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66131A - bulk-acoustic resonator module - Google Patents

bulk-acoustic resonator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131A
KR20200066131A KR1020190042081A KR20190042081A KR20200066131A KR 20200066131 A KR20200066131 A KR 20200066131A KR 1020190042081 A KR1020190042081 A KR 1020190042081A KR 20190042081 A KR20190042081 A KR 20190042081A KR 20200066131 A KR20200066131 A KR 2020006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resonator
layer
module
disposed
reson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0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4307B1 (en
Inventor
박승욱
이태경
나성훈
이재창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6/540,48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476832B2/en
Priority to CN201911162917.0A priority patent/CN111262549B/en
Publication of KR2020006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1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30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element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8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of a laminated structure of multiple piezoelectric layers with inner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모듈 기판과, 상기 모듈 기판에 접속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듈 기판과 이격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및 상기 음향 공진기를 봉합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모듈 기판의 상면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모듈 기판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공진부를 구비하는 음향 공진기 모듈이 개시된다.It includes a module substrate, an acoustic resonator connected to the module substrate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and spaced apart from the module substrate, and a sealing unit sealing the acoustic resonator, wherein the acoustic resonator is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and the module Disclosed is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having a resonant portion in which a space is formed between a substrate.

Description

음향 공진기 모듈{bulk-acoustic resonator module}Acoustic resonator module {bulk-acoustic resonator module}

본 발명은 음향 공진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최근 이동통신기기, 화학 및 바이오기기 등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이러한 기기에서 사용되는 소형 경량필터, 오실레이터(Oscillator), 공진소자(Resonant element), 음향공진 질량센서(Acoustic Resonant Mass Sensor)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hemical and bio devices, demand for small and lightweight filters, oscillators, resonant elements, acoustic resonant mass sensors used in these devices Is increasing.

이러한 소형 경량필터, 오실레이터, 공진소자, 음향공진 질량센서 등을 구현하는 수단으로는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가 알려져 있다. A thin-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is known as a means for implementing such a small and lightweight filter, an oscillator, a resonance element, and an acoustic resonance mass sensor.

FBAR은 최소한의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초소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의 주요한 특성인 높은 품질 계수 (Quality Factor: Q)값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마이크로주파수 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와 DCS(Digital Cordless System) 대역까지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BAR can be mass-produced at minimal cost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implemented in a very small siz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high quality factor (Q) values,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filters, and can be used in the micro-frequency band, especially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and DCS (Digital Cordless System) band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일반적으로, FBAR은 기판상에 제1 전극, 압전체 및 제2 전극을 차례로 적층하여 구현되는 공진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FBAR is made of a structure including a resonator that is implemented by sequentially stacking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body, and a second electrode on a substrate.

FBAR의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먼저 제1 및 2전극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여 압전층 내에 전계를 유기시키면, 이 전계는 압전층의 압전 현상을 유발시켜 공진부가 소정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한다. 그 결과, 진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음향파(Bulk Acoustic Wave)가 발생하여 공진을 일으키게 된다Looking at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FBAR, first, when electric energy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induce an electric field in the piezoelectric layer, the electric field causes a piezoelectric phenomen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to vibr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s a result, a acoustic wave (Bulk Acoustic Wave) is gener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ibration direction to cause resonance.

즉, FBAR은 체적 탄성파(Bulk Acoustic Wave: BAW)를 이용하는 소자로, 압전체의 전기 기계 결합 상수(Effective electromechanical coupling coefficient, Kt2)가 커짐으로써 탄성파 소자의 주파수 특성이 개선되고, 또 광대역화도 가능하게 된다.That is, FBAR is a device that uses a bulk acoustic wave (BAW),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coustic wave device is improved and widebandization is also possible by increasing the electromechanical coupling coefficient (Kt2) of the piezoelectric body. .

중국 특허공개공보 제0731924호Chinese Patent Publication No. 0731924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음향 공진기가 습한 환경에서 사용되거나, 장기간 상온에서 방치되는 경우에 음향 공진기의 보호층에 히드록실기(hydroxy group, OH group)가 흡착되어 주파수 변동이 커지거나, 공진기 성능을 열화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coustic resonator is used in a humid environment or is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a hydroxyl group (hydroxy group, OH group) is adsorbed on the protective layer of the acoustic resonator to increase frequency fluctuations or improve resonator performance.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모듈은 모듈 기판과, 상기 모듈 기판에 접속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듈 기판과 이격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및 상기 음향 공진기를 봉합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모듈 기판의 상면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모듈 기판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공진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ule substrate, an acoustic resonator connected to the module substrate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and spaced apart from the module substrate, and a sealing unit sealing the acoustic resonator, and the acoustic resonator Is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and may have a resonant portion in which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module substrate.

본 발명은 보호층을 재질이 다른 제1 보호층과 제2 보호층으로 적층 구성하고, 제2 보호층 상에 소수성층(hydrophobic layer)을 배치한다. 이에 음향 공진기가 습한 환경에서 사용되거나, 장기간 상온에서 방치되는 경우에도 주파수 변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공진기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layer is composed of a first protective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having different materials, and a hydrophobic layer is disposed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Accordingly, even when the acoustic resonator is used in a humid environment or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frequency fluctua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resonator performance can be uniformly main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음향 공진기가 실장된 음향 공진기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제2 전극 구조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공진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은 소수성층이 형성되지 않은 보호층 상에 히드록실기가 흡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보호층 상에 소수성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보호층 상에 소수성층이 형성된 음향 공진기(실시예)와 보호층 상에 소수성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향 공진기(비교예)에 대한 습도 및 시간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소수성층의 접착층(adhesion layer)로 사용되는 프리커서 (precursor)의 분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소수성층의 분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보호층 상에 소수성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의 변형 예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의 변형 예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는 도 2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4 내지 도 29는 각각 도 22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mounted with an acoustic reson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6 is a graph showing resonance performanc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 second electrode structure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that hydroxyl groups are adsorbed on the protective layer on which no hydrophobic layer is formed.
8 shows that a hydrophobic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9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frequency with respect to humidity and time for an acoustic resonator (example) in which a hydrophobic layer is formed on a protective layer and an acoustic resonator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a hydrophobic layer is not formed on a protective layer.
10 schematically shows the molecular structure of a precursor used as an adhesive layer of a hydrophobic layer.
11 schematically shows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hydrophobic layer.
12 to 15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hydrophobic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17 and 18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shown in FIG. 1.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shown in FIG. 20.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2 enlarged.
24 to 29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llustrated in FIG. 22.
30 and 31 are schematic circuit diagrams of a filter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a more clea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음향 공진기가 실장된 음향 공진기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mounted with an acoustic reson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모듈(500)은 적어도 하나의 음향 공진기(100), 모듈 기판(510), 및 밀봉부(5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resonator modul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acoustic resonator 100, a module substrate 510, and a sealing unit 530.

음향 공진기(100)는 모듈 기판(510) 상에 배치된다. 한편, 도 1에는 하나의 공진부(12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의 기판(110)에 다수의 공진부들(120)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coustic resonator 100 is disposed on the module substrate 510. Meanwhile, only one resonator 120 is illustrated in FIG. 1, but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a plurality of resonators 120 on one substrate 110 as necessary.

음향 공진기(100)는 모듈 기판(510)에 실장되기 위한 다수의 접속 단자(522)를 구비한다. The acoustic resonato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522 for mounting on the module substrate 510.

접속 단자(522)는 공진부(120)와 모듈 기판(5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접속 단자(522)는 적어도 하나가 제1 전극(121, 도 3 참조)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가 제2 전극(123, 도 3 참조)에 연결된다. The connection terminal 522 electrically connects the resonator 12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Therefore,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terminals 522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21 (see FIG. 3 ), and at least o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23 (see FIG. 3 ).

접속 단자(522)는 제1 금속층(180, 도 3 참조), 제2 금속층(190, 도 3 참조)과 유사하게 보호층(127, 도 3 참조)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접속 단자(522)는 제1 금속층(180), 제2 금속층(190)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금속층(180), 제2 금속층(190)과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522 is disposed in a form passing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127 (see FIG. 3 ), similarly to the first metal layer 180 (see FIG. 3)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see FIG. 3 ). For example, the connection terminal 522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first metal layer 18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first metal layer 18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접속 단자(522)는 도금 방식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21)이나 제2 전극(123) 상에 또는 제1 금속층(180)이나 제2 금속층(190) 상에 주석·은화합물(SnAg, 522a)을 적층하고, 그 위에 구리(Cu, 522b)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nection terminal 522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lating method, and as illustrated in FIG. 22, on the first electrode 121 or the second electrode 123 or on the first metal layer 180 or the second metal layer ( It can be formed by laminating tin/silver compounds (SnAg, 522a) on 190) and laminating copper (Cu, 522b) there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접속 단자(522)는 솔더와 같은 도전성 접착제(550)를 통해 모듈 기판(510)의 일면에 접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terminal 522 may be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through a conductive adhesive 550 such as solde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공진부(120)가 모듈 기판(510)의 일면(예컨대 실장면)과 마주보는 형태로 모듈 기판(510)에 실장된다. 따라서 공진부(120)와 모듈 기판(510) 사이의 공간은 기체가 채워지거나 진공 상태로 형성된다.Meanwhile, in the acoustic reson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onator unit 120 is mounted on the module substrate 510 in a form facing one surface (for example, a mounting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Therefore, the space between the resonator 12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is filled with a gas or formed in a vacuum state.

한편, 음향 공진기(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will be described later.

모듈 기판(510)은 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회로 기판(예를 들어, 세라믹 기판, 인쇄 회로 기판, 유리 기판, 연성 기판 등)이 이용될 수 있다. Various types of circuit boards (for example, ceramic substrates, printed circuit boards, glass substrates, flexible substrates, etc.) well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as the module substrate 510.

본 실시예의 경우, 폴리머(예컨대, 에폭시 수지, BT(Bismaleimide-Triazine)수지 등)가 절연체(519)로 이용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모듈 기판(510)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rinted circuit board in which a polymer (eg, an epoxy resin, bismaleimide-triazine (BT) resin, etc.) is used as the insulator 519 is used as the module substrate 510.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밀봉부(530)는 모듈 기판(510)에 실장된 음향 공진기(100)를 밀봉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음향 공진기(100)를 보호한다. The sealing unit 530 seals the acoustic resonator 100 mounted on the module substrate 510 to protect the acoustic resonator 100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밀봉부(530)는 사출 형성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 몰드 컴파운드(EMC: Epoxy Mold Compound)가 밀봉부(530)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폭시 몰드 컴파운드 이외의 다양한 재질로 밀봉부(5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경화 상태의 수지를 압착하여 밀봉부(530)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530 may be formed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for example, an epoxy mold compound (EMC: Epoxy Mold Compound) may be used as a material of the sealing portion 5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aling portion 53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other than the epoxy mold compound. In addition, it can be manufactur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pressing the resin in a semi-cured state to form a seal 530.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모듈(500)은 모듈 기판(510) 상에 음향 공진기(100)를 실장한 후, 밀봉부(530)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밀봉부(53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밀봉부(530)의 원료인 성형 수지가 음향 공진기(100)와 모듈 기판(510) 사이로 유입되는 경우, 성형 수지에 의해 공진부(120)가 파손될 수 있다.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by mounting the acoustic resonator 100 on the module substrate 510 and then forming a sealing portion 530. Howev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aling portion 530, when the molding resin as a raw material of the sealing portion 530 flows between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the resonance portion 120 may be damaged by the molding resin. have.

음향 공진기(100)의 하부면과 모듈 기판(510) 상부면 사이의 거리(D1)가 30㎛ 이하인 경우, 음향 공진기(100)와 모듈 기판(510) 사이의 틈이 협소하여 성형 수지가 상기 틈으로 쉽게 유입되기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거리(D1)가 10㎛ 미만인 경우, 공진부(120)가 모듈 기판(510)과 매우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제조 과정에서 공진부(120)가 모듈 기판(510)과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is 30 µm or less, the gap between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is narrow, so that the molding resin is formed in the gap.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ifficult to flow in easily.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D1 is less than 10 μm, the resonator 120 may be placed very close to the module substrate 510 so that the resonator 120 may contact the module substrate 51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음향 공진기 모듈(500)은 음향 공진기(100)와 모듈 기판(510) 사이의 거리(D1)를 10㎛ ~ 30㎛로 구성한다. Therefore,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500 of this embodiment configures the distance D1 between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to be 10 μm to 30 μm.

