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76557A - Tissue Retrieval Device - Google Patents

Tissue Retriev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557A
KR20200076557A KR1020190040504A KR20190040504A KR20200076557A KR 20200076557 A KR20200076557 A KR 20200076557A KR 1020190040504 A KR1020190040504 A KR 1020190040504A KR 20190040504 A KR20190040504 A KR 20190040504A KR 20200076557 A KR20200076557 A KR 20200076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extraction device
handle assembly
string
abdominal cav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5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190040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557A/en
Publication of KR2020007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557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시 복강 내에서 절제된 인체 조직을 담아 체외로 적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5파이 트로카를 이용해 복강에 투입 가능하도록 소형화한 조직 적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는 파우치, 핸들 어셈블리, 가이드 튜브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5.5mm 이하 크기의 외경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xcising human tissues excised from the abdominal cavity into the bod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ssue extraction device that has been miniaturized so that it can b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using a 5 pie trocar.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uch, a handle assembly, and a guide tube, and has an outer diameter of 5.5 mm or less overall.

Description

조직 적출 장치{Tissue Retrieval Device}Tissue Retrieval Device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시 복강 내에서 절제된 인체 조직을 담아 체외로 적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5파이 트로카를 이용해 복강에 투입 가능하도록 소형화한 조직 적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xcising human tissues excised from the abdominal cavity into the bod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ssue extraction device that has been miniaturized so that it can be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using a 5 pie trocar.

복강경 수술(Laparoscopic Surgery)은 인체 상의 수 개의 작은 절개부(incision)를 통해 복강 내에 수술 기구를 삽입하여 행하는 수술 방식으로 종래 개복 수술(開腹手術)과 달리 수술에 따른 상처를 최소화하여 환자의 회복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은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 또는 내시경 수술(Endoscopic Surgery)라고도 한다. Laparoscopic Surgery is a surgical method in which a surgical instrument is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several small incisions on the human body, and unlike conventional open surgery, it minimizes wounds caused by surgery and recovers patients. You can do it quickly. Such laparoscopic surgery is also referred to as minimally invasive surgery or endoscopic surgery.

복강경 수술은 인체 내의 조직(tissue) 또는 장기(organ)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절제하여 제거하는 수술에 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신장절제(nephrectomy), 담낭절제(cholecystectomy), 십이지장절제(duodenectomy), 공장(空腸)절제 (jejunectomy), 근종절제(myomectomy) 수술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적용 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Laparoscopic surgery is mainly used for surgery to remove and remove some or all of tissues or organs in the human body. For example, it is used in nephrectomy, cholecystectomy, duodenectomy, jejunectomy, myomectomy,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gradually expanding.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절제된 인체 조직 또는 장기(이하, '조직'이라 통칭한다)는 합성수지 재질의 반투명 파우치에 담겨 인체의 절개부를 통해 체외로 적출된다. 조직을 담는 파우치는 인출 과정에서 절제된 조직이 주변 장기를 감염시키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파우치는 “엔도백(endo-bag)”, “랩백(lap-bag)”으로 불리며, 이를 조작하기 위한 기구물과 함께 조직 적출 장치의 일부를 구성한다. Human tissues or org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tissues') that are excised in the process of laparoscopic surgery are stored in a translucent pouch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re excreted through the incision of the human body. The pouch containing the tissue provides a function to prevent the resected tissue from infecting or damaging surrounding organs during the withdrawal process. These pouches are referred to as “endo-bags” and “lap-bags”, and together with the instruments for manipulating them, form part of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복강경 수술은 3 ~ 4 개소 이상의 절개부에 트로카(trocar)(“투관침”이라고도 함)를 삽입한 상태로 수행된다. 트로카는 복부에 가스(예,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부풀어 오르도록 함으로써 수술기구들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의사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수술을 위한 각종 기구들, 예를 들어 내시경 카메라(endoscopy camera), 가위(scissors), 집게(forceps), 스테플러(stapler) 등을 삽입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Laparoscopic surgery is performed with a trocar (also known as a “trocar”) inserted in 3 to 4 or more incisions. Trocar injects gas (e.g., carbon dioxide) into the abdomen to cause it to swell, thereby creating a space for surgical instruments to move and allowing the doctor to secure a field of view. And it provides a path for inserting various instruments for surgery, for example, endoscopy camera, scissors, forceps, stapler, and the like.

트로카는 수술 종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내경에 따라 5파이, 10파이 등으로 분류된다. 5파이 트로카는 직경 약 5mm 크기의 수술 도구들을 복강에 삽입하기 위한 제품으로 5파이 트로카의 내경은 5.6 ~ 6.0 mm 크기를 갖는다. 10파이 트로카는 직경 약 10mm 크기의 수술 도구들을 복강에 삽입하기 위한 제품으로 10파이 트로카의 내경은 10.6 ~ 11.0 mm의 크기를 갖는다. Trocars are used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type of surgery and purpose of use, and are classified into 5 pies and 10 pies according to their inner diameter. The 5 pie trocar is a product for inserting surgical instruments about 5 mm in diameter into the abdominal cavit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5 pie trocar has a size of 5.6 to 6.0 mm. The 10-pie trocar is a product for inserting surgical instruments of about 10 mm in diameter into the abdominal cavit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10-pie trocar has a size of 10.6 to 11.0 mm.

트로카 삽입을 위해 인체에 형성되는 절개부는 환자에게 상처를 남겨 수술 후 회복 기간을 길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고, 수술 중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는 최소한의 개수로, 가능하면 작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에 조직 적출 장치는 10mm 외경을 가지고 있었으며, 복강경 수술시 적어도 10파이 트로카와 함께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수술 후 상처를 최소화하기 어려웠다.An incision formed in the human body for trocar insertion may leave a wound on the patient, which may be a factor in lengthen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surgery, and may increase the risk of infection during surger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make the incision with the smallest number and as small as possible. However, in the prior art,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had an outer diameter of 10 mm, and it was difficult to minimize the wound after surgery because it was used with at least 10 pie trocars during laparoscopic surgery.

