에 의한 전체발광부와 오목렌즈에 의한 집중발광부 및 볼록렌즈에 의한 확장발광부를 함께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고, 후면에는 각도조절 가능한 체결구를 구비하여 원하는 방향을 정확히 비출 수 있음은 물론 걸이구와 체결나사홈을 통해 매달거나 삼각대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헤드 랜턴이 제시되어 있다.In
그런데, 이러한 특허문헌 1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같은 문제점를 내포하고 있다.By the way, this
첫째, 전면의 중앙부위 좌우에 집중발광부와 확장발광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전체발광부의 조명 시 조명스팟의 중앙부가 주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두워 조명효과가 좋지 않다.First, since the centralize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extended light emitting unit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entral part of the front, the central part of the lighting spot is relatively dark compared to the peripheral part when the entire light emitting part is illuminated, so the lighting effect is not good.
둘째, 확장발광부는 빛을 확산시켜서 조명스팟이 넓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한 넓은 범위를 비추고자 하는 것임에도 전체발광부의 극히 일부로 이루어져 있어 사실상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며, 불필요하게 복잡한 구성을 야기하여 제조의 어려움과 원가상승만 부추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Second, the extended light-emitting unit is intended to illuminate the widest possible range by diffusing the light so that the illumination spot is formed as wide as possible, but it is composed of only a small part of the entire light-emitting unit, so it cannot actually perform its function. It acts as a cause that only drives up cost.
셋째, 각도조절 기능에 의해 어느 정도 원하는 위치를 비춰주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역시 헬멧이나 사용자의 두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만 각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비추기에는 역부족일 수밖에 없다.Third,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desired position to some extent by the angle adjustment function, but it is also insufficient to freely illuminate the desired position because the angle can be adjusted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attached to the helmet or the user's head. .
넷째,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고, 체결구와 밴드, 클립 등 여러 가지 악세사리를 함께 구비해야 하는 번잡한 문제와, 이로 인한 원가 상승의 압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Fourth, the configuration is quite complex, and it is not free from the troublesome problem of having to provide various accessories such as fasteners, bands, and clips, and the pressure of cost increase.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랜턴을 간편하게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어 양손의 자유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위치에 구애없이 어느 방향이든 원하는 위치로 조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정확히 비춰줄 수 있는 목걸이형 랜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 the related art, and the lantern can be easily hung on the user's neck, thus maximizing the degree of freedom of both hands, and the irradiation direction can be freely moved to the desired positi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necklace-type lantern that can be accurately illuminated while adjust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넓은 범위를 비추거나 특정 위치를 집중해서 비춰줄 수 있음은 물론이고, 넓은 영역을 비춰주면서 동시에 해당 영역의 일부를 선명하게 집중 조명할 수 있는 목걸이형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lace-type lantern that can illuminate a wide area or focus a specific location as needed, and that can illuminate a large area while at the same time clearly intensively illuminating a part of the area. To provid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결속수단 없이도 천정 등에 간편하게 매달아 사용하거나 바닥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기도 용이한 목걸이형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lace-type lantern that can be easily hung on the ceiling or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floor without a separate binding means, and can be easily gripped and used by hand if necessary.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목걸이형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lace-type lantern that has a very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manufacture, as well as cost reduction.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목걸이형 랜턴은, 몸체의 일부가 개구되어서 인체의 목에 걸어줄 수 있는 본체; 이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이 배터리에 각각 접속되고, 다수의 엘이디(LED)와 투광커버를 구비하는 복수의 조명헤드; 복수의 조명헤드를 본체의 양단에 각각 연결시키며, 임의의 방향으로 구부리고 펼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necklace-typ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s includes: a body that can be hung on the neck of the human body by opening a part of the body; A battery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lighting heads each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having a plurality of LEDs and a light-transmitting cov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exible (flexible) connecting means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lighting heads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and is bent and unfolded in an arbitrary direction.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명헤드는 모두 볼록렌즈를 구비하여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광(擴光) 조명헤드일 수도 있고, 오목렌즈를 구비하여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集光) 조명헤드일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head may be a diffusing lighting head that has a convex lens to diffu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or a concave lens to conden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It may be a condensing illumination head that makes it possible.
