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81198A -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198A
KR20200081198A KR1020190093887A KR20190093887A KR20200081198A KR 20200081198 A KR20200081198 A KR 20200081198A KR 1020190093887 A KR1020190093887 A KR 1020190093887A KR 20190093887 A KR20190093887 A KR 20190093887A KR 20200081198 A KR20200081198 A KR 2020008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lder
portable terminal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범
Original Assignee
이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범 filed Critical 이기범
Priority to KR102019009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198A/en
Publication of KR2020008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198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200)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T)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부(210), 걸이부(230), 및 지지부(210)와 걸이부(230)를 연결하는 연결부(220)를 포함하며, 연결부(220)의 양 단부 중 일 단부는 지지부(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210)에 결합되어 있고, 결부(220)의 양 단부 중 나머지 단부는 걸이부(2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걸이부(230)와 결합되어 있으며, 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200)는 펼친 상태와 닫힌 상태를 가지며, 상기 펼친 상태는, 걸이부(230)의 일 단부는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의 제1위치(P1)에 접하고 있고, 걸이부(230)의 나머지 단부는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의 제2위치(P2)로부터 이격 된 상태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holder 200 for a portable terminal,
It includes a support part 210, a hook part 230, and a connection part 220 connecting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hook part 230, which can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T, and of the connection part 220 One end of both ends is coupled to the support 210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support 210, and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connection 220 is coupled to the hanger 230 so that the hook 230 is rotatable The holder 200 for the portable terminal has an unfolded state and a closed state, and in the unfolded state, one end of the hook portion 230 has a first position P1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 And the other end of the hanger 230 may be in a state spaced from the second position P2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工' 형태의 접철식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손가락의 상부와 하부가 모두 접촉되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A'형태가 되어 걸이부 전방 단부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게 되어 사용상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단말기를 바닥면에 일정각도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동영상 시청이나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specifically, it is made of a foldable structure of'工' shape, and can be adjusted to the optimal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a user's finger. Not only does it provide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grip, but it also forms'A' for the portable terminal by one-touch operation,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hook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terminal, and is configured to be in use, and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is angled to the flo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and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be placed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to enable more comfortable viewing of a video or surfing the web.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남녀노소 모두에게 필수적인 휴대품이 되고 있다.In recent years, portab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ve been widely spread, and have become essential portable products for both men and women.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커짐에 따라 전체적인 휴대 단말기의 크기가 커지고 두께는 얇아지는 추세에 있으며, 일반 전화 기능을 포함한 동영상이나 음악감상, 촬영, 인터넷검색, 일정관리 등의 다양한 기능은 물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활용도가 점점 많아지면서 대중교통 이용시는 물론 보행중 등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As the size of the display increases, the overall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and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s. As a result, as well as various functions such as video or music listening, shooting, internet search, and schedule management, including general phone functions, various applications are available. As the utilization increases more and more, there is a tendency to use a portable terminal regardless of when and where it is used, such as when using public transportation.

하지만, 크기가 커지고 두께가 얇아진 휴대 단말기의 경우 한 손으로의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에서 쉽게 미끄러지므로 사용 중 휴대 단말기를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larger size and a thinner thickness, it is not only difficult to operate with one hand, but also slips easily from the hand, so that the mobile terminal is frequently dropped during us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 또는 그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링 또는 고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홀더장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홀더장치들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의 크기에 맞추어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착용시 그립감이 떨어지게 되므로 문자입력, 사진촬영 등의 조작이 불편하고 방향전환이 제한적이므로 휴대성 및 조작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older device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ring or a ring shape attached to the back of a portable terminal or its case is used, and these holder devices canno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a user's finger or hand. In addition, since the grip feels poor when worn,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rtability and operability are deteriorated because manipulation such as text input and photography is inconvenient and direction change is limi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050호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정면에 휴대단말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배면에 결합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걸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4-0007050, a portable terminal case is published, and the main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coupling groov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ide. It comprises a support plate, a rod portion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a locking plat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즉,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손가락 사이에 로드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판은 손바닥에 접하고 걸림판은 손등에 접하게 되어 거치동작이 간편하면서도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서는 로드부가 손가락 사이 깊숙한 위치까지 삽입되어야 하고 지지판이 손바닥에 접하게 되어 거치한 상태에서의 휴대 단말기 조작, 즉 한 손으로의 조작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 prior art has a feature in that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palm and the engaging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and in a state where the rod portion is inserted and placed between the fingers of the user, so that the mounting operation is simple and the mobile terminal can be stably mounted. However, for stable mount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od portion must be inserted to a deep position between fingers, and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palm,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mounted state, that is, operation with one hand is inconvenient.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의 조작은 엄지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지고,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로드부가 검지와 중지 또는 중지와 약지 사이의 바깥쪽에 위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지지판이 손바닥에 접하고 걸림판이 손등에 접한 상태에서만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거치가 불안정해지고, 안정적인 거치 상태에서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조작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more detail, the operation 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s performed through the thumb, and in order to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thumb, the rod portion should be located outside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or the midd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ince the support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palm and the locking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hand, stable mounting is possible. When using the thumb to operate the mobile terminal, the mounting becomes unstable, and in the stable mounting state, the thumb is used for carry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becomes inconvenient.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기를 바닥에 일정 각도로 세워두기 위한 거치대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a stand for standing the mobile terminal at a certain angle on the floor.

[선행기술문헌][Advanced technical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Document]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7050호(2014. 01. 16. 공개)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07050 (2014. 01. 16. publish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파지 한 상태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조작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providing a comfortable and stable grip feeling,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holder for improving the operability in a gripping state and widening the operating range.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가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상태가 가능하고,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홀더 로서의 기능과 거치대로서의 기능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can be opened or folded by a simple operation, and a function as a holder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function switching as a holder can be quickly performed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있어서,In the holder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부; 걸이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걸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양 단부를 가진 상기 연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A support portion that can be fix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Hook part;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having both ends; It may include.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 중 일 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 중 나머지 단부는 상기 걸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걸이부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support part, and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the hook part so that the hook part is rotatable. Can.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는 펼친 상태와 닫힌 상태를 가지며, 상기 펼친 상태는, 상기 걸이부의 일 단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의 제1위치에 접하고 있고, 상기 걸이부의 나머지 단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의 제2위치로부터 이격 된 상태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has a spread state and a closed state, and in the expanded state, one end of the hook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first pos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hook The other end of the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os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맞추어 최적의 사이즈로 조절이 가능하고, 사용시 시소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등 부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한 손 만으로도 안정적인 파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optimal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inger, and by using the seesaw structure, the user's back portion can be pressed by using the seesaw structure, so that the user can hold stable with only one han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to operate in a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부착되는 지지부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손가락 끝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조작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that it is caught at the tip of a finger, there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and stable grip, and at the same time, operability in a gripp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t has the additional effect of being able to enhance and expand the operable ran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연결부재의 접혀진 상태가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한 착용이 가능하고, 걸이부의 전방 단부가 자동으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휴대 단말기의 홀더로서의 기능과 거치대로서의 기능 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ed state of the connecting member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a one-touch opera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worn, and the front end of the hook portion is automatically suppor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out additional manipulation.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function as and the function switching as a cradle to be made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이부의 크기를 크게 하여 홀더 또는 거치대로 사용시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hook portion to improve the stability when used as a holder or hol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200)가 홀더로서 사용될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서 걸이부의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연결부를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임의적으로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실시예가 거치대로서 사용될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실시예가 펼쳐진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실시예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걸이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3은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생략하거나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시제품의 사용 예를 찍은 사진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when the holder 2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holde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of the hook portion is separated in the embodiment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of the embodiment of FIG. 1 is arbitrarily rais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6 is a view showing when the embodiment of FIG. 1 is used as a cradle.
FIG. 7 is a view show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viewed from the bottom.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embodiment of FIG. 1 is switched from an expanded state to a closed state.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viewed from another side.
11 is a view showing the hook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s viewed from the bottom.
12 to 23 are views in which some components are omitted or enlarg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
24 to 26 are photographs of an example of using a prototype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contents ar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elements, thes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its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원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 및/또는 구성요소 B'라고 함은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component A and/or component B'is used to mean'at least one of component A and component B'.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직접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간접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간접 결합은, 구성 요소 A와 구성요소 B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의 구성요소가 게재되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component A'and'component B'are combined, it is used to mean that component A and component B are directly coupled or indirectly coupled. Here, the indirect coupling means that at least one third component is placed and coupled between the component A and the component B.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동작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에 기계적 또는 전기 및/또는 전자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a component (eg, the first component) is coupled (/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to another component (eg, the second component) ((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 or "connected to", it is understood that the first component is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nd/or electronically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component, or other components (eg, 3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가로, 또는 세로 등과 같은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설명의 용이를 위해서 사용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left (left) )", "right", lateral (lateral), horizontal, or vertical terms,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used for eas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용어의 정의 Definition of Terms

본원 명세서에서 '시소' 구조 또는 'A'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시소' 구조 또는 'A' 구조는 거치대로서의 기능이 용이하게 발휘되도록 하고, 또한 홀더로서의 기능도 용이하게 발휘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seesaw' structure or the'A' structure mean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6. The'seesaw' structure or the'A' structure allows the function as a cradle to be easily exerted, and the function as a holder is also exerted easily.