KRKR 10-2014-003515710-2014-0035157 AA USUS 64097736409773 B1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5파이 트로카에 사용될 수 있도록 직경을 최소화한 조직 적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ssue extraction device with a minimum diameter so that it can be used in a 5 pie trocar.

또한,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조작이 쉬운 조직 적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ssue extraction device that is easy to operat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또한, 본 발명은 단순화된 구성을 가지면서 가공성이 향상된 조직 적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ssue extraction device having a simplified configuration and improved processabilit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는 복강경 수술 시 복강내 절제된 인체 조직을 담기 위한 파우치와, 복강 내에서 상기 파우치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핸들 어셈블리와, 상기 파우치에 연결되어 상기 파우치를 복강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트링과, 상기 파우치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가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를 통해 복강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파우치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를 내장하여 보관하는 가이드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튜브는 외경이 5.5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 튜브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uch for containing the abdominal abdominal tissu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a handle assembly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pouch in the abdominal cavity, and the pouch connected to the pouch A string used to withdraw the outside of the abdominal cavity, and a guide tube for storing the pouch and the handle assembly in order to guide the pouch and the handle assembly to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for laparoscopic surgery. , The guide tube has an outer diameter of 5.5 mm or less,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assembly has a smaller siz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또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파우치의 입구부를 지지하며, 상기 파우치의 상기 입구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와, 복강 내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핸들바와,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핸들바의 전방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프론트캡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캡은 상기 핸들바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된다. In addition, the handle assembly supports an inlet portion of the pouch, an elastic member having a shape extended laterally to open the inlet portion of the pouch, and a handle bar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ember in the abdominal cavity. , A front cap for coupling the elastic member to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ar, and the front cap is assembled to the handle bar by a screw coupling method.

또한, 상기 핸들바는 내부가 빈 중공형의 막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스트링은 상기 파우치의 상기 입구부 둘레에 내장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핸들바의 중공된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다.In addition, the handle bar has a hollow hollow rod shape, and the string extends from the annular portion of the pouch, and extends from the annular portion to penetrate the hollow interior of the handlebar. It has an extended portion.

또한, 상기 프론트캡은 상기 핸들바와의 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상기 스트링의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는 외주면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외주면홈부 상에 헐거운 끼움 방식으로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front cap includes a screw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coupling with the handle bar,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portion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receive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string,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string is the It is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by a loose fitting method.

또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바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는 리어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캡은 상기 핸들바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리어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트링의 상기 연장부를 상기 핸들바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인출홈상에 헐거운 끼움 방식으로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hand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rear cap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and the rear cap is assembled to the handle bar by a screw coupling method,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string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cap. A draw groove for drawing out of the handle bar is formed,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string is supported on the draw groove in a loose fitting manner.

또한, 상기 리어캡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n uneven portion for preventing slipping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cap.

또한, 상기 리어캡은 상기 핸들바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리어캡은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는 2피치 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rear cap has a screw portion for screwing with the handle bar, and the rear cap has a length of 2 pitch or less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by a force applied in the lateral direction.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론트캡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프론트캡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 단부에는 측방향 바깥으로 꺾인 절곡부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cap, and a bent portion bent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does not deviate from the front of the front cap.

또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이드 튜브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파우치가 걸려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부재의 전방 단부는 곡선을 이루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formed to be rounded so as to be curved so as to prevent the pouch from being caught and damaged when the elastic member moves forward of the guide tube.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는 복강경 수술 시 절제된 인체 조직을 복강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조직 적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직 적출 장치는 절제된 인체 조직을 담기 위한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를 복강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을 위한 핸들 어셈블리와, 상기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전방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복강에 삽입된 트로카를 통해 상기 파우치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전방 일부가 복강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튜브와, 상기 파우치의 입구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우치를 복강 외부에서 끌어당기기 위한 스트링을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가 상기 가이드 튜브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직 적출 장치의 외경은 5.5mm 이하이다. In addition, another tissu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issue extraction device for withdrawing the resected human tissue to the outside of the abdominal cavit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is a pouch for containing the resected human tissue And, the handle assembly for the operation of moving the pouch inside the abdominal cavity, and the pouch and the handle assembly through a trocar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while receiving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handle assembly in which the pouch and the pouch are combined therein It includes a guide tube for guiding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abdominal cavity to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and a string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pouch to pull the pouch from the outside of the abdominal cavity, wherein the pouch and the handle assembly are the guide tube In the inserted state, the outer diameter of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is 5.5 mm or less.

또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탄성 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양측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파우치의 입구부 둘레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사용시 전방 일부가 복강 내부로 삽입되는 핸들바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핸들바의 전방 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프론트캡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바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스트링은 상기 프론트캡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면홈부를 통해 상기 핸들바 내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In addition, the handle assembly has a shape extended in both directions in the absence of elastic deformation and supports an elastic member around the inlet of the pouch, a handle bar in which a part of the front is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when used, and the elastic member It includes a front cap for coupling to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ar, and the handle bar has a hollow shape inside, and the string extends through the inside of the handle bar through an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formed on the front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cap. .

또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바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리어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트링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hand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rear cap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and an outgoing groove for drawing the string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cap.

