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665A - folding table with variable height - Google Patents
folding table with variable heigh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6665A KR20200016665A KR1020180092024A KR20180092024A KR20200016665A KR 20200016665 A KR20200016665 A KR 20200016665A KR 1020180092024 A KR1020180092024 A KR 1020180092024A KR 20180092024 A KR20180092024 A KR 20180092024A KR 20200016665 A KR20200016665 A KR 202000166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top plate
- height
- plate
- folding t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91—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 A47B3/0911—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the stru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top and leg or underframe and le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이 가능하고 다리를 접고 펼 수 있으면서 다리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접어지고 펴질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상판과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상기 상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폴딩유닛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variable folding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variable folding table that can be op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nd can freely adjust the length of the legs while folding and unfolding the legs,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Height-variabl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op plate; A guide rai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 slider coupled to the guide rail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coupled to a slider, which may be folded and unfold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It is provided with a folding unit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top plate while adjusting the angle with the top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이 가능하고 다리를 접고 펼 수 있으면서 다리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variable folding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ight-variable folding table that can be opera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and can freely adjust the length of the legs while folding and unfolding the legs,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일반적으로 테이블(table)은 그 사용 용도에 맞춰서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된다.In general, tabl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their use.
테이블은 가정, 학교 또는 사무실 등에서는 책상이나 탁자 또는 식탁으로 사용되고, 작업 현장에서 작업대와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Tables are used as desks, tables, or dining tables in homes, schools, or offices, and are used as work tables in the workplace.
이러한 각종 테이블은 통상적으로 사각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이 구비되고, 상판의 양측 하단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다리가 설치되어 상판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된다. These various tables are typically provided with a top plate made of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and legs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re installed at both lower ends of the top plate so that the top plate is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종래의 테이블은 다리의 높이를 조절하지 못하거나 상판을 접을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Conventional table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not adjust the height of the legs or the top plate can not be folded.
따라서 테이블을 사용용도나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으며, 보관시 많은 면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보관을 위하여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height of the table cannot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use or the height of the user, and occupies a large area in storage, and requires a large space for storage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mov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상판을 접을 수 있는 테이블이 알려져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known a table that can adjust the height and fold the top plat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110호에 높이조절 및 접이식 테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68110 discloses a height adjustment and folding table.
상기 테이블은 높이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고, 접었을 때 부피가 여전히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은 다리를 접고 펴는 과정과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별개로 이루어지므로 테이블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The table has a problem that the height adjustable range is extremely limited and the volume is still large when folded. In addition, the table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the table is inconvenient because the process of folding and straightening the legs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able is made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커서 바닥에 앉아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서도 사용이 가능한 폴딩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table that can be used as well as sit on the floor because the height adjustable range is very large.
또한, 본 발명은 다리를 접고 펴는 과정과 테이블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동이 간편하고 빠른 시간에 조작이 가능한 폴딩 테이블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urpose of providing a folding table that is easy to operate and can be operated at a quick time because the process of folding and straightening the legs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able is made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다리를 접고 펼 수 있으면서 다리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폴딩 테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table that can freely adjust the length of the legs while folding and extending the legs manually or automaticall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은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접어지고 펴질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상판과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상기 상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폴딩유닛;을 구비한다. Height-variabl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top plate; A guide rai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 slider coupled to the guide rail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And a folding unit which can be folded and unfold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and the height of the top plate is varied while the angle with the top plat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slider.
상기 폴딩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결합되는 다리부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상판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다리부가 점진적으로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직립보조수단을 구비한다.The folding unit includes a leg portion hinged to the slider, and an upright auxiliary means for supporting the leg portion to be gradually upright when the slider moves outwardly of the upper plate.
상기 직립보조수단은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의 일측과 상기 상판을 힌지결합시키는 제 1힌지축과, 상기 링크부의 타측과 상기 다리부를 힌지결합시키는 제 2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상기 상판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링크부와 상기 상판이 이루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커지면서 상기 다리부를 하방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제 2힌지축은 상기 제 1힌지축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The upright auxiliary means includes a link portion, a first hinge shaft for hinge coupling one side of the link portion and the upper plate, and a second hinge shaft for hinge coupling the other side of the link portion and the leg portion, wherein the leg is connected by the slider. The second hinge shaft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irst hinge shaft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link portion and the upper plate is gradually increased when the upper portion moves outwardly, and the leg portion can be pushed downward.
