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6526A -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ight protection - Google Patents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ight prot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46526A KR20200046526A KR1020180127818A KR20180127818A KR20200046526A KR 20200046526 A KR20200046526 A KR 20200046526A KR 1020180127818 A KR1020180127818 A KR 1020180127818A KR 20180127818 A KR20180127818 A KR 20180127818A KR 20200046526 A KR20200046526 A KR 20200046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screen
- unit
- control
- eyes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는 기기 전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면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한 값을 기반으로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 값을 산출하고, 상기 거리 값이 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creen control apparatus for protecting eye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 distance from the user's face from the screen when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that photographs the user's face existing in front of the device. A sensor unit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to calculate a distance value from the user's face from the screen based on the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value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the screen display control for visual acuity control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o perform.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자와 기기간 거리에 따라 사용자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화면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eyesigh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screen control operation for protecting a user's eyesight according to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device.
스마트 폰 등의 각종 모바일 사용자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어디서든 장소과 관계없이 사용자 기기를 통한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많은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어두운 환경 속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등 일상속에서 시력을 해치는 잘못된 습관으로 인해 시력 저하의 문제에 직면해있다. As the spread of various mobile user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has expanded, it is possible to enjoy various activities through user devices wherever they are. In addition to this trend, many users are faced with the problem of poor vision due to wrong habits that damage their eyesight in their daily life, such as when using a mobile device for a long time or using a device at a close distance in a dark environment.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표시부를 구비한 각종 전자기기를 이용함에 있어 시력 관리를 위해 적정 시청 거리 유지 및 적정 시간 사용 등을 유도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when users use various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a display uni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induces a proper viewing distance and uses an appropriate time for visual acuity management.
한편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80918호(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말기 사용자의 시력 보호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가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 related prior document, there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80918 (Method for controlling an output screen of an application program for protecting eyesight of an application execution terminal user using a display unit).
본 발명은 표시부를 구비한 각종 전자기기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화면 표시 동작을 제어함을 통해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tect a user's eyesight by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operation by grasping a user's viewing distance in real time in us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ving a display unit.
본 발명은 실행중인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하고 콘텐츠 종류에 맞춘 화면 표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type of content being executed and perform screen display control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는 기기 전면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면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한 값을 기반으로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 값을 산출하고, 상기 거리 값이 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creen control apparatus for protecting eye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a distance from the user's face from the screen when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that photographs the user's face existing in front of the device. A sensor unit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to calculate a distance value from the user's face from the screen based on the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value is less than a reference value, the screen display control for visual acuity control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o perform.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청 거리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화면 표시 동작을 제어하므로 즉각적인 사용자의 시력 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stantly protecting the user's eyesight by controlling the screen display operation by grasping the viewing distance of the user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력 수준, 사용자가 실행중인 콘텐츠의 항목 종류에 대응하는 맞춤형 표시 제어를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을 유발하지 않고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user's eyesight without causing inconvenience in use because it enables a customized display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user's eyesight level and the item type of content being execut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로도 측정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시력에 대응하는 화면 제어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 보호 기능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개의 변수를 종합한 피로도에 기반하여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reen control device for protecting eye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ree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tigu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quence of screen control operations corresponding to a user's eye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quence of operations of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based on fatigu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vari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for example, a smart phone, a tablet personal computer (PC), a mobile phone, a video phone, and an e-book reader (e-book reader), desktop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laptop PC (laptop personal computer), netbook computer (netbook computer), workstation (workstation), serv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An MP3 player, a mobile medical device, a camera, or at least one of a wearable device.