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52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2752A KR20200002752A KR1020190175973A KR20190175973A KR20200002752A KR 20200002752 A KR20200002752 A KR 20200002752A KR 1020190175973 A KR1020190175973 A KR 1020190175973A KR 20190175973 A KR20190175973 A KR 20190175973A KR 20200002752 A KR20200002752 A KR 202000027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screen
- user interface
- pressure
- touch in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화면의 제1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의 제2 프레임에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의 제1 프레임 상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터치가 감지된 제3 이미지에 대한 출력의 정도를, 상기 감지된 터치의 압력 레벨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 상기 터치가 감지된 상기 제3 이미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of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the method displays at least one first image on a first frame of a screen of the terminal, and displays a second frame of the screen. Displaying a second image on the second frame, 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detected on the first frame of the screen, the detected degree of output of the touch-sensitive third image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image; And controll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level of the touch, wherein the third image in which the touch is detected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image of the first frame is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image of the second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스크린에 가해진 터치 압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도(degree)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user interfac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ate of change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screen when a touch event occurs.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파일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MP3 기능을 가지기도 하고,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하는 영상 수집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의 경우, 모바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 지원이 늘어남에 따라 표시부의 크기도 점점 커져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의 한 면 전체가 표시부로 구성된 풀(full) 스크린을 가지는 터치스크린이 채용되고 있다.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based on mobility. Such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may have an MP3 function corresponding to a file playback function, or may have an image collec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a digital camera capable of collecting imag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t supports a function for performing a mobile game, an arcade game,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support of various functions increases, and recently, a touch screen having a full screen on which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configured as a display unit is adopted.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에서는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X축, Y축 정보 외에 누르는 힘 즉, 터치 압력을 나타내는 Z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정보 중 X축, Y축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을 뿐, 터치 압력을 나타내는 Z축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지는 않았다. In general, the touch screen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pressing force, that is, the Z axis indicating the touch pressure, in addition to the X and Y ax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user interface is provided using only the X-axis and Y-axis information among the above information, but does not use information on the Z-axis indicating the touch pressur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터치 압력 정보를 이용하지 않았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스크린에 가해진 터치 압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도(degree)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at did not use the touch pressure information of the touch screen, and increases or decreases the rate of change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screen when a touch event occu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y to operate the interfa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화면의 제1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의 제2 프레임에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의 제1 프레임 상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터치가 감지된 제3 이미지에 대한 출력의 정도를, 상기 감지된 터치의 압력 레벨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 상기 터치가 감지된 상기 제3 이미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I) of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herein the method displays at least one first image on a first frame of a screen of the terminal, and displays a second frame of the screen. Displaying a second image on the second frame, 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detected on the first frame of the screen, the detected degree of output of the touch-sensitive third image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image; And controlling according to the pressure level of the touch, wherein the third image in which the touch is detected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image of the first frame is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image of the second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 대한 것으로, 상기 단말은 터치가 입력되고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 및 상기 단말의 화면의 제1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의 제2 프레임에 제2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의 제1 프레임 상에서 감지된 터치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에서 상기 터치가 감지된 제3 이미지에 대한 출력의 정도를, 상기 감지된 터치의 압력 레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이미지 중 상기 터치가 감지된 상기 제3 이미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제2 이미지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the terminal is a touch screen to which a touch is input and displays a screen, and displays at least one first image on the first frame of the screen of the terminal, A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a second frame of the screen, and in response to a touch detected on the first frame of the screen, the degree of output of the third image in which the touch is detected is detected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imag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ressure level of the detected touch, wherein the third image in which the touch is sensed among the at least one first image of the first frame is the second image of the second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ed based on.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스크린에 가해진 터치 압력에 따라 정도(degree)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쉽고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치 압력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터치 압력 지시자를 터치스크린상에 개시하므로, 터치스크린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할 정도의 과도한 터치 압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ouch event occurs, the user interface is operat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ate of change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applied to the touch screen, thereby providing an easier and more efficient interface to the user.