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851A - Prefabricated Pergola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Pergol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2851A KR20200102851A KR1020190021387A KR20190021387A KR20200102851A KR 20200102851 A KR20200102851 A KR 20200102851A KR 1020190021387 A KR1020190021387 A KR 1020190021387A KR 20190021387 A KR20190021387 A KR 20190021387A KR 20200102851 A KR20200102851 A KR 202001028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ar
- fastening
- hollow
- roof
- rain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형 퍼걸러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조립형 퍼걸러(1)는, 햇빛이나 비를 가리는 지붕(7)과; 지붕(7)을 지지하며 내부에 제 1중공(P1)이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3)과; 기둥(3)의 상부와 지붕(7)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붕(7)을 지지하며 내부에 제 2중공(P2)이 형성되어 제 1중공(P1)과 연통하는 복수의 보(5)와; 그리고 복수의 보(5)를 기둥(3)의 상부에 고정시키며 제 1 및 제 2중공(P2)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결 조립체(15)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pergola. Such an assembled pergola (1), and a roof (7) to cover the sunlight or rain; A plurality of pillars (3) supporting the roof (7) and having a first hollow (P1) therein; A plurality of beams (5) arrang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3) and under the roof (7) to support the roof (7) and a second hollow (P2) is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hollow (P1) and ; And it includes a fastening assembly 15 that fixes the plurality of beams 5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3 and forms through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hollows P2.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형 퍼걸러에 관한 것으로서, 퍼걸러를 구성하는 기둥, 보, 지붕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이송 및 조립이 쉽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빗물이 지붕에서 기둥과 보를 통하여 쉽게 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type pergoller, and is easy to transport and assembl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columns, beams, and roofs constituting the pergoller,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beautiful appearance by minimizing external exposure of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It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can be easily dropped and discharged from the roof through columns and beams.
근래에는 건강 및 레저에 대한 관심으로 공원, 레저시설 등 다양한 휴식공간들이 마련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휴식공간에는 좌석, 퍼걸러, 혹은 운동기구들이 주로 설치된다.In recent years, with interest in health and leisure, various rest areas such as parks and leisure facilities are being prepared. In addition, seats, pergolas, or exercise equipment are mainly installed in these rest areas.
특히, 퍼걸러는 휴게시설의 일종으로 사방이 개방되고 골조가 있는 지붕이 있어서 햇볕이나 비를 가릴 수 있고 벤치가 구비된 시설물을 의미한다.In particular, pergola is a type of rest facility, which is open on all sides and has a framed roof to cover the sun or rain, and refers to a facility equipped with a bench.
그리고, 이러한 퍼걸러는 최근 멋과 디자인을 강조한 다양한 구조가 보급되어 보행자들이 휴식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pergola, various structures emphasizing fashion and design have recently spread, allowing pedestrians to rest.
그러나, 종래의 퍼걸러는 기둥, 지붕 등의 크기 및 무게가 장비를 이용하여야 운반이 가능한 정도이므로 건축재료를 시공현장으로 이송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ergola,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building materials to the construction site because the size and weight of pillars, roofs, and the like can be transported only when equipment is used.
또한, 볼트 등 조립 부재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beautiful appearance because the assembly members such as bolts are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빗물들이 지붕의 추녀로부터 지상으로 직하하게 되고 사방으로 비산하게 되므로 주위 보행자들의 옷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rainwater may contaminate the clothes of pedestrians around since rainwater goes directly from the roof ugly to the ground and scatters in all directions.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퍼걸러를 구성하는 기둥, 보, 지붕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이송 및 조립이 쉽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미려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빗물이 지붕에서 기둥과 보를 통하여 쉽게 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는 조립형 퍼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columns, beams, and roofs constituting the pergola to facilitate transport and assembly, and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pergola in which rainwater can easily fall from the roof through columns and beams and be discharg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햇빛이나 비를 가리는 지붕(7)과; A
지붕(7)을 지지하며 내부에 제 1중공(P1)이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3)과; A plurality of pillars (3) supporting the roof (7) and having a first hollow (P1) therein;
기둥(3)의 상부와 지붕(7)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붕(7)을 지지하며 내부에 제 2중공(P2)이 형성되어 제 1중공(P1)과 연통하는 복수의 보(5)와; 그리고A plurality of beams (5) arrang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3) and under the roof (7) to support the roof (7) and a second hollow (P2) is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hollow (P1) and ; And
복수의 보(5)를 기둥(3)의 상부에 고정시키며 제 1 및 제 2중공(P2)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결 조립체(15)를 포함하는 조립형 퍼걸러를 제공한다.It provides an assembled pergola includ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퍼걸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The assembled perg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기둥과 보의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이 중공이 서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이 중공을 통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쉽게 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by forming a hollow inside the pillar and the beam, and allowing the hollow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rainwater can easily fall and be discharg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e hollow.