본원 명세서에서 사각형, 원통형, 또는 임의의 형상의 구조체에 대한 '길이 방향'은 그 구조체의 내부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거리가 가장 긴 방향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원통형의 구조체의 길이 방향은, 원통의 내부 중심을 지나서 기둥을 따라서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대략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을 가진 사각형 구조체의 길이 방향은 사각형 구조체의 내부 중심을 지나서 외부로 연장되는 방향으로서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중 길이가 더 긴 방향을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longitudinal direction' for a structure of a rectangular, cylindrical, or arbitrary shape is defined as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structure to the outside is the longest.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means a direction extending outward along the column past the inner center of the cylinder,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structure having approximately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s the inner center of the rectangular structure. As the direction extending outwardly, it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length is longer am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사각형, 원통형, 또는 임의의 형상의 내부 중심은 내부의 대략 중심 지점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펼친 상태'는 도 1,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대 또는 홀더로서 사용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닫힌 상태'는 도 2와 같은 상태를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center of a square, cylindrical, or arbitrary shape means an inner center poin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unfolded state' refers to a state usable as a holder or holder as shown in FIG. 1, 4 or 6, and'closed state' refers to a state as shown in FIG. 2.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예시적인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the following exemplary features.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는 거치대로서의 기능과 홀더로서의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First,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both a function as a holder and a function as a holder.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가 펼친 상태가 되면, 'A' 구조 또는 '시소' 구조가 자연스럽게 됨으로써 휴대 단말기는 가로 또는 세로로 편리하게 놓을 수 있게 된다.Second, whe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unfolded state, the'A' structure or the'seesaw' structure becomes naturally,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veniently plac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가 접혀지면, 최대한 슬림 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ird, whe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kept as slim as possible.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는, 사용의 손가락이 안착하기 쉽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조작 시 안정성과 편리성을 제공한다. Fourth,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ility and convenience during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y having a structure that facilitates seating of a user's fing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200)를 도 1 내지 도 23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older 2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3.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200)가 홀더로서 사용될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1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서 걸이부의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연결부를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임의적으로 기립 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실시예가 거치대로서 사용될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하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실시예가 펼쳐진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실시예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의 실시예의 걸이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 내지 23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일부 구성요소들을 생략하거나 확대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when the holder 2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holder,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of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of the hook part is separated from the embodiment,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art of the embodiment of FIG. 1 is arbitrarily rais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FIG. 5 is on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example, Fig. 6 is a view showing when the embodiment of Fig. 1 is used as a cradle, Fig. 7 is a view show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viewed from the bottom, and Fig. 8 is a view of Fig. 1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embodiment is switched from the expanded state to the closed state, FIG. 9 is an exploded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viewed from another side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hook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1 viewed from the bottom, and FIGS. 1 to 23 are views in which some components are omitted or enlarged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

이하에서,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3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구성요소에 따라서 특정 도면을 언급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좌표계는 설명의 용이를 위한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4와 도 6 내지 도 23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와 도 6 내지 도 23에 좌표계가 직접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도 5에 도시된 좌표계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고 가정한다. Hereinafter, in describing one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3, but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drawings depending on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ordinate system illustrated in FIG. 5 is for ease of description, and is equally applied to FIGS. 1 to 4 and 6 to 23. Therefore, in describing one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coordinate systems illustrated in FIG. 5 a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lthough the coordinate systems are not directly illustrated in FIGS. 1 to 4 and 6 to 23.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200)는, 지지부(210), 연결부(220) 및 걸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200 for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support part 210, a connection part 220, and a hook part 230.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200)는 펼친 상태와 닫힌 상태를 가진다. Meanwhile, the holder 200 for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n opened state and a closed state.

지지부(210)는 휴대 단말기(T)의 배면(D)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3에 접착 수단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210)는 배면에 고정될 수 있는 접착수단을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210 may be fixed to the back surface D of the portable terminal T. Although the adhesive means are not shown in FIGS. 1 to 23, the support 210 may have adhesive means that can be fixed to the back surface.

지지부(210)는 사용자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면과 하면을 가진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1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의 지지부(110)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The support part 210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o improve a user's grip.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upport 210, please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support 110 of the firs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200)에서, 지지부(210), 연결부(220) 및 걸이부(230)는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홈(H1)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홈(H1)은, 거치대 겸용 홀더(200)가 펼친 상태와 닫힌 상태 어떤 상태에서도 유지되도록, 지지부(210), 연결부(220) 및 걸이부(230)는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연결부(220)에는 홈(H1)이 형성되어 있고, 닫힌 상태에서 연결부(220)와 지지부(210)가 걸이부(230)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e holder 200 for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art 210, the connection part 220, and the hook part 230 are org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configured to have a groove H1. The groove H1, the support portion 210, the connection portion 220, and the hook portion 230 are org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holder 200 for holding the holder is maintained in any of the opened and closed states.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groove H1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220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onnection portion 220 and the support portion 210 in the hook portion 230 in a closed state.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겸용 홀더(200)는, 지지부(210)는 지지부재(212)와 하우징(2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lder 200 for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210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212 and a housing 214.

지지부재(210)는, 또한 연결부(220)와 동작적으로 연결된다. 즉, 지지부재(210)와 연결부(220)는, 지지부재(210)가 닫힌 상태에서는 걸이부(230)의 어떤 공간(예를 들면, 지지부의 수용부(233))에 삽입되고 열린 상태에서는 걸이부(230)의 상기 공간으로부터 빠져나와서 걸이부(230)와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The support member 210 is also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20. That is, the support member 210 and the connection part 220 is inserted into a certain space (for example, the receiving part 233 of the support part) of the hook part 230 when the support member 210 is closed and in the open state It is connected to escape from the space of the hanger 230 and maintain a spaced apart state from the hanger 230.

상술한 동작적 연결을 위해서, 예를 들면, 연결부(220)는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부재(212)와 연결된다. 또한, 지지부재(210)는 걸이부(230)의 어떤 공간(예를 들면, 지지부의 수용부(233))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For the above-described operative connection,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12 to be rotatable.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21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 certain space of the hook portion 230 (for example, the receiving portion 233 of the support portion).

하우징(214)은 지지부재(21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housing 21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12.

지지부재(212)의 상면에는 수용홈(212a)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홈(212a)은 지지부재(212)의 상면에 세로 방향(Z1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receiving groove 212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12, and the receiving groove 212a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the Z1 ax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12.

수용홈(212a)은 연결부(220)의 연결부재(222)가 접혀지는 경우 연결부재(222)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receiving groove 212a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connecting member 222 when the connecting member 222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folded.

수용홈(112a)의 후단에는 차단턱(S41)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재(222)가 펼쳐질 때(즉, 펼친 상태가 될 때) 차단턱(S41)에 의해 펼쳐지는 각도가 정해진다.A blocking jaw S41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eceiving groove 112a. When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unfolded (ie, in an unfolded state), the angle unfolded by the blocking jaw S41 is determined.

즉, 사용자가 연결부(220)를 배면의 제2위치(P2)가 있는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가압하면 연결부(220)는 차단턱(S41)에 걸릴 때까지 회전되며, 연결부(220)가 만약 차단턱(S41)에 걸리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즉, 차단턱(S41)에 의해 연결부재(222)는 일정 각도 이상은 펼쳐지지 않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randomly presses the connecting portion 220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sition P2 on the back,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rotated until it engages the blocking jaw (S41),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if the blocking jaw When caught in (S41), it is no longer rotated.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not spread over a certain angle by the blocking jaw S41.

