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854A - Angle adjustable knife - Google Patents
Angle adjustable knif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2854A KR20200102854A KR1020190021397A KR20190021397A KR20200102854A KR 20200102854 A KR20200102854 A KR 20200102854A KR 1020190021397 A KR1020190021397 A KR 1020190021397A KR 20190021397 A KR20190021397 A KR 20190021397A KR 20200102854 A KR20200102854 A KR 202001028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g
- fixing jig
- angle
- blade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300 CLIPPER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930 chronic lymphocytic inflammation with pontine perivascular enhancement responsive to steroid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2—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 B26B1/04—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pivoted blade lockable in adjusted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10—Hand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칼날(300)의 일측면에 배치된 슴베(310)와 상기 슴베(310)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홀이 형성된 칼자루(200);로 이루어져 상기 슴베(310)를 상기 끼움홀에 끼워서 사용하는 칼;에 있어서
상기 슴베(310)와 상기 끼움홀에는 칼날의 각도를 바꾸어 끼울 수 있는 각도변경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슴베(310)를 상기 끼움홀에 끼울 때 사용용도에 따라 각도를 변화시켜 끼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Angle adjustable knife}에 따르면,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목적물을 절삭하는 것이 가능하다.A tang 31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lade 300 and a hilt 200 having a fitting hole through which the tang 310 is inserted; a knife used by inserting the tang 310 into the fitting hole; In
The tang 310 and the fitting hole are formed with an angle changing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blade
When inserting the tang 310 into the fitting hole, the angle of the handle and the blade is adjusted to be used by chang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nife us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andle and the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effectively cut the obje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Angle adjustable knif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칼날의 일측면에 배치된 슴베와 상기 슴베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홀이 형성된 칼자루로 이루어진 칼에 있어서 상기 슴베와 상기 끼움홀에는 칼날의 각도를 바꾸어 끼울 수 있는 각도변경수단이 형성되어 사용용도에 따라 각도를 변화시켜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fe used by adjusting the angle, and more particularly, in a knife consisting of a tang disposed on one side of a blade and a hilt having a fitting hole through which the tang can be inserted, the tang And the fitting hole is provided with an angle changing means that can be inserte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blade, relates to a knife used by chang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일반적으로 조리 또는 커팅시에는 그 종류나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칼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예를 들어 작은 음식조각 또는 외피를 깎거나 긁고 자르고자 할 경우에는 파링 나이프 또는 과도를 필요로 하고, 뼈와 같은 단단한 물체를 자르고자 할 경우에는 푸주칼 또는 클리퍼 나이프를 필요로 하게되며 각각의 목적에 따라 용도에 맞는 칼을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보관 역시 용이하지 못하다.In general, when cooking or cutting, various types of knives are manufactured and used according to the type or purpose. Conventional techniques require, for example, a paring knife or a cutting knife to cut, scrape and cut small pieces of food or skin, and a butcher knife or a clipper knife to cut hard objects such as bones. It is not only economically burdensome, but also difficult to store because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prepare a knife suitable for use according to each purpose.
특히 예를들어 과일,채소 등의 외피를 벗기거나 깎고자 할 경우 종래의 과도는 칼날과 칼자루의 각도가 일률적이기 때문에 절삭할 물체의 각도를 변형하고자 할 때에는 손의 피로도가 높아지며 효과적인 절삭이 불편하다.In particular, for example, when you want to peel or cut the outer skin of fruits and vegetables, the angle between the blade and the handle is uniform, so when you want to change the angle of the object to be cut, hand fatigue increases and effective cutting is inconvenient. .
