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16931A - 끈적끈적한 삼출물 및 점적주입을 위해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드레싱재 - Google Patents

끈적끈적한 삼출물 및 점적주입을 위해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드레싱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931A
KR20200016931A KR1020207000148A KR20207000148A KR20200016931A KR 20200016931 A KR20200016931 A KR 20200016931A KR 1020207000148 A KR1020207000148 A KR 1020207000148A KR 20207000148 A KR20207000148 A KR 20207000148A KR 20200016931 A KR20200016931 A KR 20200016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ressing material
fluid
tissue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시 마크 로빈슨
크리스토퍼 브라이언 록케
Original Assignee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6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93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F13/021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5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sub-pressure or over-pressure therapy, wound drainage or wound irrigation, e.g. for use with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NPWT]
    • A61F13/0006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 A61F13/025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characterized by the parametric properties of the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61F13/026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especially adapted for island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61M1/0033
    • A61M1/0037
    • A61M1/0058
    • A61M1/0084
    • A61M1/00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2Suction control by changing the size of a v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5Intermittent or pulsat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1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 A61M1/916Suction aspects of the dr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eep w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2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with liquid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6Suction 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46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 A61F2013/00251Wound bandages in a special way pervious to air or vapours with macroscopic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17Electromagnetic, inductive or dielectric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음압이나 점적주입, 또는 둘 다를 이용한 조직 치료용 다층 드레싱재를 개시한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일련의 구멍을 갖는 망상형 폼으로 제1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층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층은 천공된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싱재는 실리콘겔과 같은 연질 폴리머로 형성된 제3 층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3 층은 또한 천공들이나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제3 층은 일반적으로 조직 부위를 마주보도록 배향되며, 제1 층이 제3 층과 제1 층 사이에 놓이도록 제1 층에 인접하여 제3 층이 배치된다. 제3 층 내의 천공들이나 개구들은 제1 층 내 하나 이상의 천공들과 정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끈적끈적한 삼출물 및 점적주입을 위해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드레싱재
관련 출원
본원은, 35 U.S.C.§119(e) 하에, "PEEL AND PLACE DRESSING FOR THICK EXUDATE AND INSTILLATION"란 명칭으로 2018년 1월 4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일련 번호 62/613,494; "MULTI-LAYER WOUND FILLER FOR EXTENDED WEAR TIME"이란 명칭으로 2017년 11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일련 번호 62/592,950;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PRESSURE TREATMENT WITH REDUCED TISSUE IN-GROWTH"란 명칭으로 2017년 10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일련 번호 62/576,498; "COMPOSITE DRESSINGS FOR IMPROVED GRANULATION AND REDUCED MACERATION WITH NEGATIVE-PRESSURE TREATMENT"란 명칭으로 2017년 9월 29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일련 번호 62/565,754; "TISSUE CONTACT INTERFACE"란 명칭으로 2017년 6월 7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일련 번호 62/516,540; "COMPOSITE DRESSINGS FOR IMPROVED GRANULATION AND REDUCED MACERATION WITH NEGATIVE-PRESSURE TREATMENT"란 명칭으로 2017년 6월 7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일련 번호 62/516,550; "COMPOSITE DRESSINGS FOR IMPROVED GRANULATION AND REDUCED MACERATION WITH NEGATIVE-PRESSURE TREATMENT"란 명칭으로 2017년 6월 7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일련 번호 62/516,566의 이점을 주장하며, 각각은 사실상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었다.
기술분야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조직 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비제한적으로, 음압 치료 환경에서의 조직 치료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직 부위 근처에서 압력을 낮춤으로써 해당 조직 부위에서의 새 조직 성장을 증가 및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임상 연구와 임상 실습을 통해 드러났다. 이러한 현상을 응용한 예들은 수없이 많지만, 상처를 치료하는데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상처의 병인이 외상, 수술 또는 다른 원인인지와 상관없이, 상처를 제대로 관리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중요하다. 감압을 이용하여 상처 또는 다른 조직을 치료하는 것을 보통 "음압 치료법"으로 지칭하기도 하지만, 예를 들어 "음압 상처 치료법", " 감압 치료법", "진공 치료법", "진공보조 봉합" 및 "국소 음압"을 비롯한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음압 치료법은 상처 부위에서의, 상피조직과 피하조직의 이동능력, 혈류 증가 및 조직의 미세 변형을 비롯한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 함께, 이들 이점은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의 발달을 증가시키고 치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조직 부위를 청결하게 하는 일이 새 조직 성장에 매우 이로울 수 있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져 있다. 예를 들어, 상처에 액체 용액을 흘려 보내 씻을 수 있거나, 치료 목적을 위해 액체 용액을 사용하여 강 부분(cavity)을 씻을 수 있다. 이러한 진료행위들을 흔히 "세척(irrigation)" 및 "세정(lavage)"으로 각각 부른다. "점적주입(instillation)"은 또 다른 진료행위로서, 일반적으로는 유체를 조직 부위에 천천히 도입하고 기정된 시간 동안 그대로 둔 다음, 유체를 제거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상처 기저부 상에 국소 치료 용액을 점적주입하는 치료법을 음압 치료법과 조합하여 상처 기저부 내 가용성 오염물질들이 흩뜨려 분리시키고(loosen) 감염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상처 치유를 더 촉진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용성 세균 부하가 감소되고, 오염물질들이 제거되며, 상처가 청결하게 유지된다.
음압 치료법 및/또는 점적주입 치료법의 임상적 이점들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치료 시스템, 구성요소 및 과정들에 대한 개선을 통해 의료인과 환자들이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음압 치료 환경 하에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신규의 유용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이하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하였다. 당업자로 하여금 본원에 제시된 발명의 주제를 구성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예시적 구현예 역시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조직 치료용 드레싱재는 다공성 매니폴드 재료로 된 제1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제1 층은 망상형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에는 일련의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 의하면 이러한 구멍들의 직경이 약 2mm 내지 약 10mm일 수 있고, 일부 예에 의하면 구멍들의 중심간 간격이 약 2mm 내지 약 10mm일 수 있다. 제1 층에 인접하여 제2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층은 천공된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소수성 폴리머가 일부 구현예에 유리할 수 있다. 두께 25 내지 50 마이크론이 일부 구현예의 제2 층에 적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이러한 천공은 슬롯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슬롯의 폭은 0.5mm 내지 2mm일 수 있고, 일부 예에서 슬롯의 길이는 약 3mm 내지 약 5mm일 수 있다. 천공은 제1 층 내의 구멍과 정합되거나 정합되지 않을 수 있다. 천공은 구멍과 정합 또는 정렬되는 길다란 또는 십자형 개창일 수 있으며, 천공은 육아 조직이 구멍의 측면(side)을 접촉하지 못하게 하는 플랩(flap)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층은 조직 부위를 마주보도록 배향된다. 드레싱재는 연질 폴리머로 형성된 제3 층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연질 폴리머는 예컨대 실리콘겔일 수 있다. 일부 구조형태에서는 1 평방미터 당 약 450g의 코팅 무게가 실리콘겔에 적합할 수 있다. 적합할 수 있는 또 다른 폴리머의 예로, 폴리우레탄, 하이드로콜로이드, 및 아크릴 물질이 있다. 제3 층은 또한 천공들 또는 개구들을 가질 수 있다. 제3 층은 일반적으로 조직 부위를 마주보도록 배향되며, 제1 층이 제3 층과 제1 층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 층에 인접하여 제3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층 내의 천공들 또는 개구들은 제1 층 내의 하나 이상의 천공들과 정합될 수 있다. 천공들을 정합 또는 정렬시킴으로써, 끈적끈적한 삼출물의 압력 저하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점적주입용 용액이 드레싱재를 빠르게 통과하여 조직까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층 및 제3 층 내의 천공들과 개구들의 크기는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드레싱재의 가장자리 쪽으로 있는 더 작은 천공들은 점적주입용 용액을 드레싱재의 바깥 경계부에서 드레싱재의 중앙 부분 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음압을 이용한 조직 부위 치료용 장치는 적층 관계를 이루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층과 제2 층, 및 상기 제1 층 상부에 배치된 커버를 포함한 드레싱재일 수 있다. 제1 층은 복수의 관통 구멍들을 갖는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층은 폴리머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머 필름에는 폴리머 필름 전체에 걸리는 압력 구배에 대응하여 팽창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유체 제한부들이 형성되어 있다. 일부 예에서, 커버는 폴리머 드레이프를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들 각각의 유효 직경이 약 2mm 내지 약 10mm일 수 있고, 중심간 간격이 약 2mm 내지 약 10mm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관통 구멍들은 배열구조(array)로 나열된다. 관통 구멍은 유체 제한부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거나, 또는 유체 제한부들 중 적어도 일부와 정합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구현예에서 드레싱재는 제3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층은 제2 층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개구들을 갖는 겔 층을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겔 층은 소수성일 수 있다. 1 평방센티미터 당 약 250g의 코팅 무게를 갖는 폴리머 겔이 제3 층의 일부 구현예에 적합할 수 있다.
본원에 청구된 발명 주제의 목적, 이점, 그리고 바람직한 제조 및 사용 방식은 하기의 예시적 구현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더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구현예에 따른, 음압 치료 및 점적주입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치료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치료 시스템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예시적 압력 제어 모드의 추가 세부사항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치료 시스템의 일부 구현예에서의 또 다른 예시적 압력 제어 모드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치료 시스템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예시적 드레싱재를 보여주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드레싱재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예시적 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치료 시스템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또 다른 예의 드레싱재를 보여주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드레싱재 층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개구의 예시적 구조형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5의 예시적 층 위에 배치된 도 7의 예시적 층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드레싱재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또 다른 예시적 층의 상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드레싱재의 다양한 층과 관련될 수도 있는 밸브의 여러 예시적 구조형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예시적 드레싱재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낸 또 다른 예시적 드레싱재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낸 드레싱재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천공들이 형성된 예시적 매니폴드층의 평면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도 1에 나타낸 드레싱재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매니폴드층 내의 다른 예시적 천공들에 대한 평면도들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낸 드레싱재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매니폴드층 내의 또 다른 예시적 천공들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낸 치료 시스템의 예시적 작동 방법과 관련될 수도 있는 세부사항을 설명하는 도표이다.
이하, 예시적 구현예들에 대한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본 발명의 주제를 구성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되, 종래 기술에 이미 주지된 특정 세부 사항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 목적이 아닌 예시 목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원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구성요소 간의 공간적 관계 혹은 다양한 구성요소 간의 공간적 배향을 참조하여 예시적 구현예들을 설명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관계 혹은 배향은 치료를 받는 환자의 위치와 일치하거나 그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기준 프레임을 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인지하여야 하듯이, 이 기준 프레임은 엄격한 규정이라기 보다는 단지 설명을 위한 방편이다.