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표시부를 구비한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상기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사전, 캠코더(camcord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home appliance having a display unit.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television, a digital video disk (DVD) player, a game machine, an electronic dictionary, and a camc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reen control device for protecting eye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카메라부 160, 센서부 170 및 제어부 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120는 시력검사 정보 121, 콘텐츠별 제어항목 정보 122, 시력별 제어수준 정보 123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180는 시력 검사부 181, 피로도 측정부 182, 메시지 처리부 183, 화면 제어부 184, 패턴 분석부 185, 목표 설정부 186, 리워드 제공부 18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 a screen control device for protecting eye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상기 통신부 11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for example, a cellular modul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 GPS module (eg, a GPS module, a Glonass module, a Beidou module, or a Galileo module), an NFC module, and a radio frequency (RF) module.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ellular module may provide, for example, a voice call, a video call, a text service, or an internet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ellular module may perform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eg, a SIM c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ellular module may perform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that the processor can prov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ellular modul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Each of the WiFi module, the Bluetooth module, the GPS module, or the NFC module, for example, may include a processor for processing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corresponding modu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at least some (eg, two or more) of a cellular modul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 GPS module, or an NFC module may be included in one integrated chip (IC) or IC package.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RF module, for example, may transmit and receive communication signals (eg, RF signals). The RF module may include, for example, a transceiver, a power amp module (PAM), a frequency filter, a low noise amplifier (LNA), or an antenn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of a cellular module, a WiFi module, a Bluetooth module, a GPS module, or an NFC module may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through a separate RF modu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 110는 웹으로부터 본 발명의 동작에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 110는 시력 검사 관련 정보를 웹 또는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기기에서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에서 각 단말기별 회원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룹별, 개인별 통계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는 통계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콘텐츠별 제어 항목, 시력별 제어 수준에 대한 기준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생성된 기준 정보는 다시 어플리케이션 상에 다운로드되어 화면 제어 시 적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web.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visual inspection from a web or an application server (not shown) that performs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pplication installed to perform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on a user device may collect member information for each terminal from a server and perform group and individual statistics based on th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server may generate a new control item for each content and a standard for a control level for each eye based on statistical data. The generated reference information can then be downloaded onto the application and applied when controlling the screen.
상기 저장부 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xternal memory is a flash drive, for example, compact flash (CF), secure digital (SD), micro secure digital (Micro-SD), mini secure digital (Mini-SD), extreme digital (xD), It may further include a multi-media card (MMC) or a memory stick. The external memory may be functionally and / or phys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various interfac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20는 시력 검사 정보 121, 콘텐츠별 제어 항목 정보, 시력별 제어 수준 정보 123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시력 검사 정보 121는 사용자 기기를 통해 시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료이다. 상기 시력검사 정보 121는 문자, 그림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문제 형식으로 제작된 자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력 검사 정보 121는 정답 정보가 문제 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정답 정보는 사용자가 시력 검사시 음성으로 대답할 경우에, 입력되는 음성을 기반으로 정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료가 함께 포함되어있을 수 있다. The
상기 콘텐츠별 제어 항목 정보 122는 콘텐츠 종류별 제어 항목 분류에 관한 기준이 정리된 자료일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어 항목은 '글씨 크기 확대'이고, 동영상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어 항목은 '해상도 증가 및 화면 밝기 수준 감소'와 같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The
