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37625A - Light emit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625A
KR20200037625A KR1020180117085A KR20180117085A KR20200037625A KR 20200037625 A KR20200037625 A KR 20200037625A KR 1020180117085 A KR1020180117085 A KR 1020180117085A KR 20180117085 A KR20180117085 A KR 20180117085A KR 20200037625 A KR20200037625 A KR 20200037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diffusion
lens unit
diffusion lens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성욱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7625A/en
Publication of KR2020003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625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the vehicle body, e.g. with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H01L33/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는 가변 전압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전원, 차량용 전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일면에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량은 상기 차량용 전원에서 상기 광원으로 직접 인가되는 상기 가변 전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power source for generating a variable voltage, at least one light source connected to a vehicle power source, and a light diffusion unit for generating light, and a light diffus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It includes a light diffusing lens unit for diffusing light, and the amount of light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variable voltage applied directly from the vehicle power source to the light source.

Description

발광표시 장치{Light emitting apparatus}Light e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광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엠블럼, 로고 등을 포함하여 식별이나 표시 필요한 물체에 구비되어 주간 및 야간에도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is provided on an object that requires identification or display, including an automobile emblem, logo, and the like, to facilitate recognition even during day and night.

일반적으로, 광고나 상징을 위해 특정표시가 특정물체나 특정장소에 부착되거나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엠블럼의 경우, 자동차 생산회사 및 종류를 상징하기 위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하여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그릴, 후드 또는 트렁크의 해당 면에 장착하여 제3자가 쉽게 식별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there are cases where a specific mark is attached or provided to a specific object or a specific place for advertisement or symbo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r emblem, it is manufactured in various designs to symbolize a car manufacturer and a type, and is mount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a car's radiator grill, hood, or trunk so that a third party can easily identify it.

이러한 자동차 엠블럼은 주간에만 식별이 가능하고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는 별도의 빛이 없을 경우 구분이 어려워 대표성의 의미를 한계가 있었다. 즉 엠블럼이 주간과 야간의 시간적 차이와 빛의 유무에 따라 표현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차 엠블럼을 야간의 어두운 공간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로써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These car emblems can be identified only during the daytime,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n there is no separate light at night or in a dark place. That is,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emblem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ime and dayligh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ght.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ere has been an effort to enable the vehicle emblem to be identified even in a dark space at night.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sever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예를 들어, 제품의 마크부분을 투명하게 하고 마크부분의 내부에 LED를 설치하여 마크의 투명부분으로 빛이 발산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다만, LED에서 발생한 빛이 마크부분 영역을 넘어 발산되므로 LED가 점등되더라도 야간에 마크를 식별하기 부족함이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in which the mark portion of a product is made transparent and LEDs are installed inside the mark portion to emit light to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mark. However, sinc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ED is emitted beyond the area of the mark, it is insufficient to identify the mark at night even when the LED is turned on.

또 다른 예로, 마크의 가장자리부분만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만드는 경우이다. 즉 마크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중앙부분은 크롬 도금 등의 처리를 하여 주간의 식별성을 높이고, 야간에는 마크의 가장자리부분을 통하여 빛이 투과되도록 하여 야간 식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또한 야간 식별성을 높이기에는 부족함이 많다.As another example, it is a case in which only the edge portion of the mark is made transparent so that light is transmitted. That is, the central portion except the edge portion of the mark is treated with chrome plating to increase the daytime discrimination, and at night,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edge portion of the mark to increase the nighttime discrimination. However, this method is also insufficient to increase night visibility.

한국공개특허 2014-0060117(2014.05.19 공개)Korean Open Patent 2014-0060117 (2014.05.19 publish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표시부로 가이드하여 표시부에 대한 식별력을 높이는 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effectively guide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to the display unit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for the display unit.

또한, 광원부에서 생성된 광이 표시부 이외의 영역에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prevents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from being emitted from an area other than the display unit.

또한, 별도의 장치 없이도 광원의 광량이 가변되는 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ight amount of the light source is varied without a separate de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는 가변 전압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전원, 차량용 전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일면에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량은 상기 차량용 전원에서 상기 광원으로 직접 인가되는 상기 가변 전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power source for generating a variable voltage, at least one light source connected to a vehicle power source, and a light diffusion unit for generating light, and a light diffus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It includes a light diffusing lens unit for diffusing light, and the amount of light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variable voltage applied directly from the vehicle power source to the light source.

상기 광 확산 렌즈부는 제1 광 확산 렌즈부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방향에 따라 제1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방향에 따라 제2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diffusing lens part includes a first light diffusing lens part and a second light diffusing lens part, and a first light diffusing pattern is formed in one of the incidence and exit surfaces of the first light diffusing lens part in a first direction. , A second light diffusing pattern may be formed in one of the incidence and exit surfaces of 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in a second direction.

