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770A - Support bracket for fire extinguisher - Google Patents
Support bracket for fire extingui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6770A KR20200066770A KR1020180153274A KR20180153274A KR20200066770A KR 20200066770 A KR20200066770 A KR 20200066770A KR 1020180153274 A KR1020180153274 A KR 1020180153274A KR 20180153274 A KR20180153274 A KR 20180153274A KR 20200066770 A KR20200066770 A KR 202000667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fire extinguisher
- support
- information display
- display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KTSYUJCYHOUJP-UHFFFAOYSA-N [O--].[Al+3].[Al+3].[O-][Si]([O-])([O-])[O-] Chemical compound [O--].[Al+3].[Al+3].[O-][Si]([O-])([O-])[O-] YKTSYUJCYHOU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OJUPLGTWVMSFF-UHFFFAOYSA-N benzoth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SC=NC2=C1 IOJUPLGTWVMSF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57 Non-nutritive fee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3 reinforcing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UAZQDVKQLNFPE-UHFFFAOYSA-N thiram Chemical compound CN(C)C(=S)SSC(=S)N(C)C KUAZQDVKQLNFP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47 thira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6—Letters, numerals, or other symbols adapted for permanent fixing to a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방 개구(開口)형 내부 공간부와, 상방 개구되고 격벽에 의해 상기 공간부와 상호 구획되는 원형 수용부를 포함하고, 사면(四面)을 갖는 입체 구조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사면(四面) 중 일면에 형성되는 정보표시부; 및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단부에서 상기 정보표시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이중벽 구조의 메인서포트;를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출 성형 후 자연 냉각 시 하우징 하단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정보표시부 외표면에 정확하고 선명한 문자 등의 인쇄 작업이 가능하며, 외부 충격에 탄력적으로 반응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고 원형으로의 복원력이 뛰어난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opening (구조口) inner space portion, a housing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cluding a circular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opened upward and partitioned with the space portion by a partition wall, and has a four-sided surface; An information display unit formed on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housing; And a main support of a double wall structu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one surface end of the housing in which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pace part of the housing. It relates to a fire extinguisher stand that minimizes deformation at the bottom, enables accurate and clear text print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formation display part, and responds resiliently to external shocks, making it not easily damaged and having excellent resilience to a circular shape.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사용하게 되는 소화기를 평상 시 받치게 되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화기가 수용되는 하우징의 하단이 이의 둘레를 따라 외벽부와 내벽부 및 이들의 사이공간을 갖는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받침대 전반에 걸쳐 합성고무가 함유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출 성형 후 자연 냉각 시 하우징 하단이 안쪽으로 말리거나 비틀어지는 등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외부 충격 발생 시 탄성적으로 반응하며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는 구조의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al that normally supports a fire extinguisher to be used in the event of a fire, and in particular,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i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is accommodated is made of a double wall structure having an outer wall portion and an inner wall portion and a space between them. Of course, since it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synthetic rubber over the entire ba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deformation such as curling or twisting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during natural cooling after injection molding, as well as elastically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It is a technology for a fire extinguisher stand with a structure that can react and counteract the impact.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시장건물 및 아파트 등에는 건축물 등에 대한 소방법령에 따라 화재 발생 시에 신속히 사용할 수 있도록 소화기를 의무적으로 비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지하철이나 체육관 등의 공공 시설물에도 긴급 상황에 대비하여 소화기를 비치하는 것은 의무사항으로 되어 있다.In general, fire extinguishers are required to be used in offices, market buildings, and apartments so that they can be used quickly in the event of a fire in accordance with the Fire Services Act, and fire extinguishers are also provided in public facilities such as subways and gyms in case of emergency. It is mandatory.
이때 소화기는 아무 장소에 그대로 비치하기 보다는 화재 발생 시 신속히 사용할 수 있는 장소 등에 비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점검이나 사용 후에도 비치 장소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된 받침대에 안착시켜 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e extinguisher will be placed on a separately installed base so that it can be placed in a place that can be used quickly in case of a fire, rather than being placed in any place, so that it is easy to know the place after inspection or use.
