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403A -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Google Patents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ng orthodontic dat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8403A KR20200008403A KR1020180082484A KR20180082484A KR20200008403A KR 20200008403 A KR20200008403 A KR 20200008403A KR 1020180082484 A KR1020180082484 A KR 1020180082484A KR 20180082484 A KR20180082484 A KR 20180082484A KR 20200008403 A KR20200008403 A KR 202000084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arch
- dental
- teeth
- dental ar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10000002455 dental arch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8000011960 computer-aided desig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3075 data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4283 inciso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61274 Maloccl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256 coordination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07 rearrang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829 Ficus sunda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693 gingiv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73 mandib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61C2007/004—Automatic construction of a set of axes for a tooth or a plurality of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재배열된 치아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셋업 모델 데이터를 빠르고 간편하게 도출할 수 있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utomatic orthodontic data, and more particularly, automatic orthodontic data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deriving setup model data, which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of teeth rearranged to a position to be corrected. It relates to a production method.
치아 교정이라 함은 치아에 적당한 힘을 가하여 치조골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치아를 움직여 주는 기능적/심미적 치료를 말한다. Tooth correction refers to a functional / aesthetic treatment that moves a tooth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alveolar bone by applying an appropriate force to the tooth.
치아가 고르게 나 있지 않는 경우를 부정 교합이라 하는데, 부정 교합인 경우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음식을 잘 씹을 수가 없고, 발음에 악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게다가 부정 교합을 방치하게 되면 충치 또는 잇몸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장기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른 질병을 유발하거나 더 악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When the teeth are not evenly called malocclusion, malocclusion is not only good appearance, but also functionally unable to chew food, and may adversely affect pronunciation. In addition, neglect of malocclusio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caries or gum disease, and can affect other parts of the body for a long time, causing other diseases or worsening.
따라서, 부정 교합이 있는 경우 치열 교정을 통해 치아를 올바른 위치 및 자세로 움직여 바른 치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치열 교정을 통해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획득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치열 교정을 통해 치아와 무관하다고 오해하던 다른 병들을 치유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도 하다.Therefore, if there is a malocclusion, it is desirable to move the tooth to the correct position and posture through orthodontics to maintain the correct dental state. Indeed, many people have gained confidence in their appearance through orthodontics, and they often heal other illnesses that have been mistaken for their teeth.
이러한 치열 교정에는 치아를 점진적으로 이동시켜 치아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치열 교정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치열 교정기는 교정용 브라켓(bracket)과 탄성을 갖는 아치 와이어(Arch wire)를 포함한다. In such orthodontics, orthodontics are us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teeth by gradually moving the teeth.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es include orthodontic brackets and arch wires that are elastic.
브라켓은 교정 대상이 되는 치아의 치면(tooth face)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아치 와이어는 이러한 브라켓들에 연결된다. 이렇게 브라켓들에 연결된 아치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아치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하면, 부정 교합된 치아는 아치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서 그 위치 및 자세를 변경하게 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아 교정이 이루어진다.The bracket is firmly attached to the tooth face of the tooth to be corrected, and the arch wire is connected to these brackets. Thus,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arch wire connected to the brackets to vary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arch wire, the unocclusd teeth change their position and posture by the tension of the arch wire, The teeth are corrected by moving little by little.
그런데, 교정용 브라켓(bracket)과 아치 와이어(Arch wire)를 통한 교정방법은 심미적인 관점에서 불리하고, 복잡하고 긴 시간이 소요되며, 시술 중에 치아관리가 불편한 점이 많아 최근 투명하게 제작된 마우스피스 형상의 투명교정기로 치열교정을 진행하는 투명교정 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By the way,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arch wire (orthodontic method) are disadvantageous from the aesthetic point of view, complicated and take a long time, and the dental care is recently made transparent because of the inconvenience of dental care during the procedure The transparent calibration method of performing orthodontic calibration with a transparent calibrator of shape is drawing attention.
이러한 투명교정 방식에는 환자의 구강구조에 대한 3차원 형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환자의 3차원 구강구조로부터 이상적인 치아 배열 상태를 시각화하는 과정이 수반되는데, 종래에 3차원 상에서 이상적인 치아배열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각 치아들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이동/회전시켜야 하므로 적지 않은 작업시간이 소요된다. This transparent calibration method involves acquiring three-dimensional shape data of the oral structure of the patient and visualizing an ideal tooth arrangement state from the acquired three-dimensional oral structure of the patient. In order to do this, each tooth must be manually moved / rotated, so it takes a lot of work time.
또한, 이상적인 배치를 하는 중에도 특정 구간에서 치아간 간섭이 생기거나 남는 공간이 생길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이전에 배치했던 치아들을 다시 이동시키는 등의 재배치를 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during an ideal placement, interference between teeth may occur or a space may remain in a certain section. In such a case, it is inconvenient and time-consuming because it requires relocation such as moving the previously placed teeth again.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의 치아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치아 데이터에서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재배열된 치아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셋업 모델 데이터를 빠르고 간편하게 도출할 수 있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derive the setup model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for the teeth rearranged to the position to be corrected 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about the teeth of the patient To provide automatic orthodontic data gene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에서, 치열 교정을 위해 환자의 치아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 상기 치열 교정을 위한 덴탈 아치(dental arch)를 생성하는 덴탈 아치 생성단계; 상기 치아 데이터에서 치근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루트 아치(root arch)를 생성하는 루트 아치 생성단계; 및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재배열된 치아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셋업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상기 루트 아치 및 상기 덴탈 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시킴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D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of acquiring the dental data, which is the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about the teeth of the patient for orthodontics; A dental arch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dental arch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 root arch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root arch based on positions of the roots in the tooth data; And a setup model data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setup model data which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of teeth rearranged to a position to be corrected, where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ng step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root arch and the dental arch. An automatic orthodontic data generation method may b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y changing any one.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에서, 상기 덴탈 아치를 변화시킬 때 상기 루트 아치에 기초하여 상기 치아들이 변화될 수 있다.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the teeth may be changed based on the root arch when changing the dental arch.
상기 치아 데이터로부터 덴탈 플레인(Dental plane)을 생성하는 덴탈 플레인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덴탈 아치 생성단계에서, 상기 덴탈 아치(dental arch)는 상기 치아 데이터의 교합 평면(occlusal plane) 상에 생성되며, 상기 루트 아치 생성단계에서, 상기 루트 아치(root arch)는 상기 교합 평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덴탈 아치를 변화시킬 때 상기 치아들은 상기 루트 아치에 구속되어 변화될 수 있다.A dental plane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dental plane from the dental data is further included. In the dental arch generation step, the dental arch is generated on an occlusal plane of the dental data. In the root arch generating step, the root arch is spaced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and when the dental arch is changed, the teeth may be constrained and changed by the root arch.