또한, 상기 스트링은 상기 핸들 어셈블리 상에 헐거운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복강경 수술 중 상기 파우치와 상기 스트링을 복강 내에 남겨둔 상태에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만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tring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handle assembly in a loose fit manner, so that only the handle assembly can be removed while the pouch and the string are left in the abdominal cavit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는 가이드 튜브의 외경이 5.5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가이드 튜브에 내장되는 핸들 어셈블리의 외경이 가이드 튜브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복강경 수술시 5파이 트로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조직 적출 장치가 10파이 트로카와 사용되던 것에 반하여 수술에 따른 상처를 최소화하고 환자의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In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has a size of 5.5 mm or less,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assembly embedded in the guide tube has a smaller siz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and thus 5 pi trocar during laparoscopic surgery Can be used together. Therefore,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tissue extraction device used with 10 pie trocar,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wounds caused by surgery and enabling rapid recovery of patients.

또한, 핸들 어셈블리의 외경이 가이드 튜브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핸들 어셈블리를 남겨둔 상태에서 가이드 튜브만 쉽게 제거 가능하고, 트로카 내에서 핸들 어셈블리를 조작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 파우치 위치 변경을 위한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assembly has a smaller siz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only the guide tube can be easily removed while leaving the handle assembly in the process of laparoscopic surgery, and a free space for manipulating the handle assembly in the trocar is secured.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operation for changing the pouch position.

또한, 스트링은 핸들 어셈블리 상에 묶여 있지 않고, 핸들 어셈블리상에 헐겁게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파우치와 스트링만 복강 내에 남겨 둔 상태에서 핸들 어셈블리만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ecause the string is not tied to the handle assembly, and is loosely coupled to the handle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the handle assembly can be easily removed while only the pouch and the string are left in the abdominal cavity.

또한, 핸들바에 대하여 프론트캡과 리어캡이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 접착제 사용에 수반되던 장시간의 조립시간의 문제와 접착 부위 소재의 물성 변형 및 장기간 보관에 따른 파손 등의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cap and the rear cap are configured to be assembled by a screwing method with respect to the handlebar, problems of long assembly time associated with the use of conventional adhesives, physical property deformation of the adhesive site material, and damage due to long-term storage, etc. There is a risk-free advantage.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 그에 따른 단면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그에 따른 단면도.
도6 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를 복강경 수술 시 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ssu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ssu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tissu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ly.
4 and 5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issu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using a tissu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laparoscopic surger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es, and equival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understood from the entirety of this specifica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consists,” and “haves,” which may be used below, do not ex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functions.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제2…”, “첫째”, “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First… ”, “The second… Expressions such as ”, “first”, and “second” should not be construed to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between compon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된다”, “연결된다” 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거나 개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xpressions such as “joined,” “joined,” etc., which may be used hereinafter, may be intervened or intervened as well a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unless explicitly stated. do.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the following, the use of the term singular expression does not ex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explicitly stated.

아래에서는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tissue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1)는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인체 내에서 절제한 조직을 담기 위한 파우치(10)를 포함한다. 파우치(10)는 생체적합성 고분자(biocompatible polymer)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 라텍스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파우치(10)는 이러한 고분자 수지로 제조된 필름을 두 겹으로 중첩하고, 둘레 부분을 접착 또는 융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파우치(10)는 내부가 잘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uch (10) for containing the resected tissue in the human bod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he pouch 10 may be made of a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polyuretha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vinyl, latex, or the like. The pouch 10 is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a film made of such a polymer resin is superimposed in two layers and the circumferential part is adhered or fused. The pouch 10 is preferably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so that the inside is clearly visible.

파우치(10)는 개방된 입구부(11)를 가진다. 파우치(10)에 담기는 조직은 입구부(11)를 통해 투입된다. 입구부(11) 둘레에는 중공 테두리부(12)가 구성된다. 중공 테두리부(12)는 입구부(11) 둘레를 따라 내부가 비어 있는 통로를 형성하며, 이 중공의 통로에는 후술할 스트링(20)의 고리부(21) 및 탄성부재(31)가 삽입된다. The pouch 10 has an open inlet 11. The tissue contained in the pouch 10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 A hollow rim portion 12 is formed around the inlet portion 11. The hollow rim portion 12 forms an empty passage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let portion 11, into which the ring portion 21 and the elastic member 31 of the string 2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

또한, 조직 적출 장치(10)는 파우치(10)에 연결되는 스트링(20)과, 복강 내에서 파우치(10)의 위치와 움직임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 어셈블리(3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0 includes a string 20 connected to the pouch 10 and a handle assembly 30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 and movement of the pouch 10 in the abdominal cavity.

스트링(20)은 파우치(10)에 연결되며, 수술 후 복강 외부로 파우치(10)를 인출하기 위해 잡아당기는 용도로 사용된다. 스트링(20)은 면, 나일론, 실크 또는 합성 수지 등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스트링(20)은 한 가닥의 긴 실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데, 긴 실의 한쪽 끝단에 중공의 고리 매듭을 만들고, 다른 끝단을 이 고리 매듭에 관통시킨다. 이에 의해 하나의 원모양을 이루는 고리부(21)와 고리부(2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2)를 구성한다(도2 참조). 이렇게 만들어진 고리부(21)는 파우치(10)의 중공 테두리부(12)에 내장되고, 사용자가 연장부(22)를 잡아당기면 고리부(21)가 오므라들면서 파우치(10)의 입구부(11)가 닫히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The string 20 is connected to the pouch 10 and is used for pulling the pouch 10 out of the abdominal cavity after surgery. The string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otton, nylon, silk, or synthetic resin. The string 20 is made using a long strand of one strand, making a hollow ring knot at one end of the long thread, and penetrating the other end through the ring knot. Thereby, the ring part 21 forming one circle and the extension part 22 extending from the ring part 21 are constituted (see FIG. 2). The ring portion 21 made in this way is embedded in the hollow rim portion 12 of the pouch 10, and when the user pulls the extension portion 22, the ring portion 21 shrinks and the opening portion 11 of the pouch 10 ) Is used in a closed way.