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ouch pressure indicator for visually confirming the magnitude of the touch pressure is disclosed on the touch scree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excessive touch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to a physical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가 터치 압력에 따라 정도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가 도 2에 도시된 S250 단계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가 터치 압력이 화면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도록 설정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가 터치 압력이 화면 이동 속도를 결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폰북을 열람하는 사용자가 터치 압력을 이용하여 폰북 화면 스크롤 속도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터치 압력이 화면의 백라이트 밝기 설정과 연동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이미지를 열람하는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user interfac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a change rate of a degree according to a touch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process of performing a step S250 shown in FIG. 2 by a user interface op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user interface operator to determine a screen scrolling speed of touch pressure, and thus operating a user interface.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user interface by determining a screen movement speed of touch pressure by a user interface op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viewing a phonebook adjusts a phonebook screen scrolling speed using touch pressure;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ouch pressure is linked to a backlight brightness setting of a scree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user viewing an image adjusts a position of an image currently displayed.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사용자가 특정 장치에 접근하여 명령을 내리고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생성된 물리적, 가상적 매개체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장치가 휴대 단말기인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환경 설정, 이미지 디스플레이, 음원 재생, 화면 스크롤, 게임, 방송 시청, 무선 인터넷 사용 등을 수행하기 위한 매개체를 의미할 수 있다. The user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physical and virtual media created to allow a user to access a specific device to issue a command and perform a specific function. In particular, when the device is a mobile terminal, the user interface may mean a medium for performing environment setting, image display, sound source playback, screen scrolling, game, broadcast watching, and wireless Internet use.
또한, 본 발명의 정도(degree)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에 적용될 수 있는 빠르고 느림, 밝고 어두움, 크고 작음, 높고 낮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의 소리 크기 조절에 대한 정도는 소리 크기의 높고 낮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동일한 취지에서, 스크롤에 대한 정도는 스크롤 속도의 빠르고 느림을 의미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egre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fast, slow, bright and dark, large and small, high and low, etc. that can be applied to the user interface operation. For example, the degree of sound volume control of the sound source may mean high and low sound levels. In the same sense, the degree to scrolling may mean fast and slow scrolling speed.
또한, 본 발명의 터치 압력 연동 모드란 터치 압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도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도록 설정된 모드를 말한다. In addition, the touch pressure interlocking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mode set to operate the user interfac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change rate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lu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V, 컴퓨터, 노트북 등 대형 디스플레이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using a portable terminal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a large display device such as a TV, a computer, a laptop, and the like.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preferab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smar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MP3 players, and the like, and applic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저장부(130), 터치스크린부(140), 키입력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무선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The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The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터치 압력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도의 변화 속도를 결정하도록 설정하고, 터치 압력에 따라 상기 정도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The
터치스크린부(140)는 표시부(140A) 및 터치 패널(140B)를 포함한다. The
표시부(140A)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40A)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A)는 휴대 단말기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표시 화면, 통화 화면, 설정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출력한다.The
터치 패널(140B)은 터치 기구가 터치스크린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터치 기구에는 사용자의 손 또는 터치펜(스타일러스 펜) 등이 해당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0B)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가 본 발명의 터치 패널(140B)에 사용될 수 있다. The
터치 패널(140B)은 표시부(140A)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휴대 단말기의 일면, 일측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40B)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터치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신호는 위치 정보(X축, Y축)와 압력 정보(Z축)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 위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키입력부(150)는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키입력부(150)는 숫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일측 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스크린부(140)만으로 모든 조작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키입력부(150)가 터치스크린부(140)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60)는 터치 압력 추출부(160A)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터치 압력 추출부(160A)는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터치스크린부(140)로부터 전송되며 위치 정보(X축, Y축)와 압력 정보(Z축)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한다. 터치 압력 추출부(160A)는 상기 터치 신호 중 특히,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로 전달한다. When a touch event occurs, the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압력에 따라 정도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스크린의 특정 위치에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터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클릭(click)을 위한 일반적인 터치와 터치 압력 연동 모드 진입을 위한 터치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미리 설정되는 시간은 "1초", "2초"와 같이 디폴트 값으로 정해질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터치 습관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The
만약,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터치가 유지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상기 터치 압력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도의 변화 속도를 결정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 연동 모드로 진입하여 터치 압력에 따라 정도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 추출부(160A)에서 추출되어 전달되는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If the touch is maintained for a preset time, the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이 폰 북 열람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이 스크롤(scroll) 속도의 정도를 결정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이 증가할수록 폰 북 화면의 스크롤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하고, 터치 압력이 감소할수록 폰 북 화면의 스크롤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function is a phone book view, th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능이 이미지 표시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이 화면 이동 속도를 결정하도록 설정한다. 그러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이 증가할수록 해당 방향으로의 화면 이동 속도가 빨라지도록 제어하고, 터치 압력이 감소할수록 해당 방향으로의 화면 이동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unction is an image display, the
상기에서는 터치 압력이 스크롤 속도 또는 화면 이동 속도의 정도를 결정하는 사항에 대해서만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정도(degree)를 표시하거나 설정하는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의 명도, 채도와 같은 명암 설정, 화면상 동작의 속도, 소리 크기 조절, 길이 표시, 이미지 크기 확대 또는 축소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matters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the scroll speed or the screen movement spee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y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or sets degrees. For example, it may be used in a user interface such as setting brightness, brightness, saturation, speed of on-screen motion, sound volume control, length display, image size up or down, and the like.
