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0175A - Semi-noncombustible composite-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 Google Patents
Semi-noncombustible composite-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0175A KR20200040175A KR1020190048986A KR20190048986A KR20200040175A KR 20200040175 A KR20200040175 A KR 20200040175A KR 1020190048986 A KR1020190048986 A KR 1020190048986A KR 20190048986 A KR20190048986 A KR 20190048986A KR 20200040175 A KR20200040175 A KR 202000401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ble
- semi
- layer
- interior
- composite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11265 semifinished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5822 acrylic bind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40 Melamin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KXGFMDJXCMQABM-UHFFFAOYSA-N 2-methoxy-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H]OC1=CC=CC([CH])=C1O KXGFMDJXCMQABM-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20001568 phenol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1
- 239000004115 Sodium Silic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911 sod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NTHWMYGWWRZVTN-UHFFFAOYSA-N sod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Na+].[Na+].[O-][Si]([O-])=O NTHWMYGWWRZVTN-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3
- 239000011094 fib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26 bio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PQQTUXANYXVAA-UHFFFAOYSA-N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O-][Si]([O-])([O-])[O-] BPQQTUXANYXV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2 Wood fibr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1 hot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1 magnes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9 magnes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92 magnes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5 wood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6—Vegetal particles
- B32B2264/062—Cellulose particles, e.g. cot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로서, 준불연 재질의 불연층 및 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PF불연층을 포함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을 제공한다. 또한, 준 불연성을 갖는 불연층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접하도록 위치되고 PF불연층은 하나 이상의 불연층의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준 불연성을 갖는 불연층은 섬유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가공성이 뛰어나고,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며, 준 불연성을 갖는 불연층은 규산 나트륨 및 질석을 포함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화기 저항이 뛰어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including a non-combustible layer for semi-non-combustible materials and a PF non-combustibl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non-combustible material. In addition, one or more non-combustible non-combustible layers ar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F non-combustible layer is positioned between one or more non-combustible lay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n-combustible layer having a semi-incombustibility is provided with a fiber material, it has excellent processability, excellent price competitiveness, and the non-combustible layer having a semi-non-combustibility is composed of sodium silicate and vermiculite, thereby providing excellent fire resist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 외장재용 판넬 및 복합 판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준불연성을 가지는 내, 외장재용 복합 판넬 및 상기 복합 판넬에 구비되는 불연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s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composite panels.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having semi-incombustib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n-combustible layer provided in the composite panel.
오늘날 건축물과 산업현장에는 건축물의 가치와 시각효과 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내장재와 외장재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건축자재들은 금속, 합성수지, 목재 등과 같은 재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하여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자재는 모듈 및 제품화되어 판매 및 유통되고 있어 시각적 효과나 디자인, 가격, 시공성, 내구성, 내화성, 흡음성, 그 밖의 알려진 여러 기능성 측면에서 보다 뛰어난 장점을 갖추어야만 소비자에게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Today, variou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re used in buildings and industrial sites to increase the value and visual effects of buildings. Typical construction materials are manufactured by processing materials such as metal, synthetic resin, and wood in various ways. Since these building materials are sold and distributed as modules and products, they can be selected and used by consumers only when they have better advantages in terms of visual effects, design, price, constructability, durability, fire resistance, sound absorption, and other known functionalities.
특히, 실내외 마감재 및 인테리어 자재에 사용되는 패널 자재는 시각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준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목질 재료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는 자재가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가격 측면을 고려하여 중밀도 섬유 보드(MDF:Medium Density Fiber Board), 고밀도 섬유 보드(HDF:High Density Fiber Board) 등이 널리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panel materials used for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s and interior materials are becoming increasingly high in terms of visual and functional aspect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n this regard, materials using wood materials as the main raw material are in the spotlight, and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price aspect, medium density fiber board (MDF), high density fiber board (HDF), etc. Widely adopted and used.
이러한 섬유 보드는 목질재료를 주원료로 하여 고온에서 섬유화하여 얻은 목섬유(Wood Fiber)를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시켜 성형, 열압하여 만든 목질 판상의 제품으로서, 압축강도에 따라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섬유 보드로 제작되며, 다양한 두께로 생산되어 판매되고 있다.These fiber boards are wooden board products made by molding and hot-pressing wood fibers obtained by fiberizing at high temperature using synthetic materials as a main raw material, and are made of low-density, medium-density, and high-density fiber boards depending on the compressive strength. It is manufactured and sold in various thicknesses.
섬유 보드는 비교적 가격이 훨씬 저렴하고, 대량 생산 및 판매가 용이하며, 도색이나 시트지 등에 의한 마감이 용이하고 디자인적으로 뛰어나다. 또한, 안정성, 가공성, 높은 강도를 가진다.The fiber board is relatively cheaper, and it is easy to mass-produce and sell, and it is easy to finish by painting or sheet paper, and has excellent design. In addition, it has stability, processability, and high strength.