상기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는, 상기 치아들 각각의 세로방향의 기준축인 치축을 생성하는 치축 생성단계; 및 상기 치축 상에 상기 치아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연결점이 생성되는 연결점 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may include a tooth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tooth axis which is a reference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teeth; And a connection poi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connection poin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ooth on the tooth axis.
상기 치축 생성단계는, 상기 치아의 좌우 단부에서 선택된 제1 선택점 및 제2 선택점을 연결하며, 상기 치아의 배치방향을 표시하는 치아 방향선을 설정하는 치아방향선 설정단계; 상기 치아 방향선을 하방으로 연장한 치아방향평면을 도출하는 치아방향평면 도출단계; 및 상기 치아방향평면 상의 중심선을 상기 치축으로 설정하는 치축 설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덴탈 아치를 변화시킬 때 상기 치축은 상기 루트 아치에 구속되거나 상기 루트 아치를 변화시킬 때 상기 치축은 상기 루트 아치에 구속될 수 있다. The tooth axis generating step may include: a tooth direction line setting step of connecting a first selection point and a second selection point select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tooth and setting a tooth direction line indicating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ooth; A tooth direction plane deriving step of deriving a tooth direction plane extending downward of the tooth direction line; And a tooth setting step of setting a center line on the tooth direction plane as the tooth axis, wherein the tooth axis is constrained to the root arch when the dental arch is changed or the tooth axis is connected to the root arch when the root arch is changed. May be constrained.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상기 연결점들이 동시에 상기 덴탈 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점들에 대응되는 상기 치아들도 이동하는 연결점 이동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tup model data may include a connection point movement step of moving the teeth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ints as the connection points are simultaneously moved to the dental arch.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상기 치아방향평면이 상기 덴탈 아치 상의 상기 연결점에서의 접선방향(tangential direction)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치아방향평면이 회전되는 치아방향평면 회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tup model data may further include a tooth plane rotating step in which the tooth plane is rotated such that the tooth plane is disposed in a tangential direction at the connection point on the dental arch.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상기 치아들이 재배열되도록 상기 덴탈 아치 및 상기 루트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수정하는 아치 수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tup model data may further include an arch correction step of modifying a shape of at least one of the dental arch and the root arch such that the teeth are rearranged to a position to be corrected.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상기 연결점들의 위치를 보정하는 연결점 위치 보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setup model data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int position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oints.
상기 연결점들은 상기 덴탈 아치 및 상기 루트 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연동되도록 선택되거나 상기 덴탈 아치 및 상기 루트 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비연동되도록 선택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동에 연동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연결점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치아들이 이동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ints are provided to be selected to be linked to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dental arch and the root arch or to be non-synchronized to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dental arch and the root arch, and when selected to be linked to the movement. The teeth may be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ints.
상기 덴탈 아치 생성단계에서, 상기 덴탈 아치는 상기 치아들의 배열상태에 기초하여 곡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the dental arch may be provided in a curved shape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덴탈 아치 생성단계는, 상기 덴탈 아치 상에 배치되는 5개의 덴탈 아치용 컨트롤 포인트를 생성하는 컨트롤 포인트 생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may include a control point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five dental arch control points disposed on the dental arch.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에서, 상기 차아들 사이의 간격들을 더한 치아 전체 간격과, 상기 치아 전체 간격을 치아들의 개수로 나눈 치아 평균 간격과, 앞니와 교합 평면(occlusal plane) 사이의 기울기가 실시간으로 계산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the total tooth spacing plus spacing between the teeth, the tooth average spacing divided by the total tooth spacing, and the inclination between the incisor and the occlusal plane are in real time. It can be calcul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에서, 환자의 치아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치아 데이터에서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재배열된 치아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셋업 모델 데이터를 빠르고 간편하게 도출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D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the setup model data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for the teeth rearranged to the position to be corrected in the tooth data, which is the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for the teeth of the patient Can be derived quickly and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에서 획득된 치아 데이터가 표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에서 생성되는 치축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치아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덴탈 플레인(Dental plane)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덴탈 아치 생성단계에서 형성되는 덴탈 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연결점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연결점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루트 아치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루트 아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가 수행되기 전의 치아 배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가 수행된 후의 치아 배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orthodontic data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ooth data obtained in 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of FIG. 1.
3 is a view showing a tooth axis generated in 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of FIG.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ntal plane generated from the dental data of FIG. 1.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ntal arch formed in 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of FIG. 1.
6 and 7 illustrate connection points generated in the connection point generation step of FIG. 1.
8 is a view showing a root arch generated in the root arch generation step of FIG.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tooth arrangement state before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of FIG. 1 is performed.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tooth arrangement state after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of FIG. 1 is performed.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에서 획득된 치아 데이터가 표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에서 생성되는 치축이 표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치아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덴탈 플레인(Dental plane)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덴탈 아치 생성단계에서 형성되는 덴탈 아치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연결점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연결점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루트 아치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루트 아치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9는 도 1의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가 수행되기 전의 치아 배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가 수행된 후의 치아 배열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utomatic orthodontic data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tooth data obtained in 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of Figure 1, Figure 3 is a tooth of Figure 1 FIG. 4 is a view showing a tooth axis generated in the data extraction step,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ntal plane generated from the dental data of FIG. 1, and FIG. 5 is a digital arch formed in the dental arch generation step of FIG. 1. 6 and 7 ar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point generated in the connection point generation step of FIG. 1,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root arch generated in the root arch generation step of FIG. 1. 9 is a view illustrating a tooth arrangement state before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of FIG. 1 is performed, and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tooth arrangement state after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of FIG. 1 is performed. .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은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에서 수행된다.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은, 3차원 형상정보가 처리되는 연산부(미도시)와, 연산부(미도시)에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와, 연산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된 3차원 형상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산부(미도시)는 퍼스널 컴퓨터(PC)가 해당될 수 있고, 입력부(미도시)는 키보드, 마우스 및 터치스크린이 해당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모니터가 해당될 수 있다.The automatic orthodontic data gen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in a computer aided design (CAD) system. Computer Aided Design (CAD) system includes an arithmetic unit (not shown) in which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is processed, an input unit (not shown) for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arithmetic unit (not shown), and an arithmetic unit (not shown).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visually displaying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The computing unit (not shown) may correspond to a personal computer (PC), the input unit (not shown) may correspond to a keyboard, a mouse, and a touch screen, and the display unit (not shown) may correspond to a monitor.