상기 시력별 제어 수준 정보 123는 사용자의 시력 수준에 대응하는 화면 제어 수준에 관한 기준 정보일 수 있다. The
상기 입력부 13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 타일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 130는 시력 검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 보호 기능 구동 요청 등을 수행하기 위해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The
상기 표시부 140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140는 시력 검사 시 시력 검사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40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표시 설정 변경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The
상기 오디오 처리부 150는,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는,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디오 처리부 150는 시력 검사 시 사용자가 시력 검사용 문제에 대응하여 대답하는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상기 카메라부 160는,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 (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부 160는 시력 보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촬영되는 얼굴은 그 크기 정보에 따라 사용자와 기기 화면과 이격된 거리를 대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다. The
상기 센서부 170는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부는,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서부 170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면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센서부 170는 카메라부와 관계 없이, 시력 보호 기능(피로도 또는 시청거리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청 거리 및 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해 동작될 수 있다. 기기 화면과 사용자 간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는 예컨대,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When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the
상기 제어부 18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The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In the case of implementation by firmware or softwa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procedure, function, etc. that performs the function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The software cod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and driven by the control unit. The memory may be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er,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control unit by various means already know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180는 시력 검사부 181, 피로도 측정부 182, 메시지 처리부 183, 화면 제어부 184, 패턴 분석부 185, 목표 설정부 186, 리워드 제공부 18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먼저 상기 시력 검사부 181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사용자가 기기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시력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때 상기 시력 검사부 181는 화면에 시력 검사를 위한 시력 검사용 자료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대답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시력 검사부 181는 기기의 전방 카메라를 활성화시켜 기기 전면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촬영되는 화면에서 상기 시력 검사부 181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만을 추출하고 감지되는 얼굴 이미지의 사이즈(예, 얼굴사이즈가 작게 측정될수록 먼 거리에 있는 것으로 판단)를 비롯한 기타 센서부들의 센싱 결과에 따라 전면 사용자가 기기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irst, the
이후 상기 시력 검사부 181는 시력 검사를 위해 요구되는 이격거리의 기준치와 실제 사용자와 기기 간 이격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이격거리가 기준치 이상이 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시력 검사부 181는 시력 검사를 위한 자료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력 검사를 위한 자료란 문자(알파벳, 한글 등), 이미지(동물 이미지 등)를 포함한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력 검사부 181는 표시중인 자료(문자 또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대답을 음성인식하여 정답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체크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력 검사부 181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터치 입력을 받아 표시중인 검사 자료와 사용자 응답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상기 시력 검사부 181는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한 후 이에 대한 자료를 화면제어부 184등에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면 표시 제어 시 사용자의 시력 검사 결과에 기반한 맞춤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사용자의 눈과 화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눈과 화면 사이의 거리(시청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 제어부 184에 기 설정된 화면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시청 거리 뿐 아니라 다양한 측정 요소를 기반으로 사용자 눈의 피로도를 측정하고 피로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 제어부 184에 화면 제어 동작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사용자의 눈과 화면 사이의 거리 정보 외에 해당 거리를 유지한 시간 정보를 더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에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데, 상기 환경 정보는 기기의 현재 화면 밝기, 실행중인 콘텐츠 종류(예, 동영상, 텍스트, 이미지 등으로 분류), 주변 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예컨대, 상기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밝기 대비 기기의 화면 밝기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주변 밝기 대비 기기의 화면 밝기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사용자의 시청 거리의 기준값을 평소 기준값보다 더 길게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시청 거리 및 시청거리별 유지 시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피로도를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면 제어를 수행하도록 화면 제어부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기준 거리(예, 40cm) 미만이고, 그 오차가 1단계(예, 5cm 이내)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유지된 시간은 1분이고, 동일 사용자가 이후 기준 거리(예, 40cm) 미만이고 그 오차가 2단계(예, 5cm 이상 10cm 이내)인 지점에서 유지된 시간이 2분이라고 할 때,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기준 거리에 대한 오차 단계)*(유지 시간)을 더한 값으로 최종 피로도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도로 측정부 182는 상기 예에서 (1단계)*(60s)+(2단계)*(120s)와 같은 방식으로 피로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 밖에도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기준 거리에 대한 오차 단계', '유지 시간' 뿐 아니라, 환경 정보(예, 주변 조도 대비 화면 밝기 등)를 포함한 방식으로 피로도를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후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산출된 사용자의 피로도가 기준 피로도 값을 초과하는 경우 화면 제어부 184에 화면 표시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calculated fatigue level of the user exceeds the reference fatigue value, the