도 1은 조직 부위에 국소 치료 용액 점적주입과 함께 음압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 구현예에 따른 치료 시스템(100)의 간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본문에서 "조직 부위"란 용어는 폭넓게는 조직 상에 혹은 조직 속에 위치하는 상처, 결손, 또는 다른 치료 대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뼈 조직, 지방 조직, 근육 조직, 신경 조직, 피부 조직, 혈관 조직, 결합 조직, 연골, 힘줄 또는 인대 등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처의 예로, 만성 상처, 급성 상처, 외상(traumatic wound), 아급성 상처, 개갑(dehisced) 상처, 부분 두께 화상, 궤양(이를테면, 당뇨성 궤양, 압박 궤양 또는 정맥 부전 궤양), 피판(flap) 및 이식편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직 부위"란 용어는 반드시 상처가 났거나 결손이 있지는 않지만 대신에 추가 조직의 성장을 부가하거나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임의 조직의 영역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직 부위에 음압을 인가하여, 채취 및 이식 가능한 추가 조직을 성장시킬 수 있다.
치료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음압원 또는 음압 공급부(이를테면, 음압원(105)), 드레싱재(110), 유체 용기(이를테면, 용기(115)), 및 조절기 또는 제어기(이를테면, 제어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치료 시스템(100)은, 작동 변수를 측정하고 이러한 작동 변수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를 제어기(120)에 제공하는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치료 시스템(100)은 제어기(120)에 연결된 제1 센서(125)와 제2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레싱재(110)는 하나 이상의 드레싱재층을, 이를테면 조직 계면부(135)나 커버(140)(또는 드레이프)를, 또는 일부 구현예에서는 둘 다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치료 시스템(100)은 점적주입용 용액 공급원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공급원(145)은 도 1에서의 구현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레싱재(110)에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용액 공급원(145)은 양압원(positive-pressure source)(이를테면 양압원(150))이나 음압원(이를테면 음압원(105))에, 또는 일부 구현예에서는 둘 다에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정확한 용량의 점적주입용 용액(예컨대, 식염수)이 조직 부위에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조절기(이를테면 점적주입 조절기(155))도 용액 공급원(145)과 드레싱재(110)에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적주입 조절기(155)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피스톤은 음압원(105)에 의해 공압식 작동되어, 음압이 걸리는 구간 동안에는 용액 공급원으로부터 점적주입용 액체를 인출하고, 배기 구간 동안에는 상기 용액을 드레싱재에 점적주입시킬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제어기(120)는 조직 부위로 전달되는 점적주입용 액체의 용량을 제어하기 위해 음압원(105)이나 양압원(150)에, 또는 둘 다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적주입 조절기(155)는 도 1에서의 구현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레싱재(110)를 통해 음압원(105)에도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치료 시스템(100)의 일부 구성요소는 치료를 한층 더 수월하게 해주는 센서, 처리 장치, 알람 표시기,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내장되거나 함께 협력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음압원(105)은 용액 공급원(145), 제어기 (120) 및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치료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압원(105)은 용기(115)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용기(115)를 통해 드레싱재(11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방식 (coupling)으로, 유체, 기계적, 열적, 전기적, 또는 화학적 연결(이를테면, 화학결합) 방식이 포함될 수 있고, 또는 일부 경우에서는 이들 연결 방식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압원(105)은 제어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조직 부위로의 유로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분배용 구성요소들에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구성요소들은 물리적 근접성에 의하거나, 단일 구조체로 일체화되거나, 또는 같은 종류의 재료로 형성됨으로써 연결될 수도 있다.
분배용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탈착가능하며, 일회용이거나, 재사용 또는 재활용될 수 있다. 드레싱재(110)와 용기(115)는 이러한 분배용 구성요소들의 예이다. 유체 전달부(fluid conductor)는 분배용 구성요소의 또 다른 실례이다. 본문에서 "유체 전달부"는 넓게는 두 단부 간에 유체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내강 또는 개방 통로를 가진, 튜브, 파이프, 호스, 도관, 또는 다른 구조체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튜브는 약간의 가요성을 띄는 가늘고 긴 원통형 구조이지만, 그의 기하구조와 강성도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유체 전달부는 다른 구성요소들 내에 성형되거나, 아니면 일체로 통합될 수 있다. 분배용 구성요소들은 또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계면부 또는 유체 포트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를 들면, 드레싱재 계면부는 드레싱재(110)로의 유체 전달부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드레싱재 계면부는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소재의 Kinetic Concepts, Inc.에서 구입가능한 SENSAT.R.A.C.™ Pad일 수 있다.
음압 공급부, 이를테면 음압원(105)은 음압 하의 공기 저장기일 수 있거나, 수동식 혹은 전기구동식 장치, 이를테면 진공 펌프, 석션 펌프, 많은 의료 보건 시설에 구비된 벽부형 석션 포트, 또는 마이크로-펌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압"은 밀폐된 치료 환경의 외부측 국소 환경에서의 대기압과 같은 국소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지칭한다. 많은 경우에, 국소 대기압은 조직 부위가 위치된 곳에서의 대기압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이러한 압력은 조직 부위에서의 조직과 관련된 정수압보다 낮을 수 있다.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언급되는 압력 수치들은 게이지 압력이다. 음압의 증가에 대한 언급은 전형적으로 절대 압력의 감소를 나타내는 반면에, 음압의 감소에 대한 언급은 전형적으로 절대 압력의 증가를 나타낸다. 조직 부위에 인가되는 음압의 양과 성질이 치료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때의 압력은 흔히 저 진공(rough vacuum)으로도 지칭되는 낮은 진공으로서, -5 mm Hg (-667 Pa) 내지 -500 mmHg (-66.7 kPa)이다. 통상적 치료 범위는 -50 mmHg (-6.7 kPa) 내지 -300 mmHg (-39.9 kPa)이다.
용기(115)는 조직 부위로부터 인출된 삼출물 및 다른 유체를 관리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용기, 캐니스터, 파우치 또는 다른 저장용 구성요소를 대표한다. 많은 환경에서, 유체를 한데 합치고, 보관하고, 폐기하기 위한 용도로 강성 용기가 바람직하거나 요구될 수 있다. 그 밖의 환경에서는, 유체를 강성 용기에 보관하지 않고 적절하게 폐기하여도 되며, 이런 면에서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는 음압 치료법과 관련된 폐기물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어기, 이를테면 제어기(120)는 치료 시스템(100)의, 음압원(105)과 같은,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작동하도록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제어기(120)는 치료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작동 변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된 메모리 및 프로세서 코어를 구비한 집적 회로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일 수 있다. 작동 변수의 예로, 음압원(105)에 인가되는 전력, 음압원(105)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 또는 조직 계면부(135)에 분배된 압력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어기(120)는 피드백 신호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입력 신호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작동 변수를 수정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센서들, 이를테면 제1 센서(125) 및 제2 센서(130)는 물리적 현상 또는 특성을 검출하거나 측정하도록, 그리고 보통은 이렇게 검출하거나 측정한 현상 또는 특성을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도록 작동 가능한 임의의 장치로서 대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125) 및 제2 센서(130)는 치료 시스템(100)의 하나 이상의 작동 변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센서(125)는 공압 경로 내의 압력을 측정하고 이렇게 얻은 측정치를 측정 압력 표시 신호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된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를 들면, 제1 센서(125)는 피에조-저항 스트레인 게이지(piezo-resistive strain gauge)일 수 있다. 제2 센서(130)는 일부 구현예에서, 선택적으로, 음압원(105)의 작동 변수(이를테면, 전압이나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125)와 제2 센서(130)로부터의 신호들이 제어기(120)로의 입력 신호로서 적절하지만, 일부 구현예에서는 약간의 신호 조절이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가 제어기(120)에 의해 처리될 수 있기 전에 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증폭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신호는 전기 신호이지만, 광학 신호와 같은 다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조직 계면부(135)는 일반적으로 조직 부위와 일부 또는 완전히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직 계면부(135)는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실시되는 치료 유형이나 조직 부위의 성질과 크기에 따라 여러 크기, 모양 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계면부(135)의 크기와 모양은 깊고 불규칙한 모양을 지닌 조직 부위의 윤곽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조직 계면부(135)의 어느 하나 또는 모든 표면에는 조직 부위 상의 변형 및 응력을 유도할 수 있는, 돌기들 혹은 고르지 않은, 거친, 또는 들쭉날쭉한 측면상(profile)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조직 부위에서의 육아를 촉진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커버(140)는 물리적 외상에 맞선 세균 장벽 및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140)는, 증발성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면서 두 구성요소 간 또는 두 환경 간에 유체 밀봉, 이를테면 치료 환경과 국소 외부 환경 간에 유체 밀봉을 제공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140)는, 예를 들어, 주어진 음압원에 대해 조직 부위에서 음압을 유지하기에 적합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필름 또는 막(membrane)을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응용예에서 커버(140)는 높은 투습도(MVTR)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MVTR은 ASTM E96/E96M 업라이트 컵(Upright Cup) 방법에 따른 업라이트 컵 기법을 이용하여 38℃, 상대습도(RH) 10%에서 측정하였을 때, 24시간 당 적어도 250 g/m2 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24시간 당 최대 5,000 g/m2의 MVTR이 효과적인 통기성과 기계적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 구현예에서, 커버(140)는 수증기에 투과성이지만 액체에 불투과성인, 폴리우레탄 필름과 같은, 폴리머 드레이프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드레이프의 두께는 25 내지 50 마이크론 범위이다. 투과성 재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투과도는 원하는 음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충분히 낮아야 한다. 커버(140)는, 예를 들어, 다음 재료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PU), 이를테면 친수성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물질(cellulosics); 친수성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친수성 아크릴 물질; 실리콘, 이를테면 친수성 실리콘 엘라스토머; 천연 고무; 폴리이소프렌;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폴리부타디엔;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클로로설폰화된 폴리에틸렌; 폴리설파이드 고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코폴리머; 및 폴리에테르 블록 폴리아미드 코폴리머. 이들 재료는, 예를 들어, 미국 미네소타주 미네아폴리스 소재의 3M사에서 구입가능한 Tegaderm® 드레이프; 미국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 소재의 Avery Dennison Corporation에서 구입가능한 폴리우레탄(PU) 드레이프; 프랑스 콜롱브 소재의 Arkema S.A.에서 구입가능한 폴리에테르 블록 폴리아미드 코폴리머(PEBAX); 및 영국 랙섬 소재의 Expopack Advanced Coatings에서 구입가능한 Inspire 2301 및 Inspire 2327 폴리우레탄 필름 등으로, 구입가능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커버(140)는 MVTR(업라이트 컵 기법)가 2600 g/m2/24 시간이고, 두께가 약 30 마이크론인 INSPIRE 2301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장치를 사용하여 커버(140)를 부착면(attachment surface), 이를테면 손상되지 않은 표피, 가스켓, 또는 다른 커버에 부착시킬 수 있다. 부착 장치는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장치는 커버(140)를 조직 부위 주위의 표피에 접합시키도록 구성된, 의학적으로 허용된 감압(pressure-sensitive) 점착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예를 들어, 커버(14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점착제로, 이를테면 코팅 무게가 1 평방미터 당 25 내지 65 그램(g.s.m.)인 아크릴계 점착제로 피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착제는 커버(140) 둘레의 연부 (margin)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밀봉을 개선시키고 누출을 줄이기 위해 더 두꺼운 점착제나 점착제 조합물을 도포시키기도 한다. 부착 장치의 다른 예시적 구현예로, 양면 테이프, 페이스트, 하이드로콜로이드, 하이드로겔, 실리콘겔, 또는 오가노겔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용액 공급원(145)은 점적주입 치료용 용액을 제공할 수 있는 용기, 캐니스터, 파우치, 봉지, 또는 저장용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용액의 조성물은 처방된 치료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부 처방에 적절할 수 있는 용액의 예로 하이드로클로라이트계 용액, 질산은(0.5%), 황-함유 용액, 바이구아니드 (biguanide), 양이온성 용액, 및 등장액이 있다.