둘째, 보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둥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단순히 지붕을 얹어서 체결함으로써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assemble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beam so that it is seated on the top of the column, and simply put on the roof and fastened.
셋째, 복수개의 보와 기둥을 볼트에 의하여 체결할 때, 복수개의 볼트를 하나씩 볼트홀에 대응하여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볼트를 셋트화하여 한 번에 조립할 수 있어서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시공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Third, when multiple beams and columns are fastened by bolts, instead of fastening multiple bolts one by one in response to the bolt hole, the bolts can be set and assembled at once, reducing construction time and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process. can do.
넷째, 기둥의 측면에 배출관을 장착하고, 하부에는 침전물 배출부를 장착함으로써 기둥의 내부를 통하여 낙하하는 빗물이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될 수도 있고,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기둥의 내부에 적층되는 경우 침전물 배출부를 통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Fourth, by installing a discharge pipe on the side of the column and installing a sediment discharge part at the lower part, rainwater fall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lumn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or when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inwater is stacked inside the column, the sediment discharge It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the wealth.
다섯째, 기둥의 하부 일측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플랜터(Planter) 혹은 비상용 방화수를 보관할 수있는 빗물 보관함을 배치함으로써 퍼컬러의 기능을 확장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Fifth, by arranging a planter for growing plants or a rainwater storage box for storing emergency firewater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the function of percolor can be expanded and used in various way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퍼걸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둥과 보가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둥과 보가 연결된 구조를 보여주는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기둥을 보여주는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기둥과 보가 볼트 조립체에 의하여 조립되는 구조를 보여주는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perg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column and a beam shown in FIG. 1.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lumns and beams shown in FIG. 2 are connect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lumns and beams shown in FIG. 3 are connecte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llar shown in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lumns and beams shown in FIG. 2 are assembled by a bolt assembly.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퍼걸러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assembled pergol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형 퍼걸러(1)는 햇빛이나 비를 가리는 지붕(7)과; 지붕(7)을 지지하며 내부에 제 1중공(P1)이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3)과; 기둥(3)의 상부와 지붕(7)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붕(7)을 지지하며 내부에 제 2중공(P2)이 형성되는 복수의 보(5)와; 복수의 보(5)를 기둥(3)의 상부에 고정시키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체결 조립체(1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assembled pergola (1) and a roof (7) to cover the sunlight or rain; A plurality of pillars (3) supporting the roof (7) and having a first hollow (P1) therein; A plurality of
이러한 구조를 갖는 조립형 퍼걸러에 있어서, 상기 지붕(7)은 복수의 판상 자재가 서로 조립된 구조이다. 그리고, 지붕(7)은 편평하게 배치되거나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배치된다.In the assembled pergola having such a structure, the
복수의 기둥(3)은 지붕(7)의 하부를 지지하며, 통상 4개로 구성되거나 6개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그리고, 기둥(3)의 내부에는 상하로 제 1중공(P1)이 형성됨으로써 지붕(7)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 등이 제 1중공(P1)을 통하여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llow P1 is formed vertically in the interior of the
또한, 기둥(3)의 상부에는 복수의 제 1체결홀(h1)이 형성됨으로써 보(5)가 기둥(3)의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체결 조립체(15)에 의하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holes h1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이러한 보(5)는 복수 기둥(3)의 상부에 고정되어 각 기둥(3)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보(5)는 대략 사각 단면 형상으로 절곡되며 내측에 제 2중공(P2)이 형성됨으로써 빗물이 흐를 수 있다. 그리고, 보(5)의 일측단(31)은 사선형상을 가짐으로써 기둥(3)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다른 보의 타측단과 간섭됨이 없이 고정될 수 있다.Thes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보(5)는 기둥(3)의 상부에 접촉하며 체결 조립체(15)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판(32)과; 하판(32)의 양테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34,35)과; 한 쌍의 측판(34,35)중 일측 측판(34)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며 기둥(3)이 체결되는 제 1상판(37)과; 한 쌍의 측판(34,35)중 타측 측판(35)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제 1상판(37)과의 사이에 빈 공간(38)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제 2상판(36)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beam (5)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3) and a lower plate (32) fixed by the fastening assembly (15); A pair of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보(5)에 있어서,In the beam (5) having this structure,
