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5624A - Electric opening system for circuit breaker - Google Patents
Electric opening system for circuit bre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5624A KR20200035624A KR1020180114914A KR20180114914A KR20200035624A KR 20200035624 A KR20200035624 A KR 20200035624A KR 1020180114914 A KR1020180114914 A KR 1020180114914A KR 20180114914 A KR20180114914 A KR 20180114914A KR 20200035624 A KR20200035624 A KR 202000356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ratchet
- rod
- shuttle rod
- gear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05—Latching devices between operating and release mechani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Landscapes
- Breaker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는: 배전반본체에 구비되는 케이싱, 케이싱에 고정 설치되는 로드가이드블록, 로드가이드블록에 지지되고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며 케이싱 외측으로 돌출되게 전진 이동되면서 배전반본체에 구비된 수동차단버튼을 누르는 셔틀로드, 및 셔틀로드를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ed is an invention for an auxiliary switchgear for a distribution breaker. Th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switch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provided in the switchboard body, a rod guide block fixedly installed in the casing, a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be supported by the rod guide block and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outside the cas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uttle rod for pushing the manual shut-off button provided on the switchboard body while moving forward to protrude to, and an actuator for guiding the shuttle rod in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전류 감지나 배전선로 고장을 검출시, 해당 신호를 전달받아 플런저를 전진시킴으로써, 플런저에 의해 전진되는 셔틀로드를 통해 수동차단버튼을 신속히 작동시킴에 따라, 차단기의 부(不)동작이나 지연동작을 예방할 수 있는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distribution breaker, and more specifically, when detecting an overcurrent or detecting a failure of a distribution line, by receiving a corresponding signal and advancing the plunger, a manual blocking button through a shuttle rod advanced by the plunger It relates to an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distribution breaker that can prevent the non-operation or delayed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by quickly operating the.
과전류, 단락에 의한 과전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수단으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138호(등록일:2005.04.08. 고안의 명칭: 배전용차단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가 사용되고 있다.As a means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circuit against overcurrent due to overcurrent or short circuit, a circuit breaker as describ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82138 (Registration Date: 2005.04.08. .
한편, 배선용 차단기가 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배선용 차단기의 수동 조작을 위해서는 배전반 전면 도어를 개방한 이후 본체의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했으므로 배전반 전면 도어 개폐로 인한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ing breaker was installed inside the switchboard, the manual switch had to be operated after opening the front door of the switchboard for manual operation of the wiring breaker,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door of the switchboard was followed.
이러한 이유로 본체의 스위치와 연계하여 핸들 샤프트가 마련된 배선용 차단기가 제안된바 있다.For this reason, a circuit breaker having a handle shaft in connection with a switch of the main body has been proposed.
본체에 스위치와 연계하여 핸들 샤프트가 마련된 배선용 차단기는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에 마련된 핸들 샤프트의 선단이 배전반 전면 도어의 핸들과 결합하게 되는바, 배전반 전면 도어의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본체의 스위치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배전반 전면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배선용 차단기의 수동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In the case of a circuit breaker provided with a handle shaft in connection with a switch in the main body, the front end of the handle shaft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engaged with the handle of the front door of the switchboard in a state installed inside the switchboard, thereb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main body by operating the handle of the front door of the switchboard Since this can be made, the manual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when the front door of the switchboard is closed.
그러나, 본체에 스위치와 연계하여 핸들 샤프트가 마련된 배선용 차단기에서 핸들 샤프트는 부속 간의 공차 또는 오제작 등으로 인하여 그 선단이 상하좌우의 어느 일측으로 치우칠 수 있는바, 핸들 샤프트의 선단이 상하좌우의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는 경우 배전반 전면 도어에 마련되는 핸들과의 결합이 곤란해져 핸들 조작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수동 조작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고, 핸들 샤프트와 핸들이 미결합된 상태에서는 배전반 전면도어의 폐쇄 자체에 곤란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a circuit breaker for a wiring shaft provided with a handle shaft in connection with a switch in the main body, the tip of the handle shaft may be biased to either side of the upper, lower, left, or right sides due to tolerances or misproduction between parts. When biased to one side, it is difficult to engage with the handle provided on the front door of the switchboard, so manual manipulation of the circuit breaker cannot be made by operating the handle, and it is difficult to close the front door of the switchboard when the handle shaft and the handle are not engaged. There is a problem that Ham follows.