또한, 본 실시예의 음향 공진기 모듈(500)은 공진부(120)가 모듈 기판(510)과 직접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종래의 경우, 공진부(120)에 히드록실기(hydroxy group, OH group)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cover)나 캡(cap)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공진부(120)가 배치되는 공간을 외부 공간과 차단시켰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공진부(120)가 커버나 캡 등의 부재와 대면하도록 구성되었다. In addition,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500 of this embodiment is disposed such that the resonator 120 directly faces the module substrate 510. In the conventional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hydroxyl group (hydroxy group, OH group) from being adsorbed on the resonance unit 120, the resonance unit 120 is disposed using a member such as a cover or a cap. The space was separated from the external space. Accordingly, conventionally, the resonator 120 is configured to face a member such as a cover or a cap.

또한, 일반적으로 모듈 기판은 절연체(529)로 폴리머가 이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이 이용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폴리머는 흡습 특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 종래의 음향 공진기(100)를 실장하게 되면 히드록실기가 공진부(120)에 쉽게 흡착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cover)나 캡(cap) 등의 부재를 음향 공진기(100)에 결합하여 공진부(120)가 배치된 공간의 기밀(氣密)을 형성한 후, 이를 모듈 기판(510)에 실장하였다.In addition, in general, a printed circuit board (PCB) in which a polymer is used as the insulator 529 is used as the module substrate. However, in general, since the polymer has moisture absorption characteristics, when the conventional acoustic resonator 100 is mounted on such a printed circuit bo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ydroxyl group is easily adsorbed to the resonator 120. Therefore, conventionally, as described above, a member such as a cover or a cap is coupled to the acoustic resonator 100 to form the airtightness of the space in which the resonator 120 is disposed, and then the module It was mounted on the substrate 510.

그러나 본 발명의 음향 공진기(100)는 보호층(127, 도 3 참조)과 소수성층(130, 도 3 참조)을 통해 히드록실기가 공진부(120)에 흡착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공진부(120)가 배치되는 공간에 기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한 커버(cover)나 캡(cap) 등의 부재가 생략된 음향 공진기(100)를 모듈 기판(510)에 직접 실장할 수 있다.However, the acoustic reson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resses the hydroxyl group from being adsorbed on the resonator 120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127 (see FIG. 3) and the hydrophobic layer 130 (see FIG. 3). Therefore, since there is no need to form airtightness in the space where the resonator 120 is disposed, the acoustic resonator 100 in which members such as the cover or cap are omitted is directly mounted on the module substrate 510. can do.

또한 공진부(120)가 모듈 기판(510)의 절연체(519) 재질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다양한 재질로 모듈 기판(510)을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sonator 120 is not affected by the material of the insulator 519 of the module substrate 510, the module substrate 510 may be manufactured of various materials.

따라서 제조가 매우 용이하며 제조 비용도 줄일 수 있다.Therefore, manufacturing is very easy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이하에서는 음향 공진기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coustic resonat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은 도 2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of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 of FIG. 2,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 of FIG. 2, and FIG. It is 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III-III' of 2.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박막 벌크 음향 공진기(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일 수 있으며, 기판(110), 절연층(115), 멤브레인층(150), 캐비티(C), 공진부(120), 보호층(127) 및 소수성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2 to 5, the acoustic reson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hin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a substrate 110, an insulating layer 115, a membrane It may include a layer 150, a cavity (C), a resonator 120, a protective layer 127 and a hydrophobic layer 130.

기판(110)은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0)으로는 실리콘 웨이퍼가 이용되거나, SOI(Silicon On Insulator) 타입의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10 may be a silicon substrate. For example, a silicon wafer may be used as the substrate 110, or a silicon on insulator (SOI) type substrate may be used.

기판(110)의 상면에는 절연층(115)이 마련되어 기판(110)과 공진부(120)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층(115)은 음향 공진기 제조 과정에서 캐비티(C)를 형성할 때, 에칭가스에 의해 기판(110)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한다.An insulating layer 11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to electrically isolate the substrate 110 from the resonator 120. In addition, the insulating layer 115 prevents the substrate 110 from being etched by the etching gas when forming the cavity C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coustic resonator.

이 경우, 절연층(115)은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 산화 알루미늄(Al2O3), 및 질화 알루미늄(AlN)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RF Magnetron Sputtering), 및 에바포레이션(Evaporation)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기판(110)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ulating layer 115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silicon dioxide (SiO 2 ), silicon nitride (Si 3 N 4 ), aluminum oxide (Al 2 O 3 ), and aluminum nitride (AlN), and chemical vapor deposi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RF Magnetron Sputtering (RF Magnetron Sputtering), and can be formed on the substrate 110 through any one of the process of evaporation (Evaporation).

희생층(140)은 절연층(115) 상에 형성되며, 희생층(140)의 내부에는 캐비티(C)와 식각 방지부(145)가 배치된다. The sacrificial layer 140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115, and a cavity C and an etch stop 145 are disposed inside the sacrificial layer 140.

캐비티(C)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희생층(14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cavity C is formed as an empty space, and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sacrificial layer 140.

캐비티(C)가 희생층(140)에 내에 형성됨에 따라, 희생층(14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진부(120)는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As the cavity C is formed in the sacrificial layer 140, the resonator 120 formed on the sacrificial layer 140 may be entirely flat.

식각 방지부(145)는 캐비티(C)의 경계를 따라 배치된다. 식각 방지부(145)는 캐비티(C) 형성 과정에서 캐비티 영역 이상으로 식각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캐비티(C)의 수평 면적은 식각 방지부(145)에 의해 규정되고, 수직 면적은 희생층(140)의 두께에 의해 규정된다. The etch stop 145 is disposed along the boundary of the cavity C. The etch-prevention unit 145 is provided to prevent the etching from proceeding beyond the cavity area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avity C. Therefore, the horizontal area of the cavity C is defined by the etch stop 145, and the vertical area is defined by the thickness of the sacrificial layer 140.

멤브레인층(150)은 희생층(140) 상에 형성되어 기판(110)과 함께 캐비티(C)의 두께(또는 높이)를 규정한다. 따라서 멤브레인층(150)도 캐비티(C)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다.The membrane layer 150 is formed on the sacrificial layer 140 to define the thickness (or height) of the cavity C together with the substrate 110. Therefore, the membrane layer 150 is also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not easily remov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avity (C).

예를 들어, 희생층(140)의 일부(예컨대, 캐비티 영역)을 제거하기 위해 불소(F), 염소(Cl) 등의 할라이드계 에칭가스를 이용하는 경우, 멤브레인층(150)은 상기한 에칭가스와 반응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멤브레인층(150)은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halide-based etching gas such as fluorine (F) or chlorine (Cl) is used to remove a portion (eg, a cavity region) of the sacrificial layer 140, the membrane layer 150 is the etching gas described above.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low reactivity. In this case, the membrane layer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icon dioxide (SiO 2 ) and silicon nitride (Si 3 N 4 ).

또한 멤브레인층(150)은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질화알루미늄(AlN),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함유하는 유전체층(Dielectric layer)으로 이루어지거나,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백금(Pt), 갈륨(Ga), 하프늄(Hf), 티타늄(Ti)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함유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membrane layer 150 includes magnesium oxide (MgO), zirconium oxide (ZrO 2 ), aluminum nitride (AlN), zirconate titanate (PZT), gallium arsenide (GaAs), hafnium oxide (HfO 2 ), aluminum oxide ( Al 2 O 3 ), titanium oxide (TiO 2 ), made of a dielectric layer (Dielectric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material of zinc oxide (ZnO), aluminum (Al), nickel (Ni), chromium (Cr), It may be made of a metal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of platinum (Pt), gallium (Ga), hafnium (Hf), and titanium (Ti).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멤브레인층(150) 상에는 질화 알루미늄(AlN)으로 제조되는 시드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드층은 멤브레인층(150)과 제1 전극(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시드층은 AlN 이외에도 HCP 구조를 가지는 유전체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금속일 경우 예를 들어, 시드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eed layer (not shown) made of aluminum nitride (AlN) may be formed on the membrane layer 150. Specifically, the seed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embrane layer 150 and the first electrode 121. The seed layer may be formed using a dielectric or metal having an HCP structure in addition to AlN. In the case of metal, for example, the seed layer may be formed of titanium (Ti).

공진부(120)는 제1 전극(121), 압전층(123), 및 제2 전극(125)을 포함한다. 공진부(120)는 아래에서부터 제1 전극(121), 압전층(123), 및 제2 전극(125)이 순서대로 적층된다. 따라서 공진부(120)에서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 사이에 배치된다.The resonance unit 12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21, a piezoelectric layer 123, and a second electrode 125. The resonator 120 is stacked in order from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from the bottom. Therefore,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n the resonator 1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공진부(120)는 멤브레인층(150) 상에 형성되므로, 결국 기판(110)의 상부에는 멤브레인층(150), 제1 전극(121), 압전층(123) 및 제2 전극(125)이 차례로 적층되어 공진부(120)를 형성한다.Since the resonance unit 120 is formed on the membrane layer 150, the membrane layer 150, the first electrode 121,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are formed on the substrate 110. Stacked in order to form the resonator 120.

공진부(120)는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압전층(123)을 공진시켜 공진 주파수 및 반공진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resonator 120 may resonate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ccording to signal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to generate a resonance frequency and an anti-resonance frequency.

후술되는 삽입층(170)이 형성될 경우, 공진부(120)는 제1 전극(121), 압전층(123), 및 제2 전극(125)이 대략 편평하게 적층된 중앙부(S), 그리고 제1 전극(121)과 압전층(123) 사이에 삽입층(170)이 개재되는 확장부(E)로 구분될 수 있다.When the insertion layer 17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the resonator 12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21, a piezoelectric layer 123, and a central portion S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125 is approximately flatly stacked, and The insertion layer 17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s an extension (E).

중앙부(S)는 공진부(120)의 중심에 배치되는 영역이고 확장부(E)는 중앙부(S)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확장부(E)는 중앙부(S)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의미한다.The central portion S is a region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resonator 120 and the expansion portion E is a region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portion S. Therefore, the expansion part E means an area extending from the center part S to the outside.

삽입층(170)은 중앙부(S)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사면(L)을 구비한다.The insertion layer 170 has an inclined surface (L) that becomes thicker as it moves away from the central portion (S).

확장부(E)에서 압전층(123)과 제2 전극(125)은 삽입층(170)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확장부(E)에 위치한 압전층(123)과 제2 전극(125)은 삽입층(170)의 형상을 따라 경사면을 구비한다.In the extension portion E,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are disposed on the insertion layer 170. Therefore,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located in the extension E have an inclined surface alo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17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부(E)가 공진부(120)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확장부(E)에서도 공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확장부(E)의 구조에 따라 확장부(E)에서는 공진이 이루어지지 않고 중앙부(S)에서만 공진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extension (E) is defined as being included in the resonator 120, and accordingly, resonance may be made in the extension (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resonance may not occur in the expansion unit E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expansion unit E, but resonance may occur only in the central portion S.

제1 전극(121) 및 제2 전극(125)은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 몰리브덴, 루테늄, 이리듐, 알루미늄, 백금, 티타늄, 텅스텐, 팔라듐, 탄탈륨, 크롬, 니켈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for example, gold, molybdenum, ruthenium, iridium, aluminum, platinum, titanium, tungsten, palladium, tantalum, chromium, nickel, or the like. It may be formed of a metal containing at least 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전극(121)은 제2 전극(125)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제1 전극(121) 상에는 제1 전극(121)의 외곽을 따라 제1 금속층(180)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금속층(180)은 제2 전극(125)을 둘러 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121 is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electrode 125, and the first metal layer 180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121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electrode 121. Therefore, the first metal layer 180 may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econd electrode 125.