하판(32)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제 2체결홀(h2)이 형성되며, 기둥(3)의 제 1체결홀(h1)에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체결 조립체(15)의 볼트(11)가 제 2체결홀(h2)을 관통하여 기둥(3)의 제 1체결홀(h1)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보(5)가 기둥(3)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h2 are formed at the rim of the
이러한 방식으로 각 기둥(3)의 상부 사이에 보(5)를 얹고 볼트에 의하여 체결함으로써 각 기둥(3)을 보(5)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In this way, each
한 쌍의 측판(34,35)은 하판(32)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높이가 다르며, 외측 측판(35)이 내측 측판(34)(기둥 방향) 보다 높게 돌출된다.The pair of
따라서, 기둥(3)이 제 1상판(37)의 상부에 얹혔을 때, 기둥(3)의 선단(39)이 외측 측판(35)을 넘어서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제 1상판(37)의 상부에는 기둥(3)이 얹혀지며, 볼트에 의하여 체결됨으로써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 1상판(37)과 제 2상판(36)의 사이는 일정 거리 떨어짐으로써 개방된 공간(38)이 형성된다. 따라서, 빗물이 이 공간(38)을 통하여 유입되어 보(5)의 제 2중공(P2)을 따라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제 2중공(P2)을 따라 흐른 빗물은 체결 조립체(15)의 In addition, an
한편, 체결 조립체(15)는 보(5)의 내측 하판(32) 상부에 배치되어 보(5)를 기둥(3)의 상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체결 조립체(15)는 다수개의 볼트를 하나씩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셋트화된 체결 조립체(15)를 하판(32)의 상부에 안착한 상태에서 각 볼트를 체결하는 단순한 과정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체결 조립체(15)는 기둥(3)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형상을 갖으며, 가운데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밴드(14)와; 밴드(14)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h3)에 삽입되어 제 1 및 제 2체결홀(h1,h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11)를 포함한다.That is, the
이러한 체결 조립체(15)에 있어서, 밴드(14)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볼트(11)가 이 밴드를 관통한 상태에서 일체로 융착됨으로써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밴드(14)를 기둥(3)의 상부에 안착시킬 때, 한 번에 다수개의 볼트를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기둥(3)의 상부가 편평하지 않아도 밴드(14)가 유연성에 의하여 적절하게 기둥(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In this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1)는 다양한 체결부재(11)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볼트를 의미한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이때, 삽입홀(h3)은 복수개가 형성되며, 제 2체결홀(h2)의 위치 및 크기와 대응되는 바, 체결 조립체(15)를 기둥(3)의 상부에 안착하였을 때 각각의 체결부재(11)도 제 2체결홀(h2)에 대응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h3 are formed, and each of the fastening members when the
따라서, 체결 조립체(15)를 보(5)의 하판(32) 내저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각 체결부재(11)를 체결함으로써 제 2체결홀(h2)을 관통하여 제 1체결홀(h1)에 삽입된다.Therefore, by fastening each of the
결국, 보(5)는 기둥(3)의 상부에 체결 조립체(15)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이때, 제 1체결홀(h1)은 상부 입구가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형상(깔때기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체결 조립체(15)를 기둥(3)의 상부에 결합할 때, 작업자가 체결홀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체결 조립체(15)의 볼트(11)가 이 깔때기 형상의 제 1체결홀(h1)에 쉽게 체결위치로 정렬됨으로써 쉽게 체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hole h1 has an upper entrance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unnel shape). Therefore, when the
한편, 상기 기둥(3)에는 배출관(22)과, 침전물 배출부(26)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a discharge pipe 22 and a
즉, 기둥(3)의 하부 일측에는 배출관(22)이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이 배출관(22)은 기둥(3)의 제 1중공(P1)과 연통된다. 이때, 배출관(22)의 타측은 기둥(3)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 1중공(P1)상에 배치됨으로써 흘러내린 물이 배출관(22)으로 유도되어 흘러내릴 수 있다.That is, the discharge pipe 22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따라서, 기둥(3)의 제 1중공(P1)을 통하여 흘러내린 빗물은 일부가 배출관(22)을 통하여도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part of the rainwater flowing down through the first hollow P1 of the
그리고, 배출관(22)을 통하여 배출된 빗물은 하부에 배치된 플랜터(Planter;9)에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터(9)의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rain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22 may fall on a planter 9 disposed below. Thus, it is possible to supply moisture to the plants of the planter 9.