본 발명의 터치 압력에 따라 정도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Specific embodiments of operating the user interfac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speed of change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가 터치 압력에 따라 정도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 user interfac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a change rate of a degree according to a touch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20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메뉴에 진입하였음을 감지한다. 상기 특정 기능이란, 상술한 바와 같은 정도를 표시하거나 설정하는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폰 북, 이미지 보기, 음원 재생, 휴대 단말기의 환경 설정 등일 수 있다. First, in operation S205,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210 단계에서 특정 위치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특정 위치란 터치 압력과 특정 기능을 연동시키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소프트키의 위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압력과 특정 기능을 연동시키기 위해 반드시 소프트키를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특정 위치란 터치스크린 상의 임의의 위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In operation S210,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22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생한 터치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유지되는지 판단한다. 이는 일반적인 터치와 본 발명의 터치 압력 연동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터치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상기 터치가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으면 이를 일반적인 터치로 감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230 단계로 진행하여 휴대 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In operation S220, the
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상기 터치가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면, 이를 터치 압력 연동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터치로 감지하고 S240 단계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S250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압력에 따라 정도의 변화 속도를 증감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ouch is maintained for more than the set time, the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음원 재생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이 음원의 소리 크기를 결정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이 증가할수록 음원의 소리가 점차 빠른 속도로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제어하고, 터치 압력이 감소할수록 음원의 소리가 점차 느린 속도로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nterface is a sound source playback, the
또 다른 예시로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부(140A)의 백라이트 밝기 조절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이 화면의 밝기 변화 속도를 결정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이 증가할수록 백라이트 밝기가 점차 빠른 속도로 어두워지거나 밝아지도록 제어하고, 터치 압력이 감소할수록 백라이트 밝기가 점차 느린 속도로 어두워지거나 밝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극히 일부에 불과할 뿐, 반드시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interface is a backlight brightness control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가 도 2에 도시된 S250 단계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pecific process of performing the step S250 shown in FIG. 2 by the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 연동 모드 진입 시, S310 단계에서 터치 압력(또는 터치 압력 세기)을 표시하기 위한 터치 압력 지시자를 터치스크린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터치 압력 지시자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가해진 터치 압력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터치 압력 지시자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할 정도의 과도한 터치 압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First, when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320 단계에서, 터치 압력 추출부(160A)로부터 전달되는 터치 신호로부터 터치 압력 신호를 추출하여 감지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330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에 따라 터치 압력과 연동된 특정 기능의 수행 정도를 제어하며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In operation S320, the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도의 변화 속도를 아래의 표 1과 같이 레벨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
--
-
-
-
--
-
-
다시 말해, 터치스크린에 발생한 터치 압력의 크기가 20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레벨 2의 정도로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도의 변화 속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화면 스크롤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레벨 2의 속도로 화면을 스크롤한다. 또는, 음원의 소리 크기 조절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레벨 2의 속도로 소리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In other words, when the size of the touch pressure generated in the touch screen is 20,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340 단계에서 발생한 터치 압력이 변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터치 압력에 변화가 없으면 S330 단계로 복귀하여 해당 인터페이스를 계속하여 수행한다. The
반면, 터치 압력에 변화가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345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가 해제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가 해제된 것이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해당 기능의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 터치가 해제된 것이 아니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350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압력이 증가한 것인지 또는 감소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touch pressure, the