따라서 다양한 사용용도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칼이 필요한 상황이다.Therefore, a knife that is convenient to use is required according to various us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움켜쥐는 손가락의 특성과 깎고자 하는 목적물의 라운딩 특성 등을 감안하여 손잡이와 칼날의 각도를 변형함으로써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목적물을 절삭하는 것이 가능한 칼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ipping finger and the rounding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to be sharpene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handle and the blade to provide a knife capable of stably and effectively cutting the object I want to, but I have a purpose.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another object that i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칼날(300)의 일측면에 배치된 슴베(310)와 상기 슴베(310)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홀이 형성된 칼자루(200);로 이루어져 상기 슴베(310)를 상기 끼움홀에 끼워서 사용하는 칼;에 있어서 상기 슴베(310)와 상기 끼움홀에는 칼날의 각도를 바꾸어 끼울 수 있는 각도변경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슴베(310)를 상기 끼움홀에 끼울 때 사용용도에 따라 각도를 변화시켜 끼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도변경수단은 상기 끼움홀의 소정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치구(120);와, 상기 슴베(310)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치구(12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정지부(320);가 구비되어, 상기 슴베(310)를 일정각도 회전 시킨 후에 상기 고정치구(120)와 상기 정지부(320)에 맞물리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changing means is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홀의 내부가 다각형으로 형성된 고정치구(120)가 구비되고, 상기 슴베(310)의 외부형상이 상기 끼움홀에 형성된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정지부(320)가 구비되어, 상기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정지부(320)와 상기 끼움홀의 내부에 다각형으로 형성된 고정치구(120)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홀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고정치구(120)가 수납되는 고정치구 수납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치구는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치구(120)의 내부는 상기 슴베(310)가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치구(120)의 외부는 상기 수납부(230)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치구(120)에는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11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치구(120)의 내부에서 회전한 다음 상기 슴베(310)가 상기 고정치구(120)에 정위치한 후 상기 스토퍼(110)에 의해 슴베(310)의 회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치구(120)는 내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치구(120)에 결합되는 슴베의 정지부(320) 외형은 상기 고정치구(120)의 원형 또는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치구(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치구를 누를 수 있는 누름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치구의 타측면에는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110)가 배치되며, 상기 슴베정지부(320)의 외주면에는 중심을 향하도록 복수의 슴베홈(321)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10)가 상기 슴베홈(321)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슴베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는 스프링(13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치구 수납부(230)에는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는 스프링 수납부(220)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121)를 누르면 상기 고정치구(120)가 상기 스토퍼(110)와 함께 하단으로 밀리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슴베홈(321)에서 빠져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상기 슴베를 회전시켜 정위치시킨 다음 상기 누름부(121)를 개방하면 상기 고정치구(120)가 상기 스토퍼(110)와 함께 상단으로 원위치 하면서 상기 슴베홈(321)에 끼워져 슴베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또한 상기 칼의 긴 쪽을 길이방향이라 할 때 상기 고정치구(120)의 길이를 W1이라하고 상기 슴베(310)의 길이를 W2라 하면 (1/4)W2 < W1 <(1/3)W2 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치구(120)의 길이는 상기 슴베길이의 4분의 1보다 크고 3분의 1보다 작으며, 상기 고정치구(120)의 위치는 상기 슴베(3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long side of the knife is the length direction, if the length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칼자루의 끼움홈 중에서 상기 고정치구(120)가 배치된 나머지 부위는 상기 슴베(310)가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홀딩부(330)가 형성되어, 슴베(310)를 고정시킴으로써 칼날을 사용할 때 칼날이 칼자루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Angle adjustable knife} 에 따르면,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목적물을 절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nife used by adjus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and effectively cutting the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형 슴베와 칼자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형 슴베와 칼자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형 슴베와 칼자루의 결합 상태와 슴베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누름부를 눌렀을 때 원형 슴베와 칼자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칼자루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형 슴베와 칼자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슴베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형 슴베와 