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930A - Conversation service system fo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 Google Patents
Conversation service system fo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4930A KR20200084930A KR1020180165776A KR20180165776A KR20200084930A KR 20200084930 A KR20200084930 A KR 20200084930A KR 1020180165776 A KR1020180165776 A KR 1020180165776A KR 20180165776 A KR20180165776 A KR 20180165776A KR 20200084930 A KR20200084930 A KR 202000849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ificial intelligence
- voice
- conversation
- service server
- ser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3—Execution procedure of a spoken command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10L2015/225—Feedback of the input spee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y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형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형에 인공지능장치를 탑재하고, 인형속의 인공지능장치가 무선통신망을 통해 음성신호를 전송하면 음성인식에 의해 대화 응답 및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인공지능장치로 전송해주는 서비스 서버로 대화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자와 인형과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모듈형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rsation service method of a doll equipped with a modular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whe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s mounted on the doll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n the doll transmits a voice sig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conversation response and command by voice recogn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rsation service method of a doll equipped with a modular AI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conversation service system between a user and a doll by constructing a conversation service system as a service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AI device.
일반적으로 어린이는 흥미있는 놀이나 장난감을 통하여 생활교육을 학습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 장난감과의 친밀한 교감을 통하여 실생활에 따르는 모방학습을 수행한다. 모방학습은 대부분 인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어린이는 어린이 스스로가 모방학습의 시나라오에 따라 그 인형의 적절한 반응을 유도 즉 적절한 음성표현과 동작행위를 쌍방향의 대화형으로 흥미있게 진행함으로 그 모방학습에 몰두하게 된다.In general, children tend to learn life education through interesting play or toys, and perform imitation learning according to real life through intimate sympathy with the toys. Most imitation learning is done through dolls, and children can induce the appropriate reaction of the doll according to the narration of imitation learning, that is, by conducting appropriate voice expression and action interactively and interactively, it is interesting to learn about imitation learning. Engrossed.
이와 같이, 장난감을 통한 교육은 옛날부터 불가분의 관계로 이어져 오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교육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말하는 인형의 연구가 활발하며, 보다 진보적인 인형의 제작이 끊임없이 시도되고 있다.As such, education through toys has been inseparable since ancient times. Recently, studies on talking dolls that can expect such an educational effect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more advanced dolls have been continuously produced.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인형완구는 대부분 터치센서(스위치의 종류)가 인형의 특정영역에 설치되어있어 있으며, 어린이에 의해서 상기 터치센서가 동작되면, 자기기록매체(테이프)나 반도체기록매체(IC메모리)에 저장된 간단한 문장의 음성표현 즉 "안녕, 나는 철수야, 너는 누구니?", "너 뭐하니?", 등과 같은 불연속적인 단문의 음성을 들려주거나, 또는 정형화된 두,세가지의 동작행위 즉 팔을 들어올린다는 동작, 머리를 움직이는 동작 등과 같은 단순동작을 수행하여 일시적인 호기심을 유발시키는데 그치고 있다.Most of the doll toys of the prior art have a touch sensor (a type of switch) installed in a specific area of the doll, and when the touch sensor is operated by a child, a magnetic recording medium (tape) or a semiconductor recording medium (IC memory) Voices of discontinuous short sentences such as "Hello, I'm Cheolsu, who are you?", "What are you doing?", etc. They simply perform simple actions such as lifting the head, moving the head, etc., and cause temporary curiosity.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인형완구는 단발적이고, 간략한 문장을 말하는 인형들(talking toys)이며, 터치센서의 동작여부에 따라서 시나리오 없는 단순문장이 녹음된 음성을 들려주기 때문에 일시적인 호기심을 이끄는데 불과하고, 특히 어린이가 쉽게 실증냄에 따라 실제 사용기간이 짧기 때문에 효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se conventional doll toys are short-lived, talking toys that speak brief sentences, and only a temporary curiosity is drawn because a simple sentence without a scenario hears the recorded vo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uch sensor. In particular, since the actual use period is short as the children easily demonstrate, there is a problem of low utility.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화된 인공지능 장치를 인형 또는 완구에 탑재하고, 인공지능장치가 음성신호를 무선통신망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며, 서비스 서버가 인공지능 엔징을 통해 음성인식에 따른 대화 응답 및 명령어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인형의 인공지능장치로 전송하게 함으로써, 인공지능장치를 탑재한 인형과 사용자간에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gainst this backgrou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 modular AI device on a doll or toy, the AI device transmits a voice signal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a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performs voice recognition through AI ensing.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versation service between a doll equipped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a user by generating a conversation response and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accordingly and transmitting it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of the doll.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인형에 탑재되는 인공지능장치와, 상기 인공지능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대화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상기 인형에 탑재된 인공지능장치가 상기 서비스 서버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와 인형간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형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방법으로서,A conversation service system inclu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mounted on a doll and a service server connect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constructed,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mounted on the doll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service server to communicate with a user. As a conversation service method of a doll equipped with a modular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hat provides a conversation service between dolls,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사용자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receiving a user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a service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음성신호를 인공지능 엔진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분석하여 대화 음성인 경우 대화 응답 음성을 생성하고, 명령어 음성인 경우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피드백시키는 대화 응답음성 또는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수신받는 단계와;The service server automatically analyzes the received voice signal by an AI engine algorithm to generate a conversation response voice in the case of a conversation voice, and generates a conversation response voice or instruction processing information to generate and feedback the instruction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command voice. Receiv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수신된 피드백 정보가 대화 응답 음성인 경우, 대화 응답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When the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s a conversation response voice, outputting a conversation response voice through a speaker to provide a conversation service;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수신된 피드백 정보가 명령어 처리 정보인 경우, 상기 인형내에 탑재된 인공지능장치에 연결된 해당 부가모듈을 제어하여 명령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If the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I device is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module connected to the AI device mounted in the doll to perform command processing;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Provides a conversation service method of a doll equipped with a modular AI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인형에 내장되는 인공지능장치에는,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built into the doll,
조작버튼들이 구비된 콘트롤패널이 연결되며, 상기 콘트롤패널에는 음성인식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A control panel equipped with operation buttons is connected, and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button,