터치 압력이 증가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37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도의 변화 속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화면 스크롤 이벤트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화면 스크롤 속도를 레벨 3의 속도로 증가시킨다. 또는, 음원의 소리 크기 조절 이벤트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레벨 3의 속도로 소리 크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If the touch pressure is increased,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다음 레벨에 해당하는 터치 압력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 크기를 감지한 경우에 터치 압력이 증가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레벨이 2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가 터치 압력의 증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레벨 3에 해당하는 최소 터치 압력 크기인 26 이상의 터치 압력을 감지해야 한다. Her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터치 압력이 감소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36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도의 변화 속도를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화면 스크롤 이벤트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화면 스크롤 속도를 레벨 1의 속도로 감소시킨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ouch pressure is reduced, the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이전 레벨에 해당하는 터치 압력 크기 범위의 압력 크기를 감지한 경우에 터치 압력이 감소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레벨이 2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가 터치 압력의 감소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레벨 1의 최대 터치 압력 크기인 10 이하의 터치 압력을 감지해야 한다. Similarly, the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가 터치 압력이 화면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도록 설정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도 6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6은 폰북을 열람하는 사용자가 터치 압력을 이용하여 폰북 화면 스크롤 속도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한편, 도 4 및 도 6에서는 터치 압력에 따라 정도를 변화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키를 구비하는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s 4 and 6 shows an embodiment having a separate softkey for operating the user interface by changing the degree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우선, 도 4의 시작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화면 스크롤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메뉴에 진입하였음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메뉴는 폰 북, 음원 재생, 이미지 디스플레이 등 전체 정보를 한 화면에 모두 표시 할 수 없는 메뉴들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 도 6에서 폰 북 메뉴에 진입하였음을 가정하였다. 그러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 압력이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도록 설정한다. First, in the start step of FIG. 4, the
그리고 도 6에서는 사용자가 해당 폰북 화면을 상(上)측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소프트키(620)를 터치하면, 이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160)에 전달된다. 그리고 터치 압력 추출부(160A)는 해당 터치 신호에서 터치 압력을 추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로 전달한다. 그러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05 단계에서, 터치 압력 추출부(160A)로부터 전달되는 터치 압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스크린에 발생한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FIG. 6, when the user touches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10 단계에서, 획득된 터치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스크롤 속도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감지된 터치 압력의 크기가 5인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레벨 1에 해당하는 스크롤 속도를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15 단계에서, 확인된 스크롤 속도에 따라 화면을 상측으로 스크롤한다. 도 6의 <a>에서, 폰북 화면이 레벨 1에 해당하는 속도로 상측으로 스크롤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operation S410,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20 단계에서, 현재 화면 스크롤 속도(레벨 1)와 연동되는 터치 압력 지시자(610)를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터치 압력 지시자(610)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가해진 터치 압력의 크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터치 압력 지시자(610)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에 물리적인 충격을 가할 정도의 압력이 주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S420,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25 단계에서, 터치 압력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변화가 없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3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도 6의 <a>에서는 레벨 1의 속도로 폰북 화면을 상측으로 스크롤 한다. In operation S425, the
반면, 터치 압력의 변화가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35 단계에서 터치가 해제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가 해제된 것이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해당 기능을 종료한다. 그러나 터치가 해제된 것이 아니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40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압력이 증가된 것인지 또는 감소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touch pressure, the
터치 압력이 증가된 것이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45 단계로 진행하여 화면의 스크롤 속도가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가 터치의 증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변경된 터치 압력의 세기가 표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11~25 범위 내에 있음을 가정한다. 이 경우, 도 6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폰북의 화면 스크롤 속도는 레벨 2에 해당하는 속도로 증가된다. If the touch pressure is increased,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20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압력 지시자(610)를 변경된 화면 스크롤 속도(레벨 2)와 연동시켜 표시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터치 압력이 감소된 것이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450 단계로 진행하여 화면의 스크롤 속도가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ouch pressure is reduced, the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터치가 해제되면 해당 기능 수행을 종료한다. The
한편, 도 6에서는 화면을 상측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소프트키(620)와 하(下)측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소프트키(630)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여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스크롤을 위한 소프트키를 하나로 통합하고, 레벨 1 및 레벨 2의 경우에는 스크롤 속도가 감소하도록 제어하고, 레벨 3 및 레벨 4의 경우에는 스크롤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Meanwhile, although FIG. 6 has been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도 6에서는 터치 압력이 폰북의 화면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도를 표시하거나 설정하는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수 있으며, 도 7에서는 터치 압력이 화면의 백라이트 밝기 설정과 연동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In FIG. 6, an embodiment in which touch pressure determines a screen scrolling speed of a phone book is describ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y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or sets the degree, and FIG. 7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ouch pressure is linked to the backlight brightness setting of the screen.
