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335A - Vehicle steering system - Google Patents
Vehicle steer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5335A KR20200025335A KR1020180102538A KR20180102538A KR20200025335A KR 20200025335 A KR20200025335 A KR 20200025335A KR 1020180102538 A KR1020180102538 A KR 1020180102538A KR 20180102538 A KR20180102538 A KR 20180102538A KR 20200025335 A KR20200025335 A KR 202000253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pinion
- vehicle steering
- fastening
- de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는 일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피니언이 삽입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1관통홀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십자축이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A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first fastening hole penetrating in one direction to insert a pinion,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perpendicular to the first through hole.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direction may be formed to include a second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cross shaft is faste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림효율을 증대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bite efficiency.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차량이 갖는 기본적인 세 가지 기능인 주행, 방향전환, 정지 가운데 방향전환 기능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운전자가 주로 전륜의 방향을 바꾸어 차량의 진행방향을 자유로이 바꾸는 장치라 할 수 있다.In general, the steering device is a part that is in charge of the three functions, such as driving, turning, and stopping, which are the basic functions of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조향장치는 핸들과 조향축, 그리고 조향 기어박스와 피트먼 아암과 타이로드 등으로 구성된다.The stee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steering wheel, a steering shaft, a steering gear box, a pitman arm and a tie rod.
핸들은 운전자에 의해 조향력이 발생하는 부품이고, 이러한 핸들의 조향력은 조향축을 통하여 조향 기어박스로 전달되어 피트먼 아암과 타이로드를 작동시켜 바퀴의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The steering wheel is a component in which steer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driver, and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is transmitted to the steering gearbox through the steering shaft to operate the Pitman arm and the tie ro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wheel.
이때, 상기 조향축은 조향 중간축과 피니언축에 의해 상기 조향 기어박스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조향축과 조향 기어박스의 연결구조를 첨부 도면을 토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the steering shaft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steering gear box by the steering intermediate shaft and the pinion shaft. Looking a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teering shaft and the steering gear box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조향축(A)의 일단은 유니버셜 조인트(A-1)에 의해 조향 중간축(B)의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조향 중간축(B)의 타단은 유니버셜 조인트(A-2)에 의해 차량용 조향장치(D)와 결합하며, 상기 차량용 조향장치(D)는 조향 기어박스(H)에 일단이 결합 된 피니언축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차량용 조향장치(D)와 피니언축이 연결된다.As shown in Figure 1, one end of the steering shaft (A)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teering intermediate shaft (B) by the universal joint (A-1),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intermediate shaft (B) Is coupled to the vehicle steering device (D) by a universal joint (A-2), the vehicle steering device (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inion shaft coupled to the steering gear box (H), the vehicle steering device ( D) and pinion shaft are connected.
종래의 차량용 조향장치(D)는 강성과 강도는 높으나 피니언축과의 물림 효율이 낮은 구조가 대부분이다. 이로 인해, 내구 후 결합부의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vehicle steering device (D) is a structure that is high in rigidity and strength but low bite efficiency with the pinion shaft.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y of the coupling portion occurs after the durab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부품과의 물림 효율을 향상시켜 내구 후 결합부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that can prevent the play of the coupling portion after the durability by improving the bite efficiency with the counterpa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는 피니언과, 일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이 삽입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1관통홀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십자축이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nion and a first fastening hole penetrating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inion is inserted, and the first fastening unit. A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through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1관통홀은 곡선 형상의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제2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may include a curved first portion and a straight second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관통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홀의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유도홀과, 상기 변형유도홀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제3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through-hole to induce deformation of the first through-hole and a third through-hole formed to penetrate the deformation-induc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asten the fixing bolts. It can be provided.
상기 제2체결부는 한 쌍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몸체의 상기 제2관통홀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bodies,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of the pair of bodies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상기 제3관통홀과 상기 제3관통홀 측 상기 몸체 사이에는 상기 제1볼트 체결시 변형 유도를 위한 변형유도홈이 형성될 수 있다.A deformation guide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rd through hole and the body of the third through hole to induce deformation during fastening of the first bolt.
상기 변형유도홀은 상기 제1관통홀의 일측에서 상기 제3관통홀 측 상기 몸체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deformation guide hole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to the body of the third through hole.