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명헤드 중 어느 하나는 볼록렌즈를 구비하여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광(擴光) 조명헤드이고, 다른 하나는 오목렌즈를 구비하여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集光) 조명헤드로 이루어져 원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Or 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lighting heads is a diffused lighting head that has a convex lens to diffuse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concave lens and is irradiated from the LED. It consists of a condensing lighting head that condenses light and can be used for any purpose.
이에 따라 복수의 조명헤드는 스위치를 각각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lighting heads each have a switch and operate independently.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렉시블 연결수단은, 금속띠를 나선형으로 가공하여 자유롭게 구부리고 펼 수 있는 나선형 금속튜브와, 이 금속튜브의 외측을 감싸주는 유연한 합성수지피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와 조명헤드에 구비되어 있는 엘이디(LED)를 연결하는 전선통로 기능도 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connecting means is composed of a spiral metal tube that can be freely bent and unfolded by processing a metal strip in a spiral shape, and a flexible synthetic resin coating covering the outside of the metal tube, and the battery and It can also function as a wire path connecting the LEDs provided in the lighting head.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배터리가 충전식으로 구성되고, 본체에 충전기를 연결할 수 있는 충전소켓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is configured as a rechargeable, and a charging socket for connecting a charger to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여기서, 충전식 배터리로는 가볍고 고용량이면서도 충전이 용이한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Here, as the rechargeable battery, a lithium-ion battery that is light, high-capacity, and easy to charge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랜턴 본체는 사용자의 목에 걸어주기 용이하도록 대략 말굽 형태를 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antern body has an approximately horseshoe shape to be easily hung on the user's neck.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랜턴에 의하면, 랜턴의 본체가 말굽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목에 간편하게 걸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빛을 조사하는 조명헤드가 플렉시블 연결수단에 의해 본체에 연결되기 때문에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임의의 원하는 위치로 조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정확히 비춰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necklace-typ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of the lantern is configured in a horseshoe shape, so it can be easily hung on the user's neck, so both hands can be used freely, and the lighting head that irradiates light is connected flexibly.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body by mean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lluminate while freely adjusting the irradiation direction to any desired positi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따라서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든지 랜턴의 사용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예컨대 야간작업 시 작업효율의 증대도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us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lantern is greatly improved, and, for example, an increase in work efficiency can be expected during night work.
특히, 조명헤드가 복수개 구비되면서 빛을 확산시켜주는 확광 조명헤드와 빛을 집중시켜주는 집광 조명헤드로 이루어져 각기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바, 용도에 따라 넓은 범위를 비추거나 특정 위치를 집중해서 비추도록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as a plurality of lighting heads are provided, each consists of a diffused lighting head that diffuses light and a condensing lighting head that concentrates light, and each operates independently. It is selective to illuminate a wide range or focus a specific loca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Can be used as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넓은 영역을 비춰주면서 동시에 해당 영역의 일부를 더욱 선명하게 집중 조명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위치를 동시에 비추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a large area while simultaneously illuminating a part of the area more clearly, as well as illuminating several locations at the same tim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랜턴의 본체가 말굽 형태를 가지므로 별도의 결속수단 없이도 천정 등에 간편하게 매달아 사용하거나 바닥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비춰줄 수 잇고, 필요한 경우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기도 상당히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of the necklace-typ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seshoe shape, it can be easily hung on the ceiling or used without a separate binding means, or can be used by mounting it on the floor, and it can accurately illuminate the desired location.If necessary, it can be held by hand. It is also fairly easy to use.
