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872A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9872A KR20200089872A KR1020190006664A KR20190006664A KR20200089872A KR 20200089872 A KR20200089872 A KR 20200089872A KR 1020190006664 A KR1020190006664 A KR 1020190006664A KR 20190006664 A KR20190006664 A KR 20190006664A KR 20200089872 A KR20200089872 A KR 202000898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virtual reality
- information
- reality content
- experience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2—Walk-in-place systems for allowing a user to walk in a virtual environment while constraining him to a given posi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공간 인지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행동 반경 인지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규모 회전을 이용하여 실제 공간을 가상적으로 확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규모 회전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이동 방향 왜곡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실내 공간 활용도 향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공간상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션 스케일링 방식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션 스케일링 방식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딥러닝이 포함된 확장된 형태의 실내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Open world games | Square measure |
| GTA5 | 256 km2 |
| World of Warcraft | 604 km2 |
| Just Cause 2 | 923 km2 |
| Final fantasy 15 | 5,000 km2 |
Claims (20)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한 사용자의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 및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에 갈음하는 제2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이동해야 할 소정의 방향인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체험 공간 경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의 행동 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방향에 갈음하는 제2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체험 공간의 경계에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에 갈음하는 제2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체험 공간의 중심 위치를 향하는 방향인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방향의 전환 각도 및 전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 관한 정보는,
미리 학습된 상기 사용자의 반응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방향의 보정된 전환 각도를 더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한 사용자의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 및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가상현실 콘텐츠 화면을 왜곡하는 단계; 및
상기 왜곡된 가상현실 콘텐츠 화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화면을 왜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상에서 현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화면을 왜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한 사용자의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 및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콘텐츠상의 오브젝트가 수행하는 동작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상의 오브젝트가 수행하는 동작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을 고정 동작과 이동 동작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고정 동작 및 이동 동작의 발생여부에 기초하여 크기 배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크기 배율을 적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상의 오브젝트가 수행하는 동작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한 사용자의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 및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에 갈음하는 제2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이동해야 할 소정의 방향인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체험 공간 경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및 상기 사용자가 수행하는 동작의 행동 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상기 체험 공간의 경계에 소정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에 갈음하는 제2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체험 공간의 중심 위치를 향하는 방향인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2 방향의 전환 각도 및 전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 관한 정보는,
미리 학습된 상기 사용자의 반응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방향의 보정된 전환 각도를 더 포함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한 사용자의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 및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가상현실 콘텐츠 화면을 왜곡하고, 상기 왜곡된 가상현실 콘텐츠 화면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상에서 현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 화면을 왜곡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기 위한 사용자의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관한 정보 및 체험 공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현실 콘텐츠상의 오브젝트가 수행하는 동작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고정 동작과 이동 동작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고정 동작 및 이동 동작의 발생여부에 기초하여 크기 배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크기 배율을 적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콘텐츠상의 오브젝트가 수행하는 동작의 크기를 조절하는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06664A KR102286987B1 (ko) | 2019-01-18 | 2019-01-18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06664A KR102286987B1 (ko) | 2019-01-18 | 2019-01-18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089872A true KR20200089872A (ko) | 2020-07-28 |
| KR102286987B1 KR102286987B1 (ko) | 2021-08-05 |
Family
ID=7183160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06664A Active KR102286987B1 (ko) | 2019-01-18 | 2019-01-18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86987B1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72842A (ko) * | 2021-11-18 | 2023-05-2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Vr 공간의 설계 시스템, vr 공간의 설계 방법 및 vr 공간의 설계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 WO2024058446A1 (ko) * | 2022-09-15 | 2024-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 US12287914B2 (en) | 2022-09-15 | 2025-04-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content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849794B1 (ko) * | 2022-01-04 | 2025-08-2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실시간 공간 구조물 구현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1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659782B1 (ko) * | 2016-03-25 | 2016-09-27 | (주)이지스 | 벽면 충돌을 고려한 사용자 시점의 3차원 실내공간정보 제공방법 |
| US20160350973A1 (en) * | 2015-05-28 | 2016-12-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hared tactile interaction and user safety in shared space multi-person immersive virtual reality |
| KR20170081225A (ko) * | 2014-11-05 | 2017-07-11 | 밸브 코포레이션 | 가상 현실 환경에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감각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