도 7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7 will be briefly described.
우선, 도 7의 <a>에서 사용자가 화면의 백라이트를 밝게 설정하기 위한 소프트키(720)를 레벨 4의 터치 압력으로 터치하였음을 가정한다. 그러면 백라이트 밝기는 레벨 4의 속도로 점자 밝아지며, 터치 압력 지시자(710)는 현재 터치 압력이 레벨 4에 해당함을 표시한다. 그리고 터치 압력이 작아질수록, 백라이트가 밝아지는 속도는 점차 감소한다는 것은 상기와 같다. First, in FIG. 7A, it is assumed that the user has touched the
반면, 도 7의 <b>에서 사용자가 화면의 백라이트를 어둡게 설정하기 위한 소프트키(730)를 레벨 1의 크기로 터치하였음을 가정한다. 그러면 백라이트의 밝기는 레벨 1의 속도로 점차 어두워지며, 터치 압력 지시자(710)는 현재 터치 압력이 레벨 1에 해당함을 표시한다. 그리고 터치 압력이 증가할수록, 백라이트가 어두워지는 속도는 점차 증가한다는 것은 상기와 같다. In contrast, in FIG. 7B, it is assumed that the user has touched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가 터치 압력이 화면 이동 속도를 결정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5를 설명함에 있어 도 8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8은 이미지를 열람하는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는 이미지의 위치를 조절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한편, 도 5 및 도 8에서는 터치 압력에 따라 정도를 변화시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키를 구비하지 않는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다. 5 and 8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a soft key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changing the degree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is not provided.
우선, 도 5의 시작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화면 이동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메뉴에 진입하였음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임의의 메뉴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메뉴일 수 있으며, 이는 도 8의 <a>에서 도시된다. 도 8의 <a>는 전체 이미지(805)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이미지 표시 영역(810)에 해당하는 이미지만을 터치스크린에 표시(815)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체 이미지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First, in the start step of FIG. 5, the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05 단계에서, 터치스크린의 임의의 영역에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화면 이동을 위한 소프트키를 개시한다. 이는 도 8의 <b>에서 도시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한 임의의 영역(820)을 중심으로 상(825a), 하(825c), 좌(825b), 우(825d)에 화면 이동을 위한 방향 소프트키가 개시된다. 상기에서는 방향 소프트키를 개시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소프트키가 개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이후에 터치되는 영역이 최초 터치된 임의의 영역(820)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중 어느 방향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화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In operation S505, the
한편, 사용자가 화면 이동을 위해 상기 방향 소프트키 중 임의의 방향을 선택하여 터치하면, S510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수신되는 터치 신호로부터 터치 압력 및 화면의 이동 방향을 추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터치된 방향 소프트키 또는 터치의 이동 방향을 이용하여 화면의 이동 방향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해당 터치 압력에 대응하는 화면 이동 속도를 확인한다. Meanwhile, when the user selects and touches any direction among the direction softkeys for moving the screen,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20 단계에서, 확인된 화면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에 따라 현재 화면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도 8의 <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프트키(825a)를 레벨 1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터치한 경우, 현재 화면은 상측으로 이동한다. In operation S520,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25 단계에서, 현재 화면 이동 속도(레벨1)와 연동되는 터치 압력 지시자(830)를 터치스크린의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30 단계에서, 터치 압력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변화가 없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3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계속하여 수행한다. In operation S530, the
반면, 터치 압력의 변화가 있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40 단계로 진행하여 화면 이동 방향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화면 이동 방향이 변경되지 않았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45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화면 이동 방향을 유지한다. 반면, 화면 이동 방향이 변경되었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50 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방향에 따라 화면 이동 방향을 변경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change in the touch pressure,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55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가 해제되었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해당 기능 수행을 종료한다. 반면, 터치가 해제된 것이 아니라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60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압력의 증가 또는 감소를 판단한다. In operation S555, the