이러한 소화기용 받침대에 관한 기술로는,As a technology for such a fire extinguisher stand,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48900호 (2004.04.1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소화기 받침대』가 제시되어 있는바,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8900 (registered on April 16, 2004, hereinafter referred to as'document 1'), "Fire Extinguisher Stand" is presented,
문헌 1은 벽의 모서리가 라운드진 장소에서도 안착이 용이하고, 라운드부의 후미에,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는 지지봉삽입공과 지면과 접하는 하단에도 지지봉을 끼울 수 있는 지지봉삽입공으로 형성된 표지판거치부를 두어 소화기 사용방법을 알리는 표지판을 일체화시킬 수 있는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기술이다.Literature 1 shows how to use a fire extinguisher by placing a sign holder formed of a support rod inserting hole that can easily be seated even in a place where the corners of the wall are rounded, a support rod inserting hole into which a support rod can be inserted, and a support rod inserting hole to insert a support rod into the bottom contacting the ground. It is a technology about a fire extinguisher stand that can integrate a sign indicating the.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49412호 (2013.03.2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소화기 받침대의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ique,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249412 (Registration on March 26, 2013, hereinafter referred to as'document 2'), "The struc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stand" is presented,
문헌 2는 소화기의 하부를 지지하는 소화기받침프레임과 상기 소화기받침프레임을 수용하는 받침본체로 나누어 구성하는데, 상기 소화기받침프레임을 받침본체에 결합수단으로 탈부착하도록 구성해 소화기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소화기 받침대 전체를 구입 및 제조할 필요 없이 소화기를 지지하는 소화기받침프레임 만 교체하는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소화기 받치도록 하는 소화기 받침대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2 is composed of a fire extinguisher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fire extinguisher and a support body accommodating the fire extinguisher support frame, and the fire extinguisher support frame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and detached as a coupling means to the support body, depending on the capacity and size of the fire extinguisher. It is a technology for the structure of a fire extinguisher stand that supports various sizes of fire extinguishers by replacing only the fire extinguisher support frame that supports the fire extinguisher without having to purchase and manufacture the entire stand.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768542호 (2017.08.09.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소화기 받침대』가 제시되어 있는바,As another technology, th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68542 (Registration on August 9,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Document 3'), the Fire Extinguisher Pedestal, is presented.
문헌 3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소화기를 수용하는 소화기 수용부; 상기 하우징부에 마련되고, 상기 소화기 수용부에서 상기 소화기의 수용 여부에 따른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 인근의 화재 경보기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소화기 수용부에서 상기 소화기의 이탈에 따른 압력값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화재 경보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기술이다.Document 3 is a housing portion; A fire extinguisher accommodation part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and accommodating a fire extinguisher; A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and measuring a pressure value according to whether the fire extinguisher is accommodated in the fire extinguisher receiving part;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fire occurrence signal from a nearby fire alarm;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 fire alarm signal to the outside when a pressure value change due to the departure of the fire extinguisher does not occur in the fire extinguisher receiving unit within a preset time from the time when the fire occurrence signal is received. It is a technology about the fire extinguisher stand.
이상의 문헌 1 내지 3은 밀대 등의 청소용품을 이용한 청소 시에나 통행하는 사람들에 의해 충격을 받을 시 너무나 쉽게 파손되는 재질이나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또 2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사출 성형된 후 자연 냉각 시 본체 하단이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거나 비틀어지는 등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제품 불량률이 높다.The above documents 1 to 3 are made of a material or structure that breaks too easily when cleaning using a cleaning article such as a straw or when impacted by people passing through, and also after injection molding at a high temperature of 200 degrees or more and then cooling naturally, the bottom of the main body Deformation such as curling or twisting easily occurs easily, resulting in a high product defect rate.
본 발명은 하우징 하단 둘레에서 정보표시부를 제외한 나머지 하단 둘레를 따라 이중벽 구조의 메인 및 서브 서포트를 형성하고, 정보표시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후면이 움푹 들어간 단턱 구조를 이루며, 합성고무를 함유한 가요성(可撓性)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출 성형 후 자연 냉각 시 하우징 하단이 안쪽으로 말리거나 비틀어지는 등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제품 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는 구조의 소화기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main and sub supports of a double-walled structure along the rest of the lower circumference except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at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nd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protrudes forward to form a stepped structure with a recessed back, flexibility containing synthetic rubb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stan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product defect rates by minimizing deformation such as curling or twisting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during natural cooling after injection molding.
