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970A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2970A KR20200102970A KR1020200101993A KR20200101993A KR20200102970A KR 20200102970 A KR20200102970 A KR 20200102970A KR 1020200101993 A KR1020200101993 A KR 1020200101993A KR 20200101993 A KR20200101993 A KR 20200101993A KR 20200102970 A KR20200102970 A KR 202001029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cover
- air
- charging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외관을 형성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흡입그릴과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흡입그릴의 외측에 결합되는 하전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전장치에는, 상기 흡입그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부 및 측면벽이 구비되는 베이스;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하전부; 상기 하전부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전압인가부; 및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전압인가부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하전부 각각에는, 상기 전압인가부를 통해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극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면벽 및 상기 베이스의 측면벽에 결합되는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극이 공기 또는 먼지와 접촉되도록 개구된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전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전압인가부에서 상기 하전부로 고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노출부에 의해 상기 하전장치의 측방으로 노출된 상기 전극의 끝단에서 이온이 발생되는 특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In th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that forms an appearance according to one side and has a suction grill forming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charging devic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ction grill, the The charging device includes: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and side wall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grill; A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 plurality of charging parts disposed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ver; A voltage applying unit that applies a voltage to the charging uni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ver; And a seating guide provided on the base or the cover for guiding a seating position of the voltage applying unit,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units generates ions into the air by a high voltage applied through the voltage applying unit. An electrode is included, and at least one of a side wall of the base and a cover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is formed with an exposed portion opened so that the electrode comes into contact with air or dust, and when the charging device is operated, the voltage A high voltage is applied from the application unit to the charging unit, and ions are generated at an end of the electrode exposed to the side of the charging device by the exposure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cooling, heating or purifying air.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냉방을 위한 냉방 장치로서 에어컨과, 실내 난방을 위한 히트 펌프와,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n air conditioner, a heat pump for indoor heating, and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indoor air as a cooling device for indoor cooling.
선행문헌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43307호(공개일 2002.06.10.)에는 공기조화기용 집진기가 개시된다. A prior document,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2-0043307 (published date 2002.06.10.) discloses a dust collector for an air conditioner.
상기 집진기는, 공기 중의 불순물을 이온화시키는 전리부와, 상기 전리부를 통과한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상기 전리부의 후면에 설치되는 금망과, 상기 금망을 통과한 미세한 불순물을 반대극으로 대전되어 정전기력으로 흡착시키는 포집부를 포함한다. The dust collector is charged with an ionizing unit that ionizes impurities in the air, a wire mesh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onizing unit to filter impuriti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ionizing unit, and fine impuritie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wire mesh to an opposite electrode. It includes a collecting portion to be adsorbed.
종래의 집진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내에서 흡입구의 후방에 전리부가 위치되기 때문에, 공기의 일부 만이 전리부를 통과하게 되어 공기정화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전리부가 자체가 공기의 유동저항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으며, 전리부가 공기조화기 내부에 위치됨에 따라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간 효율성이 떨어지고, 전리부를 크기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According to a conventional dust collector, since the ionizer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inlet in the air conditioner, only part of the air passes through the ionizer, thereby reducing th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and the ionizer itself acts as a flow resistance of air. As the ionization unit is locat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the spac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decreases, and when the size of the ionization unit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air conditioner increases.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ith improved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공기 유동을 위한 팬;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하전장치;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대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한다.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is discharged; A fan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air flow; A charging device coupled to the main body outside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charge dust in the air; And a filter devic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discharge port in the main body and collecting charged dust particles.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흡입구를 형성하는 흡입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하전장치는 상기 흡입 그릴에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ody includes a suction grill forming the suction port, and the charging device is coupled to the suction grill.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전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가지는 하전부와, 상기 하전부가 안착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harging device includes a charging unit having one or more electrodes, a base on which the charging unit is mounted,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a cover covering the bas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하전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가 구비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or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position fixing par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unit.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하전부의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부가 구비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base and the cover is provided with an exposed portion for exposing the electrode of the charging portion to the outsid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는 상기 하전부의 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인가부가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voltage applying par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 of the charging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ver.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전압인가부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하는 전선 관통홀이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a wire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voltage applying part passes is formed in the bas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 또는 커버에는 상기 전압인가부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가 구비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or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seating guide for guiding the seating position of the voltage applying unit.