제1 전극(121)은 멤브레인층(150) 상에 배치되므로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다. 반면에 제2 전극(125)은 압전층(123) 상에 배치되므로, 압전층(123)의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electrode 121 is disposed on the membrane layer 150, it is formed flat as a whol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electrode 125 is dispos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 bend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제2 전극(125)은 중앙부(S) 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며, 확장부(E)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이에, 제2 전극(125)은 후술되는 압전층(123)의 압전부(123a) 상에 배치되는 부분과, 압전층(123)의 굴곡부(123b) 상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125 is entirely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S, and partially disposed in the expansion portion E. Accordingly, the second electrode 125 may be divided into a portion disposed on the piezoelectric portion 123a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to be described later, and a portion disposed on the curved portion 123b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25)은 압전부(123a) 전체와,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 중 일부분을 덮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확장부(E) 내에 배치되는 제2 전극(125a)은, 경사부(1231)의 경사면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공진부(120) 내에서 제2 전극(125)은 압전층(123)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electrode 125 is disposed to cover the entire piezoelectric portion 123a and a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231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Therefore, the second electrode 125a disposed in the expansion portion E is formed with a smaller area tha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1231,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in the resonator 120 has a piezoelectric layer 123. It is formed with a smaller area.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 상에 형성된다. 후술되는 삽입층(170)이 형성될 경우, 제1 전극(121)과 삽입층(170) 상에 형성된다.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21. When the insertion layer 17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t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insertion layer 170.

압전층(123)의 재료로는 산화 아연(ZnO), 질화 알루미늄(AlN),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 지르콘 티탄산 납(Lead Zirconate Titanate), 쿼츠(Quartz) 등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 경우 희토류 금속(Rare earth metal), 전이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alkaline earth met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희토류 금속은 스칸듐(Sc), 에르븀(Er), 이트륨(Y),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은 하프늄(Hf), 티타늄(Ti), 지르코늄(Zr), 탄탈륨(Ta), 및 니오븀(N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 토금속은 마그네슘(Mg)을 포함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zinc oxide (ZnO), aluminum nitride (AlN), doped aluminum nitride, lead zirconate titanate, quartz, and the like can be selectively used. have. In the case of doped aluminum nitride, a rare earth metal, transition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rare earth met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candium (Sc), erbium (Er), yttrium (Y), and lanthanum (La). The transition met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afnium (Hf), titanium (Ti), zirconium (Zr), tantalum (Ta), and niobium (Nb). Also, the alkaline earth metal may include magnesium (Mg).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층(123)은 중앙부(S)에 배치되는 압전부(123a), 그리고 확장부(E)에 배치되는 굴곡부(123b)를 포함한다.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iezoelectric portion 123a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S and a bent portion 123b disposed in the expansion portion E.

압전부(123a)는 제1 전극(121)의 상부면에 직접 적층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압전부(123a)는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전극(121), 제2 전극(125)과 함께 편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The piezoelectric unit 123a is a portion directl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21. Therefore, the piezoelectric unit 123a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to form a flat shape together with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굴곡부(123b)는 압전부(123a)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확장부(E) 내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123b may be defined as a region extending from the piezoelectric portion 123a to the outside and positioned in the expansion portion E.

굴곡부(123b)는 후술되는 삽입층(170) 상에 배치되며, 삽입층(170)의 형상을 따라 융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압전층(123)은 압전부(123a)와 굴곡부(123b)의 경계에서 굴곡되며, 굴곡부(123b)는 삽입층(170)의 두께와 형상에 대응하여 융기된다.The bent portion 123b is disposed on the insertion layer 170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in a raised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170. Accordingly,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ben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iezoelectric portion 123a and the curved portion 123b, and the curved portion 123b is rais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170.

굴곡부(123b)는 경사부(1231)와 연장부(1232)로 구분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123b may be divided into an inclined portion 1231 and an extended portion 1232.

경사부(1231)는 후술되는 삽입층(170)의 경사면(L)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그리고 연장부(1232)는 경사부(123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The inclined portion 1231 means a portion that is inclin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L of the insertion layer 17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extension portion 1232 means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inclined portion 1231 to the outside.

경사부(1231)는 삽입층(170) 경사면(L)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경사부(1231)의 경사각은 삽입층(170) 경사면(L)의 경사각(도 4의 θ)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clined portion 1231 is formed parallel to the inclined surface L of the insertion layer 170,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1231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inclined angle (θ in FIG. 4) of the inclined surface L of the inserted layer 170. Can be.

삽입층(170)은 멤브레인층(150)과 제1 전극(121), 그리고 식각 방지부(145)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insertion layer 170 may be disposed along the surface formed by the membrane layer 150,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etch stop 145.

삽입층(170)은 중앙부(S)의 주변에 배치되어 압전층(123)의 굴곡부(123b)를 지지한다. 따라서 압전층(123)의 굴곡부(123b)는 삽입층(170)의 형상을 따라 경사부(1231)와 연장부(1232)로 구분될 수 있다.The insertion layer 170 is dispos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S to support the curved portion 123b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ccordingly, the bent portion 123b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may be divided into an inclined portion 1231 and an extended portion 1232 alo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170.

삽입층(170)은 중앙부(S)를 제외한 영역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삽입층(170)은 중앙부(S)를 제외한 영역 전체에 배치되거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sertion layer 170 is disposed in an area except for the central portion S. For example, the insertion layer 170 may be disposed in the entire area except for the central portion S, or in some areas.

또한 삽입층(170)은 적어도 일부가 압전층(123)과 제1 전극(121) 사이에 배치된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ertion layer 170 is disposed between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nd the first electrode 121.

중앙부(S)의 경계를 따라 배치되는 삽입층(170)의 측면은 중앙부(S)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삽입층(170)은 중앙부(S)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측면이 일정한 경사각(θ)을 갖는 경사면(L)으로 형성된다.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layer 170 disposed along the boundary of the central portion S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thickness becomes thicker as it moves away from the central portion S. Due to this, the insertion layer 170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L having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θ with a side surface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ral portion S.

삽입층(170) 측면의 경사각(θ)이 5°보다 작게 형성되면, 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삽입층(170)의 두께를 매우 얇게 형성하거나 경사면(L)의 면적을 과도하게 크게 형성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구현이 어렵다.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side of the insertion layer 170 is formed smaller than 5°, in order to manufacture it,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layer 170 must be formed very thinly or the area of the inclined surface L must be formed excessively larg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또한 삽입층(170) 측면의 경사각(θ)이 70°보다 크게 형성되면, 삽입층(170) 상에 적층되는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 경사각도 70°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압전층(123)이 과도하게 굴곡되므로, 압전층(123)의 굴곡 부분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side of the insertion layer 170 is greater than 7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ortion 1231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stacked on the insertion layer 170 is also greater than 70°. In this case, since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excessively curved, cracks may be generated in a curved portion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L)의 경사각(θ)은 5°이상, 70°이하의 범위로 형성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inclined surface L is formed in a range of 5° or more and 70° or less.

삽입층(170)은 산화규소(SiO2), 질화알루미늄(AlN),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규소(Si3N4),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등의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압전층(123)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삽입층(170)이 구비되는 영역을 빈 공간(air)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제조 과정에서 공진부(120)를 모두 형성한 후, 삽입층(170)을 제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insertion layer 170 is silicon oxide (SiO 2 ), aluminum nitride (AlN), aluminum oxide (Al 2 O 3 ), silicon nitride (Si 3 N 4 ), magnesium oxide (MgO), zirconium oxide (ZrO 2 ), titanic acid It can be formed of dielectric materials such as lead zirconate (PZT), gallium arsenide (GaAs), hafnium oxide (HfO 2 ), aluminum oxide (Al 2 O 3 ), titanium oxide (TiO 2 ), zinc oxide (ZnO),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In addition,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 area where the insertion layer 170 is provided as an air. This may be implemented by forming all of the resonator 120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n removing the insertion layer 170.

본 실시예에서 삽입층(170)의 두께는 압전층(123)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압전층(123) 보다 삽입층(170)이 두꺼울 경우, 삽입층(170)의 형상을 따라 굴곡이 형성되는 굴곡부(123b)를 형성하기 어렵다. 또한 삽입층(170)의 두께를 100Å 이상으로 구성하는 경우, 굴곡부(123b) 형성이 용이하며 음향 공진기의 수평 방향의 음파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공진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layer 170 may be formed thinner than the piezoelectric layer 123. When the insertion layer 170 is thicker than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t is difficult to form a bent portion 123b in which bending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insertion layer 170.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layer 170 is 100 Å or more, it is easy to form the bent portion 123b and can effectively prevent sound wa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acoustic resonator, thereby improving resonator performanc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진부(120)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캐비티(C)를 통해 기판(110)과 이격 배치된다. The resonato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paced apart from the substrate 110 through the cavity C formed as an empty space.

캐비티(C)는 음향 공진기 제조 과정에서 에칭 가스(또는 에칭 용액)을 유입 홀(도 2, 도 4의 H)로 공급하여 희생층(14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cavity C may be formed by removing a portion of the sacrificial layer 140 by supplying an etching gas (or an etching solution) to the inflow hole (H in FIGS. 2 and 4) dur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coustic resonator.

보호층(127)은 음향 공진기(100)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음향 공진기(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보호층(127)은 제2 전극(125), 압전층(123)의 굴곡부(123b), 그리고 삽입층(170)이 형성하는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127 is disposed along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to protect the acoustic resonator 100 from the outside. The protective layer 127 may be disposed along the surface formed by the second electrode 125, the bent portion 123b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nd the insertion layer 170.

보호층(127)은 실리콘 옥사이드 계열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계열의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제1 보호층(127a)과, 알루미늄 옥사이드 계열,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계열, 마그네슘 옥사이드 계열, 타이타늄 옥사이드 계열, 지르코늄 옥사이드 계열, 및 진크 옥사이드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제2 보호층(127b)을 포함한다. The protective layer 127 is a first protective layer 127a formed of a silicon oxide-based or silicon nitride-based insulating material, an aluminum oxide-based, aluminum nitride-based, magnesium oxide-based, titanium oxide-based, zirconium oxide-based,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of any one of zinc oxide series.

제2 보호층(127b)은 제1 보호층(127a)의 상부에 적층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보호층(127)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is stacked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The protective layer 127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은 공진부(12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 형성된 부분의 상부면에는 각각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이 배치된다.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are formed to extend outside the resonator 120, and the first metal layer 18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extended portions, respectively. .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은 금(Au), 금-주석(Au-Sn) 합금, 구리(Cu), 구리-주석(Cu-Sn)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metal layer 18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are gold (Au), gold-tin (Au-Sn) alloy, copper (Cu), copper-tin (Cu-Sn) alloy, aluminum (Al), aluminum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n alloy.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전극(121, 125)과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음향 공진기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으로 기능하거나, 외부 접속 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metal layer 18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function as connecting wires that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s 121 and 125 of the acoustic resonator and the electrodes of other acoustic resonator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r externally. It can function as a connection termin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3에는 제 2 금속층(190)의 하부에 삽입층(170)이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 2 금속층(190) 하부에는 삽입층(170)이 제거된 구조로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FIG.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insertion layer 170 is disposed under the second metal layer 190,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serted under the second metal layer 190 as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layer 170 is removed.

제1 금속층(180)은 삽입층(170)과 보호층(127)을 관통하여 제1 전극(121)에 접합된다.The first metal layer 180 penetrates the insertion layer 170 and the protective layer 127 and is bonded to the first electrode 121.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21)은 제2 전극(125)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제1 전극(121)의 둘레 부분에는 제1 금속층(180)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4, the first electrode 121 is formed with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electrode 125, and the first metal layer 180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따라서, 제1 금속층(180)은 공진부(1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이에 제2 전극(125)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the first metal layer 180 i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resonator 120, and thus is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second electrode 125.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전극(125)은 압전층(123)의 압전부(123a)와 경사부(1231) 상에 적층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전극(125) 중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 상에 배치되는 부분(도 5의 125a), 즉 확장부(E)에 배치되는 제2 전극(125a)은 경사부(1231)의 경사면의 전체가 아닌, 경사면 일부분에만 배치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lectrode 12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tacked on the piezoelectric portion 123a and the inclined portion 1231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125 disposed on the inclined portion 1231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125a in FIG. 5), that is, the second electrode 125a disposed in the extended portion E is an inclined portion It is disposed only on a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not all of the inclined surface in (1231).