도 2는 제어기(120)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예시적 제어 모드의 추가 세부사항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선(205)과 선(210)으로 표시된 것처럼, 음압원(105)이 일정한 목표 음압을 치료 기간 동안 또는 수동으로 비활성될 때까지 제공하도록 작동되는 모드인 연속 압력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제어기는 도 2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간헐 압력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시간 경과에 따른, 음압원(105)에 의해 발생된 음압을 나타낸다. 도 2의 예에서, 제어기 (120)는 음압원(105)을 목표 압력과 대기압 사이를 순환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압력을 특정 시간(예컨대, 5분) 동안 125 mmHg에 설정하고(선(205)으로 표시함), 그 후 특정 시간 동안(예컨대, 2분)은 비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실선들(215 및 220) 사이의 간격으로 표시함). 선(220)으로 표시한 것처럼, 목표 압력과 대기 압력 간에 구형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음압원(105)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이러한 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 구현예에서는, 대기압에서 목표 압력까지의 음압 증가가 즉각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압원(105)과 드레싱재(110)는 점선 (225)으로 표시한 것처럼 초기 상승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초기 상승 시간은 사용되는 드레싱재 및 치료 장비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치료 시스템의 경우에 초기 상승 시간은 약 20 내지 30 mmHg/초 범위일 수 있고, 다른 한 치료 시스템의 경우에는 약 5 내지 10 mmHg/초 범위일 수 있다. 치료 시스템 (100)이 간헐 모드로 작동 중이라면, 실선(220)으로 표시된 반복 상승 시간은 점선 (225)으로 표시된 초기 상승 시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일 수 있다.
도 3은 치료 시스템(100)의 일부 구현예에서의 또 다른 예시적 압력 제어 모드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에서, x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음압원(105)에 의해 발생된 음압을 나타낸다. 도 3의 예에서 목표 압력은 동적 압력 모드에서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압력은 각각 +25 mmHg/분의 속도로 설정된 상승 시간(305)과 -25 mmHg/분의 속도로 설정된 하강 시간(310)으로 최소 및 최대 음압인 50 mmHg와 125 mmHg 사이에서 변화되는 삼각파 형태로 변화될 수 있다. 치료 시스템(100)의 다른 구현예에서, 삼각파는 +30 mmHg/분의 속도로 설정된 상승 시간(305)과 -30 mmHg/분의 속도로 설정된 하강 시간(310)으로 음압 25 mmHg와 125 mmHg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동적 압력 모드에서 가변 목표 압력을 제어하거나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변 목표 압력은 운용자가 원하는 음압 범위로서 미리 정한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는 최대 압력 및 최소 압력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삼각파, 정현파 또는 톱니파와 같은 소정의 파형에 따라 목표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제어기(120)에 의해 가변 목표 압력이 처리 및 제어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이러한 파형은 치료에 바람직한 기정된 또는 시변적(time-varying) 음압으로서 운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드레싱재(110)의 일 예에 대한 분해조립도로서, 조직 계면부(135)가 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4의 예에서, 조직 계면부(135)는 제1 층(405)과 제2 층 (410)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층(405)은 제2 층(410)에 인접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405)이 제2 층(410)과 접촉하도록 제1 층(405)과 제2 층(410)을 적층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제1 층(405)이 제2 층(410)에 접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층(405)은 복수의 천공들(415)을 갖는 매니폴드 또는 매니폴드층을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층(405)은 압력 하에 조직 계면부(135) 전체에 걸쳐 유체를 수거하거나 분배시키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405)은 공급원으로부터 음압을 받아서, 조직 계면부(135) 전체에 걸쳐 다수의 개구들을 통해 음압을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조직 부위 전체로부터 유체를 수렴하고 이러한 유체를 공급원 쪽으로 끌어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유로는 가역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테면 점적주입용 용액 공급원으로부터 조직 계면부(135) 전체로의 유체 전달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차적인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 구현예에서는, 유체 분배 또는 유체 수렴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층(405)의 통로들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 구현예에서, 제1 층(405)은 유체 통로들이 상호 연결된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셀 폼, 다공성 조직 집합체, 및 다른 다공성 재료(이를테면, 거즈 또는 펠트 매트(felted mat))에는 상호 연결된 유체 채널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기공들, 가장자리들 및/또는 벽들이 일반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재료의 예로, 3D 텍스타일(Baltex, 뮬러, Heathcoates), 부직포(Libeltex, 프로이덴베르크), 3D 폴리머 구조체(성형된 폴리머, 엠보싱 성형된 필름, 및 융착 접합된 필름 [Supracore]), 및 메쉬를 들 수 있다. 액체, 겔, 및 다른 폼 역시 개구와 유체 통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개구와 유체 통로를 포함하도록 경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제1 층(405)은 상호 연결된 유체 통로들을 형성하는 돌기부들을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 연결된 유체 통로들을 형성하는 표면 돌기부들을 제공하도록 제1 층(405)을 성형할 수 있다. 제1 층(405)의 표면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고르지 않은, 거친, 또는 들쭉날쭉한 측면상(profile)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층(405)은 처방된 치료법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기공 크기와 자유 부피를 가진 망상형 폼을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치료법 적용예의 경우에 자유 부피가 90% 이상인 망상형 폼이 적합할 수 있으며, 일부 유형의 치료법에는 평균 기공 크기가 400 내지 600 마이크론 범위인 폼이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제1 층(405)의 인장 강도 역시 처방된 치료법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405)의 인장 강도는 국소 치료용 용액을 점적주입하기 위해 높아질 수 있다. 제1 층(405)의 25% 압축 하중 변형률은 1 평방인치 당 0.35 파운드 이상일 수 있고, 65% 압축 하중 변형률은 1 평방인치 당 0.43 파운드 이상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제1 층(405)의 인장 강도가 1 평방인치 당 10 파운드 이상일 수 있다. 제1 층(405)은 인치 당 2.5 파운드 이상의 인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층(405)은 폴리올, 이를테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이소시아네이트, 이를테면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중합반응 개질제, 이를테면 아민 및 주석 화합물로 이루어진 폼일 수 있다. 비제한적 일 예로, 제1 층(405)은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소재의 Kinetic Concepts, Inc.에서 둘 다 구입가능한 GRANUFOAM™ 드레싱재 혹은 V.A.C. VERAFLO™ 드레싱재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망상형 폴리우레탄 폼일 수 있다.
제1 층(405)은 일반적으로 제1 평면(planar surface)과, 상기 제1 평면의 반대쪽에 제2 평면을 가진다. 제1 평면과 제2 평면의 사이인 제1 층(405) 두께 또한 처방된 치료법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층들에 미치는 응력을 완화시키고 주변 조직에 미치는 인장력을 낮추기 위해 제1 층(405)의 두께를 줄여도 된다. 제1 층(405)의 두께는 제1 층(405)의 순응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약 5mm 내지 10mm 범위의 두께가 적합할 수 있다.
제2 층(410)은 유체 유량을 제어 또는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디버터층(diverter layer)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층(410)은 액체에 불투과성인 탄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410)은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층(410)은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매끄러운 혹은 무광(matte) 표면 텍스쳐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적용예의 경우, SPI(플라스틱 산업 협회) 표준에 따라 B3 등급 이상의 광택 또는 반짝임 마감 처리가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표면 높이의 편차(variation)를 허용 공차 내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의 표면은 높이 편차가 1cm에 걸쳐 0.2mm로 제한된 대체로 편평한 표면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층(410)은 소수성일 수 있다. 제2 층(410)의 소수도는 다양할 수 있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물과의 접촉각이 90도 이상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제2 층(410)과 물과의 접촉각이 15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제2 층(410)의 상기 접촉각은 90도 이상 약 120도 이하의 범위, 또는 120도 이상 150도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물과의 접촉각은 임의의 표준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수동식 각도계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이러한 접촉각의 근사치를 구할 수 있기는 하지만, 접촉각 측정 기구는, 무엇보다도, 접촉각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계산하도록 의도된 소프트웨어, 카메라, 주사기와 같은 액체 점적기 및 레벨 스테이지를 이용한 통합 시스템을 보통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시스템의 비제한적 예로, 미국 버지니아주 포르츠마우스 소재의 First Ten Angstroms, Inc.에서 모두 구입가능한 FTÅ125, FTÅ200, FTÅ2000, 및 FTÅ4000 시스템; 그리고 독일 함부르크 소재의 Kruss GmbH에서 모두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DTA25, DTA30, 및 DTA100 시스템을 들 수 있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는 20 내지 25℃, 상대습도 20 내지 50%의 공기 중에서 5cm 이하의 높이로부터 정적법(sessile drop)에 따라 탈이온 증류수를 사용하여 샘플 수평 표면 상에 첨가하는 식으로 물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본원에서의 접촉각들은 5 내지 9개 측정값들의 평균을 나타내며, 이때 최고 측정치와 최저 측정치는 무시한다. 실리콘 및 플루오로카본과 같은 기타 다른 재료로 된 소수성 코팅을 액체로부터 코팅된 상태 혹은 플라즈마 코팅된 상태로서 사용하여 제2 층(410)의 소수도를 한층 더 개선시킬 수 있다.