하우징(214)에는 제1회동모듈(후술하기로 함)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회동모듈 수용부(S4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동모듈 수용부(S43)는 지지대(210)의 길이 방향(즉, 하우징(214)의 길이 방향)(X1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수직되는 방향(Z1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The housing 214 is formed with a first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S43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irst rotation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otation module receiving portion (S43)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i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214) (direction parallel to the X1 axis direction) (Z1 axis direction) And paralle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차단턱(S41)은 제1회동부 수용부(S43)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blocking jaw (S41) is loca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rotating portion receiving portion (S43).

연결부(220)는 지지부(210)와 걸이부(23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양 단부를 가진 입체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220 may connect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hook part 230, and may have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having both ends.

연결부(220)는 연결부재(222), 제1회동모듈, 및 제2회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동모듈은 제1회동부재(224), 제1회동부재(224)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1바디(247), 및 제1토션스프링(240)을 포함하고, 제2회동모듈은 제2회동부재(226), 제1회동부재(226)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2바디(227), 및 제1토션스프링(240)을 포함한다.The connection unit 220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222, a first rotation module, and a second rotation module. Here, the first rot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rotation member 224, a first body 247 configured to insert the first rotation member 224, and a first torsion spring 240, the second rotation module It includes a second rotating member 226, a second body 227 configured to insert the first rotating member 226, and a first torsion spring 240.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22)는 양 단부를 가지고 소정의 길이를 가진 형상을 가진다. 연결부재(222)의 일 단부에는 제1회동모듈이 결합되어 있고, 연결부재(222)의 나머지 단부에는 제2회동모듈이 결합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222 has both ends and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rotating modul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22, and a second rotating modul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22.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222)는 제1회동모듈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22)는 제1바디(247)과 일정한 각도 - 예를 들면, 90도 - 를 이루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222)는 제2회동모듈과 항상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22)는 제2바디(227)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 결합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configured to always maintain a constant angle with the first rotation modul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fixedly coupled to form a certain angle with the first body 247-for example, 90 degrees.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configured to always maintain a constant angle with the second rotation modul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fixedly coupled to form a constant angle with the second body 227.

본 실시예에서, 제1바디(247)는 통 형상의 길이를 가진 구조체로서, 여기서 제1바디(247)의 길이 방향은 제1바디(247)의 회전 축과 동일한 방향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ody 247 is a structure having a tubular length, whe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247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body 247.

한편, 제1바디(247)의 중심은, 연결부재(222)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가상의 선)과 제1바디(247)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가상의 선)이 만나는 지점을 의미한다. Meanwhile,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247 means a point where the extension line (virtual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22 meets the extension line (virtual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247. .

본 실시예에서, 제1회동모듈과 지지부(210)는, 연결부(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바디(247)가 제1회동모듈 수용부(S43)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토션스프링(240)은 양 단부를 가지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제1토션스프링(240)의 일 단부(이하, '고정 단부')는 하우징(214)에 결합되고, 제1토션스프링(240) 타 단부(이하, '자유단부')는 제1바디(247)의 일 단부(이하, '제1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바디(247)의 제1 단부는 제1토션스프링(240)의 자유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otation module and the support part 210 are hinged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20 is rotatable. Specifically, the first body 247 is accommodat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first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art (S43).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composed of a spring having both ends, and one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fixed end') is coupled to the housing 214. 1 Torsion spring 240, the other end (hereinafter,'free e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247 (hereinafter,'first end'). Here, the first end of the first body 247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본 실시예에서, 외력이 없는 한 연결부재(222)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향하여 기울어진 방향으로 제1바디(247)가 회전하게 된다. 제1토션스프링(240)이 제1바디(247)를 회전시키는 토크의 방향은, 제1바디(247)의 실제 회전 방향과는 반대이다. 제1토션스프링(240)이 제1바디(247)를 회전시키는 토크의 방향은 도 23을 참조하기 바라고, 제1바디(247)의 실제 회전 방향(연결부재(222)의 실제 회전 방향)은 도 5를 참조하기 바란다. 제1토션스프링(240)이 제1바디(247)를 회전시키는 토크의 방향과 제1바디(247)의 실제 회전 방향과는 반대인 이유에 대하여는 아래 적절한 곳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as long as there is no external force, the connecting member 222 rotates the first body 247 in a direction incli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rection of torque in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rotates the first body 247 is opposite to the actual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body 247. The direction of torque in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rotates the first body 247 is referred to FIG. 23, and the actual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body 247 (the actual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See FIG. 5. The reason that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torque that rotates the first body 247 and the actual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24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in the appropriate place below.

한편, 제1바디(247)의 제1 단부와 제1토션스프링(240)의 자유 단부와 제1토션스프링(240)의 자유 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이처럼, 제1토션스프링(240)의 고정 단부는 하우징(214)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토션스프링(240)의 자유 단부는 연결부재(222)를 기립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연결부재(222)의 제1단부에 토션 또는 토크를 가한다. 그러한 제1토션스프링(240)에 의한 토크가 존재함에도 실제로 연결부재(222)가 이동되는 방향은 상기 기립 방향의 반대로 움직이게 된다. Meanwhile, the first end of the first body 247 and the free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and the free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are coupled. As such, the fixed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coupled to the housing 214, and the free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222 so as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standing the connecting member 222 Torsion or torque is applied to the first end. Although the torque by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pres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222 actually moves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tanding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제1바디(247)는 제1회동모듈 수용부(S43)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제1토션스프링(240)의 일 단부는 하우징(214)에 결합되고 제1토션스프링(240)의 타 단부는 제1바디(247)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ody 247 is rotatably accommodated in the first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art S43, one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coupled to the housing 214 and the first torsion spring The other end of 24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247.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폴더가 펼친 상태에서, 연결부(2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한, 제1바디(247)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회전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is expanded, the first body 247 is rotated so as to be tilt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unless there is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on unit 220.

한편, 본 발명의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의 '제1위치'(P1)는 연결부(2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을 때 걸이부(230)의 일 단부가 접하는 배면에서의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연결부(2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을 때 걸이부(230)의 타 단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으로부터 이격 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배면의 위치를 '제2위치'(P2)라고 언급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for the purpose of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first position' (P1) of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is the position at the back of which one end of the hook 230 is in contact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220. Means Then,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on unit 220, the other end of the hook unit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rear surface is referred to as a'second position' (P2). do.

본 실시예에서, 제1위치(P1)과 제2위치(P2)는 서로 다른 위치로서 둘다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존재하는 위치이다. 구체적으로, 지지대(2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1바디부(247)의 중심을 경유하여 연장된 가상선(V)을 가정한다. 한편, 이러한 가상선(V)을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위로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시킨 선을 본원 명세서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서의 중심선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제1위치(P1)과 제2위치(P2)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서의 중심선에 위치하되, 제1위치(P1)는 지지대(210)의 전방 방향에 위치되어 있고, 제2위치(P2)는 지지대(210)의 후방 방향에 위치되어 있다. 한편, 지지대(210)의 전방 방향과 후방 방향 중에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폴더가 펼친 상태에서 외력이 없을 때 연결부(220)와 가까워지는 방향이 전방 방향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are different positions, both of which ar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Specifically, it is assumed that the virtual line V extend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body portion 247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Meanwhile, a line in which the virtual line V is orthogonal projection on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eferred to as a center line i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are located at the center line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the first position P1 is loc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and the second position P2 Is locat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On the other hand, i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the direction toward the connection part 220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holder-use f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is expanded is the front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폴더가 펼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지부(210)와 걸이부(230)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고 있던 걸이부(230)의 일 단부는 손가락을 지지대의 전방 제1 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걸이부(230)의 나머지 단부는 지지대의 후방방향으로 더 가까워지도록, 연결부(220)와 걸이부(230)가 결합되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is opened, when a finger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hook part 230 by a user, the hook part 230 that wa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One end presses the finger in the first direction in front of the sup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hook 23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220 and the hook 230 so as to be closer to the back direction of the support.

본 실시예에서 제1토션스프링(240) 한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서로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 및 작용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composed of a pair, and they are configured and act in the same way.