상기 인공지능장치는, 음성인식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만 상기 마이크 입력 음성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only when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is input, the microphone input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상기 인공지능장치는,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부, 사운드 출력단자부, 모듈 연결단자부에 연결되는 모듈들의 연결정보를 생성하고, 해당되는 모듈 연결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며,Generates connection information of modules connected to the sound input terminal unit, sound output terminal unit, and module connection terminal unit,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modul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상기 서비스 서버가 명령어 처리 정보 생성시에 명령어 처리에 해당되는 부가모듈의 연결 유무를 체크하고, 명령어 처리를 위한 부가 모듈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부가 모듈이 연결되지 않았다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인공지능장치로 전송하고, 인공지능장치에서 사용자의 명령어 처리를 위한 부가 모듈이 연결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ervice server generates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it checks whether an additional module corresponding to command processing is connected, and if the additional module for command processing is not connect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sends a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dditional module is not connected. And outputting a voice indicating that the additional module for processing a user's command is not connect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상기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인공지능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인공지능장치와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인형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이 더 포함되고,App for connecting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enabling data communication, connecting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viding an interactive service of dolls by interworking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the service server This installed smartphone is further included,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인공지능장치의 음성신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서버의 대화 응답 또는 명령어 처리 정보를 인공지능장치로 전달하며, 인공지능장치와 데이터 통신에 의한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 phone transmits a voice signal from the AI device to a service server, or transmits a conversation response or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to the AI device, and provides a voice call service by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I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은, 인형의 몸체 내부에 탑재되고,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아 무선통신을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며, 서비스 서버에서 회신된 응답 음성 또는 명령어 처리정보를 수신받아 응답음성을 출력하거나 명령어 처리를 수행하는 인공지능장치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side the body of the doll, receives the user's voice, transmits it to the service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receives the response voice or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returne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outputs a response voice or performs command proces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o perform;
상기 인공지능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인공지능장치로부터 전송되어온 음성데이터를 인공지능 엔진에 의해 분석하여 대화 응답 또는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공지능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고,And a service server connected to the AI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nalyzing voice data transmitted from the AI device by an AI engine to generate dialogue response or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AI device. Construct a conversation service system for doll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인형내에 탑재된 인공지능장치는,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nstalled in the doll,
전원이 온되면, 부가 모듈과 전기적 연결을 체크하여 모듈 연결정보를 생성하고, 모듈 연결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When the power is turned on, check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additional module to generate module conn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odul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음성인식 버튼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음성인식 판단단계와;A voice recogni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voice recognition button is input;
음식인식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마이크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음성신호 전송단계와;A voice signal transmission step of receiving a microphone input signal in a state in which a food recognition button is input, converting it into voice data and transmitting it to a service server;
상기 인공지능장치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받은 서비스 서버가 음성인식 및 분석에 의해 자동으로 해당 음성에 대한 대화 응답을 생성하거나,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회신하면,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회신되는 대화 응답 또는 명령어처리 정보를 수신받는 대화응답 수신단계와;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ing the voice data from the AI device automatically generates a conversation response for the voice by voice recognition and analysis, or generates and responds to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the AI device returns from the service server A conversation respons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received conversation response or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대화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여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비스 단계와;A conversation service step of converting the voice data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when a conversation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to provide a conversation service;
상기 대화응답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명령어 처리 정보인 경우, 명령어에 대응된 부가모듈을 제어하어 명령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 서비스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mmand service step of controlling an additional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to provide a command processing service when the data received in the conversation response receiving step is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상기 명령어 서비스 단계에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대응된 부가모듈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해당 부가 모듈이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mmand service step, when the additional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is not conn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 guide voice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module is not connected.
상기 인형에 내장되는 인공지능장치에는,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built into the doll,
사운드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사운드 출력을 위한 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부가 모듈 및 조작버튼들이 설치된 콘트롤패널; 부가모듈로서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사용자가 인형의 특정부위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터치센서와, 컨텐츠를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컨텐츠를 투사방식으로 출력하는 빔프레젝터중 어느 하나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panel equipped with a microphone for sound input, a speaker for sound output, and one or more additional modules and operation buttons; As an additional module, any one of a camera for video shooting, a touch sensor installed to detect a user touching a specific part of the doll, a display for outputting content as an image, and a beam projector for outputting content in a projection metho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one more.
상기 인공지능장치는,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스피커를 연결하는 사운드 출력단자부; 마이크를 연결하는 사운드 입력단자부; 카메라, 콘트롤패널, 촉각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가 모듈과 연결되는 복수의 모듈 연결단자부; 밧데리 전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또는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A sound output terminal for connecting speakers; A sound input terminal for connecting a microphone; A plurality of module connection terminal part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dditional modules including a camera, a control panel, and a tactile sensor;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with battery powe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smart phone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sation service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음성을 입력받아 무선통신부를 통해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응답되는 응답음성을 출력하는 대화서비스와, 서비스 서버로부터 회신되는 명령어 처리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모듈 연결 단자부에 연결된 부가 모듈들을 제어함과 아울러 서비스 서버 또는 스마트폰과 통신하면서 명령어 처리를 하는 명령어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dule connection terminal unit receives voice and transmits i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a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n AI conversation service, and outputs a response voice responsive from the service server, and a dialogue service based on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returne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a controller that performs command processing services to control command modules while communicating with a service server or a smartphone while controlling additional modules connected to the service module.
상기 인형에 상기 인공지능장치를 장착하는 구조는,The structure to attac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o the doll,
상기 인공지능장치를 몸체 내부에 삽입하여 탑재하기 위한 포켓부;A pocket portion for inserting and mount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nto the body;
상기 포켓부로 인공지능장치를 삽입하거나 빼낼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퍼부;A zipper portion formed to insert or remo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nto the pocket portion;
상기 포켓부의 외피의 일부를 개구시켜 설치되고, 상기 인공지능장치의 일부 표면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방열시키는 중앙 관통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인공기능장치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cludes a buffer member that is installed by opening a portion of the outer shell of the pocket portion, and a central through-hole for radiating heat by exposing some surfac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o air, and cushioning external shocks that may be applied to the artificial function device. It is composed.