상기 메시지 처리부 183는 피로도 측정부 182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피로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측정된 사용자의 눈 피로도 수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 경고 메시지를 작성하고 화면상에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경고 메시지는 화면 제어 동작 전 단계에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경고 메시지는 화면 제어 동작이 수행될 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메시지 처리부 183는 목표 설정부 186에서 설정한 목표 사용 시간을 초과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 처리부 183는 상기 경고 메시지에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한 시간 동안 방출된 유해 전자파 노출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Also, the
상기 화면 제어부 184는 사용자의 눈 피로도 값 등에 기반하여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은 예컨대,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동작,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 크기를 증가시키는 동작,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기준거리 이상이 되기 전까지 화면을 일시적으로 표시하지 않는 동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상기 화면 제어부 184는 또한 콘텐츠 종류에 따라 제어 항목을 변경하거나, 사용자의 시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수준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면 제어부 184는 현재 화면에서 표시중인 콘텐츠의 종류가 텍스트 콘텐츠인 경우에는 화면 제어 시, 글씨 크기를 확대하도록 제어하고, 표시중인 콘텐츠의 종류가 동영상인 경우에는 콘텐츠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화면 제어부 184는 실행중인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이한 제어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화면 제어부 184는 시력 검사부 181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시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수준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화면 제어 시 화면 밝기를 2단계씩 감소시키도록 설정되어있다면, 사용자의 시력이 기준치보다 낮은 레벨인 고도 근시로 판단되는 경우, 화면 밝기를 일반적인 제어 수준(2단계)보다 낮게 설정(예, 1단계씩 감소)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 제어부 184는 시력이 기준치보다 낮은 레벨의 사용자에 대하여, 화면 제어를 수행하는 시점을 기 설정된 시간(예, 30초)이상 미루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의 시청 거리가 평균적인 시력을 가진 사용자의 시청 거리보다 가까울 것임을 고려한 차등 제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패턴 분석부 185는 사용자의 기기 이용 패턴 및 시청 거리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분석부 185는 콘텐츠별 시청 거리 패턴, 시간대별 시청 거리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기기 이용 패턴이란 사용자가 기기를 이용하여 주로 실행하는 콘텐츠 및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시청 거리 패턴이란 사용자의 기기 사용시간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 거리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시청 거리 패턴은 사용자의 시청거리가 기기 사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줄어드는지 또는 증가하는지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The
상기 시간대별 시청 거리 패턴은 사용자의 시청 거리 정보를 시간대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자료 정보일 수 있으며, 이 때 시간대 정보는 1시, 2시, 3시와 같이 1시간 단위로 구분될 수도 있고, 출퇴근시간(7~9시AM, 6~8시PM), 취침전시간(8~12시PM), 활동시간(9시AM~6시PM)과 같이 사용자 생활 패턴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만약 출퇴근 시간과 활동시간에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표시 제한 횟수가 평균 0~1회이나, 취침전시간대에 화면표시 제한 횟수가 평균 5회 이상이라고 할 경우, 상기 패턴 분석부 185는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특정 시간대에 행하였던 눈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시청 습관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The viewing distance pattern for each time zone may be data information classified by classifying the view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ach time zone. At this time, the time zone information may be divided into 1 hour units, such as 1, 2, or 3, and commute. It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r's life pattern, such as time (7-9 AM, 6-8 PM), pre-sleep time (8-12 PM), and activity time (9 AM-6 PM). If the user has an average of 0 to 1 screen display limit to protect eyesight during commute time and activity time, but the average number of screen display limits to average 5 or more times before bedtime, the
또한 상기 패턴 분석부 185는 사용자의 패턴 정보가 완성되면 이를 목표 설정부 186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시청 패턴에 기반하여 시력 보호를 위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is completed, the
상기 목표 설정부 186은 사용자의 현재 시력 상태, 사용자의 기기 이용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콘텐츠별 기기 이용 시간 및 기기 시청 거리, 또는 피로도에 따라 화면이 제어되는 횟수의 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다. The
상기 리워드 제공부 187는 상기 목표 설정부 186에서 설정한 사용자별 목표치를 달성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목표치 달성 여부에 따라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리워드 제공부 187는 목표치 달성 여부 뿐 아니라, 상기 패턴 분석부 185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패턴의 개선 정도를 기반으로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시청 패턴은 점수화될 수 있고, 주별 패턴 점수, 월별 패턴 점수 등과 같이 일정 기간 동안 체크된 결과가 점수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워드 제공부 187는 시청 패턴에 따른 점수의 향상 정도가 기 설정된 값(또는 비율)이상일 경우 리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워드는 예컨대, 눈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이미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리워드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서버측에서 매긴 다수 사용자들의 순위에 기반하여 수여 대상자가 결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버측에서 제공되는 눈 건강 관련 제품 등이 상품으로 지급될 수 있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cree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화면 제어부 184는 콘텐츠 판단부 184a, 콘텐츠 기반 제어부 184b, 시력 정보 기반 제어부 184c 및 사용 중단 유도부 185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먼저 상기 콘텐츠 판단부 185a는 화면에 표시중인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실행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 판단부 185a는 현재 표시되는 콘텐츠가 동영상 콘텐츠라고 판단하고,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이 동작 중인 경우 텍스트 콘텐츠가 표시되는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콘텐츠 판단부 185a는 실행중인 파일의 확장자 등을 기반으로 콘텐츠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콘텐츠 종류는 예컨대,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First,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185a may determine the type of execution content based on a program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when the video playback program is executed,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185a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is video content, and when the keyboard application is operating, determine that the text content is being displayed. Also,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185a may determine a content type based on an extension of a running file. At this time, the content type may be divided into, for example, a video, an image, and text.