상기 슬라이더를 동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구비한다.And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slider by power.
상기 다리부는 상기 직립보조수단과 연결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받침대와,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로 삽입되는 서브바디를 구비한다.The leg part includes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upright auxiliary means, a pedestal coupled to an end of the main body, and a sub body hinged to the slider and inserted into the main body.
상기 다리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바디 또는 상기 서브바디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구비한다. The leg portion further includes a moving means for reciprocating the main body or the sub-body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상기 상판은 상기 가이드레일이 결합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결합되어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동플레이트를 구비한다.The upper plate has a fixed plate to which the guide rail is coupled, and a movable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fixed plate to adjust the inclination.
상기 가동플레이트는 틸팅수단에 의해 기울어지며,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는 틸팅바와, 상기 틸팅바를 밀거나 당겨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한다. The movable plate is inclined by the tilting means, and the tilting means includes a tilting bar hinged to the movable plate, and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movable plate with respect to the fixed plate by pushing or pulling the tilting bar.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리를 접고 펴는 과정과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동이 간편하고 빠른 시간에 조작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operate and can be operated in a short time because the process of folding and straightening the legs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is made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은 상판과 이루는 다리의 각도 조절에 의해 1차적으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다리의 길이를 변화시켜 상판의 높이를 2차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커서 바닥에 앉아서 사용하는 좌탁의 용도뿐만 아니라 의자에 앉아 사용하는 테이블 또는 서서 사용하는 테이블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primarily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legs forming the top plat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leg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 table used to sit on a chair or a table used in a chair as well as the use of a low table sitting on the floor is very large range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그리고 본 발명은 동력을 이용한 자동방식을 적용할 경우 테이블 스스로 직립이 가능하고 상판의 높이와 다리의 길이를 쉽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And when the automatic method using the power is applied to the table itself can be upright and the height of the top plate and the length of the legs can be easily and freely adjusted can greatly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다른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다른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가 적용된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의 작동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다른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height folding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ure 1,
6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riable height folding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portion of a height-variable folding tabl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height folding table is applied to Figure 9,
11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art of a height-variable folding tabl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variable height folding t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은 상판(1)과, 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5)과, 가이드레일(5)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5)에 결합되는 슬라이더(10)(15)와, 슬라이더(10)(15)의 이동에 의해 접어지고 펴질 수 있는 폴딩유닛(20)(30)을 구비한다. 1 to 4, the height-variabl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판(1)은 일정한 두께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판(1)은 도시된 사각형 외에도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판(1)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금속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가이드레일(5)은 상판(1)의 하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레일(5)은 상판(1)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레일(5)의 중앙에는 센터스토퍼(7)가 설치되고, 가이드레일(5)의 양 끝에는 사이드스토퍼(8)(9)가 각각 설치된다. 사이드스토퍼는 설명의 편의상 제 1사이드스토퍼(8)와 제 2사이드스토퍼(9)로 구분할 수 있다. 센터스토퍼(7)와 제 1사이드스토퍼(8)는 후술할 제 1슬라이더(10)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고, 센터스토퍼(7)와 제 2사이드스토퍼(9)는 후술할 제 2슬라이더(15)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The