이러한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 교정을 위해 환자의 치아(T)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S110)와, 치아 데이터로부터 덴탈 플레인(Dental plane)을 생성하는 덴탈 플레인 생성단계(S120)와, 치열 교정을 위한 덴탈 아치(dental arch, DA)를 생성하는 덴탈 아치 생성단계(S130)와, 치아 데이터에서 치근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루트 아치(root arch, RA)를 생성하는 루트 아치 생성단계(S140)와,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재배열된 치아(T)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셋업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S150)를 포함한다. The automatic orthodontic data generation method performed in the CAD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as shown in Figures 1 to 10, teeth data that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about the teeth (T) of the patient for orthodontics Tooth data extraction step (S110) for obtaining a, a dental plane generation step (S120) for generating a dental plane from the dental data (Dental plane), and a dental arch for generating a dental arch (dental arch, DA) for orthodontics The generation step (S130), the root arch generation step (S140) for generating a root arch (root arch, R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roots in the tooth data, and the teeth (T) rearranged to the position to be corrected And a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S150) of generating setup model data that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S110)에서는 치열 교정을 위해 환자의 치아(T)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치아 데이터가 획득된다. 치아 데이터는, 환자의 치아(T)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로서 3차원 스캐너 등의 입체 형상 생성장치를 통해 디지털화된 데이터이며,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에서 인식하는데 용이하도록 입체물의 표면을 다각형화된 폴리곤(Polygon)으로 표현되는 데이터이다. In 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S110), tooth data, which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of the teeth T of the patient, is obtained for orthodontic treatment. Tooth data is digitized data through a three-dimensional shape generating device such as a three-dimensional scanner a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on the teeth (T) of the patient, and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to be easily recognized by the computer aided design (CAD) system. Data is represented by polygonal polygons.
이렇게 3차원 스캐너 등의 입체 형상 생성장치를 통해 생성된 환자의 치아 데이터는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의 연산부(미도시)에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전달된다.The tooth data of the patient generate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scanner, such as a three-dimensional scanner,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of the CAD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through a wireless or wired line.
이러한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S110)에서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연산부(미도시)가 치아 데이터에서 표시되는 치아(T)와 잇몸의 외곽라인을 비교하여 치아 데이터에서 잇몸과 치아(T)를 구분하고 치아(T)의 3차원 좌표가 획득된다. 연산부(미도시)는 이렇게 구분된 차아들과 잇몸을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한다.In 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S110), the user's manipulation or calculation unit (not shown) compares the teeth T displayed in the tooth data with the outer lines of the gum to distinguish the gums and the teeth T from the tooth data, and the teeth (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 are obtained.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displays the divided teeth and gums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as shown in FIGS. 3 to 6.
또한,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S110)는, 치아(T)의 뿌리에서 머리방향으로의 기준축인 치축(S)을 생성하는 치축 생성단계와, 치축(S) 상에 치아(T)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이 생성되는 연결점 생성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S110), the tooth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tooth axis (S) which is a reference axis from the root of the tooth (T) to the head dire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teeth (T) on the tooth axis (S) A connection poi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for controlling.
치축 생성단계에서는 치아(T)들의 기준축인 치축(S)이 생성된다. 이러한 치축 생성단계(S120)는, 치아(T)의 좌우 단부에서 선택된 제1 선택점(G1) 및 제2 선택점(G2)을 연결하며 치아(T)의 배치방향(횡방향)을 표시하는 치아 방향선(110)을 설정하는 치아방향선 설정단계와, 치아 방향선(110)을 하방으로 연장한 치아방향평면(120)을 도출하는 치아방향평면 도출단계와, 치아방향평면(120) 상의 중심선을 치축(S)으로 설정하는 치축 설정단계를 포함한다.In the tooth axis generating step, the tooth axis S, which is a reference axis of the teeth T, is generated. This tooth axis generation step (S120), connecting the first selection point (G1) and the second selection point (G2) select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ooth (T) to display the placement direction (lateral direction) of the tooth (T) A tooth direction line setting step of setting the
이렇게 형성된 치축(S)은 루트 아치(RA)가 생성된 뒤에는 루트 아치(RA)를 지나게 배치된다.The tooth axis S thus formed is disposed past the root arch RA after the root arch RA is generated.
치아방향선 설정단계에서는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치아(T)의 좌우 단부에서 선택된 제1 선택점(G1) 및 제2 선택점(G2)이 선택된다. 또한, 치아방향선 설정단계에서는 제1 선택점(G1) 및 제2 선택점(G2)을 연결하며 치아(T)의 배치방향을 표시하는 치아 방향선(110)이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된다.In the tooth direction line setting step, the first selection point G1 and the second selection point G2 select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tooth T are selected through an input unit (not shown). In addition, in the tooth direction line setting step, a
치아방향평면 도출단계에서는 치아 방향선(110)을 하방으로 연장한 치아방향평면(120)이 도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치아방향평면(120)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치아(T)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치아(T)의 하부영역에 위치하고 양측단부가 치아(T)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마련된다. In the tooth direction plane derivation step, the
치축 설정단계에서는 치아방향평면(120) 상의 중심선을 치축(S)으로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치아방향평면(120)은 상단부가 치아(T)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치아(T)의 하부영역에 위치하며 양측단부가 치아(T)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치아방향평면(120)을 세로방향으로 양분하는 세로 방향의 중심선이 치축(S)에 해당된다. 이러한 치축(S)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시각적으로 표시된다.In the tooth axis setting step, the center line on the
연결점 생성단계(S130)에서는 치축(S) 상에 치아(T)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이 생성된다.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은 치축(S) 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생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치아(T)의 최상단점을 치축(S)에 수직으로 투영한 위치, 또는 치축과 덴탈 플레인(Dental plane)이 만나는 점에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이 생성된다.In the connection point generation step (S130),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eeth T on the tooth axis S is generated.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arch arch may be cre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tooth axis S.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where the uppermost end point of the tooth T is perpendicularly projected to the tooth axis S, or the tooth axis and the dental plane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is created at the point where the (Dental plane) meets.
덴탈 플레인 생성단계(S120)에서는 치아 데이터로부터 덴탈 플레인(Dental plane)이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덴탈 플레인(Dental plane)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들의 교합되는 가상의 평면인 교합 평면(occlusal plane, OP)을 생성하는 교합 평면 형성단계와, 교합 평면(OP)에 교차하는 평면인 정중시상 평면(mid sagittal plane, SP)을 형성하는 정중시상 평면 형성단계를 포함한다.In the dental plane generation step S120, a dental plane is generated from the dental dat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ntal plane includes an occlusal plane forming step of creating an occlusal plane (OP), which is an occlusal virtual plane of teeth, as shown in detail in FIG. 4, and an occlusal plane (OP). A mid sagittal plane (SP) forming a mid sagittal plane (SP).