본 실시 예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전부의 전극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인가부를 더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further includes a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electrode of the charging unit.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부가 구비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for coupling to the body.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장치는, 대전된 먼지 입자가 포집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도성 부재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lter device includes one or more conductive members for collecting charged dust particles.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도성 부재는 유전체와 접촉한다.In this embodiment, the one or more conductive members are in contact with the dielectric.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하전장치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서 대전되는 먼지량이 최대화되어 공기 정화 성능이 최대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as the charging device is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the amount of charged dust is maximized, so that th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또한, 사용자가 필터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세척하지 않고, 유전체 베리어 방전에 의해서 필터에서 먼지 입자가 분리되어 먼지 저장부에 포집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separate the filter from the main body and clean it, and dust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filter by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nd collected in the dust storage unit,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또한,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 입자는 상기 먼지저장부에 저장되므로 먼지 입자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particles separated by the filter are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the discharge of dust particl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하전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전장치를 구성하는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constituting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명세서에서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냉방을 위한 냉방 장치로서 에어컨과, 실내 난방을 위한 히트 펌프와,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청정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유동되는 공기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인 한 어떠한 제품도 포함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ir conditioner is a concept including an air conditioner as a cooling device for indoor cooling, a heat pump for indoor heating, and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indoor air, and changes the state of flowing air. It should be noted that it may contain any product, as long as it i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는 실내기의 구성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 a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수용되는 본체(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본체(10)는, 상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 프레임(12) 및 후방 프레임(13)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프레임(12)과 후방 프레임(13)이 전후방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12) 및 후방 프레임(13) 사이에는 후술할 실내열교환기(41) 및 팬(42)과 같은 각종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The
상기 본체(10)는, 상기 전방 프레임(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면 패널(20)은, 상기 전방 프레임(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본체(10)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16)를 형성하는 흡입 그릴(16A)과, 흡입된 실내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구(17)를 포함한다. The
상기 흡입 그릴(16A)은 상기 본체(10)의 상측, 실질적으로는 상기 전방 프레임(1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7)는 상기 본체(10)의 전면 및 저면에 걸쳐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흡입구(16)와 토출구(17)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흡입구(16)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장치(30)와,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기 위하여 팬(42)과, 상기 냉매와 열교환된 실내 공기의 토출을 가이드하는 디스차지 그릴부(15)와,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하전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상기 실내열교환기(41)는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본체(10) 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1)는 다수의 열교환기가 연결되어 구성되거나, 단일의 열교환기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Part or all of the