칼자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형 슴베와 칼자루의 결합상태를 확대해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칼자루와 슴베의 결합 각도가 일정한 각도(θ)로 변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칼자루와 슴베의 결합 각도가 변화하며 절삭하고자 하는 물체를 절삭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슴베 정지부의 외주면에 복수의 슴베홈이 다수의 열로 교차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square tang and a hil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a square tang and a hil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a circular tang and a hilt and a shape of the ta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ircular tang and the hilt are combined when the press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5 shows the shape of the hil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circular tang and a hil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shape of a ta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a circular tang and a hil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and detailed view of a combined state of a circular tang and a hil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coupling between the handle and the ta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to a predetermined angle (θ).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bject to be cut is cut while the angle of engagement between the handle and the tang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ang grooves are formed by crossing a plurality of row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ng stop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각형 슴베와 칼자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 and 2 show a combined state of a square tang and a hil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은 슴베를 칼자루에 끼워서 사용하는 칼에 있어서 상기 슴베와 상기 칼자루에 형성된 끼움홀 사이에 칼날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각도 변경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슴베를 상기 칼자루의 끼움홀에 끼워서 사용할 때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각도를 바꿔 사용한다.In the knife used by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handle and the knif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knife used by inserting the tang into the handle, an angle changing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knife blade is provided between the tang and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handle, When using the tang in the insertion hole of the handle, change the angl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칼날(300)의 일측면에 배치된 슴베(310)와 상기 슴베(310)를 끼울 수 있는 끼움홀이 형성된 칼자루(200);로 이루어져 상기 슴베(310)를 상기 끼움홀에 끼워서 사용하는 칼;에 있어서 상기 슴베(310)와 상기 끼움홀에는 칼날의 각도를 바꾸어 끼울 수 있는 각도변경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슴베(310)를 상기 끼움홀에 끼울 때 사용용도에 따라 각도를 변화시켜 끼워 사용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여기서 슴베의 단면형상은 원형 또는 각형으로 슴한개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서 각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면 원형 뿐만이 아닌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갖출 수 있다.He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ang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of tangs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That is, 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ngle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it can have various shapes such as hexagonal or octagonal as well as circular.
상기 각도변경수단은 칼자루에 형성된 끼움홀에 직접 형성되거나 끼움홀의 소정의 위치에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The angle changing means may be formed directly in the fitting hole formed in the handle or may be formed separate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tting hole.
상기 각도변경수단이 상기 끼움홀에 직접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면 도 2 와 같이 끼움홀의 중공홀의 단면형상이 상기 슴베의 단면형상인 육각형 혹은 팔각형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와 같이 끼움홀의 단면형상이 상기 슴베의 단면형상과 동일함에 따라 상기 슴베를 뺀 상태에서 각도를 돌려 끼움홀에 끼우면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가 변경되어 끼워지므로, 필요에 따라 칼날과 칼자루의 각도를 바꾸어 끼울 수 있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When explain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gle changing means is directly formed in the fitting ho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llow hole of the fitting hol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xagonal or octago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ang, as shown abov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tting hole is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ang, if the tang is removed and the angle is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the angle between the hilt and the hilt is changed to fit.Therefore, the angle of the hilt and hilt can be changed as necessary. It can be used by changing it to an angle.