핸들 어셈블리(30)는 파우치(10)의 중공 테두리부(12)에 삽입되어 파우치(10) 입구부(11)를 지지하고, 입구부(11)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31)와, 탄성 부재(31)와 결합되는 막대 형태의 핸들바(33)를 포함한다. The handle assembly 3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rim portion 12 of the pouch 10 to support the pouch 10 inlet 11 and a pair of elastic members to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inlet 11 ( 31), and a handle bar 33 in the form of a rod coupled to the elastic member 31.

탄성 부재(31)는 측방향으로 벌어져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도2 및 도4 참조). 이하에서는 편의상 핸들바(33)에 나란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고,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측방향이라 한다. 그리고, 핸들바(33)의 양단부 중 탄성부재(31)가 결합되는 쪽 단부를 전방 단부, 그 반대쪽 단부를 후방 단부라고 한다. The elastic member 31 has an extended shape that is spread laterally (see FIGS. 2 and 4). Hereinafter, for convenience,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andle bar 33 is called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alled a lateral direction. In addition, the end of the both ends of the handle bar 33 to which the elastic member 31 is coupled is referred to as a front end, and the opposite end is referred to as a rear end.

탄성 부재(31)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티타늄, 니티놀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31)는 좌우 한 쌍이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다. 탄성 부재(31)는 좌우로 확장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이룬다. 한 쌍의 탄성 부재(31)는 그 후방 단부에서 핸들바(33)에 결합된다. The elastic member 3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stiffness,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titanium, nitinol, or the like. In addition, it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The elastic member 31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symmetrical shapes. The elastic member 31 forms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extending from side to side. A pair of elastic members 31 is coupled to the handlebar 33 at its rear end.

핸들바(33)는 내부가 빈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핸들바(33)는 수술시 사용자가 잡고 움직여 파우치(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탄성부재(31)를 충분한 힘으로 지지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핸들바(33)는 소정의 강성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The handle bar 33 has a hollow hollow pipe shape. The handle bar 33 is used to move the pouch 10 to a desired position by a user holding and moving during surgery. The handle bar 33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predetermined rigidity and elasticity so that the elastic member 31 can be supported and moved with sufficient force, for example,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aluminum alloy, or synthetic resin material. Can be manufactured as.

핸들바(33)의 개방된 양단부에는 이를 막음하는 프론트캡(32) 및 리어캡(34)이 결합된다. The front end cap 32 and the rear cap 34, which prevent it, are coupled to both open ends of the handle bar 33.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프론트캡(32)은 핸들바(33)의 전방 단부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프론트캡(3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를 이루는 나사산부(32a)가 형성되고, 핸들바(33) 전방 단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를 이루는 나사산부(33a)가 형성된다. 3 and 4, the front cap 32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ar 33 by a screw coupling method, and for this purpose, a thread portion 32a forming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cap 32. It is formed, and a thread portion 33a forming a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ar 33.

탄성부재(31)의 후방 단부는 프론트캡(32)의 중심에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중앙홀(32b)을 관통하여 결합된다(도5 참조). 탄성부재(31)가 프론트캡(32)의 전방으로 빠져나가 분리되지 않도록 탄성부재(31)의 후방 단부에는 측방향 바깥으로 꺾인 절곡부(31a)가 형성된다. 프론트캡(32)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부재(31)와 프론트캡(32)을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 방식에 의해 일체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론트캡(32)에 탄성부재(31)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립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The rear end of the elastic member 31 is coupled through the center hole 32b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cap 32 (see FIG. 5). In order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 31 from coming out of the front cap 32 and separating it, a bending part 31a bent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elastic member 31. The front cap 32 can be made of plastic injec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tegrally process the elastic member 31 and the front cap 32 by an insert molding method. By doing so, a separate assembly process for coupling the elastic member 31 to the front cap 32 can be omitted.

스트링(20)의 연장부(22)는 핸들바(33) 내부 중공부(33c)를 관통하여 바깥으로 연장된다. 프론트캡(32)에는 연장부(22)가 지나는 통로를 이루는 외주면홈부(32c)가 형성된다. 외주면홈부(32c)는 프론트캡(3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어 형성된다(도4 참조). 외주면홈부(32c)는 나사산부(32a)에도 형성된다. 스트링(20)은 외주면홈부(32c) 상에 타이트하게 고정되지 않고 미끄럼 가능하게 헐겁게 지지된다(이하에서는 이를 “헐거운 끼움 방식” 이라 한다). 즉, 사용자가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스트링(20)을 외주면홈부(32c)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The extension portion 22 of the string 20 extends outwardly through the hollow portion 33c inside the handlebar 33. The front cap 32 is formed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2c form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xtension 22 pa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2c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front cap 32 (see FIG. 4).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groove portion 32c is also formed in the thread portion 32a. The string 20 is not tightly fix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32c and is slidably supported loose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ose fitting method"). That is, the string 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groove 32c without the user's effort.

리어캡(34)은 핸들바(33)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리어캡(34)의 전방에는 수나사를 이루는 나사산부(34a)가 형성되고, 핸들바(33)의 후방 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를 이루는 나사산부(33b)가 형성된다. The rear cap 34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bar 33. To this end, a thread portion 34a forming a male screw is formed in front of the rear cap 34, and a thread portion 33b forming a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33.

핸들바(33) 전체 길이를 관통한 연장부(22)가 핸들바(33) 후방 단부 둘레를 타고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리어캡(34) 나사산부(34a)의 둘레에는 연장부(22)가 지나는 통로를 이루는 인출홈(34b)이 형성된다(도4 참조). 프론트캡(32)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트링(20)은 인출홈(34b) 상에 타이트하게 고정되지 않고 미끄럼 가능하게 헐거운 끼움 방식으로 지지된다. The extension portion 22 around the rear cap 34 threaded portion 34a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 22 penetrating the entire length of the handle bar 33 rides arou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handle bar 33 and is drawn out. A withdrawal groove 34b forming a passage through is formed (see FIG. 4). As in the front cap 32, the string 20 is not tightly fixed on the withdrawal groove 34b, but is supported in a slidably loose fit manner.