상기 필터장치(30)는, 상기 흡입구(16)와 상기 실내열교환기(41) 사이에서 먼지를 집진하므로써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한다. 상기 필터장치(30)는 일 예로 상기 실내열교환기(41)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필터장치(30)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서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프레임(12)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장치(30)는 일 예로 후크 방식에 의해서 실내열교환기(41) 또는 전방프레임(12)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필터장치(30)의 결합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15)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15)에는 상기 필터장치(30)에서 제거된 먼지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먼지저장부(50)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부(15)가 상기 먼지저장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먼지저장부(50)는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41)의 상류 또는 하류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먼지저장부(50)는 후크에 의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0)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필터장치(30)에서 제거된 먼지가 상기 먼지저장부(50)에 포집되기 위하여 상기 먼지저장부(50)는 상기 필터장치(3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먼지저장부(50)가 상기 필터장치(30)의 하측에 결합되거나 상기 필터장치(30)의 일부가 상기 먼지저장부(5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상기 하전장치(60)는, 상기 필터장치(30)에 집진되는 먼지량이 증가되도록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킨다. 상기 하전장치(60)는 상기 본체(10)의 외측에서 상기 흡입 그릴(16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charging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 그릴(16A)에 형성된 흡입구(1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로 흡입되므로, 상기 하전장치(60)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 대전되는 공기 중의 먼지량이 최대화될 수 있다.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또한, 상기 하전장치(60)가 상기 본체(10) 외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본체(10)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며, 상기 본체(10)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하전장치(6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장치(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장치(30)는, 필터(330)와, 상기 필터(330)를 지지하는 필터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상기 필터(330)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어레이(array: 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공기는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The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각각은, 전도성 부재(332)와, 상기 전도성 부재(332)의 외면에 유전 물질(dielectric material)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유전체 층(333)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상기 전도성 부재(332)는, 탄소, 탄소나노튜브, 또는 전도성 고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일 예로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 또는 폴리피롤(Polypyrro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중에서 2n번째 어레이는 전원 공급부(40)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중에서 2n+1번째 어레이는 접지될 수 있다. Among the plurality of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필터(330)로 교류 전압 또는 직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40)에서 상기 필터(330)로 교류 전압 또는 직류 전압이 공급되면,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에서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를 유동하는 먼지 입자는 상기 각 어레이(331)의 유전체 층(333)에 부착됨으로써, 공기가 정화된다. 즉, 유전체 베리어 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에 의해서 공기가 정화된다. The
상기 각 어레이(331)의 전도성 부재(332)의 양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각 어레이(331)의 양측에는 지지 프레임(341, 342)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도성 부재(332)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341, 342)을 관통한다. Both ends of the
상기 필터 하우징(310)은, 상기 필터(33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3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310)은 공기가 상기 필터 하우징(310)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공기 홀(314, 324)을 포함한다. The
상기 필터 하우징(310)에는 상기 필터(330)에서 2n번째 어레이의 전도성 부재(332)와 접촉하기 위한 제1도전판(321)과, 2n+1번째 어레이의 전도성 부재(332)와 접촉하기 위한 제2도전판(3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전판(321)이 접지되고, 상기 제2도전판(322)이 상기 전원 공급부(40)에 연결된다. The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필터(330)로 저주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330)로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는 가변될 수 있다. The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필터(330)로 저주파의 전압을 인가하다가 상기 필터(330)의 청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필터(330)로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상기 하전장치(6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harging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하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전장치를 구성하는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constituting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전장치(60)는, 상기 흡입 그릴(16A)에 결합되는 베이스(610)와, 상기 베이스(610)에 결합되는 커버(620)와, 상기 베이스(610)와 상기 커버(620)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하전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6, the charging
그리고 상기 베이스(610)와 상기 커버(620) 사이에는 상기 하전부(613)와 연결되어 상기 하전부(613)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base 610 and the
상기 베이스(610)에는 상기 전압인가부(63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10)에는 상기 전압인가부(630)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안착 가이드(611)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가이드(611)에 상기 전압인가부(6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압인가부(630)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안착 가이드(611)는 상기 커버(62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대전되는 먼지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하전부(613)가 상기 전압인가부(6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하전부(613)는 하나 또는 다수의 카본 파이버 전극(carbon fiber electrode: 613A" 이하 "전극"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카본 파이버 전극의 직경은 6.7마이크로미터 내지 7.8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charging