다만, 이러한 섬유 보드는 재질 특성상 화염에 매우 약하고 화재 시 유독성 연기를 발생시키는 등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섬유 보드를 기재로 하면서도 내화 및 불연 특성을 가지는 보다 개선된 패널 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However, these fiber boards are very vulnerable to flame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have a fatal disadvantage such as generating toxic smoke in case of fi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re improved panel material having a fire-resistance and non-flammable properties based on a fiber boar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격이 저렴하고, 대량 생산 및 가공이 용이한 내, 외장재용 판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that is inexpensive and easy to mass-produce and process.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화재에 취약한 섬유 보드를 보강한 준 불연성 내 외장용 복합 판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panel for quasi non-combustible exterior that reinforces a fiber board vulnerable to conventional fire.
이를 위해, 준불연 재질의 불연층 및 불연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PF불연층을 포함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을 제공한다. 또한, 준 불연성을 갖는 불연층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접하도록 위치되고 PF불연층은 하나 이상의 불연층의 사이에 위치한다.To this end, a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including a non-combustible material and a PF non-combustibl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non-combustible material is provided. In addition, one or more non-combustible non-combustible layers are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F non-combustible layer is positioned between one or more non-combustible layers.
또한, 본 발명은 혼합기에 펄프 또는 코튼 재질의 원료, 물, 아크릴 바인더 및 질석을 투입하여 혼합하여 반제품으로 형성하는 혼합 단계, 반제품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하고 반제품을 압착 및 건조하는 제1 건조 단계 및 반제품을 망부 상에 위치시킨 후 건조하는 제2 건조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ing step in which a raw material of pulp or cotton material, water, acrylic binder and vermiculite are mixed into a mixer to form a semi-finished product, a first drying step of cutting the semi-finished produc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compressing and drying the semi-finished product. And a second drying step of drying after placing the semi-finished product on the net.
본 발명에 따르면, 준 불연성을 갖는 불연층은 섬유 재질로 구비되기 때문에 가공성이 뛰어나고,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n-combustible layer having semi-incombustibility is provided with a fiber material, it has excellent workability and excellent price competitiven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준 불연성을 갖는 불연층은 규산 나트륨 및 질석을 포함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화기 저항이 뛰어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n-combustible layer having semi-incombustibility is configured to include sodium silicate and vermiculite, it has excellent fire resist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층 및 PF불연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연층 및 PF불연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불연층, PF불연층 및 몰탈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감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과 일반 섬유 보드의 가열 테스트를 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판넬을 이용한 방화문의 이면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층 및 PF불연층이 작용된 판넬을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판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non-combustible layer and a PF non-combusti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non-combustible layer and a PF non-combustible lay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non-combustible layer, a PF non-combustible layer and a mortar lay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nishing lay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views showing a heating test of a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a general fib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graphs and tables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rear surface temperature of a fire door using a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hotographic diagram showing a panel in which a non-combustible layer and a PF non-combustibl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isclos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apparent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층(100) 및 PF불연층(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은 준불연 재질의 불연층(100) 및 불연층(100)의 일면에 형성된 PF불연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불연층(100)은 복합 판넬의 베이스가 되는 층으로서, 가공성이 뛰어난 목질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불연층(100)은 준불연성을 위해 규산염 및 질석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불연층(100)은 규산 나트륨(Sodium Silicate)과 질석(Vermiculite)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질석은 팽창 질석(Expanded Vermiculite)로 구비될 수 있으며, 팽창 질석은 흑운모가 풍화하여 수분을 함유한 광물이며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 회백색 또는 갈색인 질석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한 후, 고온의 열을 가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팽창 질석의 외면에 규산 나트륨을 첨가해 코팅된 질석일 수 있다. 이러한 질석이 불연층(100)에 구비되는 경우 방수, 발수, 접착 강도 및 유연성과 압축강도와 같은 특성이 뛰어나다. 또한, 질석 내부의 다층구조 마찰로 인해 표면에 전달된 진동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됨으로써 소음저감의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은 불연층(100)은 준불연성 특성을 가지며, 발화 시 유독가스 배출량이 비교적 낮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의 자사 화재 테스트를 수행한 영상을 캡쳐한 사진으로서, 무늬목이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복합 판넬이고, 백색목의 경우 일반 섬유 보드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섬유 보드와 본 발명의 복합 판넬의 화재 시 내열성과 유독가스 배출량이 현저하게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불연층(100) 및 PF불연층(2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불연층(10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불연층(100)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서로 접하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불연층(100)을 통해, 화재에 보다 강한 준불연성 특성을 가질 수 있어 유독가스 배출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2 is a view showing a