상기 피니언은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과 대응되도록 일면이 직선형상으로 구비되는 면접촉부와, 상기 면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pin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surface contact portion having one surface linearly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rface contact portion and inclined toward the front. Can be.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에 의하면, 상대부품과의 물림 효율을 향상시켜 내구 후 결합부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ay of the coupling portion after the durability by improving the bite efficiency with the counterpart.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가 피니언과 결합한 모습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조향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피니언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ior ar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steering apparatus combined with the pin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show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shown in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nion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가 피니언과 결합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조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combined with a pin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views illustrating a vehicle steer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3.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10)는 피니언(20), 제1체결부(100) 및 제2체결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and 4, the
제1체결부(100)는 제1관통홀(110), 변형유도홀(120) 및 제3관통홀(130)을 구비할 수 있다.The
제1관통홀(110)은 제1체결부(100)를 일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피니언(20)이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그리고 제1관통홀(110)은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제1부분(111)은 곡선 형상으로 제1관통홀(110)의 중심을 축으로 원을 그리며 구비되고, 제2부분(112)은 제1부분(111)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제1부분(111)의 일측에서 연장되되 직선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관통홀(110)이 'D'자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제1관통홀(110)이 'D'자 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피니언(20)의 조립 방향을 용이하게 규제함과 동시에 피니언(20)과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s such, since the first through
변형유도홀(120)은 제1관통홀(1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관통홀(110)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The
변형유도홀(120)은 제1관통홀(110)을 통해 피니언(20)이 삽입될 시 제1관통홀(110)의 크기가 늘어나도록 하여 피니언(20)이 제1관통홀(1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The
제3관통홀(130)은 변형유도홀(120)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제1체결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through
제3관통홀(130)에는 피니언(20)이 제1관통홀(110)에 삽입된 후 고정볼트(40)가 체결되어 제1관통홀(110)의 크기가 늘어나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제1체결부(100)가 피니언(20)을 조이는 힘을 증가시켜 차량용 조향장치(10)와 피니언(20)의 결합력 증가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The
이때, 제1체결부(100)는 제1체결홀을 형성하는 살 두께를 얇게 하여 제3관통홀(130)을 통해 고정볼트(40)를 체결할 시 저항을 최소화하여 차량용 조향장치(10)와 피니언(20)의 체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관통홀(110)에 삽입되는 피니언(20)의 일단 편측에 홈이 형성되며, 이는 제1관통홀(110)의 내주면과 물림이 발생하는 유효길이를 증대하여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제1관통홀(110)에 삽입된 후의 피니언(20)과 제1관통홀(110) 사이의 유격을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groov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한편, 제2체결부(200)는 제1체결부(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U'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관통홀(210)과 몸체(220)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제2관통홀(210)은 제1관통홀(110)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관통홀(210)은 제1관통홀(110)뿐만 아니라 제3관통홀(130)이 형성된 방향과도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through
몸체(22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2관통홀(210)이 몸체(2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몸체(220) 사이에는 기타 부품이 위치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몸체(220)에 구비되는 제2관통홀(210)을 통해 십자축(30)이 체결되어 차량용 조향장치(10)와 기타 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부(100)의 제3관통홀(130)과 제3관통홀(130) 측 몸체(220) 사이에는 변형유도홈(300)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변형유도홈(300)은 제3관통홀(130)과 제3관통홀(130) 측 몸체(220) 사이에 형성되어 제2관통홀(210)을 통해 십자축(30)이 체결될 시 제3관통홀(130) 측 몸체(220)가 변형되도록 유도하여 더욱 강력한 물림 효과를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결합부위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제1체결부(100)에 구비되는 변형유도홀(120)은 제1관통홀(110)의 일측에서 제3관통홀(130) 측 몸체(220)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에 따라, 제1관통홀(110)의 크기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1관통홀(110)을 통해 피니언(20)이 더욱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10)의 피니언(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the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피니언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inion shown in FIG. 2.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10)는 피니언(20), 일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홀(110)이 형성되어 피니언(20)이 삽입되는 제1체결부(100) 및 제1체결부(1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제1관통홀(110)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홀(210)이 형성되어 십자축(30)이 체결되는 제2체결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2 to 5, the
그리고 피니언(20)은 결합부(22)를 구비하고, 결합부(22)는 제1부분 및 제2부분과 대응되도록 일면이 직선형상으로 구비되는 면접촉부(24)와 면접촉부(24)로부터 연장되어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26)를 구비할 수 있다.And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vehicle ste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the addition, modification, deletion, addition of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10: 차량용 조향장치
20: 피니언
22: 결합부
24: 면접촉부
26: 경사부
30: 십자축
40: 고정볼트
100: 제1체결부
110: 관통홀
111: 제1부분
112: 제2부분
120: 변형유도홀
130: 제3관통홀
200: 제2체결부
210: 제2관통홀
220: 몸체
300: 변형유도홈10: vehicle steering device 20: pinion
22: coupling portion 24: surface contact portion
26: inclined portion 30: cross axis
40: fixing bolt 100: first fastening portion
110: through hole 111: first portion
112: second portion 120: deformation guide hole
130: third through hole 200: second fastening portion
210: second through hole 220: body
300: deformation guide groove
Claims (7)
일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이 삽입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1관통홀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십자축이 체결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Pinion,
A first fastening part having a first through hole penetrating in one direction and into which the pinion is inserted;
And a second fastening part which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cross shaft is fastened.