제2 층(410)은 제1 층(405)을 포함한 다른 층들에 용접하는 데에도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410)은 열, 고주파(RF) 용접, 또는 열을 발생시키는 다른 방법들, 이를테면 초음파 용접을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폼에 용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F 용접은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높은 극성의 재료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과 같은 낮은 극성 필름 재료의 RF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희생 극성 계면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층(410)의 면적 밀도는 처방된 치료법 또는 적용예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1 평방미터 당 40g 미만의 면적 밀도가 적절할 수 있으며, 일부 적용예의 경우에는 1 평방미터 당 약 20 내지 30g의 면적 밀도가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제2 층(410)은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소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의 단순한 불활성 구조는 생물학적 조직 및 유체와 거의 상호반응하지 않는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액체의 자유 유동과 낮은 점착도를 조장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많은 적용예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그 밖의 적합한 폴리머 필름으로는 폴리우레탄, 아크릴 물질, 폴리올레핀(이를테면, 환형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PEBAX 블록 코폴리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가황물, 폴리에테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물질, 실리콘, 플루오로폴리머, 및 아세테이트가 있다. 20 마이크론 내지 100 마이크론의 두께가 많은 적용예에 적합할 수 있다. 필름은 투명하거나 채색되거나 인쇄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필름에 적층시키기에 적합한 높은 극성 필름으로는, 폴리아미드, 코폴리에스테르, 아이오노머, 및 아크릴 물질이 있다. 폴리에틸렌 필름과 극성 필름 사이의 결합에 도움을 주기 위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개질 폴리우레탄과 같은 접착층(tie layer)을 사용하여도 된다. 에틸 메틸 아크릴레이트(EMA) 필름 또한 일부 구조형태에 적합한 소수성 및 용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층(410)은 하나 이상의 유체 제한부들(4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제한부는 제2 층(41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또는 불규칙하게 분포될 수 있다. 유체 제한부(420)는 양방향성이면서 감압성을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각각의 유체 제한부(420)는, 보통은 이완된 상태로 있어 액체 유동을 실질적으로 줄이고 압력 구배에 대응하여 팽창 또는 개방될 수 있는 탄성 통로를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 제한부(420)는 제2 층(410) 내 천공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천공은 제2 층(410)에서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410)을 절단시켜 천공들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천공 가장자리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 천공들 전체에 걸리는 압력 구배가 없으면, 통로들이 충분히 작아져 밀봉 또는 유체 제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액체 유동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유체 제한부들(420) 중 하나 이상은, 이완된 상태일 때는 보통 닫혀 있어 액체 유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며 압력 구배에 대응하여 개방될 수 있는 탄성 밸브일 수 있다. 제2 층(410) 내 개창이 일부 적용예에 적합한 밸브일 수 있다. 이들 개창 역시 제2 층(410)에서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지만, 제거되는 재료의 양과 형성되는 개창들의 치수는 최대 대략 천공 크기 정도일 수 있으며, 그 가장자리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제한부(420)의 일부 구현예는 제2 층(410) 내 하나 이상의 슬릿, 슬롯, 또는 슬릿 및 슬롯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유체 제한부(420)는 길이가 6mm 미만이고 폭이 3mm 미만인 선형 슬롯을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길이가 2mm 이상일 수 있고, 폭이 0.4mm 이상일 수 있다. 약 3mm 내지 약 5mm의 길이와 약 0.5mm 내지 약 2mm의 폭이 많은 적용예에 특히 적합할 수 있으며, 허용 공차는 약 0.1mm일 수 있다. 이러한 치수와 공차는 예를 들어 레이저 커터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형태의 슬롯들은 보통은 닫힌 상태 또는 휴지 상태에서 액체 유동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불완전 밸브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슬롯들은 완전히 닫히거나 밀봉되지 않은 채로 유동 제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액체 유동이 증가할 수 있도록 슬롯은 압력 구배에 대응하여 더 넓게 팽창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드레싱재(110)는 점착제(440)와 같은 부착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440)는, 예를 들어, 커버(140)의 주연부, 일부 또는 전체 둘레로 뻗는 의학적으로 허용된 감압성 점착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점착제(440)는 코팅 무게가 1 평방미터 당 25 내지 65 그램(g.s.m.)인 아크릴계 점착제일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커버는 제1 층(405)과 제2 층(410) 너머로 연장되는 연부를 포함하며, 이 연부에 점착제(4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밀봉을 개선시키고 누출을 줄이기 위해 더 두꺼운 점착제나 점착제 조합물을 도포시키기도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러한 점착제(440)의 층은 연속이거나 불연속일 수 있다. 점착제(440) 내 개구들 또는 구멍들(미도시)에 의해 점착제(440)의 불연속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440) 내 개구들 또는 구멍들은, 예를 들어, 점착제(440)를 캐리어층(이를테면, 커버(140)의 한 면) 위에 패턴에 따라 피복하거나 또는 점착제(440)를 도포한 후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 구현예에서, 점착제(440) 내 개구들 또는 구멍들의 크기는 드레싱재(110)의 수분투과율(MVTR)을 향상시키도록 정해질 수도 있다.
도 4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서, 드레싱재(110)는 사용 전 점착제(440)를 보호하기 위한 이형 라이너(44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형 라이너(445)는 드레싱재(110)의 전개를 수월하게 만들 수 있는 강성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형 라이너(445)는 예를 들어 공정지(casting paper),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이형 라이너(445)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재료이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극성 반결정성 폴리머일 수 있다. 이렇게 극성 반결정성 폴리머를 이형 라이너(445)로 사용하면 드레싱재(110)에 생기는 주름 또는 다른 변형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 반결정성 폴리머는 드레싱재(110)의 구성요소들과 접촉되었을 때, 온도 또는 환경 변화를 겪었을 때, 혹은 멸균 처리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연성화, 팽윤, 또는 그 밖의 변형에 대한 내성을 가질 수 있으며 고배향성일 수 있다. 더욱이, 제2 층(410)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이형 라이너(445)의 한 면에 이형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형제는 실리콘 코팅일 수 있고, 드레싱재(110)를 손상시키거나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손으로 이형 라이너(445)를 쉽게 떼어내게 만드는데 적합한 이형 인자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형제는 예를 들어 플루오로카본 또는 플루오로실리콘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형 라이너(445)는 피복되지 않거나 아니면 이형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는 유체 전달부(450)와 드레싱재 계면부(455)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 전달부(450)는 가요성 튜브일 수 있으며, 가요성 튜브의 한 단부가 드레싱재 계면부(455)에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드레싱재 계면부(455)는, 도 4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40)에 있는 개구들(460) 상부에 배치되어 유체 전달부(450)와 조직 계면부(135) 사이에 유로를 제공할 수 있는 엘보 접속재(elbow connector)일 수 있다.
도 5는 제2 층(410)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로서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5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 제한부(420) 각각은 길이가 약 3mm인 하나 이상의 선형 슬롯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유체 제한부들(420)의 일정한 분포 패턴의 일 예를 추가로 도시한다. 도 5에서, 유체 제한부들(420)은 제2 층(4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걸쳐 있으며, 평행한 행들 및 열들의 격자 무늬로 제2 층(410)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있고, 이때 슬롯들은 서로 상호간에도 평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도 5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들의 중심간 간격이 약 3mm일 수 있고, 각 행 내에서의 유체 제한부들(420)의 중심간 간격이 약 3mm일 수 있다. 인접 행들에 있는 유체 제한부들(420)이 정렬되거나 오프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 행들이 오프셋됨에 따라 유체 제한부들(420)은 번갈아 있는 행들로 정렬되어 있고 약 6mm 이격되어 있다. 치료 요구사항에 따라 일부 구현예에서는 유체 제한부들(420)의 간격을 달리함으로써 유체 제한부들(420)의 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드레싱재(110)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항균제로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405)은 항균제가 피복된 폼, 메쉬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층(405)은 항균성 부재, 이를테면 항균제가 피복된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제2 층(410)의 일부 구현예는 항균제가 피복된, 또는 항균제와 혼합된 폴리머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유체 전달부(450)는 하나 이상의 항균제로 처리될 수 있다. 적합한 항균제의 예로, 금속성 은, PHMB, 요오드 또는 요오드 착물과 요오드 혼합물(이를테면, 포비돈 요오드), 구리 금속 화합물, 클로르헥시딘, 또는 이들 재료의 일부 조합물을 들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드레싱재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은 시트르산과 콜라겐을 포함할 수 있는 혼합물로 피복될 수 있으며, 이는 바이오필름 및 감염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405)은 이러한 혼합물이 피복된 폼일 수 있다.
드레싱재(110)의 개별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용매계 또는 비용매계 점착제를 사용하거나 열용접을 통해, 유체 관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서로에 접합되거나 아니면 고정될 수 있다.
커버(140), 제1 층(405) 및 제2 층(410), 또는 다양한 조합을 적용 전에 혹은 현장에서 함께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커버(140)를 제1 층(405)에 적층할 수 있고, 제2 층(410)을 커버(140)의 반대쪽 제1 층(405)에 적층할 수 있다. 제2 층(410)은 제1 층(405)의 반대쪽에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조직 계면부(135)의 하나 이상의 층이 동일 공간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구현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층(410)을 제1 층(405)의 가장자리에 맞춰 밀착 절단하여, 제1 층(405)의 가장자리를 노출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제2 층(410)이 이러한 제1 층(405)의 가장자리에 겹쳐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드레싱재(110)는 단일 복합 드레싱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410)이 커버(140)에 결합됨으로써 제1 층(405)을 에워쌀 수 있으며, 이때 제2 층(410)은 조직 부위를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사용 시, 이형 라이너(445)(포함된 경우)를 떼어내어, 조직 부위의 내부, 상부, 위, 또는 가까이에, 특히 표면 조직 부위 인접 표피에 놓일 수 있는 제2 층(41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2 층(410)이 제1 층(405)과 조직 부위 인접 표피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층(405)과의 부정적 상호작용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층(410)이 표면 상처(상처의 가장자리들을 포함) 및 미손상된 표피 위에 배치됨에 따라, 제1 층(405)과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표면 상처의 치료 또는 표면 상처 상에 드레싱재(110)를 배치하는 일은 드레싱재(110)를 신체의 표면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하거나 신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펼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서의 표면 상처 치료는 드레싱재(110)를 완전히 몸 속에 또는 완전히 신체의 표면 아래에, 이를테면 드레싱재를 복강 속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표피 주연부가 조직 부위에 밀착되는 것과 같이, 제1 층(405) 및 제2 층(410) 둘레로, 커버(140)가 부착면에 밀착될 수 있다.
조직 계면부(135)나 커버(140)의, 또는 둘 다의 기하구조와 치수는 특정 적용예 또는 해부구조에 적합하도록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계면부(135)와 커버(140)의 기하구조나 치수는, 조직 부위 및 조직 부위 주위로, 팔꿈치 또는 발꿈치와 같은 까다로운 해부학적 표면에 대해 효과적이면서 신뢰성 있는 밀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는, 치수를 수정하여 제2 층(410)에 대한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조직 부위에서의 표피 세포 이동 및 증식을 개선하고 육아 조직의 내방성장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예에서의 드레싱재(110)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된 밀봉 치료 환경을 조직 부위 가까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음압원(105)은 밀봉 치료 환경 내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예컨대 밀봉된 치료 환경 내의 다른 구성요소 혹은 위치에서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 음압원을 사용하는 유체 역학이 수학적으로 복잡할 수 있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음압 치료법과 점적주입에 적용 가능한 유체 역학의 기본 원리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며, 본원에서는 압력을 낮추는 과정을 본원에서는 예를 들어 음압을 "전달", "분배" 또는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삼출물 및 다른 유체는 유로를 따라 더 낮은 압력쪽으로 흐른다. 따라서, "하류(downstream)"란 용어는 유로에서 어떤 것이 음압원에 상대적으로 더 가깝거나 양압원으로부터 더 멀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상류 (upstream)"란 용어는 어떤 것이 음압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멀거나 양압원에 더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기준 프레임 안에서 어떤 특징들을 유체 "입구" 또는 "출구" 측면에서 설명하기가 편리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배향은 본원의 다양한 특징과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일부 적용예에서 유로가 가역적일 수 있어 (이를테면, 양압원이 음압원을 대체), 이러한 서술적 규칙을 한정적 규칙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밀봉 환경 내 음압에 의해 제1 층(405)이 제2 층(410)쪽으로 압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일부 구현예에서는 제2 층(410)의 표면이 변형되어 고르지 않은, 거친, 또는 들쭉날쭉한 측면상이 제공될 수 있어서 조직 부위에 거시적 변형 및 미시적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조직 계면부(135)를 통해 인가된 음압은 제2 층(410)의 유체 제한부들(420) 전체에 걸쳐 음압 차동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유체 제한부들(420)을 개방시켜, 삼출물 및 다른 유체가 유체 제한부들(420)을 통과해 제1 층(405) 및 용기(115) 내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유체 제한부들(420)이 제2 층(410)을 관통하는 천공들로 이루어진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이러한 천공들 전체에 걸리는 압력 구배에 의해 제2 층(410)에 인접한 재료가 비틀려 변형되고 천공 치수가 증가될 수 있어, 액체가 이들 천공을 통과해 이동하도록 만드는데, 이는 덕빌밸브의 동작과 비슷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하나 이상의 센서, 이를테면 제1 센서(12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20)는 치료 시스템(100) 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직 계면부(135)로 전달되는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원하는 목표 압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직 계면부(135)에 인가될 목표 압력을 설정하고 입력시키는 것과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 구현예에 의하면, 목표 압력은 조직 부위에서의 치료에 바람직한 목표 음압으로서 운용자가 설정하여 제어기(120)에 입력되는 고정 압력값일 수 있다. 조직 부위를 형성하는 조직의 유형, (있는 경우) 부상 또는 상처의 유형, 환자의 의학적 상태, 그리고 주치의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목표 압력이 조직 부위마다 다를 수 있다. 원하는 목표 압력을 선정한 후에, 제어기(120)는 목표 압력에 근거하여 음압원(105)을 하나 이상의 제어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목표 압력을 조직 계면부(135)에서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층(405)은 드레싱재(110) 내 액체 저류 또는 저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수성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삼출물 또는 점적주입용 용액을 유지하기 위해 제1 층(405)이 친수성일 수 있다. 제1 층(405)이 친수성일 수 있는 예에서, 제1 층(405)은 조직 부위에 음압을 계속 분배하면서 유체가 조직 부위로부터 벗어나도록 흡습(wick)할 수 있다. 제1 층(405)의 흡습 특성은 예컨대 모세관 유동 또는 다른 흡습 기전을 통해 조직 부위로부터 유체를 추출할 수 있다. 제1 층(405)에 적합한 친수성 재료의 일 예는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소재 KCI에서 구입가능한 V.A.C. WHITEFOAM™ 드레싱재와 같은 폴리비닐 알코올, 개방-셀 폼이다. 그 밖의 친수성 폼으로는 폴리에테르로 제조된 폼이 있을 수 있다. 친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기타 다른 폼으로는 친수성을 제공하도록 처리되거나 피복된 소수성 폼이 있다.