또한,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의 사이에는 PF불연층(200)이 구비될 수 있다. PF불연층(200)은 페놀 수지를 발포시킨 뒤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PF불연층(200)은 비교적 열에 약하지만,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보호될 수 있어 건축용 심재로써 단독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은 중량을 가져 작업 편의성이 높으면서도 준불연성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의 외면은 질석 재질로 코팅된 질석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연층(100)에 대한 준 불연성능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한편, 불연층(100)은 하나의 불연층(100)이 구비되는 경우 2~100mm의 두께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F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불연층(100)은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마그네슘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판넬의 강도는 증가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견고하게 정위치에 있을 수 있어 각종 인명사고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불연층(100)의 두께는 3~20mm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불연층(100)의 강도나 두께,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그 두께를 달리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규산칼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규산칼슘 재질로 구비되고 불연층(100)의 사이에는 PF불연층(200)이 구비된다. 이를 통해,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발생할 수 있어 습기에 노출된 욕실, 화장실, 주방 등에서의 내장재로도 용이하게 채택될 수 있다. 또한, 규산칼슘 재질의 불연층(100)을 포함하는 판넬은 준불연성을 갖기 때문에 목조 주택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크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코튼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PF불연층(2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코튼 재질로 구비된다. 즉 섬유 재질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을 통해, 판넬의 가공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은 판넬은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질석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질석은 팽창 질석(Expanded Vermiculite)로 구비될 수 있으며, 팽창 질석은 흑운모가 풍화하여 수분을 함유한 광물이며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 회백색 또는 갈색인 질석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한 후, 고온의 열을 가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팽창 질석의 외면에 규산 나트륨을 첨가해 코팅된 질석일 수 있다. 이러한 질석이 불연층(100)에 구비되는 경우 방수, 발수, 접착 강도 및 유연성과 압축강도와 같은 특성이 뛰어나다. 또한, 질석 내부의 다층구조 마찰로 인해 표면에 전달된 진동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됨으로써 소음저감의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은 불연층(100)을 포함하는 복합 판넬은 준불연성 특성을 가지며, 발화 시 유독가스 배출량이 비교적 낮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선술한 마그네슘, 규산칼슘, 코튼 및 질석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재질이 혼합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은 습기에 강하면서도 가볍고 가공성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이와 동시에 준불연성의 성질을 갖기 때문에 내열성이 뛰어난 내화재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or more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불연층(100), PF불연층(200) 및 몰탈층(3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합 판넬은 제2 실시예에서 몰탈층(300)이 더 추가된다. 상세하게, 몰탈층(300)은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 및 PF불연층(200)의 사이에 도포되어 위치한다. 또한, 몰탈층(300)은 단열성 및 불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접착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몰탈층(300)은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 및 PF불연층(200)이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접착시킴으로써 불연층(100) 및 PF불연층(200)이 갖는 불연 기능 등을 상실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몰탈층(300)은 질석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방수, 발수, 접착 강도 및 유연성과 압축강도와 같은 화학적 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감층(4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서, 불연층(100)의 타면에는 마감층(400)이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 마감층(400)은 불연층(100)이 하나 이상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경우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불연층(100)의 타면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마감층(400)은 준불연성 재질의 멜라민(Melamin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불연층(100)의 타면에 멜라민 수지가 도포되어 마감층(400)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마감층(400)은 종이에 멜라민 수지를 함침해 제조된 수지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마감층(400)은 저압 멜라민 함침지(LPM, Low pressure melamine impregnated paper)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감층(400)을 구성하는 경우, 준불연성을 갖는 멜라민 재질의 마감층(400)이 불연층(100)의 타면, 즉 불연층(100)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기 때문에 화기에 의한 직접적인 화재를 지연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마감층(400)의 추가적인 일례로, 마감층(400)은 멜라민 수지 및 페놀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마감층(400)은 멜라민 수지 및 페놀 수지를 함침하여 압축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마감층(400)은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HPM, High Pressure melamine sheet)일 수 있다. 마감층(400)의 경우 그 두께를 0.2~1mm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내, 실외 또는 특수한 목적에 의해 사용되는 경우 그 위치에 따라 두께를 달리 조절할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도 5 내지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과 일반 섬유 보드의 가열 테스트를 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판넬을 이용한 방화문의 이면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의 내열성을 설명하도록 한다.5 to 8 is a diagram showing the heating test of the inner,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exterior materials and a general fib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an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howing a graph and a table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back temperature of a fire door using a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exterior materials. The heat resistance of th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로 이루어진 방화문 및 종래의 방화문에 내열성 및 내구성을 실험한 도면으로서, 실험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복합 판넬로 이루어진 방화문 및 종래의 방화문에 전체적으로 열을 가한 후, 열이 가해지는 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이면의 온도를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of a fire door made of a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fire door, and the experiment is generally performed on a fire door made of a composite panel and a conventional fire door as shown in FIGS. After adding, the temperature of the back sid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ide to which heat is applied was measured over time.