교합 평면 형성단계에서는 읫니와 아랫니가 교합되는 가상의 평면인 교합 평면(OP)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교합 평면(OP)은 3점이 지나는 평면으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3점 각각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앞니의 중앙점, 왼쪽 어금니, 오른쪽 어금니에 배치된다.In the occlusal plane forming step, an occlusal plane OP, which is an imaginary plane where the teeth and lower teeth occlude,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the occlusal plane OP is formed as a plane passing by three points, where each of the three points is disposed at the center point of the front teeth, the left molar teeth, and the right molar teeth, as shown in detail in FIG. 4.
정중시상 평면 형성단계에서는 교합 평면(OP)에 교차하는 평면인 정중시상 평면(mid sagittal plane, SP)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정중시상 평면(SP)은 교합 평면(OP)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평면이다.In the mid sagittal plane forming step, a mid sagittal plane (SP), which is a plane intersecting the occlusal plane OP, is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dian sagittal plane SP i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OP.
덴탈 아치 생성단계(S130)에서는 치열 교정을 위한 덴탈 아치(DA)가 생성된다. 덴탈 아치(DA)는 치아(T)들이 이상적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곡선에 해당되며, 본 실시예에서 덴탈 아치(DA)는 치아 데이터의 교합 평면(OP) 상에 생성된다. In 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S130, a dental arch DA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generated. The dental arch DA corresponds to a reference curve indicating the position where the teeth T should ideally be placed, and in this embodiment the dental arch DA is created on the occlusal plane OP of the tooth data.
덴탈 아치 생성단계(S130)에서 덴탈 아치(DA)는 치아(T)들의 배열상태에 기초하여 곡선 형상으로 마련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덴탈 아치 생성단계(S130)에서 덴탈 아치(DA)는 치아(T) 및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의 위치가 고려되어 적절한 곡선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치아(T) 및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입력부(미도시)를 조작하고, 그 조작신호에 따라 교합 평면(OP) 상에 적절한 곡선 형상의 덴탈아치(DA)가 생성된다.In 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S130, the dental arch DA is provided in a curved shape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eeth T. In detail, in 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S130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ental arch DA is provided in an appropriate curved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of the teeth T and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That is,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not shown)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of the teeth T and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an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signal, the curved arch DA appropriately on the occlusal plane OP ) Is generated.
덴탈 아치 생성단계(S130)는, 덴탈 아치(DA)가 생성된 후 덴탈 아치(DA)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5개의 덴탈 아치용 컨트롤 포인트(CP)가 생성되는 컨트롤 포인트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덴탈 아치용 컨트롤 포인트(CP)들은 차후 덴탈 아치(DA)의 형상을 변경할 시 입력부(미도시)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S130 may include a control point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five dental arch control points CP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ental arch DA after the dental arch DA is generated. The control points CP for the digital arch are parts in which an operation by an input unit (not shown) is performed when the shape of the digital arch DA is changed later.
루트 아치 생성단계(S140)에서는 치아 데이터에서 치근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루트 아치(RA)가 생성된다. 본 실시예의 치아 데이터 상에서 치근은, 도 3과 도 9 및 도 10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방향평면(1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치축(S) 상에 치축기준점(G)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치축기준점(G)은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위치가 조정될 수 있으며 루트 아치(RA)를 정의하기 위한 참고용 자료 등으로 사용된다.In the root arch generation step S140, a root arch RA is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roots in the tooth data. In the tooth data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detail in FIGS. 3, 9, and 10, the root is positioned below the
치축기준점(G)의 위치는 초기에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S110)에서 구분된 치아(T)와 잇몸의 데이터에 의해 추정되며,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위치가 보정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tooth reference point (G) is initially estimated by the data of the teeth (T) and gums separated in 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S110), and the position may be corrected through an input unit (not shown).
루트 아치 생성단계(S140)에서 루트 아치(RA)는 치축기준점(G)들의 배열상태 및 잇몸의 형상에 기초하여 곡선 형상으로 마련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루트 아치 생성단계(S140)에서 루트 아치(RA)는 치축기준점(G)들의 위치 및 잇몸의 형상이 고려되어 적절한 곡선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치축기준점(G)들의 위치 및 잇몸의 형상을 고려하여 입력부(미도시)를 조작하고, 그 조작신호에 따라 적절한 곡선 형상의 루트 아치(RA)가 생성된다. In the root arch generation step S140, the root arch RA is provided in a curved shape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tooth reference points G and the shape of the gum. In detail, the root arch RA in the root arch generation step S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provided in an appropriate curved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tooth reference points G and the shape of the gum. That is,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not shown)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tooth reference points G and the shape of the gum, and a root arch RA having an appropriate curved shap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signal.
본 실시예에서 루트 아치(RA)는 교합 평면(OP) 상에서 치축기준점(G)들의 위치 및 잇몸의 형상을 기초로 형성된 뒤 덴탈 아치(DA)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되어 생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ot arch R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axis reference points G and the shape of the gum on the occlusal plane OP and then moved down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dental arch DA. have.
루트 아치 생성단계(S140)는 루트 아치(RA) 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루트 아치용 컨트롤 포인트(미도시)가 생성되는 루트 아치용 컨트롤 포인트 생성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루트 아치용 컨트롤 포인트(미도시)들은 차후 루트 아치(RA)의 형상을 변경할 시 입력부(미도시)에 의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The root arch generation step S140 includes a control point generation step for the root arch in which a plurality of root arch control points (not shown) disposed on the root arch RA are generated. These control points for the root arch (not shown) are the parts that are manipulated by the input unit (not shown) when the shape of the root arch RA is changed later.