음압원(105)을 치우거나 끄면, 유체 제한부들(420) 전체에 걸린 압력 차동이 사라질 수 있어 유체 제한부들(420)이 긴장해제 또는 휴지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허용되며, 제2 층(410)을 통과해 조직 부위로 이동하는 삼출물 또는 다른 액체의 반송이 방지되거나 그 반송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일부 적용예에서는 조직 부위와 제2 층(410) 사이에 필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직 부위가 표면 상처라면, 상처 주변 내측으로 상처용 필러가 주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처 주변과 상처용 필러 위에 제2 층(410)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필러는 개방-셀 폼과 같은 매니폴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필러는 제1 층(405)과 같은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점적주입용 용액 또는 다른 유체가 드레싱재(110)에 분배될 수 있으며, 이는 조직 계면부(135) 내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조직 계면부 (135) 내의 높아진 압력으로 인해 제2 층(410)의 유체 제한부들(420) 전체에 걸쳐 양압 차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지 상태에 있던 유체 제한부들(420)이 개방 또는 확장되면서 점적주입용 용액 또는 다른 유체가 조직 부위로 분배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드레싱재(110)의 또 다른 예의 분해조립도로서,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적 상세사항을 보여주는 것으로, 조직 계면부(135)가 추가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조직 계면부(135)는 제1 층(405)과 제2 층(410)에 더하여 제3 층(605)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층(605)은 제1 층(405)의 반대쪽 제2 층(410)에 인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층 (605)은 제2 층(410)에 접합될 수도 있다.
제3 층(605)은 점착성 표면을 가지며 조직 부위에 유체 밀봉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연질 폴리머로 형성된 고정층을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층은 코팅 무게가 약 250 g.s.m.인 폴리머 겔일 수 있으며, 일부 예에서는 대체로 편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층(605)은 실리콘겔, 연질 실리콘, 하이드로콜로이드, 하이드로겔, 폴리우레탄겔, 폴리올레핀겔, 수소첨가 스티렌 코폴리머겔, 발포겔(foamed gel), 폐쇄-셀 폼(이를테면, 점착제가 피복된 폴리우레탄 및 폴리올레핀), 또는 아크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제3 층(605)은 약 200 마이크론(μm) 내지 약 1000 마이크론(μ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제3 층(605)은 약 5 쇼어 OO 내지 약 80 쇼어 OO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층(605)은 소수성 또는 친수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층(605)은 소수성-피복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층(605)은 직포-, 부직포-, 성형 또는 압출- 메쉬와 같은 구멍이 뚫려있는(spaced) 재료를 소수성 재료로 피복 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복용 소수성 재료는 예컨대 연질 실리콘일 수 있다.
제3 층(605)은 내부측 부분(interior portion)(615)을 에워싸는 또는 그 둘레에 주연부(610)를 가질 수 있으며, 주연부(610)와 내부측 부분(615)을 관통하여 배치된 개구들(620)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내부측 부분(615)은 제1 층(405)의 표면적에 해당될 수 있다. 제3 층(605)에는 또한 모서리들(625)과 가장자리들(630)가 있을 수 있다. 모서리들(625)과 가장자리들(630)은 주연부(610)의 일부일 수 있다. 제3 층(605)의 내부측 부분(615) 주위로, 내부측 부분(615)과 주연부(610) 사이에 내부측 경계부(635)가 배치될 수 있다. 내부측 경계부(635)에는, 도 6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개구들(620)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예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측 부분(615)이 제3 층(605)에 대칭적으로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들(620)은 절단법을 이용하거나, 또는 예컨대 국소 RF 혹은 초음파 에너지를 인가하거나, 또는 구멍 형성에 적합한 다른 기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구들(620)은 제3 층(605) 상에서 일정한 분포 패턴을 가질 수 있거나 불규칙하게 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층(605)의 개구들(620)은 예를 들어 원형, 정사각형, 별모양, 타원형, 다각형, 슬릿형, 복잡한 곡선, 직선으로 둘러싸인(rectilinear) 모양, 삼각형을 비롯한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거나, 이들이 일부 조합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개구(620)는 일정하거나 유사한 기하구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개구(620)는 대체로 동일한 직경의 원형 개구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개구(620)의 직경은 약 1mm 내지 약 50mm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각각의 개구(620)의 직경은 약 1mm 내지 약 20mm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개구(620)의 직경은 약 2mm 내지 약 5mm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개구(620)의 기하구조 특성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620)의 직경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층(605)에서의 개구(620)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층(605)의 주연부(610)에 있는 개구들(620)의 직경은 제3 층(605)의 내부측 부분(615)에 있는 개구들(62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주연부(610)에 배치된 개구들(620)의 직경은 약 9.8mm 내지 약 10.2mm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여러 모서리 (625)에 배치된 개구들(620)의 직경은 약 7.75mm 내지 약 8.75mm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측 부분(615)에 배치된 개구들(620)의 직경은 약 2mm 내지 약 5mm일 수 있다.
제3 층(605)의 주연부(610)에 있는 개구들(620) 중 적어도 하나는 주연부 (610)의 가장자리(630)에 위치할 수 있고, 가장자리(630)에서 개방 혹은 노출되며 가장자리(630)와 횡방향으로 유체 연통되는 내부측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은 가장자리들(630)을 향하는, 제3 층(605)과 같은 평면에서의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연부(610)에 있는 개구들(620)은 가장자리들(630)에 근접하여 위치하거나 가장자리들(630)에 위치하며 횡방향으로 가장자리들(630)과 유체 연통된다. 이렇게 가장자리들(630)에 근접하여 위치하거나 가장자리들(630)에 위치한 개구들(620)은 도 6의 예에 도시한 것처럼 주연부(610) 둘레로 대체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가장자리들(630)에 근접하여 위치하거나 가장자리들(630)에 위치한 개구들(620)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 전 점착제(440)를 보호하기 위해 이형 라이너(445)가 제3 층(605)에 부착되거나 제3 층(605)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형 라이너(445)는 인접 층(이를테면, 제3 층(605)) 상에 각인(imprint)될 수 있는 표면 텍스쳐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제3 층(605)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이형 라이너(445)의 한 면에는 이형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개구(620)의 예시적 구조형태에 대한 개략도로서, 제3 층(605)의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7에 도시된 개구(620)는 내부측 부분(615)과만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도 7의 예에서, 개구(620)는 대체로 원형이며 직경이 약 2mm이다. 또한 도 7은 내부측 부분 (615)에 있는 개구들(620)의 일정한 분포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개구들(620)은 평행한 행들 및 열들의 격자 무늬로 분포되어 있다. 각 행과 열에서, 개구들(620)은 도 7의 예에 도시한 것처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7에는 개구들(620)이 각 열과 행을 따라 약 6mm 간격, 3mm 오프셋으로 이격된 예시적 구조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구조형태는 많은 적용예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유체 제한부(420) 위에 놓인 도 7의 개구(620)에 대한 개략도로서, 조직 계면부(135)의 일부 예시적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제한부들(420)이 개구들(620)과 정렬되거나, 중첩되거나, 정합되거나, 아니면 유체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 제한부들(420) 중 하나 이상은 내부측 부분(615)에 있는 개구들(620)과만 정합될 수 있거나, 개구들(620)과 부분적으로만 정합될 수 있다. 도 8의 예에 도시된 유체 제한부들(420)의 경우, 각 유체 제한부(420)는 단 하나의 개구(620)와 정합되도록 보통 구성된다. 다른 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제한부(420)가 둘 이상의 개구(620)와 정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제한부들(420)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은 둘 이상의 개구(620)에 걸쳐 연장되는 천공이거나 개창일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유체 제한부들(420) 중 하나 이상이 개구들(620) 중 어느 것과도 정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의 예에 도시된 것처럼, 개구들(620)은 제2 층(410)의 일부나 유체 제한부들(420)의 일부를, 또는 양측 모두를 제3 층(605)을 통해 노출시키는 크기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개구들(435)은 두 개 이하의 유체 제한부(420)를 노출시키는 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또는 모든 개구들(435)은 2개 또는 3개의 유체 제한부들(420)을 노출시키는 크기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유체 제한부(420) 각각의 길이는 개구(620) 각각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유체 제한부들(420)의 평균 치수는 개구들(620)의 평균 치수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개구(620)는 타원형일 수 있으며, 유체 제한부(420) 각각의 길이는 장축 혹은 단축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에서는 유체 제한부(420)의 치수가 개구(620)의 치수보다 클 수 있으며, 개구(620)의 크기는 드레싱재(110)의 하부면으로 노출되는 유체 제한부(420)의 유효 크기를 제한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드레싱재(110)의 개별 구성요소들은, 예컨대 용매계 또는 비용매계 점착제를 사용하거나 열용접을 통해, 유체 관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서로에 접합되거나 아니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층(410) 또는 제1 층 (405)은 예컨대 용접 또는 점착제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제3 층(605)의 경계부(635)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140), 제1 층(405), 제2 층(410), 제3 층(605), 또는 다양한 조합을 적용 전에 혹은 현장에서 함께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는, 커버(140)를 제1 층(405)에 적층할 수 있고, 제2 층(410)을 커버(140)의 반대쪽 제1 층(405)에 적층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층(605)을 제1 층(405)의 반대쪽 제2 층(410)에 접합시킬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조직 계면부(135)의 하나 이상의 층이 동일 공간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구현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층(410)이나 제3 층(605)을, 또는 둘 다를 제1 층(405)의 가장자리에 맞춰 밀착 절단하여, 제1 층(405)의 가장자리를 노출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제2 층(410)이나 제3 층(605)이, 또는 둘 다가 이러한 제1 층(405)의 가장자리에 겹쳐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드레싱재(110)는 단일 복합 드레싱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층(605)이 커버(140)에 접합됨으로써 제1 층(405)과 제2 층(410)을 에워쌀 수 있으며, 이때 제3 층(605)은 조직 부위를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제2 층(410)이나 제3 층(605)이, 또는 둘 다가 제1 층(405)의 양면에 배치되어 함께 접합됨으로써 제1 층(405)을 에워쌀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이형 라이너(445)를 떼어내면 점착제(440) 역시 노출될 수 있으며, 커버(140)가, 제1 층(405) 및 제2 층(410) 둘레로, 조직 부위 주위의 표피와 같은 부착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440)는 제3 층(605)의 최소한 주연부(610)에 있는 개구들(620)을 통해 부착면과 유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440)는 가장자리(630)에서의 노출된 개구들(620)을 통해 가장자리(630)와 유체 연통될 수도 있다.