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로 이루어진 방화문을 가열했을 때 방화문의 온도는 증가한다. 방화문에 대한 내열성 시험은 KS F 2268-1 시험기준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상세하게, 상기 시험기준은 방화문의 이면의 온도가 상온으로부터 소정의 온도보다 높은 기준 온도보다 낮아야 한다. 보다 상세하게, 방화문의 차열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은 시험대상으로 채택되는 방화문을 상온에서 전체적으로 가열되되, 전체적으로 가열되는 방화문의 이면의 중앙 부분 및 상기 방화문 이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모서리 방향을 향하는 부분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상온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시험의 통과 유무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방화문의 이면의 중앙 부분의 측정되는 온도는 상온으로부터 섭씨 140도만큼 높도록 설정되는 기준 온도보다 작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방화문의 이면의 모서리 부분의 온도는 상온으로부터 섭씨 180도만큼 높은 기준 온도보다 낮도록 구비되어야 시험기준을 통과할 수 있다.When the fire door made of th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the temperature of the fire door increases. The heat resistance test for the fire door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KS F 2268-1 test standard. In detail, the test criterion should be such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e door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rom room temperature. In more detail, the test for measuring the heat shielding performance of the fire door is a part of the fire door which is adopted as a test object being heated at room temperature as a whole, but the central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e door and the central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e door facing toward the edge. Whether each test passes or no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temperature with room temperature. Specifically,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e door should be provided to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set to be as high as 140 degrees Celsius from room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e door is as high as 180 degrees from room temperature. It must be provided below the temperature to pass the test standard.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로 이루어진 방화문을 전체적으로 가열했을 때 방화문의 이면의 중앙 부분 및 모서리 부분에 대한 온도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이 측정되고, 이에 따른 그래프는 도 9 및 도 10으로 도시된다.When the fire door made of th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as a whole, the temperatures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corn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e door are measured as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and the graphs thereof are shown in FIGS. 9 and 10. .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을 적용한 방화문에 대한 온도는 상온으로부터 소정의 온도 이내로 구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세하게, 도 9는 전체적으로 가열되는 방화문의 이면의 중앙 부분에 대한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방화문의 온도는 상온으로부터 섭씨 140도 또는 섭씨 180도만큼 높지 않은 온도로 측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을 적용한 방화문 이면의 중앙 부분 온도는 상온(섭씨 20도로 가정함)으로부터 섭씨 140도만큼 상승한 기준 온도인 섭씨 160도보다 작고, 가운데 부분의 온도는 상온(섭씨 20도로 가정함)으로부터 섭씨 180도만큼 상승한 기준 온도인 섭씨 200도보다 작도록 측정됨으로써 상기 KS F 2268-1 시험기준을 통과하는 것을 알 수 있다.9 and 10,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for the fire door to which th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provided withi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rom room temperature. In detail,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e door that is heated as a who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e door is measured from room temperature to a temperature not as high as 140 degrees Celsius or 180 degrees Celsius. In more detail, the temperatur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ide of the fire door to which th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less than 160 degrees Celsius, which is a reference temperature raised by 140 degrees Celsius from room temperature (assuming 20 degrees Celsius), and the temperature in the middle portion is room temperature (Celsius). 20 degrees Celsius) is measured to be less than 200 degrees Celsius, the reference temperature raised by 180 degrees Celsiu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KS F 2268-1 test criterion is passed.
추가적으로, 불연층(100)의 재질에 따라 방화문 이면의 온도가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는 제1 상승 기간, 상기 이면의 온도가 비교적 작은 폭으로 상승하는 유지 기간 및 상기 유지 기간 이후 상기 이면의 온도가 다시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는 제2 상승 기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로 이루어진 방화문은 종래의 방화문과 비교했을 때, 가열이 시작될 때 구비되는 온도가 비교적 낮고, 제1 상승 기간이 비교적 짧으며 유지 기간이 비교적 긴 것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방화문과 비교하여 초기에 이면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가 상승한 이후 보다 높은 온도로 상승하기까지 방화문이 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 긴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은 종래의 방화문 대비 내열성 및 내구성이 현저하게 상승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방화문이 화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막는 동안 사람은 대피 및 구조될 수 있어 인명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판넬에 구비되는 불연층(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층의 제조 방법은 전처리 단계(S100), 혼합 단계(S200), 탈수 단계(S300), 제1 건조 단계(S400), 제2 건조 단계(S500) 및 후처리 단계(S600)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n-combustibl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treatment step (S100), a mixing step (S200), a dehydration step (S300), a first drying step (S400), a second drying step (S500), and a post-treatment. Step S600 is included.
전처리 단계(S100)는 불연층의 원료를 가공하는 단계로서, 종이 등의 펄프 및 선술한 불연층을 이루기 위한 코튼을 타면한다. 이를 위해, 전처리 단계(S100)에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타면기에 펄프 또는 코튼을 투입 및 타면함으로써 후술할 혼합 단계(S200)에서 혼합기에 투입되기 용이한 크기로 제조한다.The pre-treatment step (S100) is a step of processing the raw materials of the non-combustible layer, and the surface for forming the above-described non-combustible layer and pulp of paper. To this end, in the pre-treatment step (S100), the pulp or cotton is added to the other surface provided separately, and the surface is prepare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mixer in the mixing step (S200) to be described later.