상기 콘텐츠 기반 제어부 184b는 콘텐츠 종류에 따라 화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기반 제어부 184b는 예컨대, 콘텐츠 종류가 텍스트인 것으로 판단되면 피로도 측정부 182에서 측정된 피로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임에 따라 화면 표시를 제어할 시,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ent-based
상기 시력 정보 기반 제어부 184c는 사용자의 시력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시력 정보는 시력 검사부 181을 통해 측정된 결과에 기반하여 참고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시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시력 정보 기반 제어부 184c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사용자의 시력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vision information-based
상기 시력 정보 기반 제어부 184c는 사용자의 시력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제어할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시력(예, 1.5)의 사용자에 대한 화면 제어 동작 시, 제어 1회당 텍스트 사이즈 확대 정도가 2포인트라면, 시력 수치가 낮은 사용자(예, 0.3)의 경우 제어 1회당 텍스트 사이즈 확대 정도는 3포인트로 증가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시력 정보 기반 제어부 184c는 사용자 시력 수준에 따라 화면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유예 시간을 차등 설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시력 정보 기반 제어부 184c는 사용자 시력 수치에 대응하는 화면 표시 제어 수준을 설정할 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The eyesight information-based
상기 사용 중단 유도부 184d는 사용자로 하여금 기기의 사용을 중단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중단 유도부 184d는 사용자의 눈 피로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거나, 사용자의 목표치 대비 매우 근접한 거리에서 기기를 사용중인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을 일시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 표시부의 전원을 OFF 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 중단 유도부 184d는 상기 방법 외에도, 사용자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사용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 화면을 깜빡여 표시하거나, 대체 이미지(예, 풍경사진)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사용자가 충분히 눈의 휴식을 취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 중단 유도부 184d는 중단 유도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The stop usin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로도 측정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tigue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피로도 측정부 182는 거리측정부 182a, 시간 기록부 182b, 환경정보 수집부 18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먼저, 상기 거리 측정부 182a는 기기의 화면으로부터 사용자의 눈까지 이격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부 182a에서 기기 화면으로부터 사용자의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거리 측정부 182a는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감지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와 화면간의 이격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리 측정부 182a는 카메라부를 이용해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기반하여 대략적인 사용자와 화면 기기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거리 측정부 182a는 동작 모드에 따라 거리 측정 방식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시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와 기기간 거리를 측정할 시에는 상기 거리측정부 182a는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특정 부위(예, 얼굴, 눈)의 크기에 기반한 거리계산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력 보호를 위해 화면 제어 여부를 판단할 경우에는 상기 거리 측정부 182a는 센서부(예,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센서, 레이저센서 등)에서 측정한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거리계산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부 182a는 모드에 따라 측정된 거리만으로 피로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거리 측정부 182a는 유지 시간과 관계없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안면 또는 눈이 감지된 경우, 즉시 이를 기 설정된 값 이상의 눈 피로도 수치를 적용할 수 있다. First, the
상기 시간 기록부 182b는 사용자의 시청 거리(기기 화면과 사용자 안면 또는 눈 사이의 이격된 거리)별 유지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시간 기록부 182b는 모든 시청 거리별 지속시간을 측정하지 않고, 기 설정된 거리 범위에 한하여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 설정된 거리 범위는 여러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 거리 범위가 40cm ~30cm, 2단계 거리 범위가 30~20cm, 3단계 거리 범위가 20cm 이하로 설정되었다고 할 때, 상기 시간 기록부 182b는 1단계에서 유지된 시간, 2단계 범위에서 유지된 시간, 3단계에서 유지된 시간을 각각 별도로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피로도를 산출할 수 있다. The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 182c는 거리 및 해당 거리에서의 유지시간 외의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 수집부 182c에서 수집하는 환경정보는 예컨대 기기 화면의 밝기, 주변 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nvironmen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시력에 대응하는 화면 제어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quence of screen control operations corresponding to a user's eyes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 180는 시력 보호 기능을 기기에서 수행하기 전에 시력검사를 수행하는 4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 180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시력 정보를 수치로 입력하는 경우 상기 시력 검사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시력 검사는 저장부 120에 기 저장된 시력 검사 정보 121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력 검사 정보 121란 시력 검사를 위해 요구되는 자료를 의미할 수 있으며, 텍스트 문자, 그림 문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문제 형식으로 만들어진 자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 문자, 그림문자 등은 화면에 한 개씩 제시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가 소리내어 음성으로 정답을 맞추는 방식으로 시력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력 검사 정보 121는 문제별 정답 정보가 함께 매칭된 자료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때 정답 정보는 사용자의 대답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후 