그리고 종래의 랜턴에 비해 구조도 매우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에 따른 제작 비용 절감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very simpl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lantern, so it is not only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ccordingly.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목걸이형 랜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목걸이형 랜턴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을 따라 취한 부분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목걸이형 랜턴의 본체에서 상부 케이싱을 제거하고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확광 조명헤드의 단면도,
도 6은 도 2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집광 조명헤드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ecklace-typ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nlarged plan view of a necklace-typ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side view taken along line III of FIG. 2;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moval of the upper casing from the body of the necklace-type lan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ffused illumination head taken along line V-V of FIG.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densing illumination head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2.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se specific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에서, 본 고안에 의한 목걸이형 랜턴(1)은, 사용자의 목에 걸어줄 수 있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20)와, 빛을 조사하는 2개의 조명헤드(30)와, 이들 2개의 조명헤드(30)를 본체(10)에 연결시켜 주는 플렉시블 커넥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FIGS. 1 to 6, the necklace-
본체(10)는 인체의 목에 걸어줄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일부가 개구되어 인체의 목에 걸어주기 용이하도록 대략 말굽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걸이형 랜턴(1)은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The
이러한 본체(1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에 배터리(20) 등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상호 조립되는 상부케이싱(11)과 하부케이싱(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케이싱(11)(12)은 복수의 체결보스(13)(14)들을 구비하여 나사(15)에 의해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The
본체(12)의 내부에는 배터리(20)의 수용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복수의 배플(baffle:16)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한쪽으로 랜턴(1)의 구동을 위한 회로기판(PCB:19)이 장착된다.Inside the
회로기판(19)은 후술한 바와 같이 충전식으로 구성되는 배터리(20)의 충전을 위해 외부의 충전기(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할 수 있는 충전소켓(19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0)의 한쪽에도 회로기판(19)의 충전소켓(19a)에 대응하도록 충전용 슬롯(slot:17)이 구비된다.The
한편, 이와 같은 본체(10)는 인체의 목에 걸어주는 것인 바, 착용 시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10)의 하부케이싱(12) 저면 양쪽에는 어깨부위의 승모근에 편안히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곡률의 오목부(18)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uch a
상기 배터리(20)는 본체(10) 내에 마련된 배플(16)들 사이에 안정되게 장착될 수 있고, 회로기판(19)과 각 조명헤드(30)(40)에 전선(21)으로 접속되어 각각에 필요 전원을 공급한다.Th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터리(20)는 필요 전원을 외부로부터 간편하게 공급받아 충전할 수 있는 충전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식의 배터리(20)는 여러 가지가 채택될 수 있는데, 가볍고 용량이 크면서도 충전이 용이한 리듐이온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Preferably, the
상기 조명헤드(30)(40)는 2개가 구비되므로 서로 같은 조명유형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조명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한쪽의 조명헤드(30)는 조사되는 빛을 주변으로 확산시켜 주는 확광형 조명헤드로 구성되고, 다른 쪽의 조명헤드(40)는 조사되는 빛을 중앙부위로 집중시켜 주는 집중형 조명헤드로 구성되어서 랜턴(1)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 사용할 수 있다.Since two lighting heads 30 and 40 are provided, they may be formed of only the same lighting type or different lighting types. To this end, one
확광형 조명헤드(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하우징(31) 내부에 엘이디모듈(33)을 구비하고, 하우징(31)의 개구에 다수의 볼록렌즈(34)가 소정 형태로 배열된 투광커버(32)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5, the light diffusion
하우징(31)과 투광커버(32)는 나사 결합 또는 접착제 결합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The
볼록렌즈(34)는 별도로 구성되어 장착될 수도 있으나,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투광커버(32)의 성형 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엘이디모듈(33)의 상면에는 다수의 엘이디(35)들이 투광커버(32)의 볼록렌즈(34)에 대응하도록 배열되고,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바람직하기로 엘이디모듈(33)의 하면에는 이를 개별적으로 온/오프 시키기 위한 스위치(36)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스위치(36)의 작동버튼(36a)은 하우징(31)에 형성된 버튼구멍(31b)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31)의 버튼구멍(31b)에는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버튼캡(37)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operation button (36a) of the switch (36) is drawn out through the button hole (31b) formed in the housing (31). Accordingly, it may be preferable that a