혼합 단계(S200)는 불연층의 제조에 필요한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혼합 단계(S200)에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혼합기에 선술한 펄프 또는 코튼을 투입하고, 이외에도 불연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가 투입되어 혼합된다. 상세하게, 혼합기에는 질석, 아크릴 바인더, 물 및 발수제 등이 추가로 투입되어 펄프 또는 코튼과 혼합된다. 여기서, 혼합기 내로 투입되는 각 원료의 중량비(함량)는 펄프 또는 코튼이 30 내지 40중량비, 질석이 10 내지 20중량비, 아크릴 바인더가 10 내지 20중량비, 물지 25 내지 30중량비, 발수제가 2 내지 7중량비이고, 추가적인 원료가 더 가감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질석이 첨가됨으로써 방수, 발수, 접착 강도 등의 특성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혼합 단계(S200)에서 불연층은 펄프 또는 코튼 재질의 원료가 10 내지 70 중량비, 질석이 20 내지 80 중량비, 아크릴 바인더가 5 내지 50 중량비, 발수제가 1 내지 20 중량비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연 성능 및 단열 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강도가 높고 수분에 의해 변질되지 않는 불연층의 제조가 가능하다.The mixing step S200 is a step of mixing the raw material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the non-combustible layer. To this end, in the mixing step (S200), the aforementioned pulp or cotton is introduced into a separately provided mixer, and in addition, raw materials for forming a non-combustible layer are introduced and mixed. In detail, vermiculite, acrylic binder, water and water repellent are additionally added to the mixer to be mixed with pulp or cotton. Here, the weight ratio (content) of each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mixer is 30 to 40 weight ratio of pulp or cotton, 10 to 20 weight ratio of vermiculite, 10 to 20 weight ratio of acrylic binder, 25 to 30 weight ratio of water and water repellent, 2 to 7 weight ratio And additional raw materials can be added or subtracted. In particular, the addition of vermiculite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properties such as water resistance, water repellency, and adhesive strength.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xing step (S200), the non-combustible layer has a pulp or cotton raw material of 10 to 70 weight ratio,
또한, 질석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불연층의 경우 발화 시 유독가스 배출량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유독가스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혼합 단계(S200)에서는 마그네슘 및 규산칼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을 갖는 원료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질이 투입되어 형성되는 불연층은 준불연성을 갖기 때문에 안전성을 현저하게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혼합 단계(S200)에서 혼합기에 투입되는 아크릴 바인더를 통해, 혼합기에 투입되는 원료 간의 결합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제조되는 복합 판넬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 단계(S200)에서 혼합이 완료됨으로써 수분이 다량 함유된 반제품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on-combustible layer prepared by mixing vermiculite, since the amount of toxic gas discharged during ignition is relatively low, it can be prevented that human damage is caused by toxic gas generated by fir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xing step (S200), a raw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material of magnesium and calcium silicate may be introduced. Since the non-combustible layer formed by injecting the above-described material has semi-incombustibility, it has an effect of significantly increasing safety. In addition, through the acrylic binder that is added to the mixer in the mixing step (S200), sinc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raw materials to be added to the mixer is increased, the durability of the composite panel to be manufactured can be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Mixing is completed in the mixing step (S200) to form a semi-finished produc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탈수 단계(S300)는 혼합 단계(S200)에서 형성된 반제품의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선술한 바와 같이 수분이 다량 함유된 반제품은 탈수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경우 수분에 의해 부식, 부패될 수 있고 이는 불연층의 내구성 및 내열성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이에 따라, 탈수 단계(S300)를 통해 반제품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불연층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탈수 단계(S300)에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Wire mesh 등의 망부 상에 반제품을 위치시킨 후, 별도의 프레스 등으로 구비되는 압착부를 통해 반제품을 압착시킨다. 이를 통해 반제품에 함유된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Dehydration step (S300) is a step of removing the moisture of the semi-finished product formed in the mixing step (S200).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a semi-finished product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may be corroded and decayed by moisture when it does not undergo a dehydration process, which is a major cause of reducing the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of the incombustible layer. Accordingly, the quality of the non-combustible layer is improved by removing moisture contained in the semi-finished product through the dehydration step (S300). To this end, in the dehydration step (S300), after placing the semi-finished product on a mesh part such as a wire mesh provided separately, the semi-finished product is compressed through a compression part provided with a separate press. Through this, moisture contained in the semi-finished product can be easily removed.