드레싱재(110)를 원하는 위치에 놓은 후에는, 개구들(620)을 통해 점착제 (440)를 누름으로써 드레싱재(110)를 부착면에 접합시킬 수 있다. 가장자리(630)에 있는 개구(620)는 점착제(440)가 가장자리(630) 주위로 흐를 수 있게 하여 부착면에 가장자리(630)를 더 잘 점착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3 층(605)의 개구들 또는 구멍들의 크기는 이들 개구 (620)와 유체 연통하는 점착제(440)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크기일 수 있다. 모서리 (625)의 기하구조가 주어진 경우, 개구(620)의 상대적인 크기는 모서리(625)에 있는 개구(620)를 통해 노출 및 유체 연통되는 점착제(440)의 표면적을 극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자리들(630)은 대체로 직각 또는 약 90도로 교차하여 모서리들(625)을 형성한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모서리(625)는 약 10mm의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직경 약 7.75mm 내지 약 8.75mm의 개구들(620) 중 세 개가 모서리(625)에 삼각형 구조로 위치됨으로써 점착제(440)에 대한 노출 표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점착제(440)의 노출 표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 모서리(625)에 있는 개구 (620)의 크기 및 개수를 모서리(625)의 선택된 기하구조에 따라 필요하다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625)에 있는 개구(620)는 제3 층(605)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어, 모서리(625)의 외부측 횡방향으로의 유체 연통을 실질적으로 막는다. 이렇게 제3 층(605)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는, 모서리(625)의 개구(620)는 모서리(625)의 외부측으로 점착제(440)가 유체 연통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막을 수 있고, 조직 부위에 드레싱재(110)를 전개시킬 때 드레싱을 더 잘 다룰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점착제(440)가 실질적으로 없는 모서리(625) 외부측은 모서리(625)의 가요성을 증가시켜 편안함을 높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점착제(440)의 접합 강도는 드레싱재(110)의 다양한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440)의 접합 강도는 개구들(620)이 상대적으로 더 큰 곳인, 제3 층(605)에 인접한 위치에서 더 낮을 수 있고, 개구들(620)이 더 작은 곳에서는 접합 강도가 더 높을 수 있다. 큰 개구(620)와 낮은 접합 강도가 조합된 점착제(440)는 작은 개구들(620)이 있는 위치에서의 높은 접합 강도 점착제(440)와 견줄만한 접합 상태(bond)를 제공할 수 있다.
조직 계면부(135)나 커버(140)의, 또는 둘 다의 기하 구조와 치수는 특정 적용예 또는 해부구조에 적합하도록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직 계면부 (135)와 커버(140)의 기하 구조나 치수는, 조직 부위 및 조직 부위 주위로, 팔꿈치 또는 발꿈치와 같은 까다로운 해부학적 표면에 대해 효과적이면서 신뢰성 있는 밀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는, 치수를 수정하여 제3 층(605)에 대한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조직 부위에서의 표피 세포 이동 및 증식을 개선하고 육아 조직의 내방성장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일 예에서, 드레싱재(110)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격리된 밀봉 치료 환경을 조직 부위 가까이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음압원(105)은 밀봉 치료 환경 내 압력을 낮출 수 있다. 제3 층(605)은 조직 부위 그리고 조직 부위 주위로, 팔꿈치 또는 발꿈치와 같은 까다로운 해부학적 표면에 대해 효과적이면서 신뢰성 있는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드레싱재(110)에 생긴 구김살 및 다른 불연속부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유출을 줄이거나 없애도록 드레싱재(110)를 재도포시키거나 재배치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출 해결 능력은 치료 효능을 높이고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드레싱재 계면부(455)가 사전에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드레싱재 계면부를 개구(460) 위에 놓고 커버(140)에 부착시키면 된다. 유체 전달부(450)는 드레싱재 계면부(455) 및 음압원(105)에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조직 계면부(135)를 통해 인가된 음압은 제2 층(410)의 유체 제한부들(420) 전체에 걸쳐 음압 차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유체 제한부들(420)을 개방 또는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제한부들(420)이 제2 층(410)을 관통하는 실질적으로 밀폐된 개창들로 이루어진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이러한 개창들 전체에 걸리는 압력 구배에 의해 제2 층(410)에 인접한 재료가 비틀려 변형되고, 개창 치수가 증가하고/하거나 개창이 변형될 수 있어, 액체가 이들 개창을 통과해 이동하도록 만드는데, 이는 덕빌밸브의 동작과 비슷하다. 유체 제한부들(420)이 개방되면, 삼출물 및 다른 유체가 유체 제한부들(420)을 통과해 제1 층(405) 및 용기 (115) 내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압력 변화 역시 제1 층(405)의 팽창 및 수축을 야기할 수 있으며, 내부측 경계부(635)는 표피 염증을 막아줄 수 있다. 제2 층 (410)과 제3 층(605)은 또한 조직이 제1 층(405)에 노출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조직이 제1 층(405) 내부로 성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음압원(105)을 치우거나 끄면, 유체 제한부들(420) 전체에 걸린 압력 차동이 사라질 수 있어 유체 제한부들(420)이 긴장해제 또는 휴지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허용되며, 제2 층(410)을 통과해 조직 부위로 이동하는 삼출물 또는 다른 액체의 반송이 방지되거나 그 반송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일부 적용예에서는 조직 부위와 제3 층(605) 사이에 필러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직 부위가 표면 상처라면, 상처 주변 내측으로 상처용 필러가 주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처 주변과 상처용 필러 위에 제3 층(605)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필러는 개방-셀 폼과 같은 매니폴드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필러는 제1 층(405)과 같은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점적주입용 용액 또는 다른 유체가 드레싱재(110)에 분배될 수 있으며, 이는 조직 계면부(135) 내의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조직 계면부 (135) 내의 높아진 압력으로 인해 제2 층(410)의 유체 제한부들(420) 전체에 걸쳐 양압 차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휴지 상태에 있던 유체 제한부들(420)이 개방 또는 확장되면서 점적주입용 용액 또는 다른 유체가 조직 부위로 분배될 수 있게 한다.
도 9는 제3 층(605)의 또 다른 예의 상면도로서,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9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층(605)은 내부측 부분(615) 내 개구들(620)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탄성 밸브 (90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밸브(905)는 제2 층(410) 대신에 제3 층(305)에, 또는 제2 층에 추가로 제3 층에 마련될 수 있다. 제3 층(605)이 하나 이상의 밸브 (905)를 포함하는 일부 구현예에서는 제2 층(410)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조직 계면부(135)는 제1 층(405)과, 내부측 부분(615)에 밸브들이(905)이 배치되어 있는 도 9에 따른 제3 층(605)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밸브(905)의 다른 예시적 구조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일반적으로 각각의 밸브(905)는 교차형 슬릿들 혹은 십자형 슬릿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12는 드레싱재(110)의 일 예에 대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12의 예에서, 조직 계면부(135)는 제1 층(405), 제2 층(410) 및 제3 층(605)을 포함하되, 제2 층(410)이 제1 층(405)과 제3 층(605) 사이에 배치되는 적층 구조형태로 조립된다. 도 12의 커버(140)는 제1 층(405) 상부에 배치된다. 커버(140)는 조직 계면부(135)의 가장자리들을 대체로 에워싼다.
도 12의 예시적 구조형태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들(415)이 제1 층(405)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천공들(415) 중 하나 이상은 커버(140)에 인접한 제1 표면으로부터 제2 층(410)에 인접한 제2 표면까지 제1 층(405)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through-hole)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천공들(415) 중 하나 이상은 제1 층(405)을 완전히 관통하지는 않는 블라인드홀(blind hol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들(415) 중 하나 이상은 제1 표면으로부터 제1 층(405) 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층(405)의 두께 미만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천공(415)은 제1 층(405)의 벽(1205)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들 벽(1205)은 원통형일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의하면, 천공(415)은 끝이 뾰족해지는 모양일 수 있고, 원뿔, 피라미드 또는 다른 불규칙 기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은 조직 계면부(135)의 또 다른 예시적 구조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13의 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체 제한부(420)가 압력 구배 하에 팽창하여 벽들(1205)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유체 제한부(420)는 벽들(1205)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될 수 있는 플랩들을 형성할 수 있는 십자형 슬릿을 포함하거나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랩들 덕분에 제1 층 (405) 내부로의 조직 성장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일부 예에 의하면 육아 조직 또한 유체 제한부들(420)의 팽창을 야기할 수 있다. 제3 층(605)을 갖는 일부 구현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유체 제한부(420)가 하나 이상의 개구(620)와 정렬될 수 있다.
도 14는 제1 층(405)의 일 예에 대한 평면도로서,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 따른 천공(415)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천공 (415)의 평균 직경이 약 2mm 내지 약 10mm일 수 있고, 천공들(415)의 중심간 간격이 약 2mm 내지 약 10mm일 수 있다. 천공들(415)은 유체 제한부들(420) 및 개구들 (620) 모두 또는 일부와 정렬될 수 있거나, 어느 것과도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층(405)은 제1 배향선(1405)과, 상기 제1 배향선 (1405)에 수직인 제2 배향선(1410)을 가질 수 있다. 제1 배향선(1405)과 제2 배향선(1410)은 제1 층(405)을 관통하는 대칭선들일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 제1 층 (405)의 모양은 종방향 가장자리들(1415)과 횡방향 가장자리들(1420)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배향선(1405)은 종방향 가장자리들(1415)에 평행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층(405)의 종방향 가장자리들(1415)과 횡방향 가장자리들(1420)은 직선형 가장자리들이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천공 (415)이 종방향 가장자리(1415) 또는 횡방향 가장자리(1420)와 중첩됨으로써 가장자리가 비선형 측면형을 가질 수 있게 되는데, 이로써 각질형성세포 이동 중단이 감소되고 음압 치료를 이용한 재-상피화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405)은 다양한 다른 적합한 모양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405)은 다이아몬드, 정사각형 또는 원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층(405)의 모양은 조직 부위의 모양 또는 유형을 수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405)은 타원형 또는 원형 조직 부위를 수용하도록 타원형 또는 원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천공들(415)은 도 14의 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란히 행을 이루며 정렬되어 배열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의하면, 한 행에 있는 2개 이상 천공들(415)의 바깥 경계부 사이인, 벽(1205)들의 폭이 약 5mm일 수 있다. 인접 행에 있는 각 천공(415)의 중심이 제1 배향선(1405)을 따라 오프셋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은 제1 층(405)의 다른 예들의 평면도로서,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15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구현예에 따른 천공(415)은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5는 각 천공의 단면이 육각형인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각 천공의 단면이 삼각형인 예를 도시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천공(415)은 약 2mm 내지 약 10mm의 유효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비-원형 영역의 유효 직경은 이러한 비-원형 영역과 동일한 표면적을 가진 원형 영역의 직경이다.