그리고, 본체(10)쪽에 위치한 하우징(31)의 둘레 일부에는 엘이디모듈(33)에서 조사된 빛을 적절히 차단시켜 주기 위한 차광펜스(38)가 소정높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의 랜턴(1)이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특성상 사용자의 얼굴 바로 밑에서 전방 등으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지나친 눈부심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may be preferable that a
한편, 집광형 조명헤드(40) 역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하우징(41) 내부에 엘이디모듈(43)을 구비하고, 하우징(41)의 개구에 다수의 오목렌즈(44)가 소정형태로 배열된 투광커버(42)를 구비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condensing
상기 하우징(41)과 투광커버(42) 역시 나사 결합 또는 접착제 결합에 의해서 서로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The
오목렌즈(44) 역시 별도로 구성되어 장착될 수도 있지만,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투광커버(42)의 성형 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엘이디모듈(43)의 상면에는 다수의 엘이디(45)들이 투광커버(42)의 오목렌즈(44)에 대응하도록 배열되고,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엘이디모듈(43)의 하면에도 이를 개별적으로 온/오프 시키기 위한 스위치(46)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스위치(46)의 작동버튼(46a)은 하우징(41)에 형성된 버튼구멍(41b)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41)의 버튼구멍(41b)에는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버튼캡(47)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그리고, 확광형 조명헤드(30)와 마찬가지로 본체(10)쪽에 위치한 하우징(41)의 둘레 일부에는 엘이디모듈(43)에서 조사된 빛을 적절히 차단시켜 주기 위한 차광펜스(48)가 소정높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역시 본 고안의 랜턴(1)이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특성상 사용자의 얼굴 바로 밑에서 전방 등으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지나친 눈부심이 야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임은 물론이다.And, like the light diffusion
여기서, 본 고안의 조명헤드(30)(40)가 확광형 및 집광형 조명헤드를 함께 구비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는 예시의 목적일 뿐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개의 조명헤드(30)(40)를 모두 확광형 또는 집광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이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질 수 있다.Her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lighting heads 30 and 4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both a diffusing type and a condensing type illumination head, but thi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oth of the two lighting heads 30 and 40 may be configured as a light diffusion type or a light condensing type, and this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cessary.
플렉시블 커넥터(50)는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띠상의 금속판재를 나선형으로 가공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구부리고 펼 수 있는 플렉시블 금속튜브(51)의 외주에 유연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피복(52)을 감싸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플렉시블 커넥터(50)의 동작 상태(화살표 참조)를 나타낸 것처럼, 사용자가 플렉시블 커넥터(50)를 원하는 방향과 각도로 구부리면 플렉시블 커넥터(50)는 그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각 조명헤드(30)(40)에 의한 빛의 조사가 가능해진다.The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걸이형 랜턴(1)은 각 조명헤드(30)(40)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를 정확히 비춰줄 수 있도록 조명헤드(30)(40)의 조사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necklace-
그리고 플렉시블 커넥터(50)가 튜브형태를 가지는 바, 각 조명헤드(30)(40)를 배터리(20)와 회로기판(19)에 접속하는 전선(21)을 플렉시블 커넥터(50)의 내부를 통해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And since the
10: 본체
11, 12 : 상부 및 하부 케이싱
17 : 충전용 슬롯
18 : 오목부
19 : 회로기판
19a : 충전소켓
20 : 배터리
21 : 전선
30, 40 : 확광형 및 집광형 조명헤드
31, 41 : 하우징
32, 42 : 투광커버
33, 43 : 엘이디모듈
34 : 볼록렌즈
35 : 45 : 엘이디
36, 46 : 스위치
37 : 버튼캡
38, 48 : 차광펜스
44 : 오목렌즈
50 : 플렉시블 커넥터
51: 플렉시블 금속튜브
52 : 합성수지 피복10:
17: charging slot 18: recess
19:
20: battery 21: wire
30, 40: Diffusion type and condensing type lighting head
31, 41:
33, 43: LED module 34: convex lens
35: 45:
37:
44: concave lens 50: flexible connector
51: flexible metal tube 52: synthetic resin coating
Claims (5)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각각 접속되고, 다수의 엘이디(LED)와 투광커버를 구비하는 복수의 조명헤드;
상기 복수의 조명헤드를 상기 본체의 양단에 각각 연결시키며, 임의의 방향으로 구부리고 펼 수 있는 플렉시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랜턴.The body is partially opened so that the body can be hung on the neck of the human body;
A battery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lighting heads each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having a plurality of LEDs and a light-transmitting cover;
And a flexible connecting means that connects the plurality of lighting heads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and is bent and unfolded in an arbitrary direction.