한편, 상술한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은 덴탈 아치(DA) 및 루트 아치(RA)의 이동에 연동되도록 선택되거나 덴탈 아치(DA) 및 루트 아치(RA)의 이동에 비연동되도록 선택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의 연동 및 비연동은 입력부(미도시)의 입력신호에 의해 선택되며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녹색으로 표시된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은 덴탈 아치(DA) 및 루트 아치(RA)의 이동에 연동되도록 선택된 것이며 회색으로 표시된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은 덴탈 아치(DA) 및 루트 아치(RA)의 이동에 비연동되도록 선택된 것이다. Meanwhile, the above-mentioned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may be selected to be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and the root arch RA, or may be selected to be non-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and the root arch RA. It can be arranged to be. Interlocking and non-interlocking of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arch arch are selected by an input signal of an input unit (not shown) and visually displayed on a display unit (not shown).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shown in green in FIGS. 7 to 10 is selected to be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and the root arch RA and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shown in gray is the dental arch DA. ) And non-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root arch (RA).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이 덴탈 아치(DA) 및 루트 아치(RA)의 이동에 연동되도록 선택되면 텐탈 아치(DA)의 이동에 따라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이 덴탈 아치(DA)와 함께 이동되는데, 이러한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의 이동에 따라 치아(T)도 함께 이동된다.If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is selected to be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and the root arch (RA),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with the dental arch (DA)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The tooth T is also moved along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여기서, 덴탈 아치(DA)의 이동은 덴탈 아치(DA)의 단순이동, 회전, 형상변형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덴탈 아치(DA)는 도 8에 자세히 도시된 단순이동용 화살표(M)를 조작하는 입력부(미도시)의 입력신호에 의해 3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회전용 화살표(N)를 조작하는 입력부(미도시)의 입력신호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Here,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is meant to include all the simple movement, rotation, shape deformation of the dental arch (DA), the dental arch (DA) manipulates the simple movement arrow (M) shown in detail in FIG. It can be moved in the three-axis direction by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not shown), it can be rotated in the arrow direction by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unit (not shown) for manipulating the rotation arrow (N).
루트 아치(RA)의 이동도 덴탈 아치(DA)와 마찬가지로 단순이동, 회전, 형상변형을 모두 포함한다.The movement of the root arch RA includes all simple movements, rotations, and deformations, similar to the dental arch DA.
덴탈 아치(DA) 및 루트 아치(RA)의 이동에 따른 치아들의 이동과정에서 치아(T)들은 루트 아치(RA)에 구속되어 이동된다. 예를 들어, 덴탈 아치(DA)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덴탈 아치(DA)에 연결된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치아(T)가 루트 아치(RA)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치아(T)가 이동된다. 또한, 루트 아치(RA)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루트 아치(RA)에 연결된 치아들(T)이 덴탈 아치(DA)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식으로 치아(T)가 이동된다.During the movement of the tee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and the root arch RA, the teeth T are restrained by the root arch RA. For example, when the dental arch DA is moved forward,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connected to the dental arch DA are moved forward, so that the tooth T is centered around the root arch RA. The tooth T is moved in a rotational manner. In addition, when the root arch RA is moved forward, the teeth T are mov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eeth T connected to the root arch RA are rotated about the dental arch DA.
종래에 치열 교정을 위해 치아(T)들의 이동을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에서 이동된 치아(T)가 상악/하악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치아(T)들이 루트 아치(RA)에 구속되어 이동됨으로써, 치열 교정을 위해 이동된 치아(T)가 상악/하악을 무시하고 상악/하악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Conventionally, in the process of simulating the movement of the teeth (T) for orthodontics, an error in which the moved tooth (T) is disposed at a position out of the maxillary / mandible is frequently generated. In this embodiment, the teeth (T) are By being constrained and moved by the root arch R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oth T moved for orthodontics from disregarding the maxillary / mandala and being placed in a position out of the maxillary / mandala.
또한,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미도시)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위치가 보정 가능하다. 이러한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의 보정은 스피만곡(Curve Of Spee)에서 알 수 있듯이 치아(T)들의 상면이 교합 평면(OP) 상에 정확하게 배치되지 않으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7, the position can be corr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the input unit (not shown). The correction of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is used to correct this because the upper surface of the teeth T is not exactly disposed on the occlusal plane OP as can be seen in the Curve Of Spee.
한편,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S150)에서는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재배열된 치아(T)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셋업 모델 데이터가 생성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S150), the setup model data that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for the teeth (T) rearranged to the position to be corrected is generated.
이러한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S150)에서는 연산부(미도시)를 통해 각 치아(T)들의 횡방향 길이와 전체 치아(T)들의 횡방향 길이의 합산이 계산되고 치아(T)들이 배치될 덴탈 아치(DA) 및 루트 아치(RA)의 길이가 계산된다.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S150, a sum of the transverse lengths of the teeth T and the transverse lengths of the entire teeth T is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unit (not shown), and the dental arch in which the teeth T are disposed is calculated. (DA) and the length of the root arch RA are calculated.
또한,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S150)에서는 각 치아(T)들의 횡방향 길이를 고려하여 치아(T)들 간의 공간이 균등하게 배분되도록 하는 덴탈 아치(DA) 상에서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이 배치될 위치 및 그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이 배치된 위치에서의 접선방향 벡터가 계산된다.In addition, 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S150,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is provided on the dental arch DA to equally distribute the space between the teeth T in consideration of the lateral length of each tooth T. The tangential vector at the position to be arranged and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is disposed is calcul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S150)에서는 치아(T)들이 재배열된 셋업 모델 데이터가 생성되는데, 이렇게 치아(T)들이 재배열되는 과정에서 치아(T)들의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은 덴탈 아치(DA)에 연결되고, 치축(S)이 루트 아치(RA)를 지나가며, 치아방향평면(120)이 치열 아치용 연결점(E)에서의 덴탈 아치(DA)의 접선방향(tangential direction)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S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tup model data in which teeth T are rearranged is generated. In this process, teeth orthodontics of teeth T are rearranged. The arch connection point E is connected to the dental arch DA, the tooth axis S passes through the root arch RA, and the
이러한 치아들의 재배열에 의해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간섭은 치아(T)들이 재배열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윗니가 간섭되는 것이 표시되는 간섭표시선(K)이 표시된다. 이러한 간섭표시선(K)을 통해 사용자는 치아(T)들이 재배열되는 과정에서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Interference may occur in the occlusion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by the rearrangement of the teeth. Such interference may be caused by the interference lines indicating that the upper teeth interfere with the screen after rearranging the teeth (T). (K) is displayed. Through the interference display line K, the user may visually recognize that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during the rearrangement of the teeth T. FIG.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S150)에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는 간섭표시선(K) 외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아(T)들 사이의 간격들을 더한 치아 전체 간격(Total Margin)과, 치아 전체 간격을 치아(T)들의 개수로 나눈 치아 평균 간격(Unit Margin)과, 앞니와 교합 평면(OP) 사이의 기울기(Angle)가 계산되어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S150, the display unit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interference line K, as shown in FIG. 8, the total spacing of the teeth plus the spacing between the teeth T, and An average tooth interval (Unit Margin) obtained by dividing an entire tooth interval by the number of teeth (T), and an angle between the front teeth and the occlusal plane OP are calculated and displayed on a display unit (not shown) in real time.