도 6은 음향 공진기의 제2 전극 구조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공진 성능(Attenuation)을 도시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resonance performance (Attenuation) of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lectrode structure of the acoustic resonator.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로, 삽입층(170)의 두께가 3000Å이고, 삽입층(170) 경사면(L)의 경사각(θ)이 20°이며, 경사면(L)의 길이(ls, 또는 폭)가 0.87㎛인 음향 공진기에서 확장부(E)에 배치되는 제2 전극(125a)의 크기를 변화시키며 음향 공진기의 감쇄(Attenuation)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의 경우, 음향 공진기의 감쇄(Attenuation) 값이 클수록 수평 방향의 음파를 보다 잘 막아주는 구조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다음의 표 1은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의 값을 정리한 표이다.6 is the acoustic resonator shown in FIGS. 3 to 5,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layer 170 is 3000 kPa, the inclination angle θ of the inclination surface L of the insertion layer 170 is 20°, and the inclination surface L A graph measuring the attenuation of the acoustic resonator by changing the size of the second electrode 125a disposed in the extension E in the acoustic resonator having a length (l s , or width) of 0.87 µm. In the case of FIG. 5, the larger the attenuation value of the acoustic resonator means that the sound wa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better prevented. And the following Table 1 is a table summarizing the values of the graph shown in FIG. 6.

확장부에서 제2 전극의 폭(㎛)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in the extension (㎛) Attenuation(dB)Attenuation (dB) 확장부에서 제2 전극의 폭(㎛)
/ 경사면 길이(㎛)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in the extension (㎛)
/ Length of slope (㎛)
0.20.2 36.20136.201 0.230.23 0.40.4 37.96937.969 0.460.46 0.50.5 38.86838.868 0.5750.575 0.60.6 38.49738.497 0.690.69 0.80.8 36.6436.64 0.920.92 1One 35.3335.33 1.1491.149

※ 경사면 길이: 0.87㎛한편, 본 실시예에서 압전층(123)의 경사면은 삽입층(170)의 경사면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압전층(123)의 경사면의 길이는 삽입층의 경사면(L) 길이(ls)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Inclined surface length: 0.87 µm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sertion layer 170, so the length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L) can be considered equal to the length l s .

도 6 및 표 1을 참조하면, 확장부(E)에서 압전층(123)의 경사면의 길이(ls)가 0.87㎛인 음향 공진기에 있어서, 압전층(123)의 경사면에 0.5㎛의 폭으로 제2 전극(125a)이 적층되는 경우 감쇄가 가장 커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확장부(E)에서 제2 전극(125a)의 폭이 상기한 폭보다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우, 감쇄가 감소하여 공진 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Referring to FIG. 6 and Table 1, in the acoustic resonator in which the length l s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n the extension E is 0.87 μm, the width of 0.5 μm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When the second electrode 125a was stacked, it was measured that the attenuation was greatest. In addition, when the width of the second electrode 125a in the extension E becomes larger or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width, it was measured that attenuation decreases and resonance performance deteriorates.

한편, 확장부(E)에서 제2 전극(125)의 폭(We)과 경사면 길이(ls)의 비(We/ls)를 고려할 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ttenuation은 상기 비(We/ls)가 0.46~ 0.69인 경우 37dB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onsidering the ratio (W e /l s ) of the width (W e ) of the second electrode 125 and the length of the inclined surface (l s ) in the extension (E), as shown in Table 1, Attenuation is the ratio It can be seen that when (W e /l s ) is 0.46 to 0.69, it is maintained above 37 dB.

따라서 공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확장부(E) 내에서 제2 전극(125a)의 최대 폭(We)과 경사면 길이(ls)의 비(We/ls)를 0.46~ 0.69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이 모두 상기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범위는 경사각(θ)의 크기나 삽입층(170)의 두께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가 달라짐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resonant performance, the acoustic reson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ratio W of the maximum width W e and the slope length l s of the second electrode 125a in the extension E e /l s ) can be limited to a range of 0.46 to 0.69. However,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range, and the ran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clination angle θ or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layer 170,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tor may be changed. It may be.

표 1의 결과를 보면 제2 전극(125a) 끝단이 경사부(1231) 위에 배치되는 경우가 경사부(1231)를 지나 연장부(1232)까지 배치된 경우보다 음향 공진기의 감쇄(Attenuation) 특성이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results of Table 1, the case where the end of the second electrode 125a is disposed over the inclined portion 1231 has an attenuation characteristic of the acoustic resonator than when the inclined portion 1231 passes through the inclined portion 1231 and extends to the extended portion 1232. You can see that it is better.

한편, 음향 공진기가 습한 환경에서 사용되거나, 장기간 상온에서 방치되는 경우에 음향 공진기의 보호층(127)에 히드록실기(hydroxy group, OH group)가 흡착되어 질량 부하(mass loading)에 의해 주파수 변동이 커지거나, 공진기 성능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coustic resonator is used in a humid environment or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a hydroxyl group (hydroxy group, OH group) is adsorbed on the protective layer 127 of the acoustic resonator, and the frequency fluctuates due to mass load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is becomes large or deteriorates the resonator performance.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보호층(127)은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층(127a, 127b)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또한 보호층(127) 상에 소수성층(130)을 배치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otective layer 127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by stacking at least two different layers 127a and 127b. In addition,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127.

도 7은 소수성층이 형성되지 않은 보호층 상에 히드록실기가 흡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보호층 상에 소수성층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7 shows that the hydroxyl group is adsorbed on the protective layer on which the hydrophobic layer is not formed, and FIG. 8 shows that the hydrophobic layer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호층(127)은 제1 보호층(127a)과, 제1 보호층(127a) 상에 적층되는 제2 보호층(127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보호층(127b) 상에는 소수성층(130)이 배치된다. 7 and 8, the protective layer 127 includes a first protective layer 127a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stacked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In addition,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disposed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27) 상에 소수성층(13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습한 환경에서 사용되거나, 장기간 상온에서 방치되면 보호층(127)에 히드록실기(hydroxy group, OH group)가 보다 쉽게 흡착되어 하이드로옥살레이트(hydroxylate)가 형성될 수 있다. 하이드로옥살레이트(hydroxylate)는 표면 에너지가 높고 불안정하기 때문에 물 등을 흡착하여 표면 에너지를 낮추려고 하기 때문에 질량 부하(mass loading)가 발생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not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127, it is used in a humid environment or when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a hydroxyl group (hydroxy group) is added to the protective layer 127. OH group) can be more easily adsorbed to form hydrooxalate (hydroxylate). Hydroxallate (hydroxylate) is high and unstable in surface energy, so it adsorbs water and the like to lower the surface energy, so mass loading occurs.

반면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27) 상에 소수성층(130)이 형성되면, 표면 에너지가 낮고 안정하기 때문에 물 및 히드록실기(hydroxy group, OH group) 등을 흡착하여 표면 에너지를 낮출 필요가 없다. 따라서, 소수성층(130)이 물 및 히드록실기(hydroxy group, OH group) 등이 흡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주파수 변동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이에 공진기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when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127, because the surface energy is low and stable by adsorbing water and hydroxyl groups (hydroxy group, OH group), etc. There is no need to lower the surface energy. Therefore, the hydrophobic layer 130 serves to suppress the adsorption of water and hydroxyl groups (hydroxy group, OH group), etc., thereby minimizing frequency fluctuations, thereby maintaining uniform resonator performance.

도 9는 보호층 상에 소수성층이 형성된 음향 공진기(실시예)와 보호층 상에 소수성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향 공진기(비교예)에 대한 습도 및 시간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험 방법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흡습 챔버에 넣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도를 변화해가며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9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frequency with respect to humidity and time for an acoustic resonator (example) in which a hydrophobic layer is formed on a protective layer and an acoustic resonator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a hydrophobic layer is not formed on a protective layer. In the experiment method,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ut in a moisture absorption chamber, and the frequency change was measured while changing the humidity as shown in FIG. 9.

도 9를 참조하면, 보호층 상에 소수성층이 형성된 음향 공진기의 경우가 습도 및 시간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화량이 훨씬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실험 종료시 주파수 변화량이 실험 시작시 주파수 변화량보다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acoustic resonator having the hydrophobic layer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the amount of frequency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in humidity and time is much small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change amount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s less than the frequency change amount at the start of the experiment.

소수성층(130)은 폴리머(polymer)가 아니 모노 레이어(self-assembled monolayer)로 형성될 수 있다. 소수성층(130)이 폴리머로 형성되면 공진부(120)에 폴리머에 의한 질량이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는 소수성층(130)이 모노 레이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음향 공진기의 주파수가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be formed of a self-assembled monolayer instead of a polymer. When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formed of a polymer, the mass of the polymer affects the resonator 120. However,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frequency change of the acoustic resonator because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formed as a mono layer.

소수성층(130)을 폴리머로 형성할 경우에는 유입 홀(도 1, 도 3의 H)을 통해서 캐비티(C)에 소수성층이 형성될 때, 캐비티(C) 내의 소수성층 두께가 불균일해질 수 있으며, 캐비티(C) 내의 소수성층 중 유입 홀(H)에서 가까운 쪽의 두께가 두껍고, 유입 홀(H)에 먼 캐비티(C)의 중앙부에 형성된 소수성층의 두께가 얇을 수 있다. When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formed of a polymer, when the hydrophobic layer is formed in the cavity C through the inflow hole (H in FIGS. 1 and 3), the thickness of the hydrophobic layer in the cavity C may be non-uniform, , Among the hydrophobic layers in the cavity C, the thickness closer to the inlet hole H may be thicker, and the thickness of the hydrophobic layer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vity C far from the inlet hole H may be thin.

또한 폴리머의 점도가 높을 경우, 폴리머가 캐비티(C) 내부로 원할하게 침투하지 못하여 캐비티(C) 내부에 소수성층(130)이 형성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iscosity of the polymer is high, a problem that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not formed inside the cavity (C) may occur because the polymer does not penetrate smoothly into the cavity (C).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소수성층(130)은 모노 레이어로 형성되기 때문에 캐비티(C) 내의 위치에 따른 두께가 균일하다. However, since the hydrophobic layer 130 of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mono layer, the thickness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the cavity C is uniform.

소수성층(130)을 구성하는 모노 레이어(self-assembled monolayer)와 보호층(127)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리커서(precursor)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커서는 실리콘 헤드(head)를 가지는 하이드로 카본(hydrocarbon)이나, 실리콘(Silicon) 헤드를 가지는 실리옥세인(Siloxane) 일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mono-layer (self-assembled monolayer) constituting the hydrophobic layer 130 and the protective layer 127, a precursor may be used.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precursor may be a hydrocarbon having a silicone head or a siloxane having a silicone head.

소수성층(130)은 도 11을 참조하면, 플로오르카본(fluorocarbo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증착 후 물에 의한 접촉각(contact angle)이 90˚ 이상이 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성층(130)은 플루오린(fluorine, F)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플루오린(fluorine, F) 및 실리콘(silicon, Si)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be fluorocarb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ntact angle of 90° or more after deposition. For example,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contain a fluorine (F) component, and may include fluorine (F) and silicon (Si).

소수성층(1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이 형성된 후 형성되므로, 보호층(127) 상에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formed after the first metal layer 18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are formed, as described later, the first metal layer 18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are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127. It can be formed except for the formed part.

또한, 소수성층(130)은 보호층(127) 상면 뿐만 아니라, 캐비티(C)의 내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C,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127.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수성층(130)은 보호층(127) 상에 소수성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보호층(127) 상에 형성되는 소수성층(13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hydrophobic layer 130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127 in the step of forming the hydrophobic layer 130 on the protective layer 127.