상기 제1 광 확산 패턴과 상기 제2 광 확산 패턴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교차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may intersect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1 광 확산 패턴과 상기 제2 광 확산 패턴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수직하게 교차하며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may be formed to intersect vertically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출사면 및 입사면 중 어느 일면에 상기 제1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1 옵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출사면 및 입사면 중 어느 일면에 상기 제2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옵틱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is formed on one of the exit surface and the incident surface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a plurality of first optics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When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is formed on any one of the exit surface and the incident surface of the lens unit, a plurality of second optics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상기 복수의 제1 옵틱은 상기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옵틱은 상기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may be recessed inward or protruded outwardly of the first light diffusing lens unit, and the plurality of second optics may be recessed inwardly or protruded outwardly of 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have.

상기 복수의 제1 옵틱 및 상기 복수의 제2 옵틱은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을 산란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optics may scatter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에 의하면, 광 확산 렌즈부를 통하여 표시부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iscrimination power of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또한, 차단벽과 차단부를 통하여 광원부에서 생성된 광이 표시부 이외의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from being transmitted to an area other than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blocking wall and the block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가변 전압 및 확산 패턴에 의하여 반짝이는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sparkling image by a variable voltage and diffusion pattern, thereby enhancing aesthetic sens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의 제1 광 확산 렌즈부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제1 광 확산 패턴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제2 광 확산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복수의 제1 옵틱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복수의 제2 옵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ploded views show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and a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of a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and a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of a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illustrating a plurality of first optics of a first light diffusing lens unit and a plurality of second optics of a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specifically defin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show light e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1)는 광원부(100), 광 확산 렌즈부(200), 커버 요소(3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100, a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and a cover element 300.

광원부(100)는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동작시키는 기타 전자 부품이 포함된 인쇄회로기판이 포함될 수 있다. 광원은 가변되는 전원 즉, 전압을 인가 받아 광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전압은 차량용 전원(10)로부터 발생되어 인가되는데, 광원부(100)는 차량용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용 전원(10)은 예를 들어, 차량 내에 구비된 배터리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는 9~16v로 가변될 수 있고, 광원부(100)의 광원에 인가되는 전류 또한 가변될 수 있으므로 가변되는 전압에 따라 광원의 광량이 가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량은 차량용 전원에서 광원부로 직접 인가되는 가변 전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that generates light having a light amount or color suitable for the us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electronics that operate at least one light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parts may be included. The light source serves to generate light by applying a variable power source, that is, a voltage, 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emitting diode (L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s used as a light sou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bulb type lamp may be used as a light source. As a bulb type lamp, a halogen lamp or a high intensity discharge (HID) lamp may be used. Here, the variable voltage is generated and applied from the vehicle power supply 10, but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power supply. The vehicle power supply 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battery provided in the vehicle. The battery can be varied from 9 to 16v,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can also be varied, so the light quantity of the light sourc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variable voltage.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light of at least one light source may be varied according to a variable voltage applied directly from the vehicle power source to the light source unit.

즉, 별도의 제어 장치가 없어도 광원의 광량이 가변됨에 따라 사용자는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를 식별할 수 있고 심미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전원과 광원부 사이에 DC-DC 컨버터 등이 없어도 광원부(100)에 직접 인가되는 가변 전압에 의하여 광량이 가변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rease the aesthetic sense even in a dark place as the light amount of the light source is varied without a separate control device. For example, even if there is no DC-DC converter or the like between the vehicle power source and the light source unit, the amount of light may be changed by a variable voltage applied directly to the light source unit 100.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 내부에 별도의 전원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이 어두운 곳에 시동을 끄고 주차하고 있어도 광원부(100)의 광원에 계속적으로 가변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표시 장치를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as the variable voltag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even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and parked in a dark pl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location where the vehicle is parked. can do.

또한, 광원은 필요로 하는 광량을 만족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 영역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formed to satisfy the amount of light required, and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variously changed. For example, it may be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display area of the cover element 300 to be described later.

광 확산 렌즈부(200)는 광원부(100)와 커버 요소(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광 확산 렌즈부(200)는 광원부(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광원부(100)의 광축(Ax)에 수직한 상하 방향 및/또는 광 확산 렌즈부의 좌우 방향 등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광 확산 렌즈부(200)를 통해 확산된 광은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에서 출사 될 수 있다.The light diffusing lens unit 200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cover element 300.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serves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in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x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 o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and the like. Light diffused through the lens unit 200 may be emitted from the display unit of the cover element 300.