또한 상기 각도변경수단이 끼움홀에 별도로 구비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끼움홀의 소정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고정 시킬 수 있는 고정치구(120);와, 상기 슴베(310)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치구(12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정지부(320);가 구비되어, 상기 슴베(310)를 일정각도 회전시킨 후에 상기 고정치구(120)와 상기 정지부(320)에 맞물리도록 고정된다(도3 참조).In addition, when explain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angle changing means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fitting hole, a
상기 고정치구(120)의 일측면에 구비된 누름부(121)를 눌렀을 때 상기 고정치구의 타측면에 배치된 스토퍼(110)가 상기 고정치구(120)과 함께 하단으로 밀리면서 이때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슴베홈(321)에서 자유롭게 되어 상기 슴베(310)가 칼자루(200)에서 분리하거나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슴베(31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 칼자루에 재결합시켜 정위치 시킨다음 상기 누름부(121)를 개방하면 상기 고정치구(120)가 상기 스토퍼(110)와 함께 상단으로 원위치하면서 상기 슴베홈(321)에 끼워저 슴베(310)가 고정된다. (도4 참조)When the
이때 상기 끼움홀의 내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고정치구(120)가 고정치구 수납부(230)에 구비되고, 상기 슴베(310)의 외부형상이 상기 끼움홀에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정지부(320)가 구비되어, 상기 원형 또는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정지부(320)와 상기 끼움홀의 내부에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고정치구(120)가 서로 맞물려 고정된다.(도8 참조)At this time, 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홀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고정치구(120)가 수납되는 고정치구 수납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치구는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치구(120)의 내부는 상기 슴베(310)가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치구(120)의 외부는 상기 수납부(230)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치구(120)에는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11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치구(120)의 내부에서 회전한 다음 상기 슴베(310)가 상기 고정치구(120)에 정위치한 후 상기 스토퍼(110)에 의해 슴베(310)의 회전이 고정된다.(도5 참조)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이때 상기 고정치구(120)는 내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치구(120)에 결합되는 슴베의 정지부(320) 외형은 상기 고정치구(120)의 원형 또는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치구(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치구를 누를 수 있는 누름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치구의 타측면에는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110)가 배치되며, 상기 슴베 정지부(320)의 외주면에는 중심을 향하도록 복수의 슴베홈(321)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10)가 상기 슴베홈(321)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슴베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에 따라 칼날과 칼자루의 각도가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슴베홈(321)은 하나 또는 다수의 열에 교차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A열과 후방의 B열로 각각의 열에 상기 다수의 슴베홈(321) 이 교차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슴베홈(32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A열 또는 B열의 동일선상에 형성된 다수의 스토퍼(110)가 상기 교차형성된 전방의 A열 슴베홈(321) 또는 상기 후방의 B열 슴베홈(321)에 번갈아 끼워짐에 따라 상기 슴베의 회전을 정지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는 스프링(13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치구 수납부(230)에는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는 스프링 수납부(220)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121)를 누르면 상기 고정치구(120)가 상기 스토퍼(110)와 함께 하단으로 밀리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슴베홈(321)에서 빠져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상기 슴베를 회전시켜 정위치시킨 다음 상기 누름부(121)를 개방하면 상기 고정치구(120)가 상기 스토퍼(110)와 함께 상단으로 원위치 하면서 상기 슴베홈(321)에 끼워져 슴베의 회전이 정지한다.(도3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a
도 3의 (a)부분에 의거하여 고정치구에 대해 좀더 설명하면, 도 3의 (b)에 도시된 상기 고정치구의 내부홈(123)의 상단부와 슴베의 상단 사이의 거리를 L3라 칭하고, 상기 슴베홀에 삽입되는 스토퍼의 슴배홈에 끼워지는 부위의 높이를 L1이라 칭하며, 상기 고정치구의 외부하단부와 슴베수납부 바닥까지의 거리는 L2라 칭한다.Referring to FIG. 3 (a),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ixing ji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도 3의 (a)와(b)에 도시된 상기 고정치구의 누름부(121)가 눌러지면 상기 고정치구의 내부홈(123)의 상단부는 상기 슴베의 상단에 접할때까지 눌러지며, 이때 스토퍼(110)도 함께 L2 만큼 밑으로 밀리면서 스토퍼중 슴베홈에 끼위지는 부위가 상기 슴베홈(321)에서 빠져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자유롭게 된다. When the
이후에 상기 슴베를 회전시켜 정위치시킨 다음 상기 누름부(121)를 개방하면 상기 고정치구(120)가 상기 스토퍼(110)와 함께 상단으로 원위치 하면서 상기 슴베홈(321)에 끼워져 슴베의 회전이 정지한다.Thereafter, when the tang is rotated to position and then the
따라서 L1=L3<=L2 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L1=L3<=L2.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칼의 긴 쪽을 길이방향이라 할 때 상기 고정치구(120)의 길이를 W1이라하고 상기 슴베(310)의 길이를 W2라 하면 (1/4)W2 < W1 <(1/3)W2 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치구(120)의 길이는 상기 슴베길이의 4분의 1보다 크고 3분의 1보다 작으며, 상기 고정치구(120)의 위치는 상기 슴베(31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도7 참조)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ength of the fixing
즉 도7을 통해 설명하면, 고정치구(120)는 슴베의 회전을 고정하나, 도3과 같이 고정치구의 내부홈(123)의 크기는 슴베의 단면적에 비해 위쪽으로 L3 만큼 크므로 상기 슴베는 고정치구(120)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다.That is,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the fixing
따라서 칼날을 사용할 때 상기 슴베가 상기 끼움홀에서 정확히 고정되기 위해서는 상기 끼움홀에는 상기 슴베의 이동을 제한할 구속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고정치구는 끼움홈의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고정치구의 양쪽에 상기 슴배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부(330')를 구비한다.Therefore, in order for the tang to be accurately fixed in the fitting hole when using a blade, the fitting hole requires a restraining par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tang. For this purpose, the fixing jig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itting groove and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jig. It is provided with a restraining portion 330'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breast belly.