연결부(2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장방형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220)는 지지부(210)에 의해 지지되면서 연결부(220)가 회전 되도록, 연결부(220)와 지지부(210)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걸이부(230)는 연결부(220)에 의해 지지되면서 걸이부(230)가 회전 되도록, 연결부(220)와 걸이부(230)가 결합되어 있다. The connection unit 220 may have a rectangular three-dimensional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210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rotated,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20 and the support portion 210 are combined. In addition, the hook portion 23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220 so that the hook portion 230 is rotated,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hook portion 230 are combined.

예를 들면, 연결부재(222)의 일 단부에는 제1회동모듈이 결합되어 있고, 연결부재(222)의 다른 단부에는 제2회동모듈이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222)의 일 단부는 제1바디(247)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연결 부재(222)의 다른 일 단부는 제2바디(227)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For example, a first rotation modul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22, and a second rotation module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22. In this embodiment,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fixedly coupled to the first body 247,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secure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27.

본 실시예에서, 제2회동모듈과 걸이부(230)는, 걸이부(2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바디(227)는 걸이부(230)의 제2회동모듈 수용부(S31)(후술하기로 함)에 수용된다. 도 16과 도 17을 특히 참조하면, 연결부재(222)가 걸이부(230)의 개구부(S36)에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2바디(247)는 제2회동모듈 수용부(S31)(후술하기로 함)에 수용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rotation module and the hook part 230 are hing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ook part 230 is rotatable. Specifically, the second body 227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rotation module receiving portion S31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hook portion 230. 16 and 17 in particular,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positioned in a form that fits into the opening S36 of the hook 230, and in this state, the second body 247 is the second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art. (S31)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서, 제2토션스프링(240)은 양 단부를 가지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제2토션스프링(226a)의 일 단부(이하, '고정 단부')는 걸이부(230)에 결합되고, 제2토션스프링(226a) 타 단부(이하, '자유단부')는 제2바디(227)의 일 단부(이하, '제1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2바디(227)의 제1 단부는 제2토션스프링(226a)의 자유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orsion spring 240 is composed of a spring having both ends, one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hereinafter, a'fixed end') is coupled to the hook portion 23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free e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body 227 (hereinafter referred to as a'first end'). Here, the first end of the second body 227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폴더가 펼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임의적인 외력이 없는 한, 걸이부(230)와 연결부(220)는 휴대 단말기(T)의 배면 쪽으로 이동되어 전체적으로 A 구조 또는 시소 구조가 된다. 즉, 걸이부(230)의 일 단부(F1)는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에 접하고 있고, 걸이부(230)의 나머지 단부(F2)는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으로부터 이격 된 상태가 되고, 연결부재(222)는 걸이부(230)의 일 단부(F1)와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상태가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is expanded, unless the user has any external force, the hanger 230 and the connecting unit 220 are mov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to form an A structure or It becomes the seesaw structure. That is, one end F1 of the hook portion 230 is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and the other end F2 of the hook portion 230 is spaced apar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one end (F1) of the hook portion 230.

제2토션스프링(226a)의 자유 단부와 연결된 제2바디(227)는 지지부(210)에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지지부(210)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토션스프링(226a)의 고정 단부가 걸이부(230)에 토션 또는 토크를 가하게 되며, 이러한 토크에 의해 걸이부(230)가 회전하게 된다. The second body 227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is connected to the support 210, and this support 210 is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the fixed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applies torsion or torque to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hook portion 230 is rotated by the torque.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폴더가 펼친 상태에서, 외력이 없는 한 걸이부(230)는 제2토션스프링(226a)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된다. 제2토션스프링(226a)에 의한 걸이부(230)의 회전 방향은, 도 5와 도 23을 참조하기 바란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is expanded, the hanger 230 without external force rotates by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Fo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ook portion 230 by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refer to FIGS. 5 and 23.

한편, 걸이부(230)는 제한 없이 회전되지는 않으며, 걸이부(230)에 형성된 차단턱(S35)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는 최대 반경이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부(230)는 소정 각도(예를 들면, 90도)를 초과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 차단턱(S3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 각도는 걸이부(230)와 연결부(220)가 이루는 각도이며, 연결부(220)로부터 걸이부(230)의 회전 방향으로 출발하여 걸이부(230)까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걸이부(230)의 회전 최대 반경은 도 7를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즉, 걸이부(230)는 소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차단턱(S35)이 연결부(220)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걸이부(230)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ok portion 230 is not rotated without limitation, the maximum radius that can be rotated by the blocking jaw (S35) formed in the hook portion 230 is determined. In this embodiment, the hook portion 230 is formed with a blocking jaw (S35) so as not to rotate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Here, the predetermined angle is an angle formed by the hook part 230 and the connecting part 220, and denotes an angle formed from the connecting part 220 to the hook part 230 starting from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ook part 230. The maximum radius of rotation of the hook 230 can b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7. That is, when the hook portion 230 is rotated over a predetermined angle, the blocking jaw (S35) is cau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so that the hook portion 230 can no longer rotate.

한편, 본원 명세서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걸이부(230)가 평행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함은, 걸이부(230)가 지지부(210)와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that the hook portion 230 rotates in a parallel direction means that the hook portion 230 rotat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pport portion 210.

본 실시예에서, 제2바디(227)는 제2회동모듈 수용부(S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제2토션스프링(226a)의 일 단부는 걸이부(230)에 결합되고 제2토션스프링(226a)의 타 단부는 제2바디(227)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폴더가 펼친 상태에서, 연결부(2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한, 제2바디(227)는 걸이부(230)와 지지부(210)가 전체적으로 수평이 되도록 회전된다. 만약, 걸이부(230)에 차단턱(S35)가 없다면, 제2바디(227)는 제한 없이 회전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body 227 is accommodated to be rotatable in the second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art S31, and one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is coupled to the hook part 230 and the second torsion The other end of the spring 226a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body 227. With this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is expanded, as long as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20, the second body 227 is such that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supporting portion 210 are generally horizontal. Is rotated. If there is no blocking jaw S35 in the hook portion 230, the second body 227 will rotate without limitation.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폴더가 펼친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떠한 부분에도 외력이 없는 한, 걸이부(230)와 연결부(220)는 전체적으로 좌측 방향(제1 위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걸이부(230)의 일 단부가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에 접촉하기 전까지, 걸이부(230)와 연결부(220)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제1 위치 방향으로 회전된다. 걸이부(230)와 연결부(220)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는 이유는, 후술하겠지만. 제2토션스프링(226a)에 의해 걸이부(230)가 지지부(210)와 평행(즉, 본 실시예에서는 90도)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Referring to FIG. 5, in a state in which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is opened, as long as there is no external force in any part of the user, the hook 230 and the connecting part 220 are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first position direction) as a whole. . At this time, until one end of the hook portion 230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are rotated in a first position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The reason that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is because the hook portion 230 is rotated by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in a direction maintaining the support portion 210 in parallel (ie, 90 degrees in this embodiment).

걸이부(230)와 연결부(220)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제1 위치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걸이부(230)의 일 단부가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의 제1위치에 접촉하게 되면, 걸이부(230)와 연결부(220)는 기존에 유지하던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유지되게 된다. When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are rotated in a first position direction as a whol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angle, when one end of the hook portion 2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os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are maintained at an angl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previously maintained.

이상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는 펼친 상태, 즉, A 구조 또는 시소 구조를 형성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펼친 상태는, 걸이부(230)의 일 단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의 제1위치에 접하고 있고, 걸이부(230)의 나머지 단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의 제2위치로부터 이격 된 상태가 되고, 연결부(220)는 배면의 제1위치가 있는 방향(즉, 지지대(210)의 전방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다. 여기서, 제1위치와 제2위치는 서로 다른 위치이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n an unfolded state, that is, a state in which an A structure or a seesaw structure is formed. In the unfolded state, one end of the hook portion 23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osition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other end of the hook portion 230 is spaced from the second position of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in a stat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osition of the rear surface (ie,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Here,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re different positions.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는, 펼친 상태에서, 제1토션스프링(240)이 연결부(220)를 기립하는 방향(연결부(220)와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이 수직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연결부재(222)와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이 수직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지만, 연결부(220)와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이 90도가 될 정도로 기립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n the unfolded state,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unfolded st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erects the connection portion 220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T is vertical) Rotational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specifically,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ar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222 and the portable terminal T are vertical, but the rear surfaces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T do not stand up to be 90 degrees. .