또한, 광 확산 렌즈부(200)의 일면에는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 패턴(213, 223)이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 패턴은 광 확산 렌즈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수지재로 형성되어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Also, light diffusion patterns 213 and 223 for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The light diffusion pattern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or may be formed of a separate resin material and attached to at least one of an incident surface and an emission surface of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광 확산 렌즈부(20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각각 다른 방향 혹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광 확산 패턴을 갖는다. 광 확산 렌즈부(2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하겠다.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a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and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 220) each has a light diffusion pattern formed in a different direction or the same direction. Details of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커버 요소(300)는 광 확산 렌즈부(200)에서 확산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 요소(300)에는 표시부(322)와 차단부(324)가 포함될 수 있으며, 표시부(322)는 광 확산 렌즈부(200)에서 확산된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되고, 차단부(324)는 광 확산 렌즈부(200)에서 확산된 광이 커버 요소(300)를 투과하지 못하도록 광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The cover element 300 may be formed of a lens to transmit light diffused from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In particular, the cover element 3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322 and a blocking unit 324, and the display unit 322 is formed to transmit light diffused from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and the blocking unit 324 Is formed to block light so that light diffused from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does not pass through the cover element 300.

이에 따라, 광원부(100)에서 발생한 광은 광 확산 렌즈부(200)의 광 확산 패턴에 의하여 확산되고,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322)를 투과함에 따라, 야간 혹은 어두운 공간에서 관찰자가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를 관찰할 경우, 표시부(322)의 형상을 효율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322)는 로고 및 마크를 포함하는 식별표시가 평면 또는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is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pattern of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322 of the cover element 300, so that an observer sees it at night or in a dark space. When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served, the shape of the display unit 322 can be efficiently identified.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322 may be formed in a flat or three-dimensional identification display including a logo and a mark.

또한, 광원에 인가되는 가변 전압과 광 확산 패턴에 의하여 광이 표시부를 투과 시, 반짝이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심미감이 증가될 수 있다.Further, when light passes through the display unit by a variable voltage and a light diffusion pattern applied to the light source, a sparkling image may be formed, thereby increasing aesthetic sense.

본 발명의 도 3을 참고해보면, 표시부(322)는 화살표 형상을 가지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로고, 해드폰 제조사의 로고, 모델명, 회사 로고 등의 표시로써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322 is illustrated to have an arrow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apes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t may be variously formed as a logo of a car, a logo of a headphone manufacturer, a model name, a company logo, and the like.

다시 구체적으로, 커버 요소(300)는 광 확산 렌즈부(200)에 의하여 확산된 광이 입사되는 제1 면(310)과 표시부(322)와 차단부(324)가 포함된 제2 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면(310)에는 하프미러 코팅막이 증착 또는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하프미러는 원판 투명 유리, 투명 아크릴 등에 진공으로 증착, 코팅하여 조명과 거울의 반사와 통과를 응용하여 조명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하프미러는 반투명거울로서 투명유리 또는 아크릴에 크롬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여 광의 반은 반사하고 반은 투과하도록 만든 것으로 한쪽은 거울 다른 쪽은 투명 유리 등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즉 광이 입사되는 경우에는 광을 투과시키고 광이 투과되지 않을 경우에는 거울처럼 기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ver element 300 includes a first surface 310 to which light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is incident, and a second surface 320 including the display unit 322 and the blocking unit 324. ). In addition, a coating layer on which a half mirror coating film is deposited or coated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310. The half mirror is for vacuum deposition and coating on a transparent glass, transparent acrylic, etc. to apply the reflection and passage of lighting and mirrors to show the lighting effect. Half-mirror is a semi-transparent mirror made of transparent glass or acrylic using chromium, etc. to reflect half of the light and transmit the half. That is, when light is incident, light can be transmitted, and when light is not transmitted, it can function as a mirror.

이에 따라, 하프미러 코팅막은 광을 50%는 투과하고 50%는 차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빛을 70%는 차단하고 30%는 투과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광 차단율 또는 광 투과율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alf-mirror coating film may be implemented to transmit 50% of light and block 50%, or to block 70% of light and transmit 30% of light. It can be implemented to have a transmittance.

또한, 하프미러 코팅막은 은색을 포함하여 원하는 다양한 색깔이 나타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322)는 하프미러 코팅막으로 인하여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alf-mirror coating film may be embodied to display various colors desired including silver, and the display unit 322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can exhibit a three-dimensional effect due to the half-mirror coating film.