상기 다수의 하전부(613)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전압인가부(6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10)에는 이격된 다수의 하전부(613)의 위치가 고정되기 위한 위치고정부(614, 6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는(614, 615)는, 일정 간격 이격되는 제1리브(614) 및 제2리브(6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리브(614, 615)는 상기 베이스(610)에서 돌출되며, 상기 각 하전부(613)는 상기 제1리브(614)와 제2리브(61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위고정부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하전부(613)의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harging
상기 베이스(610)는 측면벽(610A)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벽(610A)에는 상기 각 하전부(613)의 하나 이상의 전극(613A)과 공기 또는 먼지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부(616)가 형성된다. 상기 노출부(616)는 홈이거나, 홀이거나 절개부일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베이스(610)에는 상기 전압인가부(630)에 연결되는 전선(632)이 통과하기 위한 전선 통과홀(618)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상기 베이스(610)에는 상기 베이스(610)를 상기 흡입 그릴(16A)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부(619A, 619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결합부(619A, 619B)는 일 예로 후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base 6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상기 커버(620)에도 상기 각 하전부(613)의 하나 이상의 전극(613A)과 공기 또는 먼지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 노출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베이스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노출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An exposed
상기 커버(620)는 후크 또는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6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620)와 베이스(610)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장치(1)의 전원이 온(ON)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장치(1)의 작동이 시작된다. 그러면, 상기 팬(42)이 회전되어 상기 흡입구(16)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본체(10)로 흡입된다. 또한, 상기 필터(330)로 저주파의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이 공급된다(S2). 또한, 상기 하전장치(60)가 작동한다(S3). Referring to FIG. 7, the power of the
상기 하전장치(60)가 작동하면, 상기 전압인가부(630)에서 각 하전부(613)로 고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각 하전부(613)의 전극(613A)의 끝단에서 이온이 발생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하전된다. When the charging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전장치(60)가 흡입 그릴(16A)의 외측에 배치됨으로, 하전부(613)와 접촉하는 먼지량이 증가되어 하전되는 먼지 입자량이 증가된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rging
상기 흡입구(16)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열교환되기 전에 상기 필터장치(30)를 통과한다. 구체적으로 공기는 상기 필터하우징(310)의 공기 홀(314)을 통과한 후에 상기 필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 사이에는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나고, 공기가 상기 다수의 어레이(3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대전된 먼지 입자는 상기 각 어레이의 유전체 층(333)에 부착됨으로써, 공기가 정화된다. The air suck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필터(3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1)와 열교환된 후에 상기 토출구(17)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In additi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작동되는 중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필터(330)의 청소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 While the
본 실시 예에서 필터의 청소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상기 공기조화장치(10)의 온 시간이 기준시간에 도달한 경우이거나, 상기 공기조화장치(10)의 작동 횟수가 기준횟수에 도달한 경우이거나,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필터장치(30)의 상류 측 압력과 하류 측 압력의 차가 기준압력에 도달한 경우이거나, 상기 팬(42)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의 부하가 기준부하에 도달한 경우이다. 상기 필터장치(30)의 상류와 하류의 압력 차는, 일 예로 상기 흡입구(16) 측과 토출구(17) 측에 구비된 압력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판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leaning condition of the filter is satisfied, when the ON time of the
이 때, 상기 기준시간 또는 기준횟수는 가변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가 많은 지역 또는 국가에서는 상기 필터(330)에 부착되는 먼지 입자의 양이 많으므로, 필터 청소의 주기가 빨라질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기준시간 또는 기준횟수를 적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ference time or reference number may be varied. For example, in a dusty region or country, since the amount of dust particles attached to the
상기 필터(330)에 부착된 먼지 입자의 양이 많아지면, 먼지 입자가 공기의 유동저항을 작용하게 되고, 상기 먼지 입자의 양이 많아질 수 록, 상기 필터장치(30)의 상류 측 압력과 하류 측 압력 차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장치(30)의 상류 측 압력과 하류 측 압력의 차가 기준압력에 도달한 경우, 필터 청소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When the amount of dust particles attached to the
상기 필터(330)의 청소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전원 공급부(40)는 상기 필터(330)로 고주파 전압을 인가한다(S5). When the cleaning condition of the
본 명세서에서, 저주파 전압은 10hz 이하의 전압이고, 고주파 전압은 1Khz 이상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ow frequency voltage may be a voltage of 10 Hz or less, and the high frequency voltage may be 1 kHz or more.