사용자는 상술한 정보들을 인지하여 덴탈 아치(DA) 및 루트 아치(RA)의 위치 및 형상 등을 보정할 수 있다.The user may recognize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o correct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dental arch DA and the root arch RA.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S150)는,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의 위치를 보정하는 연결점 위치 보정단계와, 덴탈 아치(DA)의 이동에 따라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이 동시에 덴탈 아치(DA)로 이동되는 연결점 이동단계와, 치아방향평면(120)이 치열 아치용 연결점(E)에서의 덴탈 아치(DA)의 접선방향(tangential direction)으로 배치되도록 치아방향평면(120)이 회전되는 치아방향평면 회전단계와,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치아(T)들이 재배열되도록 덴탈 아치(DA) 및 루트 아치(RA)의 형상이 수정되는 아치 수정단계를 포함한다. In summary,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S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nection point position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and a connection point for the dental arc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E) joint point movement step of simultaneously moving to the dental arch (DA), and the tooth direction such that the
우선, 필요한 경우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의 위치를 보정하는 연결점 위치 보정단계가 수행된다.First, a connection point position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if necessary, is performed.
다음으로, 연결점 이동단계에서는 덴탈 아치(DA)의 이동에 따라 각 치아(T)들의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이 동시에 덴탈 아치(DA)로 이동된다.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의 이동에 따라 치아(T)들도 루트 아치(RA)에 구속되어 이동된다.Next, in the connection point movement step,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of each tooth T are moved to the dental arch DA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the teeth T are also restrained and moved to the root arch RA.
치아방향평면 회전단계에서는 치아방향평면(120)이 치열 아치용 연결점(E)에서의 덴탈 아치(DA)의 접선(tangential)방향에 배치되도록 치아방향평면(120)이 회전된다. 이러한 치아방향평면(120)의 회전에 따라 치아(T)들로 루트 아치(RA)에 구속되어 회전된다.In the dental plane rotation step, the
종래 기술의 경우 덴탈 아치(DA)는 참고적으로만 사용될 뿐 사용자가 각 치아들 개별적으로 이동시켜 셋업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야해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치아(T)들을 덴탈 아치(DA)를 연결하고 덴탈 아치(DA)의 이동에 연동되는 치열 아치용 연결점(E) 개념을 도입하여 덴탈 아치(DA)의 이동에 따라 치아(T)들이 동시에 실시간으로 재배열되므로 종래기술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치아(T)를 덴탈 아치(DA)를 따라 재배열할 수 있다. In the prior art, the dental arch DA is used only as a reference, and the user has to move each tooth individually to generate setup model data.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eth T are connected to the dental arch DA and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which is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is introduced to the tee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Since the (T) are rearranged in real tim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arrange the teeth (T) along the dental arch (DA) faster and more conveniently than in the prior art.
덴탈 아치 수정단계에서는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치아(T)들이 재배열되도록 덴탈 아치(DA)의 형상이 수정된다. 이러한 덴탈 아치(DA) 형상변형은 도 8의 덴탈 아치용 컨트롤 포인트(CP)들을 이동시키는 입력부(미도시)에 의한 조작신호가 연산부(미도시)에 전달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덴탈 아치(DA) 단순이동 및 회전은 도 8의 단순이동용 화살표(M) 및 회전용 화살표(N)을 이동시키는 입력부(미도시)에 의한 조작신호가 연산부(미도시)에 전달되어 이루어진다.In the dental arch correction step, the shape of the dental arch DA is modified such that the teeth T are rearranged to a position to be corrected. In the shape of the dental arch DA, an operation signal by an input unit (not shown) for moving the control points CP of the dental arch of FIG. 8 is transmitted to the calculation unit (not shown). In addition, the simpl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dental arch DA is performed by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by an input unit (not shown) for moving the simple movement arrow M and the rotation arrow N of FIG. 8 to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
덴탈 아치(DA)의 단순이동, 회전 및 형상변경을 포함하는 덴탈 아치(DA)의 이동에 연동되어 치열 아치용 연결점(E)들이 덴탈 아치(DA)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치열 아치용 연결점(E)의 이동에 따라 치아(T)들도 루트 아치(RA)에 구속되어 이동된다.In conne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ental arch DA including the simple movement, rotation and shape change of the dental arch DA, the connection points E for the dental arch DA are moved along the dental arch DA. At this time, the teeth (T) are also restrained by the root arch (RA)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int (E) for the dental arch.
한편, 루트 아치(RA)를 변화시키는 경우 마찬가지로 루트 아치(RA)의 이동에 연동되어 치아의 치축이 루트 아치(RA)를 지나도록 치아가 회전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hanging the root arch (RA) the tooth is rotated so that the tooth axis of the tooth passes through the root arch (RA)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oot arch (RA).
상술한 바와 같이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S150)에서 덴탈 아치(DA)가 이동될 때 치아(T)들이 루트 아치(RA)에 구속되어 위치가 변화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덴탈 아치(DA)가 이동될 때 치아(T)들이 루트 아치(RA)에 구속되어 이동됨으로써, 이동된 치아(T)가 상악/하악을 무시하고 상악/하악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오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ntal arch DA is moved 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S150, the teeth T are constrained to the root arch RA to change positions. As the dental arch DA is mov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eth T are restrained and moved to the root arch RA, whereby the moved teeth T disregard the maxillary / mandala and are out of the maxillary / mandala. The occurrence of errors that are placed is preven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은,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에서, 환자의 치아(T)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치아 데이터에서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재배열된 치아(T)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셋업 모델 데이터를 빠르고 간편하게 도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for generating automatic orthodontic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computer-aided design (CAD) system, a tooth rearranged to a position to be corrected in the tooth data, which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of the teeth T of the patient Setup model data, which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about (T), can be quickly and easily derived.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descrip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치아 방향선
120: 치아방향평면
OP: 교합 평면
DA: 덴탈 아치
RA: 루트 아치
CP: 덴탈 아치용 컨트롤 포인트
E: 치열 아치용 연결점
G: 치축기준점
K: 간섭표시선
S: 치축
T: 치아110: tooth direction line 120: tooth direction plane
OP: occlusal plane DA: dental arch
RA: Root Arch CP: Control Point for Dental Arch
E: Connection point for dental arch G: Axial reference point
K: interference line S: tooth axis
T: Tooth
Claims (13)
치열 교정을 위해 환자의 치아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치아 데이터를 획득하는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
상기 치열 교정을 위한 덴탈 아치(dental arch)를 생성하는 덴탈 아치 생성단계;
상기 치아 데이터에서 치근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루트 아치(root arch)를 생성하는 루트 아치 생성단계; 및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재배열된 치아들에 대한 3차원 형상정보인 셋업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상기 루트 아치 및 상기 덴탈 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화시킴으로써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In a computer aided design (CAD) system,
A tooth data extraction step of acquiring tooth data, which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of the teeth of the patient, for orthodontics;
A dental arch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dental arch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 root arch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root arch based on positions of the roots in the tooth data; And
A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setup model data which is three-dimensional shape information of the teeth rearranged to a position to be corrected,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And at least one of the root arch and the dental arch.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에서, 상기 덴탈 아치를 변화시킬 때 상기 루트 아치에 기초하여 상기 치아들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The method of claim 1,
And 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the teeth are changed based on the root arch when the dental arch is changed.