그 이유는 걸이부(230)가 평행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걸이부(230)의 무게 중심이 좌측으로 쏠리게 되며(즉, 연결부(220)가 기립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러한 무게 중심에서의 걸이부(230)의 무게가 연결부(220)의 토크(연결부(220)가 기립하는 방향으로의 회전력)보다 크기 때문이다. The reason is that as the hook portion 230 is rotated in the parallel direc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ook portion 230 is tilted to the left (that i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220 stands), at this center of gravity This is because the weight of the hook portion 230 is greater than the torque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rotational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220 stands).

즉, 걸이부(230)가 평행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무게 중심이 이동하고, 그러한 무게 중심에서의 상태에서의 걸이부(230)의 무게가, 연결부(220)의 토크(T2) 보다 충분히 커서, 연결부(220)가 제1 위치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enter of gravity moves by the rotation of the hook portion 230 in the parallel direction, and the weight of the hook portion 230 in a state at such a center of gravity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torque T2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 The connecting portion 220 is inclined in the first position direction.

이를 위해서 고려할 사항으로는 제1토션 스프링(240) 및 제2토션 스프링(226a)의 탄성력과, 제1바디(247)에 형성된 반구형 구조체들(S33, S34)과 제2바디(227)에 형성된 반구형 구조체들(S31, S32)의 구조나 배치와, 걸이부(230)의 회전시의 무게 중심과 무게 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2토션 스프링(226a)의 탄성력은 걸이부(230)를 평행 방향으로 회전시킬 정도로 충분해야 커야 하고, 제1토션 스프링(240)의 탄성력은 연결부(220)를 회전시킬 정도의 탄성력은 가지지만, 제2토션 스프링(226a)에 의해 평행 방향으로 회전된 걸이부(230)의 무게를 이길 정도는 아니어야 한다. 나아가,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지부(210)와 걸이부(230) 사이에 삽입될 경우(도 1, 도 24, 도 25, 도 26 참조)에 걸이부(230)가 회전(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과 걸이부(23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되어야 하므로, 제2토션 스프링(226a)의 탄성력은 사용자의 힘보다는 적어야 할 것이다. 즉, 사용자의 힘으로, 걸이부(230)를 임의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여야 할 것이다. Considerations for this purpose include the elastic forces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and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and the hemispherical structures S33 and S34 formed on the first body 247 and the second body 227. The structure or arrangement of the hemispherical structures S31 and S32, and the center of gravity and weight at the time of rotation of the hook 230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For example,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should be large enough to rotate the hook portion 230 in the parallel direction,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such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rotated. It has elasticity, but it should not be enough to beat the weight of the hook portion 230 rotated in the parallel direction by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Furthermore, when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hook part 230 (see FIGS. 1, 24, 25, and 26), the hook part 230 rotates (portable terminal T) Since the rear surface and the hook portion (230) should be rotated awa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should be less than the user's force. That is, the user's force, it should be enough to be able to rotate the hook 230 arbitrarily.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는 펼친 상태에서, 지지부(210)와 걸이부(230)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면(도 1, 도 24, 도 25, 도 26 참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접촉하고 있던 걸이부(230)의 일 단부는 배면으로부터 이격 되면서 손가락을 배면의 제1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걸이부(230)의 나머지 단부는 배면의 제2위치가 있는 방향(즉, 지지대(210)의 후방 방향)으로 더 가까워지도록, 연결부(220)의 나머지 단부와 걸이부(230)가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unfolded state, the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unfolded, and when a user's finger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hook part 230 (FIGS. 1, 24, 25, FIG. 26), one end of the hook portion 23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a configuration to press the finger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osition of the back while being spaced from the back, and also, the other end of the hook portion 23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st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220 and the hook portion 230 are coupled to be clos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osition of the rear side (that is, the 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210 ).

즉, 열린 상태에서, 제2토션 스프링(226a)의 탄성력은 걸이부(230)가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토크를 발생시키는 데, 그러한 토크는 지지부(210)와 걸이부(230)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었을 때 손가락을 가압하는 힘으로 작용한다.That is, in the open state,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generates torque to rotate the hook portion 230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such torque is between the support portion 210 and the hook portion 230 When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it acts as a force to press the finger.

도 18을 참조하면, 제1바디(247)와 제2바디(227)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8, the first body 247 and the second body 22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바디(247)는 그 중앙에 제1회동부재(224)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홀(H33)이 형성되어 있고, 제1바디(247)의 양 단부에는 제1토션스프링(240)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토션스프링(240)은 중앙이 비어 있는 코일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제1회동부재(224)가 제1토션스프링(240)의 중앙을 관통한다. The first body 247 has a hole H33 through which a first rotation member 224 can be inserted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a first torsion spring 24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body 247. A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is formed. Here,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composed of a coil shape with an empty center, and the first rotating member 224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제1바디(247)의 양 단부의 구조와 기능은 동일하므로 제1바디(247)의 단부 1개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바디(247)의 일 단부는 서로 분리된 반구형 구조체들(S33, S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반구형 구조체들(S33, S34)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어 제1토션스프링(24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H34)을 제공하고, 또한 이들 반구형 구조체들(S33, S34)은 제1토션스프링(240)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특히, 반구형 구조체들(S33, S34)은 제1토션스프링(240)이 연결부재(222)가 휴대용 단말기를 향하여 넘어지는 방향(θ1 방향)으로 토션 또는 토크를 발생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토션스프링(240)의 고정 단부는 하우징(214)에 고정 결합되어 있고, 제1토션스프링(240)의 자유 단부는 반구형 구조체들(S33, S34) 중 어느 하나(S34)에 토션 또는 토크를 가함으로써, 제1바디(247)가 회전하게 된다. Since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both ends of the first body 247 are the same, only one end of the first body 247 will be described. One end of the first body 247 has semi-spherical structures S33 and S34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se hemispherical structures S33 and S34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o provide a space H34 in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can be accommodated, and these hemispherical structures S33 and S34 are first torsion springs It is positioned to limit the movement of 240. In particular, the hemispherical structures S33 and S34 ar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generates torsion or torqu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222 falls toward the portable terminal (θ1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xed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214, and the free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240 is any one of the hemispherical structures S33 and S34 (S34) ), the first body 247 is rotated by applying torsion or torque.

제2바디(227)는 그 중앙에 제2회동부재(226)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홀(H31)이 형성되어 있고, 제2바디(246)의 양 단부에는 제2토션스프링(226a)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토션스프링(226a)은 중앙이 비어있는 코일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제2회동부재(227)가 제2토션스프링(226a)의 중앙을 관통한다.The second body 227 has a hole H31 through which a second rotation member 226 can be inserted through the center thereof, and second torsion springs 226a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body 246. A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is formed. Here,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is composed of a coil shape with an empty center, and the second rotation member (227)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제2바디(227)의 양 단부의 구조와 기능은 동일하므로 제2바디(246)의 단부 1개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Since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both ends of the second body 227 are the same, only one end of the second body 246 will be described.

제2바디(227)의 일 단부는 서로 분리된 반구형 구조체들(S31, S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반구형 구조체들(S31, S32)은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어 제2토션스프링(226a)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H31)을 제공하고, 또한 이들 반구형 구조체들(S31, S32)은 제2토션스프링(226a)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위치되어 있다.One end of the second body 227 has hemispherical structures S31 and S32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se hemispherical structures S31 and S32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o provide a space H31 in which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can be accommodated, and these hemispherical structures S31 and S32 are second torsion springs It is positioned to limit the movement of 226a.