캐비티(C) 내에 형성되는 소수성층(130)은 캐비티(C)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에 공진부 측으로 히드록실기(hydroxyl基)가 흡착되는 것을 억제한다. 공진기의 히드록실기 흡착은 보호층(127) 뿐만 아니라 캐비티(C) 상면에서도 일어나기 때문에 히드록실기 흡착에 의한 질량 부하(mass loading)에 따른 주파수 하강을 막기 위해서는 보호층(127) 및 캐비티(C) 상면에서의 히드록실기 흡착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캐비티(C)의 상면뿐만 아니라, 캐비티(C)의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에 소수성층(1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The hydrophobic layer 130 formed in the cavity C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C. Accordingly, it is suppressed that hydroxyl groups (hydroxyl bases) are adsorbed on the resonance side. Since the adsorption of hydroxyl groups of the resonator occurs not only on the protective layer 127 but also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C, the protective layer 127 and the cavity (C) are prevented to prevent a frequency drop due to mass loading due to hydroxyl group adsorption. )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e adsorption of hydroxyl groups on the top surface. In addition,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be formed on at least part or all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C,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C.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호층(127)은 제2 전극(125), 압전층(123)의 굴곡부(123b), 그리고 삽입층(170)이 형성하는 표면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보호층(127a), 그리고 제1 보호층(127a) 상에 적층되는 제2 보호층(127b)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rotective layer 127 is disposed along the surface formed by the second electrode 125, the bent portion 123b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nd the insertion layer 170.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stacked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제1 보호층(127a)은 주파수 트리밍(trimming)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주파수 트리밍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보호층(127a)은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 비정질 실리콘(a-Si), 다결정 실리콘 (p-Si)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may be used for frequency trimming, and thus is made of a material suitable for frequency trimming. For example,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ilicon dioxide (SiO 2 ), silicon nitride (Si 3 N 4 ), amorphous silicon (a-Si), and polycrystalline silicon (p-Si).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 비정질 실리콘 (a-Si), 다결정 실리콘 (p-Si)의 경우, 후속 공정인 습식 공정(wet pocess) 시 히드록실기(hydroxyl基)의 흡착이 용이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 비정질 실리콘 (a-Si), 다결정 실리콘 (p-Si) 등의 박막의 막질이 조밀(dense)하지 못해 히드록실기 흡착이 표면 뿐만 아니라 박막의 내부까지 일어날 수 있는 영역(site)이 훨씬 많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보호층(127a) 상에 히드록실기(hydroxyl基)의 흡착이 어려운 재료를 적층하여 제2 보호층(127b)을 구성한다.In the case of silicon dioxide (SiO 2 ), silicon nitride (Si 3 N 4 ), amorphous silicon (a-Si), and polycrystalline silicon (p-Si), hydroxyl groups (hydroxyl base) are used during the subsequent wet process (wet poces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adsorption is easy. The reason for these results is that silicon dioxide (SiO 2 ), silicon nitride (Si 3 N 4 ), amorphous silicon (a-Si), polycrystalline silicon (p-Si), etc. There are many more sites where actual adsorption can occur not only on the surface but also inside the thin film.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is formed by stacking a material having difficulty in adsorbing hydroxyl groups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이에 따라, 제2 보호층(127b)은 밀도가 높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호층(127b)은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알루미늄(AlN), 산화 마그네슘(MgO), 산화타이타늄(TiO2), 산화 지르코늄(ZrO2), 산화 아연(ZnO)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density. For example,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is one of aluminum oxide (Al 2 O 3 ) aluminum nitride (AlN), magnesium oxide (MgO), titanium oxide (TiO2), zirconium oxide (ZrO2), and zinc oxide (ZnO). It can be composed of any one.

이러한 제2 보호층(127b)은 제1 보호층(127a) 보다 막질이 조밀(dense)하기 때문에 히드록실기 흡착이 제2 보호층(127b) 표면에서만 일어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has a denser film quality tha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hydroxyl group adsorption may occur only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소수성층 없이 제1 보호층(127a)을 두께 2000Å인 이산화규소(SiO2)로 형성하고 고온, 고습, 고압 환경에서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공진부(120)의 주파수 변동량이 0.9Mhz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상기한 제1 보호층(127a) 상에 소수성층을 형성한 경우, 공진부(120)의 주파수 변동량은 0.7Mhz로 측정되었다.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without a hydrophobic layer was formed of silicon dioxide (SiO 2 ) having a thickness of 2000 Å, and a reliability test was performed in a high temperature, high humidity, and high pressure environment. As a result, the frequency variation of the resonator 120 was measured to be 0.9 MHz. Became. In addition, when the hydrophobic layer was formed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the frequency variation of the resonator 120 was measured to be 0.7 MHz.

또한, 소수성층 없이 제1 보호층(127a)을 두께 2000Å인 질화규소(Si3N4)로 형성하고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공진부(120)의 주파수 변동량이 0.7Mhz로 측정되었으며, 소수성층을 형성한 후 측정한 결과 주파수 변동량이 0.5Mhz로 측정되었다.In additi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without a hydrophobic layer was formed of silicon nitride (Si 3 N 4 ) having a thickness of 2000 Å, and a reliability 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the frequency variation of the resonator 120 was measured to be 0.7 MHz, and the hydrophobic layer After forming and measuring, the frequency variation was measured to be 0.5Mhz.

반면에 제1 보호층(127a)을 두께 2000Å의 질화규소(Si3N4)로 형성하고, 제2 보호층(127b)을 두께 500Å인 산화알루미늄(Al2O3)으로 형성하며 제2 보호층(127b) 상에 소수성층을 배치한 경우, 공진부(120)의 주파수 변동량은 0.3Mhz로 측정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is formed of silicon nitride (Si 3 N 4 ) having a thickness of 2000Å,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is formed of aluminum oxide (Al 2 O 3 ) having a thickness of 500Å, and the second protective layer When the hydrophobic layer was disposed on (127b), the frequency variation of the resonator 120 was measured to be 0.3 MHz.

따라서 보호층(127)을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고 그 위에 소수성층(130)을 적층하는 경우, 주파수 변동량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rotective layer 127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stacked thereon,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frequency variation is significantly improved.

이처럼 신뢰성 테스트 환경에서 따른 주파수 변동량이 약 0.3Mhz 인 경우, 공진부(120)에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공진부(120)를 밀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공진부(120)의 기밀을 확보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 요소들을 부가할 필요가 없다. When the frequency fluctu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test environment is about 0.3 MHz, there is no need to seal the resonator 120 in order to block moisture from penetrating the resonator 120.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add separate components to secure the airtightness of the resonator 120.

이하에서는 음향 공진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will be described.

도 12 내지 도 15는 음항 공진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12 to 15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ound term resonator.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제조 방법은 먼저 기판(110) 상에 절연층(115), 및 희생층(140)을 형성하고, 희생층(140)을 관통하는 패턴(P)을 형성한다. 따라서 절연층(115)은 패턴(P)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Referring to FIG. 12,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orms an insulating layer 115 and a sacrificial layer 140 on the substrate 110, and a pattern penetrating the sacrificial layer 140 (P) is formed. Therefore, the insulating layer 11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ttern P.

절연층(115)과 멤브레인층(150)은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질화알루미늄(AlN),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질화규소(Si3N4) 또는 산화실리콘(SiO2)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nsulating layer 115 and the membrane layer 150 include magnesium oxide (MgO), zirconium oxide (ZrO 2 ), aluminum nitride (AlN), zirconate titanate (PZT), gallium arsenide (GaAs), and hafnium oxide (HfO 2) ), aluminum oxide (Al 2 O 3 ), titanium oxide (TiO 2 ), zinc oxide (ZnO), silicon nitride (Si 3 N 4 ), silicon oxide (SiO 2 ),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희생층(140)에 형성되는 패턴(P)은 상면의 폭은 하면의 폭 보다 넓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attern P formed on the sacrificial layer 140 may be formed to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 in which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희생층(140)은 추후의 식각 공정을 통해 일부가 제거되어 캐비티(도 2의 C)을 형성한다. 따라서 희생층(140)은 식각에 용이한 폴리실리콘 또는 폴리머 등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acrificial layer 140 is partially removed through a subsequent etching process to form a cavity (FIG. 2C ). Therefore, the sacrificial layer 14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silicon or polymer that is easy to etch.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서, 희생층(140) 상에 멤브레인층(150)을 형성한다. 멤브레인층(150)은 희생층(140)이 표면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다. 멤브레인층(150)의 두께는 희생층(140)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 Subsequently, a membrane layer 150 is formed on the sacrificial layer 140. The membrane layer 150 is formed with a sacrificial layer 140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long the surface.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layer 150 may be thinner than that of the sacrificial layer 140.

멤브레인층(150)은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질화알루미늄(AlN),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함유하는 유전체층(Dielectric layer) 또는 알루미늄(Al), 니켈(Ni), 크롬(Cr), 백금(Pt), 갈륨(Ga), 하프늄(Hf), 티타늄(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함유하는 금속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mbrane layer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licon dioxide (SiO 2 ) and silicon nitride (Si 3 N 4 ). In addition, magnesium oxide (MgO), zirconium oxide (ZrO 2 ), aluminum nitride (AlN), zirconate titanate (PZT), gallium arsenide (GaAs), hafnium oxide (HfO 2 ), aluminum oxide (Al 2 O 3 ), Dielectric layer or aluminum (Al), nickel (Ni), chromium (Cr), platinum (Pt), gallium (Ga) containing at least one of titanium oxide (TiO 2 ) and zinc oxide (ZnO) , Hafnium (Hf), titanium (Ti) may be made of a metal layer containing at least one material.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멤브레인층(150) 상에 시드층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illustrated, a seed layer may be formed on the membrane layer 150.

시드층은 멤브레인층(150)과 후술되는 제1 전극(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시드층은 질화 알루미늄(AlN)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HCP 구조를 가지는 유전체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으로 시드층을 형성하는 경우 시드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ed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embrane layer 150 and the first electrode 121 described below. The seed layer may be made of aluminum nitride (Al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using a dielectric or metal having an HCP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 seed layer is formed of a metal, the seed layer may be formed of titanium (Ti).

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층(150) 상에 식각 방지층(145a)을 형성한다. 식각 방지층(145a)은 패턴(P)의 내부에도 충진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3, an etch stop layer 145a is formed on the membrane layer 150. The etch stop layer 145a is also filled in the pattern P.

식각 방지층(145a)은 패턴(P)을 완전히 채우는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식각 방치층(145a)은 희생층(14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tch stop layer 145a is formed to a thickness that completely fills the pattern P. Therefore, the etch-off layer 145a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sacrificial layer 140.

식각 방지층(145a)은 절연층(115)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tch-stop layer 145a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insulating layer 11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서, 멤브레인층(15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식각 방지층(145a)을 제거한다. Subsequently, the etch stop layer 145a is removed so that the membrane layer 150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패턴(P)의 내부에 충진된 부분은 남겨지며, 남겨진 식각 방지층(145a)은 식각 방지부(145)로 기능한다.At this time, a portion filled in the inside of the pattern P is left, and the remaining etch stop layer 145a functions as an etch stop 145.

이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층(150) 상면에 제1 전극(121)을 형성한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14, the first electrode 121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embrane layer 150.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극(121)은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 몰리브덴, 루테늄, 이리듐, 알루미늄, 백금, 티타늄, 텅스텐, 팔라듐, 탄탈륨, 크롬, 니켈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for example, gold, molybdenum, ruthenium, iridium, aluminum, platinum, titanium, tungsten, palladium, tantalum, chromium, nickel, or at least one of them It may be formed of a metal contain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전극(121)은 캐비티(도 3의 C)가 형성될 영역의 상부에 형성된다. The first electrode 12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gion where the cavity (FIG. 3C) is to be formed.

제1 전극(121)은 멤브레인층(150) 전체를 덮는 형태로 도전체층을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21 may be formed by forming a conductor layer in a form that covers the entire membrane layer 150 and then removing unnecessary portions.