상기 완충부재의 관통부에는 망사가 매립 설치된다.A mesh is embedd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상기 인공지능장치를 완충부재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하는 탄력밴드가 더 포함된다.An elastic band for closely fix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o the buffer member side is further includ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지능장치를 인형에 내장하여 설치한 인형으로서, 인형에 탑재된 인공지능장치가 입력음성을 무선통신망을 통해 인공지능엔진 서버인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대화 응답 또는 명령어 처리 정보를 수신받아 응답 대화를 출력하거나, 부가 모듈을 제어하여 명령어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따라 인형과 사용자가의 대화가 가능해지고, 부가모듈을 장착하여 부가모듈을 이용한 명령 처리가 가능해진다. 인공지능장치를 인형이나 완구등에 장착하여 대화서비스를 제공하므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상호 교감관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built into a doll and install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mounted on the doll transmits the input voice to a service server, which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es service. Receive a conversation response or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from a server to output a response conversation, or control an additional module to perform command processing. Accordingly,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doll and the user becomes possible, and an additional module is mounted to enable command processing using the additional module. Sin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s mounted on a doll or a toy to provide a conversation service, it can induce interest and enhance mutual inter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장치를 탑재한 인형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장치를 탑재한 인형의 대화 서비스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장치에 연결되는 모듈 구성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형에 인공지능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조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인공지능 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oll equipped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rsation service system of a doll equipped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dule connected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exemplary views of a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o a do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dule-coupled A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t will be understood that som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but another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장치를 탑재한 인형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oll equipped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장치를 탑재한 인형(200)으로서, 인형(200)의 몸체 내부에 인공지능장치(100)가 탑재되고, 상기 인공지능장치(100)에 연결되는 마이크(10), 스피커(20)를 포함하는 모듈들이 인형(200)에 탑재되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장치를 탑재한 인형의 대화 서비스 시스템 개요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rsation service system of a doll equipped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형(200)에 탑재되는 인공지능장치(1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주변의 AP(Access Point; 무선접속장치)에 접속하고, AP를 통해 무선인터넷망에 접속되며, 무선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나, 스마트폰(400)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장치(10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400)가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The
상기 인형(200)은, 휴머노이드형이나, 동물형으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외피를 갖는 인형일수도 있고, 하드한 외피를 갖는 인형이나 완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를 통칭하여 인형으로 설명한다.The
상기 인공지능장치(100)에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구비되어,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를 통해서 AP에 접속되고, 무선 인터넷망을 거쳐 서비스 서버(300)나 스마트폰(400)과 통신할 수 있고,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근거리통신으로 스마트폰(400)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The
상기 인형(200)에 탑재된 인공지능장치(100)와 사용자간의 대화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장치(100)은 입력된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300)가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를 추출하고, 해당 의미에 따른 응답 대화를 생성하여 피드백시키고, 인공지능장치(100)가 피드백되는 응답 대화를 출력하여 사용자와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한다.Provides a conversation service between the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음성인식에 의해 분석된 음성이 명령어 인경우, 명령어 처리를 위한 제어 명령을 피드백시킴과 아울러 해당 명령어에 대응된 컨텐츠를 함께 인공지능장치(200)로 제공한다. 인공지능장치(1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피드백된 제어 명령어에 의거하여 연결된 모듈들(예; 카메라, 디스플레이, 빔 프로젝터 등...)을 제어하여 명령어 처리를 한다.In addition, when the voice analyzed by the voice recognition is a command, the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인공지능 엔진 서버로서, 상기 인공지능장치(100)에서 데이터화 된 장치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받는다. 수신된 음성을 형태소 분석, 키워드 인식, 화행 분석 또는 시맨틱 분석과 같은 다수의 자연어 이해 기술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음성의 말뭉치를 형태에 따라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된 말뭉치, 즉 장치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리지 회귀분석(Ridge Regression), 로지스틱 회기분석(Logistic Regression), 일반화선형모형(Generalized Linear Model),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변화 부양 모형(GradientBoostinf Model) 및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와 같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음성의 의미를 파악하고, 해당되는 응답 대화를 생성하거나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인공지능장치(100)와 장치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대화가 가능하도록 문맥에 맞는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인공지능장치(10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공지능장치(100) 즉, 인공지능장치(100)가 탑재된 인형(200)과 사용자간의 대화가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와, 명령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비스 서버(300)가 음성인식에 의해 어떻게 응답대화를 생성하거나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음성을 인공지능 엔진 서버인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의 대화 응답을 인형내의 인공지능장치가 출력하게 하는 대화서비스와, 명령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how the
또한, 상기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인공지능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이 가능함과 아울러 인공지능장치의 음성신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서버의 대화 응답 또는 명령어 처리 정보를 인공지능장치로 전달하며, 인공지능장치와 데이터 통신에 의한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by connecting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AI device can be connected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voice signal of the AI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or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mart phone having an app that provides a voice call service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I device, and transmits the conversation response or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AI devic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공지능장치와 스마트폰이 직접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으로 연결되어 AP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인공지능장치에서 음성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며, 서비스 서버가 회신하는 대화 응답 및 명령어 처리 정보를 스마트폰이 받아 인형내의 인공지능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스마트폰에 해당되는 기능을 구현하는 앱이 설치된다. 또한, 스마트폰과 인공지능장치는, 직접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를 거쳐서 데이터 통신으로 음성대화도 가능하도록 한다. 이또한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하고, 서비스 서버에도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앱이 설치되며, 인공지능장치에는 스마트폰으로 근거리 통신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the smart phone can be directly connected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uetooth) to replace the AP func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ransmits a voice signal to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transmits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martphone receives the conversation response and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returned by the service server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n the doll. For these functions, an app that implements th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smartphone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smart phone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enable voice communication by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service server, either directly o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This can also be implemented by installing an app on the smartphone, an app that works with the smartphone on the service server, and installing a program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o send and receive data by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그러므로, 인공지능장치가 내장된 인형을 들고 외부에 나가 있을때, 스마트폰이 AP역할을 하여 대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you go outside while holding a doll with a built-in AI device, your smartphone can act as an AP to implement a conversation servic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장치에 연결되는 모듈 구성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dule connected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인형(200)에 탑재되는 인공지능장치(100)의 연결 모듈 구성는,Connection module configuration of the