특히, 반구형 구조체들(S31, S32)은 제2토션스프링(226a)이 제2바디(247)에 삽입된 제2회동부재(226)가 회전하도록 하는 토션 또는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In particular, the hemispherical structures S31 and S32 are arranged to generate a torsion or torque that causes the second rotating member 226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247 to rotate the second torsion spring 226a.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지지부재(212)와 하우징(214)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12 to 15,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member 212 and the housing 214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12)의 내측 테두리와 하우징(214)의 외부 테두리에는 지지부재(212)와 하우징(214)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들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재(212)의 내측 테두리에는 오목부들(R31, R32, R33, R34)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214)의 외측 테두리에는 돌출부들(E41, E42, E43, E43)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들(E41, E42, E43, E43)이 오목부들(R31, R32, R33, R34)로 수용됨으로써, 지지부재(221)와 하우징(214)이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structures for coupling the support member 212 and the housing 214 are formed on the inner rim of the support member 212 and the outer rim of the housing 214. For example, recesses R31, R32, R33, and R34 are formed on the inner rim of the support member 212, and protrusions E41, E42, E43, and E43 are formed on the outer rim of the housing 214. And the protrusions E41, E42, E43, and E43 are received by the recesses R31, R32, R33, and R34, so that the support member 221 and the housing 214 are engaged.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지지부(210)가 걸이부(230)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결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10)의 지지부재(212)의 외측 테두리와 걸이부(230)의 걸이 부재(232)의 내측 테두리에는 지지부(210)와 걸이부(210)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구조물들은 지지부(210)와 걸이부(210)의 결합과 결합해제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10 to 15, a coupling relationship in which the support part 210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ok part 230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rim of the support member 212 of the support 210 and the inner rim of the hook member 232 of the hook 230 have structures for coupling the support 210 and the hook 210. Is formed. The structures are configured such that coupling and disengagement of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hook part 210 is easily performed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예를 들면, 지지부재(212)의 외측 테두리에는 돌출부들(E31, E32)이 형성되어 있고, 걸이 부재(232)의 내측 테두리에는 수용 구조체들(G11, G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돌출부들(E31, E32)은 각각 수용 구조체들(G11, G12)에 대응되어 결합된다. 이들의 구조와 결합 원리는 동일하므로, 이들 중에서 수용 구조체(G11)와 돌출부(E31)의 결합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수용 구조체(G11)는 이격 공간(D11)과 연장부(R13)를 포함한다. 연장부(R13)는 걸이 부재(232)의 테두리로부터 이격 공간(D11) 만큼 이격 되어 연장되어 있다. For example, protrusions E31 and E32 are formed on the outer rim of the support member 212, and receiving structures G11 and G12 are formed on the inner rim of the hook member 232. Here, the protrusions E31 and E32 are coupled to the receiving structures G11 and G12, respectively. Since the structure and the coupling principle of these are the same, only the coupling of the receiving structure G11 and the protrusion E31 will be described. The accommodation structure G11 includes a separation space D11 and an extension R13. The extension portion R13 extends away from the edge of the hook member 232 by a space D11.

지지부재(212)가 걸이 부재(232)의 공간(233)으로 삽입되면, 걸이 부재(232)의 연장부(R13)와 지지부재(212)의 돌출부(E31)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되며, 돌출부(E31)이 연장부(R13)를 가압하게 된다. 한편, 돌출부(E31)에 의해 힘을 받은 연장부(R13)는 이격 공간(D11)이 존재하므로, 이격 공간(D11)이 좁아지는 방향, 즉 걸이 부재(232)의 테두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한편, 연장부(R13)는 걸이 부재(232)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된 구조를 가지므로, 돌출부(E31)에 의한 힘에 대하여 반발하게 되며, 이러한 반발에 의해 지지부(210)와 걸이부(230)가 결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R13)는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진 재질(예를 들면, 플라스틱)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support member 212 is inserted into the space 233 of the hook member 232, the extension portion R13 of the hook member 232 and the protrusion E31 of the support member 212 are in physical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rotrusion (E31) presses the extension (R13). 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portion R13, which is powered by the protrusion E31, has a separation space D11, and thus is p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paration space D11 is narrowed, that is, close to the edge of the hook member 232. Will b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xtension portion (R13) has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hook member 232, it will repel against the force by the protrusion (E31), the support portion 210 and the hook portion 230 by such repulsion Will be combined. In this embodiment, the extension (R13) may have a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and a structure having a certain elastic force.

한편, 사용자는 걸이부(230)를 지지부(2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면, 돌출부(E31)와 연장부(R13)의 결합은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lls the hook 23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pport 210, the engagement of the protrusion E31 and the extension R13 can be easily releas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펼친 상태에서 홀더와 거치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functions as a holder and a holder in an unfolded state.

연결부재(222)는 지지부(210)와 걸이부(230)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회동모듈 및 제2회동모듈들은 연결부재(222)의 양측 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The connection member 222 may allow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hook part 230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The first rotation module and the second rotation modules are respectively hing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222.

본 실시예에서 제1회동모듈 및 제2회동모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연결부재(222)를 지지부(210)와 걸이부(230)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다른 결합 수단들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otation module and the second rotation modules are exemplary, and other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connection member 222 to the support portion 210 and the hook portion 230 so as to be rotatable, is also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se

본 실시예에서, 펼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이 없다면 걸이부(230)는 제2회동모듈에 의해 평행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하고, 동시에 걸이부(230)와 연결부(220)는 전체적으로 제1 위치 방향(도 5에서는 좌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므로, 걸이부(130)의 우측 하부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과 멀어진다. 이처럼, 걸이부(230)와 연결부(220)는 전체적으로 제1 위치 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때, 걸이부(230)와 연결부(220)는 걸이부(230)의 단부가 제1 위치에 접촉되기 전까지는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90도)를 유지한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re is no external force of the user in the unfolded state, the hook portion 230 rotates to be directed in a parallel direction by the second rotation module,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are generally in the first position direction. Since it is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in FIG. 5), the lower right of the hook 130 is far from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s such, when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are rotated and moved in the first position direction as a whole,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0 are not connected until the ends of the hook portion 230 contact the first position. 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it maintains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는 펼친 상태에서 'A' 구조 또는 '시소' 구조를 가지게 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A' structure or a'seesaw' structure in an unfolded state.

'A' 구조 또는 '시소'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을 지지부(210)에 위치시켰을 때, 걸이부(230)의 상측, 구체적으로는 걸이 부재(232)의 상측이 손가락을 가압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조작 중에도 편안하면서도 견고한 파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A' structure or the'seesaw' structure, when the user's finger is placed on the support 210, the upper side of the hook 230, specifically, the upper side of the hook member 232 presses the finger, The user can maintain a comfortable and sturdy gripping state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12)는 수용홈(212a)이 형성된 상부면에 안착홈(212b)이 형성된다. 펼친 상태에서, 수용홈(212a)과 안착홈(212b)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될 수 있다. 안착홈(212b)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지 상태를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닫힌 상태에서는 안착홈(212b)에 연결 부재(122)의 일부가 위치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212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212b on the upper surface on which the receiving groove 212a is formed. In the expanded state, the user's finger may be positioned in the receiving groove 212a and the seating groove 212b. The seating groove 212b has a shape in which the user's finger can be stably seated to make the gripping state more robust. Meanwhile, in the closed state,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122 is positioned in the seating groove 212b.

상술한 바와 같이, 제2회동부재모듈을 기준으로 하여 걸이부(230)가 회전됨으로써, 걸이부(230)의 상부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가압하고, 걸이부(130)의 하부는 휴대 단말기(T)의 배면(D)으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시소'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휴대 단말기(T)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rotating the hook portion 230 based on the second rotating member module, the upper portion of the hook portion 230 presses the user's finger,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ok portion 130 is a portable terminal (T). ) By forming a'seesaw' structure that is away from the back surface D, the portable terminal T can be used stably and comfortably.

걸이부(230)는 연결부(220)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걸이부(230)는,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 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 외측면을 휴대 단말기의 배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보다 안정적인 파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파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어 휴대 단말기를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 둘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Hook portion 23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220 to be rotatable. When the user grips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finger, the hanger 230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user's finger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a more stable gripping state can be maintained, and the user does not grip the mobile terminal. If not, it is supported by the floor surface and serves to stand the mobile terminal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걸이부(230)는 걸이부재(232)와 케이스(234)를 포함한다. 걸이부재(232)에는 걸이부(230)(구체적으로, 걸이부재(232))의 평행 방향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차단턱(S35)이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k portion 230 includes a hook member 232 and a case 234. The hook member 232 is formed with a blocking jaw S35 for limiting the radius of rotation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hook 230 (specifically, the hook member 232).

차단턱(S35)은 걸이부(230)의 평행 방향 회전 반경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본 거치대 겸용 홀더를 도 24 내지 도 26 처럼, 검지로 걸이부(230)를 가압하는 상태로 사용할 경우,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즉, 차단턱(S35)에 의해 걸이부(230)의 최대 회전 반경이 제한(본 실시예에서는 90도)로 되므로, 검지로 걸이부(230)를 가압하더라도 걸이부(230)는 최대 회전 반경을 초과하여 회전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본 거치대 겸용 홀더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The blocking jaw (S35) not only proposes a radius of rotation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hook portion 230, but also uses the holder as a holder for pressing the hook portion 230 with the index finger, as shown in FIGS. It provides convenience. That is, since the maximum rotation radius of the hook portion 230 is limited (90 degrees in this embodiment) by the blocking jaw S35, even if the hook portion 230 is pressed with the index finger, the hook portion 230 has the maximum rotation radius. It is not rotated over. Due to this, the user can grasp the holder for both the holder and the holder stably and conveniently.