상기 치아 데이터로부터 덴탈 플레인(Dental plane)을 생성하는 덴탈 플레인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덴탈 아치 생성단계에서, 상기 덴탈 아치(dental arch)는 상기 치아 데이터의 교합 평면(occlusal plane) 상에 생성되며,
상기 루트 아치 생성단계에서, 상기 루트 아치(root arch)는 상기 교합 평면에 대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덴탈 아치를 변화시킬 때 상기 치아들은 상기 루트 아치에 구속되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dental plane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dental plane from the tooth data (Dental plane),
In 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the dental arch is generated on an occlusal plane of the dental data,
In the root arch generation step, the root arch (root arch) is spaced apart from the occlusal plane,
And the teeth are constrained to the root arch to change when the dental arch is changed.
상기 치아 데이터 추출단계는,
상기 치아들 각각의 세로방향의 기준축인 치축을 생성하는 치축 생성단계; 및
상기 치축 상에 상기 치아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연결점이 생성되는 연결점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tooth data extraction step,
A tooth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tooth axis which is a longitudinal reference axis of each of the teeth; And
Automatic orthodontic data generation method comprising a connection point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a connection point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ooth on the tooth axis.
상기 치축 생성단계는,
상기 치아의 좌우 단부에서 선택된 제1 선택점 및 제2 선택점을 연결하며, 상기 치아의 배치방향을 표시하는 치아 방향선을 설정하는 치아방향선 설정단계;
상기 치아 방향선을 하방으로 연장한 치아방향평면을 도출하는 치아방향평면 도출단계; 및
상기 치아방향평면 상의 중심선을 상기 치축으로 설정하는 치축 설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덴탈 아치를 변화시킬 때 상기 치축은 상기 루트 아치에 구속되거나 상기 루트 아치를 변화시킬 때 상기 치축은 상기 루트 아치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xis generation step,
A tooth direction line setting step of connecting a first selection point and a second selection point select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tooth and setting a tooth direction line indicating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ooth;
A tooth direction plane deriving step of deriving a tooth direction plane extending downward of the tooth direction line; And
A tooth axis setting step of setting a center line on the tooth direction plane as the tooth axis,
And the tooth axis is constrained to the root arch when the dental arch is changed or the tooth axis is constrained to the root arch when the root arch is changed.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상기 연결점들이 동시에 상기 덴탈 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결점들에 대응되는 상기 치아들도 이동하는 연결점 이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The method of claim 5,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And a connection point movement step of moving the teeth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ints as the connection points are simultaneously moved to the dental arch.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상기 치아방향평면이 상기 덴탈 아치 상의 상기 연결점에서의 접선방향(tangential direction)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치아방향평면이 회전되는 치아방향평면 회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The method of claim 6,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And a dental direction rotation step in which the dental direction plane is rotated such that the dental direction plane is disposed in a tangential direction at the connection point on the dental arch.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교정되어야 할 위치로 상기 치아들이 재배열되도록 상기 덴탈 아치 및 상기 루트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수정하는 아치 수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The method of claim 6,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And an arch correcting step of correcting a shape of at least one of the dental arch and the root arch so that the teeth are rearranged to a position to be corrected.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는,
상기 연결점들의 위치를 보정하는 연결점 위치 보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The method of claim 6,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And a connection point position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oints.
상기 연결점들은 상기 덴탈 아치 및 상기 루트 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연동되도록 선택되거나 상기 덴탈 아치 및 상기 루트 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비연동되도록 선택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동에 연동되도록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연결점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치아들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on points are provided to be selected to be linked to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dental arch and the root arch or to be non-linked to the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dental arch and the root arch,
Automatic teeth orthodontic data gene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eth ar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int when selected to be linked to movement.
상기 덴탈 아치 생성단계에서, 상기 덴탈 아치는 상기 치아들의 배열상태에 기초하여 곡선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the dental arch is an orthodontic data gene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curved shape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teeth.
상기 덴탈 아치 생성단계는, 상기 덴탈 아치 상에 배치되는 5개의 덴탈 아치용 컨트롤 포인트를 생성하는 컨트롤 포인트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ental arch generating step includes a control point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control point for five dental arch disposed on the dental arch.