이와 같은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핸들 샤프트와 핸들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배전반 전면 도어의 폐쇄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is reason, in the field, the field seeks a method to facilitate the combination of the handle shaft and the handle, as well as to smoothly close the front door of the switchboard, but until now, satisfactory results have not been obtain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전류 감지나 배전선로 고장을 검출시, 해당 신호를 전달받아 플런저를 전진시킴으로써, 플런저에 의해 전진되는 셔틀로드를 통해 수동차단버튼을 신속히 작동시킴에 따라, 차단기의 부,지연 동작을 예방하고, 수동차단버튼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n overcurrent or detect a failure in a distribution line, receive a corresponding signal, and advance the plunger, manually through a shuttle rod that is advanced by the plunger. It is to provide an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distribution breaker that can prevent the delay and delay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and secure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manual shut-off button by activating the shut-off button quickly.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는: 배전반본체에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고정 설치되는 로드가이드블록; 상기 로드가이드블록에 지지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고, 상기 케이싱 외측으로 돌출되게 전진 이동되며 상기 배전반본체에 구비된 수동차단버튼을 누르는 셔틀로드; 및 상기 셔틀로드를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An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switch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provided in the switchboard body; A rod guide block fixedly installed in the casing; A shuttle rod supported by the rod guide block, linearly reciprocated along an axi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outward of the casing, forwardly moved protruding outward of the casing, and pressing a manual shutoff button provided on the switchboard body; And an actuator for guiding the shuttle rod in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상기 액추에이터는,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공급받는 솔레노이드바디; 상기 솔레노이드바디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를 통해 직선 왕복 운동을 전달받는 플런저; 상기 셔틀로드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플런저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셔틀로드와 함께 전진 이동되는 폴무버(pawl mover); 및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폴무버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셔틀로드를 미는 외력이 제거시 상기 폴무버와 상기 셔틀로드를 초기 위치로 후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The actuator includes a solenoid body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utside; A plunger provided to be accessible to the solenoid body and receiv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rough the electrical signal; I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huttle rod, a pawl mover (pawl mover) that is moved forward with the shuttle ro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plunger; And an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ole mover with respect to the casing, thereby retracting the pole mover and the shuttle rod to an initial position when an external force pushing the shuttle rod is removed.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셔틀로드가 상기 수동차단버튼을 동작시킨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e detection unit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shuttle rod operates the manual blocking button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상기 상태검출부는, 상기 셔틀로드의 직선 왕복 이동에 연동되는 래칫폴;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로드가이드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면에 기어치를 형성하여 상기 셔틀로드와 함께 전진되는 상기 래칫폴이 상기 기어치를 미는 작용에 의해 일방향으로 설정량만큼 회전되는 래칫기어; 상기 케이싱에 고정된 서포트블록; 상기 서포트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축 삽입되고, 상기 래칫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래칫기어에 의해 일정량만큼 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되는 로터리샤프트; 상기 로터리샤프트에 고정되어 원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상이하게 표시됨에 따라 상기 수동차단버튼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표시플레이트와 상기 래칫기어를 초기화시키는 초기복귀부를 포함한다.The state detection unit, a ratchet pole linked to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huttle rod; A ratchet gear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casing or the rod guide block,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mount in one direction by an action of pushing the gear teeth by forming the gear teeth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dvancing with the shuttle rod; A support block fixed to the casing; A rotary shaft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upport block and connected to the ratchet gear to be elastically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the ratchet gear; A display plate fixed to the rotary shaft and rotated toge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anual shut-off button a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is differently displayed; And an initial return portion for initializing the display plate and the ratchet gear so as to return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초기복귀부는, 축 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랙기어부재; 상기 로터리샤프트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부재가 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 후에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기어부재; 상기 랙기어부재에 높이 차이를 달리하는 일정한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구; 및 상기 가이드구에 연결되어, 상기 랙기어부재의 전진 이동시, 상기 래칫폴을 상기 래칫기어로부터 유격시킴으로써, 상기 로터리샤프트의 강제 회전을 통해 상기 래칫기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시프트블록을 포함한다.The initial return portion, the rack gear member is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the axial direction; A pinion gear member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the rack gear member being geared after a certain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A guide mechanism formed along a certain trajectory with different height differences on the rack gear member; And a shift block connected to the guide mechanism and returning the ratchet gear to an initial position through forced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by moving the ratchet pole from the ratchet gear when the rack gear member moves forward.