리어캡(34)은 핸들바(33)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리어캡(34)은 핸들바(33)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풀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핸들바(3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1~2회의 회전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나사산부(34a)의 길이(La)는 나사산 피치(pitch)의 2배 이내의 길이로 짧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3 참조). 리어캡(34)의 외주면에는 손가락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34c, 도1 참조)가 형성되고 마찰력을 크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리어캡(34)의 나사산부(34a)는 길이가 짧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될 수 있다. The rear cap 34 is configured to be easily detachable from the handle bar 33. Since the rear cap 34 is screwed to the handle bar 33,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handle bar 33 by rotation in the unlock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La of the threaded portion 34a is short to a length within twice the thread pitch (see FIG. 3)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by one or two rotations (see FIG. 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cap 34, an uneven portion 34c (see FIG. 1) for preventing slipping with a finger is formed and provides a function of increasing friction. In addition, since the threaded portion 34a of the rear cap 34 has a short length, it can be easily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lateral direction.

조직 적출 장치(1)는 가이드 튜브(40)를 포함한다. 가이드 튜브(40)는 전술한 파우치(10) 및 핸들 어셈블리(30)가 트로카를 통해 복강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파우치(10)와 핸들 어셈블리(30)의 탄성부재(31)는 접혀진 상태로 가이드 튜브(40) 내에 보관되어 있다가 수술시 밖으로 노출되어 펼쳐져 사용된다. 가이드 튜브(40)는 약 30cm(센티미터)의 길이를 가지나, 용도에 따라서 그 보다 더 길거나 짧을 수도 있다. 핸들바(33)는 약 40cm(센티미터)의 길이를 가지나, 그 또한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이드 튜브(40)는 수술 과정에서 그 전방 단부가 복강 내로 삽입되는 요소로써 생체 적합성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금속으로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수지로는 폴리카보네이트, ABS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31)는 파우치(10)와 함께 가이드 튜브(40)에 보관될 때 길이 방향을 따라 납작하게 탄성 변형되어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탄성부재(31)의 전방 단부는 각진 모서리 없이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이룬다(도1의 확대부 “A” 참조). 즉, 탄성부재(31)의 전방 단부는 라운드진 형태를 갖는다. 이는 가이드 튜브(40) 내에 보관되어 있던 탄성 부재(31)가 전방으로 밀려져 이동되는 과정에서 파우치(10)가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includes a guide tube 40. The guide tube 40 guides the aforementioned pouch 10 and handle assembly 30 to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The elastic member 31 of the pouch 10 and the handle assembly 30 is stored in the guide tube 40 in a folded state, and is exposed and used outside during surgery. The guide tube 40 has a length of about 30 cm (centimeter), but may be longer or shorter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handlebar 33 has a length of about 40 cm (centimeter), but it can also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 The guide tube 40 is preferably made of a biocompatible material as an element whose front end is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during a surgical procedure, and may be made of metal or plastic resin. As the metal, stainless steel, aluminum alloy, or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polycarbonate, ABS resin, etc. may be used as the plastic resin. When the elastic member 31 is stored in the guide tube 40 together with the pouch 10, the elastic member 31 is elastically de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tored in a folded state.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member 31 has a smooth curved shape without an angled corner (see enlarged portion “A” in FIG. 1).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member 31 has a rounded shape. This is to prevent the pouch 10 from being torn or damaged while the elastic member 31 stored in the guide tube 40 is pushed forward and moved.

도5를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1)는 5파이 트로카를 통해 복강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튜브(40)는 외경(Da)이 5.5mm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5.0 ~ 5.5 mm 의 크기를 갖는다. 파우치(10) 및 핸들 어셈블리(30)는 가이드 튜브(40)에 내장되어 보관되므로 조직 적출 장치(1)의 전체적인 외경은 가이드 튜브(40)의 외경(Da)에 의해 결정된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tube 40, the outer diameter (Da) has a size of 5.5mm or less,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5 pie trocar, preferably Has a size of 5.0 to 5.5 mm. Since the pouch 10 and the handle assembly 30 are stored in the guide tube 40 and stored, the overall outer diameter of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is determined by the outer diameter Da of the guide tube 40.

또한, 핸들 어셈블리(30)가 가이드 튜브(40)에 내장될 수 있도록 핸들 어셈블리(30)의 외경(Dc)은 가이드 튜브(40)의 내경(Db)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핸들 어셈블리(30)의 외경(Dc)는 탄성부재(31)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 즉, 프론트캡(32), 핸들바(33), 및 리어캡(34)의 단면이 이루는 최외각 직경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 튜브(40)의 내경(Db)이 4.8mm 일 때, 핸들 어셈블리(30)의 외경(Dc)은 4.5 mm 일 수 있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diameter Dc of the handle assembly 3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b of the guide tube 40 so that the handle assembly 30 can be embedded in the guide tube 40. Here, the outer diameter (Dc) of the handle assembly 30 is the outermost diameter of the rest of the elements except the elastic member 31, that is, the cross section of the front cap 32, the handle bar 33, and the rear cap 34 Means For example, when the inner diameter Db of the guide tube 40 is 4.8 mm, the outer diameter Dc of the handle assembly 30 may be 4.5 mm.

이러한, 구조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1)는 5파이 트로카를 이용한 복강경 수술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핸들 어셈블리(30)의 전체적인 외경(Dc)이 가이드 튜브(40)의 내경(Db) 보다 작으므로, 핸들 어셈블리(40)로부터 가이드 튜브(40)만 쉽게 분리할 수 있다. Under such a structure,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laparoscopic surgery using a 5 pi trocar. In addition, since the overall outer diameter Dc of the handle assembly 3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b of the guide tube 40, only the guide tube 4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andle assembly 40.