슬라이더(10)(15)는 가이드레일(5)에 결합된다. 슬라이더(10)(15)에는 가이드레일(5)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5)에 결합된 슬라이더(10)(15)는 가이드레일(5)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The
가이드레일(5)에는 2개의 슬라이더(10)(15)가 결합된다. 2개의 슬라이더는 설명의 편의상 제 1슬라이더(10)와 제 2슬라이더(15)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슬라이더(10)와 제 2슬라이더(15)는 위치만 다를뿐 구성이 동일하다. Two
가이드레일(5)의 중앙 부위, 즉 센터스토퍼(7)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 1슬라이더(10)는 가이드레일(5)의 우측 영역에서 왕복이동하고, 제 2슬라이더(15)는 가이드레일(5)의 우측 영역에서 왕복이동한다. The
폴딩유닛(20)(30)은 2개가 설치된다. 폴딩유닛은 설명의 편의상 제 1폴딩유닛(20)과 제 2폴딩유닛(30)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 1폴딩유닛(20)은 제 1슬라이더(10)에 의해 접고 펴지며, 제 2폴딩유닛(30)은 제 2슬라이더(15)에 의해 접고 펴진다. Two
폴딩유닛(20)(30)은 상판(1)의 하부에 접어진 상태로 있다가 슬라이더(10)(15)의 이동에 의해 펴진다. 슬라이더(10)(15)가 상판(1)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면 폴딩유닛(20)(30)은 접어져 상판(1)의 하부에 포개지고, 슬라이더(10)(15)가 상판(1)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면 폴딩유닛(20)(30)은 상판(1)으로부터 벌어지면서 펴진다. The
2개의 폴딩유닛(20)(30)이 펴지기 위해서는 2개의 슬라이더(10)(15)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2개의 폴딩유닛(20)(30)이 접어지기 위해서는 2개의 슬라이더(10)(15)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In order to unfold the two
제 1폴딩유닛(20)과 제 2폴딩유닛(30)은 위치만 다를 뿐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1폴딩유닛(2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Since the first and
폴딩유닛(20)은 슬라이더(10)에 힌지결합되는 다리부(21)와, 슬라이더(10)가 상판(1)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 다리부(21)가 점진적으로 직립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직립보조수단을 구비한다. The
다리부(21)는 지주와, 지주의 단부에 결합된 받침대(25)로 이루어진다. The
바람직하게 지주는 길이가 신축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주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Preferably the strut is formed to be stretchable in length. Therefore, the post can be adjusted in length.
일 예로 지주는 직립보조수단과 연결되는 메인바디(22)와, 슬라이더(10)에 힌지결합되어 메인바디(22)의 내부로 삽입되는 서브바디(23)를 구비한다. For example, the strut has a
메인바디(22)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메인바디(22)는 제 2힌지축(41)에 의해 직립보조수단과 연결된다. The
서브바디(23)는 메인바디(2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서브바디(23)는 메인바디(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서브바디(23)가 인출되면 다리부(21)의 길이가 조절된다. The
다리부(21)의 길이조절은 수동방식 또는 자동방식으로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지주는 단일의 몸체로 이루어져 다리부의 길이조절이 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Length adjustment of the
서브바디(23)는 메인바디(2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서브바디(23)의 상부는 슬라이더(10)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10)의 하부에 한쌍의 힌지브라켓트(13)가 설치되고, 힌지브라켓트(13)에 설치된 고정핀(14)에 서브바디(23)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받침대(25)는 메인바디(22)의 단부에 결합된다. 받침대(25)는 메인바디(22)의 길이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받침대(25)는 테이블의 사용시 실내의 바닥과 접촉되어 상판(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직립보조수단은 슬라이더(10)에 의해 상판(1)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리부(21)가 점진적으로 직립할 수 있도록 다리부(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upright auxiliary means serves to support the
도시된 직립보조수단은 링크부(27)와, 링크부(27)의 일측과 상판(1)을 힌지결합시키는 제 1힌지축(40)과, 링크부(27)의 타측과 다리부(21)를 힌지결합시키는 제 2힌지축(41)을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upright assisting means includes a
링크부(27)는 상판(1)과 다리부(21)를 연결한다. 링크부(27)의 일측은 제 1힌지축(40)에 의해 상판(1)에 결합되고, 링크부(27)의 타측은 제 2힌지축(41)에 의해 메인바디(22)에 결합된다. The
상판(1)의 하부에 제 1힌지부(45)가 설치된다. 제 1힌지부(45)는 슬라이더(10)보다 더 바깥방향에 위치한다. 링크부(27)의 일측은 제 1힌지부(45)에 설치된 제 1힌지축(4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메인바디(22)의 외측면에 제 2힌지부(47)가 설치된다. 링크부(27)의 타측은 제 2힌지부(47)에 설치된 제 2힌지축(4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슬라이더(10)의 이동에 의해 다리부(21)가 상판(1)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 다리부(21)가 펴질 수 있도록 다리부(21)가 상판(1)에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제 2힌지축(41)은 제 1힌지축(40)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0)에 의해 다리부(21)가 상판(1)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 링크부(27)가 다리부(21)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므로 다리부(21)는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상판(1)과 이루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커진다. The second hinge in a state in which the
바람직하게 링크부(27)는 길이가 조절이 될 수 있도록 케이싱(28)과, 케이싱(28)의 내부로 삽입된 삽입바(29)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케이싱(28)은 내부에 사각의 홈이 형성된다. 케이싱(28)의 상부는 제 1힌지축(40)에 결합된다. The
삽입바(29)는 케이싱(28)의 내부에 삽입된다. 케이싱(28)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바(29)의 일측은 외부로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삽입바(29)의 하부는 제 2힌지축(41)에 결합된다. The