상기 필터(30)로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각 어레이(331)에 부착된 입자 중에서 유기성 입자는 연소되고, 무기성 입자는 상기 각 어레이(331)에 분리되어 상기 각 어레이(331)의 자체 청소(self-cleaning)가 이루어진다. When a high-frequency voltage is applied to the
상기 각 어레이(331)에서 분리된 무기성 입자는 상기 먼지저장부(50)로 낙하된다. 이 때, 상기 필터(330)의 청소 중에 상기 필터(330)에서 분리된 먼지 입자가 상기 본체(10)에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330)의 청소 중, 즉, 상기 필터(330)로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는 중에는 상기 팬(42)은 정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팬(42)이 정지되는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표시부에 필터 청소 중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The inorganic particles separated from each of the
또는, 상기 필터(330)의 청소 중에는 상기 팬(42)의 회전속도를 최소 회전속도 기준 회전속도로 줄여 상기 필터(330)에서 분리된 먼지 입자가 상기 먼지저장부(50)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330)의 청소 중에는 상기 팬(42)의 현재 회전속도가 줄어들게 된다(팬 정지 포함). Alternatively, during cleaning of th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330)의 청소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 본 발명에서 일 예로 상기 필터(330)의 청소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필터의 청소시간(필터로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이 종료판단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에 의해서 판단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leaning of the
만약, 필터의 청소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원공급부는 다시 상기 필터(330)로 저주파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단계 S2로 복귀). If it is determined that cleaning of the filter is complete, the power supply may apply a low frequency voltage to the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전장치가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서 대전되는 먼지량이 최대화되어 공기 정화 성능이 최대화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as the charging device is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the amount of charged dust is maximized, so that th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또한, 사용자가 필터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세척하지 않고, 유전체 베리어 방전에 의해서 필터에서 먼지 입자가 분리되어 먼지 저장부에 포집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separate the filter from the main body and clean it, and dust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filter by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nd collected in the dust storage unit,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또한, 상기 필터에서 분리된 먼지 입자는 상기 먼지저장부에 저장되므로 먼지 입자가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ust particles separated by the filter are stored in the dust storage unit, the discharge of dust particl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n be minimiz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경우, 하전장치(60)가 상기 흡입 그릴(16A)의 외측에 위치되되, 전압인가부(630A)는 상기 하전장치(6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압인가부(630A)는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harging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전압인가부(630A)가 상기 하전장치(6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전장치(60)의 설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필터장치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서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필터장치가 접지극과 연결된 집진판을 포함하여 하전된 먼지 입자를 포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필터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세척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lter device purifies air by plasma discharge, but unlike this, the filter device may collect charged dust particles including a dust collecting plate connected to a ground electrode. However, in this case, the filter device can be manually cleaned by the user.
위의 실시 예에서는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의 청소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 청소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완료 후에 상기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cleaning of the filter is performed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cleaning condition is satisfied while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ing, the filter It is also possible to clean automatically.
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 청소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완료 후에 표시부에 필터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일 예로 필터 청소 버튼 등을 이용하여 필터 청소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필터 청소가 수행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lter cleaning condition is satisfi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formation for notifying that the filter needs to be clean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completed. When a filter cleaning command is input by using or the like, the filter cleaning may be performed.
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완료 후에 필터 청소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터 청소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filter cleaning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s completed, and automatically clean the filter when the filter cleaning condition is satisfi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6A: 흡입 그릴
30: 필터장치
60: 하전장치10:
30: filter device 60: charging device
Claims (9)
상기 하전장치에는,
상기 흡입그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부 및 측면벽이 구비되는 베이스;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평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하전부;
상기 하전부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전압인가부; 및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커버에 구비되며, 상기 전압인가부의 안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하전부 각각에는, 상기 전압인가부를 통해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전극이 포함되고,
상기 베이스의 측면벽 및 상기 베이스의 측면벽에 결합되는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극이 공기 또는 먼지와 접촉되도록 개구된 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전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전압인가부에서 상기 하전부로 고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노출부에 의해 상기 하전장치의 측방으로 노출된 상기 전극의 끝단에서 이온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that forms an exterior and has an intake grill forming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a charging devic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take grill,
In the charging device,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and side wall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ction grill;
A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 plurality of charging parts disposed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ver;
A voltage applying unit that applies a voltage to the charging unit and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ver; And
It is provided on the base or the cover, and includes a seating guide for guiding the seating position of the voltage applying unit,
Each of the plurality of charging units includes an electrode for generating ions into the air by a high voltage applied through the voltage applying unit,
At least one of the side wall of the base and the cover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is provided with an exposed portion opened so that the electrode comes into contact with air or dust,
When the charging device is operated, a high voltage is applied from the voltage applying unit to the charging unit, and ions are generated at an end of the electrode exposed to the side of the charging unit by the exposure unit.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하전부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에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base and the cover includes a position fixing uni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unit,
And a first rib and a second rib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the base and the cov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osition fixing part.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1 리브와 상기 제 2 리브의 사이에 상기 하전부가 위치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rib and the second rib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harging un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ib and the second rib.