터치 압력이 증가한 것이라면, S56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방향으로의 화면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킨다. 반면, 터치 압력이 감소된 것이라면, S57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방향으로의 화면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킨다. If the touch pressure is increased, the flow proceeds to step S565 to increase the moving speed of the scree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touch pressure is reduced, the flow proceeds to step S570 to reduce the moving speed of the scree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도 8의 <d>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소프트키(825a)를 터치하는 압력을 레벨 2에 해당하는 압력으로 증가시킨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현재 화면의 상측으로의 이동 속도를 레벨 2에 해당하는 속도로 증가시킨다. Referring to <d> of FIG. 8, when the pressure of the user touching the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S525 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압력 지시자(830)를 변경된 화면 이동 속도(레벨 2)와 연동시켜 표시하며, 이는 도 8의 <d>에 도시된다. The
한편, 도 8의 <e>에서는 화면 이동 중, 터치 압력 및 화면 이동 방향이 변경된 경우를 도시한다. 임의의 시점에, 사용자가 소프트키(825d)를 레벨 3의 압력으로 터치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부(160B)는 현재 화면의 우측으로의 이동 속도를 레벨 3에 해당하는 속도로 증가시킨다. Meanwhile, FIG. 8E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touch pressure and the screen movement direction are changed during the screen movement. At any point in time, if the user touches the
Claims (14)
복수 개의 표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다른 메뉴 아이템에 대한 입력 없이, 상기 화면 상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표시 객체 중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상응하는 제1 표시 객체 만을 위한 출력의 정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objects;
Detecting a touch input on the screen without inputting another menu item; And
And controlling a degree of output for only a first display object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touch input is detected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sure level of the touch input.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레벨에 따라 상기 표시 객체를 위한 출력의 정도 변화를 결정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determine a change in the degree of output for the display object according to the pressure level of the touch input.
상기 표시 객체 출력은 상기 표시 객체의 길이 조절 또는 이미지 크기 조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isplay object output includes adjusting the length or image size of the display object.
상기 터치의 압력 증가 시, 상기 표시 객체를 위한 출력의 정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터치의 압력 감소 시, 상기 표시 객체를 위한 출력의 정도를 감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touch, increasing the degree of output for the display object,
Reducing the degree of output for the display object when the pressure of the touch is reduced.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크기를 표시하는 터치 압력 지시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ing a touch pressure indicator indicating the pressure magnitude of the touch input.
스크롤, 소리 조절, 명암 조절, 화면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for the display objec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scrolling, sound adjustment, contrast adjustment, screen movement speed, and the like.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스크롤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스크롤 속도를 점차 증가시키고,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이 감소할수록 스크롤 속도를 점차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And when the user interface is scroll, the scroll speed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pressure of the touch input is increased, and the scroll speed is gradually decreased as the pressure of the touch input is decreased.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화면을 표시되는 터치스크린부; 및
복수 개의 표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다른 메뉴 아이템에 대한 입력 없이 상기 화면 상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표시 객체 중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된 위치에 상응하는 제1 표시 객체만을 위한 출력의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In th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 touch scree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input and display a screen; And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objects, detecting a touch input on the screen without inputting other menu items, and at a position where the touch input is detected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objects according to a pressure level of the touch inpu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output for the corresponding first display object only.