이에 상기 슴베에는 상기 구속부(330')에 의해 밀착되는 홀딩부(330)이 구비되며, 상기 슴베의 홀딩부(330)가 상기 구속부(330')에 밀착하도록 끼워져 슴베의 이동이 제한된다. Accordingly, the tang is provided with a holding
즉 칼자루의 끼움홈 중에서 상기 고정치구(120)가 배치된 나머지 부위는 상기 슴베의 홀딩부(330)가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구속부(330')가 형성되어, 슴베(310)를 고정시킴으로써 칼날을 사용할 때 칼날이 칼자루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rest of the fixing
도 10에 의거하여 칼자루(200)와 슴베의 결합각도에 대해 설명하면, 슴베의 형상에 따라 일정한 각도(θ)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슴베의 형태를 12각형으로 형성하였을때, 칼자루와 슴베의 결합각도는 30˚를 기준으로 변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angle of coupling between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더불어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n addition, all simple modifications to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10: 스토퍼
111: 돌기부
112: 돌기 받침부
113: 스프링고정부
120: 고정치구
121: 누름부
122: 스토퍼 걸림공
123: 고정치구의 내부홈
130: 스프링
200: 칼자루
210: 칼자루홈
220: 스프링 수납부
230: 고정치구 수납부
300: 칼날
310: 슴베
320: 정지부
321: 슴베홈
330: 홀딩부
330':구속부
340: 절삭부
400: 절삭할 물체110: stopper 111: protrusion
112: protrusion support 113: spring fixing portion
120: fixing fixture 121: pressing part
122: stopper locking hole 123: inner groove of the fixing jig
130: spring 200: handle
210: hilt groove 220: spring receiving portion
230: fixing jig storage unit 300: blade
310: tang 320: stop
321: tang groove 330: holding part
330': constraining part 340: cutting part
400: object to be cut
Claims (8)
상기 슴베(310)와 상기 끼움홀에는 칼날의 각도를 바꾸어 끼울 수 있는 각도변경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슴베(310)를 상기 끼움홀에 끼울 때 사용용도에 따라 각도를 변화시켜 끼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A tang 31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lade 300 and a hilt 200 having a fitting hole through which the tang 310 is inserted; a knife used by inserting the tang 310 into the fitting hole; In
The tang 310 and the fitting hole are formed with an angle changing means capable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blade
When inserting the tang 310 into the fitting hole, the angle of the handle and the blade is adjusted to be used by chang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상기 각도변경수단은 상기 끼움홀의 소정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치구(120);와, 상기 슴베(310)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치구(12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정지부(320);가 구비되어, 상기 슴베(310)를 일정각도 회전 시킨 후에 상기 고정치구(120)와 상기 정지부(320)에 맞물리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The method of claim 1,
The angle changing means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tting hole, a fixing jig 120 capable of fixing the rotation of the tang 310; And, formed on the tang 310, so as to engage with the fixing jig 120. The formed stop portion 320; is provided, after rotating the tang 310 by a certain angle, the angle of the handle and th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engage the fixing jig 120 and the stop portion 320 A knife to be used in control.