상기 셋업 모델 데이터 생성단계에서, 상기 차아들 사이의 간격들을 더한 치아 전체 간격과, 상기 치아 전체 간격을 치아들의 개수로 나눈 치아 평균 간격과, 앞니와 교합 평면(occlusal plane) 사이의 기울기가 실시간으로 계산되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치열 교정 데이터 생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et-up model data generation step, the total tooth spacing plus spacing between the teeth, the average tooth spacing divided by the total tooth spacing, and the inclination between the incisor and the occlusal plane are in real time. Automatic orthodontic data gene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alculated on the display.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82484A KR102097070B1 (en) | 2018-07-16 | 2018-07-16 |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 PCT/KR2019/008563 WO2020017824A1 (en) | 2018-07-16 | 2019-07-11 |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82484A KR102097070B1 (en) | 2018-07-16 | 2018-07-16 |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08403A true KR20200008403A (en) | 2020-01-28 |
| KR102097070B1 KR102097070B1 (en) | 2020-04-03 |
Family
ID=6916393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82484A Active KR102097070B1 (en) | 2018-07-16 | 2018-07-16 |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97070B1 (en) |
| WO (1) | WO2020017824A1 (en)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18688A (en) * | 2020-08-07 | 2022-02-15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Tooth model arrangement method and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
| KR20220056770A (en) * | 2020-10-28 | 2022-05-06 | 주식회사 메디트 | An three-dimensional intraoral model process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intraoral model processing method |
| KR20220056759A (en) * | 2020-10-28 | 2022-05-06 | 주식회사 메디트 |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
| KR20220058371A (en) *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메디트 | Method for optimizing archline and apparatus using thereof |
| KR20220061654A (en) * | 2020-11-06 | 2022-05-13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a dental arch |
| KR20220105089A (en) * | 2021-01-19 | 2022-07-26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for editing arch line and tooth arrangement design apparatus thereof |
| WO2022177147A1 (en) * | 2021-02-18 | 2022-08-25 | 마이라인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 WO2022177146A1 (en) * | 2021-02-18 | 2022-08-25 | 마이라인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 KR20230096415A (en) * | 2021-12-23 | 2023-06-30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teeth arrangement |
| KR20230115606A (en) * | 2022-01-27 | 2023-08-03 |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ic aligned teeth shape |
| WO2025079952A1 (en) * | 2023-10-12 | 2025-04-17 | 주식회사 오디에스 | Method for designing orthodontic device through correction of set-up teeth mode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693747B (en) * | 2020-05-21 | 2023-03-24 | 广州黑格智造信息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3D dental model straightening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
| US20230218371A1 (en) * | 2020-06-03 | 2023-07-13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Display of multiple automated orthodontic treatment options |
| KR102621762B1 (en) * | 2020-07-24 | 2024-01-09 | 주식회사 메디트 |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ntraoral image processing method |
| KR102473722B1 (en) * | 2020-10-16 | 2022-12-05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section image of tooth and den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
| US20230404708A1 (en) * | 2020-10-30 | 2023-12-21 | Medit Corp. | Method for optimizing archline and apparatus using same |
| CN115054395B (en) * | 2022-06-17 | 2024-03-19 | 上海隐齐齿科科技有限公司 | Method for synchronously measuring crowding degree of teeth and gap required for leveling Spee curve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82526A (en) * | 2004-02-19 | 2005-08-24 | 차경석 | Method for providing processing data for straightening teeth |
| KR20110017051A (en) | 2009-08-13 | 2011-02-21 | 배봉원 | Orthodontic wire set manufacturing method |
| KR101138354B1 (en) * | 2011-06-16 | 2012-04-26 | 김태원 | System providing align teeth data |
| KR101218388B1 (en) * | 2011-11-25 | 2013-01-03 | 김태원 | Device providing align teeth data |
| KR20160071127A (en) * | 2014-12-11 | 2016-06-21 | 주식회사 디오코 |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object in simulation system and simulation system applying the same |
| CN105769353A (en) * | 2016-02-04 | 2016-07-20 | 北京正齐口腔医疗技术有限公司 | Automatic tooth arrangement method and device |
-
2018
- 2018-07-16 KR KR1020180082484A patent/KR102097070B1/en active Active
-
2019
- 2019-07-11 WO PCT/KR2019/008563 patent/WO2020017824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50082526A (en) * | 2004-02-19 | 2005-08-24 | 차경석 | Method for providing processing data for straightening teeth |
| KR20110017051A (en) | 2009-08-13 | 2011-02-21 | 배봉원 | Orthodontic wire set manufacturing method |
| KR101138354B1 (en) * | 2011-06-16 | 2012-04-26 | 김태원 | System providing align teeth data |
| KR101218388B1 (en) * | 2011-11-25 | 2013-01-03 | 김태원 | Device providing align teeth data |
| KR20160071127A (en) * | 2014-12-11 | 2016-06-21 | 주식회사 디오코 | Method for automatically moving object in simulation system and simulation system applying the same |
| CN105769353A (en) * | 2016-02-04 | 2016-07-20 | 北京正齐口腔医疗技术有限公司 | Automatic tooth arrangement method and device |
Cited B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018688A (en) * | 2020-08-07 | 2022-02-15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Tooth model arrangement method and orthodontic simulation device |
| KR20220056770A (en) * | 2020-10-28 | 2022-05-06 | 주식회사 메디트 | An three-dimensional intraoral model process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intraoral model processing method |
| KR20220056759A (en) * | 2020-10-28 | 2022-05-06 | 주식회사 메디트 |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apparatus |
| KR20220058371A (en) * | 2020-10-30 | 2022-05-09 | 주식회사 메디트 | Method for optimizing archline and apparatus using thereof |
| KR20220061654A (en) * | 2020-11-06 | 2022-05-13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recording medium for obtaining a dental arch |
| KR20220105089A (en) * | 2021-01-19 | 2022-07-26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for editing arch line and tooth arrangement design apparatus thereof |
| WO2022177147A1 (en) * | 2021-02-18 | 2022-08-25 | 마이라인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 WO2022177146A1 (en) * | 2021-02-18 | 2022-08-25 | 마이라인 주식회사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 KR20230096415A (en) * | 2021-12-23 | 2023-06-30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teeth arrangement |
| KR20230115606A (en) * | 2022-01-27 | 2023-08-03 | 디디에이치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ic aligned teeth shape |
| WO2025079952A1 (en) * | 2023-10-12 | 2025-04-17 | 주식회사 오디에스 | Method for designing orthodontic device through correction of set-up teeth model |
| KR20250053290A (en) * | 2023-10-12 | 2025-04-22 | 주식회사 오디에스 | The design method of orthodontics device through teeth model compensat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97070B1 (en) | 2020-04-03 |
| WO2020017824A1 (en) | 2020-01-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097070B1 (en) |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ng orthodontic data | |
| US11883255B2 (en) |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visualization | |
| JP7377227B2 (en) | Methods for correcting aligners by correcting tooth position | |
| JP432759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prescription for orthodontic braces | |
| CN111631831B (en) | Method of creating a dental appliance | |
| KR100583183B1 (en) | How to provide orthodontic data | |
| EP2008231B1 (en) | Automatic adjustment of an orthodontic bracket to a desired mesio-distal position within a three-dimensional (3d) environment | |
| JP530701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tooth axis | |
| JP5209631B2 (en) | Digital orthodontic treatment plan | |
| EP3998985B1 (en) | Virtual articulation in orthodontic and dental treatment planning | |
| US20120036719A1 (en) | Torque Overcorrection Model | |
| EP1816976B1 (en) | Placing orthodontic objects along an archwire within a three-dimensional (3d) environment | |
| CN111295153A (en) | Dental appliance with selective occlusal loading and controlled cusp staggering | |
| CN114080196A (en) | Dental aligner and procedure for aligning teeth | |
| JP7170933B2 (en) | Virtual occlusion model for dental treatment | |
| CN109620431B (en) | Digital arch wire selection method and device | |
| JP4216258B2 (en) | How to select a bracket to b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an abnormal tooth position | |
| US20240197441A1 (en) | Techniques for determining patient teeth positions for orthodontics | |
| Moreira et al. | Predicted and final tooth position assessment following indirect bonding planned by a digital system | |
| WO2024015882A1 (en) | Orthodontic treatment evalua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