상기 터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레벨에 따라 상기 표시 객체를 위한 출력 정도(degree)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setting a change of an output degree for the display object according to a pressure level of the touch input when the touch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상기 표시 객체를 위한 출력은 상기 표시 객체의 길이 조절 또는 이미지 크기 조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put for the display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comprises adjusting the length or size of the display object.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증가 시, 상기 표시 객체를 위한 출력의 정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감소 시, 상기 표시 객체를 위한 출력의 정도를 감소 시키도록 제어시키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touch input, increases the degree of output for the display object,
The terminal for controlling to reduce the degree of output for the display object when the pressure of the touch input is reduced.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크기를 표시하는 터치 압력 지시자를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touch pressure indicator to display the touch pressure indicator indicating the pressure level of the touch input.
스크롤, 소리 조절, 명암 조절, 화면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ser interface for the display object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scrolling, sound control, contrast control, the screen moving speed.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스크롤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스크롤 속도를 점차 증가시키고,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이 감소할수록 스크롤 속도를 점차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The method of claim 13,
If the user interface is scrolling, the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oll speed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pressure of the touch input is increased, and the scroll speed is gradually decreased as the pressure of the touch input is decreas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75973A KR102303542B1 (en) | 2018-01-05 | 2019-12-27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01475A KR20180006470A (en) | 2018-01-05 | 2018-01-05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
| KR1020190175973A KR102303542B1 (en) | 2018-01-05 | 2019-12-27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01475A Division KR20180006470A (en) | 2018-01-05 | 2018-01-05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2752A true KR20200002752A (en) | 2020-01-08 |
| KR102303542B1 KR102303542B1 (en) | 2021-09-17 |
Family
ID=6915438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75973A Expired - Fee Related KR102303542B1 (en) | 2018-01-05 | 2019-12-27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03542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346923A (en) * | 1992-06-15 | 1993-12-27 | Nippon Signal Co Ltd:The | Display and input device |
| JPH06202776A (en) * | 1992-10-29 | 1994-07-22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of pressure on input device |
| KR20080045143A (en) * | 2005-07-29 | 2008-05-22 | 인터링크일렉트로닉스,인크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control functions through sensors with touch-sensitive control input surfaces |
| KR20090041612A (en) * | 2007-10-24 | 2009-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 book marking area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2019
- 2019-12-27 KR KR1020190175973A patent/KR10230354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5346923A (en) * | 1992-06-15 | 1993-12-27 | Nippon Signal Co Ltd:The | Display and input device |
| JPH06202776A (en) * | 1992-10-29 | 1994-07-22 |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of pressure on input device |
| KR20080045143A (en) * | 2005-07-29 | 2008-05-22 | 인터링크일렉트로닉스,인크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control functions through sensors with touch-sensitive control input surfaces |
| KR20090041612A (en) * | 2007-10-24 | 2009-04-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tting a book marking area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03542B1 (en) | 2021-09-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10028834A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f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 |
| US12346553B2 (en) | Widget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 |
| US11054988B2 (en) |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 KR10166272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for electronic device | |
| US8599163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dynamically adjusted touch area | |
| AU2010304098B2 (en) |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 KR101405928B1 (en) | A method for generating key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 |
| US9110582B2 (en) | Mobile terminal and screen change control method based on input signals for the same | |
| US20100088628A1 (en) | Live preview of open windows | |
| US20080222545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Global Setting User Interface | |
| US9658714B2 (en) | Electronic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 |
| US20110193805A1 (en) | Scre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having multiple touch screens | |
| US20080297485A1 (en) |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 menu in a mobile terminal | |
| US20100123676A1 (en) | Dual input keypa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 KR20090066368A (en) |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function thereof | |
| RU2607272C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 |
| US20170115861A1 (en) | Termina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 CN106371749A (en) |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control | |
| EP4546100A1 (en) | Multi-task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 KR101958747B1 (en) | Method for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in a portable terminal | |
| KR10230354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 |
| KR2016010294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 |
| EP3674867B1 (en) | Human-computer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 KR20110010522A (en) | User interface method and terminal using drag gesture | |
| KR2018000647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ouch pressure on touch screen of mobile st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9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