제1 건조 단계(S400)는 탈수 단계(S300)를 거친 반제품을 추가로 건조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 제1 건조 단계(S400)에서는 잔존하는 반제품 내 수분을 건조하기 위해 급속 건조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제1 건조 단계(S400)에서 반제품은 별도로 구비되는 Hot Press 등의 급속 건조부로 투입됨으로써 건조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건조 단계(S400)에서 반제품은 급속 건조부 내에서 섭씨 90 내지 110도의 온도로 건조된다. 제1 건조 단계(S400)를 통해 반제품에 잔존하는 수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불량품의 발생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 건조 단계(S400)에서 급속 건조부에 투입된 반제품의 건조 시간은 후술할 제2 건조 단계(S500)에서의 건조 시간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급속 건조부 내에서 급속 건조되는 반제품이 과도하게 건조되어 표면에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 건조 단계(S400)에서는 반제품을 건조하기 전에 상기 반제품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재단한다. 상세하게, 탈수 단계(S300)를 거친 반제품은 별도로 구비된 커팅 수단을 통해 미리 설정된 크기로 커팅된 상태에서 추가 건조된다. 즉, 선술한 탈수 단계(S300)에서는 반제품에 대한 규격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로지 압착 및 탈수만을 수행하지만, 제1 건조 단계(S400)에서는 반제품의 건조 이전에 규격화를 선 실시함으로써, 제품으로 완성되는 복합 판넬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은 규격화 작업 시 미리 설정되는 반제품의 크기는 상기 KS F 2268-1 시험기준을 통과하기 위한 방화문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rst drying step (S400) is a step of further drying the semi-finished product subjected to the dehydration step (S300). In detail, in the first drying step (S400), rapid drying is performed to dry the moisture in the remaining semi-finished product. To this end, in the first drying step (S400), the semi-finished product is dried by being introduced into a rapid drying unit such as a hot press, which is separately provided.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first drying step (S400), the semi-finished product is dried at a temperature of 90 to 110 degrees Celsius in a rapid drying unit. Through the first drying step (S400), the moisture remaining in the semi-finished product can be easily remov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incidence of defective product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time of the semi-finished product input to the rapid drying unit in the first drying step (S400) may be set to be less than the drying time in the second drying step (S500) to be described later. This has an effect of preventing cracks or the like from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semi-finished product that is rapidly dried in the quick drying section. In addition, in the first drying step S400, the semi-finished product is cut to a predetermined size before drying. In detail, the semi-finished product subjected to the dehydration step (S300) is further dried in a state of being cut to a predetermined size through a cutting means provided separately. That is, in the aforementioned dehydration step (S300), the standardization work for the semi-finished product is not performed, but only compression and dehydration are performed, but in the first drying step (S400), the product is completed by preliminarily standardizing before drying the semi-finished product. Improves the quality of composite panels. The size of the semi-finished product, which is preset in the standardization work as described above, may be set to the size of the fire door to pass the KS F 2268-1 test standar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건조 단계(S500)는 제1 건조 단계(S400)를 거친 반제품을 추가로 건조하는 단계이다. 제1 건조 단계(S400)와 비교했을 때 제2 건조 단계(S500)는 보다 낮은 온도 환경에서 반제품을 건조시키되 보다 많은 건조 시간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제2 건조 단계(S500)에서는 선술한 Wire mesh 등의 망부에 반제품을 배치시켜 건조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건조 단계(S500)에서 반제품은 상기 망부가 내부에 구비된 건조실 등의 별도 건조 수단에 투입된 상태에서 건조되고, 반제품의 추가 건조를 위한 온도 환경은 섭씨 60 내지 90도이며, 4 내지 6시간 동안 건조를 실시한다. 제2 건조 단계(S500)가 구비됨으로써, 제1 건조 단계(S400)에서 급속 건조된 반제품을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추가 건조시키기 때문에 반제품의 비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drying step (S500) is a step of further drying the semi-finished product that has undergone the first drying step (S400). Compared to the first drying step (S400), the second drying step (S500) uses a more drying time while drying the semi-finished product in a lower temperature environment. To this end, in the second drying step (S500), a semi-finished product is placed in a net portion such as the wire mesh described above and dried.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second drying step (S500), the semi-finished product is dried in a state in which the net part is put in a separate drying means such as a drying room provided therein, and the temperature environment for further drying of the semi-finished product is 60 to 90 degrees Celsius. , And is dried for 4 to 6 hours. Since the second drying step (S500) is provided, the torsional phenomenon of the semi-finished product can be prevented because the semi-finished product rapidly dried in the first drying step (S400) is further dried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후처리 단계(S600)는 반제품을 복합 판넬로 완성시키기 위한 압착 및 표면 코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후처리 단계(S600)에서는 별도로 구비된 프레스 등의 압착 수단에 제2 건조 단계(S500)가 완료된 반제품을 위치 및 압착시켜 불연층으로 제조한다. 상세하게, 후처리 단계(S600)에서 상기 압착 수단은 반제품을 압착시켜 2 내지 3mm의 두께를 갖는 불연층으로 제조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후처리 단계(S600)에서는 반제품을 압착시키는 과정은 섭씨 150 내지 200도의 온도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한 반제품의 압착이 가능하고, 고온의 온도 환경에서 압착하는 것은 실온에서 압착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반제품을 보다 견고한 복합 판넬로 완성시켜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반제품의 압착 이후 표면에 별도의 코팅제를 분사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불연층에 미리 설정된 문양, 무늬를 삽입할 수 있어 판넬에 대한 시인성 및 품질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The post-treatment step (S600) is a step of performing compression and surface coating to complete the semi-finished product with a composite panel. To this end, in the post-processing step (S600), the semi-finished product having the second drying step (S500) is pressed and positioned on a pressing means such as a press provided separately to be manufactured as a non-combustible layer. In detail, in the post-treatment step (S600), the crimping means compresses the semi-finished product to produce a non-combustibl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 to 3 mm.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ost-treatment step (S600), the process of pressing the semi-finished product may be performed in a temperature environment of 150 to 200 degrees Celsiu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ss the semi-finished product, and pressing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has an effect that the semi-finished product can be manufactured by completing a semi-finished composite panel as compared with compression at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as a separate coating is sprayed onto the surface after the semi-finished product is pressed, a preset pattern and pattern can be inserted into the non-combustibl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visibility and quality of the panel.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above claim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f the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by.