그리고, 기둥(3)의 최하단은 하부 브라켓(24)을 통하여 지면과 연결된다. 따라서,l 기둥(3)의 제 1중공(P1)은 하부 브라켓(24)에 의하여 밀폐됨으로써 제 1중공(P1)을 통하여 흘러내린 빗물은 침전물 배출부(26)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And, the lowermost end of the
이때, 침전물 배출부(26)는 기둥(3)의 하부에 볼트 등에 의하여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초기 우수에 포함된 흙 먼지 등의 이물질이 누적될 경우 침전물 배출부(26)를 통하여 제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기둥(3)의 하부 일측에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플랜터(Planter;9) 혹은 비상용 방화수를 보관할 수있는 빗물 보관함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planter 9 capable of growing plants or a rainwater storage box capable of storing emergency fire water may be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이러한 플랜터(9) 혹은 빗물 보관함은 기둥(3)의 하부에 연결됨으로써 제 1중공(P1)을 통하여 흘러내린 빗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22)을 통하여 배출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The planter 9 or the rainwater storage box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laims (4)
지붕(7)을 지지하며 내부에 제 1중공(P1)이 형성되는 복수의 기둥(3)과;
기둥(3)의 상부와 지붕(7)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붕(7)을 지지하며 내부에 제 2중공(P2)이 형성되어 제 1중공(P1)과 연통하는 복수의 보(5)와; 그리고
복수의 보(5)를 기둥(3)의 상부에 고정시키며 제 1 및 제 2중공(P1,P2)과 연통하는 관통공(P3)이 형성되는 체결 조립체(15)를 포함하는 조립형 퍼걸러.A roof 7 that covers sunlight or rain;
A plurality of pillars (3) supporting the roof (7) and having a first hollow (P1) therein;
A plurality of beams (5) arrang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3) and under the roof (7) to support the roof (7) and a second hollow (P2) is formed therein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hollow (P1) and ; And
An assembly type pergoler comprising a fastening assembly 15 that fixes a plurality of beams 5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lumn 3 and has a through hole P3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hollows P1 and P2.
상기 보(5)는 기둥(3)의 상부에 접촉하며 체결 조립체(15)에 의하여 고정되는 하판(32)과; 하판(32)의 양테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측판(34,35)과; 한 쌍의 측판(34,35)중 일측 측판(34)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며 기둥(3)이 체결되는 제 1상판(37)과; 한 쌍의 측판(34,35)중 타측 측판(35)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제 1상판(37)과의 사이에 빈 공간(38)을 형성함으로써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제 2상판(36)을 포함하며,
하판(32)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제 2체결홀(h2)이 형성됨으로써 기둥(3)의 제 1체결홀(h1)에 서로 대응되며, 체결 조립체(15)의 볼트가 제 2체결홀(h2)을 관통하여 기둥(3)의 제 1체결홀(h1)에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보(5)가 기둥(3)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는 조립형 퍼걸러.The method of claim 1,
The beam (5)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3) and a lower plate (32) fixed by the fastening assembly (15); A pair of side plates 34 and 3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dges of the lower plate 32; A first top plate 37 which is bent in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plate 34 of the pair of side plates 34 and 35 and to which the pillar 3 is fastened; A second top plate that is bent inward from the top of the other side plate 35 among a pair of side plates 34 and 35 and allows rainwater to flow in by forming an empty space 38 between the first top plate 37 Including (36),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holes h2 are formed in the rim of the lower plate 32 so that they correspond to the first fastening holes h1 of the pillar 3, and the bolts of the fastening assembly 15 are formed with the second fastening holes h2. )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h1) of the pillar (3) and fastened by the beam (5) can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illar (3).
체결 조립체(15)는 기둥(3)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형상을 갖으며, 가운데에 관통홀(P3)이 형성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밴드(14)와; 밴드(14)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홀(h3)에 일체로 삽입되며, 제 1 및 제 2체결홀(h1,h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11)를 포함하는 조립형 퍼걸러.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assembly 15 has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shape of the pillar 3, and a band 14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through hole P3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 assembly type pergola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11 that is integral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h3 formed in the band 14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h1 and h2.