상술한 본 발명의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height variable fold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4와 같이 폴딩유닛(20)이 완전히 접어질 경우 폴딩유닛은 상판(1)의 하부에 포개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폴딩 테이블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이동이 매우 용이하다. 폴딩유닛(20)이 접어진 상태에서는 2개의 슬라이더(10)(15)가 가이드레일(5)의 중앙 부위에 인접해 있다. When the
그리고 폴딩 테이블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폴딩유닛(20)을 펼쳐 상판(1)을 적절한 높이로 조절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2개의 슬라이더(10)(15)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상판(1)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은 사용자가 손으로 힘을 가해 이동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use the folding table, the
슬라이더가 이동하기 시작하면 다리부(21)는 상판(1)의 바깥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링크부(27)가 연결된 제 2힌지축(41)의 위치가 제 1힌지축(40)보다 더 낮기 때문에 다리부는 바깥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방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다리부(21)는 도 5와 같이 상판(1)과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서 다리부(21)가 점진적으로 펴진다. When the slider starts to move, the
슬라이더(10)(15)가 사이드스토퍼(8)(9)에 걸릴 때까지 완전히 이동하면 도 2와 같이 다리부(21)는 완전히 펴져 상판(1)과 직각을 이루면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다리부(21)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더(10)(15)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다리부(21)는 점진적으로 접어지면서 도 4와 같이 완전히 접어진다.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더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리부를 접고 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리를 접고 펴는 과정과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동이 간편하고 빠른 시간에 조작이 가능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fold and unfold the legs by moving the slider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or in a direction closer to each oth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ecause the process of folding and straightening the legs and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p plate is made at the same time easy operation and quick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10)(15)의 이동량에 따라 다리부(21)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판(1)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adjust the angle of the
가령,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0)(15)를 사이드스토퍼(8)(9)의 위치까지 완전히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 다리부(21)가 비스듬하게 펼쳐지면서 도 2보다 상판의 높이를 더 낮출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 경우 다리부(21)가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수단은 슬라이더를 고정시키거나, 링크부를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다리부의 비스듬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령, 슬라이더에 고정용 나사를 설치한 후 고정용 나사를 조여 고정용 나사가 가이드레일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슬라이더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더의 이동량에 따라 다리부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상판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variously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while adjusting the angle of the leg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slider.
한편, 도 2와 같이 다리부(21)가 완전히 펴져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에서 상판(1)의 위치를 더 높이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은 다리부(21)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판(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when the
도 6과 같이 메인바디(22)에서 서브바디(23)가 인출되면서 다리부(21)의 길이가 길어진다. 이때 링크부(27)의 케이싱(28)으로부터 삽입바(29)도 인출된다. As shown in FIG. 6, as the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리부(21)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수단의 일 예로 서브바디(23)에 상하로 이격된 다수의 고정홀들을 형성하고, 메인바디(21)에 설치된 고정바를 어느 하나의 고정홀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so that the length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판(1)과 이루는 다리부(21)의 각도 조절에 의해 1차적으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2차로 다리부(21)의 길이를 변화시켜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커서 바닥에 앉아서 사용하는 좌탁의 용도뿐만 아니라 의자에 앉아 사용하는 테이블 또는 서서 사용하는 테이블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imarily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을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고 있다. Meanwhile, the height variable folding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S. 7 to 9.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판(2)이 2부분으로 이루어져 어느 한 부분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7 to 9,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가령, 상판(2)은 가이드레일(5)이 하부에 결합된 고정플레이트(3)와, 고정플레이트(3)의 전면에 결합된 가동플레이트(4)로 이루어진다.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가동플레이트(4)가 고정플레이트(3)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For example, the