한편 커버 요소(300)의 제2 면(320)에 구비된 차단부(3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 확산 렌즈부(200)에서 입사된 광이 제2 면(320)에서 출사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제2 면에 어두운 색의 페인트 코팅(324a) 및 광을 차단하는 플레이트(324b)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면(320)의 표시부(322)에서만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표시부 형상의 테두리 혹은 표시부를 제외한 모든 제2 면(320)에 차단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blocking part 324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320 of the cover element 300 blocks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diffusing lens part 200 from being emitted from the second surface 320 as described above. ,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a dark color paint coating 324a on the second surface and a plate 324b blocking light. In particular, the blocking part 324 may be formed on all the second surfaces 320 except for the display part-shaped frame or the display part so that light can be transmitted only from the display part 322 of the second surface 320.

또한, 차단부에 대응되는 커버 요소(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관통구 혹은 막혀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324)가 페인트 코팅(324a)으로 형성될 경우에 커버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막혀 있지만, 차단부(324)가 플레이트(324b)로 형성될 경우, 플레이트(324b)가 제2 면(320) 상에서 결합되어야 하므로 커버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element 300 corresponding to the block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through-holes or blocked. Accordingly, when the blocking portion 324 is formed of the paint coating 324a,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element is blocked, but when the blocking portion 324 is formed of the plate 324b, the plate 324b is the second. Since it has to be coupled on the surface 320, at least a portion of the cover element can be formed to penetrate.

위와 다르게 차단부(324)가 플레이트(324b)로 형성되어도, 차단부(324) 형상에 대응하는 제2 면(3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광원부의 광축(Ax) 방향인 커버 요소(30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차단부(324)가 제2 면(320)의 함몰 형성된 영역에 결합 또는 형성될 수도 있다.Unlike the above, even if the blocking portion 324 is formed of a plate 324b,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surface 32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locking portion 324 of the cover element 300 in the optical axis (Ax)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portion The blocking portion 324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to be coupled or formed to the recessed region of the second surface 32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1)는 차단벽(400), 히트싱크(500) 및 하우징(600)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wall 400, a heat sink 500, and a housing 600.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 보면, 차단벽(400)은 광 확산 렌즈부(200)와 광원부(100) 사이에 구비되어 광 확산 렌즈부(200)를 커버 요소(300)에 밀착시켜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광원부(100)에서 발생한 광을 광 확산 렌즈부(200)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4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으로 광 확산 렌즈부(200)를 향하는 수직구조로 형성되어, 광원부(100)에서 발생한 광이 광 확산 렌즈부(200)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3 and 4, the blocking wall 400 is provided between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and the light source unit 100 to fix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to the cover element 300 to be fixed. And it may be formed to guid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to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while serving as a support. The blocking wall 400 is formed in a vertical structure toward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in the optical axis (Ax)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100 is a light diffusion lens unit It may serve to block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other than the (200) direction.

차단벽(400)의 적어도 일부는 차단부(324) 형상 또는 표시부(322)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부(324)가 표시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두께로 어두운 색의 페인트 코팅(324a)으로 형성될 경우, 차단벽(400)의 일부는 표시부(322)의 차단부 형상에 대응되게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22)가 화살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화살표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여 차단벽(400)이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에 따라 수직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blocking wall 4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locking portion 324 or the edge shape of the display portion 322.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ocking portion 324 is formed of a dark-colored paint coating 324a along a border of the display portion, a part of the blocking wall 400 is shaped like a blocking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322 It has a constant thickness corresponding to and may be formed vertically in the optical axis (Ax)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That is, as shown in FIG. 3, if the display unit 322 has an arrow shape, the blocking wall 400 may be formed in a vertical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x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rrow. You can.

이에 따라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광 확산 렌즈부(200)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광원부(100)의 광원은 차단벽(400)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in order to transmi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to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is preferably formed inside the blocking wall 400.

또한, 차단벽(400)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부로 형성되어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광 확산 렌즈부(200)로 반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locking wall 400 is formed as a reflection unit to reflect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to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히트 싱크(500)는 광원 및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히트 싱크(500)는 발광표시 장치(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500)에는 방열 면적을 높이기 위해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sink 500 serves to radiat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heat sink 500 can suppress an increase in temperatur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In addition, the heat sink 5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radiation fins to increase the heat radiation area.

하우징(600)은 커버 요소(300)와 결합 하여, 전술한 광 확산 렌즈부(200), 차단벽(400), 광원부(10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600)과 커버 요소(300)의 내측에는 광 확산 렌즈부(200), 차단벽(400), 광원부(100) 및 히트싱크(500)가 수용될 수 있다.The housing 600 is combined with the cover element 300, and serves to protect the above-described light diffusing lens unit 200, blocking wall 400,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the blocking wall 400,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the heat sink 5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600 and the cover element 300.