다음은 도6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1)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a method of using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urse of laparoscopic surgery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3.

우선, 조직 적출 장치(1)를 사용하기에 앞서 수술 대상 부위의 복부에 도6과 같이 트로카(T)가 삽입된다. 복부는 트로카를 통해 주입되는 탄산가스로 부풀려진 상태가 되고, 트로카(T)는 각종 수술 기구가 투입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조직 적출 장치(1)는 전체 길이에 걸쳐 직경이 5.5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므로 조직 적출 장치(1) 투입을 위한 트로카(T)도 5파이 크기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 조직 적출 장치(1)의 투입을 위해 10파이 트로카가 사용되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조직 적출 장치(1)는 5파이 트로카를 통해서도 복부에 투입될 수 있으므로 수술 후 상처를 최소화하고 환자의 회복을 빨리 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복강경 수실 시 복부에는 집게(F), 내시경 카메라(미도시) 등 다른 수술 기구도 함께 투입될 수 있다. First, before using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a trocar T is inserted into the abdomen of the surgical target site as shown in FIG. The abdomen is inflated with carbon dioxide gas injected through the trocar, and the trocar (T) is used as a passage for various surgical instruments.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ze of 5.5 mm or less in diameter over the entire length, so a trocar (T) for inputting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may also have a size of 5 pi. Unlike 10 pi trocars used for the injection of the conventional tissue extraction device 1,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njected into the abdomen through the 5 pi trocar, thus minimizing wounds after surgery and recovering patients. It can be effective to do it quickly. Other surgical instruments, such as forceps (F) and endoscopic cameras (not shown), may also be inserted into the abdomen during laparoscopic surgery.

다음으로 도7과 같이 트로카(T)를 통해 본 발명의 조직 적출 장치(1)를 복강 내로 투입한다. 가이드 튜브(40)가 파우치(10) 및 핸들 어셈블리(30)를 내장한 상태로 트로카를 통해 복강 내로 투입된다. Next,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T as shown in FIG. 7. The guide tube 40 is introduc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in a state in which the pouch 10 and the handle assembly 30 are embedded.

다음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어셈블리(30)를 가이드 튜브(40)에 대하여 전방으로 밀어 넣어 핸들 어셈블리(30)의 전단 부분이 가이드 튜브(40) 바깥으로 밀려 나오도록 한다. 즉, 파우치(10)와 탄성부재(31)가 가이드 튜브(40) 전방으로 밀려 나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31)는 내재된 복원력에 의해 횡방향으로 확장되고, 그에 따라 파우치(10)의 입구부(11)도 개방된다. 탄성부재(31)는 파우치(10)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입구부(11)를 지지한다. Next, as shown in FIG. 8, the handle assembly 30 is push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tube 40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handle assembly 30 is pushed out of the guide tube 40. That is, the pouch 10 and the elastic member 31 are pushed out in front of the guide tube 40. In this state, the elastic member 31 is extend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inherent restoring force, and accordingly, the inlet portion 11 of the pouch 10 is also opened. The elastic member 31 supports the inlet 11 so that the pouch 10 remains open.

다음으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튜브(40)가 트로카(T)로부터 제거된다. 핸들바(33)와 리어캡(34)의 외경은 가이드 튜브(4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핸들 어셈블리(30)는 그대로 둔 상태에서 가이드 튜브(40)만 빼내어 제거될 수 있다. 가이드 튜브(40)가 제거된 만큼 핸들바(33) 주위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파우치(10)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핸들 어셈블리(30)를 조작하기 더욱 용이해 진다. 경우에 따라서 가이드 튜브(40)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다음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Next, as shown in Figure 9, the guide tube 40 is removed from the trocar (T).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bar 33 and the rear cap 34 has a smaller siz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40, the handle assembly 30 can be removed by pulling out only the guide tube 40 while leaving the handle assembly intact. As the guide tube 40 is removed, a space that can flow around the handle bar 33 is secured, and it becomes easier to operate the handle assembly 3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ouch 10. In some cases, the next step may be performed without the guide tube 40 being removed.

다음으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등 복강 내에 삽입된 다른 수술 기구들을 이용하여 수술 과정에서 절제된 인체 조직(O)을 파우치(10)에 담는다. Next, as shown in FIG. 10, the human tissue (O) resected in the surgical process is placed in the pouch 10 using other surgical instruments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such as forceps.

인체 조직이 담긴 파우치(10)를 복강 외부로 인출하기에 앞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어셈블리(30)만 먼저 트로카(T) 밖으로 인출한다. 복강 내에는 파우치(10)와 스트링(20)만 남게 된다. 스트링(20)의 연장부(22)의 후방 단부는 아무런 매듭이 없이 자유단을 이루고 있고, 연장부(22)는 핸들바(33)의 중공부를 관통하면서 프론트캡(32) 및 리어캡(34)에 헐겁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스트링(20)은 핸들 어셈블리(3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파우치(10)에 적출할 인체 조직이 담겨 있는 상태에서 핸들 어셈블리(30)를 먼저 분리하지 않으면 파우치(10) 입구부(11)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되어 인체 조직(O)이 빠져나갈 우려가 있고, 인체 조직(O)이 담겨 있는 파우치(10)의 무게로 인해 파우치(10)가 찢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파우치(10)에 적출할 인체 조직(O)이 담기면, 핸들 어셈블리(30)를 바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ior to drawing out the pouch 10 containing human tissue to the outside of the abdominal cavity, as shown in FIG. 11, only the handle assembly 30 is first taken out of the trocar T. Only the pouch 10 and the string 20 remain in the abdominal cavity. The rea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2 of the string 20 forms a free end without any knots, and the extension portion 22 passes through the hollow portion of the handle bar 33 while the front cap 32 and the rear cap 34 ), the string 2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handle assembly 30. If the handle assembly 30 is not first removed while the human tissue to be extracted is contained in the pouch 10, the inlet 11 of the pouch 10 is in an open state, and there is a fear that human tissue O may escape. There is a fear that the pouch 10 is torn due to the weight of the pouch 10 containing the human tissue O. Therefore, when the human tissue O to be extracted is contained in the pouch 10,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the handle assembly 30 immediately.