본 실시예에서, 차단턱(S35)는 제2회동모듈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지용 홈(H1: H11, H12)과 후술할 지지부 수용홈(23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locking jaw (S35)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rotation module. Specifically, it is formed between the gripping grooves (H1: H11, H12) and the supporting portion receiving groove 233 to be described la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용 홈(H1: H11, H12), 차단턱(S35), 제2회동모듈 수용부(S31), 및 지지부 수용홈(233)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gripping groove (H1: H11, H12), the blocking jaw (S35), the second rotation module receiving portion (S31), and the supporting portion receiving groove 233 are sequentially arranged.

본 실시예에서, 걸이부(230)는 연결부(220)의 제2회동모듈과 힌지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ook portion 230 is hinged with the second rotation module of the connection portion 220.

걸이부재(232)는, 연결부재(222)가 접힌 상태에서 지지부(210)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수용홈(233)을 더 포함한다. The hook member 232 further includes a support receiving groove 233 that allows the support 210 to be accommodated inward while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folded.

걸이부재(232)는, 또한, 파지용 홈(H1)을 포함한다. 여기서, 파지용 홈(H1)은 예를 들면 관통된 구멍일 수 있다. The hook member 232 also includes a gripping groove H1. Here, the gripping groove H1 may be, for example, a through hole.

한편, 걸이부재(232)는 제2회동모듈 수용부(S31)를 더 포함하며, 파지용 홈(H1)과 지지부 수용홈(233)의 사이에 제2회동모듈 수용부(S31)가 위치된다.Meanwhile, the hook member 232 further includes a second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S31, and a second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S31 is positioned between the gripping groove H1 and the support accommodating groove 233. .

지지부(210)가 걸이부(230)의 지지부 수용홈(233)에 완전히 수용이 되면, 지지부(210)의 밑면(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과 접촉하는 면)과 걸이부(230)의 밑면(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과 접촉하는 면)은, 높이(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지지부(210)의 기하학적 형상(지지부(210)의 높이, 넓이, 또는 모양)이 지지부 수용홈(233)에 완전히 수용이 될 수 있을 정도로 구성된다. When the support part 21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art receiving groove 233 of the hook part 230,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10 (the surface contacting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and the bottom part of the hook part 230 The height (height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the surface contacting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To this end, the geometric shape (height, width, or shape of the support 210) of the support 210 is configured to be fully accommodated in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233.

예를 들면,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은, 지지부(210)가 걸이부(230)의 지지부 수용홈(233)에 완전히 수용이 되었을 때, 지지부(210)의 밑면과 걸이부(230)의 밑면이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경우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substantially the same', when the support 21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233 of the hook 230, the bottom of the support 210 and the bottom of the hook 230 This includes the case where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is simultaneously contacted.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은, 지지부(210)가 걸이부(230)의 지지부 수용홈(233)에 완전히 수용이 되었을 때, 걸이부(230)의 밑면만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에 접촉하고, 지지부(210)의 밑면은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For another example, the'substantially the same', when the support 21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233 of the hook 230, only the bottom of the hook 230 is a portable terminal (T) Includes a cas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unit 21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은, 지지부(210)가 걸이부(230)의 지지부 수용홈(233)에 완전히 수용이 되었을 때, 지지부(210)의 밑면만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에 접촉하고, 걸이부(230)의 밑면은 휴대용 단말기(T)의 배면에 접촉하지는 않았지만 0.5mm 이하의 거리만큼 이격 된 경우를 포함한다.As another example, the'substantially the same', when the support 21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233 of the hook 230, only the underside of the support 210 is a portable terminal (T) Includes a case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and the bottom of the hook portion 230 is spaced apart by a distance of 0.5 mm or less, although it has not touched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T.

걸이부(230)에는 파지용 홈(H1)이 형성되어 있고, 걸이부재(232)의 홈(H11)과 케이스(234)의 홈(H12)이 파지용 홈(H1)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 걸이부재(232)의 홈(H11)과 케이스(234)의 홈(H12)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서로 대향하는(즉, 대략 마주보는) 곳에 위치된다. A groove H1 for gripping is formed in the hook portion 230, and a groove H11 of the hook member 232 and a groove H12 of the case 234 form a gripping groove H1. To this end, the groove H11 of the hook member 232 and the groove H12 of the case 234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to each other, and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that is, approximately facing each other).

케이스(234)는 걸이부재(232)의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스(234)의 외부 테두리와 걸이부재(232)의 내부 테두리에는 양자의 결합을 위한 구조물들이 서로 대응되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234)의 외부 테두리에는 구조물들(E11, E12, E13, E14)이 형성되어 있고, 걸이부재(232)의 내부 테두리에는 구조물들(R21, R22, R23, R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조물들은 서로 결합을 위해서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조물들(E11, E12, E13, E14)은 돌출되어 있고, 구조물들(R21, R22, R23, R24)은 오목한 홈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The case 234 is fo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member 232. The outer rim of the case 234 and the inner rim of the hook member 232 ar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for structures. For example, structures E11, E12, E13, and E14 are formed on the outer rim of the case 234, and structures R21, R22, R23, and R24 are formed on the inner rim of the hook member 232. It is. These structures may be protruding or concave for coupling with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s E11, E12, E13, E14 are protruding, and the structures R21, R22, R23, R24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concave grooves.

케이스(234)에는, 또한 제2회동모듈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제2회동모듈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R11)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제2회동모듈은, 제2회동부재(226), 제1회동부재(226)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제2바디(227), 및 제1토션스프링(2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데, 제2바디(227)의 하부는 걸이부재(232)의 제2회동모듈 수용부(S31)에 위치되고, 제2바디(227)의 상부는 케이스(234)에서의 수용공간(R11)에 위치된다. The case 234 is also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R11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rotating module (for example,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modu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rotation module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econd rotation member 226, a second body 227 configured to insert the first rotation member 226, and a first torsion spring 240. ,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27 is located in the second rotation module receiving portion S31 of the hook member 23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27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R11 in the case 234. Are loca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210)의 지지부재(212)가 걸이부(23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부 수용홈(233)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재(222)가 접혀진 상태에서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s 7 and 8, by supporting the support member 212 of the support portion 210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receiving groove 233 formed inside the hook portion 230 The connection member 222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volume in the folded stat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10)와 걸이부(230)의 결합이 해제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는 펼쳐진 상태가 된다. 즉, 결합이 해제되면, 연결부재(222)가 휴대용 단말기를 향해 넘어진 상태이고, 걸이부(230)의 전방 단부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고 걸이부(230)의 후방 단부는 휴대 단말기의 배면으로부터 이격 된 상태가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engagement of the support part 210 and the hook part 230 is released,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an unfolded state. That is, when the coupling is released, the connecting member 222 is in a state of falling toward the portable terminal, the front end of the hook 230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rear end of the hook 230 is from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It goes into a spaced state.

이제,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200)의 다양한 활용성 또는 편리성을 추가적으로 또는 중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사용 예를 찍은 사진들이다.Now, with reference to FIGS. 24 to 26, various usability or convenience of the holder 2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additionally or repeatedly described. These drawings are photographs taken by using a prototype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검지를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의 파지용 홈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중지, 약지, 및 무명지(새끼 손가락)는 지지부와 걸이부의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엄지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파지용 홈은 검지의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스마트폰이 안정적으로 파지 되게 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index finger is placed in the gripping groove of the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rest of the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cotton finger (little finger) ar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hook part, Shows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umb. The gripping groove provides a function to stably locate the index finger, and the smartphone is stably gripped by such an operation.