도 17은 제1 층(405)의 또 다른 예의 평면도로서, 일부 구현예와 관련될 수도 있는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도 17의 예에서는 각 천공(415)의 단면이 타원형이다.
도 18은 조직 계면부(135)를 음압 치료 및 점적주입 치료하기 위한 치료 시스템(100)의 예시적 작동 방법과 관련될 수도 있는 세부사항을 설명하는 도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어기(120)는 데이터, 이를테면 조직 계면부(135)에 공급되는 점적주입용 용액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 임상의사가 처방한 점적주입용 용액의 종류, 조직 부위에 점적주입되는 유체나 용액의 양("충전량"), 및 음압을 조직 부위에 인가하기 전에 조직 부위에 용액이 남아있도록 규정된 시간("저류 시간")이 있을 수 있다. 충전량은 예를 들어 10 내지 500mL일 수 있고, 저류 시간은 1초 내지 30분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120)는 참조번호 180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용액을 점적주입하기 위해 치료 시스템(100) 내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20)는 유체가 용액 공급원(145)으로부터 조직 계면부(135)로 분배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조직 부위에서의 압력을 낮추어 용액이 조직 계면부(135)에 인입되도록, 참조번호 18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음압원(105)으로부터의 음압을 인가함으로써 유체를 조직 부위에 점적주입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용액이 용액 공급원(145)에서 조직 계면부(135)로 이동하도록 참조번호 181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양압원(150)으로부터의 양압을 인가함으로써 용액을 조직 부위에 점적주입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참조번호 182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중력에 의해 용액이 조직 계면부(135) 내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데 충분한 높이까지 용액 공급원(145)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어기(120)는 연속적 용액 흐름(참조번호 1830) 또는 간헐적 용액 흐름(참조번호 1835)을 공급함으로써 점적주입의 유체 역학을 제어(참조번호 1825)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속적 용액 흐름 또는 간헐적 용액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음압을 인가(참조번호 1840)할 수 있다. 음압 인가는 조직 계면부(135)를 통과하는 점적주입용 용액의 연속 유량을 실현시키는 연속 압력 작동 모드(참조번호 1845)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조직 계면부(135)를 통과하는 점적주입용 용액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동적 압력 작동 모드(참조번호 1855)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음압 인가는 점적주입용 용액이 조직 계면부(135)에 저류하게 허용하는 간헐 작동 모드(참조번호 1860)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간헐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치료하고자 하는 조직 부위의 유형 및 이용되는 드레싱재의 종류에 따라 특정의 충전량 및 저류 시간이 주어질 수 있다. 용액을 점적주입하고 난 후 또는 용액을 점적주입하는 도중에, 음압 치료(참조번호 1865)를 적용할 수 있다. 추가 용액을 점적주입(참조번호 1805)함으로써 또 다른 점적주입 사이클(참조번호 1870)을 시작하기 전에, 제어기(120)를 활용하여 작동 모드, 및 음압 치료의 지속 시간을 선정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들은 현저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드레싱재(110)는 크기 조정 없이 무손상 피부 위에 도포될 수 있으며, 침연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일부 구조형태에서, 조직 내방성장이나 매니폴드 효과 손실에 대한 위험을 낮게 유지하는 가운데 드레싱재(110)는 최대 7일 동안 상처 위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드레싱재(110)는 중-고(medium-to-high) 수준의 삼출물을 생성하는 중간 정도 깊이의 상처 치료에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상처, 특히 아주 많이 감염된 상처는 매우 점성이 높은 삼출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삼출물로 인해 상처 부위에 전달되는 음압 수준이 낮아질 수 있다. 천공(415)은 드레싱재(110)를 통한 삼출물 제거의 효능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인과적 감염 치료, 상처나 드레싱재로부터 삼출물 배출, 또는 둘 다를 위해, 점적주입 치료법을 이용하여 끈적끈적한 삼출물을 생성하는 상처들을 치료할 수도 있다. 천공(415)은 드레싱재(110)로부터 삼출물을 제거하고 점적주입용 용액을 상처에 전달하도록 하는 등, 사용된 점적주입용 용액의 효능을 높일 수 있다.
몇몇 예시적 구현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원에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들을 이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쉽게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더욱이, "또는"과 같은 용어를 이용한 각종 대안예의 설명에서는 해당 문맥에 분명하게 요구되지 않는 한 상호배타성이 요구되지 않으며, "a" 또는 "an"이란 부정관사는 해당 문맥에 분명하게 요구되지 않는 한, 해당 대상을 단 하나의 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구성요소들은 또한 판매, 제조, 조립 또는 사용 목적을 위한 다양한 구조형태로 통합되거나 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조형태에서, 드레싱재(110)나 용기(115)가, 또는 둘 다가 제조 또는 판매용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분리되거나 혹은 배제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구조형태에서, 제어기(120) 역시 다른 구성요소들과 독립적으로 제조, 구성, 조립 또는 판매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는 전술된 발명 주제의 신규하고 진보성 있는 양태들을 제시하지만, 청구범위는 구체적으로 자세히 기술되지 않은 추가의 발명 주제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한 특징, 부재 또는 양태는 이러한 신규하고 진보성 있는 특징을 당업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것과 구별하는데 필요하지 않다면 청구범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 관하여 설명한 특징, 부재 및 양태들은 또한 생략 혹은 조합될 수 있거나,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일한, 대등한 또는 유사한 용도의 대안적 특징부로 대체될 수 있다.

Claims (52)

  1. 음압을 이용한 조직 부위 치료용 드레싱재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 구멍들(through-holes)을 갖는 매니폴드를 포함한 제1 층;
    상기 제1 층에 인접해 위치하며 폴리머 필름을 포함한 제2 층으로서, 상기 폴리머 필름에는 폴리머 필름 전체에 걸리는 압력 구배에 대응하여 팽창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유체 제한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제2 층; 및
    상기 제1 층에 인접해 위치하며 폴리머 드레이프를 포함한 커버
    를 포함하는 드레싱재.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 구멍들 각각의 유효 직경이 2mm 이상인, 드레싱재.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 구멍들 각각의 유효 직경이 10mm 이하인, 드레싱재.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 구멍들 각각의 유효 직경이 약 2mm 내지 약 10mm인, 드레싱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 구멍들의 중심간 간격이 약 2mm인, 드레싱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 구멍들의 중심간 간격이 약 10mm인, 드레싱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 구멍들의 중심간 간격이 약 2mm 내지 약 10mm인, 드레싱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 구멍들은 배열구조(array)를 형성하는 것인, 드레싱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이 유체 제한부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인, 드레싱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들의 적어도 일부가 유체 제한부들 중 적어도 일부와 정합되는 것인, 드레싱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망상형 폼을 포함하는 것인, 드레싱재.
  12. 제12항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압축된 망상형 폼을 포함하는 것인, 드레싱재.
  13. 제12항에 있어서,
    매니폴드는 펠트 망상형 폼을 포함하는 것인, 드레싱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층의 폴리머 필름은 소수성인, 드레싱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 층의 폴리머 필름은 폴리에틸렌인, 드레싱재.
  16. 제14항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은 1 평방미터 당 30g 미만의 면적 밀도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인, 드레싱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제한부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들 각각의 길이가 5mm 미만인, 드레싱재.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제한부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들 각각의 폭이 2mm 미만인, 드레싱재.
  19.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제한부들은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들 각각의 길이가 4mm 미만이고 폭이 2mm 미만인, 드레싱재.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제한부는 폴리머 필름 내 탄성 밸브를 포함하거나 이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 밸브는 보통은 폐쇄되어 있는 것인, 드레싱재.
  21.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체 제한부는 폴리머 필름 내 개창을 포함하는 것인, 드레싱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유체 제한부는 폴리머 필름 내 슬릿을 포함하는 것인, 드레싱재.
  23. 제21항에 있어서,
    유체 제한부는 폴리머 필름 내 교차형 슬릿을 포함하는 것인, 드레싱재.
  24. 제21항에 있어서,
    유체 제한부는 음압 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플랩(flap)을 포함하는 것인, 드레싱재.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는 제1 층과 제2 층 너머로 연장되는 연부(margin), 및 상기 연부에 배치된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인, 드레싱재.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층에 인접해 배치된 제3 층으로서, 복수의 개구들을 갖는 겔을 포함하는 제3층
    을 추가로 포함하는 드레싱재.
  27. 제26항에 있어서,
    제3 층의 겔은 1 평방센티미터 당 약 250g의 코팅 무게를 갖는 폴리머 겔인, 드레싱재.
  28. 제26항에 있어서,
    제3 층의 겔은 실리콘겔인, 드레싱재.
  29. 제26항에 있어서,
    제3 층의 겔은 1 평방센티미터 당 약 250g의 코팅 무게를 갖는 실리콘겔을 포함하는 것인, 드레싱재.
  30. 제26항에 있어서,
    겔이 실리콘, 폴리우레탄, 하이드로콜로이드, 또는 아크릴 물질인, 드레싱재.
  31. 제26항에 있어서,
    제3 층 내 복수의 개구들의 유효 직경이 약 2mm 내지 약 5mm인, 드레싱재.
  32. 제26항에 있어서,
    제1 층과 제2 층은 제3 층과 커버 사이로 에워싸여 있는 것인, 드레싱재.
  33. 제26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들 중 적어도 일부는 유체 제한부들 중 적어도 일부와 정합되는 것인, 드레싱재.
  34. 제26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들은 복수의 개구들 및 유체 제한부들과 정합되는 것인, 드레싱재.
  35. 제26항에 있어서,
    유체 제한부는 개구의 평균 치수를 실질적으로 초과하지 않는 평균 길이를 갖는 것인, 드레싱재.
  36. 제26항에 있어서,
    개구는 유체 제한부의 유효 크기를 제한하는 것인, 드레싱재.
  37. 제26항에 있어서,
    개구들 각각은 2개 이하의 유체 제한부를 노출하는 크기인, 드레싱재.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은 관통 구멍들 내부로 연장되지 않는 것인, 드레싱재.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은 관통 구멍들 전체에 걸쳐 연장되지 않는 것인, 드레싱재.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에 결합된 유체 포트로서, 유체 전달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유체 포트
    를 추가로 포함하는 드레싱재.