다음으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20)을 잡아당겨 고리부(21)가 오므라들게 하여 파우치(10) 입구부(11)를 폐쇄하고, 트로카를 복강으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다시 스트링(20)을 잡아당겨 파우치(10)를 복강 밖으로 꺼낸다(도13 참조). Next, as shown in FIG. 12, the string 20 is pulled so that the hook 21 is closed, thereby closing the pouch 10 inlet 11, and removing the trocar from the abdominal cavity. Then, the string 20 is pulled again, and the pouch 10 is taken out of the abdominal cavity (see FIG. 13).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적출 장치(1)는 가이드 튜브(40)의 외경이 5.5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가이드 튜브(40)에 내장되는 핸들 어셈블리(30)의 외경이 가이드 튜브(4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복강경 수술시 5파이 트로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조직 적출 장치가 10파이 트로카와 사용되던 것에 반하여 수술에 따른 상처를 최소화하고 환자의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40 has a size of 5.5 mm or less,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assembly 30 embedded in the guide tube 40 Since it has a smaller siz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40, it can be used with a 5 pi trocar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herefore,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tissue extraction device used with 10 pie trocar,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wounds caused by surgery and enabling rapid recovery of patients.

또한, 핸들 어셈블리(30)의 외경이 가이드 튜브(4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복강경 수술 과정에서 핸들 어셈블리(30)를 남겨둔 상태에서 가이드 튜브(40)만 쉽게 제거 가능하고, 트로카 내에서 핸들 어셈블리(30)를 조작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확보되어 파우치(10) 위치 변경을 위한 조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assembly 30 has a smaller size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40, only the guide tube 40 can be easily removed while leaving the handle assembly 30 in the process of laparoscopic surgery, and within the trocar. In the free space to operate the handle assembly 30 is secur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eration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ouch 10 is easy.

또한, 본 발명의 스트링은 핸들 어셈블리(30) 상에 묶여 있지 않고, 핸들 어셈블리(30) 상에 헐겁게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파우치(10)와 스트링(20)만 복강 내에 남겨 둔 상태에서 핸들 어셈블리(30)만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t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ied to the handle assembly 30, but is loosely coupled to the handle assembly 30, so that only the pouch 10 and the string 20 are left in the abdominal cavity.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30)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은 핸들 어셈블리(30)를 구성하는 핸들바(33)에 대하여 프론트캡(32)과 리어캡(34)이 나사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 접착제 사용에 수반되던 장시간의 조립시간의 문제와 접착 부위 소재의 물성 변형 및 장기간 보관에 따른 파손 등의 위험이 없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cap 32 and the rear cap 34 are configured to be assembled by a screwing method with respect to the handle bar 33 constituting the handle assembly 30, which has been involved in the use of conventional adhesive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he problem of long-time assembly time, property deformation of the bonding material, and damage due to long-term storage.

1 : 조직 적출 장치 10 : 파우치
20 : 스트링 30 : 핸들 어셈블리
31 : 탄성부재 32 : 프론트캡
33 : 핸들바 34 : 리어캡
40 : 가이드 튜브
1: tissue extraction device 10: pouch
20: string 30: handle assembly
31: elastic member 32: front cap
33: handlebar 34: rear cap
40: guide tube

Claims (13)