100: 불연층
200: PF불연층
300: 몰탈층
400: 마감층100: non-combustible layer 200: PF non-combustible layer
300: mortar layer 400: finishing layer
Claims (13)
준불연 재질의 불연층(100);및
상기 불연층(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PF불연층(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
As a composite exterior material having semi-incombustibility,
Non-combustible non-combustible layer 100; and
PF non-combustible layer (20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non-combustible layer (100);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omprising a.
상기 불연층(100)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어 서로 접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PF불연층(200)은 상기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
According to claim 1,
The non-combustible layer 10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and position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F non-combustible layer 200 is located between the at least one non-combustible layer 100, the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for inner and exterior materials panel.
상기 PF불연층(200)은 페놀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
According to claim 1,
The PF non-combustible layer 200 is a 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henolic resin material.
상기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마그네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
According to claim 2,
The one or more non-combustible layer 100 is a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magnesium material.
상기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규산칼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
According to claim 2,
The one or more non-combustible layer 100 is a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alcium silicate material.
상기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코튼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
According to claim 2,
The one or more non-combustible layer 100 is a 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tton material.
상기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은 질석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
According to claim 2,
The at least one non-combustible layer 100 is made of vermiculi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exterior semi-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the exterior material.
상기 하나 이상의 불연층(100) 및 상기 PF불연층(200)의 사이에는 몰탈층(300)이 도포되어 구비되고, 상기 몰탈층(300)은 질석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
According to claim 2,
A mortar layer 300 is provided between the at least one non-combustible layer 100 and the PF non-combustible layer 200, and the mortar layer 300 is made of a vermiculite material.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상기 불연층(100)의 타면에는 멜라민 수지를 포함하는 마감층(4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
According to claim 1,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side of the non-combustible layer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nishing layer 400 comprising melamine resin.
혼합기에 펄프 또는 코튼 재질의 원료, 물, 아크릴 바인더 및 질석을 투입하여 혼합하여 반제품으로 형성하는 혼합 단계(S200);
상기 반제품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절단하고, 상기 반제품을 압착 및 건조하는 제1 건조 단계(S400); 및
상기 반제품을 망부 상에 위치시킨 후 건조하는 제2 건조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용 불연층의 제조 방법.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combustible layer provided on a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Mixing step to form a semi-finished product by mixing the pulp or cotton material, water, acrylic binder and vermiculite in a mixer (S200);
A first drying step of cutting the semi-finished product to a predetermined size and compressing and drying the semi-finished product (S400); And
Method for producing a non-combustible layer for a semi-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omprising; a second drying step (S500) of drying after placing the semi-finished product on the net.
상기 혼합 단계(S200)에서,
상기 혼합기에는 펄프 또는 코튼 재질의 원료가 30 내지 40 중량비, 질석이 10 내지 20 중량비, 아크릴 바인더가 10 내지 20 중량비, 발수제가 2 내지 7 중량비를 갖도록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용 불연층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mixing step (S200),
Semi-non-combustible materia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er has a pulp or cotton material having a 30 to 40 weight ratio, a vermiculite 10 to 20 weight ratio, an acrylic binder having a 10 to 20 weight ratio, and a water repellent having 2 to 7 weight ratio. Method for manufacturing noncombustible layer for composite panels.
상기 혼합 단계(S200)에서,
상기 혼합기에는 펄프 또는 코튼 재질의 원료가 10 내지 70 중량비, 질석이 20 내지 80 중량비, 아크릴 바인더가 5 내지 50 중량비, 발수제가 1 내지 20 중량비를 갖도록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용 불연층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mixing step (S200),
Semi-non-combustible materia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xer is supplied with 10 to 70 weight ratio of pulp or cotton material, 20 to 80 weight ratio of vermiculite, 5 to 50 weight ratio of acrylic binder, and 1 to 20 weight ratio of water repellent. Method for manufacturing noncombustible layer for composite panels.