상기 제어부 180는 시력검사 결과에 대응하는 화면 제어 수준을 적용하는 4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180는 시력 검사를 일정 주기마다 수행하고, 시력의 변동 추이를 판단하여 이를 기반으로 화면 제어 수준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근 1달동안 시력 수치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기준 거리(시청거리의 기준값)을 증가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시력이 표준 시력보다 낮게 평가될 경우, 상기 제어부 180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시 제어 수준을 표준 변경 단계보다 1단계 높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에를 들어, 표준적인 제어 수준이 화면 제어 1회차에 밝기 2단계 감소라고 할 경우, 상기 제어부 180는 표준 시력보다 낮은 시력을 보유한 사용자의 경우 화면 제어 1회당 화면 밝기를 3단계씩 감소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 보호 기능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quence of operations of a vision pro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 180는 사용자에 의해 시력 보호 기능을 요청받음에 따라 시력 보호 기능을 구동하는 5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시력 보호 기능이 구동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 180는 사용자와 화면 간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5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 180는 화면에서는 표시되지 않더라도 거리 측정을 위한 센서부 또는 카메라부를 구동하여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이후 상기 제어부 180는 측정 거리에 기반하여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5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515동작의 경우 사용자와 화면 사이의 거리 외의 변수는 반영하지 않고 시청 거리가 기준값 이내가 되었는지 여부만으로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실시 예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면 표시 제어는 다수개의 변수를 종합한 피로도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개의 변수를 종합한 피로도에 기반하여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based on fatigue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vari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 18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시력 보호 기능을 구동하는 605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후 상기 제어부 180는 이에 따라 사용자와 화면 간 거리를 측정하는 6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80는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6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때 환경 정보는 화면 밝기, 주변 밝기, 주변 밝기 대비 화면 밝기 등에 관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정보를 함께 수집한 후 상기 제어부 180는 수집된 거리 정보 및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피로도를 산출하는 6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피로도는 거리별 유지 시간 정보와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first, the
이후 상기 제어부 180는 피로도 기반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6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면 표시 제어 방식은 화면 밝기 조정,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 사이즈 조정, 화면 시청을 일시 중단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표시 제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625동작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피로도 수준별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피로도 최대치가 100이고 위험 수준이 40부터라고 할 경우, 상기 제어부 180는 피로도가 40을 초과하는 순간에는 화면 표시 제어를 위한 경고 메시지만을 표시하고, 피로도가 60을 초과하면 화면 글자 사이즈를 확대하거나 화면 밝기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고, 피로도가 80이상이 되면 화면 전원을 OFF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로도 기반 화면 표시 제어 방식은 단계별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방식일 수 있다. Thereafter, the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hort,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clude all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or to follow all the order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order shown, and even if not, any number of technic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Note that it can fall within the scope.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21 : 시력 검사 정보
122 : 콘텐츠별 제어항복 정보
123 : 시력별 제어 수준 정보
130 : 입력부
140 : 표시부
150 : 오디오 처리부
160 : 카메라부
170 : 센서부
180 : 제어부
181 : 시력검사부
182 : 피로도 측정부
183 : 메시지 처리부
184 : 화면 제어부
185 : 패턴 분석부
186 ; 목표 설정부
187 : 리워드 제공부 110: communication unit
120: storage unit
121: vision test information
122: Control yield information by content
123: Control level information by eyesight
130: input unit
140: display unit
150: audio processing unit
160: camera unit
170: sensor unit
180: control unit
181: Vision inspection department
182: fatigue measurement unit
183: message processing unit
184: screen control
185: pattern analysis unit
186; Goal setting unit
187: reward provider
Claims (9)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면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센싱한 값을 기반으로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 값을 산출하고, 상기 거리 값이 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표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face of a user existing in front of the device;
When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a sensor unit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for measuring a distance from the user's face away from the screen;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a distance value of the user's face separated from the screen based on the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performs screen display control for eyesight protection when the distance value is determined to be below a reference value; Screen control device for eyesight protection comprising a.