구체적으로 커버 요소(300)는 하우징(600)과 접촉하는 제1 접촉면(340)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600)은 커버 요소(300)와 결합하는 제2 접촉면(64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ver element 30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surface 340 that contacts the housing 600, and the housing 600 may include a second contact surface 640 that engages the cover element 300. have.

제1 접촉면(340)과 제2 접촉면(640) 중 하나에는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으로 함몰된 제1 결합부(342)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결합부(6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342)와 제2 결합부(642)가 결합되면서, 하우징(600)와 커버 요소(300)가 결합될 수 있다.A first coupling portion 342 recessed in the optical axis (Ax)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may be formed on one of the first contact surface 340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640, and the other of the light contact unit 100 may be formed. A second coupling portion 642 protruding in the optical axis Ax direction may be formed. Accordingly, whi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342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42 are combined, the housing 600 and the cover element 300 may be combined.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요소(300)에 함몰 형상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600)에 돌출 형상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반대로 커버 요소(300)에 돌출 형상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500)에 함몰 형상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upling portion having a recessed shape may be formed in the cover element 3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a protruding shape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600. A second coupling portion having a protruding shape may be formed at 300),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having a recessed shape may be formed at the housing 500.

이에 따라, 제1 결합부(342)와 제2 결합부(642)는 하우징(600)과 커버 요소(300)의 결합력을 높여주고, 외부의 이물질 혹은 물의 침투를 막아주므로 수용된 광 확산 렌즈부(200), 광원(100) 등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342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42 increase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housing 600 and the cover element 300, and prevents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or water, so that the received light diffusion lens portion ( 200), the light source 100 and the like can be effectively protect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는 광원부를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o 5,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driving and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unit.

제어부(700)는 하우징(600)과 커버 요소(300) 내측에 수용되어,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인가되는 가변 전압과 광원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광원 구동 모듈(LDM: LED Drive Module)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7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600 and the cover element 300, and may be formed to control a variable voltage and a light source applied to at least one light sourc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0 may be formed of an LED drive module (LDM),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된 브레이크(800) 및 비상 버튼(900) 중 적어도 하나가 운전자에 의하여 눌려질 경우, 브레이크 신호 및 비상 버튼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부에 인가되고, 제어부는 인가된 신호에 의하여 광원의 광량 가변 속도를 증가되도록 광원부에 직접 인가되는 상기 가변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가변 전압을 제어함에 따라 광원의 점멸 속도를 높여 차량에 구비된 브레이크등 및 비상등과 함께 반짝이는 이미지를 후방에 있는 차량의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식별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at least one of the brake 800 and the emergency button 900 provided in the vehicle is pressed by the driver, at least one of the brake signal and the emergency button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applied. The variable voltage applied directly to the light source unit may be controlled so as to increase the variable speed of the light amount by the received signal. That is, by controlling the variable voltage, the blinking speed of the light source can be increased to identify a sparkling image along with the brake and emergency lights provided in the vehicle to the driver and pedestrian of the vehicle in the rea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1)의 광 확산 렌즈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확산 렌즈부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first light diffusing lens part and a second light diffusing lens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전술한 바와 같이 광 확산 렌즈부(20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에는 광 확산 패턴(213, 2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 확산 렌즈부(210)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광원부(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각각 구비된 광 확산 패턴을 통하여 확산시켜 커버 요소(300)로 전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a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and light diffusion patterns 213 and 223 may be formed on each of them. You can. Accordingly,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through the provided light diffusion pattern, respectively, and transmit the light to the cover element 300.

먼저, 광 확산 패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의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혹은 프리즘 렌즈(prism len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확산 렌즈부(200)는 관찰자가 발광표시 장치(1)를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입체감이나 변환 등을 구현할 수 있다.First, the light diffusion pattern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enticular lenses or prism lenses in which mountains and valleys are repeated.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may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effect or conversion according to an angle at which the viewer views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곡선 형태의 다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직선 형태의 단면 또는 직선 및 곡선이 조합된 형태의 다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반원, 삼각형, 다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6 and 7, the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patterns 213 and 223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having a curved multi-facet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patterns 213 and 223 ) May have a straight cross-section or a multi-faceted shape in which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are combin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patterns 213 and 223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such as a semicircle, triangle, or polygon.