나아가 본 발명은 정보표시부 측 하단에도 이중벽 구조의 프론트서포트를 더 형성함으로써, 사출 성형 후 자연 냉각 시 정보표시부 하단이 안쪽으로 말리거나 비틀어지는 등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제품 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정보표시부의 외측면에 문자 등의 인쇄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아 기존에 비해 더 선명하고 정확한 인쇄가 가능하도록 한 구조의 소화기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duces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by minimizing deformation such as curling or twisting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portion during natural cooling after injection molding by further forming a front support having a double wall structure at the lower side of the information display portion.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stand having a structure that enables a clearer and more accurate print than the previous one because it is not easily deformed by pressure generated when printing characters or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 충격 시 탄성적으로 반응함에 따라 쉽게 파손되지 않고 원형으로 항시 복구됨에 따라 충격 완화 성능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소화기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fire extinguisher stand having excellent shock absorb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as it is not easily damaged as it reacts elastically upon external impact and is always restored in a circular shape.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Fire extinguishe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하방 개구(開口)형 내부 공간부와, 상방 개구되고 격벽에 의해 상기 공간부와 상호 구획되는 원형 수용부를 포함하고, 사면(四面)을 갖는 입체 구조의 하우징;A housing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ncluding a lower opening-type inner space portion and a circular receiving portion which is opened upward and partitioned with the space portion by a partition wall, and has a four-sided surface;
상기 하우징의 사면(四面) 중 일면에 형성되는 정보표시부; 및An information display unit formed on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housing; And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단부에서 상기 정보표시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이중벽 구조의 메인서포트;A main support having a double-walled structu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maining area of the housing except for one end of the housing on which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is formed;
를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unit comprising a.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Fire extinguisher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러 가지 외부 충격 발생 시 하드(hard)한 재질의 기존 받침대가 쉽게 파손되는데 반해, 이중벽 구조이면서 합성고무를 함유한 가요성 재질의 본 발명의 받침대가 외부 충격에 탄력적으로 반응함에 따라 쉽게 파손되지 않음은 물론, 충격을 완화시키고 원형으로의 복원력이 뛰어나며, 정보표시부 외표면에 정확하고 선명한 문자 등의 인쇄 작업이 가장 큰 효과가 한다.When various external impacts occur, the existing pedestal made of hard material is easily damaged, whereas the flexible material containing synthetic rubber containing the double-walled structure does not easily break as th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reacts flexibly to external impact. Of course, the impact is mitigated and the restoration power in a circular shape is excellent, and the printing work such as accurate and clear tex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formation display part has the greatest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를 나타낸 저면 입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에 대한 일부 확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를 나타낸 측면 및 일부 확대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에서 프론트서포트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입체 구성도.1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e extinguisher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fire extinguisher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in FIG. 2,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fire extinguishe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e extinguisher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for showing the front support in the fire extinguisher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explain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도 1을 기준으로 하우징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메인서포트나 서브서포트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1을 기준으로 정보표시부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Based on FIG. 1,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side is designated as upper or upper, and the main support or sub-support side is referred to as lower or downward, and based on FIG. 1, th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is specified as front or front. Shall b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1 to 6, the fire extinguishe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크게 하우징(10), 정보표시부(20) 및 메인서포트(30)를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진다.It is largely composed of a unit (U) including a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Looking at each configuration,
하우징(10)은The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1 to 5,
하방 개구(開口)형 내부 공간부(11), 그리고The lower opening-type
상방 개구되고 격벽(12)에 의해 상기 공간부(11)와 상호 구획되는 원형 수용부(13)A circular
를 포함하고 사면(四面)을 갖는 입체 구조로 이루어진다.It comprises and is made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having a four-sided (四面).