상기 제어부는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 값이 기준치 이하인지 여부, 상기 이격된 거리 값이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는 시간 및 기기 화면의 현재 밝기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피로도를 측정하는 피로도 측정부;
상기 피로도 측정부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피로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표시 제어를 수행하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으로 화면 밝기 제어, 표시 일시 정지, 경고 문구 표시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화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Fatigue measurement to measure the user's fatigue based 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distance value from the user's face away from the screen is below the reference value, the time at which the distance value is kept below the reference value, and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current brightness information of the device screen. par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fatigue level measured by the fatigue measurement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screen display control for vision protection is performed, but the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includes screen brightness control, display pause, and warning text display. Screen control unit; Screen control device for protecting eyesight comprising a.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사용자가 기기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시력 검사를 진행하되, 화면에 시력 검사를 위한 시력 검사용 자료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대답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는 시력 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시력 검사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시력을 적용한 화면 제어 동작을 제공하되, 상기 시력 검사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시력의 수치에 대응하는 화면 제어 수준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 eye sight test unit that performs a visual acuity test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eparated from the dev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rovides visual acuity test data for a visual acuity test on a screen, and recognizes a user's answer voice to measure a user's vision; Including,
The screen control unit
A screen control device for protecting eyesight comprising providing a screen control operation to which a user's eyesight is measured by the eyesight inspection unit, but applying a screen control level corresponding to a value of the user's eyesight measured by the eyesight inspection unit.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시력 검사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시력의 수치에 대응하여 화면 제어 수준을 적용할 시, 사용자의 측정된 시력의 수치가 기 설정된 표준 시력 수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화면 제어 1회당 조절되는 화면 밝기 단계를 표준 조절 단계보다 상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screen control unit
When the screen control level is applied in response to the user's visual acuity measured by the visual acuity tes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measured visual acuit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standard visual acuity, the screen brightness level adjusted per screen control is set. Screen control device for eyesight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ward than the standard adjustment step.
상기 화면 제어부는
현재 화면상에서 구동중인 콘텐츠의 종류를 판단하는 콘텐츠 판단부; 및
콘텐츠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화면 제어 방식을 설정하고, 상기 콘텐츠 판단부에 의해 현재 화면상에서 구동중인 콘텐츠의 종류가 확인되면, 확인된 콘텐츠 종류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화면을 제어하는 콘텐츠 기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creen control unit
A conten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driven on the screen; And
Includes a content-based control unit that sets a screen control method of a different type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and controls the screen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content type when the type of content currently being driven on the screen is confirmed by the content determination unit. Screen control device for eyesight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이용 콘텐츠별 화면 제어 동작 횟수, 이용 시간별 화면 제어 동작 횟수를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 이용 패턴을 분석하는 패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a pattern analysis unit analyzing a user device usage pattern based on the number of screen control operations per user's usage content and the number of screen control operations per usage time.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현재 시력 상태, 사용자의 기기 이용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콘텐츠별 기기 이용 시간 및 기기 시청 거리의 목표치를 설정하는 목표 설정부; 및
상기 목표 설정부에서 설정된 사용자 목표치를 달성한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target setting unit for setting target values of device usage time and device viewing distance for each content to protect the user's eyesight based on the user's current vision state and user's device usage pattern; And
And a reward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reward to a user who has achieved a user target value set by the target sett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설정부에서 설정한 목표 사용 시간을 초과한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경고 메시지에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한 시간 동안 방출된 유해 전자파 노출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target use time set by the target setting unit is exceeded, control is performed to output a warning message, but a message processing unit providing the warning message with harmful electromagnetic exposure information emitted during the time the user has used the device; includes Screen control device for eyesight protection, characterized in that.