상기 조명헤드가 볼록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을 확산시키는 확광(擴光) 조명헤드와, 오목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된 빛을 집광시키는 집광(集光) 조명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랜턴.The method of claim 1,
The illumination head comprises a convex lens to diffus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and a condensing illumination head to condense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by providing a concave lens. Necklace type lantern,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조명헤드는 스위치를 각각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랜턴.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ing head is a necklace-type lantern,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vided with a switch to operate independently.
상기 플렉시블 연결수단은, 금속띠를 나선형으로 가공하여 자유롭게 구부리고 펼 수 있는 나선형 금속튜브와, 상기 금속튜브의 외측을 감싸주는 유연한 합성수지피복으로 구성되어 전선통로 기능을 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랜턴.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lexible connecting means comprises a spiral metal tube that can be freely bent and unfolded by processing a metal strip in a spiral shape, and a flexible synthetic resin coating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metal tube to serve as a wire passage. Lantern.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에 충전수단을 접속시킬 수 있는 충전소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랜턴.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is composed of a rechargeable, and a necklace-type lanter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charging socket for connecting the charging means to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90000800U KR20200001939U (en) | 2019-02-26 | 2019-02-26 | Necklace type lanter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90000800U KR20200001939U (en) | 2019-02-26 | 2019-02-26 | Necklace type lanter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1939U true KR20200001939U (en) | 2020-09-03 |
Family
ID=724510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90000800U Ceased KR20200001939U (en) | 2019-02-26 | 2019-02-26 | Necklace type lanter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00001939U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19271B1 (en) | 2017-01-05 | 2017-04-06 | (주)프리즘 | Multi-useful head lantern |
-
2019
- 2019-02-26 KR KR2020190000800U patent/KR20200001939U/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719271B1 (en) | 2017-01-05 | 2017-04-06 | (주)프리즘 | Multi-useful head lanter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926967B2 (en) | Headlight devices and methods | |
| US6953260B1 (en) | Convertible flashlight-headlamp | |
| US10378744B2 (en) | Portable light having a forward facing light and a rearward facing light | |
| AU640594B2 (en) | Flashlight with flexible extension | |
| US7150540B2 (en) | Rechargeable LED utility light | |
| US11317671B2 (en) | Headlamp having a detachable flashlight | |
| US10378702B2 (en) | Portable light with plane of a laser light | |
| US7338189B2 (en) | LED utility light with removable magnet | |
| US10260689B2 (en) | Adjustable headlight and application thereof | |
| CN111895289B (en) | Removable dual-mode lighting device and related headlight system | |
| US20200248893A1 (en) | Led lamp | |
| US20070171629A1 (en) | Buckle-Mounted Light | |
| KR101719271B1 (en) | Multi-useful head lantern | |
| US10738980B2 (en) | Flashlight with rear-facing signal light and modular integrated mount system | |
| KR101953239B1 (en) | Multi-useful lantern | |
| US20120182726A1 (en) | Clip-on led lamp with solar panel for baseball cap | |
| US20220099281A1 (en) | Portable light | |
| US20190003658A1 (en) | Portable light providing plural beams of laser light | |
| KR101981248B1 (en) | Band type head lantern | |
| TWM378349U (en) | Structure of small lamp | |
| KR101969069B1 (en) | Multi-useful lantern | |
| KR20200001939U (en) | Necklace type lantern | |
| JP6789605B2 (en) | A portable luminaire with a luminaire facing forward and a luminaire facing backward | |
| JP2003272402A (en) | Portable lighting device | |
| US12435845B2 (en) | Headlamp assembly with selectable power sour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226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8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