  41. 음압원; 및
    상기 음압원에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레싱재
    를 포함하는, 음압을 이용한 조직 치료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드레싱재에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 점적주입 용액 공급원
    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43. 상처에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레싱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드레싱재에 음압원을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음압원으로부터의 치료 수준의 음압을 상기 드레싱재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압을 이용한 상처 치료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재에 점적주입용 용액 공급원을 유체 유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점적주입용 용액 공급원으로부터의 용액을 상기 드레싱재에 전달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재를 도포하는 단계는 드레싱재를 상처에 인접한 표피에 밀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6. 제43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싱재를 도포하는 단계는 드레싱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처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47.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는 표면 상처(surface wound)인, 방법.
  48. 제4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드레싱재는 적어도 7일 동안 상처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것인, 방법.
  49. 조직 부위 치료를 위한, 제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레싱재, 시스템 또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용도.
  50. 상처 치료를 위한, 제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레싱재, 시스템 또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용도.
  51. 적어도 7일 동안 드레싱재를 교체하지 않으면서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드레싱재, 시스템 또는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용도.
  52. 실질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대로의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0207000148A 2017-06-07 2018-06-05 끈적끈적한 삼출물 및 점적주입을 위해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드레싱재 Withdrawn KR20200016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16540P 2017-06-07 2017-06-07
US201762516566P 2017-06-07 2017-06-07
US201762516550P 2017-06-07 2017-06-07
US62/516,550 2017-06-07
US62/516,566 2017-06-07
US62/516,540 2017-06-07
US201762565754P 2017-09-29 2017-09-29
US62/565,754 2017-09-29
US201762576498P 2017-10-24 2017-10-24
US62/576,498 2017-10-24
US201762592950P 2017-11-30 2017-11-30
US62/592,950 2017-11-30
US201862613494P 2018-01-04 2018-01-04
US62/613,494 2018-01-04
PCT/US2018/035968 WO2018226631A1 (en) 2017-06-07 2018-06-05 Peel and place dressing for thick exudate and instil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931A true KR20200016931A (ko) 2020-02-17

Family

ID=6270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148A Withdrawn KR20200016931A (ko) 2017-06-07 2018-06-05 끈적끈적한 삼출물 및 점적주입을 위해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드레싱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90231943A1 (ko)
EP (2) EP3634333B1 (ko)
JP (2) JP7241305B2 (ko)
KR (1) KR20200016931A (ko)
CN (1) CN110691574A (ko)
AU (1) AU2018282163B2 (ko)
BR (1) BR112019025025A2 (ko)
CA (1) CA3061353A1 (ko)
RU (1) RU2019139918A (ko)
SG (1) SG11201909388RA (ko)
WO (1) WO2018226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8376D0 (en) 2008-05-08 2008-06-18 Bristol Myers Squibb Co Wound dressing
GB0817796D0 (en) 2008-09-29 2008-11-05 Convatec Inc wound dressing
GB201020236D0 (en) 2010-11-30 2011-01-12 Convatec Technologies Inc A composition for detecting biofilms on viable tissues
JP5965409B2 (ja) 2010-12-08 2016-08-03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創傷滲出液を評価するための統合システム
JP6151186B2 (ja) 2010-12-08 2017-06-21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創傷滲出液システム付属装置
WO2012078724A1 (en) 2010-12-08 2012-06-14 Convatec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pressure to a wound site
WO2013066426A2 (en) * 2011-06-24 2013-05-10 Kci Licensing, Inc. Reduced-pressure dressings employing tissue-fixation elements
GB201115182D0 (en) 2011-09-02 2011-10-19 Trio Healthcare Ltd Skin contact material
GB2497406A (en) 2011-11-29 2013-06-12 Webtec Converting Llc Dressing with a perforated binder layer
JP2016507663A (ja) 2012-12-20 2016-03-10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化学修飾セルロース系繊維の加工
GB2543544A (en) 2015-10-21 2017-04-26 Brightwake Ltd Wound dressing
EP3936095B1 (en) 2016-03-30 2024-06-19 ConvaTec Technologies Inc. Detecting microbial infections in wounds
SG11201808598UA (en) 2016-03-30 2018-10-30 Qualizyme Diagnostics Gmbh & Co Kg Detecting microbial infection in wounds
TW201805036A (zh) 2016-07-08 2018-02-16 美商康瓦鐵克科技股份有限公司 流體收集裝置
JP7071957B2 (ja) 2016-07-08 2022-05-19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撓性陰圧システム
MX2019000232A (es) 2016-07-08 2019-11-12 Convatec Technologies Inc Deteccion de flujo de fluidos.
KR20200016929A (ko) * 2017-06-07 2020-02-17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음압 치료를 이용한 육아 개선 및 침연 감소용 복합 드레싱재
WO2019097288A1 (en) 2017-11-16 2019-05-23 Convatec Limited Fluid collection apparatus
CN111670022A (zh) * 2018-01-04 2020-09-15 凯希特许有限公司 用于浓稠渗出物和滴注物的剥离与放置敷料
CN113939321A (zh) 2019-06-03 2022-01-14 康沃特克有限公司 破坏和控制病原体的方法和装置
US11331221B2 (en) 2019-12-27 2022-05-17 Convatec Limited Negative pressure wound dressing
US11771819B2 (en) 2019-12-27 2023-10-03 Convatec Limited Low profile filter devices suitable for use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WO2021140468A1 (en) * 2020-01-09 2021-07-15 Kci Licensing, Inc. Systems and apparatuses for wound cleansing and tissue deformation
WO2022034409A1 (en) * 2020-08-11 2022-02-17 Kci Manufacturing Unlimited Company Dressings having selectable adhesive for use with instillation therapy and negative-pressure therapy
US20230310731A1 (en) * 2020-08-21 2023-10-05 Kci Manufacturing Unlimited Company Wound interface systems with integral contact surfaces
EP4221656A1 (en) * 2020-11-11 2023-08-09 KCI Manufacturing Unlimited Company Extended wear dressing with slough cleaning hole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4060A (en) * 1969-12-29 1972-04-04 Fibre Products Lab Inc Absorbent slitted multi-ply films
US3930096A (en) * 1974-04-15 1975-12-30 Deering Milliken Res Corp Composite porous fabric-impervious film article
ATE27904T1 (de) * 1983-04-06 1987-07-15 Smith & Nephew Ass Verband.
CA2071391C (en) * 1991-07-29 1998-05-05 Thomas H. Gilman Vented wound dressing
SE500972C2 (sv) * 1992-03-30 1994-10-10 Moelnlycke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tillverkning av sårförband samt ett sårförband tillverkat medelst förfarandet
US6019511A (en) * 1993-11-22 2000-02-01 Tredegar Industries, Inc. Protective assemblies
GB0011202D0 (en) * 2000-05-09 2000-06-28 Kci Licensing Inc Abdominal wound dressing
US7700819B2 (en) * 2001-02-16 2010-04-20 Kci Licensing, Inc. Biocompatible wound dressing
US7005143B2 (en) * 2002-04-12 2006-0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el materials, medical articles, and methods
JP2006516003A (ja) * 2002-12-31 2006-06-15 オスール・エイチエフ 創傷包帯
GB0606661D0 (en) 2006-04-03 2006-05-10 Brightwake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dressings
US8551075B2 (en) * 2006-06-02 2013-10-08 Kci Medical Resources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vacuum assisted internal drainage during wound healing
US8153231B2 (en) * 2007-09-24 2012-04-10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hin web
KR20110028468A (ko) * 2008-05-30 2011-03-18 케이씨아이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이방성 드레이프 및 시스템
GB0815078D0 (en) * 2008-08-18 2008-09-24 Inotec Amd Ltd Hyperbaric dressing and method
SE533841C2 (sv) * 2009-06-15 2011-02-01 Moelnlycke Health Care Ab Sårförband med hög vätskehanteringskapacitet
US8690844B2 (en) * 2009-08-27 2014-04-08 Kci Licensing, Inc. Re-epithelialization wound dressings and systems
CA2784139C (en) * 2010-01-20 2019-01-08 Kci Licensing, Inc. Leak-resistant bandage systems and methods with hydrophilic foam wound insert for fluid-instillation and/or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ies
US8791315B2 (en) * 2010-02-26 2014-07-29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to manage open abdominal wounds
EP3384883B1 (en) * 2013-10-30 2021-02-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ressing with diffrentially sized perforations
WO2015168681A1 (en) * 2014-05-02 2015-11-05 Kci Licensing, Inc. Fluid storag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139880B1 (en) * 2014-05-09 2018-03-21 KCI Licensing, Inc. Disruptive dressing for use with negative pressure and fluid instillation
DE102014106518A1 (de) * 2014-05-09 2015-11-12 Paul Hartmann Ag Schaumwundauflage für die Unterdrucktherapie
JP6749248B2 (ja) * 2014-05-09 2020-09-02 ケーシーアイ ライセンシ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線形組織部位用の収縮層を備えたドレッシング
EP3157484B1 (en) * 2014-06-18 2020-02-26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US11096830B2 (en) * 2015-09-01 2021-08-24 Kci Licensing, Inc. Dressing with increased apposition force
US20170209312A1 (en) * 2016-01-22 2017-07-27 Covidien Lp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silicone
CN112494211A (zh) * 2016-08-29 2021-03-16 唐山市博世德医疗器械有限公司 硅凝胶敷料、多功能硅凝胶负压引流装置及其制备方法
EP3634520A1 (en) * 2017-06-07 2020-04-15 KCI Licensing, Inc. Peel and place dressing for negative -pressure treatment
WO2019136164A1 (en) * 2018-01-04 2019-07-11 Kci Licensing, Inc. Peel and place dressing for thick exudate and instil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526302B2 (ja) 2024-07-31
AU2018282163B2 (en) 2023-09-28
JP2020523085A (ja) 2020-08-06
RU2019139918A (ru) 2021-07-09
WO2018226631A1 (en) 2018-12-13
EP3634333B1 (en) 2022-07-27
AU2018282163A1 (en) 2019-10-31
BR112019025025A2 (pt) 2020-06-16
SG11201909388RA (en) 2019-11-28
CA3061353A1 (en) 2018-12-13
CN110691574A (zh) 2020-01-14
EP4124324A1 (en) 2023-02-01
JP2023075145A (ja) 2023-05-30
EP3634333A1 (en) 2020-04-15
US20190231943A1 (en) 2019-08-01
JP7241305B2 (ja)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26302B2 (ja) 濃い滲出物及び滴下のための剥がして貼るドレッシング
US20230190533A1 (en) Peel and place dressing for negative-pressure therapy
US11576821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dual material tissue interface for negative-pressure therapy
US11179275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dual material tissue interface for negative-pressure therapy
CN110709038B (zh) 用于通过负压治疗来改善肉芽生长和减少泡软的复合敷料
KR20200016936A (ko) 음압 치료를 이용한 육아 개선 및 침연 감소용 맞춤식 복합 드레싱재
KR20200016929A (ko) 음압 치료를 이용한 육아 개선 및 침연 감소용 복합 드레싱재
WO2019136164A1 (en) Peel and place dressing for thick exudate and instillation
US20210077302A1 (en) Peel And Place Dressing For Thick Exudate And Instillation
US20220241116A1 (en) Customizable Dressings For Negative-Pressure Treatment Of Large Areas
CN113710210A (zh) 用于负压治疗的透明剥离与放置敷料
JP7505092B2 (ja) 濃い浸出液及び滴下のための剥がして貼るドレッシ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