상기 끼움홀의 내부가 다각형으로 형성된 고정치구(120)가 구비되고, 상기 슴베(310)의 외부형상이 상기 끼움홀에 형성된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정지부(320)가 구비되어, 상기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정지부(320)와 상기 끼움홀의 내부에 다각형으로 형성된 고정치구(120)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The method of claim 2,
A fixing jig 120 having a polygonal shape inside the fitting hole is provided, and a stop portion 320 formed so that the outer shape of the tang 310 corresponds to the polygon formed in the fitting hole is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lygonal shape. A knife us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andle and th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stop 320 and the fixing jig 120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nside the fitting hol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fixed.
상기 끼움홀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고정치구(120)가 수납되는 고정치구 수납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치구는 상기 수납부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치구(120)의 내부는 상기 슴베(310)가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치구(120)의 외부는 상기 수납부(230)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치구(120)에는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11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치구(120)의 내부에서 회전한 다음 상기 슴베(310)가 상기 고정치구(120)에 정위치한 후 상기 스토퍼(110)에 의해 슴베(310)의 회전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The method of claim 2,
A fixing jig receiving part 230 in which the fixing jig 120 is accommodated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tting hole, and the fixing jig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part.
The inside of the fixing jig 120 is formed to fit the tang 310, the outside of the fixing jig 120 is formed to be fitted with the receiving part 230, and the fixing jig 120 has the tang A stopper 110 for fixing the rotation of 310 is provided, and after rotating inside the fixing jig 120, the tang 310 is positioned on the fixing jig 120, and then the stopper 110 is attached to the stopper 110. A knife us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andle and th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of the tang 310 is fixed.
상기 고정치구(120)는 내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치구(120)에 결합되는 슴베의 정지부(320) 외형은 상기 고정치구(120)의 원형 또는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치구(120)의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치구를 누를 수 있는 누름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치구의 타측면에는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스토퍼(110)가 배치되며,
상기 슴베정지부(320)의 외주면에는 중심을 향하도록 복수의 슴베홈(321)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10)가 상기 슴베홈(321)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슴베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jig 120 is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the outer shape of the stop portion 320 of the tang coupled to the fixing jig 120 is circular or polygonal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or polygonal shape of the fixing jig 120 Is formed by
One side of the fixing jig 12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121 capable of pressing the fixing jig, and a stopper 110 fixing the rotation of the tang 31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jig,
A plurality of tang grooves 321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ng stopper 320 so as to face the center, and the rotation of the tang is stopped as the stopper 110 is inserted into the tang groove 321 A knife us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andle and the blade.
상기 스토퍼의 하측에는 스프링(13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치구 수납부(230)에는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는 스프링 수납부(220)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121)를 누르면 상기 고정치구(120)가 상기 스토퍼(110)와 함께 하단으로 밀리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슴베홈(321)에서 빠져 상기 슴베(31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하고, 상기 슴베를 회전시켜 정위치시킨 다음 상기 누름부(121)를 개방하면 상기 고정치구(120)가 상기 스토퍼(110)와 함께 상단으로 원위치 하면서 상기 슴베홈(321)에 끼워져 슴베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The method of claim 5,
A spring 13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pper, and a spring receiving unit 220 in which the spring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fixing jig receiving unit 230, and when the pressing unit 121 is pressed, the fixing jig 120 Is pushed to the bottom along with the stopper 110, the stopper slips out of the tang groove 321 to freely rotate the tang 310, rotate the tang to place it in place, and then press the pressing part 121 When opened, the fixing jig 120 is inserted into the tang groove 321 while returning to the upper end together with the stopper 110 to stop the rotation of the tang.