이어서, 필요에 따라 삽입층(170)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층(170)은 제1 전극(121) 상에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멤브레인층(150)의 상부로 확장될 수 있다. 삽입층(170)을 형성하면 공진부(120)의 확장부(123b)가 중앙부(123a)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므로, 중앙부(123a)에서 발생한 진동이 외곽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억제하여 음향 공진기의 Q-factor를 증가시킬 수 있다.Subsequently, the insertion layer 170 may be formed as necessary. The insertion layer 17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may be extended to the top of the membrane layer 150 as necessary. When the insertion layer 170 is formed, the expansion portion 123b of the resonator 120 is formed to have a thicker thickness than the center portion 123a, so that vibration generated in the center portion 123a is suppress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thus the Q of the acoustic resonator. -factor can be increased.

삽입층(170)은 멤브레인층(150)과 제1 전극(121), 그리고 식각 방지부(145)가 형성하는 표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 후, 중앙부(S)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layer 170 is form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formed by the membrane layer 150,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etch stop 145, and then the portion dispos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S It can be completed by removing.

이에 따라 중앙부(S)를 구성하는 제1 전극(121)의 중심부는 삽입층(170)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삽입층(170)은 제1 전극(121)의 둘레를 따라 제1 전극(121)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확장부(E)에 배치되는 제1 전극(121)의 테두리 부분은 삽입층(170)의 하부에 배치된다.According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constituting the central portion S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layer 170. In addition, the insertion layer 170 is formed to cover a part of the first electrode 121 along the periphery of the first electrode 121. Therefore,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disposed on the extension portion E is disposed under the insertion layer 170.

중앙부(S)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삽입층(170)의 측면은 경사면(L)으로 형성된다. 삽입층(170)은 중앙부(S)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삽입층(170)의 하부면은 삽입층(170)의 상부면보다 중앙부(S) 측으로 더 확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삽입층(170) 경사면(L)의 경사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5°~ 70°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layer 170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ral portion S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L. The insertion layer 17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toward the central portion S, and thus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layer 170 is formed in a more extended shape toward the central portion S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layer 170. do. At this tim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L) of the insertion layer 170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5 ° ~ 70 ° as described above.

삽입층(170)은 예를 들어, 산화규소(SiO2), 질화알루미늄(AlN), 산화알루미늄(Al2O3), 질화규소(Si3N4), 산화마그네슘(MgO), 산화지르코늄(ZrO2), 티탄산 지르콘산 연(PZT), 갈륨비소(GaAs), 산화하프늄(Hf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등의 유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압전층(123)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The insertion layer 170 is, for example, silicon oxide (SiO 2 ), aluminum nitride (AlN), aluminum oxide (Al 2 O 3 ), silicon nitride (Si 3 N 4 ), magnesium oxide (MgO), zirconium oxide (ZrO) 2 ), Zirconate titanate (PZT), gallium arsenide (GaAs), hafnium oxide (HfO 2 ), aluminum oxide (Al 2 O 3 ), titanium oxide (TiO 2 ), zinc oxide (ZnO) It may be, but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piezoelectric layer 123.

이어서, 제1 전극(121)과 삽입층(170) 상에 압전층(123)을 형성한다. Subsequently, a piezoelectric layer 123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insertion layer 170.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압전층(123)은 질화 알루미늄(AlN)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전층(123)의 재료로는 산화 아연(ZnO),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 지르콘 티탄산 납(Lead Zirconate Titanate), 쿼츠(Quartz) 등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핑 알루미늄 질화물(Doped Aluminum Nitride) 경우 희토류 금속(Rare earth metal), 전이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alkaline earth met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희토류 금속은 스칸듐(Sc), 에르븀(Er), 이트륨(Y), 및 란탄(L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이 금속은 하프늄(Hf), 티타늄(Ti), 지르코늄(Zr), 탄탈륨(Ta), 및 니오븀(N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 토금속은 마그네슘(Mg)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iezoelectric layer 123 may be formed of aluminum nitride (Al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zinc oxide (ZnO), doped aluminum nitride, lead zirconate titanate, and quartz may be selectively used as the material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Can be. In the case of doped aluminum nitride, a rare earth metal, transition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rare earth met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candium (Sc), erbium (Er), yttrium (Y), and lanthanum (La). The transition met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afnium (Hf), titanium (Ti), zirconium (Zr), tantalum (Ta), and niobium (Nb). Also, the alkaline earth metal may include magnesium (Mg).

또한 압전층(123)은 삽입층(170)과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insertion layer 170.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과 삽입층(170)이 형성하는 표면 전체에 압전 물질을 형성한 후, 불필요한 부분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전극(125)을 형성한 후, 압전 물질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압전층(123)을 완성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전극(125) 형성 전에 압전층(123)을 완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iezoelectric layer 123 may be formed by forming a piezoelectric material on the entire surface formed by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insertion layer 170 and then partially removing unnecessary portions. In this embodiment, after the second electrode 125 is formed, unnecessary portions of the piezoelectric material are removed to complete the piezoelectric layer 123.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mplete the piezoelectric layer 123 before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125.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과 삽입층(170)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압전층(123)은 제1 전극(121)과 삽입층(170)이 이루는 표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formed to cover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insertion layer 170, whereby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formed of a surface formed by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insertion layer 170. It is formed along the shape.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전극(121)은 중앙부(S)에 해당하는 부분만 삽입층(170)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제1 전극(121)상에 형성되는 압전층(123)은 중앙부(S)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삽입층(170) 상에 형성되는 굴곡부(123b)는 확장부(E)내에 위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S of the first electrode 12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layer 170. Therefore, the piezoelectric layer 123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21 is positioned in the central portion S. And the bent portion 123b formed on the insertion layer 170 is located in the expansion portion E.

이어서, 압전층(123) 상부에 제2 전극(125)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극(125)은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 몰리브덴, 루테늄, 이리듐, 알루미늄, 백금, 티타늄, 텅스텐, 팔라듐, 탄탈륨, 크롬, 니켈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ubsequently, the second electrode 125 is form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electrode 125 may be formed of a conductor, for example, gold, molybdenum, ruthenium, iridium, aluminum, platinum, titanium, tungsten, palladium, tantalum, chromium, nickel, or at least one of them It may be formed of a metal contain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전극(125)은 기본적으로 압전층(123)의 압전부(123a) 상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전층(123)의 압전부(123a)는 중앙부(S)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압전층(123)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125)도 중앙부(S) 내에 배치된다. The second electrode 125 is basically formed on the piezoelectric portion 123a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s described above, the piezoelectric portion 123a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S. Therefore, the second electrode 125 disposed on the piezoelectric layer 123 is also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S.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25)은 압전층(123)의 경사부(1231) 상에도 형성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극(125)은 중앙부(S) 전체와 확장부(E)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제2 전극(125)을 확장부(123b)에 부분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비약적으로 개선된 공진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electrode 125 is also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1231 of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lectrode 125 is partially disposed in the entire central portion S and the expanded portion E. By partially arranging the second electrode 125 in the extension portion 123b, it is possible to provide significantly improved resonance performance.

이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층(127a)을 형성한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FIG. 15, a first protective layer 127a is formed.

제1 보호층(127a)은 제2 전극(125)과 압전층(123)이 형성하는 표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보호층(127a)은 외부로 노출된 삽입층(170)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is formed along the surface formed by the second electrode 125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lso,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may also be formed on the insertion layer 170 exposed to the outside.

제1 보호층(127a)은 실리콘 옥사이드 계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계열 중의 하나의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may be formed of one of silicon oxide-based and silicon nitride-based insulating materi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컨대, 제1 보호층(127a)은 이산화규소(SiO2), 질화규소(Si3N4), 비정질 실리콘 (a-Si), 및 다결정 실리콘 (p-Si)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ilicon dioxide (SiO 2 ), silicon nitride (Si 3 N 4 ), amorphous silicon (a-Si), and polycrystalline silicon (p-Si).

이어서, 제1 보호층(127a)(127)과 압전층(123)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5)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노출된 부분에 각각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을 형성한다. Subsequently, the first protective layers 127a and 127 and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re partially removed to partially expose the first electrode 121 and the second electrode 125, and the first metal layer is respectively exposed. The 18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are formed.

제1 금속층(180)과 제2 금속층(190)은 금(Au), 금-주석(Au-Sn) 합금, 구리(Cu), 구리-주석(Cu-Sn) 합금,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전극(121) 또는 제2 전극(125) 상에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metal layer 180 and the second metal layer 190 are gold (Au), gold-tin (Au-Sn) alloy, copper (Cu), copper-tin (Cu-Sn) alloy, aluminum (Al), aluminum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an alloy, and may be formed by depositing on the first electrode 121 or the second electrode 125,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어서, 캐비티(C)를 형성한다. Subsequently, a cavity C is formed.

캐비티(C)는 희생층(140)에서 식각 방지부(145)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을 제거함에 따라 형성되며, 이 과정에서 제거되는 희생층(140)은 식각(etching) 방식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Cavity (C) is formed by removing the portion located inside the etch stop 145 from the sacrificial layer 140, the sacrificial layer 140 removed in this process can be removed by etching (etching) method have.

희생층(140)이 폴리실리콘 또는 폴리머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희생층(140)은 불소(F), 염소(Cl) 등의 할라이드계의 에칭가스(예컨대, XeF2)를 이용하는 건식 식각(dry etching) 방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When the sacrificial layer 140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silicon or polymer, the sacrificial layer 140 is dry etched using a halide-based etching gas (eg, XeF 2 ) such as fluorine (F) or chlorine (Cl). (dry etching) method.

이어서, 목표하는 주파수 특성을 얻기 위하여 습식 공정(wet pocess)를 통해 제1 보호층(127a)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트리밍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Subsequently, a trimming process that partially removes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through a wet process may be performed to obtain a target frequency characteristic.

트리밍 공정이 완료되면, 제1 보호층(127a) 상에 제2 보호층(127b)을 적층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보호층(127b)은 제1 보호층(127a)에 비해 밀도가 높은 재료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산화알루미늄(Al2O3)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trimming process is completed, a process of laminating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density than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and aluminum oxide (Al 2 O 3 ) is used in this embodiment.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보호층(127b)은 제1 보호층(127a)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기상 증착 등의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that of the first protective layer 127a, and may be formed through a vapor deposition method.

이어서, 제2 보호층(127b) 상에 소수성층(130)을 형성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100)를 완성시킨다. Subsequently, a hydrophobic layer 130 is formed o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to complete the acoustic resonator 100 illustrated in FIGS. 3 and 4.

소수성층(130)은 소수성 물질을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증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hydrophobic material by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method.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보호층(127b)의 표면에 하이드로옥살레이트(hydroxylate)를 형성하고, 실리콘(Silicon) 헤드를 가지는 프리커서(precursor)를 이용하여, 하이드로옥살레이트(hydroxylate)에 하이드로라이즈 실레인(hydrolyze silane)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보호층(127)의 표면을 표면처리 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6, hydrooxalate (hydroxylat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127b, and a precursor having a silicon head is used for hydrooxalate.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127 is surface-treated by performing a hydrolyze silane reaction on the surface.

그 후, 상기 표면처리된 보호층(127)의 표면에 플루오르카본 작용기를 형성하면 도 8과 같이 보호층(127) 상에 소수성층(130)이 형성된다. Thereafter, when a fluorocarbon functional group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rface-treated protective layer 127, a hydrophobic layer 130 is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127 as shown in FIG.

한편, 보호층의 재질에 따라 표면처리는 생략하고, 보호층(127) 상에 플루오르카본 작용기를 직접 형성하여 소수성층(13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surface treatment is omitte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protective lay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hydrophobic layer 130 by directly forming a fluorocarbon functional group on the protective layer 127.

소수성층(130)은 음향 공진기의 표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but may be partially formed as necessary.

예컨대, 상술한 소수성층 형성 단계에서 유입 홀(도 2, 도 4의 H)을 통하여 캐비티(C)의 상면에도 소수성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C)의 상면뿐만 아니라 캐비티(C)의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도 소수성층(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캐비티(C)의 상면, 하면 및 측면 전체에 소수성층(13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hydrophobic layer forming step,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also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C through the inflow hole (H in FIGS. 2 and 4 ). In addition,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be formed on at least part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avity C,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C, and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lower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cavity C. It is also possible to form.