상기 혼합 단계(S200) 및 상기 제1 건조 단계(S400)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반제품을 위치시켜 압착 및 탈수시키는 탈수 단계(S300); 및
상기 제2 건조 단계(S500) 이후 상기 반제품을 압착하여 복합 판넬로 제조하는 후처리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 외장재용 준불연 복합 판넬용 불연층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 dehydration step (S300) provided between the mixing step (S200) and the first drying step (S400), and positioning and pressing the semi-finished product; And
After the second drying step (S500), the post-processing step (S600) of compressing the semi-finished product to produce a composite panel; further comprising a non-combustible layer for a non-combustible composite 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80119504 | 2018-10-08 | ||
| KR1020180119504 | 2018-10-08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40175A true KR20200040175A (en) | 2020-04-17 |
Family
ID=704608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48986A Ceased KR20200040175A (en) | 2018-10-08 | 2019-04-26 | Semi-noncombustible composite-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00040175A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439186A (en) * | 2022-02-21 | 2022-05-06 | 南京林业大学 | A kind of surface non-combustible composite material plate and its production method |
| KR102445442B1 (en) * | 2022-04-13 | 2022-09-20 | 삼우에스엔씨코 주식회사 | Composite insulation for interior and exterior of buildings with semi-noncombustible performance with excellent flame retardancy and moisture-proof performance and improved energy efficiency |
| WO2023195753A1 (en) * | 2022-04-05 | 2023-10-12 | 삼우에스엔씨코 주식회사 |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composite insulation material with semi-noncombustible performance, excellent flame retardancy and moisture proof performance, and enhanced energy efficiency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126862A (en) | 2013-03-15 | 2015-11-13 |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 Surgical stapler with expandable jaw |
| KR20150128536A (en) | 2014-05-09 | 2015-1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
-
2019
- 2019-04-26 KR KR1020190048986A patent/KR20200040175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126862A (en) | 2013-03-15 | 2015-11-13 | 어플라이드 메디컬 리소시스 코포레이션 | Surgical stapler with expandable jaw |
| KR20150128536A (en) | 2014-05-09 | 2015-1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4439186A (en) * | 2022-02-21 | 2022-05-06 | 南京林业大学 | A kind of surface non-combustible composite material plate and its production method |
| WO2023195753A1 (en) * | 2022-04-05 | 2023-10-12 | 삼우에스엔씨코 주식회사 |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composite insulation material with semi-noncombustible performance, excellent flame retardancy and moisture proof performance, and enhanced energy efficiency |
| KR102445442B1 (en) * | 2022-04-13 | 2022-09-20 | 삼우에스엔씨코 주식회사 | Composite insulation for interior and exterior of buildings with semi-noncombustible performance with excellent flame retardancy and moisture-proof performance and improved energy efficienc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926954B2 (en) | Decorative sheet or molding comprising fibers and filler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 |
| DK2614184T3 (en) | Method of forming a fireproof cellulose product and associated device | |
| KR20200040175A (en) | Semi-noncombustible composite-panel for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 |
| US6387489B2 (en) | Decorative sheet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sheets | |
| JP3965635B1 (en) | Makeup incombustible material | |
| KR101468780B1 (en) | Eco building interior boar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 CN100529296C (en) | Methods of providing water protection to floor structures and floor structures formed by the same | |
| KR102048286B1 (en)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for Semi-non-combustible sheet, and Semi-non-combustible sheet by the method, the composite panel and semi-non-combustible door using the sheet | |
| RU2008125424A (en) | FIRE-PANELS WITH FIRE-RESISTANT LAYER | |
| CN102926471A (en) | Modified fireproofing inorganic fiber heat-insulation board | |
| JP5029198B2 (en) | Incombustible composite board | |
| US3427216A (en) | Building material laminate | |
| JP2011062983A (en) | Flameproof md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 KR101861880B1 (en) | Surface layer material and melamine decorative laminate | |
| KR101447235B1 (en) | Fire preventio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3840615B1 (en) | Makeup incombustible material | |
| KR101831372B1 (en) | Decoration floor panel having eco-friendly, non-inflammable and anti-curling property | |
| KR101622302B1 (en) | High pressurized decorative laminate with thermosetting resin and non-flammable property for decoration floor panel | |
| KR101430724B1 (en) | Wooden floor panel having flame-retardant fun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CN104441101A (en) | Composite shaving board | |
| JPH10175274A (en) | Fire-retardant precious wood decorative sheet and panel | |
| JP4176082B2 (en) | Wood interior finishing material with radio wave absorption performance | |
| JP3161975B2 (en) | Non-combustible decorative board | |
| KR102612707B1 (en) | Limited-combustible high pressure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 |
| KR101394658B1 (en) | Incombustibility wood wool pene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6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1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9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