이때 상기 공간부(11)는 하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의 공간 구조이고, 특히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공간이 좁아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공간 구조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수용부(13)는 상기 공간부(11)의 중심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정 깊이를 갖되 이에 안착되는 소화기 하단 일부가 수용되어 쓰러지지 않고 기립(起立)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사면을 갖되, 각 사면은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각 사면과 이의 상단부 간의 모서리 영역은 미관상 보기 좋고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직각을 이루기보다는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한편,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격벽(12) 바닥에는 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며 상하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4)이 형성되고, 이때 상기 각 통공(14)은 부채꼴 형상을 이룬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 and 4, a plurality of through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격벽(12)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과 접하게 되는 다수의 받침돌기(1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받침돌기(15)는 상기 격벽(12) 하부면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일자형 돌기 구조와, 상기 격벽(12) 하부면 중심에 배치되는 원형 돌기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격벽(12)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각 받침돌기(15)가 지면과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각 통공(14)으로의 외기 입출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소화기 안착 시 지면과의 충격을 최대한 방지하며 상기 수용부(13) 내로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정보표시부(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1 to 5,
상기 하우징(10)의 사면(四面) 중 일면, 즉 전면(前面)에 형성되는 것으로,It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our sides of the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단턱(21)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protrudes forward from one surface of the
이때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정보표시부(20)의 후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벽보다 전방으로 움푹 들어간 리세스(recess)(22)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recesses 22 recessed forward than the inner wall of the
결국 상기 단턱(21) 및 상기 리세스(22)로 이루어진 상기 정보표시부(20)는 평탄한 단면으로만 이루어진 구조에 비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 충격 시 상기 하우징(10)의 일면, 특히 전방을 바라보는 전면(前面)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As a result, the
아울러 상기 정보표시부(20)는 이의 외부 표면에 '소화기', 'Fire extinguisher' 등의 문자 정보가 인쇄되거나 각인됨에 따라 설치 장소에서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눈에 띄는 방향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인쇄 장치를 이용해 상기 정보표시부(20)의 외부 표면에 문자 등을 인쇄 시,At this time, when printing characters or the lik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기존 받침대의 정보표시부 즉,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할 본 발명의 프론트서포트(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정보표시부는 인쇄 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후방 측으로 쉽게 밀리게 되고, 밀린 부위에는 인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The information display portion of the existing pedestal, that is, the cross-section and the
본 발명에서는 이중벽 구조의 프론트서포트(60)가 구비되고 단턱 구조인 정보표시부(20)에 인쇄 시 밀려 변형되는 정도가 거의 없어 정확하고 선명한 문자 등의 인쇄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메인서포트(30)는Main support (3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2 and 3,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단부에서 상기 정보표시부(20)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10)의 일면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a double-wall structu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one end of the
다시 말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정보표시부(20)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前面) 중앙 영역에 배치됨에 따라 이의 좌우 영역까지는 상기 메인서포트(30)가 형성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메인서포트(30)의 이중벽 중 외벽부(31)는 하우징(1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되고, 내벽부(32)는 이의 상단이 상기 외벽부(31)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31)와 상기 내벽부(32) 사이에 상호 이격된 사이공간(33)이 형성된다.Among the double walls of the
아울러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서포트(30)의 이중벽 중 외벽부(31)는 지면, 즉 설치장소의 바닥에 접하고 내벽부(32)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결국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내벽부(32)가 상기 외벽부(31) 보다 상하 길이가 짧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서브서포트(40)를 더 포함하는데,On the other hand, the fire extinguishe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상기 서브서포트(40)는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2 and 3,
상기 메인서포트(30)와 서로 일체로 연결되게 상기 메인서포트(30)로부터 상기 정보표시부(20)의 리세스(22) 양단부까지 연장되는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져, 한 쌍이 구비된다.The
상기 메인서포트(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서브서포트(40)의 이중벽 중 외벽부(4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되고, 서브서포트(40)의 내벽부(42)는 이의 상단이 상기 서브서포트(40)의 외벽부(41)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서브서포트(40)의 외벽부(41)와 상기 서브서포트(40)의 내벽부(42) 사이에 상호 이격된 사이공간(43)이 형성된다.Like the