| US20170364153A1 (en) * | 2016-06-20 | 2017-12-21 | Daqri, Llc | User status indicator of an augmented reality system |
| JP2018018147A (ja) * | 2016-07-25 | 2018-02-01 | 株式会社コロプラ | 表示制御方法および当該表示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
| KR20180029473A (ko) * | 2016-09-12 | 2018-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상 현실 콘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80051288A (ko) * | 2016-11-08 | 2018-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8081644A (ja) * | 2016-11-18 | 2018-05-24 |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KR20180058286A (ko) * | 2016-11-23 | 2018-06-01 | 주식회사 스튜디오매크로그래프 | 가상현실 체험장치 컨트롤러, 이의 작동 방법, 및 콘텐츠 실행장치 |
| KR20180090515A (ko) * | 2017-02-03 | 2018-08-13 | 옥철식 |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
| WO2018169330A1 (en) * | 2017-03-15 | 2018-09-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efects in visual field of a user |
| KR20180109604A (ko) * | 2017-03-28 | 2018-10-08 | 임미정 |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장치 및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방법 |
| KR101899263B1 (ko) * | 2017-12-07 | 2018-11-02 | 주식회사 조이펀 | 안전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주변감지 및 경고시스템 |
| EP3422148A1 (en) * | 2017-06-29 | 2019-01-02 | Nokia Technologies Oy |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display of virtual reality content |
-
2019
- 2019-01-18 KR KR1020190006664A patent/KR10228698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70081225A (ko) * | 2014-11-05 | 2017-07-11 | 밸브 코포레이션 | 가상 현실 환경에서 사용자를 안내하기 위한 감각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
| US20160350973A1 (en) * | 2015-05-28 | 2016-12-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hared tactile interaction and user safety in shared space multi-person immersive virtual reality |
| KR101659782B1 (ko) * | 2016-03-25 | 2016-09-27 | (주)이지스 | 벽면 충돌을 고려한 사용자 시점의 3차원 실내공간정보 제공방법 |
| US20170364153A1 (en) * | 2016-06-20 | 2017-12-21 | Daqri, Llc | User status indicator of an augmented reality system |
| JP2018018147A (ja) * | 2016-07-25 | 2018-02-01 | 株式会社コロプラ | 表示制御方法および当該表示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
| KR20180029473A (ko) * | 2016-09-12 | 2018-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상 현실 콘텐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180051288A (ko) * | 2016-11-08 | 2018-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8081644A (ja) * | 2016-11-18 | 2018-05-24 |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KR20180058286A (ko) * | 2016-11-23 | 2018-06-01 | 주식회사 스튜디오매크로그래프 | 가상현실 체험장치 컨트롤러, 이의 작동 방법, 및 콘텐츠 실행장치 |
| KR20180090515A (ko) * | 2017-02-03 | 2018-08-13 | 옥철식 | 게임 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게임 시스템 |
| WO2018169330A1 (en) * | 2017-03-15 | 2018-09-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defects in visual field of a user |
| KR20180109604A (ko) * | 2017-03-28 | 2018-10-08 | 임미정 | 가상 현실 영상 제공 장치 및 가상 현실 영상 제공 방법 |
| EP3422148A1 (en) * | 2017-06-29 | 2019-01-02 | Nokia Technologies Oy |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display of virtual reality content |
| KR101899263B1 (ko) * | 2017-12-07 | 2018-11-02 | 주식회사 조이펀 | 안전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주변감지 및 경고시스템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72842A (ko) * | 2021-11-18 | 2023-05-2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Vr 공간의 설계 시스템, vr 공간의 설계 방법 및 vr 공간의 설계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 WO2024058446A1 (ko) * | 2022-09-15 | 2024-03-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상 현실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 US12287914B2 (en) | 2022-09-15 | 2025-04-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content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86987B1 (ko) | 2021-08-0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00089872A (ko) | 가상현실 콘텐츠를 체험하는 사용자의 체험 공간 활용도 향상 방법 및 장치 | |
| US11508116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camera collision and composition preservation | |
| JP6404489B2 (ja) | ゲーム用オブジェクト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 CN112862935B (zh) | 游戏角色的运动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 |
| CN102221975A (zh) | 使用运动捕捉数据的项目导航 | |
| KR101968078B1 (ko) | 게임 장치 및 게임 프로그램 | |
| KR20170120670A (ko) | 게임 장치 및 게임 프로그램 | |
| CN108776544B (zh) | 增强现实中的交互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 |
| CN109529330A (zh) | 一种游戏分享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 CN117122890A (zh) | 用于激活屏幕内容的选择性导航或放大的方法和系统 | |
| JP2019121236A (ja) | 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 |
| KR102150483B1 (ko) | Vr 컨텐츠의 멀미도 측정 및 저감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 |
| KR100975128B1 (ko) | 뷰잉 프러스텀을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 Gokl et al. | Towards urban environment familiarity prediction | |
| US12311258B2 (en) | Impaired player accessability with overlay logic providing haptic responses for in-game effects | |
| JP2013070725A (ja) |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 US10463959B2 (en) | Timing determination-type gaming device and method | |
| KR20240074039A (ko) | 메타버스 환경에서 물류현황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
| Baek et al. | Effect-driven dynamic selection of physical media for visual iot service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 |
| JP5170715B2 (ja) |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指示判別方法 | |
| US12141344B2 (en) | Improving accuracy of interactions for gaze-enabled AR objects when in motion | |
| KR20170133684A (ko) | 화면을 분할하는 장치 및 방법 | |
| KR102851460B1 (ko) | 메타버스 환경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배송기사의 안전운전 지원 방법 및 장치 | |
| KR20130119141A (ko) | 외부 충격에 의한 진동을 입력으로 하는 게임방법, 게임장치 및 기록매체 | |
| JP2015156135A (ja) | 表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AMND | Amendment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AMND | Amendment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20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008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 AMND | Amendment |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2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5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4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2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