이러한,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광 확산 렌즈부(200)로 입사된 광을 소정 방향으로 굴절시켜 확산시킨다. 이에 따라, 광 확산 렌즈부(200)는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증가시키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도를 가지도록 한다.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제1 광 확산 패턴(213) 및 제2 확산 패턴(2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patterns 213 and 223 refract and diffuse light incident on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ly,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00 increases the area to which light is irradiated by the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patterns 213 and 223, so as to have a uniform illuminance as a whole. The plurality of light diffusion patterns 213 and 223 may include a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3 and a second diffusion pattern 223.

제1 광 확산 렌즈부(210)는 광원부(100)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하는 입사면(211)과 출사면(212)을 포함한다.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과 출사면(212)은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부분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includes an incident surface 211 and an exit surface 212 that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The incident surface 211 and the exit surface 212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re formed to be substantially fla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may be formed convex or concave.

또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 및 출사면(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광 확산 패턴(213)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is a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incidence surface 211 and the emission surface 212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long the first direction (213).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확산 렌즈부(210)는 출사면(212)에 제1 광 확산 패턴(213)이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광 확산 패턴(213)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광원부의 광축(Ax)에 수직한 방향인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사면에 제1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될 경우,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Accordingly,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3 may be formed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emission surface 212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That is,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3 is formed of a plurality, and may be formed in a long linear shap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which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x of the light source unit, and the exit surface When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is formed on,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11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may be refracted to diffus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have.

위와 다른 예로 제1 방향에 따라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사면(212)에 제1 광 확산 패턴(213)이 형성될 경우,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different from the above, it may be formed in a long linear shap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in the first direction, and when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3 is formed on the exit surface 212, the first 1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11 of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may be refracted to diffus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결국, 제1 방향은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여러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의미하므로, 제1 광 확산 패턴(213)은 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 혹은 출사면(212)에 형성될 수 있다.After all, since the first direction means any one of the up-down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various diagonal directions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3 is in any one of the above, the first 1 may be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11 or the exit surface 212 of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커버 요소(300) 사이에 위치된다.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을 투과한 광을 커버 요소(300) 방향으로 전달한다.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the cover element 300.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transmits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in the direction of the cover element 300.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도 입사면(221)과 출사면(222)을 포함하며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과 출사면(222)은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부분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220 also includes an incidence surface 221 and an exit surface 222, and the incidence surface 221 and the exit surface 222 of 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220 are formed substantially fla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iddle portion may be convex or concave.

또한,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 및 출사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광 확산 패턴(223)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at least one of the incident surface 221 and the exit surface 222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may include a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223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출사면(222)에 제2 광 확산 패턴(2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 확산 패턴(223)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면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광 확산 패턴(223)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상하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6 and 7,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223 may be formed on the emission surface 222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s 223 is formed,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may be formed in a long linear shape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223 may refract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21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to diffuse in the vertical direction.

위와 다른 예로, 제2 방향에 따라 광원부의 광축(Ax)에 수직한 방향인 제2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사면(212)에 제2 광 확산 패턴(223)이 형성될 경우, 제2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As an example different from the above, it may be formed in a long linear shap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210 which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Ax according to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light diffusion pattern 223 is formed, light incident through the incident surface 211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may be refracted to diffus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have.

결국, 제2 방향은 전술한 제1 방향과 동일하게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나타내므로 제2 광 확산 패턴(223)은 위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221) 혹은 출사면(222)에 형성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second direction represents any one of the up-down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first light-diffusion lens unit 21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direction described above, the second light-diffusion pattern 223 is in the upward direction. It may be formed on the incident surface 221 or the exit surface 222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in one direction.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확산 패턴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에 제1 광 확산 패턴(223)의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광 확산 패턴(223)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 및 출사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광 확산 패턴(223)의 제1 방향과 동일하거나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도 있다.6 and 7,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is formed on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along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23,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223 has a first direction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23 on at least one of the incident surface 221 and the exit surface 222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It may be form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forming the same or a predetermined angle.