상기 피니언기어부재는 둘레면에 피벗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블록은 상기 피니언기어부재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 원점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피벗과 접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nion gear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the pivot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upport block is provided with a stopper in contact with the pivot to set the origin when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inion gear member.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는, 과전류 감지나 배전선로 고장을 검출시, 해당 신호를 전달받아 플런저를 전진시킴으로써, 플런저에 의해 전진되는 셔틀로드를 통해 수동차단버튼을 신속히 작동시킴에 따라, 차단기의 부,지연 동작을 예방할 수 있고, 수동차단버튼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the auxiliary switchgear of the distribution br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cting an overcurrent or detecting a failure in a distribution line, the corresponding signal is transmitted to advance the plunger, thereby quickly activating the manual shut-off button through the shuttle rod advanced by the plung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lay and delay operation of the breaker, and to ensure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manual shut-off butt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를 구비한 배전반본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의 액추에이터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의 상태검출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witchboard body having an auxiliary switchgear for a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switchgear of the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switchgear of the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uator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switchgear of the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ate detection unit of the auxiliary switchgear of the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를 구비한 배전반본체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witchboard body having an auxiliary switchgear for a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distribution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distribution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의 액추에이터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의 상태검출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4 an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uator operating state of th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of the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ate detection unit of the device.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페장치(100)는 케이싱(110), 로드가이드블록(120), 셔틀로드(130), 액추에이터(200) 및 상태검출부(300)를 포함한다.1 to 7, the auxiliary opening and
케이싱(110)은 배전반본체(10)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케이싱(110)은 과전류나 배전선로 고장을 검출시 전류(회로)를 수동으로 차단하는 수동차단버튼(20)에 인접되도록 배전반본체(10)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케이싱(1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The
로드가이드블록(120)은 케이싱(1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된다. 로드가이드블록(120)은 케이싱(110) 자체일 수도 있고,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The
셔틀로드(130)는 로드가이드블록(120)에 지지된 채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비연속적으로 수동차단버튼(20)을 누르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로드가이드블록(120)은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는 셔틀로드(130)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셔틀로드(130)를 관통되게 축 삽입하거나 또는 상측면에 오목하게 홈을 함몰 형성하여 셔틀로드(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The
물론, 셔틀로드(13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Of course, the
특히, 케이싱(110)은 셔틀로드(130)가 전진되며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제 1개구부(112)를 통공한다. 아울러, 셔틀로드(130)가 제 1개구부(112)의 내측면과 마찰이 크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통형의 슬리브(242)가 제 1개구부(112)에 삽입되고, 셔틀로드(130)는 슬리브(242)에 축 삽입된 채 왕복 이동된다. 슬리브(2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또한, 액추에이터(200)는 과전류나 배전선로의 고장을 감지시 발생되는 신호를 전송받아 셔틀로드(130)를 밀어 신속히 수동차단버튼(20)을 누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액추에이터(200)는 솔레노이드바디(210), 플런저(220), 폴무버(pawl mover,230) 및 탄성부재(240)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솔레노이드바디(210)는 케이싱(1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과전류 또는 배전선로의 고장에 따른 해당 전기적 신호를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The