가동플레이트(4)는 고정플레이트(3)의 전면에 위치한다. 가동플레이트(4)는 고정플레이트(3)에 힌지결합된다. 이를 위해 가동플레이트(4)와 고정플레이트(3)는 경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가동플레이트(4)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동플레이트(4)의 후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가동플레이트(4)는 틸팅수단에 의해 기울기가 조절된다. The
틸팅수단은 가동플레이트(4)에 힌지결합되는 틸팅바(50)와, 상기 틸팅바(50)를 밀거나 당겨 고정플레이트(3)에 대한 가동플레이트(4)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한다. The tilting means includes a tilting
가동플레이트(4)의 하부에 힌지부(55)가 설치되고, 힌지부(55)에 틸팅바(50)의 일측이 힌지결합된다. The
틸팅바(5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틸팅바(50)의 외주면에서 나사산이 형성된다. The tilting
도시된 각도조절유닛은 가이드레일(5)의 하부에 결합되며 틸팅바(50)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홀더(57)와, 틸팅바(50)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링(51)을 구비한다. The illustrated angle adjusting uni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rail (5) and the
지지홀더(57)는 가이드레일(5)의 중앙 부위의 하부에 결합된다. 지지홀더(57)는 전후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관통홀의 단면은 틸팅바(50)의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The
조절링(51)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틸팅바(50)에 나사결합된다. 조절링(51)을 회전시켜 틸팅바(50)의 전후로 이동시키면 도 8과 같이 가동플레이트(4)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The
그리고 도시된 바와 달리 전동방식으로 가동플레이트(4)를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 가동플레이트를 조작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로 실린더나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And unlike that show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한편, 본 발명은 슬라이더를 동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eans for moving the slider by power.
도 9를 참조하면, 구동수단은 가이드레일(5)의 하부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더(10)(15)를 이동시키는 스크류봉(60)과,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모터(70)와, 모터(70)와 연결되어 스크류봉(60)에 동력을 전달하여 스크류봉(60)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ure 9, the drive means is formed in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스크류봉(60)은 모터(70)에 의해 회전하면서 슬라이더(10)(15)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봉(60)은 가이드레일(5)과 일정거리 하방으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다. 스크류봉(60)의 양단은 상판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브라켓트(67)(69)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The
스크류봉(60)은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 1나사부(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 2나사부(63)가 형성된다. 제 1나사부(61)는 제 1슬라이더(10)가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 형성되고, 제 2나사부(63)는 제 2슬라이더(15)가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The
제 1나사부(61)와 제 2나사부(63)는 나사산의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스크류봉(60)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슬라이더(10)와 제 2슬라이더(15)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 1슬라이더(10)와 제 2슬라이더(15)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The
가이드레일(5)에 결합된 제 1슬라이더(10)의 하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제 1결합부(80)설치되고, 제 1결합부(80)의 하부에는 제 1폴딩유닛(20)의 다리부의 서브바디가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힌지브라켓트(83)가 설치된다. A
제 1결합부(80)는 제 1나사부(61)에 나사결합된다. 제 1결합부(80)에는 나사홀이 마련되고, 나사홀의 내주면에는 제 1나사부(61)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The
가이드레일(5)에 결합된 제 2슬라이더(15)의 하부에는 제 2결합부(85)가 설치되고, 제 2결합부(85)의 하부에는 제 2폴딩유닛의 다리부의 서브바디가 힌지결합되는 한쌍의 힌지브라켓트(87)가 설치된다. A
제 2결합부(85)는 제 2나사부(63)에 나사결합된다. 제 2결합부(85)에는 나사홀이 마련되고, 나사홀의 내주면에는 제 2나사부(63)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The
모터(70)는 상판의 하부에 설치된다. 모터(70)는 감속기(71)와 연결되어 적절한 감속비로 조절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70)는 상판에 설치된 조작버튼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다. 모터(70)의 전원으로 상판의 하부에 설치된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상용전원과 유선으로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동력전달부는 스크류봉(60)에 결합된 웜휠(77)과, 감속기(71)의 출력축(73)에 결합되어 웜휠(77)과 치합되는 웜기어(75)를 구비한다. 웜휠(77)은 스크류봉(60)의 중앙, 즉 제 1나사부(61)와 제 2나사부(63) 사이에 결합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웜기어(75)가 웜휠(77)을 회전시키면 스크류봉(60)이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크류봉(60)의 회전에 의해 제 1 및 제 2슬라이더(10)(15)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When the