사운드 입력을 위한 마이크(10), 사운드 출력을 위한 스피커(20),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30), 컨텐츠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40), 컨텐츠를 투사하여 출력하는 빔 프로젝터(50), 인공지능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패널(60), 터치 상태를 감지하는 터치센서(70)를 포함하고, 인공지능장치(100)의 내부에는 자이로 센서나, 충격감지센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공지능장치(100)는, 내부에 밧데리 전원부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들의 방열을 위하여 케이스의 일부를 망사형으로 구성한 방열부(101)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인형(200) 내부에 인공지능장치(100)가 탑재되고, 그 인공지능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듈들이 인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40)와 빔 프로젝터(50)는, 인형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접 인형 몸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 연결포트만 노출되어 구성되고, 외부 연결포트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모니터)나, 빔 프로젝터에 연결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마이크(10), 스피커(20), 카메라(30), 콘트롤패널(60)은 인형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고, 연결케이블을 통해 인공지능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케이블 단선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튜브속에 모듈과 인공지능장치간 연결케이블을 내장하여 연결설치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인형(200)의 특정부위에 사용자의 터치상태를 감지하여 인공지능장치(100)로 입력하는 터치 센서와, 충격감지 센서가 더 설치되고, 상기 인공지능장치는, 상기 터치센서와 충격감지센서의 감지신호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음성이나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인공지능장치(100) 자체 판단에 의해 반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touch state on a specific part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지능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마이크를 연결하여 마이크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운드 입력단자부(110)와,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연결되는 사운드 출력단자부(120)와, 카메라, 콘트롤패드, 디스플레이, 빔 프로젝터, 센서들을 포함하는 부가 모듈들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 연결단자부(130; 132, 134, ... 136)를 포함하고, 밧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160)와,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들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입력음성을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며,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피드백되는 응답 대화를 사운드 출력단자부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하여 음성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서버(300)의 명령어 처리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모듈 단자부(130)의 모듈을 제어하여 명령 처리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sou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장치를 탑재한 인형(200)은, 인공지능장치(10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300)에 접속된다. 인공지능장치(200)는 사용자 음성입력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300)의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하여 의미를 파악하고, 의미에 대응된 대화 응답을 자동생성하여 인공지능장치(100)로 제공하며, 인공지능장치(100)가 수신된 대화 응답을 스피커로 출력하여 사용자와 인형간에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상기 인공지능 장치(100)는 마이크, 스피커, 센서를 포함한 입출력 모듈들을 자체내에 구비한 일체형 인공지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경우는 인공지능장치에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인형속에 내장되어 탑재되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나, 빔 프로젝터를 일체형으로 설치하기에는 제한적이다.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인공지능장치(100)에 마이크나, 스피커, 카메라, 디스플레이, 빔 프로젝터, 콘트롤패널 등을 포함하는 부가 모듈을 인공지능장치(100)에 연결단자부를 통해 연결하고, 인형(200)의 적절한 부위에 각 부가 모듈을 부착 설치하는 구조를 제안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인공지능장치(100)에 마이크(10)를 연결하는 사운드 입력단자부(110), 스피커(20)를 연결하는 사운드 출력 단자부(120), 카메라(30), 디스플레이(40), 빔 프로젝터(50), 콘트롤패널(60), 터치 센서(70)등을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모듈 연결 단자부(130)를 구비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ound
인형(200)의 사이즈나 구성상 디스플레이(60)나 빔 프로젝터(50)를 직접 인형 몸체에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해당 모듈을 연결하지않고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해당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포트(연결단자부)를 인형(200)의 외피에 콘트롤패널과 같은 형태로 인형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한 단재대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Due to the size and configuration of the
사운드 입력 단자부(110)는 장치 사용자가 인공지능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발생한 음성 명령을 입력받은 마이크(10)로부터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음성 명령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고, 사운드 입력부(110)는 AUX(Auxiliary)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사운드 출력 단자부(120)는 장치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20)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된다.The soun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운드 출력 단자부(120)는 콘트롤러(150)에서 전달한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20)로 출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특히, 사운드 출력 단자부(120)는 제어부(150)로부터 모듈 미연결 안내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듈 미연결 안내 음성 신호를 포함한 음향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고, 사운드 출력단자부(120)는 사운드 입력 단자부(110)처럼 AUX 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ound
하나 이상의 모듈 연결 단자부(130)는 인공지능 서비스와 관련된 영상 출력, 영상 입력 등을 위한 하나 이상의 부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된다.The one or more module
여기서, 하나 이상의 모듈 연결 단자부(130)는 제 1 모듈 연결 단자부(132) 내지 제 N 모듈 연결 단자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ne or more module
예를 들어, 제 1 모듈 연결 단자부(132)는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0)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모듈 연결 단자부(132)는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 또는 미니 USB 단자 또는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등 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빔프로젝터(50)나 카메라(30), 콘트롤패널(60)등과 연결되는 연결 단자대는, USB 단자 또는 미니 USB단자 또는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35 파이 입력 단자 등 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module
또한, 상기 콘트롤패널(60)은, 사운드 출력을 업/다운 시키는 업/다운버튼과, 전원온/오프를 시키는 전원버튼과, 음성인식 음성입력을 위한 음성인식버튼과, 근거리 무선통신(예; 와이파이, 블루투스) 연결을 리세트시키는 통신리세트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음식인식버튼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를 음성인식으로 입력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음성인식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만 마이크 신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음성인식에 따른 대화음성 또는 명령어 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대화 서비스나 명령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food recognition button is for inputting sound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through voice recognition, and transmits a microphone signal to the service server only when the voice recognition button is pres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conversation voice or command according to voice recognition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rsation service or a command processing service.