그리고, 플런저(220)는 솔레노이드바디(210)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고, 솔레노이드바디(2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전진 이동된다. 이때, 플런저(220)를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바디(210) 내부의 전기적 및 기계적 구성은 생략한다.Then, the
특히, 솔레노이드바디(210)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플런저(220)를 전진시키는 힘과 전진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폴무버(230)는 셔틀로드(130)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셔틀로드(130) 자체일 수도 있다. 아울러, 폴무버(230)는 플런저(220)의 미는 힘에 의해 셔틀로드(130)와 함께 전진 이동된다. 그래서, 셔틀로드(130)가 수동차단버튼(20)을 누를 수 있게 된다.The
물론, 폴무버(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탄성부재(240)는 셔틀로드(130)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측이 위치 고정된 케이싱(110) 또는 슬리브(242)에 탄성 지지되며, 타측이 셔틀로드(130)와 함께 이동되는 폴무버(230)에 탄성 지지된다. The
그래서, 셔틀로드(130)가 수동차단버튼(20) 측으로 전진 이동시, 탄성부재(240)는 압축된다. 이 후, 셔틀로드(130)를 축 방향으로 미는 전기적 신호가 제거시, 셔틀로드(130)는 탄성부재(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진되며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연동되어 플런저(220)가 후진된다.So, when the
편의상, 탄성부재(240)는 셔틀로드(130)를 축 삽입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도시한다.For convenience, the
한편, 상태검출부(300)는 액추에이터(200)의 작동에 의해 셔틀로드(130)가 수동차단버튼(20)을 동작시킨 상태(정상적 누름, 횟수 등)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를 위해, 상태검출부(300)는 래칫폴(310), 래칫기어(320), 서포트블록(330), 로터리샤프트(340), 표시플레이트(350) 및 초기복귀부(36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래칫폴(310)은 셔틀로드(130) 또는 폴무버(230)에 힌지 연결되어, 셔틀로드(130)의 직선 왕복 이동에 연동된다. The
래칫기어(320)는 케이싱(110) 또는 로드가이드블록(12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면에 기어치(322)를 형성하여 셔틀로드(130)와 함께 전진되는 래칫폴(310)이 기어치(322)를 미는 작용에 의해 일방향으로 설정량만큼 회전된다.The
특히, 셔틀로드(130)가 수동차단버튼(20) 측으로 전진 이동시, 래칫폴(310)은 폴무버(230)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임의의 기어치(322)에 접한 상태로 해당 기어치(322)를 원주 방향으로 밀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이 후, 셔틀로드(130)가 초기 위치로 복귀시, 래칫폴(310)은 해당 기어치(322)를 따라 이동 후 이웃한 기어치(322)에 접한 상태가 된다. 그래서, 래칫폴(310)은 래칫기어(3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래칫기어(320)가 래칫폴(310)의 미는 힘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발생되지만, 래칫폴(310)이 단시간에 초기 위치로 복귀 후, 다른(이웃한)기어치(322)에 접함으로써, 래칫기어(32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된다.Thereafter, when the
서포트블록(330)은 케이싱(11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로터리샤프트(340)는 서포트블록(330)에 회전 가능하게 축 삽입되어 지지되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래칫기어(320)에 연결된다. 예로서, 로터리샤프트(340)의 일측과 래칫기어(320)는 마이터기어(342)로써 기어 결합된다. 그래서, 래칫기어(320)가 래칫폴(310)의 한 사이클(1 cycle) 이동으로 설정량만큼 회전시, 로터리샤프트(340)는 래칫기어(320)에 연동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The
이때, 래칫기어(320)는 래칫폴(310)에 구속되어 타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되고, 마이터기어(342)를 통해 로터리샤프트(340)를 구속한다. 아울러, 래칫기어(320)는 임의적으로 일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표시플레이트(350)는 로터리샤프트(340)의 타측에 고정되어 원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케이싱(110)은 표시플레이트(350)의 전면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제 2개구부(114)를 형성한다. 아울러, 표시플레이트(350)는 전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획되거나 일련번호가 배열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제 2개구부(114)를 통해 표시플레이트(350)의 회전량과 회전상태를 통해 로터리샤프트(340)와 래칫기어(320)의 정상, 정량 회전을 인식할 수 있음에 따라 수동차단버튼(20)의 작동 상태(횟수 등)가 확인된다. 물론, 표시플레이트(35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The
또한, 초기복귀부(360)는 제 2개구부(114)를 통해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표시플레이트(350)와 래칫기어(320)를 초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초기복귀부(360)는 표시플레이트(350)를 통해 셔틀로드(130)가 수동차단버튼(20)을 누른 상태를 카운팅(counting) 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초기복귀부(360)는 랙기어부재(361), 피니언기어부재(362), 가이드구(363) 및 시프트블록(364)을 포함한다.The
랙기어부재(361)는 케이싱(110) 내측에서 축 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세히, 케이싱(110)은 랙가이드블록(365)을 고정되게 구비하고, 랙기어부재(361)는 랙가이드블록(365)에 지지된 채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랙가이드블록(36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피니언기어부재(362)는 로터리샤프트(340)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랙기어부재(361)가 축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동 후에 랙기어부재(361)와 기어 결합된다.The
즉, 랙기어(361)가 설정 거리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에는, 랙기어부재(361)와 피니언기어부재(362)는 기어 결합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래칫폴(310)이 래칫기어(320)를 한 사이클(1 cycle)씩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랙기어부재(310)와 피니언기어부재(362)는 기어 결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That is, before the
랙기어(361)와 피니언기어부재(362)가 기어 결합시, 래칫기어(320), 로터리샤프트(340) 및 랙기어부재(361)는 상호 구속된다.When the