이에 따라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제1 광 확산 패턴(213)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제2 광 확산 패턴(213)은 광원부에서 입사된 광을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한방향으로 확산시킴에 따라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에는 균일하게 광이 투과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light diffusing pattern 213 of the first light diffusing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diffusing pattern 213 of 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220 may be configured to at least one of upper, lower, left, and right light incident from the light source unit. As it diffuses in one direction, light can be transmitted uniformly to the display portion of the cover element 30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제1 광 확산 패턴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제2 광 확산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a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과 출사면(212) 중 어느 한 곳에 제1 광 확산 패턴(213)이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과 출사면(222) 중 어느 한곳에 제2 광 확산 패턴(223)이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차단벽(400)과 커버 요소(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3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incidence surface 211 and the exit surface 212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Since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223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incidence surface 221 and the exit surface 222 of the diffusion lens unit 22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2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locking wall 400 and the cover element 300 in various ways as illustrated in FIG.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확산 렌즈부에 복수의 제1 옵틱과 제2 광 확산 렌즈부에 복수의 제2 옵틱을 나타낸 도면이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a plurality of first optics and a plurality of second optics on a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각각의 일면에 제1 광 확산 패턴(213) 및 제2 광 확산 패턴(223)이 형성될 경우, 각각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3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223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each other surface is A plurality of first optics 214 and a plurality of second optics 224 may be form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은 비정형 패턴으로 형성되어 제1 광 확산 렌즈부(210)과 제2 광 확산 렌즈부(220) 각각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규칙성 없이 산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은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거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 중 일부는 다른 옵틱과 비교하여 함몰 또는 돌출되는 깊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옵틱과 제2 옵틱 각각은 높이, 너비, 길이가 상이할 수 있어, 광의 굴절 혹은 산란 방향 및 정도가 각 옵틱의 형상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21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optics 224 are formed in an irregular pattern, such that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are formed. Each of the incidence surface or the exit surface can be formed to be spread without regularit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21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optics 224 ar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light diffusing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220 or projected toward the outside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21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optics 224 may have different depressions or protruding depths compared to other optics. Therefore, each of the first optic and the second optic may have different heights, widths, and lengths, so that the direction and degree of refraction or scattering of light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hape of each optic.

반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옵틱(214)과 제2 옵틱(224)은 정형 패턴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과 제2 광 확산 렌즈부(220) 각각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규칙성 있게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거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함몰 또는 돌출되는 깊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Conversely, as shown in FIG. 10, 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214 and the second optics 224 may also be formed in a regular pattern. In this case, the first light diffusing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220 may be regularly arranged on the incidence or exit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light diffusing lens units 210 and the first light diffusing lens unit 210 and the first 2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may b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r may be projected toward the outside, and the depth of the recess or protrusion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이에 따라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에 입사된 광은 복수의 제1 옵틱(214)에서 산란될 수 있고,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에 입사된 광은 복수의 제2 옵틱(224)에서 산란될 수 있으며, 관찰자가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를 관찰할 경우,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이질적 느낌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의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light incident on the first light diffusing lens unit 210 may be scattered from 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214, and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light diffusing lens unit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optics ( 224), and when the observer observes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impart a heterogeneous feeling according to the angle to be observed, thereby increasing the aesthetics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이처럼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의 광원부(100)에서 발생되는 광은 차단벽(400)에 의하여 제1 광 확산 렌즈부(210)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으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 및 출사면(212) 중 한곳에 구비된 제1 광 확산 패턴(213)에 의하여 확산되면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로 전달되고, 다른 하나는 제1 광 학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 및 출사면(212) 중 한곳에 구비된 복수의 제1 옵틱(214)에 의하여 산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100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ident on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by the blocking wall 400, If at least one of the incident light is diffused by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3 provided on one of the incident surface 211 and the exit surface 212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It is transmitted to 220, the other may be scattered by a plurality of first optics 214 provided on one of the incidence surface 211 and the exit surface 212 of the first optical arithmetic lens unit 210.

또한,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에 입사된 광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 및 출사면(222) 중 한곳에 구비된 제2 광 확산 패턴(223)에 의하여 확산되고, 다른 하나는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 및 출사면(222) 중 한곳에 구비된 복수의 제2 옵틱(224)에 의하여 산란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incident surface 221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is provided at one of the incident surface 221 and the exit surface 222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It is diffused by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223, and the other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second optics 224 provided on one of the incidence surface 221 and the exit surface 222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Can be spawn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322)에서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제1 광 확산 패턴(213)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제2 광 확산 패턴(223)에 의하여, 가변 전압에 의하여 발생한 광이 확산되어 투과되고,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에 의하여 광이 산란되므로 표시부의 전체 영역을 광이 균일하게 투과함과 동시에 반짝임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display unit 322 of the cover elemen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3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210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0 By 223, light generated by the variable voltage is diffused and transmitted, and light is scattered by 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214 and the plurality of second optics 224,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is uniformly lighted. At the same time as it penetrates, it can form glitter.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의 표시부(322)가 자동차 엠블럼 등과 같은 로고로 형성될 경우, 위와 같은 구성과 효과에 따라 주간에는 메탈감으로 표시부(322)가 식별되고, 야간에는 표시부(322)를 투과되는 광과 표시부(322)에 형성되는 반짝임을 통하여 표시부(322)가 식별 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portion 322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logo such as an automobile emblem, the display portion 322 is identified with a metallic feeling during the daytim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effects , At night, the display unit 322 may be identified through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322 and sparkles formed on the display unit 322.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차량용 전원 100: 광원부
200: 광 확산 렌즈부 210: 제1 광 확산 렌즈부
213: 제1 광 확산 패턴 214: 제1 옵틱
220: 제2 광 확산 렌즈부 223: 제2 광 확산 패턴
224: 제2 옵틱 300: 커버 요소
322: 표시부 324: 차단부
400: 차단벽 500: 히트싱크
600: 하우징 700: 제어부
10: vehicle power supply 100: light source unit
200: light diffusing lens unit 210: first light diffusing lens unit
213: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214: first optic
220: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223: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224: second optic 300: cover element
322: display unit 324: blocking unit
400: barrier 500: heat sink
600: housing 700: control