이는 평소 주변의 사운드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었을때 모두 음성인식을 위한 서비스서버로 전송하게 되면 불필요한 데어터 처리부하가 걸리고, 음성인식이 어려울 수 있다.This may cause unnecessary data processing load, and voice recognition may be difficult if all the surrounding sound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microphone to the service server for voice recogni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패널(50)에 음성인식버튼을 구비하고, 음성인식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만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음성인식에 따른 대화서비스 또는 명령어 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무선 통신부(140)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인공지능 엔진 서버인 서비스 서버(300)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40)는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중 계기(AP)를 통해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또는 테더링 단말과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AP를 통해 무선 인터넷망과 접속 할 수도 있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직접 스마트폰(400)가 연결될 수도 있다.The
콘트롤러(150)는 인공지능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모듈이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부가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이 하나 이상의 모듈 연결 단자부(130) 중 어느 하나의 모듈 연결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of the one or more additional modul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one or more module
콘트롤러(150)는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이 연결된 것을 서비스 서버(300)에 알리기 위한 모듈 연결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모듈 연결 알림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한다.The
여기서, 콘트롤러(150)는 어느 하나의 모듈 연결 단자부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로부터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모듈 연결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모듈 연결 알림 정보는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한편, 음성 명령 데이터에 하나 이상의 모듈 연결 단자부(130)에 미연결된 부가 모듈인 미연결 부가 모듈의 동작 관련 명령이 음성 명령 데이터에 포함된 경우, 콘트롤러(150)는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모듈 미연결 안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모듈 미연결 안내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인 모듈 미연결 안내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치 사용자가 잘못된 음성 명령을 전달한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when the voice command data includes an operation related command of an unconnected additional module, which is an additional module that is not connected to one or more module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이 제 1 모듈 연결 단자부(132)에 전기적으로 연결, 즉 디스플레이(40)의 커넥터가 제 1 모듈 연결 단자부(132)에 접속된 경우, 콘트롤러(150)는 디스플레이(40)가 연결된 것을 서비스 서버(300)에 알리기 위한 모듈 연결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모듈 연결 알림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이후, 콘트롤러(150)는 장치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해당하는 음성 명령 신호를 사운드 입력 단자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음성 명령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음성 명령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여기서, 음성 명령 데이터에 디스플레이(40)의 동작 관련 명령(예를 들어, "△△ 만화 영화 보여줘" 등)이 포함된 경우, 모듈 연결 알림 정보의 수신을 통해 모듈 결합형 인공지능 장치(100)에 디스플레이(40)가 결합된 것을 인지한 서비스 서버(300)는 음성 명령 데이터에 포함된 디스플레이(40)의 동작 관련 명령이 유효한 명령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40)의 동작 관련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 관련 데이터(예를 들어, "△△ 만화 영화" 동영상 데이터)를 인터넷 또는 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및 추출하여 모듈 결합형 인공지능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트롤러(150)는 디스플레이(40) 동작 제어 데이터와함께, 관련데이터(예; 명령어에 대응된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40)를 제어하여 콘텐츠를 출력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voice command data includes a comman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40 (for example, “show me a △△ cartoon movie”, etc.), the module-coupled
또다른 예로서, 임의의 음식을 보고 "저거 먹어도 돼" 라고 하는 경우, 입력음성을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300)의 회신에 따라 '사진 촬영해바'라고 자동응답하고, 사진 촬영 방법을 안내한다. 카메라를 해당 대상물로 향하여 사진 촬영이라고 하면, 이 음성신호가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고, 서비스 서버의 제어명령에 의해 카메라가 작동되어 사진이 촬영된다. 촬영된 사진은 서비스 서버로 송신되고, 서비스 서버가 사물인식 영상처리를 하여 사진속 음식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며, 해당 음식이 미리 설정된 안내정보(먹어도 되는지, 먹으면 안되는지, 조금만 먹어도 되는지, 먹는 시간이 정해져 있는지,..등의 안내정보를 사용자 부모나 관리자가 미리 설정해두는 정보)를 인형내에 설치된 인공지능장치가 수신받아 해당 음식에 대해 먹어도 되는지, 아니면 먹지 말아야 할지, 아니면 조금만 먹어야 하는지 등의 여부를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looking at an arbitrary food and saying "you can eat that," the input voice is transmitted to the
한편, 음성 명령 데이터에 하나 이상의 모듈 연결 단자부(130)에 미연결된 카메라(30)의 동작 관련 명령(예를 들어, "사진 찍어줘" 등)이 포함된 경우, 모듈 연결 알림 정보의 수신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는, 모듈 결합형 인공지능 장치(100)에 카메라(3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서, 카메라(30) 제어 명령어가 입력된 경우이므로, 유효하지 않은 명령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서버(300)가 모듈 미연결 음성 데이터(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등)를 생성하여 인공지능 장치(100)에 전송하고, 인공지능장치(100)에서 스피커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oice command data includes an operation-related command (eg, “take a picture”) of the
전원부(160)는 인공지능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부(160)는 충방전이 가능한 니켈 카드뮴 전지, 알카라인 전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는, 인공지능장치(100)가 인형(200)의 몸체 내부에 내장되어 설치된 것이므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포트를 콘트롤패널(50)에 구비하여, 외부에서 충전포트를 통해 밧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장치(100)는 다양한 캐릭터의 봉제 인형 등에 내장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용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한편, 본 발명의 인공지능장치(100)를 인형(200)의 내부에 장착하게 되면, 완충재로 충진된 인형 몸체 내부에서 발열문제가 대두된다. 이에따라 인공지능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형에 인공지능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조 예시도이다.5 and 6 are exemplary views of a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o a do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인형(200)에 상기 인공지능장치(100)를 장착하는 구조는,The structure for attaching the