상기 칼의 긴 쪽을 길이방향이라 할 때 상기 고정치구(120)의 길이를 W1이라하고 상기 슴베(310)의 길이를 W2라 하면 (1/4)W2 < W1 <(1/3)W2 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치구(120)의 길이는 상기 슴베길이의 4분의 1보다 크고 3분의 1보다 작으며, 상기 고정치구(120)의 위치는 상기 슴베(3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long side of the knife is the length direction, if the length of the fixing jig 120 is W1 and the length of the tang 310 is W2, (1/4)W2 <W1 <(1/3)W2 Is formed, the length of the fixing jig 120 is greater than one-quarter of the length of the tang and less than one-third, and the location of the fixing jig 12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tang 310 A knife us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knife handle and blade.
칼자루의 끼움홈 중에서 상기 고정치구(120)가 배치된 나머지 부위는 상기 슴베(310)가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홀딩부(330)가 형성되어, 슴베(310)를 고정시킴으로써 칼날을 사용할 때 칼날이 칼자루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자루와 칼날의 각도를 조절해 사용하는 칼.The method of claim 7,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ilt of the hilt where the fixing jig 120 is disposed is formed with a holding portion 330 so that the tang 31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ang 310 is fixed so that the blade is A knife us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handle and blad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not to be shaken i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21397A KR20200102854A (en) | 2019-02-22 | 2019-02-22 | Angle adjustable knif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21397A KR20200102854A (en) | 2019-02-22 | 2019-02-22 | Angle adjustable knif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02854A true KR20200102854A (en) | 2020-09-01 |
Family
ID=7245097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21397A Withdrawn KR20200102854A (en) | 2019-02-22 | 2019-02-22 | Angle adjustable knif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00102854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5777644A (en) * | 2022-12-09 | 2023-03-14 | 连云港东旺奶牛养殖有限公司 | Milk cow hoof repairing device for livestock breeding |
-
2019
- 2019-02-22 KR KR1020190021397A patent/KR20200102854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5777644A (en) * | 2022-12-09 | 2023-03-14 | 连云港东旺奶牛养殖有限公司 | Milk cow hoof repairing device for livestock breeding |
| CN115777644B (en) * | 2022-12-09 | 2023-11-21 | 连云港东旺奶牛养殖有限公司 | Cow hoof trimming device for animal husbandry breeding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253670B1 (en) | Apparatus for peeling and optionally cutting vegetables | |
| EP2632666B1 (en) | Apple wedger | |
| ES2496769T3 (en) | Manual food slicer | |
| US10220536B2 (en) | Device for cutting foodstuffs | |
| US9848726B2 (en) | Vegetable peeler | |
| EP3375580A1 (en) | Hand held spiralizer | |
| EP2747605B1 (en) | Avocado pitting device | |
| KR20200102854A (en) | Angle adjustable knife | |
| US20140017374A1 (en) | Avocado tool | |
| KR101958224B1 (en) | Angle adjustable knife | |
| US20150079258A1 (en) | Combination double peeler and holder device | |
| JP2004065970A (en) | Auxiliary implement for preparing food | |
| US20170217036A1 (en) | Cut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 JP5613355B1 (en) | Cooking utensil with cutting blade | |
| JP3190072U (en) | Cooking utensil with cutting blade | |
| JP3189679U (en) | Cooking utensil with cutting blade | |
| KR20190033045A (en) | Angle adjustable knife | |
| KR20190033052A (en) | Angle adjustable knife | |
| US11452262B1 (en) | Manual hand-held clone clutters | |
| JP7154489B2 (en) | Cookware and cookware sets | |
| KR101454323B1 (en) | Kitchen knife | |
| KR20170124269A (en) | Safety knife with peeling function | |
| KR20160087502A (en) | A multi-function chopping knife of rotary-type | |
| KR20210050799A (en) | Fruit and root skin peelers | |
| KR20110008618U (en) | Portable chopping boar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