가이드구(363)는 랙기어부재(361)에 높이 차이를 달리하는 일정한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즉, 가이드구(363)는 랙기어부재(361)에 우상향 또는 좌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홈 또는 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시프트블록(364)은 가이드구(363)에 연결되어, 랙기어부재(361)의 전진 이동시, 래칫폴(310)을 래칫기어(320)로부터 유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시프트블록(364)은 하부에 가이드핀(368)을 돌출 형성하고, 가이드핀(368)이 가이드구(363)에 삽입된다. 그래서, 랙기어부재(361)가 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 가이드핀(368)은 가이드구(363)의 위치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시프트블록(364)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시프트블록(364)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래칫폴(310)은 시프트블록(364)의 미는 힘에 의해 래칫기어(320)와 유격된다.As the
이에 따라, 래칫기어(320)는 래칫폴(310)이 미는 일방향에 반대되는 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이때, 랙기어부재(361)는 리셋버튼(366)을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래칫폴(310)이 래칫기어(320)의 기어치(322)를 미는 한 사이클(1 cycle)이 완료될 때마다, 랙기어부재(361)와 리셋버튼(366)은 축 방향을 따라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리셋버튼(366)을 누름으로써 로터리샤프트(340)와 래칫기어(320)가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At this time, the
그래서, 로터리샤프트(340)의 강제 회전을 통해, 래칫기어(320)와 표시플레이트(350)는 초기 위치로 이동되고, 로터리샤프트(340)를 통해 래칫기어(3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So, through the forced rotation of the
아울러, 리셋버튼(366)은 케이싱(110) 또는 랙가이드블록(365)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복귀유도부재(369)에 의해 외부의 누름력 제거시,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복귀유도부재(369)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피니언기어부재(362)는 둘레면에 피벗(367)을 돌출 형성하고, 서포트블록(330)은 피니언기어부재(362)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 원점을 설정하기 위해 피벗(367)과 접하는 스토퍼(332)를 구비할 수 있다. 물론, 피벗(367)과 스토퍼(3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배전반본체 20: 수동차단버튼
100: 보조개폐장치 110: 케이싱
120: 로드가이드블록
130: 셔틀로드
200: 액추에이터
210: 솔레노이드바디
220: 플런저
230: 폴무버
240: 탄성부재
300: 상태검출부
310: 래칫폴
320: 래칫기어
330: 서포트블록 340: 로터리샤프트
350: 표시플레이트 360: 초기복귀부
361: 랙기어부재 362: 피니언기어부재
363: 가이드구 364: 시프트블록10: switchboard body 20: manual shut-off button
100: auxiliary switchgear 110: casing
120: Road Guide Block 130: Shuttle Road
200: actuator 210: solenoid body
220: plunger 230: pole mover
240: elastic member 300: state detection unit
310: ratchet pole 320: ratchet gear
330: support block 340: rotary shaft
350: display plate 360: initial return
361: rack gear member 362: pinion gear member
363: guide sphere 364: shift block
Claims (6)
상기 케이싱에 고정 설치되는 로드가이드블록;
상기 로드가이드블록에 지지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되며, 상기 케이싱 외측으로 돌출되게 전진 이동되면서 상기 배전반본체에 구비된 수동차단버튼을 누르는 셔틀로드; 및
상기 셔틀로드를 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
A casing provided in the switchboard body;
A rod guide block fixedly installed in the casing;
A shuttle rod which is supported by the rod guide block, is linearly reciprocated along an axial direction so as to protrude outward of the casing, and presses a manual shut-off button provided on the switchboard body while being moved forwardly protruding outward of the casing; And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circuit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ctuator for guiding the shuttle rod in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공급받는 솔레노이드바디;
상기 솔레노이드바디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를 통해 직선 왕복 운동을 전달받는 플런저;
상기 셔틀로드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플런저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셔틀로드와 함께 전진 이동되는 폴무버(pawl mover); 및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폴무버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셔틀로드를 미는 외력이 제거시 상기 폴무버와 상기 셔틀로드를 초기 위치로 후진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ctuator,
A solenoid body that receives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utside;
A plunger provided to be accessible to the solenoid body and receiv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hrough the electrical signal;
I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huttle rod, a pawl mover (pawl mover) that is moved forward with the shuttle rod by the pushing force of the plunger; And
An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distribution break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ole mover with respect to the casing, and retracting the pole mover and the shuttle rod to an initial position when external force pushing the shuttle rod is removed. .