상기 인공지능장치(100)를 인형(200)의 몸체 내부에 삽입하여 탑재하기 위한 포켓부(220)와;A
상기 포켓부(220)로 인공지능장치(100)를 삽입하거나 빼낼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퍼부(250)와;A
상기 포켓부(220)가 형성된 인형(200)의 외피(201)의 일부를 개구시켜 설치되고, 상기 인공지능장치(100)의 일부 표면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방열시키는 중앙 관통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인공기능장치(100)에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완충부재(210)의 관통부에는 망사(202)가 매립 설치된다.A
또한, 상기 인공지능장치(100)를 완충부재(210)측으로 밀착시켜 고정하는 탄력밴드(2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공지능장치(100)의 케이스의 외피중 일부를 공기가 통과되는 망사형 방열부(101)를 형성하고, 방열부(101)가 상기 완충부재(210)의 광통부를 통해 외부 공기에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outer shell of the case of the
상기 지퍼부(240)는 도면상에서는 완충부재(210)의 측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완충부재(210)의 하부 인형(200)의 하면이나, 완충부재(210)의 상부 인형의 몸체부에 수평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인형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고, 포켓부(220)는, 어느 한면이 오픈되어 인공지능장치(100)를 삽입 가능하게 하고, 탄력밴드(240) 고정시킬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포켓부(220)의 어느 한면의 덮개형으로 구성하고 덮개형 선단에 벨크로 테이프(230)를 부착하여 인형의 외피(201)에 부착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인공지능장치(100)를 인형(200)의 몸체 내부에 장착하는 구조에서 완충부재(210)를 이용하여 외부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방열부(101)를 외부 공기중에 노출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인공지능장치(100)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by construct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인공지능 서비스와 관련된 음성 입출력을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 인공지능 서비스와 관련된 영상 입력을 위한 카메라 등이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모듈 결합형 인공지능 장치(1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부가 모듈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and speaker for voice input/output related to the AI service, the camera for video input related to the AI service, etc. are composed of a module type, and the module-integra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인공지능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module-coupl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형 인공지능 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dule-coupled AI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공지능장치(100)는, 콘트롤패널(60)을 통해 전원온 버튼을 눌러 전원이 온되면, 동작을 시작한다.The
전원이 온되면, 하나 이상의 모듈 연결단자부(130) 중 어느 하나의 모듈 연결 단자부에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인공지능 장치(100)는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이 연결된 것을 인공지능 엔진 서비스 서버(300)에 알리기 위한 모듈 연결 알림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모듈 연결 알림 정보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10).When the power is turned on, it is checked which one of the additional modul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one or more
여기서, 모듈 결합형 인공지능 장치(100)는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로부터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모듈 연결 알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Here, the module-integrated
인공지능 엔진 서비스 서버(300)로 모듈 연결 알림 정보를 전송(S10)한 후, 음성인식버튼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0). 은성인식버튼은, 콘트롤패널(60)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인형과의 대화 또는 인형으로 명령어를 입력시키기 위해서는 음성인식버튼을 눌러야 한다.After transmitting the module connec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AI engine service server 300 (S10), it is determined whether a voice recognition button is input (S20). The silver recognition button is provided on the
음성인식버튼 입력이 있으는 경우에 마이크(1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여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30).When there is a voice recognition button input,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음성인식버튼의 입력이 없을때에는 마이크 신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지 아니한다.When there is no voice recognition button input, the microphone signal is not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음성데이터를 전송받은 서비스 서버(300)는, 음성데이터를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의해 의미를 분석하고, 음성 데이터의 의미에 따라 대화에 대한 응답음성이나, 명령어에 따른 응답 음성을 생성하거나, 명령어를 추출하여 해당 명령어 처리를 생성하여 인공지능장치(100)로 피드백시킨다.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대화 응답 또는 명령어 처리 정보를 인공지능장치(100)가 수신받는다(S40). The
인공지능장치(100)는,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응답데이터가 대화 응답인지 명령어 처리인지를 판단한다(S50). 판단의 기준은 명령어인 경우, 부가 모듈을 제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대화 응답인지 명령어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대화 응답인 경우는, 서비스 서버(300)에서 수신된 응답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0)로 출력함으로써 대화서비스를 제공한다(S60).In the case of a conversation response, a conversation service is provided by converting the response data received from the
상기 대화 응답 판단에서 음성데이터가 아닌 명령어 데이터에 대해서는, 명령어에 대응된 부가 모듈을 제어하고,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명령어 처리에 대한 컨텐츠를 해당 부가 모듈로 출력하여 명령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S70).For command data other than voice data in the conversation response determination, an additional module corresponding to a command is controlled, and content for command processing provided by a service server is output to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module to provide a command processing service (S70). .