상기 기둥(3)은, 일측에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제 1중공(P1)과 연통함으로써 빗물이 배출가능한 배출관(22)과;
하부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 1중공(P1)과 연통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누적될 경우 배출할 수 있는 침전물 배출부(26)를 포함하며,
기둥(3)의 하부 일측에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플랜터(Planter;9) 혹은 비상용 방화수를 보관할 수있는 빗물 보관함이 배치되며,
배출관(22)을 통하여 낙하한 물이 플랜터(9)에 공급될 수 있는 조립형 퍼걸러.The method of claim 2,
The pillar 3 includes a discharge pipe 22 which protrudes laterally from one 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hollow P1 to discharge rainwater;
It is disposed detachably on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and includes a sediment discharge unit 26 capable of discharging when foreign matter contained in rainwater accumulates b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low P1,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3, a planter 9 capable of growing plants or a rainwater storage box capable of storing emergency firewater is arranged,
An assembled pergola that can supply water that has fallen through the discharge pipe 22 to the planter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21387A KR102301811B1 (en) | 2019-02-22 | 2019-02-22 | Prefabricated Pergol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21387A KR102301811B1 (en) | 2019-02-22 | 2019-02-22 | Prefabricated Pergola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02851A true KR20200102851A (en) | 2020-09-01 |
| KR102301811B1 KR102301811B1 (en) | 2021-09-13 |
Family
ID=724509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21387A Active KR102301811B1 (en) | 2019-02-22 | 2019-02-22 | Prefabricated Pergola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0181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16902A (en) | 2021-02-16 | 2022-08-23 | 종 환 안 | Multipurpose pergola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78803B1 (en) | 2023-09-08 | 2024-06-28 | 주식회사 예건 | Prefabricated pergolas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54851U (en) * | 1992-10-20 | 1994-07-26 | 三協フロンテア株式会社 | Simple assembly house |
| KR101163038B1 (en) * | 2011-12-28 | 2012-07-05 |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 Gutt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roof steel frame structure |
| KR101577618B1 (en) * | 2015-03-20 | 2015-12-16 | 김헌재 | Joint assembly for connecting structural frame |
| KR101609977B1 (en) * | 2015-02-26 | 2016-04-08 | 박범석 | Roof Awning Apparatus |
| KR20180050873A (en) | 2016-11-07 | 2018-05-16 | (주)경기수질환경개발 | Sludge dewatering apparatus using vacuum inhalation method |
-
2019
- 2019-02-22 KR KR1020190021387A patent/KR1023018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54851U (en) * | 1992-10-20 | 1994-07-26 | 三協フロンテア株式会社 | Simple assembly house |
| KR101163038B1 (en) * | 2011-12-28 | 2012-07-05 |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 Gutter installation structure for roof steel frame structure |
| KR101609977B1 (en) * | 2015-02-26 | 2016-04-08 | 박범석 | Roof Awning Apparatus |
| KR101577618B1 (en) * | 2015-03-20 | 2015-12-16 | 김헌재 | Joint assembly for connecting structural frame |
| KR20180050873A (en) | 2016-11-07 | 2018-05-16 | (주)경기수질환경개발 | Sludge dewatering apparatus using vacuum inhalation method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20116902A (en) | 2021-02-16 | 2022-08-23 | 종 환 안 | Multipurpose pergola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01811B1 (en) | 2021-09-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316237B2 (en) | Children's play area sunshade canopy | |
| KR101870196B1 (en) | Multi floor observatory | |
| KR102301811B1 (en) | Prefabricated Pergola | |
| PL241035B1 (en) | Pergola | |
| KR101083119B1 (en) | Wood deck structure and its eco-friendly construction method | |
| KR102348293B1 (en) | deck lode system with pipe filled with waste tire chips and expandtion type natural wood fence module | |
| KR20110115049A (en) | Wire mesh support frame and wire mesh fence using him | |
| US20030159369A1 (en) | Cone shaped polygon roof structure | |
| US3769639A (en) | Floating pool cover structure | |
| AU598668B2 (en) | Framework forming support for a tent canvas of a light shelter | |
| JP2009167622A (en) | Deck structure | |
| KR101530062B1 (en) | Support fence for architecture | |
| KR200418413Y1 (en) | Folding safety fence | |
| JP2017193938A (en) | Rainwater storage device | |
| KR102589916B1 (en) |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tructure with Improved Economic feasibility and Stability | |
| KR102023036B1 (en) | A post for wood fence | |
| KR101265582B1 (en) | A structure for drainage | |
| JP5623257B2 (en) | Folded roof support structure | |
| KR102317730B1 (en) | Base assembly for water tank support | |
| KR101249642B1 (en) | Pergola Having Water Curtain Type Fountain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as | |
| JP2009278924A (en) | Wall surface greening support, and wall surface greening rack device using the support | |
| KR100999938B1 (en) | Building top floor structure using green panel and roof garden structure using same | |
| KR102823432B1 (en) | Canopy structure | |
| FR2845613A1 (en) | Sports enclosure and gym has base supporting walls with integral exercise apparata and attachable roof | |
| JP2006028761A (en) | Wooden fence and cross beam used for the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