아울러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서브서포트(40)의 이중벽 중 외벽부(41)는 지면, 즉 설치장소의 바닥에 접하고 내벽부(42)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결국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서브서포트(40)의 내벽부(42)가 상기 서브서포트(40)의 외벽부(41) 보다 상하 길이가 짧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따라서 상기 메인서포트(30)와 상기 서브서포트(40)의 각 외벽부(31, 41)는 서로 이어진 일체형 벽체 구조이고, 또 각 내벽부(32, 42) 또한 서로 이어진 일체형 벽체 구조이며, 또 각 사이공간(33, 44) 또한 서로 이어진 일체형 공간 구조를 이룬다.Therefore, each of the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정보표시부(20)의 리세스(22)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각 서브서포트(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이중벽 구조의 프론트서포트(6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ouble-
상기 프론트서포트(60)는 상기 서브서포트(40)와 마찬가지로, 상기 프론트서포트(60)의 이중벽 중 외벽부(6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단턱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서포트(60)의 내벽부(62)는 이의 상단이 상기 외벽부(61)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서포트(60)의 외벽부(61)와 내벽부(62) 사이에 상호 이격된 사이공간(63)이 형성된다. 결국 상기 서브서포트(40)의 단면이 그대로 연장된 구조를 이룬다.The
한편,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서포트(30) 또는 상기 서브서포트(40) 또는 상기 프론트서포트(60), 또는 이들 모두에는 이중벽을 서로 잇는 다수의 보강용 리브(34, 44, 64)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각 서포트(30, 40, 60) 모두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3 and 6, the
결국 상기 메인서포트(30)의 리브(34)는 상기 메인서포트(30)를 이루는 외벽부(31)와 내벽부(32)를 상호 연결하며 사이공간(33)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서포트(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된다.In the end, the
또한, 상기 서브서포트(40)의 리브(44)는 상기 서브서포트(40)를 이루는 외벽부(41)와 내벽부(42)를 상호 연결하며 사이공간(43)에 배치되며 상기 서브서포트(4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프론트서프토(60)의 리브(64)는 상기 프론트서포트(60)를 이루는 외벽부(61)와 내벽부(62)를 상호 연결하며 사이공간(63)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서포트(6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각 서포트(30, 40, 60)의 이중벽 중 외벽부(31, 41, 61)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각 사이공간(33, 43, 63)에서 상쇄됨에 따라 내벽부(32, 42, 62) 측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며, 상기 각 리브(34, 44, 64)를 통해 외벽부(31, 41, 61)와 내벽부(32, 42, 62) 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external impact transmitted to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다수의 보강밴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Meanwhile, the fire extinguisher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상기 보강밴드(50)는The
도 5의 원형 쇄선 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circular dashed line in FIG. 5,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 둘레를 따라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The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내벽 둘레를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띠 형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It consists of a belt-shaped structure integrally projecting along the inner wall circumference of the
따라서 상기 보강밴드(5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구조 중 특히 사면(四面)에 대해 보강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Therefore, through the reinforcing
아울러 상기 보강밴드(50)는 상하로 긴 단면적을 갖는 띠 형상일 수도 있고, 상하로 요철(凹凸)부가 반복되는 띠 형상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한편,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On the other hand, the extinguisher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above configuration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의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합성고무 5~10중량부가 함유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It is made of plastic material containing 5 to 1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ubber in 10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of polypropylene (PP,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이때 상기 합성고무로는 스타이렌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as the synthetic rubber, styrene-butadiene rubber, nitrile rubber, chloroprene rubber, or the like can be used.
상기와 같은 합성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ynthetic rubber as described above,
스테아린산 1 ~ 3 중량부,1 to 3 parts by weight of stearic acid,
산화아연 3 ~ 5 중량부,3 to 5 parts by weight of zinc oxide,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50 ~ 230 중량부,50 to 230 parts by weight of aluminum silicate,
가공조제 2 ~ 20 중량부,Processing aid 2 to 20 parts by weight,
가교제로 황 0.2 ~ 3 중량부,0.2 to 3 parts by weight of sulfur as a crosslinking agent,
가교촉진제로 벤조티아졸계 및 티우람계를 사용하였으며, 보강성 충전제로는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외에 탄산칼슘, 실리카 등을 단독 또는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As a crosslinking accelerator, benzothiazole-based and thiuram-based were used. As the reinforcing filler, calcium carbonate, silica,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in addition to aluminum silicate.