물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 중지, 약지, 및 무명지를 모두 지지부와 걸이부의 사이에 삽입한 상태에서, 엄지로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as shown in FIG. 1,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thumb while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cotton are all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hook part.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거치대 겸용 홀더 210: 지지부
212: 지지부재 212a: 수용홈
212b: 안착홈 214: 하우징
220: 연결부
222: 연결부재 224: 제1회동부재
226: 제2회동부재 226a: 제2토션스프링
230: 걸이부 232: 걸이부재
233: 지지부 수용홈 234: 케이스
240: 제1토션스프링
100, 200: holder combined holder 210: support
212: support member 212a: receiving groove
212b: seating groove 214: housing
220: connection
222: connecting member 224: first rotating member
226: second rotating member 226a: second torsion spring
230: hook part 232: hook member
233: support receiving groove 234: case
240: first torsion spring

Claims (16)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는 지지부;
걸이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걸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양 단부를 가진 상기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 중 일 단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의 양 단부 중 나머지 단부는 상기 걸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걸이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는 펼친 상태와 닫힌 상태를 가지며,
상기 펼친 상태는, 상기 걸이부의 일 단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의 제1위치에 접하고 있고, 상기 걸이부의 나머지 단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의 제2위치로부터 이격 된 상태가 된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In the holder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A support portion that can be fix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Hook part;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having both ends; It includes,
One end of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hook portion so that the hook portion is rotatable,
The holder for the portable terminal has a spread state and a closed state,
In the expanded state, one end of the hook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first position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other end of the hook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a second position of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Dragon cradle combined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걸이부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접하고 있던 상기 걸이부의 일 단부는 상기 손가락을 제1위치 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상기 걸이부의 나머지 단부는 제2위치 방향으로 더 가까워지도록, 상기 연결부의 나머지 단부와 상기 걸이부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위치 방향은 상기 지지대의 전방 방향이고 제2 위치 방향은 상기 지지대의 후방 방향인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nfolded state,
When a finger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part and the hook part, one end of the hook part tha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presses the finger in the first position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hook part is in the second position direction. To be closer to, the rest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are combined, the first position direction is the front direction of the support and the second position direction is the rear direction of the support,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는 배면과 차단턱이 형성된 상면을 가진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단턱은,
사용자가 상기 연결부를 상기 배면의 제2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차단턱에 걸릴 때까지 회전되고, 상기 연결부가 상기 차단턱에 걸리면 더 이상 회전될 수 없도록 구성된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portion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rear surface that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upper surface formed with a blocking jaw,
The blocking jaw,
When the user presses the connection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sition of the rear surface, it is rotated until it engages with the blocking jaw, and when the connection portion is caught with the blocking jaw, the holder is configured to be no longer rot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재 및 이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면과 하면을 가진 입체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부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과 상기 연결부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and a housing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he support member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accommodated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penetrated, and in the closed state, the connect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housing is to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손가락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 홈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 seating groove through which a finger can be supported is additionally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재와 제1회동모듈을 포함하며,
제1회동모듈은 제1회동부재, 제1회동부재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관통홀을 가진 통 형상으로 구성된 제1바디, 및 양 단부를 가진 제1토션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제1회동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1회동모듈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회동모듈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제1토션스프링의 일 단부는 하우징에 결합되고 제1토션스프링의 타 단부는 상기 제1바디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배면의 제1위치 방향으로 기울어 지도록 회전되는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and a first rotation module,
The first rot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rotation member, a first body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a first torsion spring having both ends so that the first rotation member is inserted,
In the housing, a first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first rotation module to be rotatable,
The first body is accommodated to be rotatable in the first rotation module receiving portion, one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is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body, As long as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body is rotated so as to be inclined in the first position direction of the rear,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일 단부에는 서로 분리된 반구형 구조체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구형 구조체들은, 제1토션스프링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제1토션스프링의 움직임을 미리 정한 범위 이내로 제한하도록, 서로 대향되어 위치되어 있는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6,
Hemispherical structur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and the hemispherical structures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can be accommodated, and also limit the movement of the first torsion spr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it is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제1회동모듈이 회전할 경우에도,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결합된 것인, 휴대용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7,
Even when the first rotation module rotates, the first body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combined to maintain a constant angle with each other, and a holder for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재와 제2회동모듈을 포함하며,
제2회동모듈은 제2회동부재, 제2회동부재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관통홀을 가진 통 형상으로 구성된 제2바디, 및 양 단부를 가진 제2토션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에는 제2회동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제2회동모듈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2회동모듈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제2토션스프링의 일 단부는 걸이부에 결합되고 제2토션스프링의 타 단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 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면의 제1위치에 접하도록 회전되는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rotation module,
The second rotation module includes a second rotation member, a second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a second torsion spring having both ends so that the second rotation member is inserted,
The hook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rotation module to be rotatable,
The second body is accommodat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second rotation module receiving portion, one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is coupled to the hook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body. , As long as there is no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is rotated so as to contact the first position of the back,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의 일 단부에는 서로 분리된 반구형 구조체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구형 구조체들은, 제2토션스프링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또한 제2토션스프링의 움직임을 미리 정한 범위 이내로 제한하도록, 서로 대향되어 위치되어 있는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9,
Hemispherical structures separated from each other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dy, and the hemispherical structures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torsion spring can be accommodated, and also limit the movement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to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it is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가 회전할 경우에도, 상기 제2바디와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결합된 것인, 휴대용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0,
Even when the hook portion is rotated, the second body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combined to maintain a constant angle with each other, a holder for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걸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 테두리에는 상기 걸이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 부재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돌출부와의 결합을 위한 수용구조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구조체는 이격 공간과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걸이 부재의 내측 테두리로부터 상기 이격 공간만큼 이격 되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연장부는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member, the hook portion includes a hook member,
The outer edge of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hook member,
The inner frame of the hook member is formed with a receiving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protrusion, the receiving structure includes a space and an extension,
The exten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edge of the hook member by the separation space and extends.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안쪽 중앙부에 상기 지지부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 수용홈이 형성된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의 상면에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hook portion includes a hook member having a support portion receiving groove to allow the support portion to be accommodated inwar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and a case coupl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member, a holder for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파지용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3,
The hook member further comprises a groove for gripping, a holder for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부재는 양 단부를 가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길이부재의 일 단부에는 제2회동모듈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제2회동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제2회동모듈 수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용 홈과 상기 지지부 수용홈(233)의 사이에 제2회동모듈 수용부가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4,
The length member has a shape having both ends,
A second rotation module is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length member,
The hook member further includes a second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rotation module, wherein a second rotation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gripping groove and the support accommodating groove 233.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걸이부의 평행 방향 회전 반경을 제한하기 위한 차단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이부의 평행 방향은 상기 걸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평행이 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겸용 홀더.
The method of claim 13,
The hook member further includes a blocking jaw for limiting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hook portion in the parallel directio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hook por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hook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re parallel, a holder for a holder for a mobile terminal.
KR1020190093887A 2019-08-01 2019-08-01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Withdrawn KR202000811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887A KR20200081198A (en) 2019-08-01 2019-08-01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887A KR20200081198A (en) 2019-08-01 2019-08-01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910A Division KR102027709B1 (en) 2018-12-27 2018-12-27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198A true KR20200081198A (en) 2020-07-07

Family

ID=7160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887A Withdrawn KR20200081198A (en) 2019-08-01 2019-08-01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119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245A (en) 2022-08-30 2024-03-07 주식회사 웨이브온 Apparatus and method for AI smart deal manpower match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245A (en) 2022-08-30 2024-03-07 주식회사 웨이브온 Apparatus and method for AI smart deal manpower matc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5444B2 (en) Holder for mobile terminal
KR102223569B1 (en) Stabilising device
JP5879337B2 (en) Case accessor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486910B2 (en) Tablet computer holder
US201102053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120312955A1 (en) Handle for hand held device
US20120326003A1 (en)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US9942369B2 (en) Mobi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US20110260014A1 (en) Protective cover support r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844159B1 (en) Handheld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844183B2 (en) Low profile computer support
CN104956286A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retaining tool
US9504173B2 (en) Portable electronic product
US10890944B1 (en) Tablet support stand
JP7437105B2 (en) smartphone holding device
GB2532013A (en) A tablet support tool
US10258123B1 (en) Holder and method for holding a personal computing device
US9483075B2 (en) Handheld mount and stand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16111681A (en) Portab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KR20200081198A (en)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102027709B1 (en)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102451592B1 (en) Hand grip with supporting function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US20190058782A1 (en) Stand-holder for portable terminal
JP2014107654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se
KR200475621Y1 (en) a Case for small portable compu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80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122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17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