도 10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술한 전동방식의 폴딩 테이블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실내의 바닥에 제 1 및 제 2폴딩유닛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폴딩 테이블을 실내의 바닥에 놓는다. 이 상태에서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모터(70)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제 1 및 제 2슬라이더(10)(15)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및 제 2다리부는 실내의 바닥에 지지되므로 상판(1)이 제 1 및 제 2다리부와 점차 벌어지면서 상판(1)이 상승을 시작한다. As shown in FIG. 10, when the above-described electric folding table is used, the user places the folding table on the floor of the room while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units are completely folded on the floor of the room. In this state,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제 1 및 제 2슬라이더(10)(15)를 끝까지 이동시켜 다리부를 직립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슬라이더를 끝까지 이동시키지 않고 상판이 원하는 높이가 되었을 때 모터를 중단시켜 다리부는 경사진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The first and
상술한 전동방식의 폴딩 테이블은 실내의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이용하여 자립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above-described electric folding table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tand on the floor using the operation button in the state of the indoor floor.
상술한 도 9의 구동수단 외에도 랙과 피니언 또는 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슬라이더를 이동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driving means of FIG. 9 described above, the slider may be moved using a rack, a pinion, or a cylinder.
한편,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다리부(21)의 길이를 전동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예는 제 1폴딩유닛(20)에 적용되는 다리부(21)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 2폴딩유닛에 적용되는 다리부 역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of course adjust the length of the
도 11을 참조하면, 다리부(21)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메인바디(22) 또는 서브바디(23)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이동수단으로 메인바디(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봉(90)과, 스크류봉(9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다. The
스크류봉(90)은 메인바디(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스크류봉(90)의 하단은 받침대(25)에 설치된 베어링유닛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서브바디(23)는 내부에 스크류봉(90)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홀(24)이 형성된다. 나사홀(24)은 서브바디(2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메인바디(22)의 내부로 삽입된 서브바디(23)는 스크류봉(90)에 나사결합된다. The
구동부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웜기어(97)와, 스크류봉(90)에 결합된 웜휠(93)로 이루어진다. 모터가 작동하여 스크류봉(90)이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방향에 따라 메인바디(22) 또는 서브바디(21)가 상하로 이동되어 다리부(21)의 길이가 조절된다. The driving unit includes a
다리부(21)의 길이가 조절될 경우 링크부(27)의 길이 역시 함께 조절된다. 다리부(21)의 길이가 늘어날 경우 삽입바(29)가 케이싱(28)의 외부로 인출되고, 다리부(21)의 길이가 줄어들 경우 삽입바(29)가 케이싱(28)의 내부로 인입된다. When the length of the
상술한 본 발명은 테이블 스스로 직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리의 길이를 쉽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stand upright by the table itself, but also can easily and freely adjust the length of the legs, thereby greatl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1: 상판 5: 가이드레인
10: 제 1슬라이더 15: 제 2슬라이더
20: 제 1폴딩유닛 30: 제 2폴딩유닛
21: 다리부 27: 링크부 1: top plate 5: guide lane
10: first slider 15: second slider
20: first folding unit 30: second folding unit
21: leg portion 27: link portion
Claims (8)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접어지고 펴질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량에 따라 상기 상판과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상기 상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폴딩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 A top plate;
A guide rail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A slider coupled to the guide rail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nd a folding unit which can be folded and unfolded by the movement of the slider and the height of the top plate is varied while the angle with the top plat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slider.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상기 상판의 바깥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링크부와 상기 상판이 이루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커지면서 상기 다리부를 하방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제 2힌지축은 상기 제 1힌지축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pright auxiliary means comprises a link portion, a first hinge shaft for hinge coupling the one side and the top plate of the link portion, and a second hinge shaft for hinge coupling the other side of the link portion,