상기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셔틀로드가 상기 수동차단버튼을 동작시킨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auxiliary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distribution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te detection unit detecting a state in which the shuttle rod operates the manual blocking button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상기 셔틀로드의 직선 왕복 이동에 연동되는 래칫폴;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로드가이드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둘레면에 기어치를 형성하여 상기 셔틀로드와 함께 전진되는 상기 래칫폴이 상기 기어치를 미는 작용에 의해 일방향으로 설정량만큼 회전되는 래칫기어;
상기 케이싱에 고정된 서포트블록;
상기 서포트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축 삽입되고, 상기 래칫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래칫기어에 의해 일정량만큼 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되는 로터리샤프트;
상기 로터리샤프트에 고정되어 원주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상이하게 표시됨에 따라 상기 수동차단버튼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표시플레이트와 상기 래칫기어를 초기화시키는 초기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ate detection unit,
A ratchet pole interlocked with the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shuttle rod;
A ratchet gear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casing or the rod guide block,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mount in one direction by an action of pushing the gear by the ratchet pole advancing with the shuttle rod by forming gear teeth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A support block fixed to the casing;
A rotary shaft rotatably inserted into the support block and connected to the ratchet gear to be elastically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the ratchet gear;
A display plate which is fixed to the rotary shaft and rotates togethe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displays an operating state of the manual shut-off button as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is differently displayed; And
And an initial return portion for initializing the display plate and the ratchet gear so as to return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to the initial position.
축 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랙기어부재;
상기 로터리샤프트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부재가 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 후에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기어부재;
상기 랙기어부재에 높이 차이를 달리하는 일정한 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구; 및
상기 가이드구에 연결되어, 상기 랙기어부재의 전진 이동시, 상기 래칫폴을 상기 래칫기어로부터 유격시킴으로써, 상기 로터리샤프트의 강제 회전을 통해 상기 래칫기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시프트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itial return portion,
A rack gear member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long an axial direction;
A pinion gear member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the rack gear member being geared after a certain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A guide mechanism formed along a certain trajectory with different height differences on the rack gear member; And
And a shift block connected to the guide mechanism and shifting the ratchet gear to an initial position through forced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by moving the ratchet pole away from the ratchet gear when the rack gear member moves forward. Auxiliary switchgear for distribution breakers.