즉, 인공지능 장치(100)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인공지능 엔진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의 동작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동작 관련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부가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상기 명령어 처리 서비스 단계(S70)에서 음성 명령 데이터에 하나 이상의 모듈 연결 단자부(130)에 미연결된 부가 모듈인 미연결 부가 모듈의 동작 관련 명령이 음성 명령 데이터에 포함된 경우, 인공지능 장치(100)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인공지능 엔진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모듈 미연결 안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mmand processing service step (S70), if the comman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unconnected additional module, which is an additional module that is not connected to one or more module
이후, 인공지능 장치(100)는 모듈 미연결 안내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인 모듈 미연결 안내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모듈 미연결 안내 음성 신호가 스피커(20)을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인공지능 장치(100)의 동작 과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인공지능 장치(100)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결합되어 상기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인공지능 장치(100)에 저장 및 설치됨으로써, 상기 과정을 인공지능 장치(100)에서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300)에서 인공지능 음성인식 엔진에 의해 대화 응답이나 명령어 처리를 하도록 구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인공지능장치(100)에 음성인식모듈과, 음성인식에 따른 대화 응답 및 명령어 처리 라이브러리를 저장하여두고, 마이크 음성을 음성인식하고, 음성인식에 따라 라이브러리에서 대응된 대화 응답을 추출하여 대화 응답으로 출력하며, 대응된 명령어 처리정보를 추출하고, 명령어 처리에 따라 부가 모듈을 제어하여 명령어 처리를 할 수 있다. 명령어 처리에서 컨텐츠를 다운받아야 하는 명령어인 경우는 서비스 서버로 해당 컨텐츠를 요청하여 컨텐츠를 스트리밍방식등으로 다운로드받아 부가 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is converted to voice data and transmitted to the
또한, 스마트폰(400)에 본발명의 인공지능장치(100) 및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되는 앱을 설치하고, 앱을 통해 인공지능장치(100)가 냉장된 인형(200)으로 음성전달과, 인형(2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폰(400)에서 보여주거나, 상호 음성대화를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400)과 인형(200)내의 인공지능장치(100)를 통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와 인형 사용자간에 음성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install an app interworking with the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400)과 인공지능장치(100)가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이 가능한 경우, 명령어 처리시 스마트폰을 하나의 부가모듈로 인식하여 처리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엄마에게 전화해줘" 라고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 서비스 서버(300)가 직접 엄마의 스마트폰(단, 미리 엄아의 스마트폰 전화번호가 등록해둠)으로 직접 데이터 통신으로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의 음성통화 기능을 이용해 인형내의 인공지능장치와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연동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if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and opera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if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마이크 20 : 스피커
30 : 카메라 40 : 디스플레이
50 : 빔 프로젝터 60 : 콘트롤패널
100 : 인공지능장치 101 : 방열부
110 : 사운드 입력단자부 120 : 사운드 출력단자부
130 : 모듈 연결단자부 140 : 무선통신부
150 : 콘트롤러 160 : 전원부
200 : 인형 201 : 외피
202 : 망사부재 210 : 완충부재
220 : 포켓부 230 : 벨크로테이프
240 : 탄력밴드10: microphone 20: speaker
30: camera 40: display
50: beam projector 60: control panel
100: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101: heat dissipation unit
110: sound input terminal unit 120: sound output terminal unit
130: module connection terminal unit 14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0: controller 160: power supply
200: doll 201: outer shell
202: mesh member 210: buffer member
220: Pocket 230: Velcro tape
240: elastic band
Claims (5)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사용자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무선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가 수신된 음성신호를 인공지능 엔진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분석하여 대화 음성인 경우 대화 응답 음성을 생성하고, 명령어 음성인 경우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피드백시키는 대화 응답음성 또는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수신된 피드백 정보가 대화 응답 음성인 경우, 대화 응답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수신된 피드백 정보가 명령어 처리 정보인 경우, 상기 인형내에 탑재된 인공지능장치에 연결된 해당 부가모듈을 제어하여 명령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방법.
A conversation service system inclu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mounted on a doll and a service server connect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constructed,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mounted on the doll communicates wirelessly with the service server to communicate with a user. As a conversation service method of a doll equipped with a modular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hat provides a conversation service between doll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receiving a user voice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a service serv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ice server automatically analyzes the received voice signal by an AI engine algorithm to generate a conversation response voice in the case of a conversation voice, and generates a conversation response voice or instruction processing information to generate and feedback the instruction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case of a command voice. Receiv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When the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is a conversation response voice, outputting a conversation response voice through a speaker to provide a conversation service;
If the feedback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I device is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module connected to the AI device mounted in the doll to perform command processing;
Modular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equipped doll conversation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상기 인형에 내장되는 인공지능장치에는,
사운드 입력을 위한 마이크와, 사운드 출력을 위한 스피커와, 하나 이상의 부가 모듈 및 조작버튼들이 설치된 콘트롤패널; 부가모듈로서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와, 사용자가 인형의 특정부위를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터치센서와, 컨텐츠를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컨텐츠를 투사방식으로 출력하는 빔프레젝터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어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패널에는 음성인식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공지능장치는, 음성인식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만 상기 마이크 입력 음성신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built into the doll,
A control panel equipped with a microphone for sound input, a speaker for sound output, and one or more additional modules and operation buttons; As an additional module, any one of a camera for video shooting, a touch sensor installed to detect a user touching a specific part of the doll, a display for outputting content as an image, and a beam projector for outputting content in a projection method One is included and connected, and the control panel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button,
The AI device transmits the microphone input voice signal to the service server only when a voice recognition button is input. The conversation service method of a doll equipped with a modular AI device.
상기 인공지능장치는,
스피커를 연결하는 사운드 출력단자부; 마이크를 연결하는 사운드 입력단자부; 카메라, 콘트롤패널, 촉각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가 모듈과 연결되는 복수의 모듈 연결단자부; 밧데리 전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폰 또는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음성을 입력받아 무선통신부를 통해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응답되는 응답음성을 출력하는 대화서비스와, 서비스 서버로부터 회신되는 명령어 처리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모듈 연결 단자부에 연결된 부가 모듈들을 제어함과 아울러 서비스 서버 또는 스마트폰과 통신하면서 명령어 처리를 하는 명령어처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트롤러가
상기 사운드 입력단자부, 사운드 출력단자부, 모듈 연결단자부에 연결되는 모듈들의 연결정보를 생성하고, 해당되는 모듈 연결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가 명령어 처리 정보 생성시에 명령어 처리에 해당되는 부가모듈의 연결 유무를 체크하고, 명령어 처리를 위한 부가 모듈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부가 모듈이 연결되지 않았다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인공지능장치로 전송하고, 인공지능장치에서 사용자의 명령어 처리를 위한 부가 모듈이 연결되지 않았음을 알리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 sound output terminal for connecting speakers; A sound input terminal for connecting a microphone; A plurality of module connection terminal part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dditional modules including a camera, a control panel, and a tactile sensor;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with battery powe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smart phone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sation service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module connection terminal unit receives voice and transmits i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a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n AI conversation service, and outputs a response voice responsive from the service server, and a dialogue service based on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returned from the service serv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ler that performs command processing services for controlling commands while communicating with a service server or a smartphone while controlling additional modules connected to the
The controller
Generating connection information of modules connected to the sound input terminal unit, sound output terminal unit, and module connection terminal unit, and transmitting corresponding modul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When the service server generates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it checks whether an additional module corresponding to command processing is connected, and if the additional module for command processing is not connect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sends a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additional module is not connected. And, the AI device outputs a voice indicating that an additional module for processing a user's command is not connected, the conversation service method of the doll equipped with the modular AI device.