상기 제1관통홀은 곡선 형상의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제2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hrough hole has a curved first portion,
Vehicle steering apparatus comprising a second linear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관통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홀의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유도홀과,
상기 변형유도홀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제3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through-hole deformation induction hole for inducing deformation of the first through-hole,
And a third through hole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the deformation guide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to which the fixing bolt is fastened.
상기 제2체결부는 한 쌍의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몸체의 상기 제2관통홀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has a pair of bodies,
Vehicle stee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pair of bodies are provided respectively.
상기 제3관통홀과 상기 제3관통홀 측 상기 몸체 사이에는 상기 제1볼트 체결시 변형 유도를 위한 변형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Vehicle stee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ormation guide groove for inducing deformation when the first bolt is coupled between the third through hole and the body of the third through hole side.
상기 변형유도홀은 상기 제1관통홀의 일측에서 상기 제3관통홀 측 상기 몸체에 이르기까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deformation guide hole is a vehicle stee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extend from the one side of the first through-hole to the body of the third through-hole side.
상기 피니언은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부분 및 상기 제2부분과 대응되도록 일면이 직선형상으로 구비되는 면접촉부와,
상기 면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pinion has a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art has a surface contact portion having one surface in a straight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rface contact portion and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2538A KR102612301B1 (en) | 2018-08-30 | 2018-08-30 | Vehicle steer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02538A KR102612301B1 (en) | 2018-08-30 | 2018-08-30 | Vehicle steering system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25335A true KR20200025335A (en) | 2020-03-10 |
| KR102612301B1 KR102612301B1 (en) | 2023-12-11 |
Family
ID=6980042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02538A Active KR102612301B1 (en) | 2018-08-30 | 2018-08-30 | Vehicle steering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1230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79931A1 (en) * | 2023-10-12 | 2025-04-17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Shaft joint of pin coupling structure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3154828A (en) * | 2012-01-31 | 2013-08-15 | Jtekt Corp | Rack guide mechanism and vehicle steering device |
| JP2013177069A (en) * | 2012-02-28 | 2013-09-09 | Jtekt Corp | Rack guide mechanism and vehicle steering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150040715A1 (en) * | 2013-08-09 | 2015-02-12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teer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CN207225455U (en) * | 2017-08-18 | 2018-04-13 | 江苏金坛长荡湖新能源科技有限公司 | Automobile steering system |
-
2018
- 2018-08-30 KR KR1020180102538A patent/KR1026123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3154828A (en) * | 2012-01-31 | 2013-08-15 | Jtekt Corp | Rack guide mechanism and vehicle steering device |
| JP2013177069A (en) * | 2012-02-28 | 2013-09-09 | Jtekt Corp | Rack guide mechanism and vehicle steering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150040715A1 (en) * | 2013-08-09 | 2015-02-12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teer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CN207225455U (en) * | 2017-08-18 | 2018-04-13 | 江苏金坛长荡湖新能源科技有限公司 | Automobile steering system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79931A1 (en) * | 2023-10-12 | 2025-04-17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Shaft joint of pin coupl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12301B1 (en) | 2023-12-1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DE102016216457A1 (en) | ENERGY TRANSMISSION PART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
| US9863479B2 (en) | Device for connecting a steering column to a steering gear housing | |
| US9511664B2 (en) | Bracket assembly | |
| KR20070091224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 |
| JP5088387B2 (en) | Cross shaft type universal joint | |
| KR20200025335A (en) | Vehicle steering system | |
| JP2008208923A (en) | Yoke shaft joint structure | |
| US11180182B2 (en) | Steering apparatus of vehicle | |
| KR101631509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misassembling of a universal joint | |
| KR101559822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misassembling of a universal joint | |
| JP5163683B2 (en) | Coupling device for joint yoke and rotating shaf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
| JPWO2017033571A1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 |
| KR20250052603A (en) | Shaft yoke pin press-fit connection structure | |
| JP2009079677A (en) | Joint structure of yoke and rotating shaft in steering device | |
| KR20130034711A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misassembling of a universal joint | |
| KR20120064454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universal joint | |
| KR101764936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JP2011220417A (en) | Joint cross type universal joint yoke | |
| JP3883380B2 (en) | Vehicle shaft coupling | |
| KR20060032281A (en) | Assembly structure of rack bar and tie rod of automobile steering system | |
| US7393282B2 (en) | Coupling structure of steering torque transmitting member for steering shaft | |
| KR20110024927A (en) | Universal joint fastening unit for power steering | |
| KR101961335B1 (en) | A yoke | |
| JP2018100715A (en) | Coupling structure of shaft and yoke | |
| KR20230170327A (en) | 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