복강경 수술 시 복강내 절제된 인체 조직을 담기 위한 파우치와,
복강 내에서 상기 파우치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핸들 어셈블리와,
상기 파우치에 연결되어 상기 파우치를 복강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트링과,
상기 파우치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가 복강경 수술용 트로카를 통해 복강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파우치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를 내장하여 보관하는 가이드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튜브는 외경이 5.5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 튜브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조직 적출 장치.
A pouch for containing abdominal abdominal tissue during laparoscopic surgery,
A handle assembly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pouch in the abdominal cavity,
A string connected to the pouch and used to draw the pouch out of the abdominal cavity;
Including the guide tube for storing the pouch and the handle assembly to guide the pouch and the handle assembly to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for laparoscopic surgery,
The guide tube has an outer diameter of 5.5 mm or less,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handle assembly has a siz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파우치의 입구부를 지지하며, 상기 파우치의 상기 입구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와,
복강 내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핸들바와,
상기 탄성 부재를 상기 핸들바의 전방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프론트캡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캡은 상기 핸들바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되는 조직 적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assembly supports an inlet portion of the pouch, and an elastic member having a shape that extends laterally to open the inlet portion of the pouch,
A handle bar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ember within the abdominal cavity;
Includes a front cap for coupling the elastic member to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ar,
The front cap is a tissue extraction device that is assembled to the handle bar by a screw coupling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는 내부가 빈 중공형의 막대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스트링은 상기 파우치의 상기 입구부 둘레에 내장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핸들바의 중공된 내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조직 적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handle bar has a hollow hollow rod shape,
The string is a tissue extraction device having a ring portion embedded around the inlet portion of the pouch, and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ring portion and extending through the hollow interior of the handleb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캡은 상기 핸들바와의 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입되어 상기 스트링의 상기 연장부를 수용하는 외주면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외주면홈부 상에 헐거운 끼움 방식으로 지지된 조직 적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front cap has a screw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coupling with the handle bar,
Conca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clude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groove for receiving the extension of the string,
The extension part of the string is a tissue extraction device supported in a loose fitting mann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바의 후방 단부에 결합되는 리어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캡은 상기 핸들바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되며,
상기 리어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트링의 상기 연장부를 상기 핸들바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링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인출홈상에 헐거운 끼움 방식으로 지지된 조직 적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hand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rear cap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The rear cap is assembled to the handle bar by a screw coupling metho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cap is formed withdrawal grooves for drawing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string out of the handle bar,
The extension part of the string is a tissue extraction device supported in a loose fitting manner on the extraction groo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캡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 조직 적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tissue extraction device in which an uneven portion for preventing slippag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ca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캡은 상기 핸들바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리어캡은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나사부는 2피치 이하의 길이를 갖는 조직 적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rear cap has a screw portion for screw coupling with the handle bar,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having a length of 2 pitch or less so that the rear cap can be easily separated by a force applied in the lateral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론트캡의 중앙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프론트캡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후방 단부에는 측방향 바깥으로 꺾인 절곡부가 형성된 조직 적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cap,
Tissue extraction device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bent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elastic member does not deviate from the front of the front ca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가이드 튜브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파우치가 걸려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부재의 전방 단부는 곡선을 이루도록 라운드진 조직 적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elastic member is moved toward the front of the guide tube,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urved so as to prevent the pouch from being caught and damaged.
복강경 수술 시 절제된 인체 조직을 복강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조직 적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직 적출 장치는 절제된 인체 조직을 담기 위한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를 복강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조작을 위한 핸들 어셈블리와,
상기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전방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복강에 삽입된 트로카를 통해 상기 파우치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의 전방 일부가 복강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튜브와,
상기 파우치의 입구부에 연결되어 상기 파우치를 복강 외부에서 끌어당기기 위한 스트링을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 및 상기 핸들 어셈블리가 상기 가이드 튜브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직 적출 장치의 외경은 5.5mm 이하인 조직 적출 장치.
In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for withdrawing the resected human tissue out of the abdominal cavit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is a pouch for containing the restrained human tissue,
A handle assembly for manipulating the pouch inside the abdominal cavity,
A guide tube for accommodating the front part of the handle assembly in which the pouch and the pouch are combined, and guiding the front part of the pouch and the handle assembly to be introduc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
It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pouch and includes a string for pulling the pouch from the outside of the abdominal cavity,
A tissue extraction device in which the outer diameter of the tissue extraction device is 5.5 mm or less while the pouch and the handle assembly are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탄성 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양측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파우치의 입구부 둘레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사용시 전방 일부가 복강 내부로 삽입되는 핸들바와,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핸들바의 전방 단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프론트캡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바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스트링은 상기 프론트캡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면홈부를 통해 상기 핸들바 내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조직 적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handle assembly has an extended shape in both directions in the absence of elastic deformation, and an elastic member suppor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let of the pouch,
When using, the handle bar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bdominal cavity,
It includes a front cap for coupling the elastic member to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ar,
The handle bar has a hollow shape with an empty inside,
The string is a tissue extraction device extending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handle bar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cap.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상기 핸들바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리어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트링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홈이 형성된 조직 적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handl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rear cap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handle bar,
A tissue extraction device having an extraction groove for extracting the string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cap.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은 상기 핸들 어셈블리 상에 헐거운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복강경 수술 중 상기 파우치와 상기 스트링을 복강 내에 남겨둔 상태에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만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직 적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ring is coupled in a loose fit manner on the handle assembly,
A tissue extraction device configured to remove only the handle assembly while leaving the pouch and the string in the abdominal cavit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KR1020190040504A 2019-04-08 2019-04-08 Tissue Retrieval Device Withdrawn KR202000765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04A KR20200076557A (en) 2019-04-08 2019-04-08 Tissue Retriev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504A KR20200076557A (en) 2019-04-08 2019-04-08 Tissue Retrieval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43A Division KR101968479B1 (en) 2018-12-19 2018-12-19 Tissue Retriev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557A true KR20200076557A (en) 2020-06-29

Family

ID=7140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504A Withdrawn KR20200076557A (en) 2019-04-08 2019-04-08 Tissue Retriev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557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9773B1 (en) 2000-12-14 2002-06-25 Clairol Incorporated Coupler for use in oxidative hair dyeing
KR20140035157A (en) 2012-09-13 2014-03-21 주식회사 무한기업 Endo-bag for a surg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9773B1 (en) 2000-12-14 2002-06-25 Clairol Incorporated Coupler for use in oxidative hair dyeing
KR20140035157A (en) 2012-09-13 2014-03-21 주식회사 무한기업 Endo-bag for a surg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987B1 (en) Laparoscopic Surgical Tissue Extraction Device
US20210196924A1 (en) Medical tube clearance
KR101968479B1 (en) Tissue Retrieval Device
US3877434A (en) Vascular tourniquet
US7214180B2 (en) Method for cardiac restraint
US656908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ardiac restraint
JP5480540B2 (en) Button port
US10357282B2 (en) Orburator for expandable catheter
WO2017152175A1 (en) Suction-evacuation sheath
JPH10504743A (en) Adjustable surgical retractor
JP2009050695A (en) Surgical method and device with movement assistance
JPH1043192A (en) Suture device for blood vessel and the like and method therefor
BR112020006171A2 (en) surgical systems and methods of these
RU2731804C2 (en) Mini-invasive device for endourological treatment
US20240115793A1 (en) Vacuum therapy devices and methods
US20160157703A1 (en) Tissue gripping device
JP2010172694A (en) Suture management system for surgical portal apparatus including internal tube
KR20200076557A (en) Tissue Retrieval Device
CN114302686A (en)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closing an opening in tissue
CN108652690A (en) A kind of apex of the heart closing device
KR102798492B1 (en) A laparoscopic surgery retrieval pouch
KR101714393B1 (en) Access device
EP2566396B1 (en) Device for sealing perforations and sustaining flow
US5697911A (en) Plug for a wound drain
KR101610282B1 (en) Balloon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121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16504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