하기 표 1을 참조하면,Referring to Table 1 below,
이상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고무는 천연고무에 비해 신장율, 인열강도, 인장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synthetic rubber made of the above composition has better elongation, tear strength and tensile strength than natural rubb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함유된 합성고무를 통해 가요성(可撓性)을 갖게 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고 탄력적으로 반응하게 된다.Therefore, the fire extinguishe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lexible through the synthetic rubber contained therein, and thus reacts elastically without being easily damaged by external impact.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소화기 받침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e extinguisher pedestal"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was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U : 단위체
10 : 하우징
11 : 공간부
12 : 격벽
13 : 수용부
14 : 통공
15 : 받침돌기
20 : 정보표시부
21 : 단턱
22 : 리세스
30 : 메인서포트
31 : 외벽부
32 : 내벽부
33 : 사이공간
34 : 리브
40 : 서브서포트
41 : 외벽부
42 : 내벽부
43 : 사이공간
44 : 리브
50 : 보강밴드
60 : 프론트서포트
61 : 외벽부
62 : 내벽부
63 : 사이공간
64 : 리브U: monomer
10: housing
11: Space Department
12: bulkhead
13: accommodation section
14: through
15: fulcrum
20: information display unit
21: stepped
22: recess
30: main support
31: outer wall
32: inner wall
33: space
34: rib
40: sub support
41: outer wall
42: inner wall
43: space
44: rib
50: reinforcement band
60: front support
61: outer wall
62: inner wall
63: space
64: rib
Claims (7)
상기 하우징(10)의 사면(四面) 중 일면에 형성되는 정보표시부(20); 및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 단부에서 상기 정보표시부(20)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10)의 일면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이중벽 구조의 메인서포트(30);
를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
A three-dimensional body including a lower opening-type inner space portion 11 and a circular accommodating portion 13 which is opened upward and partitioned with the space portion 11 by a partition wall 12, and has a four-sided surface. A structured housing 10;
An information display unit 20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our sides of the housing 10; And
A main support 30 of a double wall structu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maining area except for one end of the housing 10 in which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pace part 11 of the housing 10;
Fire extinguisher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unit (U) comprising a.
상기 정보표시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단턱(21)을 이루는 구조이고,
상기 정보표시부(20)의 후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벽보다 전방으로 움푹 들어간 리세스(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 is a structure that protrudes forward from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form a stepped 21,
A fire extinguisher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a recess 22 recessed forward tha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
상기 메인서포트(30)와 서로 일체로 연결되게 상기 메인서포트(30)로부터 상기 정보표시부(20)의 리세스(22) 양단부까지 연장되는 이중벽 구조인 한 쌍의 서브서포트(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2,
The main support 30 further includes a pair of sub-supports 40 having a double wall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main support 30 to both ends of the recess 22 of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 so as to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ire extinguisher stan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정보표시부(20)의 리세스(22)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각 서브서포트(40)를 상호 연결시키는 이중벽 구조의 프론트서포트(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3,
Fire extinguisher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ouble wall structure front support (60)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22) of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0) to interconnect each sub support (40).
상기 메인서포트(30) 또는 상기 서브서포트(40) 또는 상기 프론트서포트(60), 또는 이들 모두에는 이중벽을 서로 잇는 다수의 보강용 리브(34, 44, 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4,
A fire extingui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support 30 or the sub support 40 or the front support 60, or both, have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4, 44, 64 that connect double walls to each other. Pedestal.
상기 메인서포트(30), 상기 서브서포트(40) 및 상기 프론트서포트(60) 각각의 이중벽에서 외벽부(31, 41, 61)는 지면에 접하고 내벽부(32, 42, 62)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double walls of the main support 30, the sub support 40, and the front support 60, the outer wall portions 31, 41, and 61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inner wall portions 32, 42, 62 are separated from the ground. Fire extinguisher stan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하우징(10)의 격벽(12) 바닥에는 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며 상하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4)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격벽(12)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지면과 접하게 되는 다수의 받침돌기(15)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체(U)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의 합성수지 100 중량부에 합성고무 5~10중량부가 함유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t the bottom of the partition wall 12 of the housing 1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 that are radially arrang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penetrated up and down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2 of the housing 10, a plurality of support projections 15 protruding downward to contact the ground are formed,