또한, 소수성층(130)을 폴리머가 아닌 모노 레이어(self-assembled monolayer)로 형성함으로써, 공진부(120)에 소수성층(130)로 인한 질량 부하가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수성층(130)의 두께가 균일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hydrophobic layer 130 as a non-polymeric mono-layer (self-assembled mono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ss load due to the hydrophobic layer 130 from being applied to the resonator 120, and the hydrophobic layer ( 130) may have a uniform thickness.

이하에서는 음향 공진기의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acoustic resonator will be described.

도 17 및 도 18은 음향 공진기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17은 도 2의 I-I′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2의 II-II′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17 and 18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acoustic resonator. That is,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I-I′ in FIG. 2, and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II-II′ in FIG. 2.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의 삽입층(170)은 공진부(120)에서 압전층(123)을 지지하는 일부분만 남겨지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제거된다. 이처럼 삽입층(170)은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7 and 18, the insertion layer 170 of the acoustic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left with only a portion of the resonator 120 supporting the piezoelectric layer 123, and all other portions are removed. As such, the insertion layer 170 may be partially disposed as necessary.

음향 공진기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삽입층(170)은 제1 금속층(180)이나 식각 방지부(145)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삽입층(170)은 공진부(120)의 외측에 배치되지 않으며, 캐비티(C)의 상부 영역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삽입층(170)이 배치되는 영역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영역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로 확장될 수 있다.When the acoustic resonator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layer 17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contact the first metal layer 180 or the etch stop 145. In addition, the insertion layer 170 is not disposed outside the resonator 120, but is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cavity C. However, the region in which the insertion layer 170 is disposed is not limited to the regions illustrated in FIGS. 17 and 18 and may be extended to various locations as necessary.

한편,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Meanwhile, FIG. 1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shown in FIG. 1.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기판(510) 상에 음향 공진기(100) 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560)가 실장되는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9, in addition to the acoustic resonator 100 on the module substrate 510,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560 may be configured in a package form.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의 변형 예이다.2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llustrated in FIG. 20.

도 20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모듈은 모듈 기판(510)의 일면에 트렌치(524, trench)가 형성되고, 음향 공진기(100)는 상기 트렌치(524) 내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20, in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renches 524 and trenche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and the acoustic resonator 100 is disposed in the trench 524.

본 실시예에서 트렌치(524)의 수평 면적은 음향 공진기(100)의 수평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0의 단면도에서 트렌치(524)의 수평 길이(L2)는 음향 공진기(100)의 수평 길이(L1)보다 10㎛ 이상 작게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area of the trench 524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horizontal area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For example,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0, the horizontal length L2 of the trench 524 may be configured to be 10 μm or more small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L1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음향 공진기(100)는 하부면의 테두리 부분이 모듈 기판(510)의 상부면과 매우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향 공진기(100)의 하부면이 모듈 기판(510)의 상부면과 이격 배치된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acoustic resonator 100 is dispos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very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음향 공진기(100)의 하부면 테두리 부분과 모듈 기판(510)의 상부면 사이의 최단 거리(D2)는 0㎛ ~ 20㎛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밀봉부(530) 형성 시 음향 공진기(100)와 모듈 기판(510)의 상부면 사이의 틈을 통해 트렌치(524) 내부로 성형 수지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shortest distance D2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may be configured in a range of 0 μm to 20 μm. Accordingly, when the sealing part 53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olding resin from flowing into the trench 524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음향 공진기(100)의 하부면 테두리 부분이 모듈 기판(510)의 상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configuring the lower surface edge portion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if necessary.

또한 트렌치(524)의 깊이는 20㎛ ~ 30㎛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depth of the trench 524 may be configured in a range of 20 μm to 3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음향 공진기 모듈은 필요에 따라 트렌치(524)의 수평 면적을 음향 공진기(100)의 수평 면적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음향 공진기(100)의 하부면 테두리 부분과 모듈 기판(510)의 사이의 최단 거리는 0㎛ ~ 20㎛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모듈 기판(510)의 적어도 일부가 트렌치(524)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make the horizontal area of the trench 524 larger than the horizontal area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if necessary. In this case,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may be configured in a range of 0 μm to 20 μm.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module substrate 510 is disposed in the trench 524 as necessary.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모듈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공진기(100)만을 포함하는 단품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기판(510) 상에 음향 공진기(100) 외에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560)가 실장되는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package including only the acoustic resonator 100, as shown in FIG.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21, on the module substrate 510. In addition to the acoustic resonator 100,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560 may be configured in a package form.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2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22.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공진기(100)는 차단 부재(540)를 구비한다.22 and 23, the acoustic reson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locking member 540.

전술한 실시예들의 경우, 모듈 기판(510)과 음향 공진기(100)의 최단 거리를 최소화하여 성형 수지의 유입을 차단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모듈 기판(510)과 음향 공진기(100) 사이의 거리를 한정하지 않고 차단 부재(540)를 이용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inflow of the molding resin is blocked by minimizing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module substrate 510 and the acoustic resonator 100, but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module substrate 510 and the acoustic resonator 100 Without limiting, the blocking member 540 is used.

차단 부재(540)는 음향 공진기(100)와 모듈 기판(510) 사이에 배치되어 밀봉부(530) 제조 시 성형 수지가 공진부(120)와 모듈 기판(51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차단 부재(540)는 공진부(120)를 감싸는 형태로 공진부(120)의 둘레 전체에 배치된다. The blocking member 540 is disposed between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and blocks molding resin from flowing between the resonator 12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when the sealing portion 530 is manufactured. Therefore, the blocking member 540 is disposed around the entire resonator 120 in a form surrounding the resonator 120.

차단 부재(540)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차단 부재(540)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locking member 54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blocking member 540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 부재(540)는 음향 공진기(100) 제조 과정에서 형성된다. 예컨대, 음향 공진기에 소수성층(도 2의 130)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 공진부(도 3의 120)가 형성된 음향 공진기(100)의 표면에 절연 필름을 적층하고 이를 패터닝하여 차단 부재(540)를 형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locking member 540 is form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acoustic resonator 100. For example, after the process of forming a hydrophobic layer (130 of FIG. 2) in the acoustic resonator, an insulating film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having the resonator unit (120 of FIG. 3) formed and patterned to block the blocking member 540. Can form.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소수성층(130)이 음향 공진기(100)에 형성되는 경우, 소수성층(130)에 의해 폴리머 재질의 차단 부재(540)는 음향 공진기(100) 상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formed on the acoustic resonator 100, the blocking member 540 made of a polymer material by the hydrophobic layer 130 may not be firmly coupled on the acoustic resonator 100. Can be.

따라서 이 경우, 절연 필름을 패터닝하는 과정이나, 음향 공진기를 모듈 기판(510)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절연 필름의 부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insulating film may be changed in the process of patterning the insulating film or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acoustic resonator on the module substrate 510.

이에 절연 필름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차단 부재(540)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522)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insulating film, the blocking member 540 of this embodiment is disposed to contact at least one connection terminal 522.

접속 단자(522)는 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차단 부재(540)에 접합되어 차단 부재(540)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한 패터닝 과정에서 절연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접속 단자(522)와 연결되도록 패터닝된다.The connection terminal 522 is at least a part of the side is bonded to the blocking member 540 to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member 540. Therefore, in the above patterning process, the insulating film is pattern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nection terminal 522.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연 필름을 음향 공진기(100)에 형성하지 않고 모듈 기판(510)에 형성하는 경우, 절연 필름은 모듈 기판(510)에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절연 필름이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되므로, 차단 부재(540)는 음향 공진기(100)의 접속 단자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insulating film is formed on the module substrate 510 without being formed on the acoustic resonator 100, the insulating film may be firmly stacked on the module substrate 510. Therefore, in this case, since the insulating film is stably fixedly disposed, the blocking member 5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수성층(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향 공진기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접속 단자(522)의 표면에도 배치된다. 이처럼 접속 단자(522)의 표면에 소수성층(130)이 배치되는 경우, 접속 단자(522)의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3, the hydrophobic layer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as described above, and thus is also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Thus, when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from being oxidized.

한편, 소수성층(1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접속 단자(522)의 끝단에도 소수성층(130)이 배치되나, 이는 접속 단자(522)를 모듈 기판(510)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제거된다. 따라서 접속 단자(522)의 끝단과 모듈 기판(510) 사이에는 소수성층(130) 없이 도전성 접착제(550)만 개재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hydrophobic layer 130, the hydrophobic layer 130 is also dispos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but this is removed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nnection terminal 522 on the module substrate 510. Therefore, only the conductive adhesive 550 is interposed between the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without the hydrophobic layer 130.

본 실시예에서 차단 부재(540)는 접속 단자(522)와 음향 공진기(100)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차단 부재(540)는 접속 단자(522)의 내측 측면(공진부와 마주보는 측면)에 접합되며, 접속 단자(522)의 외측에는 밀봉부(530)가 충진되고 접속 단자(522)의 외측 측면에는 밀봉부(530)가 접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the blocking member 540 is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522 and the acoustic resonator 100. Accordingly, the blocking member 540 is joined to the inner side (the side facing the resonant por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and the sealing portion 530 is filled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and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A sealing portion 530 is joined to the side.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4 내지 도 29은 각각 도 22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4 to 29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llustrated in FIG. 22.

도 24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은 차단 부재(540)가 접속 단자(522)의 외측에 배치되며, 이에 접속 단자(522)의 외측 측면에 접합된다. In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llustrated in FIG. 24, a blocking member 540 is disposed outside the connection terminal 522 and is bonded to the outside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도 25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은 차단 부재(540) 내에 접속 단자들(522)이 배치된다. 이에 차단 부재(540)는 접속 단자들(522)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접속 단자(522)는 측면 전체가 차단 부재(540)에 접합된다.In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llustrated in FIG. 25, connection terminals 522 are disposed in the blocking member 540. Accordingly, the blocking member 540 is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on terminals 522, and the entire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is joined to the blocking member 540.

도 26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은 차단 부재(540)와 모듈 기판(510)이 일정 거리 이격된다. 따라서 차단 부재(540)의 하부면과 모듈 기판(510)의 상부면 사이에는 틈(502)이 형성된다.In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llustrated in FIG. 26, the blocking member 54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a gap 502 is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ing member 5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본 실시예에서 차단 부재(540)와 모듈 기판(510)이 이격되는 거리는 30㎛ 이하로 한정된다. 이에 성형 수지가 차단 부재(540)와 모듈 기판(51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blocking member 54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is limited to 30 μm or less. Accordingly, the molding resin may be blocked from flowing between the blocking member 54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본 실시예에서 차단 부재(540)의 하부면은 접속 단자(522)의 하부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ing member 540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522.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7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기판(510)의 일면에 트렌치(524)가 형성되며, 트렌치(524) 내에서 음향 공진기(100)와 모듈 기판(510) 사이에 차단 부재(540)가 배치된다. 도 26에서 차단 부재(540)는 도 24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과 유사하게 접속 단자(522)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형태로 차단 부재(540)를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shown in FIG. 27 is formed with a trench 524 on one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510 as shown in FIG. 20, and between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in the trench 524 In the blocking member 540 is disposed. In FIG. 26, the blocking member 540 is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on terminal 522 similarly to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llustrated in FIG. 24.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configuring the blocking member 540 in the shapes shown in FIGS. 22 and 23 are possible.

도 28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은 차단 부재(540a)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단 부재(540a)는 음향 공진기(100)의 하부면과 모듈 기판(510) 사이에 배치되되, 접속 단자(522)와는 이격 배치된다.In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shown in FIG. 28, the blocking member 540a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refore, the blocking member 540a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522.

본 실시예의 차단 부재(540a)는 접속 단자(522)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부재(540a)는 접속 단자(522)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locking member 540a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connection terminal 522. Therefore, the blocking member 540a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nnection terminal 522.