상기 피니언기어부재는 둘레면에 피벗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블록은 상기 피니언기어부재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 원점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피벗과 접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차단기의 보조개폐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pinion gear member protrudes the pivot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upport block is a secondary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distribution bre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in contact with the pivot to set the origin when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inion gear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14914A KR102621357B1 (en) | 2018-09-27 | 2018-09-27 | Electric opening system for circuit bre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14914A KR102621357B1 (en) | 2018-09-27 | 2018-09-27 | Electric opening system for circuit break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35624A true KR20200035624A (en) | 2020-04-06 |
| KR102621357B1 KR102621357B1 (en) | 2024-01-08 |
Family
ID=702822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14914A Active KR102621357B1 (en) | 2018-09-27 | 2018-09-27 | Electric opening system for circuit break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621357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509882A (en) * | 2020-11-23 | 2021-03-16 | 湖北炜耀电气有限公司 | Circuit breaker for preventing power line from falling off |
| CN118471748A (en) * | 2024-06-14 | 2024-08-09 | 加西亚电子电器股份有限公司 | Quick breaking operating mechanism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017091U (en) * | 1995-04-18 | 1995-10-17 | ケル株式会社 | Vibration-sensing breaker actuator |
| JPH10247448A (en) * | 1997-03-05 | 1998-09-14 | Toshiba Corp | Circuit breaker handle operating device |
| KR19990020994U (en) * | 1997-11-28 | 1999-06-25 | 이종수 | Alarm micro switch operating structure of circuit breaker |
| KR20080012033A (en) * | 2006-08-02 | 2008-02-11 |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 Opening / closing button operating system of power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
| JP2013506257A (en) * | 2009-09-29 | 2013-02-21 | 湖北盛佳▲電▼器▲設備▼有限公司 | Intelligent circuit breaker with automatic switching-in function |
-
2018
- 2018-09-27 KR KR1020180114914A patent/KR10262135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017091U (en) * | 1995-04-18 | 1995-10-17 | ケル株式会社 | Vibration-sensing breaker actuator |
| JPH10247448A (en) * | 1997-03-05 | 1998-09-14 | Toshiba Corp | Circuit breaker handle operating device |
| KR19990020994U (en) * | 1997-11-28 | 1999-06-25 | 이종수 | Alarm micro switch operating structure of circuit breaker |
| KR20080012033A (en) * | 2006-08-02 | 2008-02-11 |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 Opening / closing button operating system of power distribution circuit breaker |
| JP2013506257A (en) * | 2009-09-29 | 2013-02-21 | 湖北盛佳▲電▼器▲設備▼有限公司 | Intelligent circuit breaker with automatic switching-in functio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509882A (en) * | 2020-11-23 | 2021-03-16 | 湖北炜耀电气有限公司 | Circuit breaker for preventing power line from falling off |
| CN112509882B (en) * | 2020-11-23 | 2023-10-03 | 湖北炜耀电气有限公司 | Circuit breaker capable of preventing power line from falling off |
| CN118471748A (en) * | 2024-06-14 | 2024-08-09 | 加西亚电子电器股份有限公司 | Quick breaking operating mechanis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621357B1 (en) | 2024-01-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854387B1 (en) | Trip mechanism module and circuit breaker having same | |
| CN106710982B (en) | The control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operation mechanism | |
| KR20200035624A (en) | Electric opening system for circuit breaker | |
| CN106653502B (en) | A kind of electrically operated device of remote controlled miniature circuit breaker on/off switch | |
| CN118448224A (en) | Magnetic flux release resetting structur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 |
| EP1487002A2 (en) | Electrical remote actuation device | |
| CN106571275B (en) | Under-voltage tripping mechanism | |
| CN104681364A (en) | Circuit breaker and closing drive device thereof | |
| KR102635877B1 (en) | Mechanical operation assemly for a bistable relay and a bistable relay assembly | |
| USRE26113E (en) | Interlocking operating mechanism | |
| US6686551B2 (en) | Switch, in particular battery cutout switch for vehicles and the like | |
| CN108493060B (en) | Operating mechanism of switch | |
| CN204315490U (en) | A kind of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with automatic reclosing function | |
| CN114551182B (en) | Clutch device, operating mechanism and circuit breaker | |
| CN216250521U (en) | Isolated actuator for curing sequence of operations | |
| CN213635872U (en) | Circuit breaker with prevent mistake combined floodgate function | |
| CN203733708U (en) | Switching-closing interlocking mechanism of fixed vacuum circuit breaker | |
| CN210897048U (en) | Novel emergency brake separating device | |
| KR100434327B1 (en) | the outside operating handle system for circuit breaker | |
| CN207303003U (en) | Breaker of plastic casing | |
| CN107359062B (en) | Multifunctional indicating structure of switch electric appliance | |
| CN220933989U (en) | An electric operating mechanism with locking function | |
| CN217933655U (en) | Anti-plugging in-place indicating circuit breaker | |
| CN108072802B (en) | Leakage test loop with double break points | |
| CN215988497U (en) | Reverse interlocking device of isolating circuit break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