The unit (U) is a fire extinguisher st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containing 5 to 1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ubber in 10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of polypropylene (PP,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3274A KR102175727B1 (en) | 2018-12-03 | 2018-12-03 | Support bracket for fire extingui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53274A KR102175727B1 (en) | 2018-12-03 | 2018-12-03 | Support bracket for fire extinguish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66770A true KR20200066770A (en) | 2020-06-11 |
| KR102175727B1 KR102175727B1 (en) | 2020-11-06 |
Family
ID=7107065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53274A Active KR102175727B1 (en) | 2018-12-03 | 2018-12-03 | Support bracket for fire extinguish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175727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02236U (en) * | 2020-03-31 | 2021-10-08 | 주식회사 대일제약 | A Cradle for a Bottle of a Sterilizing Solution |
| KR20240015273A (en) * | 2022-07-27 | 2024-02-05 | 우용성 | Support bracket for fire extinguisher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48900Y1 (en) | 2004-02-06 | 2004-04-29 | 심영보 | The supporter of a fire extinguisher |
| KR200352816Y1 (en) * | 2004-03-27 | 2004-06-07 | 정연화 | Fire-extinguisher support |
| KR20060073533A (en) * | 2005-12-28 | 2006-06-28 | 홍영준 | Fire extinguisher pedestal |
| JP2010200815A (en) * | 2009-02-27 | 2010-09-16 | Hatsuta Seisakusho Co Ltd | Support base for fire-extinguishing agent storage container and fire extinguisher |
| KR101249412B1 (en) | 2012-01-19 | 2013-04-03 | 모연순 |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fire extinguisher |
| KR20170069647A (en) * | 2015-12-11 | 2017-06-21 | 진동용 | A supporter of fire extinguisher |
-
2018
- 2018-12-03 KR KR1020180153274A patent/KR1021757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48900Y1 (en) | 2004-02-06 | 2004-04-29 | 심영보 | The supporter of a fire extinguisher |
| KR200352816Y1 (en) * | 2004-03-27 | 2004-06-07 | 정연화 | Fire-extinguisher support |
| KR20060073533A (en) * | 2005-12-28 | 2006-06-28 | 홍영준 | Fire extinguisher pedestal |
| JP2010200815A (en) * | 2009-02-27 | 2010-09-16 | Hatsuta Seisakusho Co Ltd | Support base for fire-extinguishing agent storage container and fire extinguisher |
| KR101249412B1 (en) | 2012-01-19 | 2013-04-03 | 모연순 |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fire extinguisher |
| KR20170069647A (en) * | 2015-12-11 | 2017-06-21 | 진동용 | A supporter of fire extinguisher |
| KR101768542B1 (en) | 2015-12-11 | 2017-08-16 | 진동용 | A supporter of fire extinguisher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02236U (en) * | 2020-03-31 | 2021-10-08 | 주식회사 대일제약 | A Cradle for a Bottle of a Sterilizing Solution |
| KR20240015273A (en) * | 2022-07-27 | 2024-02-05 | 우용성 | Support bracket for fire extinguish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175727B1 (en) | 2020-11-0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S3022640T3 (en) | Interlocking modular mat with sponge insert | |
| US3308727A (en) | Support for manhole cover and the like | |
| US20080276491A1 (en) | Shoe, Particularly an Athletic Shoe | |
| KR20200066770A (en) | Support bracket for fire extinguisher | |
| JP2010000375A (en) | Shoe sole cushion | |
| US20080196279A1 (en) | Support Sleeve for Thin and/or High Heels on Ladies' Shoes | |
| KR960702990A (en) | Shoe sole component and shoe sole component construction method | |
| CA2311593A1 (en) | Athletic shoe midsole design and construction | |
| US5322257A (en) | Furniture corner | |
| WO2003059126A1 (en) | Corner piece for mattresses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 |
| ES2199570T3 (en) | FUELLE FOR A COMPENSATOR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COMPENSATOR AND PROCEDURE FOR THE MANUFACTURE OF A FUELLE. | |
| US6276962B1 (en) | Wall faceplate system | |
| US7127836B1 (en) | Shoe and boot protecting assembly | |
| KR101875772B1 (en) | Lifesaving mat | |
| ES2626650T3 (en) | Device to prevent the insertion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bottom of the pedal unit of a vehicle | |
| US20230096329A1 (en) | Impact absorbing flooring | |
| US20090200445A1 (en) | Inflatable Toddler Bumpers | |
| ES2957165T3 (en) | Integrated mat set and usage procedure | |
| KR100668764B1 (en) | Stand type punching bag | |
| JP3042853U (en) | Sole device with air cushioning | |
| CN210276099U (en) | Anti-smashing shoe for protecting toes | |
| EP2348909B1 (en) | Bottom for shoes | |
| KR20210054081A (en) | the shock absorbing type safety covering structure | |
| KR102769468B1 (en) | Support bracket for fire extinguisher | |
| JP2001187116A (en) | Safety device for feeding bott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