또한 차단 부재(540a)는 음향 공진기(100)의 도전성 재질에 접합되므로, 폴리머를 이용한 차단 부재(도 25의 540)와는 달리 음향 공진기(100)에 견고하게 접합된다. 따라서 차단 부재(540a)가 접속 단자(522)와 접합되지 않더라도 차단 부재(540a)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ocking member 540a is bond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unlike the blocking member using the polymer (540 in FIG. 25), it is firmly bonded to the acoustic resonator 100. Therefore, even if the blocking member 540a is not join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522, the blocking member 540a can be fixedly arranged at a desired position.

도 28에서는 차단 부재(540a)가 접속 단자들(522)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 부재(540a)를 접속 단자들(522)의 내측(예컨대, 공진부와 접속 단자 사이)에 배치하거나, 차단 부재(540a)의 일부는 외측에 배치하고 나머지 일부는 내측에 배치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2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blocking member 540a is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s 522,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locking member 540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s necessary, such as being disposed inside the 522 (eg, between the resonator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r a part of the blocking member 540a is disposed outside and the other part is disposed inside.

도 29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 모듈은 차단 부재(540b)가 음향 공진기의 측면에 배치된다. In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llustrated in FIG. 29, a blocking member 540b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acoustic resonator.

본 실시예의 음향 공진기 모듈은, 음향 공진기(100)를 모듈 기판(510)에 먼저 실장한 후, 음향 공진기(100)의 테두리를 따라 차단 부재(540b)를 형성한다. In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of this embodiment, the acoustic resonator 100 is first mounted on the module substrate 510, and then a blocking member 540b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본 실시예의 차단 부재(540b)는 니들(niddle)을 통해 액상의 절연 물질을 음향 공진기(100)의 테두리와 모듈 기판(510) 사이로 주입한 후, 이를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액상의 절연 물질은 폴리머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locking member 540b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liquid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rim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through a needle, and then curing it. Here, the liquid insulating material may be a poly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한 방법을 차단 부재(540b)를 형성함에 따라, 본 실시예의 차단 부재(540b)는 음향 공진기(100)의 하부면과 모듈 기판(510) 사이뿐만 아니라, 음향 공진기(100)의 기판(110) 측면에도 배치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음향 공진기(100)의 상부면으로 확장 배치될 수 있다.As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ms the blocking member 540b, the blocking member 540b of this embodiment is not only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and the module substrate 510, but also the substrate 110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 Is also placed on the side. Also,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arranged to be exte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100, if necessary.

한편 도 28에서는 차단 부재(540b)가 접속 단자(522)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차단 부재(540b)는 모듈 기판(510) 상에 도포되므로, 차단 부재(540b)의 움직임이 억제된다. 따라서 차단 부재(540b)가 접속 단자(522)와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FIG. 28 shows a case in which the blocking member 540b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onnection terminal 522. However, since the blocking member 540b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on the module substrate 510,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member 540b is suppressed.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blocking member 540b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522.

도 30 및 도 31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필터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30 and 31 are schematic circuit diagrams of a filt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30 및 도 31의 필터에 채용되는 복수의 체적 음향 공진기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음향 공진기에 대응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volume acoustic resonators employed in the filters of FIGS. 30 and 31 corresponds to the acoustic resonators shown in FIG. 3.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1000)는 래더 타입(ladder type)의 필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1000)는 복수의 음향 공진기(1100, 1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0, the filter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ladder type filter structure. Specifically, the filter 1000 includes a plurality of acoustic resonators 1100 and 1200.

제1 음향 공진기(1100)는 입력 신호(RFin)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단과 출력 신호(RFout)가 출력되는 신호 출력단 사이에 직렬 연결될 수 있고, 제2 음향 공진기(1200)는 상기 신호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The first acoustic resonator 1100 may b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signal input terminal to which an input signal RFin is input and a signal output terminal to which an output signal RFout is output, and the second acoustic resonator 1200 is between the signal output terminal and ground. Is connected to.

도 3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2000)는 래티스 타입(lattice type)의 필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2000)는 복수의 음향 공진기(2100, 2200, 2300, 2400)를 포함하여, 밸런스드(balanced) 입력 신호(RFin+, RFin-)를 필터링하여 밸런스드 출력 신호(RFout+, RFout-)를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1, the filter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lattice type filter structure. Specifically, the filter 2000 includes a plurality of acoustic resonators 2100, 2200, 2300, 2400, and filters the balanced input signals RFin+ and RFin- to output the balanced output signals RFout+ and RFout-. Can print

또한, 도 30의 래더 타입(ladder type)의 필터 구조와 도 31의 래티스 타입(lattice type) 의 필터 구조를 조합한 필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formed of a filter structure combining the filter structure of the ladder type (ladder type) of Figure 30 and the filter structure of the lattice type (lattice type) of Figure 31.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100: 음향 공진기
110: 기판
120: 공진부
121: 제1 전극
123: 압전층
125: 제2 전극
127: 보호층
130: 소수성층
140: 희생층
150: 멤브레인층
170: 삽입층
500: 음향 공진기 모듈
510: 모듈 기판
530: 밀봉부
540: 차단 부재
1000, 2000: 필터
1100, 1200, 2100, 2200, 2300, 2400: 음향 공진기
100: acoustic resonator
110: substrate
120: resonator
121: first electrode
123: piezoelectric layer
125: second electrode
127: protective layer
130: hydrophobic layer
140: sacrificial layer
150: membrane layer
170: insertion layer
500: acoustic resonator module
510: module board
530: seal
540: blocking member
1000, 2000: filter
1100, 1200, 2100, 2200, 2300, 2400: acoustic resonator

Claims (18)

모듈 기판;
상기 모듈 기판에 접속 단자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모듈 기판과 이격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및
상기 음향 공진기를 봉합하는 밀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기 모듈 기판의 상면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모듈 기판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공진부를 구비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 module substrate;
An acoustic resonator connected to the module substrate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and spaced apart from the module substrate; And
A sealing unit sealing the acoustic resonator;
It includes,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s disposed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having a resonator having a space formed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는
상면에 절연층이 배치되는 기판;
상기 절연층과 함께 캐비티를 형성하는 멤브레인층;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전극, 압전층 및 제2 전극이 적층된 공진부;
상기 공진부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형성된 소수성층;
을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acoustic resonator
A substrate on which an insulating layer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A membrane layer forming a cavity together with the insulating layer;
A resonator unit disposed on the cavity and having a first electrode, a piezoelectric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stacked;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resonator; And
A hydrophobic layer formed on the protective layer;
Acoustic resonator modu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층은 증착 후 물에 의한 접촉각(contact angle)이 90˚ 이상이 되는 물질로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hydrophobic layer is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ntact angle of 90° or more after deposition after de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층은 플루오린(fluorine, F) 및 실리콘(silicon, 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hydrophobic layer is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fluorine (F) and silicon (silicon, S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층은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기 기판 및 상기 멤브레인층에 캐비티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hydrophobic layer is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formed to surround a cavity in the substrate and the membrane layer forming a ca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실리콘 옥사이드 계열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계열의 절연물질로 형성되는 제1 보호층과, 알루미늄 옥사이드 계열,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 계열, 마그네슘 옥사이드 계열, 타이타늄 옥사이드 계열, 지르코늄 옥사이드 계열, 및 진크 옥사이드 계열 중 어느 하나의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ective layer is a first protective layer formed of a silicon oxide-based or silicon nitride-based insulating material, and an aluminum oxide-based, aluminum nitride-based, magnesium oxide-based, titanium oxide-based, zirconium oxide-based, and zinc oxide-based Acoustic resonator module including a second protective layer formed of any one insulating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와 상기 모듈 기판 사이의 거리는 10㎛ ~ 30㎛인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ance between the acoustic resonator and the module substrate is 10 µm to 30 µ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의 상면에는 트렌치가 형성되며, 상기 음향 공진기와 상기 모듈 기판을 연결하는 상기 접속 단자의 일부분은 상기 트렌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trench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and a por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connecting the acoustic resonator and the module substrate is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disposed inside the trenc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의 상면과 상기 음향 공진기의 하부면 테두리 부분 사이의 거리는 0㎛ ~ 20㎛인 음향 공진기 모듈.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and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coustic resonator is 0 μm to 20 μ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수평 길이(L2)는 음향 공진기의 수평 길이(L1)보다 작은 음향 공진기 모듈.
The method of claim 8,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of the horizontal length (L2) of the trench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L1) of the acoustic resona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깊이는 20㎛ ~ 30㎛인 음향 공진기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The depth of the trench is 20㎛ ~ 30㎛ acoustic resonator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와 상기 모듈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acoustic resonator and the module substr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접속 단자의 적어도 일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2,
The blocking member is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disposed to contac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모듈 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2,
The blocking member is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의 상면에는 트렌치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트렌치 내에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2,
A trench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dule substrate, and the blocking member is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disposed in the trenc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 단자와 이격 배치되는 음향 공진기 모듈.
The method of claim 12,
The blocking member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is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acoustic resonator module further comprises a blocking member disposed outside the connection terminal and formed to cover a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공진기에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전자 소자를 더 포함하는 음향 공진기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n acoustic resonator module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nic element mounted on the substrate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acoustic resonator.
KR1020190042081A 2018-11-30 2019-04-10 bulk-acoustic resonator module Active KR102224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40,480 US11476832B2 (en) 2018-11-30 2019-08-14 Bulk-acoustic resonator module
CN201911162917.0A CN111262549B (en) 2018-11-30 2019-11-25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52385 2018-11-30
KR1020180152385 2018-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131A true KR20200066131A (en) 2020-06-09
KR102224307B1 KR102224307B1 (en) 2021-03-08

Family

ID=7108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081A Active KR102224307B1 (en) 2018-11-30 2019-04-10 bulk-acoustic resonator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30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724A (en) * 2020-12-24 2022-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Bulk-acoustic wave resona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240069038A (en) * 2022-11-11 2024-05-20 (주)와이솔 Filter device with ink protectiv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9960A1 (en) * 2003-01-07 2004-08-19 Shinichi Fujiwara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31924B1 (en) 2006-12-04 2007-06-28 주식회사 나노트론 Process control method by measuring substrate warpage, storage medium recording such process method and process equipment suitable for such process method
US20070200146A1 (en) * 2006-02-28 2007-08-30 Keiji Onishi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70130228A (en) * 2016-05-18 2017-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9960A1 (en) * 2003-01-07 2004-08-19 Shinichi Fujiwara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200146A1 (en) * 2006-02-28 2007-08-30 Keiji Onishi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731924B1 (en) 2006-12-04 2007-06-28 주식회사 나노트론 Process control method by measuring substrate warpage, storage medium recording such process method and process equipment suitable for such process method
KR20170130228A (en) * 2016-05-18 2017-11-28 삼성전기주식회사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724A (en) * 2020-12-24 2022-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Bulk-acoustic wave resona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240069038A (en) * 2022-11-11 2024-05-20 (주)와이솔 Filter device with ink protectiv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307B1 (en)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528B1 (en)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8988818B (en)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coustic resonator
CN111262549B (en)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module
CN110581697B (en) Acoustic resonat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0499366C (en) Piezoelectric thin-film resonator and filter and fabricating method
CN108540103A (en)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coustic resonator
US11437561B2 (en) Acoustic resonator
US11418168B2 (en)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4330B1 (en) Filter including acoustic wave resonator
CN112468106B (en)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KR102449355B1 (en)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145309B1 (en) Acoustic resonator
KR102224307B1 (en) bulk-acoustic resonator module
KR102449367B1 (en)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107024B1 (en) Acoustic resonator
KR102345121B1 (en) bulk-acoustic resonator and bulk-acoustic filter device
KR102426210B1 (en) Filter including acoustic wave resonator
US20220399874A1 (en) Acoustic wave resonator package
KR102207282B1 (en) Filter including acoustic wave resonator
KR20220087164A (en) Bulk-acoustic wave resonator package
KR102588800B1 (en) Acoustic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40158631A (en) Bulk acoustic resonator, bulk acoustic resonat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 thereof
KR20230037857A (en) Bulk acoustic resonator package
KR20230038965A (en) Bulk acoustic reson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