상기 노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벽 및 상기 베이스의 측면벽에 결합되는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홈, 홀 및 절개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exposed portion is any one of a groove, a hole, and a cutout formed in at least one of a side wall of the base and a cover coupled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전압인가부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되는 전선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base and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wire passing hole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voltage applying unit passes.
상기 전압인가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의 외측에 위치되고, 전선을 통해 상기 하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voltage applying part is located outside the base and the cover, and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art through an electric wire.
상기 전극의 직경은 6.7마이크로미터 내지 7.8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 is 6.7 micrometers to 7.8 micrometers.
상기 다수의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의 일측에 고정되는 일측 결합부; 및
상기 일측 결합부와 이격되며, 상기 흡입그릴의 타측에 고정되는 타측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One side coupling part formed under the base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suction grill; An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econd coupling part spaced apart from the one coupling part a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grill.
상기 커버는 후크 및 스크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coupled to the base by one of a hook and a screw.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01993A KR102266444B1 (en) | 2014-01-24 | 2020-08-13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08932A KR102255135B1 (en) | 2014-01-24 | 2014-01-24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1020200101993A KR102266444B1 (en) | 2014-01-24 | 2020-08-13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08932A Division KR102255135B1 (en) | 2014-01-24 | 2014-01-24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00102970A true KR20200102970A (en) | 2020-09-01 |
| KR102266444B1 KR102266444B1 (en) | 2021-06-17 |
Family
ID=7247003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01993A Active KR102266444B1 (en) | 2014-01-24 | 2020-08-13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66444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56092A (en) * | 2003-11-28 | 2005-06-16 | Fujitsu General Ltd | Air conditioner |
| JP2011085288A (en) * | 2009-10-14 | 2011-04-28 | Panasonic Corp | Air conditioner |
-
2020
- 2020-08-13 KR KR1020200101993A patent/KR1022664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5156092A (en) * | 2003-11-28 | 2005-06-16 | Fujitsu General Ltd | Air conditioner |
| JP2011085288A (en) * | 2009-10-14 | 2011-04-28 | Panasonic Corp |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66444B1 (en) | 2021-06-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407846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 EP3267124B1 (en) | Air conditioner | |
| KR102199381B1 (en) | Air cleaner for air conditioner | |
| KR102085825B1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 EP3093563B1 (en) | Air conditioner | |
| EP2942582A1 (en) | Filter for electric dust collector,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 |
| KR102584609B1 (en) | air conditioner | |
| KR102200401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 KR102267826B1 (en) | Air conditioner | |
| KR102266444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 CN212431187U (en) | Air outlet purification unit with ball contact | |
| KR20200141974A (en) | Air conditioner | |
| CN111503745A (en) | air conditioner | |
| KR20200122280A (en) | Air conditioner | |
| JP2007301463A (en) | Air purification unit and air conditioner | |
| CN204933695U (en) | Air-conditioner | |
| KR20200095956A (en) | Air conditioner | |
| CN114963340A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210009530A (en) | Air conditioner | |
| JP2015016412A (en) | Air cleaning un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81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0124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00893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16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