Claims (8)

가변 전압을 발생 시키는 차량용 전원;
차량용 전원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및
일면에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 렌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량은 상기 차량용 전원에서 상기 광원으로 직접 인가되는 상기 가변 전압에 따라 가변되는 발광표시 장치.
A vehicle power supply that generates a variable voltage;
A light source unit hav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connected to a vehicle power source to generate light; And
A light diffusion lens unit having a light diffusion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and diffus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light quantity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is varied according to the variable voltage applied directly from the vehicle power source to the light sou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렌즈부는 제1 광 확산 렌즈부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방향에 따라 제1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방향에 따라 제2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includes a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and a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A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is formed along a first direction on one of the incidence surface and the exit surface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is formed along a second direction on any one of an incident surface and an exit surface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확산 패턴과 상기 제2 광 확산 패턴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교차하는 발광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form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intersect with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확산 패턴과 상기 제2 광 확산 패턴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수직하게 교차하며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and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are vertically cross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o form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출사면 및 입사면 중 어느 일면에 상기 제1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1 옵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출사면 및 입사면 중 어느 일면에 상기 제2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2 옵틱이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first light diffusion pattern is formed on any one of the exit surface and the incident surface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a plurality of first optics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optics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when the second light diffusion pattern is formed on any one of the exit surface and the incident surface of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옵틱은 상기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옵틱은 상기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are recessed inward or protruding outward in the first light diffusion lens unit,
The plurality of second optics is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is recessed or formed protruding inside the second light diffusion lens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옵틱 및 상기 복수의 제2 옵틱은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을 산란시키는 발광표시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first optic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optics ar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that scatter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렌즈부에 의하여 확산된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와 상기 광 확산 렌즈부에서 확산된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커버 요소 더 포함하는 발광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ver element including a display unit through which light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is transmitted and a blocking unit blocking light diffused from the light diffusion lens unit.
KR1020180117085A 2018-10-01 2018-10-01 Light emitting apparatus Ceased KR202000376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85A KR20200037625A (en) 2018-10-01 2018-10-01 Light emit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85A KR20200037625A (en) 2018-10-01 2018-10-01 Light emit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625A true KR20200037625A (en) 2020-04-09

Family

ID=7027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085A Ceased KR20200037625A (en) 2018-10-01 2018-10-01 Light emit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762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0117A1 (en) 2011-05-23 2014-03-06 Hoya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substrate for magnetic di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60117A1 (en) 2011-05-23 2014-03-06 Hoya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substrate for magnetic dis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2725B (en) Illuminated decorative element
EP2681485B1 (en) Automotive lighting unit
JP4798784B2 (en) Vehicle lighting
KR101684117B1 (en) Mood lamp for vehicle
CN108291705B (en) Lamp assembly and vehicle design element comprising such a lamp assembly
JP2004207240A (en) Head lamp type display device or lighting device for automobiles
JP2008293852A (en) Light source device and vehicle headlamp
CN107110462A (en) Lighting devices for vehicles
JPWO2020138367A1 (en) Vehicle mirror device and illuminated mirror display device
JP2011044394A (en) Light guide body used for lighting fixture for vehicle
KR20160136900A (en) A lamp for vehicle
JP2022127302A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6154695B2 (en) Light emitting device
JP2014212079A (en) Light guide plate and lighting fixture having light guide plate
KR20200037625A (en) Light emitting apparatus
JP6920015B2 (en) Vehicle lighting
JP6936046B2 (en) Vehicle lighting
KR102362337B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WO2023210678A1 (en) Vehicle lamp
KR102370232B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KR101666511B1 (en) A lamp apparatus for vehicles
KR101987295B1 (en) Lamp for vehicle
KR20210009504A (en) Three dimensional lamp for vehicle
JP6601340B2 (en) Lighting device
CN222122941U (en)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0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7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4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