The second hinge axis is lower than the first hinge axis so that the angle between the link part and the top plate is gradually increased when the leg part is moved outwardly of the upper plate by the slider so that the leg part can be pushed downward. A variable height folding tab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는 틸팅바와, 상기 틸팅바를 밀거나 당겨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형 폴딩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ovable plate is inclined by the tilting means,
And said tilting means has a tilting bar hinged to said movable plate and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angle of said movable plate relative to said fixed plate by pushing or pulling said tilting ba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2024A KR20200016665A (en) | 2018-08-07 | 2018-08-07 | folding table with variable heigh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092024A KR20200016665A (en) | 2018-08-07 | 2018-08-07 | folding table with variable heigh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16665A true KR20200016665A (en) | 2020-02-17 |
Family
ID=6967072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92024A Abandoned KR20200016665A (en) | 2018-08-07 | 2018-08-07 | folding table with variable heigh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00016665A (en) |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108198A (en) * | 2021-05-21 | 2021-07-13 | 杨开建 | Mahjong machine folding device |
| CN114244934A (en) * | 2021-12-29 | 2022-03-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
| CN114515082A (en) * | 2020-11-20 | 2022-05-20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Foldable bedstead structure |
| CN115462653A (en) * | 2021-06-10 | 2022-12-13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Bed frame folding mechanism and bed frame |
| CN116548727A (en) * | 2023-05-23 | 2023-08-08 | 山东浩航家具五金有限公司 | A dining table base that is convenient to disassemble |
| KR20240043583A (en) | 2022-09-27 | 2024-04-03 | 주식회사 리버스 | Variable tabl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68110B1 (en) | 2010-12-20 | 2011-09-27 | 주식회사 엔비스 | Adjustable height and folding table |
-
2018
- 2018-08-07 KR KR1020180092024A patent/KR20200016665A/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68110B1 (en) | 2010-12-20 | 2011-09-27 | 주식회사 엔비스 | Adjustable height and folding table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515082A (en) * | 2020-11-20 | 2022-05-20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Foldable bedstead structure |
| CN114515082B (en) * | 2020-11-20 | 2024-08-06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Foldable bed frame |
| CN113108198A (en) * | 2021-05-21 | 2021-07-13 | 杨开建 | Mahjong machine folding device |
| CN115462653A (en) * | 2021-06-10 | 2022-12-13 |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 Bed frame folding mechanism and bed frame |
| CN114244934A (en) * | 2021-12-29 | 2022-03-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Electronic device |
| KR20240043583A (en) | 2022-09-27 | 2024-04-03 | 주식회사 리버스 | Variable table |
| CN116548727A (en) * | 2023-05-23 | 2023-08-08 | 山东浩航家具五金有限公司 | A dining table base that is convenient to disassembl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00016665A (en) | folding table with variable height | |
| US10159334B1 (en) | Collapsible picnic table | |
| US9427080B2 (en) | Collapsible power-driven table stand | |
| CN201164181Y (en) | Telescopic folding multipurpose stand | |
| US8661989B2 (en) | Adjustable desk | |
| US7712422B2 (en) | Folding table | |
| US3199825A (en) | Table-easel combination | |
| CN210870326U (en) | Electric lift table | |
| US11730260B2 (en) | Desktop lifting table | |
| WO2021031657A1 (en) | One-click foldable treadmill | |
| CN109222432A (en) | Multipurpose dining table | |
| KR101631108B1 (en) | The height control desk | |
| DE212015000038U1 (en) | Leaning chair frame with headrest | |
| US6170914B1 (en) | Chair having seat elevating device | |
| CN104728570B (en) | Height-adjustable lifting support | |
| US20070040482A1 (en) | Height-adjustable sewing table | |
| NL1033671C2 (en) | Device for adjusting a table top in height, in particular a work surface. | |
| CN218551828U (en) | Folding chair | |
| CN216393358U (en) | Combined wood table convenient to splice and store | |
| WO2022166615A1 (en) | Integrated collapsible dining table and dining chair | |
| CN107041643B (en) | Moving device for moving part of deck chair or sofa | |
| DE2919392A1 (en) | FOLDING BED | |
| GB2341790A (en) | A height adjustable table | |
| CA2545766C (en) | Adjustable tray for vehicle | |
| US20070272638A1 (en) | Device for a Wiggle-Free Tab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7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