상기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인공지능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인공지능장치와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인형의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이 더 포함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인공지능장치의 음성신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서버의 대화 응답 또는 명령어 처리 정보를 인공지능장치로 전달하며, 인공지능장치와 데이터 통신에 의한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pp for connecting to the servic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enabling data communication, connecting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viding an interactive service of dolls by interworking wit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and the service server This installed smartphone is further included,
The smart phone transmits a voice signal from the AI device to a service server, or transmits a conversation response or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erver to the AI device, and provides a voice call service by data communication with the AI device. Modular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equipped with a doll conversation service method.
상기 인형 내에 탑재된 인공지능장치는,
전원이 온되면, 부가 모듈과 전기적 연결을 체크하여 모듈 연결정보를 생성하고, 모듈 연결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음성인식 버튼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음성인식 판단단계와;
음식인식 버튼이 입력된 상태에서 마이크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음성신호 전송단계와;
상기 인공지능장치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받은 서비스 서버가 음성인식 및 분석에 의해 자동으로 해당 음성에 대한 대화 응답을 생성하거나, 명령어 처리 정보를 생성하여 회신하면, 상기 인공지능장치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회신되는 대화 응답 또는 명령어처리 정보를 수신받는 대화응답 수신단계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대화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여 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 서비스 단계와;
상기 대화응답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명령어 처리 정보인 경우, 명령어에 대응된 부가모듈을 제어하어 명령어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령어 서비스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인공지능장치 탑재 인형의 대화 서비스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mounted in the doll,
When the power is turned on, check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additional module to generate module conn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module connec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server;
A voice recognition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voice recognition button is input;
A voice signal transmission step of receiving a microphone input signal in a state in which a food recognition button is input, converting it into voice data and transmitting it to a service server;
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ing the voice data from the AI device automatically generates a conversation response for the voice by voice recognition and analysis, or generates and responds to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the AI device returns from the service server A conversation respons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received conversation response or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A conversation service step of converting the voice data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when a conversation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to provide a conversation service;
A command service step of controlling an additional module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to provide a command processing service when the data received in the conversation response receiving step is command processing information;
Modular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equipped doll conversation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65776A KR20200084930A (en) | 2018-12-20 | 2018-12-20 | Conversation service system fo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80165776A KR20200084930A (en) | 2018-12-20 | 2018-12-20 | Conversation service system fo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84930A true KR20200084930A (en) | 2020-07-14 |
Family
ID=7152664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165776A Withdrawn KR20200084930A (en) | 2018-12-20 | 2018-12-20 | Conversation service system fo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00084930A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890388A (en) * | 2020-08-27 | 2020-11-06 |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中国职业培训指导教师进修中心) | A beverage bottle recycling and sanitation service robot |
| KR102323006B1 (en) * | 2021-06-01 | 2021-11-09 | (주)에이티로봇 | Smart speaker having display pannel |
| KR20230074336A (en) * | 2021-11-19 | 2023-05-30 | 나만의마니또 (주) | IoT based interactive Interactive Psychological Diagnosis System |
| KR20230118430A (en) * | 2022-02-04 | 2023-08-11 | (주)마크원테크놀로지 | Interactive idol goods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service using the same |
-
2018
- 2018-12-20 KR KR1020180165776A patent/KR20200084930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1890388A (en) * | 2020-08-27 | 2020-11-06 | 天津职业技术师范大学(中国职业培训指导教师进修中心) | A beverage bottle recycling and sanitation service robot |
| KR102323006B1 (en) * | 2021-06-01 | 2021-11-09 | (주)에이티로봇 | Smart speaker having display pannel |
| KR20230074336A (en) * | 2021-11-19 | 2023-05-30 | 나만의마니또 (주) | IoT based interactive Interactive Psychological Diagnosis System |
| KR20230118430A (en) * | 2022-02-04 | 2023-08-11 | (주)마크원테크놀로지 | Interactive idol goods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service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00084930A (en) | Conversation service system fo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 |
| CN100352622C (en) | Robo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 CN105126355A (en) | Child companion robot and child companioning system | |
| JP2003205483A (en) | Robo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robot device | |
| KR20200076422A (en) | Toy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 |
| JP2008506510A (en) | Figurine using external computing powe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 |
| WO2022121592A1 (en) | Livestreaming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 |
| US11638090B2 (en) | Loudspeaker system, loudspeaker, and loudspeaker base | |
| CN108724205A (en) | Interactive device, interactive approach, interactive process and robot | |
| KR102556288B1 (en) | Conversation service system fo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 |
| KR20200080425A (en) | Talk service method for to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 |
| KR20180057951A (en) | System of using the voice pen for learning | |
| CN108724206A (en) | Interactive device, interactive approach, interactive process and robot | |
| CN112540668A (en) | Intelligent teaching auxiliary method and system based on AI and IoT | |
| CN102778845A (en) | robot device | |
| KR20200080426A (en) | Toy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s | |
| TWI731496B (en) | Interactive system comprising robot | |
| CN102107087A (en) | Toy, toy software and internet website | |
| CN109558853B (en) | Audio synthesis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 |
| KR101836351B1 (en) | Control system for robot using the smart block toy | |
| CN111491212A (en) | Video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 KR101535457B1 (en) | Multi-function toy for studying and playing | |
| KR20160138610A (en) | Control system for robot using the smart block toy | |
| CN213877205U (en) | Intelligent robot based on sign language recognition | |
| JP2014161593A (en) | To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