카메라부 및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센싱 동작에 따라 측정된 센싱 값을 기반으로 화면으로부터 사용자 안면이 이격된 거리 값을 산출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거리 값이 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표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 보호를 위한 화면 제어 방법. In the screen control method for eyesight protection,
Performing a sensing operation to measure a distance from the user's face away from the screen by at least one of a camera unit and a sensor unit;
Calculating a distance value separated from the user's face from the screen based on the sensing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sensing operation by the control uni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culated dista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performing a screen display control operation for protecting eyesight; Screen control method for eyesight protection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27818A KR20200046526A (en) | 2018-10-24 | 2018-10-24 |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ight prot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27818A KR20200046526A (en) | 2018-10-24 | 2018-10-24 |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ight protec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46526A true KR20200046526A (en) | 2020-05-07 |
Family
ID=7073335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27818A Withdrawn KR20200046526A (en) | 2018-10-24 | 2018-10-24 |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ight prote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00046526A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655877A (en) * | 2020-05-12 | 2021-11-16 | 华为技术有限公司 | Display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
| CN114217534A (en) * | 2021-12-09 | 2022-03-22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household appliances |
| CN115134459A (en) * | 2022-06-28 | 2022-09-30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Eye protection mod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WO2023228391A1 (en) * | 2022-05-27 | 2023-11-30 | マクセル株式会社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WO2024186165A1 (en) * | 2023-03-08 | 2024-09-12 | 정주호 | Terminal service management system using facial recognition |
-
2018
- 2018-10-24 KR KR1020180127818A patent/KR20200046526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655877A (en) * | 2020-05-12 | 2021-11-16 | 华为技术有限公司 | Display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
| CN114217534A (en) * | 2021-12-09 | 2022-03-22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household appliances |
| WO2023228391A1 (en) * | 2022-05-27 | 2023-11-30 | マクセル株式会社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CN115134459A (en) * | 2022-06-28 | 2022-09-30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Eye protection mod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CN115134459B (en) * | 2022-06-28 | 2024-05-17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Eye protection mode display control method,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WO2024186165A1 (en) * | 2023-03-08 | 2024-09-12 | 정주호 | Terminal service management system using facial recognit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00046526A (en) | 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sight protection | |
| KR102322683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falsifica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 |
| US10860850B2 (en) | Method of recognition based on iris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 KR1022772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ris recognition using display information | |
| KR102333101B1 (en) |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property information of external light source for interest object | |
| KR102354415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US10679568B2 (en) | Electronic device for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using display ligh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EP3355304B1 (en) | Voice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 KR102216653B1 (en) | Apparatas and method for conducting a communication of the fingerprint verif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 |
| KR102424986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nalysis of face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 |
| KR20180111197A (en)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 KR102423065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 KR20180014624A (en) | System and Method for Iris Authentication | |
| KR2018001320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fferential Beauty Effect | |
| KR2015009815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 fingerprint | |
| KR102399533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tress index corresponding to activity of user | |
| KR102287109B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image processing area corresponding to skin | |
| KR102579895B1 (en) |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measuring heart rate based on an infrared rays sensor using the same | |
| CN108431731B (en) | Methods, storage media, and electronic devices for performing biometric signal-based functions | |
| US1133509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by using corneal image in electronic device | |
| KR102497477B1 (en) |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 CN109120770A (en) | Terminal method for secret protection,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 TWI690825B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myopia prevention function | |
| CN107895108B (en) | An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 US20210181838A1 (en)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